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2763A -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2763A
KR20170102763A KR1020160025304A KR20160025304A KR20170102763A KR 20170102763 A KR20170102763 A KR 20170102763A KR 1020160025304 A KR1020160025304 A KR 1020160025304A KR 20160025304 A KR20160025304 A KR 20160025304A KR 20170102763 A KR20170102763 A KR 20170102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er
steel pipe
pressing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김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호 filed Critical 김종호
Priority to KR1020160025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2763A/ko
Publication of KR2017010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 B21D17/025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by pressing tubes axi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8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relatively to each other by friction or gri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2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devices to avoid accidental disengagement of the telescopic elements, e.g. during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시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파이프와, 상기 외관파이프에 끼워져 높이 조절되면서 고정되는 내관파이프로 이루어진 파이프 서포터에 있어서, 내, 외관파이프의 취약한 강성으로 인하여 상부 구조물의 하중에 의해 파이프 서포터가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 외관파이프에 내측으로 함몰된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PIPE SUPPORTER, MANUFACTURING METHOD OF PIPE SUPPORTER, PRESSING APPARATUS OF PIPE SUPPORTER, FORMING APPARATUS OF PIPE SUPPORTER}
본 발명은 건축 시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파이프와, 상기 외관파이프에 끼워져 높이 조절되면서 고정되는 내관파이프로 이루어진 파이프 서포터에 있어서, 내, 외관파이프의 취약한 강성으로 인하여 상부 구조물의 하중에 의해 파이프 서포터가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 외관파이프에 내측으로 함몰된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공사 현장에서 슬래브 거푸집 등의 구조물을 견고하게 받쳐주기 위하여 지주로 사용되는 장치를 건축용 서포터라 한다.
이러한 건축용 서포터는 설치 및 해체를 편리하도록 하고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높이(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 또는 방식이 적용되어 제작된다.
이중,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건축용 서포터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91531호와 같이, 강관으로 된 내관파이프와 외관파이프를 연결하여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사용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가 있다.
상기 파이프 서포터의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바닥면에 설치되는 외관파이프와, 상기 외관파이프에 끼워져 상부 구조물을 받치는 내관파이프와, 외관파이프와 내관파이프의 높이(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외관파이프와 내관파이프가 서로 받쳐지면서 연결되도록 하는 받침너트 및 상기 받침너트를 외관파이프의 소정 높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내, 외관파이프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고정핀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핀을 통해 받침너트가 지지되도록, 상기 외관파이프에는 외주면에 받침너트가 결합되는 나사부가 마련되고, 나사부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슬릿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관파이프에는 상기 슬릿홈을 통해 고정핀이 끼워지는 끼움공이 내관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파이프 서포터는 설치 시, 고정핀을 상기 슬릿홈과 상기 끼움공을 관통하도록 끼워, 받침너트의 상면에 고정핀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너트를 조이거나 풀면 내관파이프의 높이가 변위되어, 파이프 서포터의 전체 높이(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파이프 서포터의 경우, 고정핀을 위한 끼움공의 천공으로 인해 내관파이프의 강성이 취약해져, 구조물을 받칠 때 구조물의 하중에 의해 내관파이프가 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였다.
즉, 강관으로 된 내관파이프의 강성은, 오로지 내관파이프의 재질 및 내관파이프의 두께로 결정되는데, 끼움공을 천공하여 형성함에 따라, 끼움공 부위의 강성이 취약해져, 구조물의 하중이 일측으로 쏠리게 되면, 하중을 받는 방향으로 내관파이프가 휘거나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관파이프 역시 파이프 서포터의 경량화를 위해 두께를 얇게 하면 강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 외관파이프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자재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두꺼워지는 두께만큼 끼움공 천공 작업이 어려워지고, 파이프 서포터의 자체 무게가 늘어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관파이프와 내관파이프의 부위별 강성을 보강하여, 각 파이프의 두께를 적절하게 유지하면서도 구조물의 하중에 의해 파이프가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 파이프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이를 위한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 서포터가 사용될 구조물의 하중에 따라 보강부의 형상을 다르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내관파이프의 보강부로써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분절형 엠보 또는 내관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렬로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연속형 엠보를 포함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이를 위한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엠보로 이루어진 보강부의 프레싱 가공을 쉽게 하면서, 기성품의 강관을 구매하여 파이프 서포터를 제작하거나, 또는 강관을 직접 롤 성형하면서 파이프 서포터를 제작할 때, 각 제작 방식에 맞게 보강부의 엠보 성형이 이루어져 파이프 서포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이를 위한 건축용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외관파이프;
상기 외관파이프에 끼워져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외관파이프를 관통하는 고정핀이 끼워지는 복수개의 끼움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는 내관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관파이프 또는 상기 내관파이프 또는 이들 모두는,
각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이프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에서,
상기 내관파이프의 보강부는, 상기 끼움공의 양측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 보강부는 상기 내관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분절형 엠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에서,
상기 내관파이프의 보강부는, 상기 끼움공의 양측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 보강부는 상기 내관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하나의 연속형 엠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다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은,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A) 내관파이프로 사용될 강관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강관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한 쌍의 보강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강관의 측면 일부를 가압하는 엠보 성형 단계;
C) 상기 한 쌍의 보강부 사이에, 고정핀이 끼워지는 끼움공을 관통 형성하는 천공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는,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보강부를 엠보 성형할 수 있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에 있어서,
강관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지지되는 안착부를 구비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강관에 상기 보강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강관의 측면 일부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엠보 펀치를 구비한 프레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는,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보강부를 엠보 성형할 수 있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에 있어서,
강관이 이송되는 이송로 양측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이송되는 강관의 양측면이 접촉되는 안내면부와,
상기 강관에 상기 보강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안내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강관의 측면 일부를 가압하는 엠보 성형부를 구비한 한 쌍의 사이드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는, 외관파이프와 내관파이프에, 각 파이프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보강부가 구비됨에 따라 보강부가 파이프의 수평방향 일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항하는 일종의 보강살로 기능하여 파이프 서포터가 받치고 있는 구조물의 하중에 의해 파이프가 일측으로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는, 내관파이프에 끼움공을 천공하기 전에 한 쌍의 보강부를 먼저 엠보 성형함으로써 보강부 가공 시 끼움공 주위가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엠보 펀치를 구비한 프레싱부 또는 안내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엠보 성형부를 구비한 사이드롤러를 이용함으로써, 기성품인 강관을 구매하여 파이프 서포터를 제작하거나, 또는 조관기를 이용해 스트립을 직접 소성 변형시켜 강관으로 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에 상관없이, 각 제작방식에 맞게 보강부의 엠보 성형 작업이 빠르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1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1,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1, 제2 실시예를 함께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에 관한 블록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로 사용되는 절곡기를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도 10a, 도 10b 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로 사용되는 사이드롤러의 각 구현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로 사용되는 사이드롤러가 설치되는 조관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스트립 성형 장치의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서 외관파이프의 테이퍼부 가공 방법 및 테이퍼부 가공용 파이프 프레싱 금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도 8, 도 11a, 도 12a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S)는,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부의 구조물(미도시)을 받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외관파이프(10)와, 상기 외관파이프(10)에 끼워져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받침너트(30)와 고정핀(40)으로 결합되는 내관파이프(20)를 포함한다.
상기 외관파이프(10)와 내관파이프(20)는, 모두 길이방향으로 중공부가 관통 형성된 강관(11)(21)과, 상기 강관(11)(21)의 일측 끝단부에 결합되는 받침판(12)(22)으로 구성되며, 각 받침판(12)(22)이 바닥면 또는 구조물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능적으로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외관파이프(10)와 내관파이프(20)는, 강관(11)(21)의 직경에 따른 차이와, 받침너트(30)를 위한 나사부(13), 고정핀(40)을 위한 슬릿홈(14)과 끼움공(23) 유무에 따른 차이만이 있다.
즉, 외관파이프(10)는, 강관(11)의 일측(받침판(12)이 결합되는 끝단부의 반대편) 외주면에 형성되어 받침너트(3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부(13)와, 상기 나사부(13)의 양측면을 관통하면서 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받침너트(30)의 높이 조절 시 내관파이프(20)에 끼워진 고정핀(40)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슬릿홈(14)을 포함하고,
내관파이프(20)는, 고정핀(40)이 끼워지도록 강관(21)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끼움공(23)이 강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외관파이프(10)는 하나의 강관에 나사부(13)를 형성하고, 나사부(13)의 반대편 끝단부에 받침판(12)을 용접으로 연결하여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나,
나사부(13) 가공에 필요한 강관의 두께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하고, 나사부(13) 부위와 나머지 부위의 두께를 다르게 함으로써 파이프 서포터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외관파이프(10)의 강관(11)은, 나사부(13)가 마련된 제1 강관(11A)과, 받침판(12)이 연결된 제2 강관(11B)을 서로 용접으로 연결하여 제작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너트(30)는, 상기 외관파이프(10)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외관파이프(10)의 나사부(13)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내관파이프(20)에 끼워진 고정핀(40)을 지지하면서 고정핀(40)의 높이를 조절하여, 파이프 서포터(S)의 전체 높이(길이) 조절 기능을 한다.
미설명 도면부호 31은, 받침너트(30)의 일측 외주면에 힌지 결합된 손잡이로, 받침너트(30)의 힌지 결합부는 상하측 모든 방향으로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파이프 서포터(S)의 상하를 반대 방향으로 설치하더라도, 손잡이(31)가 하측을 향하도록 하며, 받침너트(30)의 회전이 필요할 때 손잡이(31)를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40)은 상기 외관파이프(10)(보다 엄밀하게는 나사부(13)의 양측면에 마련된 슬릿홈(14))를 관통하여 상기 끼움공(23)에 끼워져, 상기 받침너트(30)에 의해 상기 내관파이프(20)가 상기 외관파이프(10)에서 높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파이프 서포터(S)는, 상기 받침너트(30)를 외관파이프(10)의 나사부(13)에 조립한 후, 내관파이프(20)를 외관파이프(10)에 끼운 상태에서 고정핀(40)을 슬릿홈(14)과 끼움공(23)에 끼우면 내관파이프(20)에 끼워진 고정핀(40)이 받침너트(30)의 상면에 받쳐져 파이프 서포터의 조립이 1차적으로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너트(30)를 나사부(13)에서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받침너트(30)가 나사부(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위되고, 따라서 받침너트(30)가 지지하고 있는 고정핀(40)의 높이 역시 변위되면서 고정핀(40)이 끼워진 내관파이프(20)의 인출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파이프 서포터(S)의 전체 높이(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외관파이프(10)와 내관파이프(20)의 상하 배치를 도면과 반대로 설치하여도 받침너트(30)와 고정핀(40)을 이용한 높이 조절 기능 및 내, 외관파이프(10)(20)의 고정기능이 동일하게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외관파이프(10) 또는 내관파이프(20) 또는 이들 모두는, 각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이프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보강부(15)(24)를 포함한다.
상기 외관파이프(10)의 보강부(15)는, 나사부(13)가 형성되지 않은 제2 강관(11B)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보강부(15)가 외관파이프(10)의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5의 하부 좌측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각 보강부(15)는 내관파이프(20)의 보강부(24)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관파이프(20)의 보강부(24)는, 상기 끼움공(23)의 양측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내관파이프(20)에 구비된 각 끼움공(23)의 양측에 한 쌍의 보강부(24)가 구비되며, 이에 대응하여 외관파이프(10)의 전후좌우 측면에 각각 하나의 보강부(15)가 구비(즉 횡단면을 기준으로, 4개의 보강부(24)는 X자 형태로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4개의 보강부(15)는 +자 형태로 배치됨.)되어, 보강부(15)(24)들이 서로 크로스되는(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외관파이프(10)의 보강부(15)는, 후술하는 내관파이프(20)의 보강부(24)로써 분절형 엠보 또는 연속형 엠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나, 균일한 강성 확보를 위해 연속형 엠보로 보강부(15)를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 파이프의 보강부(15)(24)는 후술하는 파이프 프레싱 장치나 파이프 성형 장치 또는 스트립 성형 장치 등을 통해 파이프의 강관 일부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엠보 성형하는 것으로, 파이프에 측방향(즉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부(15)(24)가 일종의 보강살로 기능하여 파이프의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즉, 종래의 파이프 서포터에서, 외관파이프(10)와 내관파이프(20)는 일반적인 강관 형태로 그 강도는 파이프의 재질 및 두께 등에 제한을 받게 되고, 특히 내관파이프(20)는 끼움공(23)으로 인해 강관(21)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이므로 끼움공(23) 주위의 강도가 다른 부위에 비해 저하될 수밖에 없는데,
본 발명은 보강부(15)(24)를 강관(11B)(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측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프 서포터(S)가 지지하는 구조물의 하중이 일측으로 쏠리더라도, 상기 외관파이프(10) 또는 상기 내관파이프(20)가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외관파이프(10)의 보강부(15)는, 그 개수 및 위치에 제한이 없으나, 내관파이프(20)의 보강부(24) 개수보다 1개 이상 더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도 5의 하부 우측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4개의 보강부(24)에 대하여 5개(이상)의 보강부(15)를 형성하면, 보강부(15)(24)의 일부가 겹치더라도 나머지 보강부들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됨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 외관파이프(10)(2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최소화함으로써, 파이프들의 견고한 조립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내관파이프(20)의 보강부(24)를 대표하여 구체적인 구성, 제작 방법 및 제작 장치(프레싱 장치 및 성형 장치)를 설명하나, 후술하는 설명은 외관파이프(10)의 보강부(15) 성형에 동일(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내관파이프(20)의 보강부(2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의 엠보(24a)(24b)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보강부(24)의 제1 실시예는, 상기 내관파이프(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분절형 엠보(24a)로 구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보강부(24)의 제2 실시예는, 상기 내관파이프(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하나의 연속형 엠보(24b)로 구성되며,
시공 설계 및 지지하는 상부 구조물의 하중 등, 파이프 서포터(S)에 필요한 강성을 감안하여, 상기 제1, 제2 실시예를 선택하여 제작 및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관파이프(10)는, 상기 내관파이프(20)가 끼워지는 나사부(13)의 끝단부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부(11a)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퍼부(11a)는, 상기 내관파이프(20)를 상기 외관파이프(10)의 내주에 끼워서 조립하였을 때 각 파이프들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파이프들 간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즉, 외관파이프(10)(보다 엄밀하게는 나사부(13))의 내주 직경(크기; D1)과 내관파이프(20)의 외주 직경(크기; D2)이 1:1 대응(즉 동일)하여야 파이프들을 조립하였을 때 파이프들 간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으나,
나사부(13)의 내주 직경(D1)과 내관파이프(20)의 외주 직경(D2)을 완전히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면 나사부(13)의 내주면과 내관파이프(20)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되어, 받침너트(30)를 이용한 내관파이프(20)의 높이 조절 작업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나사부(13)의 내주 직경(D1)을 내관파이프(20)의 외주 직경(D2)보다 크게 형성할 수밖에 없는데, 이렇게 나사부(13)의 내주 직경(D1)과 내관파이프(20)의 외주 직경(D2)이 서로 다르면 직경차이로 인해 파이프들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어 외관파이프(10)에서 내관파이프(20)가 고정되지 않고 흔들리는 등의 유동이 발생하여, 파이프 서포터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상기 테이퍼부(11a)를 통해 나사부(13)의 끝단부 내주 직경(D1)이 다른 부위보다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외관파이프(10)의 내주 직경(D1)과 내관파이프(20)의 외주 직경(D2)의 치수 차이를 최소화하여, 내관파이프(20)가 테이퍼부(11a)에 접촉하면서 지지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이퍼부(11a)와 함께, 상기 외관파이프(10)에 보강부(15)를 형성함으로써, 보강부(15)의 내주면과 내관파이프(20)의 외주면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 간격을 최소화하여, 외관파이프(10)와 내관파이프(20)의 직경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다 확실하게 해결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S)의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은, 크게 A) 내관파이프(20)에 사용될 강관(21) 준비 단계, B) 보강부(24) 엠보 성형 단계, C) 끼움공(23) 천공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A) 단계는, 내관파이프(20)로 사용될 강관(21)을 준비하는 단계로, 내관파이프(20)로 사용될 수 있는 기성품인 강관을 구매하여 보강부(24) 및 끼움공(23)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조관기(F)를 이용해 내관파이프(20)로 사용될 수 있는 강관을 제작할 때 보강부(24)가 함께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강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강관(21)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한 쌍의 보강부(24)가 형성되도록, 상기 강관(21)의 측면 일부를 가압하는 프레싱 단계로, B) 단계는 후술하는 파이프 프레싱 장치 또는 파이프 성형 장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보강부(24) 사이에, 고정핀(40)이 끼워지는 끼움공(23)을 관통 형성하는 천공 단계로, 후술하는 파이프 프레싱 장치에 구비된 타공 펀치(62)를 이용하거나, 또는 일반적인 파이프 천공에 사용되는 타공 드릴(미도시)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C) 단계를 B) 단계보다 먼저 실시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B) 단계를 상기 C) 단계보다 먼저 실시하는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C) 단계를 실시한 후 B) 단계를 실시하면, 끼움공(23)이 천공됨에 따라, 강관(21)에서 끼움공(23) 부위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해져, 보강부(24)를 가공할 때 끼움공(23)이 부위가 내측으로 같이 함몰되거나 또는 끼움공(23)이 변형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으로써, D) 외관파이프(10)로 사용될 강관(11A)에 상기 테이퍼부(11a)를 절곡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강관(11A)의 외주면에 나사부(13)를 가공하기 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테이퍼부(11a)와 나사부(13)를 가공한 제1 강관(11A)과, 보강부(15)를 성형한 제2 강관(11B)을 용접으로 연결하여 외관파이프(10)로 사용되는 강관(11)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밖에, 각 파이프의 강관(11)(21) 일측 끝단부에 받침판(12)(22)을 용접하여 연결하는 공정, 외관파이프(10)에 나사부(13) 및 슬릿홈(14)을 가공하는 공정 등은 공지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2b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를 설명한다(이해의 편의를 위해 내관파이프(20)를 대표하여 설명하나 후술하는 프레싱 장치 및 성형 장치를 이용해 외관파이프(10)의 보강부(15)도 가공할 수 있음.).
우선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파이프(20)에 보강부(24)를 내측으로 함몰 형성시키기 위한 파이프 프레싱 장치는,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강관(21)을 지지하는 받침대(50)와, 상기 받침대(50) 상부에서 승하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강부(24)를 형성하는 프레싱부(6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일종의 절곡기(B)이다.
상기 받침대(50)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 복수개의 안착부(51)와, 복수개의 홀 가이드(52)가 구비되어 있으며, 받침대(5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강관(21)의 길이방향 양측 개구부에 삽입되는 클램프(53)가 설치되어 받침대(50)에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강관(21)을 고정한다.
상기 안착부(51)는 강관(21)의 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반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받침대(50)의 일측에 클램프(53)가 설치된 상태에서 받침대(50)의 타측에 전동모터 등을 이용해 안착부(51)의 강관(21)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미도시)이 설치되어, 강관(21)의 일측면에 보강부(24) 및/또는 끼움공(23)을 형성한 후, 강관(21)을 회전시켜 강관(21)의 타측면에 보강부(24) 및/또는 끼움공(23)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홀 가이드(52)는 프레싱부(60)에 타공 펀치(62)가 함께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회전수단에 의해 강관(21)이 180ㅀ회전하였을 때, 홀 가이드(52)가 강관(21)의 일측면에 형성된 끼움공(23)에 끼워져, 강관(21)의 타측면에 형성될 끼움공(23)이 반대편의 끼움공(23)과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도록 강관(21)의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프레싱부(60)는 상기 받침대(50) 상부에서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엠보 펀치(61)와 타공 펀치(62)를 포함한다.
상기 엠보 펀치(61)는 프레싱부(60)와 함께 승하강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 쌍의 보강부(24)에 대응하는 한 쌍의 가압편(61a)으로 구성되며, 프레싱부(60)에 마련된 탄성체(미도시)를 통해 가압편(61a)들이 하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공 펀치(62)는 상기 가압편(61a)들 사이에 배치되어 프레싱부(60)와 함께 1차 승하강됨과 동시에, 프레싱부(60)와 별도로 2차 개별 승하강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가압편(61a)이 상기 타공 펀치(62)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프레싱부(60) 하강 시 가압편(61a)들에 의한 보강부(24)의 프레싱 가공이 먼저 실시된 후 타공 펀치(62)가 작동하여 끼움공(23)을 천공하도록 한다.
따라서 프레싱부(60)가 1차 하강을 하면 가압편(61a)들이 강관(21)의 일측면에 접촉됨에 따라 탄성체가 압축된 후 프레싱부(60)의 하강이 계속되면 프레싱부(60)의 압력과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편(61a)이 강관(21)의 일측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강관(21)의 일측면 좌우로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보강부(24)를 프레싱 가공한다.
그리고 프레싱부(60)의 1차 하강이 완료된 상태에서 타공 펀치(62)가 작동하면, 타공 펀치(62)가 2차로 하강 인출되면서, 한 쌍의 보강부(24)들 사이에 끼움공(23)을 천공하게 된다.
이렇게 강관(21)의 일측면에 보강부(24)와 끼움공(23)을 순차적으로 가공한 상태에서 프레싱부(60)가 상승한 후 강관(21)을 180ㅀ회전시키면 홀 가이드(52)가 1차 형성된 끼움공(23)에 삽입되어 강관(21)을 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프레싱부(60)가 상술한 작동을 반복 실시하면 강관(21)의 양측면에서 서로 대응하는 동일 위치에 한 쌍의 보강부(24) 및 끼움공(23)의 형성이 완료된다.
이때 보강부(24)로써 분절형 엠보(24a)를 채택한 경우,
도면과 같이, 프레싱부(60)에 복수개의 엠보 펀치(61)와 복수개의 타공 펀치(62)를 일렬 설치하면, 하나의 강관(21)에, 복수개의 보강부(24)와 끼움공(23)을 한 번에 가공할 수 있고,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프레싱부(60)에 엠보 펀치(61)와 타공 펀치(62) 각각 하나씩 설치하면, 하나의 강관(21)에, [분절형 엠보(24a)와 끼움공(23) 세트]를 소정 위치에 가공한 후, 강관(21)을 전진(또는 후진) 이송시킨 후 다시 프레싱 가공 및 천공 작업이 연속적으로 실시되도록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보강부(24)로써 연속형 엠보(24b)를 채택한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프레싱부(60)에 연속형 엠보(24b)에 대응하는 하나의 엠보 펀치(61)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복수개의 타공 펀치(62)를 일렬 설치하면, 연속형 엠보(24b)와 복수개의 끼움공(23)을 한 번에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강관(21)의 두께나 재질에 따라, 상기 타공 펀치(62)를 대신하여, 회전을 통해 끼움공(23)을 천공하는 타공 드릴이 사용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프레스싱 장치는 기성품인 강관(21)을 구매하여 내관파이프(20)를 제작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싱 장치는, 분절형 엠보(24a)를 구비한 강관(21)의 가공에 보다 적합하다고 할 수 있으나, 강관(21)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을 경우 연속형 엠보(24b)의 가공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구성의 프레싱 장치를 이용해 외관파이프(10)의 보강부(15)를 성형하는 경우, 프레싱부(60)에는 타공 펀치(62)가 설치되지 않고 하나의 엠보 펀치만이 설치되어, 강관(11B)을 90ㅀ씩 회전시켜, 외관파이프(10)의 전후좌우 각 측면에 보강부(15)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어서 도 10a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파이프(20)에 보강부(24)를 내측으로 함몰 형성시키기 위한 파이프 성형 장치는, 강관(21)이 이송되는 이송로 양측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된 사이드롤러(7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일종의 성형롤러(R)이다.
상기 사이드롤러(70)의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오목 형성된 반원형 안내면부(71)가 구비되며,
강관(21)의 양측면에 각각, 한 쌍의 보강부(24)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롤러(70)는 상기 안내면부(71)에서 상하로 이격하여 구비되면서 안내면부(71)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강관(21)의 측면 일부를 가압하는 엠보 성형부(72)를 포함한다.
이때 보강부(24)로써 분절형 엠보(24a)를 채택한 경우,
도 10a와 같이, 사이드롤러(70)의 안내면부(71)에서 돌출 형성된 엠보 성형부(72a)는 사이드롤러(70)의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고, 엠보 성형부(72)들 간의 간격은 상, 하측 분절형 엠보(24a)들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보강부(24)로써 연속형 엠보(24b)를 채택한 경우,
도 10b와 같이, 사이드롤러(70)의 안내면부(71)에서 돌출 형성된 엠보 성형부(72b)는 사이드롤러(7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엠보 성형부(72)를 구비한 사이드롤러(70)는, 엠보 성형부(72)의 돌출 높이가 순차적으로 다르게 형성된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어, 엠보 성형부(72)가 최저 - 중간 - 최고 높이로 돌출된, 3개의 사이드롤러(70)를 연속 배치하여, 3차에 걸쳐 엠보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롤러(70)는, 이송되는 평판 형상의 스트립(1)을 소성 변형시켜 내관파이프(20)로 사용될 강관(21)을 성형하는 다수의 포밍롤러(2a)들로 구성된 성형부(2)를 포함하는 조관기(F)에 설치되는 것이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즉, 기성품인 강관(21)을 구매하여 별도로 설치된 한 쌍의 사이드롤러(70) 사이로 통과시켜 보강부(24)를 프레싱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나, 조관기(F)의 성형 라인에서 강관(21) 성형 후의 롤러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엠보 성형부(72)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강관(21) 제작 시 보강부(24)가 한 번에 프레싱 가공되도록 할 수 있다.
조관기(F)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이송되는 평판 형상의 스트립(1)이 상하좌우 배치된 포밍롤러(2a)들을 통과하면서 강관(21)으로 성형되는 성형부(2), 강관(21)으로 롤 성형된 양 끝단부를 용접하는 용접부(3), 용접 후 용접 부위의 거친 면이 절삭 제거된 강관(21)의 외관을 정형하는 사이드롤러(4a)로 이루어진 정형부(4)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조관기(F)와 관련된 공지된 기술은 생략한다.
조관기(F)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엠보 성형부(72)는 강관(21)의 형상으로 성형된 이후에 설치된 롤러들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되어도 충분하나,
보강부(24)의 엠보 성형 시 강관(21)의 변형 등을 방지하기 위해선, 스트립(1)을 강관(21)의 형상으로 롤 성형하고, 양 끝단부를 맞대기, 고주파 용접한 후, 용접 부위의 거친면을 절삭 제거한 다음의 공정인, 조관기(F)의 정형부(4)에 설치된 롤러(4a)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정형부(4) 이후에 별도의 사이드롤러(70)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형롤러(R)를 통해 강관(21)의 양측면에 보강부(24)를 프레싱 가공한 후, 상기 절곡기(B)에서 사용되는 타공 펀치(62)나 타공 드릴을 이용해 보강부(24)들 사이에 끼움공(23)을 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구성의 성형 장치를 이용해 외관파이프(10)의 보강부(15)를 성형하는 경우, 사이드롤러(70)는 강관(11B)의 상하좌우에 각각 하나씩, 총 4개가 설치되며, 각 사이드롤러(70)의 안내면부(71)에서 중간 높이에 하나의 엠보 성형부가 돌출 형성(미도시)된다.
또한 상기 조관기(F)에 상, 하부롤러(100)(110)를 이용한 스트립 성형 장치를 설치하여, 강관(21)의 조관 전에 스트립(1) 상태에서 상기 보강부(24)를 성형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립 성형 장치는, 일종의 가압롤러(P)로써, 스트립(1)이 이송되는 이송로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회전하도록 설치된 상부롤러(100)와 하부롤러(11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롤러(100)는, 스트립(1)의 상면이 접촉하는 접촉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트립(1)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보강부(24)가 가공되도록 하는 엠보 가압부(101)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롤러(110)는, 상기 엠보 가압부(101)에 대응하도록, 스트립(1)의 하면이 접촉하는 접촉면부에서 내측으로 오목 형성되어 상기 엠보 가압부(101)가 수용되는 엠보 수용부(111)를 포함한다.
보강부(24) 성형 시 엠보 가압부(101)의 압력이 중력방향과 일치하도록, 도면과 같이 상부롤러(100)에 상기 엠보 가압부(101)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롤러(110)에 상기 엠보 수용부(111)가 오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강부(24)가 가공된 스트립(1)을 조관기(F)로 바로 투입하여 강관(21)으로 롤 성형시키기 위해서(즉 스트립(1)을 뒤집지 않고 바로 성형부(2)로 투입되기 위해서) 엠보 가압부(101)와 엠보 수용부(111)가 도면과 반대로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때 한 쌍의 보강부(24)가 한 번에 가공될 수 있도록, 각 가압롤러(70)에 마련되는 엠보 가압부(101)와 엠보 수용부(111)는, 2개로 이루어진 하나의 세트가, 각 가압롤러(70)의 양측 소정 위치에 형성되며,
이러한 엠보 가압부(101)와 엠보 수용부(111) 세트의 위치는, 한 쌍의 보강부(24)가 강관(2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도록, 롤 성형될 강관(21)의 직경을 감안하여 결정된다.
이 경우 상기 엠보 성형부(7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부(24)가, 분절형 엠보(24a) 또는 연속형 엠보(24b)냐에 따라, 상기 엠보 가압부(101)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절형 엠보(24a) 형성을 위한 분절형 엠보 가압부(101a), 또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형 엠보(24b) 형성을 위한 연속형 엠보 가압부(101b)로 구성된다.
상기 구조의 스트립 성형 장치를 통과한 스트립(1)은 스트립(1)의 양측 소정 위치에 한 쌍의 보강부(24)가 각각 엠보 성형된 상태에서, 조관기(F)로 투입되어 보강부(24)를 갖는 강관(21)으로 롤 성형될 수 있으며, 이때 끼움공(23)의 천공 작업은 롤 성형 전의 스트립(1) 또는 롤 성형 후의 강관(21) 중 어느 것에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한 구성의 스트립 성형 장치를 이용해 외관파이프(10)에 보강부(15)를 성형하는 경우, 엠보 가압부(101)와 엠보 수용부(111)는 상, 하부롤러(100)(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외관파이프(10)의 테이퍼부(11a)를 가공하기 위한 파이프 프레싱 금형장치(M)를 포함한다.
테이퍼부(11a) 가공을 위한 파이프 프레싱 금형장치(M)는, 크게 외관파이프(10)로 사용될 강관(11A)의 일측 끝단부가 고정되는 지지금형(80)과, 상기 지지금형(80)에 대하여 형개폐되도록 설치되어 강관(11A)의 타측 끝단부에 상기 테이퍼부(11a)가 가공되도록 하는 프레싱금형(9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금형(80)은 강관(11A)의 직경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강관(11A)의 상하 끝단부가 끼워지는 고정부(81)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싱금형(90)은 상기 테이퍼부(11a)의 절곡 각도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테이퍼 성형부(91)를 구비하여, 형폐 시 테이퍼 성형부(91)가 강관(11A)의 끝단부 외측면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테이퍼부(11a)가 절곡되면서 가공되도록 한다.
이러한 테이퍼부(11a)의 가공 작업은 외관파이프(10)로 사용될 강관(11A)의 외주면에 나사부(13)를 가공하기 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도 13, 도 14와 같이 슬릿홈(14)을 천공하기 전에 테이퍼부(11a)를 가공하거나,
또는 도 15와 같이, 슬릿홈(14)을 천공한 후에 테이퍼부(11a)를 가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파이프 성형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파이프 서포터 B : 절곡기 R : 성형롤러
P : 가압롤러 M : 프레싱 금형장치 F : 조관기
10 : 외관파이프 11, 11A, 11B : 강관 11a : 테이퍼부
12 : 받침판 13 : 나사부 14 : 슬릿홈
15 : 보강부 20 : 내관파이프 21 : 강관
22 : 받침판 23 : 끼움공 24 : 보강부
24a : 분절형 엠보 24b : 연속형 엠보 30 : 받침너트
31 : 손잡이 40 : 고정핀 50 : 받침대
51 : 안착부 52 : 홀 가이드 53 : 클램프
60 : 프레싱부 61 : 엠보 펀치 61a : 가압편
62 : 타공 펀치 70 : 사이드롤러 71 : 안내면부
72, 72a, 72b : 엠보 성형부 80 : 지지금형
81 : 고정부 90 ; 프레싱금형
91 : 테이퍼 성형부 100 : 상부롤러 110 : 하부롤러
101, 101a, 101b : 엠보 가압부 111 : 엠보 수용부

Claims (6)

  1.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외관파이프;
    상기 외관파이프에 끼워져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외관파이프를 관통하는 고정핀이 끼워지는 복수개의 끼움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는 내관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관파이프 또는 상기 내관파이프 또는 이들 모두는,
    각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이프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파이프의 보강부는, 상기 끼움공의 양측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 보강부는 상기 내관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분절형 엠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파이프의 보강부는, 상기 끼움공의 양측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 보강부는 상기 내관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하나의 연속형 엠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4.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A) 내관파이프로 사용될 강관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강관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한 쌍의 보강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강관의 측면 일부를 가압하는 엠보 성형 단계;
    C) 상기 한 쌍의 보강부 사이에, 고정핀이 끼워지는 끼움공을 관통 형성하는 천공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5.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보강부를 엠보 성형할 수 있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에 있어서,
    강관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지지되는 안착부를 구비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강관에 상기 보강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강관의 측면 일부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엠보 펀치를 구비한 프레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6.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보강부를 엠보 성형할 수 있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에 있어서,
    강관이 이송되는 이송로 양측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이송되는 강관의 양측면이 접촉되는 안내면부와,
    상기 강관에 상기 보강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안내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강관의 측면 일부를 가압하는 엠보 성형부를 구비한 한 쌍의 사이드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
KR1020160025304A 2016-03-02 2016-03-02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 KR20170102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304A KR20170102763A (ko) 2016-03-02 2016-03-02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304A KR20170102763A (ko) 2016-03-02 2016-03-02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763A true KR20170102763A (ko) 2017-09-12

Family

ID=5992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304A KR20170102763A (ko) 2016-03-02 2016-03-02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276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8569A (zh) * 2018-06-04 2018-10-26 郑州德威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支撑装置
CN110905194A (zh) * 2019-12-19 2020-03-24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土木工程用支撑装置
CN112466100A (zh) * 2020-11-25 2021-03-09 湖南江南钢构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过载保护功能的装配式建筑支撑装置及其过载保护方法
KR102569840B1 (ko) 2023-01-18 2023-08-23 (주) 현대알루미늄 파이프형 지지구조물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8569A (zh) * 2018-06-04 2018-10-26 郑州德威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支撑装置
CN110905194A (zh) * 2019-12-19 2020-03-24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土木工程用支撑装置
CN110905194B (zh) * 2019-12-19 2021-08-27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土木工程用支撑装置
CN112466100A (zh) * 2020-11-25 2021-03-09 湖南江南钢构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过载保护功能的装配式建筑支撑装置及其过载保护方法
CN112466100B (zh) * 2020-11-25 2022-01-28 湖南江南钢构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过载保护功能的装配式建筑支撑装置及其过载保护方法
KR102569840B1 (ko) 2023-01-18 2023-08-23 (주) 현대알루미늄 파이프형 지지구조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2763A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제작 방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프레싱 장치 및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파이프 성형 장치
EP2529849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Schlitzrohren aus Blechtafeln
EP1796859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längsnahtgeschweissten hohlprofils
DE60200731T2 (de) Platteninnenhochdruckumformung und Vorrichtung
JP2008030090A (ja) 形鋼の曲がり矯正方法および形鋼用矯正装置
DE112011100571T5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Radfelge für ein Fahrzeug
DE102018211311B4 (de) Erweiterte Regelung JCO-Formpresse
US7127924B1 (en) Double action punch assembly for hydroforming die
US52378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metal roll-formed parts
CN108705023B (zh) 一体化接管段锻件仿形锻造工艺
KR20170111391A (ko) 방화문용 패널 절곡 장치의 블레이드 신축 구동장치
KR101920558B1 (ko) 찬넬 밴딩용 펀칭장치
KR101836873B1 (ko) 금형 교체가 필요없는 내진용 각관 성형방법
DE102018115382B4 (de) Verbinden von Blechendabschnitten mittels Umformen
CN203924685U (zh) 一种承插型套扣式脚手架立杆
KR101490418B1 (ko) 파이프 조관을 통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제조 설비 및 이를 사용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제조 방법
JP7137829B2 (ja) 丸形鋼管の製造方法、丸形鋼管製造設備
CN110382797B (zh) 柱梁接合结构的制造方法及柱梁接合结构
RU206928U1 (ru) Трубогиб
JP2006142364A (ja) カシメ装置
EP3088096A1 (de) Vorrichtungen und verfahren zum druckumformen von verbindungsstegen zwischen werkstückteilen eines plattenartigen werkstücks
RU209303U1 (ru) Трубогиб
JP2018118304A (ja) 筒状体の加工方法及び筒状体
DE102010046181B4 (de) Verfahren zur Umformung eines zylindrischen Rohrkörpers und Anordn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RU208510U1 (ru) Трубоги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