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476A -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78476A KR20120078476A KR1020100140791A KR20100140791A KR20120078476A KR 20120078476 A KR20120078476 A KR 20120078476A KR 1020100140791 A KR1020100140791 A KR 1020100140791A KR 20100140791 A KR20100140791 A KR 20100140791A KR 20120078476 A KR20120078476 A KR 201200784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resin composition
- polyoxymethylene resin
- thermoplastic polyurethan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04—Anhydrides, e.g. cyclic anhydrides
- C08F222/06—Maleic anhydr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 C08K5/24—Derivatives of hydrazine
- C08K5/25—Carboxylic acid hydraz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4—Thermoplastic elasto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전기전자 기기용 부품에 적용가능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변성폴리에틸렌 무수말렌인산 공중합체 및 카르복실산 디히드라지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전자 기기용 부품에 적용가능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세탈 수지는 균형이 잡힌 기계적 성질을 가지고 마찰 마모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자동차 분야 전기전자 분야에서 넓게 이용 되고 있다. 그러나 타수지에 비해 결정화도가 높아 딱딱한 성질을 가지는 단점이 있다. POM의 부서지기 쉬운(Brittle)성질을 개선 하기 위해서 충격보강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고, 특히 POM은 반응성기가 없기 때문에 충격보강제와의 상용성을 높이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자기 윤활특성이 타 수지대비 내마모성이 우수한 POM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게 되면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폴리옥시메틸렌 (Polyoxymethylene) 수지의 가장 큰문제점인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 가스의 발생이 적은 특성이 요구 되어 진다.
이러한 요구 특성에 대해서 특별히 충격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측쇄에 니트릴기 또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고무를 혼합시키는 방법(일본특공소 45-12674), α-올레핀/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공중합체를 혼합시키는 방법(일본 특공소 45-18023), , 에틸렌/비닐 또는 아크릴에스테르의 공중합체를 혼합시키는 방법(일본 특공소 45-26231), 디올레핀/아크로니트릴 공중합체 즉, 탄화수소 주사슬에 니트릴기가 치환된 공중합체를 혼합시켜 충격강도 및 굴곡탄성률을 향상시키는 방법(PN 3,476,832), 지방족 폴리에테르를 혼합시키는 방법(일본 특공소 50-33095), α-올레핀 중합체 및 에틸렌/비닐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혼합시키는 방법(일본 특개소 49-40346), 폴리올레핀계, 폴리스틸렌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혼합시키는 방법(일본 특개소 60-104116)등이 있으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POM과의 상용성이 부족하여 충격강도를 크게 개선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높은 강인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캐나다 특허84-2325에서는 엘라스토머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혼합 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고, 일본 특허 4183622에서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무수 말레산 함유 화합물을 이용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일본 특개소 59-145243에서는 POM과의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 특수한 탄성중합체 폴리우레탄을 혼합하는 방법이 제안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충격 특성과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가스 발생 억제를 동시에 개선 되지 않는다.
그리고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가스 발생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여러가지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중 하나인 열분해로 인하여 포름알데히드 가스와 반응할 수 있는 아민류, 아마이드류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 4-34563호 에서는 POM 수지에 아크릴아미드와 붕소산화합물을 첨가 하는 방법이 , 일본 특개소 59-213752호 에서는 POM 수지에 알라닌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열적으로 불안정한 첨가제의 분해로 인하여 수지의 황변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첨가제의 수지와의 상용성 부족으로 인한 표면 이행으로 성형시 금형 분출물을 발생시켜서 사용이 곤란하다.
POM수지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불안정한 POM 의 말단을 안정화 시키는 방법으로서, POM의 불안정한 말단을 특정의 물질을 이용하여 캐핑(capping)시키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미국 특허 제 2,964,500호, 일본 특공소 42-8706호, 일본 특공소 33-6099호 에서는 POM 의 말단을 에스테르화를 유도하고 있으며, 일본 특공소 35-6233호, 일본 특공소 36-3492호 에서는 불안정한 히드록시 말단을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서 우레탄화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POM 수지의 주사슬이 솔볼리시스(solvolisys)에 의해 쉽게 파괴할 수 있으며, 말단의 미반응 캐핑 중합체의 잔존으로 매우 불안정한 중합체가 얻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불안정 말단이 제어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는 충격 특성을 개선 하기 위해 사용 되는 열가소성폴리우레탄과의 용융 혼련이 어렵고 상용성이 떨어져 충격 개선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기계적 성질 및 전기적 성질을 가져 기계기구재로 적용가능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1 구현예로서, 폴리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0.1 ~ 5중량부; 에스테르(ester)계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5 ~ 50 중량부; 변성폴리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0.1 ~ 5 중량부; 및 카르복실산 히드라지드 화합물을 0.05~2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폴리아세탈 수지는 폴리아세탈 수지 내에 포름산 에스테르(Formic acid ester) 의 말단기의 양이 1 중량%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Shore 경도가 55~90A인 에스테르계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변성폴리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내의 무수말레인산의 함량이 0.5 ~ 3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은 VDA 275 방법에 의해 측정된 포름알데히드 발생량이 2ppm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한 제2 구현예로서,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성질 및 마모-마찰, 포름알데히드 가스 방출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실내 부품중 기어나 캠(cam)과 같은 부품에 사용되어 뛰어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0.1 ~ 5중량부; 에스테르(ester)계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5 ~ 50 중량부; 변성폴리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0.1 ~ 5 중량부; 및 카르복실산 히드라지드 화합물을 0.05~2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아세탈 수지에 대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poly ether ester block) 공중합체의 배합이 중요하고, 이것에 의해 마모-마찰 뿐만 아니라 포름알데히드 가스의 방출 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아세탈 수지로서는 , 옥시메틸렌(oxymethylene) 단위의 연쇄로 되는 호모폴리머 (homo polymer) 및 대부분이 옥시 메틸렌(oxy methylene) 단위의 연쇄로 되고 소량의 환상에테르(ether)가 없고, 환상 아세탈(acetal)이 공중합되는 아세탈코폴리머를 모두 사용 할 수 있다. 또 중합도 등도 성형 가능한 제한이 없지만, ASTM D-1238 법에 따라서 190℃, 2160g의 하중으로 측정한 멜트인덱스(melt index, MI)값이 1.0~6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폴리아세탈 수지의 포름산 에스테르(Formic acid ester)말단기의 양이 1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름산 에스테르 말단기의 양이 1중량%를 초과할 경우, 제품 성형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포름알데히드 가스가 지속적으로 방출이 일어나 저 포름알데히드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조성물에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는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으로된 경질세그먼트와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구성하는 연질세그먼트 및 반응성기를 가지는 공중합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구성된 디카복실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으로 된 경질 세그먼트(hard segment)와 주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구성된 연질 세그먼트(soft segment)와 반응성기를 가지는 블록공중합체이다.
상기 경질세그먼트를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70중량% 이상이 테레프탈산이고 30몰%이하가 이소프탈산, 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디페닐-4,4'-디카복실산 및 3-설폰이소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복실산 및/또는 옥살산, 숙신산, 아디프산, 아젤리산, 세박신, 도데칸산 및 이량체산 등의 지환적 디카복실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공중합 성분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세박산 및 도데칸산이다.
상기 경질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글리콜 성분은 바람직하게 1,4-부탄디올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50중량% 이상이 1,4-부탄디올이고 50중량%이하의 에틸렌글리콜, 디에틸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6-헥사디올, 1,10-데카디올, 1,4-디하이드록시메틸 사이클로 헥산, 비스(4-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메탄 및 네오펜틸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1종 이상의 공중합 성분이 혼합된 것이 사용된다.
상기 연질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디카복실산 성분은 주로 테레프탈산으로 구성 된다. 경질 세그먼트의 디카복실산 성분처럼 연질 세그먼트의 디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테레프탈산 70중량% 이상과 공중합성분으로서 디카복실산을 30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경질 세그먼트에 대하여 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연질 세그먼트인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구성하는 폴리(테트라메티렌 옥사이드)글리콜은 수평균 분자량이 800 내지 20,000 보다 바람직하게 5,000 내지 15,000인 것이 적당하다. 폴리(테트리메틸렌 옥사이드) 글리콜의 분자량은 마찰-마모 특성의 점으로부터 2,000이상 특히 5, 000 이상의 것이 바람직 하게 사용된다.
반응성기를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 성분은 아로마틱 디카르 복실산(Aromatic dicarboxylic acid)로 구성 된다. 반응성기인 아로마틱 디카르 복실산은 프탈산(phthal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이소프탈산 (isophthalic acid) 화합물 이며, 본 발명에 바람직 하게는 trimellitic acid, pyrome- llitic acid 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 주로 부틸렌 테레이트 단위로 구성된 경질 세그먼트와 주로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카복실 레이트 단위로 구성된 연질세그먼트 간의 바람직한 조성비는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카복실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30 내지 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50 내지 75중량% 이다.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카복실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80중량% 보다 큰 경우에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가 중합되기 어렵고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poly ether ester block)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중합도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조성물이 성형 가능한 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의 첨가량은 폴리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 중량부 이고 바람직한 것은 1~3중량부이다.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의 첨가량이 0.1 중량부보다 작은 값에서는 상용성이 저하 하여 혼련이 충분 하지 못하고 5중량부를 넘는다면 기계적 강도가 현저하게 손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고 있는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로는, 하드세그먼트 로서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사이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에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을 반응 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우레탄, 소프트 세그먼트로서 폴리에틸렌- 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디올,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디올을 조합시켜 제조 된다. 또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의 첨가량은 폴리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50 중량부 이고 바람직한 것은 10~30중량부이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의 첨가량이 5 중량부보다 작은 값에서는 충격강도의 물성이 현저하게 손상되고, 50중량부를 넘는다면 기계적 강도가 현저하게 손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변성폴리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는 상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배합된다. 변성폴리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는 시중구입 가능한 예로는 두-다우사의 퓨자폰드 엠에프416디(Fusabond MF 416D)가 있다. 이는 에틸렌-프로필렌의 공중합물로 무수말레인산이 1중량%가 그라프트 되어 있는 것이다.
변성폴리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의 함량은 폴리옥시메틸렌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0.1~ 5 중량부, 바람직하게 1~ 3 중량부 이다. 만일, 변성폴리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수지상 에 POM 수지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열가소성폴리우레탄과의 용융 혼련이 어렵다. 5중량부 보다 많을 경우에는 강성이 저하되고 경제성이 떨어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변성폴리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내의 무수말레인산의 함량이 0.5 ~ 3 중량%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무수말레인산의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수지의 분해가 일어나 기계적 물성 및 포름알데히드 가스의 방출이 늘어나 저취 특성을 잃어 버린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카르복실산 디히드라지드 화합물은 포름알데히드 포착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히드라지드 아디페이트, 디히드라지드 세바케이트, 디히드라지드 도데칸디산, 디히드라지드 테레프탈레이트, 디히드라지드 테레프탈레이트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산 디히드라지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카르복실산 디히드라지드 화합물의 양은 폴리옥시메틸렌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부, 바람직하게 0.05 내지 0.3 중량부 이다. 카르복실산 디히드라지드 양이 0.01 중량부 보다 적으면, 포름알데히드 포획 효과가 만족 스럽지 못하며, 2 중량부를 초과하면, 색상이 변색이 되거나 포름알데히드 포획 효과가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방해하지 않는 한, 공지 통상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입체 장애 페놀형, 포스파이형 티오에테르형 또는 아민형 산화 방지제, 벤조페논형 또는 입체 장애 아민형 내후제, 이형제로 불소 함유 중합체, 실리콘 오일, 스테아릴산의 금속염, 몬탄산의 금속염, 몬탄산 에스테르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 등 착색제(염료 또는 안료), 자외선 차단제로 산화티탄 또는 카본블랙 등, 보강재로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티탄산 칼륨 섬유 등, 충전제로 실리카, 점토, 탄산칼슘, 황산칼슘, 또는 유리 비드 등, 핵 형성제로 탈크, 크레이 등, 가소제, 접착 조제, 점착제를 함유시킨 것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은 용융 혼련 개선 및 상용성을 개선하게 되어 swelling 현상이 없고, 충격 특성이 개선되고 포름알데히드 가스 방출 특성이 우수하여 내충격성과 자동차 실내 부품 및 환경규제 분야의 엔지니어링 수지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7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의 함량에 따라서, 용융지수가 9.0g/10분 인 중고점도의 폴리아세탈 수지(코세탈 K300, 코오롱플라스틱) 100중량부를 80oC에서 진공 으로 4시간 건조한 후, 상용성을 개선하기 위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 및 변성폴리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충격을 개선하기 위한 열가소성폴리우레탄수지, 포름알데히드 포착제인 카르복실산 디히드라지드 화합물을 블렌딩 후, 이들을 트윈 스크류 압출기에 투입하여 190℃ 에서 충분히 혼련한 다음, 이를 다이(Die)를 통해 스파게티 상태로 토출한 후 냉각 하고, 펠렛타이저(Pelletizer)를 이용하여 칩(chip) 상태로 절단한다. 이와 같이 제조 된 칩을 건조한 후 이를 사용하여 190℃에서 물성 측정용 시편을 사출 성형하여 성형품을 제조하였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성형품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무게 감량, 기계적 특성 및 포름알데히드 가스 방출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무게 감량 측정 : 240℃, N2 분위기에서 무게의 감량을 측정한다.
(2) 기계적 특성 : 사출용량이 60톤인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190℃ 금형온도 80℃ 및 성형 사이클 40초에 ASTM 덤벨 시험편, 마찰계수-비마모량 측정용 시편을 성형한다. 위에 언급한 인장 시험편을 사용하여 ASTM D-638의 방법에 따라 충격강도, 당사 측정법으로 마찰계수-비마모량을 측정 한다.
(3)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가스 방출량 : VDA 275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즉, l리터 폴리에틸렌병(polyethylene)에 50ml의 증류수를 넣고, 80mm x 40mm x 3mm크기의 사출품을 증류수에 접촉하지 않도록 매달고,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밀봉한다. 60℃, 3시간 처리한 증류수 10ml을 채취하여 아세틸아세톤(acetyl acetone) 10ml, 암모늄아세테이트 (ammonium acetate) 10ml을 첨가하여 변색되는 색상을 흡광도를 이용하여 흡광도에 따른 포름알데히드를 측정하였다.
구분 | (a) | (b) | (c) | (d) | (e) |
실시예1 | 100 | 1 | 8 | 1 | 0.2 |
실시예2 | 100 | 3 | 14 | 3 | 0.2 |
실시예3 | 100 | 2 | 16 | 2 | 0.2 |
실시예4 | 100 | 3 | 24 | 3 | 0.2 |
실시예5 | 100 | 1 | 7.5 | 1.5 | 0.2 |
비교예1 | 100 | 0 | 18.5 | 1.5 | 0.2 |
비교예2 | 100 | 0 | 17 | 3.0 | 0.2 |
비교예3 | 100 | 3 | 17 | 0 | 0.2 |
비교예4 | 100 | 1 | 17 | 2 | 0.2 |
비교예5 | 100 | 0.1 | 10 | 0.1 | 0.2 |
비교예6 | 100 | 0 | 8.5 | 1.5 | 0 |
비교예7 | 100 | 0 | 20 | 0 | 0 |
비교예8 | 100 | 2 | 16 | 2 | 0 |
(a) 폴리아세탈 수지(KOCETAL K300, 코오롱플라스틱)
(b)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KOPEL KP3340HR, 코오롱플라스틱)
(c) Shore경도가 80A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수지
(ELLAS K-480A,코오롱인더스트리)
(d) 변성폴리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Fusabond 416D, Dupont)
(e) 카르복실산 디히드라지드(Dodecanedioic acid dihydrazide, Finechem)
구분 | 충격강도 (kgf?cm/cm) |
인장강도 (kgf/cm2) |
포름알데히드 함량 (ppm) |
실시예1 | 8.5 | 538 | 0.6 |
실시예2 | 11.4 | 420 | 0.4 |
실시예3 | 10.9 | 425 | 0.7 |
실시예4 | 16.4 | 340 | 0.3 |
실시예5 | 7.8 | 532 | 0.5 |
비교예1 | 8.7 | 426 | 0.2 |
비교예2 | 8.3 | 417 | 0.6 |
비교예3 | 9.4 | 436 | 0.8 |
비교예4 | 8.5 | 428 | 0.6 |
비교예5 | 6.4 | 545 | 0.8 |
비교예6 | 8.6 | 441 | 6.7 |
비교예7 | 8.3 | 412 | 7.9 |
비교예8 | 10.7 | 426 | 6.3 |
물성측정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에 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은 충격강도,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동시에 VDA275 방법에 의한 포름알데히드 가스 방출량도 2ppm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교예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포름알데히드 가스 방출 특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기계적 물성이 요구되는 전기전자기기 등과 같은 분야와 환경규제 분야의 엔지니어링 수지로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Claims (6)
- 폴리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0.1 ~ 5중량부;
에스테르(ester)계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5 ~ 50 중량부;
변성폴리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0.1 ~ 5 중량부; 및
카르복실산 히드라지드 화합물을 0.05~2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세탈 수지 내에 포름산 에스테르(Formic acid ester) 의 말단기의 양이 1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Shore 경도가 55~90A인 에스테르계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변성폴리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내의 무수말레인산의 함량이 0.5 ~ 3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VDA 275 방법에 의해 측정된 포름알데히드 발생량이 2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40791A KR101694904B1 (ko) | 2010-12-31 | 2010-12-31 |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40791A KR101694904B1 (ko) | 2010-12-31 | 2010-12-31 |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8476A true KR20120078476A (ko) | 2012-07-10 |
KR101694904B1 KR101694904B1 (ko) | 2017-01-11 |
Family
ID=4671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40791A KR101694904B1 (ko) | 2010-12-31 | 2010-12-31 |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490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22999A1 (en) * | 2015-08-04 | 2017-02-09 | Korea Engineering Plastics Co., Ltd. | Resin composition for cable tie |
KR20190036757A (ko) * | 2017-09-28 | 2019-04-05 |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CN115260700A (zh) * | 2022-08-26 | 2022-11-01 | 万敬新材料(上海)有限公司 | 低温增韧聚甲醛组合物及其制造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61766A (ko) * | 2002-12-31 | 2004-07-07 | 주식회사 코오롱 | 내충격특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
KR20060052162A (ko) * | 2004-10-13 | 2006-05-19 | 주식회사 케이티피 | 도전성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
-
2010
- 2010-12-31 KR KR1020100140791A patent/KR1016949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61766A (ko) * | 2002-12-31 | 2004-07-07 | 주식회사 코오롱 | 내충격특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
KR20060052162A (ko) * | 2004-10-13 | 2006-05-19 | 주식회사 케이티피 | 도전성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22999A1 (en) * | 2015-08-04 | 2017-02-09 | Korea Engineering Plastics Co., Ltd. | Resin composition for cable tie |
CN108026353A (zh) * | 2015-08-04 | 2018-05-11 | 韩国工程塑料(株) | 电缆扎带用树脂组合物 |
US20190016881A1 (en) * | 2015-08-04 | 2019-01-17 | Korea Engineering Plastics Co., Ltd. | Resin composition for cable tie |
KR20190036757A (ko) * | 2017-09-28 | 2019-04-05 |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CN115260700A (zh) * | 2022-08-26 | 2022-11-01 | 万敬新材料(上海)有限公司 | 低温增韧聚甲醛组合物及其制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4904B1 (ko) | 2017-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83860A (en) | Impact resistant moldable polyacetal resin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 |
EP3060605A1 (en) | Intrinsic low friction polyoxymethylene | |
WO2016098026A1 (en) | Polyoxymethylene polymer composition having low friction | |
CN106795359A (zh) | 聚甲醛组合物、 用于制造的方法和由其制备的制品 | |
KR101519766B1 (ko) |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 |
CA1242291A (en) | Blends of polyesteramides and polyamides | |
KR20120078476A (ko) |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KR20040061766A (ko) | 내충격특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 |
CA2350487C (en) | 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s having enhanced tensile elongation, thermal stability and impact resistance | |
KR101470916B1 (ko) |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 |
US6433106B1 (en) | Toughened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 |
JPS6140262B2 (ko) | ||
JPH0448822B2 (ko) | ||
KR102332355B1 (ko) | 철도 레일패드용 열가소성 탄성 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레일패드 | |
KR102478356B1 (ko) |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 |
WO2001023473A1 (en) | 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molding characteristics | |
JP4675486B2 (ja) |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 |
KR100330406B1 (ko) |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 |
JP3086289B2 (ja) |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 |
JPH0436341A (ja) |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 |
KR101747911B1 (ko) |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 |
KR20200036329A (ko) |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성형품 | |
JP3086293B2 (ja) |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 |
JPS6351445A (ja) | ポリアセタ−ル樹脂組成物 | |
KR102076210B1 (ko) |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