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363A - 연소실 외부에서 가열 막대를 둘러싸는 부하 검출 슬리브를 갖는 글로우 플러그 - Google Patents

연소실 외부에서 가열 막대를 둘러싸는 부하 검출 슬리브를 갖는 글로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363A
KR20120071363A KR1020110140082A KR20110140082A KR20120071363A KR 20120071363 A KR20120071363 A KR 20120071363A KR 1020110140082 A KR1020110140082 A KR 1020110140082A KR 20110140082 A KR20110140082 A KR 20110140082A KR 20120071363 A KR20120071363 A KR 20120071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rod
load detection
proximal end
sleeve
plu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5268B1 (ko
Inventor
그베리노 라토샤
루디 크라겔리
Original Assignee
히드리아 아에트 드루주바 자 프로이즈보드뇨 브지그니흐 시스테모브 인 엘렉트로니케 디.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1919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7136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히드리아 아에트 드루주바 자 프로이즈보드뇨 브지그니흐 시스테모브 인 엘렉트로니케 디.오.오. filed Critical 히드리아 아에트 드루주바 자 프로이즈보드뇨 브지그니흐 시스테모브 인 엘렉트로니케 디.오.오.
Publication of KR20120071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2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01Glowing plugs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9/00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 F02P19/02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electric, e.g. layout of circuits of apparatus having glowing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01Glowing plugs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23Q2007/002Glowing plugs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with 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 막대(11)와, 가열 막대의 수용 하우징(14)을 갖는 플러그 본체(13)와, 플러그 본체에 대하여 가열 막대의 축방향 병진 운동을 가능케 하고 또한 가열 막대와 플러그 본체 사이의 불투수성을 보장하도록, 가열 막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48)와, 수용 하우징의 근단부 영역(51)에서 가열 막대의 주변 금속 튜브(59, 61)의 근단부(5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근단부 측에서 축방향으로 장착 장치(48)와 직접 인접하는 부하 검출 슬리브(17)를 포함하는 글로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소실 외부에서 가열 막대를 둘러싸는 부하 검출 슬리브를 갖는 글로우 플러그{GLOW PLUG WITH A LOAD SENSING SLEEVE SURROUNDING THE HEATING ROD OUTSIDE THE COMBUSTION CHAMBER}
본 발명은 가열 막대를 포함하는 글로우 플러그, 특히 디젤 엔진용 글로우 플러그와, 실린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통합 부하 센서에 관한 것이다.
글로우 플러그의 가열 막대는, 플러그 본체로부터 연소실 내부로 축, 소위 주축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뻗어나가는, 강성 막대 또는 바의 형태로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원단(distal)"이라는 용어와 이에 관련된 용어는 연소실 내부로 뻗어나가는 가열 막대의 자유단부 측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향과 요소 또는 부품을 의미하고, "근단(proximal)"이라는 용어와 이에 관련된 용어는 반대쪽에서, 즉 글로우 플러그가 설치되는 엔진의 연소실 헤드의 바깥쪽으로의 연결부 쪽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향과 요소 또는 부품을 의미한다.
또한 가열 막대는 근단부 측으로부터 플러그 본체 내로 뻗어나가며, 가열 막대의 제1 전력 공급 터미널을 형성하는 전기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근단부를 포함하고, 보통 축방향으로 가열 막대의 근단부를 넘어가는 전극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가열 막대의 전력 공급 전극은 이 전극이 제공되는 경우 가열 막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가열 막대의 근단부는 전력 공급 전극이 제공되는 경우 전력 공급 전극의 근단부와 분리되어 있다.
플러그는 실린더 헤드에 끼워지도록 나사산을 갖는 외측 부분을 구비하고, 근단부로부터 뻗어나오는 가열 막대의 근단부를 수용하도록 원통형 내부 하우징을 형성하는, 원통형 플러그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가열 막대가 통과하는 개구를 구비하여, 가열 막대가 축방향으로 뻗어나가서 상기 근단부와 개구를 넘어 (원단부 측에서) 돌출하고, 가열 막대의 원단부 만큼 떨어진 곳에서 가열 원단부를 갖는다.
가열 막대는 플러그 본체에 끼워지도록 주변 금속 튜브에 (경랍땜(brazing)에 의해 고정되거나 힘을 주어 삽입함(브레이싱(bracing)으로써) 기계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설치되는 세라믹 바의 형태로 되거나; 표준화되어 변하지 않는 치수로 원단부가 밀폐된 금속 튜브의 형태로 되어 있다(이 금속 튜브는 전력 공급 전극을 수용함). 어떤 실시예든 간에, 가열 막대는 항상 주변 금속 튜브를 포함하고 있다. 이 주변 금속 튜브의 외부 직경은, 적어도 거의 일정하게 그리고 기준에 맞추어, 플러그 본체에 들어가는 가열 막대의 근단부에서 4 mm 가 되어야만 한다.
플러그는 또한 상기 수용 하우징에 가열 막대의 근단부를 장착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며, 이 장착 장치는:
실린더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플러그 본체에 대하여 가열 막대가 축방향 병진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연소실의 대기에 노출되지 않는 수용 하우징의 근단부 영역의 경계를 정하도록, 가열 막대와 플러그 본체 사이의 불투수성을 보장하고,
가열 막대와 부하 센서에 다양한 전기적 링크와 호환 및/또는 이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실린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부하 센서를 글로우 플러그에 통합시키는 경우 상충하면서 해결되지 않는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센서는 연소실의 대기에 노출되어서는 안되며, 연소실의 매우 높은 온도에 영향을 받아서도 안되고, 만일 노출되는 경우에는 파손되거나 적어도 기능상 심각한 장애가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센서는 플러그 내에 수용될 수 있어야만 하는데, 이 경우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적어도 줄어들게 된다; 센서의 기능은 신뢰할 수 있어야만 하는데, 즉 장애(예를 들어, 진동, 댐핑, 상이한 열팽창, 등등) 없이 실린더 압력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
부하 센서를 글로우 플러그에 결합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로 제안되어 왔다.
알려진 첫 번째 방안으로서(예를 들어 미국특허 7444973 참고), 반경방향으로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부하 센서는 축방향으로 가열 막대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가열 막대의 전력 공급 전극의 근단부에, 즉 실린더 헤드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고, 심지어 글로우 플러그의 바깥에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해결방안의 주된 문제점은, (전극쪽으로 향하여 뻗어나가는 부분에서) 실린더 헤드와 플러그 본체가 변형되기 때문에 측정과 관련하여 장애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실린더 헤드의 변형 모드는 엔진마다 다르기 때문에, 부하 센서를 절대적으로 조정하는 것은 어렵다. 나아가, 연소실에서 압력 부하를 받게 되는 가열 막대와 센서 사이의 운동학적 연결 길이는, 센서의 통과대역폭에서 일반적인 진동 모드를 일으키게 되며, 이러한 진동 모드는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게 된다.
알려져 있는 두 번째 해결방안으로서(예를 들어 미국특허 7581520 및 미국특허출원 2009/0242540을 참고), 센서는 가열 막대의 근단부를 넘어가면서 전력 공급 전극을 둘러싸는 슬리브 또는 길게 신장된 막대의 형태로 되어 있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가요성 불투수성 멤브레인이 제공되어, 가열 막대의 원단부를 플러그 본체에 연결시켜, 불투수성이 되도록 하면서 축방향 병진운동도 가능하게 한다. 결론적으로, 센서는 연소실에 대하여 열적으로 비교적 잘 절연되어 있다. 그러나, 가열 막대에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은, 주변 장착 부품을 상당히 복잡하게 하여, 기계적인 임피던스를 유발하고(따라서 정상적인 모드를 방해함), 나아가 상이한 열팽창의 문제를 유발시키게 되며, 이러한 것들은 비교적 해결하기가 어렵다.
알려진 세 번째 해결방안으로서(예를 들어 미국특허 20080216786 및 유럽특허 2138819 참고), 세라믹 바를 갖는 가열 막대의 경우로 한정되는 방안으로서, 센서는 직접 가열 막대의 근단부에 대항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해결방안에 의하면, 가열 막대와 센서 사이에 더욱 직접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다만 센서의 공간을 요구하는 문제와 가열 막대의 전기적 접속 소자(전극)와의 간섭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조립체 장치(플러그 본체/가열 막개/센서/플러그 본체)의 일반적인 모드와 관련된 문제와 상이한 열팽창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가열 막대의 길이는 보통 50 mm 정도이다(직경이 4 mm 인 경우). 마지막으로, 이러한 해결방안은 소위 모두 금속으로 되어 있는 가열 막대와, 즉 금속 튜브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과 호환되지 않는다.
나아가, 부하 센서를 가열 막대 자체에 통합시키는 것은, 비록 세라믹 바를 갖는 가열 막대의 경우에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막대와 주변 금속 튜브 사이에서, 미국특허 20070095811 참고), 실제로는 불가능한데, 그 이유는 센서가 연소실의 대기와 매우 극단적인 온도(약 1200 ℃)에 노출되기 때문이며, 또한 가열 막대와 센서를 함께 제작하고 검증해야하기 때문인데, 이 경우 가열 막대와 센서는 상이한 공급품으로 제조되고 상이한 기술이 필요한 복잡한 복합 요소들이기 때문이고, 마지막으로 센서를 조립하고 전기적인 연결하는 경우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들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이 경우에도 역시, 상술한 해결방안은 완전히 금속으로 이루어진 가열 막대(금속 튜브와 내부 금속 전극의 형태)와 호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와 같은 기능을 갖는 부하 센서를 포함하는 글로우 플러그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종래 기술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 가능한 한 최대의 대역폭으로 특히 8 kHz를 초과하는 대역폭으로, 센서와 가열 막대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로부터 어떠한 간섭도 없이, 부하 센서가 실린더 압력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고,
- 부하 센서는 연소실의 대기와 격리되어 있어, 극단적인 온도에 노출되지 않고,
- 글로우 플러그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할 수 있는 센서가 제공하는 신호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이한 열팽창에 장치의 조립체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 부하 센서는 가열 막대 자체 내에 일체로 되어 있지 아니하여, 가열 막대의 수명과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 부하 센서의 감도를 최적화하여, 부하 센서가 제공하는 신호에 의해 압력의 변화가 비교적 작은 값이어도 검출할 수 있고(엔진의 모델이나 속도에 상관없이 압력변화의 상이한 상태를 더 잘 검출할 수 있게 하여,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장치에 의해 엔진을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하려는 목적),
- 가열 막대와 부하 센서의 전기적인 연결을 간단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글로우 플러그로서:
- 가열 막대로서, 주변 금속 튜브를 포함하며, 가열 막대의 전력 공급 연결부가 설치된 단부, 소위 근단부를 구비하는 가열막대와,
- 플러그 본체로서, 가열 막대를 수용하는 하우징, 소위 수용 하우징을 형성하고, 가열 막대는 축방향으로 형성된 원단부를 구비하여 플러그 본체를 넘어서 돌출하는, 플러그 본체와,
- 상기 수용 하우징에 가열 막대를 장착하는 장착 장치로서:
가열 막대를 상기 플러그 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병진운동할 수 있게 하고,
글로우 플러그를 수용하는 엔진 연소실 내의 대기에 노출되지 않는 수용 하우징의 근단부 영역의 경계를 정하도록, 상기 가열 막대와 상기 플러그 본체 사이에 불투수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장착 장치와,
- 상기 수용 하우징의 근단부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고, 튜브형태로 되어 있는 부하 검출 슬리브로서: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의, 소위 근단부 방향으로 가열 막대의 움직임에 의해, 축방향으로 병진운동하도록 가열 막대에 연결되어 있고, 가열 막대는 플러그 본체 내부에 다시 들어가는, 제1 축방향 단부와,
상기 제1 축방향 단부의 맞은편에 있고, 상기 플러그 본체에 대하여 가열 막대가 축방향으로 병진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부하 검출 슬리브에서 축방향 압축응력 및/또는 견인응력을 일으키도록 상기 플러그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축방향 단부를 구비하는, 부하 검출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형 부하 검출 슬리브는, 상기 수용 하우징의 근단부 영역에 형성된 가열 막대의 주변 금속 튜브의 근단부인 부분을 둘러싸고 있고, 상기 튜브형 부하 검출 슬리브는 근단부 측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장착 장치와 직접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우 플러그에서, 부하 검출 슬리브는 튜브형태이며, 직경이 일정한 섹션으로서 - 구체적으로 가열 막대의 주변 금속 튜브의 최대 직경(기본 값 4 mm) - 가열 막대의 주변 금속 튜브의 근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가열 막대에 대한 부하 센서의 위치는 기계적인 접속(실린더 헤드의 변형에 의해 플러그 본체와의 간섭(interference), 간섭 일반 모드) 또는 열적인 접속(상이한 열 팽창)의 모든 문제를 최소화시키거나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부하 센서는 연소실의 대기에 또는 매우 높은 온도에 노출되지 않는다. 실제로, 본 발명의 플러그에 의하면, 부하 검출 슬리브는 170 ℃를 넘지 않는 온도로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는 문제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값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글로우 플러그에서, 부하 센서의 실제 기능은, 특정 형상과 위치를 고려할 때, 가열 막대와 플러그 본체 사이에서 기계적인 조립체 내의 전단응력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검출은 전단부하를 압축 및/또는 인출시의 축방향 부하로 전환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즉 슬리브의 축에 평행하게), 직선성 결함(linearity faults)을 유발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검출이 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일반적인 센서의 감도가 향상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금속 튜브 형태의 가열 막대처럼 세라믹 바를 갖는 가열 막대와 호환되고, 본 발명에 의한 글로우 플러그는 모든 엔진에 대해 거의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부하 센서의 크기를 구조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변형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가열 막대는 바람직하게 주변 금속 튜브에 설치된 세라믹 바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는 가열 막대의 주변 금속 튜브의 근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변형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가열 막대는 바람직하게 금속 튜브의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는 금속 튜브의 근단부를 둘러싸면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글로우 플러그에서, 부하 검출 슬리브는 가열 막대의 전력 공급 전극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가열 막대 자체의 주변 금속 튜브의 근단부(4 mm 의 일정한 직경)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제로 가능할 뿐만 아니라(이용가능한 반경방향의 공간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열 막대의 근단부는 전기적인 접속을 함에 있어서 그리고 최적화된 기계적인 조립을 위해, 예를 들어 댐핑 요소를 결합함에 있어서, 그 접근성 및 이용가능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글로우 플러그에서, 부하 센서는 근단부 측에서 플러그 본체에 대한 가열 막대의 장착 장치와 축방향으로 인접하게 되어 있고, 발명자는 본 발명에 의해 가열 막대를 가이드하면서 동시에 전기적인 연결을 최적화할 수 있다는 것을, 즉 최적화된 통합 스크리닝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연소실에 가장 가까이 있는 장착 장치의 불투수성 부재의 위치와 호환될 수 있고, 이로써 연소실로부터 나오는 탄소 퇴적물에 의해 플러그의 근단부가 막히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명자는 글로우 플러그의 일반적인 (표준) 반경방향 치수와 호환하는, 부하 검출 슬리브를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장착하는 방법을 정의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글로우 플러그에서, 상기 장착 장치는 가열 막대의 주변 금속 튜브의 근단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수용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장착 부시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는 상기 장착 부시에 의해 지탱된다. 부하 검출 슬리브는 근단부 측의 장착 부시를 축방향으로 연장시킨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글로우 플러그는 또한, 장착 부시가 상기 수용 하우징 쪽으로 향하는 내벽에 불투수성으로(즉, 불투수성 고정 수단을 통해)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제1 고정 면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가열 막대의 근단부를 둘러싸고 불투수성으로(즉, 불투수성 고정 수단을 통해)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제2 고정 면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 부시의 제1 고정 면과 제2 고정 면은 반경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마주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는 상기 가열 막대의 근단부 쪽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상기 장착 부시의 고정 면을 넘어 뻗어나간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부하 검출 슬리브는 장착 부시의 두 고정 면 사이에서의 전단 부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실린더 헤드 또는 플러그 본체가 변형되어도, 부하 검출 슬리브로 검출하는 것에 어떤 방해가 되지는 않는다. 나아가, 가열 막대의 온도가 올라가는 경우, 두 고정 면 사이에서 열의 유동은 장착 부시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실린더 헤드에 칼로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부하 검출 슬리브를 포함하여 글로우 플러그의 다른 요소들은 높은 온도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의 제1 축방향 단부는 부하 검출 슬리브의 원단부이고,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의 제2 축방향 단부는 부하 검출 슬리브의 근단부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 부시는,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를 둘러싸고 또한 상기 제1 고정 면에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의 제2 축방향 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 튜브를 포함한다. 따라서, 부하 검출 슬리브는 가열 막대 및 플러그 본체에 각각 적어도 반경 방향으로 서로 향하는 영역에서 안착하여, 두 영역 사이에서의 전단 부하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의 제1 축방향 단부는 제1 고정 면 보다 더 근단부 쪽의 위치에 놓여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 부시는, 제2 고정 면을 형성하는 가열 막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슬리브와, 상기 제1 고정 면을 형성하는 고정 링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슬리브는 상기 고정 링에서 축방향으로 병진운동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되고, 상기 수용 슬리브는 고정 링의 원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수용 슬리부의 원단부는 고정 링에 연결되어, 근단부의 방향으로 가열 막대의 축방향 병진 운동에 저항하는 축방향 탄성력을 갖고, 따라서 이렇게 형성된 탄성 저항에 의해 감소된 절대값을 갖는 부하가 부하 검출 슬리브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수용 슬리브의 원단부는 바깥쪽으로 근단부 측에서 위로 향하여 구부러지게 되고, 이렇게 형성된 만곡부는 굴곡작용시 탄성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만곡부는 불투수성이며, 수용 슬리브의 원단부와 고정링은 플러그 본체의 원단부에서 가열 막대와 플러그 본체 사이에서의 불투수성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연결 튜브는 온도에 따른 수용 슬리브의 원단부의 기계적인 특성의 변화를, 특히 탄성의 변화를 상쇄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상기 연결 튜브는 예를 들어 수용 슬리브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매우 가능 금속 튜브의 형태가 될 수 있고, 즉 어떤 경우든 온도에 따라 동일하거나 비슷하게 변하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결 튜브는 고정 링의 근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는 튜브형 블록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가열 막대는 -특히 가열 막대의 주변 금속 튜브는- 장착 부시를 축방향으로 완전히 통과하여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한다. 이러한 부하 검출 슬리브를 형성하는 튜브형 블록은 하나 이상의 압전 와셔 또는 하나 이상의 응력 게이지를 포함한다. 장착 부시가 지탱하는 부하 검출 슬리브는(수용 슬리브의 근단부에서 그리고 연결 튜브를 통하여) 플러그 본체에 대하여 가열 막대의 병진운동과 관련된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글로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위에서 언급한 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모두 또는 그 일부를 조합함으로써 그 특징을 규정할 수 있는 글로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을 비제한적으로 나타내는 실시예에 관한 아래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보면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부하 센서를 포함하는 글로우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글로우 플러그의 원단부에 대한 축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글로우 플러그의 여러가지 제조단계를 나타내는 입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부하 검출 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글로우 플러그의 원단부의 축단면의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글로우 플러그의 기능적인 운동학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글로우 플러그의 부분적인 축단면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상세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글로우 플러그의 센서 링크의 전기적 연결을 상세히 나타내는 축단면의 개략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상세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라인 XIII-XIII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글로우 플러그의 부분 절단 사시도로서, 특히 센서 링크를 형성하는 가요성 커넥터의 외부쪽으로 향하는 제1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가요성 커넥터의 원단부의, 내측으로 향하는 제2 면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글로우 플러그는 도 1의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가열 막대(11)를 포함하며, 가열 막대는 소위 모든-금속 형태의 가열 막대로서, 금속 튜브(59)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금속 튜브(59)는 주변장치라고 부를 수 있는 금속 튜브이며, 전력 공급 전극(12)을 수용하고(이 전극은 가열 막대와 일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고려하지는 않는다),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전기 저항(69)을 가열할 수 있는 전류에 의해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저항은 튜브(59) 내에서 전극(12)의 원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가열 막대(11)의 원단부를 가열하는 것을 (줄 효과에 의해) 발생시킬 수 있다. 전극(12)은 금속 튜브의 소정의 길이만큼 금속 튜브(59) 내로 뻗어나가며, 삽입된 절연 물질(64)에 의해 절연된다. 전극(12)은 가열 막대(11)의 근단부(38)를 넘어 돌출부에서 축방향으로 뻗어나간다. 전극(12)은 전력 공급 커넥터(98)에 연결된 근단부(97)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열 막대(11)는 플러그 본체(13) 내에 수용되며, 이를 위해 플러그 본체는 수용 하우징(14)을 형성하고 있다.
가열 막대(11)는 주축(41)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뻗어나가며, 주축은 수용 하우징(14)의 주축이며, 플러그 본체(13)의 외벽(42)에 형성된 나사산 부분(43)의 주축이고, 주축은 또한 플러그 본체(13)의 축이며, 상기 나사산 부분에 의해 엔진의 실린더 헤드를 통과하는 내부 나사산 구멍에 글로우 플러그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축(axial)" 및 "방사상(radial)"과 관련된 용어는 주축(41)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 본체(13), 플러그 본체(13)의 외벽(42), 수용 하우징(14), 및 수용 하우징(14)을 형성하는 플러그 본체(13)의 내벽(44)은 주축(41)을 중심으로 회전대칭이지만, 이러한 회전대칭에 따르지 않는 다른 형태도 고려할 수 있다. 플러그 본체(13)는 수용 하우징(14)을 형성하는 원단부에서 튜브(45)의 형태로 되어 있고, 그 내벽(44)은 주축(41)에 대하여 원통형이다(회전 대칭이든 아니든, 즉 베이스 부분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다). 이 튜브(45)는 원단부(46)를 구비하며, 원단부는 절단형 와셔(47)에 의해 닫혀 있고, 원단부는 플러그 본체(13)의 원단부를 형성한다. 수용 하우징(14)은 근단부 방향으로 절단형 와셔(47)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뻗어나간다.
가열 막대(11)는 플러그 본체(13)와 와셔(47)를 넘어 원단부 방향으로 와셔의 중앙 개구를 통해 축을 따라 뻗어나가고, 연소실 내부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 원단부(49)를 구비하고 있다. 가열 막대(11)는 또한 근단부 부분(50)을 구비하며, 이 근단부 부분은 수용 하우징(14) 내로 들어간다.
수용 하우징(14)은 가열 막대(11)의 장착 부시(48)를 포함하고 있다. 장착 부시(48)는 플러그 본체(13)에 대하여 단단히 가열 막대(1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연소실의 대기압력의 변화에 따라 플러그 본체(13)에 대하여 가열 막대(11)가 약간의 축방향 병진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장착 부시(48)는 또한 불투수성 수단(15, 16)을 포함하여, 가열 막대(11)와 플러그 본체(13) 사이에서 유체가 통과하지 못하게 하고, 연소실의 대기에 노출되지 않는 수용 하우징(14)의 근단부 영역(51)을 형성하게 된다.
장착 부시(48)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는 고정 링(15)을 포함하고, 고정 링은 수용 하우징(14)의 내벽(44)(반경방향의 내부쪽으로 향함)에 견고하게 유체가 통과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고 반경방향의 외부쪽으로 향하는 원통형 벽(19)을 포함하며, 고정하는 것은 특히 튜브(45)의 두께부를 통해 레이저로 구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주변 용접부(21)에 의해 이루어진다. 고정 링(15)의 벽(19)은 수용 하우징(14) 쪽으로 향하는 내벽(44)에 대하여, 장착 부시(48)의 제1 고정면을 형성한다.
고정 링(15)은 내부 원통형 벽(2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벽은 고정 링(15)을 축방향으로 통과하는 구멍을 형성한다. 고정 링(15)의 내벽(20)의 내경은 마주하는 가열 막대(11)의 근단부 부분(50)의 주변 직경 보다 더 크고, 따라서 고정 링(15)과 가열 막대(11)의 근단부 부분(50) 사이에 수용 슬리브(16)를 삽입할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된다.
수용 슬리브(16)는 가는 금속 튜브 형태의 튜브형 주요 부품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능 금속 튜브는 바람직하게 스텐레스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스텐레스강은 특히 영률이 150 GPa 보다 큰, 예를 들어 영률이 200 GPa 정도이고, 탄성한계는 600 MPa 보다 큰, 예를 들어 800 MPa 정도이고, 피로강도(사이클이 무한 반복되는 경우의 최대 응력)는 적어도 300 MPa인, 예를 들어 400 MPa 정도인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금속 튜브는 17-4PH 강(steel) 또는 인코넬 강(inconel steel)으로 되어 있다.
수용 슬리브(16)의 튜브형 주요 부품은 내부 원통형 벽(22)(반경방향 내부쪽으로 향함)을 구비하며, 이 벽의 내경은 가열 막대(11)의 근단부 부분(50)의 내경(특히 힘을 받는 경우 보통 4 mm 정도)에 대응하여, 근단부 부분(50)과 접촉하며 하나 이상의 주변 용접부(23)(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주변 용접부의 두 필렛)에 의해 견고하게 유체가 스며들지 않도록 고정된다. 수용 슬리브(16)의 벽(22)은 가열 막대(11)의 근단부 부분(50) 주위에서 견고하게 그리고 유체가 통과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고, 따라서 가열 막대(11)에 장착 부시(48)를 고정하는 제2 면(22)을 형성하게 된다.
수용 슬리브(16)의 튜브형 주요 부품은 주변 원통형 벽(52)을 구비하며, 이 벽은 반경방향 외부쪽으로 향하는데, 즉 고정 링(15)의 내벽(20) 쪽으로 향한다. 매우 작은 갭, 특히 0.2 mm 정도의 갭이 이러한 원통형의 마주하는 벽(52, 20)들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고정 링(15)에 대하여 수용 슬리브(16)가 축방향으로 병진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수용 슬리브(16)는 원단부(24)를 구비하며, 이 원단부는 수용 링(15)의 원단부(25)에 견고하게 그리고 유체가 통과하지 않도록 고정되는데, 특히 하나 이상의 주변 용접부(39)에 의해 고정된다.
수용 슬리브(16)의 원단부(24)는 외부와 근단부측을 향하여 위로 구부러지고, 따라서 만곡부(26)를 형성하게 되며, 이 만곡부는 수용 링(15)의 원단부(25) 주위를 지나가게 되고, 이 만곡부(26)는 근단부 부분(40)을 구비하고, 근단부 부분은 벽(19)의 원단부에 주위 용접부(39)에 의해 견고하게 그리고 유체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고정되며, 벽의 원단부는 고정 링(15)의 반경방향 외부쪽으로 향한다. 바람직하게, 주변 오목부는 고정 링(15)의 벽(19)의 원단부의 반경방향 외부쪽으로 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만곡부(26)의 근단부(40)를 수용하여, 초과되는 두께부분을 모두 피할 수 있다. 만곡부(26)의 근단부(40)는 주변 튜브형 링(40)을 형성하는데, 이 링은 근단부 측으로부터 뻗어나오며, 만곡부(26)가 180o 일 때 수용 슬리브(16)의 튜브형 주요 부품에 평행한다. 다른 실시형태로서(도시 안됨), 만곡부(26)는 수용 슬리브(16)의 튜브형 주요 부품에 대하여 180o의 각도를 이루지 않도록, 만곡부의 각도가 180o보다 크거나 작은 각도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만곡부의 각도(수용 슬리브(16)의 튜브형 주요 부품에 대한 만곡부(26)의 각도)는 120o 보다 크거나 240o 보다 작다. 상기 근단부 부분(40)(특히 튜브형 링(40))의 축방향 높이는 수용 슬리브(16)의 튜브형 주요 부품의 축방향 높이 보다 낮고, 더 구체적으로는 훨씬 더 낮다. 즉, 만곡부(26)의 근단부는 수용 슬리브(16)의 튜브형 주요 부품의 근단부에 대하여 원단부 측으로부터 오프셋 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가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만곡부(26)는, 수용 슬리브(16)의 튜브형 주요 부품과 근단부측의 구부러진 단부(40) 사이에, 역만곡 연결부(80)를 구비하고 있고, 이 역만곡 연결부는 방사상 평면 내 단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단면은 휘어져 있고 연속하는 곡률을 갖는, 특히 일반적인 원호형태, 바람직하게는 반원형 또는 U 형태(연결부(80)는 보통 원환체를 절반으로 나눈 형태로 되어 있음) 또는 튜브형 주요부품을 고려할 때 J 형태로 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연결부(80)는 그 단면의 곡률이 일정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타원의 일부분으로 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만곡부(26)는 굴곡 작용시 탄성을 갖는 수용 슬리브(16)의 원단부를 형성하며, 따라서 가열 막대(11)가 충분히 큰 진폭 범위로 고정 링(15)에 대하여 (따라서 플러그 본체(1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소정의 강성 계수 K1에 의해 축방향으로 가열 막대가 탄성적으로 수축하게 되고, 이 강성 계수는 수용 슬리브(16)를 형성하는 물질과 그 두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비교적 낮은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용 슬리브(16)는 만곡부(26)를 포함하여, 그 두께가 거의 일정하며, 그 값은 예를 들어 0.35 mm 정도가 된다.
수용 슬리브(16)의 원단부의 만곡부(26)는 수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만곡부(26)는 그냥 단지 가압하면 구현될 수 있다. 가열 막대(11)의 근단부를 통해 수용 슬리브를 삽입할 수 있는데, 가열 막대가 손상될 위험이 없다. 어떤 변형이 일어나면, 만곡부(26) 내에 발생하는 응력의 값은 근단부 측에서 최대가 되는데, 연소실의 부식성 환경에 노출되지 않는다. 비교적 두꺼운 경우, 예를 들어 0.35 mm 정도인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낮은 탄성 계수를 얻을 수 있고, 따라서 가열 막대(11)를 비교적 많이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치수가 작은 열전도성 요소를 구현할 수 있게 되어, 플러그 본체의 원단부에서 가열 막대(11)와 플러그 본체(13) 사이에 열 저항이 작은 요소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수용 슬리브(16)의 튜브형 주요 부품은 축방향으로 고정 링(15)을 그 전체길이를 지나가며, 고정 링의 근단부(28)를 약간 넘어 뻗어나간다. 마주하는 원통형 벽(52, 50)과, 이 벽들을 분리하는 작은 간극(보통 0.2 mm 정도)과, 수용 슬리브(16)와 고정 링(15)을 형성하는 물질은, 금속으로 되어 열 전도성을 띠며, 수용 슬리브(16)와 고정 링(15)의 높이에서 가열 막대(11)의 근단부(50)와 플러그 본체(13)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열 교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수용 슬리브(16)와 고정 링(15)에 의해 방사상 열 브리지가 구현된다. 이로 인해, 근단부 측의 고정 링(15)과 수용 슬리브(16) 위에서, 부하 검출 슬리브(17)를 포함하여, 수용 하우징(14) 내의 요소들은 가열 막대(11)와 연소실의 높은 온도에 덜 노출된다.
수용 슬리브(16)의 근단부(27)는 전반적으로 튜브형으로 되어 있는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원단부(32)와 접촉하게 되며, 가열 막대(11)의 금속 튜브(59)의 근단부(50)(4 mm의 직경)를 완전히 둘러싸고 수용 슬리브(16)의 연장선상에서 축방향으로 뻗어나간다. 부하 검출 슬리브(17)는 축(41)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이며, 가열 막대(11)와 수용 하우징(14)에 대하여 동축으로 되어 있다. 부하 검출 슬리브(17)는 축 방향으로 직접, 근단부 측에서 축 방향으로 장착하기 위한 부시(48)에 인접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하 검출 슬리브(17)는 원단부 링(31)을 포함하며, 이 원단부 링은 하나 이상의 주변용접부(53)에 의해 수용 슬리브(16)의 주변 벽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이 원단부 링(31)은 수용 슬리브(16)의 근단부(27)에 끼워지며, 근단부에 가열 막대(11)(더 구체적으로는 가열 막대(11)의 금속 튜브(59))의 주변 벽에 의한 방사상 간극을 구비하고 있다.
원단부 링(31)의 원단부(32)는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제1 축 단부를 형성하며, 이 제1 축 단부는 수용 슬리브(16)를 통해 가열 막대(11)에 단단히 연결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가열 막대(11)의 금속 튜브(59)에 연결된다.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원단부(32)는 가열 막대(11)가 축(41)을 따라 움직임으로써 축방향으로 구동되는데, 적어도 근단부 방향으로 움직이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 방향으로 움직인다.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원단부(32)는 고정 링(15)의 근단부(28)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떨어져 있어서, 가열 막대(11)가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안에 움직임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원단부 링(31)의 원단부(32)는 가능한 한 고정 링(15)에 가까이 있고, 따라서 부하 검출 슬리브(17)는 근단부 측에서 직접 고정 링(15) 위에 있다.
원단부 링(31) 위에(근단부 측)는 압전 물질로 이루어진 제1 와셔(33)가 있고, 제1 와셔 위에는 전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중앙 와셔(34)가 있고, 중앙 와셔 위에는 압전 물질로 이루어진 제2 와셔(35)가 있고, 제2 와셔 위에는 근단부 링(36)이 있다.
이런식으로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링(31, 36)과 와셔(33, 34, 35)가 쌓여 있고, 이들의 내부 직경은 적어도 거의 동일하며 가열 막대(11)의 금속 튜브(59)의 주변 직경보다는 약간 더 크고, 따라서 가열 막대의 금속 튜브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반경방향의 두께는 충분이 얇게 되어 있어서, 가열 막대(11)의 금속 튜브(59)의 근단부(50)(약 4 mm의 주변 직경) 주위에서 수용 하우징(14) 내에 수용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압전 와셔(33, 35) 내에서 생성되는 축방향 압축 응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보통, 압전 와셔(33, 35)의 반경방향의 두께는 1 mm 정도이다.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근단부 링(36)은 근단부(37)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근단부는 또한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제2의 축방향 근단부를 구성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근단부(37)는 근단부 측에서 가열 막대(11)의 근단부(38) 위에 있고, 가열 막대(11)는 축방향으로 부하 검출 슬리브(17)를 완전히 지나가지 않는다. 그러나, 부하 검출 슬리브(17)는 전력 공급 전극(12) 주위에서 완전히 뻗어나가지 아니하며, 장착 부시(48)의 근단부 측면과 수용 하우징(14) 내에서 가장 멀리 있는 위치에 있고, 장착 부시는 수용 하우징(14)의 원단부에 있다.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근단부 링(36)은 그 반경방향의 두께가 원단부 링(31)과 중앙 와셔(34)와 압전 와셔(33, 35) 보다 약간 더 두껍다. 미세금속(fine metal) 연결 튜브(18)는 근단부 링(36)으로부터 부하 검출 슬리브(17)를 둘러싸면서 그리고 고정 링(15) 만큼 떨어진 거리로 원단부 측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 튜브(18)는 부하 감지 슬리브(17)와 수용 하우징(14)의 내벽(44) 사이에 놓여 있다. 연결 튜브(18)는 근단부(30)와 원단부(29)를 구비하고 있고, 근단부(30)는 하나 이상의 주변 용접부(54)에 의해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근단부 링(36)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으며, 원단부(29)는 하나 이상의 주변 용접부(55)에 의해 고정 링(15)의 근단부(28)에,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는 것을 막기 위해 외부쪽을 향해 방사상으로 향하며 고정 링의 벽(19)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다.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근단부 링(36)의 두께가 반경방향으로 너무 두껍기 때문에, 반경방향의 간극이 압전 와셔(33, 35), 와셔(34), 연결 튜브(18) 및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원단부 링(3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비슷하게, 연결 튜브(18)는 충분히 미세하여, 반경방향으로 외부쪽으로 향하는 원통형 벽과 플러그 본체(13)의 수용 하우징(14)의 내벽(44) 사이에, 반경 방향의 간극 축방향 길이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런식으로, 연결 튜브(18)는 플러그 본체(13)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연결 튜브(18)는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근단부(37)를 고정 링(15)에 연결시키며, 따라서 결국 플러그 본체(13)에 연결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에 의해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근단부(37)의 지지부의 지점을 고정 링(15)에 연결시키게 되므로, 부하 검출 슬리브(17)에서 생성되는 압축 응력은 사실 전단 부하(shear loads)를 의미하는 것이며, 이러한 전단 부하는 수용 슬리브(16)와 접촉하고 있는 가열 막대(11)의 근단부(50)와 고정 링(15) 사이에서 가열 막대(11)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발생한다. 또한, 두 개의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두 축방향 단부는 적어도 서로 방사상으로 대면하고 있는 영역에서 각각 가열 막대(11)에 안착하기 때문에(더 구체적으로는 가열 막대(11)의 금속 튜브(59)에 안착하기 때문에), 부하 검출 슬리브(17)가 제공하는 신호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연결 튜브를 제외하고는 실린더 헤드, 플러그 본체(13) 또는 다른 중간소자들의 변형에 의해 교란되지 않는다.
매우 가는 연결 튜브(18)는 축방향으로 당길때 약간의 탄성을 갖고 있어서, 소정의 강성계수 K2로 원단부 방향으로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근단부(37)를 수축시키게 되고, 강성계수의 값은 연결 튜브(18)를 이루는 물질과 그 치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튜브(18)는 특성치가 높은 스테인리스강 중에서 선택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두께(외벽과 내벽의 반경의 차이값)는 0.2 mm 정도가 된다. 바람직하게, 연결 튜브(18)는 특성치가 높은 스테인리스강으로서, 영률은 150 GPa 보다 크고, 특히 200 GPa 정도이며, 탄성한도는 600 MPa 보다 크고, 예를 들면 800 MPa 정도이고, 피로강도(파손되지 않고 무한반복되는 사이클에 대한 최대응력)는 적어도 300 MPa, 예를 들면 400 MPa 정도가 된다. 이에 대한 한 예로서, 17-4PH 강 또는 인코넬 강(inconel steel)이 있다.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를 보면, 연결 튜브(18)의 근단부(30)는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근단부 링(36)의 근단부(37)의 바깥쪽에 간단히 용접되어 있다. 적절한 값을 갖는 강성계수 K2를 얻기 위해, 만곡부를 안쪽으로 접어서, 연결 튜브(18)의 근단부(30)로부터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근단부 링(36)으로 연결시킬 수 있고, 또한 수용 슬리브(16)의 원단부의 만곡부(26) 처럼, 원단부측에서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근단부(37) 주위에 형성되는 만곡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러그의 일반적인 기능적인 작동관계는 도 8의 도면에서 볼 수 있다.
연결 튜브(18)는 또한 하나 이상의 개구(56)를 구비하며, 중앙 와셔(34)의 외측에 용접되어 있고 근단부측에서 뻗어나가는 전기접속 핀(57)이 통과하도록, 이 개구는 근단부의 높이의 부분에서 근단부(30)로부터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중앙 와셔(34) 까지, 두께 전체를 통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접속 핀(57)에 의해, 부하 검출 슬리브(17)가 제공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근단부 측에서 압전 와셔(33, 35)가 생성하는 신호를 전자회로(9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기접속 핀(57)은 다중층 밴드의 형태로 가요성 커넥터(71)의 원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71)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지지층(72)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지지층은 굴곡작용과 관련하여 가요성을 갖는 층이며 방사상으로 가열 막대의 주축(41)의 외부쪽으로 향하는 제1 면(73)을 갖고 있고, 이 제1 면(73)은 신호라인(74)을 지지한다. 신호라인은 금속 트랙(예를 들어 구리로 이루어짐)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금속 트랙은 제1 면(73) 위에 놓여 있고 부하 검출 슬리브(17)가 제공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지지층(72)의 원단부(75)와 전자회로(90) 사이에서 커넥터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뻗어나가고, 전자회로(90)는 제1 면(73)의 근단부 위에 놓여 있다. 신호라인(74)은, 지지층(72)의 두께부분을 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원단부(75)에 형성된 전도성 부시(77)를 경유하여, 제2 면(79)에 부착된 원단부 스터드(78)에 연결되어 있고, 제2 면은 방사상으로 가열막대의 주축(41)을 향하고, 따라서 지지층(72)의 제1 면(73)의 반대측에 있다. 부시(77)는 예를 들어 전도성 접착제(76)로 채워져 있다. 스터드(78)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예를 들어 면(79) 위에 있는 구리) 중앙 와셔(34)에 (용접이나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연결되어, 신호라인(74)은 부하 검출 슬리브(17)가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전자회로(90)에 전송한다.
신호라인(74)의 폭은 제1 면(73)의 폭 부분 위에만 그리고 제1 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면(73)은 또한 두 개의 전도성 접지라인(81)을 구비하고 있으며, 신호라인(74) 주위에 주변 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해 접지라인은 제1 면(73)과 신호라인(74)의 각 측부를 따라 그리고 부시(77)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전도성 접지라인(81)은 예를 들어 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구리)의 트랙 형태로 되어 있고, 이 전도성 물질은 제1 면(73) 위에 배치되어 있고, 접지라인은 예를 들어 전자회로(90)의 레벨에서 플러그 본체의 전기 접지부에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플러그 본체의 내벽과 접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절연층(83)은 제1 면(73)이 지지하는 전도성 트랙(신호라인(74)과 접지라인(81))을 각각 커버한다. 이 층(83)은 제1 면(73)을 완전히 커버하는 절연 바니시(varnish) 층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층(72)의 제2 면(79)은 방사상 내부측으로, 가열막대의 주축(41) 쪽으로 향하고 있으며, 전도성 접지층(82)을 지지하고 있다. 이 전도성 접지층(82)은 적어도 제2 면의 폭 전체에 의해 예를 들어 제2 면(79) 위에 놓여 있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넓은 트랙의 형태로 되어 있고, 예를 들어 전자회로(90)의 레벨에서 플러그 본체의 전기 접지부에 연결되어 있다. 가요성 커넥터(71) 중 하나와 지지층(72)의 폭은 주축(41)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고, 수용 하우징의 비반경 코드(non diametrical cord)를 따라 뻗어나간다. 또한, 지지층(72)의 폭과 전도성 접지층(82)의 폭은 가능한 한 크고, 특히 신호라인(74) 보다 더 크고, 플러그 본체 내에 형성된 원통형 수용 하우징의 반경보다 크다. 이런식으로, 형성된 스크린의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전도성 접지층(82)은 스터드와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스터드(78)로부터 떨어져 있는 원단부(85)에서 차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전도성 접지층(82)은 원단부 측에서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근단부 링(36)을 넘어가지 않는다. 전도성 접지층(82)의 원단부(85)는 (용접이나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근단부 링(36)에 연결되어 있다.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전도성 접지층(82)은 가열 막대(11)의 전력 공급 전극(12)(축방향으로 주축(41)에 중심이 맞추어짐)과 신호라인(74) 사이에 방사상으로 놓여 있고, 따라서 전기 스크린의 역할을 하여 모든 용량형 결합(capacitive coupling)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전도성 접지층(82)은 신호라인(74)과 가열막대의 전력 공급 링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축(41)과 신호라인(74)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신호라인(74)은 모든 면이, 접지되어 있는 전도성 스크린으로 둘러싸여 있다: 전도성 접지층(82)은 내부측에 스크린을 형성하고, 전도성 접지 라인(82)은 주변 측면 스크린을 형성하고, 금속 플러그 본체는 외부측에 있다. 이렇게 형성된 다중층의 가요성 커넥터(71)는 전기적 링크를 구성하는데, 소위 센서 링크(71)라고 부르며, 이 전기적 링크는 부하 센서(17)와 플러그 본체(13)의 근단부(84) 사이에서 플러그 본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서 링크(71)는 완전히 스크린된다.
전자회로(90)는 플러그 본체의 근단부 출력 터미널에서, 부하 검출 슬리브(17)가 공급하는 신호를 나타내는 전압을 공급하는데 적합하며, 따라서 실린더 압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전자회로(90)는 전하증폭 집적회로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글로우 플러그는 독립적이면서 자율적인 장치를 구성하게 되며, 이 플러그는 공장에서 제조, 구성, 조절 및 인증을 할 수 있고, 어떤 엔진에 대하여서도 사용할 수 있게 준비된 상태로 공급된다.
또한, 플러그 본체(13)는 복수의 개별 금속 튜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튜브들은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조립되어 있으며, 즉 원단부 금속 튜브(45)에 의해 축방향으로 뻗어나가는 근단부 금속 튜브(95)이다. 특히, 근단부 튜브(95)는 플러그 본체(13)의 근단부(84)를 형성하고, 이 근단부는 전자 신호처리 회로(90)와 글로우 플러그의 여러 커넥터를 수용한다. 엔진의 실린더 헤드에 글로우 플러그를 장착시키는 나사산 부분(43)은 근단부 금속 튜브(95)의 외벽에 형성되어 있다.
원단부 튜브(45)는 그 두께(외부 반경과 내부 반경의 차이값)가 근단부 튜브(95)의 두께 보다 얇다. 근단부 튜브(95)는 원단부에, 원단부 튜브(45)의 근단부를 수용하도록 오목부를 형성하는 내벽의 수축부(96)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수용 수축부(96)는 그 두께가 원단부 튜브(45)의 두께와 같고, 따라서 근단부 튜브(95)와 원단부 튜브(45)의 외벽들은 두 튜브(45, 95)가 만나는 지점에서 서로에 대하여 연속하게 되고, 근단부 튜브(95)와 원단부 튜브(45)는 모두 외부 직경이 동일하다. 원단부 튜브(45)와 근단부 튜브(95)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서로에 대해 끝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원단부 튜브(45)는 제1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고, 근단부 튜브(95)는 제2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고, 원단부 튜브(45)를 형성하는 제1 합금은 그 기계적 특성이 근단부 튜브(95)를 형성하는 제2 합금보다 우수하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원단부 튜브(45)를 형성하는 제1 합금은 근단부 튜브(95)를 형성하는 제2 합금보다 탄성 한계의 값이 더 크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 합금은 근단부 튜브(95)와 원단부 튜브(45) 사이에서 두께가 감소하는 것을 보상하도록 선택되며, 기계적 성질(특히 탄성 한계)이 연속성을 가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 원단부 튜브(45)와 근단부 튜브(95)의 두께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Y1xS1=Y2xS2
Y1은 근단부 튜브를 형성하는 합금의 탄성 한계이고, S1은 근단부 튜브의 두께가 형성하는 섹션이고, Y2는 원단부 튜브가 형성하는 금속의 탄성 한계이고, S2는 원단부 튜브의 두께가 형성하는 섹션이다.
예를 들어, 원단부 튜브(45)를 형성하는 제1 합금은 높은 특성치를 갖는 스테인리스강이고, 특히 영률이 150 GPa 보다 크게, 예를 들면 200 GPa 이고, 탄성 한계가 600 MPa 보다 크게, 예를 들면 800 MPa이고, 피로강도(파손없이 무한반복되는 사이클에 대한 최대 응력)가 300 MPa 이상, 예를 들어 400 MPa 이다. 예를 들면, 17-4PH 강 또는 인코넬 강(inconel steel)이 있다. 바람직하게, 근단부 튜브(95)를 형성하는 제2 합금은 예를 들어, 탄성한계가 150 MPa 정도가 되는, 급속 기계가공에 적합한 스테인리스강이 될 수 있다.
두께를 줄인 원단부 튜브(45)에 의해, 외부 직경을 동일하게 하면서 그리고 플러그 본체(13)의 장치의 기계적 특성이 변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수용 하우징(14)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부하 검출 슬리브(17)가 하나 이상의 압전 와셔(33, 35)를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에서, (사전에 가해진 응력을 나타내는, 만곡부(26)의 탄성 수축력 K1과 연결 튜브(18)의 탄성 수축력 K2에 의해) 각각의 압전 와셔(33, 35)가 항상 가압되도록, 연소실의 압력이 낮은 경우를 포함하여, 가열 막대(11)의 축방향 위치가 어떻든 간에, 압전 와셔는 축방향으로 압축시키는 선-부하(preload)를 통해, 예를 들어 100 N 정도의 선-부하를 통해 조립된다. 따라서, 부하 검출 슬리브(17)는 플러그 본체(13)에 대하여 가열 막대(11)가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안에 가해지는 축방향 압축응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축방향으로 압축력을 미리 가하는 것은, 연결 튜브(18)의 원단부(29)의 주변 용접부(55)를 고정 링(15)의 근단부(28)에 실행하는 순간에, 고정 링(15)(방사상 외부쪽으로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또한 원단부 측으로 향하는 어깨부(58)를 구비함)과 연결 튜브(18)의 근단부(30) 사이에 축방향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도 3).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글로우 플러그를 제조하는 공정의 다른 단계들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수용 슬리브(16)가 주변 용접을 통해 가열 막대(11) 주위에 고정되고, 고정 링(15)이 삽입되어 주변 용접에 의해 만곡부(26)에서 수용 슬리브(16)의 주위에 고정된다. 그 후, 부하 검출 슬리브(17)를 수용 슬리브(16)의 근단부와 만날 때까지 가열 막대(11)의 근단부(38)를 통해 집어 넣는다(도 2). 수용 슬리브(16)에서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원단부 링(31)의 주변 용접부(53)가 실행된다. 그 후, 부하 검출 슬리브(17) 주위에, 가열 막대(11)의 근단부(38)를 통해 연결 튜브(18)를 집어 넣는다. 그 후, 근단부(37) of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근단부(37)에서 연결 튜브(18)의 근단부(30)의 주변 용접을 실행한다. 그 다음에, 축방향으로 압축하여(100 N의 힘으로), 고정 링(15)의 근단부(28)에서 연결 튜브(18)의 원단부(29)의 주변 용접을 실행한다(도 3). 가열 막대(11)의 전기적 연결(전극(12)을 통해)과 부하 검출 센서(17)의 전기적 연결(핀(57)을 통해)을 실행하고, 글로우 플러그의 근단부 내 여러 요소들을 조립한다(도 4). 그런 다음, 가열 막대(11)의 원단부를 통해서, 수용 하우징(14)을 형성하는 플러그 본체(13)의 원단부 튜브(45)를 삽입하고, 절단된 원단부 와셔(47)를 삽입하고, 주변 용접에 의해 전체를 고정시킨다(도 5).
실린더 압력이 증가할 때, 가열 막대(11)는 근단부 방향으로 축을 따라 병진운동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부하 검출 슬리브(17)를 가압하게 되고, 압전 와셔(33, 35)는 이러한 압축이 일어나는 것을 나타내는 전하를 공급하게 된다.
수용 슬리브(16)의 원단부의 만곡부(26)는 강성계수 K1에 따라 실린더의 압력에 대항하여 원단부 측의 가열 막대(11)를 수축시키게 된다. 이러한 수축에 의해, 동일한 압력 증가값에 대해, 부하 검출 슬리브(17)에 관련된 압축 응력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작용 범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연결 튜브(18)에 관련된 응력을 제한할 수 있다.
강성계수 K2에 기초하는 연결 튜브(18)의 탄성에 의하면, 동일한 실린더 압력에 대하여 부하 검출 슬리브(17)와 관련된 부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만곡부(26)와 관련된 압축응력을 줄일 수도 있다. 강성계수 K2의 값이 크면 클수록, (동일한 실린더 압력에 대해) 부하 검출 슬리브(17)와 관련된 응력도 커진다. 또한, 강성계수 K2에 기초하는 연결 튜브(18)의 탄성에 의하면, 충분한 두께(구체적으로 0.35 mm 정도)를 갖는 불투수성 멤브레인(만곡부(26)에 의해 형성됨)을 유지할 수 있고, 이러한 불투수성 멤브레인을 통해 열전도에 의해 칼로리를 잘 처분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불투수성 멤브레인이 상이한 열팽창의 영향을 받는 상태에서 과도하게 응력을 받는 것(소성변형을 일으키거나 멤브레인을 악화시킬 위험)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튜브(18)와 수용 슬리브(16)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 또는 동일한 열적 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 온도에 따라 강성계수 K1 및 K2가 달라지는 것을 보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 튜브(18)와 수용 슬리브(16)는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이 물질은 스테인리스강,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특성을 갖는 스테인리스강, 예를 들어 탄성한계가 높고 피로강도가 높은 물질에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 연결 튜브(18)와 수용 슬리브(16)는 똑같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예를 들어 영률이 150 GPa 보다 크게, 구체적으로 200 GPa 정도이고, 탄성한계가 600 MPa 보다 크게, 예를 들어 800 MPa 정도이고, 피로강도(파손없이 무한반복되는 사이클에 대한 최대 응력)가 300 MPa 이상, 예를 들어 400 MPa 정도인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스테인리스강으로는 17-4PH 강 또는 인코넬 강(inconel steel)이 있다.
두 강성 계수 K1 및 K2를 선택함으로써, 형성된 기계 시스템의 통과 대역을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10 kHz 보다 큰 축방향 진동을 갖는 제1 일반 모드(기본적인 주파수로서 고유 주파수)를 갖게 된다. 예를 들어, K1 = K2 ≒ 40N/㎛ 와 같은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린더 압력을 확실하고 정확하게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부하 센서를 포함하는, 기본 치수를 갖는 글로우 플러그를 얻을 수 있는데, 상기 신호는 가열 막대(11)의 변형 또는 전력 공급 전극(12)의 변형 또는 플러그 본체(13)나 실린더 헤드의 변형과 같은 일반적인 모드에 의해 교란되지 않는다. 실제로, 부하 검출 슬리브(17)는 170℃ 보다 큰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가열 막대(11')는 간단한 금속 튜브의 형태가 아니라, 가열 막대(11')의 주변벽과 지름이 4 mm 인 가열 막대(11')의 섹션을 형성하는 주변 금속 튜브(61) 내에 설치(경랍땜(brazing) 또는 브레이싱(bracing)에 의해 고정, 즉 방사상 탄성 잔류응력에 의해 힘으로 삽입됨)되는 세라믹 바(60)로 구성되어 있다. 주변 금속 튜브(61)는 축방향으로, 수용 하우징(14) 내에 형성되고, 또한 와셔(47)와 플러그 본체(13)를 넘어서 형성되어, 부분적으로 가열 막대(11')의 원단부를 형성한다. 세라믹 바(60)는 근단부와 원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주변 금속 튜브(61)를 넘어간다. 세라믹 바(60)는 또한 알려진 대로, 줄효과에 의해 전류와 열을 공급하는 저항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부하 검출 슬리브(17)는, 직접 축방향으로 고정 링(15)과 인접하고 따라서 근단부 측의 장착 부시(48)와 인접하는, 수용 하우징(14) 내의 가장 멀리 있을 수 있는 위치에서, 가열 막대(11')를 둘러싸도록, 즉 금속 튜브(61)의 근단부(63)와 세라믹 바(60)의 근단부(62)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 제2 실시예에서, 부하 검출 슬리브(17)는 가열 막대(11')의 주변 튜브(61)의 근단부를 약간 넘어서 뻗어나간다. 그러나, 근단부 측에서, 부하 검출 슬리브(17)는 가열 막대(11')의 근단부를 넘어가지 아니하며, 가열 막대의 근단부는 세라믹 바(60)의 근단부를 구성한다. 가열 막대의 전력 공급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세라믹 바(60)의 근단부 주위에 감겨 있는 전도성 와이어의 권선(70)으로서 구현된다. 또는,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주변 금속 튜브(61)에 설치된 세라믹 바(60) 형태의 가열 막대(11')와 호환되듯이 금속 튜브(59) 형태의 가열 막대(11)와 호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글로우 플러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부하 센서 슬리브(67)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부하 검출 슬리브(67)는 압전 와셔를 포함하지 않고, 대신 하나 이상의 응력 게이지(65)(코일 와이어, 변형에 따라 변하는 전기저항)를 포함하고, 이 응력 게이지의 터미널(68, 66)은 상술한 핀(57)과 같은 전기 접속 핀에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부하 검출 슬리브(67)는 축방향으로 압축하고 수축하는 경우에, 똑같이 잘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와 도면과 관련된 수많은 변형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부하 검출 슬리브(17)는 단일 압전 와셔 또는 둘 이상의 압전 와셔를 포함할 수 있고, 부하 검출 슬리브(17)의 근단부는 예를 들어 가열 막대에 직접 용접될 수 있다. 또한, 가열 막대에 연결된 부하 검출 슬리브의 축방향 단부는 근단부(원단부는 아님)가 될 수 있고, 부하 검출 슬리브의 원단부는 플러그 본체가 연결될 수 있다. 용접은 레이저 용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용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Claims (12)

  1. 글로우 플러그로서:
    - 가열 막대(11, 11')로서, 주변 금속 튜브(59, 61)를 포함하며, 가열 막대의 전력 공급 연결부가 설치된 단부인 근단부(38)를 구비하는 가열막대와,
    - 플러그 본체(13)로서, 가열 막대를 수용하는 하우징인 수용 하우징(14)을 형성하고, 가열 막대는 플러그 본체를 넘어서 돌출하도록 축방향으로 형성된 원단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본체와,
    - 상기 수용 하우징(14)에 가열 막대를 장착하는 장착 장치(48)로서:
    가열 막대를 상기 플러그 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병진운동할 수 있게 하고,
    글로우 플러그를 수용하는 엔진 연소실 내의 대기에 노출되지 않는 수용 하우징의 근단부 영역(51)의 경계를 정하도록, 상기 가열 막대와 상기 플러그 본체 사이에 불투수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장착 장치(48)와,
    - 상기 수용 하우징의 근단부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고, 튜브형태로 되어 있는 부하 검출 슬리브(17, 67)로서:
    근단부 방향인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의 가열 막대의 움직임에 의해, 축방향으로 병진운동하도록 가열 막대에 연결되어 있고, 가열 막대는 플러그 본체 내부에 다시 들어가는, 제1 축방향 단부(32)와,
    상기 제1 축방향 단부의 맞은편에 있고, 상기 플러그 본체에 대하여 가열 막대가 축방향으로 병진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부하 검출 슬리브에서 축방향 압축응력 및/또는 견인응력을 일으키도록 상기 플러그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축방향 단부(37)를 구비하는, 부하 검출 슬리브(17, 67)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형 부하 검출 슬리브(17, 67)는, 상기 수용 하우징(14)의 근단부 영역(51)에 형성되어 있는 가열 막대(11, 11')의 주변 금속 튜브(59, 61)의 부분인 근단부(50, 63)를 둘러싸고 있고, 상기 튜브형 부하 검출 슬리브(17, 67)는 근단부 측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장착 장치(48)와 직접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막대(11')는 주변 금속 튜브(61)에 설치된 세라믹 바(6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17, 67)는 가열 막대의 주변 금속 튜브의 근단부(6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막대(11)는 금속 튜브의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17, 67)는 금속 튜브의 근단부(50)를 둘러싸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장치는 상기 가열 막대의 주변 금속 튜브(59, 61)의 근단부(50, 63)를 둘러싸면서 상기 수용 하우징(14)에 고정되어 있는 장착 부시(48)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17, 67)는 상기 장착 부시(48)에 의해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시(48)는 상기 수용 하우징(14) 쪽으로 향하는 내벽(44)에 불투수성으로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제1 고정 면(19)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가열 막대의 근단부(50, 63)를 둘러싸고 불투수성으로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제2 고정 면(22)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 부시의 제1 고정 면(19)과 제2 고정 면(22)은 반경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17, 67)는 상기 가열 막대의 근단부 쪽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상기 장착 부시(48)의 고정 면(19, 22)을 넘어 뻗어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의 제1 축방향 단부(32)는 부하 검출 슬리브의 원단부이고,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의 제2 축방향 단부(37)는 부하 검출 슬리브의 근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시(48)는,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17, 67)를 둘러싸고 또한 상기 제1 고정 면(19)에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의 제2 축방향 단부(37)를 연결시키는 연결 튜브(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시(48)는 제2 고정 면(22)을 형성하는 가열 막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슬리브(16)와, 상기 제1 고정 면(19)을 형성하는 고정 링(15)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슬리브(16)는 상기 고정 링에서 축방향으로 병진운동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되고, 상기 수용 슬리브는 고정 링의 원단부(2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튜브(18)는 고정 링의 근단부(28)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17, 63)는 튜브형 블록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가열 막대(11, 11')는 장착 부시(48)를 축방향으로 완전히 통과하여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17, 6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검출 슬리브는 하나 이상의 압전 물질로 이루어진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우 플러그.
KR1020110140082A 2010-12-22 2011-12-22 연소실 외부에서 가열 막대를 둘러싸는 부하 검출 슬리브를 갖는 글로우 플러그 KR101345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96601.8A EP2472181B1 (en) 2010-12-22 2010-12-22 Glow plug with a load sensing sleeve surrounding the heating rod outside the combustion chamber
EP10196601.8 2010-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363A true KR20120071363A (ko) 2012-07-02
KR101345268B1 KR101345268B1 (ko) 2013-12-27

Family

ID=4419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082A KR101345268B1 (ko) 2010-12-22 2011-12-22 연소실 외부에서 가열 막대를 둘러싸는 부하 검출 슬리브를 갖는 글로우 플러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51499B2 (ko)
EP (1) EP2472181B1 (ko)
JP (1) JP5101730B2 (ko)
KR (1) KR101345268B1 (ko)
CN (1) CN102536587B (ko)
DE (1) DE102011120582A1 (ko)
FR (1) FR29697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1400B2 (ja) * 2011-01-25 2015-08-26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グロープラグ
DE102011088468A1 (de) * 2011-12-14 2013-06-20 Robert Bosch Gmbh Druckmessglühkerze
DE102012207856B4 (de) 2012-05-11 2021-12-09 Robert Bosch Gmbh Membran für eine Druckmesseinrichtung
JP2014146637A (ja) 2013-01-28 2014-08-14 Sony Corp 電子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構造体の形成方法
DE102013104992A1 (de) * 2013-05-15 2014-12-04 Borgwarner Beru Systems Gmbh Glühkerze
US10253982B2 (en) * 2014-12-22 2019-04-09 Ngk Spark Plug Co., Ltd. Glow plug with pressure sensor
EP3064835B1 (en) 2015-03-04 2018-04-25 Sieva D O O Pe Spodnja Idrija GLOW PLUG WITH LOAD SENSOR AND WELDED FLEXIBLE DISTAL MEMBRANE WITH TRANSVERSAL FLEXIBLE COLLAR
DE102018108427B3 (de) * 2018-04-10 2019-07-25 Borgwarner Ludwigsburg Gmbh Heizstab für eine Glühkerz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eizstabs und Glühkerz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4629A (ja) * 1983-11-28 1985-06-21 Jidosha Kiki Co Ltd デイ−ゼルエンジン用グロ−プラグ
DE10020328A1 (de) 1999-08-27 2001-03-01 Bosch Gmbh Robert Keramische Glühstiftkerze
JP4300663B2 (ja) 1999-12-24 2009-07-22 株式会社デンソー 燃焼圧センサ構造体
JP2004278934A (ja) * 2003-03-17 2004-10-07 Ngk Spark Plug Co Ltd 燃焼圧検知機能付きグロープラグ
DE10343521A1 (de) * 2003-09-19 2005-04-21 Beru Ag Druckmessglühkerze für einen Dieselmotor
FR2869393B1 (fr) 2004-04-27 2006-07-14 Siemens Vdo Automotive Sas Dispositif pour agir sur un capteur de pression monte sur une bougie de prechauffage
DE102004047143A1 (de) * 2004-09-29 2006-04-06 Robert Bosch Gmbh Piezoelektrischer Brennraum-Drucksensor mit einem Druckübertragungsstift
DE102004063750A1 (de) 2004-12-29 2006-07-13 Robert Bosch Gmbh Glühstiftkerze mit integriertem Brennraumdrucksensor
JP2006307834A (ja) 2005-03-31 2006-11-09 Ngk Spark Plug Co Ltd 燃焼圧センサおよびそれを備えたグロープラグ
FR2884298B1 (fr) 2005-04-12 2007-08-10 Siemens Vdo Automotive Sas Bougie de prechauffage a capteur de pression integre
FR2884299B1 (fr) * 2005-04-12 2007-06-29 Siemens Vdo Automotive Sas Bougie de prechauffage a capteur de pression integre et corps d'une telle bougie de prechauffage
DE102005051817B4 (de) 2005-10-28 2008-06-05 Beru Ag Druckmessglüheinrichtung, insbesondere Druckmessglühkerze
DE102006008639A1 (de) * 2005-12-23 2007-06-28 Robert Bosch Gmbh Glühstiftkerze
DE102008009429A1 (de) * 2007-03-15 2008-09-18 Robert Bosch Gmbh Abdichtung für eine Glühkerze
JP5161121B2 (ja) 2008-03-28 2013-03-13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グロープラグ
JP2009243710A (ja) * 2008-03-28 2009-10-22 Ngk Spark Plug Co Ltd グロープラグ
EP2138820B1 (en) 2008-06-25 2016-09-21 Sensata Technologies, Inc. A piezoresistive pressure-measuring plug for a combustion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51499B2 (en) 2015-10-06
EP2472181A1 (en) 2012-07-04
CN102536587B (zh) 2014-11-12
DE102011120582A1 (de) 2012-06-28
EP2472181B1 (en) 2014-09-10
KR101345268B1 (ko) 2013-12-27
CN102536587A (zh) 2012-07-04
JP5101730B2 (ja) 2012-12-19
FR2969741A1 (fr) 2012-06-29
US20120160821A1 (en) 2012-06-28
FR2969741B1 (fr) 2013-06-07
JP2012132674A (ja)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268B1 (ko) 연소실 외부에서 가열 막대를 둘러싸는 부하 검출 슬리브를 갖는 글로우 플러그
US6539787B1 (en) Glow plug having a combustion pressure sensor
JP4386117B2 (ja) 燃焼圧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
US9249975B2 (en) Glow plug with a load sensor and a screened sensor link
JP2012512373A (ja) 圧力検知キャニスタを備えたグロープラグ
JP5975793B2 (ja) 燃焼圧センサ
JP5820759B2 (ja) 圧力検出装置の製造方法、圧力検出装置付き内燃機関の製造方法
US20170030786A1 (en) Pressure sensor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said pressure sensor
JP3912352B2 (ja) 燃焼圧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
CN104094062B (zh) 压力测量预热塞
JP5992921B2 (ja) 加熱ロッドを受け入れるためのスリーブが遠位部に曲げ返し部を備えているグロープラグ
JP2008537046A (ja) 圧力測定エレメントを組み込まれたシース形グロープラグ
EP2469170B1 (en) Glow plug with a load sensing sleeve connected to the plug body by an elastically deformable link
EP2655972B1 (en) Glow plug with a plug body composed of multiple tubes joined end to end
JP5698409B2 (ja) 圧力、特に内燃機関の燃焼室圧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
JP7282006B2 (ja) 圧力検出装置の製造方法
JP2023049395A (ja) 圧力検出装置
JP2020056610A (ja) 圧力検出装置
JPH07113713A (ja) 圧電型圧力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