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819B1 -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따른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따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819B1
KR100945819B1 KR20080026756A KR20080026756A KR100945819B1 KR 100945819 B1 KR100945819 B1 KR 100945819B1 KR 20080026756 A KR20080026756 A KR 20080026756A KR 20080026756 A KR20080026756 A KR 20080026756A KR 100945819 B1 KR100945819 B1 KR 100945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health
health record
information
customer
recor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26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561A (ko
Inventor
김진상
배인호
김윤년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080026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819B1/ko
Publication of KR20090101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81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건강기록 서버에서 고객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로 해당 고객의 건강기록을 다운로드함으로써, 고객의 개인건강기록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은, 개인건강기록 서버가 의료 서비스 제공기관의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으로부터 고객식별정보와 의무기록으로 구성되는 등록 요청 정보를 입력받아 개인건강기록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고객이 직접 자신의 건강기록을 개인건강기록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휴대 단말기가 고객식별정보와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는 상기 개인건강기록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정보에 따라 인증을 이행하고, 상기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개인건강기록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인증정보에 포함된 암호정보에 따라 암호화하여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을 생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을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고객으로부터 암호정보가 포함되는 개인건강기록 출력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암호정보에 따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단계; 고객의 동의하에 자신의 개인건강기록 정보를 의료 서비스 제공자에게 열람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인건강기록, 개인건강기록 서버, 의무기록,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PERSONAL HEALTH RECORD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 서비스 제공기관 또는 고객이 스스로 작성한 개인건강기록을 휴대 단말기에 저장한 후에 해당 고객의 개인건강기록정보의 열람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열람을 제공하는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 서비스 제공기관은 종이 차트 또는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에 고객의 의무기록을 저장하고, 고객의 열람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고객의 차트를 복사하거나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저장된 고객의 의무기록정보를 출력하여 고객에게 제공한다.
상기 종이 차트와 전자의무기록과 같은 의무기록은 의료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작성한 합법적 문서로서 처방전달, 약제처방, 수술기록, 퇴원요약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의무기록은 환자인 고객에게 소유권이 없으며, 고객이 임의로 자신의 의무기록을 열람할 수 도 없다.
따라서 고객이 자신의 의무기록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 해당 의료 서비스 제 공기관으로부터 종이 차트의 복사나 전자의무기록의 출력을 요청해야 하므로, 응급 상황 발생시 현장에서 해당 환자의 의무기록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없으므로, 알러지(allergy)나 복용 중인 약 등에 대한 정보의 미인지로 인한 의료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개인건강기록(PHR, Personal Health Record)은 고객이 방문한 각 의료 서비스 제공기관에서 작성한 의무기록들을 요약한 정보, 자신의 신상정보, 비상 연락처, 보험정보 등을 포함한다. 개인건강기록은 합법적인 문서는 아니며, 고객의 소유이므로 직접 소지할 수 있고, 신상정보나 비상 연락처 등과 같이 고객이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정보도 포함한다.
현재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보급과 의료정보 공유에 대한 연구로 고객의 의무기록에 대한 정보의 교환이 일부 병원들 사이에만 가능해 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이 보급되지 않은 의료 기관이나 의료 기관 밖에서는 고객의 의무기록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은 갖추어 지지 않았다.
또한 고객이 자신의 의사에 따라 복용하는 약 등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의무기록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을 통하더라도 고객 개인에 대한 정확한 건강기록을 획득할 수 없었다.
또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을 통해 고객의 건강기록이 무분별하게 노출되는 문제를 방지하지 위해, 상기 의무기록의 공유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인건강기록 서버에서 고객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로 해당 고객의 건강기록정보를 다운로드함으로써, 고객의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객 자신이 건강기록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객의 건강기록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객 자신이 설정한 암호에 따라 건강기록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하게 함으로써, 고객의 건강기록정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은, 개인건강기록 서버가 의료 서비스 제공기관의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으로부터 고객식별정보와 의무기록정보로 구성되는 등록 요청 정보를 입력받아 개인건강기록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고객이 직접 자신의 건강기록정보를 개인건강기록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휴대 단말기가 고객식별정보와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정보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정보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정보에 따라 인증을 이행하고, 상기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개인건강기록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상기 인증정보에 포함된 암호정보에 따라 암호화하여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고객으로부터 암호정보가 포함되는 개인건강기록 정보 출력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상기 암호정보에 따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개인건강기록 시스템의 서버에서 고객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로 해당 고객의 개인건강기록정보를 다운로드하고, 의료 서비스 제공자에게 상기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응급 상황 발생시에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 자신이 건강기록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객의 개인건강기록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 자신이 설정한 암호에 따라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하게 함으로써, 고객의 개인건강기록정보가 고객의 허가없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시스템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100), 의료 서비스 제공기관 단말기(1021~102N), 고객의 개인용 컴퓨터(104), 개인건강기록 서버(120), 휴대 단말기(106), 개인건강기록 이용자(108I~108N)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의무기록 시스템(100)은 의료 서비스 제공기관 단말기(1021~102N)를 통해 상기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고객의 의무기록정보를 등록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은 개인건강기록 서버(120)의 요청이나 고객의 요구에 따라 상기 의무기록정보의 요약정보 및 상기 고객정보를 개인건강기록 서버로 전송하며, 개인건강기록 서버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록정보와 고객정보를 구성하여 저장한다. 즉, 상기 등록정보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100)의 고객정보로부터 개인건강기록 서버(120)의 고객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이다. 그리고 상기 고객정보는 고객식별정보와 암호정보, 제1건강정보, 보안이 요구되는 진단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2건강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자의무기록 시스템(100)은 개인건강기록 서버(120)와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연결되고, 개인건강기록 서버의 요청이나 고객의 요구에 따라 개인건강기록 서버에 상기 고객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고객정보는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전용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고객의 휴대 단말기(106)를 통해 개인건강기록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고객식별정보와 암호정보를 토대로 인증을 이행하고, 상기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개인건강기록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고객의 제1건강정보를 독출함과 아울러, 상기 고객의 제2건강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고객이 제공한 암호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 상기 제1건강정보와 암호화된 제2건강정보를 결합하여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를 해당 고객의 휴대 단말기(106)로 다운로드한다. 여기서, 상기 제2건강정보를 암호화하는 것은 고객의 건강기록정보가 임의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기관 단말기(1021~102N)는 의료 서비스 제공기관의 의사 또는 간호사 등의 의료 서비스 제공자가 작성한 각종 의무기록정보를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전자의무기록 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고객의 개인용 컴퓨터(104)를 이용하여 고객은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개인건강기록 서버(120)에 직접 접속하여 자신의 건강기록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 고객이 임의로 복용하는 약이나 변경된 고객의 신상 정보 등 고객 자신의 개인건강기록 정보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120)는 해당 의료 서비스 제공기관의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직접 요청하거나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상기 고객식별정보를 바탕으로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6)는 고객으로부터 개인건강기록 정보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개인건강기록 정보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전용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120)로 송신한다. 상기 개 인건강기록 정보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는 고객식별정보와 암호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6)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6)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건강정보를 독출하여 개인건강기록 이용자(108I~108N)에게 제공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6)는 고객이 암호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암호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제2건강정보를 복호화하여 개인건강기록 이용자(108I~108N)에게 제공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6)는 상기 고객으로부터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함으로써, 고객이 임의로 복용하는 약이나 변경된 고객의 신상 정보 등 고객 자신의 개인건강기록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개인건강기록 사용자(108I~108N)는 병원의 응급실, 구급차, 건강을 상담해 주는 주치의 등으로 고객의 개인건강기록 정보가 필요한 상황에서 상기 고객의 동의하에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기 건강기록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개인건강기록의 구성>
개인건강기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등록정보와 고객정보로 구분하여 저장되며, 고객정보는 고객식별정보, 암호정보, 제1건강정보, 그리고 제2건강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고객식별정보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개인건강관리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해 이용되며, 상기 암호정보는 해당 고객의 전자의무기록정보와 개인건 강기록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인증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1건강정보는 고객의 성명, 주소, 비상연락처, 알러지 등의 정보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환자가 의식이 없는 응급 상황과 같은 경우 보호자에게 비상연락을 가능하게 하고, 응급처치시에 주의해야 할 상황 등을 미리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건강정보는 고객의 진단정보, 상병이력, 진료기록, 투약/처치 등의 정보로 진료시 활용 가능한 정보들로 고객의 동의하에 의료 서비스 제공자에게 접근을 허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휴대 단말기 구성>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06)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6)는 제어장치(200), 통신모듈(202), 메모리부(204), 조작패널(206), 디스플레이 장치(208),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모듈(21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6)의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고객이 입력하는 고객식별정보와 암호정보를 결합하여 개인건강기록정보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전용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120)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를 메모리부(204)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00)는 제1건강정보의 안내가 고객으로부터 요청되면, 상기 메모리부(204)에 저장된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 중 제1건강정보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8)로 출력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외부장치 인터페이 스모듈(210)을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로 다운로드한다. 상기 외부장치로는 개인용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00)는 고객이 암호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암호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제2건강정보를 복호화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8)로 출력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모듈(210)을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로 다운로드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조작패널(206)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함으로써, 고객 자신이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입력하고 수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메모리부(204)는 상기 제어장치(200)의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며, 특히 개인건강기록 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받은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저장하며, 조작패널(206)을 통해 고객이 직접 입력하는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통신모듈(202)은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전용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120)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조작패널(206)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각종 정보를 제어장치(200)로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8)는 상기 제어장치(200)의 제어에 따른 각종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모듈(210)은 상기 제어장치(200)와 외부장치간의 통신을 담당한다.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이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을 도 4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6)는 고객으로부터 개인건강기록정보 다운로드가 요청되면, 고객식별정보와 암호정보로 구성되는 인증정보의 입력을 안내한다(300,302단계).
상기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6)는 상기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정보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전용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건강기록 서버(120)에 접속하여, 상기 메시지를 송신한다(304,306단계).
상기 개인건강기록정보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개인건강기록 서버(120)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정보에 따른 인증을 이행한다(308단계).
상기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120)는 고객의 개인건강기록정보 중 제1건강정보를 추출한다(310,314단계). 그리고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120)는 고객의 개인건강기록정보 중 제2건강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2건강정보를 암호화한다(316단계).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120)는 상기 제1건강정보 및 암호화된 제2건강정보를 결합하여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다운로드용 개인건강 기록정보를 휴대 단말기(106)로 다운로드한다(318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106)는 상기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를 다운로드받아 메모리부에 저장한다(322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106)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정보에 대한 출력 또는 전송이 요청되는지를 점검한다(324단계).
상기 개인건강기록정보의 출력 또는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6)는 상기 인증정보의 입력을 안내하고(328단계), 상기 안내에 따라 인증정보가 입력되지 않거나 상기 인증에 실패하면(330단계), 상기 저장된 개인건강기록정보 중 제1건강정보만 출력 또는 전송한다(332단계).
상기 인증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인증정보에 따른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6)는 상기 암호화된 제2건강정보를 상기 인증정보에 포함된 암호정보에 따라 복호화를 이행한다(334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106)는 상기 복호화된 제2건강정보를 출력 또는 전송한다(336단계).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6)에서 고객 자신이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6)는 고객이 개인건강기록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면(400단계), 개인건강기록정보 및 설정정보의 입력을 안내한다(402단계). 여기서, 상기 설정정보는 제1 및 제2건강정보로의 등록을 지정하기 위한 정보와 암호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개인건강기록정보 및 설정정보가 입력되면, 휴대 단말기(106)는 상기 설정정보에 따라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제1건강정보로서 저장하거나, 상기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암호정보에 따라 암호화하여 제2건강정보로 저장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기록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의 구조 및 고객정보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

Claims (10)

  1.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개인건강기록 서버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으로부터 고객식별정보와 의무기록정보로 구성되는 등록 요청 정보를 입력받아 개인건강기록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개인건강 기록정보로써 등록하는 단계;
    휴대 단말기가 고객식별정보와 암호정보로 구성된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정보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정보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정보에 따라 인증을 이행하고, 상기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개인건강기록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상기 인증정보에 포함된 암호정보에 따라 암호화하여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고객으로부터 암호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정보 출력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상기 암호정보에 따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정보 중 일부에 대해서만 상기 암호정보에 따라 암호화하여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개인건강기록정보 중 일부에 대해서만 상기 암호정보에 따라 복호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조작패널을 통해 고객이 입력한 개인건강기록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조작패널을 통해 고객이 입력한 개인건강기록정보 중 일부에 대해서만 암호정보에 따라 암호화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4. 삭제
  5. 삭제
  6.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의료 서비스 제공기관으로부터 고객식별정보와 의무기록정보로 구성되는 등록 요청 정보를 입력받아 개인건강기록정보로써 개인건강기록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개인건강기록정보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정보에 따라 인증을 이행하고, 상기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고객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개인건강기록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상기 인증정보에 포함된 암호정보에 따라 암호화하여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개인건강기록 서버;
    고객의 요청에 따라 고객식별정보와 암호정보로 구성된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정보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로 송신하고,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하고, 상기 고객으로부터 암호정보가 포함된 개인건강기록정보 출력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다운로드용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상기 암호정보에 따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개인건강기록 서버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정보 중 일부에 대해서만 상기 암호정보에 따라 암호화하여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개인건강기록정보 중 일부에 대해서만 상기 암호정보에 따라 복호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조작패널을 통해 고객이 입력한 개인건강기록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조작패널을 통해 고객이 입력한 개인건강기록정보 중 일부에 대해서만 암호정보에 따라 암호화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시스템.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개인건강기록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20080026756A 2008-03-24 2008-03-24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따른 시스템 KR100945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6756A KR100945819B1 (ko) 2008-03-24 2008-03-24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따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6756A KR100945819B1 (ko) 2008-03-24 2008-03-24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따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561A KR20090101561A (ko) 2009-09-29
KR100945819B1 true KR100945819B1 (ko) 2010-03-05

Family

ID=41359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26756A KR100945819B1 (ko) 2008-03-24 2008-03-24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따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1354B2 (en) 2012-10-15 2016-02-02 Imprivata, Inc. Secure access supersession on shared workst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6274B2 (en) 2014-11-25 2019-10-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pen healthcare apparatus and method
KR102054454B1 (ko) * 2018-04-23 2019-12-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475987B1 (ko) * 2020-11-18 2022-12-08 권성석 인공지능 및 개인건강기록을 이용한 보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805A (ko) * 2002-09-26 2004-04-01 주식회사 타임즈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의 의료 서비스 방법
KR20050015059A (ko) * 2003-08-01 2005-02-21 황욱배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과 정보 제공 방법
KR20050051953A (ko) * 2003-11-28 2005-06-02 대한민국(경북대학교 총장)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26623A (ko) * 2004-09-21 2006-03-24 한경돈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정보 수신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805A (ko) * 2002-09-26 2004-04-01 주식회사 타임즈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의 의료 서비스 방법
KR20050015059A (ko) * 2003-08-01 2005-02-21 황욱배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과 정보 제공 방법
KR20050051953A (ko) * 2003-11-28 2005-06-02 대한민국(경북대학교 총장)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26623A (ko) * 2004-09-21 2006-03-24 한경돈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정보 수신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1354B2 (en) 2012-10-15 2016-02-02 Imprivata, Inc. Secure access supersession on shared works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561A (ko) 2009-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8385B2 (en) Records access and management
CA2432141C (en) Computer oriented record administration system
TW510997B (en) Privacy and security method and system for a world-wide-web site
CN105339949B (zh) 用于管理对医学数据的访问的系统
US89775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tient-controlled, encrypted, consolidated medical records
JP4896054B2 (ja) 個人情報管理装置,個人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
Sampat et al. Privacy risks and security threats in mHealth apps
US11343330B2 (en) Secure access to individual information
JP7121401B2 (ja) システムへのログイン方法
US20170116375A1 (en)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server
CN112017761A (zh) 一种电子医学影像中嵌入医疗信息的系统及方法
KR20180076911A (ko)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 제3자의 의료정보 열람 시스템
KR100945819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따른 시스템
JP727976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76910A (ko) 응급상황에서 제3자에 대한 응급의료 정보제공 방법
KR20200134744A (ko)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 액세스 방법 및 시스템
CN113722731A (zh) 一种医疗数据共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boelfotoh et al. A mobile-based architecture for integrating personal health record data
US9953188B2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storing and controlling access to data representing personal behavior
JP201617746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携帯端末、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0331101A (ja) 医療関連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2100052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of a user&#39;s health information to third parties
JP2002279062A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個人情報管理方法
JPH11143956A (ja) 診療情報を他医療機関に開示する方法及び装置
Santos-Pereira et al. A mobile based authorization mechanism for patient managed role based access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