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685A - 진동수 조정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수 조정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685A
KR20120069685A KR1020127006730A KR20127006730A KR20120069685A KR 20120069685 A KR20120069685 A KR 20120069685A KR 1020127006730 A KR1020127006730 A KR 1020127006730A KR 20127006730 A KR20127006730 A KR 20127006730A KR 20120069685 A KR20120069685 A KR 20120069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rotating
rotating member
shaft member
reciproc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5356B1 (ko
Inventor
유키노리 와다
마사히로 니시우라
Original Assignee
선스타 스위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스타 스위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선스타 스위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20069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intermittent liq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0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56Rotary to or from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56Rotary to or from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Y10T74/18288Cam and lev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과제) 기계적으로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왕복직선운동의 진동수 및 진폭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진동수 조정장치와, 상기 진동수 조정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펌프 구동수단을 음파식 전동칫솔의 구동장치와 공용 가능한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진동수 조정수단(22)으로서, 입력측 회전부재(41) 및 출력측 회전부재(42)와, 입력측 회전부재(41)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운동 만을 출력측 회전부재(42)에 전달하는 단방향 클러치(44)를 구비하고, 출력축(10)의 왕복직선운동에 의하여 입력측 회전부재(41)를 설정각도만큼 왕복회전 시킴으로써 입력측 회전부재(41)의 왕동운동 또는 복동운동 만을 단방향 클러치(44)를 통하여 출력측 회전부재(42)에 전달하여 출력측 회전부재(42)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는 제1변환수단(40)과, 출력측 회전부재(42)의 회전운동을 제2축부재(43)의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변환수단(50)을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진동수 조정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VIBRATIONAL FREQUENCY ADJUSTMENT DEVICE AND WATER FLOW TYPE ORAL CAVITY CLEANING DEVICE USING SAME}
본 발명은, 왕복직선운동(往復直線運動)의 진동수(振動數)를 조정하기 위한 진동수 조정장치(振動數 調整裝置) 및 그것을 사용한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水流式 口腔內 洗淨裝置)에 관한 것이다.
청소 헤드(淸掃 head)를 왕복직선운동 시키는 방식의 전동칫솔(電動 toothbrush)로서,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피니언(pinion)의 회전을 회전축과 직교하는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페이스 기어(face gear)의 회전으로 변환하고, 상기 페이스 기어의 회전을 크랭크 기구를 통하여 구동축의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모터식 전동칫솔이,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모터식 전동칫솔에서는, 기어의 교합(交合)에 의하여 페이스 기어를 감속회전 시킴으로써 청소 헤드의 진동수가 1500?5000cpm이고, 진폭이 3?7mm로 설정되어 청소 헤드의 고진동화에는 저절로 한계가 있다. 거기에서, 최근에는 복수의 기어를 조합시키거나(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스카치 요크 기구(scotch yoke mechanism)를 사용하거나(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영구자석과 코일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를 사용하거나(예를 들면 특허문헌3 참조.) 함으로써 청소 헤드의 진동수를 5000?11000cpm으로, 진폭을 0.2?1.0mm로 설정하는 소위 음파식 전동칫솔도 제안되어, 실용화되어 있다.
한편 구강내 세정장치로서, 피스톤의 왕복직선운동에 의하여 세정액을 토출 가능한 펌프와, 상기 피스톤을 구동하는 펌프 구동수단과, 세정액의 토출 노즐을 구비하고, 세정액을 노즐로부터 간헐적으로 분사시켜서 세정액에 의하여 치간(齒間; interdenal gaps)이나 치주 포켓(齒周 pocket; periodontal pockets) 등을 효율적으로 세정 가능한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도 널리 실용화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4 참조.).
또한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로서, 모터식 전동칫솔의 구동장치의 구동축에 접속 가능한 접속부재를 설치하고, 모터식 전동칫솔의 구동장치로 펌프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의 펌프 구동수단을 모터식 전동칫솔의 구동장치와 공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5 참조.).
국제공개 제2004/112536호 팸플릿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7-21579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2-176758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128252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161663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5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모터식 전동칫솔의 구동장치를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의 펌프 구동수단과 공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동칫솔의 구동장치를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의 펌프 구동수단으로서 공용시킴으로써, 이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하면서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를 이용할 수 있지만, 모터식 전동칫솔을 대신하여 음파식 전동칫솔의 구동장치를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에 접속하면, 구동축의 스트로크가 예를 들면 0.2?1.0mm로 짧으므로 세정액의 토출량을 충분하게 확보하지 못하고, 또한 진동수가 5000?11000cpm으로 높으므로 그대로의 진동수로 펌프의 피스톤을 왕복직선운동 시킬 수 없으므로 실용적이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음파식 전동칫솔에서는, 구동축의 스트로크가 짧으므로 피스톤식의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다이어프램식의 펌프에 있어서도 충분한 토출량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음파식 전동칫솔의 구동장치를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의 펌프 구동수단과 공용시키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고 생각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왕복직선운동의 진동수 및 진폭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진동수 조정장치와, 상기 진동수 조정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펌프 구동수단을 음파식 전동칫솔의 구동장치와 공용 가능하게 한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진동수 조정장치는, 입력측 회전부재 및 출력측 회전부재와, 입력측 회전부재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운동 만을 출력측 회전부재에 전달하는 단방향 클러치를 구비하고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에 의하여 입력측 회전부재를 설정각도만큼 왕복회전 시킴으로써 입력측 회전부재의 왕동운동 또는 복동운동 만을 단방향 클러치를 통하여 출력측 회전부재에 전달하여 출력측 회전부재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는 제1변환수단과, 상기 출력측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제2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변환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진동수 조정장치에서는, 제1축부재가 왕복직선운동 함으로써 제1변환수단의 입력측 회전부재가 설정각도만큼 왕복회전하고, 입력측 회전부재의 왕동운동 또는 복동운동 만이 단방향 클러치를 통하여 출력측 회전부재에 전달되어 출력측 회전부재가 일정 각도씩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변환수단에 의하여 이 출력측 회전부재의 회전이 제2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제1축부재가 복수회만큼 왕복직선운동 하여 출력측 회전부재가 1회전 할 때마다 제2축부재가 한번만 왕복직선운동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1축부재가 1회 왕복함으로써 출력측 회전부재가 30도만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축부재가 12회만 왕복직선운동 함으로써 제2축부재가 한번만 왕복직선운동 하게 되어, 제2축부재의 진동수를 제1축부재의 진동수의 1/12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 진동수 조정장치에서는, 제1변환수단으로서 단방향 클러치를 사용한 기계적으로 간단한 구성의 것을 채용함으로써 제2축부재의 진동수를 저렴하게 또한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변환수단으로서는, 크랭크 기구나 캠기구 등을 사용하여 출력측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제2축부재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게 되지만, 이 제2변환수단에 의하여 제2축부재의 진폭을 임의로 조정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변환수단에,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을 입력측 회전부재의 왕복회전으로 변환하는 레버 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다. 이 경우에는, 레버 부재의 레버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시에 있어서의 입력측 회전부재의 왕복회전의 각도를 조정하여, 제1축부재의 진동수와 제2축부재의 진동수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변환수단으로서, 상기 출력측 회전부재의 외주부에 제1기어를 형성하고, 이 제1기어와 교합하는 제2기어를 설치하고, 제2기어에 제2축부재를 왕복직선운동 시키는 편심캠을 설치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기어와 제2기어의 톱니의 수의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출력측 회전부재가 1회전 했을 때에 있어서의 제2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의 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편심캠의 편심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제2축부재의 진폭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는, 피스톤의 왕복직선운동에 의하여 세정액을 토출 가능한 펌프와, 상기 피스톤을 구동하는 펌프 구동수단과, 세정액의 토출 노즐을 구비한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로서, 상기 펌프 구동수단은, 상기 진동수 조정장치와, 왕복직선운동 하는 제1축부재를 구비하는 구동수단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에 의하여 입력측 회전부재를 설정각도만큼 왕복회전 시킴으로써 입력측 회전부재의 왕동운동 또는 복동운동 만을 단방향 클러치를 통하여 출력측 회전부재에 전달하여 출력측 회전부재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켜, 출력측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제2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2축부재로 피스톤을 왕복직선운동 시키는 것이다.
이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에서는, 구동수단 본체의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을 진동수 조정장치의 제2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으로 절환하고, 제2축부재에 의하여 펌프의 피스톤을 구동할 수 있다. 진동수 조정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의 진동수 및 진폭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고속으로 진동하는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을 제2축부재의 저속의 왕복직선운동으로 조정할 수 있고, 음파식 전동칫솔의 구동장치를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의 구동수단 본체로서 공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수단 본체를 음파식 전동칫솔의 구동장치와 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예다. 이렇게 구성하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음파식 전동칫솔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를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음파식 전동칫솔을 사용하고 있는 이용자가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를 도입할 때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축부재와 노즐을 동일 축선상에 배치할 수도 있다. 보통, 제1축부재는 음파식 전동칫솔의 교환 브러시와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고,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의 노즐에 관해서도 교환 브러시와 마찬가지로 구강내로 삽입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제1축부재와 노즐을 동일 축선상에 배치하여 교환 브러시와 같은 위치관계로 설치함으로써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의 사용할 때에 놓을 수 있어서의 노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핸들링용의 그립부보다도 상측에 펌프 및 세정액 탱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세정액 탱크를 그립부나 그것보다도 하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세정액 탱크로부터 펌프로의 세정액의 압력손실이나 펌프로부터 노즐로의 세정액의 압력손실이 커지게 되므로, 핸들링용의 그립부보다도 상측에 펌프 및 세정액 탱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와 상기 토출 노즐과 상기 진동수 조정장치를 구비하는 세정장치 본체에, 상기 구동수단 본체로서, 왕복직선운동 하는 제1축부재로서의 구동축을 구비한 전동칫솔의 구동장치를 착탈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세정장치 본체에, 상기 구동장치의 동력을 상기 제1변환수단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용 어태치먼트로서, 상기 구동장치의 제1축부재에 착탈하도록 결합고정 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축부재의 동력을 상기 제1변환수단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구동장치와 세정장치 본체를 제1축부재의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시켜서, 상기 구동장치의 제1축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동력전달부재의 상기 세정장치 본체에 대한 왕복직선운동의 현재위치를, 상기 구동장치에 대한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의 현재위치에 적합한 위치에 위치조정 하는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형태다.
이 경우에는, 전동칫솔의 구동장치의 구동축으로 이루어지는 제1축부재를, 어태치먼트의 동력전달부재의 결합부에 결합고정 시켜서 동력전달부재를 통하여 제1축부재의 동력을 세정장치 본체에 전달하게 되지만, 제1축부재를 동력전달부재의 결합부에 삽입결합 할 때에, 동력전달부재가 가압조작 되어서 동력전달부재가 상사점(上死點)측으로 이동한다고 하더라도, 위치조정수단에 의하여 구동장치와 세정장치 본체가 제1축부재의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하여 제1축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동력전달부재의 상기 세정장치 본체에 대한 왕복직선운동의 현재위치가, 상기 구동장치에 대한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의 현재위치에 적합한 위치에 위치조정 되어서, 구동장치에 대한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과 세정장치 본체에 대한 동력전달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의 동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이 동력전달용 어태치먼트에서는, 위치조정수단에 의하여 구동장치에 대한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과, 세정장치 본체에 대한 동력전달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의 동기를 원터치(one-touch)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동기조정을 위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제1축부재를 동력전달부재의 결합부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동력전달용 어태치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변환수단에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을 입력측 회전부재의 왕복회전으로 변환하는 레버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 부재의 단부에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다. 이 경우에는, 레버 부재의 레버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 시에 있어서의 입력측 회전부재의 왕복회전의 각도를 조정하고, 제1축부재의 진동수와 제2축부재의 진동수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정수단으로서, 상기 결합부에 대한 제1축부재의 결합조작에 의하여 압축되어서 상기 구동장치를 제1축부재의 이탈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수단과, 상기 제1가압수단에 의한 상기 이탈방향으로의 구동장치의 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세정장치 본체에 대한 적정위치에 상기 구동장치를 위치결정 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갖출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가압수단을 압축하면서 제1축부재를 동력전달부재의 결합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제1축부재를 확실하게 결합부에 결합고정 할 수 있다. 또한 제1축부재를 결합시킨 후에, 제1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의하여 구동장치가 제1축부재 및 동력전달부재와 함께 제1축부재의 이탈방향으로 이동하고, 위치결정수단에 의하여 구동장치가 세정장치 본체에 대한 적정위치에 위치결정 되어, 세정장치 본체에 대한 동력전달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의 현재위치가, 구동장치에 대한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의 현재위치에 적합한 위치에 조정되어서, 구동장치에 대한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과 세정장치 본체에 대한 동력전달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의 동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축부재와 함께 왕복직선운동 하는 동력전달부재를,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의 중심위치로 가압하는 제2가압수단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형태다. 이러한 제2가압수단을 설치하면 동력전달부재의 작동이 안정적이 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장치를, 상기 결합부에 대한 제1축부재의 결합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안내부에 따라 구동장치를 이동시킴으로써 결합부에 대하여 제1축부재를 용이하게 빼거나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진동수 조정장치에 의하면, 제1변환수단으로서 단방향 클러치를 사용하고 기계적으로 간단한 구성의 것을 채용함으로써 제2축부재의 진동수를 저렴하게 또한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변환수단으로서는, 크랭크 기구나 캠기구 등을 사용하여 출력측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제2축부재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게 되지만, 이 제2변환수단에 의하여 제2축부재의 진폭을 임의로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에 의하면, 진동수 조정장치에 의하여 제2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의 진동수 및 진폭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고속으로 진동하는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을, 제2축부재의 저속의 왕복직선운동으로 조정할 수 있어, 음파식 전동칫솔의 구동장치를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의 구동수단 본체로서 공용할 수 있다.
[도1]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의 사시도
[도2]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의 노즐의 설치위치에서의 단면도
[도3]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의 착탈 가능한 부분의 설명도
[도4]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의 기어의 설치위치에서의 단면도
[도5]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의 진동수 조정장치 및 펌프의 작동 설명도
[도6](a)는 도5의 a-a선 단면도,(b)는 도5의 b-b선 단면도
[도7]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의 진동수 조정장치 및 펌프의 작동 설명도
[도8](a)?(c)는 어태치먼트의 작동 설명도
[도9]연결통에 관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a)의 b-b선 단면도, (c)는 저면도, (d)는 사시도이다.
[도10]가압통에 관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a)의 b-b선 단면도, (c)는 저면도, (d)는 전반부를 절단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1)는, 세정장치 본체(2)와, 세정장치 본체(2)의 앞측에 착탈하도록 부착한 구동수단 본체로서의 구동장치(3)를 구비하고, 음파식 전동칫솔의 구동장치를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1)의 구동장치(3)로서 공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장치(3)가 부착되는 측을 앞측이라고 정의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구동장치(3)는, 왕복직선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제1축부재에 상당한다.)(10)과, 배터리(11)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12)와, 모터(12)의 회전축(12a)의 회전운동을 구동축(10)의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스카치 요크 기구(13)를 구비하고, 구동축(10)의 상단부에 교환 브러시(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를 착탈하도록 부착 가능하고 스카치 요크 기구(13)에 의하여 회전축(12a)이 1회전 할 때마다 구동축(10)이 1왕복 하도록 한 것으로서, 주지의 음파식 전동칫솔의 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구동장치(3)는, 구동축(10)을 왕복직선운동 하도록 구성한 것이면, 복수의 기어를 조합시키거나, 영구자석과 코일을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를 사용하거나 하여 구동축(10)의 진동수를 높여서 이루어지는 임의의 구성의 음파식 전동칫솔의 구동장치와 공용할 수도 있고, 구동축(10)의 진동수가 1500?5000cpm의 저진동수의 모터식 전동칫솔의 구동장치와 공용할 수도 있다.
세정장치 본체(2)는, 도1?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재(61)를 통하여 구동장치(3)의 구동축(10)의 동력을 세정장치 본체(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용 어태치먼트(60)와, 피스톤(20)의 왕복직선운동에 의하여 세정액을 토출 가능한 펌프(21)와, 동력전달부재(61)의 왕복직선운동을 펌프(21)에 적합한 진동수 및 진폭의 피스톤(20)의 왕복직선운동으로 절환하는 진동수 조정수단(22)과, 세정액을 저장하는 세정액 탱크(23)와, 세정액의 토출 노즐(24)을 구비하고, 토출 노즐(24)로부터 간헐적으로 토출되는 세정액에 의하여 치간이나 치면(tooth surface), 치주 포켓 등을 세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에서 진동수 조정수단(22)이 진동수 조정장치에 상당하고, 진동수 조정수단(22) 및 구동장치(3)가 펌프 구동수단에 상당한다.
세정장치 본체(2)의 프레임(25)의 상부에는 평면에서 볼 때 U자 모양의 말굽형의 세정액 탱크(23)가 착탈하도록 외부에서 결합하는 베이스부(26)가 형성되고, 프레임(25)의 하부에는 구동장치(3)의 뒤쪽을 따라 그 하단까지 연장되는 그립부(27)가 형성되고, 구동장치(3)를 그립부(27)와 함께 손으로 파지함으로써 세정장치(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토출 노즐(24)은, 중공파이프 모양의 주지의 워터픽용의 토출 노즐로 구성되어, 구동축(10)과 동축상으로 베이스부(26)의 상단부에 액체 밀봉 형태로 착탈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펌프(21)는, 베이스부(26)의 하부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원통 모양의 실린더(30)와, 실린더(3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액체 밀봉 형태로 내부에서 결합된 피스톤(20)과, 실린더(30)의 하단부의 입구부(31)를 개폐가능한 밸브부재(32)를 구비하고 있다. 펌프(21)에는, 세정액 탱크(23)의 하단부와 실린더(30)의 입구부(31)를 통하게 하는 공급관(33)과, 실린더(30)의 하부의 출구부(34)와 토출 노즐(24)을 통하게 하는 토출관(35)이 접속되어, 피스톤(2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밸브부재(32)가 개방되어서 세정액 탱크(23)내의 세정액이 공급관(33)을 통하여 실린더(30)내에 공급되고, 피스톤(2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밸브부재(32)가 폐쇄되어서 실린더(30)내의 세정액이 토출관(35)을 거쳐서 토출 노즐(24)로부터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진동수 조정수단(22)은, 구동축(10)과 함께 왕복직선운동 하는 동력전달부재(61)의 왕복직선운동을 출력측 회전부재(42)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변환수단(40)과, 출력측 회전부재(42)의 회전운동을 제2축부재(43)의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변환수단(50)을 구비하고 있다.
제1변환수단(40)은, 도5?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입력측 회전부재(41) 및 출력측 회전부재(42)와, 입력측 회전부재(41)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운동 만을 출력측 회전부재(42)에 전달하는 단방향 클러치(44)를 구비하고 있고, 입력측 회전부재(41)와 출력측 회전부재(42)와 단방향 클러치(44)는 베이스부(26)의 뒤쪽 상부내에 지축(45)을 통하여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1변환수단(40)에 대하여 설명하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롤러(도면에 나타내는 것는 생략한다)를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출몰(出沒)하도록 내주부에 설치하고, 링 모양의 주지의 구성의 단방향 클러치(44)가 설치되고, 원판 모양의 입력측 회전부재(41)의 중앙부에는 단방향 클러치(44)가 외부에서 결합하는 입력측 슬리브(41a)가 돌출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판모양의 출력측 회전부재(42)의 외주 근방부에는 단방향 클러치(44)에 외부에서 결합하는 출력측 슬리브(42a)가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입력측 회전부재(41)는 화살표(A)의 방향에 대하여는 상대회전 불가능하고, 화살표(A)와 반대방향에 대하여는 상대회전 가능하게 내부에서 단방향 클러치(44)에 결합되고, 출력측 회전부재(42)는 그 내주면에서 돌출하도록 형성한 돌기(42b)를 통하여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외부에서 단방향 클러치(44)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화살표(A)의 방향으로 입력측 회전부재(41)의 회전시에는, 단방향 클러치(44)를 통하여 입력측 회전부재(41)와 일체적으로 출력측 회전부재(42)가 회전하여 입력측 회전부재(41)의 회전력이 출력측 회전부재(42)에 전달되고, 화살표(A)와는 반대측으로 입력측 회전부재(41)의 회전시에는, 입력측 회전부재(41) 만이 회전하여 출력측 회전부재(42)에는 단방향 클러치(44)를 통하여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부(26)의 상부내에는 좌우방향의 피벗 지지축(4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 부재(47)가 설치되고, 레버 부재(47)의 전단부는, 구동축(10)에 일체적으로 외부에서 결합 가능한 동력전달부재(61)가 핀부재(48)를 통하여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레버 부재(47)의 도중부에는 제1변환수단(40)의 지축(45)을 회피하는 프레임부(47a)가 형성되고, 레버 부재(47)의 후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가늘고 긴 장공(47b)이 형성되어 있다. 입력측 회전부재(41)의 외주 근방부에는 장공(47b)에 결합하는 조작핀(49)이 세워서 설치되어 고정되고, 구동축(10)의 상하방향으로의 왕복직선운동에 의하여 레버 부재(47)가 피벗 지지축(4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피벗 지지축(46)과 조작핀(49) 사이의 길이(L1)와 피벗 지지축(46)과 핀부재(48) 사이의 길이(L2)의 비율에 따라, 구동축(10)의 진폭이 증폭되어서 레버 부재(47)의 후단부가 상하로 왕복운동 하고, 입력측 회전부재(41)가 화살표(B)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47)의 후단부의 진폭에 따른 각도만큼 왕복회전 하면, 출력측 회전부재(42)가 단방향 클러치(44)를 통하여 화살표(A)의 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입력측 회전부재(41)에 장공(47b)을 형성하고, 레버 부재(47)에 조작핀(49)을 설치할 수도 있다.
제2변환수단(50)에 대하여 설명하면, 출력측 회전부재(42)의 외주부에는 제1기어(51)가 형성되고, 출력측 회전부재(42)의 하측에는 제1기어(51)와 교합하는 제2기어(52)가 핀부재(53)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제2기어(52)에는 원기둥 모양의 편심캠(54)이 핀부재(53)에 대하여 일정 거리(L3)만큼 편심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펌프(21)의 피스톤(20)을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제2축부재(43)의 상단부에는 회전하도록 외부에서 편심캠(54)에 결합하는 통부(55)가 형성되고, 제2기어(52)가 핀부재(53)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핀부재(53)에 대한 편심캠(54)의 편심거리(L3)의 2배의 진폭으로 제2축부재(43) 및 피스톤(20)이 상하방향으로 왕복직선운동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강내 세정장치(1)에서는, 제1변환수단(40)의 레버 부재(47)의 길이(L1, L2)의 비율과, 조작핀(49)과 지축(45) 사이의 거리(L4)와, 제1기어(51)와 제2기어(52)의 톱니 수의 비율에 따라, 제1축부재의 진동수와 제2축부재(43)의 진동수의 비율을 설정할 수 있고, 또 피스톤(20)의 왕복직선운동의 진폭은 편심캠(54)의 편심거리(L3)의 2배의 거리가 되므로, 구동축(10)의 진동수가 5000?11000cpm이고 진폭이 0.2?1.0mm인 음파식 전동칫솔이더라도 그 구동장치를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1)의 구동장치(3)로서 공용할 수 있다. 다만, 펌프(21)와 진동수 조정수단(22)과 세정액 탱크(23)와 토출 노즐(24)은, 도1?도7에 나타내는 이외의 구성의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동력전달용 어태치먼트(60)는, 도1?도5, 도7?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동장치(3)의 구동축(10)에 착탈하도록 결합고정 되는 결합부(62)를 구비하고, 구동축(10)의 동력을 세정장치 본체(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61)와, 구동장치(3)와 세정장치 본체(2)를 구동축(10)의 축방향(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 시켜서 구동장치(3)의 구동축(10)와 함께 이동하는 동력전달부재(61)에 있어서 세정장치 본체(2)에 대한 왕복직선운동의 현재위치를 구동장치(3)에 대한 구동축(10)의 왕복직선운동의 현재위치에 적합한 위치로 위치조정 하는 위치조정수단(63)을 구비하고 있다.
위치조정수단(63)은, 구동장치(3)를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좌우 1쌍의 안내부(64)와, 결합부(62)에 대한 구동축(10)의 결합조작에 의하여 압축되어서 구동장치(3)를 구동축(10)의 이탈방향(도5에서는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수단(65)과, 제1가압수단(65)에 의한 이탈방향으로 구동장치(3)의 이동을 저지하여 세정장치 본체(2)에 대한 적정위치에 구동장치(3)를 위치결정 하는 위치결정수단(66)을 구비하고 있다.
안내부(64)는, 세정장치 본체(2)의 그립부(27)의 앞측에 배치되는 구동장치(3)를 따라 그립부(27)의 좌우 양 측부에서 앞측으로 원호 모양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구동장치(3)는, 좌우의 안내부(64) 사이에 하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된다. 다만, 이 안내부(64)는 생략할 수도 있다.
제1가압수단(65)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5, 도7?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동장치(3)와 대면하는 베이스부(26)의 전부(前部)(46a)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지지통부(67)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지지통부(67)의 높이방향의 도중부에는 훅부(67a)가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지지통부(67)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통(68)이 결합 오목부(68a)에 훅부(67a)를 결합시켜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외부에서 결합고정 되어 있다. 지지통부(67)의 기단부와 연결통(68)의 상단부간에는 O링(69)이 끼워지고, 연결통(68)은 지지통부(67)에 대하여 O링(69)을 사이에 두고 수밀(水密)하게 외부에서 결합되어 있다.
지지통부(67) 및 연결통(68)의 중앙부를 상하방향으로 삽입하도록 동력전달부재(61)가 설치되고, 연결통(68)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환상의 지지부(68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지지부(68b)와 지지통부(67)의 하단부간에는 원반 모양의 고무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가압수단(70)이 설치되고, 동력전달부재(61)의 도중부는 제2가압수단(70)의 중앙부에 관통고정 되어 있다. 이 제2가압수단(70)에 의하여 동력전달부재(61)가 왕복직선운동의 중앙위치로 항상 가압됨과 아울러 지지통부(67) 및 연결통(68)과 동력전달부재(61) 사이의 간격(틈)이 액체 밀봉 형태로 폐쇄되어 있다.
연결통(68)의 외주면의 높이방향의 도중부에는 환상홈(68c)이 형성되고, 연결통(68)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안내홈(68d)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연결통(68)에는 원통 모양의 가압통(71)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 결합되고, 가압통(71)의 내주면에는 상하이동 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결합돌기(71a)가 환상홈(68c)에 형성됨과 아울러 가압통(71)의 내주면에는 안내홈(68d)에 결합하는 돌출부(7lb)가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가압통(71)은 연결통(68)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상대이동 불가능하고 또한 환상홈(68c)의 홈폭분만큼 상하이동 할 수 있도록 외장되어 있다. 가압통(71)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수용부(71c)가 형성되고, 연결통(68)의 지지부(68b)와 가압통(71)의 수용부(71c)간에는 가압통(71)을 항상 하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7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프링 부재(72)를 대신하여 우레탄 고무 등의 합성 고무나, 에어 쿠션 등의 쿠션재 등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치결정수단(66)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1?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립부(27)의 하부의 전면에는 결합 오목부(73)가 형성되고, 구동장치(3)의 케이싱(14)의 후면에는 결합 오목부(73)에 결합하는 돌기(74)가 형성되고, 구동장치(3)는, 돌기(74)가 결합 오목부(73)에 결합함으로써 세정장치 본체(2)에 구동축(10)의 축방향(높이방향)의 적정위치에 대하여 위치결정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립부(27)의 하단부에는 브래킷부(27a)가 후방으로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고, 브래킷부(27a)에는 구동장치(3)의 하단부를 지지 가능한 홀더 부재(75)가 피벗 지지핀(76)을 중심으로, 도2에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지지위치와 도3에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개방위치에 걸쳐서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부(27a)와 홀더 부재(75) 사이에 있어서 피벗 지지핀(76)에는 트위스티드 스프링(twisted spring)(79)이 외장되고, 홀더 부재(75)는 트위스티드 스프링(79)에 의하여 개방위치측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다. 브래킷부(27a)에는 해제 버튼(77)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해제 버튼(77)은 스프링 부재(78)에 의하여 상방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다. 홀더 부재(75)에는 결합폴(75a)이 형성되고, 해제 버튼(77)에는 결합폴(75a)이 결합 가능한 결합구멍(7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개방위치로부터 홀더 부재(75)를 지지위치측으로 조작하면,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폴(75a)이 결합구멍(77a)에 결합하여 홀더 부재(75)가 지지위치에 지지되고, 결합 오목부(73)로부터 돌기(74)가 이탈하지 않도록 구동장치(3)의 하단부가 홀더 부재(75)에 대하여 하방 및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된다. 한편 해제 버튼(77)을 가압하는 조작을 하면,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구멍(77a)에 대한 결합폴(75a)의 결합이 해제되고, 트위스티드 스프링(79)의 가압력에 의하여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홀더 부재(75)가 개방위치로 회전하고, 이 상태에서 구동장치(3)를 세정장치 본체(2)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게 된다.
이 동력전달용 어태치먼트(60)에서는, 세정장치 본체(2)에 구동장치(3)를 조립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가압수단(65)에 의하여 가압통(71)이 하측으로 돌출한 상태가 되고, 동력전달부재(61)는 제2가압수단(70)에 의하여 상하방향의 왕복직선운동의 중앙위치에 지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도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동칫솔의 구동장치(3)의 구동축(10)의 환상홈(30a)이 어태치먼트(60)의 동력전달부재(61)의 환상돌기(61a)에 결합할 때까지, 구동축(10)을 결합부(62)에 삽입하고, 구동장치(3)의 케이싱(14)으로 가압통(71)을 상측으로 밀어 올려서 제1가압수단(65)을 압축하면서, 동력전달부재(61)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조작을 하여 구동축(10)을 동력전달부재(61)의 결합부(62)에 결합고정 하게 된다. 이 때에, 구동축(10)은 구동장치(3)와는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지만, 동력전달부재(61)는 세정장치 본체(2)와 상대이동 하여 상사점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구동장치(3)를 가압하는 조작을 하는 것을 느슨하게 하면, 도8(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가압수단(65)의 가압력에 의하여 구동장치(3)의 케이싱(14)의 돌기(74)가 결합 오목부(73)에 결합될 때까지 구동장치(3)가 하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동력전달부재(61)가 구동장치(3)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고, 구동장치(3)의 케이싱(14)이 결합 오목부(73)에 결합된 상태에서, 세정장치 본체(2)에 대한 동력전달부재(61)의 왕복직선운동의 현재위치가 구동장치(3)에 대한 구동축(10)의 왕복직선운동의 현재위치에 적합한 위치에 위치조정 되어서, 구동장치(3)에 대한 구동축(10)의 왕복직선운동과 세정장치 본체(2)에 대한 동력전달부재(61)의 왕복직선운동의 동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이 동력전달용 어태치먼트(60)에서는, 전동칫솔의 구동장치(3)를 세정장치 본체(2)의 구동장치로서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하면서, 전동칫솔 및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1)의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위치조정수단(63)에 의하여 구동장치(3)에 대한 구동축(10)의 왕복직선운동과, 세정장치 본체(2)에 대한 동력전달부재(61)의 왕복직선운동의 동기를 원터치로 잡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기조정을 위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구동축(10)을 동력전달부재(61)의 결합부(62)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 세정장치 본체(2)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진동수 조정장치를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1)의 진동수 조정수단(22)에 적용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진동수 조정장치는, 왕복직선운동의 진동수나 진폭을 변경할 필요한 있는 각종 기기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1 :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 2 : 세정장치 본체, 3 : 구동장치
10 : 구동축, 11 : 배터리, 12 : 모터, 12a : 회전축
13 : 스카치 요크 기구, 14 : 케이싱, 20 : 피스톤, 21 : 펌프
22 : 진동수 조정수단, 23 : 세정액 탱크, 24 : 토출 노즐,
25 : 프레임, 26 : 베이스부, 26a : 전부, 27 : 그립부,
27a : 브래킷부, 30 : 실린더, 30a : 환상홈, 31 : 입구부
32 : 밸브부재, 33 : 공급관, 34 : 출구부, 35 : 토출관
40 : 제1변환수단, 41 : 입력측 회전부재, 41a : 입력측 슬리브
42 : 출력측 회전부재, 42a : 출력측 슬리브, 42b : 돌기
43 : 제2축부재, 44 : 단방향 클러치, 45 : 지축
46 : 피벗 지지축, 47 : 레버 부재, 47a : 프레임부
47b : 장공, 48 : 핀부재, 49 : 조작핀, 50 : 제2변환수단
51 : 제1기어, 52 : 제2기어, 53 : 핀부재, 54 : 편심캠
55 : 통부, 60 : 동력전달용 어태치먼트, 61 : 동력전달부재
61a : 환상돌기, 62 : 결합부, 63 : 위치조정수단,
64 : 안내부, 65 : 제1가압수단, 66 : 위치결정수단
67 : 지지통부, 67a : 훅부 68 : 연결통, 68a : 결합 오목부
68b : 지지부, 68c : 환상홈, 68d : 안내홈, 69 : 링
70 : 제2가압수단, 71 : 가압통, 71a : 결합돌기, 7lb : 돌출부
71c : 수용부, 72 : 스프링 부재 73 : 결합 오목부, 74 : 돌기
75 : 홀더 부재, 75a : 결합폴, 76 : 피벗 지지핀, 77 : 해제 버튼
77a : 결합구멍, 78 : 스프링 부재, 79 : 트위스티드 스프링

Claims (12)

  1. 입력측 회전부재(入力側 回轉部材) 및 출력측 회전부재(出力側 回轉部材)와, 입력측 회전부재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운동 만을 출력측 회전부재에 전달하는 단방향 클러치(單方向 clutch)를 구비하고, 제1축부재(第1軸部材)의 왕복직선운동(往復直線運動)에 의하여 입력측 회전부재를 설정각도(設定角度)만큼 왕복회전 시킴으로써 입력측 회전부재의 왕동운동(往動運動) 또는 복동운동(復動運動) 만을 단방향 클러치(單方向 clutch)를 통하여 출력측 회전부재에 전달하여 출력측 회전부재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는 제1변환수단(第1變換手段)과,
    상기 출력측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제2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 조정장치(振動數 調整裝置).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환수단에,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을 입력측 회전부재의 왕복회전으로 변환하는 레버 부재(lever部材)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 조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환수단으로서, 상기 출력측 회전부재의 외주부(外周部)에 제1기어를 형성하고, 이 제1기어와 교합(咬合)하는 제2기어를 설치하고, 제2기어에 제2축부재를 왕복직선운동 시키는 편심캠(偏心cam)을 설치한 것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수 조정장치.
  4. 피스톤의 왕복직선운동에 의하여 세정액을 토출 가능한 펌프(pump)와, 상기 피스톤을 구동하는 펌프 구동수단(pump 驅動手段)과, 세정액(洗淨液)의 토출 노즐(吐出手段)을 구비한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水流式 口腔內 洗淨裝置)로서,
    상기 펌프 구동수단은, 상기 제1항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진동수 조정장치와, 왕복직선운동 하는 제1축부재를 구비하는 구동수단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에 의하여 입력측 회전부재를 설정각도만큼 왕복회전 시킴으로써 입력측 회전부재의 왕동운동 또는 복동운동 만을 단방향 클러치를 통하여 출력측 회전부재에 전달하여 출력측 회전부재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켜, 출력측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제2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2축부재로 피스톤을 왕복직선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 본체를 음파식 전동칫솔의 구동장치와 공용(共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부재와 노즐을 동일 축선상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
  7. 제4항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링용의 그립부(grip部)보다도 상측에 펌프 및 세정액을 저장하는 세정액 탱크(洗淨液 tank)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
  8. 제4항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상기 토출 노즐과 상기 진동수 조정장치를 구비하는 세정장치 본체에, 상기 구동수단 본체로서, 왕복직선운동 하는 제1축부재로서의 구동축을 구비한 전동칫솔의 구동장치를 착탈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세정장치 본체에, 상기 구동장치의 동력을 상기 제1변환수단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용 어태치먼트(動力傳達用 attachment)로서, 상기 구동장치의 제1축부재에 착탈하도록 결합고정 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축부재의 동력을 상기 제1변환수단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구동장치와 세정장치 본체를 제1축부재의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시켜서, 상기 구동장치의 제1축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동력전달부재의 상기 세정장치 본체에 대한 왕복직선운동의 현재위치를, 상기 구동장치에 대한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의 현재위치에 적합한 위치에 위치조정 하는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환수단에, 제1축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을 입력측 회전부재의 왕복회전으로 변환하는 레버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 부재의 단부(端部)에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수단으로서, 상기 결합부에 대한 제1축부재의 결합조작에 의하여 압축되어서 상기 구동장치를 제1축부재의 이탈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수단과, 상기 제1가압수단에 의한 상기 이탈방향으로의 구동장치의 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세정장치 본체에 대한 적정위치에 상기 구동장치를 위치결정 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
  11. 제8항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부재와 함께 왕복직선운동 하는 동력전달부재를,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왕복직선운동의 중심위치로 가압하는 제2가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
  12. 제8항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를, 상기 결합부에 대한 제1축부재의 결합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
KR1020127006730A 2009-08-17 2010-08-09 진동수 조정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 KR101675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88411 2009-08-17
JPJP-P-2009-188411 2009-08-17
JP2010143299 2010-06-24
JPJP-P-2010-143299 2010-06-24
PCT/JP2010/063476 WO2011021523A1 (ja) 2009-08-17 2010-08-09 振動数調整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流式口腔内洗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685A true KR20120069685A (ko) 2012-06-28
KR101675356B1 KR101675356B1 (ko) 2016-11-11

Family

ID=4360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730A KR101675356B1 (ko) 2009-08-17 2010-08-09 진동수 조정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70408B2 (ko)
EP (1) EP2468213B1 (ko)
JP (1) JP5527323B2 (ko)
KR (1) KR101675356B1 (ko)
CN (1) CN102596096B (ko)
CA (1) CA2771397C (ko)
ES (1) ES2795042T3 (ko)
WO (1) WO20110215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836A (ko) * 2020-09-16 2022-03-23 나이스필 메디칼 디바이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구강세정기용 물 펌핑장치 및 구강세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15698B1 (en) 2006-04-20 2017-11-15 Sonendo, Inc. Apparatus for treating root canals of teeth
US7980854B2 (en) 2006-08-24 2011-07-19 Medical Dental Advanced Technologies Group, L.L.C. Dental and medical treatments and procedures
CA2780800C (en) 2009-11-13 2023-09-12 Sonendo, Inc. Liquid jet apparatus and methods for dental treatments
US20140322667A1 (en) * 2011-12-23 2014-10-30 Koninklijke Philips N.V. Oral teeth cleaning appliance with time-sequenced, customizable liquid bursts
WO2013142385A1 (en) 2012-03-22 2013-09-26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ting teeth
TR201819156T4 (tr) * 2012-08-31 2019-01-21 Koninklijke Philips Nv Ayarlanabilir bir fırça başlığı düzeneği sistemine sahip elektrikli diş fırçası.
EP3572036B1 (en) 2012-12-20 2021-05-26 Sonendo, Inc. Apparatus for cleaning teeth and root canals
US9877801B2 (en) 2013-06-26 2018-01-30 Sonend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filling teeth and root canals
GB2538306B (en) 2015-05-15 2017-09-20 Dyson Technology Ltd Cleaning appliance
EP3294197B1 (en) 2015-05-15 2020-04-22 Dyson Technology Limited Dental cleaning appliance and tool
GB2538304B (en) 2015-05-15 2017-11-22 Dyson Technology Ltd Cleaning appliance
US20170079754A1 (en) * 2015-09-22 2017-03-23 Kreigh SEDILLO Apparatus for tooth stain removal
JP6721684B2 (ja) * 2015-12-08 2020-07-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クランクシャフト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口腔ヘルスケア器具ならびに口腔ヘルスケア器具のためのクランクシャフト作動をもたらす方法
GB2554402B (en) * 2016-09-26 2018-10-24 Dyson Technology Ltd Cleaning appliance
GB2555417B (en) 2016-10-26 2020-01-22 Dyson Technology Ltd Cleaning Appliance
GB2555418B (en) 2016-10-26 2019-03-06 Dyson Technology Ltd Cleaning Appliance
GB2575022B (en) * 2018-06-20 2020-09-30 Dyson Technology Ltd Dental treatment appliance
GB2574859B (en) * 2018-06-20 2020-10-28 Dyson Technology Ltd Motorised toothbrush with fluid delivery
GB2576343B (en) * 2018-08-15 2021-03-17 Dyson Technology Ltd Pump assembly
JP7203338B2 (ja) * 2019-01-21 2023-01-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口腔洗浄装置
CN110082053B (zh) * 2019-06-05 2023-11-10 中国工程物理研究院总体工程研究所 适用于加速度环境下的基于内嵌式液压缸的宽频激振系统
CN110176809A (zh) * 2019-07-04 2019-08-27 上海飞科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接收端线圈支架及电动剃须刀
EP4003220A1 (en) * 2019-07-30 2022-06-01 Koninklijke Philips N.V. Cantilever-type pump for an oral irrigator
CN110360290A (zh) * 2019-08-21 2019-10-22 广东海泰金属制品有限公司 变速输出的凸轮杠杆动力装置
USD997355S1 (en) 2020-10-07 2023-08-29 Sonendo, Inc. Dental treatment instrument
CN114652473B (zh) * 2022-03-18 2024-04-02 深圳瑞科时尚电子有限公司 用于口腔护理装置的活塞驱动组件及口腔护理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663A (ja) 1991-12-11 1993-06-29 Toshiba Corp 口腔洗浄装置
JPH0833656A (ja) * 1994-07-26 1996-02-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口腔洗浄器
JPH11128252A (ja) 1997-10-28 1999-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口腔洗浄器
JP2002176758A (ja) 2000-09-29 2002-06-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ニアオシレータ及び電動歯ブラシ
JP2002534209A (ja) * 1999-01-13 2002-10-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電動歯ブラシ用の流体分与・補充システム
WO2004112536A1 (ja) 2003-06-20 2004-12-29 Sunstar Inc. 電動歯ブラシ
JP2007215796A (ja) 2006-02-17 2007-08-30 Sanyo Electric Co Ltd 電動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15833E (en) * 1924-05-06 ok trot
US1985406A (en) * 1934-01-04 1934-12-25 Nathan B Galkin Intermittent driving mechanism
NL110211C (ko) * 1958-08-18
US4146020A (en) * 1976-07-09 1979-03-27 Les Produits Associes Lpa Power handle for hydraulic toothbrush-spray appliance
DE3937854A1 (de) * 1989-11-14 1991-05-16 Braun Ag Elektrisch antreibbare zahnbuerste
US4979503A (en) * 1989-12-01 1990-12-25 Hydrodent Laboratories Inc. Hand-held oral irrigating device
US6606935B2 (en) * 2000-11-16 2003-08-19 Cds John Blue Company Variable rate pump
US7147468B2 (en) * 2002-12-31 2006-12-12 Water Pik, Inc. Hand held oral irrigator
US7670141B2 (en) * 2006-07-07 2010-03-02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JP4991202B2 (ja) * 2006-07-31 2012-08-01 彰一郎 山中 電動歯ブラシ及びこれを備えた口腔内洗浄装置
EP2572104A4 (en) * 2010-05-19 2015-11-25 Graco Minnesota Inc SPARE RAIL FOR A PISTON PUMP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663A (ja) 1991-12-11 1993-06-29 Toshiba Corp 口腔洗浄装置
JPH0833656A (ja) * 1994-07-26 1996-02-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口腔洗浄器
JPH11128252A (ja) 1997-10-28 1999-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口腔洗浄器
JP2002534209A (ja) * 1999-01-13 2002-10-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電動歯ブラシ用の流体分与・補充システム
JP2002176758A (ja) 2000-09-29 2002-06-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ニアオシレータ及び電動歯ブラシ
WO2004112536A1 (ja) 2003-06-20 2004-12-29 Sunstar Inc. 電動歯ブラシ
JP2007215796A (ja) 2006-02-17 2007-08-30 Sanyo Electric Co Ltd 電動歯ブラ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836A (ko) * 2020-09-16 2022-03-23 나이스필 메디칼 디바이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구강세정기용 물 펌핑장치 및 구강세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8213A4 (en) 2017-10-25
US9370408B2 (en) 2016-06-21
ES2795042T3 (es) 2020-11-20
US20120156641A1 (en) 2012-06-21
EP2468213A1 (en) 2012-06-27
JP5527323B2 (ja) 2014-06-18
CN102596096A (zh) 2012-07-18
WO2011021523A1 (ja) 2011-02-24
CN102596096B (zh) 2014-11-19
JPWO2011021523A1 (ja) 2013-01-24
KR101675356B1 (ko) 2016-11-11
EP2468213B1 (en) 2020-05-13
CA2771397A1 (en) 2011-02-24
CA2771397C (en)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9685A (ko) 진동수 조정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수류식 구강내 세정장치
US11399925B2 (en) Wirelessly controlled oral irrigator
EP0812163B1 (en) Dental cleaning device and attachment for such a device
CN108601443B (zh) 电动牙刷
RU2009147221A (ru) Приводной инструмент
WO2007032894A3 (en) Motorized flosser and method of use
GB2431098A (en) Mechanical toothbrush
WO2018199081A1 (ja) 電動歯ブラシ
CN214073711U (zh) 一种u形电动牙刷
CN210095967U (zh) 一种自来水压电动摆动冲牙器
JP5589998B2 (ja) 動力伝達用アタッチメント
KR20110066295A (ko) 치아 세정장치
CN112437647B (zh) 用于牙齿处理器具的泵组件
CN212429116U (zh) 冲牙器液泵装置
CN216724828U (zh) 一种冲牙器结构
CN217510636U (zh) 减震式可视刷头构件及电动牙刷
CN210962401U (zh) 多功能牙用护理器具
CN116602629B (zh) 可调式牙齿扫描仪及其使用方法
CN219176506U (zh) 水泵组件及冲牙器
KR102020865B1 (ko) 치아 끝 방향으로만 닦아내는 전동칫솔
US20240041579A1 (en) Integrated oral care apparatus
CN113440292A (zh) 一种可以基于需求随时补给牙膏的智能电动牙刷
JPS60891Y2 (ja) 口腔衛生器の可動歯ブラシ
CN111577565A (zh) 冲牙器液泵装置
JPH07116021A (ja) 電動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