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943A -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943A
KR20120070943A KR1020100132483A KR20100132483A KR20120070943A KR 20120070943 A KR20120070943 A KR 20120070943A KR 1020100132483 A KR1020100132483 A KR 1020100132483A KR 20100132483 A KR20100132483 A KR 20100132483A KR 20120070943 A KR20120070943 A KR 20120070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attachment
list
screen
rat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0609B1 (ko
Inventor
송성호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2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6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운전실에 설치되는 입력수단과 디스플레이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어태치먼트의 동작 가능한 유량 범위에 대응되는 유량값을 다양하게 직접 설정하도록 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수단에 굴삭기의 암에 부착되어 동작될 어태치먼트의 유량값이 다양한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화면'에 대응되는 입력수단의 입력을 통하여 어태치먼트가 동작될 다양한 동작 조건의 유량 범위에 대응된 유량값이 복수개의 리스트로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어태치먼트가 동작될 다양한 동작 조건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리스트에 대응된 유량값을 토대로 제어수단에 의해 유량공급장치가 제어되어 해당 어태치먼트에 상기 리스트의 유량값에 대응된 유량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와, 어태치먼트가 해당 리스트의 유량값에 대응된 유량을 공급받아 동작시 디스플레이수단에 실시간으로 해당 리스트에 설정된 유량값을 변경 설정할 수 있는 '메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입력수단으로부터 디스플레이수단의 '메인 화면'에서 어태치먼트에 대응된 심볼의 선택된 후 현재 동작 중인 어태치먼트의 유량값이 실시간으로 변경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HYDRAULIC SETTING METHOD FOR ATTACHMENT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운전실에 설치되는 입력수단과 디스플레이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어태치먼트의 동작 가능한 유량 범위에 대응되는 유량값을 다양하게 직접 설정하도록 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는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로서 장비의 이동 역할을 하는 주행체, 주행체에 탑재되어 360도 회전하는 상부 선회체, 상부 선회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붐과 암 및 암의 단부에 부착되는 버켓이나 브레이커 등과 같은 어태치먼트 등으로 이루어진 전부 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작업들의 수행시 많은 힘을 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유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굴삭기들은 최초 제작시 어태치먼트에 공급되는 유량이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유량으로만 구동되어 작업 환경이나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유량을 가변시킬 수 없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펌프의 회전수를 사용자가 직접 레버 등을 통하여 동작 유량을 조절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가 어태치먼트와 지면 조건 등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임의로 조절된 유량으로 어태치먼트를 동작시키는 경우 어태치먼트가 파손되거나 굴삭기에 치명적인 손상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즉, 무거운 자재를 견인할 때나 가벼운 자재를 견인할 때 이에 대응된 적절한 유량이 어태치먼트에 전달되지 않는 경우 가벼운 자재의 견인시에는 과도한 움직임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무거운 자재를 견인시에는 유량이 부족하여 견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브레이커(Breaker) 등을 사용하여 암석을 파쇄시에도 암석의 강도와 무관하게 브레이커에 적절한 유량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 강도가 약한 암석을 파쇄할 때에는 브레이커의 날이 다른 암석이나 지면까지 파고들게 되고, 강한 암석을 파쇄할 때에는 유량이 충분하지 못하여 암석을 파쇄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삭기의 운전실에서 사용자가 암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의 동작 가능한 유량 범위에 대응되는 유량값을 다양하게 직접 설정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은, 디스플레이수단에 굴삭기의 암에 부착되어 동작될 어태치먼트의 유량값이 다양한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화면'에 대응되는 입력수단의 입력을 통하여 어태치먼트가 동작될 다양한 동작 조건의 유량 범위에 대응된 유량값이 복수개의 리스트로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어태치먼트가 동작될 다양한 동작 조건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리스트에 대응된 유량값을 토대로 제어수단에 의해 유량공급장치가 제어되어 해당 어태치먼트에 상기 리스트의 유량값에 대응된 유량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와, 어태치먼트가 해당 리스트의 유량값에 대응된 유량을 공급받아 동작시 디스플레이수단에 실시간으로 해당 리스트에 설정된 유량값을 변경 설정할 수 있는 '메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입력수단으로부터 디스플레이수단의 '메인 화면'에서 어태치먼트에 대응된 심볼의 선택된 후 현재 동작 중인 어태치먼트의 유량값이 실시간으로 변경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어태치먼트의 동작 가능한 유량 범위에 대응된 유량값을 운전실에서 운전자가 실시간으로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숙련되지 않은 운전자도 용이하고 안전하게 어태치먼트의 동작 가능한 유량 범위의 유량값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실에서 운전자가 실시간으로 간단한 입력수단의 조작을 통하여 유량값을 설정 또는 변경함으로써, 수시로 변하는 작업 환경에 보다 신속하고 능동적인 대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이 적용된 유량 설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 화면과 메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공지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이 적용된 유량 설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 화면과 메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이 적용된 유량 설정 시스템은, 건설기계 즉, 굴삭기의 운전실에 위치되어 굴삭기의 암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에 대한 동작 가능한 유량범위에 대응되는 유량값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도록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화면'과 '메인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수단(100), 굴삭기의 운전실에 위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화면'과 '메인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어태치먼트의 동작 가능한 유량 범위에 대응되는 유량값을 입력 설정하도록 하는 입력수단(200) 및 상기 입력수단(200)과의 CAN 통신을 통하여 상기 입력수단(200)에 의해 입력 설정된 유량값을 제공받아 저장하며 상기 입력 설정된 유량값에 대응되는 유량이 어태치먼트에 제공되도록 유량공급수단(30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굴삭기는,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굴삭작업, 적재작업, 파쇄작업, 정지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로, 장비의 이동 역할을 하는 주행체, 상기 주행체에 탑재되어 360도 회전하는 상부 선회체, 상기 상부 선회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붐과 암 및 상기 암의 단부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 등으로 이루어진 전부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00)은, 굴삭기의 운전실에 위치되어 굴삭기의 암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에 대하여 동작 가능한 유량 범위에 대응되는 유량값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화면'과, 계기 표시, 주의 표시, 연료 유량 표시, 냉각수 온도 표시, 오일 압력 표시, 오일 레벨 표시, 배터리나 전조등의 운전상태 표시 등 각종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화면'에서 설정된 어태치먼트의 유량값을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 화면'을 제공하는 LCD 또는 LED 또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자가 해당 화면들을 용이하게 주시할 수 있도록 운전실 내부에 박스 형상의 하우징에 수납된다.
여기서, 상기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화면'은, 굴삭기의 암에 부착되는 해당 어태치먼트의 동작 가능한 유량 범위에 대응되는 유량값이 다양한 조건으로 설정된 상태를 복수개의 리스트로 나타내거나 해당 리스트의 선택시 리스트에 대한 각 항목의 유량값을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화면'은, 해당 어태치먼트가 상기 '어태치먼트 설정 화면'에서 설정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리스트에 대응되도록 동작 중 실시간으로 해당 리스트에 설정된 유량값을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 화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 리스트 화면'과 '어태치먼트 리스트 설정 화면'으로 구분된다. 상기 '어태치먼트 리스트 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암에 부착된 어태치먼트의 다양한 동작 조건 즉, 최대엔진회전수에 따라 굴삭기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펌프 유량값, 또는, 해당 어태치먼트가 동작 가능한 최대유량값, 또는, 해당 어태치먼트가 동작 가능한 최소유량값이 설정된 복수개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어태치먼트 리스트 설정 화면'은, 상기 '어태치먼트 리스트 화면'의 복수개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해당 어태치먼트의 동작 가능한 유량값을 새로운 리스트로 설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 리스트에 대하여 설정되는 최대엔진회전수, 최대유량(펌프), 최대압력, 최대유량, 최소유량 및 사용자설정 최대유량 등을 항목으로 구분하여 나타내며 상기 항목들에 대한 설정값이 변경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 화면'을 통하여 상기 암에 부착되는 해당 어태치먼트가 다양한 조건에서 각각 다른 유량값을 가지며 동작될 수 있도록 어태치먼트의 동작 가능한 유량 범위를 복수개의 리스트로 설정할 수 있고, 작업 환경에 따라 적절한 리스트가 선택되어 그 리스트에 설정된 유량 범위에 대응되도록 어태치먼트에 적절한 유량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화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안내 화면'과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으로 구분된다. 상기 '동작 안내 화면'은, 각종 계기 표시, 주의 표시, 연료 유량 표시, 냉각수 온도 표시, 오일 압력 표시, 오일 레벨 표시, 배터리나 전조등의 운전상태 표시 등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은, 사용자가 상기 '동작 안내 화면'에서 어태치먼트에 대응되는 심볼을 선택한 후 해당 리스트에 대응되도록 유량 범위 내에서 동작 중인 어태치먼트의 유량값을 실시간으로 변경 또는 재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은, 현재 동작 중인 어태치먼트의 리스트 번호와 현재 적용되고 있는 유량값 및 상기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 화면'에서 설정된 사용자 설정 유량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나타낸다.
즉, 사용자는 상기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 화면'의 복수개의 리스트 중 작업 환경에 따라 적절한 리스트를 선택하여 어태치먼트의 동작 시 '메인 화면'에서 실시간으로 해당 리스트의 유량값을 변경 또는 재설정하여 작업 중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는 작업 환경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입력수단(200)은, 굴삭기의 운전실에 위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화면'과 '메인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해당 어태치먼트의 동작 유량의 범위에 대응되는 유량값을 실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00)이 터치스크린인 경우 터치에 의한 압력이나 정전용량 변화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수단(100)에 직접 해당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별도의 키패드 또는 RPM 다이얼 및 조그 셔틀 등을 통하여 해당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굴삭기 운전실에 위치되는 조작레버의 Knob을 통하여 해당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입력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운전실 내부에 운전자의 팔과 손의 움직임이 편한 높이를 가지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수단(200)은,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00)의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화면'에서 어태치먼트가 동작될 수 있는 다양한 동작 조건을 설정한다. 즉, 최대엔진회전수에 따라 굴삭기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펌프 유량값, 또는, 해당 어태치먼트가 동작 가능한 최대유량값, 또는, 해당 어태치먼트가 동작 가능한 최소유량값 또는, 최대유량값과 최소유량값 사이에서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설정 최대유량 등의 설정값을 복수개의 리스트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사용자설정 최대유량은 상기 '메인 화면'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실시간 유량값의 최대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입력수단(200)은,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00)의 '메인 화면'에서 어태치먼트에 대응되는 심볼을 선택하여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에서 현재 리스트의 설정된 유량값을 실시간으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에서 유량값의 변경 설정 후 조작레버의 Knob의 Push 동작을 통하여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변경 설정된 유량값은 현재 리스트의 새로운 유량값으로 설정 저장되고, 키패드 등을 통해 제공되는 Job의 ESC 동작을 통하여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변경 설정된 유량값은 현재 리스트의 새로운 유량값으로 설정 저장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 현재 리스트의 설정된 유량값은 일정 주기로 CAN 통신을 통하여 제어수단(400)에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입력수단(200)을 통한 해당 어태치먼트의 유량값 설정은 사용자만이 접근 할 수 있도록 별도의 패스워드가 입력수단(200)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량공급수단(300)은, CAN 통신을 통하여 입력수단(200)으로부터 설정된 유량값을 제공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수단(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설정된 유량값에 대응되는 유량이 어태치먼트에 제공되도록 하는 것으로, 엔진(310)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용량형 유압펌프(320)와, 파일럿압력을 발생시키는 기어펌프(330)로부터 파일럿압력과 제어기(340)로부터 유압펌프(320)의 토출 유량을 제어하는 옵션유량설정압력에 대응된 신호전류를 전달받는 전자비례제어밸브(350)와, 상기 파일럿압력과 옵션유량설정압력 중 높은 압력에 의해 구동되어 이를 토대로 유압펌프(320)의 유량 및 유압을 제어하는 펌프레귤레이터(360)와, 유압펌프(32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어태치먼트(370)에 제공하는 메인콘트롤밸브(380) 등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340)는, 상기 제어수단(400)으로부터 입력되는 유량값에 대응되도록 상기 유압펌프의 유량 및 유압이 제어되도록 전자비례제어밸브(350)를 제어하며,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340)는 상기 제어수단(400)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거나, 상기 제어수단(400)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방법은, 먼저, 디스플레이수단(100)에 굴삭기의 암에 부착되어 동작될 어태치먼트의 유량값이 다양한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10).
여기서, 상기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 화면'은, '어태치먼트 리스트 화면'과 '어태치먼트 리스트 설정 화면'으로 구분되며, 상기 '어태치먼트 리스트 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암에 부착된 어태치먼트의 다양한 동작조건 즉, 최대엔진회전수에 따라 굴삭기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펌프 유량값, 또는, 해당 어태치먼트가 동작 가능한 최대유량값, 또는, 해당 어태치먼트가 동작 가능한 최소유량값 등이 설정된 복수개의 리스트를 나타내고, 상기 '어태치먼트 리스트 설정 화면'은 상기 '어태치먼트 리스트 화면'의 복수개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해당 어태치먼트의 동작 가능한 유량값을 새로운 리스트로 설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리스트의 설정 최대엔진회전수, 최대유량(펌프), 최대압력, 최대유량, 최소유량 및 사용자설정 최대유량 등으로 항목으로 구분하여 나타내며 상기 항목들에 대한 설정값이 변경 설정되도록 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후, 디스플레이수단(100)에 디스플레이된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화면'의 '어태치먼트 리스트 화면' 중 기존에 설정된 복수개의 리스트 중 하나의 리스트가 선택되거나 또는 새로운 동작 조건의 유량값을 새로운 리스트로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리스트 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입력수단(200)으로부터 유량값이 설정되어 제어수단(400)의 메모리에 저장된다(S20).
즉, 상기 입력수단(200)은, 최대엔진회전수에 따라 굴삭기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펌프 유량값, 또는, 해당 어태치먼트가 동작 가능한 최대유량값, 또는, 해당 어태치먼트가 동작 가능한 최소유량값 또는, 최대유량값과 최소유량값 사이에서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설정 최대유량 등의 설정값을 복수개의 리스트로 설정하게 되고 상기 리스트의 설정값은 제어수단(400)에 저장된다.
이후, 입력수단(200)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00)에 디스플레이된 '어태치먼트 리스트 화면'의 복수개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게 되고 상기 선택된 리스트에 대응된 유량값을 토대로 상기 제어수단(400)은 유량공급장치(300)를 제어하여 해당 어태치먼트에 상기 리스트의 유량값에 대응된 유량이 적절하게 공급되도록 한다(S30).
이후, 어태치먼트가 해당 리스트의 유량값에 대응된 유량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되면 디스플레이수단(100)에는 실시간으로 해당 리스트에 설정된 유량값을 변경 설정할 수 있는 '메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40).
여기서, 상기 '메인 화면'은, '동작 안내 화면'과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으로 구분되며, 상기 '동작 안내 화면'은 각종 계기 표시, 주의 표시, 연료 유량 표시, 냉각수 온도 표시, 오일 압력 표시, 오일 레벨 표시, 배터리나 전조등의 운전상태 표시 등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은 사용자가 상기 '동작 안내 화면'에서 어태치먼트에 대응되는 심볼을 선택한 후 해당 리스트에 대응되도록 유량 범위 내에서 동작 중인 어태치먼트의 유량값을 실시간으로 변경 또는 재설정하도록 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즉, 어태치먼트가 해당 리스트의 유량값에 대응된 유량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되면 디스플레이수단(100)에는 '메인 화면'의 '동작 안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동작 중인 굴삭기의 각종 동작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입력수단(200)으로부터 디스플레이수단(100)의 '동작 안내 화면'에서 어태치먼트에 대응된 심볼이 선택되면(S50), 디스플레이수단(100)에는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60),
즉, 어태치먼트의 동작 중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되면, 사용자는 현재 동작 중인 어태치먼트의 유량 범위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이후, 입력수단(200)으로부터 디스플레이수단(100)의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에서 현재 리스트의 설정된 유량값이 사용자가 원하는 유량값으로 변경 설정되어 조작레버의 Knob가 Push 동작하게 되면(S70), 디스플레이수단(100)의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이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변경 설정된 유량값은 현재 리스트의 새로운 유량값으로 제어수단(400)의 메모리에 저장된 후 제어수단(400)은 상기 S30 단계로 진행한다(S80).
만약, 상기 S70 단계에서 조작레버의 Knob가 Push 동작하지 않고 키패드 등을 통해 제공되는 Job의 ESC 동작하게 되면(S90), 디스플레이수단(100)의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이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변경 설정된 유량값은 현재 리스트의 새로운 유량값으로 제어수단(400)의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게 되며 이후, 제어수단(400)은 상기 S30 단계로 진행된다(S90).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어태치먼트의 동작 가능한 유량 범위에 대응된 유량값을 운전실에서 운전자가 실시간으로 설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숙련되지 않은 운전자도 용이하고 안전하게 어태치먼트의 동작 가능한 유량 범위의 유량값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실에서 운전자가 실시간으로 간단한 입력수단의 조작을 통하여 유량값을 설정 또는 변경함으로써, 수시로 변하는 작업 환경에 보다 신속하고 능동적인 대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디스플레이수단 200 : 입력수단
300 : 유량공급수단 400 : 제어수단

Claims (5)

  1. 디스플레이수단에 굴삭기의 암에 부착되어 동작될 어태치먼트의 유량값이 다양한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화면'에 대응되는 입력수단의 입력을 통하여 어태치먼트가 동작될 다양한 동작 조건의 유량 범위에 대응된 유량값이 복수개의 리스트로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어태치먼트가 동작될 다양한 동작 조건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리스트에 대응된 유량값을 토대로 제어수단에 의해 유량공급장치가 제어되어 해당 어태치먼트에 상기 리스트의 유량값에 대응된 유량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와,
    어태치먼트가 해당 리스트의 유량값에 대응된 유량을 공급받아 동작시 디스플레이수단에 실시간으로 해당 리스트에 설정된 유량값을 변경 설정할 수 있는 '메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입력수단으로부터 디스플레이수단의 '메인 화면'에서 어태치먼트에 대응된 심볼의 선택된 후 현재 동작 중인 어태치먼트의 유량값이 실시간으로 변경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 화면'은,
    상기 암에 부착된 어태치먼트의 다양한 동작 조건에 따른 유량값이 설정된 복수개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어태치먼트 리스트 화면'과,
    상기 '어태치먼트 리스트 화면'의 복수개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어태치먼트의 동작 가능한 유량값을 새로운 리스트로 설정하는 경우, 해당 리스트를 설정 최대엔진회전수, 최대유량(펌프), 최대압력, 최대유량, 최소유량 및 사용자설정 최대유량의 항목으로 구분하며 상기 항목들에 대한 설정값이 변경 설정되도록 하는 '어태치먼트 리스트 설정 화면'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화면'은,
    각종 계기 표시, 주의 표시, 연료 유량 표시, 냉각수 온도 표시, 오일 압력 표시, 오일 레벨 표시, 배터리나 전조등의 운전상태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작 안내 화면'과,
    상기 '동작 안내 화면'에서 어태치먼트에 대응되는 심볼을 선택한 후 해당 리스트에 대응되도록 유량 범위 내에서 동작 중인 어태치먼트의 유량값을 실시간으로 변경 또는 재설정하도록 하는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화면'을 통하여 다양한 동작 조건의 유량 범위에 대응된 유량값이 복수개의 리스트로 설정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디스플레이된 '어태치먼트 유량값 설정화면'의 '어태치먼트 리스트 화면' 중 기존에 설정된 복수개의 리스트 중 하나의 리스트가 선택되거나 또는 새로운 동작 조건의 유량값을 새로운 리스트로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리스트 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입력수단으로부터 유량값이 설정되어 제어수단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의 유량값이 실시간으로 변경 설정되는 단계는,
    조작레버의 Knob가 Push 동작하게 되면 디스플레이수단의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이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변경 설정된 유량값은 현재 리스트의 새로운 유량값으로 제어수단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단계와,
    조작레버의 Knob가 Push 동작하지 않고 키패드 등을 통해 제공되는 Job의 ESC 동작하게 되면 디스플레이수단의 '어태치먼트 팝업 화면'이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변경 설정된 유량값은 현재 리스트의 새로운 유량값으로 제어수단의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KR1020100132483A 2010-12-22 2010-12-22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KR101640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483A KR101640609B1 (ko) 2010-12-22 2010-12-22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483A KR101640609B1 (ko) 2010-12-22 2010-12-22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943A true KR20120070943A (ko) 2012-07-02
KR101640609B1 KR101640609B1 (ko) 2016-07-19

Family

ID=4670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483A KR101640609B1 (ko) 2010-12-22 2010-12-22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60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7004A1 (ko) * 2013-03-07 2014-09-12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화면표시장치
KR20150033031A (ko) * 2013-09-23 2015-04-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엔진회전수 비상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69109A (ko) * 2013-12-13 2015-06-2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차량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KR20160039731A (ko) * 2014-10-01 2016-04-12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 시어 및 크러셔용 과부하 방지 시스템
KR20180096266A (ko) * 2017-02-21 2018-08-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조이스틱 썸휠 감도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180105368A (ko) * 2017-03-15 2018-09-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0869A (ja) * 1997-09-29 1999-04-13 Yutani Heavy Ind Ltd 油圧作業機械
JP2002201675A (ja) * 2000-12-28 2002-07-19 Komatsu Ltd 建設機械の圧油流量制御装置
JP2007162866A (ja) * 2005-12-15 2007-06-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作業機械の流量制御装置
JP2009249828A (ja) * 2008-04-01 2009-10-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多機能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0869A (ja) * 1997-09-29 1999-04-13 Yutani Heavy Ind Ltd 油圧作業機械
JP2002201675A (ja) * 2000-12-28 2002-07-19 Komatsu Ltd 建設機械の圧油流量制御装置
JP2007162866A (ja) * 2005-12-15 2007-06-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作業機械の流量制御装置
JP2009249828A (ja) * 2008-04-01 2009-10-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多機能表示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7004A1 (ko) * 2013-03-07 2014-09-12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화면표시장치
KR20150033031A (ko) * 2013-09-23 2015-04-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엔진회전수 비상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69109A (ko) * 2013-12-13 2015-06-2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차량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KR20160039731A (ko) * 2014-10-01 2016-04-12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 시어 및 크러셔용 과부하 방지 시스템
KR20180096266A (ko) * 2017-02-21 2018-08-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조이스틱 썸휠 감도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180105368A (ko) * 2017-03-15 2018-09-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609B1 (ko) 201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0943A (ko)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JP6974436B2 (ja) ショベル
AU2006286466B2 (en) Adaptive user interface for rock drilling rig
JP5208074B2 (ja) 作業機械の遠隔管理システム
US6826465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CN103781971B (zh) 控制工业机械的挖掘操作
US9945095B2 (en) Control system of excavating machine and excavating machine
JP5031978B2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EP3489422B1 (en) Controlling earthmoving machine
CN107923154A (zh) 挖土机
CN105040768B (zh) 控制工业机械的挖掘失控
EP3385454B1 (en) Work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device
KR20180136959A (ko) 쇼벨의 표시장치
CN106013311A (zh) 挖土机
EP2634316B1 (en) Work vehicle
CN105019506A (zh) 提供连杆定位训练的挖掘系统
CN107407954B (zh) 具有功率控制系统的工业机械
CN104968863A (zh) 施工设备
JP2009249828A (ja) 多機能表示装置
KR101744709B1 (ko) 작업 기계의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
KR20120070935A (ko) 굴삭기의 유압펌프 제어방법
KR20120070933A (ko) 굴삭기의 유압 제어장치
JP2015067990A (ja) 建設機械
JP7227187B2 (ja) 作業用アタッチメントへの油量較正方法、較正用治具、較正プログラム
KR102257003B1 (ko)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