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666A - 오픈 api기반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의료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오픈 api기반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의료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666A
KR20120076666A KR1020100125877A KR20100125877A KR20120076666A KR 20120076666 A KR20120076666 A KR 20120076666A KR 1020100125877 A KR1020100125877 A KR 1020100125877A KR 20100125877 A KR20100125877 A KR 20100125877A KR 20120076666 A KR20120076666 A KR 20120076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api
electronic prescription
service device
medical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욱재
김경태
김남규
김성
김수년
배수현
윤경아
우병욱
송상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5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6666A/ko
Publication of KR20120076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처방전 서비스 기법에 관한 것으로, 의료기관이 자체 개발 또는 탑재된 전자 처방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여 중계 장치를 통해 약조제기관으로 전송하는 종래의 전자 처방전 서비스 방법과는 달리, 전자 처방전의 생성에 대한 일련의 처리 과정을 오픈 API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개발자에 의한 다양한 전자 처방전 처리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적용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며, 또한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여 중계 장치로 제공하기 때문에 중계 장치에서의 전자 처방전과 관련한 융합 서비스의 활성화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오픈 API기반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의료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IC PRESCRIPTION SERVICE BASED ON OPEN API, MEDICAL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RECORDABLE MEDIUM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IS RECORDED}
본 발명은 전자 처방전 서비스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에 대한 진료 행위가 일어나는 병원 등과 같은 의료기관에 구축된 의료 서비스 장치(또는 병원 장치)에서 진료 대상자(환자)의 진료 결과에 따라 생성되어 대칭키 등으로 암호화된 후 중계 서비스 장치(또는 중계 장치)를 통해 약국 등과 같은 약조제기관에 구축된 조제 서비스 장치(또는 약국 장치)로 전송되어 복원됨으로써 종이 처방전 없이 환자의 약조제를 실현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 처방전의 생성에 대한 일련의 처리 과정을 Open API 기반으로 제공하여 다수의 개발자에 의한 다양한 전자 처방전 처리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적용을 용이하게 실현하는데 적합한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의료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의약 분업에 따라 병원 등과 같은 의료기관에서는 환자를 진료한 후 그 진료 결과에 상응하는 종이 처방전을 발행(발급)하여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에게 전달하고,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는 의료기관에서 발급받은 종이 처방전을 가지고 자신이 원하는 약국을 방문함으로써, 의사의 진료 결과에 따른 처방약을 조제받게 된다.
근래 들어,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 및 네트워크 비즈니스의 발달에 편승하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의료기관(예컨대, 병원 등)과 약조제기관(예컨대, 약국 등)에 전자 처방전을 중계하는 형태의 전자 처방전 서비스가 상용화되어 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처방전 서비스에서는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진료 결과에 따라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고,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가 해당 의료기관에 인접한 다수의 약조제기관들 중 원하는 하나를 선택하면, 의료기관이 생성된 전자 처방전을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와 중계 장치를 통해 선택된 약조제기관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여기에서, 의료 서비스 장치는 자체 개발 또는 탑재된 전자 처방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처방전을 생성한다.
따라서, 전자 처방전을 수신받은 약조제기관의 약사가 수신된 전자 처방전에 따라 약을 조제하게 되고, 그 사이에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가 조제약의 수령을 위해 의료기관에서 해당 약조제기관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미리 전송한 전자 처방전에 따라 해당 약조제기관의 약사가 약을 조제하는 사이에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가 약을 수령하기 위해 해당 약조제기관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는 약조제기관의 도착에 거의 즈음하여 조제가 완료된 조제약을 많은 대기시간의 소요없이 수령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의료기관이 자체 개발 또는 탑재된 전자 처방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여 중계 장치를 통해 약조제기관으로 전송하는 전술한 종래의 전자 처방전 서비스 방법은 오픈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다수의 개발자에 의한 다양한 전자 처방전 처리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적용을 어렵게 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전자 처방전 서비스 방법은 각 의료기관이 다양한 콘텐츠별로 된 전자 처방전을 독자적인 애플리케이션 환경에서 생성하기 때문에 중계 장치의 웹사이트로 전자 처방전을 전송하는 의료기관이 수백 내지 수천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중계 장치 관점에서 볼 때 전자 처방전 관련의 융합 서비스 활성화를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 처방전 서비스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전자 처방전이 해킹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갖는다.
더욱이, 종래의 전자 처방전 서비스 방법은, 환자(거동이 불가능한 환자 등)가 아닌 환자 보호자가 약조제기관으로 조제약을 수령하려 방문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의료기관에서 중계 장치를 통해 약조제기관으로 전송한 전자 처방전에 대한 본인 인증이 어려워 타인에 의한 불법적인 수령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진료 대상자의 진료 정보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의료 서비스 장치와, 상기 의료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조제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있을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인출하여 상기 조제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중계 서비스 장치와, 상기 전자 처방전에 따른 약조제 요청에 의거하여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중계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해독한 후 그 해독 결과를 출력하는 상기 조제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자 처방전 시스템은, 상기 의료 서비스 장치, 중계 서비스 장치 또는 조제 서비스 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온라인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서버에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관련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치한 상태에서 필요 시에 상기 의료 서비스 장치, 중계 서비스 장치 또는 조제 서비스 장치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불러와서 이용 및 실행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하여 진료 대상자의 진료 정보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전자문서 생성 블록과, 생성된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를 검증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생성하는 전자서명 생성 블록과,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와 전자서명을 포함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는 전자 처방전 생성 블록과, 생성된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블록을 포함하는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자문서 생성 블록, 전자서명 생성 블록, 전자 처방전 생성 블록 및 통신 인터페이스 블록 각각은 오픈 API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다수의 라이브러리 함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장치는, 생성된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와 전자서명을 동일한 대칭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암호화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처방전 생성 블록은, 상기 대칭키를 암호화하여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과 함께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블록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암호화된 상기 대칭키는, 일정 길이의 일련의 정수열 또는 영문자와 숫자가 혼합된 혼합 문자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진료 대상자의 진료 정보가 입력될 때 의료 서비스 장치가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조제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에 대한 다운로드의 요청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조제 서비스 장치로부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요청 메시지가 수신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인출하여 상기 조제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조제 서비스 장치가 상기 중계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해독한 후 그 해독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이 수신될 때 상기 중계 서비스 장치가 암호화된 상기 대칭키를 추출하여 상기 진료 대상자 대응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요청 메시지는 상기 암호화된 대칭키에 상응하는 암호화된 인증 대칭키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요청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상기 암호화된 인증 대칭키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된 대칭키 간의 매칭을 통해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검색 및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암호화된 인증 대칭키는, 약조제의 요청을 위해 상기 진료 대상자 대응의 클라이언트 단말이 제공한 인증 대칭키를 상기 조제 서비스 장치가 암호화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진료 대상자의 진료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는 의료 서비스 방법으로서,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상기 진료 정보에 대응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는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진료 대상자의 진료 정보가 입력될 때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를 검증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와 전자서명을 포함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대칭키는, 해쉬함수를 이용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처방전의 생성에 대한 일련의 처리 과정을 오픈(Open) API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개발자에 의한 다양한 전자 처방전 처리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적용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 장치(중계 서비스 장치)로 제공함으로써, 중계 장치에서의 전자 처방전과 관련한 융합 서비스의 활성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칭키 방식의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전자 처방전을 암호화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전자 처방전에 대한 불법적인 해킹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진료 대상자에게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진료 대상자에게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오픈 API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러리 함수들의 예시를 보여주는 함수 예시도.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지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물리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의료 서비스 장치(110), 중계 서비스 장치(120) 및 조제 서비스 장치(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장치간의 물리적인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2세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3세대, 또는 그 이상의 세대(예컨대, LTE 등의 4세대)를 지원하는 무선 환경과, 인터넷 등의 IP(Internet Protocol) 기반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유선 환경을 모두 포함하는 광대역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LAN 등과 같은 유선 근거리 통신망 및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료 서비스 장치(110)는, 예컨대 의료기관에 구축되는 병원 장치 또는 병원 서버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진료 대상자의 진료 정보가 입력될 때 전자 처방전의 생성을 위한 오픈 API(Open 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함으로써,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 서비스 장치(120)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의료 서비스 장치가 실행하는 구체적인 기능들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이때, 의료 서비스 장치(110)로 입력되는 진료 정보는, 예컨대 의료 종사자(예컨대, 의사, 간호사 등)가 입력 수단을 통해 직접 입력한 정보이거나 혹은 진료 장비로부터 수신받은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중계 서비스 장치(120)로 전송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은, 예컨대 대칭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전자 처방전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픈 API 기반의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에는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대칭키는, 예컨대 해쉬함수를 이용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일정 길이의 일련의 정수열 또는 영문자와 숫자가 혼합된 혼합 문자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의료 서비스 장치(110)는, 예컨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 서비스 또는 휴대폰 망 등과 같은 무선 통신 서비스를 통해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암호화하는데 사용된 대칭키 정보 또는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를, 약조제를 위한 인증 정보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진료 대상자(환자) 대응의 클라이언트 단말(130)에 인증 대칭키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중계 서비스 장치(120)는, 예컨대 의료 서비스 장치 또는 다른 사업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는 중계 장치 또는 중계 서버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료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또는 오픈 API 기반의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을 수신하여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후술하는 조제 서비스 장치(140)로부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즉,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요청 메시지의 수신)이 있을 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검색 및 인출하여 조제 서비스 장치(140)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계 서비스 장치(120)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암호화된 인증 대칭키(또는 암호화된 인증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암호화된 대칭키 간의 매칭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검색 및 인출할 수 있는데, 조제 서비스 장치(140)는 이러한 암호화된 인증 정보를 진료 대상자(또는 환자) 대응의 클라이언트 단말(13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30)은, 진료 대상자인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가 소유하고 있는 휴대 단말(예컨대, 셀룰러폰, 영상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패드,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진료 대상자가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았을 때, 예컨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통해 의료 서비스 장치(110)로부터 전자 처방전의 인증을 위한 인증 대칭키 정보(대칭키 정보 또는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를 제공받거나 혹은 중계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암호화된 인증 대칭키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30)에 저장되는 대칭키 정보 또는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는 약조제의 요청을 위한 인증 정보로서 조제 서비스 장치(140)로 전달, 예컨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 서비스 또는 LAN 등과 같은 유선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통해 조제 서비스 장치(140)로 전달될 수 있다.
다음에, 조제 서비스 장치(140)는, 예컨대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 서비스 장치(120)에 접속 가능한 약국 장치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 단말(130)을 소유한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가 약국을 방문하여 약조제를 요청, 즉 클라이언트 단말(130)에 저장된 인증 대칭키 정보 또는 암호화된 인증 대칭키 정보를 제공하면,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요청 메시지(암호화된 인증 대칭키 포함)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 서비스 장치(120)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중계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해독(복호화 등)한 후 그 해독 결과를 출력(모니터 디스플레이, 종이 처방전 출력 등)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130)이 암호화하지 않은 인증 대칭키 정보를 제공할 경우, 조제 서비스 장치(140)에서는 의료 서비스 장치(110)에서와 동일한 암호화 알고리즘(예컨대, 해쉬함수를 이용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인증 대칭키 정보를 암호화하게 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불특정 다수의 진료 대상자(환자)에게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진료 대상자에게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진료 대상자(환자)가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의료 종사자(의사, 간호사 등)로부터 진료를 받게 되면 진료 결과에 따른 진료 정보가 의료 서비스 장치(110)로 입력된다(단계 202). 여기에서, 진료 서비스 장치(110)로 입력되는 진료 정보는, 예컨대 의료 종사자(예컨대, 의사, 간호사 등)가 입력 수단을 통해 직접 입력한 정보이거나 혹은 진료 장비(도시 생략)로부터 수신받은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에, 의료 서비스 장치(110)에서는 전자 처방전 생성을 위한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하여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 서비스 장치(120)로 전송한다(단계 204). 이때, 의료 서비스 장치(110)에서 생성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은, 예컨대 대칭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전자 처방전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픈 API 기반의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에는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대칭키는, 예컨대 해쉬함수를 이용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일정 길이의 일련의 정수열 또는 영문자와 숫자가 혼합된 혼합 문자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중계 서비스 장치(120)에서는 의료 서비스 장치(110)로부터 송출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또는 오픈 API 기반의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을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단계 206), 조제 서비스 장치(140)로부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을 대기한다(단계 208).
상기 단계(208)에서의 체크 결과, 네트워크를 통해 조제 서비스 장치(140)로부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요청 메시지(암호화된 인증 대칭키 정보 포함)가 수신되면, 중계 서비스 장치(120)에서는 수신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암호화된 인증 대칭키(또는 암호화된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들에 포함된 암호화된 대칭키들과의 매칭을 통해 매칭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검색하고, 이러한 검색을 통해 매칭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조제 서비스 장치(140)로 전송(다운로드)한다(단계 210).
그 결과, 조제 서비스 장치(140)에서는 중계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해독(복호화 등)한 후(단계 212), 그 해독 결과를 출력, 즉 모니터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혹은 종이 처방전으로 출력한다(단계 214). 따라서, 조제 종사자(약사)는 출력된 전자 처방전에 의거하여 약을 조제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장치(도 1의 110)에 구성 및 각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입력 블록(1102), 전자문서 생성 블록(1104), 전자서명 생성 블록(1106), 암호화 블록(1108), 전자 처방전 생성 블록(1110) 및 통신 인터페이스 블록(11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 블록(1102)(또는 입력 모듈)은 도시 생략된 조작 수단(예컨대, 키패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팬 등)으로부터 입력되거나 혹은 도시 생략된 진료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진료 정보를 전자문서 생성 블록(1104)으로 전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조작)에 따른 전자 처방전의 생성 지령을 발생하여 전자문서 생성 블록(1104)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전자문서 생성 블록(1104)(또는 전자문서 생성 모듈)은 입력 블록(1102)으로부터 진료 정보와 전자 처방전의 생성 지령이 전달되면, 의료 전자문서의 생성을 위한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진료 대상자의 진료 정보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다음 단의 암호화 블록(1108)으로 전달하고, 이와 동시에 전자서명의 생성 지령을 발생하여 전자서명 생성 블록(1106)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전자서명 생성 블록(1106)(또는 전자문서 생성 모듈)은 전자서명 생성을 위한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생성된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를 검증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생성하여 다음 단의 암호화 블록(1108)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암호화 블록(1108)(또는 암호화 모듈)은, 예컨대 대칭키를 이용하는 암호화 알고리즘(오픈 API 기반한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와 전자서명을 각각 암호화하고, 이 오픈 API 기반의 암호화된 진료 전자문서와 암호화된 전자서명을 대칭키 정보와 함께 전자 처방전 생성 블록(1110)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전자 처방전 생성 블록(1110)(또는 전자 처방전 생성 모듈)은 전자 처방전의 생성을 위한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암호화 블록(1108)으로부터 전달되는 오픈 API 기반의 암호화된 진료 전자문서와 암호화된 전자서명을 포함하는 오픈 API 기반의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고, 전달된 대칭키를, 예컨대 해쉬함수를 이용한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한 후 생성된 오픈 API 기반의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과 함께 통신 인터페이스 블록(1112)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암호화된 대칭키는, 예컨대 일정 길이의 일련의 정수열 또는 영문자와 숫자가 혼합된 혼합 문자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암호화하는데 이용된 대칭키 정보 또는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는, 예컨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 서비스 또는 휴대폰 망 등과 같은 무선 통신 서비스를 통해 진료 대상자(환자) 대응의 클라이언트 단말(130)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것은 클라이언트 단말(130)을 소유한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가 이러한 대칭키 정보 또는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를 약조제를 위한 인증 정보(인증 대칭키 정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마지막으로, 통신 인터페이스 블록(1112)은, 예컨대 네트워크를 통해 도 1의 중계 서비스 장치(120)와 접속 가능한 유선 통신 모듈 및/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전자 처방전 생성 블록(1110)으로부터 전달되는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가 포함된 오픈 API 기반의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가능한 신호로 변조하여 도 1의 중계 서비스 장치(120)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장치에 따르면,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각 구성부재(블록 또는 모듈)와 연동할 수 있는 API로 그 소스가 공개될 수 있는데,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그 실행을 위해, 일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라이브러리 함수(library function)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상에서 각 블록으로 표현되어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의 생성, 암호화, 전송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각 구성부재들(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재들)은 오픈 API 라이브러리 함수를 호출하여 처리할 수 있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모듈, 즉 전자문서의 생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모듈, 전자서명의 생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모듈, 암호화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모듈, 전자 처방전의 생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모듈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다수의 라이브러리 함수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의료 서비스 장치를 구성하는 입력 블록, 전자문서 생성 블록, 전자서명 생성 블록, 전자 처방전 생성 블록 및 통신 인터페이스 블록 각각은 오픈 API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다수의 라이브러리 함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채용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은 오픈 API 기반에서 다양한 개발자에 의해 서로 다른 형태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여 진료 대상자들에게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진료 대상자에게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진료 대상자(환자)가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의료 종사자(의사, 간호사 등)로부터 진료를 받게 되면 진료 결과에 따른 진료 정보가 입력 블록(1102)을 통해 전자문서 생성 블록(1104)으로 입력된다(단계 402). 여기에서, 진료 정보는, 예컨대 의료 종사자(예컨대, 의사, 간호사 등)가 입력 수단을 통해 직접 입력한 정보이거나 혹은 진료 장비(도시 생략)로부터 수신받은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에, 전자문서 생성 블록(1104)에서는 입력 블록(1102)을 통해 진료 정보와 전자 처방전의 생성 지령이 입력되면, 의료 전자문서의 생성을 위한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진료 대상자의 진료 정보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를 생성하고(단계 404), 전자서명 생성 블록(1106)에서는 전자서명의 생성을 위한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전자문서 생성 블록(1104)에서 생성된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를 검증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생성한다(단계 406). 여기에서, 각각 생성된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와 전자서명은 암호화 블록(1108)으로 전달된다.
이에 응답하여, 암호화 블록(1108)에서는, 예컨대 대칭키를 이용하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생성된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와 전자서명을 각각 암호화하고(단계 408), 이 오픈 API 기반의 암호화된 진료 전자문서와 암호화된 전자서명은 대칭키 정보와 함께 전자 처방전 생성 블록(1110)으로 전달된다.
이어서, 전자 처방전 생성 블록(1110)에서는 전자 처방전의 생성을 위한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암호화 블록(1108)으로부터 전달되는 오픈 API 기반의 암호화된 진료 전자문서와 암호화된 전자서명을 포함하는 오픈 API 기반의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고, 예컨대 해쉬함수를 이용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전달된 대칭키를 암호화한다(단계 410). 여기에서, 암호화된 대칭키는, 예컨대 일정 길이의 일련의 정수열 또는 영문자와 숫자가 혼합된 혼합 문자열로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통신 인터페이스 블록(1112)에서는, 생성된 오픈 API 기반의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이 진료 대상자에게 서비스될 수 있도록, 전자 처방전 생성 블록(1110)으로부터 전달되는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가 포함된 오픈 API 기반의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가능한 신호로 변조한 후 도 1의 중계 서비스 장치(120)로 전송한다(단계 412).
따라서, 도 1의 중계 서비스 장치(120)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암호화된 대칭키 정보가 포함된 오픈 API 기반의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을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조제 서비스 장치(140)로부터의 다운로드 요청을 대기하게 될 것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는 의료 서비스 장치(병원 장치)(110), 중계 서비스 장치(중계 장치)(120) 및 조제 서비스 장치(약국 장치)(140)가 각각의 개별 기능을 단독으로 수행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의료 서비스 장치, 중계 서비스 장치 및 조제 서비스 장치가 네트워크(통신망)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온라인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서버에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관련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치한 상태에서 필요 시에 의료 서비스 장치, 중계 서비스 장치 및 조제 서비스 장치가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을 불러와서 이용 및 실행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서비스 방법을 처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또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서비스 장치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되는 방식으로 전자 처방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기록매체 또는 정보저장매체는, 예컨대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진료 시 의료 종사자에 의해 발급되는 약조제를 위한 전자 처방전을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하여 암호화한 후 네트워크와 중계 서비스 장치를 통해 약국 등에 구비된 조제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조제 서비스 장치에서 오픈 API 기반의 암호화된 전자 처방전을 중계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받아 복원하도록 한다는 것으로, 전자 처방전의 생성에 대한 일련의 처리 과정을 오픈 API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개발자에 의한 다양한 전자 처방전 처리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적용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어, 환자 진료 등과 관련된 전자 처방전 장치 및 서비스 분야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10 : 의료 서비스 장치 120 : 중계 서비스 장치
130 : 클라이언트 단말 140 : 조제 서비스 장치
1102 : 입력 블록 1104 : 전자문서 생성 블록
1106 : 전자서명 생성 블록 1108 : 암호화 블록
1110 : 전자 처방전 생성 블록 1112 : 통신 인터페이스 블록

Claims (14)

  1.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진료 대상자의 진료 정보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의료 서비스 장치와,
    상기 의료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조제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있을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인출하여 상기 조제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중계 서비스 장치와,
    상기 전자 처방전에 따른 약조제 요청에 의거하여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중계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해독한 후 그 해독 결과를 출력하는 상기 조제 서비스 장치
    를 포함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처방전 시스템은,
    상기 의료 서비스 장치, 중계 서비스 장치 또는 조제 서비스 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온라인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서버에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관련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치한 상태에서 필요 시에 상기 의료 서비스 장치, 중계 서비스 장치 또는 조제 서비스 장치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불러와서 이용 및 실행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구현한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
  3.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하여 진료 대상자의 진료 정보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전자문서 생성 블록과,
    생성된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를 검증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생성하는 전자서명 생성 블록과,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와 전자서명을 포함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는 전자 처방전 생성 블록과,
    생성된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블록
    을 포함하는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생성 블록, 전자서명 생성 블록, 전자 처방전 생성 블록 및 통신 인터페이스 블록 각각은 오픈 API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다수의 라이브러리 함수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생성된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와 전자서명을 동일한 대칭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암호화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처방전 생성 블록은,
    상기 대칭키를 암호화하여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과 함께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블록으로 전달하는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암호화된 상기 대칭키는,
    일정 길이의 일련의 정수열 또는 영문자와 숫자가 혼합된 혼합 문자열로 구성되는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장치.
  7. 진료 대상자의 진료 정보가 입력될 때 의료 서비스 장치가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조제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에 대한 다운로드의 요청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조제 서비스 장치로부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요청 메시지가 수신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인출하여 상기 조제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조제 서비스 장치가 상기 중계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해독한 후 그 해독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이 수신될 때 상기 중계 서비스 장치가 암호화된 상기 대칭키를 추출하여 상기 진료 대상자 대응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서비스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요청 메시지는 상기 암호화된 대칭키에 상응하는 암호화된 인증 대칭키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요청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상기 암호화된 인증 대칭키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된 대칭키 간의 매칭을 통해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검색 및 인출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인증 대칭키는,
    약조제의 요청을 위해 상기 진료 대상자 대응의 클라이언트 단말이 제공한 인증 대칭키를 상기 조제 서비스 장치가 암호화하여 제공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 서비스 방법.
  11. 진료 대상자의 진료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는 의료 서비스 방법으로서,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상기 진료 정보에 대응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는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방법.
  12. 진료 대상자의 진료 정보가 입력될 때 오픈 AP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를 검증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오픈 API 기반의 진료 전자문서와 전자서명을 포함하는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오픈 API 기반의 전자 처방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키는,
    해쉬함수를 이용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되는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방법.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오픈 API 기반의 의료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125877A 2010-12-09 2010-12-09 오픈 api기반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의료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20076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77A KR20120076666A (ko) 2010-12-09 2010-12-09 오픈 api기반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의료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77A KR20120076666A (ko) 2010-12-09 2010-12-09 오픈 api기반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의료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666A true KR20120076666A (ko) 2012-07-09

Family

ID=4671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877A KR20120076666A (ko) 2010-12-09 2010-12-09 오픈 api기반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의료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66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474B1 (ko) * 2018-11-23 2019-06-14 (주)레몬헬스케어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처방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5520A (ko) * 2018-11-30 2020-06-09 인충교 전자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전자처방전 관리용 클라우드 서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474B1 (ko) * 2018-11-23 2019-06-14 (주)레몬헬스케어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처방 전송 시스템 및 방법
WO2020105823A1 (ko) * 2018-11-23 2020-05-28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처방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111433858A (zh) * 2018-11-23 2020-07-17 柠檬医疗保健有限公司 基于云技术的电子处方传送系统及方法
US20210225473A1 (en) * 2018-11-23 2021-07-22 Lemon Healthcare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lectronic prescription on the basis of cloud computing
JP2022511766A (ja) * 2018-11-23 2022-02-01 レモン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クラウド基盤の電子処方送信システム及び方法
US11574720B2 (en) 2018-11-23 2023-02-07 Lemon Healthcare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lectronic prescription on the basis of cloud computing
KR20200065520A (ko) * 2018-11-30 2020-06-09 인충교 전자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전자처방전 관리용 클라우드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621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managing, and sharing digital scripts
KR102068451B1 (ko) 합성 게놈 변형-기반의 보안 트랜잭션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
Luxton et al. mHealth data security: The need for HIPAA-compliant standardization
CN105095786B (zh) 使用动态呈现和数据配置建立安全移动协同应用的平台
CN107408135A (zh) 用于对加密数据进行查询处理的数据库服务器和客户端
Gonçalves et al. Security architecture for mobile e-health applications in medication control
WO2013054749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90249076A1 (en) Information server and mobile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20150254423A1 (en) Computer-based prescription system for medicaments
JP2018137002A (ja)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装置、および情報管理方法
CN103971063B (zh) 用于安全性至关重要的医学图像内容的传输措施
JP2006333250A (ja) データ交換方法、データ交換管理装置およびデータ交換管理プログラム
Sethia et al. Smart health record management with secure NFC-enabled mobile devices
KR101270990B1 (ko) 전자 처방전 시스템과 병원 장치, 중계 장치, 약국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CN109801688A (zh) 区域医疗电子病历安全协同整合系统及方法
KR101799084B1 (ko) 전자 처방전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 병원 장치, 암호화 관리 장치, 중계 장치 및 약국 장치
US10929509B2 (en) Accessing an interoperable medical code
JP202200081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isal et al. Blockchain Technology for Healthcare Record Management
JP201617746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携帯端末、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0331101A (ja) 医療関連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20076666A (ko) 오픈 api기반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의료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4521209A (zh) 用于提供定制网络的方法和系统
KR20090101561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따른 시스템
KR20120076667A (ko) 전자 처방전을 이용한 조제 정보 제공 시스템, 환자 포탈 장치 및 환자 단말의 조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