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7747A - 내화성 커튼월 경량 내화보드용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음방법 - Google Patents

내화성 커튼월 경량 내화보드용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7747A
KR20120077747A KR1020100139817A KR20100139817A KR20120077747A KR 20120077747 A KR20120077747 A KR 20120077747A KR 1020100139817 A KR1020100139817 A KR 1020100139817A KR 20100139817 A KR20100139817 A KR 20100139817A KR 20120077747 A KR20120077747 A KR 20120077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omposition
curtain wall
weight
aluminum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3417B1 (ko
Inventor
송훈
추용식
이종규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139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4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0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0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 C09J1/02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containing water-soluble alkali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빌딩 알루미늄 커튼월의 내화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경량 무기발포 내화보드 시스템에 적용되는 알루미늄 패널과 경량 무기발포 내화보드의 접착 및 건축물 구조체와 경량 무기발포 내화보드의 접착에 사용되는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 및 이를 위한 접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조성물은 분체로서 시멘트 10~40 중량%, 플라이애쉬 10~20 중량%, 메타카올린 10~20 중량%, 폐유리분말 10~20 중량% 및 소듐실리케이트 및 수산화칼륨용액 등을 30~60 중량%를 함유하며, 경량골재로서 펄라이트 및 발포경량골재 10~40 중량%와 메칠셀룰로우스 0.1~2 중량%를 사용하여 제조한 내화 단열접착제로서 알루미늄 커튼월과 경량 무기발포 내화보드를 접착하여 내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파이어스탑(Fire stop) 등 구조체와의 연결철물에 내화 단열접착제를 사용함으로서 고층빌딩 커튼월의 내화성능 및 단열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화성 커튼월 경량 내화보드용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음방법{Fire resistant curtain wall inorganic insulation adhesive composition having fire resistance and jointing methods using it}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 적용되는 알루미늄 커튼월의 화재발생 시 문제로 지적되는 유기계 단열재 및 섬유류 및 무기계 섬유류를 대체하고 고층건축물의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사용되는 경량 무기발포 내화보드와 알루미늄 커튼월과의 접착을 위한 내화 단열접착제 제조를 위한 비정형 조성물과 이 조성물을 이용한 보드와의 접착방법 및 연결철물과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층빌딩 커튼월 시스템 소재로는 알루미늄과 유리가 주를 이루며 현재는 이들 소재로 구성된 유닛화된 시스템으로 고층건물의 외벽을 마감하고 있다. 또한 내화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경량 무기발포 내화보드를 적용하는데 기존의 접착방법으로는 고열에 내화보드가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고온에서 내화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내화 단열접착제와 이를 적용하기 위한 내화마감공법이 필요하다.
건축물의 방화구획은 화재발생시 화재의 전파 및 차단을 위한 구획을 형성해야 되며 내화구조로 적용된다. 내화구조에 관한 성능으로는 비손상성, 차열성, 차염성 등을 들 수 있다. 비손상성은 화재시의 구조내력상 문제를 야기시키는 변형, 융해, 파괴 등의 손상 및 과도한 온도상승에 의해 내력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손상되면 구조의 붕괴 위험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차열성 및 차염성은 연소방지를 위해 필요한 성능이며, 차열성은 벽, 바닥 등의 구획부재에 대해 구획을 구성하는 면에서 가열을 받았을 경우 반대측 표면에 접해있는 가연물의 착화를 방지하는 성능을 말하며, 차염성은 벽, 지붕 등의 구획부재 및 개구부에 설치된 방화설비에 대해 어느 한면으로부터 화염을 받을 경우 반대편의 면에 화염을 관통하는 균열 등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고층건축물 등의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주요 구조부는 실내화재에 대해 비손상성이 요구되며 외벽 및 칸막이벽의 경우도 내력벽인 경우 비손상성이 요구된다. 커튼월과 같이 건축물의 외피를 구성하는 부재는 실내화재에 대한 차염성이, 칸막이벽 및 바닥부재는 차열성이 요구된다. 여기서 말하는 통상의 화재는 실무상의 KS F 2257에 정의되어 있는 건축물의 표준화재를 말한다. 실제 고층빌딩 커튼월과 같이 개구부가 유리로 구성되고 알루미늄 외피를 사용하는 경우 화재에 의해 유리가 파손되고 알루미늄 외장패널이 쉽게 녹아내리기 때문에 수직방향으로의 화재전파가 용이하다. 또한 알루미늄 커튼월은 패널 내부에 단열재로 미네랄울 및 글라스울나 폴리스틸렌 발포재료를 사용하므로 화재에 대해 더욱 취약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열합성 무기발포 내화패널(ALC) 및 소성 무기발포 내화패널이 적용되는데 이러한 내화패널은 무기계 섬유류 및 유기계 폴리스틸렌 발포패널보다 밀도가 크기 때문에 고온에서도 접착성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외피인 알루미늄 패널과도 수월하게 접착할 수 있는 내화 단열접착제 및 이음방법 등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기존 알루미늄 커튼월 시스템의 내화성을 향상시키기위해 적용한 경량 무기발포 내화보드의 접착을 위한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내화 단열접착제를 활용하여 파이어스탑(Fire stop) 등의 구조부와의 연결철물을 피복함으로써 화열에 노출되지 않게 하는 피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화 단열접착제를 활용하여 알루미늄 커튼월과 내화보드와의 접착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알루미늄 커튼월의 가공 및 이음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자의 연구에서 필수성분으로 분체로서 시멘트, 플라이애쉬, 메타카올린, 폐유리분말과 액상 결합재인 소듐실리케이트 및 수산화칼륨용액과 경량골재 및 메칠셀룰로우스 등을 이용한 부정형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내화 단열접착제로 고층건축물의 알루미늄 커튼월용 경량 내화보드를 접착하는 내화 단열접착제로 적용하면 화재방지 성능이 필요한 알루미늄 커튼월의 수직 화재전파를 차단하고 내화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의 고층빌딩 알루미늄 커튼월용 내화 단열접착제용 조성물은 시멘트 10~40 중량%, 플라이애쉬 10~20 중량%, 메타카올린 10~20 중량%, 폐유리분말 10~20 중량%, 결합재 30~60 중량%, 경량골재 10~40 중량%, 메칠셀룰로우스 0.1~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재는 소듐실리케이트, 리튬실리케이트, 포타슘실리케이트,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경량골재는 펄라이트, 발포 경량골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성물에 고로슬래그 미분말, 실리카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을 10~40중량% 포함되도록 더 첨가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시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고층빌딩 알루미늄 커튼월용 내화 단열접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 커튼월의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내화보드에 볼트 및 너트로서 체결하고 이음부에 상기 제공되는 상기 내화 단열접착제를 이용하여 마감처리하는 알루미늄 커튼월과 무기발포 내화보드의 이음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기발포 내화보드 및 이를 연결하는 상부 파이어스톱(Fire Stop) 시스템에 상기 제공되는 상기 내화 단열접착제를 이용하여 마감처리하는 층간 파이어스톱(Fire stop) 연결철물의 단열마감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은 알루미늄 커튼월과 경량 무기발포 내화보드를 접착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지니며 또한 경량골재를 사용함으로써 단열성능도 우수하다. 최근에 초고층건축물의 시공이 빈번해 짐에 따라 화재에 의한 위험도 또한 증가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내화 단열접착제를 적용함에 따라 무기발포 내화보드를 안전하게 접착할 수 있어 화재안전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발명은 무기발포 내화보드를 적용하는 커튼월 시스템에 내화 단열접착제로 활용하기 때문에 활용범위가 넓고 또한 연결철물에 내화성능 및 단열성능을 부여함으로서 화재안전 및 열교현상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관련 신기술 확보에 유용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관련 제품 개발 및 상업화에 따른 국내 제반 기술력을 증대할 수 있으며 국내 고유 기술 개발에 의한 세계적 수준의 선도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량 내화보드용 내화 단열접착제를 적용한 알루미늄 커튼월의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경량 내화보드용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을 이용한 내화보드와 알루미늄 커튼월 벽면의 시공 이음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의 경화된 후의 절단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내화 단열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된 후의 고온에서의 밀도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내화 단열접착제 조성물의 TG-DSC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내화 단열접착제 조성물의 고온에서의 XRD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량 내화보드용 내화 단열접착제를 적용한 알루미늄 커튼월의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무기발포 내화보드 및 이를 연결하는 상부 Fire Stop 시스템에 내화 단열접착제로 마감하였다. 내화 단열접착제로 마감된 상부는 화재시 연결철물의 화열에 의한 직접적인 손상을 방지하고 단열성능을 유지함으로써 연결철물부의 열전도를 차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경량 내화보드용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을 이용한 내화보드와 알루미늄 커튼월 벽면의 시공 이음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알루미늄 커튼월의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내화보드에 볼트 및 너트로서 체결하고 이음부에 내화 단열접착제로 마감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의 경화된 후의 절단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내화 단열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된 후의 고온에서의 밀도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내화 단열접착제 조성물의 TG-DSC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700℃까지 약 5% 내외의 중량감소를 보이며, 290℃ 부근에서 발열반응을 통한 결정화 및 520℃부근에서 흡열반응으로 결정 전이가 발생하였다. C-S-H(CaO-SiO2-H2O)는 50~150℃, 200℃와 300℃에서 3단계로 탈수하여, C4A3S와 CaO로 변화된 것으로 290℃부근에서의 발열반응을 통해 결정화가 되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내화 단열접착제 조성물의 고온에서의 XRD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2θ가 31도 부근을 정점으로 하는 halo피크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유리질 구조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피크로서 내화 단열접착제가 유리질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피크는 수화가 진행될수록 C-S-H가 생성되며 온도가 고온으로 올라갈수록 Quartz와 C-S-H의 강도세기가 작아졌는데 이는 고온으로 인해 수화생성물들이 분해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층빌딩 알루미늄 커튼월용 내화 단열접착제용 조성물은 시멘트 10~40 중량%, 플라이애쉬 10~20 중량%, 메타카올린 10~20 중량%, 폐유리분말 10~20 중량%, 결합재 30~60 중량%, 경량골재 10~40 중량%, 메칠셀룰로우스 0.1~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재는 소듐실리케이트, 리튬실리케이트, 포타슘실리케이트,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듐실리케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경량골재는 펄라이트, 발포 경량골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조성물에 고로슬래그 미분말, 실리카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을 10~40중량% 포함되도록 더 첨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시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고층빌딩 알루미늄 커튼월용 내화 단열접착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루미늄 커튼월의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내화보드에 볼트 및 너트로서 체결하고 이음부에 상기 제공되는 상기 내화 단열접착제를 이용하여 마감처리하는 알루미늄 커튼월과 무기발포 내화보드의 이음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기발포 내화보드 및 이를 연결하는 상부 파이어스톱(Fire Stop) 시스템에 상기 제공되는 상기 내화 단열접착제를 이용하여 마감처리하는 층간 파이어스톱(Fire stop) 연결철물의 단열마감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내화보드의 이음방법과 단열마감 방법의 일예는 첨부도면 도1 및 2로 설명되어 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시멘트 10~40 중량%, 플라이애쉬 10~20 중량%, 메타카올린 10~20 중량%, 폐유리분말 10~20 중량% 및 규산알칼리용액 30~60 중량%를 함유하며, 경량골재로서 펄라이트 및 발포 경량골재 10~40 중량%와 메칠셀룰로우스 0.1~2 중량%를 함유하는 내화 단열접착제 제조을 위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경량 무기발포 내화보드의 조성물은 시멘트, 플라이애쉬, 메타카올린, 폐유리분말 등의 무기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여기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혼합물은 실리카퓸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은 외할법으로 시멘트 10~40 중량%, 플라이애쉬 10~20 중량%, 메타카올린 10~20 중량%, 폐유리분말 10~20 중량% 및 소듐실리케이트 등을 30~60 중량%를 함유하며, 경량골재로서 펄라이트 및/또는 발포 경량골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10~40 중량%와 메칠셀룰로우스 0.1~2.0 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에 있어서, 시멘트, 플라이애쉬, 메타카올린은 10~40 중량%, 10~20 중량%, 10~20 중량%를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시멘트, 플라이애쉬, 메타카올린은 분체인 무기결합재로서 소듐실리케이트 등과 반응하는 결합재로 사용한다. 이 중 시멘트, 플라이애쉬는 소듐실리케이트와 반응하여 빠르게 경화하는 특징을 지니므로 접착재료로서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소듐실리케이트 안의 알칼리와 반응하여 경화하고 알칼리 농도가 높을수록 경화반응은 빨리 일어난다. 이 중 시멘트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경화시간이 늦어져 내화 단열접착제 제조시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며 40중량%을 초과하면 경화가 빨라져 이 또한 유효한 작업시간을 확보할 수 없다. 시멘트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결합재로 자체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값이 싸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본 조성물 중 플라이애쉬 또한 소듐실리케이트와 반응하여 결합재를 형성하는데 수화반응이 아닌 알칼리 활성화 반응에 의한 것으로 알칼리 활성화 반응은 OH-가 플라이애쉬 표면을 지속적으로 침입함으로써 표면에 알칼리 반응이 일어나며 결과적으로 구의 안쪽과 바깥쪽에 반응생성물을 형성되게 된다. 플라이애쉬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알칼리 활성화 반응이 저하되어 고온하에서 내화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우며 20중량%을 초과하면 분체량이 많아지고 작업성 면에서 불리하다. 플라이애쉬 대신에 고로슬래그 미분말도 사용할 수 있으나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경우 콘크리트용 혼화제로 거의 전량 사용되기 때문에 가격면에서 플라이애쉬에 비해 불리하다.
메타카올린은 구조체 사이의 필러로서 작용되며 10중량% 미만이면 내화 단열접착제 제조시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며, 20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표면구조가 치밀해지지 못해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낮다.
본 조성물 중 소듐실리케이트는 분체와 반응하는 결합재로서 작용하는데 30~60 중량%을 사용하게 되는데 30중량% 미만이면 잘 혼합되지 않아 내화 단열접착제 제조시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며, 60중량%를 초과하면 분체량에 비해 액체의 양이 많아져 작업성이 떨어지며 강도 또한 떨어지게 된다. 소듐실리케이트 대신에 포타슘 및 리튬실리케이트,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 용액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폐유리분말은 내화 단열접착제의 골격을 형성하고 고온에서 연화되어 무기발포 패널의 골격을 형성하는 역할 및 접착제에 연성을 부여한다. 사용량이 10중량% 미만이면 고온에서 연화되는 성질이 부족해지고 고온에서 강도가 떨어지며 20%을 초과하면 고온에서 너무 연화되어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폐유리분말은 약 600℃를 전후하여 연화점을 갖으며, 이후 900℃정도에서 유리가 용융되어 내화 단열접착제를 결합하는 효과가 발현되는 특징을 이용한다.
본 조성물 중 경량골재는 경량성을 유지하고 내화 단열접착제에 단열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재료로 10~40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중량이 10중량% 미만이면 내화 단열접착제 제조시 단열성능이 크게 향상되지 못하며, 40중량%를 초과하면 단열성능은 향상하나 고온에서의 압축강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특징을 지닌다.
본 조성물 중 메틸셀룰로우스는 배합된 내화 단열접착제의 점성을 유지하고 알루미늄 커튼월과의 접착시 얇은 도포에도 접착이 가능하고 접착제의 점성을 유지하여 주므로 시공성이 향상된다. 메칠셀룰로우스는 0.1~2.0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중량이 0.1중량% 미만이면 내화 단열접착제 제조시 점성이 크게 떨어져 타 부재와의 접착성능이 크게 향상되지 못하며, 2.0중량%를 초과하면 점성이 높아져 시공성이 떨어지고 제조단가가 높아져 경제성 면에서 불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은 제품을 내화성 커튼월 제조에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산업부산물인 플라이애쉬 및 폐유리분말 등을 사용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국내에서는 산업부산물로 다량의 플라이애쉬가 발생되고 있어 천연자원의 대체 및 고부가 가치화를 위한 제품 개발에도 적극 대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멘트 2,000g, 플라이애쉬 1,000g, 메타카올린 1,000g, 유리분말 1,000g 및 소듐실리케이트 2,350g 과 경량골재 1,500g 및 메칠셀룰로우즈 15g을 사용하여 커튼월용 내화 단열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사용재료의 물리적 특성 및 배합표는 표1, 2와 같다. 내화 단열접착제의 배합은 혼합용적 5.7L의 강제식 믹서를 이용하였으며, 재료투입은 재료의 균질성을 위하여 선 비빔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KS L 5105에 준 하여 내화 단열접착제를 제작하였다.
상기 경량골재는 펄라이트와 발포 경량골재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하기에 개시되는 표 1은 실시예에서 사용된 사용재료를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상기 사용재료의 배합표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실시예에 따라 측정된 결과를 첨부도면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내화 단열접착제 조성물의 TG-DSC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림으로써, 700℃까지 약 5% 내외의 중량감소를 보이며, 290℃ 부근에서 발열반응을 통한 결정화 및 520℃부근에서 흡열반응으로 결정 전이가 발생하였다. C-S-H(CaO-SiO2-H2O)는 50~150℃, 200℃와 300℃에서 3단계로 탈수하여, C4A3S와 CaO로 변화된 것으로 290℃부근에서의 발열반응을 통해 결정화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내화 단열접착제 조성물의 고온에서의 XRD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림으로써, 2θ가 31도 부근을 정점으로 하는 halo피크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유리질 구조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피크로서 내화 단열접착제가 유리질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피크는 수화가 진행될수록 C-S-H가 생성되며 온도가 고온으로 올라갈수록 Quartz와 C-S-H의 강도세기가 작아졌는데 이는 고온으로 인해 수화생성물들이 분해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Claims (7)

  1. 시멘트 10~40 중량%, 플라이애쉬 10~20 중량%, 메타카올린 10~20 중량%, 폐유리분말 10~20 중량%, 결합재 30~60 중량%, 경량골재 10~40 중량%, 메칠셀룰로우스 0.1~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알루미늄 커튼월용 내화 단열접착제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소듐실리케이트, 리튬실리케이트, 포타슘실리케이트,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알루미늄 커튼월용 내화 단열접착제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골재는 펄라이트, 발포 경량골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알루미늄 커튼월용 내화 단열접착제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고로슬래그 미분말, 실리카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을 10~40중량% 포함되도록 더 첨가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알루미늄 커튼월용 내화 단열접착제용 조성물.
  5.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고층빌딩 알루미늄 커튼월용 내화 단열접착제.
  6. 알루미늄 커튼월의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내화보드에 볼트 및 너트로서 체결하고 이음부에 청구항 제5항 기재의 상기 내화 단열접착제를 이용하여 마감처리하는 알루미늄 커튼월과 무기발포 내화보드의 이음방법.
  7. 무기발포 내화보드 및 이를 연결하는 상부 파이어스톱(Fire Stop) 시스템에 청구항 제5항 기재의 상기 내화 단열접착제를 이용하여 마감처리하는 층간 파이어스톱(Fire stop) 연결철물의 단열마감 방법.
KR1020100139817A 2010-12-31 2010-12-31 내화성 커튼월 경량 내화보드용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음방법 KR101263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817A KR101263417B1 (ko) 2010-12-31 2010-12-31 내화성 커튼월 경량 내화보드용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817A KR101263417B1 (ko) 2010-12-31 2010-12-31 내화성 커튼월 경량 내화보드용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음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747A true KR20120077747A (ko) 2012-07-10
KR101263417B1 KR101263417B1 (ko) 2013-05-10

Family

ID=4671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817A KR101263417B1 (ko) 2010-12-31 2010-12-31 내화성 커튼월 경량 내화보드용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4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6070A (zh) * 2017-09-05 2018-01-16 山东绿昱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轻骨料隔墙及其施工工艺
CN108821735A (zh) * 2018-09-18 2018-11-16 明光瑞尔非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建筑外墙保温防火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294291A (zh) * 2018-09-06 2019-02-01 南京工业大学 一种矿渣基水性建筑外墙涂料
RU2685301C1 (ru) * 2017-12-12 2019-04-17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Боровичский комбинат огнеупоров" Огнеупорная клеев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огнеупорных элементов
KR20190081649A (ko) * 2017-12-29 2019-07-09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방화문용 단열재 조성물 및 방화문용 단열재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354Y1 (ko) * 2003-06-03 2003-08-21 (주)대경강건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JP2004339058A (ja) 2004-07-02 2004-12-02 Tokyo Energy & Systems Inc 断熱用コンクリート組成物及び断熱用コンクリート
JP4502739B2 (ja) * 2004-07-29 2010-07-14 エスケー化研株式会社 防火断熱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5430097B2 (ja) 2008-08-12 2014-02-26 株式会社大林組 断熱構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6070A (zh) * 2017-09-05 2018-01-16 山东绿昱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轻骨料隔墙及其施工工艺
RU2685301C1 (ru) * 2017-12-12 2019-04-17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Боровичский комбинат огнеупоров" Огнеупорная клеев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огнеупорных элементов
KR20190081649A (ko) * 2017-12-29 2019-07-09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방화문용 단열재 조성물 및 방화문용 단열재의 제조 방법
CN109294291A (zh) * 2018-09-06 2019-02-01 南京工业大学 一种矿渣基水性建筑外墙涂料
CN108821735A (zh) * 2018-09-18 2018-11-16 明光瑞尔非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建筑外墙保温防火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417B1 (ko)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5262B (zh) 一种无机复合保温板及其制备方法
CN103174226B (zh) 全部用机械锚固加强筋无机改性不燃泡沫板的外保温墙体
KR101263417B1 (ko) 내화성 커튼월 경량 내화보드용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음방법
CN106396596A (zh) 无机防火板及其制造方法
CN104311113A (zh) 一种防火门芯板材及其制备方法
CN107986720A (zh) 一种保温防火环保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932135B1 (ko) 건축물 외벽 단열층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내화성 표면마감재의 조성물 및 시공방법
KR100473347B1 (ko) 경량골재를 이용한 내화성 판재조성물
KR102025067B1 (ko) 준불연 기능을 갖는 단차단열재
KR101323343B1 (ko) 커튼월 내화성 경량보드용 접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커튼월 구성방법
KR101372517B1 (ko) 내화성 커튼월용 경량 무기발포 내화보드
WO2021177378A1 (ja) 耐火断熱ボード及び耐火断熱構造体
KR100344675B1 (ko) 스프레이형 내화피복재
JP2010241667A (ja) 無機質軽量断熱板材
CN101285334B (zh) 外墙外隔热保温的酚醛-硅酸钙围护构件材料
KR101538132B1 (ko) 마감용 내화단열재가 삽입된 건물벽체
KR102632267B1 (ko) 건축 패널용 난연성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KR20190094866A (ko) 팽창질석과 발포수지를 이용한 단열패널 제조방법
JPS625314Y2 (ko)
KR20100045114A (ko) 불연성 무기질 단열재
JPS625313Y2 (ko)
JP2007290946A (ja) 断熱材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断熱構造体の施工方法。
JPS607164Y2 (ja) 建築用板
LU506622A1 (en) Mineral wool insulation
JPS6290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