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4864A - 스트립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864A
KR20120074864A KR1020100136833A KR20100136833A KR20120074864A KR 20120074864 A KR20120074864 A KR 20120074864A KR 1020100136833 A KR1020100136833 A KR 1020100136833A KR 20100136833 A KR20100136833 A KR 20100136833A KR 20120074864 A KR20120074864 A KR 20120074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pressing
connection
hol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1611B1 (ko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00136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6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3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3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folding
    • B21D39/035Joining superposed plates by sli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립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분할되어 한쪽과 다른 쪽의 스트립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스트립이 위치한 일측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일측 방향과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인 양측이 개방되고 타측과 상기 스트립의 길이 방향의 안쪽과 바깥쪽이 폐쇄된 제1 삽입 공간을 가지며, 폐쇄된 상기 스트립의 바깥쪽 방향으로 일부가 개방되도록 관통된 제1 가압 공간을 가지는 제1 연결 몸체, 상기 제1 연결 몸체의 타측에 복수로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떨어진 제1 연결홈이 형성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제1 연결 돌기, 다른 쪽의 상기 스트립이 위치한 타측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타측 방향과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인 양측이 개방되고 일측과 상기 스트립의 길이 방향의 안쪽과 바깥쪽이 폐쇄된 제2 삽입 공간을 가지며, 폐쇄된 상기 스트립의 바깥 쪽 방향으로 일부가 개방되도록 관통된 제2 가압 공간을 가지는 제2 연결 몸체, 상기 제2 연결 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홈에 삽입되면서 서로 떨어져 상기 제1 연결 돌기가 삽입되는 제2 연결홈이 형성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제2 연결 돌기, 상기 제1 연결 돌기와 상기 제2 연결 돌기가 힌지 결합되도록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 몸체와 상기 제2 연결 몸체가 회전되는 중심이 되는 힌지 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1 연결 몸체와 상기 제2 연결 몸체의 바깥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압 공간과 상기 제2 가압 공간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삽입 공간과 상기 제2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이분할된 각각의 상기 스트립이 탄성에 의해 가압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립 연결 장치 {coupling device for strip}
본 발명은 냉연 및 도금 공정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스트립의 연결되는 부분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번의 삽입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권취 시에 곡면으로 배치되도록 접철되어 연결된 스트립을 롤러 형태로 감을 수 있는 스트립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 및 도금 공정과 같은 연속적인 공정에서 스트립이 권취되는 롤러의 교환 등과 같은 수리 작업 또는 공정 상에 절단 및 압연 공정 상에서 재료가 끊어지는 판파단된 스트립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용접 접합 방법이 사용된다.
이런, 용접 접합 방법을 이용하여 스트립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용접 변형을 최소화하는 직선 구간과 하부를 용접하기 위한 지지 구간이 필요로 하고, 이는 냉연 및 도금 공정 상에 설치하기 어려움에 따라 절단 및 판파단이 발생되어 이분할된 스트립을 용접이 가능한 장소로 이동한 후에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이동에 따른 작업이 지체되고, 용접 작업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롤러의 교환 등과 같은 수리 작업 시에는 스트립의 절단 후에 수리 작업 준비가 용이하도록 스트립과 비교하여 얇은 더미 코일(dummy coil)을 투입하는데 수리 작업 완료 후 용접 작업 시에 더미 코일의 두께가 얇아 연속 용접 시에는 스트립이 천공되어 버리기 때문에 수백회 또는 수천회의 스폿 용접 후에 돌출된 용접 부분을 햄머링 작업을 통해서 평탄화하고, 평탄화 후에도 돌출된 부분이 교체된 롤러와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테이핑 작업을 실시함에 따라 작업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롤러의 교환, 절단, 판파단 등의 원인으로 이분할된 스트립을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용접 접합 방법은 용접되는 위치로 이동한 후에 용접을 실시하여야 함에 따라 연속적인 공정의 진행이 어려워 공정의 차질이 발생되고, 용접 작업으로 인해 압연기를 거친 얇은 스트립이 천공되면 복수회 용접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며, 용접 후에도 돌출된 부분이 스트립이나 롤러에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차적인 작업이 수행되어야 함에 따라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롤러의 교환, 절단, 판파단 등의 원인으로 이분할된 스트립을 한번의 삽입으로 물리적으로 고정되면서 권취 시에 경첩 형태로 접히면서 상호 연결되어 있는 스트립이 롤러 형태로 감길 수 있어 협소한 장소에서 연결이 가능하고, 연결 후에도 연속적으로 공정이 진행될 수 있는 스트립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연결 장치는 이분할되어 한쪽과 다른 쪽의 스트립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스트립이 위치한 일측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일측 방향이 개방된 제1 삽입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삽입 공간의 상기 스트립 삽입 시 상기 스트립의 바깥쪽 방향으로 일부가 개방되도록 관통된 제1 가압 공간을 가지는 제1 연결 몸체, 상기 제1 연결 몸체의 타측에 복수로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떨어진 제1 연결홈이 형성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제1 연결 돌기, 다른 쪽의 상기 스트립이 위치한 타측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타측 방향이 개방된 제2 삽입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2 삽입 공간의 상기 스트립 삽입 시 상기 스트립의 바깥 쪽 방향으로 일부가 개방되도록 관통된 제2 가압 공간을 가지는 제2 연결 몸체, 상기 제2 연결 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홈에 삽입되면서 서로 떨어져 상기 제1 연결 돌기가 삽입되는 제2 연결홈이 형성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제2 연결 돌기, 상기 제1 연결 돌기와 상기 제2 연결 돌기가 힌지 결합되도록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 몸체와 상기 제2 연결 몸체가 회전되는 중심이 되는 힌지 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1 연결 몸체와 상기 제2 연결 몸체의 바깥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압 공간과 상기 제2 가압 공간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삽입 공간과 상기 제2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이분할된 각각의 상기 스트립이 탄성에 의해 가압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이분할된 상기 스트립은 탄성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상기 가압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1 삽입 공간과 제2 삽입 공간에 한쪽과 다른 쪽의 상기 스트립이 각각 삽입되면서 가압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 몸체와 상기 제2 연결 몸체는 이분할된 상기 스트립이 각각 삽입되어 가압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연결 몸체와 상기 제2 연결 몸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 몸체에 한쪽의 상기 스트립이 삽입되는 방향이 개방된 상기 제1 삽입 공간은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인 양측이 개방되고 타측과 상기 스트립의 길이 방향의 안쪽과 바깥쪽이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 몸체에 다른 쪽의 상기 스트립이 삽입되는 방향이 개방된 상기 제2 삽입 공간은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인 양측이 개방되고 타측과 상기 스트립의 길이 방향의 안쪽과 바깥쪽이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삽입 공간은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이 개방되어 한쪽과 다른 쪽의 상기 스트립의 폭이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몸체보다 넓어도 삽입 고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 몸체에는 상기 제1 삽입 공간의 폐쇄된 바깥측의 중앙 위치로 관통된 상기 제1 가압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1 가압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 몸체에는 상기 제2 삽입 공간의 폐쇄된 바깥측의 중앙 위치로 관통된 상기 제2 가압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2 가압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압 공간의 중앙으로 이분할 시키도록 배치되어 안쪽으로 상기 제1 가압공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제1 격벽공을 가지는 제1 가압 격벽,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가압 공간의 중앙으로 이분할 시키도록 배치되어 안쪽으로 상기 제2 가압공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제2 격벽공을 가지는 제2 가압 격벽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가압 격벽과 상기 제2 가압 격벽으로 분할되어 있는 상기 제1 가압 공간과 상기 제2 가압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한쪽 또는 다른 쪽에 스트립을 분할된 공간에서 각각 가압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연결 몸체의 바깥 면에는 상기 제1 가압공에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의 한쪽 면으로 기 설정된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제1 탄성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 몸체의 바깥 면에는 상기 제2 가압공에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의 한쪽 면으로 기 설정된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제2 탄성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몸체의 바깥 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압 격벽으로 이분할된 상기 제1 가압 공간과 상기 제2 가압 격벽으로 이분할된 상기 제2 삽입 공간의 분할되어 있는 각각의 공간 안쪽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 가압공과 상기 제1 격벽공 및 상기 제2 가압공과 상기 제2 격벽공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가압 작동공을 가지는 가압 몸체,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몸체의 바깥 면에 각각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압공과 상기 제1 격벽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 가압공과 상기 제2 격벽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가압 작동공에 상기 가압 몸체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탄성 삽입홈 방향으로 작동 탄성 삽입홈을 가지는 작동축,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몸체의 바깥 방향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제1 및 제2 탄성 삽입홈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및 제2 가압공에 각각 삽입되는 상기 작동축의 상기 작동 탄성 삽입홈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상기 작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가압 몸체가 상기 스트립이 가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 몸체는 상기 탄성체로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몸체와 탄성 결합되어 있는 상기 작동축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삽입 공간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이분할된 상기 스트립을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가압 고정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압 몸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삽입 공간 방향의 상기 스트립을 가압 고정하도록 접촉되는 면으로 미끄럼이 방지되는 격자 형태의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압 몸체의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가압 공간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가압 격벽으로 이분할된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상기 가압 몸체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인 상기 힌지 연결부 방향으로 편심된 반호 형태로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편심형 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분할된 상기 스트립은 상기 탄성체의 작용에 의해 상기 가압 몸체로 가압 고정 시에 상기 미끄럼 방지부에 접촉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면서 상기 편심형 돌기에 형상에 의해 쉽게 삽입된 후에 돌출 부분이 걸리면서 지지력이 향상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 몸체에는 상기 제1 가압공의 상기 스트립 폭 방향 양끝으로 각각 제1 작동축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 몸체에는 상기 제2 가압공의 상기 스트립 폭 방향 양끝으로 각각 제2 작동축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작동축의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축이 상기 제1 및 제2 가압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작동축 고정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작동축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작동 고정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 몸체의 안쪽에는 상기 작동축이 삽입되는 상기 가압 작동공의 안쪽면으로 복수의 각을 가지는 다각 형태의 가압 다각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작동축의 바깥 둘레에는 상기 가압 작동공이 삽입되는 위치에 상기 가압 다각부에 지지되도록 대응되는 복수의 각을 가지는 축 다각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가압 다각부와 상기 축 다각부가 상호 지지되어 상기 작동축의 회전 시에 상기 가압 몸체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탄성체로 가압 시에 상기 작동축으로 상기 가압 몸체를 상기 스트립 방향으로 가압시킨 후에 가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작동축은 이분할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압공의 상기 스트립 폭 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 격벽공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분할되어 상기 제1 및 제2 격벽공에 내부에 삽입되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작동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작동 연결홈의 안쪽면에는 복수의 각을 가지는 다각 형태의 연결홈 다각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축의 상기 스트립 폭 방향 양끝 안쪽에는 상기 작동축을 외부에서 회전 작동되도록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분할된 상기 작동축을 상호 연결하고 있으며,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각각 형성된 상기 작동 연결홈에 각각 삽입되어 바깥 둘레에 상기 연결홈 다각부에 지지되도록 대응되는 복수의 각이 형성된 연결체 다각부를 가지는 연결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체는 이분할되어 있는 상기 작동축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연결홈 다각부와 상기 연결체 다각부가 상호 지지되어 이분할된 상기 작동축이 연결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상기 공구 삽입홈은 상기 공구를 삽입하여 작동하게 되면 상기 탄성체의 탄성에 의해서 이분할된 상기 스트립을 각각 가압 고정하고 있는 상기 가압 몸체의 가압 고정력을 해제되도록 상기 작동축을 작동시켜 가압 고정된 상기 스트립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상기 공구의 삽입 해제하면 탄성에 의해 가압되는 원위치로 복귀되어 다시 상기 스트립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 연결 돌기의 안쪽에는 상기 제1 연결홈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제1 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공의 양쪽 끝의 안쪽 면에는 축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 돌기의 안쪽에는 제2 연결홈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제2 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 돌기와 상기 제2 연결 돌기를 힌지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연결공과 상기 제2 연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 몸체와 상기 제2 연결 몸체가 힌지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힌지 연결축, 및 상기 제1 연결 돌기의 양쪽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축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 연결축이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링형태로 구비된 힌지 고정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연결축은 상기 제1 연결공과 상기 제2 연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 고정링으로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기 제1 연결 몸체와 상기 제2 연결 몸체를 힌지 결합시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분할된 스트립이 삽입되면 각각 가압 고정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스트립을 냉연 및 도금 공정 상의 협소한 장소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고, 한번의 삽입으로 바로 고정됨에 따라 설치 시간도 단축되며, 이분할된 스트립을 각각 삽입 설치할 수 있어 인력의 소모가 축소되어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연결 장치는 양측으로 각각 이분할된 스트립이 가압 연결된 상태에서 중앙 위치가 경첩 형태로 접히도록 구비되어 있어 스트립이 연결 장치로 연결된 상태에서 롤러의 곡률에 따라 절첩될 수 있어 연결한 후에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연결 장치는 스트립이 삽입된 후에 가압 시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트립이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편심되어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표면이 가공된 가압체가 설치되어 있어 스트립의 한번의 삽입으로 탄성력에 의해 외부 이탈이 방지되도록 가압 고정되고, 가공체의 공구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공구를 이용하여 스트립을 연결 장치에서 제거하도록 고정이 해제됨에 따라 스트립의 고정력이 향상되며, 필요에 따라 스트립을 제거할 수 있어 다른 스트립의 연결에 다시 사용될 수 있어 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트립 연결 장치가 조립된 상태로 스트립이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스트립 연결 장치에 스트립을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스트립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스트립 연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 정면도.
도 6은 도 1의 스트립 연결 장치로 스트립을 연결하여 롤러에 감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연결 장치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트립 연결 장치가 조립된 상태로 스트립이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스트립 연결 장치에 스트립을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스트립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스트립 연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스트립 연결 장치로 스트립을 연결하여 롤러에 감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연결 장치(100)는 롤러의 교환, 절단, 판파단 등의 원인으로 이분할되어 한쪽과 다른 쪽의 스트립(10)을 연결하는 장치이다. 스트립 연결 장치(100)는 한쪽의 스트립(10)이 삽입 고정되는 제1 연결부(110), 제2 연결부(120), 힌지 연결부(130), 그리고 가압부(140)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110)는 한쪽의 스트립(10)이 고정되도록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연결 몸체(111), 제1 가압 격벽(116), 그리고 제1 연결 돌기(117)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몸체(111)는 한쪽의 스트립(10)이 위치한 일측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일측 방향과 스트립(10)의 폭 방향인 양측이 개방되고 타측과 스트립(10)의 길이 방향의 안쪽과 바깥쪽이 폐쇄된 제1 삽입 공간(112)을 가진다. 제1 삽입 공간(112)은 한쪽의 스트립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일측이 개방되고, 스트립(10)이 폭 방향의 양측이 개방되어 있어 제1 연결 몸체(111)보다 폭이 큰 스트립(10)도 삽입 고정되어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연결 몸체(111)의 제1 삽입 공간(112)이 형성되도록 폐쇄된 스트립(10)의 바깥쪽 방향에는 일부가 개방되도록 관통된 제1 가압 공간(11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압 공간(113)은 제1 삽입 공간(112)에 삽입되는 한쪽의 스트립(10)을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부(140)가 안쪽에 배치되도록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립제1 연결 몸체(111)에는 제1 삽입 공간(112)의 폐쇄된 바깥 측의 중앙 위치로 관통된 제1 가압 공간(113)과 연통되도록 스트립(10)의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1 가압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가압공(114)의 스트립(10) 폭 방향 양끝으로 제1 작동축 고정홈(114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압공(114)과 제1 작동축 고정홈(114a)은 한쪽의 스트립(10)을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부(140)가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1 연결 몸체(111)의 바깥 면에는 제1 가압공(114)에 스트립(10)의 폭 방향의 한쪽 면으로 기 설정된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제1 탄성 삽입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탄성 삽입홈(115)은 한쪽의 스트립(10)을 가압 고정시키는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가압부(140)가 삽입 설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압 격벽(116)은 제1 연결 몸체(11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가압 공간(113)의 중앙으로 이분할 시키도록 배치되어 안쪽으로 제1 가압공(114)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제1 격벽공(116a)을 가진다. 제1 가압 격벽(116)은 제1 가압 공간(113)을 이분할하여 분할된 위치에 각각 가압부(140)가 설치되어 분할된 위치에서 한쪽의 스트립(10)이 가압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연결 돌기(117)는 제1 연결 몸체(111)의 타측에 복수로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떨어진 제1 연결홈(118)이 형성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제1 연결 돌기(117)는 제1 연결홈(118) 간격으로 복수로 돌출되어 제2 연결부(120)와 경첩 형태로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연결 돌기(117)의 안쪽에는 제1 연결홈(118)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제1 연결공(117a)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연결공(117a)의 양쪽 끝의 안쪽 면에는 축 고정홈(119)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공(117a)은 제1 연결 몸체(111)와 제2 연결 몸체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 연결부(13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축 고정홈(119)은 삽입된 힌지 연결부(13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부(120)는 다른쪽의 스트립(10)이 고정되도록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연결 몸체(121), 제2 가압 격벽(126), 그리고 제2 연결 돌기(127)를 포함한다. 제2 연결 몸체(121)는 다른 쪽의 스트립이 위치한 타측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타측 방향과 스트립(10)의 폭 방향인 양측이 개방되고 일측과 스트립(10)의 길이 방향의 안쪽과 바깥쪽이 폐쇄된 제2 삽입 공간(122)을 가진다. 제2 삽입 공간(122)은 다른 쪽의 스트립(10)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일측이 개방되고, 스트립(10)이 폭 방향의 양측이 개방되어 있어 제2 연결 몸체(121)보다 폭이 큰 스트립(10)도 삽입 고정되어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연결 몸체(111, 121)의 제1 및 제2 삽입 공간(112, 122)은 스트립(10)의 폭 방향이 각각 개방되어 있어 제1 및 제2 연결 몸체(111, 121)의 폭보다 큰 폭의 스트립(10)이 삽입 고정되어 연결 시킬 수 있고,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스트립(10)을 연결할 수 있으며, 스트립(10)의 폭이 클 경우에는 연결 장치(100)를 복수로 배열하여 연결 시킬 수도 있음에 따라 활용도가 향상된다.
또한, 제2 연결 몸체(121)의 제2 삽입 공간(122)이 형성되도록 폐쇄된 스트립(10)의 바깥쪽 방향에는 일부가 개방되도록 관통된 제2 가압 공간(12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압 공간(123)은 제2 삽입 공간(122)에 삽입되는 다른 쪽의 스트립(10)을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부(140)가 안쪽에 배치되도록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립제2 연결 몸체(121)에는 제2 삽입 공간(122)의 폐쇄된 바깥 측의 중앙 위치로 관통된 제2 가압 공간(123)과 연통되도록 스트립(10)의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2 가압공(1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가압공(124)의 스트립(10) 폭 방향 양끝으로 제2 작동축 고정홈(124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압공(124)과 제2 작동축 고정홈(124a)은 다른 쪽의 스트립(10)을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부(140)가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2 연결 몸체(121)의 바깥 면에는 제2 가압공(124)에 스트립(10)의 폭 방향의 한쪽 면으로 기 설정된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제2 탄성 삽입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탄성 삽입홈(125)은 다른 쪽의 스트립(10)을 가압 고정시키는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가압부(140)가 삽입 설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압 격벽(126)은 제2 연결 몸체(12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가압 공간(123)의 중앙으로 이분할 시키도록 배치되어 안쪽으로 제2 가압공(124)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제2 격벽공(126a)을 가진다. 제2 가압 격벽(126)은 제2 가압 공간(123)을 이분할하여 분할된 위치에 각각 가압부(140)가 설치되어 분할된 위치에서 다른 쪽의 스트립(10)이 가압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연결 돌기(127)는 제2 연결 몸체(121)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제1 연결홈(118)에 삽입되면서 서로 떨어져 제1 연결 돌기(117)가 삽입되는 제2 연결홈(128)이 형성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제2 연결 돌기(127)는 제2 연결홈(128) 간격으로 복수로 돌출되어 제1 연결홈(118)에 삽입되고, 제2 연결홈(128)에는 제1 연결 돌기(117)가 각각 삽입되어 제1 연결 몸체(111)와 제2 연결 몸체(121)가 경첩 형태로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연결 돌기(127)의 안쪽에는 제2 연결홈(128) 방향으로 제1 연결공(117a)과 연통되는 위치에 관통된 제2 연결공(127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공(127a)은 제1 연결공(117a)과 관통된 위치에 형성되어 힌지 연결부(130)가 삽입되어 제1 연결 몸체(111)와 제2 연결 몸체(121)가 힌지 결합된다.
즉, 제1 연결 몸체(111)와 제2 연결 몸체(121)는 이분할된 스트립(10)이 각각 삽입되어 가압 고정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연결공(127a)에 삽입되어 있는 힌지 연결부(13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설치 위치에 따라 제1 연결 몸체(111)와 제2 연결 몸체(12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힌지 연결부(130)는 제1 연결 몸체(111)와 제2 연결 몸체(121)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 연결축(131), 및 힌지 고정링(132)을 포함한다. 힌지 연결축(131)은 제1 연결 돌기(117)와 제2 연결 돌기(127)를 힌지 결합하고 있으며, 제1 연결공(117a)과 제2 연결공(127a)에 삽입되어 제1 연결 몸체(111)와 제2 연결 몸체(121)가 힌지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연결 몸체(111)와 제2 연결 몸체(121)는 힌지 연결축(13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이분할된 스트립(10)이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롤러와 같은 원통 형상에 권취되어도 롤러의 바깥 둘레의 곡률에 따라 회전되면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힌지 고정링(132)은 제1 연결 돌기(117)의 양쪽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축 고정홈(119)에 삽입되어 힌지 연결축(131)이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링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힌지 고정링(132)은 힌지 연결축(131)이 제1 연결 돌기(117)의 삽입 설치되어 제1 및 제2 연결공(127a)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힌지 고정링(132)은 통상의 스냅 링 형태로 구비되어 힌지 연결축(131)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힌지 연결축(131)은 제1 연결공(117a)과 제2 연결공(127a)에 삽입되어 힌지 고정링(132)으로 이탈이 방지되면서 제1 연결 몸체(111)와 제2 연결 몸체(121)를 힌지 결합시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가압부(140)는 제1 및 제2 연결 몸체(111, 121)의 가압되는 위치에 배치된 가압 몸체(141), 작동축(143), 탄성체(147), 작동 고정링(148), 그리고 연결체(149)를 포함한다. 가압 몸체(141)는 제1 및 제2 연결 몸체(111, 121)의 바깥 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가압 격벽(116)으로 이분할된 제1 가압 공간(113)과 제2 가압 격벽(126)으로 이분할된 제2 삽입 공간(122)의 분할되어 있는 각각의 공간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가압 몸체(141)는 제1 가압 격벽(116)으로 이분할된 제1 가압 공간(113)에 각각 배치되고, 제2 가압 격벽(126)으로 이분할된 제2 가압 공간(123)에 각각 배치되어 한쪽과 다른 쪽에 각각 삽입되는 스트립(10)이 가압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압 몸체(141)에는 제1 및 제2 삽입 공간(112, 122) 방향의 스트립(10)을 가압 고정하도록 접촉되는 면으로 미끄럼이 방지되는 격자 형태의 미끄럼 방지부(141a)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부(141a)는 한쪽 또는 다른 쪽의 스트립(10)의 접촉되는 면에 스트립(10)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미끄럼 방지부(141a)는 가압 몸체(141)의 표면에 널링 가공 또는 스크래치 가공을 통해서 접촉되는 면적이 확대되어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 몸체(141)의 서로 마주 보는 방향에는 제1 및 제2 가압 공간(123)에서 제1 및 제2 가압 격벽(126)으로 이분할된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가압 몸체(141)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인 힌지 연결축(131) 방향으로 편심된 반호 형태로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편심형 돌기(141b)가 구비되어 있다. 편심형 돌기(141b)는 편심된 원 형태인 캠 형상의 4분의 1 형상인 편심된 반호 형태로 구비되어 탄성력의 작용으로 제1 및 제2 삽입 공간(112, 122)의 폐쇄된 안쪽 면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스트립(10)이 삽입되면 힌지 연결축(131) 방향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는 편심형 돌기(141b)를 통과하면서 쉽게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편심형 돌기(141b)에 걸리면서 빠지는 것을 억제함에 따라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이분할된 스트립(10)은 탄성 작용에 의해 가압 몸체(141)로 가압 고정 시에 미끄럼 방지부(141a)에 접촉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면서 편심형 돌기(141b)에 형상에 의해 쉽게 삽입된 후에 돌출 부분이 걸리면서 지지력이 향상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가압 몸체(141)의 안쪽에는 제1 가압공(114)과 제1 격벽공(116a) 및 제2 가압공(124)과 제2 격벽공(126a)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가압 작동공(142)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 작동공(142)은 작동축(143)이 삽입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압 작동공(142)의 안쪽 면에는 작동축(143)이 삽입되는 복수의 각을 가지는 다각 형태의 가압 다각부(142a)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 다각부(142a)는 복수의 각을 가지는 다각 형상으로 작동축(143)이 다각 부분에서 지지되면서 가압 몸체(141)와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작동축(143)은 제1 및 제2 연결 몸체(111, 121)의 바깥 면에 각각 삽입되어 있으며, 제1 가압공(114)과 제1 격벽공(116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 가압공(124)과 제2 격벽공(126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가압 작동공(142)에 가압 몸체(141)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작동축(143)의 제1 및 제2 탄성 삽입홈(115, 125) 방향으로 작동 탄성 삽입홈(144)을 가진다. 작동 탄성 삽입홈(144)은 작동축(143)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탄성체(147)가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축(143)의 바깥 둘레에는 가압 작동공(142)이 삽입되는 위치에 가압 다각부(142a)에 지지되도록 대응되는 복수의 각을 가지는 축 다각부(143a)가 형성되어 있어 가압 다각부(142a)와 축 다각부(143a)가 상호 지지되어 작동축(143)의 회전 시에 가압 몸체(141)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작동축(143)은 이분할되어 제1 및 제2 가압공(114, 124)의 스트립(10)의 폭 방향의 양측에서 제1 및 제2 격벽공(126a)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분할되어 상기 제1 및 제2 격벽공(126a)에 내부에 삽입되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작동 연결홈(145)이 형성되어 있고, 작동 연결홈(145)의 안쪽면에는 복수의 각을 가지는 다각 형태의 연결홈 다각부(145a)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 연결홈(145)은 연결체(149)가 삽입되어 이분할된 작동축(143)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연결홈 다각부(145a)는 연결체(149)에 상호 지지되어 이분할된 작동축(143)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작동축(143)의 스트립(10) 폭 방향 양끝 안쪽에는 작동축(143)을 외부에서 회전 작동되도록 공구(20)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홈(146)이 형성되어 있다. 공구 삽입홈(146)은 공구(20)를 삽입하여 작동하게 되면 탄성체(147)의 탄성에 의해서 이분할된 스트립(10)을 각각 가압 고정하고 있는 가압 몸체(141)의 가압 고정력을 해제되도록 작동축(143)을 작동시켜 가압 고정된 스트립(10)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공구(20)의 삽입 해제하면 탄성에 의해 가압되는 원위치로 복귀되어 다시 스트립(10)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다.
탄성체(147)는 제1 및 제2 연결 몸체(111, 121)의 바깥 방향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제1 및 제2 탄성 삽입홈(115, 125)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타측이 제1 및 제2 가압공(114, 124)에 각각 삽입되는 작동축(143)의 작동 탄성 삽입홈(144)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작동축(143)과 함께 회전되는 가압 몸체(141)가 스트립(10)이 가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가압 몸체(141)는 탄성체(147)로 제1 및 제2 연결 몸체(111, 121)와 탄성 결합되어 있는 작동축(143)과 함께 회전되어 제1 및 제2 삽입 공간(112, 122)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이분할된 스트립(10)을 탄성체(147)의 탄성력으로 가압 고정시킬 수 있다.
작동 고정링(148)은 작동축(143)의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작동축(143)이 제1 및 제2 가압공(114, 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작동축 고정홈(114a, 124a)에 각각 삽입되어 작동축(143)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작동 고정링(148)은 작동축(143)이 가압 몸체(141)와 제1 및 제2 연결 몸체(111, 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작동 고정링(148)은 통상의 스냅 링 형태로 구비되어 작동축(143)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체(149)는 이분할된 작동축(143)을 상호 연결하고 있으며,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각각 형성된 작동 연결홈(145)에 각각 삽입되어 바깥 둘레에 연결홈 다각부(145a)에 지지되도록 대응되는 복수의 각이 형성된 연결체 다각부(149a)를 가진다. 연결체(149)는 이분할되어 있는 작동축(143)을 상호 연결하면서 연결홈 다각부(145a)와 연결체 다각부(149a)가 상호 지지되어 이분할된 작동축(143)이 연결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작동축(143)은 탄성체(147)가 결합되어 스트립(10)이 가압 지지되도록 가압 몸체(141)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스트립(10)의 고정하는 탄성력과 연결 후 스트립(10)의 유동으로 발생되는 하중이 집중되고, 연결 시에는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에 따라 작동축(143)을 이분할하여 연결체(149)로 연결 시켜 각각 하중이 분할되면서 강도를 향상시킴에 따라 하나의 작동축(143)을 사용하는 것보다 작은 직경으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연결 장치110 : 제1 연결부
111 : 제1 연결 몸체112 : 제1 삽입 공간
113 : 제1 가압 공간114 : 제1 가압공
114a : 제1 작동축 고정홈115 : 제1 탄성 삽입공
116 : 제1 가압 격벽116a : 제1 격벽공
117 : 제1 연결 돌기117a : 제1 연결공
118 : 제1 연결홈119 : 축 고정홈
120 : 제2 연결부121 : 제2 연결 몸체
122 : 제2 삽입 공간123 : 제2 가압 공간
124 : 제2 가압공124a : 제2 작동축 고정홈
125 : 제2 탄성 삽입공126 : 제2 가압 격벽
126a : 제2 격벽공127 : 제2 연결 돌기
127a : 제2 연결공128 : 제2 연결홈
130 : 힌지 연결부131 : 힌지 연결축
132 : 힌지 고정링140 : 가압부
141 : 가압 몸체141a : 미끄럼 방지부
141b : 편심형 돌기142 : 가압 작동공
142a : 가압 다각부143 : 작동축
143a : 축 다각부144 : 작동 탄성 삽입홈
145 : 작동 연결홈145a : 연결홈 다각부
146 : 공구 삽입홈147 : 탄성체
148 : 작동 고정링149 : 연결체
149a : 연결체 다각부

Claims (9)

  1. 이분할되어 한쪽과 다른 쪽의 스트립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스트립이 위치한 일측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일측 방향이 개방된 제1 삽입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삽입 공간의 상기 스트립 삽입 시 상기 스트립의 바깥쪽 방향으로 일부가 개방되도록 관통된 제1 가압 공간을 가지는 제1 연결 몸체,
    상기 제1 연결 몸체의 타측에 복수로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떨어진 제1 연결홈이 형성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제1 연결 돌기,
    다른 쪽의 상기 스트립이 위치한 타측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타측 방향이 개방된 제2 삽입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2 삽입 공간의 상기 스트립 삽입 시 상기 스트립의 바깥 쪽 방향으로 일부가 개방되도록 관통된 제2 가압 공간을 가지는 제2 연결 몸체,
    상기 제2 연결 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홈에 삽입되면서 서로 떨어져 상기 제1 연결 돌기가 삽입되는 제2 연결홈이 형성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제2 연결 돌기,
    상기 제1 연결 돌기와 상기 제2 연결 돌기가 힌지 결합되도록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 몸체와 상기 제2 연결 몸체가 회전되는 중심이 되는 힌지 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1 연결 몸체와 상기 제2 연결 몸체의 바깥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압 공간과 상기 제2 가압 공간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삽입 공간과 상기 제2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이분할된 각각의 상기 스트립이 탄성에 의해 가압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압부
    를 포함하며,
    이분할된 상기 스트립은 탄성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상기 가압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1 삽입 공간과 제2 삽입 공간에 한쪽과 다른 쪽의 상기 스트립이 각각 삽입되면서 가압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 몸체와 상기 제2 연결 몸체는 이분할된 상기 스트립이 각각 삽입되어 가압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연결 몸체와 상기 제2 연결 몸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트립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몸체에 한쪽의 상기 스트립이 삽입되는 방향이 개방된 상기 제1 삽입 공간은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인 양측이 개방되고 타측과 상기 스트립의 길이 방향의 안쪽과 바깥쪽이 폐쇄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연결 몸체에 다른 쪽의 상기 스트립이 삽입되는 방향이 개방된 상기 제2 삽입 공간은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인 양측이 개방되고 타측과 상기 스트립의 길이 방향의 안쪽과 바깥쪽이 폐쇄되도록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삽입 공간은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이 개방되어 한쪽과 다른 쪽의 상기 스트립의 폭이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몸체보다 넓어도 삽입 고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스트립 연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몸체에는 상기 제1 삽입 공간의 폐쇄된 바깥측의 중앙 위치로 관통된 상기 제1 가압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1 가압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연결 몸체에는 상기 제2 삽입 공간의 폐쇄된 바깥측의 중앙 위치로 관통된 상기 제2 가압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2 가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연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압 공간의 중앙으로 이분할 시키도록 배치되어 안쪽으로 상기 제1 가압공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제1 격벽공을 가지는 제1 가압 격벽,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가압 공간의 중앙으로 이분할 시키도록 배치되어 안쪽으로 상기 제2 가압공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제2 격벽공을 가지는 제2 가압 격벽
    을 더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가압 격벽과 상기 제2 가압 격벽으로 분할되어 있는 상기 제1 가압 공간과 상기 제2 가압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한쪽 또는 다른 쪽에 스트립을 분할된 공간에서 각각 가압 고정할 수 있는
    스트립 연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연결 몸체의 바깥 면에는 상기 제1 가압공에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의 한쪽 면으로 기 설정된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제1 탄성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연결 몸체의 바깥 면에는 상기 제2 가압공에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의 한쪽 면으로 기 설정된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제2 탄성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몸체의 바깥 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압 격벽으로 이분할된 상기 제1 가압 공간과 상기 제2 가압 격벽으로 이분할된 상기 제2 삽입 공간의 분할되어 있는 각각의 공간 안쪽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 가압공과 상기 제1 격벽공 및 상기 제2 가압공과 상기 제2 격벽공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가압 작동공을 가지는 가압 몸체,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몸체의 바깥 면에 각각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압공과 상기 제1 격벽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 가압공과 상기 제2 격벽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가압 작동공에 상기 가압 몸체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탄성 삽입홈 방향으로 작동 탄성 삽입홈을 가지는 작동축,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몸체의 바깥 방향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제1 및 제2 탄성 삽입홈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및 제2 가압공에 각각 삽입되는 상기 작동축의 상기 작동 탄성 삽입홈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상기 작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가압 몸체가 상기 스트립이 가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탄성체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몸체는 상기 탄성체로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몸체와 탄성 결합되어 있는 상기 작동축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삽입 공간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이분할된 상기 스트립을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가압 고정시킬 수 있는
    스트립 연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몸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삽입 공간 방향의 상기 스트립을 가압 고정하도록 접촉되는 면으로 미끄럼이 방지되는 격자 형태의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 몸체의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가압 공간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가압 격벽으로 이분할된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상기 가압 몸체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인 상기 힌지 연결부 방향으로 편심된 반호 형태로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편심형 돌기를 더 구비하며,
    이분할된 상기 스트립은 상기 탄성체의 작용에 의해 상기 가압 몸체로 가압 고정 시에 상기 미끄럼 방지부에 접촉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면서 상기 편심형 돌기에 형상에 의해 쉽게 삽입된 후에 돌출 부분이 걸리면서 지지력이 향상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스트립 연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몸체에는 상기 제1 가압공의 상기 스트립 폭 방향 양끝으로 각각 제1 작동축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연결 몸체에는 상기 제2 가압공의 상기 스트립 폭 방향 양끝으로 각각 제2 작동축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축의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축이 상기 제1 및 제2 가압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작동축 고정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작동축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작동 고정링을 더 구비하는 스트립 연결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몸체의 안쪽에는 상기 작동축이 삽입되는 상기 가압 작동공의 안쪽면으로 복수의 각을 가지는 다각 형태의 가압 다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축의 바깥 둘레에는 상기 가압 작동공이 삽입되는 위치에 상기 가압 다각부에 지지되도록 대응되는 복수의 각을 가지는 축 다각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가압 다각부와 상기 축 다각부가 상호 지지되어 상기 작동축의 회전 시에 상기 가압 몸체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탄성체로 가압 시에 상기 작동축으로 상기 가압 몸체를 상기 스트립 방향으로 가압시킨 후에 가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스트립 연결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은 이분할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압공의 상기 스트립 폭 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 격벽공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분할되어 상기 제1 및 제2 격벽공에 내부에 삽입되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작동 연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 연결홈의 안쪽면에는 복수의 각을 가지는 다각 형태의 연결홈 다각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축의 상기 스트립 폭 방향 양끝 안쪽에는 상기 작동축을 외부에서 회전 작동되도록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분할된 상기 작동축을 상호 연결하고 있으며,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각각 형성된 상기 작동 연결홈에 각각 삽입되어 바깥 둘레에 상기 연결홈 다각부에 지지되도록 대응되는 복수의 각이 형성된 연결체 다각부를 가지는 연결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체는 이분할되어 있는 상기 작동축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연결홈 다각부와 상기 연결체 다각부가 상호 지지되어 이분할된 상기 작동축이 연결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상기 공구 삽입홈은 상기 공구를 삽입하여 작동하게 되면 상기 탄성체의 탄성에 의해서 이분할된 상기 스트립을 각각 가압 고정하고 있는 상기 가압 몸체의 가압 고정력을 해제되도록 상기 작동축을 작동시켜 가압 고정된 상기 스트립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상기 공구의 삽입 해제하면 탄성에 의해 가압되는 원위치로 복귀되어 다시 상기 스트립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는
    스트립 연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돌기의 안쪽에는 상기 제1 연결홈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제1 연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연결공의 양쪽 끝의 안쪽 면에는 축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연결 돌기의 안쪽에는 제2 연결홈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제2 연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 돌기와 상기 제2 연결 돌기를 힌지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연결공과 상기 제2 연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 몸체와 상기 제2 연결 몸체가 힌지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힌지 연결축, 및
    상기 제1 연결 돌기의 양쪽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축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 연결축이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링형태로 구비된 힌지 고정링
    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연결축은 상기 제1 연결공과 상기 제2 연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 고정링으로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기 제1 연결 몸체와 상기 제2 연결 몸체를 힌지 결합시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스트립 연결 장치.
KR20100136833A 2010-12-28 2010-12-28 스트립 연결 장치 KR101171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6833A KR101171611B1 (ko) 2010-12-28 2010-12-28 스트립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6833A KR101171611B1 (ko) 2010-12-28 2010-12-28 스트립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864A true KR20120074864A (ko) 2012-07-06
KR101171611B1 KR101171611B1 (ko) 2012-08-07

Family

ID=4670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36833A KR101171611B1 (ko) 2010-12-28 2010-12-28 스트립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338A (ko) *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연결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851B1 (ko) * 2013-03-20 2015-02-16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연결 장치
KR101510277B1 (ko) * 2013-06-18 2015-04-14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의 측면을 지지하는 롤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6630A (en) 1979-12-18 1981-07-14 Kawasaki Steel Corp Connecting method of plate material
JPH1099904A (ja) 1996-09-30 1998-04-21 Kawasaki Steel Corp 極薄金属帯の圧延機における通板方法および通板治具
KR100560808B1 (ko) 2001-09-11 2006-03-14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헤드부 권취용 랩퍼의 벨트 결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338A (ko) *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연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611B1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611B1 (ko) 스트립 연결 장치
US20180180079A1 (en) Connecting device between components of a piece of furnitur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id device
CN102308103A (zh) 铰链机构
US8277368B2 (en) Folding machine and knife holder for a knife shaft of a folding machine
WO2017103033A1 (de) Schalungsankeraufnahme
JPH01190411A (ja) 衝打型切削機のカッタ
ITTO960386A1 (it) Elemento di minuteria per mobili.
KR20170102763A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
DK2946448T3 (en) STRUCTURE FOR THE CABINET
JP2013002251A (ja) グレーチング及びその組立方法
JPH08187676A (ja) ローラチェーンの分解装置と接続装置と分解接続装置
US9919399B2 (en) Roll polisher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64585A (ko) 철근체결장치
KR100759763B1 (ko) 절첩식 빨래 건조대 조립용 펀칭장치.
US7552609B2 (en) Piercing device of hydroforming mold
EP1432557A1 (en) Die cutter blanket-anvil locking arrangement
KR20050112516A (ko) 프레임 연결장치
CN109175054B (zh) 内旋式旋压机
KR20130098349A (ko) 경사진 고정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리벳 및 그의 방법
JPH11319596A (ja) ロール解砕機
JP2004216400A (ja) 溶接用電極チップの取り外し工具
KR200402303Y1 (ko) 프레임 연결장치
US11414804B2 (en) Washing machine drum assembly,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206763624U (zh) 挤压机的上棒机械手料斗
JP4717997B2 (ja) ワイ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