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1953A -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1953A
KR20050051953A KR1020030085643A KR20030085643A KR20050051953A KR 20050051953 A KR20050051953 A KR 20050051953A KR 1020030085643 A KR1020030085643 A KR 1020030085643A KR 20030085643 A KR20030085643 A KR 20030085643A KR 20050051953 A KR20050051953 A KR 20050051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nformation
institution data
medical information
dat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0661B1 (ko
Inventor
김일곤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경북대학교 총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경북대학교 총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경북대학교 총장)
Priority to KR1020030085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661B1/ko
Priority to US10/961,825 priority patent/US20050119917A1/en
Publication of KR20050051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통신망을 통해 의료 기관과 개인의 통신 장비 간에 의무 기록을 상호 제공함은 물론, 의료 기관 및 유관 기관이 연계되어 개개인의 진료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공유 및 활용할 수 있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은 통신망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환자의 진료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및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로부터 통신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의 진료 정보를 전송받는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을 포함하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은 진료 정보를 지정된 메시지 형식으로 암호화여 전송하고,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은 진료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와,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로부터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진료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전용 암복호화 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개인이 자신의 병력을 관리하고 진료 정보의 타당성을 분석하며, 필요한 경우 타 의료기관에 자신의 의무기록을 제공함으로써, 가족 병력 관리에 따른 개인별, 가계 중심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정보를 축적 및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Unified Management of Medic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의료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망을 통해 의료 기관과 개인의 통신 장비 간에 의무 기록을 상호 제공함은 물론, 의료 기관 및 그 유관 기관이 연계되어 개개인의 의료 정보를 공유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 기관에서 진찰을 받는 경우 의료진은 환자의 진료 내용을 종이에 기록하거나 개인용 PC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다. 또한, 환자는 의사로부터 처방전을 전달받고 이를 약국 등에 의뢰하여 처방된 약을 전달받게 된다.
그런데, 최근 들어 개인용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 등 통신 장비의 보편화 및 기술의 발전은 사회 전반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러한 영향은 의료 기관에 까지 확대되어 최근에는 '종이 없는 병원'을 위한 병원간 네트워킹 및 이와 관련된 연구를 필두로 하는 의료분야 정보 기술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의료 기관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의료정보 표준으로 HL7(Health Level 7)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서로 다른 보건 의료분야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간 정보가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의 집합으로서, 전 세계적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이용하게 되면 의료 기관의 유형 또는 규모에 무관하게 모든 종류의 의료 업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HL7은 환자의 진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표준인 것이다.
HL7 프로토콜에서는 메시지 구조, 코딩 규칙, 트리거 이벤트 등의 요소를 명세화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메시지 구조는 메시지의 추상적 정의를 의미하고, 코딩 규칙은 전송을 위한 메시지 표현 방식을 의미하며, 트리거 이벤트는 메시지를 발생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이벤트를 의미한다. HL7에서, 트리거 이벤트에 의해 하나의 사건이 발생하면, 그 사건에 의해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둘 이상의 시스템 간에 네트워크를 통해 경로가 설정되게 된다. 이후,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메시지 형태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면, 메시지를 수신한 시스템에서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응답 메시지를 메시지를 전송한 시스템으로 보냄으로써 하나의 사이클이 마무리된다.
HL7은 의료 기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업무와 관련된 메시지를 정의하고 있으며, 환자 원무관리, 질의, 처방, 처방 및 임상 결과에 대한 관찰기록 보고, 제품 실험, 파형 결과, 환자 의뢰, 회계 관리, 일정 관리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HL7을 이용하여 환자의 진료 정보를 공유하게 되면 환자들에게 더욱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중요한 질병에 대한 진료 결과를 토대로 의학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의료기관 네트워킹은 의료기관 간의 정보 공유에 그치고 있으며, 개개인이 자신의 의무기록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 만약, 어떤 환자가 특정 약품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경우, 이 환자는 진료시 또는 처방전에 따른 약 조제시 이러한 사실을 반드시 알려야 하며, 이러한 과정은 상기 환자가 진료를 받을 때마다 되풀이될 것이다.
또한, 둘 이상의 질병을 갖고 있는 환자의 경우에도 진료시마다 자신이 현재 어떠한 질병으로 어떠한 약을 복용하고 있는지 의료진에게 알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러한 통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환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주거나 의료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아울러, 현실적으로 질병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의사의 처방에 의한 약 외에 별도로 구입한 약을 복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 경우 자신이 복용하려는 약이 현재 자신의 질병에 도움이 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고 불편하여, 의약품 오남용 및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및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의료기관에서의 진료 기록을 개개인의 홈 시스템에 통합 저장하여 두고, 필요한 경우 홈 시스템에 저장된 개인 의무 기록을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의료기관의 진료 결과를 홈 시스템에 입력하고, 지능형 의사 결정 시스템에 의하여 진료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도록 함으로써, 의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기관 간의 네트워킹을 통해 환자의 의무기록을 공유함으로써, 환자 개개인에게 보다 우수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중요한 질병에 대한 통계 및 진료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족 병력 관리에 따른 개인별, 가계 중심의 의료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고, 치료제 개발을 위한 유전적 정보를 축적,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증상 중심의 의료에서 개인 중심의 의료 시대를 위한 기본 자료를 수집하도록 하는 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은 통신망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환자의 진료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및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로부터 통신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의 진료 정보를 전송받는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은 상기 진료 정보를 지정된 메시지 형식으로 암호화여 전송하고, 상기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은 상기 진료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로부터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진료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전용 암복호화 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은 상기 진료 정보를 개인의 휴대용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은 전송받은 진료 정보를 자신의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의료 정보란 진료 정보, 건강 정보, 양약/한약 처방 정보 등을 비롯한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 예시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은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10), 의료 기관 데이터 단말(20), 개인 휴대용 단말(30) 및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의료 기관 데이터 단말(20)은 복수개(20-1~20-n) 존재하여 네트워킹에 의해 상호 접속될 수 있다.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은 개인용 PC 등과 같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전용 암복호화 처리부(110) 및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하여,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로부터 직접 의료 정보를 전달받거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이 휴대용 단말(30)로 전송한 의료 정보를 휴대용 단말(30)로부터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 및 갱신한다.
여기에서, 휴대용 단말(30)은 스마트 카드, 스마트 카드 칩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 포스트-PC, 의료 정보 전용 휴대용 PC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은 셀룰러 폰, PCS, PDA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을 의미한다.
의료정보는 의료 기관 및 환자 본인 이외에는 열람할 수 없으므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과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 그리고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과 휴대용 단말(30) 간에는 정해진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지정된 메시지 형식에 의한 통신이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 휴대용 단말(30) 및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에는 지정된 메시지 형식에 따라 작성된 의료정보 문서를 암호화 및 복호화할 수 있는 처리부(110)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프로토콜 및 메시지 형식은 예를 들어, HL7에서 정의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은 의료진이 입력한 의료 정보를 HL7 프로토콜에 따른 문서 생성 프로그램, 예를 들어, HL7 인터페이스 엔진이나 툴킷과 결합한 또는 자체 의료 문서 구조 생성기(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CDA)를 이용하여 저장한다.
또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은 상기 개인별 의료 정보를 HL7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망(50)을 통해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으로 직접 전송하거나, HL7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망(50)을 통해 휴대용 단말(30)로 전송하고, 의료 정보를 수신한 환자는 휴대용 단말(30)에 저장된 의료 정보를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으로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통신망(50)은 인터넷, 무선통신망, 전용망 등 의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자신의 의료 기록을 통합하여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이점이 얻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의료기관#1에서 진료받은 환자의 경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1(20-1)을 통해 전송되는 진료 정보가 자신의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에 저장되게 될 것이다. 이 환자가 추후에 의료기관#n에서 진료를 받을 경우, 의료기관#n의 의료진은 환자의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에 접근하여 환자의 의무 기록을 열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환자의 상태에 최적화된 처방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의료기관#x가 약국인 경우, 의료기관#1에서 진료받은 환자가 자신의 의료정보를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에 저장한 후, 의료기관#x로 진료 정보를 전송하여 필요한 약을 의뢰할 수 있으며, 의료기관#x로부터 약의 복용(또는 사용) 지침, 조제약 정보 등의 주의사항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x로부터 전송받아 약의 복용(또는 사용)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의료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은 통신망(50)을 통해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과 접속되는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40)은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로부터 획득한 진료 정보를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에 저장하고 난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진료 정보의 타당성을 분석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이전 병력, 현재 복용(또는 사용)하는 약품 내역, 현재 건강 상태 등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의 데이터베이스(120)를 참조하여 의료 정보에 오류가 없는지 검사한 후 결과를 제공한다.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40)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과 통신망(50)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지만, 의료기관에서 제작한 의사결정 소프트웨어를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에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40) 또는 의사결정 소프트웨어는 표준 처치 및 의사 결정에 대한 조건을 지정하고 있으며, 진료 지식 표현 언어 표준에 의해 작성된 진료 정보가 입력되는 것과 같은 개별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 진료 정보가 표준 처치 및 의사결정에 대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또는 위배되는지 확인하여, 경고 메시지 또는 조언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40)은 사용자의 의료 정보가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에 추가될 때 이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기 저장된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바탕으로 추가된 의료 정보를 검증하여, 의료 정보의 타당성을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의료 정보 검증 결과는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으로 전송하거나 휴대용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10) 및 휴대용 단말(30)은 각각 의료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용 뷰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은 가족 단위로 병력을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족 구성원 전체의 병력을 관리하게 되면 체질에 따른 질병 치료가 가능하고 유전병의 발병 확률을 낮출 수 있는 등 가계 중심의 의료 서비스가 가능하고, 특정 질병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위한 유전적 정보를 축적, 저장,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은 제어부(210), 의무기록 관리부(220),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230), 의무기록 중개부(240), 통신망 인터페이스(250) 및 의무기록 리포터(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의무기록 관리부(220)는 데이터 갱신 수단(222), 데이터 그룹화 수단(224) 및 데이터 연관화 수단(226)을 포함하고, 의무기록 중개부(2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242), 인증 수단(244) 및 검색 엔진(246)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242)은 키보드, 디스플레이 등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접속되어 데이터 단말(20)과 사용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수단이다.
의료진은 환자의 진료 내용을 의무기록 중개부(24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242)을 통해 입력하며, 이와 같이 입력된 진료 내용은 의무기록 관리부(220)에 의해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다. 이때, 환자가 최초로 진료를 받은 경우에는 의무기록 관리부(220)가 해당 환자를 위한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환자가 재진을 받은 경우에는 의무기록 관리부(220)의 데이터 갱신 수단(222)에 의해 환자의 진료 기록이 수정, 추가, 정정되어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되게 된다.
아울러, 적법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환자의 진료 기록이 생성 및 갱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료 정보를 기록하기 전 인증 수단(244)에 의해 적법한 사용자인지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의무기록 관리부(220)는 진료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HL7 인터페이스 엔진이나 툴킷과 결합한 의료 문서 구조 생성기(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CDA) 또는 자체 의료 문서 구조 생성기를 이용하여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의 진료 내용이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후, 의료진은 통신망 인터페이스(250)를 통해 진료 정보를 환자의 휴대용 단말(30)로 전송하거나, 환자의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에는 HL7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의료진이 환자의 진료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하여, 의무기록 중개부(240)의 인증 수단(244)은 진료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에 접근한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인지 확인한다. 이를 위하여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에 접근이 허용된 사용자마다 ID 및 비밀번호를 기 할당하거나, 인증기관을 통하여 인증서를 발급받아 사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인증 수단(244)의 확인 결과 진료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료진)가 적법한 것으로 판명되면, 사용자는 검색엔진(246)에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여 진료 정보를 요구하고, 검색 엔진은 의무기록 리포터(260)를 통해 진료 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된 정보를 출력한다.
아울러, 의무기록 관리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자에 대한 진료 정보로부터 질병 종류, 증후, 환자의 연령, 성별 등 다양한 카테고리에 따라 진료 정보를 분류하는 데이터 그룹화 수단(224)과, 질병의 종류에 따른 증후 또는 그 역관계 등 진료 정보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이터 연관화 수단(226)을 더 포함하며, 데이터 그룹화 수단(224) 및 데이터 연관화 수단(226)의 처리 결과를 이용하여 질병의 치료 방법 개선, 통계자료 확보 등 보다 나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의무기록 리포터(260)는 의무기록 중개부(240)의 요청에 따라 진료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뿐 아니라, 다수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20-n)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중개 수단으로 동작한다. 즉, 의무기록 리포터(260)는 다수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20-n)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 타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로부터 요청되는 진료 정보를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검색하고 진료 정보를 요청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로 전송한다. 의무기록 리포터(260)를 통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20-n)간의 데이터 공유 및 그 접속 관계는 후술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의로 정보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특정 개인이 의료기관에 방문하게 되면 해당 의료기관의 특정 의료진이 개인을 진료하고 진료 결과를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에 저장한다(S101). 이때, 진료 정보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하여 지정된 문서 형식에 의해 변환되어 저장되며(S10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HL7 인터페이스 엔진이나 툴킷과 결합한 의료 문서 구조 생성기(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CDA) 또는 자체 의료 문서 구조 생성기를 이용하여 저장한다.
이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30)로 진료 정보를 전송하며(S103), 이 때에는 HL7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30)에 임시 저장된 진료 정보를 자신의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으로 전송하며(S104), 이 경우에도 HL7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통신 방식을 적용한다.
진료 정보는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에 저장된 후 전용 암복호화 처리부(110)에서 복호화되며,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40)이 이를 인식하여,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병력 등을 기초로 하여 진료 정보의 타당성을 분석하여 전송하고(S105), 이를 수신한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은 진료 정보 및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40)의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S106). 여기에서,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40)은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과 통신망(50)을 통해 접속한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40)의 진료 정보 분석 결과는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휴대용 단말(3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사용자가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에 자신의 의료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은 이를 디스플레이한다(S107).
본 발명에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에서 생성한 진료 정보는 휴대용 단말(30)을 경유하지 않고, 통신망(50)을 통해 사용자의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에 직접 저장되는 방식 또한 가능하다.
한편, 진료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107) 이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약국 등과 같은 제 3 의료 기관으로 자신의 진료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S108). 이 경우, 진료 정보를 수신한 약국 등의 의료 기관은 수신한 진료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처방되어야 하는 약의 정보, 복용(또는 사용) 지침 등을 포함하는 처방 참조 문서를 작성하여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으로 전송하며(S109), 이를 수신한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은 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S110). 여기에서,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10)이 약국 등의 제 3 의료 기관으로부터 수신한 처방 참조 문서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3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 정보 저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의료기관을 방문한 사용자에 대하여 의료진의 진료 결과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의료진은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242)을 통하여 진료 정보를 입력한다(S201). 이때, 인증 수단(244)에 의해 진료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증은 기 설정된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수행하거나 인증기관으로부터 발급받은 인증서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의료진에 의해 입력되는 진료 정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진료받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의 의무기록 관리부(220)는 의료진에 의해 입력된 진료 정보를 예를 들어, HL7 인터페이스 엔진이나 툴킷과 결합한 의료 문서 구조 생성기(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CDA) 또는 자체 의료 문서 구조 생성기를 이용하여 변환한다(S202).
이후, 의료진이 진료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의무기록 관리부(220)는 진료 대상 사용자에 대한 기 진료 기록 검색할 것을 요청한다(S203). 즉, 사용자 이름 또는 주민등록번호 등과 같은 인덱스에 의해 기 저장된 진료 기록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의 의무기록 관리부(220)는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230)에 사용자의 인덱스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S204), 인덱스가 존재하는 경우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230)에 현재 진료 결과에 대한 요약 문서를 저장한다(S205).
또한, 의무기록 관리부(220)는 의료진이 입력한 진료 정보에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여(S206),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진료 정보 및 이미지를 저장한다(S207).
만약,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230)에 사용자의 인덱스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204)에서, 인덱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새로운 인덱스를 생성한 후(S208), 요약 문서를 저장하는 단계(S205)로 진행하여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며,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206)에서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진료 정보만을 저장한다(S209).
상술한 의무기록 저장 방법에서, 진료 정보에 대한 요약문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세 진료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거나 별개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네트워킹 구성을 나타내는 일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네트워킹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이 다수개(20-1~20-n) 존재하는 경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20-n)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접속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도 2에서 설명한 의무기록 리포터(26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먼저, 도 5는 다수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20-n)이 1차 트리구조와 유사한 형태로 접속되어 있으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20-n)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단말(예를 들어 20-1)에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진료 정보가 공유될 수 있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가 설치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을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라 칭하고,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가 설치되지 않은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2~20-n)을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라 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는 자신(즉,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의료 정보 및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의료 정보에 대한 요약 문서 및 상세 정보를 인덱스별로 관리하는 공유 데이터베이스(272)를 포함한다. 즉, 어떤 환자에 대한 의료 정보를 기록한 요약 문서가 어떤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에 저장되어 있고, 상세 정보는 어떤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공유 데이터베이스(272)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이며, 경우에 따라 요약 문서 및 상세 정보의 실제 내용을 함께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수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20-n)은 각각 구비하고 있는 통신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2) 사용자가 의무기록 중개부(240-2)를 통해 진료 정보를 요청하면(S301), 의무기록 중개부(240-2)는 의무기록 리포터(260-2)로 진료정보 검색을 요청한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요청하는 진료 정보는 요약문서 및/또는 상세정보가 될 수 있다. 의무기록 리포터(260-2)는 데이터베이스(230-2)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진료 정보가 데이터베이스(230-2)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302).
만약, 데이터베이스(230-2)에 사용자가 요청한 진료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의무기록 리포터(260-2)는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의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로 진료 정보(요약 문서 및/또는 상세정보)를 요청한다(S303). 이에 따라,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의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는 공유 데이터베이스(272)를 조회한다(S304).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의 공유 데이터베이스(272) 조회 결과,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2)이 요청한 진료 정보(요약 문서 및/또는 상세정보)가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n)에 존재하는 경우,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은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n)로 진료정보(요약 문서 및/또는 상세정보)를 요청하고(S305),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n)로부터 진료 정보(요약 문서 및/또는 상세정보)를 수신한다(S306). 여기에서, 진료 정보를 요청받은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n)은 진료 정보를 요청한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이 적법한 정보 요청자인지 인증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초로 진료 정보를 요청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2) 정보를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로부터 수신하여 진료 정보 제공 내역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이를 진료 정보를 요청한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2)로 전송하면(S307),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2)은 수신한 진료 정보를 출력한다(S308).
상술한 1차 트리구조의 네트워킹은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20-n)의 수가 많지 않은 경우에는 효율적이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20-n)의 수가 증가하면 1차 트리구조만으로는 데이터 전송 속도 등을 보장하기 어렵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층 트리구조를 제안할 수 있으며, 이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은 2차 트리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20-n)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 이상의 트리구조로 네트워킹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 5에서 설명한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의 상위 개념인 의무기록 리포터 상위 집중부(280)에 의해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를 구비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a, 20-x 등)이 1차 트리를 이루고,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에 의해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를 구비하지 않은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b, 20-c 등)이 2차 트리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의무기록 리포터 상위 집중부(280)를 구비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을 최상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라 하고,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를 구비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a, 20-x 등)을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가 설치되지 않은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b, 20-c 등)을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라 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a, 270-x 등)는 자신(즉,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의료 정보 및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a의 경우 20-b, 20-c 등)이 저장하고 있는 의료 정보에 대한 요약 문서 및 상세 정보를 인덱스별로 관리하는 1차 공유 데이터베이스(272-a, 272-x)를 각각 구비한다. 또한, 의무기록 리포터 상위 집중부(280)는 자신(즉, 최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의료 정보 및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의료 정보에 대한 요약 문서 및 상세 정보를 인덱스별로 관리하는 2차 공유 데이터베이스(28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1차 및 2차 공유 데이터베이스는 경우에 따라 요약 문서 및 상세 정보의 실제 내용을 함께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수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20-n)은 각각 구비하고 있는 통신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b) 사용자가 의무기록 중개부(240-b)를 통해 진료 정보를 요청하면(S401), 의무기록 중계부(240-b)는 의무기록 리포터(260-b)로 진료정보 검색을 요청한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진료 정보는 요약 문서 및/또는 상세정보가 될 수 있다. 의무기록 리포터(260-b)는 데이터베이스(230-b)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진료 정보가 데이터베이스(230-b)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402).
만약, 데이터베이스(230-b)에 사용자가 요청한 진료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의무기록 리포터(260-b)는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a)의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a)로 진료 정보를 요청한다(S403). 이에 따라,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a)의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a)는 1차 공유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요약문서 및/또는 상세정보가 어떤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404).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a)의 1차 공유 데이터베이스(272-a) 조회 결과,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b)이 요청한 진료 정보가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c 등)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a)는 최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의 의무기록 리포터 상위 집중부(280)로 진료 정보를 요청한다(S405). 이에 따라, 최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의 의무기록 리포터 상위 집중부(280)는 2차 공유 데이터베이스(280)를 조회하여,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a)이 요청한 요약문서 및/또는 상세정보가 어떤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406).
의무기록 리포터 상위 집중부(280)의 2차 공유 데이터베이스 조회 결과,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a)이 요청한 진료 정보(요약 문서 및/또는 상세정보)가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x)에 존재하는 경우, 최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은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x)로 진료정보(요약 문서 및/또는 상세정보)를 요청하고(S407),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x)로부터 진료 정보를 수신한다(S408). 여기에서, 진료 정보를 요청받은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x)은 진료 정보를 요청한 최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이 적법한 정보 요청자인지 인증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초로 진료 정보를 요청한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b) 정보 및 이 요청을 수신한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a)의 정보를 최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로부터 수신하여 진료 정보 제공 내역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최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의 의무기록 리포터 상위 집중부(280)는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x)로부터 수신한 진료 정보(요약 문서 및/또는 상세정보)를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a)로 전송하고(S409),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a)은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b)로 진료 정보를 전송한다(S410). 또한,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b)은 수신한 진료 정보를 출력한다(S411).
상술한 것과 같이,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20-n)의 수가 많은 경우, 다층 트리구조로 네트워킹을 구현함으로써, 데이터 검색 속도와 전송 속도 등을 1차 트리구조에 비하여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에서는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의료 정보를 수직 공유(즉, 트리구조의 네트워킹)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5에 도시한 1차 트리구조에서,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상호 접속되도록 네트워킹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2차 트리구조에서,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상호 접속되고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상호 접속되도록 네트워킹을 구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이를 도10에 나타내었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다수의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2, 20-3, 20-n)이 각각의 의무기록 리포터(260-2, 260-3, 260-n)에 의해 스타 구조의 네트워킹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 하위에 있는 데이터 단말 간의 스타 구조 네트워킹을 도시하였으나, 별도의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을 두지 않고, 모든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스타 구조로 네트워킹을 이루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의무기록 리포터(260-2, 260-3, 260-n)는 다수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중개 수단을 동작하며, 본 실시예에서처럼,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스타 구조의 네트워킹을 이루는 경우, 필요한 정보를 타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로부터 용이하게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다수의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b, 20-c 등)이 각각의 의무기록 리포터(260-b, 260-c 등)에 의해 스타 구조의 네트워킹을 이루고, 다수의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a, 20-x 등)이 각각의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270-a, 270-x 등)에 의해 스타 구조의 네트워킹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1) 하위에 있는 상위 데이터 단말(20-a, 20-x 등)간, 그리고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20-a, 20-x 등) 하위에 있는 데이터 단말(20-a의 경우 20-b, 20-c 등) 간의 스타 구조 네트워킹을 도시하였으나, 별도의 최상위 또는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을 두지 않고, 모든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스타 구조로 네트워킹을 이루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은 수직적 데이터 공유 뿐 아니라 수평적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도록 네트워킹을 구현하여, 필요한 정보가 있는 경우 의무기록 리포터,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 의무기록 리포터 상위 집중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타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의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환자의 진료 기록을 전산화하여 저장하고, 통신망을 통해 환자 본인에게 제공함으로써 종이 없는 병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진료 기록을 전산화함으로써, 각종 질병에 따른 처방법, 예방법 등을 연구할 수 있어 의료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으며, 각 의료기관이 네트워킹되도록 하여 상호간에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의료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환자는 자신의 진료 기록을 스스로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 의료진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병력을 기반으로 하는 치료와 처방을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의료진의 진료 내용이 적합한지 재차 확인하는 의사결정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진료 내용의 타당성을 검증받고, 의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효능이 부족한 의료 서비스를 배제할 수 있고, 잘못된 정보에 기인한 건강식품, 약품 등의 오남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개인화된 약품 처방, 식이요법 등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노인인구 급증으로 인한 의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이고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의로 정보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 정보 저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네트워킹 구성을 나타내는 일 예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네트워킹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예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네트워킹 구성 예에서의 정보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네트워킹 구성 예에서의 정보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도 5에 도시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네트워킹 구성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네트워킹 구성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 20 :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30 : 휴대용 단말 40 :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
50, 60 : 통신망 110 : 전용 암복호화 처리부
120 : 데이터베이스 210 : 제어부
220 : 의무기록 관리부 222 : 데이터 갱신 수단
224 : 데이터 그룹화 수단 226 : 데이터 연관화 수단
230 :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 240 : 의무기록 중개부
242 : 사용자 인터페이스 244 : 인증 수단
246 : 검색 엔진 250 : 통신망 인터페이스
260 : 의무기록 리포터 270 :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
280 : 의무기록 리포터 상위 집중부

Claims (27)

  1. 통신망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환자의 진료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및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로부터 통신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의 진료 정보를 전송받는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
    을 포함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은 상기 진료 정보를 지정된 메시지 형식으로 암호화여 전송하고,
    상기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은 상기 진료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로부터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진료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전용 암복호화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로부터 자신의 진료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진료 정보를 자신의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에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스마트 카드, 스마트 카드 칩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 포스트-PC, 의료 정보 전용 휴대용 P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및 상기 휴대용 단말은 HL7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호 접속되고,
    상기 진료 정보를 작성하는 메시지 형식은 의료 문서 구조 생성기(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CDA), HL7 인터페이스 엔진 또는 툴킷과 결합한 의료 문서 구조 생성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및 상기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은 HL7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호 접속되고,
    상기 진료 정보를 작성하는 메시지 형식은 의료 문서 구조 생성기(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CDA), HL7 인터페이스 엔진 또는 툴킷과 결합한 의료 문서 구조 생성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의료 정보 홈 시스템과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에 진료 정보가 저장됨에 따라, 상기 진료 정보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은 상기 진료 정보 분석 결과를 상기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의료 정보 홈 시스템과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에 진료 정보가 저장됨에 따라, 상기 진료 정보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은 상기 진료 정보 분석 결과를 상기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은 상기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에 진료 정보가 저장됨에 따라, 상기 진료 정보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의사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 수단은 상기 진료 정보 분석 결과를 상기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은 상기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에 진료 정보가 저장됨에 따라, 상기 진료 정보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의사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의사결정 수단은 상기 진료 정보 분석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은 환자의 진료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환자의 진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의무기록 중개부;
    상기 의무기록 중개부를 통해 입력되는 진료 정보를 지정된 메시지 형식으로 생성하여 관리 및 저장하며, 상기 진료 정보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진료 정보를 참조하여 질병을 분석하기 위한 의무기록 관리부;
    상기 의무기록 관리부에 의해 상기 진료 정보가 저장되는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의무기록 중개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기 위한 의무기록 리포터;
    를 구비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무기록 중개부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인지 확인하기 위한 인증 수단;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진료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무기록 관리부는 상기 의무기록 중개부를 통해 입력되는 진료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수정, 추가, 정정하기 위한 데이터 갱신 수단;
    상기 진료 정보를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기 위한 데이터 그룹화 수단; 및
    상기 진료 정보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데이터 연관화 수단;
    을 포함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무기록 관리부에서 진료 정보를 생성하는 메시지 형식은 의료 문서 구조 생성기(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CDA), HL7 인터페이스 엔진이나 툴킷과 결합한 의료 문서 구조 생성기(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CDA)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무기록 리포터는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복수개 존재하고, 상기 복수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경우, 타 의료기관으로 진료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며, 타 의료기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진료 정보를 제공하는 중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은 둘 이상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통신망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둘 이상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은 타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를 구비하는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며,
    상기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을 제외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은 상기 의무기록 리포터에 의해 상기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의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은 상기 의무기록 리포터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은 복수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통신망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은 타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의무기록 리포터 상위 집중부를 구비하는 최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며,
    상기 복수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중 상기 최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을 제외한 둘 이상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은 타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를 구비하는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며;
    상기 최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및 상기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을 제외한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은 상기 의무기록 리포터에 의해 상기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은 상기 의무기록 리포터 집중부에 의해 상호 접속되고, 상기 하위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은 상기 의무기록 리포터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21. 통신망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환자의 진료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의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 및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로부터 통신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의 진료 정보를 전송받는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을 포함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의 의료 정보 통합 관리 방법으로서,
    의료진에 의하여 환자의 진료 정보가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로 입력됨에 따라,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상기 진료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이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진료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이 상기 진료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정보는 의료 문서 구조 생성기(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CDA), HL7 인터페이스 엔진이나 툴킷과 결합한 의료 문서 구조 생성기(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CDA)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이 상기 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상기 진료 정보를 상기 환자의 휴대용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이 상기 진료 정보를 상기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은 HL7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진료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과 접속되며,
    상기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이 상기 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진료 정보를 출력하기 전, 상기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이 상기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에 기 저장된 상기 환자의 병력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진료 정보의 타당성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으로부터 분석 결과를 수신한 상기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이 상기 진료 정보와 함께 상기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은 지능형 의사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이 상기 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진료 정보를 출력하기 전, 상기 지능형 의사결정 수단이 상기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에 기 저장된 상기 환자의 병력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진료 정보의 타당성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지능형 의사결정 수단의 분석 결과를 상기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이 상기 진료 정보와 함께 상기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방법.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정보 관리 홈 시스템이 상기 진료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환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진료 정보를 타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진료 정보를 수신한 타 의료기관 데이터 단말이 상기 진료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진료 정보에 대한 처방 참조 문서를 작성하여 상기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정보 관리 홈 시스템이 상기 처방 참조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방법.
KR1020030085643A 2003-11-28 2003-11-28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580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643A KR100580661B1 (ko) 2003-11-28 2003-11-28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961,825 US20050119917A1 (en) 2003-11-28 2004-10-07 Unifie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643A KR100580661B1 (ko) 2003-11-28 2003-11-28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953A true KR20050051953A (ko) 2005-06-02
KR100580661B1 KR100580661B1 (ko) 2006-05-16

Family

ID=3461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643A KR100580661B1 (ko) 2003-11-28 2003-11-28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119917A1 (ko)
KR (1) KR100580661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570B1 (ko) * 2006-03-07 2007-07-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19974A (ko) * 2006-06-17 2007-12-21 성호준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787947B1 (ko) * 2005-12-22 2007-12-24 설진안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 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WO2008098204A2 (en) * 2007-02-08 2008-08-14 Kryptiq Corporation Health care administration system
KR100945819B1 (ko) * 2008-03-24 2010-03-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따른 시스템
WO2013133610A1 (en) * 2012-03-05 201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 health record information
KR101413482B1 (ko) * 2012-12-10 2014-07-04 주식회사 헤셀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894661B1 (ko) * 2017-04-11 2018-09-04 서경록 진료 정보 교류 시스템 및 진료 정보 교류 방법
KR102096328B1 (ko) * 2019-08-12 2020-04-02 최미숙 처방적 분석 기반 지능형 연구정보 고부가 가치화 제공 플랫폼 및 그 방법
KR20210040317A (ko) * 2020-03-27 2021-04-13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의료 충돌을 탐지하는 방법, 장치, 전자 기기,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KR20210052945A (ko)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20210052939A (ko)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CN115064235A (zh) * 2022-07-06 2022-09-16 北京神州慧安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平台网络安全防护的方法、系统及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2035B2 (en) * 2004-12-10 2010-07-06 Yeong Kuang Oon Method, system and message structure for electronically exchanging medical information
US8719047B2 (en) * 2008-06-17 2014-05-06 American Well Corporation Patient directed integration of remotely stored medical information with a brokerage system
US8281370B2 (en) 2006-11-27 2012-10-02 Therap Services LLP Managing secure sharing of private information across security domains
US20080166693A1 (en) * 2006-11-27 2008-07-10 Warren Stanton Gifford Method and system for optimal learning
US8412542B2 (en) * 2008-04-25 2013-04-02 Peoplechart Corporation Scoring system for monitoring or measuring adherence in medical treatment
US11152118B2 (en) * 2010-07-20 2021-10-19 Interfaced Solutions, Inc. Electronic medical record interactive interface system
US20120159337A1 (en) * 2010-12-17 2012-06-21 Kerry Travilla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media content
US8485439B2 (en) * 2011-10-11 2013-07-16 Solomon Systems, Inc. System for providing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and for scheduling alerts
KR101934821B1 (ko) 2012-03-08 2019-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동작 방법
US10311203B2 (en) 2013-09-13 2019-06-04 Michigan Health Information Network Shared Services Method and process for transporting health information
CN108320779A (zh) * 2017-01-16 2018-07-24 医渡云(北京)技术有限公司 医疗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2002381B (zh) * 2020-08-14 2023-07-14 浙江大学 智能病案数据管理系统
CN114496131B (zh) * 2022-01-22 2022-10-04 深圳市携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家庭医生信息化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5374A (en) * 1987-12-09 1991-06-18 Arch Development Corp. Portable system for choosing pre-operative patient test
US5078134A (en) * 1988-04-25 1992-01-07 Lifecor, Inc. Portable device for sensing cardiac function and automatically delivering electrical therapy
DE69227562T2 (de) * 1991-09-11 1999-04-22 Hewlett-Packard Co., Palo Alto, Calif. Datenverarbeitungssystem und Verfahren zur automatischen Durchführung von prioritisierten pflegerischen Diagnosen durch Auswertung von Patientendaten
US5265613A (en) * 1992-04-03 1993-11-30 Telmed, Inc. Portable non-invasive testing apparatus with logarithmic amplification
US6283761B1 (en) * 1992-09-08 2001-09-04 Raymond Anthony Joao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or for providing healthcare information and/or healthcare-related information
US5307263A (en) * 1992-11-17 1994-04-26 Raya Systems, Inc. Modular microprocessor-based health monitoring system
US5715823A (en) * 1996-02-27 1998-02-10 Atlantis Diagnostics International, L.L.C. Ultrasonic diagnostic imaging system with universal access to diagnostic information and images
US5696961A (en) * 1996-05-22 1997-12-09 Wang Laboratories, Inc. Multiple database access server for application programs
US6122351A (en) * 1997-01-21 2000-09-19 Med Graph, Inc. Method and system aiding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US6055506A (en) * 1997-04-25 2000-04-25 Unitron Medical Communications, Inc. Outpatient care data system
US6024699A (en) * 1998-03-13 2000-02-15 Healthware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onitoring, diagnosing and treating medical conditions of remotely located patients
US7256708B2 (en) * 1999-06-23 2007-08-14 Visicu, Inc. Telecommunications network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US20020049615A1 (en) * 2000-10-25 2002-04-25 Huber Janet B. Automated disease management system
US7165221B2 (en) * 2000-11-13 2007-01-16 Draeger Medical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patient medical information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47B1 (ko) * 2005-12-22 2007-12-24 설진안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 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739570B1 (ko) * 2006-03-07 2007-07-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19974A (ko) * 2006-06-17 2007-12-21 성호준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WO2008098204A2 (en) * 2007-02-08 2008-08-14 Kryptiq Corporation Health care administration system
WO2008098204A3 (en) * 2007-02-08 2008-10-09 Kryptiq Corp Health care administration system
KR100945819B1 (ko) * 2008-03-24 2010-03-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따른 시스템
WO2013133610A1 (en) * 2012-03-05 201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 health record information
CN104160418A (zh) * 2012-03-05 2014-11-1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提供个人健康记录信息的方法和装置
KR101413482B1 (ko) * 2012-12-10 2014-07-04 주식회사 헤셀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894661B1 (ko) * 2017-04-11 2018-09-04 서경록 진료 정보 교류 시스템 및 진료 정보 교류 방법
KR102096328B1 (ko) * 2019-08-12 2020-04-02 최미숙 처방적 분석 기반 지능형 연구정보 고부가 가치화 제공 플랫폼 및 그 방법
KR20210052945A (ko)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20210052939A (ko)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20210040317A (ko) * 2020-03-27 2021-04-13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의료 충돌을 탐지하는 방법, 장치, 전자 기기,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CN115064235A (zh) * 2022-07-06 2022-09-16 北京神州慧安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平台网络安全防护的方法、系统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0661B1 (ko) 2006-05-16
US20050119917A1 (en) 200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0661B1 (ko)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907397B2 (en) Records access and management
US8396801B1 (en) Method for remote review of clinical data over a vulnerable system
CA2657614C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review of clinical data
US201101129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managing and storing individu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in web-based and alliance-based networks using a token mechanism
US8661453B2 (en) Managing healthcare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system
US201101128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Managing and Storing Individu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in Web-Based and Alliance-Based Networks
US8725536B2 (en) Establishing a patient-provider consent relationship for data sharing
US20130054467A1 (en) System for remote review of clinical data
Sampat et al. Privacy risks and security threats in mHealth apps
US20090327297A1 (en) Establishing patient consent on behalf of a third party
JP2007094943A (ja) 特定疾患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Petrakis et al. A mobile app architecture for accessing EMRs using XDS and FHIR
Ajagbe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access control based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US20130085776A1 (en) Clinical framework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s
KR20200134744A (ko)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 액세스 방법 및 시스템
Sandeep et al. Blockchain-based privacy approaches for 5G healthcare informatics
Wimalasiri et al. Maintaining security in an ontology driven multi-agent system for electronic health records
Ervin Legal and Ethical Considerations in the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