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850A - 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of local language through compulsory repeat playing of local language and mark of speaker's language - Google Patents

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of local language through compulsory repeat playing of local language and mark of speaker's langu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850A
KR20140104850A KR1020130018855A KR20130018855A KR20140104850A KR 20140104850 A KR20140104850 A KR 20140104850A KR 1020130018855 A KR1020130018855 A KR 1020130018855A KR 20130018855 A KR20130018855 A KR 20130018855A KR 20140104850 A KR20140104850 A KR 20140104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local
speaker
learning
local langu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만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템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템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템포스
Priority to KR102013001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4850A/en
Publication of KR20140104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8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 방법은, 재생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현지의 네이티브 영상과 이미지, 음성을 강제적으로 학습자에게 N회수만큼 반복 재생시켜 장기 기억에 오래 기억되어 빠른 시간내에 발화할 수 있도록 현지어 콘텐츠를 N회 강제 반복 재생하는 단계,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에 화자 언어 자막 표기 후 N회 강제 반복 재생하는 단계,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속도에 일정 비율의 차등 증감 변화 후 N회 강제 반복 재생하는 단계, 영상과 음성을 재생하며 동시에 화자 언어로 괄호안을 채우며 받아쓰기 하는 단계, 영상과 음성을 재생한 후 화자의 발음을 현지어 사용자와 비교 분석하여 말하기 연습하는 단계, 받아쓰기, 말하기 단계의 오류만을 재복습하여 현지어 구사능력을 향상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cal language ability enhancement learning method using the forced repetition playback and speaker language notation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local native image, image and voice to be repeatedly played back to the learner N times through the playback interface, A step of forcibly repeating playback of the local language content N times so as to be able to speak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 step of forcibly repeatedly reproducing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N times after the speaker language subtitle is written on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N repetitive steps of playing repeatedly, playing video and audio, filling in parentheses in a speaker language and dictating, playing video and audio,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onunciation of a speaker with a local language user, practicing speaking, dictation, speaking Only review errors in the steps to improve your local language skills. And a step of forming the image.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Description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방법{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OF LOCAL LANGUAGE THROUGH COMPULSORY REPEAT PLAYING OF LOCAL LANGUAGE AND MARK OF SPEAKER'S LANGUAG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local language ability through local language forced repetition playback and speaker language notation,

본 발명은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지 네이티브가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현지어를 영상과 이미지, 음성을 통하여 장기 기억에 오래 저장하고 현지에서 자연스럽게 발화할 수 있도록 보고 듣기, 보고 듣고 따라하기, 재생하며 받아쓰기, 재생 후 말하기 단계를 강제로 반복시키고 화자 언어 자막 표기로 현지어 문자를 별도로 암기하지 않아도 현지인과 단기간에 대화가 가능하도록 현지어 구사능력을 향상시키는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mproving local language ability by using a local language forced repetition playback and a speaker language notation technique. The local native language stores the local language used in real life in a long-term memory through video, image and voice, Forced listening and watching, listening, watching, playing, dictating, and playing after the repetition are repeated, and speaker language subtitle notation improves the ability of local language to communicate with local people in a short time without memorizing Learning method.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 방법의 궁극적인 목표는 여행, 유학, 거주, 업무적 필요에 의한 현지 방문시 듣기(LISTENING), 말하기(SPEAKING), 읽기(READING), 쓰기(WRITING)를 능숙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ultimate goal of learning how to improve your native language skills is to become proficient in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when traveling, studying, living, I do not know.

인간의 기억은 단기 기억(Short-Term Memory:STM)과 장기 기억(Long-Term Memory:LTM)으로 나뉘어진다. 에빙하우스(Ebbinghaus)의 망각곡선에 의하면 확률적으로 1시간 30분이 지나면 망각률이 50%를 상회한다고 한다. 그리고, 반복하면 반복 할수록 망각률은 그에 비례하여 줄어들게 된다. 일단, 장기 기억에 저장된 정보라 하더라도 얼마나 빨리 꺼낼 수 있느냐의 문제는 뇌세포를 연결하는 시냅스의 연결이 얼마나 발달되어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Human memory is divided into short-term memory (STM) and long-term memory (LTM). According to the oblivion curve of Ebbinghaus, it is said that the oblivion rate exceeds 50% after 1 hour and 30 minutes. And as you repeat, the forgetting rate decreases proportionally. First, the question of how quickly information can be retrieved from long-term memory depends on how well synapses connect brain cells.

장기 기억(LTM)에 저장될 당시의 감정, 경험 등이 직접 몸이나 행동으로 동반되어야 시냅스 연결이 발달하고 그 발달해진 시냅스 수에 비례하여 빨리 기억할 수 있게 된다. 즉, 현지어가 빨리 발화되기 위해서는 몸으로 익히고 감정이 동반된 기억이 축적되어야 장기 기억에 오래 남아 빨리 꺼낼 수 있게 된다. The emotions and experiences of the time saved in long term memory (LTM) should be accompanied by body or action, so that the synaptic connection develops and can be memoriz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ynapses that have developed. In other words, in order for local language to be spoken quickly,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memories accompanied by emotions and body, so that it can be taken out for a long time in the long-term memory.

현지어 학습에 있어서도 장기간에 걸친 문자 학습과 읽는 요령, 문장을 암기해도 현지에 바로 적응하지 못하고 머릿속에서만 단어 또는 문장이 맴돌아 정작 입으로 발화하지 못하는 현실은 가장 큰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학습자가 겪어 보지 못한 상황을 가상한 교재를 보고 학습하거나 단순 암기만을 반복하여 실질적인 현지어 의사소통 능력과는 거리가 먼 학습이 일반화되어 있는 현실이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In local language learning, long-term learning of characters, reading tips, and even memorizing sentences are the biggest problems that can not be immediately addressed, and the words or sentences can not be spoken only in the head. It is a problem that the learning which is far from the actual local language communication ability is generalized by seeing or learning the textbook which simulates a situation that the learners have not experienced before or simply memorizing it repeatedly.

단순히 가상 현실을 이용한 학습은 학습자 본인이 경험하지 못한 비현실적인 내용으로 아무리 암기하고 학습하여도 실제 상황에서는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학습자는 좌절감과 동기부여를 지속하지 못하고 포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Learning by using virtual reality is unrealistic contents that the learner has not experienced in himself. However, even if he / she learns to memorize it, it is rarely used in actual situations and most of the learner gives up without frustration and motivation.

이렇게 상황을 설정한 일방적이고 비현실적인 고전적 영어 교육에 관한 학습 방법은 단순히 학습자가 현지어를 억지로 암기하거나 암기된 내용을 더듬거리며 말하거나 말하지 못하고 망설이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 단기간에 현지어에 적응하여 현지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바 투입된 시간에 비례하여 허비되는 시간을 줄이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현지어 학습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The unilateral and unrealistic way of learning about the classical English education which set the situation like this simply hesitates the learner without forcibly memorizing the local language or stuttering or memorizing the memorized contents.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and adapt to the local language in a short time and to be able to speak the local language, there is a need for a local language learning method to reduce the time spent in proportion to the input time and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본 발명은 실생활과 거리가 먼 가상현실의 내용을 단순암기하고 반복하는 기존 학습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지어를 화자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만 알면 단기간에 습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learning method which memorizes and repeats the contents of the virtual reality distant from the real lif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acquiring the local language in a short time if only the language used by the speaker in everyday life is known have.

즉, 장기 기억(LTM)에 쉽게 저장하고 현지에서 바로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감정, 경험 등이 행동으로 동반된 실제 현지의 영상과 이미지, 음성을 강제 반복 재생시키고 현지어를 몰라도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해, 현지어 구사능력을 단기간에 향상시키는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주요 목적이 있다. In other words, it can be easily stored in long term memory (LTM) and can be used out of the field, so that it can reproduce actual local images, images and voices accompanied by actions such as feelings and experiences, There is a main purpose in providing a learning method to improve local language ability in a short time.

또한, 본 발명은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속도에 일정 비율의 차등 증감 변화를 주어 재미있고 쉽게 장기 기억에 오래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화자 언어로 표기된 문장을 N회수만큼 강제로 반복 재생시켜 기억에서 빨리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rtain rate of change in the rate of change in the playback speed of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so that it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in a funny and easy manner, and the sentence written in the speaker language is repeatedly forcibly repeated N times So that it can be used out.

그리고, 본 발명은 받아쓰기(DICTATION) 단계에서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화자 언어 표기로 공란을 입력하게 하여 현지어를 전혀 몰라도 바로 학습할 수 있게 하고 현지어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없어지게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input a blank space in the speaker language representation during playback of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in the DICTATION step, so that the user can learn the local language without knowing the local language at all and eliminate the vague fear of the local language.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를 들려준 후 화자의 발음을 녹음하게 하여 현지어 사용자의 발음과 비교 분석한 후 주파수 파형으로 보여주어 발음을 교정하고 현지어 구사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Finally,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and analyzes the pronunciation of a native speaker after hearing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and then displays it in a frequency waveform to correct the pronunciation and to improve the local language ability will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 방법은, 현지어를 사용하는 실제 상황을 촬영한 영상, 이미지, 음성을 동영상 재생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강제적으로 학습자에게 N회수만큼 반복 재생시켜 장기 기억에 오래 기억되어 빠른 시간 내에 발화할 수 있도록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를 N회 강제 반복 재생하는 단계,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에 화자 언어 자막 표기 후 N회 강제 반복 재생하는 단계,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속도에 일정 비율의 차등 증감 변화 후 N회 강제 반복 재생하는 단계,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며 동시에 화자 언어로 괄호안을 채우며 받아쓰기 하게하고, 틀린 경우에는 학습자에게 다시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한 후 마이크를 통해 화자의 발음을 녹음하여 현지어 사용자와 비교 분석하여 발음을 교정하는 단계, 받아쓰기, 말하기 단계의 오류만을 재복습하여 현지어 구사능력을 향상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local language ability enhancement learning method using a local language forced repetition playback and a speaker notation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d forcibly repeatedly reproducing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N times so that the learner can be repeatedly played back N times for a long time so as to be able to speak in a short time, A step of forcibly repeating playback after a change in the rate of change of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at a certain rate relative to the playback speed of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playing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and simultaneously filling in parentheses in the speaker language and writing it back to the learner; A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Record pronunciation by the speaker's microphone, and then play through a localized user as compared to the step of correcting the pronunciation, dictation, only to re-review the error of speaking stage, wherein the stage is configured to enhance the ability to speak the local language.

각 단계는 콘텐츠 서버 혹은 저장장치, 동영상 음성 기록 장치를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구현기기의 동영상 재생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되고,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는, 현지어를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환경에서 가상이 아닌 실제 상황을 촬영, 녹음하고 학습자가 유사한 상황에서 바로 응용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ach step is implemented through a video playback interface of the implemented device connected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through a content server or a storage device and a moving picture voice recording device.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is stored in a real- So that the learner can immediately apply the application in a similar situation.

N회 강제 반복 재생 단계는 학습자에게 강제적으로 N회수만큼 반복 재생시켜 장기 기억에 오래 기억되어 빠른 시간내에 발화할 수 있도록 동영상 재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N-th forced repetitive playback step provides a moving picture playback interface so that the learner can be repeatedly played back N times for a long time to be stored in the long-term memory and to speak quickly.

화자 언어 표기 기법 단계는 화자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발음기호로 표기하는 기법으로 현지어의 언어 구조 및 자음, 모음을 별도로 학습하지 않아도 들리는 소리를 화자의 언어로 표기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peaker language notation technique is a technique of expressing a language used by a speaker in everyday life as a pronunciation symbol,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of the speaker is expressed in the speaker's language without learning the language structure,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local language separately.

재생 속도 조절 단계는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속도에 일정 비율의 차등 증감 변화를 주어 화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집중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production speed control step is characterized by giving a change in the differential increase / decrease ratio of a certain rate to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s, thereby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speaker and inducing convergence.

화자 언어 표기 기법 받아쓰기(Dictation) 단계는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며 동시에 빈 공간을 채우게 하고, 공란을 화자 언어로 표기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peaker Language Representation Technique The dictation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is reproduced and at the same time the empty space is filled and the blank space is written in the speaker language.

말하기(Speaking) 단계는, 화자의 발음을 녹음하여 현지어 사용자의 발음과 비교 분석한 후 주파수 파형으로 보여주어 발음 교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peaking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nunciation of the speaker is recorded and compared with the pronunciation of the local language user and then displayed in a frequency waveform to facilitate pronunciation correction.

본 발명에 따른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 방법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local language ability enhancement learning method using the forced language repetition playback and the speaker language notation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가상이 아닌 실제 현지에서 사용하는 현지어를 보고 듣기, 보고 듣고 따라하기, 받아쓰기, 말하기 과정을 통해 단순히 암기하는 학습이 아니라 현지의 감정, 경험 등이 행동으로 동반된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를 직접 몸이나 행동으로 익히게 하여 장기 기억에 쉽게 저장되고 빠른 시간내에 꺼내 사용할 수 있게 하고,1) It is not a learning to simply memorize through listening, watching, listening, following, dictating and speaking process of local language which is not virtual but actual local language. By learning to act, it is easy to store in long term memory,

2) N회 강제 반복 재생으로 학습자가 임으로 재생 회수를 조절하지 못하게 하여 학습의 간섭을 줄이고, 주의 집중 상태에서 반복을 통해 단기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를 자극하여 장기 기억에 쉽게 저장되게 하고, 2) N times forcible repetition play prevents the learner from regulating the number of regeneration, thereby reducing the interference of learning, stimulating the hippocampus responsible for short-term memory through repetition in the attention-focused state,

3) 현지어를 화자 중심 언어로 표기하게 하여 현지어 발음기호 및 철자를 익히지 않아도 부담없이 현지어를 익히고 동기부여를 지속시켜 훈련을 끝까지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3) By letting the local language be expressed in the speaker-oriented language, it is possible to learn the local language without needing to learn spoken language pronunciation and spelling, to continue motivation and to end the training,

4)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속도에 일정 비율의 차등 증감 변화를 주어 주의력을 환기시키고 집중력을 유도하여 뇌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현지어 구사능력이 향상되는 학습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4) It not only provides the learning effect that the local language ability is improved in the state where the brain is activated by inducing the change of the differential rate of change in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5)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며 받아쓰기, 말하기 연습을 통해 현지어 구사력을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5) It provides the effect to actively and systematically improve the local language ability through playing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s and practicing dictation and speaking.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의 플로우차트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지어 사용자와 실제상황의 현지어 구현 도시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자 언어 표기기법이 구현되는 구성관계 도시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의 재생속도 조절 및 N회 강제반복 도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자 언어 표기로 입력한 받아쓰기 단계 구현 예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현지어 사용자와 화자의 녹음 주파수를 비교 분석하는 말하기 단계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지어 구사 능력 향상 시스템의 구조 도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콘텐츠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FIG. 1 is a flow chart of a local language repelling and local language skill enhancement using a speaker language notation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ocal languag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ocal language implementation city
Figure 3 i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relationship where a speaker language notation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egeneration speed of a content and a forced repetition of N tim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ctation step input with a speaker language no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peaking step of comparing and analyzing recording frequencies of a local language user and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tructural example of a local language ability enhanc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content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 a local language mandatory repetition playback and a local language ability enhancement technique using a speaker language notation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말하는 화자 언어는 한국어를 포함한 학습자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말하며 현지어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 스페인어를 포함한 화자 언어 이외의 모든 언어를 통틀어 적용함은 당연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speaker languag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language used by a learner in daily life including Korean, and the native language is applied to all languages other than the speaker language including English, Japanese, Chinese, French, and Spanish. Of cour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FIG. 1 is a flow chart for improving local language ability through local language forced repetition playback and speaker language no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본 S1 단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제 반복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 방법의 첫 번째 학습 단계로, 현지어 사용자의 동영상과 음성을 N회만큼 강제로 반복 재생시켜 학습자에게 자연스럽게 인지시키는 단계이다. Referring to FIG. 1, step S1 is a first learning step of a local language ability enhancement learning method using a forced repetition and speaker language notation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eatedly reproduces and recognizes the learner naturally.

현지어 사용자의 가상이 아닌 실제 상황의 동영상 및 음성을 N회만큼 강제 반복 재생시키는 S1 단계는, 현지어를 사용하는 환경을 직접 방문하여 촬영, 녹음한 동영상 및 이미지, 음성 콘텐츠를 학습자에게 N회만큼 강제로 반복 재생시켜 학습자가 재미있게 보고, 듣고, 따라하며 장기 기억에 쉽게 저장되도록 하는 학습 단계이다. The S1 step of forcibly repeatedly reproducing the video and voice in the actual situation other than the virtual reality of the local language user N times is performed by directly visiting the environment using the local language, It is a learning phase in which a learner can enjoy watching, listening, and follow-up easily and storing it in long-term memory.

현지어 콘텐츠의 강제 반복 재생 단계 S1은, 기억의 메커니즘을 극대화한 학습 방법으로, 대체로 두뇌의 하루 동안의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Hippocampus)에 높은 빈도의 강한 반복 자극을 가하여 장기 기억에 쉽게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장기기억에 쉽게 저장되기 위해서는 가상이 아닌 실제 상황의 감정, 경험이 동반된 현지어를 행동과 몸으로 부딪히며 익히는 학습 환경이 가장 쉽고 재미있게 장기 기억에 저장되고 빠른 시간 내에 바로 꺼내 실생활에서 응용할 수 있다. The forced repetitive playback step S1 of the local language content is a learning method that maximizes the mechanism of memory and can be easily stored in the long term memory by applying a high frequency strong repetition stimulus to the hippocampus, . In order to be easily stored in long-term memory, the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the native language is accompanied by the behavior and body with the emotion and experience of the actual situation, not the virtual, is easiest and fun to be stored in the long-term memory.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단계(S1)가 완료되면 동영상 및 이미지, 음성 콘텐츠에 화자 언어로 자막을 표기한다. 화자 언어 자막 표기 요령은 화자 언어의 자음, 모음 표기로 현지어를 들리는 그대로 화자 언어로 표기 후 N회 강제 반복 재생(S2)하여 보고 듣게 한다. When the local language forced repetitive playback step (S1) is completed, subtitles are displayed in the speaker language in the moving image, the image, and the audio content. The speaker language subtitle notation is expressed as a speaker language in the speaker language as it is heard as the consonant and the vowel mark of the speaker language, and is forced to be repeatedly reproduced (S2) N times.

화자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화자 언어 표기(S2)는 영어, 일본어를 포함한 모든 현지어의 철자 및 자음, 모음 구조를 익히지 않아도 바로 보고, 듣고, 쓰고, 학습할 수 있다. Speaker language notation (S2) used by the speaker in daily life can be seen, listened to, written and learned without learning the spelling, consonant and vowel structure of all local languages including English and Japanese.

화자언어로 표기된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를 N회 강제 반복시키는 학습은 장기 기억에 쉽게 저장될 수 있는 적정 횟수를 강제로 반복 재생시키게 된다. 기본 반복 횟수는 5회로 하고 내용과 난이도에 따라 증감하여 학습자에게 보여준다. Learning which forcibly repeats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written in the speaker language N times is forced to repeatedly reproduce an appropriate number of times that can be easily stored in the long term memory. The basic repetition frequency is 5, and it is shown to the learners according to contents and difficulty.

현지어를 장기 기억에 쉽게 저장시키기 위해서는 반복을 통해 귀로 듣고 입으로 말하면서 계속적인 반복 학습이 필요하다. 학습자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뇌의 언어이해를 담당하는 베르니케 중추와 발음을 관장하는 운동성 영역인 브로커 중추를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숙달시키게 되고, 현지의 상황과 함께 기억되어 장기 기억에 오래 저장되고 빨리 꺼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save the local language easily in long-term memory, it is necessary to repeat it repeatedly while listening to it through ear and talking with mouth. Through a series of courses, learners are able to effectively stimulate and master the broker center, which is the area of mobility that governs the brain's language understanding and pronunciation, and is stored with long-term memory for long-term memory. .

화자 언어 자막 표기 및 N회 강제 반복 재생 단계(S2)가 완료되면, S2 단계에서 제공되는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속도에 일정 비율의 차등 증감 변화를 주어 N회 강제 반복재생(S3)시킨다. When the speaker language subtitle notation and the N times forcible repeated reproduction step (S2) are completed,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local language moving picture contents provided in the step S2 is given a differential increase / decrease change of a certain ratio to perform forced repetitive reproduction (S3) N times.

재생 속도에 일정 비율의 차등 증감 변화를 주는 이유는 콘텐츠 재생 속도가 빨라지고 음성이 빨라지면 뇌는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고 평소보다 빠른 소리는 정상적인 뇌 처리속도로는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그동안 사용한 적이 없던 뇌 영역까지 전반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뇌세포를 연결하는 시냅스 숫자가 늘어나게 되고 발달하게 되기 때문이다. The reason for giving a certain rate of change in the rate of change in reproduction speed is that the speed of content reproduction is faster and the voice is faster, the brain is sensitive to the stimulation and the sound faster than usual can not be processed at the normal brain processing speed. This is because the synapses connecting the brain cells are increased and developed.

한번 발달한 시냅스 연결은 뇌의 가소성(brain plasticity)에 의해 변형된 상태가 일정시간 지속되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지 않고 발달한 상태로 영구히 남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콘텐츠 재생 속도를 빨리하거나 감소시켜 뇌세포의 시냅스 연결을 발달시키면 장기 기억 발달과 기억된 내용을 빨리 꺼내 쓸 수 있게 된다. Once developed, synaptic connections are permanently remained in a developed state without being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when the deformed state of the brain plasticity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this reason, by speeding up or slowing the speed of content reproduction, developing synaptic connections of brain cells enables long-term memory development and memorized content to be quickly retrieved.

S4는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며 동시에 화자 언어로 표기된 완성된 문장의 괄호안을 화자 언어로 받아쓰기하는 단계로 현지어를 몰라도 화자 언어의 자음, 모음만으로 받아쓰기하여 듣기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S4 is a step of reproducing the localized video content and simultaneously writing the parentheses of the completed sentence written in the speaker language into the speaker language, so that the user can practice listening by using only the consonant and vowel of the speaker language without knowing the local language.

괄호안을 채우는 화자 언어 표기는 화자가 듣는 그대로를 화자 언어로 입력하기 때문에 별도의 현지어 학습이나 낯선 현지어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재미있게 현지어 구사능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Since the speaker language notation filling the parentheses inputs the speaker language as it is heard, it improves the local language ability in a fun way without having to learn any local language or stress on a foreign language.

S5 단계는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한 후 화자의 발음을 녹음하여 비교 분석한 후 현지어 사용자의 주파수 파형과 화자의 상위점을 보여주는 단계이다. 화자의 발음 주파수 파형과 현지어 사용자의 발음 주파수 파형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 후 그래프로 보여주어 자연스럽게 발음을 교정하고 현지인에 근접한 발음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Step S5 is a step of recording the pronunciation of the speaker after reproducing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s,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onunciation, and then showing the frequency waveform of the local language user and the speaker's superior point. It analyzes and compar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nunciation frequency waveform of the speaker and the pronunciation frequency waveform of the local language user, and displays it graphically so that the pronunciation can be corrected naturally and the pronunciation can be practiced close to the locals.

현지어를 사용하는 현지인의 발음을 듣고 반복적으로 녹음하여 화자의 발음을 교정하는 말하기 연습은 실제 상황에서 즉시성이 있어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Speaking practice of correcting the pronunciation of the speaker by listening to the pronunciation of the locals who use the local language and repeatedly recording it is immediately available in real situations.

S6는 받아쓰기(S4), 말하기 단계(S5)의 1차 오류 및 건너뛰기한 부분만을 재복습하여 듣기 및 말하기를 포함한 현지어 구사 능력을 향상시키고 기억 잔존율을 높이는 최종 단계이다. S6 is the final step to improve the local language ability, including listening and speaking, and to improve the memory retention rate, by reexamining only the first error of dictation (S4), speaking step (S5)

학습자는 1차에서 틀린 내용만을 반복적으로 듣고 받아쓰기하여 들리지 않았던 현지어를 숙달시키고 발음이 부정확했던 부분만을 반복해서 말하기 연습하는 과정을 통해 효율적으로 현지어 구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learner can listen to only the wrong contents in the first place repeatedly, master the local language which is not heard by dictation, and improve the local language ability efficiently by repeating the part where pronunciation is incorrect.

도 2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 방법을 콘텐츠에 구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도 1에 대한 설명을 예로서 구현한 것이다. 따라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이하에서 생략하도록 한다.FIG. 2 to FIG. 7 show an example of implementation of a local language ability enhancement learning method using local language forced repetition playback and speaker language no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an implementation of the description of FIG. 1 by way of example. Therefore, the parts that overlap with the description of FIG. 1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도 2는 여행객이나 방문객이 본인의 목적에 맞춰 방문하는 현지의 도시 및 장소에서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실제 상황으로 공항에서 출입국 통과하기, 환전하기, 교통편 이용하기, 맛집 찾기, 주문하기 등의 실례로 현지어를 사용하는 실제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2 is an actual situation in which a visitor or a visitor visits most of the local cities and places visi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visitor. Examples of such cases include passing through the airport, exchanging money, using transportation, And an actual situation using a local language.

예를들어, 일본 여행객이 동경 신쥬쿠 거리에 있는 야키도리 골목으로 유명한 거리(210)를 방문하고자 한다면 맛집으로 들어가기 전 주변 영상과 이미지(①)를 먼저 보고 싶어 하고, 맛집에 들어가서 오갈 수 있는 실제 대화(②)를 현지어로 보고 싶어 하고, 메뉴판을 보고 주문하는 실제 현지어(③)를 보고 싶어하고, 실제 주문한 음식을 먹거나 마시며 즐기는 단계를(④) 보고 싶어하며 현지 방문지 및 현지어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For example, if a Japanese traveler wants to visit a street (210) famous for yakitori alley in Tokyo Shinjuku Street, he / she would like to see the surrounding images and images (①) before entering the restaurant, (④) who want to see the actual local language (③) who wants to see the menu (③) and eat or drink the ordered food (④) and want to see the local place and local language .

가상현실이 아닌 화자의 필요에 의한 실제 상황에 관한 동영상 및 이미지, 음성 정보는 강한 동기 유발 및 흥미를 끌어 장기 기억에 쉽게 저장되고 유사시에 바로 꺼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video, image, and voice information about the actual situation based on the speaker's needs, rather than the virtual reality, can be easily stored in the long-term memory due to strong incentive and interest, and can be taken out immediately in case of need.

예로든 일본 여행지 이외에도 미국, 중국, 유럽의 여행지 정보, 유학, 거주 목적, 업무적 필요에 의해 사전에 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장소 및 주변 상황에 관한 정보와 실제 현지인의 대화는 강한 동기부여와 기억 잔존율을 높인다. 즉, 본인의 필요에 의해 접하는 현지어와 현지 정보는 현지어를 습득하는 가장 빠른 지름길이다. In addition to Japanese and Japanese travel destinations, information on places and surrounding situations and actual local conversations are us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ravel destinations, studying abroad, residential purposes and business needs in the United States, China and Europe. Increase the residual rate. In other words, the local language and local information to meet your needs is the fastest way to learn the native language.

도 2의 (②)와 (③)에서 오가는 실제 현지어는 “이랏샤이마세!(오서오세요!)”, “난메이사마 데스까?(몇분이십니까?)”, “후따리데스.(2명입니다.)”, “고찌라에 도우조.(이쪽으로 앉으시죠.)”, “도우모.(고마워요.)”, “나마비루 후다쯔 또 야끼도리 모리아와세 오네가이 시마스!(생맥주 2잔하고 야끼도리 모듬 주세요!)” “하이 쥬우몽 모라이마시따.(네, 주문 받았습니다.)”가 될 것이다. 이러한 현지어는 교과서나 회화 교재를 통해서는 학습할 수 없는 내용들로 현지 방문시 에는 일상생활에서 매일 사용되는 현지어들이다. The actual native language that comes and goes from (②) and (③) in Figure 2 is "Irasha Mase!", "I am Meissamadescu?", "Hudalides". ("Thank you"), "Nama Birufudatsatsu Yakitori Moriah and Seinegai Shimasu!" (2 draft beers and grilled beef) Please give me assorted tortoise!) "" High joumumo moa imashita. (Yes, I have an order.) "Will be. These local languages are contents that can not be learned through textbooks or conversational textbooks. They are local languages used daily in everyday life.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단계에서 보여지는 현지어 동영상 및 이미지, 음성 콘텐츠는 현지어를 사용하는 현지를 직접 방문하여 촬영, 녹음한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매일 일어나고 있는 현지 생활을 담은 내용으로 방문자가 실제 현지를 방문한 것 같은 현장감을 느끼며 현지어를 습득하게 될 것이다. Local language video, image and voice content shown in the local language forced repetition playback stage are recorded and photographed by direct visit to the local language using local language. It is the content of local life that is happening everyday in everyday life. You will feel the sense of presence and acquire the native language.

예로든 상황 이외에도 방문지별 여행 추천 코스, 유학에 관한 대학별 소개, 이민 및 거주 목적과 같이 현지 방문 목적 별로 촬영되고 녹음된 동영상 및 음성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추가 업데이트하여 학습자는 본인이 원하는 분야의 현지어 콘텐츠를 N회 강제 반복 학습하여 장기 기억에 쉽게 저장하게 된다. In addition to the example situation, the video and audio contents recorded and recorded for the purpose of local visit, such as the travel recommendation course for each place of visit, university introduction about studying abroad, immigration and residence purpose, are continuously updated so that the learner can learn local language contents N times forcible repetition is learned and stored easily in long term memory.

도 3은 현지어 영상과 이미지, 음성 콘텐츠에 화자 언어 자막 표기를 도시한 예로서 도 2의(③)에서 예시한 실제 상황을 화자 언어 표기를 한국어로 예시한 것으로 “나마비루 후다쯔 또 야끼도리 모리아와세 오네가이 시마스.(생맥주 2잔하고 야끼도리 모듬 주세요.)”를 명시한 것이다. FIG. 3 is an example of a speaker language subtitle notation for a local language image, an image, and an audio content. The actual situation illustrated in FIG. 2 (3) is an example of a speaker language representation in Korean. Namame Birudo, Wase Onegai Shimasu (please give me two glasses of draft beer and assorted yakitori). "

화자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한국어인 경우 한국어 모음 21개와 자음 19개의 음소개수로 표기할 수 있는 조합의 수는 초성 19개(자음), 중성 21개(모음), 종성 28(받침)개로 총 11,172개의 음절 조합이 가능하다. 국체 표준인 유니코드에 기반을 둔 11,172개의 한글 표기는 발음과는 관계없이 문자로 조합 가능한 글자의 수로 영어뿐만 아니라 모든 현지어 발음을 표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If the language used by the speaker is Korean, the number of combinations that can be expressed as 21 phonetic vowels and 19 consonant phonemes is 19 consonants (consonants), 21 neutral (vowels), and 28 consonants A total of 11,172 syllable combinations are possible. 11,172 Hangul notation based on national standard Unicode has the feature that not only English but also all local language pronunciation can be expressed by the number of character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character regardless of pronunciation.

도 4는 콘텐츠 서버(410) 혹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음성 데이터, 화자 언어표기 콘텐츠의 재송 속도에 일정 비율의 증감 변화(420)를 주어 점차 빨라지거나 느리게 하여 현지어를 재미있게 끝까지 집중하며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들어, 한 사이클의 반복이 5번이라면 1번째는 정상 속도 2번째는 2.2배의 빠르기, 3번째는 2.8배속의 빠르기, 4번째는 3.3배속의 빠르기, 5번째는 다시 정상 속도의 빠르기를 들려주어 정상 속도가 느리고 정확하게 들릴 수 있도록 한다. 속도의 증감 변화는 현지어의 표준 발음 속도에 따라 달라지며 비율도 증감하여 달라진다. 4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rate of change of the image data, image data, voice data, and speaker language written contents stored in the content server 410 or storage medium, And to listen. For example, if one cycle is repeated five times, the first speed is 2.2 times faster than the second speed, the second speed is 2.8 times faster, the fourth speed is 3.3 times faster, and the fifth speed is faster than normal speed. So that normal speed can be heard slowly and accurately. The change in the speed varies depending on the standard pronunciation speed of the local language and the ratio changes.

특히, 현지어 영상 및 이미지, 음성, 화자 언어로 표기된 콘텐츠의 재생시 속도 조절은 학습자가 임으로 변경할 수 없도록 강제하여 설정된 기본 반복 횟수 5회를 의무적으로 듣게 하여 학습 효율을 극대화한다. 기본 강제 반복 횟수는 5회로 콘텐츠의 내용, 수준에 따라 반복 횟수를 달리하여 일률적인 지루함을 방지한다. 그리고, 재생 속도 조절은 영상과 음성의 정상 속도를 기준치 1로 하여 단축되는 시간만큼 전체 시간으로 나누어 증감 처리 생성한 후(440) 동영상 재생 인터페이스에 보여준다. In particular, the rate of reproduction of the content in the local language video, image, voice, and speaker language is forced to be changed so that the learner can not change it, and the basic repetition frequency is set to be mandatory five times to maximize the learning efficiency. The basic forced repetition count is 5 times. It repetitively repetitively prevents repetitive boredom according to contents and level of contents. Then, the playback speed adjustment is performed by dividing the normal speed of the video and audio by the total time by the shortened time as the reference value 1 (step 440) and displaying it on the video playback interface.

도 4의 N회 강제 반복 조절(430)은 학습자가 재생회수를 임으로 변경할 수 없도록 하여 설정한 강제 반복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5회 반복 재생 중 첫 번째 사이클(1/5)은 보고 듣기, 두 번째 사이클(2/5)은 보고 듣기, 세 번째 사이클은 보고 듣고 따라하기, 네 번째 사이클은 보고 듣고 따라하기, 다섯 번째 사이클(5/5)은 보고 듣기로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가하여 음원만을 들을 때의 지루함과 느슨함을 방지하고 끝까지 학습의 효율을 지속시키고 높일 수 있도록 한다. N times forcible repetition adjustment 430 in FIG. 4 allows the learner to change the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to be immeasurable so that the forced repetition learning is performed. The second cycle (2/5) is the view and listen, the third cycle is the seeing and listening, the fourth cycle is watching and listening, the fifth cycle (5/5) allows the learner to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by listening and listening, preventing boredom and slackness when hearing only sound sources, and continuing and enhancing the efficiency of learning to the end.

도 5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받아쓰기 단계로 화자 언어로 표기된 완성 문장의 괄호안을 학습자가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며 동시에 화자 언어로 입력하는 방식(510)으로 이루어져 있다. Referring to FIG. 5, a parenthesis of a completed sentence written in a speaker language in a dicta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ethod (510) in which a learner reproduces a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and simultaneously inputs it in a speaker language.

이 때, 각 괄호안은 화자 언어가 들어갈 단어수 만큼의 길이로 이루어져 있고, 괄호안을 채운 답이 정답이면 다음 문제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틀린 경우에는 재입력을 유도하여 반복적으로 현지어 듣기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ase, each parenthesized language is composed of words as many as the number of words to be included in the speaker language. If the answer in the parentheses is correct, the user can move to the next question. If the answer is wrong, .

특히, 도 5의 받아쓰기 단계에서는 각 괄호에 올바른 철자를 입력하면 소리와 글자색으로 정답이라는 표시를 학습자에게 알려주고, 틀린 경우에는 소리와 글자색으로 오답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in the dictation step of FIG. 5, if a correct spelling is input in each parenthesis, the learner is informed of the correct answer with the sound and the letter color, and if it is wrong, the learner can recognize that the answer is wrong with the sound and the letter color.

오답으로 판명된 현지어는 별도의 재학습을 통해 들리지 않는 현지어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도록 하고, 오답 혹은 문제를 풀지 않고 다음 단계로 넘어갈 경우 강제로 정답이 3회 반복 재생되도록 하고 오류로 처리하여 재학습을 유도한다. If the local language is found to be incorrect, the adaptation ability of the local language that can not be heard through the extra re-learning is increased. If the user goes to the next stage without correcting the wrong answer or problem,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자의 발음을 현지어 사용자의 발음과 비교 분석하는 단계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tep of comparing and analyzing a pronunciation of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pronunciation of a local language user.

본 발명에 따른 말하기 단계에서 발음 비교단계는 학습자의 PC 또는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외부 연결 가능한 마이크의 녹음을 통하여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된 후 화자의 발음을 비교 분석하는 단계로, 현지어 사용자의 동영상 콘텐츠 재생이 끝난 후 학습자가 화자 언어로 표기된 문장을 보면서 녹음(610)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onunciation comparison step in the speak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onunciation of the speaker after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is reproduced through the recording of a microphone built in or connected to the PC or the terminal of the learner, After this, the learner is able to record (610) while watching the sentence written in the speaker language.

특히, 도 6을 보면, 화자 언어로 표기된 ‘나마비루 후다츠 또 야끼도리 모리아와세 오네가이 시마스.(생맥주 2잔하고 야끼도리 모듬 주세요.)’를 학습자가 따라하면 현지어 발음(620)과 화자 발음(630)을 비교 분석하여 주파수 파형으로 보여준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6, when a learner follows 'Namabiru Fudatsu Zaku Dori Moriah and Seinegai Shimasu (Give me a draft beer and two assorted yaki dori)' written in a speaker language, local language pronunciation (620) (630) are compared and analyzed by frequency waveform.

주파수 파형은 현지어 발음을 100으로 하고 화자 발음의 주파수 파형 중 최고점과 최저점, 파형의 길이를 비교 분석하여 상위점을 보여준다. 이를 통하여 본인의 발음을 현지인과 유사하게 교정함과 동시에 말하는 연습을 평상시에 반복하여 실제 상황에서 자신감 있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requency waveform shows the upper poin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eak, the lowest point, and the waveform length of the frequency waveform of the phonetic pronunciation with the local language pronunciation as 100. This allows you to correct your pronunciation similar to that of a native speaker and to repeat the practice of speaking in everyday situations so that you can confidently respond in real situations.

특히, 도 6을 보면, 현지인과 60%이상 유사한 발음 주파수 파형을 보이면 소리와 글자색으로 합격이라는 표시를 학습자에게 알려주고, 60% 이하인 경우에는 소리와 글자색으로 재녹음을 하여 발음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6, if a waveform having a pronunciation frequency similar to 60% or more of a local person is displayed, the learner is informed that the loudness and the color are acceptable. If the loudness is less than 60% .

발음 주파수 파형이 재녹음으로 판명된 화자 발음은 별도의 재학습을 통해 다시 연습하게 하여 발음의 숙련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재녹음 혹은 녹음하지 않고 다음 단계로 넘어갈 경우에는 강제로 녹음 표시를 3회 생성시키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도록 한 후 오류로 처리하여 재학습을 유도한다. The pronunciation of the speaker whose pronunciation frequency has been confirmed to be re-recorded will be re-learned through another re-learning to increase the proficiency of pronunciation. If the user does not re-record or record, And then proceeds to the next step.

도 7은 상기도 1내지 6에서 설명한 학습과정을 구현하는 기기를 학습자가 이용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즉, 각 학습 과정에 필요한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701) 혹은 저장 장치(703)에서 송출하거나 동영상 음성 기록장치(704)의 카메라에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여,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것이다. FIG. 7 shows a device for allowing a learner to use a device that implements the learning process described in FIGS. 1 to 6. FIG. That is, the contents required for each learning process will be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server 701 or the storage device 703 or streamed in real time from the camera of the moving picture voice recording apparatus 704, thereby continuously managing the learning process of the learner.

학습자는 동영상 음성 기록장치(704)인 카메라, 콘텐츠 서버(701) 혹은 저장 장치(703)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구현기기인 전화기 혹은 스마트폰(710), 테블릿 PC(720), TV(730), 컴퓨터(740) 등을 포함하는 동영상 재생 기기에서 학습할 수 있으며, 학습 결과는 콘텐츠 서버 혹은 저장장치의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즉, 학습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학습자의 개인명세, 학습 일정, 학습 결과, 학습자 정보가 통합 관리될 것이다. The learner connects a camera, a content server 701 or a storage device 703 which is a moving picture voice recording apparatus 704 to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generates a telephone or smart phone 710, a tablet PC 720, a TV 730 And a computer 740. The learning result is stored in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of a content server or a storage device, that is, a learning management server, Learning result, learner information will be integrated management.

또한 하나의 콘텐츠로 여러 종류의 구현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콘텐츠 서버(701) 및 저장장치(703)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LMS)에 의해 서버 혹은 저장장치에서 통합적으로 관리되어 수정 및 업그레이드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될 것이다. In addition, the content server 701 and the storage device 703 are integrally managed by a content management system (LMS) in a server or a storage device so that the content server 701 and the storage device 703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implemented devices with one content, Will be managed.

도 7은 동영상, 음성 기록 장치 혹은 콘텐츠 서버(701) 혹은 저장장치(703)에 저장된 현지어 학습 콘텐츠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항목별로 예시한 일본 신쥬쿠 탐방(800), 중국 북경 탐방(820), 미국 뉴욕 탐방(830)별로 각각의 항목에 동영상 콘텐츠(811), 이미지 콘텐츠(812), 음성 콘텐츠(813), 화자 언어 표기 콘텐츠(814), 받아쓰기 콘텐츠(815), 말하기 콘텐츠(816)를 상황별, 수준별, 단계별로 저장하여 업데이트가 꾸준히 이루어지도록 관리될 것이다.7 shows a configuration of a local language learning content stored in a moving picture, voice recording device or a content server 701 or a storage device 703, and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items: Japanese Shinjuku Exploratory 800, Beijing Exploring 820, The image content 812, the audio content 813, the speaker language notation content 814, the dictation content 815 and the spoken content 816 in each item for the New York trip 830 by context , Level, step by step, so that the update will be managed in a steady manner.

상기 언급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 방법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임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local language ability enhancement learning method using the mandatory repetitive playback of the local language and the speaker language notation techniqu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of the invention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invention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해당내용이 없습니다.There is no corresponding information.

Claims (9)

콘텐츠 서버 혹은 저장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콘텐츠 구현 기기 및 입력 장치를 이용한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 방법에 있어서,
학습 내용에 관한 현지어 실제 동영상, 이미지, 음성 콘텐츠를 동영상 재생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학습자에게 강제로 복수 회수로 재생하는 듣기 학습 단계인 제1 듣기 학습 단계,
상기 제1 듣기 학습 단계의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에 화자 언어로 자막을 표기하여 동영상 재생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학습자에게 강제로 복수 회수로 재생하는 듣기 학습 단계인 제2 듣기 학습 단계,
상기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차등 증감 처리하는 조절 단계를 거친 후 동영상 재생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강제로 복수 회수로 재생하는 듣기 학습 단계인 제3 듣기 학습 단계,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의 완성 문장을 들으며 화자 언어로 괄호안을 채우며 받아쓰기 한 후 오답일 경우에는 사운드와 글자로 학습자에게 알려주어 다시 입력을 요구하는 제1 받아쓰기 학습 단계,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의 완성 문장을 듣고 난 후 마이크를 통해 화자 언어로 표기된 문장을 보면서 음성을 녹음하고 콘텐츠 서버 혹은 저장장치로 송출하는 제1 말하기 학습 단계,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의 제1 받아쓰기 학습 및 제1 말하기 학습 단계의 오류 및 건너 뛰기한 부분만을 재복습하게 하는 최종 재복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자 언어 표기를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 방법
A local language ability enhancement learning method using a local language forced repetition playback and a speaker language notation technique using a content implementing device and an input device connected to a network with a content server or a storage device,
A first listening learning step which is a listening learning step of forcibly reproducing a local language actual language video, image, and audio content about a learning content to a learner through a video playback interface,
A second listening learning step of displaying subtitles in a speaker language in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of the first learning learning step and playing back the learner in a plurality of times forcibly through a moving picture playback interface,
A third learning learning step that is a listening learning step in which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local language moving picture contents is regulated to perform a differential increase / decrease process and then forcedly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through a moving picture playback interface;
A first dictation learning step of filling the parentheses in the speaker language while listening to the completion sentence of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s, a first dictation learning step of informing the learner of sound and letters in the case of an incorrect answer after dictation,
A first speaking learning step of recording a voice while watching a sentence written in a speaker language via a microphone and transmitting the voice to a content server or a storage device after listening to the completion sentence of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And a final re-review step of re-reviewing only one part of the skip and the first dictation learning of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and the first speaking learning ste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듣기 학습 단계의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는, 가상이 아닌 현지어를 실제 사용하는 상황의 동영상, 이미지, 음성을 기록 저장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에 기록, 실시간 송출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of the first learning learning step is recorded in any one of a method of recording a moving image, an image, and a voice in a situation where a local language other than a virtual language is actually used, Learning how to improve local language skills through forced repeat play and speaker language not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듣기 학습 단계의 화자 언어 자막 표기란 말하는 화자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eaker language subtitle notation in the second listening learning stage is expressed in a language used in everyday life by the speak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듣기 학습 단계는,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가 반복 재생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동영상, 음성의 재생 속도를 강제 차등 증감 처리하여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learning learning step includes a step of adjusting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moving picture and the audio by forcibly increasing / And how to improve local language skills through speaker's language not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듣기 학습 단계의 복수 회수 강제 반복 재생은,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의 수준별, 난이도별로 학습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게 강제하여 동영상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반복 재생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times of forcible repetition playback in the first listening learning step includes a forced repetition of local language repetition playb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rner can not arbitrarily change the level of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Learning method of local language ability improvement by speaker language notation techniqu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아쓰기 학습 단계는, 화자 언어 표기로 이루어진 문장의 괄호안에 올바른 단어 철자를 입력하는 과정과 틀리게 입력할 경우 사운드와 글자색으로 오류를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ictation learning step includes a step of inputting correct word spelling in parentheses of a sentence consisting of a speaker language notation, and a step of processing an error with a sound and a character color when input is wrong To improve local language ability through forced repetition and speaker language not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말하기 학습 단계는, 현지어 구사자의 음성을 콘텐츠 서버 혹은 저장 장치로 송출하여 주파수 대역을 분석하고 송출된 데이터에서 현지어 구사자의 주파수 대역을 제외하고 화자의 음성에 대한 주파수 대역을 비교 분석하여 현지어 구사자와 화자의 주파수 대역의 상위점을 출력하여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peaking learning step comprises: analyzing a frequency band by transmitting a voice of a local learner to a content server or a storage device; extracting a local learner's frequency band from the transmitted data; And the upper point of the frequency band of the local speaker and the speaker is outputted and displayed, and the local language repetition reproduction and the learning method of the local language ability enhancement by the speaker language notation techniqu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종 재복습 단계는,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의 제1 받아쓰기 학습 단계 및 제1 말하기 학습 단계의 오류만을 재복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al re-review step further comprises re-reviewing only the errors of the first dictation learning step and the first speaking learning step of the local language video contents, Techniques to improve your native language skil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지어 구사력 향상 학습방법은, 현지어 동영상 콘텐츠 재생 및 음성 정보 입력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TV, 카메라, 캠코더(저장 기기) 및 이동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어 강제 반복 재생 및 화자 언어 표기 기법을 통한 현지어 구사능력 향상 학습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cal verbal ability enhancement learning method comprises using a device including a personal computer, a portable computer, a TV, a camera, a camcorder (storage device) And the local language forcible repetition playback and speaker language notation technique
KR1020130018855A 2013-02-21 2013-02-21 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of local language through compulsory repeat playing of local language and mark of speaker's language KR201401048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855A KR20140104850A (en) 2013-02-21 2013-02-21 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of local language through compulsory repeat playing of local language and mark of speaker's langu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855A KR20140104850A (en) 2013-02-21 2013-02-21 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of local language through compulsory repeat playing of local language and mark of speaker's langu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850A true KR20140104850A (en) 2014-08-29

Family

ID=5174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855A KR20140104850A (en) 2013-02-21 2013-02-21 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of local language through compulsory repeat playing of local language and mark of speaker's langu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485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261A1 (en) * 2018-01-12 2019-07-18 오주성 Language acquisition system
WO2025009794A1 (en) * 2023-07-03 2025-01-09 주식회사 뉴다이브 Digital treatment system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261A1 (en) * 2018-01-12 2019-07-18 오주성 Language acquisition system
CN111868804A (en) * 2018-01-12 2020-10-30 吴宙声 Language learning system
WO2025009794A1 (en) * 2023-07-03 2025-01-09 주식회사 뉴다이브 Digital treatment system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gerson-Revell Computer-assisted pronunciation training (CAPT): Current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Siegel et al. Getting to the bottom of L2 listening instruction: Making a case for bottom-up activities
McBride The effect of rate of speech and distributed practice on the development of listening comprehension
KR101182675B1 (en) Method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by stimulating long-term memory
Engwall et al. Designing the user interface of the computer-based speech training system ARTUR based on early user tests
Matsuura et al. Intelligibility and comprehensibility in English as a lingua franca: nativized English in Japanese
KR20190041105A (en)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sentence input and voice input of the learner
Domagała-Zyśk Teaching vocabulary strategies in EFL classes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students
JP6656529B2 (en)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training system
Aniuranti et al. Teaching English allomorphs through ‘ Harry Potter and the Chamber of Secret’ movie
KR20200081707A (en) A apparatus of learning feedback and making express for speaking trainee
Walker et al. Teaching English Pronunciation for a Global World
Chung Teaching pronunciation to adult learners of English
KR20140104850A (en) 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of local language through compulsory repeat playing of local language and mark of speaker's language
Ghenaati et al. The effect of exposure to TV and radio news on the improvement of Iranian EFL learners’ speaking fluency
KR101681673B1 (en) English train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sound classification in internet
KR20140004538A (en)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language service based on speaking test using speech recognition engine and subtitles's sequential abridgment
Kita et al. Cultivating critical listening: Hörspiele in the German classroom
CN112863267B (en) An English man-machine dialogue system and learning method
Sepulveda Fifty Ways to Teach Listening: Tips for ESL/EFL Teachers
JP2001337594A (en) Method for allowing learner to learn languag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Kusumah et al. The Effectiveness of Orai Application in Teaching Reading Aloud
Dolan How to Correct Fossilized Pronunciation Errors of English Language Learners
三浦隆行 et al. The Role of Contrasts in Phoneme Theory and Practices of Teaching Pronunciation
Ayzada THE MAIN DIFFICULTIES OF LEARNING LISTENING AND WAYS TO OVERCOME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