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660A -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와 전자처방전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와 전자처방전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660A
KR20120076660A KR1020100125843A KR20100125843A KR20120076660A KR 20120076660 A KR20120076660 A KR 20120076660A KR 1020100125843 A KR1020100125843 A KR 1020100125843A KR 20100125843 A KR20100125843 A KR 20100125843A KR 20120076660 A KR20120076660 A KR 20120076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rescription
electronic
prescription
open api
symmetric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욱재
김경태
김남규
김성
김수년
배수현
윤경아
우병욱
송상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5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6660A/ko
Publication of KR20120076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처방전 시스템에 있어서,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진료 시 생성된 후, 대칭키 등으로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전자 처방전을 약국 등과 같은 조제기관에 구축된 약국 장치에서 복원하여 종이 처방전 없이 환자의 약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처방전의 운용에 대한 일련의 처리 과정을 오픈 API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개발자에 의한 다양한 전자 처방전 처리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적용이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와 전자처방전 운용방법{PHARMACY APPARATUS BASED ON OPEN API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PR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처방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처방전 시스템에 있어서,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진료 시 생성된 후, 대칭키 등으로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전자 처방전을 약국 등과 같은 조제기관에 구축된 약국 장치에서 복원하여 종이 처방전 없이 환자의 약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처방전의 운용에 대한 일련의 처리 과정을 오픈 API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개발자에 의한 다양한 전자 처방전 처리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적용을 용이하도록 하는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와 전자처방전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질병으로 인해 병원 등의 의료기관을 방문하게 되는 경우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 등으로 진료 예약을 한 후, 예약된 시간에 해당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순서에 맞추어 진료를 받게 된다.
이어, 위와 같은 절차를 통해 진료가 진행되는 경우 환자를 진료한 의사는 해당 환자에게 약투여가 필요한 경우 약조제를 위한 처방전을 작성하여 주게 되며, 이와 같이 의사에 의해 작성된 처방전은 병원 등의 의료기관내 전산망을 통해 처방전 발급기로 전송되게 된다.
그러면, 환자는 간호사 등에 의해 프린트된 처방전을 직접 수령하거나 또는 의료기관내 처방전 발급을 위해 마련된 특정 장소나 기계로 이동하여 자신에게 발급된 처방전을 인쇄하여 수령한 후, 통상 의료기관에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약국을 방문하여 처방전을 제출하고 약조제를 수행하게 된다.
즉, 현재는 의약분업에 따라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진료 후, 의사가 발행한 처방전에 대해 해당 환자가 병원 등에서 발급하여 주는 종이 처방전을 위 설명한 절차를 통해 직접 수령한 다음에 원하는 약국에 제출하여 약을 조제받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약조제 방법에서는 병원에서 의사가 발행한 처방전을 약국에 제출하는 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약국에 처방전을 제출한 다음 약사가 약을 조제하는 시간 동안 환자가 대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병원 등에서 일괄적으로 지정하여 주는 약국에는 일반적으로 많은 환자가 몰리게 되어 약국에 대기자가 많은 경우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을 낭비하게 되며, 약국내에서 대기하기 위한 공간도 부족하여 환자의 불편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 처방전 시스템에 있어서,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진료 시 생성된 후, 대칭키 등으로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전자 처방전을 약국 등과 같은 조제기관에 구축된 약국 장치에서 복원하여 종이 처방전 없이 환자의 약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처방전의 운용에 대한 일련의 처리 과정을 오픈 API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개발자에 의한 다양한 전자 처방전 처리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적용을 용이하도록 하는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와 전자처방전 운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로서, 통신망상 암호화된 전자처방전을 관리하는 중계 장치로 환자에 의해 요청된 전자 처방전의 요청, 수신 및 복호 처리를 위한 라이브러리 함수를 포함하는 오픈 API와, 상기 오픈 API내 각 라이브러리 함수에 대한 호출을 수행하는 API 처리 모듈과, 상기 API 처리 모듈을 통해 호출되는 상기 오픈 API내 다양한 라이브러리 함수를 이용하여 생성되며, 상기 전자 처방전의 요청, 수신 및 복호를 수행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오픈 API는, 상기 전자 처방전을 관리하는 통신망상 중계 장치로 연결을 수행하는 중계 장치 연결 수단과, 상기 전자 처방전의 요청을 상기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처방전 요청 수단과,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전자 처방전을 수신하는 전자 처방전 수신 수단과 또는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을 복호하는 전자 처방전 복호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수단은, 상기 라이브러리 함수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알고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 처방전은, 대칭키로 암호화되고, 상기 대칭키를 암호화한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와 함께 상기 중계 장치에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듈내 상기 복호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암호화된 대칭키를 복호하여 대칭키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대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처방전을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칭키는, 일정 길이의 일련의 정수열 또는 영문자와 숫자가 혼합된 혼합문자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에서 전자 처방전 운용 방법으로서, 통신망상 암호화된 전자처방전을 관리하는 중계 장치로 환자에 의해 요청된 전자 처방전의 요청, 수신 및 복호 처리를 위한 다양한 라이브러리 함수를 가지는 오픈 API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오픈 API내 각 라이브러리 함수에 대한 호출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되는 라이브러리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처방전의 요청, 수신 및 복호를 수행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오픈 API는, 상기 전자 처방전을 관리하는 통신망상 중계 장치로 연결을 수행하는 중계 장치 연결 수단과, 상기 전자 처방전의 요청을 상기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처방전 요청 수단과,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전자 처방전을 수신하는 전자 처방전 수신 수단과 또는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을 복호하는 전자 처방전 복호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수단은, 상기 라이브러리 함수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알고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 처방전 시스템에 있어서,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진료 시 생성된 후, 대칭키 등으로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전자 처방전을 약국 등과 같은 조제기관에 구축된 약국 장치에서 복원하여 종이 처방전 없이 환자의 약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처방전의 운용에 대한 일련의 처리 과정을 오픈 API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개발자에 의한 다양한 전자 처방전 처리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적용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처방전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원 장치, 중계 장치, 약국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의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에서 전자 처방전 운용을 위한 신호처리 흐름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의 라이브러리 함수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처방전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병원 장치(100)는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 설치되어 환자의 전자처방전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처방전을 대칭키로 암호화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환자가 병원 등을 방문하여 의사의 진료를 받게 되는 경우 의사는 해당 환자에 대해 진료를 수행한 이후, 투약이 필요한 경우 환자의 질환에 대응하는 처방전을 작성하게 된다.
즉, 병원 장치(100)는 의사로부터 작성된 처방전 문서를 수신하는 경우, 처방전 문서에 대하여 대칭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전자문서로 생성하고, 해당 전자문서에 전자문서의 인증을 위한 전자서명을 수행한 후, 전자문서와 전자서명을 생성할 때 사용된 대칭키도 암호화한다. 이때, 위와 같은 대칭키의 암호화에 있어서 예를 들어 해쉬함수 등의 암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대칭키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어, 병원 장치(100)는 전자문서와 전자서명 그리고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가 포함되는 전자처방전을 완성하여 전자처방전을 관리하는 통신망상 중계장치(130)로 전송한다.
중계 장치(130)는 병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환자의 전자처방전을 관리하는 의료 서비스 장치로서 병원 또는 제3 사업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병원 장치(100)와 약국 장치(150)와 연결될 수 있다.
중계 장치(130)는 병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처방전을 관리하며, 환자로부터 약조제를 의뢰받은 약국 장치(150)로부터 해당 환자의 전자처방전 요청 수신 시 약국 장치(150)로부터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인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관리하는 전자처방전 중에서 약국 장치에서 전송한 인증정보와 일치하는 전자처방전을 검색하여 제공한다.
약국 장치(150)는 통신망을 통해 중계 장치(130)와 접속이 가능한 약국 등에 설치되는 장치로 약사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환자는 병원에서 진료 후 전자처방전의 열람을 위한 인증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인증 정보만을 가지고 약국을 방문하여 전자처방전에 따른 약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환자는 중계 장치(130)에 저장된 전자처방전의 열람을 위한 인증 정보를 약국 장치(150)로 제공하게 된다.
그러면, 약국 장치(150)는 통신망을 통해 중계 장치(130)로 접속하여 인증 정보에 해당하는 전자처방전을 요청하게 되며, 중계 장치(130)로부터 전자처방전을 수신하는 경우, 환자로부터 제공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처방전을 복원하여 환자에게 발급된 처방전 문서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에 따라, 약사가 처방전 문서를 확인하여 약조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처방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병원 장치(100), 중계 장치(130), 약국 장치(150)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병원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병원 장치(100)는 전자문서 생성부(104), 전자서명 생성부(106), 전자처방전 완성부(108), 암호화부(110), 통신부(114) 등을 포함한다.
전자문서 생성부(104)는 의사 등에 의해 작성된 환자에 대한 처방전 문서를 대칭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전자문서로 생성한다. 전자서명 생성부(106)는 전자문서를 인증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생성한다. 암호화부(110)는 전자서명 생성부(106)로부터 생성된 전자서명을 전자문서를 생성할 때 사용한 동일한 대칭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
전자처방전 완성부(108)는 전자문서와 전자서명을 암호화하는데 사용된 대칭키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를 메타(meta) 정보로 생성하여 메타 정보와 암호화된 전자서명과 전자문서를 하나로 포함하는 전자처방전(112)을 생성한다.
통신부(114)는 통신망을 통해 중계 장치(13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장치로, 전자처방전 완성부(108)로부터 생성된 메타 정보와 암호화된 전자서명과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전자처방전을 수신 받아 통신망상 중계 장치(130)로 전송한다.
위와 같이, 전자 처방전과 대칭키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한 후, 병원장치(100)는 환자가 약국 등에서 상기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을 복호할 수 있도록 해당 환자에게 대칭키를 제공한다. 이때, 대칭키는 환자에게 등록된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SMS(short message service)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중계 장치(13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계 장치(130)는 통신부(136), 제어부(134), 메모리부(132), 검색부(138), 전자처방전 DB(140)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36)는 통신망을 통해 병원 장치(100)와 약국 장치(15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장치로, 병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처방전을 수신하여 제어부(134)로 인가시키며, 검색부(138)를 통해 검색된 전자처방전을 제어부(134)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약국 장치(150)로 전송한다.
검색부(138)는 전자 처방전 DB(140)에 저장된 다수의 환자들에 대한 전자 처방전에 대해 전자 처방전을 생성할 때 사용된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장치로, 약국 장치(150)로부터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인 인증 정보와 함께 전자 처방전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인증 정보에 해당하는 전자 처방전을 검색하여 제공한다.
제어부(134)는 메모리부(132)의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중계 장치(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4)는 통신부(136)를 통해 병원 장치(100)로부터 전자 처방전이 수신되는 경우 이를 전자처방전 DB(140)에 저장시켜 관리하며, 약국 장치(150)로부터 전자 처방전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검색부(138)를 제어하여 요청된 전자 처방전을 검색하고, 검색된 전자 처방전을 통신부(136)를 통해 약국 장치(15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약국 장치(15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약국 장치(150)는 통신부(152), 전자처방전 복원부(162), 제어부(154), 키입력부(160), 표시부(158), 메모리부(156)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52)는 통신망을 통해 중계 장치(13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장치로, 전자 처방전의 다운로드 요청 시 제어부(154)에 따라 인증 정보와 전자 처방전 요청을 통신망상 중계 장치(130)로 전송하며, 중계 장치(130)로부터 검색된 전자 처방전을 수신한다.
이때, 위 인증정보는 암호화된 대칭키를 의미하는 것으로, 약국 장치(150)에서는 환자로부터 대칭키를 제공받는 경우, 병원 장치(100)에서 해당 환자의 전자 처방전 암호화시에 대칭키를 암호화하는데 사용하였던 동일한 암호 알고리즘으로 환자로부터 제공된 대칭키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대칭키를 생성한다.
전자 처방전 복원부(162)는 환자로부터 제공된 대칭키를 이용하여 중계 장치(130)로부터 수신된 전자 처방전을 복원하여 환자에게 발급된 처방전 문서를 복원하는 장치로, 전자서명 복호부(170), 전자문서 복호부(168), 문서 검증부(164) 등을 포함한다.
전자서명 복호부(170)는 암호화된 전자서명에 대해 환자가 제공한 전자 처방전 생성시 사용된 동일한 대칭키를 이용해 복호화하여 전자서명을 추출한다. 전자문서 복호부(168)는 환자의 처방전 문서에 대해 암호화한 전자문서를 환자가 제공한 전자 처방전 생성시 사용된 동일한 대칭키를 이용해 복호화하여 원래 처방전 문서(166)를 추출한다. 문서 검증부(164)는 전자문서 복호부(168)로부터 복원된 처방전 문서(166)를 전자서명 복호부(170)로부터 추출된 전자서명을 이용하여 검증한다.
제어부(154)는 메모리부(156)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약국 장치(1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4)는 키입력부(160)를 통해 전자 처방전의 다운로드 요청을 명령하는 키입력이 있는 경우, 환자에 의해 제공된 인증 정보와 함께 해당 환자의 전자 처방전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통신부(152)를 통해 중계 장치(130)로 전송한다. 이어, 통신부(152)를 통해 해당 환자의 전자 처방전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 처방전 복원부(162)를 제어하여 환자에 발급된 처방전 문서를 복원하고, 복원된 처방전 문서(166)를 표시부(158) 등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약사 등이 약조제를 위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키입력부(160)는 다수의 숫자키의 기능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약국 장치(150)의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54)로 출력한다.
표시부(158)는 제어부(154)의 제어에 따라 약국 장치(150)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키입력부(160)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154)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전자 처방전 복원부(162)로부터 복원된 환자의 처방전 문서를 디스플레이하여 약사 등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위 설명된 병원 장치(100), 중계 장치(130), 약국 장치(150) 등의 설명에 있어서, 병원 장치(100), 중계 장치(130), 약국 장치(150) 등은 자체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processor)와 메모리(memory) 등을 구비하는 독립적인 장치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나, 이는 실시예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네트워크 상의 가상화 장치(또는 서버)에 상술한 정보들이 영구적으로 저장되고, 병원 장치(100), 중계 장치(130), 약국 장치(150) 등의 단말에는 상술한 정보들이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환경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술한 정보들을 네트워크 상의 가상화 장치에 저장하고, 이 정보들을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는 단말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도 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처방전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병원 장치(100)는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 설치되어 환자의 전자처방전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처방전을 대칭키로 암호화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환자가 병원 등을 방문하여 의사의 진료를 받게 되는 경우 의사는 해당 환자에 대해 진료를 수행한 이후, 투약이 필요한 경우 환자의 질환에 대응하는 처방전을 작성하게 된다.
즉, 병원 장치(100)는 의사로부터 작성된 처방전 문서를 수신하는 경우, 처방전 문서에 대하여 대칭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전자문서로 생성하고, 해당 전자문서에 전자문서의 인증을 위한 전자서명을 수행한 후, 전자문서와 전자서명을 생성할 때 사용된 대칭키도 암호화한다. 이때, 위와 같은 대칭키의 암호화에 있어서 예를 들어 해쉬함수 등의 암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대칭키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어, 병원 장치(100)는 전자문서와 전자서명 그리고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가 포함되는 전자처방전을 완성하여 전자처방전을 관리하는 통신망상 중계장치(130)로 전송한다.
중계 장치(130)는 병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환자의 전자처방전을 관리하는 의료 서비스 장치로서 병원 또는 제3 사업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병원 장치(100)와 약국 장치(150)와 연결될 수 있다.
중계 장치(130)는 병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처방전을 관리하며, 환자로부터 약조제를 의뢰받은 약국 장치(150)로부터 해당 환자의 전자처방전 요청 수신 시 약국 장치(150)로부터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인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관리하는 전자처방전 중에서 약국 장치에서 전송한 인증정보와 일치하는 전자처방전을 검색하여 제공한다.
약국 장치(150)는 통신망을 통해 중계 장치(130)와 접속이 가능한 약국 등에 설치되는 장치로 약사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환자는 병원에서 진료 후 전자처방전의 열람을 위한 인증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인증 정보만을 가지고 약국을 방문하여 전자처방전에 따른 약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환자는 중계 장치(130)에 저장된 전자처방전의 열람을 위한 인증 정보를 약국 장치(150)로 제공하게 된다.
그러면, 약국 장치(150)는 통신망을 통해 중계 장치(130)로 접속하여 인증 정보에 해당하는 전자처방전을 요청하게 되며, 중계 장치(130)로부터 전자처방전을 수신하는 경우, 환자로부터 제공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처방전을 복원하여 환자에게 발급된 처방전 문서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에 따라, 약사가 처방전 문서를 확인하여 약조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처방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병원 장치(100), 중계 장치(130), 약국 장치(150)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병원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병원 장치(100)는 전자문서 생성부(104), 전자서명 생성부(106), 전자처방전 완성부(108), 암호화부(110), 통신부(114) 등을 포함한다.
전자문서 생성부(104)는 의사 등에 의해 작성된 환자에 대한 처방전 문서를 대칭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전자문서로 생성한다. 전자서명 생성부(106)는 전자문서를 인증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생성한다. 암호화부(110)는 전자서명 생성부(106)로부터 생성된 전자서명을 전자문서를 생성할 때 사용한 동일한 대칭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
전자처방전 완성부(108)는 전자문서와 전자서명을 암호화하는데 사용된 대칭키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를 메타(meta) 정보로 생성하여 메타 정보와 암호화된 전자서명과 전자문서를 하나로 포함하는 전자처방전(112)을 생성한다.
통신부(114)는 통신망을 통해 중계 장치(13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장치로, 전자처방전 완성부(108)로부터 생성된 메타 정보와 암호화된 전자서명과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전자처방전을 수신 받아 통신망상 중계 장치(130)로 전송한다.
위와 같이, 전자 처방전과 대칭키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한 후, 병원장치(100)는 환자가 약국 등에서 상기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을 복호할 수 있도록 해당 환자에게 대칭키를 제공한다. 이때, 대칭키는 환자에게 등록된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SMS(short message service)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중계 장치(13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계 장치(130)는 통신부(136), 제어부(134), 메모리부(132), 검색부(138), 전자처방전 DB(140)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36)는 통신망을 통해 병원 장치(100)와 약국 장치(15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장치로, 병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처방전을 수신하여 제어부(134)로 인가시키며, 검색부(138)를 통해 검색된 전자처방전을 제어부(134)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약국 장치(150)로 전송한다.
검색부(138)는 전자 처방전 DB(140)에 저장된 다수의 환자들에 대한 전자 처방전에 대해 전자 처방전을 생성할 때 사용된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장치로, 약국 장치(150)로부터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인 인증 정보와 함께 전자 처방전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인증 정보에 해당하는 전자 처방전을 검색하여 제공한다.
제어부(134)는 메모리부(132)의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중계 장치(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4)는 통신부(136)를 통해 병원 장치(100)로부터 전자 처방전이 수신되는 경우 이를 전자처방전 DB(140)에 저장시켜 관리하며, 약국 장치(150)로부터 전자 처방전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검색부(138)를 제어하여 요청된 전자 처방전을 검색하고, 검색된 전자 처방전을 통신부(136)를 통해 약국 장치(15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약국 장치(15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약국 장치(150)는 통신부(152), 전자처방전 복원부(162), 제어부(154), 키입력부(160), 표시부(158), 메모리부(156)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52)는 통신망을 통해 중계 장치(13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장치로, 전자 처방전의 다운로드 요청 시 제어부(154)에 따라 인증 정보와 전자 처방전 요청을 통신망상 중계 장치(130)로 전송하며, 중계 장치(130)로부터 검색된 전자 처방전을 수신한다.
이때, 위 인증정보는 암호화된 대칭키를 의미하는 것으로, 약국 장치(150)에서는 환자로부터 대칭키를 제공받는 경우, 병원 장치(100)에서 해당 환자의 전자 처방전 암호화시에 대칭키를 암호화하는데 사용하였던 동일한 암호 알고리즘으로 환자로부터 제공된 대칭키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대칭키를 생성한다.
전자 처방전 복원부(162)는 환자로부터 제공된 대칭키를 이용하여 중계 장치(130)로부터 수신된 전자 처방전을 복원하여 환자에게 발급된 처방전 문서를 복원하는 장치로, 전자서명 복호부(170), 전자문서 복호부(168), 문서 검증부(164) 등을 포함한다.
전자서명 복호부(170)는 암호화된 전자서명에 대해 환자가 제공한 전자 처방전 생성시 사용된 동일한 대칭키를 이용해 복호화하여 전자서명을 추출한다. 전자문서 복호부(168)는 환자의 처방전 문서에 대해 암호화한 전자문서를 환자가 제공한 전자 처방전 생성시 사용된 동일한 대칭키를 이용해 복호화하여 원래 처방전 문서(166)를 추출한다. 문서 검증부(164)는 전자문서 복호부(168)로부터 복원된 처방전 문서(166)를 전자서명 복호부(170)로부터 추출된 전자서명을 이용하여 검증한다.
제어부(154)는 메모리부(156)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약국 장치(1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4)는 키입력부(160)를 통해 전자 처방전의 다운로드 요청을 명령하는 키입력이 있는 경우, 환자에 의해 제공된 인증 정보와 함께 해당 환자의 전자 처방전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통신부(152)를 통해 중계 장치(130)로 전송한다. 이어, 통신부(152)를 통해 해당 환자의 전자 처방전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 처방전 복원부(162)를 제어하여 환자에 발급된 처방전 문서를 복원하고, 복원된 처방전 문서(166)를 표시부(158) 등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약사 등이 약조제를 위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키입력부(160)는 다수의 숫자키의 기능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약국 장치(150)의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54)로 출력한다.
표시부(158)는 제어부(154)의 제어에 따라 약국 장치(150)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키입력부(160)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154)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전자 처방전 복원부(162)로부터 복원된 환자의 처방전 문서를 디스플레이하여 약사 등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위 설명된 병원 장치(100), 중계 장치(130), 약국 장치(150) 등의 설명에 있어서, 병원 장치(100), 중계 장치(130), 약국 장치(150) 등은 자체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processor)와 메모리(memory) 등을 구비하는 독립적인 장치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나, 이는 실시예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네트워크 상의 가상화 장치(또는 서버)에 상술한 정보들이 영구적으로 저장되고, 병원 장치(100), 중계 장치(130), 약국 장치(150) 등의 단말에는 상술한 정보들이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환경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술한 정보들을 네트워크 상의 가상화 장치에 저장하고, 이 정보들을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는 단말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도 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암호화된 전자처방전을 처리하는 약국 장치는 오픈 API를 이용하여 다수의 개발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150)의 소프트웨어(software) 모듈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약국 장치의 소프트웨어 모듈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오픈 API(300)는 약국 장치(150)에서 전자 처방전을 처리하기 위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모듈(interface module)을 연동할 수 있는 API로 그 소스가 공개되며, 도 5에서와 같은 다양한 라이브러리 함수(library function)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CAConnect 함수는 오픈 API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모듈을 로드(load)하는 함수로 전자 처방전을 관리하는 중계 장치(130)에 연결한 후, 연결(connection) ID를 획득한다.
CAOpenDocument 함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모듈에 존재하는 서비스를 오픈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함수로, 전자 처방전 등의 문서 열기를 수행한다.
CASetData 함수는 오픈된 문서에 대해서 문서 내부에 사전 정의된 요소(element)에 데이터를 설정한다. CASendDocument 함수는 외부 서비스에 데이터를 실제로 전송하는 함수로, 전자 처방전을 요청하는 문서를 중계 장치(130)로 전송한다.
CAGetData 함수는 외부 서비스로부터 결과 데이터를 가져오는 함수로, 중계 장치(130)로부터 전자 처방전 데이터를 가져온다. CADisconnect 함수는 로드된 서비스 인터페이스 모듈을 중지시키는 함수로, 전자 처방전 요청을 위한 서비스를 종료한다.
CAGetLastError 함수는 오류발생 시 이를 처리하는 함수로, 오류발생 시 최근 오류코드를 가져온다. CAGetDataMaxLength 함수는 데이터의 최대 길이값을 가져오는 함수로, CASetData, CAGetData에서 주어진 요소에 대한 데이터의 최대 길이값을 가져온다.
CASetModulePath 함수는 파일 폴더를 지정하는 함수로, 예를 들어 eRX.Service.m 파일이 있는 폴더를 지정하며, CAConnect 함수를 사용하기 전에 eRX.Service.m 파일을 호출한다.
또한, 오픈 API(300)는 약국 장치(150)에서 전자 처방전의 요청, 수신 및 복호 등을 처리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생성에 사용되는 수단을 구비한다.
위 언급된 오픈 API(300)에 구비되는 수단은 예를 들어, 전자 처방전을 관리하는 통신망상 중계 장치(130)로 연결을 수행하는 중계 장치 연결 수단과, 전자 처방전의 요청을 통신망상 중계 장치(130)로 전송하는 전자 처방전 요청 수단과, 중계 장치(130)로부터 전자 처방전을 수신하는 전자 처방전 수신 수단과,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을 복호하는 전자 처방전 복호 수단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수단은 다수의 라이브러리 함수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알고리즘이 될 수 있다.
API 처리모듈(302)은 애플리케이션 모듈(304)에 구비되는 전자 처방전의 요청, 수신 및 복호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의 생성 시 각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청되는 오픈 API 라이브러리 함수를 오픈 API(300)로부터 호출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304)은 약국 장치(150)에서 전자 처방전의 운용을 위해 필요한 전자 처방전의 요청, 수신 및 복호를 처리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모듈(304)내 포함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전자처방전을 관리하는 통신망상 중계 장치(130)로 연결을 수행하는 중계 장치 연결 수단 애플리케이션(306)과, 전자 처방전의 요청을 통신망상 중계 장치(130)로 전송하는 전자 처방전 요청 수단 애플리케이션(308)과, 중계 장치(130)로부터 전자 처방전을 수신하는 전자 처방전 수신 수단 애플리케이션(310)과,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을 복호하는 전자 처방전 복호 수단 애플리케이션(312) 등이 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모듈(304)내 오픈 API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은 환자의 전자 처방전을 복호하여 약조제를 수행하는 약국 장치(150)에서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의 요청, 수신 및 복호 등을 처리하며,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오픈 API 기반에서 다양한 개발자에 의해 서로 다른 형태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처방전 시스템에서 전자처방전을 처리하는 신호처리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환자가 병원 등의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경우 환자의 진료를 수행하는 의사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투약이 필요한 경우 처방전 문서를 작성하게 된다. 이때, 위와 같이 작성된 처방전 문서(102)는 의사의 컴퓨터 단말장치와 연결되는 병원 장치(100)로 전송된다.
즉, 병원 장치(100)는 병원 내 내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의사의 컴퓨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환자의 처방전 문서(102)를 수신하게 된다(S400).
위와 같이, 처방전 문서(102)를 수신하는 경우 병원 장치(100)는 처방전 문서(102)에 대하여 대칭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전자문서를 생성하고(S402), 전자문서를 인증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생성한 후, 전자서명을 전자문서를 생성할 때 사용한 동일한 대칭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S404).
이어, 병원 장치(100)는 전자문서와 전자서명을 암호화하는데 사용된 대칭키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를 메타 정보로 생성하여 메타정보와 암호화된 전자서명과 전자문서를 하나로 포함하는 전자 처방전을 생성한 후(S406), 전자 처방전을 통신망을 통해 중계 장치(130)로 전송한다(S408).
이때, 병원 장치(100)는 전자 처방전의 암호화 수행 시, 전자 처방전의 해당 환자에게는 환자가 약국 등을 방문할 때 약국에서 전자 처방전을 다운로드하여 복호화할 수 있도록 전자 처방전을 생성할 때 사용한 동일한 대칭키 정보를 전자 처방전의 열람을 위한 인증 정보로 제공한다. 이때, 위와 같은 인증 정보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일련의 정수열 또는 영문과 숫자가 혼합된 혼합문자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환자에게 등록된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SMS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중계 장치(130)는 병원 장치(100)로부터 전자 처방전이 수신되는 경우 이를 전자 처방전 DB(140)에 저장시켜 관리한다(S410).
한편, 병원 진료를 마친 환자는 종래와 같이 종이로 인쇄된 처방전을 들고 약국을 방문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중계 장치(130)로부터 제공된 전자 처방전 열람을 위한 인증 정보만을 가지고 약국을 방문하여 인증 정보를 제공하고 약조제를 요청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약국 장치(150)는 환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S412), 통신망을 통해 중계 장치(130)로 접속한 후(S414), 인증 정보에 해당하는 전자 처방전의 다운로드를 요청한다(S416). 이때, 위 인증정보는 암호화된 대칭키를 의미하는 것으로, 약국 장치(150)에서는 환자로부터 대칭키를 제공받는 경우, 병원 장치(100)에서 해당 환자의 전자 처방전 암호화시에 대칭키를 암호화하는데 사용하였던 동일한 암호 알고리즘으로 환자로부터 제공된 대칭키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대칭키를 생성한다.
그러면, 중계 장치(130)는 환자로부터 약조제를 의뢰받은 약국 장치(150)로부터 해당 환자의 전자 처방전 다운로드 요청 수신 시 약국 장치(15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처방전 DB(140)에 관리하고 있는 전자 처방전 중에서 약국 장치(150)에서 전송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전자 처방전을 검색한다(S418).
이때, 전자 처방전의 검색에 있어서, 인증 정보에는 전자 처방전의 생성시 사용된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바, 중계 장치(130)는 전자 처방전 DB(140)에 저장된 전자 처방전의 메타 정보를 검색하여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가 일치하는 전자 처방전을 검색한다.
이어, 중계 장치(130)는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가 일치하는 전자 처방전을 전자 처방전 DB(140)로부터 리드(read)하고(S420), 리드된 전자 처방전을 통신망을 통해 약국 장치(150)로 전송한다(S422).
그러면, 약국 장치(150)는 중계 장치(130)로부터 전자 처방전을 수신하는 경우, 환자로부터 제공된 인증 정보를 이용해 전자 처방전을 복원하여 환자에게 발급된 처방전 문서(166)를 디스플레이시킨다(S424). 이에 따라, 약사가 복원된 처방전 문서(166)를 확인하여 약조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S426).
이때, 전자 처방전의 복원에 있어서, 약국 장치(150)에서는 전자 처방전내 포함된 전자서명을 환자에게 제공받은 인증 정보에 포함된 대칭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고, 암호화된 전자문서에 대해서도 동일한 대칭키를 이용해 복호화하여 복원된 처방전 문서(166)를 추출한다. 이어, 약국 장치(150)는 복원된 처방전 문서(166)를 전자서명으로 검증하여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약국 장치에서 수행되는 중계 장치로 환자의 전자 처방전 요청 처리, 중계 장치로부터 해당 환자의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 수신 처리,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을 환자로부터 제공받은 암호화된 대칭키 등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동작 등의 처리는 오픈 API 기반에서 다수의 개발자에 의해 서로 다른 형태로 개발될 수 있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약국 장치에서 전자 처방전의 요청, 수신 및 복호 등과 같은 전자 처방전의 운용에 대한 일련의 처리 과정을 오픈 API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개발자에 의한 다양한 전자 처방전 처리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적용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자 처방전 시스템에 있어서,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진료 시 생성된 후, 대칭키 등으로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전자 처방전을 약국 등과 같은 조제기관에 구축된 약국 장치에서 복원하여 종이 처방전 없이 환자의 약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처방전의 운용에 대한 일련의 처리 과정을 오픈 API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개발자에 의한 다양한 전자 처방전 처리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적용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진료 시 의사에 의해 발급되는 약조제를 위한 처방전을 전자 처방전으로 생성 후,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이와 같은 전자 처방전을 약국 등에서 복원하는 일련의 처리 과정을 오픈 API 기반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전자 처방전 장치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00 : 병원 장치 130 : 중계 장치
150 : 약국 장치 102 : 처방전 문서
104 : 전자문서 생성부 106 : 전자서명 생성부
108 : 전자처방전 완성부 110 : 암호화부
138 : 검색부 140 : 전자처방전 DB
162 : 전자처방전 복원부 164 : 문서 검증부
168 : 전자문서 복호부 170 : 전자서명 복호부
300 : 오픈 API 302 : API 처리 모듈
304 : 애플리케이션 모듈

Claims (9)

  1. 통신망상 암호화된 전자처방전을 관리하는 중계 장치로 환자에 의해 요청된 전자 처방전의 요청, 수신 및 복호 처리를 위한 라이브러리 함수를 포함하는 오픈 API와,
    상기 오픈 API내 각 라이브러리 함수에 대한 호출을 수행하는 API 처리 모듈과,
    상기 API 처리 모듈을 통해 호출되는 상기 오픈 API내 다양한 라이브러리 함수를 이용하여 생성되며, 상기 전자 처방전의 요청, 수신 및 복호를 수행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듈
    을 포함하는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API는,
    상기 전자 처방전을 관리하는 통신망상 중계 장치로 연결을 수행하는 중계 장치 연결 수단과, 상기 전자 처방전의 요청을 상기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처방전 요청 수단과,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전자 처방전을 수신하는 전자 처방전 수신 수단과 또는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을 복호하는 전자 처방전 복호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단은,
    상기 라이브러리 함수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알고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처방전은,
    대칭키로 암호화되고, 상기 대칭키를 암호화한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와 함께 상기 중계 장치에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듈내 상기 복호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암호화된 대칭키를 복호하여 대칭키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대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처방전을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키는,
    일정 길이의 일련의 정수열 또는 영문자와 숫자가 혼합된 혼합문자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
  7. 통신망상 암호화된 전자처방전을 관리하는 중계 장치로 환자에 의해 요청된 전자 처방전의 요청, 수신 및 복호 처리를 위한 다양한 라이브러리 함수를 가지는 오픈 API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오픈 API내 각 라이브러리 함수에 대한 호출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되는 라이브러리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처방전의 요청, 수신 및 복호를 수행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처방전 운용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API는,
    상기 전자 처방전을 관리하는 통신망상 중계 장치로 연결을 수행하는 중계 장치 연결 수단과, 상기 전자 처방전의 요청을 상기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처방전 요청 수단과,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전자 처방전을 수신하는 전자 처방전 수신 수단과 또는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을 복호하는 전자 처방전 복호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처방전 운용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단은,
    상기 라이브러리 함수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알고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처방전 운용 방법.
KR1020100125843A 2010-12-09 2010-12-09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와 전자처방전 운용방법 KR20120076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43A KR20120076660A (ko) 2010-12-09 2010-12-09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와 전자처방전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43A KR20120076660A (ko) 2010-12-09 2010-12-09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와 전자처방전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660A true KR20120076660A (ko) 2012-07-09

Family

ID=46710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843A KR20120076660A (ko) 2010-12-09 2010-12-09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와 전자처방전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66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474B1 (ko) * 2018-11-23 2019-06-14 (주)레몬헬스케어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처방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249664B1 (ko) * 2020-06-23 2021-05-10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474B1 (ko) * 2018-11-23 2019-06-14 (주)레몬헬스케어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처방 전송 시스템 및 방법
WO2020105823A1 (ko) * 2018-11-23 2020-05-28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처방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111433858A (zh) * 2018-11-23 2020-07-17 柠檬医疗保健有限公司 基于云技术的电子处方传送系统及方法
EP3680910A4 (en) * 2018-11-23 2021-12-22 Lemon Healthcare Ltd CLOU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AN ELECTRONIC ORDER
KR102249664B1 (ko) * 2020-06-23 2021-05-10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75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tient-controlled, encrypted, consolidated medical records
US20170337332A1 (en) Secure portable medical information access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JP5967408B2 (ja) 情報取得端末装置および情報取得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9123712A2 (en) Information server and mobile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20150254423A1 (en) Computer-based prescription system for medicaments
JP6350658B2 (ja) 薬歴情報管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270990B1 (ko) 전자 처방전 시스템과 병원 장치, 중계 장치, 약국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Sethia et al. Smart health record management with secure NFC-enabled mobile devices
KR101799084B1 (ko) 전자 처방전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 병원 장치, 암호화 관리 장치, 중계 장치 및 약국 장치
KR20120046908A (ko) 전자 처방전 시스템과 장치, 단말기 및 방법
JP201617746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携帯端末、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269682B1 (ko) 전자 처방전을 이용한 환자 포탈 장치 및 환자 단말의 조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20076660A (ko)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와 전자처방전 운용방법
KR20120076666A (ko) 오픈 api기반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의료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00331101A (ja) 医療関連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2274807B1 (ko) 전자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전자처방전 관리용 클라우드 서버
Ukalkar et al. Cloud based NFC health card system
JP201814736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716113B1 (ja) 処方箋管理システム、調剤薬局の受付員用端末装置、処方箋管理方法、調剤薬局に配置されたコンピュータ用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202152B2 (ja) 情報取得端末装置および方法、情報管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210000479A (ko) 전자처방전 관리 시스템
US20110276350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to store, access, and transfer personal health records
WO2022203013A1 (ja) 医療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102636838B1 (ko) 연속 처방 및 다기관 연속 처방을 지원하는 디지털 치료제 플랫폼 시스템 및 디지털 치료제 제공 방법
KR101269685B1 (ko) 전자 처방전 시스템과 병원 emr장치, 중계 장치, 약국 pms 장치 및 정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