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363A -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363A
KR20120075363A KR1020110130752A KR20110130752A KR20120075363A KR 20120075363 A KR20120075363 A KR 20120075363A KR 1020110130752 A KR1020110130752 A KR 1020110130752A KR 20110130752 A KR20110130752 A KR 20110130752A KR 20120075363 A KR20120075363 A KR 20120075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external device
unit
transmission path
signal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4254B1 (ko
Inventor
카즈아키 토바
겐 이치무라
카즈요시 스즈키
히데유키 스즈키
토시히데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75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16Inter-integrated circuit (I2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전자 기기는: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을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통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제 2의 통신부와, 상기 제 1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1의 통신 상태와 상기 제 2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2의 통신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TRANSMISSION APPARATUS, AND RECEP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기기 등에 관한 것이다.
근래, CE(Consumer Electronics) 기기를 연결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가 폭넓게 이용되고 있고, 업계에서의 사실상의 표준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Specification Version 1.4, June5 2009"에는, HDMI 규격에 관한 기재가 있다.
이 HDMI 규격에서는, 3데이터 차동 라인 페어(TMDS Channel 0/1/2)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서 비디오, 오디오, 컨트롤의 각 신호의 전송을 행하고 있다. 또한, HDMI1.4에서 HEC(HDMI Ethernet Channel)가 새롭게 정의되고, 100Base-TX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이더넷」, 「Ethernet」은, 등록상표이다.
시장에서는 이미 1000Base-T(이른바, 기가비트 이더넷(GbE)) 대응 기기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고, 방 내에서의 유선 접속에서는 100Mbps를 초과한 데이터 전송이 실현되고 있다. HDMI 중의 HEC가 인터넷의 네트워크에 포함된 경우, 그 부분이 보틀넥이 되어, 네트워크 전체가 100Mbps까지의 통신으로 한정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HDMI 등의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는: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을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통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제 2의 통신부와; 상기 제 1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1의 통신 상태와 상기 제 2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2의 통신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을 공통으로 이용하는 제 1의 통신부 및 제 2의 통신부가 구비된다. 제 1의 통신부에서는, 2개의 신호 라인이 I2C(아이스퀘어씨)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되여, I2C의 쌍방향 통신이 행하여진다. 이 I2C 통신 라인은, 현행 HDMI의 DDC 라인(SDA, SCL)에 상당한다. 제 2의 통신부에서는, 2개의 신호 라인이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되어, 쌍방향 차동 통신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제 2의 통신부에서는, 시분할에 의한 쌍방향 차동 통신이 행하여진다. 이에 의해, 2개의 신호 라인을 이용한 쌍방향 차동 통신이라도 에코캔슬러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스위치부에 의해, 제 1의 통신 상태와 제 2의 통신 상태가 선택적으로 전환된다. 제 1의 통신 상태는, 제 1의 통신부를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상태, 즉 2개의 신호 라인을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상태이다. 또한, 제 2의 통신 상태는, 제 2의 통신부를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상태, 즉 2개의 신호 라인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상태이다.
제어부에 의해, 스위치부의 동작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스위치부는, 제 1의 통신부와 2개의 신호 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제 1의 트랜지스터와, 제 2의 통신부와 2개의 신호 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제 2의 트랜지스터를 갖는 구성이 된다. 그리고, 제 1의 통신 상태로 전환될 때, 제 1의 트랜지스터의 전원은 온이 되고, 제 2의 트랜지스터의 전원은 오프가 된다. 또한, 제 2의 통신 상태로 전환될 때, 제 2의 트랜지스터의 전원은 온이 되고, 제 1의 트랜지스터의 전원은 오프가 된다.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제어부는, 제 1의 통신 상태에서 제 1의 통신부에 의해 외부 기기로부터 취득되는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외부 기기가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때, 전송로를 통하여 외부 기기에 제 2의 통신 상태로의 전환 요구 정보를 송신하고,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제 2의 통신 상태로의 전환 완료 정보를 수신한 때,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제 2의 통신 상태로 전환하도록 된다. 이 경우의 전자 기기는, 통신을 행하는 한쪽의 전자 기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능력 정보의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 1의 통신 상태에서 제 1의 통신부에 의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능력 정보가 외부 기기에 송신된 후,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제 2의 통신 상태로의 전환 요구 정보를 수신한 때,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제 2의 통신 상태로 전환하도록 된다. 이 경우의 전자 기기는, 통신을 행하는 다른쪽의 전자 기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제어부는, 외부 기기 및 전송로가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제 1의 통신 상태로부터 제 2의 통신 상태로 전환하도록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외부 기기가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판독한 이 외부 기기의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하도록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제어부는, 외부 기기가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전송로를 통하여 통신을 행함으로써 판단하도록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외부 기기가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이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전송로가 갖는 정보 제공 기능을 이용하여 판단하도록 된다. 예를 들면,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전송로가 갖는 정보 제공 기능은, 이 전송로가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외부 기기에 보고하는 기능이고, 외부 기기는, 전송로부터 보고된 정보를 자신의 능력 정보에 추기(追記)하는 기능을 가지며, 제어부는, 전송로가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판독한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하도록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전송로가 갖는 정보 제공 기능은, 외부 기기로부터 판독되는 능력 정보중, 전송로가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도록 재기록하는 기능이고, 제어부는, 전송로가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판독한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하도록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전송로가 갖는 정보 제공 기능은, 이 전송로가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다는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제공하는 기능이고, 제어부는, 전송로가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전송로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다는 정보가 제공되는지의 여부에 의거하여 판단하도록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제어부는, 2개의 신호 라인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에 소정의 디지털 신호의 차동 신호를 송신하고, 전송로가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이 외부 기기로부터 보내 오는 신호에 의거하여 판단하도록 된다. 예를 들면, 외부 기기로부터 보내 오는 신호는, 외부 기기가 수신한 소정의 차동 신호에 의해 얻어진 수신 디지털 신호가 올바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가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외부 기기로부터 보내 오는 신호는, 외부 기기가 수신한 소정의 차동 신호에 의해 얻어진 수신 디지털 신호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통신부, 또는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제 2의 통신부를,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전송로를 구성하는 신호 라인의 수를 증가하는 일 없이,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신 장치는: 외부 기기에, 차동 신호에 의해, 전송로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제 1의 수로 하는 제 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상기 제 1의 수보다도 큰 제 2의 수로 하는 제 2의 동작 모드를 갖는 디지털 신호 송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 및 상기 전송로가 상기 제 2의 동작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모드 판단부와; 상기 동작 모드 판단부의 판단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을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통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제 2의 통신부와; 상기 제 1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1의 통신 상태와 상기 제 2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2의 통신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디지털 신호 송신부에 의해, 외부 기기(수신 장치)에, 차동 신호에 의해, 전송로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가 송신된다. 이 디지털 신호 송신부는, 제 1의 동작 모드 및 제 2의 동작 모드를 갖고 있고,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이용된다. 차동 신호의 채널 수는, 제 1의 동작 모드에서는 제 1의 수가 되고, 제 2의 동작 모드에서는 제 1의 수보다 큰 제 2의 수가 된다. 예를 들면, 제 1의 동작 모드는 현행 HDMI의 동작 모드로서 제 1의 수는 3이 되고, 제 2의 동작 모드는 신HDMI의 동작 모드이고 제 2의 수는 3보다 큰 6이 된다.
동작 모드 판단부에 의해, 외부 기기 및 전송로가 제 2의 동작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동작 제어부에 의해, 그 판단에 의거하여, 디지털 신호 송신부의 동작이 제어된다. 제 2의 동작 모드(신HDMI 규격)가 이용됨으로써, 높은 데이터 레이트로의 신호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부 기기, 전송로 등이 제 2의 동작 모드에 대응하지 않을 때는, 제 1의 동작 모드(현행 HDMI 규격)가 이용됨으로써, 후방 호환성이 확보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을 공통으로 이용하는 제 1의 통신부 및 제 2의 통신부가 구비된다. 제 1의 통신부에서는, 2개의 신호 라인이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되고, I2C의 쌍방향 통신이 행하여진다. 이 I2C 통신 라인은, 현행 HDMI의 DDC 라인(SDA, SCL)에 상당한다. 제 2의 통신부에서는, 2개의 신호 라인이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되어, 쌍방향 차동 통신이 행하여진다.
스위치부에 의해, 제 1의 통신 상태와 제 2의 통신 상태가 선택적으로 전환된다. 제 1의 통신 상태는, 제 1의 통신부를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상태, 즉 2개의 신호 라인을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상태이다. 또한, 제 2의 통신 상태는, 제 2의 통신부를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상태, 즉 2개의 신호 라인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상태이다.
스위치 제어부에 의해 스위치부의 동작이 제어된다.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통신부 또는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제 2의 통신부를,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로를 구성하는 신호 라인의 수를 증가하는 일 없이,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외부 기기(수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수신 장치는: 외부 기기로부터, 차동 신호에 의해, 전송로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제 1의 수로 하는 제 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상기 제 1의 수보다도 큰 제 2의 수로 하는 제 2의 동작 모드를 갖는 디지털 신호 수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 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제 2의 동작 모드의 어느 것을 선택하여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동작 모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을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통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제 2의 통신부와; 상기 제 1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1의 통신 상태와 상기 제 2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2의 통신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디지털 신호 수신부에 의해, 외부 기기(송신 장치)로부터, 차동 신호에 의해, 전송로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가 수신된다. 이 디지털 신호 수신부는, 제 1의 동작 모드 및 제 2의 동작 모드를 갖고 있고,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이용된다. 차동 신호의 채널 수는, 제 1의 동작 모드에서는 제 1의 수가 되고, 제 2의 동작 모드에서는 제 1의 수보다 큰 제 2의 수가 된다. 예를 들면, 제 1의 동작 모드는 현행 HDMI의 동작 모드로서 제 1의 수는 3이 되고, 제 2의 동작 모드는 신HDMI의 동작 모드이고 제 2의 수는 3보다 큰 6이 된다.
정보 수신부에 의해, 외부 기기로부터, 제 1의 동작 모드 및 제 2의 동작 모드의 어느 것을 선택하여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가 수신된다. 그리고, 동작 제어부에 의해,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동작 모드 정보에 의거하여, 디지털 신호 수신부의 동작이 제어된다. 이 경우, 디지털 신호 수신부의 동작 모드를, 외부 기기의 디지털 신호 송신부의 동작 모드에 맞추는 것이 용이해지고, 외부 기기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양호하게 수신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을 공통으로 이용하는 제 1의 통신부 및 제 2의 통신부가 구비된다. 제 1의 통신부에서는, 2개의 신호 라인이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되고, I2C의 쌍방향 통신이 행하여진다. 이 I2C 통신 라인은, 현행 HDMI의 DDC 라인(SDA, SCL)에 상당한다. 제 2의 통신부에서는, 2개의 신호 라인이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되어, 쌍방향 차동 통신이 행하여진다.
스위치부에 의해, 제 1의 통신 상태와 제 2의 통신 상태가 선택적으로 전환된다. 제 1의 통신 상태는, 제 1의 통신부를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상태, 즉 2개의 신호 라인을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상태이다. 또한, 제 2의 통신 상태는, 제 2의 통신부를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상태, 즉 2개의 신호 라인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상태이다.
스위치 제어부에 의해 스위치부의 동작이 제어된다.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통신부 또는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제 2의 통신부를,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로를 구성하는 신호 라인의 수를 증가하는 일 없이,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외부 기기(송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케이블은: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2개의 신호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의 신호 전송 능력을 나타내는 정보를 접속 기기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기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통신부 또는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제 2의 통신부를,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전송로를 구성하는 신호 라인의 수를 증가하는 일 없이,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서의 AV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의 A 내지 D는 소스 기기, HDMI 케이블 및 싱크 기기의 조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소스 기기의 데이터 송신부와 싱크 기기의 데이터 수신부의 구성예(현행 HDMI의 동작 모드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소스 기기의 데이터 송신부와 싱크 기기의 데이터 수신부의 구성예(신HDMI의 동작 모드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TMDS 전송 데이터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의 A 및 B는 현행 HDMI(Type A) 및 신HDMI의 핀 할당을 비교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7의 A 및 B는 현행 HDMI 및 신HDMI의 소스 기기,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핀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의 A 및 B는 현행 HDMI 케이블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신HDMI 케이블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신HDMI 케이블의 다른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소스 기기의 제어부의 동작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의 한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2의 A 내지 C는 소스 기기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 화면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소스 기기의 제어부의 동작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4는 EDID상에 새롭게 정의되는 플래그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제어부에서의 케이블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에 LSI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제어부에서의 케이블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신HDMI 케이블 내 LSI의 EDID 데이터 재기록 회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제어부에서의 케이블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에 RF 태그 칩(LSI)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제어부에서의 케이블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의 측정을 행함으로써, 케이블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의 A 및 B는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의 측정을 행함으로써, 케이블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소스 기기의 데이터 송신부와 싱크 기기의 데이터 수신부의 구성예(3채널 모드시, 쌍방향 차동 통신 기능 있음)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소스 기기의 데이터 송신부와 싱크 기기의 데이터 수신부의 구성예(6채널 모드시, 쌍방향 차동 통신 기능 있음)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의 A 및 B는 3채널 모드시 및 6채널 모드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의 핀 할당을 비교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에서의 DDC 라인(SDA, SCL)에 관계되는 부분의 상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4는 소스 기기에서의 프로토콜 스위치부의 구성예(송신만)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DDC 라인(I2C 통신 라인)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 전환하는 시퀀스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에 의한 쌍방향 차동 통신에서의, 시분할 쌍방향 통신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신HDMI 케이블(3채널 모드 및 쌍방향 차동 통신 모드에 대응)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신HDMI 케이블(6채널 모드 및 쌍방향 차동 통신 모드에 대응)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의 A 및 B는 신HDMI의 케이블 플러그, 리셉터클의 형상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0의 A 및 B는 현행 HDMI 케이블과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사시도.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의 형태」라고 한다)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설명을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실시의 형태
2. 변형예
<1.실시의 형태>
[AV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은, 실시의 형태로서의 AV(Audio and Visual) 시스템(100)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AV 시스템(100)은, 소스 기기(110)와 싱크 기기(120)가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소스 기기(110)는, 예를 들면, 게임기, 디스크 플레이어, 셋톱 박스, 디지털 카메라, 휴대 전화 등의 AV 소스이다. 싱크 기기(120)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신기, 프로젝터 등이다.
소스 기기(110) 및 싱크 기기(120)는, 케이블(2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소스 기기(110)에는, 데이터 송신부(112)가 접속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리셉터클(111)이 마련되어 있다. 싱크 기기(120)에는, 데이터 수신부(122)가 접속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리셉터클(12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200)의 일단에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202)가 마련되고, 그 타단에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202)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블(200)의 일단의 플러그(202)는 소스 기기(110)의 리셉터클(111)에 접속되고, 이 케이블(200)의 타단의 플러그(202)는 싱크 기기(120)의 리셉터클(121)에 접속되어 있다.
소스 기기(110)는, 제어부(113)를 갖고 있다. 이 제어부(113)는, 소스 기기(110)의 전체를 제어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는, 현행 HDMI 및 신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다.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또한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데이터 송신부(112)를 신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13)는, 적어도, 싱크 기기(120)가 현행 HDMI에만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또는 케이블(200)이 현행 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데이터 송신부(112)를 현행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싱크 기기(120)는, 제어부(123)를 갖고 있다. 이 제어부(123)는, 싱크 기기(120)의 전체를 제어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는, 현행 HDMI에만, 또는 현행 HDMI 및 신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다. 데이터 수신부(122)가 현행 HDMI 및 신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23)는, 이 데이터 수신부(122)를,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와 같은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123)는, 소스 기기(110)로부터 CEC 등의 라인을 통하여 보내지는 동작 모드의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데이터 수신부(122)의 동작 모드를 제어한다. 케이블(200)은, 현행 HDMI, 또는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AV 시스템(100)에서,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또한, 싱크 기기(120)가 현행 HDMI 및 신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을 때, 신HDMI로의 데이터 전송이 행하여진다. 이 때,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 및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는, 신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AV 시스템(100)에서, 도 2의 B 내지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케이블(200)이 현행 HDMI에 대응하고 있든지, 또는 싱크 기기(120)가 현행 HDMI에만 대응하고 있을 때, 현행 HDMI로의 데이터 전송이 행하여진다. 이 때,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는, 현행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현행 HDMI 및 신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는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는, 현행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도 2의 B의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낮게 하는 등으로 케이블(200)이 신HDMI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때에는, 신HDMI 모드에서의 데이터 전송이 행하여지는 일이 있다.
[데이터 송신부, 데이터 수신부의 구성예]
도 3, 도 4는, 도 1의 AV 시스템(100)에서의,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와,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데이터 송신부(112)는, 유효 화상 구간(「액티브 비디오 구간」이라고도 한다)에서, 비압축의 1화면분의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복수의 채널로,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유효 화상 구간은, 하나의 수직 동기 신호로부터 다음의 수직 동기 신호까지의 구간에서, 수평 귀선 구간 및 수직 귀선 구간을 제외한 구간이다. 또한, 데이터 송신부(112)는, 수평 귀선 구간 또는 수직 귀선 구간에서, 적어도 비디오 데이터에 부수되는 오디오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 그 밖의 보조 데이터 등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복수의 채널로,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송신한다.
데이터 수신부(122)는, 액티브 비디오 구간에서, 복수의 채널로, 데이터 송신부(122)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이 데이터 수신부(122)는, 수평 귀선 구간 또는 수직 귀선 구간에서, 복수의 채널로,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오디오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수신한다.
데이터 송신부(112)와 데이터 수신부(122)로 이루어지는 HDMI 시스템의 전송 채널에는, 이하의 것이 있다. 우선, 전송 채널로서, 차동 신호 채널(TMDS 채널, TMDS 클록 채널)이 있다.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동 신호 채널은, 현행 HDMI에서는 3채널이지만, 신HDMI에서는 6채널이다.
현행 HDMI에서의 차동 신호 채널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데이터 수신부(122)에 대해,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픽셀 클록에 동기하여,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채널로서의, 3개의 TMDS 채널(0 내지 2)이 있다. 또한, TMDS 클록을 전송하는 전송 채널로서의, TMDS 클록 채널이 있다.
데이터 송신부(112)의 HDMI 트랜스미터(81)는, 예를 들면, 비압축의 비디오 데이터를 대응하는 차동 신호로 변환하고, 3개의 TMDS 채널(0 내지 2)로, 케이블(2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한다. 또한, HDMI 트랜스미터(81)는, 비압축의 비디오 데이터에 부수되는 오디오 데이터, 필요한 제어 데이터, 그 밖의 보조 데이터 등을, 대응하는 차동 신호로 변환하고, 3개의 TMDS 채널(0 내지 2)로,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한다.
또한, HDMI 트랜스미터(81)는, 3개의 TMDS 채널(0 내지 2)로 송신하는 비디오 데이터에 동기한 TMDS 클록을, TMDS 클록 채널로, 데이터 송신부(122)에 송신한다. 여기서, 하나의 TMDS 채널(i)(i=0, 1, 또는 2)에서는, TMDS 클록의 1클록의 동안에, 10비트의 비디오 데이터가 송신된다.
데이터 수신부(122)의 HDMI 리시버(82)는, TMDS 채널(0 내지 2)로,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와, 오디오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TMDS 클록 채널로 송신되어 오는 픽셀 클록(TMDS 클록)에 동기하여 수신한다.
다음에, 신HDMI에서의 차동 신호 채널에 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데이터 수신부(122)에 대해,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픽셀 클록에 동기하여,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채널로서의, 6개의 TMDS 채널(0 내지 5)이 있다. 또한, 이 신HDMI에서는, TMDS 클록의 전송은 생략되고, 수신측에서는 수신 데이터로부터 클록을 재생하는 셀프 클록 방식이 채용된다.
데이터 송신부(112)의 HDMI 트랜스미터(81)는, 예를 들면, 비압축의 비디오 데이터를 대응하는 차동 신호로 변환하고, 6개의 TMDS 채널(0 내지 5)로, 케이블(2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한다. 또한, 이 HDMI 트랜스미터(81)는, 비압축의 비디오 데이터에 부수되는 오디오 데이터, 필요한 제어 데이터, 그 밖의 보조 데이터 등을, 대응하는 차동 신호로 변환하고, 6개의 TMDS 채널(0 내지 5)로,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한다.
데이터 수신부(122)의 HDMI 리시버(82)는, TMDS 채널(0 내지 5)로,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와, 오디오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 HDMI 리시버(82)는, 수신 데이터로부터 픽셀 클록을 재생하고, 그 픽셀 클록(TMDS 클록)에 동기하여 수신한다.
HDMI 시스템의 전송 채널에는, 상술한 TMDS 채널, TMDS 클록 채널 외에, DDC(Display Data Channel) 라인,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라인이 있다. DDC 라인은, 케이블(200)에 포함되는 도시하지 않은 2개의 신호 라인, 즉 SDA 라인 및 SCL 라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DDC 라인에서는, 2개의 신호 라인이 I2C(Inter-Integrated Circuit)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되고, I2C의 쌍방향 통신이 행하여진다. 그 때문에, 데이터 송신부(112) 및 데이터 수신부(122)의 쌍방에서, 2개의 신호 라인에 I2C 통신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 DDC 라인은, 예를 들면, 데이터 송신부(112)가, 데이터 수신부(122)로부터, E-EDID(Enhance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판독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데이터 수신부(122)는, HDMI 리시버(82) 외에, 자신의 능력(Configuration/capability)에 관한 능력 정보인 E-EDID를 기억하고 있는, EDID ROM(EEPROM)을 갖고 있다. 데이터 송신부(112)는, 예를 들면, 제어부(113)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케이블(2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부(122)로부터, E-EDID를, DDC를 통하여 판독한다.
또한, 이 DDC 라인은, 저작권 보호를 위한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시스템에서의 기기 인증 및 키 교환을 위한 정보의 교환에도 사용된다.
데이터 송신부(112)는, 판독한 E-EDID를 제어부(113)에 보낸다. 제어부(113)는, 이 E-EDID를, 도시하지 않은 플래시 ROM 또는 DRAM에 격납한다. 제어부(113)는, E-EDID에 의거하여, 데이터 수신부(122)의 능력의 설정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3)는, 데이터 수신부(122)를 갖는 싱크 기기(120)가, 현행 HDMI 외에,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 등을 인식한다. CEC 라인은, 케이블(200)에 포함되는 도시하지 않은 1개의 신호 라인으로 이루어지고, 데이터 송신부(112)와 데이터 수신부(122)의 사이에서, 제어용의 데이터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케이블(200)에는, HPD(Hot Plug Detect)라고 불리는 핀에 접속된 라인(HPD 라인)이 포함되어 있다. 소스 기기는, 이 HPD 라인을 이용하여, 싱크 기기의 접속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 HPD 라인은 쌍방향 통신로를 구성하는 HEAC- 라인으로서도 사용된다. 또한, 케이블(200)에는,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원 라인(+5V Power Line)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200)에는, 유틸리티 라인이 포함되어 있다. 이 유틸리티 라인은 쌍방향 통신로를 구성하는 HEAC+ 라인으로서도 사용된다.
도 5는, TMDS 전송 데이터의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 5는, TMDS 채널(0 내지 2), 또는 TMDS 채널(0 내지 5)에서, 가로×세로가 B픽셀×A라인의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의, 각종의 전송 데이터의 구간을 나타내고 있다. HDMI의 TMDS 채널로 전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비디오 필드(Video Field)에는, 전송 데이터의 종류에 응하여, 3종류의 구간이 존재한다. 이 3종류의 구간은, 비디오 데이터 구간(Video Data period),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Data Island period), 및 컨트롤 구간(Control period)이다.
여기서, 비디오 필드 구간은, 어느 수직 동기 신호의 상승 에지(active edge)로부터 다음의 수직 동기 신호의 상승 에지까지의 구간이다. 이 비디오 필드 구간은, 수평 블랭킹 기간(horizontal blanking), 수직 블랭킹 기간(vertical blanking), 및, 액티브 비디오 구간(ActiveVideo)으로 나눠진다. 이 액티브 비디오 구간은, 비디오 필드 구간에서, 수평 블랭킹 기간 및 수직 블랭킹 기간을 제외한 구간인 비디오 데이터 구간은, 액티브 비디오 구간에 할당된다. 이 비디오 데이터 구간에서는, 비압축의 1화면분의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B픽셀(화소)×A라인분의 유효 화소(Active pixel)의 데이터가 전송된다.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 및 컨트롤 구간은, 수평 블랭킹 기간 및 수직 블랭킹 기간에 할당된다. 이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 및 컨트롤 구간에서는, 보조 데이터(Auxiliary data)가 전송된다. 즉,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은, 수평 블랭킹 기간과 수직 블랭킹 기간의 일부분에 할당되어 있다. 이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에서는, 보조 데이터 중, 제어에 관계되지 않는 데이터인,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의 패킷 등이 전송된다. 컨트롤 구간은, 수평 블랭킹 기간과 수직 블랭킹 기간의 다른 부분에 할당되어 있다. 이 컨트롤 구간에서는, 보조 데이터 중의, 제어에 관계되는 데이터인, 예를 들면,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 제어 패킷 등이 전송된다.
여기서, 리셉터클(111)의 핀 할당을 설명한다. 최초에, 현행 HDMI의 핀 할당(타입 A)을 설명한다. 이 현행 HDMI의 핀 할당은, 제 1의 핀 할당을 구성한다. 도 6의 A는, 이 현행 HDMI의 핀 할당을 도시하고 있다. TMDS 채널(i)(i=0, 1 또는 2)의 차동 신호인 TMDS Data i+와 TMDS Data i-는, 차동 라인인 2개의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핀 번호가 7, 4, 1인 핀)은 TMDS Data i+에 할당되고, 핀(핀 번호가 9, 6, 3인 핀)은 TMDS Data i-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8, 5, 2인 핀은, TMDS Data i Shield(i=0, 1 또는 2)에 할당되어 있다.
TMDS 클록 채널의 차동 신호인 TMDS Clock+과 TMDS Clock-는 차동 라인인 2개의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0인 핀은 TMDS Clock+에 할당되고, 핀 번호가 12인 핀은 TMDS Clock-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1인 핀은, TMDS Clock Shield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제어용의 데이터인 CEC 신호는, CEC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3인 핀은, CEC 신호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E-EDID 등의 SDA(Serial Data) 신호는, SDA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6인 핀은, SDA 신호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SDA 신호의 송수신시의 동기에 이용된 클록 신호인 SCL(Serial Clock) 신호는, SCL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5인 핀은, SCL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9인 핀은, HPD/HEAC-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4인 핀은, 유틸리티/HEAC+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7인 핀은, DDC/CEC Ground/HEAC Shield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8인 핀은, 전원(+5V Power)에 할당되어 있다.
다음에, 신HDMI의 핀 할당을 설명한다. 이 신HDMI의 핀 할당은, 제 2인 핀 할당을 구성한다. 도 6의 B는, 이 신HDMI의 핀 할당을 도시하고 있다. TMDS 채널(i)(i=0 내지 5)의 차동 신호인 TMDS Data i+와 TMDS Data i-는, 차동 라인인 2개의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핀 번호가 1, 4, 7, 10, 2, 8인 핀)은 TMDS Data i+에 할당되고, 핀(핀 번호가 3, 6, 9, 12, 5, 11인 핀)은 TMDS Data i-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제어용의 데이터인 CEC 신호는, CEC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3인 핀은, CEC 신호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E-EDID 등의 SDA(Serial Data) 신호는, SDA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6인 핀은, SDA 신호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SDA 신호의 송수신시의 동기에 이용되는 클록 신호인 SCL(Serial Clock) 신호는, SCL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5인 핀은, SCL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DDC 라인은, SDA 라인 및 SCL 라인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핀 번호가 19인 핀은, HPD/HEAC-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4인 핀은, 유틸리티/HEAC+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7인 핀은, DDC/CEC Ground/HEAC Shield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8인 핀은, 전원(+5V Power)에 할당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HDMI핀 할당(도 6의 B 참조)에서는, 현행 HDMI핀 할당(도 6의 A 참조)로 실드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는 단자(핀 번호가 2, 5, 8, 11인 핀)가, 데이터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신HDMI핀 할당에서는, 현행 HDMI핀 할당에서 클록 신호의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는 단자(핀 번호가 10, 12인 핀)가, 데이터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다.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는, 현행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도 6의 A에 도시하는 현행 HDMI핀 할당을 선택하고, 신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도 6의 B에 도시하는 신HDMI핀 할당을 선택한다. 또한, 상술에서는 소스 기기(110)의 리셉터클(111)의 핀 할당을 설명하였다.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가 현행 HDMI 및 신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싱크 기기(120)의 리셉터클(121)의 핀 할당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7의 A, B는, 소스 기기(110)의 리셉터클(111)의 핀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A는 현행 HDMI의 핀 배치를 도시하고, 도 7의 B는 신HDMI의 핀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111)의 핀 할당으로서 현행 HDMI핀 할당이 선택될 때, 핀 번호가 2, 5, 8, 11인 핀은, 이하의 상태가 된다. 즉, 소스 기기(110) 및 싱크 기기(120)에서 접지 상태, 또는 싱크 기기(120)에서 접지 상태, 소스 기기(110)에서 하이 임피던스 상태, 또는 싱크 기기(120)에서 하이 임피던스 상태, 소스 기기(110)에서 접지 상태가 된다. 또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가 현행 HDMI 및 신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싱크 기기(120)의 리셉터클(121)의 핀 배치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8의 A는, 케이블(200)로서 사용되는 현행 HDMI 케이블의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현행 HDMI 케이블은, 3개의 데이터 라인 페어가 각각 특성을 얻기 위해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클록 라인 페어와, HEAC 기능을 위해 유틸리티 및 HPD의 라인 페어도,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8의 B는,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의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는, 2개의 전선(3)과, 드레인선(4)이, 실드 부재(5)로 덮여진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전선(3)은, 심선91)이 피복부(2)에 의해 덮여져서 구성되어 있다.
현행 HDMI 케이블에서는, 데이터 및 클록의 각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를 구성하는 드레인선은, 이 케이블의 단부에 마련된 플러그의 핀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드레인선은, 상술한 리셉터클(현행 HDMI의 핀 배치)의 각 실드 단자(핀 번호가 2, 5, 8, 11의 실드용 핀)에 대응하는 핀(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실드 단자는 소스 기기(110) 및 싱크 기기(120)에서 접지된다. 이에 의해, 데이터 및 클록의 각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를 구성하는 드레인선은, 플러그가 리셉터클(현행 HDMI의 핀 배치)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접지된 상태가 된다.
도 9는, 케이블(200)로서 사용되는 신HDMI 케이블의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신HDMI 케이블은, 6개의 데이터 라인 페어가 각각 특성을 얻기 위해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HEAC 기능을 위해 유틸리티 및 HPD의 라인 페어도,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신HDMI 케이블은, 현행 HDMI 케이블(도 8의 A 참조)에 비하여, 접속하여야 할 개개의 구리선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 신HDMI 케이블에서는, 케이블의 양단의 플러그의 전용 핀에 접속되어 있던 각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를 구성하는 드레인선은, 플러그의 금속제의 셸(shell)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실드용 핀이 개방되고, 플러그의 필요 핀 수의 증가가 회피되고, 신HDMI 케이블에서의 플러그는, 현행 HDMI 케이블의 플러그와 마찬가지의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를 구성하는 드레인선이 플러그의 금속제의 셸에 접속되는 것에서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리셉터클의 셸이 접지 레벨과 접속되어 있음에 의해, 차동 페어 라인의 실드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0은, 케이블(200)로서 사용되는 신HDMI 케이블의 다른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신HDMI 케이블은, 단면(斷面) 형상을 평평한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인 구조는, 상술한 도 9에 도시하는 신HDMI 케이블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와 같이 단면 형상을 평평하게 함으로써,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임피던스 정합(整合)을 취하기 쉬워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현행 HDMI와 신HDMI의 동작 모드 제어]
다음에, 소스 기기(110)의 제어부(113)의 동작 모드 제어에 관해 더욱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또한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데이터 송신부(112)를 신HDMI의 동작 모드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3)는, 그 밖의 경우, 데이터 송신부(112)를 현행 HDMI의 동작 모드로 제어한다.
도 11의 플로우 차트는, 제어부(113)의 동작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113)는, 스텝 ST1에서, 처리를 시작하고, 그 후에, 스텝 ST2의 처리로 이동한다. 이 스텝 ST2에서, 제어부(113)는, 소스 기기(110), 즉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13)는, 자신이 존재하는 소스 기기(110)(데이터 송신부(112))의 능력 정보를 미리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판단에 관해서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서, 소스 기기(110)는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제어부(113)는, 이 스텝 ST2의 판단 처리를 생략하여도 좋다.
소스 기기(11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3에서, 싱크 기기(120), 즉 데이터 수신부(113)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4의 처리로 이동한다. 이 스텝 ST4에서,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5의 처리로 이동한다. 이 스텝 ST5에서, 제어부(113)는,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스텝 ST2, 스텝 ST3, 스텝 ST4에서, 각각, 소스 기기(110), 싱크 기기(120),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6의 처리로 이동한다. 이 스텝 ST6에서, 제어부(113)는, 데이터 송신부(112)가 현행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3)는, 예를 들면, 스텝 ST3에서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 때, 최종적인 동작 모드의 판단 결과를, 케이블(200)을 통하여, 싱크 기기(120)에 송신한다. 이 판단 결과의 송신은, 예를 들면, 소스 기기(110)로부터 데이터 전송 전에 인포 프레임 등의 제어 정보로서 보내진다. 싱크 기기(120)에서는, 이 소스 기기(110)로부터의 동작 모드의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부(123)에 의해, 데이터 수신부(122)가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와 같은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제어부(113)는, 스텝 ST5에서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때, 그 취지를 나타내는 UI 화면을, 예를 들면,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여도 좋다. 이 UI 화면에 의해, 유저는, 소스 기기(110)와 싱크 기기(120)가 신HDMI로 접속된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UI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디스플레이)는, 소스 기기(110)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디스플레이), 또는, 싱크 기기(120)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디스플레이)이다. 이것은, 이하의 각 UI 표시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어부(113)는, 스텝 ST4에서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스텝 ST6의 처리로 이동할 때, 그 취지를 나타내는 UI 화면을, 예를 들면,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여도 좋다. 이 UI 화면에 의해, 유저는, 소스 기기(110)와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지만, 케이블(200)만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케이블(200)을 신HDMI 케이블로 교환하는 등의 대책을 세울 수 있다.
또한, 도 11의 플로우 차트의 처리 순서에서는, 제어부(113)는, 스텝 ST4에서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곧바로, 스텝 ST5로 진행하여,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제어부(113)는, 스텝 ST4에서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유저에게, 신HDMI 또는 현행 HDMI의 어느 한쪽(종래 HDMI)을 선택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그 경우, 제어부(113)는, 그를 위한 UI 화면을, 예를 들면,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유저는, 이 UI 화면에 의거하여, 신HDMI 또는 현행 HDMI의 어느 한쪽을 선택한다. 도 12의 B는, 신HDMI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113)는, 유저의 선택에 응하여,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HDMI 또는 현행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도 13의 플로우 차트는, 그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부(113)의 동작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 13에서, 도 11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13)는, 스텝 ST4에서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스텝 ST7의 처리로 진행한다. 이 스텝 ST7에서, 제어부(113)는, 신HDMI 또는 현행 HDMI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부(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UI의 표시는 소스 기기(110)가 케이블(200)을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하여도 좋고, 싱크 기기(120)가 자신에서 표시하도록 지시하여도 좋다.
그 후, 제어부(113)는, 스텝 ST8의 처리로 이동한다. 이 스텝 ST8에서, 유저의 리모트 콘트롤 등에 의한 조작을 제어부(123)는 CEC 등의 라인을 통하여 통지함에 의해, 제어부(113)는, 유저가 신HDMI 또는 현행 HDMI의 어느 것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유저가 신HDMI를 선택한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5에서,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유저가 현행 HDMI를 선택한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6에서, 데이터 송신부(112)가 현행 HDMI(종래 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싱크 기기의 신HDMI에의 대응 판단」
제어부(113)에서의,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이 판단 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제 1의 판단 방법 및 제 2의 판단 방법이 있다.
「제 1의 판단 방법」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0)로부터 케이블(200)의 DDC 라인(SDA 라인 및 SCL 라인)을 이용하여 판독 EDID에 의거하여,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EDID 자체는, 포맷상에서 규정된 데이터 구조로 되어 있다. 이 EDID의 소정의 장소에, 새롭게, 싱크 기기(120)가 신HDMI(새로운 전송)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가 새롭게 정의된다고 한다.
도 14는, EDID상에 새롭게 정의되는 플래그 정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래, EDID는 다양한 싱크 기기(120)의 능력을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체이다. 도 14는, 설명의 간단화를 위해, EDID의,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이트만을 나타내고, 최저한으로 간소화하고 있다. 제 2 비트에,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1비트의 플래그 정보 "New Rx Sink"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제 1 비트에,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1비트의 플래그 정보 "New Cable"이 새롭게 정의된다.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2)로부터 판독한 EDID에, 상술한 1비트의 플래그 정보 "New Rx Sink"가 존재할 때,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즉, 싱크 기기(120)가 현행 HDMI에만 대응하고 있는 경우, 싱크 기기(122)로부터 판독한 EDID에, 상술한 1비트의 플래그 정보 "New Rx Sink"는 존재하지 않는다.
「제 2의 판단 방법」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0)와의 사이에서, 케이블(200)을 통하여 통신을 행함으로써,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3)는, CEC 라인을 이용하여, 커맨드 베이스로,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예를 들면, 제어부(113)는, 유틸리티 라인 및 HPD 라인으로 구성되는 쌍방향 통신로(HEAC 기능)를 이용하여 싱크 기기(12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여,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예를 들면, 제어부(113)는, 전송이 유효하게 될 때까지는 미사용의 라인, 예를 들면 유틸리티 라인 등을 이용하여, 어떠한 신호의 교환을 행하여,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케이블의 신HDMI에의 대응 판단」
다음에, 제어부(113)에서,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이 판단 방법에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제 1 내지 제 4의 판단 방법이 있다. 제 1 내지 제 3의 판단 방법은, 케이블(200)이 신HDMI 케이블일 때, 이 케이블(200)이 갖는 정보 제공 기능을 이용하여 행하는 판단 방법이다.
「제 1의 판단 방법」
이 제 1의 판단 방법의 경우,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HDMI 케이블에는, 예를 들면 플러그에, LSI(Large Scale Integration)가 내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소스 기기(110)로부터 +5V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싱크 기기(120)는, HPD를 L로 떨어뜨리고 있는 사이에 CEC 프로토콜에 의해, 이 LSI에, 출력을 요구한다. 또한, 이 경우의 싱크 기기(120)는,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 싱크 기기이다. LSI는, 싱크 기기(120)로부터의 출력 요구에 응하여, 이 LSI 내에 실장되는 레지스터값(신HDMI 대응인 취지, 및 전송 가능한 데이터 대역 등의 케이블 특성 데이터)을, 싱크 기기(120)에, CEC 프로토콜로 보고한다.
싱크 기기(120)는, LSI로부터 보고된 정보를 자신의 EDID에 추기(追記)한다. 싱크 기기(120)는, 이 추기한 후에, HPD를 H로 함으로써, 소스 기기(110)에 EDID의 판독을 지시한다.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0)로부터 판독한 EDID에 의거하여,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즉,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이 신HDMI 대응인 취지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때,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상술에서는, 싱크 기기(120)가 CEC 프로토콜에 의해 LSI에 출력을 요구하도록 설명하였다. 그러나, 소스 기기(110) 자체가, CEC 프로토콜에 의해 LSI에 출력을 요구하고, LSI로부터 레지스터값(신HDMI 대응인 취지, 및 전송 가능한 데이터 대역 등의 케이블 특성 데이터)의 보고를 직접 받도록 하는 것도 생각된다.
「제 2의 판단 방법」
이 제 2의 판단 방법의 경우에도,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HDMI 케이블에는, 예를 들면 플러그에, LSI가 내장되어 있다. 소스 기기(110)는, 예를 들면 HPD가 L로부터 H로 변화한 타이밍에서, 싱크 기기(120)로부터, 그 능력을 나타내는 EDID를 판독하여 취득한다. 이 경우, EDID는, SDA/SCL의 라인을 사용하고, 싱크 기기(120)의 EEPROM 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시리얼 전송함에 의해, 소스측에 통지된다.
LSI는, EDID 전송중에, EDID 정보가 전송되는 라인, 즉 SDA/SCL의 신호를 관찰한다. 그리고, LSI는,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도 14의 소정 바이트의 제 1 비트)가 전송될 때에, 그 비트값을,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 상태, 즉 플래그가 서(立) 있는 상태로 변경한다. 즉, 싱크 기기(120)의 EDID ROM(EEPROM)상의 데이터는 "00000100"이지만, 전송중에 케이블 내의 LSI가 데이터를 재기록하여, 소스 기기(110)가 수신할 때에는 "00000110"이 된다.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0)로부터 판독한 EDID에 의거하여,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즉,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도 14의 소정 바이트의 제 1 비트)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도 16은, 케이블 내 LSI의 EDID 데이터 재기록 회로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LSI는, SCL 라인상의 클록을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이 카운터의 카운트값에 의거하여, SDA 라인상의 데이터를 재기록하는 드라이버를 갖고 있다.
「제 3의 판단 방법」
이 제 3의 판단 방법의 경우,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HDMI 케이블에는, 예를 들면 플러그에, 신HDMI 대응인 취지, 및 전송 가능한 데이터 대역 등의 정보를 기억한 RF 태그 칩(LSI)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소스 기기(110)의 리셉터클(111)에, RF 태그 판독 칩(LSI)이 내장된다. 이 경우, 리셉터클(111)의 RF 태그 판독 칩과 플러그의 RF 태그 칩과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이 행하여지고, RF 태그 칩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RF 태그 판독 칩에 의해 판독된다.
제어부(113)는, RF 태그 판독 칩에 의해 판독된 정보에 의거하여,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즉, 제어부(113)는, RF 태그 판독 칩에 의해 케이블(200)이 신HDMI 대응인 취지 등의 정보가 판독될 때,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상술에서는, 소스 기기(110)의 리셉터클(111)의 RF 태그 판독 칩과 플러그의 RF 태그 칩과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이 행하여지고, RF 태그 칩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스 기기(110)측에서 판독되도록 설명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면, 싱크 기기(120)의 리셉터클(121)의 RF 태그 판독 칩과 플러그의 RF 태그 칩과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RF 태그 칩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싱크 기기(120)측에서 판독되고, 그 정보가 그 후에, 소스 기기(110)측에 제공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생각된다.
「제 4의 판단 방법」
이 제 4의 판단 방법의 경우,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의 전기적 특성의 측정을 행함으로써,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스 기기(110)의 제어부(113)는, 핀(2)과 핀(5)에 대해 측정/검출용의 테스트 신호(디지털 신호)를 발신하고, 싱크 기기(120)의 제어부(123)가 그 신호를 수신하다. 또한, 현행 HDMI 케이블에서는 핀(2)과 핀(5)에 접속되는 한 쌍의 신호 라인은 차동 신호의 송신로를 구성하고 있지 않지만, 신HDMI 케이블에서는 핀(2)과 핀(5)에 접속되는 한 쌍의 신호 라인은 차동 신호의 송신로를 구성하고 있다(도 6의 A, B 참조).
싱크 기기(120)의 제어부(123)는,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다른 경로(예를 들면, SCL/SDA로 나타나는 HDMI의 DDC 라인, 또는 CEC 라인이나 유틸리티 라인 등)를 통하여, 소스 기기(110)측에 통지한다. 소스 기기(110)의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0)로부터 통지된 디지털 신호가, 자신이 송신한 디지털 신호와의 일치를 확인함으로써,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13)는, 수신 디지털 신호가 송신 디지털 신호와 일치할 때, 케이블(200)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도 1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200)이 현행 HDMI 케이블인 경우, 핀(2)과 핀(5)에 접속된 한 쌍의 신호 라인은, 실드 트위스트 페어선이 아니다. 그 때문에, 케이블(200)이 현행 HDMI에 대응하고 있다는 판단에는, "고속의 테스트 신호는 전달할 수가 없다"라는 것이 이용된다. 이때, 핀(2)과 관련하는 핀(1) 또는 핀(3)에, 핀(2)과는 관계없는 신호를 인가함에 의해, 그 간섭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간섭에 의해, 고속의 테스트 신호는 보다 전달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 도 1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200)이 신HDMI 케이블인 경우, 핀(2)과 핀(5)에 접속된 한 쌍의 신호 라인은, 실드 트위스트 페어선이 된다. 그 때문에, 케이블(200)이 신HDMI 케이블에 대응하고 있다는 판단에는, "고속의 테스트 신호는 전달할 수 있다"라는 것이 이용된다. 이 때, 핀(1) 또는 핀(3)에, 핀(2)과는 관계없는 신호가 인가되어 있다고 하여도, 그것들은 독립하여 실드 처리가 시행되어 있고, 인가된 신호와 핀(2)이 간섭하는 일은 없고, 테스트 신호의 전달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여기서, 테스트 신호는, 예를 들면, 소스 기기(110)가 출력 가능한 최속(最速)의 데이터, 또한 비트 에러 레이트로서 HDMI가 보증하는 10-9를 평가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 길다란 랜덤한 데이터가 된다. 또한, 싱크 기기(120)에는 통상 비디오 재생을 위한 프레임 버퍼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전송 테스트 전용의 메모리는 필요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어부(113)는, 수신 디지털 신호가 송신 디지털 신호와 일치할 때만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하였다. 제어부(113)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느리게 하여 마찬가지의 테스트를 행하고, 일치할 때까지 상술한 판단 프로세스를 반복함에 의해, 케이블의 성능을 확정하고,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지만, 그 전송 스피드 내에서 실행 가능한 만큼의 전송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현행 HDMI 케이블도,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핀(2)과 핀(5)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핀 대신에, 현행 HDMI 케이블과 신HDMI 케이블 사이에서 이들의 핀과 마찬가지의 관계에 있는 핀(8)과 핀(11)을 이용하여도 좋다. 즉, 현행 HDMI 케이블에서는 핀(8)과 핀(11)에 접속되는 한 쌍의 신호 라인은 차동 신호의 송신로를 구성하고 있지 않지만, 신HDMI 케이블에서는 핀(8)과 핀(11)에 접속되는 한 쌍의 신호 라인은 차동 신호의 송신로를 구성하고 있다(도 6의 A, B 참조).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소스 기기(110)가 싱크 기기에 보낸 디지털 신호(테스트 신호)를, 그것을 수신한 싱크 기기(120)가 소스 기기(110)에 통지하고, 그 옳고 그름을 소스 기기(110)측에서 판단하는 것을 나타냈다. 그러나, 디지털 신호(테스트 신호)로서 미리 정해진 패턴을 전송함에 의해, 싱크 기기(120)가, 수신 디지털 신호의 옳고 그름의 판정을 행한다. 그리고, 그 결과만 CEC 등의 라인을 통하여 소스 기기(110)에 통지하여도 좋고, 자신의 E-EDID에 그 정보를 추기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하는 AV 시스템(100)에서는,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는 현행 HDMI의 동작 모드 외에, 신HDMI 모드의 동작 모드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동 신호 채널은, 현행 HDMI에서는 3채널이지만, 신HDMI에서는 6채널이다. 그 때문에, 신HDMI가 이용됨으로써, 높은 데이터 레이트로의 신호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싱크 기기(120),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지 않을 때, 현행 HDMI(종래 HDMI)가 이용됨으로써, 후방 호환성이 확보된다.
[신HDMI의 다른 구성예]
상술한 바와 같이, DDC 라인은, 데이터 송신부(112)가, 데이터 수신부(122)로부터, E-EDID를 판독하기 위해, 또는, 저작권 보호를 위한 HDCP 시스템에서의 기기 인증 및 키 교환을 위한 정보의 교환을 위해 사용된다. 이들의 정보 교환은, 소스 기기(110)와 싱크 기기(120)의 접속시에 행하여지고, 접속이 완료된 후에는 정기적인 HDCP 키의 갱신 등 이외에 DDC 라인이 이용되는 일은 없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HDMI1.4에 HEC(HDMI Ethernet Channel)가 새롭게 정의되고, HDMI 기기 사이에서 이더넷에 의한 정보의 교환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HPD 신호에의 중첩, 에코캔슬러를 이용한 2선에 의한 완전 쌍방향 통신의 구성 등 때문에, 현재상태의 100Mbps 이상의 대역으로 확장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상의 상황으로부터, 접속시에 DDC 라인으로 EDID의 판독, HDCP 인증이 완료된 후에, DDC 라인을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에 의해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으로 한다.
[데이터 송신부, 데이터 수신부의 다른 구성예]
도 20, 도 21은, 도 1의 AV 시스템(100)에서,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와,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상술한 도 3의 구성예에 대응하는, 3채널 모드시에 있어서의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와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은, 상술한 도 4의 구성예에 대응하는, 6채널 모드시에 있어서의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와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구성예에 있어서, DDC 라인을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 즉 SDA 라인 및 SCL 라인은,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되는 외에,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도 이용된다. 이 2개의 신호 라인이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I2C의 쌍방향 통신이 행하여진다. 한편, 이 2개의 신호 라인이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도 이용되는 경우에는, 쌍방향 차동 통신이 행하여진다.
그 때문에, 데이터 송신부(112) 및 데이터 수신부(122)의 쌍방에서, 2개의 신호 라인에 I2C 통신부 또는 차동 고속 드라이버/리시버가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I2C 통신부는, 제 1의 통신부를 구성하고, 차동 고속 드라이버/리시버는 제 2의 통신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 20, 도 21의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도 3, 도 4와 마찬가지이다.
도 22의 A는 3채널 모드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의 핀 할당을 도시하고, 도 22의 B는 6채널 모드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의 핀 할당을 도시하고 있다. 핀 번호가 16인 핀은, "SDA 신호" 및 "차동 신호+"에 할당된다. 또한, 핀 번호가 15인 핀은, "SCL"신호 및 "차동 신호-"에 할당된다. 또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 22의 A, B의 그 밖에 관해서는, 상술한 도 6의 A, B와 마찬가지이다.
도 23은, 소스 기기(110) 및 싱크 기기(120)에서, DDC 라인(SDA, SCL)에 관계되는 부분의 상세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소스 기기(110)는, I2C 통신부(311)와, 차동 고속 드라이버/리시버(312)와, 프로토콜 스위치부(313)와, 데이터 버퍼(314)를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싱크 기기(120)는, I2C 통신부(321)와, 차동 고속 드라이버/리시버(322)와, 프로토콜 스위치부(323)와, 데이터 버퍼(324)를 갖고 있다.
I2C 통신부(311, 321)는, 2개의 신호 라인을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함으로써,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한다. 차동 고속 드라이버/리시버(312, 322)는, 2개의 신호 라인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한다. 프로토콜 스위치부(313, 323)는, 제어부(113, 123)의 제어하에, I2C 통신부(311, 321) 또는 차동 고속 드라이버/리시버(312, 322)를 2개의 신호 라인에 선택적으로 접속한다. 데이터 버퍼(314, 324)는, 차동 고속 드라이버/리시버(312, 322)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버퍼링을 행한다.
도 24는, 소스 기기(110)에서의 프로토콜 스위치부(313)의 구성예(송신만)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SDA 라인 및 SCL 라인은, 저항(R)을 통하여, 전원에 접속(풀업)되어 있다. 프로토콜 스위치부(313)는, 차동 고속 드라이버/리시버(312)를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기 위한 트랜지스터(313a)와, I2C 통신부(311)를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기 위한 트랜지스터(313b)를 구비하고 있다. 트랜지스터(313a)로서는 저전압 고속 동작 트랜지스터가 사용되고, 트랜지스터(313b)로서는 HDMIDDC 규격으로 동작하기 위한 5V의 내압 트랜지스터가 사용된다.
여기서, 저전압 고속 동작 트랜지스터인 트랜지스터(313a)의 동작 속도를 보증하기 위해, 신호 출력 라인상의 기생 용량 및 직렬 저항 성분의 저감이 필요해진다. 이것은, 예를 들면, 제어부(113)로부터의 모드 전환 신호에 의해, I2C 쌍방향 통신 모드에서는 트랜지스터(313a)의 전원을 오프로 하고, 쌍방향 차동 통신 모드에서는 트랜지스터(313b)의 전원을 오프하는 등의 조치를 행함에 의해, 실현 가능해진다.
즉, I2C 쌍방향 통신의 동작시에는, 트랜지스터(313b)의 전원이 온으로 되어 I2C 통신부(311)가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됨과 함께, 트랜지스터(313a)의 전원이 오프가 되어 차동 고속 드라이버/리시버(312)는 2개의 신호 라인으로부터 차단된다. 또한, 쌍방향 차동 통신의 동작시에는, 트랜지스터(313a)의 전원이 온으로 되어 차동 고속 드라이버/리시버(312)가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됨과 함께, 트랜지스터(313b)의 전원이 오프가 되어 I2C 통신부(311)는 2개의 신호 라인으로부터 차단된다.
[DDC 라인을 이용한 통신의 모드 변화예]
도 25의 시퀀스도는, DDC 라인(I2C 통신 라인)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 전환하는 시퀀스예를 도시하고 있다. 접속시, 싱크 기기(120)가 HPD 신호를 "H"로 하면, 소스 기기(110)는 싱크 기기(120)로부터 EDID를 DDC 라인 경유로 판독한다(시퀀스(1)).
소스 기기(110)는, 판독한 싱크 기기(120)의 EDID상의 자신의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에의 전환 가능 정보와 소스 기기 자신의 그 능력을 대조함에 의해, 쌍방이 대응하고 있는 경우, 전환이 가능한 것을 인식한다(시퀀스(2)). 그 후, HDCP의 인증 및 키 교환의 플로우를 실시하여 통상의 접속시에 행하여지는 DDC 라인에서의 통신을 완료한다(시퀀스(3)). 또한, HDCP 인증 및 키 교환에는 어느 정도의 데이터량의 쌍방향 전송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의 전환 후에 실시하여, 고속화하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소스 기기(110)는, 싱크 기기(120)가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의 전환이 가능한지의 여부, 즉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싱크 기기(120)와의 사이에서 예를 들면 CEC 라인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여,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후, 소스 기기(120)는, 케이블(200)이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을 때, DDC 라인 이외의 라인, 예를 들면 CEC 라인을 이용하여, 싱크 기기(120)에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의 변경을 요구한다(시퀀스(4)). 또한, 케이블(200)이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 요구를 받아, 싱크 기기(120)는 자신의 DDC 라인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 전환한다(시퀀스(5)). 즉, 제어부(123)는, 프로토콜 스위치부(323)를 제어하여, DDC 라인을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에 차동 고속 드라이버/리시버(322)가 접속된 상태로 한다. 그 후, 싱크 기기(120)는,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의 전환이 완료된 것을, 소스 기기(110)에 CEC 라인을 이용하여, 통지한다(시퀀스(6)).
소스 기기(110)는, 싱크 기기(120)가 DDC 라인으로부터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 전환하는 것을 인지하면, 자신의 DDC 라인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 전환한다(시퀀스(7)). 즉, 제어부(113)는, 프로토콜 스위치부(313)를 제어하여, DDC 라인을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에 차동 고속 드라이버/리시버(312)가 접속된 상태로 한다.
소스 기기(110) 및 싱크 기기(120)의 쌍방이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 전환되면, 우선 안전을 위해, 쌍방에서 확인용의 고속 전송 시작 패킷의 교환을 행하여, 구성이 변경된 것을 확인하여도 좋다(시퀀스(8)).
이상으로 소스 기기(110), 싱크 기기(120)의 쌍방에서 DDC 라인(I2C 통신 라인)이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 전환된 것이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에,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을 이용한 쌍방향 차동 통신, 즉 고속 쌍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시퀀스(9)).
또한, 종래 행하여지고 있던 DDC 라인을 이용한 HDCP 암호 키의 갱신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 전환된 후는, 예를 들면, 데이터 패킷 등에 패킹함에 의해, 쌍방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DDC 라인을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을 이용한 쌍방향 차동 통신은, 종래의 CEC나 HEC 등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는 완전히 독립하고 있기 때문에, 공존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에 의한 쌍방향 차동 통신]
다음에,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에 의한 쌍방향 차동 통신에 관해 설명한다. 2선의 차동 라인을 이용한 쌍방향 전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HEC와 같이 에코캔슬러를 이용하여 완전 쌍방향 통신을 실현하여도 좋지만, 시분할 통신으로 실현하여도 좋다.
도 26은, 시분할 쌍방향 통신의 개념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 26에서는, 최초에 소스 기기(Src)로부터 싱크 기기(Snk)에, 예를 들면 512바이트(기가비트·이더넷의 최소 프레임 사이즈이면서 슬롯 시간) 전송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그 후, 통신 방향의 변경(턴어라운드) 시간(TA)을 경과 후, 이번에는 싱크 기기(Snk)로부터 소스 기기(Src)에 512바이트 전송이 행하여진다. 이하, 마찬가지로 통신 방향이 교대가 되고 시분할 쌍방향 통신이 행하여진다. 전체로서의 전송 속도는 한쪽 방향의 2배 남짓 필요하게 되지만, 에코캔슬러를 이용한 쌍방향 구조보다도 염가로 실현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시분할 쌍방향 통신에서는, 상술한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방향을 있는 데이터량마다 교대로 변경하여도 좋고, 미리 전송량을 예약하고, 그 전송중, 방향의 변경을 금지하도록 하여 보다 효율 좋게 전송하여도 상관없다.
[케이블의 구조예]
도 27은, 케이블(200)로서 사용되는 신HDMI 케이블의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신HDMI 케이블은, 3채널 모드 및 쌍방향 차동 통신 모드에 대응하고 있다(도 20 참조). 이 신HDMI 케이블은, 도 8에 도시하는 현행 HDMI 케이블과 마찬가지로, 3개의 데이터 라인 페어가 각각 특성을 얻기 위해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DDC 라인을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SDA, SCL)도,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기 위해 실드 트위스트 페어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8은, 케이블(200)로서 사용되는 신HDMI 케이블의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신HDMI 케이블은, 6채널 모드 및 쌍방향 차동 통신 모드에 대응하고 있다(도 21 참조). 이 신HDMI 케이블은, 도 9에 도시하는 신HDMI 케이블과 마찬가지로, 6개의 데이터 라인 페어가 각각 특성을 얻기 위해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DDC 라인을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SDA, SCL)도,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기 위해 실드 트위스트 페어로서 구성되어 있다.
[케이블의 쌍방향 차동 통신에의 대응 판단]
다음에, 케이블(200)이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 즉 DDC 라인을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SDA, SCL)이 실드 트위스트 페어로서 구성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이 판단은, 여기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하지만, 상술한 「케이블의 신HDMI에의 대응 판단」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이하의 (1) 내지 (4)의 방법이 실현 가능하다(도 14 내지 도 19 참조).
(1) 케이블 내에 신통신 방식에 대응하고 있는 취지의 정보를 격납하고, HPD가 "L"일 때에 CEC 커맨드를 발행하는 등, 어떠한 방법으로 액세스하여 기기측이 인지한다.
(2) EDID 전송시에 케이블 자신이 신통신 방식에 대응하고 있는 취지의 정보를 추기하고, 소스측에 전한다.
(3) RFID 등의 별도 경로에서의 통신 수단을 케이블과 기기의 사이에 가지며, 신 방식에 대응하고 있는 취지를 확인한다.
(4) 소스측에서 측정/검출용의 신호를 발신하고, 싱크측에서 수신한 신호를 별도 통신 수단으로 알리는, 또는 기대치와의 일치 또는 불일치를 통지한다.
단, (4)에 관해서는, 상술한 「케이블의 신HDMI에의 대응 판단」에서, 이 「케이블의 쌍방향 차동 통신에의 대응 판단」에서는, 이하의 부분은 적용할 수 없다. 즉, 「현행 HDMI 케이블인 경우, 핀(2)과 관련하는 신호 라인 핀(1) 또는 핀(3)에 핀(2)과는 관계없는 신호를 인가함에 의해, 그 간섭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한」의 부분은 적용할 수 없다. 또한, 보증되어야 할 에러 레이트는, 10-9가 아니라, 전송 데이터에 시행되는 오류 정정 기술의 효과를 포함한 형태로 10-12 정도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하는 AV 시스템(100)에서는,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는 현행 HDMI의 동작 모드 외에, 신HDMI 모드의 동작 모드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동 신호 채널은, 현행 HDMI에서는 3채널이지만, 신HDMI에서는 6채널이다. 그 때문에, 신HDMI가 이용됨으로써, 높은 데이터 레이트로의 신호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싱크 기기(120),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지 않을 때, 현행 HDMI(종래 HDMI)가 이용됨으로써, 후방 호환성이 확보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AV 시스템(100)에서는, 쌍방향 차동 통신 기능을 갖는 소스 기기(110), 싱크 기기(120)는, DDC 라인을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에, I2C 통신부 또는 차동 고속 드라이버/리시버를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케이블(200)을 구성하는 신호 라인의 수를 증가하는 일 없이,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대용량 쌍방향 데이터 통신을 베이스로 한 고품질의 기기간 연휴 어플리케이션을, HDMI 네트워크로 접속된 기기에서도 추가의 접속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장래의 기가비트 이더넷이 중심이 되는 가정 내 고속 통신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을, HDMI 네트워크로 접속된 기기에서도 추가의 접속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실현할 수 있다.
<2. 변형예>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이, 현행 HDMI 케이블(종래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과 같은 것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을, 현행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과 다르게 하여,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의 한쪽이 신HDMI에 대응하지 않을 때, 이들이 신HDMI 케이블로 접속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9의 A는 현행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을 도시하고, 도 29의 B는 현행 HDMI에만 대응하는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29의 C는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을 도시하고, 도 29의 D는 신HDMI에 대응하는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형상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0의 A는 현행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 30의 B는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에는 볼록부(화살표(P)로 가리키고 있다)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신HDMI에 대응하는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에는, 플러그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오목부(화살표(Q)로 가리키고 있다)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신HDMI에 대응하는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형상은,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에 합치하고, 현행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 및 신HDMI에 대응한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형상을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신HDMI 케이블은, 신HDMI에 대응하는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에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신HDMI 케이블은, 현행 HDMI에만 대응하는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에는 접속할 수가 없게 된다. 이에 의해,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의 한쪽이 신HDMI에 대응하지 않을 때, 이들이 신HDMI 케이블로 접속되는 일은 없어진다. 즉,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의 쌍방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을 때만, 신HDMI 케이블에 의해, 이들의 접속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HDMI에도 대응하는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형상은,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에 합치하고, 현행 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현행 HDMI 케이블은, 현행 HDMI에만 대응하는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뿐만 아니라, 신HDMI에 대응하는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에도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 현행 HDMI에서의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동 신호 채널이 3채널인데 대하여, 신HDMI에서 그 차동 신호 채널이 6채널인 것을 나타냈다. 그러나,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동 신호 채널의 수는 6채널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4채널, 5채널, 나아가서는 7채널 등도 생각된다. 예를 들면,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동 신호 채널을 5채널로 하여, 클록 주파수를 1.2배 정도로 고속화함으로써, 6채널로 한 경우와 동등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가 HDMI 규격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접속된 AV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다. 본 발명은, 그 밖의 마찬가지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접속된 AV 시스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2010년 12월 28일자로 일본특허청에 특허출원된 일본특허원 제2010-292472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등가의 범위 내에서, 설계상의 필요 또는 다른 요인에 따라, 상기 실시의 형태에 대한 여러 가지 변형예, 조합예, 부분 조합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81 : HDMI 트랜스미터 82 : HDMI 리시버
100 : AV 시스템 110 : 소스 기기
111 : 리셉터클 112 : 데이터 송신부
113 : 제어부 120 : 싱크 기기
121 : 리셉터클 122 : 데이터 수신부
123 : 제어부 200 : 케이블
201, 202 : 플러그 311, 321 : I2C 통신부
312, 322 : 차동 고속 드라이버/리시버
313, 323 : 프로토콜 스위치부 314, 324 : 데이터 버퍼
313a, 313b : 트랜지스터

Claims (21)

  1.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을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통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제 2의 통신부와;
    상기 제 1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1의 통신 상태와 상기 제 2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2의 통신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 1의 통신부와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제 1의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의 통신부와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제 2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의 통신 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제 1의 트랜지스터의 전원을 온으로 함과 함께 상기 제 2의 트랜지스터의 전원을 오프로 하고, 상기 제 2의 통신 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제 2의 트랜지스터의 전원을 온으로 함과 함께 상기 제 1의 트랜지스터의 전원을 오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의 통신 상태에서 상기 제 1의 통신부에 의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취득되는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때,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제 2의 통신 상태로의 전환 요구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의 통신 상태로의 전환 완료 정보를 수신한 때,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 2의 통신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능력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의 통신 상태에서 상기 제 1의 통신부에 의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능력 정보가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된 후,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의 통신 상태로의 전환 요구 정보를 수신한 때,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 2의 통신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통신부는, 시분할에 의한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 및 상기 전송로가 상기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 1의 통신 상태로부터 상기 제 2의 통신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판독한 그 외부 기기의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통신을 행함으로써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그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상기 전송로가 갖는 정보 제공 기능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상기 전송로가 갖는 상기 정보 제공 기능은, 그 전송로가 상기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상기 외부 기기에 보고하는 기능이고,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전송로부터 보고된 정보를 자신의 능력 정보에 추기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로가 상기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판독한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상기 전송로가 갖는 상기 정보 제공 기능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판독되는 능력 정보 중, 상기 전송로가 상기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도록 재기록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로가 상기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판독한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상기 전송로가 갖는 상기 정보 제공 기능은, 그 전송로가 상기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다는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제공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로가 상기 제 2의 동작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전송로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다는 정보가 제공되는지의 여부에 의거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로의,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소정의 디지털 신호의 차동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송로가 상기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그 외부 기기로부터 보내 오는 신호에 의거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보내 오는 신호는, 상기 외부 기기가 수신한 상기 소정의 차동 신호에 의해 얻어진 수신 디지털 신호가 올바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보내 오는 신호는, 상기 외부 기기가 수신한 상기 소정의 차동 신호에 의해 얻어진 수신 디지털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6.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을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통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제 2의 통신부; 및
    상기 제 1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1의 통신 상태와 상기 제 2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2의 통신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기기 및 상기 전송로가 상기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 1의 통신 상태로부터 상기 제 2의 통신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7.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을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통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제 2의 통신부; 및
    상기 제 1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1의 통신 상태와 상기 제 2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2의 통신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 1의 통신 상태에서 상기 제 1의 통신부에 의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취득되는 능력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쌍방향 차동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때,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제 2의 통신 상태로의 전환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의 통신 상태로의 전환 완료 정보를 수신한 때,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 2의 통신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8.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을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통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제 2의 통신부; 및
    상기 제 1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1의 통신 상태와 상기 제 2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2의 통신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 1의 통신 상태에서 상기 제 1의 통신부에 의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능력 정보가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된 후,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제 2의 통신 상태로의 전환 요구 정보를 수신한 때,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 2의 통신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9. 외부 기기에, 차동 신호에 의해, 전송로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제 1의 수로 하는 제 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상기 제 1의 수보다도 큰 제 2의 수로 하는 제 2의 동작 모드를 갖는 디지털 신호 송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 및 상기 전송로가 상기 제 2의 동작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모드 판단부와;
    상기 동작 모드 판단부의 판단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을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통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제 2의 통신부와;
    상기 제 1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1의 통신 상태와 상기 제 2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2의 통신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0. 외부 기기로부터, 차동 신호에 의해, 전송로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제 1의 수로 하는 제 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상기 제 1의 수보다도 큰 제 2의 수로 하는 제 2의 동작 모드를 갖는 디지털 신호 수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 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제 2의 동작 모드의 어느 것을 선택하여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동작 모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 라인을 I2C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I2C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제 1의 통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을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여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제 2의 통신부와;
    상기 제 1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1의 통신 상태와 상기 제 2의 통신부를 상기 2개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는 제 2의 통신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1. 쌍방향 차동 통신을 행하는 고속 데이터 통신 라인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2개의 신호 라인을 구비하는 케이블로서,
    상기 케이블의 신호 전송 능력을 나타내는 정보를 접속 기기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기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KR1020110130752A 2010-12-28 2011-12-08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KR101824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92472A JP5655562B2 (ja) 2010-12-28 2010-12-28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JP-P-2010-292472 2010-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363A true KR20120075363A (ko) 2012-07-06
KR101824254B1 KR101824254B1 (ko) 2018-01-31

Family

ID=4549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752A KR101824254B1 (ko) 2010-12-28 2011-12-08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745305B2 (ko)
EP (1) EP2472413B1 (ko)
JP (1) JP5655562B2 (ko)
KR (1) KR1018242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1986B2 (ja) 2010-12-28 2015-09-02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JP5655562B2 (ja) * 2010-12-28 2015-01-2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8990464B2 (en) 2011-10-05 2015-03-24 Analog Devices, Inc. Methods for discovery, configuration, and coordinating data communications between master and slave de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0649948B2 (en) * 2011-10-05 2020-05-12 Analog Devices, Inc. Two-wire communication systems and applications
JP5444310B2 (ja) * 2011-11-17 2014-03-19 株式会社東芝 双方向通信インタフェース装置、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8848699B2 (en) * 2012-08-08 2014-09-30 Nebula,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monitoring and control of networked server computers
US9772665B2 (en) 2012-10-05 2017-09-26 Analog Devices, Inc. Power switching in a two-wire conductor system
US9946680B2 (en) 2012-10-05 2018-04-17 Analog Devices, Inc. Peripheral device diagnostics and control over a two-wire communication bus
US9258603B2 (en) * 2013-02-04 2016-02-09 David Anthony Stelliga Method and system for achieving higher video throughput and/or quality
US9552325B2 (en) * 2013-06-12 2017-01-24 Qualcomm Incorporated Camera control interface extension bus
CN105308673B (zh) 2013-06-13 2018-06-22 谷歌有限责任公司 用于管理hdmi源的输出的方法、系统和介质
KR101414447B1 (ko) * 2013-07-02 2014-07-08 옵티시스 주식회사 이중 모드 디스플레이-포트 커넥터
US9804980B2 (en) * 2013-07-25 2017-10-31 Dell Products, Lp System management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system management controllers
JP2015169761A (ja) * 2014-03-06 2015-09-28 ソニー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とケーブルおよび光通信装置
US20150256842A1 (en) * 2014-03-07 2015-09-10 Silicon Image, Inc. Compressed Video Transfer over a Multimedia Link
US9710423B2 (en) 2014-04-02 2017-07-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to send extra information in-band on inter-integrated circuit (I2C) bus
US9710424B2 (en) * 2014-04-22 2017-07-18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method for multi-symbol words
EP3157215B1 (en) * 2014-06-12 2023-02-22 Sony Group Corporation Interface circuit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0241955B2 (en) * 2014-06-18 2019-03-2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ally adjustable multi-line bus shared by multi-protocol devices
US10007628B2 (en) * 2014-06-18 2018-06-2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ally adjustable multi-line bus shared by multi-protocol devices
US9215491B1 (en) 2014-07-10 2015-12-15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ontrolling a bi-directional HDMI port
JP5987955B2 (ja) * 2015-07-01 2016-09-0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10397021B2 (en) 2016-01-29 2019-08-27 Analog Devices, Inc. Synchronous slave-to-slave communications
US10872049B2 (en) 2016-01-29 2020-12-22 Analog Devices, Inc. GPIO-to-GPIO communication on a multi-node daisy-chained network
US10250376B2 (en) 2016-01-29 2019-04-02 Analog Devices, Inc. Clock sustain in the absence of a reference clock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0319336B2 (en) * 2016-02-16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840473B2 (ja) 2016-06-24 2021-03-10 株式会社東芝 アダプタ装置
JP6187651B2 (ja) * 2016-08-10 2017-08-3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20180024616A (ko) * 2016-08-30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수행 방법
KR20180067108A (ko) * 2016-12-12 201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를 ui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00058391A (ko) * 2017-09-25 2020-05-27 소니 주식회사 케이블, 케이블의 제어 방법, 접속 장치,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10374583B1 (en) 2018-04-02 2019-08-06 Analog Devices, Inc. Dynamic hysteresis circuit
US10931476B2 (en) 2018-10-29 2021-02-23 Analog Devices Global Unlimited Company Content protection over synchronous data networks
US10649945B1 (en) 2018-12-10 2020-05-12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Non-native digital interface support over a two-wire communication bus
US10856199B2 (en) 2019-01-04 2020-12-01 Analog Devices, Inc. Communication systems with auxiliary master and auxiliary call support functionality
US10884972B2 (en) 2019-05-08 2021-01-05 Analog Devices, Inc. Communication systems with serial peripheral interface functionality
US11411607B2 (en) 2020-01-07 2022-08-09 Analog Devices, Inc. Audio and lighting control via a communication bus
TW202205840A (zh) * 2020-07-23 2022-02-01 美商艾銳勢企業有限責任公司 用於偵測不相容纜線(hdmi)之方法及系統
KR20220165395A (ko) * 2021-06-08 2022-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싱크 장치, 소스 장치 및 hdmi 제어 방법
US11888498B2 (en) 2022-01-18 2024-01-30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Elimination of probability of bit errors in 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SAR)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logic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9673B2 (en) 2004-02-18 2007-09-11 Silicon Image, Inc. Cable with circuitry for asserting stored cable data or other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or user
US7606947B2 (en) 2004-09-07 2009-10-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Remov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WO2008056686A1 (en) * 2006-11-07 2008-05-15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communication cable
US8429713B2 (en) * 2007-04-02 2013-04-2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speed transmission of CEC commands
JP5240492B2 (ja) * 2007-06-26 2013-07-1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5240491B2 (ja) * 2007-06-26 2013-07-17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2009194484A (ja) * 2008-02-12 2009-08-27 Toshiba Corp データ伝送装置
US7788428B2 (en) * 2008-03-27 2010-08-3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ultiplex mobile high-definition link (MHL) and USB 3.0
JP5598220B2 (ja) * 2010-09-30 2014-10-01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送受信システム
JP5655562B2 (ja) * 2010-12-28 2015-01-2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45305B2 (en) 2014-06-03
KR101824254B1 (ko) 2018-01-31
CN102572353A (zh) 2012-07-11
JP2012142690A (ja) 2012-07-26
EP2472413A2 (en) 2012-07-04
JP5655562B2 (ja) 2015-01-21
EP2472413A3 (en) 2013-05-01
US20120166702A1 (en) 2012-06-28
US20140181336A1 (en) 2014-06-26
US9311258B2 (en) 2016-04-12
EP2472413B1 (en)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254B1 (ko)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JP5598220B2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送受信システム
US8707374B2 (e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ystem
US9209570B2 (en) Connector, cable,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or
WO2013058133A1 (ja) 送信装置、送信方法および受信装置
JP5892227B2 (ja) ケーブル
JP5987955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5900552B2 (ja) ケーブル
JP6187651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WO2015118908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処理方法およびケーブル
CN102572353B (zh) 电子装置、控制电子装置的方法、发送装置和接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