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491A -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491A
KR20220086491A KR1020210175234A KR20210175234A KR20220086491A KR 20220086491 A KR20220086491 A KR 20220086491A KR 1020210175234 A KR1020210175234 A KR 1020210175234A KR 20210175234 A KR20210175234 A KR 20210175234A KR 20220086491 A KR20220086491 A KR 20220086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hospital
information
patient
black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정
정태건
신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화알앤비디
주식회사 평화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화알앤비디, 주식회사 평화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화알앤비디
Publication of KR20220086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eth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병원정보시스템에서 외부서비스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병원정보시스템이 외부서비스와 차단된 문제를 해결하고, 환자용 모바일 서비스를 병원 내에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ND EXTERNAL SERVICE USING BLOCK FOR EACH SECTION}
본 발명은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병원정보시스템에서 외부서비스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병원정보시스템이 외부서비스와 차단된 문제를 해결하고, 환자용 모바일 서비스를 병원 내에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정보시스템은 개인의 생명과 관련된 정보를 다루기 때문에 개인정보보호법 보다 상위 개념으로 취급되며, 외부서비스와 차단되어 있다. 이러한 병원정보시스템에는 HIS, EMR 등이 있다. 여기서 병원정보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은 병원에서 행정적인 필요에 주로 초점을 맞춘 의료정보학(health informatics)의 요소이다. HIS는 의료, 행정, 재정적, 법적 문제 및 서비스의 해당 처리와 같은 병원의 운영의 모든 측면을 관리 할 수 있도록 설계 포괄적인 통합 정보 시스템이다.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의료 서비스이다. 병원은 사람들에게 의료 지원을 제공한다.
한편,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은 디지털 형태로 체계적으로 수집되어 전자적으로 저장된 환자 및 인구의 건강정보이다. 이러한 기록은 서로 다른 헬스케어 환경에서 공유될 수 있다. 기록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엔터프라이즈 규모의 정보시스템 및 다른 정보 네트워크와 교환을 통해 공유된다. EMR은 인구통계학, 병력, 약물복용 및 알레르기. 예방접종 상태, 검사실 검사결과, 영상의학 이미지, 생체징후, 나이와 성별 같은 개인적인 통계 그리고 청구정보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병원정보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행정안전부 시큐어코딩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통신구간 암호화를 적용하고, 정보보호관리체계를 준수해야 하며 ISMS(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정보보호관리체계) 및 ISO27001 인증을 적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병원정보는 전문라이센스를 가진 의료인 및 전문기사가 허가받은 병원시설에서 측정 및 진단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곳으로, 병원 내부망에서 운영되고, 외부(헬스케어 서비스 업체 등)에서 생성된 데이터에 대해 배타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관계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정보시스템(1)은 스마트폰과 같은 환자 단말기(2)와 차단되어 있다. 그래서 환자 단말기(2)에 병원용 앱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환자 단말기(2)에 설치된 병원용 앱의 정보는 병원정보시스템(1)에 전달될 수 없다.
도 2는 종래의 대부분의 진료현장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대부분의 진료현장에서는 환자 단말기(2)에 설치된 병원용 앱의 정보를 전혀 활용하지 못한 상태에서, 의료진은 환자와 상담을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IOT 및 헬스케어 시장이 확대되면서 개인이 스스로 기록한 문진, IOT 기기로 측정된(혈당, 혈압, 걸음수, 식사 등) 정보를 축적 관리하는 서비스가 많이 생성되고 있다.
따라서 외부서비스에서 기록한 개인의 건강정보를 병원정보시스템과 연계시킬 방안이 필요하며, 환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 병원의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 가능한 체계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참고문헌 1) 한국특허공보 제2320124호 (참고문헌 2) 한국특허공보 제2268429호 (참고문헌 3) 한국특허공보 제2278410호 (참고문헌 4) 한국특허공보 제2249664호 (참고문헌 5) 한국특허공보 제2170557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병원정보시스템에서 외부서비스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병원정보시스템이 외부서비스와 차단된 문제를 해결하고, 환자용 모바일 서비스를 병원 내에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 정보 시스템은 전자의무기록(EMR)을 보관하는 전자의무기록(EMR)용 서버,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에 연동되어 전자의무기록을 입력하고 관리하는 의료진용 서버, 상기 의료진용 서버에 연동되어 전자의무기록을 열람하는 의료진용 모니터를 구비한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PGHD)를 보관하는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용 서버, 상기 의료진용 서버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부,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용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의료진용 뷰어, 상기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를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에 송신할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 환자 단말기에 구비된 환자 단말기용 서버, 질환 관리 앱을 구비하는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에 구비된 인증 서버는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과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의 연결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환자 ID 및 외부서비스 ID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환자 ID 및 외부서비스 ID가 일치하면, 상기 의료진용 뷰어의 정보가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에 구비된 인증 서버는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에서 상기 의료진용 뷰어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면, 상기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과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의 연결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에서 요청한 환자 ID가 상기 환자 단말기용 서버에서 상기 인증 서버로 미리 전송된 외부서비스 ID와의 일치 여부를 상기 인증 서버에서 인증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를 통해 상기 의료진용 서버로 상기 의료진용 뷰어의 정보가 전달되도록 하는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인 것을 사용한다.
또는, 상기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에 구비된 인증 서버는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에서 상기 의료진용 뷰어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면, 상기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과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의 연결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에서 인증서버로 송신된 환자 ID가 상기 환자 단말기용 서버에서 상기 인증 서버로 상기 차단전에 전송된 외부서비스 ID와의 일치 여부를 상기 인증 서버에서 인증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환자 ID와 외부서비스 ID가 일치하면 상기 의료진용 뷰어의 정보가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를 통해 상기 의료진용 서버로 전달되도록 하는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인 것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기용 서버에서 생성된 외부서비스 ID를 수신하고, 서비스명, 질환, 진료과 구분 코드, 병원코드, 병원등록번호, 실명, 최종데이터 생성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 상기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로부터 해당 정보를 전달받아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에서 외부서비스 ID의 정보 요청을 받으면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을 통해 상기 의료진용 서버로 ID의 정보 조회 페이지가 제공되어 외부서비스 ID와 환자 ID의 일치 여부가 확인되고, 상기 외부서비스 ID와 환자 ID가 일치되면 상기 의료진용 뷰어의 정보가 상기 의료진용 모니터로 제공되도록 하는 병원조회용 블랙박스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구간별 블랙박스 서버를 이용한 병원 정보 시스템을 사용하는 인증 방법은 환자 단말기에 질환관리 앱이 설치되고, 외부서비스 ID가 생성되는 제 1 단계; 상기 외부서비스 ID가 생성된 후, 상기 질환관리 앱에 나타난 병원명, 병원등록번호가 선택되면 환자의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가 환자 단말기용 서버에 저장되는 제2 단계; 상기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가 상기 외부서비스 ID와 함께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용 서버에 송신되고,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에서 상기 의료진용 뷰어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면, 상기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과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의 연결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에서 요청한 환자 ID가 상기 환자 단말기용 서버에서 상기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로 미리 전송된 외부서비스 ID의 일치 여부를 상기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에서 인증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를 통해 상기 의료진용 서버로 상기 의료진용 뷰어의 정보가 전달되도록 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의 상기 환자 단말기에서 외부서비스 ID가 생성되고 병원명, 병원등록번호가 선택되면,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에서 서비스명, 질환, 진료과 구분 코드, 병원코드, 병원등록번호, 실명, 최종데이터 생성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정보는 상기 의료진용 뷰어에 문자, 수치 및 그래프 형태로 제공되는 뷰어가 생성되는 제3-1 단계; 상기 뷰어가 생성되는 제3-1 단계 후, 병원조회용 블랙박스 서버에서는 상기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의 정보를 전달받아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제3-2 단계; 상기 암호화하여 저장되는 제3-2 단계 후,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 내의 전자의무기록(EMR)용 서버로부터 외부서비스 ID의 정보를 요청 받으면, 상기 병원조회용 블랙박스 서버는 상기 전자의무기록(EMR)용 서버를 통해 상기 의료진용 서버로 조회 페이지를 제공하여 외부서비스 ID와 환자 ID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서비스 ID와 환자 ID의 일치하면 상기 의료진용 뷰어의 정보를 상기 의료진용 모니터로 정보를 제공하는 제3-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3-3 단계의 상기 의료진용 뷰어의 정보를 상기 의료진용 모니터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의료진용 뷰어의 정보는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이며, 상기 의료진용 모니터로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과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는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에서 상기 차단전 기송신된 환자 ID 와 단말기용 서버에서 상기 차단전 기송신된 외부서비스 ID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처리 후, 상기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과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은 차단된 상태이나 상기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과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가 풀(pull) 방식으로 의료진용 단말기에 구비된 의료진용 모니터에 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장치 및 방법은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병원정보시스템에서 외부서비스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병원정보시스템이 외부서비스와 차단된 문제를 해결하고, 환자용 모바일 서비스를 병원 내에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면, 환자용 모바일 서비스 선도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정밀의료가 결합된 진료과별 질환서비스, 정보보호/보안에 대한 방안제시, 병원특성을 반영한 업무효율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자용 모바일 서비스를 병원 내에 선 도입하고, 경험 및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국가 의료 정책을 선도할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관계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대부분의 진료현장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 정보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 정보 시스템에 의한 인증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에 의한 인증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배뇨일지 관리부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하기에 나타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 정보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본 발명의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 정보 시스템은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20) 및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은 전자의무기록(EMR)을 보관하는 전자의무기록(EMR)용 서버,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에 연동되어 전자의무기록을 입력하고 관리하는 의료진용 서버(12), 상기 의료진용 서버(12)에 연동되어 전자의무기록을 열람하는 의료진용 모니터(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20)은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PGHD)를 보관하는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용 서버(22), 상기 의료진용 서버(12)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부(23), 상기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의료진용 뷰어(24), 상기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를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에 송신할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서버(21)를 포함한다.
상기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은 환자 단말기에 구비된 환자 단말기용 서버(31), 질환 관리앱(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20)에 구비된 인증 서버(21)는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서버(21)는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에서 상기 의료진용 뷰어(24)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면, 상기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30)과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20)의 연결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에서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로 차단전 전송된 환자 ID가 상기 환자 단말기용 서버(31)에서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로 차단전 전송된 외부서비스 ID와의 일치 여부를 상기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에서 인증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를 통해 상기 의료진용 서버(12)로 상기 의료진용 뷰어(24)의 정보가 전송되고, 나아가 상기 의료진용 뷰어(24)의 정보가 상기 의료진용 서버(12)에서 의료진용 모니터(13)에 표시된다.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은 의료진용 모니터(13), 상기 의료진용 모니터(13)에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보관하거나 전송하는 의료진용 서버(12), 상기 의료진용 서버(12)에 환자의 EMR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의료진용 서버(12)는 병원 외부의 네트워크와 차단된 상태에서, 병원 내부의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에 접속하여 의료진이 이용할 수 있다.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저장하고 시간에 따라 한 환자의 상태를 수집하도록 설계되었다. 이것은 환자의 이전 종이의무기록을 추적할 필요성을 제거하고 데이터가 정확하고 적법하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지원한다.
환자 단말기는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환자 단말기에는 질환 관리앱(32)이 설치된다. 질환관리 앱은 암, 만성질환, 수가형 문진 등의 질환관리를 포함한다. 또한 우울증, ADHD, 조현병, 심혈관질환, 중독, 뇌졸중, 치매, 천식, 비만, 배뇨 정보 등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서버(21)는 의료진용 서버(12)와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용 서버를 구비한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과 연결되고, 질환 관리앱(32)을 구비한 환자 단말기에 구비된 단말기용 서버(31)와 연결된다.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용 서버(22)는 환자 단말기의 질환 관리앱(32)을 통해 제공된 외부서비스 ID와 함께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Patient-Generated Health Data, PGHD)를 저장하고 인증 서버(21)를 통하여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으로 전송될지 여부를 제어한다.
의료진용 뷰어(24)는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용 서버(22)의 데이터를 근거로 환자의 질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인증 서버(21)는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일 수 있고, 또는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는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에서 의료진용 뷰어(24)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면,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에 의하여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20)과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30)은 차단되고, 또한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20)과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의 연결은 차단된 상태에서,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는 상기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20)과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의 연결을 차단하기 전에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에서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로 전송된 환자 ID가 상기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20)과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30)을 차단하기 전에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30)에서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로 전송된 외부서비스 ID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환자 ID와 외부서비스 ID가 일치하면,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20)과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30)의 연결은 차단된 상태에서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20)과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의 연결은 차단을 해제하여,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를 통해 의료진용 모니터(13)로 의료진용 뷰어(24)의 정보가 전송된다. 즉, 본 발명의 인증 방법은 외부시스템의 차단 및 해제를 통하여 수행된다.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는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이 외부서비스인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30) 및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용 서버(22)와 항상 차단되도록 한다. 차단된 상태에서,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의 의료진용 모니터(13)에서 환자 정보를 보고자 하면,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를 통해 요구를 수신한다. 그리고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30)의 질환 관리앱(32)을 통해 생성된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의 정보를 풀(Pull) 방식으로 가져오기만 한다. 이때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에서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30)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은 철저히 차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 및 5에 나타난 것처럼, 본 발명의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는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25) 및 병원조회용 블랙박스 서버(26)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25)는 상기 단말기용 서버(31)에서 생성된 외부서비스 ID를 수신하고, 서비스명, 질환, 진료과 구분 코드, 병원코드, 병원등록번호, 실명, 최종데이터 생성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병원조회용 블랙박스 서버(26)는 상기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25)로부터 해당 정보를 전달받아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바람직하게는 병원조회용 블랙박스 서버(26)는 풀(pull) 방식으로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25)의 정보를 전달받아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에서 외부서비스 ID의 정보 요청을 받으면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을 통해 상기 의료진용 서버(12)로 ID의 정보 조회 페이지가 제공되어 외부서비스 ID와 환자 ID의 일치 여부가 확인되고, 상기 외부서비스 ID와 환자 ID가 일치되면 상기 의료진용 뷰어(24)의 정보가 상기 의료진용 모니터(13)로 제공된다. 나아가, 병원조회용 블랙박스 서버(26)에 구비된 ID 일치 확인부를 통하여 외부서비스 ID와 환자 ID가 일치하면 의료진용 뷰어(24)의 정보를 의료진용 모니터(13)로 전송하고, 외부서비스 ID와 환자 ID가 일치하지 않으면 외부서비스 ID와 환자 ID의 어느 쪽이 잘못 입력된지를 판단하고, 의료진용 서버(12)에 환자 ID를 재입력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장치의 사용을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에 나타난 것처럼, 의료진이 진료하고자 할 때, 의료진은 진료 중에 EMR에서 처방 및 확인을 수행한다. 또한 병원 환자용 질환 관리앱(32)을 확인한다. 이때 의료진용 모니터(13)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전자의무기록(EMR) 데이터와 의료진용 뷰어(24)의 환자가 직접 작성한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PGHD)의 질환 정보를 확인 가능하다. 그러면 의료진은 EMR의 데이터를 객관적인 근거로 하고, 의료진용 뷰어(24)의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PGHD) 정보를 참고하여 환자를 진료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단계(ST1)에서는 사용자가 환자 단말기에서 질환 관리앱(32)을 설치하여 외부서비스에 가입하고 외부서비스 ID를 생성하도록 한다. 제 2 단계(ST2)에서는 사용자가 질환 관리앱(32)을 이용하여 병원을 선택하고, 병원등록번호를 입력하고, 본인 실명인증을 수행하여 병원정보를 등록하도록 하고, 질환정보를 등록하도록 한다. 제 3 단계(ST3 ~ ST6)에서는 제 2 단계 후 인증 서버(21)는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 내의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에서 질환 관리앱(32)으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의 질환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면,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30)과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의 연결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에서 요청한 환자 ID가 환자 단말기에서 제공한 외부서비스 ID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처리를 수행한 후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를 통해 의료진용 모니터(13)로 질환 관리앱(32)의 질환정보가 전달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 3 단계에서, 뷰어생성 단계(ST3)는 환자 단말기에서 외부서비스 ID를 생성하고 병원정보를 등록하여 제공하면,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25)에서는 서비스명, 질환, 진료과 구분 코드, 병원코드, 병원등록번호, 실명, 최종데이터 생성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의료진용 뷰어(24)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한다. 암호화저장 단계(ST4)에서는 뷰어생성 단계 후, 병원조회용 블랙박스 서버(26)에서는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25)의 정보를 전달받아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정보제공 단계(ST5, ST6)에서는 암호화저장 단계 후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 내의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으로부터 외부서비스 ID 사용자의 정보 요청을 받으면, 병원조회용 블랙박스 서버(26)는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를 통해 의료진용 모니터(13)로 조회 페이지를 제공하여 외부서비스 ID와 환자 ID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고, 환자 확인이 성공하면 의료진용 뷰어(24)의 정보를 의료진 단말기로 풀(pull) 방식으로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방법을 보인 상세 흐름도이다.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사용자는 먼저 자신의 스마트폰 등의 환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질환 관리앱(32)을 실행시켜 건강 탭에 진입한다(ST11). 그리고 병원등록번호를 조회하거나 병원에서 제공받은 병원등록번호를 질환 관리앱(32)에 입력한다. 가입 여부를 확인하여(ST13), 회원가입을 수행한다(ST14). 회원가입을 할 때는 이메일, 병원등록번호,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한다. 그러면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용 서버(22)는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의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로 병원등록번호를 암호화하여 전달한다(ST15). 그리고 질환 관리앱(32)의 화면갱신을 해서 회원가입이 완료되었을 알려준다(ST16). 그래서 회원가입이 완료되어 로그인하면,질환 관리앱(32)은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용 서버(22)로 병원등록번호를 암호화하여 전달한다(ST17).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용 서버(22)는 질환 관리앱(32)으로 엑세스 토큰(cess-token)을 전달하여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 정보 시스템에 의한 인증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에 의한 인증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도 9 및 10에 나타난 것처럼, 본 발명의 구간별 블랙박스 서버를 이용한 병원 정보 시스템을 사용하는 인증 방법은 환자 단말기에 질환관리 앱이 설치되고, 외부서비스 ID가 생성되는 제 1 단계; 상기 외부서비스 ID가 생성된 후, 상기 질환관리 앱에 나타난 병원명, 병원등록번호가 선택되면 환자의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가 환자 단말기용 서버(31)에 저장되는 제2 단계; 상기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가 상기 외부서비스 ID와 함께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용 서버(22)에 송신되고,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에서 상기 의료진용 뷰어(24)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면, 상기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는 상기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30)과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20)의 연결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에서 요청한 환자 ID가 상기 단말기용 서버(31)에서 상기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27)로 상기 차단 전에 전송된 외부서비스 ID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를 통해 상기 의료진용 서버(12)로 상기 의료진용 뷰어(24)의 정보가 전달되도록 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의 상기 질환 관리앱에서 외부서비스 ID가 생성되고 병원명, 병원등록번호가 선택되면,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25)에서 서비스명, 질환, 진료과 구분 코드, 병원코드, 병원등록번호, 실명, 최종데이터 생성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정보는 상기 의료진용 뷰어(24)에 문자, 수치 및 그래프 형태로 제공되는 뷰어가 생성되는 제3-1 단계; 상기 뷰어가 생성되는 제3-1 단계 후, 병원조회용 블랙박스 서버(26)에서는 상기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25)의 정보를 전달받아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제3-2 단계; 상기 암호화하여 저장되는 제3-2 단계 후,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 내의 전자의무기록(EMR)용 서버로부터 외부서비스 ID의 정보를 요청 받으면, 상기 병원조회용 블랙박스 서버(26)는 상기 전자의무기록(EMR)용 서버를 통해 상기 의료진용 서버(12)로 조회 페이지를 제공하여 외부서비스 ID와 환자 ID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서비스 ID와 환자 ID가 일치하면 상기 의료진용 뷰어(24)의 정보를 상기 의료진용 모니터(13)로 정보를 제공하는 제3-3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3-3 단계의 상기 의료진용 뷰어(24)의 정보를 상기 의료진용 모니터(13)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의료진용 뷰어(24)의 정보는 환자유래 건강데이터이며, 상기 의료진용 모니터(13)로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25)가 병원 정보 서브 시스템과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를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25)는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11)에서 상기 차단전 기송신된 환자 ID 와 단말기용 서버(31)에서 상기 차단전 기송신된 외부서비스 ID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처리 후, 상기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20)과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30)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20)과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10)는 차단이 해제되어, 상기 환자유래 건강데이터가 풀(pull) 방식으로 의료진용 단말기에 구비된 의료진용 모니터(13)에 표시되게 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병원시스템에 외부 연결을 차단하여 EMR 데이터도 보호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면, 의료진은 환자를 진찰할 때, 의료진용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EMR의 검사결과 추세를 근거로 하고, PGHD의 환자의 생활습관 추세를 참고하여, 치료현장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에서 외부서비스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병원정보시스템이 외부서비스와 차단된 문제를 해결하고, 환자용 모바일 서비스를 병원 내에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암, 만성질환, 수가형 문진 등의 질환관리, 우울증, ADHD, 조현병, 심혈관질환, 중독, 뇌졸중, 치매, 천식, 비만, 배뇨 정보 등 또한 포함할 수 있으나, 특히 배뇨 정보에 대한 인증에 적용가능하다.
종이형태의 배뇨일지 입력양식을 모바일 입력방식으로 변경하고, 모바일을 통한 배뇨일지 정보를 의료시스템과 연계하여 진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난 것처럼,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30)은 배뇨일지 관리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뇨일지 관리부(40)는 환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배뇨일지가 기록되는 배뇨일지 처리부(41); 상기 환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배뇨설문이 기록되는 배뇨설문 처리부(46); 상기 배뇨일지 처리부(41) 및 상기 배뇨설문 처리부(46)에서 처리된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가 수행되고, 상기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20)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통계 처리부(5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뇨일지 처리부(41)에서 처리된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가 수행된 정보는 배노일지 처리정보라 하며, 상기 배뇨설문 처리부(46)에서 처리된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가 수행된 정보를 배뇨설문 처리정보라 한다.
상기 배뇨일지 처리부(41)는, 배뇨일지가 기록되기 위한 주의사항이 표시되고, 배뇨일지 기록이 시작되는 배뇨일지 시작부(42); 상기 배뇨일지 시작부(42)에서 배뇨일지 기록이 시작되면, 입력된 배뇨일지가 기록되는 배뇨일지 기록부(43); 상기 배뇨일지 기록부(43)에서 기록된 배뇨일지 정보를 사용자에게 확인 가능하게 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배뇨기록 저장부(44); 상기 배뇨기록 저장부(44)에 의해 저장된 배뇨일지가 조회되는 배뇨일지 조회부(45);를 포함한다. 배뇨일지 처리부(41)에 의하여 행해지는 예로서, 첫째날 내지 넷째날에 시간에 따른 배뇨량, 요절박, 요실금, 취침중의 데이터가 표시되고, 이에 대한 조회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뇨일지 처리부(41)는, 배뇨일지 검수부(미도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뇨일지 검수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배뇨일지의 수치값이 기설정된 범위 값을 벗어난 수치값이 입력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입력값 오기에 대한 정보를 알리기 위한 환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수정 또는 삭제 입력 요청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배뇨 시간별 배뇨량의 수치값에 대하여 한자리수를 추가로 잘못 입력하였을 때, 기설정된 배뇨 시간별 배뇨량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함으로써 정확한 정보를 수정 입력하게 하여 전체 배뇨일지 작성 기간을 통하여 얻어진 통계가 오기로 인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뇨설문 처리부(46)는, 배뇨설문에 응답하기 위한 주의사항이 표시되고, 배뇨설문의 응답을 시작되는 배뇨설문 시작부(47); 상기 배뇨설문 시작부(47)에서 배뇨설문 응답이 시작되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배뇨설문은 표시되고 응답하도록 하는 설문응답 처리부(48); 상기 설문응답 처리부(48)에서 설문이 완료되면, 설문완료가 확인되는 설문완료 확인부(49); 상기 설문완료 확인부(49)에서 설문완료가 되면, 설문결과를 표시하는 설문결과 안내부(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의료시스템과 연계된 모바일 배뇨일지 관리시스템을 구비하여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장치를 통하여 환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의사가 환자의 배뇨 등의 질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
11 전자의무기록용 서버
12 의료진용 서버
13 의료진용 모니터
20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
21 인증 서버
22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용 서버
23 데이터 전송부
24 의료진용 뷰어
25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
26 병원조회용 블랙박스 서버
27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
30 환자 단말 서브시스템
31 단말기용 서버
32 질환 관리앱
40 배뇨일지 관리부

Claims (5)

  1. 전자의무기록(EMR)을 보관하는 전자의무기록(EMR)용 서버,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에 연동되어 전자의무기록을 입력하고 관리하는 의료진용 서버, 상기 의료진용 서버에 연동되어 전자의무기록을 열람하는 의료진용 모니터를 구비한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PGHD)를 보관하는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용 서버, 상기 의료진용 서버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부, 상기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의료진용 뷰어, 상기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를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에 송신할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
    환자 단말기에 구비된 환자 단말기용 서버, 질환 관리 앱을 구비하는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에 구비된 인증 서버는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는,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에서 상기 의료진용 뷰어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면, 상기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과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의 연결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환자 ID가 상기 환자 단말기용 서버에서 상기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로 상기 차단전에 전송된 외부서비스 ID와의 일치 여부에 대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의료진용 뷰어의 정보는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를 통해 상기 의료진용 서버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 정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기용 서버에서 생성된 외부서비스 ID를 수신하고, 서비스명, 질환, 진료과 구분 코드, 병원코드, 병원등록번호, 실명, 최종데이터 생성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
    상기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로부터 해당 정보를 전달받아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에서 외부서비스 ID의 정보 요청을 받으면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을 통해 상기 의료진용 서버로 ID의 정보 조회 페이지가 제공되어 외부서비스 ID와 환자 ID의 일치 여부가 확인되고, 상기 외부서비스 ID와 환자 ID가 일치되면 상기 의료진용 뷰어의 정보가 상기 의료진용 모니터로 제공되도록 하는 병원조회용 블랙박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별 블랙박스 서버를 이용한 병원 정보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2의 구간별 블랙박스 서버를 이용한 병원 정보 시스템을 사용하는 인증 방법이며,
    환자 단말기에 질환관리 앱이 설치되고, 외부서비스 ID가 생성되는 제 1 단계;
    상기 외부서비스 ID가 생성된 후, 상기 질환관리 앱에 나타난 병원명, 병원등록번호가 선택되면 환자의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가 환자 단말기용 서버에 저장되는 제2 단계;
    상기 환자 유래 건강 데이터가 상기 외부서비스 ID와 함께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에서 상기 의료진용 뷰어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면, 상기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 서브 시스템과 병원 인증 서브시스템의 연결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에서 요청한 환자 ID가 상기 환자 단말기용 서버에서 상기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로 미리 전송된 외부서비스 ID의 일치 여부를 상기 블랙박스용 병원 인증 서버에서 인증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전자의무기록용 서버를 통해 상기 의료진용 서버로 상기 의료진용 뷰어의 정보가 전달되도록 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구간별 블랙박스 서버를 이용한 병원 정보 시스템을 사용하는 인증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의 상기 질환 관리앱에서 외부서비스 ID가 생성되고 병원명, 병원등록번호가 선택되면,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에서 서비스명, 질환, 진료과 구분 코드, 병원코드, 병원등록번호, 실명, 최종데이터 생성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정보는 상기 의료진용 뷰어에 문자, 수치 및 그래프 형태로 제공되는 뷰어가 생성되는 제3-1 단계;
    상기 뷰어가 생성되는 제3-1 단계 후, 병원조회용 블랙박스 서버에서는 상기 외부서비스 등록용 블랙박스 서버의 정보를 전달받아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제3-2 단계;
    상기 암호화하여 저장되는 제3-2 단계 후, 병원 정보 서브시스템 내의 전자의무기록(EMR)용 서버로부터 외부서비스 ID의 정보를 요청 받으면, 상기 병원조회용 블랙박스 서버는 상기 전자의무기록(EMR)용 서버를 통해 상기 의료진용 서버로 조회 페이지를 제공하여 외부서비스 ID와 환자 ID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서비스 ID와 환자 ID의 일치하면 상기 의료진용 뷰어의 정보를 상기 의료진용 모니터로 정보를 제공하는 제3-3 단계;를 포함하는 구간별 블랙박스 서버를 이용한 병원 정보 시스템을 사용하는 인증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질환관리 앱은 암, 만성질환, 수가형 문진의 질환관리, 및 우울증, ADHD, 조현병, 심혈관질환, 중독, 뇌졸중, 치매, 천식, 비만, 배뇨 정보를 포함하는 구간별 블랙박스 서버를 이용한 병원 정보 시스템을 사용하는 인증 방법.
KR1020210175234A 2020-12-16 2021-12-08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장치 및 방법 KR202200864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985 2020-12-16
KR20200175985 2020-1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491A true KR20220086491A (ko) 2022-06-23

Family

ID=8222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234A KR20220086491A (ko) 2020-12-16 2021-12-08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64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48200A (ja) * 2022-09-27 2024-04-08 株式会社レイヤード 情報処理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557B1 (ko) 2020-04-22 2020-10-27 (주)지올린 병원 출입 통제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병원 출입 통제 방법
KR102249664B1 (ko) 2020-06-23 2021-05-10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268429B1 (ko) 2020-12-09 2021-06-22 이용호 스마트 밴드형 체온계를 이용한 실시간 체온측정 및 위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이 가능한 체온 정보 시스템
KR102278410B1 (ko) 2020-11-17 2021-07-19 주식회사 클레스앤피 개인 건강 상태 동시 측정이 가능한 고성능 딥러닝 지정맥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320124B1 (ko) 2021-06-22 2021-11-02 주식회사 세이프닥 병원접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557B1 (ko) 2020-04-22 2020-10-27 (주)지올린 병원 출입 통제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병원 출입 통제 방법
KR102249664B1 (ko) 2020-06-23 2021-05-10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278410B1 (ko) 2020-11-17 2021-07-19 주식회사 클레스앤피 개인 건강 상태 동시 측정이 가능한 고성능 딥러닝 지정맥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268429B1 (ko) 2020-12-09 2021-06-22 이용호 스마트 밴드형 체온계를 이용한 실시간 체온측정 및 위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이 가능한 체온 정보 시스템
KR102320124B1 (ko) 2021-06-22 2021-11-02 주식회사 세이프닥 병원접수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48200A (ja) * 2022-09-27 2024-04-08 株式会社レイヤード 情報処理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58924A1 (en) Managing healthcare services
US118373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ly storing patient information and providing access thereto
US10249386B2 (en) Electronic health records
US9208284B1 (en) Medical professional application integration into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CA2432141C (en) Computer oriented record administration system
US81806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ssembling, managing, utilizing, and securely storing portable personal medical records
US8498884B2 (en) Encrypted portabl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US20150379198A1 (en) Electronic management of patient health care data
US200601845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data analysis, performance estimation and data model creation
US200600853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in a secure manner
US104676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and processing personal health information
US20110246231A1 (en) Accessing patient information
US20100332260A1 (en) Personal record system with centralized data storage and distributed record generation and access
US20190327311A1 (en) Secure access to individual information
JP2013058247A (ja) 自動的に予め入力されテンプレート化された日ごとの診療経過記録
KR101073655B1 (ko) 의사와 환자 간의 설명처방 전달 방법
KR20090127480A (ko) 휴대용 개인건강기록장치 및 시스템
US201103139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s
US10607727B2 (en) Automatic generation of patient presence for patient portals
US20150379204A1 (en) Patient application integration into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US20100114781A1 (en) Personal record system with centralized data storage and distributed record generation and access
KR20220086491A (ko) 구간별 블랙박스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외부서비스의 인증장치 및 방법
JP202200081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40030579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KR100945819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따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