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046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046B1
KR102529046B1 KR1020160169439A KR20160169439A KR102529046B1 KR 102529046 B1 KR102529046 B1 KR 102529046B1 KR 1020160169439 A KR1020160169439 A KR 1020160169439A KR 20160169439 A KR20160169439 A KR 20160169439A KR 102529046 B1 KR102529046 B1 KR 102529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timing controller
data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358A (ko
Inventor
박종협
김영경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9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0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09G2330/045Protection against panel over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되는 표시패널;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동작시키며, 상기 표시패널의 동작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기능 모듈들을 탑재한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표시패널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옵션 기능 모듈들을 탑재한 옵션 메모리를 포함하는 메인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타이밍 컨트롤러의 크기, 오류 가능성, 개발비용 및 기간,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메모리의 범용화가 가능해지고,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의 크기와 커넥터의 크기가 감소하며, 메모리에 데이터를 쓰는 작업이 간편해지고, 오류 발생시 수리나 교체작업이 간편해진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실시예들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과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되는 표시패널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버와, 다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와, 소스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등을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소스 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 모듈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타이밍 컨트롤러는, 부품의 범용화를 위해, 모든 표시장치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 모듈들뿐만 아니라, 해당 타이밍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표시장치들에 따라 특화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들도 모두 구비하고 있다.
즉, 타이밍 컨트롤러가 실제로 장착되는 표시장치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기능 모듈들까지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타이밍 컨트롤러 내부의 게이트 수가 많아져 타이밍 컨트롤러의 크기가 커지고 원가가 증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부품 수가 많아 타이밍 컨트롤러의 신규 디자인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고, 여러 기능 중 하나의 기능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기능들에 대한 보정(Revision)이 불가피하게 되므로 개발 비용과 기간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부품 수의 증가로 인해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시 발열량이 크다는 단점도 있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는,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별도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며,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을 위한 메모리는, 표시장치의 모델 특성 및 컨셉에 따라, 타이밍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컨트롤 인쇄회로기판 또는 소스 드라이버가 장착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될 수 있다.
이렇게 메모리가 컨트롤 인쇄회로기판 또는 소스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는 장치의 범용화를 위해, 컨트롤 인쇄회로기판과 소스 인쇄회로기판에 모두 메모리의 장착을 위한 단자를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과 소스 인쇄회로기판 모두 필요보다 더 많은 단자를 구비하게 되므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 및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크기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크기도 커지게 된다. 또한, 메모리가 소스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경우,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레이아웃(Layout)이 제약되고 공용화가 불가능하며, 데이터를 쓰는 작업이 어려워진다.
본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타이밍 컨트롤러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됨에 따라 발생하는 크기 및 원가의 증가, 오류 발생 가능성의 증가 등을 해소하는 동시에 타이밍 컨트롤러를 범용화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은,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에 요구되는 메모리를 범용화할 수 있는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되는 표시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동작시키며, 상기 표시패널의 동작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기능 모듈들을 탑재한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표시패널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옵션 기능 모듈들을 탑재한 옵션 메모리를 포함하는 메인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되는 표시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동작시키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제공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가 실장되는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전압을 제공받아 상기 데이터 라인을 동작시키는 소스 드라이버가 실장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시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를 갖는 보조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타이밍 컨트롤러에는 필수적인 기능만이 구비되도록 타이밍 컨트롤러의 옵션 기능은 SoC장치로 이전하여 타이밍 컨트롤러를 범용화함으로써, 타이밍 컨트롤러의 크기, 오류 가능성, 개발비용 및 기간,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에 선택적으로 탑재되던 메모리를 소스 인쇄회로기판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이전함으로써, 메모리의 범용화가 가능해지고,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의 크기와 커넥터의 크기가 감소하며, 메모리에 데이터를 쓰는 작업이 간편해지고, 오류 발생시 수리나 교체작업이 간편해진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SoC 장치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패널 및 구동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옵션 메모리와 도 3의 타이밍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보조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외부 입력에 따라 표시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 장치인 SoC 장치(100)와, SoC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패널(300)과, 표시패널(300)의 구동을 위한 구동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SoC 장치의 구성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SoC(System-on Chip)장치는 시스템 메모리(System memory; 110), CPU(central processing unit; 120), 인터럽트 컨트롤러(Interrupt Controller; 130), 송수신부(Rx/Tx; 140),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Controller; 150), 이미지 생성부(Image Generator; 16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Display Controller, 170), 옵션 메모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0)는 구동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명령, 파라미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120)는 시스템 메모리(110)에 저장된 명령, 파라미터등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CPU(120)는 SoC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120)는 각 구성요소인 시스템 메모리(110), 인터럽트 컨트롤러(130), 송수신부(140), 메모리 컨트롤러(150), 이미지 생성부(16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CPU(120)는 이미지 생성부(160)에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프로세싱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인터럽트 컨트롤러(130)는 SoC 장치(100)의 동작 중 발생하는 인터럽트들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인터럽트 컨트롤러(130)는 각 구성요소들로부터 인터럽트들을 수신하고, 각 인터럽트의 실행순서를 조정하여 해당 인터럽트에 상응하는 동작을 하도록 CPU(120)에 전달할 수 있다.
송수신부(140)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 변환한 명령, 신호, 인터럽트 및 데이터를 구동장치(2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40)는 외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구동장치(200)의 타이밍 컨트롤러(340)를 통해 소스 드라이버(3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150)는 SoC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외부 메모리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메모리 컨트롤러(150)는 CPU(120), 이미지 생성부(160) 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70)의 요청에 따라 외부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읽고 쓰고 삭제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부(160)는CPU(120)의 제어에 따라 그래픽 처리와 관련된 프로그램 명령들을 읽고 수행하며,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생성부(160)는 그래픽 엔진, GPU(Graphic Processing Unit), 그래픽 액셀레이터(Accelerator), 2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70)는 구동장치(200)에 대한 SoC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SoC 장치(100)에 대한 구동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70)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송수신부(140)를 통해 출력되도록 메모리 컨트롤러(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70)는 이미지 생성부(160)가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가 송수신부(140)를 통해 출력되도록 이미지 생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90)는 SoC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연결하여 각 구성요소 간 데이터 송수신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90)는 구성요소들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소규모의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옵션 메모리(180)는, 구동장치(200)에서 동작하는 기능 중, 표시장치의 스펙에 따라 선택적으로 탑재되는 옵션 기능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정보가 모듈화되어 저장되어 있다. 옵션 메모리(180)에 저장된 정보는 기존에 구동장치(200)의 타이밍 컨트롤러(340)에 탑재되었던 기능으로서, 옵션 메모리(180)에 저장된 기능들은 타이밍 컨트롤러(340)에 의해서만 동작되도록 제어되며, 옵션 메모리(180)에 저장된 옵션 기능들을 동작시키기 위해, 옵션 메모리(180)와 타이밍 컨트롤러(340)는 별도의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통신방법으로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I2C 통신방법과 SPI 통신방법은 모두 동기식 직렬통신의 한 방식으로서, 칩(Chip) 간의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에 주로 사용된다.
옵션 메모리(180)에 저장된 옵션 기능 모듈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암 조절 모듈(181), 얼룩 보상 모듈(183), 디지털 감마 모듈(18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명암 조절 모듈(181)은, HDR(High Dynamic Range) 기능, LD(Local Dimming) 기능, M+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일반적으로 고가의 모델에 적용된다. 여기서, HDR 기능은 높은 콘트라스트 비율과 고도로 정확한 색감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능이고, LD 기능은 백라이트가 구비된 표시장치 중 일부 모델에서 구역에 따라 디밍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이고, M+ 기능은 화이트 픽셀이 추가되는 모델에서만 사용하는 기능이다.
얼룩 보상 모듈(183)은 표시패널(300)이 일정 크기 이상인 대형 모델에서 색감차를 보상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디지털 감마 모듈(185)은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별로 색온도를 튜닝하는 디지털 감마 알고리즘(Digital Gamma Algorithm; 이하 DGA)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렇게 옵션 메모리(180)에 저장된 기능들은, 표시패널(300) 자체에서 특정 기능이나 구조를 구비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기능들로서, 표시패널(300)에 따라 그 필요 유무가 달라진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스펙에 따라 옵션 메모리(180)에 저장되는 기능들의 종류나 개수가 달라지게 된다.
옵션 메모리(180)는 SoC 장치(100)의 다른 요소들에서는 접근 및 사용이 불가하도록 별도로 구성되며, 구동장치(200)의 타이밍 컨트롤러(340)만이 접근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이에 따라, SoC 장치(100)에 장착되어 있지만, SoC 장치(100)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타이밍 컨트롤러(340)에 의해 기능의 실행이 가능하다.
이러한 SoC 장치(100)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IC)), 프로세서(Processor), 애플 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멀티 미디어 프로세서(Multimedia Processor), 또는 집적된 멀티 미디어 프로세서(Integrated Multimedia Processor)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표시패널 및 구동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30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ED), 또는 AMOLED(active-matrix OLED) 중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표시패널(300)에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DL)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이 배치되어, 복수의 서브픽셀(SP: Sub Pixel)이 정의되며, 각 서브픽셀(SP) 영역마다 트랜지스터 등의 회로 소자가 배치된다. 이러한 각 서브픽셀(SP)은 하나의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데이터 전압을 공급받고, 하나 이상의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캔 신호를 공급받는다.
이러한 표시패널(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장치(200)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Source Driver, 320)와, 복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Gate Driver, 330)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320) 및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330)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340) 등을 포함한다. 또한, 구동장치(200)는,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PCB: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360),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350), 보조 인쇄회로기판(400)을 더 포함한다.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330)는 표시패널(300)에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을 구동하는 드라이버로서 도 1과 같이, 표시패널(300)의 한 측에 연결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패널(300)의 양측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320) 각각은 표시패널(300)에 배치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하는 드라이버로서, 일 예로,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320) 각각은 일단이 표시패널(300)과 연결되고, 타단은 소스 인쇄회로기판(350)에 연결된다.
타이밍 컨트롤러(340)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320)로 데이터를 출력하고,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320) 및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3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하여, 데이터 제어 신호(DCS: Data Control Signal), 게이트 제어 신호(GCS: Gate Control Signal) 등의 각종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컨트롤러(340)는 복수의 메인 기능 모듈들을 구비하고 있다. 메인 기능 모듈로는, 수신 모듈(341), 데이터 정렬 모듈(343), 데이터 직렬 모듈(345), EPI 송신 모듈(347), PLL(34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341)은 Vx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SoC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영상 데이터는 각 단위 화소의 휘도(luminance) 정보를 담고 있으며 휘도는 정해진 수, 예를 들면 1024(=210), 256(=28) 또는 64(=26) 개의 계조(gray)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 및 입력 제어 신호는 저 전압 차등 신호 전송방식(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에 따르는 신호일 수 있다.
데이터 정렬 모듈(343)은 수신 모듈(341)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구동장치(200)의 소스 드라이버(320)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로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영상 데이터를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따라 분리하여 데이터 직렬 모듈(345)로 제공한다.
데이터 직렬 모듈(345)은, 데이터 정렬 모듈(343)로부터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따라 분리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데이터를 직렬화한다. 그리고 데이터 직렬 모듈(345)는 PLL(349)로부터 클록을 수신하여, 직렬화된 영상 데이터에 클록을 삽입하여 전송 데이터를 생성한다.
EPI 송신 모듈(347)은, 데이터 직렬 모듈(345)에서 직렬된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EPI (Embedded Clock Point-Point Interface)를 이용하여 송신하며, 이때, 영상 데이터가 구동장치(200)의 타이밍 컨트롤러(340)를 통해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러한 메인 기능 모듈들은 모든 표시장치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기능들로 구성된다. 이렇게 타이밍 컨트롤러(340)에 소수의 메인 기능 모듈들만을 탑재하여 구성하고, SoC 장치(100)의 옵션 메모리(180)에 옵션 기능 모듈들을 할당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타이밍 컨트롤러(340)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능 모듈들의 개수가 감소함에 따라 타이밍 컨트롤러(340)를 보정하거나 새로이 제작할 때 발생하는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340)는,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PCB: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360)에 배치된다. 여기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360)은 컨트롤 보드(Control Board)라고도 한다. 컨트롤 인쇄회로기판(360)에는 전원 관리 집적회로(PMIC: Power Management IC) 등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소스 인쇄회로기판(350)은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에 대한 회로적인 연결을 위해 구비되며,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가 실장되거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가 실장된 필름이 연결될 수 있다. 소스 인쇄회로기판(350)은 소스 보드(Source Board)라고도 한다. 소스 인쇄회로기판(350)은 표시장치(1)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보조 인쇄회로기판(400)은, 소스 인쇄회로기판(35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인쇄회로기판(400)에는 타이밍 컨트롤러(340)의 동작시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410)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보조 인쇄회로기판(400)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360)은 별도의 케이블(450)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타이밍 컨트롤러(340)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서 타이밍 컨트롤러(340)는 보조 인쇄회로기판(400)에 접속하여 정보를 인출할 수 있다.
이렇게 보조 인쇄회로기판(400)을 소스 인쇄회로기판(350) 및 컨트롤 인쇄회로기판(360)에 연결시키기 위해, 보조 인쇄회로기판(400)의 일단에는 소스 인쇄회로기판(350)과의 결합을 위한 제1단자(415)가 형성되고, 보조 인쇄회로기판(400)의 타단에는 컨트롤 인쇄회로기판(360)과의 결합을 위한 제2단자(417)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 인쇄회로기판(400)의 메모리(410)로부터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해 보조 인쇄회로기판(400)에는 SCL(Serial Clock), SDA(Serial Data), VCC(전원)의 세 개의 신호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선과의 연결을 위해, 제1단자(415)는 4개의 핀(Pin)으로 형성되고, 제2단자(417)는 6개의 핀(Pin)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보조 인쇄회로기판(400)에 실장된 메모리(410)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flash) 메모리, MRAM(Magnetic RAM), PRAM(Phase change RAM), 저항 메모리(Resistive Memory)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착탈이 가능한 보조 인쇄회로기판(400)을 별도로 구성하고, 소스 인쇄회로기판(350)에 장착함으로써, 기존에 소스 인쇄회로기판(350)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360) 양측에 메모리(410)의 장착을 위해 마련하였던 여분의 핀이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360)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메모리(410)를 별도의 보조 인쇄회로기판(400)에 구성함으로써, 메모리(410)의 정보를 쓰기가 용이해져 범용성 및 실용성을 추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타이밍 컨트롤러(340)와 컨트롤 인쇄회로기판(360)에는 필수적인 기능과 요소만이 구비되도록 타이밍 컨트롤러(340)의 옵션 기능은 SoC 장치(100)로 이전하고, 소스 인쇄회로기판(350)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360)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탑재되던 메모리(410)를 소스 인쇄회로기판(35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이전함으로써, 타이밍 컨트롤러(340)와 메모리(410)의 범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340)와 컨트롤 인쇄회로기판(360)의 구조가 간단해져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오류 발생시에도 보정이 간단해지므로 개발 비용과 기간이 감소하게 되고, 타이밍 컨트롤러(340)의 동작시 발열량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340)의 옵션 기능을 SoC 장치(100)로 이전하는 경우, 표시장치(10)의 스펙에 따라 꼭 필요한 옵션 기능만을 탑재할 수 있으므로, SoC 장치(100)의 크기가 종래보다 커지기는 하나, 표시장치(1)를 전체적으로 고려해보면, 탑재되는 옵션 기능이 줄어들기 때문에 표시장치(1)의 크기나 오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소스 인쇄회로기판(350)에 착탈식 보조 인쇄회로기판(400)을 구비하는 경우, 소스 인쇄회로기판(350)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360)의 크기와, 커넥터의 크기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메모리(410)에 데이터를 쓰는 작업이 간편해지고, 오류 발생시 수리나 교체작업이 간편해진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SoC 장치 180 : 옵션 메모리
181 : 명암 조절 모듈 183 : 얼룩 보상 모듈
185 : 디지털 감마 모듈 200 : 구동장치
300 : 표시패널 320 : 소스 드라이버
330 : 게이트 드라이버 340 : 타이밍 컨트롤러
350 : 소스 인쇄회로기판 360 : 컨트롤 인쇄회로기판
400 : 보조 인쇄회로기판 410 : 메모리
415 : 제1단자 417 : 제2단자

Claims (6)

  1.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되는 표시패널;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동작시키며, 상기 표시패널의 동작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기능 모듈들을 탑재한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및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표시패널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옵션 기능 모듈들을 탑재한 옵션 메모리를 포함하는 메인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가 실장되는 컨트롤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데이터 전압을 제공받아 상기 데이터 라인을 동작시키는 소스 드라이버가 실장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시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제1단자를 통해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에 착탈식으로 결합되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보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옵션 메모리에 접근하여 상기 옵션 기능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표시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과의 결합을 위한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컨트롤 인쇄회로기판과의 결합을 위한 제2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자와 상기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표시장치.
  5.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되는 표시패널;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동작시키는 타이밍 컨트롤러;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가 실장되는 컨트롤 인쇄회로기판;
    상기 데이터 전압을 제공받아 상기 데이터 라인을 동작시키는 소스 드라이버가 실장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의 동작시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제1단자를 통해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에 착탈식으로 결합되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보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과의 결합을 위한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컨트롤 인쇄회로기판과의 결합을 위한 제2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자와 상기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표시장치.
KR1020160169439A 2016-12-13 2016-12-13 표시장치 KR102529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439A KR102529046B1 (ko) 2016-12-13 2016-12-13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439A KR102529046B1 (ko) 2016-12-13 2016-12-13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358A KR20180068358A (ko) 2018-06-22
KR102529046B1 true KR102529046B1 (ko) 2023-05-08

Family

ID=6276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439A KR102529046B1 (ko) 2016-12-13 2016-12-13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0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7071A (ko) * 2008-10-28 201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696475B1 (ko) * 2010-07-19 2017-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160128538A (ko) * 2015-04-28 2016-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358A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5899B1 (ko)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US9704429B2 (en) Display device
US9196182B2 (en) Display device
US1050442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CN111210775B (zh) 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US11164514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initialization voltage source extended along data line
US20170061839A1 (en) Display device
US960756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279351B1 (ko)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N109285501B (zh) 显示装置
US20170069244A1 (en) Display panel
KR101696475B1 (ko)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140033834A (ko) 전원 라인 배치 방법, 이를 채용하는 표시 패널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1199716A (zh) 显示设备及驱动显示设备的方法
CN103854606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KR101489637B1 (ko) 타이밍 컨트롤러 및 그 구동 방법과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KR10195773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40118321A1 (en) Display device
US10424238B2 (en) Display device
KR102529046B1 (ko) 표시장치
US1106264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200006216A1 (en) Integrated circuit, circuit board with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717721B1 (ko) 영상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2531409B1 (ko) 표시 장치
KR20130046680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