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328A - 도료, 위상차 소자, 표시 장치,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료, 위상차 소자, 표시 장치,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328A
KR20120071328A KR1020110134364A KR20110134364A KR20120071328A KR 20120071328 A KR20120071328 A KR 20120071328A KR 1020110134364 A KR1020110134364 A KR 1020110134364A KR 20110134364 A KR20110134364 A KR 20110134364A KR 20120071328 A KR20120071328 A KR 20120071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monomer
monomer
paint
retar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아끼 오꾸노
유까리 쯔노다
하루미 사또
겐따로 오꾸야마
마사시 에노모또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71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38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38Polymers
    • C09K19/3804Polymers with mesogenic groups in the main chain
    • C09K19/3809Polyesters; Polyester derivatives, e.g. 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4Additives having no specific mesophase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2019/044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haracterized by a linking chain between rings or ring systems, a bridging chain between extensive mesogenic moieties or an end chain group
    • C09K2019/0448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haracterized by a linking chain between rings or ring systems, a bridging chain between extensive mesogenic moieties or an end chain group the end chain group being a polymerizable end group, e.g. -Sp-P or 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2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 C09K19/2007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the chain containing -COO- or -OCO- groups
    • C09K2019/2078Ph-COO-Ph-COO-P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위상차 소자는 배향막, 및 상기 배향막의 표면과 접촉된 위상차층을 포함하며, 상기 위상차층은 액정 단량체 및 비액정 단량체를 함유하는 도료를 상기 배향막의 표면 상에 도포한 후, 액정 단량체를 배향시킨 상태에서 도료를 중합시켜 형성된다.

Description

도료, 위상차 소자, 표시 장치,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 {PAINT, RETARDATION ELEMENT,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RETARDATION ELEMENT}
본 개시물은 액정 단량체를 함유하는 도료, 및 상기 도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위상차 소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물은 상기 위상차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물은 상기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편광 안경을 사용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로서, 좌안용 화소 및 우안용 화소와 상이한 유형의 편광 상태의 광을 방출하는 장치가 존재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표시 장치에서는, 관찰자가 편광 안경을 착용한 후, 좌안용 화소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관찰자의 좌안에만 입사시키고, 우안용 화소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관찰자의 우안에만 입사시켜, 입체 영상이 관찰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360787호에 따르면, 좌안용 화소 및 우안용 화소와 상이한 유형의 편광 상태의 광을 방출시키기 위하여, 위상차 소자가 사용된다. 이러한 위상차 소자에서는, 한 방향에 지상축(lagging axis) 또는 진상축(leading axis)을 갖는 위상차 영역이 좌안용 화소에 상응하게 설치되고, 상기 위상차 영역의 방향과 상이한 한 방향에 지상축 또는 진상축을 갖는 위상차 영역이 우안용 화소에 상응하게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360787호 일본 비심사 특허 출원 공보 제2008-248061호 일본 비심사 특허 출원 공보 제2010-83781호 일본 비심사 특허 출원 공보 제2000-345164호 일본 특허 제4385997호
상기한 위상차 소자는, 예를 들어 표면이 러빙 처리(rubbing treatment)에 의해 처리된 배향막 상에 액정 단량체 분자를 함유하는 액정층을 도포한 후, 경화를 위하여 가열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액정층이 배향막 상에 도포될 때, 액정층에 함유된 액정 단량체 분자 중, 배향막 근처에 위치한 액정 단량체는 배향막의 배향 규제력에 의해 배향된다. 그러나, 액정층에 함유된 액정 단량체 분자 중, 배향막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액정 단량체 분자에는 배향막의 배향 규제력이 작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배향 결함이 발생하기 쉽고, 수율이 감소되기 쉽다.
따라서, 종래부터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수의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일본 비심사 특허 출원 공보 제2008-248061호에는, 배향막에 도포된 액정층의 경화 단계 전에, 액정층의 가열 온도를, 액정층이 액정상을 나타내는 온도로 증가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관능성 액정 단량체가 액정 단량체로서 사용될 경우, 액정층이 액정상을 나타내는 온도가 증가하여 열 중합을 유도하고, 그 결과, 액정 배향의 균일성이 불리하게 열화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점도 및 액정상이 얻어지는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낮은 분자량을 갖는 액정 단량체 또는 일관능성 액정 단량체를 첨가하는 것이 고려되어 왔다. 그러나, 낮은 분자량을 갖는 액정 단량체 또는 일관능성 액정 단량체를 액정층에 첨가할 경우, 배향막에 도포된 액정층을 경화시켜 형성된 시트의 내열 온도 (Tg)가 감소한다. 그 결과, 불리하게는, 시트의 기계적 강도의 감소 및 열에 의한 치수 안정성 및 위상차의 저하가 일어난다. 또한, 일본 비심사 특허 출원 공보 제2010-83781호에는, 액정상이 얻어지는 온도를 감소시키면서 시트의 기계적 강도를 보장할 수 있는 경화성 액정 물질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경화성 액정 물질은 특수한 물질이며, 제조 비용 및 생산성에 있어서 문제를 갖고 있다.
일본 비심사 특허 출원 공보 제2000-345164호에는, 중합성 액정 물질과 혼합되어 공기와의 계면 근처의 액정 분자의 배향을 제어하는 첨가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첨가제가 사용되더라도, 실제로는, 공기와의 계면 근처의 액정 분자의 배향을 이상적으로 제어하기가 어렵다. 또한, 저분자 화합물이기 때문에, 이러한 첨가제가 모두 공기와의 계면 근처에 편재될 수 없으며, 부분적으로 액정층의 내부에 잔류할 수 있고, 그 결과, 액정 물질의 상 전이 점이 저하된다. 그 결과, 열에 의해 치수 안정성 및 위상차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일본 특허 제4385997호에는, 불소기를 갖는 아크릴 공중합체를 액정 도료에 소량 첨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에 의해, 아크릴 공중합체는 불소 효과에 의해 공기와의 계면 근처로 이동하기 때문에, 공기와의 계면 근처에서 액체-액정 전이 온도가 감소하여, 공기와의 계면 근처에서도 배향막의 배향 규제력이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 결과, 배향 결함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제어된 분자량 및 구조를 갖는 아크릴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제조 비용 및 생산성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
본 개시물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1 목적은, 시판용 물질을 사용하여, 점도 및 높은 내열 온도 (Tg)를 실현할 수 있는 액정 단량체를 함유하는 도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그 다음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도료로부터 형성된 위상차 소자 및 상기 위상차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그 다음 목적은, 상기한 도료를 사용한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도료는 액정 단량체 및 비액정 단량체를 함유한다.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도료에서, 비액정 단량체는 이러한 도료에 함유된 액정 단량체의 분자 사이에 인입되고, 액정 단량체의 분자 사이의 상호 작용이 감소된다.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위상차 소자는 배향막 및 상기 배향막의 표면과 접촉한 위상차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위상차 소자에서, 위상차층은, 액정 단량체 및 비액정 단량체를 함유하는 도료를 배향막의 표면 상에 도포한 후, 액정 단량체를 배향시킨 상태에서, 도료를 중합시켜 형성된다.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백라이트, 및 표시 패널에 대하여 백라이트의 반대측에 설치된 위상차 소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에서, 여기에 포함된 위상차 소자는 상기한 위상차 소자의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갖는다.
본 개시물의 실시양태에 따른 위상차 소자 및 표시 장치에서, 배향막 상 위상차층은 액정 단량체 및 비액정 단량체를 함유하는 도료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비액정 단량체가 도료에 함유되기 때문에, 비액정 단량체가 도료에 함유된 액정 단량체의 분자 사이에 인입되고, 액정 단량체의 분자 사이의 상호 작용이 감소된다.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은, 액정 단량체 및 비액정 단량체를 함유하는 도료를 배향막의 표면 상에 도포하고, 액정 단량체를 배향시킨 상태에서, 도료를 중합시켜 위상차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에서는, 비액정 단량체가 배향막에 도포된 도료에 함유된다. 따라서, 비액정 단량체가 도료에 함유된 액정 단량체의 분자 사이에 인입되므로, 액정 단량체의 분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감소된다.
또한, 본 개시물의 실시양태에 따른 도료, 위상차 소자, 표시 장치 및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에서, 비액정 단량체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이다. 또한,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비액정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비액정 단량체의 함량은 액정 단량체의 함량에 대한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이다.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도료에서는, 도료에 함유된 액정 단량체의 분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감소되기 때문에, 비액정 단량체가 도료에 함유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도료의 점도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가 함유되지 않더라도,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를 다량 함유하는 도료의 점도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은 저 점도가 실현될 수 있다(즉, 점도는 종래 도료의 점도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다). 따라서,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가 도료에 전혀 함유되지 않거나, 단지 소량만 함유되더라도, 실제로 유용한 낮은 점도가 실현될 수 있다. 그 결과,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가 도료에 전혀 함유되지 않거나, 단지 소량만 함유될 경우, 및 도료가 경화되어 시트를 형성할 경우, 시트의 내열 온도 (Tg)가,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를 다량 함유하는 도료를 경화시켜 형성된 시트의 내열 온도 (Tg)보다 높게 충분히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비액정 단량체로서, 예를 들어 각각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가 언급될 수 있다. 상기한 이러한 물질은 시판용 물질이며, 특수한 물질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낮은 점도 및 높은 내열 온도 (Tg)가 모두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물의 실시양태에 따른 위상차 소자, 표시 장치 및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에서, 위상차층이 액정 단량체의 분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작은 도료를 사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가 도료에 전혀 함유되지 않거나, 단지 소량만 함유되더라도, 위상차층이 실제로 유용한 낮은 점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가 도료에 전혀 함유되지 않거나, 단지 소량만 함유될 경우, 및 도료를 배향막에 도포한 후, 경화시켜 위상차 소자를 형성할 경우, 위상차 소자의 내열 온도 (Tg)가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를 다량 함유하는 도료를 경화시켜 형성된 위상차 소자의 내열 온도 (Tg)보다 높게 충분히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도료에 함유된 비액정 단량체에 사용된 물질은 시판용 물질이며, 특수한 물질이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물의 실시양태에 따른 위상차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서, 시판용 물질을 사용하여 높은 내열 온도 (Tg)를 갖는 위상차 소자가 실현될 수 있다. 그 결과, 가열에 의해 유발되는 위상차 소자의 치수 변화가 감소되기 때문에, 위상차 소자의 광학 특성의 온도 의존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광학 특성의 온도 의존성이 낮은 위상차 소자가 사용되기 때문에,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광학 특성의 온도 의존성이 낮은 위상차 소자가 3차원 표시 장치에 사용될 경우, 크로스토크(crosstalk)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가 함유되지 않더라도,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도료의 점도는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도료의 점도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배향막 상 액정 단량체를 배향시키기 위한 온도 (소위 건조 온도)가 100℃를 초과하는 고온으로 증가하지 않더라도, 배향막 상 액정 단량체가 배향될 수 있다.
또한, 건조 온도는 등온상 (I 상)에서 네마틱상 (N 상)으로의 전이 온도 (소위 N-I 상 전이 온도)와 관련된 온도이다. 특히, 건조 온도의 측정을 위하여, 배향막의 표면 상에 도포된 도료를 가열에 의해 경화시켜 경질 시트를 형성하고, 이 시트를 크로스 니콜(cross Nicol) 배열로 배치된 한 쌍의 편광자 사이에 개재시킨 후, 한 편광자측으로부터 광을 입사시키고, 다른 편광자로부터 방출된 광(즉, 투과광)을 관찰한다. 3.0x1052의 면적에 함유된 명점(휘도가 국소적으로 높은 점)의 수가 10 이하인 온도 조건 중 최저 온도가 건조 온도로 간주된다. 명점이 액정 단량체에서 배향 결함이 발생되는 위치에 상응하지만, 광학 현미경에 의해 명점이 관찰되지 않는 위치(즉, 흑색 영역)는 액정 단량체에서 배향 결함이 발생되지 않는 위치, 또는 발생되더라도,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될 수 없을 정도로 배향 결함이 적은 위치에 상응한다.
건조 온도가 100℃를 초과할 경우, 치수 정밀도를 고려하면, 배향막 및 도료를 지지하는 기재로서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수지 필름이 배향막 및 도료를 지지하는 기재로 사용될 경우,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예컨대, 60℃ 내지 80℃)로 설정된다.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도료에서,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가 함유되지 않더라도,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를 다량 함유하는 도료의 점도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점도가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도료에서,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가 전혀 함유되지 않거나, 단지 소량민이 함유되더라도, 건조 온도는 100℃ 이하로 설정될 수 있고, 수지 필름이 배향막 및 도료를 지지하는 기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를 갖는 단량체가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도료에 비액정 단량체로서 사용될 경우, 또다른 단량체가 비액정 단량체로서 사용된 경우와 비교하여, 비액정 단량체의 중량 함량 및 건조 온도가 각각 상기 비교용 경우의 것과 동일하게 설정될 때, 3.0x1052의 면적에 함유된 명점의 수가 감소되거나, 0으로 될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를 갖는 단량체가 비액정 단량체로서 사용될 경우, 명점의 수 뿐만 아니라,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될 수 없는 약간의 배향 결함의 수가 또한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를 갖는 단량체가 비액정 단량체로 사용될 경우, 비액정 단량체의 함량이 액정 단량체의 함량에 대한 중량비로 5 내지 10 중량%로 설정될 때, 1 ㎛2에 함유된 명점의 수가 0이 될 수 있고, 또한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될 수 없는 약간의 배향 결함의 수도 크게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흑색 영역 중 흑색 휘도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제1 실시양태에 따른 도료의 조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도료에 함유된 물질 및 관련된 액정 물질과 점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LC242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TAIC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A9300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A9300-1CL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낸 ADCP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낸 A-TMM-3L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낸 M402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2에 나타낸 M7300K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1a 내지 11e는 각각 도 2에 나타낸 RMS-013C에 함유된 액정 단량체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2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질과 배향 평가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3은 본 개시물의 제2 실시양태에 따른 위상차 소자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14d는 각각 도 13에 나타낸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질과 흑색 휘도, 백색 휘도 및 콘트라스트(contrast)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6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질과 내열 온도 (Tg) 및 위상차 감소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7은 본 개시물의 제3 실시양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a는 도 17에 나타낸 위상차 소자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b는 도 18a에 나타낸 위상차 소자의 광학축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a 및 19b는 각각 도 17에 나타낸 표시 장치의 투과축 및 지상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나타낸 표시 장치와 편광 안경의 관계를 나타내는 시스템 차트이다.
도 21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질과 공정 온도 및 크로스토크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본 개시물의 실시양태가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설명은 다음의 순서로 이루어질 것이다.
1. 제1 실시양태 (도료)
2. 제2 실시양태 (위상차 소자)
3. 제3 실시양태 (표시 장치)
<1. 제1 실시양태>
먼저, 본 개시물의 제1 실시양태에 따른 도료(1)을 설명할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료(1)는, 예를 들어 용기(30)에 수용될 수 있는 액체 물질이고, 액정 단량체(10) 및 비액정 단량체(20)를 함유한다. 또한, 도료(1)는 액정 단량체(10) 및 비액정 단량체(20) 이외의 물질을 함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개시제, 계면활성제, 중합 억제제, 가소제 및/또는 점도 개질제를 함유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의 컬럼은 예를 들어 액정 단량체(10) 및 비액정 단량체(20)로서 사용된 물질을 나타낸다. 도 2의 비교예의 컬럼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액정 도료를 나타낸다. 도 2의 실시예의 컬럼이 액정 단량체(10) 및 비액정 단량체(20)로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예시하지만, 액정 단량체(10) 및 비액정 단량체(20)로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도 2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액정 단량체(10)는 액정성을 갖는 단량체이고,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바스프 리미티드(BASF Ltd.)에 의해 제조된 액정 단량체 LC242로 형성된다. LC242는 도 3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또한, 액정 단량체(10)는 도 2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하기 도 11b 또는 11c에 나타낸 액정 단량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액정 단량체(10)의 함량은, 예를 들어 10 내지 50 중량% 범위로 설정된다.
비액정 단량체(20)는 액정성을 갖지 않는 단량체이고, 특히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이다. 비액정 단량체(20)의 함량은 액정 단량체(10)의 함량에 대한 중량비로 1 중량% 이상이다. 이러한 비액정 단량체에 의해, 도료(1)의 점도를 액정 단량체(10)의 점도보다 작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비액정 단량체(20)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액정 단량체(10)의 함량에 대한 중량비로 5 중량% 이상이다. 따라서, 저온(예컨대, 25℃) 환경에서도, 도료(1)의 점도가 실제로 유용한 수준으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비액정 단량체(20)의 함량이 액정 단량체(10)의 함량에 대한 중량비로 10 중량% 초과로 증가할 경우, 배향 처리 후 배향 결함의 수가 증가하고, 그 결과, 이후에 기재되는 건조 온도가 100℃를 초과하거나, 배향이 전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비액정 단량체(20)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로서,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 트리시클로데칸 구조, OH기를 갖는 3관능성 알킬 구조, 6관능성 알킬 구조 또는 다관능성 폴리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가 언급될 수 있다.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는, 예를 들어 IR (적외선 분광법)방법 또는 TOF-SIMS (비행 시간 2차 이온 질량 분광법)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될 수 있다.
상기한 경우에서,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로서, 예를 들어 3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예컨대 TAIC (닛본 가세이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Nippon Kasei Chemical Co., Ltd.) 제조), A9300 (신-나까무라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Shin-Nakamura Chemical Co., Ltd.) 제조) 및 A93001CL (신-나까무라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이 언급될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는 4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TAIC는 도 4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A9300은 도 5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A93001CL은 도 6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TAIC 및 A9300 각각에서, 고리 구조의 각각의 3개의 질소 원자로부터 연장되는 분지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A93001CL에서, 고리 구조의 각각의 3개의 질소 원자로부터 연장되는 분지는 공통 구조를 포함한다.
트리시클로데칸 고리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로서, 예를 들어 ADCP (신-나까무라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를 언급할 수 있다. ADCP는 도 7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OH기를 갖는 3관능성 알킬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로서, 예를 들어 A-TMM-3L (신-나까무라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을 언급할 수 있다. A-TMM-3L은 도 8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6관능성 알킬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로서, 예를 들어 M402 (토아고세이 컴파니, 리미티드(Toagosei Co., Ltd.) 제조)를 언급할 수 있다. M402는 도 9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다관능성 폴리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로서, 예를 들어 M7300K (토아고세이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를 언급할 수 있다. M7300K는 도 10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비액정 단량체(20)의 예로서 도 2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다양한 물질은 각각 소위 가교제이며, 액체 물질에 첨가될 경우, 상기 물질 각각은 일반적으로 액체 물질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비액정 단량체(20)의 예로서 도 2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다양한 물질은 액정 단량체(10)의 점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이유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비액정 단량체(20)가 액정 단량체(10)의 분자 사이에 인입되기 때문에, 서로 인접한 액정 단량체(10)의 분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저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2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과 상이하지만,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이고, 액정 단량체(10)의 인접한 분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저해시키는 효과를 갖는 물질이 비액정 단량체(20)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단량체(10)로서 바스프 리미티드에 의해 제조된 액정 단량체 LC242 30 중량%, 비액정 단량체(20)로서 도 2에 나타낸 물질 (액정 단량체(10)의 함량에 대한 중량비로) 5 중량% 및 PGMEA:부틸 아세테이트=50:50의 용액 68.5 중량%를 함유하는 도료의 점도는 실제로 25℃에서 4.40 내지 4.64 mPa?s이다. 이 값은, 25℃에서 바스프 리미티드에 의해 제조된 액정 단량체 LC242 30 중량% 및 PGMEA:부틸 아세테이트=50:50의 용액 70 중량%를 함유하는 도료의 점도 (5.00 mPa?s) (도 2의 비교예의 컬럼 참조)보다 상당히 작다. 또한, 이 값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액정 도료 중 하나인 머크(Merck)에 의해 제조된 액정 도료 RMS-013C (액정의 30 중량%) 의 점도 (4.52 mPa?s) (도 2의 비교예의 컬럼 참조)와 동일한 값이며, 이 값은 실제로 유용한 값이다. 상기한 점도는 도끼 산교 컴파니, 리미티드(Toki Sangyo Co., Ltd.)에 의해 제조된 회전 점도계 RE550L을 사용하여 얻어진 측정 값이다.
또한, RMS-013C는 도 11a 내지 11e에 나타낸 액정 단량체를 함유하고, 각각의 액정 단량체의 함량은 도 11a 내지 11e에 나타낸 모든 액정 단량체의 총 함량이 30 중량%이도록 조절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액정 단량체의 함량은 다음의 범위내에서 조절된다.
도 11a에 나타낸 물질: 1 내지 2.5 중량% 미만
도 11b에 나타낸 물질: 1 내지 10 중량% 미만
도 11c에 나타낸 물질: 1 내지 10 중량% 미만
도 11d에 나타낸 물질: 10 내지 25 중량% 미만
도 11e에 나타낸 물질: 1 내지 10 중량% 미만
따라서, 이러한 실시양태의 도료(1)에서, 그의 점도는, 비액정 단량체(20)가 도료에 함유되지 않을 경우 얻어진 것과 비교하여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양태의 도료(1)에서,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가 함유되지 않더라도,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도료(예컨대, 상기한 RMS-013C)의 점도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은 점도(즉, 종래 도료의 것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은 점도)가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가 도료(1)에 전혀 함유되지 않거나, 단지 소량만 함유되더라도, 실제로 유용한 낮은 점도가 실현될 수 있다.
그 결과,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가 도료(1)에 전혀 함유되지 않거나, 단지 소량만 함유된 경우, 도료(1)가 경화에 의해 시트로 형성될 때, 시트의 내열 온도 (Tg)는,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를 다량 함유하는 도료를 경화시켜 형성된 시트의 내열 온도 (Tg)보다 높게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MS-013C의 경화에 의해 형성된 시트의 내열 온도 (Tg)는 68℃이다. 한편, 예를 들어, 도료(1)로서, 일관능성 기를 갖는 임의의 액정 단량체 없이, 비액정 단량체(20)로서 도 2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 중 하나를 사용하여 도료를 형성한 후, 경화에 의해 시트로 형성할 경우, 이렇게 얻어진 시트의 내열 온도 (Tg)는 99℃ 내지 105℃ 범위이다. 즉, 내열 온도 (Tg)는 RMS-013C를 경화시켜 형성된 내열 온도 (Tg)보다 30℃ 이상 더 높다. 따라서, 도료가, 비액정 단량체(20)로서 도 2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 중 하나 및 매우 소량(예컨대, 액정 단량체(10)의 함량에 대한 중량비로 대략 수 중량%)의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를 사용하여 도료(1)로서 형성된 후, 경화에 의해 시트로 형성될 경우, 또한, 내열 온도 (Tg)가 RMS-013C의 경화에 의해 형성된 시트의 내열 온도 (Tg)보다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비액정 단량체(20)에 사용된 물질은 시판용 물질이며, 특수한 물질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양태의 도료(1)에서, 낮은 점도 및 높은 내열 온도 (Tg)가 시판용 물질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가 전혀 함유되지 않거나, 상기한 바와 같이 단지 소량만 함유되더라도, 실제로 유용한 낮은 점도를 갖는 도료(1)가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료(1)를 배향막 상에 도포한 후, 도료(1)에 그의 상부 표면 상에 배향막을 설치하지 않고 배향 처리를 수행할 경우, 배향막의 배향 규제력이 도료(1)의 상부 표면에 분포된 액정 단량체(10)의 분자에도 작용될 수 있다. 그 결과, 불순물로 또한 간주될 수 있는 비액정 단량체(20)가 도료(1)에 함유되어 있지만, 양호한 배향 특성이 얻어질 수 있고, 높은 수율이 실현될 수 있다.
도 12는 도 2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을 사용하여 얻어진 도료 (실시예의 도료) 및 도 2의 비교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 (LC242)을 사용하여 얻어진 도료 (비교예의 도료)의 배향 특성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하기 나타낸 조건하에 형성된 도료를 소정의 배향막 상에 도포한 후, 60℃, 70℃ 또는 80℃에서 가열시켜 경질 시트로 경화시킨 다음, 시트의 배향 특성이 원하는 배향 상태인지 아닌지를 평가하고, 결과를 도 12에 나타낸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는 배향 특성이 원하는 배향 상태임을 나타내고, 도 12에 나타낸 ×는 배향 특성이 원하는 배향 상태가 아님을 나타낸다.
(실시예에 따른 도료의 조건)
액정 단량체로서, 도 2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 17.68 중량%를 사용하였다. 비액정 단량체로서, 도 2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을 액정 단량체의 함량에 대한 중량비로 5 중량%로 사용하였다. 기타 물질로서, 개시제 IRG907 (바스프 리미티드 제조) 0.98 중량%, 계면활성제 B330 (BYK 재팬 케이케이(Japan KK)) 0.096 중량% 및 PGMEA:부틸 아세테이트=50:50의 용액 80.4 중량%를 사용하였다.
(비교예에 따른 도료의 조건)
액정 단량체로서, LC242 17.8 중량%를 사용하였다. 기타 물질로서, 개시제 IRG907 (바스프 리미티드 제조) 0.99 중량%, 계면활성제 B330 (BYK 재팬 케이케이) 0.099 중량% 및 PGMEA:부틸 아세테이트=50:50의 용액 81.0 중량%를 사용하였다.
원하는 배향 상태가 얻어졌는지 아닌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건조 온도의 개념이 사용된다. 건조 온도의 측정을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시트를 크로스 니콜 배치의 한 쌍의 편광자 사이에 개재시킨 후, 편광자의 한측으로부터 광을 입사시키고, 다른 편광자로부터 방출된 광(즉, 투과광)을 관찰한다. 3.0x1052의 면적내에 함유된 명점 (휘도가 국소적으로 높은 점)의 수가 10 이하일 경우, 배향 특성이 원하는 배향 상태인 것으로 평가된다. 3.0x1052의 면적내에 함유된 명점의 수가 10 초과일 경우, 배향 특성이 원하는 배향 상태가 아닌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건조 온도는 등온상 (I 상)에서 네마틱상 (N 상)으로의 전이 온도 (소위 N-I 상 전이 온도)와 관련된 온도이다. 특히, 건조 온도의 측정을 위하여, 배향막의 표면 상에 도포된 도료를 가열에 의해 경화시켜 경질 시트로 형성하고, 이러한 시트를 크로스 니콜 배치의 한 쌍의 편광자 사이에 개재시킨 후, 편광자의 한측으로부터 광을 입사시키고, 다른 편광자로부터 방출된 광(즉, 투과광)을 관찰한다. 3.0x1052의 면적내에 함유된 명점 (휘도가 국소적으로 높은 점)의 수가 10 이하인 온도 조건 중 최저 온도를 건조 온도로 간주한다. 명점이 배향 결함이 액정 단량체에서 발생된 지점에 상응하지만, 명점이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되지 않는 지점(즉, 흑색 영역)은 배향 결함이 액정 단량체에서 발생되지 않은 지점 또는 배향 결함이 생성되더라도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작은 지점에 상응한다.
본 발명자들은 도 12에 나타낸 실시예의 컬럼으로부터, 도 12에 나타낸 실시예의 컬럼의 물질 중 어느 하나가 비액정 단량체로 사용되더라도, 70℃ 및 80℃에서의 평가 결과가 ○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도 12에 나타낸 실시예의 컬럼으로부터, TAIC 또는 M7300K가 비액정 단량체로 사용될 경우, 60℃에서의 평가 결과가 또한 ○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렇게 얻어진 결과로부터,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가 비액정 단량체로서 사용될 경우, 배향막 상 액정 단량체가 액정 단량체를 배향시키기 위한 온도(즉, 상기 건조 온도)를 100℃ 초과의 고온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배향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본 실시예의 도료에 의해, 도료의 점도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건조 온도 또한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도 12의 비교예의 컬럼으로부터, 비액정 단량체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60℃, 70℃ 및 80℃에서의 평가 결과가 전부 ×이고, 마침내 110℃에서의 평가 결과가 ○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비액정 단량체를 사용하여, 건조 온도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건조 온도가 100℃를 초과 할 경우, 치수 정밀도의 관점에서, 수지 필름을 배향막 및 도료를 지지하는 기재로 사용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수지 필름이 배향막 및 도료를 지지하는 기재로 사용될 경우,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예컨대, 60℃ 내지 80℃)로 설정된다. 도 12의 실시예의 컬럼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를 비액정 단량체(20)로 사용하여, 치수 정밀도의 관점에서 건조 온도를 수지 필름의 내열 온도보다 낮게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양태의 도료(1)에서, 수지 필름이 도료(1)를 지지하는 기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정 단량체(10)로서 사용된 도 12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의 함량을 10 내지 50 중량%로 설정하고, 비액정 단량체(20)로 사용된 도 12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 중 하나의 함량을 액정 단량체(10)의 함량에 대한 중량비로 5 내지 10 중량%로 설정할 경우, 도 12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평가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를 갖는 단량체가 본 실시양태의 도료에서 비액정 단량체로서 사용될 경우, 또다른 물질이 비액정 단량체(20)로서 사용된 경우와 비교하여, 비액정 단량체(20)의 중량 함량 및 건조 온도가 각각 상기 비교예 경우의 것과 동일하게 설정될 경우, 3.0x1052의 면적내에 함유된 명점의 수가 감소되거나 0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를 갖는 단량체가 비액정 단량체(20)로 사용될 경우, 명점의 수 뿐만 아니라,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될 수 없는 약간의 배향 결함의 수가 또한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를 갖는 단량체가 비액정 단량체(20)로서 사용될 경우, 비액정 단량체(20)의 함량을 액정 단량체(10)의 함량에 대한 중량비로 5 내지 10 중량%로 설정할 때, 3.0x1052의 면적내에 함유된 명점의 수가 0으로 감소될 수 있고, 또한,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될 수 없는 약간의 배향 결함의 수가 또한 크게 감소될 수 있다.
<2. 제2 실시양태>
그 다음, 본 개시물의 제2 실시양태에 따른 위상차 소자(2)를 설명할 것이다. 도 13은 위상차 소자(2)의 단면 구조의 한 예를 나타낸다. 위상차 소자(2)는 입사광의 편광 상태를 변형시키는 소자이다. 위상차 소자(2)는 상기한 도료(1)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21) 상에 배향막(22) 및 위상차층(23)을 이 순서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된다.
기재(21)는, 광 투과성을 갖는 유리판 또는 투명한 수지 필름과 같은 물질로 형성된다. 투명한 수지 필름으로서, 낮은 광학 이방성, 즉 낮은 복굴절성을 갖는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투명한 수지 필름으로서, 예를 들어 COC (시클릭 올레핀 공중합체), COP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제오노르(Zeonor) (등록상표) 또는 제오넥스(ZEONEX)(등록상표) (제온 코포레이션(Zeon Corp.)), 아르톤(ARTON) (등록상표) (제이에스알 코포레이션(JSR Corp)), TAC (트리아세틸 셀룰로스) 또는 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배향막(22)은 액정 등을 배향시키는 배향 기능을 갖는 필름이고, 예를 들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배향막(22)은 배향막(22)에 도포된 도료(1)에 함유된 액정 단량체(10)를 특정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배향막(22)은 평면내에서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미세 홈을 포함한다. 배향막(22)의 미세 홈은, 예를 들어 러빙 처리에 의해 형성된다. 위상차층(23)은 광학 이방성을 갖는 박층이고, 입사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위상차층(23)은 배향막(22)의 표면 상에 설치된다. 위상차층(23)은, 예를 들어 제1 실시양태의 도료(1)를 배향막(22)의 표면 상에 도포한 후, 도료(1)에 함유된 액정 단량체(10)를 배향시킨 상태에서 도료를 중합시켜 형성된 층이다. 위상차층(23)은 평면내에서 한 방향으로 지상축을 갖는다. 지상축은 배향막(22)의 미세 홈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연장 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교차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양태의 위상차 소자(2)는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수지를 기재(21)의 전 표면 상에 도포한 후, 건조시키고, 소성시킨다. 플라스틱 기재가 기재(21)로 사용될 경우, 도포된 물질을 또한 진공-건조시키고, 100℃에서 소성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러빙 처리를 도포된 물질에 수행한다. 따라서, 원하는 배향 기능을 갖는 배향막(22)이 형성된다 (도 14a). 그 다음, 예를 들어, 밀봉제를 도포하여 프레임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이후에 도포되는 도료(1)의 누설을 방지한다. 이러한 밀봉제는, 디스펜서(dispenser)법 또는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그 다음, 소정의 부피의 도료(1)를 배향막(22)의 표면 상에 균일하게 도포한다(도 14b). 도료(1)의 도포가 선형-가이드 유형 정밀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밀봉제를 제방(bank)으로서 사용하여 다이 코터 등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도료(1)에, 액정 단량체(10) 및 비액정 단량체(20) 이외에, 개시제 (중합 개시제)가 첨가된다. 사용되는 자외선 파장에 따라, 첨가되는 개시제의 중량비가 소정 범위내에서 조정된다. 또한, 이러한 도료(1)에, 필요할 경우, 예를 들어 중합 억제제, 가소제 및/또는 점도 개질제가 첨가될 수 있다. 도료(1)가 실온에서 고체 또는 겔일 경우, 노즐, 시린지 또는 기재를 가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필요할 경우, 배향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시되지 않음). 도료(1)가 제공된 기재(21)를 크로스 니콜 편광자 사이에 배치할 때, 배향 혼란이 발생할 경우, 도료(1)를 배향을 위하여 소정 시간 동안 가열 처리한다. 예를 들어,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21)의 배면에 배치된 가열기(H)를 가열하고, 이 열에 의해, 도료(1)를 가열 처리한다. 플라스틱 기재가 기재(21)로 사용될 경우, 이러한 경우의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예컨대, 60℃ 내지 80℃)이다. 이어서, 기재(21)가 가열되는 동안, 액정 단량체(10)를 자외선(L)으로 조사하여 중합시킨다(도 14d). 또한, 자외선(L)을 조사하는 동안, 도료(1)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온도가 변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광원으로서 적외선 커트 필터를 사용하거나, UV-LED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위상차 소자(2)가 제조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 따라, 상기 실시양태의 도료(1)가 사용된다. 따라서, 도료(1)를 배향막(22) 상에 도포한 후, 도료(1)의 상부 표면 상에 배향막을 설치하지 않고, 도료(1)에 배향 처리를 수행할 경우, 배향막(22)의 배향 규제력이 도료(1)의 상부 표면에 분포된 액정 단량체(10)의 분자에도 작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불순물로도 간주될 수 있는 비액정 단량체(20)가 도료(1)에 함유되어 있지만, 양호한 배향 특성이 얻어질 수 있고, 높은 수율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서, 상기 실시양태의 도료(1)가 사용된다. 따라서,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가 도료(1)에 전혀 함유되지 않거나, 단지 소량만 함유되더라도, 위상차층(23)이 실제로 유용한 낮은 점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가 도료(1)에 전혀 함유되지 않거나, 단지 소량만 함유되고, 이러한 도료(1)를 배향막(22) 상에 도포하고, 경화에 의해 위상차 소자(2)로 형성할 경우, 위상차 소자(2)의 내열 온도 (Tg)가,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를 다량 함유하는 도료를 경화시켜 형성된 위상차 소자의 내열 온도보다 높게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도료(1)에 함유된 비액정 단량체(20)에 사용된 물질은 시판용 물질이고, 특수한 물질이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양태의 위상차 소자(2) 및 그의 제조 방법에서, 시판용 물질을 사용하여 높은 내열 온도 (Tg)를 갖는 위상차 소자(2)가 실현될 수 있다. 그 결과, 가열에 의해 유발되는 위상차 소자(2)의 치수 변화가 작기 때문에, 위상차 소자(2)의 광학 특성의 온도 의존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서, 상기 실시양태의 도료(1)가 사용되기 때문에, 액정 단량체(10)를 배향시키기 위한 온도를 100℃ 초과의 고온으로 증가시키지 않고(즉, 약 60℃ 내지 80℃의 낮은 온도) 배향막(22) 상 액정 단량체(10)를 배향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조 온도가 치수 정밀도의 관점에서 수지 필름의 내열 온도보다 낮게 상당히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수지 필름이 도료(1)를 지지하는 기재(21)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를 갖는 단량체가 비액정 단량체(20)로서 사용될 경우, 명점의 수 뿐만 아니라,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될 수 없는 약간의 배향 결함의 수도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당히 탁월한 배향 특성이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위상차 소자(2)가 후술되는 표시 장치(3)의 영상 표시면(3A) 상에 설치될 경우, 흑색 휘도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고, 또한, 높은 콘트라스트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5는 흑색 휘도, 백색 휘도 및 이들 사이의 비로부터 수득된 콘트라스트의 측정 값을 나타내는 표이며, 상기 흑색 휘도 및 백색 휘도는, 도료용 물질로서, 도 2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 (실시예의 도료) 및 도 2의 비교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 (LC242)을 사용하여 얻어진다.
흑색 휘도 및 백색 휘도의 측정을 하기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먼저, 실시예에 따른 도료 또는 비교예에 따른 도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위상차 소자를 크로스 니콜 배열의 한 쌍의 편광자 사이에 개지시킨 후, 회전시킨다. 상기한 상태에서, 한쪽의 편광자측으로부터 광을 입사시키고, 다른 편광자로부터 방출된 광(즉, 투과광)의 휘도를 측정한다. 이 경우, 최소 측정 값을 흑색 휘도로 간주하고, 최대 측정 값을 백색 휘도로 간주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소자의 제조 조건은 하기 기재된 바와 같다. 액정 단량체로서, 도 15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 17.68 중량%를 사용하였다. 비액정 단량체로서, 도 15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을 액정 단량체의 함량에 대한 중량비로 5 중량%로 사용하였다. 기타 물질로서, 개시제 IRG907 (바스프 리미티드 제조) 0.98 중량%, 계면활성제 B330 (BYK 재팬 케이케이) 0.096 중량% 및 PGMEA:부틸 아세테이트=50:50의 용액 80.4 중량%를 사용하였다. 배향 처리 온도를 80℃로 설정하였다.
비교예에 따른 위상차 소자의 제조 조건은 하기 기재된 바와 같다. 액정 단량체로서, LC242 17.68 중량%를 사용하였다. 기타 물질로서, 개시제 IRG907 (바스프 리미티드) 0.99 중량%, 계면활성제 B330 (BYK 재팬 케이케이) 0.099 중량% 및 PGMEA:부틸 아세테이트=50:50의 용액 81.0 중량%를 사용하였다. 배향 처리 온도는 80℃로 설정하였다.
도 15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비액정 단량체(20)로서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를 사용한 위상차 소자(2)에서, 흑색 휘도가 최저이고, 콘트라스트가 최고임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한 중합성 단량체가 비액정 단량체(20)로 사용되기 때문에, 명점의 수 뿐만 아니라,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될 수 없는 약간의 배향 결함의 수도 상당히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이러한 효과 이외에,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에서, 일관능성 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가, 종래 기술의 경우와 달리 반드시 첨가되지 않기 때문에,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가 임의의 예비처리없이 첨가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액정 단량체에서, 메소겐기의 양단부가 가교에 의해 고정되고, 분자 요동의 영향이 감소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소자에서, 고온 및 고습도 조건하에 높은 신뢰성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6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위상차 소자 각각의 내열 온도 (Tg) 및 위상차 감소율의 결과를 나타낸다. 하기 수학식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위상차 감소율은 위상차 소자가 소정 시간 동안 소정 조건하에 놓였을 때 유발되는 위상차의 변화(감소량)를, 위상차 소자를 상기한 조건하에 놓기 전의 위상차 값으로 나누고, 이렇게 얻어진 값에 100을 곱하는 방식으로 얻어진 값을 나타낸다. 도 16의 좌측의 위상차 감소율은 위상차 소자가 500시간 동안 90℃하에 건조 환경에 놓였을 때 얻어진 결과이고, 도 16의 우측의 위상차 갑소율은 위상차 소자가 500시간 동안 60℃ 및 90% RH의 환경하에 놓였을 때 얻어진 결과이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각각의 위상차 소자의 초기 위상차(시험 시작 전 위상차)는 126 nm이었다.
ΔRe=(Re2-Re1)/Re1x100
ΔRe: 위상차 감소율
Re1: 소정 환경하에 놓여지기 전의 위상차 소자의 위상차.
Re2: 소정의 환경하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놓여진 후의 위상차 소자의 위상차.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소자에서, 도 16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도료로 사용하였다. 한편, 비교예에 따른 위상차 소자에서, 도 16의 비교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액정 도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소자의 제조 조건은 하기 기재된 바와 같다. 액정 단량체로서, 도 16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 17.68 중량%를 사용하였다. 비액정 단량체로서, 도 16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을 액정 단량체의 함량에 대한 중량비로 5 중량%로 사용하였다. 기타 물질로서, 개시제 IRG907 (바스프 리미티드 제조) 0.98 중량%, 계면활성제 B330 (BYK 재팬 케이케이) 0.096 중량% 및 PGMEA:부틸 아세테이트=50:50의 용액 80.4 중량%를 사용하였다. 배향 처리 온도는 80℃로 설정하였다.
한편, 비교예 2에 따른 위상차 소자의 제조 조건은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다. 액정 단량체로서, LC242 17.68 중량%를 사용하였다. 기타 물질로서, 개시제 IRG907 (바스프 리미티드 제조) 0.99 중량%, 계면활성제 B330 (BYK 재팬 케이케이) 0.099 중량% 및 PGMEA:부틸 아세테이트=50:50의 용액 81.0 중량%를 사용하였다. 배향 처리 온도는 80℃로 설정하였다.
도 16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소자의 내열 온도 (Tg)가 비교예 2에 따른 위상차 소자의 것과 동일하고, 비교예 1에 따른 위상차 소자 의 것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본 발명자들은 내열 온도 (Tg)가 비액정 단량체의 첨가에 의해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도 16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소자의 위상차 감소율이 비교예 2에 따른 위상차 소자의 것과 동일하고, 비교예 1에 따른 위상차 소자의 것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본 발명자들은 위상차 감소율이 비액정 단량체의 첨가에 의해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제2 실시양태의 변형)
또한, 본 실시양태의 위상차 소자(2)에서, 배향막(22)이 미세 홈의 연장 방향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유형의 배향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상차층(23)은 배향 영역에 포함된 미세 홈의 연장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갖는 복수의 유형의 위상차 영역으로 형성된다.
<3. 제3 실시양태>
그 다음, 본 개시물의 제3 실시양태에 따른 표시 장치(3)를 설명할 것이다. 도 17은 표시 장치(3)의 단면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표시 장치(3)는 관찰자의 안구 앞에 후술되는 편광 안경(6)을 착용한 관찰자(도시되지 않음)에게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편광 안경 유형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표시 장치(3)는, 백라이트 유닛(4), 액정 표시 패널(5) 및 위상차 소자(2)를 이러한 순서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액정 표시 패널(5)은 본 개시물의 "표시 패널"의 한 특정 예에 상응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3)에서, 위상차 소자(2)는 액정 표시 패널(5)의 표면에 광 방출측에 부착된다. 위상차 소자(2)의 표면은 영상 표시면(3A)으로 작동하고, 관찰자측을 향해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표시 장치(3)는 영상 표시면이 수직면(연직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영상 표시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영상 표시면의 종방향은 수평 방향(도면에서 y축 방향)과 평행하다. 관찰자는 관찰자의 안구 앞에 편광 안경(6)을 착용하고 있는 동안 영상 표시면을 관찰하는 것으로 한다. 편광 안경(6)은, 예를 들어 원편광 유형이며, 표시 장치(3)는, 예를 들어 원편광 안경용 표시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4))
백라이트 유닛(4)은 액정 표시 패널(5)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한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4)는 반사판, 광원 및 광학 시트(모두 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반사판은 광원으로부터의 방출광을 광학 시트측에 복귀시키는 것이며, 반사, 산란 및 확산과 같은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반사판은, 예를 들어 발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로 형성된다. 따라서,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광원은 배면으로부터 액정 표시 패널(5)을 조명하는 것이고, 복수의 선형 광원이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복수의 점 광원이 2차원 방식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선형 광원으로서, 예를 들어 열 음극 형광 램프 (HCFL) 및 냉 음극 형광 램프 (CCFL)가 언급될 수 있다. 점 광원으로서,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LED)가 언급될 수 있다. 광학 시트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면내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거나,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발산각 및/또는 편광 상태를 소정 범위내에서 조정하는 기능을 하는 시트이며, 예를 들어 확산제,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반사 유형 편광 소자 및 위상차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재로 형성된다.
(액정 표시 패널(5))
액정 패널(5)은 복수의 화소가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2차원 배열된 투과형 표시 패널이며, 영상 신호에 따라 개별 화소를 구동시킴으로써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5)은,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4)측으로부터, 편광자(51A), 투명 기재(52), 화소 전극(53), 배향막(54), 액정층(55), 배향막(56), 공통 전극(57), 색 필터(58), 투명 기재(59) 및 편광자(51B)를 이러한 순서로 갖는다.
편광자(51A)는 액정 표시 패널(5)의 광 입사측에 배치된 편광자이고, 편광자(51B)는 액정 표시 패널(5)의 광 방출측에 배치된 편광자이다. 편광자(51A 및 51B)는 각각 광학 셔터 유형이며, 소정의 진동 방향을 갖는 광만을 통과시킨다. 편광자(51A 및 51B)는, 이들의 편광축이 서로 소정의 각도(예컨대, 90도)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므로, 백라이트 유닛(4)으로부터 방출된 발광은 액정층을 통과하거나, 차단된다.
편광자(51A)의 투과축(도시되지 않음)의 방향은, 백라이트 유닛(4)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통과되도록 하는 범위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4)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편광축이 수직 방향일 경우, 편광자(51A)의 투과축도 수직 방향이다. 또한,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4)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편광축이 수평 방향일 경우, 편광자(51A)의 투과축도 수평 방향이다. 백라이트 유닛(4)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직선 편광 광에 제한되지 않으며, 원 편광 광, 타원 편광 광 및 비편광 광도 사용될 수 있다.
편광자(51B)의 편광축(도시되지 않음)의 방향은 액정 패널(54)을 통해 통과하는 광이 통과되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설정된다. 예를 들어, 편광자(51A)의 편광축이 수평 방향일 경우, 편광자(51B)의 편광축은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수직 방향)이다. 편광자(51A)의 편광축이 수직 방향일 경우, 편광자(51B)의 편광축은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수평 방향)이다.
일반적으로, 투명 기판(52 및 59)은 각각 가시광선에 대해 투명한 기판이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4) 측의 투명 기판 상에는, 예를 들어 투명 화소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동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배선을 포함하는 액티브형 구동 회로가 형성된다. 화소 전극(53)은, 예를 들어 투명 기재(52)의 면내에 매트릭스 배열로 배치된다. 이러한 화소 전극(53)은, 예를 들어 인듐 주석 산화물(ITO)로 형성되고, 상응하는 화소의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배향막(54)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와 같은 중합체 물질로 형성되고, 액정에 대하여 배향 처리를 수행한다. 액정층(55)은, 예를 들어 수직 배향 (VA) 모드, 트위스트형 네마틱 (TN) 모드 또는 슈퍼 트위스트형 네마틱 (STN) 모드 액정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 회로로부터의 인가 전압에 의해, 이러한 액정층(55)은 각각의 화소에 대해 백라이트 유닛(4)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통과시키거나 통과시키지 않는 기능을 갖는다. 공통 전극(57)은, 예를 들어 ITO로 형성되며, 공통 대향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색 필터(58)는, 백라이트 유닛(4)으로부터 방출된 방출광을 3가지 주요 색상, 예컨대 적색(R), 녹색(G) 및 청색(B)로 색 분리시키는 필터부(58A)를 배열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색 필터(58)에는, 화소간의 경계에 상응하는 영역에 차단 기능을 갖는 흑색 매트릭스부(58B)가 설치되어 있다.
(위상차 소자(2))
그 다음, 위상차 소자(2)를 설명할 것이다. 도 18a는 본 실시양태의 위상차 소자(2)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b는 도 18a에 나타낸 위상차 소자(2)의 지상축을 나타낸다.
위상차 소자(2)는 액정 표시 패널(5)의 편광자(51B)를 통과하는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킨다. 위상차 소자(2)는 액정 표시 패널(5)에 대하여 백라이트 유닛(4)의 반대측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도 17 및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 표시면(3A)측으로부터, 기재(21), 배향막(22) 및 위상차층(23)을 이 순서로 갖는다.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향막(22)은 우안 영역(22A) 및 좌안 영역(22B)을 갖는다. 우안 영역(22A) 및 좌안 영역(22B)은 하나의 공통 방향(예컨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 형상을 갖는다. 우안 영역(22A) 및 좌안 영역(22B)은 기재(21)의 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규칙적으로 배열되고, 예를 들어 우안 영역(22A) 및 좌안 영역(22B)의 짧은 쪽 방향(예컨대, 수직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다. 따라서, 이 경우, 우안 영역(22A) 및 좌안 영역(22B)이 서로 인접한 (서로 접촉한) 경계선은 우안 영역(22A) 및 좌안 영역(22B)의 길이 방향(수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우안 영역(22A) 및 좌안 영역(22B)은 화소 전극(53)의 배열에 대응하여 배열된다.
또한, 예를 들어 우안 영역(22A)은, 우안 영역(22A)의 연장 방향과 직각 이외의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미세 홈을 포함한다. 한편, 예를 들어 좌안 영역(22B)은, 좌안 영역(22B)의 연장 방향과 직각 이외의 각도로 교차하고 우안 영역(22A)의 미세 홈의 연장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미세 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우안 영역(22A)의 미세 홈의 연장 방향은 좌안 영역(22B)의 미세 홈의 연장 방향과 직교한다.
위상차층(23)은 배향막(22)의 표면 상에 설치되고, 액정 표시 패널(5)의 표면 (편광자(51B))에 광 방출측에 부착된다. 위상차층(23)은, 예를 들어 도료(1)를 배향막(22)의 표면 상에 도포하는 단계, 액정 단량체(10)의 배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이어서 배향된 액정 단량체(10)를 중합하는 단계에 의해 형성된다. 위상차층(23)은 서로 상이한 방향의 지상축을 갖는 2가지 유형의 위상차 영역(우안 영역(23A) 및 좌안 영역(23B))을 갖는다.
도 17 및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안 영역(23A) 및 좌안 영역(23B)은 하나의 공통 방향(예컨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우안 영역(23A) 및 좌안 영역(23B)은 배향막(22)의 면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게 규칙적으로 배열되며, 특히 우안 영역(23A) 및 좌안 영역(23B)의 짧은 쪽 방향(예컨대, 수직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다. 위상차층(23)의 우안 영역(23A)은 도 18a에 나타낸 각각의 우안 영역(22A) 바로 위에 배열되고, 위상차층(23)의 좌안 영역(23B)은 도 18a에 나타낸 각각의 좌안 영역(22B) 바로 위에 배열된다. 또한, 위상차층(23)의 우안 영역(23A) 및 좌안 영역(23B)은 화소 전극(53)의 배열에 대응하도록 배열된다.
도 18a 및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상차층(23)의 우안 영역(23A)은, 위상차층(23)의 우안 영역(23A) 및 좌안 영역(23B)이 서로 인접한(서로 접촉한) 경계선(BL1)과 직각 이외의 각도 θ1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상축(AX1)을 갖는다. 한편, 도 18a 및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상차층(23)의 좌안 영역(23B)은, 직각 이외의 각도 θ2로 경계선(BL1)과 교차하고 지상축(AX1)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지상축(AX2)을 갖는다. 지상축(AX1) 및 지상축(AX2)은, 예를 들어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고, 예를 들어 θ1은 -45°(경계선(BL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45°)로 설정되고, θ2는 +45°(경계선(BL1)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45°)로 설정된다.
본 실시양태에서, "지상축(AX1)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이란, 지상축(AX2)의 방향이 지상축(AX1)의 방향과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지상축(AX2)이 경계선(BL1)에 대하여 지상축(AX1)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지상축(AX1 및 AX2)은 경계선(BL1)에 대하여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지상축(AX1)의 각도 θ1의 절대값은 바람직하게는 지상축(AX2)의 각도 θ2의 절대값과 동일하다(회전 방향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그러나, 이러한 각도, 방향 등은 제조 오차(제조 격차) 등으로 인해 서로 약간 상이할 수 있다.
도 19a 및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상축(AX1 및 AX2)은 액정 표시 패널(5)의 편광자(51B)의 편광축(AX4)과 또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한다. 또한, 지상축(AX1)은, 후술하는 편광 안경(6)의 우안 위상차 필름(61B)의 지상축(AX5)의 방향과 동일하거나 이에 상응하는 방향을 향하며, 편광 안경(6)의 좌안 위상차 필름(62B)의 지상축(AX6)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향한다. 한편, 지상축(AX2)은 지상축(AX6)의 방향과 동일하거나 이에 상응하는 방향을 향하고, 지상축(AX5)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향한다.
(편광 안경(6))
그 다음, 편광 안경(6)을 설명할 것이다. 도 20은 표시 장치(3)와 함께 편광 안경(6)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편광 안경(6)은 관찰자(도시되지 않음)의 안구 앞에 장착되며, 영상 표시면(3A) 상에 표시된 영상을 관찰할 때 관찰자에 의해 사용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 안경(6)은, 예를 들어 우안 안경(61) 및 좌안 안경(62)을 갖는다.
우안 안경(61) 및 좌안 안경(62)은 표시 장치(3)의 영상 표시면(3A)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안 안경(61) 및 좌안 안경(62)은 가능한 한 하나의 수평면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약간 경사진 평탄면내에 배치될 수 있다.
우안 안경(61)은 표시 장치(3)로부터 방출된 영상 광(L1)의 우안 영상 광(L2)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예를 들어 편광자(61A) 및 우안 위상차 필름(61B)을 갖는다. 한편, 좌안 안경(62)은 표시 장치(3)로부터 방출된 영상 광(L1)의 좌안 영상 광(L3)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예를 들어 편광자(62A) 및 좌안 위상차 필름(62B)을 갖는다. 우안 위상차 필름(61B)은 편광자(61A)의 표면 상에 광 입사측에 설치된다. 좌안 위상차 필름(62B)은 편광자(62A)의 표면 상에 광 입사측에 설치된다.
편광자(61A 및 62A)는 편광 안경(6)의 광 방출측에 배치되고, 각각 단지 소정의 진동 방향을 갖는 광(편광)만을 통과시킨다. 각각의 편광자(61A 및 62A)의 편광축(AX7 및 AX8)은 표시 장치(3)의 편광자(51B)의 편광축(AX4)에 수직한 방향을 향한다(도 19a 및 19b). 도 19a 및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편광축(AX7 및 AX8)은, 편광축(AX4)이 수직 방향을 향하는 경우 수평 방향을 향하고, 편광축(AX4)이 수평 방향을 향하는 경우 수직 방향을 향한다.
우안 위상차 필름(61B) 및 좌안 위상차 필름(62B)은, 각각 광학 이방성을 갖는 박층이다. 도 19a 및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안 위상차 필름(61B)의 지상축(AX5) 및 좌안 위상차 필름(62B)의 지상축(AX6)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모두에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고, 각각의 편광자(61A 및 62A)의 편광축(AX7 및 AX8)과 또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한다. 또한, 지상축(AX5)은 지상축(AX1)의 방향과 동일하거나 이에 상응하는 방향을 향하고, 지상축(AX2)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향한다. 한편, 지상축(AX6)은 지상축(AX2)의 방향과 동일하거나 이에 상응하는 방향을 향하고, 지상축(AX1)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향한다.
(기본 동작)
그 다음, 본 실시양태의 표시 장치(3)에서, 영상 표시의 기본 동작의 일례를 설명할 것이다.
먼저, 백라이트 유닛(4)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액정 표시 패널(5)에 입사하는 상태에서, 영상 신호로서 우안 영상 및 좌안 영상을 포함하는 시차 신호가 액정 표시 패널(5)에 입력된다. 이어서, 우안 영상 광이 홀수 라인을 따라 위치한 화소로부터 출력되고, 좌안 영상 광이 짝수 라인을 따라 위치한 화소로부터 출력된다. 이어서, 위상차 소자(2)의 우안 영역(23A) 및 좌안 영역(23B)에서 타원 편광 광으로 전환되고, 위상차 소자(2)의 배향막(22)을 통과시킨 후, 우안 영상 광 및 좌안 영상 광을 영상 광(L1)으로서 표시 장치(3)의 영상 장치 표면(3A)으로부터 외부로 출력시킨다.
이어서, 표시 장치(3)로부터 출력된 영상 광(L1)은 편광 안경(6)으로 입사하고, 우안 위상차 필름(61B) 및 좌안 위상차 필름(62B)에 의해 타원 편광 광에서 직선 편광 광으로 복귀된 후, 영상 광(L1)은 편광 안경(6)의 편광자(61A 및 62A)로 입사된다. 이 때, 편광자(61A 및 62A)로 입사하는 광(영상 광(L1)) 중, 우안 영상 광에 상응하는 광의 편광축은 편광자(61A)의 편광축(AX7)에 평행하고, 편광자(62A)의 편광축(AX8)과 직교한다. 따라서, 편광자(61A 및 62A)에 입사하는 광(영상 광(L1)) 중, 우안 영상 광에 상응하는 광은 편광자(61A)를 통해서만 통과되고, 관찰자의 우안에 도달한다. 한편, 편광자(61A 및 62A)에 입사하는 광(영상 광(L1)) 중, 좌안 영상 광에 상응하는 광의 편광축은 편광자(61A)의 편광축(AX7)과 직교하고, 편광자(62A)의 편광축(AX8)과 평행하다. 따라서, 편광자(61A 및 62A)에 입사하는 광(영상 광(L1)) 중, 좌안 영상 광에 상응하는 광은 편광자(62A)를 통해서만 통과되고, 관찰자의 좌안에 도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우안 영상 광에 상응하는 광은 관찰자의 우안에 도달하고, 좌안 영상 광에 상응하는 광은 관찰자의 좌안에 도달하기 때문에, 관찰자는 표시 장치(3)의 영상 표시면(3A)에 입체 영상이 표시된 것처럼 인식할 수 있다.
(효과)
그러나, 본 실시양태에서는, 위상차 소자(2)가 액정 표시 패널(5)의 표면 상에 광 방출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편광 안경(6)의 편광자(61A 및 62A)에 입사하는 광(영상 광(L1)) 중, 편광자(62A)를 통과하는 우안 영상광에 상응하는 광의 비율이 크게 감소할 수 있고, 상기한 경우에서와 같이, 편광자(61A)를 통과하는 좌안 영상 광에 상응하는 광의 비율이 또한 크게 감소할 수 있다. 그 결과, 크로스토크가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서는, 시판용 물질로부터 형성된 높은 내열 온도 (Tg)를 갖는 위상차 소자(2)가 액정 표시 패널(5)의 광 방출측에 사용된다. 따라서, 가열에 의해 유발되는 위상차 소자(2)의 치수 변화가 작기 때문에, 위상차 소자(2)의 광학 특성의 온도 의존성이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위상차 소자(2)로서,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를 갖는 단량체가 비액정 단량체(20)로서 함유된 도료(1)를 사용하여 형성된 소자가 사용될 경우, 상당히 양호한 배향 특성이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크로스토크가 크게 감소될 뿐만 아니라, 흑색 휘도 또한 감소될 수 있으므로, 높은 콘트라스트가 얻어질 수 있다.
도 2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크로스토크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표에서 크로스토크의 값은 우안 영상 광(L1)의 크로스토크의 값이다. 우안 영상 광(L1)의 크로스토크의 값은 하기 수학식에 의해 얻어진 값이다.
우안 영상 광(L1)의 크로스토크 = (우안 영상 광(L1)을 좌안 안경(62)을 통해 보았을 때 얻어지는 휘도)/(우안 영상 광(L1)을 우안 안경(61)을 통해 보았을 때 얻어지는 휘도) x 100
크로스토크가 감소됨에 따라, 입체 표시 특성이 개선된다. 반면, 크로스토크가 증가됨에 따라, 좌안 영상 광이 우안에 인입하고/거나 우안 영상 광이 좌안에 인입하는 소위 고스트(ghost)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고스트는 눈의 피로를 일으키고, 최악의 시나리오에서는, 관찰자가 입체 영상 그 자체를 보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도료로서, 도 21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위상차 소자가 사용되었다. 한편,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도료로서, 도 21의 비교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된 위상차 소자가 사용되었다.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소자의 제조 조건은 다음과 같다. 액정 단량체로서, 도 21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 17.68 중량%를 사용하였다. 비액정 단량체로서, 도 21의 실시예의 컬럼에 나타낸 물질을 액정 단량체의 함량에 대한 중량비로 5 중량%로 사용하였다. 기타 물질로서, 개시제 IRG907 (바스프 리미티드 제조) 0.98 중량%, 계면활성제 B330 (BYK 재팬 케이케이) 0.096 중량% 및 PGMEA:부틸 아세테이트=50:50의 용액 80.4 중량%를 사용하였다. 배향 처리 온도는 80℃로 설정되었다.
한편, 비교예 4 및 5에 따른 위상차 소자의 제조 조건은 다음과 같다. 액정 단량체로서, LC242 17.68 중량%를 사용하였다. 기타 물질로서, 개시제 IRG907 (바스프 리미티드 제조) 0.99 중량%, 계면활성제 B330 (BYK 재팬 케이케이) 0.099 중량% 및 PGMEA:부틸 아세테이트=50:50의 용액 81.0 중량%를 사용하였다. 배향 처리 온도는 80℃ 또는 110℃로 설정되었다.
도 21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와 비교할 때, 크로스토크가 억제되고, 입체 표시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비액정 단량체가 첨가될 경우, 공정 온도가 증가된 경우와 비교하여, 크로스토크가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제3 실시양태의 변형)
지상축의 방향이 서로 상이한 2가지 유형의 위상차 영역 (우안 영역(23A) 및 좌안 영역(23B))이 상기 제3 실시양태에 따른 위상차 소자(2)에 설치되어 있지만, 지상축의 방향이 서로 상이한 3가지 이상의 유형의 위상차 영역이 또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위상차 소자(2)의 위상차 영역 (우안 영역(23A) 및 좌안 영역(23B))이 수평으로 연장되는 경우가 제3 실시양태에 예시되어 있지만, 위상차 영역은 또다른 방향으로도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위상차 소자(2)가 표시 장치(3)에 적용된 경우가 제3 실시양태 및 그의 변형에 예시되어 있지만, 위상차 소자(2)를 다른 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제3 실시양태 및 그의 변형에서, 편광 안경(6)이 원 편광 유형이고, 표시 장치(3)가 원편광 안경용 표시 장치인 경우가 예시되어 있지만, 본 개시물은 편광 안경(6)이 직선 편광 유형이고, 표시 장치(3)가 직선 편광 안경용 표시 장치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2010년 12월 22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우선권 특허 출원 JP 2010-285642호에 개시된 것과 관련된 주제를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의 균등물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한, 설계 요건 및 다른 인자에 따라 다양한 변형, 조합, 하위조합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6)

  1. 액정 단량체; 및
    비액정 단량체
    를 포함하는, 도료.
  2. 제1항에 있어서,
    비액정 단량체가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인, 도료.
  3. 제2항에 있어서,
    비액정 단량체가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를 갖는, 도료.
  4. 제1항에 있어서,
    비액정 단량체의 함량이 액정 단량체의 함량에 대한 중량비로 5 내지 10 중량%인, 도료.
  5. 위상차 소자로서,
    배향막; 및
    상기 배향막의 표면과 접촉된 위상차층
    을 포함하며, 상기 위상차층은 액정 단량체 및 비액정 단량체를 함유하는 도료를 상기 배향막의 표면 상에 도포한 후, 액정 단량체를 배향시킨 상태에서 도료를 중합시켜 형성되는, 위상차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비액정 단량체가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인, 위상차 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비액정 단량체가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를 갖는, 위상차 소자.
  8. 제5항에 있어서,
    비액정 단량체의 함량이 액정 단량체의 함량에 대한 중량비로 5 내지 10 중량%인, 위상차 소자.
  9. 표시 장치로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표시 패널;
    배면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을 조명하는 백라이트; 및
    상기 표시 패널에 대하여 상기 백라이트의 반대측에 설치된 위상차 소자
    를 포함하며, 상기 위상차 소자는
    배향막, 및
    상기 배향막의 표면과 접촉된 위상차층
    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차층은 액정 단량체 및 비액정 단량체를 함유하는 도료를 상기 배향막의 표면 상에 도포한 후, 액정 단량체를 배향시킨 상태에서 도료를 중합시켜 형성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비액정 단량체가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인,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비액정 단량체가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비액정 단량체의 함량이 액정 단량체의 함량에 대한 중량비로 5 내지 10 중량%인, 표시 장치.
  13.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액정 단량체 및 비액정 단량체를 함유하는 도료를 배향막의 표면 상에 도포하는 단계; 및
    액정 단량체를 배향시킨 상태에서 도료를 중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비액정 단량체가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인,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비액정 단량체가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이소시아누르산 고리 구조를 갖는,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비액정 단량체의 함량이 액정 단량체의 함량에 대한 중량비로 5 내지 10 중량%인,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110134364A 2010-12-22 2011-12-14 도료, 위상차 소자, 표시 장치,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200713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85642A JP5828204B2 (ja) 2010-12-22 2010-12-22 塗料、位相差素子、表示装置、位相差素子の製造方法
JPJP-P-2010-285642 2010-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328A true KR20120071328A (ko) 2012-07-02

Family

ID=4631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364A KR20120071328A (ko) 2010-12-22 2011-12-14 도료, 위상차 소자, 표시 장치,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36795B2 (ko)
JP (1) JP5828204B2 (ko)
KR (1) KR201200713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8848B2 (en) * 2011-10-14 2017-05-02 Dai Nippon Printing Co., Ltd. Patterned phase 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735149B1 (ko) * 2012-11-29 2017-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CN107974256A (zh) * 2014-07-15 2018-05-01 Dic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和聚合性液晶组合物
CN104808392A (zh) * 2015-05-21 2015-07-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基板的制备方法和显示装置
JP6470410B2 (ja) * 2015-06-23 2019-02-13 シャープ株式会社 殺菌作用を備えた表面を有する合成高分子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5798B1 (en) 1999-03-16 2002-11-26 Fuji Photo Film Co., Ltd. Optical compensatory sheet comprising substrate and optically anisotropic layer
US6338808B1 (en) 1999-03-31 2002-01-15 Fuji Photo Film Co., Ltd. Liquid crystal composition comprising liquid crystal molecules and alignment promoter
JP2000345164A (ja) 1999-03-31 2000-12-12 Fuji Photo Film Co Ltd 液晶配向促進剤、液晶組成物および光学異方性素子
WO2002093213A1 (fr) * 2001-05-10 2002-11-21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Compose cristallin liquide et film a dephasage l'utilisant
US7449223B2 (en) 2004-05-31 2008-11-11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optically anisotropic medium
US7812907B2 (en) * 2005-03-01 2010-10-12 Dai Nippon Printing Co., Ltd. Film with alignment film and optical device
JP4915523B2 (ja) * 2006-06-29 2012-04-11 Jnc株式会社 重合性液晶組成物
JP5040400B2 (ja) 2007-03-30 2012-10-03 Dic株式会社 高分子安定化液晶組成物および高分子安定化液晶表示素子
JP2009227871A (ja) * 2008-03-24 2009-10-08 Dainippon Printing Co Ltd 感光性組成物、該感光性組成物を用いた光学素子及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5375006B2 (ja) 2008-09-30 2013-12-25 Dic株式会社 重合性液晶化合物
JP2011095514A (ja) * 2009-10-30 2011-05-12 Nippon Kayaku Co Ltd 位相差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31917A (ja) 2012-07-12
US20120162572A1 (en) 2012-06-28
JP5828204B2 (ja) 2015-12-02
US8736795B2 (en)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1815B2 (en) Retardation element and display
US10146093B2 (en) Mirror display
US9304322B2 (en) Phase difference element and display unit
US8223280B2 (en) Phase difference element and display device
US10564337B2 (en) Optical film
TWI678574B (zh) 液晶面板及液晶顯示裝置
KR20120071328A (ko) 도료, 위상차 소자, 표시 장치, 위상차 소자의 제조 방법
US1024136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67808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10137246A (ko) 입체 영상 관찰용 광학 소자, 입체 영상 관찰용 안경 및 입체 영상 표시 시스템
KR101556817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20140192303A1 (en) Display unit
KR20150145732A (ko) 표시 장치
KR102451589B1 (ko)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70040563A (ko) 광학 필름
US2019017106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200105215A (ko) 편광판
KR20120026922A (ko) 표시장치
KR20200050752A (ko)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