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020A -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020A
KR20120076020A KR1020100137981A KR20100137981A KR20120076020A KR 20120076020 A KR20120076020 A KR 20120076020A KR 1020100137981 A KR1020100137981 A KR 1020100137981A KR 20100137981 A KR20100137981 A KR 20100137981A KR 20120076020 A KR20120076020 A KR 20120076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battery module
electrode tab
battery
batte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5769B1 (ko
Inventor
김욱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7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769B1/ko
Priority to JP2013547350A priority patent/JP5714723B2/ja
Priority to CN2011800629840A priority patent/CN103314468A/zh
Priority to PCT/KR2011/010271 priority patent/WO2012091473A2/en
Priority to EP11852255.6A priority patent/EP2659533B1/en
Priority to US13/977,871 priority patent/US10014511B2/en
Publication of KR20120076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making use of vibrations, e.g. ultrasonic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2Connection only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극 탭이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다음 다시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배터리 셀과 평행하게 형성된 용접부를 초음파 진동으로 융착시켜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전극 탭이 진동을 흡수하여 배터리 셀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BATTERY MODULE AND TAB ULTRASONIC WAVE WELDING METHOD}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극 탭이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다음 다시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배터리 셀과 평행하게 형성된 용접부를 초음파 진동으로 융착시켜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전극 탭이 진동을 흡수하여 배터리 셀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이나 중유를 주연료로 사용하는 내연 엔진을 이용하는 자동차는 대기오염 등 공해 발생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해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전지가 개발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 등과 같이 모터 구동을 위한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에 사용될 수 있도록 고출력 이차전지 복수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인 이차전지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대용량 이차전지(이하 '배터리'라 한다)는 복수개의 셀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배터리는 복수개의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극 탭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셀은 클립, 압착, 용접, 볼트 체결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그 중 도 1은 종래의 용접 방식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에 도시한 종래 용접 방식은 전극 탭(20)의 용접부(21)가 셀(10)의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된 후, 상기 전극 탭(20)의 용접부(21)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용접이 수행된다.
그런데 상기 도 1에 도시한 용접 방식은 3장 이상의 탭 용접이 어려우며, 병렬 구조로 연결되는 것 또한 적용되기 어렵고, 셀 센싱 라인 등을 추가로 덧대어서 용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이저 용접 방식의 경우 레이저 스팟 사이즈가 약 230㎛정도 밖에 되지 않아, 용접 부위가 그 안에 들어와야 하기 때문에 모듈 조립 과정에서 양산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용접 방법이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양산성이 높은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용접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극 탭이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다음 다시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배터리 셀과 평행하게 형성된 용접부를 초음파 진동으로 융착시켜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전극 탭이 진동을 흡수하여 배터리 셀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 용접에 비해 양산성이 높은 초음파 용접으로 전극 탭을 용접시키면서도, 배터리 셀의 손상 없이 제조가 용이한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은 둘 이상의 배터리 셀(100)과, 각각의 배터리 셀(100)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초음파 용접되는 전극 탭(200)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1)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전극 탭(200)이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연장부(210)와, 상기 연장부(210)가 다시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터리 셀(1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용접면을 형성하는 용접부(2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1)은 이웃하는 음극의 전극 탭(200)과 양극의 전극 탭(200)이 서로 용접되는 직렬형태이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용접면을 통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1)은 이웃하는 동일한 극성의 전극 탭(200)이 용접되는 병렬형태이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용접면을 통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210)는 배터리 셀(100)에 평행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11) 및 상기 제1연장부(211)의 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연장부(21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1)은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연장부(210)가 다시 상?하 방향으로 반복되어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1)은 'W' 또는 'N'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더미 탭(300)이 더 구비되어, 상기 더미 탭(300)의 일측과 타측면이 이웃한 배터리 모듈(1)의 전극 탭(200) 용접부(220)와 각각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둘 이상의 배터리 셀(100)과, 각각의 배터리 셀(100)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초음파 용접되는 전극 탭(200)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1)의 전극 탭 용접 방법은 상기 배터리 셀(1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용접면을 형성하는 용접부(220)와, 상기 용접부(220)와 배터리 셀(100)을 연결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210)를 포함하는 전극 탭 형성 단계(S100); 상기 전극 탭(200)의 용접부(220)가 맞닿도록 고정하는 고정 단계(S200); 및 상기 용접부(220)를 초음파 진동에 의해 융착시키는 초음파 용접 단계(S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단계(S200)는 배터리 셀(100)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음파 용접 단계(S300)는 상기 용접부(220)의 용접면이 밀착되도록 밀착수단에 의해 가압하는 밀착 단계(S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 단계(S310)는 상기 밀착수단이 롤러 또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극 탭이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다음 다시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배터리 셀과 평행하게 형성된 용접부를 초음파 진동으로 융착시켜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전극 탭이 진동을 흡수하여 배터리 셀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은 레이저 용접에 비해 양산성이 높은 초음파 용접으로 전극 탭을 용접시키면서도, 배터리 셀의 손상 없이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용접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전극 탭의 절곡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배터리 모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배터리 모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용접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전극 탭의 절곡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배터리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배터리 모듈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은 복수개의 배터리가 연결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 모듈(1)은 둘 이상의 배터리 셀(100)과, 각각의 배터리 셀(100)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용접되는 복수개의 전극 탭(20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배터리 모듈(1)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전극 탭(200)이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연장부(210)와, 상기 연장부(210)가 다시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터리 셀(1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용접면을 형성하는 용접부(2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면에서, 용접면은 굵은 선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연장부(210)는 배터리 셀(100)에 평행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11) 및 상기 제1연장부(211)의 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연장부(21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장부(211)는 상기 용접부(220)가 상기 배터리 셀(100)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배터리 셀(100)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2연장부(212)는 상기 제1연장부(211)로부터 연장되되, 단부에 형성된 용접부(220)가 이웃하게 위치되는 별도의 용접부(220)가 서로 맞닿도록 상기 제1연장부(211)의 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곡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은 이웃하는 음극의 전극 탭(200)과 양극의 전극 탭(200)이 서로 용접되는 직렬형태이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용접면을 통해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1)은 이웃하는 동일한 극성의 전극 탭(200)이 용접되는 병렬형태이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용접면을 통해 용접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은 직렬, 병렬, 직?병렬연결이 모두 가능하며, 상기 용접부(220) 형성 영역이 배터리 셀(100) 형성 영역을 방해하지 않아 대용량의 배터리 모듈(1)의 생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은 초음파 융착으로 전극 탭(200)이 용접되는데, 초음파 용접의 경우, 초음파 융착에 의한 진동이 상기 배터리 셀(100)로 전달되어 상기 배터리 셀(100)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210)를 하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상기 전극 탭(200)이 지그재그 형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링과 같이 진동을 흡수하는 댐핑(damping)효과를 발생시켜 초음파 융착에 의한 진동으로 상기 배터리 셀(1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모듈(1)은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연장부(210)가 다시 상?하측 방향으로 반복되어 절곡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1)은 초음파 융착에 의한 진동을 더 효과적으로 흡수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모듈(1)은 연장부(210)가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지 않고,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210)의 일정 영역이 이웃한 전극 탭(200)과 용접되는 면의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1)은 돌출되어 형성되는 부분이 초음파 융착에 의한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셀(1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모듈(1)은 'W' 또는 'N'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더미 탭(300)이 더 구비되어, 상기 더미 탭(300)의 일측과 타측면이 이웃한 배터리 모듈(1)의 전극 탭(200) 용접부와 각각 용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1)의 전극 탭(200)이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 이웃한 배터리 모듈(1)에 형성되는 동일한 극성의 전극 탭(200)과 연결됨으로써,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1)을 병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1)의 전극 탭(200)이 병렬로 연결되는 경우, 이웃한 배터리 모듈(1)에 형성되는 다른 극성의 전극 탭(200)과 연결됨으로써,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1)을 직렬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1)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배터리 모듈의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 탭 용접 방법은 전극 탭 형성 단계(S100), 고정 단계(S200), 및 초음파 용접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탭 형성 단계(S100)는 상기 배터리 셀(1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용접면을 형성하는 용접부(220)와, 상기 용접부(220)와 배터리 셀(100)을 연결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210)를 포함하는 전극 탭(2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정 단계(S200)는 상기 전극 탭(200)의 용접부(220)가 맞닿도록 고정하는 단계로서, 이 때, 배터리 셀(100)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용접 단계(S300)는 상기 배터리 셀(1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용접부(220) 사이(서로 밀착되어 용접면을 형성하는 부분)에 초음파 진동에 의한 융착으로 용접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이 때, 초음파 용접 단계(S300)는 상기 용접부(220)의 용접면이 밀착되도록 밀착수단에 의해 가압하는 밀착 단계(S310)를 포함하여 용접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수단은 용접면 측으로 힘을 제공할 수 있는 롤러 또는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극 탭이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다음 다시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배터리 셀과 평행하게 형성된 용접부를 초음파 진동으로 융착시켜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전극 탭이 진동을 흡수하여 배터리 셀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은 레이저 용접에 비해 양산성이 높은 초음파 용접으로 전극 탭을 용접시키면서도, 배터리 셀의 손상 없이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배터리 모듈
100 : 배터리 셀
200 : 전극 탭
210 : 연장부
220 : 용접부
211 : 제1연장부 212 : 제2연장부
S100 내지 S310 : 전극 탭 용접 방법의 각 단계

Claims (10)

  1. 둘 이상의 배터리 셀(100)과, 각각의 배터리 셀(100)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초음파 용접되는 전극 탭(200)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1)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전극 탭(200)이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연장부(210)와, 상기 연장부(210)가 다시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터리 셀(1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용접면을 형성하는 용접부(2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1)은
    이웃하는 음극의 전극 탭(200)과 양극의 전극 탭(200)이 서로 용접되는 직렬형태이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용접면을 통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1)은
    이웃하는 동일한 극성의 전극 탭(200)이 용접되는 병렬형태이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용접면을 통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10)는
    배터리 셀(100)에 평행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11) 및 상기 제1연장부(211)의 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연장부(21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1)은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연장부(210)가 다시 상?하 방향으로 반복되어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1)은
    'W' 또는 'N'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더미 탭(300)이 더 구비되어,
    상기 더미 탭의 일측과 타측면이 이웃한 배터리 모듈(1)의 전극 탭(200) 용접부와 각각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둘 이상의 배터리 셀(100)과, 각각의 배터리 셀(100)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초음파 용접되는 전극 탭(200)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1)의 전극 탭 용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 용접 방법은
    상기 배터리 셀(1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용접면을 형성하는 용접부(220)와, 상기 용접부(220)와 배터리 셀(100)을 연결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210)를 포함하는 전극 탭 형성 단계(S100);
    상기 전극 탭(200)의 용접부(220)가 맞닿도록 고정하는 고정 단계(S200); 및
    상기 용접부(220)를 초음파 진동에 의해 융착시키는 초음파 용접 단계(S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계(S200)는
    배터리 셀(100)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용접 단계(S300)는
    상기 용접부(220)의 용접면이 밀착되도록 밀착수단에 의해 가압하는 밀착 단계(S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단계(S310)는
    상기 밀착수단이 롤러 또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
KR1020100137981A 2010-12-29 2010-12-29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 KR101765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981A KR101765769B1 (ko) 2010-12-29 2010-12-29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
JP2013547350A JP5714723B2 (ja) 2010-12-29 2011-12-29 電池モジュール
CN2011800629840A CN103314468A (zh) 2010-12-29 2011-12-29 电池模块和电极片超声波焊接方法
PCT/KR2011/010271 WO2012091473A2 (en) 2010-12-29 2011-12-29 Battery module and electrode tab ultrasonic wave welding method
EP11852255.6A EP2659533B1 (en) 2010-12-29 2011-12-29 Battery module with ultrasonic wave welded electrode tabs
US13/977,871 US10014511B2 (en) 2010-12-29 2011-12-29 Battery module and electrode tab ultrasonic wave weld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981A KR101765769B1 (ko) 2010-12-29 2010-12-29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020A true KR20120076020A (ko) 2012-07-09
KR101765769B1 KR101765769B1 (ko) 2017-08-07

Family

ID=4638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981A KR101765769B1 (ko) 2010-12-29 2010-12-29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14511B2 (ko)
EP (1) EP2659533B1 (ko)
JP (1) JP5714723B2 (ko)
KR (1) KR101765769B1 (ko)
CN (1) CN103314468A (ko)
WO (1) WO2012091473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8058A (ko) * 2012-11-06 2014-05-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70035117A (ko) 2015-09-22 2017-03-30 안광선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장치
KR20170098579A (ko) * 2016-02-22 2017-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9139282A1 (ko) * 2018-01-09 2019-07-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탭-리드 결합부에 적용된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N110544759A (zh) * 2018-05-29 2019-12-06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电池单池和电池模块
US10720616B2 (en) 2017-09-22 2020-07-21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with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ode tab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0900B2 (ja) * 2012-10-10 2016-11-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KR102073189B1 (ko) * 2013-04-04 2020-02-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용접혼
KR20140129401A (ko) * 2013-04-18 2014-11-0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JP6171606B2 (ja) * 2013-06-18 2017-08-0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ユニット
JP6171605B2 (ja) * 2013-06-18 2017-08-0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ユニット
DE102013221139B4 (de) * 2013-10-17 2021-11-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 mit einer Mehrzahl von Batteriezellen, welche um einen Rand eines Rahmens umgebogene Ableiterelemente aufweisen
DE102013020942A1 (de) * 2013-12-12 2015-06-18 Daimler Ag Verfahren zur Wartung, Reparatur und/oder Optimierung einer Batterie und Batterie mit einer Anzahl von elektrisch miteinander verschalteten Einzelzellen
EP3161899A4 (en) 2014-06-30 2017-12-27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for a cordless power tools
JP6357944B2 (ja) * 2014-07-23 2018-07-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CN105655532A (zh) * 2014-11-10 2016-06-0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组及其堆叠方法
US10062931B2 (en) 2015-04-22 2018-08-2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Welding process for battery module components
JP2019133741A (ja) * 2016-05-26 2019-08-0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CN110114898B (zh) * 2016-12-20 2022-09-16 Sk新能源株式会社 袋型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WO2018117654A1 (ko) 2016-12-20 2018-06-2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EP3613093A4 (en) * 2017-04-20 2021-01-20 A123 Systems LLC BATTERY POCKET CONFIGURATION
DE102018002333A1 (de) * 2018-03-21 2019-09-26 Voltabox Ag Zellpol für Fahrzeugbatteriezellen
DE102018208133B3 (de) * 2018-05-24 2019-08-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atteriezelle für eine Hochvoltbatterie eines Kraftfahrzeugs, Hochvoltbatterie sowie Kraftfahrzeug
CN111106301B (zh) * 2019-04-02 2021-02-2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以及电池模组
CN114156607A (zh) * 2020-09-08 2022-03-08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化学装置及电子装置
CN113708020B (zh) * 2021-08-24 2023-05-05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一种极耳焊接的减振方法及夹持工装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3371A (ja) * 1999-02-24 2000-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用接続端子
CA2384215A1 (en) * 2002-04-30 2003-10-30 Richard Laliberte Electrochemical bund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20040054128A (ko) 2002-12-17 2004-06-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JP3996525B2 (ja) 2003-02-20 2007-10-24 日本電気株式会社 組電池、組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ラミネート型電池
JP4617672B2 (ja) * 2003-12-26 2011-01-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ラミネート電池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5251617A (ja) * 2004-03-05 2005-09-15 Nissan Motor Co Ltd 二次電池及び組電池
JP4741284B2 (ja) * 2005-05-17 2011-08-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蓄電装置
JP4946098B2 (ja) * 2006-03-02 2012-06-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超音波接合の接合構造
CN101315990B (zh) * 2007-05-29 2010-06-09 上海比亚迪有限公司 一种电池组
KR101050318B1 (ko) * 2009-04-16 2011-07-1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JP2010282767A (ja) * 2009-06-03 2010-12-16 Honda Motor Co Ltd 組電池モジュール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8058A (ko) * 2012-11-06 2014-05-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70035117A (ko) 2015-09-22 2017-03-30 안광선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장치
KR20170098579A (ko) * 2016-02-22 2017-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10720616B2 (en) 2017-09-22 2020-07-21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with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ode tabs
US11728527B2 (en) 2017-09-22 2023-08-15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cells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substrate via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WO2019139282A1 (ko) * 2018-01-09 2019-07-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탭-리드 결합부에 적용된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EP3664191A4 (en) * 2018-01-09 2020-11-11 Lg Chem, Ltd. ELECTRODE ARRANGEMENT WITH A PLASTIC ELEMENT APPLIED TO A CONNECTING PART OF AN ELECTRODE TUBE SUPPORT, AND SECONDARY BATTERY THEREOF
CN110544759A (zh) * 2018-05-29 2019-12-06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电池单池和电池模块
CN110544759B (zh) * 2018-05-29 2023-04-18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电池单池和电池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14511B2 (en) 2018-07-03
WO2012091473A2 (en) 2012-07-05
CN103314468A (zh) 2013-09-18
EP2659533A2 (en) 2013-11-06
WO2012091473A3 (en) 2012-10-04
KR101765769B1 (ko) 2017-08-07
US20130280587A1 (en) 2013-10-24
EP2659533A4 (en) 2016-11-16
JP5714723B2 (ja) 2015-05-07
JP2014504780A (ja) 2014-02-24
EP2659533B1 (en)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6020A (ko)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
KR101147173B1 (ko) 전지 모듈
KR101370858B1 (ko) 돌기부를 포함하는 버스 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5300909B2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車両
JP5231235B2 (ja) 中及び大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用の二次バッテリー
KR101731329B1 (ko)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용접 방법
KR101924193B1 (ko) 배터리 모듈 용접 방법 및 용접구조
KR102094210B1 (ko) 레이저 용접된 전극 탭과 전극리드를 구비한 전지셀
KR101941686B1 (ko) 전극 탭 용접 방법
CN104412418B (zh) 电池组
KR20130122998A (ko) 신규한 전극 탭-리드 결합부 구조를 가진 이차전지
KR20150038930A (ko) 이차전지의 셀 리드와 버스바를 연결하는 초음파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의 셀 리드와 버스바를 연결하는 연결 방법
KR101528003B1 (ko) 전극 탭 상호 접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기화학소자
KR101301138B1 (ko) 전극단자의 레이저 용접 장치 및 용접 방법
KR102663132B1 (ko) 배터리 모듈
KR101881120B1 (ko) 전극단자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N219457945U (zh) 一种电芯及电池模组
KR20230116710A (ko) 전지 셀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7296199A (zh) 电池单元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