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162A - 압축 의복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압축 의복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162A
KR20120073162A KR1020117030514A KR20117030514A KR20120073162A KR 20120073162 A KR20120073162 A KR 20120073162A KR 1020117030514 A KR1020117030514 A KR 1020117030514A KR 20117030514 A KR20117030514 A KR 20117030514A KR 20120073162 A KR20120073162 A KR 20120073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mpression
garment
compression garment
stretchabl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슨 맥라렌
아만다 헤롯
페인 바턴
Original Assignee
스킨스 인터내셔날 트레이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9902341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9902341A0/en
Application filed by 스킨스 인터내셔날 트레이딩 아게 filed Critical 스킨스 인터내셔날 트레이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2007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4Knickers for ladies,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12Component parts
    • A41C1/14Stays; Steels
    • A41C1/18Stays; Steels of built-up ty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41D31/185Elastic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8Elastic stockings; for contracting aneuris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하반신부를 포함한 신체부를 감싸는 압축 의복에 관한 것이다. 압축 의복은 신축성 재료의 제 2 패널(14)에 제 1 봉합선(16)에 의해 연결된 신축성 재료의 제 1 패널(12)을 갖는다. 제 2 패널(14)의 신축성 재료는 제 1 패널(12)의 신축성 재료에 비하여 높은 신축성 및 회복 특성을 갖는다. 사용시에 신축성 재료의 제 1 패널(12)은 제 2 패널(14)보다 크고 강력한 근육군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 2 패널(14)은 제 2 봉합선(18)에 의해 제 3 패널 또는 제 1 패널(12)에 연결된다. 제 2 패널(14)은 사용시에 착용자의 장경골대의 상당부분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되어있다.

Description

압축 의복 및 제조 방법{COMPRESSION GARMENTS AND METHOD OF MANUFACTURE}
본 발명은 압축 의복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반신 의복 및 하반신 의복을 포함하는 압축 의복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압축 의복은 일반적으로 신체에 딱 맞도록 설계되어있지만, 활동중에 근육의 부피 및 질량이 증가하는 정도에 관한 고려가 없다. 이런 종래기술의 의복은 이런 상황에서 비정적(non-static)이거나 역구배(counter-gradient)가 될 수 있다. 정적 압축 의복을 착용한 사람이 활동으로 근육질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의복은 근육 부근에서 보다 타이트해질 수 있어서 체적이 3-5% 정도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정적 압축 효과를 변화시켜서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만들 수 있어서 잘못된 부위에서 바람직하지 못하게 타이트하게 되거나 보다 큰 압축력을 제공하게 된다. 결국, 이는 림프배액(lymphatic drainage)의 순환을 방해하고 그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종래기술의 압축 의복은 활동중에 일어나는 수축 정도의 차이와 일부 근육군의 증가된 편심하중에 대한 노출(길어짐)을 고려하지 않는다.
일 예로서, 가장 일반적인 달리기 중의 상해는 때때로 "러너스 니(runner's knee)"라고 알려진 장경골대 마찰 증후군(illiotibial band friction syndrome; ITBFS)다. 장경골대는 근막(fascia)으로 알려진, 다리를 둘러싸는 측면 또는 외측 연조직이 두꺼워지는 것이다. 장경골대는 엉덩이로부터 무릎의 외측까지 연장된다. 장경골대의 상측부 속에 삽입되는 근육은 장근 대퇴근막(tensor fascia latae)과 대둔근(gluteous maximus muscle) 및 중둔근(gluteous medius musle)의 일부이다. 상해는 통상 무릎의 외측의 통증 및 염증으로서 나타난다.
장경골대는 여러 가지 이유로 타이트해질 수 있으며, 통증은 다리의 측면 아래서 느낄 수 있다. 마찰은 장경골대가 무릎 관절의 외측을 가로지르는 대퇴부위에서 일어날 수 있다.
압축 의복에 의해 주어지는 과다한 압력은 엉덩이와 무릎관절에 걸쳐서 장경골대의 마찰을 일으켜서 ITBS가 되거나 ITBS에 부가될 수 있다. 이런 유형의 상해는 특히 점프 및 달리기 운동 중에 반복적인 엉덩이 및 무릎의 굴곡으로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ITBS로부터의 상해 가능성을 줄이고/줄이거나 장경골대, 둔근(gluteous muscle), 아킬레스건, 종아리 근육(하퇴삼두근, triceps surae) 및 견갑골을 포함한 근육군 및 중요 부위에 대한 집중된 지지력 및 압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압축 의복을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의 압축 의복을 개량하는 것이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신체부를 감싸는 압축 의복으로서, 상기 압축 의복은 봉합선에 의해 신축성 재료의 제 2 패널에 연결된 신축성 재료의 제 1 패널을 가지며, 상기 제 2 패널의 신축성 재료는 제 2 패널의 신축성 재료에 비하여 높은 신축성 및 회복 특성을 가지며, 사용중에 신축성 재료의 제 1 패널은 제 2 패널보다 크고 강력한 근육군을 지지하도록 된 압축 의복을 제공한다.
상기 신체부는 팔, 다리, 상측 몸체, 하측 몸체 또는 이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압축 의복은 쇼트팬츠, 롱타이츠 또는 윗옷을 단일 의복으로서 또는 한 벌 옷으로서 착용하도록 된 의복들의 조합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축 의복은 두 개 이상의 다른 엘라스토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축 의복의 재료는 다양한 직물 또는 서로 다른 직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의복은 엘라스탄(elastane) 직물 패널 또는 이와 유사한 신축성 재료의 패널로 만들어지는데, 이 패널은 40 내지 60 데니어 또는 500데니어 이하의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터 또는 이와 유사한 신축성 재료와 결합된다. 이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특정 신축성 및 회복률을 갖는다. 직물의 날실 방향으로의 신축성은 120% 내지 225%이며, 그 회복 수치는 5% 내지 40%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제 2 패널의 신축성 재료는 제 1 패널의 신축성 재료에 비하여 높은 신축성 및 회복률을 갖는다. 제 2 패널의 특성은 어떤 바람직한 방식으로도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패널은 제 1 패널의 재료에 비하여 낮은 데니어 또는 큰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축 의복의 제 1 패널은 5mmHg 내지 25mmHg의 압축치를 발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압축 의복은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압축 정도는 보다 크게, 예를 들어 40mmHg 이하일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축 의복의 대부분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축력은 낮은 등급, 즉 활동적인 의류에서는 25mmHg 미만 내지 5mmHg 이상의 압축정도 그리고 비활동적이거나 비스포츠용도에서는 30mmHg 내지 8mmHg일 것이다.
제 1 및/또는 제 2 패널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중에 신체로부터 수분을 흡수하도록 "심지(wicking)" 효과를 갖는다. 이런 재료는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패널은 어떤 적절한 형상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근육구조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압축 의복 내의 패널을 제공한다는 개념에 기초한다. 이 개념은 보다 크고 강력한 근육군은 대부분의 근섬유를 갖지만, 그 수축정도는 작다는 것을 고려한다. 이들 근육군의 예들은 둔근(대둔근), 대퇴사두근(대퇴부의 전면에 위치하는 대퇴사두근), 허벅지(대퇴부의 후면에 위치하는 오금줄), 종아리(하측 다리의 후면에 위치), 트랩(trap)(승모근, 몸체의 상측후면에 위치), 랫(lat)(광배근, 몸체의 중앙측 후면) 및 복직근(rectus abdominis)(전면복부)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패널은 이런 근육군의 근복을 완전히 덮는다. 이런 방식으로 근복의 혈관수축이 감소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혈액을 공급하면서 근육군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압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수축 정도가 보다 크며 통상적으로 긴 힘줄을 갖는 근육군의 예는 아킬레스건이다. 이는 활동중에 증가된 편심 하중(신장)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제 2 패널은 이런 유형의 근육군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 패널은 양호한 회복률로 신축시키는데 최소의 힘이 들게 한다.
상기 봉합선은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 재료의 패널을 연결하는 평봉제형(flat stitched) 봉합선이다. 그러나 봉합선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 봉합선은 압축 의복의 둘러싸는 부위보다 큰 두께의 선 또는 융기부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봉합선은 접착, 봉제 또는 그 외의 다른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봉제는 바람직하게는 4개 또는 6개의 바늘 공정을 이용하는 평봉제(flat stitching)이다.
특히 본 발명의 압축 의복의 제 1 패널의 경우에, 상기 봉합선 또는 봉제선은 근육의 원점 또는 삽입점을 따라가며 적은 혈액이 공급되는 근막선이나 뼈가 드러나는 융기부를 따라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반신 의복을 제공하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봉합선은 외복사근(외측복부)의 섬유 방향을 따라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던지기 및 달리기 운동중에 압축 의복의 패널이 횡단면, 또는 비틀림, 트렁크 기능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반신 의복의 적절한 실시형태가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의복의 적절한 실시형태와 함께 착용될 때, 동적인 움직임 중에 경사압축을 수반하도록 동시작용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착용자의 하반신부를 감싸는 압축 의복으로서, 상기 압축 의복은 신축성 재료의 제 2 패널에 제 1 봉합선에 의해 연결된 신축성 재료의 제 1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패널은 제 2 봉합선에 의해 제 3 패널이나 제 1 패널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패널은 사용시에 착용자의 장경골대의 상당 부분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된 압축 의복을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패널은 사용시에 실질적으로 착용자의 대퇴근막장근(tensor fasciae latae)으로부터 장경골대를 따라서 무릎쪽으로 연장되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태양이 결합되고, 제 2 패널이 큰 탄력성의 제 4 패널에 연결되며, 제 4 패널이 사용중에 무릎 위에 위치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제 2 패널이 제 1 및 제 2 패널보다 큰 탄력성을 갖고 제 4 패널이 한층 더 큰 탄력성을 갖는 경우,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하반신 의복은 장경골대 및 대퇴근막장근 위의 과도한 압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원하는 무릎 굴곡 정도를 허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 3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착용자의 하측 다리인 신체부를 감싸는 압축 의복으로서, 상기 압축 의복은 사용시에 착용자의 하퇴삼두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할하도록 된 봉합선에 의해 신축성 재료의 제 2 패널에 연결된 신축성 재료의 제 1 패널을 갖는 압축 의복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봉합선은 근육 및 힘줄 접합부에서 아킬레스 패널의 상부를 부착하는 측면 및 내측비복근(medial gastrocnemius)을 분할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달리기 및 점프 운동에서 하측 다리의 종아리 근육이 강력하게 수축할 필요가 있다는 개념에 기초한다. 종아리 근육이 일정 시간에 걸쳐서 과도한 수축중에 피로해지거나 기능적으로 약한 경우에, 달리기 중에 한쪽 다리가 지면에 착지하는 것 같은 편심수축은 이들 근육이 찢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실제로 비복근의 개별적인 특정 지지 및 압축을 가능하게 하는 이중패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하퇴삼두근 부위의 국부적 피로를 줄이는 것을 도와주며 종아리 근육의 상해를 제한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축 의복은 기다란 양말 또는 스타킹 형태를 취한다.
특별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제 2 및 제 3 양태가 결합되어 이들 양태의 모든 특징들을 갖는 롱타이츠나 쇼트타이츠 같은 하반신 압축 의복이 된다. 이 특별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축 의복은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제 2 패널을 나타내는 아킬레스 패널을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압축 의복은 적절한 양태에서 허리 및 대퇴부의 후외측 패널에 압축력 및 고신축/회복성 직물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렇게 하면 사문근(oblique muscle), 대둔근, 장경골대 및 장근대퇴근막(tensor fascial latae)의 보완적인 작용기구를 만드는 것을 도와준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반신 의복인 압축 의복과 관련하여, 허리밴드는 의복의 후면내의 탄성 삽입체를 포함할 필요가 없도록 설계된 선택된 신축성 및 회복 특성을 갖는 신축성 재료의 패널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의복의 전면에 탄성 삽입체를 갖는다. 이는 탄성 삽입체가 허리를 둘러싸거나, 또는 탄성 삽입체가 허리밴드의 일부에만 포함된 경우에는 탄성 삽입체가 의복의 전면이 아니라 후면에 사용되는 점에서 종래기술의 것과는 다르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반신 의복과 관련하여 설명한 유형의 구성은 수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허리밴드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4 양태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 1, 제 2 및 제 3 양태의 어느 것 또는 전부와 조합하여 사용된다.
제 5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상반신부를 감싸는 압축 의복으로서, 상기 압축 의복은 신축성 재료의 제 2 패널에 봉합선에 의해 연결된 신축성 재료의 제 1 패널을 가지며, 상기 봉합선은 사용시에 착용자의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muscle)의 섬유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된 압축 의복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5 양태의 상반신 압축 의복은 착용자의 횡격막 부위 위의 의복의 전면에 있도록 배치된 상기 제 1 및 제 2 패널을 연결하는 봉합선을 갖는다. 또한 의복의 후면에서 상기 봉합선은 견갑골근에 압축력을 제공하면서 착용자의 몸체의 하측부에 보다 큰 유연성을 부여하도록 상향 굴곡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반신 의복의 후면에 착용자의 척추 부위에 보다 높은 탄력성의 제 3 패널이 삽입되어 신축 및 비틀림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선택에 따라서, 본 발명의 압축 의복은 그 양태들 중의 어느 양태에서 통기를 돕기 위해 또는 신체열 발산을 돕기 위해 하나 이상의 메쉬 삽입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반신 의복의 경우에 상기 메쉬 삽입체는 허리밴드 아래의 상측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가랑이 부위에 제 2 메쉬 삽입체가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반신 의복의 경우에, 겨드랑이 부위 또는 목선 또는 그 외의 다른 원하는 위치에 메쉬 삽입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양태들 중의 어느 양태의 압축 의복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신축성 재료의 제 1 패널 및 신축성 재료의 제 2 패널을 제공하고 제 1 패널을 제 2 패널에 봉합선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하여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들 중의 많은 실시형태들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이해를 돕기 위해, 이제 첨부도면에서 특정의 비제한적 실시형태를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양태에 따른 하반신 압축 의복의 제 1 실시형태의 정면도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실시형태의 측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실시형태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5 양태를 도시하는 상반신 압축 의복의 제 1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실시형태의 측면도.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실시형태의 배면도.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압축 의복(10)은 대략 착용자의 허리선부터 착용자의 발목까지 하측몸체인 신체부를 감싸기 위한 롱타이츠 형태의 하반신(5) 의복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롱타이츠(10)는 신축성 재료(12A, 12B)로 된 제 1 패널 및 신축성 재료(14)로 된 제 2 패널을 갖는다. 제 1 패널(12A)은 제 2 봉합선(18)에 의해 제 2 패널(14)에 연결된다. 제 1 패널(12B)은 제 1 봉합선(16)에 의해 제 2 패널(14)에 연결된다. 효과적으로는, 제 1 패널(12)은 두 개의 부분(12A, 12B)으로 분할되는데, 패널(12A)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착용자의 대퇴부의 전면을 덮고 패널(12B)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착용자의 대퇴부의 후면을 덮는데, 착용자의 대퇴부 내측을 따라서 이어지는 패널(12A, 12B)은 봉합선(도시하지 않음)이 연결한다.
제 1 패널(12A, 12B)은 신축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힘을 필요로 하므로 제 2 패널(14)보다는 탄력성이 적다.
제 1 패널(12B)은 20에 위치한 착용자의 대둔근을 지지하고 24에 위치한 오금줄(hamstring)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패널(12A)은 22에 위치한 대퇴사두근(quadricep)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 2 봉합선(18)은 무릎 부위(26) 위의 착용자의 상측 다리를 가로질러서 무릎의 굴곡을 방해하지 않도록 위치함을 도 1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2 패널(14)은 무릎 부위(26) 위에 제 3 봉합선(28)에서 끝나는 착용자의 장경골대의 상당부분을 따라서 위치하는 것을 도 2로부터 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무릎 부위(26)는 또 다른 패널(30)로 덮여있다. 이는 제 2 패널(14)과 유사한 탄력성의 재료가 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무릎의 굴곡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 2 패널(14)보다는 더욱 큰 탄력성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압축 의복(10)의 하측 다리에서, 봉합선(16)이 하측 다리의 후면 주위로 계속 감싸므로 32에서 하측 다리의 하퇴삼두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할한다. 마찬가지로 봉합선(34)은 착용자의 내측 대퇴부의 부위로부터 32에서 봉합선(16)과 만나도록 연장된다. 32에서 합쳐지는 봉합선(16, 34)은 착용자의 하측 다리의 종아리 근육(36, 38)을 효과적으로 분할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널(40)은 경골(tibia)의 뼈가 드러나는 융기부를 따라서 위치하는 봉합선(34) 및 봉합선(42)에 의해 경계 지워진다.
패널(44)은 봉합선(42), 봉합선(16)의 연장부 및 무릎 패널(30)까지의 하측 봉합선(46)에 의해 경계 지워진다. 패널(40, 44)은 제 1 패널(12A, 12B)과 동일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패널(48)은 착용자의 아킬레스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봉합선(16, 34)의 연장부 사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패널(48)은 제 2 패널(14) 또는 무릎 패널(30)의 재료 같은 큰 탄력성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롱타이츠(10)는 봉합선(52, 54)에 의해 두 개의 제 1 패널(12A)에 연결된 가랑이 패널(50)을 갖는다. 가랑이 패널(50)은 제 1 패널(12A)과 동일한 탄력성 또는 다른 탄력성을 가질 수 있다.
가랑이 패널(50)은 봉합선(58)에 의해 상측 패널(56)에 연결된다. 다시 한 번 패널(56)은 주위의 패널과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다른 탄력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봉합선(60)은 패널(12B)을 연결하며 대둔근 위치(20) 사이에서 연장된다. 패널(62)은 봉합선(60) 위에 그리고 허리밴드(64) 아래에 위치한다. 필요에 따라서, 패널(62)은 통기를 위한 메쉬 패널로 구성되거나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메쉬 패널이 가랑이 패널(50)에 포함되거나 착용자의 가랑이 근처 어딘가에 위치한다.
도 1 내지 도 3의 각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허리밴드(64)는 봉합선(66)에 의해 형상을 갖게 되므로 압축 의복(10)은 착용자의 허리에 편평하게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허리밴드(64)는 봉합선(68, 70) 사이의 허리밴드(64)의 전면 속을 제외하고는 별개의 탄성 삽입체를 갖지 않는다.
압축 의복(10)은 각 패널을 제공하고 이들을 각 봉합부에 의해 연결하여 대상으로 하는 착용자가 원하는 형상을 제공함으로써 제조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롱타이츠 형태의 압축 의복(10)을 보여주지만,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양태는 무릎 부위(26) 위에서 잘린 쇼트타이츠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 4 내지 도 6으로 가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긴 소매(82, 84)를 갖는 상반신 의복 형태의 압축 의복(80)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긴 소매(82, 84)가 포함되지 않거나 보다 짧은 소매 형태로 존재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압축 의복(80)은 봉합선(90)에 의해 제 2 패널(88)에 연결된 제 1 패널(86)을 갖는다. 봉합선(90)은 활동중에 착용자의 비틀림 동작을 돕기 위해 92에 위치하는 착용자의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muscle)의 섬유방향을 따르도록 되어 있다. 제 1 패널(86)은 제 2 패널(88)보다 낮은 탄력성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면 착용자의 몸체의 상측부에 압축력을 제공함과 함께 보다 큰 탄력성을 횡격막 부위(94)에 걸쳐서 부여한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봉합선(90)은 96에서 광배근(latissimus dorsi)의 하단을 따라서 연장되게 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봉합선(90)은 상반신 의복(80)의 후면에서 다시 상승하여 견갑골근(scapular muscle)을 지지한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 그리고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상반신 의복(80)은 추가의 패널(102)에 의해 분리된 패널(98, 100)을 갖는다. 패널(98, 100)은 패널(86)과 동일한 비교적 낮은 탄력성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패널(102)은 패널(88)과 동일하거나 다른 탄력성의 고탄력성 재료로 만들어지는데, 패널(102)의 목적은 활동 중에 착용자의 등의 적절한 움직임을 허용하면서도 패널(98, 100)을 통해서 계속하여 압축력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팔근육을 고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또 다른 봉합선(104)이 제공된다.
상반신 의복(80)을 성형하는 것을 돕기 위해 측방 봉합선(106)이 제공된다. 선택에 따라서 측방 봉합선(106)은 측방 패널(108, 110)이 패널(86) 및 패널(98, 100) 같은 다른 패널과 비교하여 다른 탄력성을 가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롱타이츠(10)의 경우에서처럼, 상반신 의복(90)은 통기를 돕기 위해 메쉬 삽입체를 가질 수 있다. 이들 메쉬 삽입체들은 예를 들어 목 패널(112) 또는 겨드랑이 패널(114)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언급된 모든 봉합선들은 4바늘 플랫락 봉제(4-needle flatlock stitching)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근육군을 고정하고 압축을 돕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함 없이 여기서 설명한 실시형태로부터 많은 수정 및 변형을 만들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본 압축 의복이 착용자의 신체의 특정 부위에서의 과잉압력의 영향을 고려하여 상해의 문제점을 경감하거나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Claims (45)

  1. 신체부를 감싸는 압축 의복으로서, 상기 압축 의복은 봉합선에 의해 신축성 재료의 제 2 패널에 연결된 신축성 재료의 제 1 패널을 가지며, 상기 제 2 패널의 신축성 재료는 제 2 패널의 신축성 재료에 비하여 높은 신축성 및 회복 특성을 가지며, 사용중에 신축성 재료의 제 1 패널은 제 2 패널보다 크고 강력한 근육군을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부는 팔, 다리, 상측 몸체, 하측 몸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쇼트팬츠, 롱타이츠 또는 윗옷을 단일 의복으로서 또는 한 벌 옷으로서 착용하도록 된 의복들의 조합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다른 엘라스토머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엘라스탄(elastane) 직물 패널 또는 이와 유사한 신축성 재료 패널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40 내지 60 데니어 또는 500데니어 이하의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터 또는 이와 유사한 신축성 재료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7. 제 6 항에 있어서, 각 직물 패널의 날실 방향으로의 신축성은 120% 내지 225%이며, 그 회복 수치는 5%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널은 제 1 패널의 재료에 비하여 낮은 데니어 또는 큰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은 5mmHg 내지 25mmHg의 압축치를 발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치료 목적으로 40mmHg 이하의 압축 정도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활동적인 의류에서는 25mmHg 미만 내지 5mmHg 이상의 압축정도 그리고 비활동적이거나 비스포츠용도에서는 30mmHg 내지 8mmHg의 압축 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또는 제 2 패널의 재료는 사용중에 신체로부터 수분을 흡수하도록 "심지(wicking)"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근육구조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은, 둔근(대둔근), 대퇴사두근(대퇴부의 전면에 위치하는 대퇴사두근), 허벅지(대퇴부의 후면에 위치하는 오금줄), 종아리(하측 다리의 후면에 위치), 트랩(승모근, 몸체의 상측후면에 위치), 랫(광배근, 몸체의 중앙측 후면) 및 복직근(rectus abdominis)(전면복부)의 근육군의 근복(muscle belly)을 완전히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널은 큰 수축 정도와 긴 힘줄을 갖는 근육군을 지지하여 양호한 회복률로 신축시키는데 최소의 힘이 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선은 엘라스토머 재료의 패널을 연결하는 평봉제형(flat stitched) 봉합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17.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선은 압축 의복의 둘러싸는 부위보다 큰 두께의 선 또는 융기부이며 접착, 봉제 또는 그 외의 다른 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는 4개 또는 6개의 바늘 공정을 이용하는 평봉제(flat stitch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선 또는 봉제선은 근육의 원점 또는 삽입점을 따라가며 적은 혈액이 공급되는 근막선이나 뼈가 드러나는 융기부를 따라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이 상반신 의복인 경우, 상기 봉합선은 외복사근(외측복부)의 섬유 방향을 따라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반신 의복이 하반신 의복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활동적인 움직임 동안 경사압축을 수반하도록 동시작용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22. 착용자의 하반신부를 감싸는 압축 의복으로서, 상기 압축 의복은 신축성 재료의 제 2 패널에 제 1 봉합선에 의해 연결된 신축성 재료의 제 1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패널은 제 2 봉합선에 의해 제 3 패널이나 제 1 패널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패널은 사용시에 착용자의 장경골대의 상당 부분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널은 사용시에 실질적으로 착용자의 대퇴근막장근(tensor fasciae latae)로부터 장경골대를 따라서 무릎쪽으로 연장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24. 착용자의 하반신부를 감싸는 압축 의복으로서, 상기 압축 의복은 신축성 재료의 제 2 패널에 제 1 봉합선에 의해 연결된 신축성 재료의 제 1 패널을 가지며, 상기 제 2 패널의 신축성 재료는 제 2 패널의 신축성 재료에 비하여 높은 신축성 및 회복 특성을 가지며, 사용중에 신축성 재료의 제 1 패널은 제 2 패널보다 크고 강력한 근육군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 2 패널은 제 2 봉합선에 의해 제 3 패널 또는 제 1 패널에 연결되며, 제 2 패널은 사용시에 착용자의 장경골대의 상당 부분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 2 패널은 또한 보다 큰 탄력성의 제 4 패널에 연결되며, 제 4 패널은 사용시에 무릎 위에 위치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25. 제 24 항에 있어서, 제 2 패널은 제 1 및 제 2 패널보다 큰 탄력성을 가지며, 제 4 패널은 한층 더 큰 탄력성을 가지며, 상기 하반신 의복은 장경골대 및 대퇴근막장근 위의 과도한 압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원하는 무릎 굴곡 정도를 허용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26. 착용자의 하측 다리인 신체부를 감싸는 압축 의복으로서, 상기 압축 의복은 사용시에 착용자의 하퇴삼두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할하도록 된 봉합선에 의해 신축성 재료의 제 2 패널에 연결된 신축성 재료의 제 1 패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선은 근육 및 힘줄 접합부에서 아킬레스 패널의 상부를 부착하는 측면 및 내측비복근(medial gastrocnemius)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28. 제 27 항에 있어서, 비복근(gastrocnemius belly)의 개별적인 특정지지 및 압축을 가능하게 하는 이중패널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29. 제 26 항 내지 제 29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의복은 기다란 양말 또는 스타킹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30. 제 1 항, 제 22 항 또는 제 24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제 2 패널을 나타내는 아킬레스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압축 의복.
  31. 제 1 항, 제 22 항, 제 24 항 또는 제 26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허리 및 대퇴부의 후외측 패널에 압축성 및 고신축성/회복성의 직물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32. 하반신부를 감싸는 압축 의복으로서, 허리밴드가 의복의 후면내의 탄성 삽입체를 포함할 필요가 없도록 설계된 선택된 신축성 및 회복 특성을 갖는 신축성 재료의 패널로 만들어진 허리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33. 제 32 항에 있어서, 의복의 전면에 탄성 삽입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34. 제 1 항, 제 22 항 또는 제 24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허리밴드가 의복의 후면 내에 탄성 삽입체를 포함할 필요가 없도록 설계된 선택된 신축성 및 회복 특성을 갖는 신축성 재료의 패널로 만들어진 허리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35. 착용자의 상반신부를 감싸는 압축 의복으로서, 상기 압축 의복은 신축성 재료의 제 2 패널에 봉합선에 의해 연결된 신축성 재료의 제 1 패널을 가지며, 상기 봉합선은 사용시에 착용자의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muscle)의 섬유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패널을 연결하는 봉합선은 착용자의 횡격막 부위 위의 의복의 전면에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37.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의복의 후면에서 상기 봉합선은 견갑골근에 압축력을 제공하면서 착용자의 몸체의 하측부에 보다 큰 유연성을 부여하도록 상향 굴곡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38. 제 36 항 내지 제 37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반신 의복의 후면에 착용자의 척추 부위에 보다 높은 탄력성의 제 3 패널이 삽입되어 신축 및 비틀림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39. 제 1 항 내지 제 38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통기를 돕기 위해 또는 신체열 발산을 돕기 위해 하나 이상의 메쉬 삽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40. 제 39 항에 있어서, 하반신 의복의 경우에 상기 메쉬 삽입체는 허리밴드 아래의 상측 후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41. 제 39 항 또는 제 40 항에 있어서, 가랑이 부위에 제 2 메쉬 삽입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반신 의복의 경우에 겨드랑이 부위 또는 목선 또는 그 외의 다른 원하는 위치에 메쉬 삽입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의복.
  43. 압축 의복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신축성 재료의 제 1 패널 및 신축성 재료의 제 2 패널을 제공하고 제 1 패널을 제 2 패널에 봉합선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실질적으로 첨부 도면 중의 어느 한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 같은 압축 의복.
  45. 실질적으로 첨부 도면 중의 어느 한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 같은 압축 의복의 제조방법.
KR1020117030514A 2009-05-21 2010-05-21 압축 의복 및 제조 방법 KR201200731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9902341 2009-05-21
AU2009902341A AU2009902341A0 (en) 2009-05-21 Compression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110A Division KR20160126087A (ko) 2009-05-21 2010-05-21 압축 의복 및 제조 방법
KR1020167029114A Division KR101729500B1 (ko) 2009-05-21 2010-05-21 압축 의복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162A true KR20120073162A (ko) 2012-07-04

Family

ID=4312566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110A KR20160126087A (ko) 2009-05-21 2010-05-21 압축 의복 및 제조 방법
KR1020167029114A KR101729500B1 (ko) 2009-05-21 2010-05-21 압축 의복 및 제조 방법
KR1020117030514A KR20120073162A (ko) 2009-05-21 2010-05-21 압축 의복 및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110A KR20160126087A (ko) 2009-05-21 2010-05-21 압축 의복 및 제조 방법
KR1020167029114A KR101729500B1 (ko) 2009-05-21 2010-05-21 압축 의복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20222187A1 (ko)
EP (1) EP2432340B1 (ko)
JP (2) JP5845175B2 (ko)
KR (3) KR20160126087A (ko)
CN (2) CN102573536B (ko)
AU (1) AU2010251694A1 (ko)
BR (1) BRPI1011198B1 (ko)
CA (1) CA2762845C (ko)
HK (1) HK1172801A1 (ko)
NZ (1) NZ596625A (ko)
RU (1) RU2537155C2 (ko)
SG (1) SG176587A1 (ko)
WO (1) WO2010132950A1 (ko)
ZA (1) ZA20110907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556A (ko) * 2014-10-17 2017-06-23 하네스 오퍼레이션즈 유럽 에스아에스 근육 조직들에 적응된 압축 레벨들에 기여하는 탄력성 있는 직물을 포함하는 스포츠 속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031B1 (ko) * 2009-05-15 2011-09-08 조종대 체형교정용 바지
NZ596625A (en) * 2009-05-21 2014-04-30 Skins Internat Trading Ag Compression garment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887315B2 (en) * 2011-11-02 2014-11-18 Erin Lynn Boynton Orthopedic support garment
US20130254971A1 (en) * 2012-03-08 2013-10-03 George Galluzzo Seamless circular or warp knitted compression garment with targeted anatomical musculature support
GB201301116D0 (en) 2013-01-22 2013-03-06 Ame Health Ltd Targeted compression clothing
CN103462248B (zh) * 2013-09-25 2015-01-07 李宁体育(上海)有限公司 采用原动肌压缩紧身服及其制造方法
TWI507141B (zh) * 2013-12-02 2015-11-11 Taiwan Textile Res Inst 運動服裝
GB2529810A (en) * 2014-08-26 2016-03-09 Evy Mckenzie A garment
SI3273816T1 (sl) 2015-03-27 2021-04-30 Trere Innovation S.R.L. Oblačilo z elastičnimi vložki, izdelanimi s krožnimi stroji
CN108024583A (zh) * 2015-06-25 2018-05-11 六点钟企业私人有限公司 具有整体无缝阻力区的阻力服装
US10278431B2 (en) 2015-07-30 2019-05-07 Eldon McClean Shapewear garments
CN108289760A (zh) * 2015-10-05 2018-07-17 泰科蒂尔系统科技公司 头部和颈部加压治疗系统
CN105520239A (zh) * 2016-03-04 2016-04-27 广州卡奴迪路服饰股份有限公司 一体化成衣肘腕结构及其制作工艺
EP3437501A4 (en) * 2016-03-30 2019-11-06 Toray Industries, Inc. CLOTHING
US20190159531A1 (en) * 2016-04-12 2019-05-30 Michael F. Caro Athletic Garment and Hygienic System
CN106072885B (zh) * 2016-06-15 2018-09-04 李宁体育(上海)有限公司 训练紧身服装及其制作方法
WO2018036876A1 (en) 2016-08-22 2018-03-01 Sanko Tekstil Isletmeleri San. Ve Tic. A.S. Compression garment with multiple compression force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10631580B2 (en) * 2017-01-17 2020-04-28 Nike, Inc. Waistband with support panel
US10327484B2 (en) 2017-02-24 2019-06-25 April R. Giangeruso Athletic garment with interchangeable ventilated sleeves
PT3287107T (pt) 2017-04-21 2020-10-29 Sanko Tekstil Isletmeleri San Ve Tic As Peça de vestuário de compressão com múltiplas forças de compressão e método para a formação da mesma
CN107242614A (zh) * 2017-08-08 2017-10-13 李宁体育(上海)有限公司 一种髂胫束加固压缩运动裤及其制造方法
RU186714U1 (ru) * 2017-12-27 2019-01-3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пецВоенПром" (ООО "СпецВоенПром") Трикотажное термобелье
CN108338428A (zh) * 2018-04-28 2018-07-31 特步(中国)有限公司 一种可调式压缩服
JP7161542B2 (ja) * 2018-09-28 2022-10-26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シャツおよびパンツ
CN115399946B (zh) * 2022-08-31 2023-09-29 浙江迈兹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性的穿着舒适且可微调的静脉曲张袜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85817U (ko) * 1972-01-19 1973-10-18
US5105478A (en) * 1990-11-01 1992-04-21 Pyc Chester F Ventilated shirt
RU2116041C1 (ru) * 1997-04-09 1998-07-27 Орл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Защитная одежда пчеловода
US5857947A (en) * 1997-07-14 1999-01-12 Dicker; Timothy P. Energy expenditure/training garment
US5867827A (en) * 1997-12-08 1999-02-09 Wilkinson; William T. Energy expenditure garment
JP3809031B2 (ja) * 1999-05-11 2006-08-16 株式会社ゴールドウインテクニカルセンター 運動用被服とその製造方法
JP3069736U (ja) * 1999-12-17 2000-06-30 株式会社レヴアル 下肢用衣料装着具
FR2813523B1 (fr) * 2000-09-04 2003-03-07 Innothera Topic Int Orthese compressive tubulaire pour la contention d'un membre inferieur apres une intervention de chirurgie veineuse, notamment apres eveinage ou phlebectomie ambulatoire
US7299994B2 (en) * 2001-08-31 2007-11-27 Huron, Inc. Oil cooler bypass valve
US6892396B2 (en) * 2002-05-23 2005-05-17 Mizuno Corporation Undershirt
JP3872036B2 (ja) 2002-05-23 2007-01-24 美津濃株式会社 アンダーシャツ
US6874337B2 (en) * 2002-06-05 2005-04-05 Mizuno Corporation Underpant garment
JP2004057808A (ja) * 2002-06-05 2004-02-26 Mizuno Corp アンダーパンツ
JP3923929B2 (ja) * 2003-07-30 2007-06-06 株式会社ゴールドウインテクニカルセンター 運動用被服
US7743476B2 (en) * 2004-06-24 2010-06-29 Mmi-Ipco, Llc Engineered fabric articles
CN100553509C (zh) * 2004-09-23 2009-10-28 思金斯资产有限公司 紧身衣及制造方法
JP4295188B2 (ja) * 2004-09-30 2009-07-15 美津濃株式会社 スポーツ用ウエア
JP2006144210A (ja) * 2004-10-19 2006-06-08 Onyone Kk スポーツウェア
FR2879900B1 (fr) 2004-12-24 2007-10-12 Promiles Sa Collant a effet localise de contention pour la pratique d'un sport
JP4294598B2 (ja) * 2005-01-26 2009-07-15 有限会社 中澤研究室 タイツ
US7748056B2 (en) * 2005-06-06 2010-07-06 Under Armour, Inc. Garment having improved contact areas
WO2007112494A1 (en) * 2006-04-03 2007-10-11 Jest Technologies Pty Ltd An improved compression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80115252A1 (en) * 2006-11-16 2008-05-22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Pants with cooling feature
FR2915851B1 (fr) 2007-05-11 2009-08-21 Promiles Snc Article d'habillement a effet de contention heterogene pour la pratique d'un sport
US8172782B2 (en) * 2008-11-25 2012-05-08 Mmi-Ipco, Llc Compression garments
US8533864B1 (en) * 2009-03-26 2013-09-17 Kris A. Kostrzewski Stabilizing garment system
PT2250913E (pt) * 2009-05-11 2012-03-19 Colibri1 S L Vestuário desportivo de protecção
NZ596625A (en) * 2009-05-21 2014-04-30 Skins Internat Trading Ag Compression garment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597222B2 (en) * 2009-06-12 2013-12-03 Under Armour, Inc. Garment with adjustable compression
US8548622B2 (en) * 2009-07-22 2013-10-01 Under Armour, Inc. Uniform compression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arment
US9345275B2 (en) * 2011-02-18 2016-05-24 Nike, Inc. Lower body garment with elasticity-reducing panel
US9468241B2 (en) * 2012-09-25 2016-10-18 Nike, Inc. Variable compression garment
US10617160B2 (en) * 2012-11-01 2020-04-14 Gary Rayford Spruill Athletic compression fit pants/shorts with gussets, cut-resistant fabric, and protective pa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556A (ko) * 2014-10-17 2017-06-23 하네스 오퍼레이션즈 유럽 에스아에스 근육 조직들에 적응된 압축 레벨들에 기여하는 탄력성 있는 직물을 포함하는 스포츠 속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1011198A2 (pt) 2016-03-15
CA2762845A1 (en) 2010-11-25
CN105029765A (zh) 2015-11-11
JP2012527542A (ja) 2012-11-08
CA2762845C (en) 2019-01-15
KR20160126087A (ko) 2016-11-01
JP5964366B2 (ja) 2016-08-03
JP2014221965A (ja) 2014-11-27
SG176587A1 (en) 2012-01-30
KR20160126088A (ko) 2016-11-01
EP2432340A4 (en) 2013-12-18
RU2537155C2 (ru) 2014-12-27
WO2010132950A1 (en) 2010-11-25
CN102573536A (zh) 2012-07-11
CN102573536B (zh) 2016-01-20
EP2432340B1 (en) 2017-04-05
AU2010251694A1 (en) 2011-12-15
JP5845175B2 (ja) 2016-01-20
EP2432340A1 (en) 2012-03-28
KR101729500B1 (ko) 2017-04-24
US20120222187A1 (en) 2012-09-06
NZ596625A (en) 2014-04-30
HK1172801A1 (zh) 2013-05-03
ZA201109073B (en) 2012-12-27
RU2011152253A (ru) 2013-06-27
BRPI1011198B1 (pt)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4366B2 (ja) 圧迫衣服および製造方法
JP5264296B2 (ja) 衣料
KR100305598B1 (ko) 하지부 보호의료
US20140020149A1 (en) Garment
KR101088802B1 (ko) 가랑이가 있는 의류
JP2007023466A (ja) 運動用スパッツ
JP2010077574A (ja) 下肢用衣料
WO2010050539A1 (ja) 衣類
JP5333974B2 (ja) テ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下半身用衣料
JP2008050705A (ja) 下肢用衣料
AU2017204364B2 (en) Compression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4425009B2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4425010B2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3808470B2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3666868B2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2022020155A (ja) スポーツ用パンツ
JP3666869B2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をサポート用被服
JP2004076251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2004044079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2004044078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2004076252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2004044080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