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482B1 -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482B1
KR101413482B1 KR1020120143026A KR20120143026A KR101413482B1 KR 101413482 B1 KR101413482 B1 KR 101413482B1 KR 1020120143026 A KR1020120143026 A KR 1020120143026A KR 20120143026 A KR20120143026 A KR 20120143026A KR 101413482 B1 KR101413482 B1 KR 101413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mobile device
medical
medical record
personal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4737A (ko
Inventor
최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헤셀
최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헤셀, 최형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헤셀
Priority to KR102012014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482B1/ko
Priority to US14/410,209 priority patent/US20150278454A1/en
Priority to CN201280074662.2A priority patent/CN104428814A/zh
Priority to PCT/KR2012/011797 priority patent/WO2014092236A1/ko
Priority to JP2013023724A priority patent/JP5393905B1/ja
Priority to JP2013214834A priority patent/JP6148962B2/ja
Publication of KR20140074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16H10/65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stored on portable record carriers, e.g. on smartcards, RFID tags or C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장치는, 고객의 모바일 기기(20)와의 통신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20)로부터의 고객 등록 요청에 따라서, 모바일 기기 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등록하여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DB)(15)에 저장 및 관리하는 고객정보관리부(14); 및 상기 등록된 고객의 의무기록을 취합 또는 변환하여 고객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20)로 전송하고, 전송한 의무기록을 전송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17)에 저장 및 관리하는 의무기록관리부(16)를 포함하여, 고객이 자신의 모바일 기기(20)에 설치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의무기록을 관리하도록 한다. 이로써, 의료기관측에는 중앙 서버 (cloud server)가 없으므로 서버 도입 및 운영비용, 전용선 비용, 보안관리 비용이 필요 없게 되고, 의료기관에서 환자측 (고객측)의 모바일 기기에만 의무기록을 넣어주므로 보안성이 높아지게 되고, 환자측에는 환자측(고객측)의 개인 모바일기기에 여러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평생 저장 관리할 수 있어, 의무기록을 편리하게 조회할 수 있어서 진료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ersonal medical records us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기관의 의무기록 특히 의료영상을 개인 모바일 기기에 저장하여 조회가능하도록 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무기록 관리 시스템은 의료기관의 의무기록 특히 의무기록 영상을 콤팩트디스크(CD)와 같은 미디어로 제작하여 환자측에 제공하게 되므로, 환자측은 의료기관별로 받은 의무기록을 담은 CD 들을 모두 따로 관리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CD 경우는 병원마다 포맷이 다 다르게 CD를 구어주므로 뷰어 또는 리더(viewer or reader)가 다 달라, 보관과 들고 다니는 것도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를 하나의 DB로 종합해서 볼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CD에 담은 의무기록을 열어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CD재생기(CD플레이어)를 구비한 퍼스널컴퓨터에 CD를 넣어 재생하여야 하는 불편을 초래하였다.
또한, 현행 의무기록 관리 시스템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회하기 위해서 병원용 앱서버(application server)를 매번 웹통신(인터넷통신)으로 접속하여 환자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조회하게 되는데, 속도는 물론이고 보안도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이런 방식은 병원중심형으로 구축되어 주로 의료진들이 접속하여 조회하는 시스템이므로. 환자측이 접속하여 조회하는 시스템으로 구축하기까지는 기술적, 통신적, 보안적 문제점이 많기 때문에 현실성이 거의 없다. 특히 일반인이 쓰려면, 모든 병원의 앱서버를 한군데로 모아야 하는 불편이 따르고, 환자는
개인적으로 모바일폰에 의무기록을 저장하거나 관리를 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전국의 많은 의료기관 정보를 공유하여 보기 위해서는 병원간 협조를 얻기가 어려움은 물론, 아직까지는 법적 제도적 근거도 없으며, 초대형 중앙서버 및 고속 통신망과 보안 설비 등을 갖추어야 하므로 현실성이 떨어진다.
(1) 한국등록특허 10-1135222 (2012. 4. 3),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장치, (2) 한국특허공개 10-2012-0084643 (2012. 7. 30), 스마트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3) 한국특허공개 10-2011-0084429 (2011. 7. 22), 영상시스템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관리하기 위하여, 기존의 병원중심 (hospital centric) 기록관리에서 환자 중심의(patient centric) 기록관리로 개념을 바꾸고, 환자측(고객측)의 개인 모바일 기기에 고객의 의무기록을 담아주어 필요시 바로 조회할 수 있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관리하기 위하여, 중앙 서버 (cloud server)가 없으므로 서버 도입 및 운영비용, 전용선 비용, 보안관리 비용이 필요 없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관리하기 위하여, 의료기관에서 환자측 (고객측)의 모바일 기기에만 의무기록을 넣어주므로 보안성이 높은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관리하기 위하여, 환자측(고객측)의 개인 모바일기기에 여러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평생 저장 관리할 수 있으므로, 의무기록을 편리하게 조회할 수 있고, 그 결과 진료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고객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와 고객의 모바일 기기 사이의 통신에 의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서 모바일 기기로부터의 고객 등록 요청을 받아, 모바일 기기 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등록하여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서 고객의 의무기록을 취합 또는 변환하여 고객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전송한 의무기록을 전송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의무기록을 관리하도록 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고객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서 모바일 기기로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전송하여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고객의 모바일 기기로 수신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와 고객의 모바일 기기 사이의 통신에 의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모바일 기기의 고객 등록 요청을 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모바일 기기 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서 고객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전송한 고객의 의무기록을 수신하여, 수신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의 수신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검색 및 조회하여,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의무기록을 관리하도록 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요청하여서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수신받아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고객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장치에 있어서,
고객의 모바일 기기와의 통신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의 고객 등록 요청에 따라서, 모바일 기기 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등록하여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고객정보관리부; 및
상기 등록된 고객의 의무기록을 취합 또는 변환하여 고객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전송한 의무기록을 전송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의무기록관리부를 포함하여,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의무기록을 관리하도록 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고객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전송하여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도록 하는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설치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수신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장치에 있어서,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와 고객의 모바일 기기 사이의 통신에 의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로부터 수신된 고객의 의무기록을 저장 및 관리하는 수신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 및
상기 수신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검색 및 조회하여 고객 개인 모바일 기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치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작동 유닛을 포함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기기로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전송하도록 요청하여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도록 하는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설치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고객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여 수신한 의무기록을 관리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와 고객의 모바일 기기 사이의 통신에 의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서 모바일 기기로부터의 고객 등록 요청에 따라서, 모바일 기기 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등록하여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서 고객의 의무기록을 취합 또는 변환하여 고객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전송한 의무기록을 전송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서 고객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전송한 고객의 의무기록을 수신하여, 수신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의 수신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검색 및 조회하여,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의무기록을 관리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요청하여서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수신받아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고객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와 고객의 모바일 기기 사이의 통신에 의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서 모바일 기기로부터의 고객 등록 요청에 따라서, 모바일 기기 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등록하여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서 고객의 의무기록을 취합 또는 변환하여 고객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전송한 의무기록을 전송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고객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서 모바일 기기로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전송하여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더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고객의 모바일 기기로 수신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와 고객의 모바일 기기 사이의 통신에 의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모바일 기기의 고객 등록 요청을 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모바일 기기 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서 고객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전송한 고객의 의무기록을 수신하여, 수신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의 수신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검색 및 조회하여,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의무기록을 관리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요청하여서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수신받아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더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고객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여 수신한 의무기록을 관리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와 고객의 모바일 기기 사이의 통신에 의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서 모바일 기기로부터의 고객 등록 요청에 따라서, 모바일 기기 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등록하여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서 고객의 의무기록을 취합 또는 변환하여 고객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전송한 의무기록을 전송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서 고객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로 전송한 고객의 의무기록을 수신하여, 수신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의 수신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검색 및 조회하여,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의무기록을 관리하도록 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요청하여서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수신받아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는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관리하기 위하여, 기존의 병원중심 (hospital centric) 기록관리에서 환자 중심의(patient centric) 기록관리로 바꾸고, 의료기관측에는 중앙 서버 (cloud server)가 없으므로 서버 도입 및 운영비용, 전용선 비용, 보안관리 비용이 필요 없게 되고, 의료기관측에서 환자측 (고객측)의 모바일 기기에만 의무기록을 넣어주므로 보안성이 높아지게 되고, 환자측에는 환자측(고객측)의 개인 모바일기기에 여러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평생 저장 관리할 수 있어, 의무기록을 편리하게 조회할 수 있어서 진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객(환자측) 모바일 기기에서의 고객정보 및 고객의 모바일 기기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동작 디스플레이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료기관측 퍼스널컴퓨터에서의 고객정보 및 고객의 모바일 기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라이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동작 디스플레이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료기관측 퍼스널컴퓨터에서 의무기록을 전송 및 관리하기 위한 라이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동작 디스플레이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객(환자측) 모바일 기기에서 의무기록을 수신 및 조회하기 위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동작 디스플레이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의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플로우차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장치는 의료기관측에는 퍼스널컴퓨터(PC)(10)로 구현되고, 고객측 즉 환자측에는 모바일 기기(20)로 구현된다. 즉, 의료기관 PC(10)는 의무기록 송신장치이고, 고객의 모바일 기기(20)는 의무기록 수신장치이다. 의료기관 PC(10)에는 의무기록 라이터(Writer)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고객의 모바일 기기(20)에는 의무기록 리더(Reaer)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라서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고객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장치는, 고객의 모바일 기기(20)와의 통신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20)로부터의 고객 등록 요청에 따라서, 모바일 기기 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등록하여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DB)(15)에 저장 및 관리하는 고객정보관리부(14); 및 상기 등록된 고객의 의무기록을 취합 또는 변환하여 고객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20)로 전송하고, 전송한 의무기록을 전송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17)에 저장 및 관리하는 의무기록관리부(16)를 포함하여, 고객이 자신의 모바일 기기(20)에 설치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의무기록을 관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송신 장치는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고객의 모바일 기기(2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고객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20)로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전송하여 모바일 기기(20)에 설치되도록 하는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설치부(12)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수신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장치는 통신에 의하여,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10)로부터 수신된 고객의 의무기록을 저장 및 관리하는 수신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25); 및 상기 고객은 수신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25)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검색 및 조회하여 개인 모바일기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치된 리더 유닛(즉, 리더 SW 작동 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리더 유닛(즉, 리더 SW 작동 유닛)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처리부로서, 이에 대해서는 통상의 중앙처리부의 동작과 거의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의료기관 PC(10)와 고객 모바일 기기(20) 사이에는 여러 가지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웹통신 방식이 적용되어 의료기관 PC(10)는 앱서버(application server)에 대응하는 웹서버로 라이터(writer)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구동하고, 고객 모바일 기기(20)에는 웹서버로부터 앱(application)에 대응하는 리더(reader) 또는 뷰어(viewer)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에 의하면, 고객 모바일 기기(20)에 리더 소프트웨어(SW)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무선 웹통신에 의하여, 고객 모바일 기기(20)의 I/O부(입/출력부)(22)에서 의료기관 PC(10)를 접속하여(1), 리더 SW설치부(12)로부터 리더 SW를 리더SW다운로드(23)에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2).
그 다음, 고객 모바일 기기(20)에서 의료기관 PC(10)로부터 고객의 의무기록을 다운로드받으려면 고객정보와 고객의 모바일 기기 정보를 의료기관 PC(10)에 등록하여야 한다(3). 고객 모바일 기기(20)에서 고객정보와 모바일 기기 정보를 의료기관 PC(10)의 고객정보 관리부(14)에 등록하고(3), 고객별 정보들을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DB)(15)에 저장 및 관리한다.
고객정보 및 고객의 모바일 기기 정보가 의료기관 PC(10)에 등록되면, 의료기관 PC(10)의 의무기록 관리부(16)에서는 등록된 고객의 의무기록을 취합 또는 변환하여 고객 모바일 기기(20)로 전송하고(4), 전송 의무기록 DB(17)에 저장 및 관리한다. 고객의 의무기록이 의료기관 PC(10)에서 고객 모바일 기기(20)로 전송되면, 고객 모바일 기기(20)에서는 스토리지부(24)에 저장하고, 수신 의무기록 DB(25)에 저장 및 관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장치는 의료기관측에서는 웹통신이 가능한 퍼스널컴퓨터(PC)로 구현되고, 고객(환자)측에서는 모바일 기기로 구현된다. 의료기관 PC에서는 고객의 의무기록 관리를 위하여, 의무기록을 담고 있는 문자, 영상, 및 동영상 등의 미디어데이터를 취합 또는 DICOM (Digital Image Communication in Medicine), pdf, jpg, tiff, mpeg 등의 그래픽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WiFi 등) 웹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고객정보, 고객의 모바일 기기 정보, 의무기록 정보 등을 관리하기 위한 에디터 소프트웨어(SW)를 설치하고 있는데, 편이상 여기서는 이를 라이터(writer) SW 라 칭한다. 라이터 SW에서 취합된 의무기록 자료가 DICOM, pdf, jpg, tiff, mpeg 포맷인 경우에는 별도의 변환 과정없이 전송한다.
의료기관 PC에 설치되는 라이터 SW는 예를 들면 DICOM(Digital Image Communication in Medicine) 표준방식으로 작성된 영상 의무기록과 DICOM 또는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표준방식으로 작성된 동영상 의무기록, 및 일반 텍스트모드로 작성된 텍스트 의무기록 등을 획득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취합 또는 변환하여 모바일 기기로 전송한다. 또한, 의료기관 PC에 설치되는 라이터 SW는 모바일 기기에 리더 SW를 설치하도록 제공하며, 전송된 의무기록을 데이터베이스(DB)로 암호화한 후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리더 SW의 접속시 인증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의료기관 PC에 설치된 라이터 SW는 1) 고객정보 DB (환자 모바일 기기 등록 요청을 승인 등록), 2) 전송의무기록 DB (해당 환자의 의무기록을 취합 또는 변환하여 환자측 등록된 모바일기기로 전송하여 저장, 그 전송 기록 정보를 관리), 3) 리더 SW 설치하는 3개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설명은 하지 않았지만, 의료기관 컴퓨터에서 해당 환자 ID를 가지고 DICOM 저장 (Storage) 또는 조회/검색(Query/Retrive)을 하여, 의무기록 (영상)을 PC로 끌어오는 부분은 공지된 표준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므로 설명은 생략하였다.
상술한 통신 방식, 데이터 변환 방식, 암호화 방식, 및 인증 기술에 대해서는 기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주제를 이해하는데 오히려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모바일 기기에서는 수신된 의무기록 정보를 열어 볼 수 있는 뷰어 또는 리더(viewer or reader) 소프트웨어(SW)를 상기 의료기관 PC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있다. 리더 SW는 처음 한 번만 설치하면 되고, 그 후 리더 SW의 업그레이드는 무선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재설치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리더 SW는 라이더 SW로부터 수신된 의무기록을 DB에 저장 및 관리하고 검색 및 조회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고객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의무기록 송신측에서의 본 발명의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은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10)와 고객의 모바일 기기(20) 사이의 통신에 의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10)에서 모바일 기기(20)로부터의 고객 등록 요청에 따라서, 모바일 기기 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등록하여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DB)(15)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10)에서 고객의 의무기록을 취합 또는 변환하여 고객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20)로 전송하고, 전송한 의무기록을 전송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17)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고객이 자신의 모바일 기기(20)에 설치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의무기록을 관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의무기록 송신측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고객의 모바일 기기(2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고객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10)에서 모바일 기기(20)로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전송하여 모바일 기기(20)에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한,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수신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의무기록 수신측에서의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은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10)와 고객의 모바일 기기(20) 사이의 통신에 의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10)에 모바일 기기(20)의 고객 등록 요청을 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10)에 모바일 기기 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10)에서 고객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20)로 전송한 고객의 의무기록을 수신하여, 수신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25)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의 수신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DB)(25)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검색 및 조회하여, 자신의 모바일 기기(20)에 설치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의무기록을 관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의무기록 수신측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고객의 모바일 기기(2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10)에 요청하여서 상기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수신받아 자신의 모바일 기기(20)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10)와 모바일 기기(20) 사이에서 본 발명의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의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1 및 도 6에 의하면, 단계 S100에서, 모바일 기기(20)에 리더 SW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면 단계 S120으로 진행하고,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110에서 의료기관 PC(10)로부터 리더 SW를 다운로드받아 설치한다. 의료기관 PC(10)에는 라이터 SW가 설치되어 있어, 모바일 기기(20)에 리더 SW를 다운로드 받아가도록 제공한다. 단계 S100에서, 모바일 기기(20)에 리더 SW가 없는 경우는, 고객(환자)이 모바일 기기(20)를 통해 의료기관 PC (10) 또는 지정된 앱서버의 IP 를 인터넷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바코드 (Q/R코드)를 찍어서 접속을 하면, 의료기관 PC(10)에서 모바일 기기(20)로 리더 SW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다운로드된다. 다운로드 후 동의하면 설치가 자동으로 되는 방식으로서, 일반적인 앱(또는 어플)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120에서 모바일 기기(20)가 의료기관 PC(10)에 등록을 요청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등록 요청 절차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객(환자측) 모바일 기기(20)에서의 고객정보 및 고객의 모바일 기기 정보를 의료기관 PC(10)에 등록하기 위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동작 디스플레이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고객의 모바일 기기(10)에서 의료기관 PC(10)에 고객정보와 고객의 모바일 기기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면, 모바일 기기(20)에 병원 목록(80)이 디스플레이된다. 병원 목록(80)은 병원명(82), 등록일(84), 서버정보(86)를 포함하고 있다. 고객이 모바일 기기(20)에서 병원명(82)을 선택하여 선택버튼(88)을 누르면 장치 등록(90)화면으로 전환된다. 장치 등록(90) 화면에서 병원명(82)을 확인하고, 고객의 모바일 기기(20)의 전화번호(44), 장치번호(42), 환자ID(46), 환자이름(48), 및 이메일(49)을 입력하고 등록 요청 버튼(92)을 눌러 고객정보 및 고객의 모바일 기기 정보의 등록을 요청한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단계 S120에서 등록이 요청되어 도 2의 등록화면을 통해 등록요청버튼(92)을 누르면 고객정보 및 고객의 모바일 기기 정보가 선택한 의료기관 PC(10)의 라이터 SW에 의하여 등록된다 (S130). 고객정보 및 고객의 모바일 기기 정보는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저장 및 관리된다(S140).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료기관측 퍼스널컴퓨터(10)에서의 고객정보 및 고객의 모바일 기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라이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동작 디스플레이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료기관 PC(10)는 라이터 SW를 동작시켜 고객정보 및 고객의 모바일 기기 정보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모바일 기기(20)에서 등록한 고객정보 및 고객 모바일 기기 정보를 포함한 고객 리스트를 화면(40)에 불러낼 수 있다. 고객 리스트 화면(40)은 고객의 장치번호(42), 전화번호(44), 환자ID(46), 환자이름(48), 및 등록상태(50)를 포함하고 있다. 장치번호(42)는 예를 들어 Ffff-ffff-ffff0X(43)과 같이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화번호(44)는 실제 고객의 모바일 기기의 전화번호인 010-xxxx-xxxx(45)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환자 ID(46)는 고객이 등록시 입력한 고객의 ID(47)가 표시된다. 환자이름(48)은 환자의 실명이 김소월(49)과 같이 표시된다. 등록상태(50)는 등록이 완료 상태인지, 요청 상태인지 해제 상태(51)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고객리스트 화면(40)에서 등록요청(51)를 선택하여 편집버튼(52)을 누르면 고객정보 편집 화면(60)으로 전환된다. 고객정보 편집 화면(60)에서 장치번호(42)에서 Ffff-ffff-ffff02(43)를 확인하고, 전화번호(44)에서 전화번호인 010-2222-2222(45)를 확인하고, 환자 ID(46)에서 입력버튼(62)을 눌러 환자 ID를 입력하거나 조회버튼(64)을 눌러 환자 ID를 조회하고, 환자이름(48)에서 환자이름을 입력하거나 조회된 값(49)을 확인하고, 상태(50)에서 등록/해제 상태(51)를 확인하여 저장버튼(66)을 눌러 저장하거나 삭제버튼(68)을 눌러 삭제한다. 이때 의료기관 PC(10)에서는 병원에서 사용하는 환자ID가 입력되어 있어야 하고, 의무기록 저장화면에서 환자ID를 체크하여야 한다. 고객정보, 환자 ID, 환자 이름 등은 고객이 넣은 것이, 의료기관 PC에 등록 요청 표시되는 것이나, 가끔 입력 에러가 있을 경우는 타인의 자료가 넘어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의료기관 관리자가 환자 ID, 환자 이름 등을 확인해서 편집하도록 한다. 편집할 필요가 없으면 그대로 진행하면 된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단계 S130에서 고객정보 및 고객의 모바일 기기 정보가 등록되면, 고객의 의무기록 전송 요청에 따라서 또는 고객의 의무기록 전송 요청이 없이도, 의료기관 PC(10)에서는 등록된 모바일 기기(20)로 등록된 고객의 의무기록을 취합 또는 변환하여 전송한다(단계 S140). 의료기관 PC(1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객의 의무기록을 담고 있는 문자, 영상, 및 동영상 등의 미디어데이터를 별도의 저장부 또는 데이터센터로부터 취합하거나 또는 취합된 데이터가 전송에 적합하지 않다면 DICOM, pdf, jpg, tiff, mpeg 등의 그래픽데이터로 변환하여 웹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2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료기관측 퍼스널컴퓨터(10)에서 의무기록을 전송 및 관리하기 위한 라이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동작 디스플레이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의하면, 의료기관 PC(10)는 의무기록 리스트 화면(70)을 불러내어 고객의 의무기록 리스트 화면(70)에서 고객의 ID 또는 이름(74)을 입력하여 검색버튼(72)을 눌러 검색하고 검색된 고객의 의무기록을 전송버튼(76)을 눌러 고객의 등록된 모바일 기기(20)로 전송한다(S140). 이때 검색된 고객의 의무기록 리스트 상의 고객의 모바일 기기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등록되지 않은 환자를 표시하는 화면(77)이 디스플레이되어 등록절차를 밟도록 유도하게 된다. 의무기록 전송 화면에서 등록되지 않은 환자인 경우를 표시하는 이유는 의료기관 PC 앞에서 여러 명의 환자가 동시에 등록 요청하고 다운로드 받게 되기 때문이다. 즉, 고객의 의무기록 리스트 화면(70)은 여러 명의 환자를 동시에 관리하기 위한 화면이다. 등록된 고객인 경우에는 전송 진행 표시 화면(78)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전송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의무기록은 자동으로 전송되고, 고객이 등록된 상태에서는 취합된 의무기록 정보가 자동으로 다운로드된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병원측에서 등록해제를 시켜버리면 더이상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단계 S150에서 고객의 의무기록이 전송된 후, 전송 의무기록 DB를 통해 저장 및 관리한다(S160).
그 다음 고객의 모바일 기기(20)에서 의료기관 PC(10)에서 전송한 의무기록을 수신하고(S170), 수신된 의무기록을 수신 의무기록 DB를 통해 저장 및 관리한다(S180).
그런 다음 고객의 모바일 기기(20)에서 의료기관 PC(10)으로부터 수신된 의무기록을 리더 SW로 검색 및 조회할 수 있다(S190).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객(환자측) 모바일 기기(20)에서 의무기록을 수신 및 조회하기 위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동작 디스플레이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의하면, 의무기록 리스트 화면(100)이 디스플레이 된다. 의무기록 리스트 화면(100)에는 병원명/검사명(102), 검사일/모달리티(104), 및 영상수(106)가 표시되고, 의무기록 리스트 화면(100)의 항목(110, 120) 중의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의무기록 또한 의료영상이 의무기록 표시 화면(200)에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는 환자 입장에서 자신의 의무기록 데이터를 자신의 모바일 기기(예로써 스마트폰)에 편하게 담고 다닐 수 있다. 통상의 모바일 기기(20)는 저장용량도 충분해서, 평생 의무기록을 저장할 수도 있고, 개인이 자신의 의무기록을 관리하므로 보안 문제도 없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의료기관의 부담이 되는 중앙의 클라우드 서버의 운용에 드는 막대한 비용과 고속 통신비용 및 보안 문제 등을 일소에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는 의료기관의 PC에 적용되어 고객(환자)의 모바일 기기에 의무기록을 전송, 저장, 관리하도록 하여, 병원마다 고객의 의무기록을 CD로 제공하는 등의 의무기록 저장, 관리에 드는 비용을 대폭 해소할 수 있다. 즉, 의료기관 PC에 본 발명의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라이터 SW를 설치하고 환자의 모바일 기기에는 의료기관 PC로부터 리더 SW를 다운로드받아 설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의료기관마다 영상 포맷, 미디어 방식, 통신 방식이 다 달라서 공용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의무기록 조회가 어려웠으나,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면 보다 용이하게 개인 의무기록을 관리 조회할 수 있고, 차후 타 의료기관에서 과거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진료를 하게 되므로 진료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모바일 기기는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tant: PDA), 노트북, 노트패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는 상술하지는 않았지만, 모바일 기기를 TV 나 PC 모니터와 연결하여 대형 화면으로 의무기록을 조회할 수 있다. 또한, 필요시,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의료기관 PC로 역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무기록은 단순히 환자의 CT, MRI, X-ray, 초음파 등의 영상 데이터 뿐만 아니라, 문자와 같은 텍스트 및 동영상 데이터 및/또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는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의 PC와 환자의 모바일 기기(가령, 스마트폰)에 적용되어, 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0...의료기관 PC 12...리더 SW 설치부
14...고객정보 관리부 15...고객정보 DB
16...의무기록 관리부 17...전송 의무기록 DB
20...모바일 기기 22...I/O부
23...리더 SW 다운로드부 24...스토리지부
25...수신 의무기록 DB

Claims (16)

  1. 하나 이상의 의료기관의 의료영상을 포함한 의무기록을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부터 고객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여 모바일 기기에 저장한 후,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와의 통신 연결 없이,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상에 재생되는 상기 고객의 의무기록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전송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가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구비된 고객정보 관리부에 등록된 모바일 기기가 아닌 경우, 인터넷 통신 연결과 관계없이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와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 간의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의 고객 정보 등록 요청에 따라서,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구비된 고객정보 관리부가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리더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전송된 모바일 기기 장치번호를 포함한 고객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 정보에 해당하는 환자 ID와 모바일 기기 정보를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고, 만일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가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구비된 고객정보 관리부에 등록된 모바일 기기인 경우 전술한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 없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단계;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구비된 의무기록관리부가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등록된 고객의 모바일 기기 간의 통신에 의해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저장된 상기 고객의 의무기록을 선택적으로 상기 등록된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의무기록관리부가 상기 전송된 의무기록 정보를 전송의무기록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와의 통신 연결 없이,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상에 재생되는 상기 고객의 의무기록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전송 관리방법.
  2. 삭제
  3.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저장된 고객의 의료영상을 포함한 의무기록을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로부터 고객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받은 후,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와의 통신 연결 없이, 독립적으로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고객의 의무기록을 조회 및 디스플레이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수신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와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 간의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의 고객 정보 등록 요청에 따라서,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 장치번호를 포함한 고객정보와 상기 모바일 기기 정보에 해당하는 환자 ID와 모바일 기기 정보를 등록한 후, 인터넷 통신 연결과 관계없이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와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 간의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의 스토리지부가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에 등록된 모바일 기기 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에 따라서,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로부터 상기 고객의 의무기록을 수신하여 수신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의무기록을 수신하여 수신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인터넷 통신 연결 이나 상기 의료기관의 퍼스널컴퓨터(PC)와의 통신 연결 없이, 상기 고객의 모바일 기기의 입출력부가 리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객의 의무기록 중 검색된 의무기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수신 관리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삭제
  13. 제3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20143026A 2012-12-10 2012-12-10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413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026A KR101413482B1 (ko) 2012-12-10 2012-12-10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
US14/410,209 US20150278454A1 (en) 2012-12-10 2012-12-28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lient's Medical Records in Mobile Terminal
CN201280074662.2A CN104428814A (zh) 2012-12-10 2012-12-28 用于管理移动个人医疗记录的方法和装置
PCT/KR2012/011797 WO2014092236A1 (ko) 2012-12-10 2012-12-28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13023724A JP5393905B1 (ja) 2012-12-10 2013-02-08 診療記録管理システム、診療記録受信装置、診療記録送信装置、及び診療記録管理プログラム
JP2013214834A JP6148962B2 (ja) 2012-12-10 2013-10-15 診療記録転送方法、診療記録送信装置、診療記録受信装置及び診療記録管理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026A KR101413482B1 (ko) 2012-12-10 2012-12-10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116A Division KR20140074817A (ko) 2013-10-22 2013-10-22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737A KR20140074737A (ko) 2014-06-18
KR101413482B1 true KR101413482B1 (ko) 2014-07-04

Family

ID=5093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026A KR101413482B1 (ko) 2012-12-10 2012-12-10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278454A1 (ko)
JP (1) JP6148962B2 (ko)
KR (1) KR101413482B1 (ko)
CN (1) CN104428814A (ko)
WO (1) WO2014092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9948A1 (ko) * 2015-06-09 2016-12-15 주식회사 헤셀 의료영상을 모바일기기에 전송하는 의료영상 전송방법 및 장치, 및 모바일기기와 원격진료의료기관의 원격판독장치 간에 의료영상 및 원격판독결과를 송수신하는 의료영상 및 판독결과 중계방법 및 장치
US10306472B2 (en) * 2016-01-28 2019-05-28 Cochlear Limited Secure authorization in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system
CN106682397B (zh) * 2016-12-09 2020-05-19 江西中科九峰智慧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知识的电子病历质控方法
CN106682401B (zh) * 2016-12-13 2019-05-14 珠海迪尔生物工程有限公司 远程医疗阅片系统
EP3506271B1 (en) * 2017-12-28 2024-05-08 Bull Sas Communication system managing an electronic health record
KR102209072B1 (ko) * 2018-02-27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71120B1 (ko) * 2019-08-27 2022-11-25 (주)아이알엠 의료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CA3113523C (en) * 2020-04-06 2023-08-29 Bank Of Montreal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digital enroll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953A (ko) * 2003-11-28 2005-06-02 대한민국(경북대학교 총장)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22975A (ko) * 2005-08-23 2007-02-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의 다이콤 영상 중계 시스템
KR20110112715A (ko) * 2010-04-07 2011-10-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
US20120232929A1 (en) 2011-03-09 2012-09-13 Humetrix.Com, Inc. Mobile device-based system for automated, real time health record exchang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6610B2 (ja) * 2001-05-11 2007-12-0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階層ディレクトリ構造を有する記録媒体、検索装置、検索プログラム、及び検索方法
JP2007213139A (ja) * 2006-02-07 2007-08-23 Toshiba Corp 患者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7334617A (ja) * 2006-06-14 2007-12-27 Redfox Inc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8015820A (ja) * 2006-07-06 2008-01-24 Masahiko Yoshihara 携帯電話による電子カルテ情報参照方法及び装置
KR100852096B1 (ko) * 2007-07-06 2008-08-13 전자부품연구원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복합체 필름 및 회로용 적층재
US20110011908A1 (en) * 2007-08-30 2011-01-20 Dietterle David W Quick fill adaptor for a fluid container
JP2009211168A (ja) * 2008-02-29 2009-09-17 Index:Kk メール配信型宣伝促進システム
KR100993878B1 (ko) * 2008-06-10 2010-11-11 김봉석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의 제공방법
KR20100008832A (ko) * 2008-07-17 2010-01-27 주식회사 메디슨 초음파를 이용한 원격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414397B (zh) * 2008-11-11 2012-05-2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区域多功能医疗卡及医疗共享查询方法和系统
JP2011170537A (ja) * 2010-02-17 2011-09-01 Asahikawa Medical College 情報蓄積装置、識別情報蓄積装置、可搬型記憶媒体、情報蓄積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186580A (ja) * 2010-03-05 2011-09-22 Hitachi Information & Communication Engineering Ltd 携帯機器および医療システム
US20110246231A1 (en) * 2010-03-31 2011-10-06 Microsoft Corporation Accessing patient information
CN201867813U (zh) * 2010-11-04 2011-06-15 北京洛克斯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移动式个人数字医疗信息终端
KR101342120B1 (ko) * 2011-03-17 2013-12-18 (주)인성정보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네트워크 및 그 방법
US20130110547A1 (en) * 2011-04-07 2013-05-02 Master Mobile Products, Llc Medical software application and medical communication services software application
CN102801756A (zh) * 2011-05-27 2012-1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医疗系统中测量数据的处理方法、装置和系统
CN102811242B (zh) * 2011-08-05 2015-06-24 烟台乐翔天际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健康监控和服务网络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953A (ko) * 2003-11-28 2005-06-02 대한민국(경북대학교 총장)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22975A (ko) * 2005-08-23 2007-02-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의 다이콤 영상 중계 시스템
KR20110112715A (ko) * 2010-04-07 2011-10-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
US20120232929A1 (en) 2011-03-09 2012-09-13 Humetrix.Com, Inc. Mobile device-based system for automated, real time health record exch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2236A1 (ko) 2014-06-19
KR20140074737A (ko) 2014-06-18
JP2014115985A (ja) 2014-06-26
US20150278454A1 (en) 2015-10-01
CN104428814A (zh) 2015-03-18
JP6148962B2 (ja)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482B1 (ko)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
JP5214228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7257832B2 (en) Medical image capture system and method
US78141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d retrieving data based on global indices
US8751248B2 (en) Method, apparatus, and medium using a master control file for computer software interoperability between disparate operating systems
US20080233957A1 (en) Profile information synchronization system, profile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mobile terminal device and profile information synchronization server
JP4932861B2 (ja) 分散情報アクセスシステム、分散情報アクセ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37303B1 (ko) 개인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JP5393905B1 (ja) 診療記録管理システム、診療記録受信装置、診療記録送信装置、及び診療記録管理プログラム
JP4735706B2 (ja) 日時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日時情報提供方法
US20120239431A1 (en) Medical-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140074817A (ko) 모바일 개인용 의무기록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10137194A (ko)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240553A (ja) カスタマイズ医療情報提供装置、カスタマイズ医療情報提供方法、カスタマイズ医療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カスタマイズ医療情報提供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324281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サービス提供サーバ
JP2002366675A (ja) 個人情報仲介方法
JP5284243B2 (ja) 遊技台情報配信システム
JP2002024394A (ja) 医用画像集中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20150116723A (ko) 기록매체에 담긴 의료영상을 모바일기기에 전송하는 의료영상 전송방법 및 장치, 및 모바일기기와 원격진료의료기관의 원격판독장치 간에 의료영상 및 원격판독결과를 송수신하는 의료영상 및 판독결과 중계방법 및 장치
Pechenin et al. Development of telemedicine system telecom for 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JP2011198310A (ja) 医療連携システム
JPWO2008035564A1 (ja) 医療情報提供装置
JP2017120563A (ja) ランドリーシステム
JPH11328291A (ja) 訪問介護サービス支援情報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5173737A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