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2727A - 전기사용 유무 및 제어기능의 무선 분전반 - Google Patents

전기사용 유무 및 제어기능의 무선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2727A
KR20120072727A KR1020100134606A KR20100134606A KR20120072727A KR 20120072727 A KR20120072727 A KR 20120072727A KR 1020100134606 A KR1020100134606 A KR 1020100134606A KR 20100134606 A KR20100134606 A KR 20100134606A KR 20120072727 A KR20120072727 A KR 20120072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unit
door
lock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성호
Original Assignee
길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성호 filed Critical 길성호
Priority to KR1020100134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2727A/ko
Publication of KR2012007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electronic equip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전원 제어기능을 갖는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현관문에 구비된 도어락을 잠그고 외출시 불필요하게 동작되는 등기구 및 가전제품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서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함과 더불어 선풍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의 과동작으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락과 송수신을 통하여 실내전원을 제어하는 실내전원 스위치부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락 시스템에 실내전원 스위치부를 구비함으로써 도어락을 외출에 따른 잠금조작시 설정된 실내 등기구와 가전기구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낭비를 방지하고 가전기구의 과열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사용 유무 및 제어기능의 무선 분전반{wireless cabinet panel}
본 발명은 실내전원의 사용 유무 및 제어기능을 갖는 무선 분전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전반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도어락 및 핸드폰과 송수신을 통하여 실내전원을 제어하는 무선 분전반를 구비하여서, 외출시 불필요하게 동작하는 등 기구 및 가전제품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선풍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의 과동작으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 시스템은 전원를 연결, 이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실내에 거주하다가 실외로 외출을 할 경우에는 통상 등기구 및 가전기구의 전원을 모두 차단한 후 외출실시하나 급하게 외출을 하거나 실내를 잘 살피지 않고 외출을 하는 과정에서 실내의 전기 사용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선풍기와 같은 가전기구의 경우에는 장시간 동작하게 되면 과열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외부 외출시에 실내의 전기 사용여부를 도어락이나 핸드폰으로 알려줌으로써 외부에서 등기구 및 가전기구의 전원을 모두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낭비와 화재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존 분전반에 무선 송수신모듈 장착하여 도어락 시스템과 핸드폰을 통하여 실내전원을 제어하는 무선 분전반 시스템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전반에 무선 송수신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외출 시 도어락, 핸드폰에 잠금 조작시 설정된 실내 등기구와 가전기구의 전원의 사용여부를 통보하고, 이를 차단하여 전력낭비를 방지하고 가전기구의 과열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 블록 구성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 블록 구성 예시도에 있어 유선송신부와 유선수신부를 구비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 블록 구성 예시도에 있어 도어락의 자동잠금동작에 따라 사용자의 외출을 감지판단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흐름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외출 잠금 조작시 실내의 불필요한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의 동작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와 이를 통보하는 RF통신 및 SMS 서버를 통해 사용자가 외부에서 이를 확인 도어락(100) 및 핸드폰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게 한 외부조작부(121)와 사용자가 내부에서 도어락(100)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게 한 내부조작부(122)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가 잠금 또는 열림 되게 동작하는 잠금가동부(130) 및 상기 외부조작부(121)와 내부조작부(122)의 제어에 따라 잠금가동부(130)를 제어하는 도어락제어부(140)로 이루어진 도어락(100)과,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여 도어락제어부(140)로 송신하는 도어감지기(150)로 이루어진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락(100)에 사용자가 외부조작부(121)를 조작시 이를 감지하는 조작감지부(160)와, 상기 조작감지부(160)의 외부조작 감지에 따라 도어락(100)으로부터 이를 송신 받아 실내전원을 스위칭하여 등기구(410) 및 가전제품(4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내전원 스위치부(200)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도어락(100)에는 조작감지부(160)의 감지시 이를 실내전원 스위치부(200)로 송신할 수 있게 한 도어락송신부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락송신부는 무선송신부(171)와 유선송신부(172)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송신부(171)와 유선송신부(172)를 모두 구비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내전원 스위치부(20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송신부로부터 전원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스위치수신부와 등기구(410) 및 가전제품(420)으로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전원스위치부(210)와, 스위치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스위치부(210)를 제어하는 스위치제어부(220)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위치수신부는 무선을 통하여 수신이 이루어지는 무선수신부(231)과 유선을 통하여 수신이 이루어지는 유선수신부(232)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수신부(231)과 유선수신부(232)를 모두 구비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100)이 자동 잠금 동작시 사용자가 외부조작부(121)의 조작 없이 외출을 할 경우 실내전원 스위치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도어락(100) 설치 도어의 내측에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도어접근감지센서(310)와, 실내에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실내감지센서(320)와, 상기 도어접근감지센서(310)를 통한 사람의 감지 후 도어락(100)이 자동 잠금 동작시 실내감지센서(320)를 통하여 실내 사람 감지신호를 감지하여 도어락제어부(140)에 사용자외출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도어락제어부(140)가 실내전원 스위치부로 전원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절전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외출판단제어부(330)를 추가로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원부(110)와 외부조작부(121), 내부조작부(122), 잠금가동부(130) 및 도어락제어부(140)로 이루어진 도어락(100)과,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여 도어락제어부(140)로 송신하는 도어감지기(150)로 이루어진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락(100)에 사용자가 외부조작부(121)를 조작시 이를 감지하는 조작감지부(160)와, 상기 조작감지부(160)의 외부조작 감지에 따라 도어락(100)으로부터 이를 송신 받아 실내전원을 스위칭하여 등기구(410) 및 가전제품(4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내전원 스위치부(200)로 구성한 본 발명의 도어락 시스템이 적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출하기 위하여 도어의 바깥쪽에서 도어락(100)의 외부조작부(121)를 조작하여 도어의 잠금 작업을 실시하여서 잠금가동부(130)를 작동시켜 도어를 잠그게 되면, 도어락(100)에 구비된 조작감지부(160)가 이를 감지하고 도어락제어부(140)에 외출에 따른 잠금 작업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조작감지부(160)로부터 잠금 작업신호를 전송받은 도어락제어부(140)는 도어락송신부를 통하여 실내전원 스위치부(200)의 스위치수신부로 잠금 작업에 따른 내부전원 절전동작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도어락(100)으로부터 내부전원 절전동작신호를 수신받은 스위치수신부는 스위치제어부(220)로 절전동작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스위치제어부(220)가 전원스위치부(210)의 오프 동작시켜 등기구(410) 및 불필요한 가전제품(420)의 동작 전원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비와 선풍기와 같이 연속적인 동작시 과열이 우려된 가전제품(420)의 동작을 차단하여 전기화재와 같은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절전동작차단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외출로 인하여 실내의 등기구(410)와 불필요한 가전제품(420)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락(100)의 외부조작부(121)를 조작하여 도어락(100)을 열림 동작시키면 조작감지부(160)가 이를 감지하여 도어락제어부(140)에 열림 동작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조작감지부(160)로부터 열림 동작신호를 전송받은 도어락제어부(140)는 도어락송신부를 통하여 실내전원 스위치부(200)의 스위치수신부로 절전해제신호를 전송하여서 상기 스위치수신부를 통하여 절전해제신호를 전송받은 스위치제어부(220)가 전원스위치부(210)를 온 동작시켜 등기구(410)와 가전제품(420)으로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져 실내의 등이 점등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에 있어 도어락이 자동잠금설정된 경우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락이 자동잠금설정된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도어접근감지센서(310)와 실내감지센서(320) 및 외출판단제어부(330)로 이루어진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외출하기 위하여 도어에 접근하게 되면 도어접근감지센서(310)를 통하여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 나간 후 도어가 닫혀 도어락(100)이 자동으로 자동잠금동작되게 되면,
외출판단제어부(330)가 실내감지센서(320)를 통하여 실내에 사람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실내감지센서(320)를 통하여 실내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도어락제어부(140)에 외출판단신호를 송출하여 도어락제어부(140)가 실내전원 스위치부(200)를 절전동작 제어하여 실내의 등기구(410) 및 가전제품(420)의 동작이 차단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락 시스템에 실내전원 스위치부를 구비함으로써 도어락을 외출에 따른 잠금 조작시 설정된 실내 등기구와 가전기구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낭비를 방지하고 가전기구의 과열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도어락
110 : 전원부
121 : 외부조작부 122 : 내부조작부
130 : 잠금가동부 140 : 도어락제어부
150 : 도어감지기 160 : 조작감지부
171 : 무선송신부 172 : 유선송신부
200 : 실내전원 스위치부
210 : 전원스위치부 220 : 스위치제어부
231 : 무선수신부 232 : 유선수신부
310 : 도어접근감지센서 320 : 실내감지센서
330 : 외출판단제어부
410 : 등기구 420 : 가전제품

Claims (1)

  1. 전원부(110)와 외부조작부(121), 내부조작부(122), 잠금가동부(130) 및 도어락제어부(140)로 이루어진 도어락(100)과,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여 도어락제어부(140)로 송신하는 도어감지기(150), 실내전원 스위치부(20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분전반 시스템
KR1020100134606A 2010-12-24 2010-12-24 전기사용 유무 및 제어기능의 무선 분전반 KR20120072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606A KR20120072727A (ko) 2010-12-24 2010-12-24 전기사용 유무 및 제어기능의 무선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606A KR20120072727A (ko) 2010-12-24 2010-12-24 전기사용 유무 및 제어기능의 무선 분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727A true KR20120072727A (ko) 2012-07-04

Family

ID=4670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606A KR20120072727A (ko) 2010-12-24 2010-12-24 전기사용 유무 및 제어기능의 무선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27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260A1 (ko) * 2012-12-14 2014-06-19 주식회사 노키온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260A1 (ko) * 2012-12-14 2014-06-19 주식회사 노키온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49969A1 (en) Multifunction Pass- Through Wall Power Plug with Communication Relay and Related Method
EP3047494B1 (en) Easy-install home automation light switch
CA2894838C (en) Security panel communication system
WO2008097477A1 (en) Networked movable barrier operator system
JP2010526403A (ja) 電源装置
KR101923901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알람방법과 제어방법
JP2010152416A (ja) 負荷制御システム
CN104635687A (zh) 一种数字化智能家居安防报警系统
MX2011008679A (es) Dispositivo de sensor energizado a traves de recoleccion rf.
KR100924578B1 (ko) 조명 난방 일체형 스위치
CN104076785A (zh) 一种用于控制窗户关闭状态的家居智能控制系统
KR20120072727A (ko) 전기사용 유무 및 제어기능의 무선 분전반
JP2009117129A (ja) 多機能管理システムおよび多機能管理方法
CN203684998U (zh) 防火卷帘控制器用无线按钮盒
JP4191983B2 (ja) 電流表示装置
KR101641563B1 (ko) 화장실 큐비클 조명 제어 시스템
CN104898442B (zh) 室内电气控制系统及其方法
JP5914816B2 (ja) 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
KR101476259B1 (ko) 휴대용복합카드를 이용한 빌딩 에너지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WO2016110882A1 (ja) 家電機器制御装置及び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
KR20190090136A (ko) 객실 내부 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JP2005005939A (ja) 機器コントローラ
KR20080064393A (ko) 댁내의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자동 점등하는 일괄제어시스템
JP2009048666A (ja) 電源中継装置
JP2006339740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