KR102504142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142B1
KR102504142B1 KR1020170139368A KR20170139368A KR102504142B1 KR 102504142 B1 KR102504142 B1 KR 102504142B1 KR 1020170139368 A KR1020170139368 A KR 1020170139368A KR 20170139368 A KR20170139368 A KR 20170139368A KR 102504142 B1 KR102504142 B1 KR 102504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ensation
display panel
control unit
display
integrate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145A (ko
Inventor
배한진
황정태
김정현
윤진한
배재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9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1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3Compensation electrodes or other additional electrodes in matrix displays related to distortions or compensation signals, e.g. for modifying TFT threshold voltage in column dr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패널, 패널 구동부, 통합 제어부 및 갱신신호라인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패널 구동부는 표시패널을 구동한다. 통합 제어부는 패널 구동부를 제어한다. 갱신신호라인은 통합 제어부의 내부에 저장된 펌웨어 및 보상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갱신신호를 전달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계발광표시장치(Light Emitting Display: 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 Phoretic Display: EPD),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EWD), 및 양자점표시장치(Quantum Dot display: QD)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 중 일부는 표시 패널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에 스캔신호 및 데이터신호 등이 공급되면, 선택된 서브 픽셀이 자체적으로 빛을 발광(이하 자체 발광)하게 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 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제안된 표시장치는 기술 발달에 따른 요구 조건을 수용하기에는 부족함이 많은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장치 및 구동 방식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혁신이 필요하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서 요구되는 수명 유지(또는 증가)와 더불어 균일한 표시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서브 픽셀을 구동하거나 빛을 생성하는 소자의 열화를 보상할 수 있고, 보상에 필요한 보상값이나 보상 알고리즘의 변화 발생시 이를 즉각적으로 갱신 및 적용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표시패널, 패널 구동부, 통합 제어부 및 갱신신호라인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패널 구동부는 표시패널을 구동한다. 통합 제어부는 패널 구동부를 제어한다. 갱신신호라인은 통합 제어부의 내부에 저장된 펌웨어 및 보상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갱신신호를 전달한다.
통합 제어부는 그래픽, 오디오, 비디오, 모뎀 등 각종 멀티미디어용 부품과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제어부 등 반도체 부품이 하나의 칩 속에 통합된 반도체일 수 있다.
통합 제어부는 펌웨어 및 보상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갱신신호라인을 통해 전달된 갱신신호를 기반으로 메모리의 읽기와 쓰기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는 표시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집적회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통합 제어부는 자체적으로 표시패널의 특성값을 수득하기 위한 센싱 동작과 표시패널의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동작 그리고 센싱 동작을 통해 수득한 센싱값이나 보상 동작을 통해 마련된 보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는 센싱값을 기반으로 표시패널에 대한 양불을 판정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표시패널에 대한 양불 판정결과를 색차로 나타내기 위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와, 표시패널에 대한 양불 판정결과를 외부 화면상에 나타내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커넥터 중 하나 또는 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세트보드, 표시모듈 및 갱신신호라인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세트보드는 영상 데이터신호와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표시모듈은 세트보드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신호와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동작을 한다. 갱신신호라인은 세트보드와 표시모듈 사이에 위치한다. 표시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과 연결된 외부기판 상에 배치되고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와, 세트보드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신호와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표시모듈 내의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고, 통합 제어부는 갱신신호라인을 통해 전달된 갱신신호를 기반으로 내부에 저장된 펌웨어 및 보상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한다.
갱신신호라인은 단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신호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합 제어부는 자체적으로 표시패널의 특성값을 수득하기 위한 센싱 동작과 표시패널의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동작 그리고 센싱 동작을 통해 수득한 센싱값이나 보상 동작을 통해 마련된 보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셀프 보상을 수행하기 위한 셀프 보상 알고리즘이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서 요구되는 수명 유지(또는 증가)와 더불어 균일한 표시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서브 픽셀을 구동하거나 빛을 생성하는 소자의 열화를 보상할 수 있고, 보상에 필요한 보상값이나 보상 알고리즘의 변화 발생시 이를 즉각적으로 갱신 및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출하 후 결함이 발견된 경우 하드웨어의 교체가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차원에서 결함을 치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중 발생할 수 있는 장치적 문제 해결을 위해 장치 스스로(셀프), 또는 외부에서의 원격 제어, 또는 사용자의 직접 제어 등 다양한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 자체적으로 셀프 보상이 가능한 "PC-less" 시스템을 통해 불필요한 택트 타임 제거와 더불어 비용을 절감(cost down)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표시모듈에서 통합 제어부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부 기반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셀프 보상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소프트웨어적 갱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종래에 따른 표시장치의 보상을 위한 구성 및 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보상을 위한 구성 및 이의 개선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된 구조물의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셀프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펌웨어 업데이트 시 보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불량 접수시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텔레비젼, 영상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시어터, 스마트폰, 증강/가상 현실기기 등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전계발광표시장치(Light Emitting Display: 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 Phoretic Display: EPD),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EWD), 및 양자점표시장치(Quantum Dot display: QD)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액정표시장치 이후 대표되고 있는 전계발광표시장치를 일례로 설명한다. 통상의 전계발광표시장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무기 발광다이오드를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은 전계발광표시장치와 같이 특히 자체적으로 빛을 발광(이하 자체 발광)하는 서브 픽셀을 기반으로 구현된 표시장치에 적합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참조한다.
<종래>
도 1은 종래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따른 표시장치는 텔레비젼이나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세트보드(Set Board)와 표시모듈(Display module) 등이 필요하다.
세트보드(Set Board)와 표시모듈(Display module)을 구성하는 장치들은 목표로 하는 표시장치가 무엇이냐에 따라 내부에 포함되는 장치의 구성이 각각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관점에서 세트보드(Set Board)와 표시모듈(Display module)을 구성하는 장치들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따른 세트보드(Set Board)는 사용자 등으로부터 외부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미도시),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미도시), 외부장치 또는 내부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미도시), 세트보드(Set Board) 및 표시모듈(Display module) 내의 각종 장치들에 전원(Power)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미도시) 및, 세트보드(Set Board) 및 표시모듈(Display module) 내의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며 영상 데이터신호(Video Data)와 제어신호(Control)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 등을 포함한다.
종래에 따른 표시모듈(Display module)은 세트보드(Set Board)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신호(Video Data)와 제어신호(Control)를 기반으로 표시모듈(Display module) 내의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TCON),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패널(PNL),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패널 구동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PNL)은 발광다이오드를 기반으로 하는 서브 픽셀들을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는 패널 구동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 등에 응답하여 자체적으로 빛을 발광한다. 표시패널(PNL)은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된 빛을 기반으로 영상을 표시하는데, 이처럼 자체 발광된 빛을 기반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자체 발광형 표시장치라고도 한다.
그런데 자체 발광형 표시장치는 수명 유지(또는 증가)와 더불어 균일한 표시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서브 픽셀을 구동하거나 빛을 생성하는 소자의 열화를 보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체 발광형 표시장치는 보상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소자의 열화를 보상하므로 알고리즘의 변화 발생시 이를 즉각적으로 갱신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자체 발광형 표시장치는 제품출하 후 결함이 발견된 경우 하드웨어의 교체가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차원에서 결함을 치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 따른 자체 발광형 표시장치는 앞서 언급한 요구 조건을 모두 수용할 수 없는 상태로 구현되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장치 및 구동 방식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혁신이 필요하다.
<실시예>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의 표시모듈에서 통합 제어부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부 기반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텔레비젼이나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세트보드(Set Board)와 표시모듈(Display module) 등이 필요하다.
세트보드(Set Board)와 표시모듈(Display module)을 구성하는 장치들은 목표로 하는 표시장치가 무엇이냐에 따라 내부에 포함되는 장치의 구성이 각각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 중 하나의 관점에서 세트보드(Set Board)와 표시모듈(Display module)을 구성하는 장치들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에 따른 세트보드(Set Board)는 사용자 등으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미도시),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미도시), 외부장치 또는 내부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미도시), 세트보드(Set Board) 및 표시모듈(Display module) 내의 각종 장치들에 전원(Power)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미도시) 및, 세트보드(Set Board) 및 표시모듈(Display module) 내의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며 영상 데이터신호(Video Data)와 제어신호(Control)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 등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Display module)은 세트보드(Set Board)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신호(Video Data)와 제어신호(Control)를 기반으로 표시모듈(Display module) 내의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부(SOC),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패널(PNL),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패널 구동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세트보드(Set Board)에서 표시모듈(Display module)로 갱신신호(Update Signal)를 전달할 수 있다. 갱신신호(Update Signal)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며 세트보드(Set Board)와 표시모듈(Display module) 사이에 존재하는 신호라인이나 신호라인과 함께 마련된 별도의 장치 등을 통해 통합 제어부(SOC)로 전달된다.
갱신신호(Update Signal)의 인가에 따른 장치 및 구동 방식의 변화 등과 관련된 설명은 나중에 더 자세히 다루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통합 제어부(SOC)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을 다룬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제어부(SOC)는 표시패널(PN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SUB) 상에 집적회로(IC) 형태로 실장된다. 통합 제어부(SOC)는 그래픽, 오디오, 비디오, 모뎀 등 각종 멀티미디어용 부품과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제어부 등 반도체 부품이 하나의 칩 속에 통합된 반도체이다.
통합 제어부(SOC) 또한 목표로 하는 표시장치가 무엇이냐에 따라 내부에 포함되는 장치의 구성이 각각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 중 하나의 관점에서 통합 제어부(SOC)를 구성하는 장치들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합 제어부(SOC)는 게이트 구동부(GD), 프로그래머블 감마부(PGM),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R), 제1메모리 제어부(DDRC), 제2메모리 제어부(NANDC), 중앙처리부(CPU)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부(GD)는 표시패널(PNL)의 스캔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신호(gate signal)를 생성 및 출력한다. 프로그래머블 감마부(PGM)는 데이터 구동부의 전압을 프로그래머블하게 제어하기 위한 전압제어신호(voltage control)를 생성 및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R)는 표시패널(PNL)의 서브 픽셀들을 보상하기 위해 센싱한 아날로그 형태의 센싱 데이터(sensing data)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다. 제1메모리 제어부(DDRC)는 DDR(double data rate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제어한다. 제2메모리 제어부(NANDC)는 NAND(Nand 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제어한다.
중앙처리부(CPU)는 게이트 구동부(GD), 프로그래머블 감마부(PGM),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R), 제1메모리 제어부(DDRC) 및 제2메모리 제어부(NANDC) 등을 제어한다. 중앙처리부(CPU)는 메모리 제어(Memory Control)뿐만 아니라 보상 절차계획계산(Process Scheduling Calculation), 보상 구동, 통신 기능 등과 관련된 부분을 제어한다.
도 3에서 설명된 통합 제어부(SOC)를 기반으로 장치를 구성하면, 도 4와 같은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들(CNA, CNB)과 신호라인들(OSL, USL)이 존재한다. 커넥터들(CNA, CNB)과 신호라인들(OSL, USL)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통합 제어부(SOC)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커넥터들(CNA, CNB)과 신호라인들(OSL, USL)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된다.
제1커넥터(CNA)와 제2커넥터(CNB)는 제1인터페이스(Vx1) 방식으로 구현된다. 제1인터페이스(Vx1) 방식은 V-by-One 인터페이스로 선택될 수 있다. V-by-One 인터페이스는 THine Electronics사에 의해 개발되었다. V-by-one 인터페이스는 이퀄라이저 기능의 도입으로 인하여 기존 LVDS(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와 비교할 때 신호 전송 품질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V-by-One 인터페이스는 최대 1 페어(Pair)당 3.75 Gbps(Giga bit per sec)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V-by-one 인터페이스는 CDR(Clock Data Recovery) 적용으로 인하여 LVDS 인터페이스의 클록 전송에서 초래되는 스큐(Skew) 조정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리고 V-by-one 인터페이스는 LVDS에서 반드시 필요하였던 클록 전송이 없기 때문에 클록 전송으로 인한 EMI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덧붙여, V-by-one 인터페이스는 데이터의 전송량의 증가는 물론 고배속 구동을 할 수 있다. V-by-One 인터페이스는 위와 같은 장점이 있기 때문에, 실시예에서는 V-by-One 인터페이스를 일례로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커넥터(CNA)는 8개의 레인(8Lane)을 수용하도록 구현된다. 1개의 레인은 두 개의 신호라인으로 정의되고, 이 신호라인은 동일한 신호가 상반된 극성으로 전송될 수 있는 전송 선로를 제공한다.
제2커넥터(CNB)는 8개의 레인(8Lane)과 더불어 옵션신호(Option Signal)와 갱신신호(Update Signal)를 더 수용하도록 구현된다. 즉, 제2커넥터(CNB)에는 옵션신호(Option Signal)의 전달은 위한 옵션신호라인(OSL)과 갱신신호(Update Signal)의 전달을 위한 갱신신호라인(USL)이 더 존재한다.
갱신신호라인(USL)은 단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신호라인 예컨대, I2C, SPI, UNIO, 1-wir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갱신신호라인(USL)은 단방향 통신을 기본으로 구현할 수 있고 데이터의 수신 확인을 위한 핸드 쉐이크(Hand Shake)는 통신 방식에 따라 포함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옵션신호(Option Signal)는 통합 제어부(SOC) 등의 장치 구동과 관련된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될 수 있고, 갱신신호(Update Signal)는 통합 제어부(SOC)의 내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통합 제어부(SOC)는 내부의 제1메모리 제어부(DDRC)와 제2메모리 제어부(NANDC)를 이용하여 제1메모리(DDR)와 제2메모리(NAND)를 제어한다. 통합 제어부(SOC)는 앞서 설명된 메모리들(DDR, NAND)뿐만 아니라 제3메모리(EEPROM)도 제어한다.
통상 제3메모리(EEPROM)에는 표시패널(PNL)의 해상도, 주파수 및 타이밍 정보 등을 포함하는 표시모듈의 장치정보(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 기반의 펌웨어는 물론 표시패널(PNL)을 구성하는 소자들의 보상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통합 제어부(SOC)는 제1메모리(DDR), 제2메모리(NAND) 및 제3메모리(EEPROM)에 특정 데이터를 쓰거나 이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읽어 낼 수 있도록 읽기와 쓰기를 제어한다. 그러므로 펌웨어나 보상 데이터 등은 제3메모리(EEPROM)뿐만 아니라 다른 메모리(앞서 언급되지 않은 별도의 메모리나 이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통합 제어부(SOC)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신호를 영상 처리하여 적색, 백색, 녹색 및 청색 데이터신호(RWGB)를 생성하고 이를 제2인터페이스(EPI) 방식으로 출력함과 더불어 표시패널(PNL), 데이터 구동부(SDC) 등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들(Control Signals)을 생성 및 출력한다. 제2인터페이스(EPI) 방식은 EPI(Embeded clock point to point)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EPI 인터페이스 방식은 데이터신호 사이사이에 클록(Clock)을 내장(Embedded)하여 차신호쌍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표시패널(PNL)은 적색, 백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픽셀로 정의된 픽셀들(P)로 이루어진다. 픽셀들(P)로 이루어진 영역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으로 정의되고, 표시영역의 외곽과 같이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은 비표시영역으로 정의된다.
표시패널(PNL)의 비표시영역에는 게이트인패널 방식으로 스캔 구동부가 형성된다. 스캔 구동부는 통합 제어부(SOC) 내의 게이트 구동부(GD)로부터 출력된 게이트 신호(gate signal) 등에 기초하여 표시패널(PNL)을 구동하기 위한 스캔신호들(G1 ~ G2160)을 생성 및 출력한다. 스캔신호들(G1 ~ G2160)의 개수는 하나의 예시일 뿐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패널(PNL)과 연결된 외부기판에는 데이터 구동부(SDC)가 위치한다. 외부기판은 표시패널(PNL)과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돕는 역할도 한다. 데이터 구동부(SDC)는 통합 제어부(SOC)로부터 적색, 백색, 녹색 및 청색 데이터신호(RWGB)와 각종 제어신호들(Control Signals)을 공급받고 이에 근거하여 표시패널(PNL)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전압들(S1 ~ S3840)을 생성 및 출력한다. 스캔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SDC)는 패널 구동부로 통합 정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SDC)는 통합 제어부(SOC) 내의 프로그래머블 감마부(PGM)로부터 출력된 전압제어신호(voltage control)를 기반으로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SDC)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전압들(S1 ~ S3840)은 표시패널(PNL)의 데이터라인들을 통해 전달된다. 데이터 구동부(SDC)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고전위전원(EVDD)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데이터전압들(S1 ~ S3840)의 개수는 하나의 예시일 뿐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구동부(SDC)는 표시패널(PNL)의 서브 픽셀들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전압의 출력 동작과 더불어 표시패널(PNL)의 서브 픽셀들을 보상하기 위한 센싱동작을 수행한다. 데이터 구동부(SDC)는 표시패널(PNL)의 센싱라인들을 통해 서브 픽셀들에 포함된 구동 트랜지스터나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전기적 특성을 센싱한다. 구동 트랜지스터나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전기적 특성은 이들의 문턱전압이나 이동도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구동부(SDC)는 센싱값을 통합 제어부(SOC) 내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R)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통합 제어부(SOC)는 데이터 구동부(SDC)와의 연동으로 수득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데이터신호, 감마전압, 고전위전원 등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센싱값에 기초한 보상 대상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부(PSC)는 제3커넥터(CNC)로부터 인가된 제1전압(+12.0V)을 기반으로 데이터 구동부(SDC)에 인가되는 고전위전원(EVDD)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들(Power Signals)을 생성 및 출력한다. 전원부(PSC)는 통합 제어부(SOC)와 별도로 구성되어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된 제4커넥터(CND)를 통해 인가된 제2전압(+24.0V)을 고전위전원(EVDD)으로 사용하되, 전원부(PSC)로부터 독립된 것을 일례로 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셀프 보상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소프트웨어적 갱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세트보드(Set Board)로부터 입력된 셀프 보상 시작신호(Start)에 대응한 셀프 보상이 가능하다. 셀프 보상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제작하고 출하한 이후, 통합 제어부(SOC) 그리고 이와 연동하는 장치들의 연계로 통합 제어부(SOC) 자체적으로 수행되는 보상으로 정의된다. 통합 제어부(SOC) 내에는 셀프 보상을 수행하기 위한 셀프 보상 알고리즘이 탑재된다. 셀프 보상 알고리즘과 관련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합 제어부(SOC)의 중앙처리부(CPU) 그리고 이와 연동하는 장치들의 구동 타이밍 제어를 위한 IP(Intellectual Property) 등으로 아키텍쳐(Architecture)를 구성한다. 그리고 중앙처리부(CPU)를 활용하여 보상 프로세스 계획 계산(보상 Process Scheduling Calculation)을 하고, 컴퓨터 등에서 생성한 초기 보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도록 메모리 제어(Memory Control) 절차를 구성한다.
통합 제어부(SOC)는 자체적으로 표시패널(PNL)의 특성값을 수득하기 위한 센싱 동작과 표시패널(PNL)의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동작 그리고 센싱 동작을 통해 수득한 센싱값이나 보상 동작을 통해 마련된 보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셀프 보상은 물론이고 스스로 효율적인 셀프 보상을 하기 위해 보상 계획의 수립도 가능하도록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세트보드(Set Board)로부터 입력된 갱신신호(Update Signal)에 대응한 신규 보상 데이터의 적용 및 신규 알고리즘의 적용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자체 발광형 표시장치로 구현된 경우, 이는 제품출하 전 일차적인 보상을 수행하고, 제품출하 후 일차적인 보상을 통해 마련된 보상 데이터나 보상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이차적인 보상이 수행되도록 구현된다.
그런데 종래에 따른 표시장치는 일차적인 보상을 통해 마련된 보상 데이터가 고정되어 있어 제품출하 후 잘못된 보상 데이터를 올바른 보상 데이터로 변경하거나 장치의 구동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보상 데이터 등의 변경이 불가하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갱신신호(Update Signal)를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제품출하 후 보완된 보상 데이터의 반영 가능하다. 이 경우, 갱신신호(Update Signal)에는 일차적인 보상을 통해 마련된 보상 데이터를 보완 또는 새롭게 변경하기 위한 신규 보상 데이터가 포함된다.
또한, 종래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품출하 후 새롭게 불량 픽셀을 보상할 수 있는 보상(보정) 알고리즘이 추가된 경우 대응이 불가하거나 하드웨어를 교체해야 한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갱신신호(Update Signal)를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제품출하 후 보완된 신규 알고리즘의 반영 가능하다. 이 경우, 갱신신호(Update Signal)에는 알고리즘을 새롭게 변경하기 위한 신규 알고리즘이 포함된다.
덧붙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통합 제어부(SOC)의 펌웨어(Firmware)를 업그레이드(upgrade)할 수 있는 신규 펌웨어 기반의 갱신신호(Update Signal) 전달은 물론 갱신신호(Update Signal)를 전달하는 갱신신호라인을 단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방식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직접 제어는 물론 외부에서의 원격 제어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하드웨어의 교체가 아닌 소프트웨어적 결함 치유 기능을 가질 수 있어 A/S기사의 직접 방문 없이 원격 결함 치유가 가능하다. 덧붙여, A/S기사가 아닌 표시장치의 사용자 측에서 리모트콘트롤러(Rem)를 이용한 세트보드(Set Board)의 직접 제어를 통해 보상을 시작하라는 시작신호(Start)를 입력해 줄 수도 있다.
도 7은 종래에 따른 표시장치의 보상을 위한 구성 및 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보상을 위한 구성 및 이의 개선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된 구조물의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PNL)의 보상을 위해, 표시모듈(Display module)은 물론이고 컴퓨터(PC)와 통신모듈(통신 module) 등이 더 요구된다. 종래에 따른 표시장치 기반의 보상 동작 그리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컴퓨터(PC)로부터 표시패널(PNL)을 센싱하라는 명령(① Command)이 출력된다. 표시패널(PNL)을 센싱하라는 명령(① Command)은 통신모듈(통신 module)을 통해 타이밍 제어부(TCON)에 전송된다. 타이밍 제어부(TCON)는 데이터 구동부와의 연동으로 표시패널(PNL)을 센싱(sensing)하고, 통신모듈(통신 module)을 통해 센싱으로 수득한 센싱값(② Sensing data)을 컴퓨터(PC)에 전달한다.
컴퓨터(PC)는 센싱값(② Sensing data)을 기반으로 보상 데이터를 연산 및 표시패널에 대한 양불 등의 판정(③보상 연산 & 판정)을 한다. 컴퓨터(PC) 상의 연산 및 양불 등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보상 데이터를 저장하라는 명령(④보상 data 저장)이 출력되면 보상 데이터는 표시모듈(Display module)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된다.
종래에 따른 보상 시스템의 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택트 타임(tact time) 문제
보상 프로세스를 컴퓨터(PC)에서 관장함에 따라 모든 데이터가 컴퓨터로 송/수신됨.
통신에 의한 시간 소요뿐 아니라 통신 검증을 위한 에크(ACK) 및 체크섬(Checksum) 등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인하여 통신 시간이 크게 차지함(통신 에러 / Checksum 오류 시 동작을 재시도 해야 하므로 추가 시간 손실 발생)
2. 비용 문제
컴퓨터(PC)로 수신된 센싱값(Sensing data) 및 컴퓨터(PC)에서 연산하여 생성한 보상 데이터(Raw data)를 모두 저장하기 위한 대용량 저장 서버 그리고 컴퓨터(PC)와 통신 모듈 간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USB, Ethernet 등)가 필요함
그 결과 컴퓨터(PC)는 물론 서버 등의 장비 투자가 필요함
3. 오류 발생 시 재보상/수정이 어려움
출하된 장치의 재보상이 필요한 경우 보상 시스템이 갖춰진 공간으로 이동해야 함
하드 와이어 로직(Hard wire logic)을 기반으로 설계되어 있어 약속된 레지스터(Register) 등으로 변경 가능한 영역을 제외한 알고리즘 변경이 어려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통합 제어부(SOC)를 기반으로 하므로 표시패널(PNL)의 보상을 위해, 표시모듈(Display module)만 요구된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기반의 보상 동작 그리고 이의 개선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시모듈(Display module)이 자체적으로 보상 프로세스 수행 가능하므로, 외부로부터 보상을 시작하라는 명령(① Command)이 입력되면 통합 제어부(SOC) 자체적으로 센싱값 측정(② Sensing data 측정), 보상 데이터 연산(③보상 연산), 보상 데이터 저장(④보상 data 저장) 및 센싱값을 기반으로 표시패널(PNL)에 대한 양불 등의 판정(⑤ 판정결과)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보상 데이터는 표시모듈(Display module)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필요 시 컴퓨터로 전송 가능하다. (Sampled Display module의 보상 데이터만 PC에 저장)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양불 등의 판정결과를 통합 제어부(SOC)와 별도로 마련된 판정 수단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판정 수단은 인쇄회로기판(SUB) 상에 마련된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별도로 마련된 외부 모니터(MON)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쇄회로기판(SUB) 상에는 도 9와 같은 구조물이 더 배치된다.
도 8 및 도 9 (a)와 같이, 인쇄회로기판(SUB) 상에는 통합 제어부(SOC)와 별도로 발광다이오드(LED)가 마련된다. 발광다이오드(LED)는 통합 제어부(SOC)의 판정결과를 녹색(양)과 적색(불) 등의 색차로 나타내기 위해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 (b)와 같이, 인쇄회로기판(SUB) 상에는 외부 모니터(MON)와의 연결을 위한 제5커넥터(CNE)가 마련된다. 제5커넥터(CNE)는 통합 제어부(SOC)의 판정결과를 외부 모니터(MON) 상에 나타낼 수 있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5커넥터(CNE)는 모니터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 및 도 9 (c)와 같이, 인쇄회로기판(SUB) 상에는 통합 제어부(SOC)와 별도로 발광다이오드(LED) 그리고 외부 모니터(MON)와의 연결을 위한 제5커넥터(CNE)가 마련된다. 도 9 (c)는 (a)와 (b)의 구조물을 모두 갖는 구조이다.
이상의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통합 제어부(SOC)를 기반으로 하면서 갱신신호라인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받게 되며 셀프 보상이 가능하므로, 종래 기술의 택트 타임(tact time) 문제, 비용 문제 및 오류 발생 시 재보상/수정이 어려운 문제 등을 모두 해소할 수 있다. 덧붙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모듈 자체적으로 셀프 보상이 가능한 "PC-less" 시스템을 통해 불필요한 택트 타임 제거와 더불어 비용절감(cost down) 또한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셀프 보상 방법, 펌웨어 업데이트 시 보상 동작 및 장치의 불량 접수시 처리 절차 등에 관한 예시들을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셀프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펌웨어 업데이트 시 보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불량 접수시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제어부 기반의 표시장치는 물리적인 스위치 또는 세트보드로부터의 신호(Set Board signal) 등이 인가되면 셀프 보상이 수행되는데, 이때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N번째 센싱라인을 센싱하고(S110), 보상 데이터를 계산하고(S120), 보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130). 다음 제N번째 센싱라인이 마지막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40), 마지막이 아니면 다음 센싱라인으로 이동하고(S1450), 센싱라인의 센싱, 보상 데이터 계산, 보상 데이터 저장의 단계를 반복한다.
그러나 현재의 제N번째 센싱라인이 마지막 센싱라인이면 첫번째 센싱라인부터 마지막 번째 센싱라인까지의 센싱을 통한 결과로 표시패널의 등급을 판정하고(S150), 판정결과를 표시한다(S160).
만약 샘플드된 모듈의 보상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이를 불러들이고(S170), 메모리에 저장된 보상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새로운 보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전송한다(S190). 그러나 샘플드된 모듈의 보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새로운 보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바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제어부 기반의 표시장치는 영상의 비표시구간에 해당하는 블랭크기간(blank) 동안 리얼 타임(Real time) 보상이 이루어진다. 이때는 패널의 구동(Driving)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표시기간(active)이다. 이 기간 동안, 통합 제어부의 코어에서는 보상 동작 등의 수행을 위한 스케쥴러 오퍼레이팅(Scheduler (core) Operating)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영상의 표시구간에 해당하는 표시기간(active) 동안 펌웨어 업그레이드(F/W Upgrade)를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패널의 구동(Driving)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이후의 블랭크기간(blank) 동안 리얼 타임(Real time)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때는 패널의 구동(Driving)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표시기간(active)과 펌웨어 업그레이드(F/W Upgrade)가 함께 이루어지는 기간이다. 이 기간 동안, 통합 제어부의 코어에서는 보상 동작 등이 수행되지 않도록 스케쥴러 셧다운(Scheduler Shut down)이 이루어진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제어부 기반의 표시장치에 불량이 존재할 경우 다음과 같은 처리 절차를 따를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불량접수(S210) 시, 기사방문 및 서비스 메뉴얼 기반의 A/S가 이루어진다(S220). 서비스기사의 방문만으로 해결이 불가한 불량으로 판단된 경우 통합 제어부 기반의 표시장치는 공장으로 이송되고 불량 별로(case별 처리) 처리된다(S230).
제1단계로, 공장 내에서의 보상 재실행이 이루어지고(S240), 이를 통해 정상화되면 처리는 완료된다(S290). 제2단계로, 공장 내에서의 인쇄회로기판(PCB)의 교체(S250) 또는 인쇄회로기판(PCB)의 교체(S250)와 더불어 표시모듈 등의 교체(S260)를 통해 정상화되면 처리는 완료된다(S290). 제3단계로, 공장 내에서의 룩업테이블(LUT) 또는 레지스터(REG)의 교체(S270) 또는 룩업테이블(LUT) 또는 레지스터(REG)의 교체(S270)와 더불어 통합 제어부의 내부 리비젼(ASIC Revision)(S280)을 통해 정상화되면 처리는 완료된다(S290). 위의 설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제1단계, 제2단계 및 제3단계의 불량 별 처리 단계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부 기반의 표시장치는 하드웨어의 교체를 제외하고, 보상 프로세스 재실행이나 레지스터(Reister) 변경 등으로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 공장 입고를 하지 않고 셀프 보상 프로세스의 실행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알고리즘 변경이나 추가를 위해 통합 제어부의 내부 리비젼(ASIC Revision)이 필요한 경우에도 공장 입고를 하지 않고 펌웨어 업그레이드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부 기반의 표시장치는 하드웨어의 교체 등과 같은 치명적 결함이 존재하지 않은 한 서비스기사의 방문만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서비스기사의 방문만으로 문제 해결이 불가한 경우, 공장 입고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서 요구되는 수명 유지(또는 증가)와 더불어 균일한 표시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서브 픽셀을 구동하거나 빛을 생성하는 소자의 열화를 보상할 수 있고, 보상에 필요한 보상 데이터나 보상 알고리즘의 변화 발생시 이를 즉각적으로 갱신 및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출하 후 결함이 발견된 경우 하드웨어의 교체가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차원에서 결함을 치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중 발생할 수 있는 장치적 문제 해결을 위해 장치 스스로(셀프), 또는 외부에서의 원격 제어, 또는 사용자의 직접 제어 등 다양한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 자체적으로 셀프 보상이 가능한 "PC-less" 시스템을 통해 불필요한 택트 타임 제거와 더불어 비용을 절감(cost down)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et Board: 세트보드 Display module: 표시모듈
Update Signal: 갱신신호 USL: 갱신신호라인
PNL: 표시패널 SOC: 통합 제어부
SDC: 데이터 구동부

Claims (10)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
    상기 패널 구동부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 및
    상기 통합 제어부의 내부에 저장된 펌웨어, 보상 데이터 및 보상 알고리즘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갱신신호를 전달하는 갱신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자체적으로 상기 표시패널의 특성값을 수득하기 위한 센싱 동작과 상기 표시패널의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동작 및 센싱 동작을 통해 수득한 센싱값이나 상기 보상 동작을 통해 마련된 보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셀프 보상을 수행하기 위한 셀프 보상 알고리즘이 탑재되고,
    상기 갱신신호가 입력되면 출하 전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보상 알고리즘은 신규의 보상 알고리즘으로 변경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특성값을 수득하기 위한 상기 센싱 동작을 통해 수득된 상기 센싱값은 상기 신규의 보상 알고리즘에 적용되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표시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집적회로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을 기반으로 상기 표시패널에 대한 양불을 판정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상기 양불 판정결과를 색차로 나타내기 위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양불 판정결과를 외부 화면상에 나타내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영상이 구동되는 동안 보상을 수행하기 위한 스케쥴러 오퍼레이팅 동작을 수행하고,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한 상기 갱신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보상이 수행되지 않도록 스케쥴러 셧다운 동작을 수행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그래픽, 오디오, 비디오, 모뎀 등 각종 멀티미디어용 부품과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제어부 등 반도체 부품이 하나의 칩 속에 통합된 반도체인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펌웨어 및 상기 보상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상기 메모리와,
    상기 갱신신호라인을 통해 전달된 갱신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의 읽기와 쓰기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영상 데이터신호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세트보드;
    상기 세트보드로부터 공급된 상기 영상 데이터신호와 상기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동작을 하는 표시모듈; 및
    상기 세트보드와 상기 표시모듈 사이에 위치하는 갱신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과 연결된 외부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와, 상기 세트보드로부터 공급된 상기 영상 데이터신호와 상기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모듈 내의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갱신신호라인을 통해 전달된 갱신신호를 기반으로 내부에 저장된 펌웨어, 보상 데이터 및 보상 알고리즘을 변경하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자체적으로 상기 표시패널의 특성값을 수득하기 위한 센싱 동작과 상기 표시패널의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동작 그리고 센싱 동작을 통해 수득한 센싱값이나 상기 보상 동작을 통해 마련된 보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셀프 보상을 수행하기 위한 셀프 보상 알고리즘이 탑재되고,
    상기 갱신신호가 입력되면 출하 전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보상 알고리즘은 신규의 보상 알고리즘으로 변경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특성값을 수득하기 위한 상기 센싱 동작을 통해 수득한 센싱값은 상기 신규의 보상 알고리즘에 적용되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표시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집적회로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을 기반으로 상기 표시패널에 대한 양불을 판정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상기 양불 판정결과를 색차로 나타내기 위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양불 판정결과를 외부 화면상에 나타내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영상이 구동되는 동안 보상을 수행하기 위한 스케쥴러 오퍼레이팅 동작을 수행하고,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한 상기 갱신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보상이 수행되지 않도록 스케쥴러 셧다운 동작을 수행하는,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신호라인은 단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신호라인으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10. 삭제
KR1020170139368A 2017-10-25 2017-10-25 표시장치 KR102504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368A KR102504142B1 (ko) 2017-10-25 2017-10-25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368A KR102504142B1 (ko) 2017-10-25 2017-10-25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145A KR20190046145A (ko) 2019-05-07
KR102504142B1 true KR102504142B1 (ko) 2023-02-27

Family

ID=66656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368A KR102504142B1 (ko) 2017-10-25 2017-10-25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1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5698A (ja) * 2007-01-05 2008-07-17 Funai Electric Co Ltd 情報更新システム、再生装置
JP2009005356A (ja) 2008-06-19 2009-01-08 Fujifilm Corp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3066134A (ja) 2011-09-20 2013-04-11 Toshiba Corp プロジェクタ、及び画像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4739A (ja) * 1995-06-02 1996-12-17 Canon Inc 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KR20080037406A (ko) * 2006-10-26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030179A (ja) * 2009-06-29 2011-02-10 Sony Corp 画像データ送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79433A (ko) * 2011-01-04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KR101960788B1 (ko) * 2012-12-17 2019-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102461389B1 (ko) * 2015-12-24 2022-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5698A (ja) * 2007-01-05 2008-07-17 Funai Electric Co Ltd 情報更新システム、再生装置
JP2009005356A (ja) 2008-06-19 2009-01-08 Fujifilm Corp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3066134A (ja) 2011-09-20 2013-04-11 Toshiba Corp プロジェクタ、及び画像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145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6947A (ko) 보상마진 제어장치,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126546B1 (ko) 표시 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N105390084A (zh) 显示装置、其驱动方法及其时序控制器
CN108986740B (zh) Oled显示装置及其光学补偿方法
KR102449681B1 (ko)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15995197A (zh) 显示装置和显示驱动方法
KR102379188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430386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샘플 홀드 회로
KR102337377B1 (ko) 전력관리 집적회로,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60055324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유기발광표시패널
US11521556B2 (en) Channel controll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504142B1 (ko) 표시장치
KR20180024376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80025384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컨트롤러 및 컨트롤러의 구동 방법
KR102434376B1 (ko)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230091554A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 장치
KR202200895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KR102420492B1 (ko)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레벨 쉬프터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4551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467180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20160089648A (ko) 제어회로장치 및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CN114694592B (zh) 发光显示设备
US20230215351A1 (en) Power supply,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4582281B (zh) 面板显示伽马校正的方法和装置
KR102529046B1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