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570A - 반도체 메모리 장치, 테스트 회로 및 테스트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테스트 회로 및 테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8570A
KR20120078570A KR1020110088144A KR20110088144A KR20120078570A KR 20120078570 A KR20120078570 A KR 20120078570A KR 1020110088144 A KR1020110088144 A KR 1020110088144A KR 20110088144 A KR20110088144 A KR 20110088144A KR 20120078570 A KR20120078570 A KR 20120078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ail
data
tes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창호
김연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78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201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comprising I/O circui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Landscapes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테스트 모드 시에, 데이터 패드 LDQ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동시에 뱅크 내의 다수의 단위셀과 연결된 GIO 라인 GIO_L, GIO_U으로 전송하고, 두 GIO 라인의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페일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다수의 단위셀들을 테스트 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테스트 회로 및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제 1 메모리 셀 및 다수의 제 2 메모리 셀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뱅크; 상기 제 1 메모리 셀과 다수의 제 1 데이터 패드 사이에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입출력부; 상기 제 2 메모리 셀과 다수의 제 2 데이터 패드 사이에서 제 2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입출력부; 테스트 모드 시, 상기 제 1 데이터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셀에 전달하는 경로 선택부; 및 상기 테스트 모드 시,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셀의 제 1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1 데이터 패드 중 적어도 하나가 페일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테스트 모드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테스트 모드 제어부는, 페일이 감지된 경우, 리드 동작이 완료된 후에 상기 다수의 제 1 데이터 패드 중 하나를 스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 테스트 회로 및 테스트 방법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EST CIRCUIT, AND TEST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테스트 회로 및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메모리 셀을 포함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에 집적된 메모리 셀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의 메모리 셀을 테스트 하는 데 소요된다. 따라서, 병렬 테스트 방식(parallel test scheme)이 대두되어 발전되어 왔고, 이러한 병렬 테스트 방식은 웨이퍼 레벨 또는 패키지 레벨에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들을 테스트 하는데 적용되었다.
상기 병렬 테스트 방식에 따르면, 테스트 데이터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하나의 뱅크 내의 둘 이상의 메모리 셀에 입력되고, 메모리 셀은 상기 입력된 테스트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한다. 출력된 테스트 데이터들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메모리 셀에 결함이 있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게 된다. 이 때,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칩 상에 상기 비교 결과, 즉, 테스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테스트 핀이 필요하였다. 칩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 추가적인 테스트 핀 없이도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테스트 할 수 있으며, 또한 테스트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회로에 대한 요구 또한 대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단위셀의 테스트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테스트 회로를 제안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다수의 제 1 메모리 셀 및 다수의 제 2 메모리 셀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뱅크; 상기 제 1 메모리 셀과 다수의 제 1 데이터 패드 사이에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입출력부; 상기 제 2 메모리 셀과 다수의 제 2 데이터 패드 사이에서 제 2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입출력부; 테스트 모드 시, 상기 제 1 데이터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셀에 전달하는 경로 선택부; 및 상기 테스트 모드 시,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셀의 제 1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1 데이터 패드 중 적어도 하나가 페일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테스트 모드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테스트 모드 제어부는, 페일이 감지된 경우, 리드 동작이 완료된 후에 상기 다수의 제 1 데이터 패드 중 하나를 스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방법은 데이터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뱅크의 제 1 메모리 셀 및 제 2 메모리 셀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모리 셀의 데이터와 상기 제 2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페일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테스트 모드 시에 활성화되는 테스트 모드 신호 및 리드 명령어 입력 시에 토글링하는 스트로브 신호에 따라 상기 페일 감지 신호를 래치하여 페일 래치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페일 래치 신호 및 상기 테스트 모드 신호에 따라 페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일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데이터 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테스트 모드 시에, 데이터 패드 LDQ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동시에 뱅크 내의 다수의 단위셀과 연결된 GIO 라인 GIO_L, GIO_U으로 전송하고, 두 GIO 라인의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페일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다수의 단위셀들을 테스트 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키지 테스트 모드 등의 테스트 모드 시에 페일 상태를 알릴 수 있는 다양한 테스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테스트 모드 제어부, 출력 드라이버 및 파이프 래치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페일 감지부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4A 는 도 2 의 래치부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4B 는 도 2 의 래치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5 는 도 2 의 테스트 신호 생성부의 블록도이다
도 6 은 도 2 의 페일 신호 출력부 및 출력 드라이버를 도시한 회로도 이다.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다수의 뱅크(110 ~ 140), 글로벌 입출력 (GIO) 라인 드라이버(112 ~ 144), 라이트 드라이버(150, 161), 파이프 래치부(151, 169), 멀티플렉서(162), 입출력(I/O) 드라이버(172, 174) 및 테스트 모드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I/O 드라이버(172, 174)는 데이터 패드 LDQ, UDQ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구동한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I/O 드라이버(172, 174)는 입력 버퍼(154, 164) 및 출력 버퍼(158, 168)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버퍼(154, 164)는 데이터 패드 LDQ, UDQ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각각 입력받는다. 상세하게, 상기 입력 버퍼(154)는 입력된 데이터를 라이트 드라이버(150) 및 멀티플렉서(162)로 출력하고, 상기 입력 버퍼(164)는 입력된 데이터를 멀티플렉서(162)로 출력한다. 또한, 출력 버퍼(158, 168)는 파이프 래치부(151, 169)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각 데이터 패드 LDQ, UDQ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출력 드라이버(158)는 페일-스턱 신호 FAIL_STUCKD에 응답하여 데이터 패드 LDQ가 하이-스턱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드라이버(150, 161)은 입력되는 데이터를 대응하는 뱅크(110~140)의 메모리 셀에 전달한다. 상기 파이프 래치부(151, 169)는 GIO 라인 GIO_L, GIO_U의 데이터를 출력 드라이버(158, 168)을 통해서 해당 데이터 패드 LDQ, UDQ로 출력한다. 다수의 뱅크(110 ~ 140) 내의 메모리 셀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해당하는 GIO 라인 GIO_L, GIO_U으로 실어 보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멀티플렉서(162)는 테스트 모드 신호 TDRM에 응답하여 라이트 드라이버(161)과 입력 버퍼(154) 사이의 경로를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테스트 모드 신호 TDRM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동안 활성화되는 신호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라이트 드라이버(150)는 데이터 패드 LDQ를 통해 입력되는 테스트 데이터를 GIO 라인 GIO_L과 연결된 메모리 셀에 전달하고, 상기 라이트 드라이버(161) 또한 데이터 패드 LDQ를 통해 입력되는 동일한 테스트 데이터를 GIO 라인 GIO_U과 연결된 메모리 셀에 전달한다. 따라서, 두 라이트 드라이버(150, 161) 모두 데이터 패드 LDQ를 통해 입력되는 테스트 데이터를 대응하는 뱅크(110 ~ 140) 내의 메모리 셀에 전달하게 된다.
반면에, 노멀 모드에서는, 상기 멀티플렉서(162)는 비활성화되는 테스트 모드 신호 TDRM에 응답하여 라이트 드라이버(161)과 입력 버퍼(164) 사이의 경로를 선택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라이트 드라이버(150)는 데이터 패드 LDQ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GIO 라인 GIO_L과 연결된 메모리 셀에 전달하는 반면, 상기 라이트 드라이버(161)는 데이터 패드 UDQ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GIO 라인 GIO_U과 연결된 메모리 셀에 전달한다. 따라서, 각 라이트 드라이버(150, 161)는 해당하는 데이터 패드 LDQ, UDQ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대응하는 뱅크(110 ~ 140) 내의 메모리 셀에 각각 전달하게 된다.
상기 테스트 모드 제어부(200)는 GIO 라인 GIO_L, GIO_U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테스트 모드 제어부(200)는 상기 테스트 모드 신호 TDRM에 응답하여 GIO 라인 GIO_L의 데이터와 GIO 라인 GIO_U의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페일-스턱 신호 FAIL_STUCKD를 출력한다.
도 2 는 도 1 의 테스트 모드 제어부(2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8 개의 GIO 라인 GIO_U 및 8 개의 GIO 라인 GIO_L가 구비되고, 이에 따라 8개의 데이터 패드 LDQ 및 8 개의 데이터 패드 UDQ가 구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테스트 모드 제어부(200)는 페일 감지부(210), 래치부(220), 테스트 신호 생성부(230) 및 페일 신호 출력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페일 감지부(210)는 GIO 라인 GIO_U의 데이터 UDQ X GIO<0:7>와 GIO 라인 GIO_L의 데이터 LDQ X GIO<0:7>를 비교하여 페일 감지 신호 GIO128SUM를 출력한다. 상기 페일 감지 신호 GIO128SUM는 상기 GIO 라인 GIO_U의 데이터 UDQ X GIO<0:7>가 대응하는 GIO 라인 GIO_L의 데이터 LDQ X GIO<0:7>와 하나라도 다른 경우에 비활성화된다.
상기 래치부(220)는 테스트 모드 신호 TDRM 및 스트로브 신호 GIOSTRB에 따라 상기 페일 감지 신호 GIO128SUM를 래치하여 페일 래치 신호 GIOA를 출력한다. 상기 스트로브 신호 GIOSTRB는 파이프 래치부(151, 169)에서 사용되는 파이프 입력 스트로브 신호 PINSTB에 근거해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로브 신호 GIOSTRB는 리드 명령에 동기되어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패키지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래치부(220)는 상기 페일 감지 신호 GIO128SUM가 비활성화된 후에는 상기 스트로브 신호 GIOSTRB에 상관없이 특정 로직 레벨로 고정되도록 상기 페일 래치 신호 GIOA를 출력한다.
상기 테스트 신호 생성부(230)는 상기 페일 래치 신호 GIOA 및 상기 테스트 모드 신호 TDRM를 입력받아 테스트 신호 FAIL_STUCK를 생성한다.
상기 페일 신호 출력부(250)는 상기 테스트 신호 FAIL_STUCK를 입력받아 테스트 출력 신호 TDRM_OUT에 응답하여 페일-스턱 신호 FAIL_STUCKD를 출력한다. 상기 테스트 출력 신호 TDRM_OUT는 패키지 테스트 모드 시 GIO 라인 GIO_L에 실린 테스트 데이터가 파이프 래치부(151)에 의해 제 1 내지 제 8 데이터 패드 LDQ0 ~ LDQ7를 통해 출력된 후에 활성화되는 신호이다. 상기 페일 신호 출력부(250)는 상기 페일-스턱 신호 FAIL_STUCKD를 출력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패드 LDQ0를 하이-/로우 고정(스턱) 상태로 구동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노멀 모드에서, 상기 파이프 래치부(151)는 GIO 라인 GIO_L로부터 데이터 LDQ X GIO<0:7>를 입력받아 출력 드라이버(158)로 데이터 DATA<0:7>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출력 드라이버(158)는 상기 데이터 DATA<0:7>를 제 1 내지 제 8 데이터 패드 LDQ0 ~ LDQ7 중 해당하는 데이터 패드로 출력함으로써 리드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반면, 테스트 모드에서는, 테스트 모드 제어부(200)는 GIO 라인 GIO_U의 데이터 UDQ X GIO<0:7>와 GIO 라인 GIO_L의 데이터 LDQ X GIO<0:7>를 비교하여 상기 페일-스턱 신호 FAIL_STUCKD를 출력한다. 따라서, 페일이 발생하면, 출력 드라이버(158)는 상기 페일-스턱 신호 FAIL_STUCKD에 응답하여 제 1 데이터 패드 LDQ0를 하이-/로우 고정(스턱) 상태로 구동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페일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 에서, 상기 페일-스턱 신호 FAIL_STUCKD는 제 1 데이터 패드 LDQ0를 구동하는 출력 드라이버(158)로 입력되도록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페일-스턱 신호 FAIL_STUCKD가 제 1 내지 제 8 데이터 패드 LDQ0 ~ LDQ7을 구동하는 모든 출력 드라이버(158)로 입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모든 데이터 패드 LDQ0 ~ LDQ7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페일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페일 신호 출력부(250)와 제 2 내지 제 8 데이터 패드 LDQ1 ~ LDQ7을 구동하는 각 출력 드라이버(158) 사이에 스위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부는 선택된 출력 드라이버(158)에 상기 페일-스턱 신호 FAIL_STUCKD를 전달하여 원하는 데이터 패드 LDQ0 ~ LDQ7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페일을 나타내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외부 명령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메탈 옵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은 도 2 의 페일 감지부(210)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페일 감지부(210)는 비교부(212) 및 합산부(214)를 포함한다. 상기 비교부(212)는 데이터 UDQ X GIO<0:7>와 각 데이터 LDQ X GIO<0:7>를 입력받는 다수의 XNOR 게이트(212_1 ~ 212_6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합산부(214)는 상기 다수의 XNOR 게이트(212_1 ~ 212_64)의 출력을 입력받는 AND 게이트(2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XNOR 게이트(212_1 ~ 212_64)는 대응하는 데이터 UDQ X GIO<0:7>와 데이터 LDQ X GIO<0:7>가 서로 일치할 때 자신의 출력 신호를 활성화하여 출력한다. 상기 AND 게이트(216)는 상기 XNOR 게이트(212_1 ~ 212_64)의 모든 출력이 활성화되었을 때 페일 감지 신호 GIO128SUM를 활성화하고, 상기 XNOR 게이트(212_1 ~ 212_64)의 출력 중 하나라도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상기 페일 감지 신호 GIO128SUM를 비활성화한다.
따라서, 상기 페일 감지부(210)는 데이터 UDQ X GIO<0:7>와 데이터 LDQ X GIO<0:7>가 하나라도 서로 다른 경우에 상기 페일 감지 신호 GIO128SUM를 비활성화하여 출력한다.
도 4A 는 도 2 의 래치부(220)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4A 를 참조하면, 상기 래치부(220)는 지연제어부(221), 조합부(225), D 플립플롭(227) 및 인버터(228)를 포함한다.
상기 지연제어부(221)는 테스트 모드 신호 TDRM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어, 스트로브 신호 GIOSTRB를 지연시켜 지연 스트로브 신호 GIOSTRBD를 출력한다. 참고로, 상기 지연제어부(221)는 상기 페일 감지부(210)에서 소요되는 연산 시간에 대응하는 지연량만큼 상기 스트로브 신호 GIOSTRB를 지연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 GIOSTRBD는 상기 페일 감지 신호 GIO128SUM에 동기된다. 여기서, 상기 스트로브 신호 GIOSTRB는 리드 명령에 동기되어 생성되는 파이프 입력 제어 스트로브 신호 PINSTB에 근거하여 생성된 신호이다.
상기 조합부(225)는 상기 인버터(228)에서 출력되는 페일 래치 신호 GIOA와 상기 지연제어부(221)의 출력 신호, 즉, 지연 스트로브 신호 GIOSTRBD를 조합하여 D 플립플롭(227)의 클럭 신호로 사용되는 클럭 신호 GIOSTRBD_D를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조합부(225)는 상기 페일 래치 신호 GIOA와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 GIOSTRBD를 오어(OR) 연산하는 NOR 게이트(225_1) 및 인버터(225_2)를 포함한다.
상기 D 플립플롭(227)은 상기 클럭 신호 GIOSTRBD_D에 동기되어 상기 페일 감지 신호 GIO128SUM를 래치한다. 여기서, 상기 D 플립플롭(227)은 테스트 모드 신호 TDRM에 응답하여 리셋된다. 마지막으로, 인버터(228)가 상기 D 플립플롭(227)의 출력을 반전하여 상기 페일 래치 신호 GIOA를 출력한다.
도 4B 는 도 2 의 래치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래치부(22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테스트 모드에서, 테스트 데이터가 데이터 패드 LDQ로 입력되어 대응하는 뱅크 내의 메모리 셀로 전달된다.
리드 명령어가 입력된 후, 상기 뱅크 내의 각 메모리 셀에 저장된 테스트 데이터가 대응하는 GIO 라인들 GIO_L, GIO_U에 데이터 UDQ X GIO<0:7> 및 데이터 LDQ X GIO<0:7>로 실린다. 래치부(220)의 지연제어부(221)는 테스트 모드 신호 TDRM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되어, 스트로브 신호 GIOSTRB를 지연시켜 지연 스트로브 신호 GIOSTRBD를 출력한다. 조합부(225)는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 GIOSTRBD에 따라 클럭 신호 GIOSTRBD_D를 D 플립플롭(227)의 클럭 신호로 출력하고, 이에 따라 상기 D 플립플롭(227)은 페일 감지 신호 GIO128SUM를 래치한다. 마지막으로, 인버터(228)가 상기 D 플립플롭(227)의 출력을 반전하여 페일 래치 신호 GIOA를 출력한다.
패키지 테스트 모드시 상기 페일 감지 신호 GIO128SUM가 비활성화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조합부(225)는 상기 D 플립플롭(227) 및 인버터(228)로부터 피드백되는 페일 래치 신호 GIOA에 따라 상기 클럭 신호 GIOSTRBD_D를 로직 ‘하이’ 레벨로 고정시켜 D 플립플롭(227)의 클럭 신호로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D 플립플롭(227)은 스턱-상태에 놓이게 되고, 상기 페일 래치 신호 GIOA는 로직 ‘하이’ 레벨로 고정된다. 따라서, 패키지 테스트 모드에서 일단 에러가 발생한 경우, 상기 래치부(220)는 페일 래치 신호 GIOA를 로직 ‘하이’ 레벨로 고정시켜 출력한다.
도 5 는 도 2 의 테스트 신호 생성부(230)의 블록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테스트 신호 생성부(230)는 NAND 게이트(232) 및 인버터(234)를 포함하여 테스트 모드 신호 TDRM와 페일 래치 신호 GIOA를 앤드(AND) 연산하여, 테스트 신호 FAIL_STUCK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테스트 신호 생성부(230)는 테스트 모드 신호 TDRM가 활성화되는 패키지 테스트 모드에서 페일 래치 신호 GIOA를 테스트 신호 FAIL_STUCK로 출력한다.
도 6 은 도 2 의 페일 신호 출력부(250) 및 출력 드라이버(158)를 도시한 회로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페일 신호 출력부(250)는 테스트 출력 신호 TDRM_OUT에 응답하여 테스트 신호 FAIL_STUCK를 입력받아 페일-스턱 신호 FAIL_STUCKD를 노드 A로 출력하는 페일-스턱 신호 출력부(252)를 포함한다. 상기 페일-스턱 신호 출력부(252)는 테스트 출력 신호 TDRM_OUT에 응답하여 테스트 신호 FAIL_STUCK를 선택적으로 페일-스턱 신호 FAIL_STUCKD로 출력하는 트랜스퍼 게이트(252_1)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출력 신호 TDRM_OUT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252_1)는 상기 테스트 신호 FAIL_STUCK를 상기 페일-스턱 신호 FAIL_STUCKD로 출력한다. 반면, 상기 테스트 출력 신호 TDRM_OUT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252_1)는 비활성화되어 상기 테스트 신호 FAIL_STUCK가 상기 페일-스턱 신호 FAIL_STUCKD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테스트 출력 신호 TDRM_OUT는 패키지 테스트 모드시에 GIO 라인 GIO_L에 실린 테스트 데이터가 도 1 의 파이프 래치부(151)에서 데이터 패드 LDQ를 통해 모두 출력된 후에 활성화되는 신호이다
한편, 상기 출력 드라이버(158)는 트랜스퍼 게이터(158_2), 인버터(158_3, 158_5), 풀업 드라이버(158_4) 및 풀다운 드라이버(158_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트랜스퍼 게이터(158_2)는 출력 클럭 신호 CLK_DO에 응답하여 입력 데이터 DATA를 상기 노드 A로 전달한다. 상기 인버터(158_3)는 상기 노드 A의 신호를 반전하여 상기 풀업 드라이버(158_4)를 구동하고, 상기 인버터(158_5)는 상기 노드 A의 신호를 반전하여 풀다운 드라이버(158_7)를 구동한다. 상기 풀업 드라이버(158_4) 및 상기 풀다운 드라이버(158_7)는 각각 상기 인버터(158_3)와 상기 인버터(158_5)의 출력에 응답하여 턴온/오프된다.
노멀 모드에서는, 상기 테스트 신호 FAIL_STUCK가 비활성화된다. 따라서, 리드 동작 동안, 출력 드라이버(158)는 출력 클럭 신호 CLK_DO에 응답하여 입력 데이터 DATA를 풀업 또는 풀다운 구동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리드 동작 후에는 상기 풀업 드라이버(158_4) 및 풀다운 드라이버(158_7) 모두 턴오프되도록 구동된다. 결과적으로, 매 리드 동작이 완료된 후에 데이터 패드 LDQ는 하이-임피던스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패키지 테스트 모드에서는, GIO 라인 GIO_L의 데이터가 출력된 후에 테스트 출력 신호 TDRM_OUT가 활성화되므로, 페일-스턱 신호 출력부(252)는 테스트 신호 FAIL_STUCK를 페일-스턱 신호 FAIL_STUCKD로 출력한다. 페일이 발생하여 페일-스턱 신호 FAIL_STUCKD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풀업 드라이버(158_4)는 턴온되고, 상기 풀다운 드라이버(158_7)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데이터 패드 LDQ는 공급전압 레벨, 즉, 로직 ‘하이’레벨이 되어 하이-스턱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B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 내지 도 7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7A 는 노멀 모드에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7B 는 패키지 테스트 모드에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7A 를 참조하면, 노멀 모드에서, 리드 명령어가 입력되면, 뱅크 내의 각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가 대응하는 GIO 라인 GIO_L, GIO_U에 실린다. 파이프 래치부(151, 169)는 파이프 래치 입력 제어 신호 PIN<0:4>에 따라 GIO 라인 GIO_L, GIO_U의 데이터를 입력/래치하고, 파이프 래치 출력 제어 신호 POUT<0:4>에 따라 래치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 리드 동작이 끝난 후 풀업 드라이버(158_4) 및 풀다운 드라이버(158_7) 모두 턴오프되도록 구동되어, 데이터 패드 LDQ는 하이-임피던스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7B 를 참조하면, 패키지 테스트 모드 시에, 리드 명령어가 입력되면, 뱅크 내의 각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가 대응하는 GIO 라인 GIO_L, GIO_U에 실린다. 테스트 모드 제어부(200)의 페일 감지부(210)는 GIO 라인 GIO_U의 데이터 UDQ X GIO<0:7>와 GIO 라인 GIO_L의 데이터 LDQ X GIO<0:7>를 비교하여 페일 감지 신호 GIO128SUM를 출력한다. 래치부(220)는 각 리드 명령어에 동기되어 활성화되는 스트로브 신호 GIOSTRB에 따라 상기 페일 감지 신호 GIO128SUM를 래치하여 페일 래치 신호 GIOA를 출력한다.
상기 GIO 라인 GIO_U의 데이터 UDQ X GIO<0:7>가 대응하는 GIO 라인 GIO_L의 데이터 LDQ X GIO<0:7>와 하나라도 다른 경우에 상기 페일 감지 신호 GIO128SUM는 비활성화되고, 상기 페일 래치 신호 GIOA는 활성화된다. 이 때, 상기 활성화된 페일 래치 신호 GIOA가 조합부(225)로 피드백되어, 상기 조합부(225)는 클럭 신호 GIOSTRBD_D를 특정 로직 레벨로 고정하여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패키지 테스트 모드 시에 래치부(220)는 일단 상기 페일 감지 신호 GIO128SUM가 비활성화되면, 스트로브 신호 GIOSTRB와 상관없이 상기 페일 래치 신호 GIOA를 특정 로직 레벨로 고정하여 출력한다.
테스트 신호 생성부(230)는 상기 페일 래치 신호 GIOA 및 상기 테스트 모드 신호 TDRM를 입력받아 테스트 신호 FAIL_STUCK를 생성한다. 이 후, GIO 라인 GIO_L의 데이터가 데이터 패드 LDQ를 통해 출력된 후에 테스트 출력 신호 TDRM_OUT가 활성화되면, 페일 신호 출력부(250)은 페일-스턱 신호 FAIL_STUCKD를 활성화시켜 데이터 패드 LDQ를 하이/로우 스턱 상태로 구동한다. 따라서, 패키지 테스트 모드에서는, GIO 라인 GIO_L의 데이터가 데이터 패드 LDQ를 통해 출력된 후에, 데이터 패드 LDQ가 하이/로우 스턱 상태로 고정되어 페일이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도록 구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테스트 모드 시에, 데이터 패드 LDQ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동시에 뱅크 내의 다수의 단위셀과 연결된 GIO 라인 GIO_L, GIO_U으로 전송하고, 테스트 모드 제어부는 상기 GIO 라인 GIO_U의 데이터와 GIO 라인 GIO_L의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페일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다수의 단위셀들을 테스트 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스트 모드 시에 페일 상태를 알릴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패키지 테스트 모드에서는, 일단 결함이 있는 메모리 셀이 발생하면, 페일 신호가 특정 로직 레벨을 유지하도록 출력하고, 이 후, 테스트 출력 모드를 통해, 출력 드라이버가 데이터 패드 LDQ를 하이/로우 고정(스턱) 상태로 구동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페일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140: 뱅크 150, 161: 라이트 드라이버
151, 169: 파이프 래치부 162: 멀티플렉서
172, 174: I/O 드라이버 200: 테스트 모드 제어부
210: 페일 감지부 220: 래치부
230: 테스트 신호 생성부 250: 페일 신호 출력부

Claims (19)

  1. 다수의 제 1 메모리 셀 및 다수의 제 2 메모리 셀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뱅크;
    상기 제 1 메모리 셀과 다수의 제 1 데이터 패드 사이에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입출력부;
    상기 제 2 메모리 셀과 다수의 제 2 데이터 패드 사이에서 제 2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입출력부;
    테스트 모드 시, 상기 제 1 데이터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셀에 전달하는 경로 선택부; 및
    상기 테스트 모드 시,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셀의 제 1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1 데이터 패드 중 적어도 하나가 페일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테스트 모드 제어부
    를 구비하며, 상기 테스트 모드 제어부는 페일이 감지된 경우, 리드 동작이 완료된 후에 상기 다수의 제 1 데이터 패드 중 하나를 스턱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모드 제어부는,
    상기 제 1 메모리 셀의 제 1 데이터와 상기 제 2 메모리 셀의 제 1 데이터를 비교하여 페일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페일 감지부;
    테스트 모드 시 활성화되는 테스트 모드 신호 및 리드 명령어 입력 시에 토글링하는 스트로브 신호에 따라 상기 페일 감지 신호를 래치하여 페일 래치 신호로 출력하는 래치부;
    상기 페일 래치 신호 및 상기 테스트 모드 신호에 따라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는 테스트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테스트 신호 및 상기 제 1 데이터 패드를 통해 데이터가 출력된 후에 활성화되는 테스트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페일 신호를 출력하는 페일 신호 출력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일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데이터 패드가 페일 상태를 나타낼 수 있도록 구동하는 입출력 드라이버
    를 더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일 감지부는,
    상기 제 1 메모리 셀의 제 1 데이터와 상기 제 2 메모리 셀의 제 1 데이터를 비교하는 다수의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페일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합산부
    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 각각은,
    대응하는 제 1 데이터가 서로 일치할 때 자신의 출력 신호를 활성화하여 출력하는 XNOR 게이트로 구성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합산부는,
    상기 비교부의 출력들을 앤드(AND) 연산하는 로직 게이트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일단 상기 페일 감지 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스트로브 신호에 상관없이 상기 페일 래치 신호를 특정 로직 레벨로 고정시켜 출력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지연하여 지연 스트로브 신호를 출력하는 지연제어부;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 및 상기 페일 래치 신호에 응답하여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조합부; 및
    상기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페일 감지 신호를 래치하여 상기 페일 래치 신호를 출력하는 D 플립플롭
    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제어부는,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를 상기 페일 감지 신호에 동기시킬 수 있도록 상기 페일 감지부에서 소요되는 연산 시간에 대응하는 지연량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제어부와 D 플립플롭은 상기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부는,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 및 상기 페일 래치 신호를 노아(NOR) 연산하는 제 1 로직 게이트; 및
    상기 제 1 로직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하는 제 2 로직 게이트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 생성부는,
    상기 페일 래치 신호와 상기 테스트 모드 신호를 앤드(AND) 연산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일 신호 출력부는,
    상기 테스트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테스트 신호를 상기 페일 신호로 출력하는 트랜스퍼 게이트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4. 데이터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뱅크의 제 1 메모리 셀 및 제 2 메모리 셀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모리 셀의 데이터와 상기 제 2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페일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테스트 모드 시에 활성화되는 테스트 모드 신호 및 리드 명령어 입력 시에 토글링하는 스트로브 신호에 따라 상기 페일 감지 신호를 래치하여 페일 래치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페일 래치 신호 및 상기 테스트 모드 신호에 따라 페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일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데이터 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드는 페일이 감지된 경우에는 리드 동작이 완료된 후에 스턱 상태를 나타내도록 구동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일 래치 신호는,
    상기 페일 감지 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스트로브 신호에 상관없이 상기 페일 래치 신호를 특정 로직 레벨로 고정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일 래치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지연하여 지연 스트로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 및 상기 페일 래치 신호에 응답하여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페일 감지 신호를 래치하여 상기 페일 래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브 신호는,
    상기 페일 감지 신호와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를 동기화하는 데 필요한 지연량만큼 지연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페일 래치 신호와 테스트 모드 신호에 따라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신호와 상기 데이터 패드를 통해 데이터가 출력된 후에 활성화되는 테스트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페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방법.
KR1020110088144A 2010-12-30 2011-08-31 반도체 메모리 장치, 테스트 회로 및 테스트 방법 KR201200785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82,409 2010-12-30
US12/982,409 US8713383B2 (en) 2010-12-30 2010-12-30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est circuit, and test ope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570A true KR20120078570A (ko) 2012-07-10

Family

ID=4634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144A KR20120078570A (ko) 2010-12-30 2011-08-31 반도체 메모리 장치, 테스트 회로 및 테스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13383B2 (ko)
KR (1) KR20120078570A (ko)
TW (1) TWI5506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815B1 (ko) * 2012-11-14 2019-07-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테스트 방법
US20140365838A1 (en) * 2013-06-11 2014-12-11 Lsi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test circuitry for testing fan-out paths of a test control primary input
KR102258905B1 (ko) * 2015-07-02 2021-05-3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081201B2 (en) 2019-11-26 2021-08-03 Winbond Electronics Corp. Parallel tes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8510A (en) * 1974-05-02 1975-04-15 Bell Telephone Labor Inc Addressable switch with variable interval blinding
US4315247A (en) * 1979-08-13 1982-02-09 Germanton Charles E Security systems employing an electronic lock and key apparatus
KR100206701B1 (ko) * 1996-05-16 1999-07-01 윤종용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멀티비트 테스트 회로 및 그 테스트 방법
US5966388A (en) * 1997-01-06 1999-10-12 Micron Technology, Inc. High-speed test system for a memory device
JP3262033B2 (ja) * 1997-07-31 2002-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100303923B1 (ko) 1998-05-25 2001-11-22 박종섭 싱크로너스디램에서의멀티뱅크테스트장치
USRE40172E1 (en) 1998-05-25 2008-03-25 Hynix Semiconductor, Inc. Multi-bank testing apparatus for a synchronous dram
US6499121B1 (en) * 1999-03-01 2002-12-24 Formfactor, Inc. Distributed interface for parallel testing of multiple devices using a single tester channel
JP2002365338A (ja) * 2001-06-08 2002-12-18 Fujitsu Ltd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試験方法、及び半導体装置試験システム
US7246280B2 (en) 2004-03-23 2007-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module with parallel testing
JP4370527B2 (ja) * 2005-05-20 2009-11-25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100850270B1 (ko) * 2007-02-08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페일비트 저장부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20080222460A1 (en) * 2007-03-08 2008-09-11 Qimonda North America Corp. Memory test circuit
KR20090108182A (ko) * 2008-04-11 200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병렬비트 테스트 회로
KR20090122677A (ko) 2008-05-26 2009-12-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테스트 방법
KR101004683B1 (ko) 2008-11-05 2011-0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1605747B1 (ko) * 2009-06-11 2016-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물리적으로 공유된 데이터 패스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에 대한 테스트 장치
US8386867B2 (en) * 2009-07-02 2013-02-26 Silicon Image, Inc. Computer memory tes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73942A1 (en) 2012-07-05
CN102543205A (zh) 2012-07-04
US8713383B2 (en) 2014-04-29
TW201241834A (en) 2012-10-16
TWI550623B (zh)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66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테스트 회로 및 테스트 방법
US861281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est circuit, and test operation method thereof
US787294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the same
JP2010511229A (ja) 複数デバイスシステムをテストするための回路および方法
CN105938727B (zh) 半导体系统及用于测试半导体器件的方法
US9373420B2 (en) Semiconductor test device
US20150071009A1 (en) Semiconductor device
US10186314B2 (en) Data output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7619433B2 (en) Test circuit for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20120078570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테스트 회로 및 테스트 방법
KR10118040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테스트 방법
US8456931B2 (en) Data transmission device
KR20200052649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090006914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detecting fail path thereof
US20110085401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9291673B2 (en) Semiconductor apparatus
JP2014006951A (ja)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テスト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240005980A1 (en) Synchronous Input Buffer Control Using a Write Shifter
CN102543205B (zh) 半导体存储器件及其测试电路和测试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