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117A -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117A
KR20170035117A KR1020150133792A KR20150133792A KR20170035117A KR 20170035117 A KR20170035117 A KR 20170035117A KR 1020150133792 A KR1020150133792 A KR 1020150133792A KR 20150133792 A KR20150133792 A KR 20150133792A KR 20170035117 A KR20170035117 A KR 20170035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case body
door
control unit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광선
조대권
Original Assignee
안광선
조대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광선, 조대권 filed Critical 안광선
Priority to KR102015013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5117A/ko
Publication of KR2017003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 장치는, 다수 개 적층된 포일의 무지부 측에 다수 개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에 와이어나 금속 분말 또는 용융 금속을 투입한 후 무지부가 상호 밀착되도록 고온 가압하여 무지부를 융착하기 위한 장치로서, 장치는, 일측으로는 금속 와이어 또는 용융 금속이 투입된 관통공을 고온 압착하고 타측으로는 관통공에서 전극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을 압착하는 압착구; 압착구의 일측에 배치되어 포일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중공의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일측 단면 일부에 개방되고 개방 부위에 도어가 구비된 제1 개방부와, 케이스 본체의 타측 단면 일부가 개방되어 포일의 관통공 및 관통공에서 전극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압착되는 부분이 케이스 본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2 개방부와, 케이스 본체의 제1 개방부측에 배치되어 케이스 본체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를 주입하는 외부 팬을 구비하는 케이스; 및 도어가 개방 부위를 개폐하도록 온오프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장치{APPARATUS FOR FUSING ELECTRODE TAP OF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 개의 적층된 포일의 무지부 측에 다수 개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에 금속 와이어나 금속 분말 또는 용융 금속을 투입한 후 무지부가 상호 밀착되도록 고온 가압하여 무지부를 융착함에 의해 전극 탭을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융착할 수 있는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PDA, 휴대폰, 캠코더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재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주전원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원공급시간, 사이즈, 무게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휴대성과 이동성을 결정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되고 있다. 이차전지로는 니켈-아연 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전지 등이 있는데, 작동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전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을 통해 이차전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극 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는 다수 개의 포일이 적층된 전극 탭(1)을 포함하고 있는데, 전극 탭(1)은 양극 또는 음극 활성물질이 도포되는 전극부(A)와, 전극부(A)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호 융착되되 활성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B)를 포함한다.
이때, 무지부(B)는 두께가 얇은 금속박판, 즉 포일형태로서 이를 접합하기 위해 용접하는 기술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용접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포일을 용접하는 관계로 모재의 심각한 손상을 유발하며, 아울러 용접이 이루어지더라도 접합부의 산화 및 이격부위의 표면산화로 인하여 접착 후 전극과 탭간의 접촉저항의 증가 등의 이차적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초음파 융착을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도 음파 융착의 특성상 실시적으로 무한정 구리박막(동포일)을 융착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그 수량도 현재 0.01mm의 동 포일을 50장 내외로 융착 가능하나 접촉면의 완벽한 융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접촉저항의 증가로 인한 도전률 저하로 배터리의 발열 및 효율 저하의 원인이 된다.
또한, 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보다 많은 포일을 접착하기 어렵고 공정 또한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이차전지의 전극 탭 및 이에 대한 기술은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특허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5-056815호 일본 공개 특허 제2006-172807호 한국 등록 특허 제0228581호 한국 등록 특허 제0462780호 한국 등록 특허 제0819183호 한국 등록 특허 제0337707호 한국 등록 특허 제0608103호 한국 등록 특허 제0929032호 한국 공개 특허 제2012-007602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접착방식과는 달리 포일의 무지부측에 다수 개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에 금속 와이어나 금속 분말 또는 용융 금속을 투입한 후 무지부가 상호 밀착되도록 고온 가압하여 무지부가 융착되도록 하여, 종래보다 간단한 공정에 의해서도 효과적이고도 안정적으로 융착할 수 있는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 본체 내부에 내부 팬이 구비되는 경우, 팬 동작 제어, 팬 회전력 제어, 팬 회전방향 제어 및 설정시간 동안의 팬 동작 제어를 통해 내부 팬을 간편하게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 장치는, 다수 개 적층된 포일의 무지부 측에 다수 개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에 와이어나 금속 분말 또는 용융 금속을 투입한 후 무지부가 상호 밀착되도록 고온 가압하여 무지부를 융착하기 위한 장치로서, 장치는, 일측으로는 금속 와이어 또는 용융 금속이 투입된 관통공을 고온 압착하고 타측으로는 관통공에서 전극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을 압착하는 압착구; 압착구의 일측에 배치되어 포일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중공의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일측 단면 일부에 개방되고 개방 부위에 도어가 구비된 제1 개방부와, 케이스 본체의 타측 단면 일부가 개방되어 포일의 관통공 및 관통공에서 전극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압착되는 부분이 케이스 본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2 개방부와, 케이스 본체의 제1 개방부측에 배치되어 케이스 본체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를 주입하는 외부 팬을 구비하는 케이스; 및 도어가 개방 부위를 개폐하도록 온오프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스 본체의 상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 일부가 개방된 제3 개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케이스 본체 내에 구비된 내부 팬을 더 구비한다.
또한, 내부 팬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팬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팬 동작 제어부가 내부 팬을 온 동작시키는 경우, 내부 팬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팬 회전력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팬 동작 제어부가 내부 팬을 온 동작시키는 경우, 내부 팬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팬 회전방향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팬 동작 제어부가 내부 팬을 온 동작시키는 경우, 내부 팬의 온 동작 이후의 설정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고,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팬 동작 제어부는 타이머부로부터 설정시간 경과신호를 수신하여 내부 팬을 오프시킨다.
또한, 압착구는 관통공에서 전극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을 압착하는 부위가 포일의 무지부와 접촉하되 복수의 접촉부위가 상호 이격되어 있는 형상인 포크 형태를 갖는다.
또한, 도어의 일단은 제1 개방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도어 제어부는 힌지의 동작을 제어하여 도어를 온오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일의 무지부측에 다수 개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에 금속 와이어나 금속 분말 또는 용융 금속을 투입한 후 무지부가 상호 밀착되도록 고온 가압하여 무지부가 융착되도록 하여, 종래보다 간단한 공정에 의해서도 효과적이고도 안정적으로 융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본체 내부에 내부 팬이 구비되는 경우, 팬 동작 제어, 팬 회전력 제어, 팬 회전방향 제어 및 설정시간 동안의 팬 동작 제어를 통해 내부 팬을 간편하게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극 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계 및 제2 단계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단계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단계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단계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계 및 제2 단계를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단계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단계를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단계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 개 적층된 포일(100)의 무지부(B) 측에 다수 개의 관통공(110)을 형성하고, 관통공(110)에 금속 와이어(W)나 금속 분말(P) 또는 용융 금속을 투입한 후 무지부(B)가 상호 밀착되도록 고온 가압하여 무지부(B)를 융착하는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방법이다.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지부를 용접하거나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등의 기술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접합시 모재의 손상이 발생하거나 보다 많은 포일을 접착하기 어렵고 공정 또한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공(110)에 금속 와이어 등을 투입한 후 고온으로 압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도 안정적인 융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방법(S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탭의 재료가 되는 포일(100) 중 무지부(B) 측에 다수 개의 관통공(110)을 형성하는 단계(S110, 이하 제1 단계라 함)를 수행한다. 이때, 관통공(110)은 적층되는 포일(100)의 적층량과 면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mm이하에서 수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관통공(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열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수 개의 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관통공(110)은 포일(100)을 천공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무지부(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극 또는 음극의 활성 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추후 상호 융착되는 부분이며, 전극부(A)는 활성 물질이 도포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제1 단계(S110)에 의해 관통공(110)을 형성한 후 천공된 포일(100) 다수 개를 높이 방향으로 적층하는 단계(S120, 이하 제2 단계라 함)를 수행한다.
제2 단계(S120) 수행 후, 포일(100)의 관통공(110)에 와이어(W)를 삽입하는 단계(S130, 이하 제3 단계라 함)를 수행한다(도 3 참조). 이때, 와이어(W)는 금속 와이어(wire)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금속 분말을 이용하여 와이어로 성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금속 분말을 페이스트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금속은 납, 주석, 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로 하는 온도특성에 따라 융점이 낮은 금속을 합금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와이어(W)는 관통공(110)에 삽입된 후 융착되어 무지부(B)를 융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와이어(W)가 다른 형상이나 성분을 가진다 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를 관통공(110)에 삽입한 후 양단을 절곡하여 무지부(B)측에 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단계(S130) 수행 후, 일측으로는 금속 와이어 또는 용융 금속이 투입된 관통공(110)을 고온 압착하고 타측으로는 관통공(110)에서 전극부(A)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을 압착하는 단계(S140, 이하 제4 단계라 함)를 수행한다(도 4 참조).
제4 단계(S140)에 의해 포일(100)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한편, 압착된 부위에 의해 후술하는 고온 융착단계에서 발생하는 열이 전극부(A)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극부(A)를 보호하고, 와이어(W)가 융융되면서(도 5 참조) 각 포일사이에 분포되어 무지부(B)가 상호 융착된다. 또한, 제4 단계(S140)를 통해 압착함에 의해 활성 물질이 도포되는 비 융착부인 전극부(A)가 상호 벌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포일과 같은 박막형 물질은 적층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는데, 이때 제4단계(S140)와 같이 특정 부분을 압착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나머지 부분이 상호 벌어지게 된다.
제4 단계(S140)에 의해 무지부(B)를 융착한 후 전극부(A)에 활성물질을 도포하는 단계(S150)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제4 단계(S140) 전에 전극부(A)에 활성물질을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일(100)의 관통부(110)에 와이어(W)를 삽입한 후 융착하나 관통부(110)에 용융 금속을 투입하는 또 다른 방법(S200)도 가능하다.
즉, 전극 탭의 재료가 되는 포일(100) 중 무지부(B) 측에 다수 개의 관통공(110)을 형성하는 단계(S210,이하 제21 단계라 함)와, 천공된 포일(100) 다수 개를 높이 방향으로 적층하는 단계(S220, 이하 제22 단계라 함)를 수행한다. 제21 단계(S210)와 제22 단계(S220)는 상술한 제1 단계(S110)와 제2 단계(S120)와 동일하다. 다만, 일측으로는 금속 와이어 또는 용융 금속이 투입된 관통공(110)을 고온 압착하고 타측으로는 관통공(110)에서 전극부(A)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을 압착하는 단계(S230, 이하 제23 단계라 함)를 먼저 수행하는 점이 상이하다.
제23 단계(S230)를 수행한 후 관통공(110)에 용융 금속을 투입한 후 무지부(B)를 융착하는 단계(S240, 이하 제24 단계라 함)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는 달리, 제23 단계(S230)를 먼저 수행한 후 용융 금속을 관통부(110)에 투입한 후 융착하는 제24 단계(S240)를 수행한다. 즉, 관통공(110)에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과 용융 금속을 사용하는 것의 차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일(100)의 관통부(110)에 와이어(W)를 삽입한 후 융착하는 것으로서,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무지부(B)를 융착하는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는 일측으로는 금속 와이어(W) 또는 용융 금속이 투입된 관통공(110)을 고온 압착하고 타측으로는 관통공(110)에서 전극부(A)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을 압착하는 압착구(200)를 포함한다. 압착구(200)는 관통공(1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을 압착하여 전극부(A)측으로의 열 확산을 방지한다. 이를 위한 압착구(200)로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이 강도가 높고 열전도가 높은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압착구(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에서 전극부(A)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을 압착하는 부위가 포일의 무지부(B)와 접촉하되 복수의 접촉부위가 상호 이격되어 있는 형상인 포크 형태를 갖는다. 또한, 압착구(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공(110) 부분을 고온 압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자세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무지부(B) 압착시 과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케이스(30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케이스(300)는 압착구의 일측에 배치되어 포일(100)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중공의 케이스 본체(310)와, 케이스 본체(310)의 일측 단면 일부에 개방되고 개방부위에 도어(311a)가 구비된 제1 개방부(311)와, 케이스 본체(310)의 타 측단면 일부가 개방되어 포일(100)의 관통공(110)와, 관통공(110)에서 전극부(A)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압착되는 부분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2 개방부(312)와, 도어(311a)가 개방 부위를 개폐하도록 온오프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케이스 본체(310)의 도면상 좌측면에 제1 개방부(311)를 형성하고 도면상 우측면에 제2 개방부(312)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제2 개방부(312)를 통해 포일(100)의 일 부분이 노출된다. 도어(311a)의 일단은 제1 개방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도어 제어부(400)는 힌지의 동작을 제어하여 도어를 온오프 제어한다.
한편, 케이스 본체(310)의 제1 개방부(311) 측에 배치되어 케이스 본체(310)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를 주입하는 외부 팬(32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 본체(310)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해 케이스 본체(310)의 제1 개방부(311) 측에 외부 팬(32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스 본체(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각 개방부(311, 312)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310)는 그 상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 일부가 개방된 제3 개방부(313, 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3 개방부(313, 314)가 상면과 측면에 한 곳씩 제3 개방부(313, 314)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면 또는 측면에 그 개수에 관계없이 제3 개방부(313, 3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310)는 그 내부에 내부 팬(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팬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내부 팬은 제3 개방부(313, 314)의 개수에 맞추어 구비할 수 있으며, 제3 개방부(313, 314)의 근처에 내부 팬을 하나씩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개방부(311) 및 제2 개방부(312)는 열의 발산 또는 포일(100)의 노출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개방부(311,312)가 다른 형상을 갖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케이스 본체(310)의 경우 포일(100)을 수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케이스 본체(310)가 다른 형상을 갖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한편, 도어 제어부(400)는 도어(311a)를 열기 위해 온 제어하고, 열려있는 도어(311a)를 닫기 위해 오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310) 내부에 내부 팬이 구비되는 경우, 팬 동작 제어부(500), 팬 회전력 제어부(600), 팬 회전방향 제어부(700) 및 타이머부 (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팬 동작 제어부(500)는 내부 팬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팬 동작 제어부(500)는 내부 팬의 회전을 위해 온 제어하고, 내부 팬의 회전을 정지하기 위해 오프 제어한다.
팬 회전력 제어부(600)는 팬 동작 제어부(500)가 내부 팬을 온 동작시키는 경우, 내부 팬의 회전력을 제어한다. 내부 팬의 회전력은 1단계, 2단계, 3단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1단계는 가장 작은 회전력을 갖도록 설정되고, 2단계는 1단계보다 큰 회전력을 갖도록 설정되며, 3단계는 2단계보다 더 큰 회전력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팬 회전방향 제어부(700)는 팬 동작 제어부(500)가 내부 팬을 온 동작시키는 경우, 내부 팬의 회전방향을 제어한다. 회전방향은 내부 팬의 날개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바람을 일으켜 보내는 방향이다. 내부 팬의 회전방향은 2가지 이상의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타이머부(800)는 팬 동작 제어부(500)가 내부 팬을 온 동작시키는 경우, 내부 팬의 온 동작 이후의 설정시간을 체크한다.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팬 동작 제어부(500)는 타이머부(800)로부터 설정시간 경과신호를 수신하여 내부 팬을 오프시킨다. 예를 들어, 설정시간이 5분으로 설정된 경우, 내부 팬이 온 동작한 이후 타이머부(500)는 시간을 체크하는데, 5분이 경과하면 팬 동작 제어부(500)가 내부 팬을 오프시킨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포일
110 : 관통공
200 : 압착구
300 : 케이스
310 : 케이스 본체
311 : 제1개방부
311a : 도어
312 : 제2개방부
313, 314 : 제3 개방부
320 : 팬
400 : 도어 제어부
500 : 팬 동작 제어부
600 : 팬 회전력 제어부
700 : 팬 회전방향 제어부
800 : 타이머부
A : 전극부
B : 무지부
W : 와이어

Claims (9)

  1. 다수 개 적층된 포일의 무지부 측에 다수 개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 와이어나 금속 분말 또는 용융 금속을 투입한 후 상기 무지부가 상호 밀착되도록 고온 가압하여 상기 무지부를 융착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일측으로는 금속 와이어 또는 용융 금속이 투입된 관통공을 고온 압착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관통공에서 전극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을 압착하는 압착구;
    상기 압착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포일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중공의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 단면 일부에 개방되고 개방 부위에 도어가 구비된 제1 개방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타측 단면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포일의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에서 전극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압착되는 부분이 케이스 본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2 개방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제1 개방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를 주입하는 외부 팬을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도어가 상기 개방 부위를 개폐하도록 온오프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 일부가 개방된 제3 개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 내에 구비된 내부 팬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팬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팬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팬 동작 제어부가 상기 내부 팬을 온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내부 팬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팬 회전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팬 동작 제어부가 상기 내부 팬을 온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내부 팬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팬 회전방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팬 동작 제어부가 상기 내부 팬을 온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내부 팬의 온 동작 이후의 설정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팬 동작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설정시간 경과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내부 팬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구는 상기 관통공에서 상기 전극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을 압착하는 부위가 상기 포일의 무지부와 접촉하되 복수의 접촉부위가 상호 이격되어 있는 형상인 포크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일단은 상기 제1 개방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도어 제어부는 상기 힌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 장치.
KR1020150133792A 2015-09-22 2015-09-22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장치 KR20170035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792A KR20170035117A (ko) 2015-09-22 2015-09-22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792A KR20170035117A (ko) 2015-09-22 2015-09-22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117A true KR20170035117A (ko) 2017-03-30

Family

ID=5850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792A KR20170035117A (ko) 2015-09-22 2015-09-22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51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6277A (zh) * 2020-03-27 2021-12-21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化学装置和包含所述电化学装置的电子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581B1 (ko) 1997-03-28 1999-11-01 전주범 리튬전지용 몰렉스테이프의 자동접착장치
KR100337707B1 (ko) 2000-09-25 2002-05-22 정근창 포케팅 전극체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이차전지
KR100462780B1 (ko) 2002-06-03 2004-1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합체의 제조 방법
JP2005056815A (ja) 2003-07-22 2005-03-03 Toyota Motor Corp 二次電池及びその作製方法
JP2006172807A (ja) 2004-12-14 2006-06-29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極板の製造方法
KR100608103B1 (ko) 2004-02-14 2006-08-02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구리전극단자를 이용한 리튬이온폴리머2차전지의 결합 구조
KR100819183B1 (ko) 2007-10-19 2008-04-03 주식회사 코엠 리튬 이온전지 전극판에 테이프를 양면에 부착하여이음하는 이음장치 및 방법
KR100929032B1 (ko) 2007-10-05 2009-11-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전극 조립체의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KR20120076020A (ko) 2010-12-29 2012-07-0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581B1 (ko) 1997-03-28 1999-11-01 전주범 리튬전지용 몰렉스테이프의 자동접착장치
KR100337707B1 (ko) 2000-09-25 2002-05-22 정근창 포케팅 전극체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이차전지
KR100462780B1 (ko) 2002-06-03 2004-1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 조합체의 제조 방법
JP2005056815A (ja) 2003-07-22 2005-03-03 Toyota Motor Corp 二次電池及びその作製方法
KR100608103B1 (ko) 2004-02-14 2006-08-02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구리전극단자를 이용한 리튬이온폴리머2차전지의 결합 구조
JP2006172807A (ja) 2004-12-14 2006-06-29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極板の製造方法
KR100929032B1 (ko) 2007-10-05 2009-11-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전극 조립체의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KR100819183B1 (ko) 2007-10-19 2008-04-03 주식회사 코엠 리튬 이온전지 전극판에 테이프를 양면에 부착하여이음하는 이음장치 및 방법
KR20120076020A (ko) 2010-12-29 2012-07-0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6277A (zh) * 2020-03-27 2021-12-21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化学装置和包含所述电化学装置的电子装置
CN113826277B (zh) * 2020-03-27 2023-09-01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化学装置和包含所述电化学装置的电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0173B2 (ja) 二次電池用パウチ及びパウチ型二次電池とパウチ形成用シーリング装置
JP4338985B2 (ja) 電池部,リチウムポリマー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1753204B (zh) 用于锂二次电池的复合材料带和使用它的锂二次电池
KR102283783B1 (ko) 이차 전지
JP2010015991A (ja) 電解液注入口を備える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03164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battery cells
KR102226916B1 (ko) 용접성이 향상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이차전지
KR100686851B1 (ko) 리튬 이차전지용 복합재료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US20150207114A1 (en) Pouch cell housing
US8940428B2 (en) Separator, a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20090092859A1 (en) Electrode assembly,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assembly
JP2009527886A (ja) 電極を保持するための部材を有する電極集合体及び該電極集合体を含む二次電池
JP2003151528A (ja) 密閉型電池
JP5876380B2 (ja) 積層アルミニウム材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KR101492726B1 (ko)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 장치 및 방법
KR20170035117A (ko)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장치
EP3065196B1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connecting member
KR101742889B1 (ko)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장치
KR20200142451A (ko) 소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6924366B2 (ja) 密閉型電池
KR20130034285A (ko) 전류차단소자 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US20220416377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uch battery
JP3754792B2 (ja) 温度ヒュ−ズ及び二次電池における温度ヒュ−ズの取付け構造
KR101397833B1 (ko) 이종 접합 방식의 배터리의 전극 탭 융착 장치
KR20130034284A (ko) 전류차단소자 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