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574A - Method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by stimulating long-term memory - Google Patents
Method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by stimulating long-term memo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75574A KR20120075574A KR1020100128637A KR20100128637A KR20120075574A KR 20120075574 A KR20120075574 A KR 20120075574A KR 1020100128637 A KR1020100128637 A KR 1020100128637A KR 20100128637 A KR20100128637 A KR 20100128637A KR 20120075574 A KR20120075574 A KR 201200755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rning
- content
- information
- image
- foreign languag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13016 learn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0000007787 long-term memory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35045 associative learn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403 short-term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52804 Drug toler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3 episodic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50 habit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6781 habitu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20 hippocamp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163 sequencing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26 transfer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학습자의 장기 기억인 일화 기억 및 절차 기억을 자극하고, 모국어를 배우는 방식으로 외국어 학습을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에는, 이미지 콘텐츠와 이미지 콘텐츠에 관한 키워드 정보를 통한 연상 학습, 키워드 정보를 포함하고 이미지 콘텐츠의 내용과 관련된 외국어 문장을 듣고 말하는 학습 및 외국어 문장을 이루는 복수의 단어를 순서대로 확장하면서 반복하여 듣고 말하는 학습 및 이미지를 보고 연상되는 문장을 자연스럽게 말하는 학습을 통하여, 사용자가 외국어 문장을 습관적으로 기억하거나 하나의 추억처럼 기억할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인 학습을 제공한다.It stimulates learners' long-term memories, anecdotal and procedural memories, and provides the skills to learn foreign languages by learning their native language. In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through long-term memory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ociative learning through the keyword information about the image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the learning and foreign language that contains the keyword information and hears and speaks a foreign language sentence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image content. Learning through repeated listening, speaking, learning images, and speaking sentences naturally associated with the sequence of plural words forming a sentence, allowing users to remember foreign language sentences habitually or as a memory. To prov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텐츠 재생 장치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일화 기억(Episodic Memory)과 절차 기억(Procedural Memory)를 포함하는 장기 기억(Long-term Memory)를 자극하여 효과적인 외국어 학습을 유도하고, 학습 결과를 장기적으로 기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외국어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and system us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an effective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that stimulates long-term memory including episodic memory and procedural memory to induce effective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memorizes learning results in the long term. It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인간의 기억에는 단기 기억(Short-term Memory)와 장기 기억이 있다. 장기 기억에는, 추억 등을 기억하는 일화 기억, 지식을 기억하는 의미 기억(Semantic Memory) 및 몸으로 외우고 있는 어떤 일의 순서에 대한 기억인 절차 기억이 있다. 장기 기억에서는, 의미 기억보다 일화 기억 및 절차 기억이 강렬하고 오래 남는다. 이는, 일화 기억은 대체로 감정이 동반되기 때문에 뇌가 더욱 강한 자극을 주기 때문이며, 절차 기억은 사용되는 뇌의 영역이 넓기 때문이다.Human memory includes short-term memory and long-term memory. Long-term memory includes anecdotal memory that stores memories, semantic memory that stores knowledge, and procedural memories that are memories of a sequence of things memorized by the body. In long-term memory, anecdotal and procedural memories remain more intense and longer than meaning memories. This is because anecdotal memory is usually accompanied by emotions, and therefore the brain is more stimulating, and procedural memory is because the area of the brain used is wide.
외국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현재에는 전통적인 기억 방식은 소리와 쓰기 그리고 반복이라는 오감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즉, 하나의 단어나 문장을 계속적으로 반복하면서 소리내고 읽거나 쓰면서 기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순간적인 단기 기억에는 효과가 있으나 장기 기억으로 학습 결과를 이동시키기는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정된 학습 방법은 쉽게 뇌를 지치게 한다.In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s, traditional memory methods now use the five senses of sound, writing, and repetition. In other words, one word or sentence is repeated over and over and remembered as it is read out and read or written. However, this is effective for instantaneous short-term memory, but it is difficult to transfer learning results to long-term memory. In addition, fixed learning methods easily tire the brain.
또한, 전통적인 암기 방식은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한 것이어서 단기 기억에서 장기 기억으로 학습을 이동시키기 위한 개인마다의 학습 스타일의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효율적인 외국어 학습 방식과는 거리가 멀다는 단점이 지적되어 왔다. In addition, the traditional memorization method is aimed at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so it is not possible to consider the difference in learning style for each individual to move learning from short-term memory to long-term memory. It has been pointed out.
또한, 현재 외국어 교육 방법은, 쓰기, 읽기 등에 치중된 공교육 및 사교육 방식으로 인하여, 의미 기억만을 자극하는 교육 방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모국어를 배우는 것과 같이 자연스럽고 자유로운 교육 방법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며, 이에 따라서 실질적인 외국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과는 맞지 않는 교육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In addition, the current foreign language education method is mostly due to the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methods focused on writing, reading, and the like, stimulating only semantic memory. Therefore, there is a lack of natural and free teaching methods, such as learning a native language, and accordingly, many teaching method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practical foreign languages are used.
본 발명은 외국어를 모국어의 학습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장기 기억인 일화 기억과 절차 기억을 자극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을 통해, 외국어가 학습자에게 있어서 생활 속에서 배우는 것과 같은 자극이 되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외국어 말하기 등을 원어민처럼 습득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장기적으로 학습 내용을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외국어 학습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n a manner similar to that of a native language. More specifically,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s that stimulate long-term memory, anecdotal and procedural memories, enable foreign languages to become learners' stimuli as they learn in their daily lives, so that they can effectively learn foreign languages like native speakers. The aim is to provide foreign language learning skills that will allow students to remember what they have learned over the long term.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은, 학습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이고, 학습 내용에 관한 이미지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키워드 정보를 송출하여,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 이미지 또는 이미지 콘텐츠를 연상하도록 하는 학습 단계인 이미지 매핑 학습 단계; 동영상, 이미지 콘텐츠 및 객체 이미지와 대응하는 키워드가 포함된 외국어 문장 정보에 대응하는 자막 콘텐츠 및 외국어 문장 정보를 읽는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송출하는 듣기 학습 단계인 제1 듣기 학습 단계; 동영상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및 오디오 콘텐츠를 송출하는 듣기 학습 단계인 제2 듣기 학습 단계; 동영상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자막 콘텐츠, 오디오 콘텐츠 및 음성 입력 및 인식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외국어 문장 정보를 말하도록 하는 학습 단계인 제1 말하기 학습 단계; 동영상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오디오 콘텐츠 및 음성 입력 및 인식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외국어 문장 정보를 말하도록 하는 학습 단계인 제2 말하기 학습 단계; 동영상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자막 콘텐츠, 오디오 콘텐츠 및 음성 입력 및 인식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외국어 문장 정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어를 순서에 따라 하나의 단어씩 순서대로 확장하면서 문장이 완성될 때까지 반복하여 말하도록 하는 학습 단계인 제3 말하기 학습 단계;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또는 객체 이미지와 힌트 정보를 제공하여, 힌트 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또는 객체 이미지에 관한 하나 이상의 문장을 학습자가 생성하도록 하여 문장 구조 및 말하기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인 이미지 연상 말하기 학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this purpose,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through the long-term memory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a voice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learning server network, the image content and image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 An image mapping learning step of transmitting a keywor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to associate the object image or the image content with the keyword information; A first listening learning step which is a listening learning step of transmitting audio content including subtitle content corresponding to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including a keyword corresponding to a video, image content, and an object image and sound information reading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A second listening learning step which is a listening learning step of transmitting video content, image content and audio content; A first speech learning step of providing a video content, an image content, a caption content, an audio content, and a voice input and recognition program so as to speak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A second speech learning step, which is a learning step of providing video content, image content, audio content, and voice input and recognition program to speak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By providing video content, image content, subtitle content, audio content, and voice input and recognition program, it is possible to repeat a plurality of words constituting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one by one in order and repeat until the sentence is completed. A third speaking learning step which is a learning step to speak; Providing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or the object image and the hint information so that the learner generates one or more sentences related to the video content, the image content or the object image using the hint information to perform sentence structure and speech learning.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image association speech learning step.
키워드 정보는, 객체 이미지의 이름, 행동, 모양 및 색깔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의미를 갖는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어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eyword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a phrase that includes one or more words that have meanings for one or more of the name, behavior, shape, and color of the object image.
힌트 정보는, 소정의 의미를 갖는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어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int information may be a phrase including one or more words having a predetermined meaning.
이미지 매핑 학습 단계 후, 키워드를 순서대로 기억하도록 반복하여 학습하도록 하는 키워드 학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말하기 학습 단계 후, 외국어 문장 정보에 대한 학습자의 암기 여부를 테스트하는 중간 테스트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image mapping learning step,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keyword learning step of repeatedly learning to memorize the keywords in ord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test step of testing whether the learner memorizes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after the second speech learning step.
제3 말하기 학습 단계 후, 동영상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및 오디오 콘텐츠만을 송출하여 외국어 문장 정보에 대한 발음, 억양 및 의미를 학습하도록 하는 말하기 정리 학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third speech learning step, the speech content may further include a speech arranging learning step of transmitting only video content, image content, and audio content to learn pronunciation, intonation, and meaning of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이미지 연상 말하기 학습 단계 후, 키워드 설명 정보 및 키워드 음성 정보를 제공하여 키워드에 관한 객체 이미지 또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연상하도록 하는 학습 단계인 정리 학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키워드 설명 정보는 키워드 정보에 대한 문법, 의미, 동의 어구 및 예문을 포함하고, 키워드 음성 정보는 키워드 정보에 포함된 단어를 읽는 음성 정보이다.The image association speech learn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 rearranging learning step, which is a learning step of providing keyword description information and keyword voice information to associate the object image or the video content with respect to the keyword and the image content. In this case, the keyword description information includes grammar, meaning, synonyms and example sentences for the keyword information, and the keyword voice information is voice information for reading a word included in the keyword inform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자는 연상 학습 및 음성을 따라서 반복하여 말하는 학습을 통해, 모국어의 습득 과정과 유사한 학습 과정을 체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외국어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3 말하기 학습 단계의 경우, 문장 구조에 따라서 단어를 순차적으로 확장하여 학습하기 때문에, 단어 사용 시의 전 후 과정을 습관화할 수 있어 자연스럽게 외국어의 문법, 문장구조 및 단어를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외국어를 단기 기억에서 의미 기억으로 변화하게 하는 과정 없이, 즉시 장기 기억인 일화 기억 및 절차 기억을 자극함으로써,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er experiences a learning process similar to the acquisition process of the native language through repetitive learning along with associative learning and voice, thereby effectively proceeding with foreign language learning. In addition, in the third speech learning step, since the words are sequentially expanded and learned according to the sentenc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habitually before and after the process of using the words, so that the natural grammar, sentence structure, and words can be naturally learned. do.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earn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immediately stimulating anecdotal memory and procedural memory, which are long-term memories, without changing the foreign language from short-term memory to semantic memor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 내지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을 콘텐츠에 구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외국어 학습 콘텐츠의 구조를 도시한 예이다.1 is a flowchart of a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through long-term memory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9 illustrate examples of implementing a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through content in a long-term memory stimul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through long-term memory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ample showing the structure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단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Hereinafter, a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through long-term memory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nderstood to mean the same configurations and steps.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비영어권 국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영어 학습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영어 이외에도, 모든 외국어의 학습 방법에 대해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할 것이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describe an English learning method for learners of non-English speaking countries. However, it will be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ll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s in addition to Englis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1 is a flowchart of a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through long-term memory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을 첫 번째 학습 단계는, 이미지 매핑 학습 단계(S1)이다.Referring to FIG. 1, a first learning step of a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through long-term memory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e mapping learning step S1.
이미지 매핑 학습 단계(S1)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마다 지정된 키워드를 학습자에게 공급하고, 학습자가 공급되는 키워드를 보고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연상하도록 하는 학습 단계이다.The image mapping learning step S1 is a learning step of supplying the learner with a keyword designated for each of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and allowing the learner to see the supplied keyword and associate the video content with the image content.
이미지 매핑은, 두뇌 인지공학을 이용한 학습 방법으로서, 기억을 담당하는 두뇌의 부분인 해마를 자극하는 학습 방법이다. 즉, 키워드를 기억하면서 키워드와 관련한 영상 및 이미지를 활용하여, 키워드를 기억하는 데 있어서 영상, 이미지 등의 사진 및 공간을 기억하며 연상하는 학습 방법이다. 즉, 복수개의 주어진 키워드를 가지고 실제 장면처럼 상상하면서 영화의 한 장면처럼 떠오르게 하는 것이다. Image mapping is a learning method using brain cognitive engineering that stimulates the hippocampus, a part of the brain responsible for memory. That is, it is a learning method in which a picture and a space such as an image and an image are stored and associated with the keyword by using an image and an image related to the keyword while storing the keyword. In other words, it takes a plurality of given keywords and imagines it as a real scene, and it rises like a scene of a movie.
예를 들어, 4개의 키워드를 순차적으로 먼저 듣고 기억한 뒤, 키워드에 관련한 문장을 동영상 콘테츠 및 이미지 콘텐츠와 연계하여 연상하면서 기억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학습자는 일화기억으로 키워드와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함께 기억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키워드에 해당하는 단어들은 장기 기억 장치를 자극하면서 기억되게 될 것이다.For example, the four keywords are sequentially heard and stored first, and then the sentences related to the keywords are associated with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and associated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learner memorizes the keyword,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together with anecdotal memory. Accordingly, the words corresponding to the keywords will be stored while stimulating the long-term memory device.
이미지 매핑 학습 단계(S1)에서 제시되는 키워드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전체, 또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정보이다. 이를 키워드 정보라고 한다. 즉,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제공하고,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에는 식별 번호를 통해 하나 이상의 객체 이미지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동시에,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와 함께 키워드 정보를 문자 정보로 학습자에게 송출할 수 있을 것이다.The keyword presented in the image mapping learning step S1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ntir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or to the object image included in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This is called keyword information. That is,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may provide one or more video contents and image contents, and identify one or more object images through identification numbers in the video contents and image contents. At the same time, the keyword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learner as text information.
학습자는, 키워드 정보와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연관시켜 보면서 기억하고, 키워드 정보만을 가지고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전체 또는 객체 이미지 각각을 연상하는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The learner learns by associating and storing keyword information with moving picture content and image content, and proceeds with learning only associating moving picture content and image content or object images with only the keyword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키워드 정보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또는 객체 이미지의 이름, 행동, 모양 및 색깔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의미를 갖고 있을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어구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word information may have a meaning regarding one or more of the name, behavior, shape, and color of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or the object image, and means a phrase including one or more words.
예를 들어,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가 지하철 역 사거리에 관한 영상 정보일 경우를 가정한다. 지하철 역 사거리에 관한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에는, 사람, 차, 지하철 역 출입구 등이 객체 이미지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각 객체 이미지는 특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키워드 정보가 포함할 수 있는 의미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다.For example, suppose that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are video information about a subway station crossroad. In the moving image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including the image information on the subway station crossroad range, a person, a car, a subway station entrance and the like may exist as an object image. In addition, each object image may include specific information, which is the same as the meaning of the keyword information.
즉 이때, 키워드 정보는 지하철 역의 명칭인 “Subway station”, 신호 등의 색이 변한다는 “Turn on” 및 차가 밀린다는 “Traffic jam” 등이 키워드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외에도,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에서 파악할 수 있고 학습자가 이미지를 연상할 수 있게 되는 키워드 정보라면 어느 것이나 키워드 정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keyword information may be used as keyword information such as “Subway station” which is the name of the subway station, “Turn on” that the color of the signal changes, and “Traffic jam” that the car is pushed. In addition, any keyword information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and the learner can associate the image, may be included in the keyword information.
S1 단계가 완료되면, S1 단계에서의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키워드 정보가 포함된 외국어 문장 정보를 포함하는 자막 콘텐츠 및 외국어 문장 정보를 읽는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송출하여, 학습자의 듣기 학습을 유도하는 제1 듣기 학습 단계(S2)가 수행된다.When the step S1 is completed, the audio content including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in the step S1, the subtitle content including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keyword information, and the sound information to read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learner's listening learning. A first listening learning step S2 is performed to induce.
S2 단계에서는, 키워드 정보를 포함하는 외국어 문장 정보가 제시된다. 외국어 문장 정보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의 내용에 관련된 문장임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In step S2,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including keyword information is presented.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may be preferably sentences related to the contents of video content and image cont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S1 단계에서 제시된 키워드 정보인 “Subway station”을 이용한 영어 문장 정보에는 “Could you drop me off at the subway station?”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의 객체 콘텐츠인 지하철 역 출입구에 식별 번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 번호를 클릭하는 등의 행위가 있을 시 키워드 정보 및 키워드 정보가 포함된 상기 문장을 자막 형식으로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하부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English sentence information using “Subway station”, which is the keyword information presented in step S1, may include “Could you drop me off at the subway station?”. For example, when an identification number is assigned to a subway station entrance, which is an object content of video content and image content, and an action such as clicking on the identification number is performed, the sentence including the keyword information and the keyword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caption format. It can be displayed under content and image content.
또한, 자막에 포함된 영어 문장 정보를 읽는 소리 정보인 오디오 콘텐츠 역시 학습자에게 송출될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는, 객체 이미지인 지하철 역 출입구의 이미지, “Subway station”이라는 키워드 정보, “Could you drop me off at the subway station?”이라는 문장이 표시되는 자막 콘텐츠 및 상기의 문장을 미국 등의 현지 원어민이 읽을 때의 음성 정보를 한꺼번에 공급받고 이를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udio content, which is sound information that reads English senten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ubtitle, will also be transmitted to the learner. Therefore, the learner can use the image of the subway station entrance, which is an object image, the keyword information "Subway station", the caption content in which the sentence "Could you drop me off at the subway station?" When the native speaker reads the voice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he will learn it.
S2 단계는 제1 듣기 학습 단계로서, 학습자는 자막을 보고 원어민이 읽는 것을 들으면서 1차적으로 듣기 학습을 하게 된다.Step S2 is a first listening learning step, where the learner first listens to the subtitles while listening to the native speaker.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학습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에 복수의 키워드 정보에 대한 문자 정보가 객체 이미지의 식별 정보마다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객체 이미지의 식별 정보에는 객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또한, 키워드 정보에는 키워드 정보를 포함하는 각각 다른 외국어 문장이 복수개 연결되어, 학습 시 마다 다른 외국어 문장이 자막으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ly, in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managing the learning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xt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keyword information may be match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mage in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mage may include vide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content. In addition, a plurality of different foreign language sentences including keyword information may be connected to the keyword information, so that different foreign language sentences may be displayed as captions for each learning.
또한 각 외국어 문장에 관한 정보에는, 외국어 문장을 현지 원어민이 직접 읽은 소리 정보인 오디오 콘텐츠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즉,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마다 상기 언급한 복수의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콘텐츠 집합을 이루어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about each foreign language sentence may be linked with audio content, which is sound information directly read by a local native speaker. That is, content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plurality of information for each video content and image content may be connected and stored in a single content set.
S2 단계의 직후에는, 자막 콘텐츠만 제거한 S2 단계와 동일한 학습 과정이 진행되는 제2 듣기 학습 단계(S3)가 진행될 것이다. 즉, S3 단계에서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혹은 오디오 콘텐츠만을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S2 단계인 제1 듣기 학습 단계에서 자막을 보면서 익힌 외국어 문장을 제2 듣기 학습 단계에서는 자막을 제외하고 듣기만 하면서 익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순차적으로 외국어 문장을 습관화 시키면서, 학습자는 듣기 위주의 습관화 교육을 통해 절차 기억으로 외국어 문장을 기억하기 시작하게 된다.Immediately after step S2, a second listening learning step S3 in which the same learning process as the step S2 in which only subtitle content is removed will be performed. That is, in step S3, only video content, image content or audio content is transmitted. Through this,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s learned while watching the subtitles in the first listening learning step, which is the S2 step, are learned while only listening except the subtitles in the second listening learning step. Through this, while sequencing foreign language sentences sequentially, the learner begins to memorize foreign language sentences with procedural memory through listening-oriented habituation education.
절차 기억은 운동 기억 등 몸으로 습관화된 기억을 의미한다. 어떤 일련의 절차를 계속적인 연습을 통하여 몸에 습관이 되도록 익히는 기억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절차 기억은, 일화 기억과 더불어 장기 기억 중 잊어버리기 힘든 기억으로 인식되고 있다.Procedural memory refers to physically habitual memory, such as exercise memory. It is a memory that learns a series of procedures to become habits to the body through continuous practice. This procedural memory, along with anecdotal memory, is recognized as a memory that is hard to forget during long-term memory.
따라서, 문법 등의 지식을 먼저 쌓지 않고 귀로 듣고 입으로 말을 하면서 계속적인 연습을 함으로써, 학습자는 먼저 외국어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몸으로 익히게 되며, 이를 통해 외국어는 상기 언급한 일화 기억과 함께 절차 기억에도 기억되어, 기억의 유지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by continuously practicing while listening to the ear and speaking by mouth without first accumulating knowledge of grammar and the like, the learner first learns a series of courses about a foreign language. It is also stored in the procedural memory, so that the memory can be maintained more efficiently.
S2 단계와 S3 단계는 하나의 과정을 이루어 학습자가 원하는 횟수 또는 학습 공급자가 정한 횟수만큼 반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S2 단계와 S3 단계는 모든 객체 이미지에 대한 키워드 정보를 포함하는 외국어 문장 정보를 키워드 정보마다 적어도 하나씩 학습할 때까지 반복될 수도 있을 것이다.Steps S2 and S3 may be repeated as many times as desired by the learner or as determined by the learning provider in a process. In addition, steps S2 and S3 may be repeated until at least one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including keyword information of all object images is learned for each keyword information.
S3 단계의 학습이 완료되면, S2 단계에서 공급되는 콘텐츠인 동영상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자막 콘텐츠 및 오디오 콘텐츠 이외에, 음성 입력 및 인식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했던 상기의 외국어 문장 정보를 말하도록 하는 학습 단계인 제1 말하기 학습 단계(S4)가 수행된다.When the learning in the step S3 is completed, in addition to the video content, the image content, the subtitle content, and the audio content, which are the contents supplied in the step S2, a voice input and recognition program is provided to allow the learner to speak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that has been learned. A first speaking learning step S4 is performed, which is a learning step.
제1 말하기 학습 단계에서는, S2 단계에서 학습자에게 제공된 바와 같이, 동영상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자막 콘텐츠 및 오디오 콘텐츠가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학습자가 이동통신장치의 음성 입력 장치, 컴퓨터의 마이크와 같은 음성 입력 장치 등의 음성 입력 장치로부터, 학습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학습자의 음성으로부터 외국어 발음 정보를 추출 및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 및 구동될 것이다.In the first speaking learning step, as provided to the learner in step S2, video content, image content, subtitle content, and audio content are provided. In addition, a program that allows a learner to receive a learner's voice from a voice input device such as a voice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r a microphone of a computer, and extract and recogniz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information from the inputted learner's voice. This will be provided and driven.
학습자는, S2 단계 및 S3 단계에서 듣기 학습을 통해 익힌 원어민의 발음을 그대로 따라하면서 몸으로 원어민의 발음을 기억하게 될 것이다. S4 단계에서의 학습을 통해, 학습자는 문장과, 문장의 올바른 발음을 몸으로 기억하게 될 것이고, 따라서 문장과 이에 대응하는 발음은 절차 기억이 되어 학습자의 장기 기억 속에 기억될 것이다.The learner will follow the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learned through listening learning in the S2 and S3 stages, and will remember the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Through the learning at step S4, the learner will memorize the sentences and the correct pronunciation of the sentences, and thus the sentences and the corresponding pronunciation will be stored in the procedural memory and the learner's long-term memory.
S4 단계의 직후에는, S3 단계와 마찬가지로 자막 콘텐츠만이 제거된 상태가 된다. 즉, 동영상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오디오 콘텐츠와 함께, 음성 입력 및 인식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서, 학습자는 자막을 보지 않는 상태로 원어민이 문장을 읽는 소리를 그대로 따라 하면서 말하기 학습을 하는 단계인 제2 말하기 학습 단계(S5)를 체험하게 된다.Immediately after step S4, similarly to step S3, only the subtitle content is removed. That is, a voice input and recognition program is provided along with video content, image content, and audio content. Accordingly, the learner experiences the second speech learning step S5, which is a step of learning to speak while the native speaker follows the sound of reading the sentence without viewing the subtitles.
S4 및 S5 단계를 통해 학습자는 S2 및 S3 단계와 마찬가지로 효율적으로 문장을 익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몸으로 원어민의 발음을 익히면서 문장을 학습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e steps S4 and S5, learners learn the sentences as efficiently as the steps S2 and S3. Accordingly, the body can learn the sentence while learning the pronunciation of the native speaker.
S4 및 S5 단계는 S2 및 S3 단계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과정을 이루어 학습자가 원하는 횟수 또는 학습 공급자가 정한 횟수만큼 반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S4 단계와 S5 단계는 모든 객체 이미지에 대한 키워드 정보를 포함하는 외국어 문장 정보를 키워드 정보마다 적어도 하나씩 학습할 때까지 반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Steps S4 and S5 may be repeated as many times as desired by the learner or as determined by the learning provider in a process similar to steps S2 and S3. In addition, steps S4 and S5 may be repeated until at least one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including keyword information of all object images is learned for each keyword information.
S5 단계가 완료되면, 학습자는 제3 말하기 학습 단계(S6)를 수행하게 된다. 제3 말하기 학습 단계에는, S2 내지 S4 단계에서 학습했던 외국어 문장 정보에 대한 문장 구조 및 반복 학습이 포함된다.When the step S5 is completed, the learner performs the third speaking learning step (S6). The third speech learning step includes sentence structure and repetitive learning on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learned in steps S2 to S4.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Could you drop me off at the subway station?”의 문장을 가정한다. S6 단계에서는 상기 문장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어를 순서에 따라 하나의 단어씩 순서대로 확장하면서 문장이 완성될 대까지 반복하여 말하도록 한다. 말하기 학습과 함께, 동일한 방식의 듣기 학습이 진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More specifically, as mentioned above, assume the sentence “Could you drop me off at the subway station?”. In step S6, a plurality of words constituting the sentence are expanded one by one in order, and the words are repeated repeatedly until the sentence is completed. In addition to speaking learning, listening learning in the same manner may proceed.
즉, 원어민의 발음으로 “Could”, “Could you”, “Could you drop” 등과 같이 순서대로 단어를 확장하면서, 학습자는 전체 문장인 “Could you drop me off at the subway station?”까지 반복하면서 듣고 말하는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native speaker expands the words in order such as “Could”, “Could you”, “Could you drop”, and the learner listens to the entire sentence “Could you drop me off at the subway station?” You will learn to speak.
이에 따라서, 학습자는 이미지 매핑 학습 단계(S1)에서 본 영상을 주제로, 하나의 객체 이미지에 대해서 주어를 중심으로 문장을 이루는 단어의 순서대로 따라가면서 문장이 자연스럽게 만들어 지는 학습 과정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단어 순서대로 주어부터 전체 문장까지 확장하면서 반복적으로 듣고 말하기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문법 및 문장 구조에 대한 학습도 동시에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ly, the learner can experience the learning process in which the sentences are naturally made while following the order of the words forming the sentences centered on the subject with respect to the image viewed in the image mapping learning step (S1). do. Listening and Speaking will be taught repeatedly while extending from the subject to the whole sentence in word order. Accordingly, learning about grammar and sentence structure may also proceed simultaneously.
S6 단계를 통해서, 학습자는 일화 기억 및 절차 기억을 동시에 자극하여 효율적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Through the step S6, the learner will be able to stimulate the anecdotal memory and procedural memory at the same time to proceed efficiently.
S6 단계가 완료되면,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에 대한 학습의 마무리 단계인 이미지 연상 말하기 학습 단계(S7)가 수행된다. S7 단계에서는, 학습자는 지금까지 학습했던 문장 외에도 자신이 말하기 원하는 문장을 직접 연상하여 말하는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When step S6 is completed, the image association speech learning step S7, which is a finishing step of learning about one video content and image content, is performed. In step S7, the learner proceeds to speak in association with the sentences he wants to speak in addition to the sentences he has learned so far.
즉, S7 단계에서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또는 객체 이미지가 제공될 것이다. 이외에는, 힌트 정보만이 제공될 것이다. 힌트 정보는, 외국어 문법상 소정의 의미를 갖는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어구를 의미한다. 객체 이미지나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보면서 사용자가 문장을 연상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하여 문장에 포함될 수 있는 어구를 제시하는 것이 힌트 정보를 공급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In other words,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or the object image will be provided in step S7. Otherwise, only hint information will be provided. The hint information means a phrase including one or more words having a predetermined meaning in a foreign language grammar. Looking at the object image or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suggesting phrase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sentence to help the user relate the sentence will be done by supplying hint information.
예를 들어, 택시에 운전자와 승객이 타 있는 객체 이미지가 제시되고, 힌트 정보로서 다양한 어구 중 “subway station”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학습자는 지금까지 학습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객체 이미지에 대한 연상 학습을 진행하면서, “subway station”이라는 힌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장을 연상할 수 있게 된다. 학습자는 객체 이미지의 모습 및 표정 등을 통해 “Could you drop me off at the subway station?”이라는 문장도 연상하여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n image of an object in which a driver and a passenger are in a taxi is presented, and “subway station” is included among various phrases as hint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learner can associate the sentence with the hint information of “subway station” while proceeding associative learning about the object image based on the contents learned so far. The learner will be able to create a sentence reminiscent of "Could you drop me off at the subway station?"
S7 단계를 통하여, 학습자는 S1 내지 S6 단계를 통해 학습한 결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연상하면서 자유롭게 자신이 원하는 문장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신이 만든 문장을 직접 말하기 학습을 통해 발음해 보게 되어, 더욱 효율적인 학습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Through the step S7, the learner will be able to freely create a desired sentence while associating the image using the results learned through the steps S1 to S6. In addition, you will be able to pronounce the sentences you have made by speaking directly, so that you can learn more efficiently.
S7 단계의 학습이 종료된 후에는 다른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이용하여 같거나 다른 과정의 학습을 반복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S7 단계가 종료되면, 학습자는 키워드 정보에 대한 설명 및 음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After the learning in step S7 is completed, it will be obvious that the learning of the same or different process may be repeated using different video content and image content. In addition, when the step S7 is finished, the learner may be provided with a description of the keyword information and voice information.
키워드 정보를 설명하는 키워드 설명 정보는, 키워드 정보에 대한 문법, 의미, 동의 어구 및 예문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학습자는 키워드 정보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자연스럽게 듣기 및 말하기 학습을 통해 배우고, 키워드 정보를 활용하게 된 후, 키워드 정보에 대한 의미 등을 익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모국어를 배울 때 먼저 사용하는 방법부터 익히고 나서, 자세한 의미 및 문법을 학습하게 되는 과정과 유사한 것이다.The keyword description information describing the keyword information may include a grammar, a meaning, a synonym, and an example sentence for the keyword information. That is, the learner first learns naturally through listening and speaking learning about the keyword information, utilizes the keyword information, and learns the meaning of the keyword information. This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first learning how to use your native language and then learning detailed meaning and grammar.
또한 키워드 정보를 말하는 음성 정보인 키워드 음성 정보에는, 키워드 정보에 포함된 단어를 원어민이 읽는 음성 정보가 포함된다. 키워드 음성 정보를 통해, 학습자는 다시 한 번 올바른 키워드 정보의 발음을 듣고 익힐 수 있게 될 것이다.The keyword voice information, which is voice information that speaks keyword information, includes voice information that a native speaker reads the words contained in the keyword information. Through the keyword voice information, the learner will once again be able to hear and learn the pronunciation of the correct keyword information.
상기 언급한 키워드 설명 정보 및 키워드 음성 정보를 제공받게 되면 학습자는 제공받는 정보에 포함된 지식 외에, 이에 관하여 미리 배웠던 객체 이미지 또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연상할 수 있게 될 것이다. S7 단계 후의 상기 언급한 학습 과정을 정리 학습 단계로 정의한다.When the keyword description information and the keyword voice information mentioned above are provided, the learner will be able to associate the object image or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previously learned about it in addition to the knowledge included in the provided information. The above-described learning process after the step S7 is defined as the cleanup learning step.
또한, 이미지 매핑 학습 단계(S1)와 제1 듣기 학습 단계(S2) 사이에서는, S1 단계에서 학습했던 키워드 정보를 기억하도록 반복하여 학습하도록 하는 키워드 학습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확실하게 키워드 정보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하고, 키워드 정보가 포함된 외국어 문장에 대한 친숙도를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In addition, a keyword learning step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image mapping learning step S1 and the first listening learning step S2 to repeatedly learn to store the keyword information learned in the step S1.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urely store the keyword information and to increase the familiarity with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 containing the keyword information.
제2 말하기 학습 단계(S5)와 제3 말하기 학습 단계(S6) 사이에서는, S5 단계에서 학습한 외국어 문장 정보에 대한 학습자의 암기 여부를 테스트하는 중간 테스트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학습자는 테스트를 통과해야만, 제3 말하기 학습 단계(S6)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부족한 학습 부분을 반복하여 확실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Between the second speech learning step S5 and the third speech learning step S6, an intermediate test step of testing whether a learner memorizes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learned in step S5 may be performed. The learner must pass the test to proceed to the third speaking learning step S6. This will allow you to repeat the lack of learning and get a solid result.
또한, 제3 말하기 학습 단계(S6)와 이미지 연상 말하기 학습 단계(S7) 사이에는, S6 단계에서 학습한 동영상 콘텐츠 혹은 이미지 콘텐츠 및 오디오 콘텐츠만을 송출하고, 이에 따라서 외국어 문장 정보에 대한 발음, 억양 및 의미를 학습하도록 하는 말하기 정리 학습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말하기 학습을 통해 자신이 따라한 외국어 문장을 확인하고, 그 의미를 알게 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between the third speech learning step S6 and the image associative speech learning step S7, only the video content or the image content and the audio content learned in step S6 are transmitted, and accordingly, pronunciation, intonation and Speaking theorem learning step to learn the meaning can be further performed. Through this, the learner will be able to check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 that he or she has followed through learning to speak and learn its meaning.
도 2 내지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을 콘텐츠에 구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도 1에 대한 설명을 예로서 구현한 것이다. 따라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이하에서 생략하도록 한다.2 to 9 illustrate examples of implementing a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through content in a long-term memory stimul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mplements the description of FIG. 1 as an example. Therefore,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FIG. 1 will be omitted below.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이미지 매핑 학습 단계(S1)의 콘텐츠가 제시되고 있다. S1 단계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콘텐츠(100) 및 이미지 콘텐츠(100)에는, 식별 번호(110)를 통해 식별되는 복수개의 객체 이미지(식별번호 없음)가 존재한다.First, referring to FIG. 2, the content of the image mapping learning step S1 is presented. In the
각 객체 이미지는 동영상 콘텐츠(100) 및 이미지 콘텐츠(100)를 구성하는 물체, 장소, 행동 모습 등 외국어 학습에 필요한 단어 또는 어구로 표현될 수 있는 어떠한 이미지라도 가능할 것이다. 도 2에서는, 총 4개의 객체 이미지가 존재하고 있다.Each object image may be any image that can be represented by words or phrases necessary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such as the moving
각 객체 이미지에는, 각 객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키워드 정보(120)가 포함되어 있고, 키워드 정보(120)은 학습 화면의 일부분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정보(120)는 객체 이미지등의 명칭, 모습, 색깔과 같이 객체 이미지를 통해 연상 가능한 모든 정보를 의미하는 하나 이상의 단어인 어구를 의미한다.Each object image includes
도 2에서는, 택시의 운전자가 가리키는 방향을 통해 “another way”의 키워드, 지하철 역 출입구를 통해 “subway station”, 택시에서의 승객의 행동을 통해 “how much” 및 돈의 명칭인 “10-dollar bill”의 키워드 정보가 제시되고 있다.In FIG. 2, the keyword “another way” through the direction of the driver of the taxi, “subway station” through the subway station entrance, “how much” through the behavior of the passengers in the taxi and the name “10-dollar” keyword information of bill ”is presented.
도 3은 이미지 매핑 학습의 다른 예로서, 복수개의 이미지 콘텐츠가 통합된 한 화면(101)을 제공하고 있다. 이때에는, 각 이미지 콘텐츠(111)에 하나의 키워드가 제공될 것이다. 즉, 각 동영상 콘텐츠(111) 및 이미지 콘텐츠(111)를 통해 연상 가능한 어구 등이 키워드 정보(121)로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각 동영상 콘텐츠(111) 및 이미지 콘텐츠(111)에서 "friends, football game, paint, parking space"의 키워드 정보(121)가 추출되어 학습자에게 제공될 것이다.3 is another example of image mapping learning, and provides a
제1 듣기 학습 단계(S2)에 관한 화면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키워드 정보인 “subway station”을 포함하는 영어 문장 정보에 대한 듣기 학습이 진행된다.A screen relating to the first listening learning step S2 is shown in FIG. 4. Referring to FIG. 4, listening learning about English sentence information including “subway station” which is one keyword information is performed.
즉, 동영상 콘텐츠(100) 및 이미지 콘텐츠(100)가 화면을 통해 제공될 것이며, 키워드 정보(120)가 포함된 영어 문장 정보에 대한 자막 콘텐츠(200) 역시 화면의 일부분에 제공될 것이다. 이에 함께, 영어 문장 정보를 표준 발음의 원어민이 읽는 소리 정보인 오디오 콘텐츠 역시 제공된다.That is, the
이를 통해, 학습자는 동영상 콘텐츠(100) 및 이미지 콘텐츠(100), 자막 콘텐츠(200) 및 오디오 콘텐츠를 함께 학습하면서 발음에 익숙해질 수 있을 것이다.Through this, the learner may be accustomed to pronunciation while learning the
도 4의 제1 듣기 학습 단계(S2)가 완료되면, 제2 듣기 학습 단계(S3)가 수행되며, 이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When the first listening learning step S2 of FIG. 4 is completed, the second listening learning step S3 is performed, which is illustrated in FIG. 5.
도 5를 참조하면, 도 4와는 달리 자막 콘텐츠(200)가 제거된 화면을 볼 수 있다. 즉, 학습자는 제2 듣기 학습 단계(S3)에서, 자막을 보지 않고 오디오 콘텐츠 및 동영상 콘텐츠(100) 혹은 이미지 콘텐츠(100)만을 통하여 영어 문장을 학습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unlike FIG. 4, it is possible to see a screen from which subtitle
도 6 및 7은 제1 및 제2 말하기 학습 단계(S4, S5)에 대한 화면의 예이다. S4 단계에서는, 각각 동영상 콘텐츠(100) 및 이미지 콘텐츠(100), 자막 콘텐츠(200), 오디오 콘텐츠 및 음성 입력 및 인식 프로그램(300)을 통해 영어 문장을 학습하게 된다. S5 단계에서는 동영상 콘텐츠(100) 및 이미지 콘텐츠 (100), 오디오 콘텐츠 및 음성 입력 및 인식 프로그램(300)을 통해 영어 문장을 반복적으로 학습하게 된다.6 and 7 show examples of screens for the first and second speech learning steps S4 and S5. In step S4, the English sentence is learned through the
도 8은 제3 말하기 학습 단계(S6)에 대한 화면의 예이다. 도 8에서는 자막 콘텐츠(200), 객체 이미지(102), 오디오 콘텐츠, 음성 입력 및 인식 프로그램(301) 외에, 문장 구조에 따라서 단어의 순서대로 확장하는 정보(201)가 추가되어, S6 단계의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8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the third speaking learning step S6. In FIG. 8, in addition to the
도 9는, 이미지 연상 말하기 학습 단계(S7)의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화면(10) 내에 오디오 콘텐츠(310), 객체 이미지(103)가 존재하며, 힌트 정보(410)가 포함되어 있다. 화면(10)에서 “Hint”로 표시된 부분(400)은 힌트 정보(410)를 이용하여 문장을 만드는 예를 표시하는 것이다.9 shows a screen of the image association speech learning step S7. Referring to FIG. 9, the audio content 310 and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9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0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through long-term memory st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9 will be omitted.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학습 장치(700)가 포함되어 있다. 학습 장치(700)에는, 목질계 퍼즐(710), 개인용 컴퓨터(720), 티브이(TV)(730), 스마트폰 및 타블렛 피시(PC) 등의 이동통신 장치(740, 750) 등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목질계 퍼즐(710)은 다른 학습 장치(700)와 연동되어 소정의 입력을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각 학습 장치(700)는 영상 및 오디오 콘텐츠 재생 및 음성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장치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10, a
또한, 학습 장치(70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도중, 다른 장치로 변동하여 연속적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학습 서버(500)는 학습자의 접속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학습 과정을 저장하고, 상기 언급한 일련의 학습 과정을 연속적으로 학습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ile learning is performed using any one of the learning
예를 들어, 가정에서 티브이(730)를 통해 학습을 진행하는 도중, 집 밖으로 나오면서 스마트폰 및 타블렛 피시(PC)등의 이동통신 장치(740, 750)를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학습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학습 서버(500)는 학습자 별 학습 진행 정도를 실시간으로 저장 및 로드하여, 학습자가 연속적인 학습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ile learning through the
이를 위해, 학습자는 아이디를 포함하는 식별키를 발급받아 다양한 학습 장치(700)에서 학습 과정 및 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콘텐츠 서버(600)는 하나의 콘텐츠를 다양한 학습 장치(700)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학습 콘텐츠의 포맷을 변동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을 것이다.To this end, the learner may be issued with an identification key including an ID to receive and use a learning process and corresponding content in
학습 서버(500)는, 상기 도 1 내지 9에서 설명한 학습 과정을 학습 장치(700)를 통해 학습자가 이용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각 학습 과정에 대응하는 콘텐츠들을 콘텐츠 서버(600)로부터 검색하여 제공하고, 학습자별로 학습 과정을 저장하여 연속적인 학습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The learning
학습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 장치(700)인 목질계 퍼즐(710), 개인용 컴퓨터(720), 티브이(TV)(730) 및 스마트폰, 타블렛 피시(PC) 및 휴대용 컴퓨터 등의 이동통신장치(740, 750)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학습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장치에서의 학습결과는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 서버(500) 내의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510) 즉, 학습관리를 위한 학습자의 학습결과, 신상정보 및 콘텐츠 구매 정보 등의 학습자 정보를 서버에 통합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에 의해 관리될 것이다.The learner i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다양한 학습 장치(700)에서의 학습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는 컨텐츠 서버(600) 내의 LCMS(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610), 즉 학습용 콘텐츠 관리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로 서버에서 통합적으로 관리되어 하나의 콘텐츠로 여러 개의 다양한 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콘텐츠의 수정 및 업그레이드가 용이하도록 관리될 것이다.Content data for learning in the
콘텐츠 서버(600)는, 이미지 콘텐츠를 중심으로 이미지 콘텐츠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단위별로 저장하고 있으며, 이는 이하 도 11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외국어 학습 콘텐츠의 구조를 도시한 예이다.11 is an example showing the structure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611)를 통해 각 학습 콘텐츠(610, 620, 630) 중 어느 하나에 접근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one of each of the learning
콘텐츠 서버(600)는 식별 정보(611)외에, 하나 이상의 이미지 콘텐츠(612) 및 이에 대응하는 키워드 정보, 외국어 문장 정보, 음성 정보, 힌트 정보 및 추가적으로 테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키워드 콘텐츠(613), 문장 콘텐츠(614), 음성 콘텐츠(오디오 콘텐츠)(615), 힌트 정보 콘텐츠(616) 및 테스트 정보(617)를 콘텐츠 단위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e
상기 언급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에 대한 설명은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임은 당연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through the long-term memory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hat the equivalent invention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학습 내용에 관한 동영상 콘텐츠 혹은 이미지 콘텐츠 및 상기 이미지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키워드 정보를 송출하여, 상기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이미지 또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혹은 이미지 콘텐츠를 연상하도록 하는 학습 단계인 이미지 매핑 학습 단계;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상기 키워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또는 객체 이미지에 관련되는 외국어 문장 정보에 대응하는 자막 콘텐츠 및 상기 외국어 문장 정보를 읽는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송출하는 듣기 학습 단계인 제1 듣기 학습 단계;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및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송출하는 듣기 학습 단계인 제2 듣기 학습 단계;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상기 자막 콘텐츠, 상기 오디오 콘텐츠 및 음성 입력 및 인식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상기 외국어 문장 정보를 말하도록 하는 학습 단계인 제1 말하기 학습 단계;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상기 오디오 콘텐츠 및 상기 음성 입력 및 인식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상기 외국어 문장 정보를 말하도록 하는 학습 단계인 제2 말하기 학습 단계;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상기 자막 콘텐츠, 상기 오디오 콘텐츠 및 상기 음성 입력 및 인식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상기 외국어 문장 정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어를 순서에 따라 하나의 단어씩 순서대로 확장하면서 문장이 완성될 때까지 반복하여 말하도록 하는 학습 단계인 제3 말하기 학습 단계;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또는 상기 객체 이미지와 힌트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힌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또는 상기 객체 이미지에 관한 하나 이상의 문장을 학습자가 생성하도록 하여 문장 구조 및 말하기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인 이미지 연상 말하기 학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In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through the long-term memory stimulation using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nd the voice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learning server,
Is a learning step of transmitting video information or image content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 and keywor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image included in the image content and associating the object image or the video content or image content using the keyword information. Image mapping learning step;
Transmitting the audio content including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the keyword information, subtitl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or the object image, and sound information reading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A first listening learning step of listening listening step;
A second listening learning step which is a listening learning step of transmitting the video content, the image content and the audio content;
A first speech learning step of learning to speak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by providing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the caption content, the audio content, and a voice input and recognition program;
A second speech learning step of learning to speak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by providing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the audio content, and the voice input and recognition program;
The sentence is completed while providing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the subtitle content, the audio content, and the voice input and recognition program to expand a plurality of words constituting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one by one in order. A third speaking learning step which is a learning step of repeating speaking until it is made;
Provide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or the object image and the hint information, and use the hint information to allow a learner to generate one or more sentences related to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or the object image to perform sentence structure and speaking learning. A method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through stimulation of long-term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mage associative speech learning step of performing a step.
상기 키워드 정보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또는 상기 객체 이미지의 이름, 행동, 모양 및 색깔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의미를 갖는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어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keyword information,
And a phrase including one or more words having meanings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video content and the image content or the name, behavior, shape, and color of the object image.
상기 힌트 정보는,
소정의 의미를 갖는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어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int information,
A method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through long-term memory sti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hrase includes one or more words having a predetermined meaning.
상기 이미지 매핑 학습 단계 후, 상기 키워드를 기억하도록 반복하여 학습하도록 하는 키워드 학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keyword learning step of repeatedly learning to store the keyword after the image mapping learning step.
상기 제2 말하기 학습 단계 후, 상기 외국어 문장 정보에 대한 학습자의 암기 여부를 테스트하는 중간 테스트 단계를 더 포함하며, 학습을 진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순차적으로 강제학습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econd speech learning step, furth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test step of testing whether the learner memorizes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long-term memory sti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ced learning proceeds sequentially in the process of learning To learn foreign languages.
상기 제3 말하기 학습 단계 후, 상기 동영상 콘텐츠 혹은 이미지 콘텐츠 및 상기 오디오 콘텐츠만을 송출하여 상기 외국어 문장 정보에 대한 발음, 억양 및 의미를 학습하도록 하는 말하기 정리 학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peech rearranging learning step of transmitting only the video content or the image content and the audio content to learn pronunciation, intonation, and meaning of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 information after the third speech learning step. How to learn a foreign language through stimulation.
상기 이미지 연상 말하기 학습 단계 후, 키워드 설명 정보 및 상기 키워드 음성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키워드에 관한 상기 객체 이미지 또는 동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를 연상하도록 하는 학습 단계인 정리 학습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설명 정보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한 문법, 의미, 동의 어구 및 예문을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음성 정보는 키워드 정보에 포함된 단어를 읽는 음성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image association speech learning step, further comprising a summary learning step of providing a keyword description information and the keyword voice information to associate the object image or video content and image content related to the keyword,
The keyword description information includes grammar, meaning, synonyms and example sentences for the keyword information, and the keyword voice information is voice information for reading a word included in the keyword information. .
상기 외국어 학습 방법은,
목질계 퍼즐 및 콘텐츠 재생 및 음성 정보 입력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티브이(TV) 및 이동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A method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through long-term memory stimulation, comprising using a wood-based puzzle and a device including a personal computer, a portable computer, a TV, 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reproducing content and inputting voice informatio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8637A KR101182675B1 (en) | 2010-12-15 | 2010-12-15 | Method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by stimulating long-term memory |
JP2010293260A JP2012128378A (en) | 2010-12-15 | 2010-12-28 |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based on stimulation of long-term memory |
US12/979,574 US20120156659A1 (en) | 2010-12-15 | 2010-12-28 |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based on stimulation of long-term memo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8637A KR101182675B1 (en) | 2010-12-15 | 2010-12-15 | Method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by stimulating long-term memor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5574A true KR20120075574A (en) | 2012-07-09 |
KR101182675B1 KR101182675B1 (en) | 2012-09-17 |
Family
ID=4623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8637A KR101182675B1 (en) | 2010-12-15 | 2010-12-15 | Method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by stimulating long-term memory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156659A1 (en) |
JP (1) | JP2012128378A (en) |
KR (1) | KR101182675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7937B1 (en) * | 2013-03-06 | 2014-12-02 | 최정완 |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a natural science using part images |
KR20150082961A (en) * | 2014-01-08 | 2015-07-16 | 김성은 | Method for Learning Vocabulary using Animated Contents and System of That |
KR20150123619A (en) * | 2014-04-25 | 2015-11-04 | 최파비아 | English studying material |
KR20160137269A (en) * | 2015-05-22 | 2016-11-30 | 주식회사 와이젠스쿨 | English education system that parents could participate evalua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344462A1 (en) * | 2011-09-29 | 2013-12-26 | Emily K. Clarke | Methods And Devices For Edutainment Specifically Designed To Enhance Math Science And Technology Literacy For Girls Through Gender-Specific Design, Subject Integration And Multiple Learning Modalities |
US9547917B2 (en) * | 2013-03-14 | 2017-01-17 | Paypay, Inc. | Using augmented reality to determine information |
US10283013B2 (en) | 2013-05-13 | 2019-05-07 | Mango IP Holdings, LLC |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learning through film |
KR101609910B1 (en) * | 2013-08-09 | 2016-04-06 | (주)엔엑스씨 |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learing service |
WO2017014710A1 (en) | 2015-07-20 | 2017-01-26 | Urum Vitalii Anatoliiovych | Method for teaching grammar using facilitation of memorising process |
CN108024753B (en) * | 2015-10-27 | 2021-08-13 | 赫尔实验室有限公司 | Program memory enhancement system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
US10503738B2 (en) * | 2016-03-18 | 2019-12-10 | Adobe Inc. | Generating recommendations for media assets to be displayed with related text content |
WO2019070982A1 (en) * | 2017-10-05 | 2019-04-11 | Fluent Forever, Inc. | Language fluency system |
CN108921741A (en) * | 2018-04-27 | 2018-11-30 | 广东机电职业技术学院 | A kind of internet+foreign language expansion learning method |
CN109147422B (en) * | 2018-09-03 | 2022-03-08 | 北京美智达教育咨询有限公司 | English learning system and comprehensive learning method thereof |
US20220028299A1 (en) * | 2019-11-27 | 2022-01-27 | Mariano Garcia, III | Educational Puzzle Generation Software |
US11756443B2 (en) * | 2020-04-28 | 2023-09-12 | Hitachi, Ltd. | Learning support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10599A (en) * | 1994-01-26 | 1998-09-22 | E-Systems, Inc. | Interactive audio-visual foreign language skills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 |
US5810598A (en) * | 1994-10-21 | 1998-09-22 | Wakamoto; Carl Isamu | Video learning system and method |
US5697789A (en) * | 1994-11-22 | 1997-12-16 | Softrade International, Inc. | Method and system for aiding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
US6685477B1 (en) * | 2000-09-28 | 2004-02-03 | Eta/Cuisenaire, A Division Of A. Daigger &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and learning reading |
US20040152055A1 (en) * | 2003-01-30 | 2004-08-05 | Gliessner Michael J.G. | Video based language learning system |
US20040248068A1 (en) * | 2003-06-05 | 2004-12-09 | Leon Davidovich | Audio-visual method of teaching a foreign language |
US7524191B2 (en) * | 2003-09-02 | 2009-04-28 | Rosetta Stone Ltd. |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instruction |
WO2005115559A2 (en) * | 2004-05-17 | 2005-12-08 | Aurilab, Llc. | Interactiv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
US20080286730A1 (en) * | 2005-11-17 | 2008-11-20 | Romero Jr Raul Vega | Immersive Imaging System, Environment and Method for Le |
US7869988B2 (en) * | 2006-11-03 | 2011-01-11 | K12 Inc. | Group foreign language teaching system and method |
KR100920244B1 (en) | 2007-04-12 | 2009-10-05 | 김규호 | Foreign Language Learning Materials |
JP4946874B2 (en) * | 2008-01-09 | 2012-06-06 | ソニー株式会社 | Playback apparatus and playback method |
US20100009321A1 (en) * | 2008-07-11 | 2010-01-14 | Ravi Purushotma | Language learning assistant |
-
2010
- 2010-12-15 KR KR1020100128637A patent/KR101182675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0-12-28 JP JP2010293260A patent/JP2012128378A/en not_active Withdrawn
- 2010-12-28 US US12/979,574 patent/US20120156659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7937B1 (en) * | 2013-03-06 | 2014-12-02 | 최정완 |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a natural science using part images |
KR20150082961A (en) * | 2014-01-08 | 2015-07-16 | 김성은 | Method for Learning Vocabulary using Animated Contents and System of That |
KR20150123619A (en) * | 2014-04-25 | 2015-11-04 | 최파비아 | English studying material |
KR20160137269A (en) * | 2015-05-22 | 2016-11-30 | 주식회사 와이젠스쿨 | English education system that parents could participate evalu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2128378A (en) | 2012-07-05 |
US20120156659A1 (en) | 2012-06-21 |
KR101182675B1 (en) | 2012-09-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2675B1 (en) | Method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by stimulating long-term memory | |
Nasution | YouTube as a media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ELT) context: Teaching procedure text | |
Hibatullah | The challenges of international EFL students to learn English in a non-English speaking country | |
Khan | Using films in the ESL classroom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of non-native learners | |
Siegel et al. | Getting to the bottom of L2 listening instruction: Making a case for bottom-up activities | |
US20130295535A1 (en) |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for multi-sensory learning | |
KR101822026B1 (en) | Language Study System Based on Character Avatar | |
KR20150126176A (en) | A word study system using infinity mnemotechniques and method of the same | |
KR20130015411A (en) | English learning system and method by self-directed leading | |
JP6656529B2 (en) |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training system | |
KR20130107592A (en) | Foreign language study material and apparatus using character and image | |
Ajeng |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by Indonesian EFL learners: A case study of gender role | |
US20140120502A1 (en) | Language learning using electronic book | |
Lestari | The use of Cake English application in EFL speaking skill | |
KR101681673B1 (en) | English train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sound classification in internet | |
Yeh et al. | Android app development for teaching reduced forms of EFL listening comprehension to decrease cognitive load | |
KR2014007599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language education by using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data and thought unit | |
KR2014010706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word by using native speakerpronunciation data and image data | |
KR2014002852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word by using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data and syllable of a word | |
KR20140104850A (en) | 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of local language through compulsory repeat playing of local language and mark of speaker's language | |
CN112863267B (en) | An English man-machine dialogue system and learning method | |
KR20140073768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language education using meaning unit and pronunciation data of native speakers | |
Farani | The proposed culturally rich instructional materials of integrated oral course for the fifth semester students of D3 English program at University of Merdeka Malang | |
Pereira et al. | Innovative Second Language Speaking Practice with Interactive Videos in a Rich Internet Application Environment. | |
Sumalinog | Comprehension in the second language: How do students lear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