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4744A - 연속주조시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주조시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744A
KR20120074744A KR1020100136680A KR20100136680A KR20120074744A KR 20120074744 A KR20120074744 A KR 20120074744A KR 1020100136680 A KR1020100136680 A KR 1020100136680A KR 20100136680 A KR20100136680 A KR 20100136680A KR 20120074744 A KR20120074744 A KR 20120074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air
edge crack
cast
cast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연
최우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36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4744A/ko
Publication of KR20120074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22D11/1245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using specific cool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2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cooling cast stock or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주기를 통과하여 조압연되는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주기에서 상기 주편의 코너부에 2 ℓ/min. 내지 5 ℓ/min.로 냉각수를 분사하고, 4 N㎥/h 내지 6 N㎥/h로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상기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장치는 주편 코너부의 온도를 제어하여 엣지 크랙의 발생을 방지하여 엣지 크랙의 발생에 따른 추가적인 공정 및 비용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연속주조시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EDGE CRACK OF PIECE DURING CONTINUOUS CASTING}
본 발명은 연속주조시 주편의 양측면에 생성된 결함을 방지하기 위한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편의 코너부의 냉각을 제어하여 결함을 방지하는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continuous casting)는 용융 금속을 주형에 연속하여 주입하고, 반응고된 주편을 주형의 하부에서 연속하여 인출시켜 빌렛(billet), 블룸(bloom), 슬라브(slab) 등과 같은 주편을 얻는 주조방법이다. 이러한 연속주조는 대형의 제품을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다.
최근에는 연속주조에 CEM(compact endless milling) 프로세스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CEM 프로세스는 고속주조 및 연연속압연이 가능하다. 또한, CEM 프로세스는 2개의 연주기를 사용하던 것을 1개의 연주기를 사용하여 연속주조에 있어 품질 편차를 없애고, 연주속도를 최대 8m/min.으로 주편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킨다. 이때 두께 1.6㎜ 이하의 극박물재의 생산도 용이하다.
한편, 주편은 연주기 내에서 냉각수와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미스트 스프레이 노즐(air-mist spray nozzle)에 의해 냉각된다. 이때, 폭방향을 따라 주편의 양측면으로부터의 일정 부분인 코너부는 다른 부분(즉, 코너부를 제외한 부분)과 비교하여 과하게 냉각된다. 이로 인해, 코너부에는 엣지 크랙(edge crack)과 같은 결함이 발생한다. 또한, 엣지 크랙과 같은 결함은 주편의 표면 품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추가 공정을 통해 제거되고 있다. 이러한 추가 공정은 추가적인 비용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냉각수의 양 및 공기의 양을 제어하여 엣지 크랙을 방지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연속주조시 주편의 냉각을 제어하여 엣지 크랙과 같은 주편의 결함을 방지하는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엣지 크랙에 따른 추가적인 공정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연주기를 통과하여 조압연되는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주기에서 상기 주편의 코너부에 2 ℓ/min. 내지 5 ℓ/min.로 냉각수를 분사하고, 4 N㎥/h 내지 6 N㎥/h로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주편의 코너부는 상기 주편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주편의 폭 길이의 1/6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주기에서 주편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주편의 코너부들에 냉각수와 공기를 분사하되, 냉각수를 각각 2 ℓ/min. 내지 5 ℓ/min.로 분사하고, 공기를 4 N㎥/h 내지 6 N㎥/h로 분사하는 에어 미스트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본 발명에 따른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장치는 에어 미스트 노즐을 이용하여 2 ℓ/min. 내지 5 ℓ/min.로 냉각수를 분사하고, 4 N㎥/h 내지 6 N㎥/h로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를 이루어, 연주기를 통과하는 주편의 코너부를 냉각시킨다. 이로 인해, 연주기 출측에에서의 주편 코너부의 온도는 엣지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준의 온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장치는 최적의 냉각수의 양 및 공기의 양으로 엣지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2) 본 발명에 따른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장치는 주편의 엣지 크랙을 방지함으로써, 엣지 크랙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 및 비용을 감소시킨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엣지 크랙 방지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주편의 코너부에 분사되는 냉각수 및 공기의 양에 따른 주편 코너부의 온도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의 적용에 따른 엣지 크랙 발생율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엣지 크랙 방지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엣지 크랙 방지 방법은 연주기에서 냉각수 및 공기를 주편의 코너부에 분사시켜, 주편 코너부의 온도만을 제어한다. 여기서, 주편의 코너부는 주편의 측면으로부터 주편의 폭 길이의 1/6에 상응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주편의 폭 길이가 1200㎜인 경우, 주편의 코너부는 각각 200㎜의 길이를 갖는 양측단부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연주기에서 적용된다.
냉각수가 주편의 코너부에 분사되는 단계(S101)가 이루어진다. 이때, 냉각수는 2 ℓ/min. 내지 5 ℓ/min.로 분사된다. 또한, 냉각수의 양은 주편의 다른 부분(즉, 코너부 이외의 부분)에 분사되는 냉각수의 양과는 관계없이 상기의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또한, 공기가 주편의 코너부에 분사되는 단계(S102)가 이루어진다. 이때, 공기는 4 N㎥/h 내지 6 N㎥/h로 분사된다. 또한, 공기의 양도 역시 주편의 다른 부분에 분사되는 공기의 양과는 관계없이 상기의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상기 S101 단계와 S102 단계는 상기와 같은 범위 내에 냉각수의 양 및 공기의 양을 유지하여 코너부 이외의 부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냉각되는 주편의 코너부의 냉각을 제한한다. 따라서, 주편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엣지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코너부의 온도를 확보한다. 또한, 상기 S101 단계와 S102 단계는 동시에 동일한 노즐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노즐은 에어 미스트 스프레이 노즐이다.
도 2는 주편의 코너부에 분사되는 냉각수 및 공기의 양에 따른 주편 코너부의 온도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되는 냉각수 및 공기의 양에 따라 주편의 코너부의 온도는 변한다. 이때, 코너부의 온도가 측정된 주편은 4.5m/min.의 속도로 주조되어 연주기의 출측을 통과한 상태이다.
1번 주편 내지 5번 주편에는 제 1 조건(A)이 적용되었고, 6번 주편 내지 9번 주편에는 제 2 조건(B)이 적용되었으며, 10번 주편 내지 12번 주편에는 제 3 조건(C)이 적용되었다. 각각의 조건에 따른 코일에 분사되는 냉각수의 양 및 공기의 양은 다음과 같다.
제 1 조건(A)에서는 3 ℓ/min. 내지 6 ℓ/min.의 냉각수의 양 및 25 N㎥/h 내지 35 N㎥/h의 공기의 양이 주편의 코너부에 분사되었다. 또한, 제 2 조건(B)에서는 공기는 제 1 조건(A)과 동일하게 25 N㎥/h 내지 35 N㎥/h로 분사되었지만, 냉각수는 제 1 조건(A)과 비교하여 감소된 2 ℓ/min. 내지 5 ℓ/min.로 분사되었다. 또한, 제 3 조건(C)에서는 냉각수는 제 2 조건(A)과 동일하게 2 ℓ/min. 내지 5 ℓ/min.로 분사되었고, 공기는 제 2 조건(B)과 비교하여 감소된 4 N㎥/h 내지 6 N㎥/h로 분사되었다. 즉, 제 3 조건(C)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조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조건(A) 내지 제 3 조건(C)으로 냉각된 주편의 코너부는 다음과 같은 온도를 가졌다. 제 1 조건(A)의 주편은 평균적 916℃의 코너부 온도를 가졌고, 제 2 조건(B)의 주편은 제 1 조건(A)에서보다 상승하여, 평균 928℃의 코너부 온도를 가졌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제 3 조건(C)의 주편은 제 2 조건(B)에서보다도 상승하여, 평균 940℃의 코너부 온도를 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냉각수 및 공기의 양은 주편의 코너부의 냉각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4.5m/min.의 속도로 주조되는 주편에서 엣지 크랙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주편은 인장이 크게 발생하는 조압연에서 920℃ 정도의 코너부 온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연주기의 출측에서 주편은 940℃ 이상의 코너부의 온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940℃의 코너부의 온도를 갖기에 엣지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의 적용에 따른 엣지 크랙 발생율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을 통해 주편의 코너부의 온도에 영향을 주는 본 발명에 따른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이 실제적으로 엣지 크랙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엣지 크랙 발생율은 2010년 1월 1일부터 2010년 2월 28일까지 측정되었고, 2010년 1월 26일에 본 발명에 따른 엣지 크랙 방지 방법이 적용되었다. 여기서, 엣지 크랙 방지 방법이 적용된 시점은 적용 시점(S)이라 하기로 하자. 또한, 측정된 엣지 크랙 발생율은 연속주조설비에 설치된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적용 시점(S) 이전인, 2010년 1월 1일부터 2010년 1월 25일까지에는 도 2의 제 2 조건(B)과 동일한 조건이 적용되었다. 즉, 주편의 코너부에 3 ℓ/min. 내지 6 ℓ/min.로 냉각수가 분사되었고, 25 N㎥/h 내지 35 N㎥/h로 공기가 분사되었다.
반면에, 적용 시점(S) 이후인, 2010년 1월 26일부터 2010년 1월 25일까지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조건이 적용되었다. 즉, 주편의 코너부에 2 ℓ/min. 내지 5 ℓ/min.로 냉각수가 분사되었고, 4 N㎥/h 내지 6 N㎥/h로 공기가 분사되었다.
적용 시점(S) 이전에는, 엣지 크랙 발생율의 변동이 심하게 이루어지고, 평균적으로 2.1%정도였다. 반면에, 적용 시점(S) 이후에는, 엣지 크랙 발생율이 거의 0%에 가깝게 유지되었고, 평균적으로 0.2%정도였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엣지 크랙 방지 방법은 주편의 코너부의 온도를 제어하여, 주편의 엣지 크랙 발생율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도 3을 통해 확인되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주편의 코너부에 분사되는 냉각수의 양뿐만 아니라 공기의 양이 제어됨으로써, 주편의 엣지 크랙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은 주편이 연주기의 출측에서 엣지 크랙의 방지에 적합한 코너부의 온도를 확보하도록 하여, 엣지 크랙의 발생을 현저하게 방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발생된 엣지 크랙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 및 비용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엣지 크랙 방지 방법은 에어 미스트 노즐(air mist nozzle)을 통해 이루어진다. 에어 미스트 노즐은 연주기에서 주편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냉각수와 공기를 주편의 코너부들에 분사한다. 이때, 냉각수는 2 ℓ/min. 내지 5 ℓ/min.로 분사되고, 공기는 4 N㎥/h 내지 6 N㎥/h로 분사된다.
또한, 에어 미스트 노즐은 주편의 코너부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되어 냉각수 및 공기를 분사한다. 이로 인해, 에어 미스트 노즐은 앞서 언급된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에 따른 효과를 실제적으로 구현하는 데에 이용된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3)

  1. 연주기를 통과하여 조압연되는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주기에서 상기 주편의 코너부에 2 ℓ/min. 내지 5 ℓ/min.로 냉각수를 분사하고, 4 N㎥/h 내지 6 N㎥/h로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편의 코너부는 상기 주편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주편의 폭 길이의 1/6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3. 연주기에서 주편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주편의 코너부들에 냉각수와 공기를 분사하되, 냉각수를 각각 2 ℓ/min. 내지 5 ℓ/min.로 분사하고, 공기를 4 N㎥/h 내지 6 N㎥/h로 분사하는 에어 미스트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장치.
KR1020100136680A 2010-12-28 2010-12-28 연속주조시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장치 KR201200747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680A KR20120074744A (ko) 2010-12-28 2010-12-28 연속주조시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680A KR20120074744A (ko) 2010-12-28 2010-12-28 연속주조시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744A true KR20120074744A (ko) 2012-07-06

Family

ID=4670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680A KR20120074744A (ko) 2010-12-28 2010-12-28 연속주조시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474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8490A1 (ko) 2012-12-21 2014-06-26 (주)포스코 하이브리드 냉각노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설비의 냉각노즐 제어방법
KR20170011099A (ko)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포스코 주편 결함방지유닛, 이를 구비하는 주조장치, 및 주조방법
US9564079B2 (en) 2013-07-31 2017-02-07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0216023B2 (en) 2013-07-31 2019-02-26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CN113145813A (zh) * 2021-04-16 2021-07-23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小方坯球扁钢连铸坯角部裂纹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8490A1 (ko) 2012-12-21 2014-06-26 (주)포스코 하이브리드 냉각노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설비의 냉각노즐 제어방법
EP2937162A4 (en) * 2012-12-21 2016-08-24 Posco HYBRID COOLING NOZZ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OLING NOZZO FOR A CONTINUOUS CASTING DEVICE THEREWITH
US9564079B2 (en) 2013-07-31 2017-02-07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0216023B2 (en) 2013-07-31 2019-02-26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0962814B2 (en) 2013-07-31 2021-03-30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70011099A (ko)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포스코 주편 결함방지유닛, 이를 구비하는 주조장치, 및 주조방법
CN113145813A (zh) * 2021-04-16 2021-07-23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小方坯球扁钢连铸坯角部裂纹方法
CN113145813B (zh) * 2021-04-16 2022-06-14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小方坯球扁钢连铸坯角部裂纹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4744A (ko) 연속주조시 주편의 엣지 크랙 방지 방법 및 장치
EP2937162B1 (en) Hybrid cooling nozzl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ling nozzle of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using same
KR100812065B1 (ko) 스테인레스강 열간 및 냉간 압연재의 면거침 결함 개선방법
KR101159930B1 (ko) 충격 보증용 빔블랭크의 연속 주조 방법
JPWO2016013186A1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2006315011A (ja) スラブ連続鋳造における鋳片の二次冷却方法
KR20120060560A (ko) 주편의 연속 주조방법 및 장치
KR20120063713A (ko) 연속주조설비의 롤 세그먼트
KR20120074747A (ko) 주편의 홀성 결함 방지 방법 및 장치
JP5825087B2 (ja) 連続鋳造方法
KR102046949B1 (ko) 2차 냉각대의 비수분포가 균일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연속주조방법
KR20040063177A (ko) 트림되는 금속 스트립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267340B1 (ko) 연주공정에서의 스트랜드 크랙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74745A (ko) 주편의 온도 제어 장치
KR100423423B1 (ko) 베어링강의 연속주조방법
KR20130088305A (ko) 보론 첨가 고탄소강의 크랙 저감 방법
JP2002079356A (ja) 連続鋳造における2次冷却方法
KR101193793B1 (ko) 연속주조의 2차 냉각 방법
JP4407371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6148447B2 (ja) 連続鋳造の二次冷却方法
KR20150076983A (ko) 합금강 주편의 스카핑 방법
KR20130046721A (ko) 슬라브의 단변 가공장치 및 그 방법
JP4272601B2 (ja) 連続鋳造設備及び連続鋳造方法
JP4525690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2000005855A (ja) 鋼片のコーナー割れ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