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4085A - 리본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리본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085A
KR20120074085A KR1020100136039A KR20100136039A KR20120074085A KR 20120074085 A KR20120074085 A KR 20120074085A KR 1020100136039 A KR1020100136039 A KR 1020100136039A KR 20100136039 A KR20100136039 A KR 20100136039A KR 20120074085 A KR20120074085 A KR 20120074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bon
roll
winding
take
cool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왕하
배효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6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4085A/ko
Publication of KR2012007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9Securing the trailing end of the wound web to the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4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positively actuated mov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19Starting winding process
    • B65H2301/41421Starting winding process involving electrosta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턴디쉬(101)의 용탕을 이용한 리본(103) 성형시 냉각롤(102)에 의해 냉각된 리본(103)을 권취하는 리본 권취장치가 소개된다. 리본 권취장치는 냉각롤(102)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냉각롤(102)에 권취된 리본(103)을 상기 냉각롤(102)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나이프(110)와, 분리나이프(110)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권취롤(120)과, 분리나이프(110)에서 분리된 리본(103)의 선단을 권취롤(120)로 안내하기 위해 권취롤(120)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재(130)와, 권취롤(120)에 마련되어 전원 인가시 리본(103)의 선단을 상기 권취롤(120)에 부착시키기 위한 전기접촉자(140)와, 전기접촉자(14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리본 권취장치{APPARATUS FOR RECOILING RIBBON OF AMORPHOUS SOLID}
본 발명은 리본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접촉자의 유도를 통해 얇은 비정질 리본의 선단을 효과적으로 권취하기 위한 리본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턴디쉬를 이용하여 비정질의 리본을 제작하는 경우, 턴디쉬와 냉각롤을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냉각롤 상으로 용탕을 낙하시켜 급속 응고시킨다.
예컨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챔버(10) 내 용탕의 온도를 일정온도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턴디쉬(20)와, 턴디쉬(20)의 하부에 마련되어 턴디쉬(20)로부터 용탕을 유출시키기 위한 노즐(30)과, 노즐(30) 하부에 이격 설치되어 노즐(30)을 통해 유출되는 용탕을 급속 응고하여 리본으로 만들기 위한 냉각롤(40)이 구비된다.
이러한 비정질의 얇은 리본은 통상의 냉연공정과 달리, 리본의 선단을 권취롤에 처음 제대로 권취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종래에는 리본을 제조한 후 다시 권취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종래 리본을 제조한 후 다시 권취하는 종래 방법을 통해서는, 설비가 점차 대용량화됨에 따라, 안정적인 제품 생산이 힘들어지고 생산성도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본의 선단을 권취롤에 안정적으로 권취되도록 하여 리본 생산이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리본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리본 권취장치는, 턴디쉬의 용탕을 이용한 리본 성형시 냉각롤에 의해 냉각된 리본을 권취하기 위한 리본 권취장치로서, 분리나이프, 권취롤, 가이드부재, 전기접촉자 및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분리나이프는 상기 냉각롤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냉각롤에 권취된 리본을 상기 냉각롤로부터 분리하고, 권취롤은 상기 분리나이프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가이드부재은 상기 분리나이프에서 분리된 리본의 선단을 상기 권취롤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권취롤의 상측에 배치되고, 전기접촉자는 상기 권취롤에 마련되어 전원 인가시 상기 리본의 선단을 상기 권치롤에 부착시키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전기접촉자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공급부는 냉각롤로부터 리본이 분리되면 상기 전기접촉자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권취롤에 리본이 수회 권취되면 상기 전기접촉자에 전원 인가를 차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나이프는 상기 냉각롤의 회전시 하강되어 상기 냉각롤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냉각롤과 권취롤 사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촉자는 상기 권취롤에 내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촉자는 상기 권취롤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권취롤를 향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얇은 리본의 제조시, 냉각롤에서 분리된 리본의 선단을 권취롤에 효과적으로 권취함으로써, 리본 생산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리본을 연속공정으로 권취함으로써 리본을 짧은 시간내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생산판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턴디쉬를 이용한 비정질 리본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본 권취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리본의 권취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본 권취장치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본 권취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본 권취장치의 전기접촉자를 도시한 평면도.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리본 권취장치는, 냉각롤(102)에서 분리된 리본(103)의 선단을 전기접촉자(140)의 유도를 통해 권취롤(120)에 정확하게 권취함으로써, 리본(103)의 성형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냉각롤(102)로부터 리본(103)을 분리하는 분리나이프(110)와, 분리나이프(110)에서 분리된 리본(103)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롤(120)과, 분리된 리본(103)을 권취롤(120)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30)와, 리본(103)의 선단을 권취롤(120)로 유도하는 전기접촉자(140)와, 전기접촉자(14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분리나이프(110)는 냉각롤(102)과 권취롤(120) 사이에 배치되며, 승강실린더와 같은 통상의 승강수단을 통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분리나이프(110)는 냉각롤(102)의 회전시 냉각롤(102)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하강되므로 냉각롤(102)의 표면으로부터 냉각된 리본(103)을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분리나이프(110)는 냉각롤(102)의 3/4 회전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냉각롤(102)의 3/4 회전이 이루어지는 지점에서 리본(103)의 진행방향이 수직 상방향으로 전환되므로, 해당 위치에서 냉각된 리본(103)을 쉽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턴디쉬(101)의 용탕이 냉각롤(102)과 부딪히면서 얇은 리본(103)으로 냉각이 시작되고, 냉각롤(102)이 3/4 회전이 지속되면서 냉각이 진행되고, 냉각롤(102)의 3/4 회전이 이루어지는 지점에서는 분리나이프(110)를 통한 리본(103)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분리나이프(110)를 통해 분리된 리본(103)은 가이드부재(130)를 통해 권취롤(120)로 1차 유도된다.
가이드부재(130)는 권취롤(120)의 상측에 배치되고 해당 일단에 마련된 회전축(131)을 통해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30)는 리본(103) 선단의 권취 초기 가이드부재(130)의 선단부를 통해 리본(103)의 선단을 권취롤(120)로 안내하고, 리본(103) 선단이 권취롤(120)에 권취된 이후에는 권취롤(120)에 감겨진 리본(103)을 가압함으로써, 권취롤(120)을 통한 리본(103)의 권취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재(130)는 회전축(131)과, 회전축(131)에 이격 배치되는 회전롤(132)과, 회전롤(132)을 감싸는 회전벨트(133)과, 권취롤(120)에 감겨진 리본(103)을 가압하기 위해 회전축(131)에 마련되는 탄성부재(미도시)로 구성되어 있지만, 리본(103)을 권취롤(120)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30)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권취 초기 가이드부재(130)의 선단부를 통해 리본(103)의 선단을 권취롤(120)로 안내하면서 권취롤(120)에 감겨진 리본(103)을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이드부재(130)에 의해 1차 유도된 리본(103)은 전기접촉자(140)를 통해 2차 유도되어 권취롤(120)에 부착된다.
전기접촉자(140)는 전원공급부(150)로부터 전원 인가시 자력을 발생시키며, 이때, 발생된 자력은 가이드부재(130)에 의해 1차 유도된 리본(103)을 권취롤(120)로 끌어당겨 권취롤(120)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접촉자(140)는 권취롤(120)에 내장되어 전원공급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때, 권취롤(120)은 통전이 가능한 전도부재로 구성되어야 한다.
전원공급부(150)는 전기접촉자(14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는데, 특히, 냉각롤(102)로부터 리본(103)이 분리되면 전기접촉자(140)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기접촉자(140)를 통한 리본(103)의 유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후 권취롤(120)에 리본(103)이 수회 권취되면 전기전촉자에 전원 인가를 차단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접촉자(140)는 권취롤(120)에 내장되지 아니하고 권취롤(120)에 선택적으로 접촉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기접촉자(140)는 전원공급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별도의 승강수단(미도시)을 통해 권취롤(120)의 상부 가장자리측에 승강될 수 있다.
즉, 전기접촉자(140)가 냉각롤(102)의 회전시 권취롤(120)에 밀착되게 이동된 후 전원공급부(15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음으로써, 1차 유도된 리본(103)을 권취롤(120) 방향으로 끌어당겨 권취롤(120)에 권취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각롤(102)과 권취롤(120)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턴디쉬(101)의 용탕을 냉각롤(102)에 투입한다. 턴디쉬(101)의 용탕이 냉각롤(102)에 투입되면 용탕은 냉각롤(102)과 부딪히면서 얇은 리본(103)으로 냉각이 시작된다. 이때, 전기접촉자(140)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자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냉각롤(102)에서 냉각이 이루어진 리본(103)은 냉각롤(102)의 3/4 회전 지점에서 분리나이프(110)를 통해 냉각롤(102)로부터 분리되며, 분리된 리본(103)의 선단은 가이드부재(130)를 통해 권취롤(120)로 1차 유도된다.
전기접촉자(140)의 자력에 의해 2차 유도되어 권취롤(120)에 부착된 리본(103)은 권취롤(120)의 회전에 의해 권취되며, 이때, 가이드부재(130)는 권취롤(120)에 감겨지는 리본(103)을 가압하여 권취롤(120)을 통한 리본(103)의 권취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얇은 리본의 제조시, 냉각롤(102)에서 분리된 리본(103)의 선단을 권취롤(120)에 효과적으로 권취함으로써, 리본(103)을 짧은 시간내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생산판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10 :분리나이프 120 :권취롤
130 :가이드부재 140 :전기접촉자
150 :전원공급부

Claims (5)

  1. 턴디쉬(101)의 용탕을 이용한 리본(103) 성형시 냉각롤(102)에 의해 냉각된 리본(103)을 권취하기 위한 리본 권취장치로서,
    상기 냉각롤(102)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냉각롤(102)에 권취된 리본(103)을 상기 냉각롤(102)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나이프(110);
    상기 분리나이프(110)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권취롤(120);
    상기 분리나이프(110)에서 분리된 리본(103)의 선단을 상기 권취롤(120)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권취롤(120)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재(130);
    상기 권취롤(120)에 마련되어 전원 인가시 상기 리본(103)의 선단을 상기 권취롤(120)에 부착시키기 위한 전기접촉자(140); 및
    상기 전기접촉자(14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 권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냉각롤(102)로부터 리본(103)이 분리되면 상기 전기접촉자(140)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권취롤(120)에 리본(103)이 수회 권취되면 상기 전기접촉자(140)에 전원 인가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 권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나이프(110)는 상기 냉각롤(102)의 회전시 하강되어 상기 냉각롤(102)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냉각롤(102)과 권취롤(12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 권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촉자(140)는 상기 권취롤(120)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 권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촉자(140)는 상기 권취롤(12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권취롤(120)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 권취장치.
KR1020100136039A 2010-12-27 2010-12-27 리본 권취장치 KR20120074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039A KR20120074085A (ko) 2010-12-27 2010-12-27 리본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039A KR20120074085A (ko) 2010-12-27 2010-12-27 리본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085A true KR20120074085A (ko) 2012-07-05

Family

ID=4670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039A KR20120074085A (ko) 2010-12-27 2010-12-27 리본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40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971B1 (ko) * 2013-06-19 2014-08-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비정질 리본의 연속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KR101518669B1 (ko) * 2014-05-02 2015-05-11 주식회사 포스코 비정질 소재의 연속 권취 장치 및 방법
KR102231346B1 (ko) 2019-10-14 2021-03-24 주식회사 포스코 비정질 리본 장력 제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971B1 (ko) * 2013-06-19 2014-08-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비정질 리본의 연속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KR101518669B1 (ko) * 2014-05-02 2015-05-11 주식회사 포스코 비정질 소재의 연속 권취 장치 및 방법
KR102231346B1 (ko) 2019-10-14 2021-03-24 주식회사 포스코 비정질 리본 장력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4085A (ko) 리본 권취장치
CN105562455B (zh) 一种汇流带裸铜扁线一道压轧、修整、退火工艺及设备
KR101531570B1 (ko) 전선 제조 장치
CN208476707U (zh) 用于塑胶模具的磨损度检测装置
KR101354930B1 (ko) 연속주조 공정의 슬라브 측면 스케일 제거장치
CN102989769B (zh) 酸洗和冷轧一体化设备
CN201768804U (zh) 用于扬声器导磁片的冲孔装置
JP4998666B2 (ja) 連続鋳造機用クーリンググリッド設備及び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KR100973906B1 (ko) 후판 유도장치
JP7126100B2 (ja) スラブ鋳片の連続鋳造方法
CN104091648A (zh) 一种高品质音响线的制造设备及其制造成型方法
CN103682944A (zh) 一种线束端子压接机整形机构
KR20100005445A (ko) 메니스커스쉴드위어쉬프팅 장치
CN202411094U (zh) 连轧机机内装置
US8235091B2 (en) Amorphous ribbon take-up roll switching method and switching system
CN201924062U (zh) 一种控制铜线材在中拉连退工序中打火问题的装置
KR20160105424A (ko) 연주압연장치 및 방법
CN106887929B (zh) 一种绕线机导线切线装置及其方法
KR100782738B1 (ko) 전도 롤 표면의 금속 분말 제거장치
KR20100107805A (ko) 세그먼트 롤의 갭 조정 장치
CN116603879B (zh) 一种漆包线生产拉丝设备
KR20130120935A (ko) 압연기용 디스케일러
CN218619452U (zh) 一种料带张力稳定装置
CN206765331U (zh) 一种用于电缆挤塑过程中自动调节放线架位置的装置
KR20120057982A (ko) 압연재의 선단부 휨 방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