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664B1 -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664B1
KR102249664B1 KR1020200076394A KR20200076394A KR102249664B1 KR 102249664 B1 KR102249664 B1 KR 102249664B1 KR 1020200076394 A KR1020200076394 A KR 1020200076394A KR 20200076394 A KR20200076394 A KR 20200076394A KR 102249664 B1 KR102249664 B1 KR 102249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cription
pharmacy
server
fa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00076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664B1/ko
Priority to US18/002,777 priority patent/US20230197219A1/en
Priority to PCT/KR2021/007757 priority patent/WO2021261862A1/ko
Priority to US18/456,577 priority patent/US2023040214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병원서버가 사용자단말에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에 대한 사전동의서를 제공하고, 사용자단말에서 수신된 사전동의서에 기초하여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신청하고, 동의서 확인내용을 병원서버 및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병원서버 및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ID에 기초하여 동의서 확인내용을 저장하여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신청한 환자 여부를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단말이 결제서비스를 실행하여, 클라우드서버에 결제를 요청하면, 클라우드서버가 결제API를 실행하여 병원서버에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와, 병원서버가 결제내역을 저장하고, EMR로부터 처방정보를 추출하여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병원서버로부터 처방정보를 수신하면, 환자보관용 처방전과 약국보관용 처방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n-face-to-face electronic prescription service}
본 발명은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처방전 발급 절차를 비대면 방식으로 전환하여 진료 후 약 조제까지 타인간의 접촉을 최소화하도록 모바일을 통해 전자처방전을 전달하는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유형의 전염병이 유행하면서 비대면 의료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정부는 진료 후 발행하는 처방전을 환자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별도의 추가 절차 없이 전국약국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시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전염병의 추세로 볼 때, 이러한 조치는 한시적으로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에 대한 니즈는 더 높아질 것이다.
한편 종래의 전자처방전 서비스는 병원에서 사용자단말기에 환자보관용 전자처방전을 전송하면, 사용자가 약국에 직접 가서 사용자단말기를 보여주거나 QR코드를 이용하여 약을 조제하고 있어 불편한 점이 많으며, 환자 단말기의 상태, 진료비 결제 방법, 전자처방전 발행에 따른 절차 동의 여부에 따라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선행특허로는 등록특허 제10-1989474호(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처방 전송 시스템 및 방법)가 있으나, 병원서버의 DBMS와 개발언어의 종류에 상관없이 전자처방을 생성하기 위한 표준화API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전 동의를 받은 환자에게 진료 후 약 수령까지 타인간의 접촉을 최소화하도록 모바일을 통해 전자처방전 발행이 가능한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은, 병원서버가 사용자단말에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에 대한 사전동의서를 제공하고, 사용자단말에서 수신된 사전동의서에 기초하여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신청하고, 동의서 확인내용을 병원서버 및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병원서버 및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ID에 기초하여 동의서 확인내용을 저장하여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신청한 환자 여부를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단말이 결제서비스를 실행하여, 클라우드서버에 결제를 요청하면, 클라우드서버가 결제API를 실행하여 병원서버에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와, 병원서버가 결제내역을 저장하고, EMR로부터 처방정보를 추출하여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병원서버로부터 처방정보를 수신하면, 환자보관용 처방전과 약국보관용 처방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단말에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에 대한 사전동의서를 제공하고, 사용자단말에서 사전동의서 확인내용을 수신하면, 사용자ID에 기초하여 저장하고 사용자단말이 결제를 요청하면 EMR에서 처방정보를 추출하여 클라우드서버에 처방정보를 전송하는 병원서버와, 전자처방전 사전 동의서에 동의하고, 결제를 요청하면 클라우드서버로부터 환자보관용처방전을 수신하여 약 조제를 요청하는 사용자단말과, 병원서버로부터 처방정보를 수신하여 환자보관용 처방전 및 약국 보관용 처방전을 생성하고, 사용자단말 및 약국서버의 요청이 있으면 사용자단말에 환자보관용 처방전을 전송하고, 약국서버에 약국 보관용 처방전을 전송하는 클라우드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대면 방식으로 전자처방전을 전달하여 약 선조제를 요청함으로써 환자의 병원내 이동을 최소화하고, 약국 내의 조제 대기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약국에서 조제가 시작되면, 전자처방전에 대한 원본 제어가 되어 다른 약국은 조제가 불가하도록 설정되어 타 약국에서 중복 조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약국에 제공되는 전자처방전은 기존의 종이처방전과 양식이 동일하여 약국에서 전자 처방전 업무를 처리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없고,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의 사전동의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국 데몬프로그램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비대면 방식은 원격진료, 화상진료, 전화진료 등 의사와 직접 만나지 않고 진료를 받는 모든 방식을 의미힌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은 먼저 병원서버(200)가 사용자단말(300)에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에 대한 사전동의서를 제공한다(S100). 사용자단말(300)은 수신된 사전동의서에서 동의를 선택하여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S101). 사용자단말(300)은 동의서 확인내용을 병원서버(200)에 전송한다(S103). 또한, 사용자단말(300)은 동의서 확인내용을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한다(S104).
병원서버(200)가 사용자ID에 기초하여 동의서 확인내용을 저장하여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신청한 환자 여부를 저장한다(S105). 또한, 클라우드서버(100)가 사용자ID에 기초하여 동의서 확인내용을 저장하여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신청한 환자 여부를 저장한다(S106).
사용자단말(300)이 병원 진료가 종료되어 결제서비스를 실행하고, 클라우드서버(100)에 결제를 요청하면, 클라우드서버(100)가 결제API를 실행하여 병원서버에 결제를 요청한다(S113).
병원서버(200)가 결제된 내역을 저장하고(S115), 병원서버의 EMR로부터 사용자ID에 기초한 처방정보를 추출하여 클라우드서버(100)에 전송한다(S119).
클라우드서버(100)가 병원서버(200)로부터 처방정보를 수신하면, 클라우드서버(100)는 상기 처방정보에 기초하여 환자보관용 처방전과 약국보관용 처방전을 생성한다(S121). 클라우드서버(100)는 환자보관용 처방전을 사용자단말(300)에 전송한다(S123). 사용자단말(300)은 수신된 환자보관용 처방전을 조회하고 클라우드서버에 약 조제를 요청한다(S127). 클라우드서버(100)가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약 조제요청을 받으면 처방API를 실행하고(S129), 약국서버(400)에 약 조제를 요청한다(S131).
약국서버(400)가 클라우드서버(100)로부터 약 조제요청을 받으면(S131), 약국서버(400)는 약국데몬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클라우드서버에 처방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약국데몬프로그램은 고객등록, 수납요청, 수납취소, 조제완료, 조제중, 수령완료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약국데몬프로그램은 약국관리자 프로그램과 연동된다. 약국에서 조제가 시작되면, 전자처방전에 대한 원본 제어가 되어 다른 약국은 조제가 불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환자에게 약국 관리자 프로그램을 통해 수납요청, 수납확인, 조제완료, 수령완료 상태에 대한 알림을 사용자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약국데스크PC는 처방전 데이터를 약국관리자프로그램에 전달하고, 외부 인터페이스와 암복호화처리하고, 가상 시리얼포트를 이용하여 QR코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서버(100)가 사용자단말에 선조제 가능여부를 알리고, 사용자단말에서 약국서버에 약 선조제를 요청하면 약국서버가 선조제 승인여부를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약국서버가 병원서버에 전자처방전 병원 인증서 정보를 요청하고(S145), 병원서버(200)가 전자처방전 병원인증서 정보를 약국서버(400)에 전송하면, 약국서버 (400)는 이를 수신하여 약조제 서비스를 실행한다. 이때, 약국서버에 제공되는 전자처방전은 기존의 종이처방전의 이미지 및 전자서명이 포함되며, 종이 처방전과 양식이 동일하여 약국에서 전자 처방전 업무를 처리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없고,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약국서버에 전송된 처방전에 QR을 클릭하면 조제 프로그램이 열리고 바로 처방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약국서버는 QR코드 변환 및 전송 기능을 포함하며 약품 정보도 클릭 시 약품 제공하는 사이트가 연결되어 약품 정보를 확인이 가능하다.
약조제가 완료되고, 사용자단말(300)이 QR코드를 표시하여 약국에 비치된 약국리더기와 접촉되면, 약국서버(400)는 QR코드를 인식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이 완료되면 조제된 약을 환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약국서버는 약국용 전자서명 및 전자처방전을 저장한다(S157). 이때, 약국서버(400)는 공전소서버(500)에 약국용 전자서명한 전자처방전을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자처방전은 모든 구간에서 암호화 처리되어 전달되고, 병원서버와 약국서버에서만 정보를 볼 수 있으며, 유효기간 이후에는 자동 삭제되어 보안성이 높다. 실시예에 따라 약제비 실손보험청구 서비스가 연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시스템(10)은 클라우드서버(100), 병원서버(200), 사용자단말(300), 약국서버(400), 공전소서버(500)로 구성된다.
클라우드서버(100)는 처방전생성부(110), 사용자인증부(120), API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50), 제어부(160)로 구성된다.
처방전생성부(110)는 병원서버(200)로부터 처방정보를 수신하면, 클라우드서버(100)는 상기 처방정보에 기초하여 환자보관용 처방전과 약국보관용 처방전을 생성한다(S121). 생성된 환자보관용 처방전과 약국보관용 처방전은 저장부에 임시 저장되며, 처방이 완료되면 삭제된다.
사용자인증부(120)는 사용자ID에 기초하여 동의서 확인내용을 저장하여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신청한 환자 여부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사용자단말이 결제를 요청하면 사용자ID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API부(130)는 결제API, 처방API를 포함한다. API부는 푸시API, 실손API, 모바일API 등의 다수개의 API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PI부는 사용자단말이 결제서비스 또는 처방서비스를 호출하면 호출서비스에 매칭되는 API를 로딩하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병원서버(200), 사용자단말(300), 약국서버(400)와 유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동의서 확인내용을 전달받아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신청한 환자 여부를 저장한다. 저장부(150)는 처방전생성부에서 생성된 환자보관용 처방전과 약국보관용 처방전을 임시 저장하고, 처방이 완료되면 삭제한다. 제어부(160)는 클라우드서버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병원서버(200)는 저장부(210), 추출부(220), EMR(230), 통신부(240)로 구성된다. 저장부(210)는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전자처방전 사전동의서 확인내용은 수신하면 사용자ID에 기초하여 동의여부를 저장한다. 저장부(210)는 결제된 내역을 저장한다. 병원서버(200)는 약국서버(400)에 병원인증서 정보를 전송하면, 전자처방전 원본 제어 약전프로그램과 연동되어 다른 약국에서 전자처방전 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전자처방전을 발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병원서버(200)는 전자처방전의 중복 처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추출부(220)는 EMR부로부터 사용자ID에 기초하여 처방정보를 추출한다. EMR(230)은 환자정보, 진료정보, 처방정보, 원무정보, 이력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EMR(230)에 저장되는 정보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240)는 클라우드서버(100), 사용자단말(300), 약국서버(400)와 유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약국서버(400)는 데몬프로그램부(410), QR인식부(420), 저장부(430)로 구성된다. 데몬프로그램부(410)는 서버데몬기능을 수행하며 약국관리자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약조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데몬프로그램부(410)는 약국서버에 전송된 처방전에 QR을 클릭하면 조제 프로그램이 열리고 바로 처방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약국서버는 QR코드 변환 및 전송 기능을 포함하며 약품 정보도 클릭 시 약품 제공하는 사이트가 연결되어 약품 정보를 확인이 가능하다.
데몬프로그램부(410)는 데이터 처리 방식에 있어서, 처방구분에 일반 처방전과 전자처방전 구분 조회를 두는 방식, 최초 수신을 어디서 받았는지 확인하는 항목을 두는 구분 방식, 처방 수신 기간 조회를 하는 방식, 처방전 현 상태 조회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 수납 상태 조회기능을 두는 방식, 구분 상태에 따라 시스템 프로그램 내 색 보정을 두는 방식, 및 상용구 추가 기능을 두어 환자에게 처방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데몬프로그램부(410)는 사용자단말에 약의 조제 시작 및 종료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QR인식부(420)는 QR리더기를 통해 사용자단말에 표시된 QR을 인식할 수 있다. 저장부(430)는 약국용 전자서명 및 전자처방전을 저장할 수 있다.
공전소서버(500)는 약국서버로부터 약국용 전자서명한 전자처방전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의 사전동의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서의 사전동의서의 예시화면이다. 환자이름, 환자번호, 휴대전화번호, 동의여부, 신청자서명을 입력하여 사전동의서를 작성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오프라인에 비치되어 환자가 사전동의서를 작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국 데몬프로그램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약국데몬프로그램은 서버데몬기능을 수행하며, 서버데몬기능은 고객등록, 수납요청, 수납취소, 조제완료, 조제중, 수령완료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국데몬프로그램은 약국관리자 프로그램과 연동될 수 있다. 약국관리자프로그램은 고객등록, 수납요청, 수납취소, 조제완료, 조제중, 수령완료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데몬기능과 관리자프로그램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약국에서 조제가 시작되면, 전자처방전에 대한 원본 제어가 되어 다른 약국은 조제가 불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환자에게 약국 관리자 프로그램을 통해 수납요청, 수납확인, 조제완료, 수령완료 상태에 대한 알림을 사용자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약국 데스크 PC는 QR리더기를 포함하고, 약국 관리자 프로그램에 처방전 데이터를 전달하며, 외부 인터페이스와 암복호화처리, 가상 시리얼포트를 이용하여 QR코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a)를 참조하면, 병원 내에 비치하여 환자들이 사용자단말을 이용하여 전자처방전 사전동의서를 작성하도록 QR코드를 표시한 화면이다. QR코드 뿐 아니라 URL을 제공하여 사전동의서를 작성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전용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가입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가입하려면 사전 동의가 필요하며 사전 동의를 요청하는 페이지로 전환될 수 있다.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시스템
100; 클라우드서버 200; 병원서버
300; 사용자단말 400; 약국서버

Claims (6)

  1.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병원서버가 사용자단말에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에 대한 사전동의서를 제공하고, 사용자단말에서 수신된 사전동의서에 기초하여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신청하고, 동의서 확인내용을 병원서버 및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병원서버 및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ID에 기초하여 동의서 확인내용을 저장하여 비대면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신청한 환자 여부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단말이 결제서비스를 실행하여, 클라우드서버에 결제를 요청하면, 클라우드서버가 결제API를 실행하여 병원서버에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병원서버가 결제내역을 저장하고, EMR로부터 처방정보를 추출하여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클라우드서버가 병원서버로부터 처방정보를 수신하면, 환자보관용 처방전과 약국보관용 처방전을 생성하는 단계;
    클라우드서버가 생성된 환자보관용 처방전을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면, 사용자단말이 환자보관용 처방전을 조회하고 클라우드서버에 약 조제를 요청하는 단계;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약 조제요청을 받으면 처방API를 실행하고, 약국서버에 약 조제를 요청하는 단계;
    약국서버가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약 조제요청을 받으면, 약국데몬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클라우드서버에 처방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에 선조제 가능여부를 알리고, 사용자단말에서 약국서버에 약 선조제를 요청하면 약국서버가 선조제 승인여부를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약국서버가 병원서버에 전자처방전 병원 인증서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약조제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단말이 QR코드를 표시하여 약국리더기에 접촉되면, 약국서버가 QR코드를 인식하고, 약국용 전자서명 및 전자처방전을 저장하는 단계;
    약국서버가 약국용 전자서명한 전자처방전을 공전소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약국데몬프로그램은 약국관리자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약국에서 조제가 시작되면 전자처방전에 대한 원본 제어가 되어 다른 약국에서는 조제가 불가하도록 설정되고, 환자에게 약국관리자 프로그램을 통해 수납요청, 수납확인, 조제완료, 수령완료 상태에 대한 알림을 사용자단말에 제공하고, 약국데스크PC는 처방전 데이터를 약국관리자프로그램에 전달하고, 외부 인터페이스와 암복호처리하고, 가상시리얼포트를 이용하여 QR코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약국데몬프로그램은 약국서버의 데몬프로그램부에서 수행되며,
    상기 데몬프로그램부는 데이터 처리 방식에 있어 처방구분에 일반 처방전과 전자처방전 구분 조회를 두는 방식, 최초 수신을 어디서 받았는지 확인하는 항목을 두는 구분 방식, 처방 수신 기간 조회를 하는 방식, 처방전 현 상태 조회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 수납 상태 조회기능을 두는 방식, 구분 상태에 따라 시스템 프로그램 내 색 보정을 두는 방식, 및 상용구 추가 기능을 두어 환자에게 처방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처리되는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76394A 2020-06-23 2020-06-23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249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394A KR102249664B1 (ko) 2020-06-23 2020-06-23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18/002,777 US20230197219A1 (en) 2020-06-23 2021-06-2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n-face-to-face electronic prescription service
PCT/KR2021/007757 WO2021261862A1 (ko) 2020-06-23 2021-06-21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18/456,577 US20230402148A1 (en) 2020-06-23 2023-08-28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n-face-to-face electronic prescription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394A KR102249664B1 (ko) 2020-06-23 2020-06-23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664B1 true KR102249664B1 (ko) 2021-05-10

Family

ID=7591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394A KR102249664B1 (ko) 2020-06-23 2020-06-23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97219A1 (ko)
KR (1) KR102249664B1 (ko)
WO (1) WO202126186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862A1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220086491A (ko)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평화알앤비디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장치 및 방법
KR102465202B1 (ko) * 2021-06-03 2022-11-09 주식회사 이팜헬스케어 통신 시스템에서 약사와 환자 사이 비대면의 드라이브-스루 방식으로 처방 약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23127A (ko) * 2022-02-16 2023-08-23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디지털 치료제 포털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36251A (ko) 2022-09-13 2024-03-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실시간 처방전 공유 및 조제정보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660A (ko) * 2010-12-09 2012-07-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와 전자처방전 운용방법
KR101569801B1 (ko) * 2014-11-14 2015-11-17 (주)누스코 처방 정보 전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처방 정보 전달 시스템
KR20180003064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47226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크론티어스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985011B1 (ko) * 2018-11-26 2019-05-31 김진만 가상 시리얼 포트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방법
KR101989474B1 (ko) * 2018-11-23 2019-06-14 (주)레몬헬스케어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처방 전송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8771A1 (en) * 2001-04-18 2003-05-08 Merchen M. Russel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and certifying electronic data transfers
US20060149587A1 (en) * 2001-11-26 2006-07-06 Pdx, Inc.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rescriptions
US11527324B2 (en) * 2017-11-10 2022-12-13 Reliant Immune Diagnostics, Inc. Artificial intelligence response system based on testing with parallel/serial dual microfluidic chip
KR102249664B1 (ko) * 2020-06-23 2021-05-10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660A (ko) * 2010-12-09 2012-07-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와 전자처방전 운용방법
KR101569801B1 (ko) * 2014-11-14 2015-11-17 (주)누스코 처방 정보 전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처방 정보 전달 시스템
KR20180003064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47226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크론티어스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989474B1 (ko) * 2018-11-23 2019-06-14 (주)레몬헬스케어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처방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985011B1 (ko) * 2018-11-26 2019-05-31 김진만 가상 시리얼 포트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862A1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220086491A (ko)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평화알앤비디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장치 및 방법
KR102465202B1 (ko) * 2021-06-03 2022-11-09 주식회사 이팜헬스케어 통신 시스템에서 약사와 환자 사이 비대면의 드라이브-스루 방식으로 처방 약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23127A (ko) * 2022-02-16 2023-08-23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디지털 치료제 포털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26457B1 (ko) * 2022-02-16 2024-01-18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디지털 치료제 포털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36251A (ko) 2022-09-13 2024-03-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실시간 처방전 공유 및 조제정보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97219A1 (en) 2023-06-22
WO2021261862A1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9664B1 (ko)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8386288B2 (en) Workflow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ith workflow package exchange between drop-box application programs
US20070288268A1 (en) Adaptabl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nd Method
US20120232929A1 (en) Mobile device-based system for automated, real time health record exchange
US2007012996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medical data entry system
CN110619555A (zh) 订单信息的统一管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介质
US20150254423A1 (en) Computer-based prescription system for medicaments
KR20200101244A (ko) 약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68009A (ko) 환자 중심의 처방전 전달시스템 및 처방전 전달방법
US202100203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session communication
KR20210004350A (ko) 통합 전자처방전 시스템
KR20050018739A (ko) 온라인 복약지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US20180107795A1 (en) Tracking and Controlling Inter-System Processing Events Using Event Tokens
KR20110049107A (ko) 모바일기반 의료보험 청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4021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n-face-to-face electronic prescription service
CN114743635A (zh) 一种智慧药房智能售药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4360745A (zh) 一种基于互联网的智慧诊疗系统
US200200690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medical or consulting services
KR102274807B1 (ko) 전자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전자처방전 관리용 클라우드 서버
KR20120076667A (ko) 전자 처방전을 이용한 조제 정보 제공 시스템, 환자 포탈 장치 및 환자 단말의 조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0992013A (zh) 一种医院处方快速支付及服务管理系统
JP2003006558A (ja) 電子フォーム入力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フォームプログラム
KR101725434B1 (ko) 고객 요청 정보를 서비스 제공업체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76660A (ko) 오픈 api 기반의 약국 장치와 전자처방전 운용방법
CN110363537A (zh) 远程面签录屏调取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