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4301A - 로크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문 - Google Patents

로크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301A
KR20120074301A KR1020127012021A KR20127012021A KR20120074301A KR 20120074301 A KR20120074301 A KR 20120074301A KR 1020127012021 A KR1020127012021 A KR 1020127012021A KR 20127012021 A KR20127012021 A KR 20127012021A KR 20120074301 A KR20120074301 A KR 20120074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door
case
locking
bi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8564B1 (ko
Inventor
토모키 타도코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20074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8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olding wings, e.g. bi-fold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폐문 상태에서 걸림용 받침부에 착탈되는 스트라이커를 갖고, 문이 열림으로부터 닫힘 방향으로 밀어지면 받침부에 대하여 스트라이커를 결합하여 폐문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되고, 문을 재차 같은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결합을 해제하여 열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는 로크장치로서, 스트라이커를 지지하고 있는 케이스와, 스트라이커를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과, 스트라이커에 부하를 부여하지 않는 통상의 비작동 위치로부터 본체측 맞닿음부에 부딪혔을 때의 응력에 의해 회동되는 작동 위치로 전환되어, 스트라이커를 부세력에 저항하여 이동하는 전환부재와, 전환부재를 비작동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수단과, 전환부재가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전환될 때마다 스트라이커를 부세력에 저항하여 이동한 상태로 유지하는 걸림 형태 및 유지를 해제하는 비걸림 형태로 교대로 가변하는 걸림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로크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문{LOCK DEVICE AND DOOR USING SAME}
본 발명은 문에 대한 누름 조작에 의해 문을 폐문(closed-door) 상태로 유지하도록 결합하고, 다음의 누름 조작에 의해 결합 해제하는 로크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상의 문은 본체측 개구부에 대하여 일단측을 지점(이 일단측은 형태 예와 같이 가이드 레일 등을 따라 이동되는 구성을 포함함)으하여 회동됨으로써 본체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문 상태와 개방하는 개문(open-door) 상태로 전환되는 타입이다. 바람직하게는, 벽장(closet)이나 칸막이 등에 이용되어 접힘 전개하면서 이동 가능한 중간 접이식 문(두 장의 판자를 경첩으로 이어서 접게 만든 문짝)이다.
예를 들면, 종래의 중간 접이식 문에서는, 문끼리가 로크장치에 의해 폐문 상태로 유지됨과 함께, 문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경첩이 부세(付勢) 수단을 갖고 그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폐문 상태에서의 결합이나 유지 작용을 보완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종래 구조에서는, 로크장치의 결합 해제와 함께 문을 열림 방향으로 당길 때의 손잡이가 필요하기 때문에, 외관이 문의 의장면(意匠面) 측의 손잡이에 의해 나빠지게 된다. 특허문헌 1은 그 대책 예를 개시하고 있다. 구조 특징은 조작시에 사용하는 손잡이로서 문에 설치되는 손잡이용 오목한 곳을 경첩(힌지)과의 관계에서 보이기 어렵게 설침함으로써 외관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공지 기술에는, 손잡이의 일종으로서 원 푸쉬(one push)로 문 표면에 몰입(沒入)시켜, 이 상태로 재차 누름으로써 문 표면으로 돌출되는 출몰식 손잡이로 한 구성, 폐문 상태에서의 문의 흔들거림을 누르기 위한 수단으로서 레일 내에 수납하기 위한 캐치(catch) 부재를 설치한 구성도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2008-240377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구조에서는, 손잡이용 오목한 곳을 작게 할수록 외관을 개선할 수 있지만, 오목한 곳을 작게 하면 조작성이 나빠진다. 또한, 출몰식 손잡이에서는, 문 표면을 완전하게는 평면으로 하지 못하여 조작도 그 만큼 번거롭게 된다. 캐치 부재를 이용하는 구조에서는, 캐치 부재의 장착 정밀도가 번거롭게 되거나 조작성도 그 만큼 번거롭게 된다. 또한, 종래의 로크장치에는, 문을 최초의 누름 조작에 의해 본체 측에 결합 유지하고, 다음의 누름 조작에 의해 결합 해제하는 푸쉬?푸쉬 걸림기구(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2006-214105호 공보에 명시된 구성)가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로크장치와 그 로크장치에 착탈되는 봉상(棒狀) 착탈부재(스트라이커(striker) 등으로 불리워짐)를 필수로 하고 있는 관계로, 결합 강도에 제약되기 쉽고, 문이 벽장 등과 같이 대형이면서 무거워지거나 중간 접힘식으로 되면 적용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이상과 같은 과제 인식으로부터 폐문 상태에서 본체의 개구부 측에 설치된 걸림용 받침부에 착탈, 즉 돌출 결합하거나 결합 해제하는 고강도의 로크장치를 안출하였다. 이 로크장치에서는, 특히, 문이 열림으로부터 눌러짐으로써 폐문 상태로 결합 유지되고, 폐문 상태로부터 다시 눌러짐으로써 결합 해제된 후, 열림 방향으로 부세력으로 회동된다. 본 발명은 그것을 더 개량하여 부재(部材) 수를 줄여 비용 저감 및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측 개구부에 대하여 일단측을 지점으로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문 상태와 개방하는 개문 상태로 전환됨과 함께, 상시 열림 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는 문에 이용되어, 폐문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설치된 걸림용 받침부(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의 홈)에 착탈되는 스트라이커를 갖고, 상기 문이 열림으로부터 닫힘 방향으로 눌러져 그 누름 힘을 해방하면, 상기 받침부에 대하여 상기 스트라이커를 결합하여 폐문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되고, 상기 문을 재차 같은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결합을 해제하여 닫힘으로부터 열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는 로크장치로서, 상기 문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케이스와, 상기 스트라이커를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과, 상기 케이스에 선회(樞支)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에 부하를 부여하지 않는 통상의 비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본체 측에 설치된 맞닿음부에 부딪혔을 때의 응력에 의해 회동되어 작동 위치로 전환되어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이동하는 전환부재와, 상기 전환부재를 작동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수단과, 상기 전환부재가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전환될 때마다, 상기 스트라이커를 부세력에 저항하여 이동한 상태로 유지하는 걸림 형태 및 상기 유지를 해제하는 비(非)걸림 형태에 교대로 가변 가능한 걸림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푸쉬?푸쉬(push-push), 부출(浮出) 래치, 푸쉬 로크?푸쉬 오픈 등으로 불리워지는 것이며, 비걸림 형태에 있다고 하면, 스트라이커가 전환부재에 의해 최초로 눌려지면 걸림 형태(스트라이커를 이동한 상태로 걸림)로 되고, 다음으로 눌려지면 비걸림 형태(스트라이커의 걸림을 해제함)로 되는, 즉 전환부재를 통하여 걸림 형태과 비걸림 형태로 교대로 완전히 교체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본체측의 대응부에 대략 오목 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 또는 형태와 같이 본체측 개구부에 설치되어 문을 회동하거나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의 홈을 이용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스트라이커의 선단(先端)(상부 결합부)은 문 개폐 방향의 형상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전측(前側)(문 열림 방향에 있는 쪽)이 걸림용의 대략 수직면, 후측(비(非)닫힘 방향에 있는 쪽)이 해제용 경사면에 형성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1)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의 대응부를 내부에 받아 들일 수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부 부착된 슬라이딩체와, 상기 슬라이딩체를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체에 설치된 캠 홈과, 상기 캠 홈을 트레이스(trace)하는 핀을 가진 래치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 경우, 걸림기구로서 하우징, 슬라이딩체, 스프링 부재, 캠 홈 및 핀을 가진 기존의 래치(예를 들면, 부출 래치라고 불리워지는 것)를 이용하기 때문에 조립성 및 범용성이 뛰어나다.
(2)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스트라이커 측에 설치된 캠 홈과, 상기 케이스 측에 설치되어 상기 캠 홈을 트레이스하는 핀을 가진 구성이다. 이 경우, 걸림기구로서 스트라이커측의 캠 홈 및 케이스측의 핀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략화 및 비용 저감을 보다 도모할 수 있다.
(3) 상기 받침부는 단면(端面)이 대략 역(逆)오목 형상을 이루고,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전환부재가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회동된 후, 상기 문에 대한 열림으로부터 닫힘 방향으로의 누름 힘을 해방하면, 상기 걸림기구가 걸림 형태로부터 비걸림 형태로 전환됨과 함께, 선단(상단)이 상기 받침부의 역오목 형상의 하단면으로부터 역오목 형상의 내연부(內緣部)에 압접(壓接)되면서, 상기 문과 함께 부세력에 의해 이동되어 역오목 형상의 패인 곳과 결합 가능하게 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스트라이커가 받침부와 대향하면, 부세력에 의해 이동되어 받침부의 역오목 형상 내로 돌출하여 결합할 때 부세력에 비례한 탄력음 내지는 충격음을 일으키지만, 스트라이커의 선단(상단)을 받침부의 역오목 형상의 하단면으로부터 역오목 형상의 내연부에 압접하면서 결합되도록 하여, 탄력음 내지는 충격음을, 제동(制動)부재를 추가하는 일 없이 압접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간단하고 쉽게 저감 할 수 있다.
(4) 상기 케이스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케이스의 높이를 가변하는 높이조절수단을 갖고 있는 구성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로크장치를 문에 장착한 후에도 베이스에 대하여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문에 대한 장착 정밀도를 완화할 수 있다.
(5) 상기 문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를 전도(轉倒) 가능하게 선회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케이스를 상기 고정 브래킷의 정규 위치로 부세하는 부세부재를 갖고,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받침부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가 소정 크기의 진동을 받으면 전도되어 상기 결합을 해제 가능하게 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아이가 문으로 개폐되는 본체측 개구부의 내측(수납실 등)에 갇혀진 경우 등의 비상시에 있어서, 문의 배면(背面)으로부터 문을 두드리는 등으로 하여 소정 크기의 진동을 가하는 것만으로, 로크장치가 고정 브래킷에 대하여 부세력에 저항하여 강제적으로 전도되어 결합 해제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상(異常) 사태(사람이 문의 배면측 공간에 갇혔을 때 등)에 무리하게 열 수 있게 하여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6) 본 발명에 의한 로크장치를 문에 이용한다. 보다 적합한 문 구조로서는, 문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접어 전개하면서 이동 가능한 중간 접이식 문이다. 이 경우, 문이 문의 타단(他端)의 이동을 가이드 레일의 홈 혹은 가이드용 홈을 따라 접어 전개하면서 이동 가능한 중간 접이식 문이라면, 걸림용 받침부로서 그 가이드 레일이나 가이드용 홈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폐문 상태에서 본체측의 걸림용 받침부에 착탈, 즉 결합하거나 결합 해제하는 스트라이커를 가진 고강도의 로크 구조를 채용하면서, 스트라이커 및 그에 부설되는 부세수단, 전환부재 및 그에 부설되는 스프링 수단, 걸림기구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문에 대한 누름 조작에 의해 문을 개문 상태로부터 폐문 상태로 전환하거나, 다음의 누름 조작에 의해 결합 해제하여 개문 상태로 전환하기 때문에,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종래의 손잡이를 필요로 하지 않아 외관성도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에 따른 로크장치를 구비한 중간 접이식의 문을 나타내며, (a)는 문의 의장면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 (b)는 배면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경첩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a)와 (b)는 형태의 로크장치를 정면과 배면에서 본 상태로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4(a)는 상기 로크장치의, 스트라이커를 케이스부터 돌출하였을 때의 상태도, (b)는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주요부의 높이를 더 변경하였을 때의 상태도이다.
도 5는 상기 로크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와 (b)는 문을 열림으로부터 닫힘 방향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를 상정(想定)한 로크장치의 주요부와 래치를 나타내는 모식 작동도이다.
도 7(a)와 (b)는 문이 닫힘 방향으로 더 눌려진 후, 누름 힘을 해방한 상태를 상정한 로크장치의 주요부와 래치를 나타내는 모식 작동도이다.
도 8(a)와 (b)는 문이 도 7 상태로부터 로크장치로 폐문 상태로 더 유지될 때까지를 상정한 로크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모식 작동도이다.
도 9(a)와 (b)는 문의 폐문 상태에서 아이 등이 갇혀진 비상시에서의 결합 해제(무리 빼기 구조)하는 조작 요령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a)?(c)는 무리하게 빼낸 후의 복원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변형 예의 로크장치를 도 5에 대응시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e)는 도 11의 로크장치를 사용하였을 때의 걸림기구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형태 및 변형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본체측 개구부와 문의 구성, 경첩의 구성, 로크장치의 구성, 조립 요령, 높이 조절 조작, 로크장치의 주 작동, 무리 빼기 구조, 변형예의 순서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측 개구부와 문의 구성) 형태의 로크장치(RE)는 도 1(a)(b)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체측 개구부에 대하여 일단측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됨으로써 본체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문 상태와 개방하는 개문 상태로 전환되는 문(9B) 또는 문(9A)에 이용된다. 도 1(a)(b)는 그 일례로서 본체(8)의 개구부가 좌우의 종재(縱材)(8a) 및 상하의 횡재(橫材)(8b)로 구획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는 예를 들면, 거실이나 복도 등의 공유 공간과 워크인 벽장(work-in closet)이나 물건을 넣어 두는 곳 등의 폐공간을, 중간 접이식 문(9A, 9B)을 통하여 개폐 내지는 연통하는 곳이다. 상측의 횡재(8b)의 내면에는, 단면 대략 역오목 형상의 가이드 레일(8c)이 장착되어, 그 가이드 레일(8c)의 요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다. 하측의 횡재(8b)의 내면에는, 가이드용 홈(8d)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8c)의 홈은 본 발명의 받침부로서 이용된다. 이 때문에, 부호 8c는 받침부(8c)로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상측의 횡재(8b)의 내면에는, 가이드 레일(8c)보다 워크인 벽장이나 물건을 넣어 두는 곳 등의 폐공간으로 되는 측에 맞닿음부(8e)가 대략 수직으로 내려 설치되어 있다. 이 맞닿음부(8e)는 로크장치(RE)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그 로크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전환부재(3)가 맞닿음으로써 문(9B)이 상기 폐공간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 예에서는, 맞닿음부(8e)가 금속 등으로 형성된 대략 T형의 밀어넣기 방지 스토퍼(stopper)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문(9A, 9B)은 전면(의장면)측, 즉 상기한 공유 공간에 배치되는 측은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손잡이 혹은 손 걸림용 오목한 곳 등을 모두 없앤 의장 형상으로 조형(造形)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문(9A, 9B)의 배면, 즉 상기한 폐공간 측에서의 문끼리의 대향단은 도 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예에서는, 3개)의 경첩(7)에 의해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문(9A)은 일단측이 종재(8a)에 접근 배치되어, 도시하지 않은 선회축(樞軸) 등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선회되지만, 가이드 레일(8c)과 홈(8d)을 따라 도시하지 않은 선회축 등을 통하여 이동 가능한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선회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대하여, 문(9B)은 일단측이 가이드 레일(8c)과 홈(8d)을 따라 도시하지 않은 선회축(이 선회축은 핀 구성, 롤러 구성의 경우도 있다)을 통하여 이동 가능한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선회된다. 또한, 문(9B)에는, 상측의 경첩(7)의 근방에서, 문의 배면 상연측(上椽側)에는, 오목한 곳(9a)이 설치되어, 로크장치(RE)가 그 오목한 곳(9a)에 장착되고 있다.
(경첩의 구성) 도 1(b), 도 2에 있어서, 경첩(7)은 문(9A)과 문(9B)에 걸쳐 복수의 나사(B)에 의해 문 대응부에 고정됨과 함께, 각 문을 상시 개방 상태, 즉 외측을 향하여 절곡하도록 부세하는 부세(付勢) 스프링(69)을 갖고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경첩(7)은 도 2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문에 장착되는 좌우의 경첩편(67, 67)과 각 경첩편(67, 67)을 상하의 연결부(67a)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선회축(68)과, 선회축(68)의 외주에 배치되는 코일형의 부세 스프링(69)과, 선회축(68)에 대하여 부세 스프링(69)을 덮도록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선회되고, 또한 부세 스프링(69)의 대응단(對應端)(69a 또는 69b)을 걸어 고정한 상태로 대응하는 경첩편(67)에 겹쳐지는 커버 겸용의 스프링 받침편(7a, 7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경첩편(67)에는, 부세 스프링(69) 및 스프링 받침편(7a, 7b)을 통하여, 화살표로 나타내는 절곡되는 부세력이 상시 가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이 경첩(7)에서는, 로크장치(RE)의 결합 해제, 즉 비(非)로크 상태에 있어서,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문(9A, 9B)끼리를 대략 ヘ형(부세력이 강하면 대략 V자형)으로 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개방 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경첩은 시판품을 사용하여도 좋다.
(로크장치의 구성) 이 로크장치(RE)는 문(9B)의 오목한 곳(9a)에 대하여 직접 혹은 베이스(5) 등을 통하여 설치되는 케이스(1)와, 케이스(1)의 공간(15a)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트라이커(2)와, 스트라이커(2)를 케이스(1)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S1)과, 케이스(1)에 선회되어 스트라이커(2)에 부하를 부여하지 않는 통상의 비작동 위치로부터 본체측 개구부에 형성된 맞닿음부(8e)에 부딪혔을 때의 응력에 의해 작동 위치로 회동되는 전환부재(3)와, 전환부재(3)를 작동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수단(S2)과, 전환부재(3)가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전환될 때마다, 스트라이커(2)를 부세수단(S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이동한 상태로 유지하는 걸림 형태 및 상기 유지를 해제하는 비걸림 형태로 교대로 가변하는 걸림기구로서의 래치(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로크장치(RE)는 래치(4)가 스트라이커(2)를 부세력에 저항하여 유지한 걸림 형태에서, 문(9B)이 부세 스프링(69)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열림으로부터 닫힘 방향으로 밀려 그 누름 힘을 해방하면, 래치(4)가 전환수단(3) 및 스트라이커(2)를 통하여 걸림 형태로부터 비걸림 형태로 전환되어 받침부(8c)(본 예에서는, 가이드 레일(8c)의 홈)에 스트라이커(2)를 결합하여 폐문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되고, 문(9B)이 재차 같은 방향으로 밀어지면, 래치(4)가 전환수단(3) 및 스트라이커(2)를 통하여 걸림 형태로 전환되어 상기 결합을 해제하여, 문(9B)을 부세력에 의해 닫힘으로부터 열림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한다.
또한, 이상의 로크장치(RE)는 케이스(1)를 직접 또는 본 예와 같이 어저스터 케이스(adjuster case)(60)를 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베이스(5), 및 베이스(5)에 대한 케이스(1)의 높이를 가변하는 어저스트 케이스(60)를 포함한 높이조절수단(6)을 갖고 있다. 또한 무리 빼기 구조로서 케이스(1)를 전도(轉倒) 가능하게 선회하는 고정 브래킷(55A)과, 고정 브래킷(55A)에 일체화되어 상기 케이스(1)를 정규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탄성 유지하는 판금(55B)과, 케이스(1)를 고정 브래킷(55A)의 정규 위치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부재(S3)를 갖고 있다. 이하, 각부재의 세부(細部)를 분명히 한다.
먼저, 케이스(1)는 전후벽(10, 11) 및 양측벽(12) 등으로 구획되는 대략 위쪽에 개구된 용기 형상을 이루고, 스트라이커(2) 및 래치(4)를 배치하는 공간(15a)과, 공간(15a)의 양측에 내벽을 통하여 구획되어 전환부재(3)의 양 다리부(31)를 삽입 통과시키는 작은 공간(15b)을 형성하고 있다. 공간(15a)은 도시하지 않은 저벽(底壁)을 갖고, 그 저벽에 부세수단(S1)인 코일 스프링의 하측을 지지하는 축부 (軸部)(14c)(도 9(a)(b)를 참조)와, 래치(4)를 장착하는 도시하지 않은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13은 상기 저벽의 좌우 중간에 하향 설치된 편부(片部)이다. 이 편부(13)에는,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끼워 맞춤구멍(13a)이 좌우로 관통되어 있다. 또한, 전벽(前壁)(10)에는, 상측을 크게 개구한 절결부(16)와, 하측 중간에 형성되어 부세부재(3)의 대응단을 걸리게 하는 걸림부(17)가 설치되어 있다. 후벽(後壁)(11)에는, 공간(15a) 내에 형성되어 스트라이커(2)를 안내하는 좌우의 가이드홈(14a) 및 중간의 가이드홈(14b)과, 가이드홈(14b)의 일부를 관통하여 스트라이커(2)의 돌기(23a)와 끼워 맞춰 그 스트라이커(2)의 케이스 공간(15a)으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규제홈(14c)(도 6(a)을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양측벽(12)의 하측에는, 축구멍(18)이 상기 끼워 맞춤구멍(13a)과 같은 축선 상에 관통되어 있다. 양측벽(12)의 위쪽 외면에는, 걸림부(1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걸림부(19)는 후측으로부터 앞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과, 대략 수직으로 된 전단면(前端面)을 갖고 있다.
스트라이커(2)는 작은 블록 형상의 본체(20)와, 본체(20)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상부 결합부(21)와, 본체(20)의 양측면에 설치된 가이드리브(22)와, 본체(20)의 후면에 설치된 가이드리브(23)와, 본체(20)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하부 결합부(24) 및 하부 결합부(24)의 앞에 설치된 통부(筒部)(25)를 갖고 있다. 이 중, 본체(20)의 상면은 후측보다 앞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상부 결합부(21)는, 전측이 해제용 경사면(21a), 후측이 걸림용 수직면(21b)으로 되어 있고, 본체 개구부의 받침부(8c)와 착탈된다. 양측의 가이드리브(22) 및 후측의 가이드리브(23)는 공간(15a) 내의 가이드홈(14a) 및 가이드홈(14b)에 끼워 맞춰진다. 가이드리브(23)는 배면측으로 돌출된 돌기(23a)를 갖고 있다. 하부 결합부(24)는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단에 돌기부(24a)를 갖고, 공간(15a) 내에 장착되는 래치(4)에 착탈된다. 통부(25)는 스트라이커(2)를 케이스(1)보다 돌출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S1)인 코일 스프링의 윗 부분을 위치 결정한다.
전환부재(3)는 대략 ㄷ 형상으로 되어 있고, 수평으로 배치되는 중간부(30)와, 중간부(30)의 양측에 하향 설치된 좌우의 다리부(31)로 이루어진다. 중간부(30)는 후면 양측에 돌출 설치되어 스트라이커측 본체(20)의 상면에 맞닿을 수 있게 되는 누름부(32)와, 전면 상측을 구성하여 본체측 개구부의 맞닿음부(8e)에 닿기 쉽게 되도록 약간 경사진 닿음부(33)를 갖고 있다. 각 다리부(31)는 하단측으로서 동일 축선 상에 관통되어 있는 축구멍(34)을 갖고, 케이스(1)의 대응하는 작은 공간(15b)에 삽입 통과된다. 이상의 전환부재(3)는 케이스(1)에 대하여 샤프트(35)를 축구멍(34) 및 축구멍(18)에 삽입 통과한 상태로 소정 각만큼 회동 가능하게 선회된다.
래치(4)는 본 발명의 걸림기구에 상당하여, 스트라이커의 하부 결합부(24)를 내부에 받아 들일 수 있는 케이스(40)와, 케이스(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부(42) 부착의 슬라이딩체(41)와, 슬라이딩체(41)를 케이스(40)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부재와, 슬라이딩체(41)에 형성된 대략 하트형 캠 홈(43) 및 캠 홈(43)을 트레이스하는 핀(44)을 갖고, 공간(15a)의 저벽에 설치된 장착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상의 래치(4)는 도 7(b)의 비걸림 형태로부터, 스트라이커(2)가 전환부재(3)를 통하여 도 6(b)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리면, 하부 결합부(24)가 슬라이딩체(41)의 대응부에 부딪쳐, 슬라이딩체(41)를 부세력에 저항하여 케이스(40) 내로 밀어넣는다. 이 상태에서 걸림부(42)는 케이스(40) 내를 후퇴하면서 하부 결합부의 돌기부(42a)를 구속하여, 상기 도면과 같이 후퇴 위치에서 걸리는 걸림 형태로 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스트라이커(2)가 전환부재(3)를 통하여 도 6(b)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리면, 상기 걸림이 해제되어, 슬라이딩체(41)가 부세력에 의해 밀려 걸림부(42)를 케이스(40)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돌기부(42a)에 대한 걸림부(42)의 구속을 해방하는 비걸림 형태로 전환된다.
높이조절수단(6)은 케이스(1)를 샤프트(35)를 지점으로 하여 전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어저스트 케이스(60)와, 어저스트 케이스(60)를 베이스(5)에 대하여 상하로 가변하는 조작부재(65)를 갖고 있다. 여기서, 조작부재(65)는 조작용 머리 부 및 수나사로 이루어지는 볼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어저스트 케이스(60)는 케이스(1)의 하측을 배치하는 공간을 구획하고 있는 유지부(61)와, 유지부(61)의 하측에 일체화되어 조작부재(65)의 머리 부분을 조작 가능하게 배치하는 공간을 구획하는 기능부(62)로 이루어진다. 유지부(65)는 앞쪽이 개구되어 있다. 여기에는, 양측벽(61)의 하측을 동일 축선 상에 관통하고 있는 축구멍(61a)과, 양측벽(61)의 외면에 설치된 가이드리브(61b)와, 한쪽 측벽(61)의 하부 내측의 모퉁이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용 걸림홈(61c)이 설치되어고 있다. 기능부(62)에는, 웅덩이부(63)가 전벽의 좌우 중간으로부터 후측으로 향하여 절결되어 있음과 함께, 웅덩이부(63)를 구획하고 있는 저면의 일부에 아래쪽으로 관통한 삽입 통과부(64)를 형성하고 있다. 도 3(a)(b) 안, 부호 64a는 유지부(65)의 하측으로부터 기능부(62)에 걸쳐 절결된 스프링용 걸림홈이다. 또한, 도 6(a)?도 9(b)에서는, 작도상의 제약으로부터 높이조정수단(6)을 간략화하고 있다.
베이스(5)는 케이스(1)를 어저스트 케이스(60)를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거나, 케이스(1)가 여기를 기준면으로 하여 어저스트 케이스(60) 및 조작부재(65)로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수단(6)을 통하여 소정 치수만큼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하기 위한 부재이다. 즉, 베이스(5)는 중간부(50) 및 양측벽(51)으로 구획되는 대략 U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간부(50)에는, 상면 중앙부에 암나사부(54)가 설치되어 있다. 암나사부(54)는 조작부재(65)의 수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를 중간부(50)에 형성하는 구성, 중간부(50)의 두께 내에 장착한 너트를 이용하는 구성의 어느 하나이다. 양측벽(51)에는, 내면에 설치된 가이드홈(51a)과, 하부 외면에 돌설된 걸림돌기(52)와, 대략 상하 중간부에 관통된 긴 구멍 형상의 퇴피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베이스(5)는 도 3(a)(b)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형태의 로크장치(RE)에 무리 빼기 구조를 채용하기 위해 고정 브래킷(55A) 및 고정 브래킷(55A)에 연결되는 판금(55B)을 갖고 있다. 여기서, 고정 브래킷(55A) 및 판금(55B)은 프레스품이지만, 수지 성형품이라도 좋다. 고정 브래킷(55A)은 베이스(5)에 장착되는 양 하측의 장착부(56)와, 각 장착부(56)를 일체화하여 문측에 고정되는 장착부(57)로 이루어진다. 장착부(56)에는, 걸림돌기(52)가 결합되는 결합구멍(56a)과, 퇴피구멍(53)에 대응하는 퇴피구멍(56b)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57)는 케이스(1)의 배면측보다 양 측부(12)를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문의 대응부에 스프링으로 고정할 때의 장치구멍(57a)과, 상단을 절곡하여 문의 대응부에 걸리게 하는 걸림고정부(57b)를 갖고 있다. 이에 대하여, 판금(55B)은 고정 브래킷(55A)의 내측에 배치되는 형상으로 설정되고, 장착부(57)과 마찬가지로 케이스(1)의 배면측보다 양 측부(12)를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 장착부(58)와, 각 장착부(58)에 형성되어 장치구멍(57a)에 겹쳐지는 장착구멍(58a)과, 양 장착부(58)의 내측에서 일단이 짧게 형성되어 있는 탄성변형 가능한 결합편부(59)를 갖고 있다.
(조립 요령) 이상의 스트라이커(2)는 케이스의 공간(15a)에 대하여, 후술하는 래치(4)를 장착한 후에 부세수단(S1)과 조립되어, 양 가이드홈(14a)에 대응 가이드리브(22)를, 가이드홈(14b)에 가이드리브(23)을 끼워 맞춘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또한, 돌기(23a)가 규제홈(14c)의 상단에 닿아서 빠짐 방지된다(도 8(a)(b)를 참조). 다음으로, 전환부재(3)는 양 다리부(31)를 대응하는 작은 공간(15b)에 삽입하면, 중간부(30)가 공간(15a) 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누름부(32)끼리의 사이에 본체(20)의 상면 중간부를 빠져나가, 각 누름부(32)가 본체(20) 표면의 대응측 부분과 대향한다. 이하, 이 상태를 반조립품이라고 한다.
한편, 베이스(5)에는, 어저스트 케이스(60)가 가이드홈(51a)에 가이드리브(61b)를 끼워 맞춘 상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그때는 조작부재(65)가 그 머리 부분을 웅덩이부(63)에 배치한 상태로 되고, 또한, 어저스트 케이스(60)가 베이스(5)의 하측으로 이동 배치된 상태에서 사람의 손가락이나 공구에 의해 상기 머리 부분을 회전하여 수나사부를 암나사부(54)에 나사 삽입하도록 한다. 또한, 베이스(5)에는, 고정 브래킷(55A)이 걸림돌기(52)와 결합구멍(56a)과의 결합에 의해 장착된다. 그때는 판금(55B)이 장치구멍(57a)과 장착구멍(58a)을 일치하도록 고정 브래킷(55A)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상의 상태로부터, 상기 반조립품은 어저스트 케이스(60)에 대하여 샤프트(35)를 통하여 선회된다.
즉, 샤프트(35)는 예를 들면 도 5 상태에서, 고정 브래킷측의 좌측 퇴피구멍(56b), 어저스트 케이스측의 좌측 축구멍(61a), 스프링 수단(S2)인 코일 스프링, 편부(13)의 끼워 맞춤구멍(13a)(도 3(a)(b)를 참조), 부세부재(S3)인 코일 스프링, 케이스측의 한쪽 축구멍(18), 전환부재측의 한쪽 축구멍(34), 전환부재측의 한쪽 축구멍(34), 케이스측의 한쪽 축구멍(18), 어저스트 케이스측의 한쪽 축구멍(61a), 고정 브래킷측의 한쪽 퇴피구멍(56b)에 관통되어, 꼬챙이 상태로 배치된다. 그 후, 샤프트(35)는 스냅 링(snap ring)(37)이 양단측에 형성된 둘레홈(36)에 각각 걸리게 됨으로써 빠짐 방지된다.
다음으로, 스프링 수단(S2)인 코일 스프링은 도 3(a)(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단이 어저스트 케이스측의 걸림홈(61c)(도 5를 참조)에 걸려지고, 타단이 부세력을 발현하면서 전환부재의 한쪽 다리부(31)의 하측 부분에 걸려지고, 그것에 의해 전환부재(3)가 케이스의 전벽 내면을 따라 배치되어 대략 수직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가 전환부재(3)의 비작동 위치이다. 또한, 부세부재(S3)인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어저스트 케이스측의 걸림홈(64a)(도 3(a)(b)를 참조)에 걸려지고, 타단이 부세력을 발현하면서 케이스측의 걸림부(17)에 걸려진다. 그것에 의하여, 케이스(1)는 어저스트 케이스(60)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대략 수직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판금(55B)의 결합편부(59)와 케이스측부의 걸림부(19)와의 결합에 의해 고정 브래킷(55A)에 결합되어 탄성 유지된다. 도 3(a)(b)의 로크장치(RE)는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것으로 케이스(1)가 정규 상태로 되어 있다.
(높이 조절 조작) 이상의 로크장치(RE)는 도 1(a)(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문(9B)에 형성된 오목한 곳(9a)에 장착된다. 오목한 곳(9a)은 본체측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부(8c)에 대응하여 미리 형성된다. 그런데, 통상은 부재 사이에 대소의 치수 오차가 있다. 이 때문에, 로크장치(RE)는 오목한 곳(9a) 내에 배치하여 나사 등을 장착구멍(58a, 57a)에 삽입 통과하여 고정 조작할 때, 스트라이커(2)가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부세수단(S1)의 부세력으로 케이스(1)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받침부(8c)와 설계대로 결합하도록, 오목한 곳(9a) 내에서의 설치 높이를 정확하게 결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조작은 의외로 번거로운 것이다. 따라서, 이 로크장치(RE)에서는, 오목한 곳(9a)에 일단 고정한 다음에도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장착 조작성을 양호하게 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즉, 도 4(b)는 로크장치(RE)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어저스트 케이스(60)를 포함한 상측(케이스(1), 스트라이커(2), 전환부재(3), 래치(4), 부세수단(S1), 스프링 수단(S2), 부세부재(S3))을 베이스(5)에 대하여 수 밀리(mm)만큼 화살표의 위쪽으로 위치 조절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조작은 웅덩이부(63)에 노출되어 있는 조작부재(65)의 머리 부분을 손가락 등으로 화살표로 나타내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 조작한다. 높이를 줄이는 경우는, 조작부재(65)를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하게 된다. 이 예에서는, 조작부재(65)가 회전에 의해 베이스의 암나사(54)와의 나사 결합을 통하여 나사 이송되어, 상기 어저스트 케이스(60)를 포함한 상측(케이스(1), 스트라이커(2), 전환부재(3), 래치(4), 부세수단(S1), 스프링 수단(S2), 부세부재(S3))을 약 10mm의 범위에서 베이스(5)(및 고정 브래킷(55A))에 대하여 가이드홈(51a)과 가이드리브(61b)와의 안내 작동을 수반하여 원활하게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로크장치의 주 작동) 다음으로, 이상의 로크장치(RE)를 이용하였을 때의 개문 상태(문의 열림)로부터 폐문 상태로 전환되거나, 폐문 상태로부터 다시 개문 상태에 전환될 때의 작동에 대하여 도 6(a)?도 8(b)을 참고로 하여 분명히 한다. 이러한 도면 중, 우측 방향의 화살표는 문을 열림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력을 나타내고, 좌측 방향의 화살표(1)과 (2)는 문을 부세력에 저항하여 누르고 있는 누름 힘을 나타내고, 화살표(1)는 문이 열림으로부터 닫힘 방향으로의 누름 힘, 화살표(2)는 폐문 상태로부터 닫힘 방향으로의 누름 힘을 더 나타내고 있다.
(1) 먼저, 개방 상태에서는, 도 1(a)(b)로부터 추측되듯이 경첩측의 부세 스프링(69)의 부세력에 의해, 문(9A, 9B)끼리의 대향 단부는 앞 방향으로 향하여 ヘ형상(부세력이 보다 강하면, 더 V자형)으로 회동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문(9B)을 손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압압함으로써, 문(9A, 9B)끼리가 절첩되어, 본체(8)측 개구부의 폭을 크게 개구할 수 있다. 이 개방 상태에서, 로크장치(RE)는 도 6(a)의 우측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환부재(3)는 스트라이커(2)에 부하를 부여하지 않는 통상의 기립 상태 즉, 비작동 위치에 있고, 스트라이커(2)는 부세수단(S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아래에 이동되어 래치(4)에 의해 그 이동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래치(4)는 도 6(b)과 같이 래치(4)를 구성하고 있는 쌍의 걸림부(42)가 하부 결합부(24)의 돌기부(24a)를 구속하여 케이스(40) 내에 걸림, 즉 걸림 형태로 되어 있다.
(2) 문(9A, 9B)을 개문 상태로부터 폐문 상태로 하는 경우는, 도 6(a)과 같이 손이나 손가락으로 문(9B) 또는 문(9A)을 경첩(7)의 부세 스프링(69)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화살표(1)로 나타내는 닫힘 방향으로 누른다. 이 압압 과정에 있어서, 전환부재(3)는 도 6(a)의 좌측과 같이 닿음부(33)가 본체측 개구부의 맞닿음부(8e)에 맞닿으면, 그 반력으로 스프링 수단(S2)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시계회전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스트라이커(2)는 전환부재의 누름부(32)로 하향으로 압압되어, 그 누름 힘으로 부세수단(S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아래로 이동된다. 그러면, 래치(4)는 상기 걸림 형태로부터, 스트라이커(2)가 도 6(b)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리면, 상기 걸림이 해제되어, 문에 대한 누름 힘의 해방과 연동하여, 슬라이딩체(41)가 도시하지 않은 부세력에 의해 밀려 걸림부(42)를 케이스(40)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최종적으로 도 7(b)과 같이 돌기부(42a)에 대한 걸림부(42)의 구속을 해방하여 비걸림 형태로 전환된다.
도 7(a)?도 8(b)는 스크라이커(2)가 래치(4)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본체측 개구부의 받침부(8c)에 결합하여 폐문 상태로 유지할 때까지의 세부(細部)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로크장치(RE)에서는, 문에 대한 누름 힘을 해방하면, 문(9B)은 부세 스프링(69)의 부세력에 의해 열림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때, 전환부재(3)는 스프링 수단(S2)의 부세력에 의해 작동 위치로부터 기립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8(a)(b)와 같이 통상의 비작동 위치로 전환된다. 스트라이커(2)는, 전환부재(3)가 비작동 위치로 전환되는 과정에 있어서, 부세수단(S1)의 부세력에 의해 도 7(a)와 같이 케이스(1)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부 결합부(21)의 상단이 받침부(8c)를 형성하고 있는 역오목 형상의 하면에 맞닿는다. 문(9B)은 그 맞닿음에 의해 받는 마찰력에 의해 속도를 줄여 열림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된다. 이어서, 스트라이커(2)는 부세수단(S1)의 부세력에 의해 위쪽으로 부세되지만, 그때는 도 8(a)과 같이 받침부(8c)를 형성하고 있는 역오목 형상에 이르면, 역오목 형상의 하단면으로부터 역오목 형상의 내연부에 압접(壓接)되면서, 도 8(b)와 같이 문(9B)과 함께 부세력으로 열림 방향으로 약간 이동되어 역오목 형상의 웅덩이와 결합되어, 문(9B)을 폐문 상태로 유지(로크)한다. 이러한 작동은 스트라이커(2)가 받침부(8c)와 대향하면, 그 받침부의 역오목 형상 내로 돌출하여 결합될 때 부세력에 비례한 크기의 덜거덕거리는 소리(결합시의 작동음 내지는 충격음과 같음)를 일으키지만, 스트라이커의 선단을 받침부의 역오목 형상의 하단면으로부터 역오목 형상의 내연부에 압접하면서 결합함으로써, 그러한 덜거덕거리는 소리를 제동부재를 추가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쉽게 저감할 수 있다.
(3) 문(9)을 다시 개문 상태로 하는 경우는, 도 8(b)의 폐문 상태에 있어서, 손이나 손가락으로 문(9B) 또는 문(9A)을 경첩측 부세 스프링(69)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화살표(2)의 닫힘 방향으로 도 6(a)과 같이 오버 스트로크 할 때까지 누른다. 바꿔 말하면, 도 8(b)의 화살표(2)는 문을 닫힘 방향으로 눌렀을 때 상태를 나타내고, 도 6(a)의 화살표(2)는 그 누름 힘을 해방하였을 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로크장치(RE)는, 문(9B)이 도 8(b)의 화살표(2)의 닫힘 방향으로 밀리면, 스트라이커(2)가 부세수단(S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하부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전환부재(3)는 맞닿음부(8e)에 닿을 때까지는 스프링 수단(S2)의 부세력으로 기립된 비작동 위치에 유지되어, 닿음부(33)가 맞닿음부(8e)에 닿아진 후는 그 반력에 의해 스프링 수단(S2)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시계회전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스트라이커(2)는 전환부재(3)의 누름부(32)로 하향으로 압압되어, 그 누름 힘으로 도 6(b)와 같이 부세수단(S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아래로 이동되어, 최종적으로는 하부 결합부(24)의 돌기부(24a)가 래치(4)를 구성하고 있는 쌍의 걸림부(42)로 구속되어 케이스(40) 내로 인입되면서 걸리게 된다. 즉, 래치(4)는 비걸림 형태로부터 걸림 형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문은 누름 힘이 해방되면, 부세 스프링(69)의 부세력에 의해 도 6(a)의 우측 도면과 같이 열림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전환부재(3)도 스프링 수단(S2)의 부세력에 의해 기립되는 비작동 위치로 전환된다. 이후는 문(9B, 9A)의 닫힘 방향으로의 압압 동작마다 문(9B, 9A)의 결합 유지, 결합 해제가 반복하게 된다.
(무리 빼기 구조) 이상의 로크장치(RE)는 유아나 아이 등이 문(9B, 9A)의 배면측 폐공간(수납실 등)에 갇혀진 경우의 대책으로서 간단하게 결합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그 무리 빼기 구조를 도 9(a)(b) 및 도 10(a)?(c)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로크장치(RE)는 도 9(a)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아이가 문으로 닫혀진 폐공간에 갇혔을 경우, 문(9B, 9A)의 의장면 및 배면 모두 손잡이나 손잡이용 오목한 곳이 없기 때문에, 그 아이는 로크장치(RE)의 결합을 해제하고 싶어도 문(9B, 9A)을 자력으로 폐공간측으로 인장(引張)할 수 없어 위기의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아이가 그 폐공간측으로부터 문(9B) 또는 문(9A)을 누르거나 두드리는 것만으로 로크장치(RE)가 자동적으로 결합 해제되고, 또한 문(9B, 9A)이 자동적으로 개방 상태로 전환된다.
즉, 로크장치(RE)는 진동이나 가중(加重)이 문(9B, 9A)에 가해지면, 샤프트(35)를 지점으로 하여, 부세부재(S3)의 부세력에 저항하고, 또한 판금측의 결합편부(59)와 케이스측의 걸림부(19)와의 결합력을 극복하여 그 결합의 해제를 따라 도 9(b)와 같이 전도되고, 이 전도 상태에서 스트라이커(2)가 부세수단(S1)의 압축 변위를 수반하여 하강되어, 상부 결합부(21)가 받침부(8c)로부터 어긋나서 결합 해제된다. 그러면, 문은 폐문 상태로부터 부세 스프링(69)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열림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로크장치(RE)는 도 10(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이 다시 닫힘 방향으로 밀리는 것만으로 원래의 정규 상태로 복원된다. 즉, 로크장치(RE)는 상기도 9(b) 또는 그것보다 문이 열림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문이 부세 스프링(69)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닫힘 방향으로 밀어지면, 스트라이커(2)가 본체측 개구부 및 받침부(8c)와의 완충을 수반하여 부세력에 저항되어 아래로 이동된다. 전환부재(3)는 도 10(a)와 같이 본체측 개구부의 맞닿음부(8e)에 맞닿아, 그 반력으로 스프링 수단(S2)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시계회전으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2)가 전환부재(3)에 밀려 아래로 이동된다. 문이 같은 방향으로 더 밀리는 과정에서, 케이스(1)는 도 10(b)와 같이 전환부재(3)로부터 받는 응력에 의해 고정 브래킷(55A)에 접근 이동되고, 도 10(c)과 같이 최종적으로 고정부 브래킷측 결합편부(59)에 대해 케이스측 걸림부(19)가 탄성 결합된다. 문에 대한 누름 힘을 해방하면, 래치(4)는 스트라이커의 하부 결합부를 구속한 걸림 형태로 전환된다. 문은 부세 스프링(69)의 부세력에 의해 열림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전환부재(3)도 스프링 수단(S2)의 부세력에 의해 비작동 위치로 전환된다.
(변형예) 도 11 및 도 12(a)?(e)는 상기 형태의 일부를 변경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설명에서는, 제1 형태와 같은 부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위 또는 변경된 부재에만 다른 부호를 이용하여 변경점만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변경점은 상기 고정 브래킷(55A) 및 판금(55B)을 일체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즉, 이 고정 브래킷(55)는 베이스(5)에 장착되는 양 하측의 장착부(56)와 문의 스프링으로 고정할 때의 장착구멍(57a) 및 문의 대응부에 걸리는 걸림고정부(57b)를 가진 장착부(57)와 양 장착부(57)의 내측에서 일단이 짧게 형성되어 있는 탄성변형 가능한 결합편부(59)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제2 변경점은 상기 래치(4)를 대신하는 걸림기구(4A), 즉 스트라이커(2A)측에 설치된 캠 홈(45)과, 케이스(1)측에 설치되어 캠 홈(45)을 트레이스하는 핀(46)과, 핀(46)을 요동 가능하게 부세하는 판 스프링(47)으로 구성한 점에서 다르다. 즉, 변형예에서, 케이스(1)는 상기 형태에 비하여 트레이스용 핀(51) 및 그 핀을 부세하는 판 스프링(47)이 부설되는 점에서 상위하다. 또한, 이 스트라이커(2A)는 상기 스트라이커(2)에 대하여, 본체(20), 상부 결합부(21), 가이드리브(22), 통부(25) 등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마찬가지로 하고, 본체(20)의 배면에 설치되어 선회 타입 내지는 하트 캠형의 캠 홈(28)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 중, 핀(46)은 금속제 선재(線材)를 대략 ㄷ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것으로, 하단(46a)이 케이스측의 대응부에 선회되고, 상단(46b)이 케이스측 대응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작은 개구로부터 케이스 내로 돌출되고, 그 상태에서 핀 중간부가 판 스프링(47)으로 부세 유지된다. 이 판 스프링(47)은 하측이 케이스측 대응부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에 압착된 상태에서, 위쪽으로 핀 대응부를 부세하여, 핀(46)이 그 부세력에 저항하여 하단(46a)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되도록 한다. 캠 홈(28)은 도 1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볼록하고 하트형의 섬(島)(29)의 주위로 형성되어 있어, 하측으로부터 우측 상측으로 뻗어 있는 주 통로홈(28a)과, 상측에 위치되어 좌우로 분리되어 있는 걸림용 유도홈(28b) 및 해제용 유도홈(28d)과, 유도홈(28b, 28d) 사이에서 약간 하측에 위치한 오목 형상 걸림홈(28c)과, 유도홈(28d)으로부터 하측으로 뻗는 복귀홈(28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의 걸림기구(4A)에 있어서, 도 12(a)는 예를 들면 개방 상태, 즉 도 6(a)의 우측 및 도 6(b) 상태에 대응하여 나타내고 있다. 걸림기구(4A)는 전(前) 단계에서 스트라이커(2A)가 부세력에 저항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것에 따라, 핀(46)(의 타단(46b))이 걸림홈(28c)에 결합되고, 이 결합에 의해 스트라이커(2A)를 부세수단(S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위쪽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도 12(b)는 예를 들면 문이 도 6(a)의 우측과 같이 개방 상태로부터 도 12(a)의 좌측으로 이행되는 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걸림기구(4A)는 스트라이커(2A)가 상기한 바와 같이 전환부재(3)에 밀려 부세수단(S1)의 부세에 저항하여 아래쪽으로 이동되고, 그것에 따라 핀(46)(의 외단(46b))이 걸림홈(28c)으로부터 해제용 유도홈(28d)으로 이동한다.
도 12(c)는 예를 들면, 문이 도 6(a)의 좌측 상태로부터 누름 힘을 해방한 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걸림기구(4A)는, 전환수단(3)이 작동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전환되고, 동시에 스트라이커(2A)가 상기한 바와 같이 부세수단(S1)의 부세력으로 위쪽으로 이동되어 받침부(8c)에 결합되고, 핀(46)(의 외단(46b))이 유도홈(28d)으로부터 복귀홈(28e)의 하단 내지는 주 통로홈(28a)의 하단으로 이동한다.
도 12(d)는 예를 들면 도 8(b)의 폐문 상태로부터 문을 화살표(2) 방향으로 누른 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걸림기구(4A)는 전환수단(3)이 맞닿음부(8e)에 부딪혔을 때의 반력에 의해 부세력에 저항하여 작동 위치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2A)가 그 전환부재(3)의 회전에 의해 하향으로 밀려 핀(46)(외단(46b))이 주 통로홈(28a)으로부터 걸림용 유도홈(28b)으로 이동한다.
도 12(e)는 예를 들면 도 1(a)의 좌측에서 문에 대한 누름 힘을 해방하고, 문이 부세력으로 다시 열림 방향으로 움직일 때의 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걸림기구(4A)는, 전환수단(3)이 작동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회전되고, 스트라이커(2)가 부세수단(S1)의 부세력으로 위로 이동되며, 핀(46)(외단(46b))이 유도홈(28b)으로부터 다시 걸림홈(28c)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의 변형예에서는, 형태에 비해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형태에서는, 문으로서 중간 접이식 문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의 로크장치는 열림 방향으로 부세되는 회동 타입(일단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되는 구성, 일단의 선회축이나 선회부를 이동하면서 회동되는 구성을 포함)의 문이라면, 1장, 반대로 3장 이상 연결한 접이식 문에도 적용 가능하다.
2009년 11월 2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9-251887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開示)로서 포함한다.

Claims (7)

  1. 본체측 개구부에 대하여 일단(一端)측을 지점으로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문 상태와 개방하는 개문 상태로 전환됨과 함께, 상시 열림 방향으로 부세(付勢)되어 있는 문에 이용되어, 폐문 상태로부터 상기 본체에 설치된 걸림용 받침부에 착탈되는 스트라이커(striker)를 갖고, 상기 문이 열림으로부터 닫힘 방향으로 눌려져 그 누름 힘을 해방하면, 상기 받침부에 대하여 상기 스트라이커를 결합하여 폐문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되고, 상기 문을 재차 같은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결합을 해제하여 닫힘으로부터 열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는 로크장치로서,
    상기 문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케이스와,
    상기 스트라이커를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과,
    상기 케이스에 선회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에 부하를 부여하지 않는 통상의 비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본체 측에 설치된 맞닿음부에 부딪혔을 때의 응력에 의해 회동되어 작동 위치로 전환되고, 상기 스트라이커를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이동하는 전환부재와,
    상기 전환부재를 작동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수단과,
    상기 전환부재가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전환될 때마다, 상기 스트라이커를 부세력에 저항하여 이동한 상태로 유지하는 걸림 형태 및 상기 유지를 해제하는 비걸림 형태에 교대로 가변 가능한 걸림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의 대응부를 내부에 받아 들일 수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부 부착 슬라이딩체와, 상기 슬라이딩체를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체에 설치된 캠 홈과, 상기 캠 홈을 트레이스(trace)하는 핀을 가진 래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스트라이커 측에 설치된 캠 홈과, 상기 케이스 측에 설치되어 상기 캠 홈을 트레이스하는 핀을 갖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단면(斷面)이 대략 역(逆)오목 형상을 이루고,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전환부재가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회동된 후, 상기 문에 대한 열림으로부터 닫힘 방향으로의 누름 힘을 해방하면, 상기 걸림기구가 걸림 형태로부터 비걸림 형태로 전환됨과 함께, 선단이 상기 받침부의 역오목 형상의 하단면으로부터 역오목 형상의 내연부(內緣部)에 압접(壓接)하면서, 상기 문과 함께 부세력으로 이동되어 역오목 형상의 웅덩이와 결합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케이스의 높이를 가변하는 높이조절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를 전도(轉倒) 가능하게 선회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케이스를 상기 고정 브래킷의 정규 위치에 부세하는 부세수단을 갖고,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받침부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가 소정 크기의 진동을 받으면 전도되어 상기 결합을 해제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로크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KR1020127012021A 2009-11-02 2010-10-29 로크장치 KR101318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51887A JP5295074B2 (ja) 2009-11-02 2009-11-02 ロッ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扉
JPJP-P-2009-251887 2009-11-02
PCT/JP2010/069344 WO2011052740A1 (ja) 2009-11-02 2010-10-29 ロッ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301A true KR20120074301A (ko) 2012-07-05
KR101318564B1 KR101318564B1 (ko) 2013-10-16

Family

ID=4392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021A KR101318564B1 (ko) 2009-11-02 2010-10-29 로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95074B2 (ko)
KR (1) KR101318564B1 (ko)
CN (1) CN102597397A (ko)
WO (1) WO2011052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6046B (zh) * 2013-08-14 2017-05-10 施耐德博士塑料工厂有限公司 具有“推‑推”机构的装置
ES1169413Y (es) * 2016-10-24 2017-02-01 Gonzalez Francisco Javier Ona Dispositivo de cerrado para puerta que pivota
AT519571B1 (de) * 2017-01-25 2018-08-15 Blum Gmbh Julius Ausstoßvorrichtung für ein bewegbares Möbelteil
US11272826B2 (en) 2017-06-23 2022-03-15 Illinois Tool Works Inc. Appliance door latch system with pre-latching catch alignment system
AT523167B1 (de) * 2019-12-19 2021-06-15 Blum Gmbh Julius Verriegelungsvorrichtung zur lösbaren Verriegelung zweier relativ zueinander bewegbarer Möbelteile
JP3229280U (ja) * 2020-08-31 2020-12-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扉開閉装置と工作機械
CN113189775B (zh) * 2021-04-20 2022-06-17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头带调节装置及头戴设备
KR102509890B1 (ko) * 2021-10-26 2023-03-14 윤평남 도어록용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KR102509888B1 (ko) * 2021-10-26 2023-03-14 윤평남 도어록용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CN115341807B (zh) * 2022-09-14 2023-09-12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泄压锁及包括该泄压锁的泄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377Y2 (ko) * 1987-08-27 1993-04-28
JPH0740061Y2 (ja) * 1989-08-09 1995-09-13 日幸工業株式会社 扉の係止具
JP2770993B2 (ja) * 1989-09-25 1998-07-02 株式会社ニフコ ラッチ方法及びラッチ装置
JP3340207B2 (ja) * 1993-09-13 2002-11-05 株式会社西製作所 ラッチ錠
JP4164329B2 (ja) * 2002-10-17 2008-10-15 株式会社ニフコ ラッチ装置
JP4592489B2 (ja) * 2005-05-13 2010-12-01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機構及びラッチ装置
JP2010174588A (ja) * 2009-02-02 2010-08-12 Nifco Inc ロッ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94440A (ja) 2011-05-12
WO2011052740A1 (ja) 2011-05-05
KR101318564B1 (ko) 2013-10-16
CN102597397A (zh) 2012-07-18
JP5295074B2 (ja) 201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564B1 (ko) 로크장치
US8282175B2 (en) Opening device for furniture parts which are moveable relative to one another
US9752355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EP3059363B1 (en) Locking device
US6962375B2 (en) Rotary latches
TWI702017B (zh) 用於可相對活動之物件的鎖機構
US7269984B2 (en) Ratcheting pawl latch
EP3529438B1 (en) Bin latch
CN111902595B (zh) 具有集成有按钮式致动机构的可打开件的车辆存储设备
US9422750B2 (en) Range limited latch
US11168495B1 (en) Automatically resetting window vent stop with dual safety features
JP4966883B2 (ja) 開閉補助機構
JP2010174588A (ja) ロッ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扉
KR102462356B1 (ko) 미닫이문용 오목형 잠금장치
US6283513B1 (en) Locking device for a two-door unit of swinging type
JP4441236B2 (ja) 物品収納什器の施解錠装置
JP6886373B2 (ja) ロック装置
KR20030062214A (ko) 로크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차량용 수납장치
CN112240134B (zh) 一种自弹锁体的让位装置及自弹锁体
JP4152901B2 (ja) 地震時ロック機能を有する収納ボックスとこの収納ボックスに用いる地震時ロック装置
EP1944223B1 (en) Vehicle bonnet
JP2001248352A (ja) スライド扉のロック装置
JP3686140B2 (ja)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跳上げ扉の安全係止装置
JP2015224516A (ja) 引き戸装置およびセーフティーストッパー
JP3041307B2 (ja) ウィング付き収納ボックスとこれに用いるオ―トロック装置及びデッドボ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