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200A -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200A
KR20120068200A KR1020100129712A KR20100129712A KR20120068200A KR 20120068200 A KR20120068200 A KR 20120068200A KR 1020100129712 A KR1020100129712 A KR 1020100129712A KR 20100129712 A KR20100129712 A KR 20100129712A KR 20120068200 A KR20120068200 A KR 20120068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reinforcement
embedded
connection
conn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7680B1 (ko
Inventor
이승수
신영완
Original Assignee
(주)하경엔지니어링
이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경엔지니어링, 이승수 filed Critical (주)하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129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6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8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0Piles comprising both precast concrete portions and concrete portion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하부측에 현장타설파일부를 형성하고, 상부측에 기성제품의 매입파일부를 형성하며, 그 사이에는 이들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설치하여 시공되는 혼합말뚝을 제작 또는 시공함에 있어서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다양한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보강재는 유공강관, 형강보강재, 목재, 선형보강재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보강재와 매입파일부의 연결은 전단연결재, 볼트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CONNECTION METHOD FOR CAST-IN-PLACE CONCRETE PILE AND DRILLED PILE}
본 발명은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하부측에 현장타설파일부를 형성하고, 상부측에 기성제품의 매입파일부를 형성하며, 그 사이에는 이들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설치하여 시공되는 혼합말뚝을 제작 또는 시공함에 있어서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다양한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뚝은 연약한 지반에서 구조물을 거치할 때 부족한 지지력을 보완하기 위하여, 높은 강도의 깊은 지반에 하중을 전달할 때 사용되는 구조체이다.
이러한 말뚝의 대표적인 공법은 내부를 굴착하여 철근보강재를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현장타설말뚝과 역시 내부를 굴착하여 기성제품(PHC파일 또는 강관파일)을 삽입하는 매입말뚝공법이 있다.
이 때 현장타설말뚝은 내부를 굴착하고 일종의 보강재로써 철근망을 삽입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을 형성시키므로 대구경(φ800mm 이상)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때 만약 대구경이 아닌 중구경 이하의 말뚝에 있어서는 통상의 기성제품(PHC말뚝, (원형)강관파일)을 이용한 매입말뚝이 주로 적용되어 효율적인 지반의 지지력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에 하부는 지지력 확보가 용이한 현장타설말뚝을, 상부는 시공성 및 품질확보가 용이한 매입말뚝을 적용한 혼합말뚝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혼합말뚝은 두 공법의 효율적인 연결방법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중구경(φ300~600mm) 말뚝시공에 있어서 현장타설말뚝의 지지력 확보가 용이한 장점과 기성제품(PHC말뚝, (원형)강관파일)을 이용한 매입파일부의 장점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매입파일부 시공에 따른 지지력 손실도 보완할 수 있도록 개발된 혼합말뚝에서 현장타설말뚝과 매입말뚝부의 효율적인 연결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중에 설치되는 파일에 있어서,
지반을 천공하여 형성된 천공홀에 하부는 높은 지지력 확보가 용이한 현장타설파일부를, 상부측은 PHC말뚝 또는 (원형)강관파일을 포함하는 기성제품인 매입파일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를 결합한 혼합말뚝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현장타설파일부에는 철근망조립체를 포함한 다양한 보강재가 삽입되는데 이러한 보강재와 매입파일부를 효과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혼합말뚝을 시공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현장타설파일부는 현장타설콘크리트에 삽입되는 보강재가 내부에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보강재의 상단에는 지압판을 포함하는 연결수단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수단이 매입파일부의 하단에 연결되도록 하였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보강재는
상면에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지압판인 연결수단과 일체로 형성된 유공강관보강재;
상면에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지압판인 연결수단과 일체로 형성된 I형 또는 ㄷ형강을 포함하는 형강보강재;
상면에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지압판인 연결수단과 일체로 형성된 목재(대나무 등)로 제작한 목재보강재; 또는
상면에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지압판인 연결수단과 일체로 형성된 철근 또는 FRP바로 제작한 선형보강재;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의 보강재를 이용하되 이러한 보강재가 기성제품인 매입파일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시공되도록 하였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보강재 하면에는 필요에 따라 보강플레이트 또는 몰탈블록을 일체로 더 형성되도록 하여 시공중 현장타설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까지 매입말뚝의 자중을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연결수단과 PHC 말뚝인 매입파일부의 연결은,
연결수단인 지압판에 형성시킨 볼트구멍에 볼트부가 삽입되어 매입파일부의 하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된 볼트구멍까지 연장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볼트연결;
연결수단인 지압판에 형성시킨 핀구멍에 하단걸림쐐기부가 삽입되고 상기 하단걸림쐐기부와 일체로 형성된 상단볼트부가 매입파일부의 하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된 볼트구멍까지 연장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고정핀연결;
연결수단인 지압판에 형성시킨 회전핀구멍에 회전이 가능한 핀이 연결되고, 상기 지압판에 일체로 설치된 고리형태의 클램프부가 매입파일부의 하단 연결플레이트의 외측면에 형성시킨 파여진 홈 형태의 걸림구멍에 걸려지도록 하는 고정핀연결;
연결수단인 지압판과 매입파일부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플레이트를 서로 용접에 의하여 연결시킨 용접연결;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는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연결수단과 PHC 말뚝인 매입파일부의 연결은
현장타설파일부의 보강재로써 철근망조립체가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철근망조립체는 매입파일부의 중공부까지 연장되도록 하며, 상기 매입파일부의 하부에는 중공부까지 연장된 횡방향 전단연결재가 상하방향으로 다수 이격 형성되도록 하여, 현장타설콘크리트가 상기 전단연결재가 설치된 매입파일부의 중공부에 채워져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연결수단과 원형강관인 매입파일부의 연결은
매입파일부인 원형강관의 하부 내측면에 스터드를 다수 형성시키고, 현장타설파일부의 연결수단이 원형강관의 하면 내측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며 현장타설파일부의 보강재가 상기 스터드 형성높이까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현장타설콘크리트가 매입파일부의 중공부에 채워져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보강재의 연결수단 상면에 다수의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이 매입파일부인 원형강관의 하면 주위의 내측면을 따라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며 현장타설콘크리트가 매입파일부의 중공부에 채워져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중구경(φ300~600mm)으로 시공되는 말뚝의 선단에서 일정높이(풍화암층 또는 연암층 1~2m)까지는 현장타설파일부을 적용하여 지지력을 극대화시키고, 현장타설파일부 상부는 기성제품인 매입파일부(PHC파일 또는 (원형)강관파일)를 적용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구조적인 품질보증과 시공성 향상을 도모하고, 경제적으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혼합말뚝에서 상기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를 일체화 함에 있어 다양한 연결예를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인 상기 혼합말뚝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파일부과 매입파일부을 결합한 혼합말뚝을 도시한 종단면도 및 지반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a, 도 3b, 도 3c, 도3d 및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의 정면도 및 횡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와 매입파일부(PHC파일)의 연결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 현장타설파일부(110)와 매입파일부(130)를 결합한 혼합말뚝(100) >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파일부(100)와 매입파일부(130)를 결합한 혼합말뚝(100)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에 현장타설파일부(110)가 형성되고, 그 상부측에 매입파일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현장타설파일부(110)의 상단과 매입파일부(130)의 하단 사이에는 이들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160)을 구비한다.
상기 현장타설파일부(110)는 지반(G)을 천공하여 형성된 구멍(Ga) 내에 삽입되는 철근조립망(114)을 포함하는 보강재(200)를 구비하고, 상기 철근조립망(114)이 구멍(Ga) 내에서 매립되도록 하는 현장타설콘크리트(116)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매입파일부(130)는 상단부가 개방된 PHC(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파일 또는 (원형)강관파일을 포함하며, 연결수단(160)을 통하여 현장타설파일부(110)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160)은 예컨대 현장타설파일부(110)의 상단에 배치되는 철제 고리원판으로 이루어진 높은 강성의 지압판(162)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지압판(162)은 철제 고리원판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중앙에는 관통공(166)이 형성되며, 그 하부면에는 볼트식 또는 용접식으로 현장타설파일부(110)의 보강재인 철근조립망(114)이 일체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연결수단인 지압판(162)은 상기 현장타설파일부(110)의 상단과 매입파일부(130)의 하단 사이에서 상기 매입파일부(130) 하단의 연결플레이트(136)에 볼트식 또는 용접식으로 일체화하여 연결되며,
상기 매입파일부(130)에 의한 하중을 현장타설파일부(110)의 전면에 원할하게 전달시키게 되고, 그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66)을 통하여 현장타설파일부(110)의 현장타설콘크리트(116)가 매입파일부(130)의 내부에 일정높이 충전되어 상기 현장타설파일부(110)와 매입파일부(130)가 서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현장타설파일부(110)는 그 철근조립망(114)이 현장타설파일부(110)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116)가 양생 되어 강도를 발현하기 전까지 상기 매입파일부(130)의 자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 이상이고, 지반(G)에 소정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철근조립망(114)의 하단에는 보강플레이트(250)로써 철제 보강링(122)이 일체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보강링(122)은 상기 매입파일부(130)의 자중에 의한 하중에 대해 현장타설파일부(110)가 양생되기 전까지 지지력을 확보하고 철근조립망(114)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를 결합한 혼합말뚝(100)은 예컨대 중구경(φ300~600mm)을 갖추고, 그 선단에서 일정높이까지 현장타설파일부(110)를 적용하여 지지력을 극대화시키고, 그 상부는 기성제품, 즉 PHC말뚝 또는 (원형)강관파일과 같은 매입파일부(130)를 적용하도록 시공될 수 있다.
< 현장타설파일부(110)의 보강재(200) >
도 1에 의한 혼합파일(100)의 현장타설파일부(110)는 보강재(200)로써 철근조립망(114)이 매립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외에도 다양한 보강재(200)의 제공이 가능하다.
즉, 도 2a에 의하면 보강재(200)로서, 유공관(210)이 이용됨을 알 수 있다. 즉, 유공관(210)은 강재 원형관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유공(211)이 형성되어 현장타설콘크리트(116)가 유공관 내,외부를 연통하여 타설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유공관(210) 상면에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160)인 지압판(162)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유공관(210)은 조립체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므로 달리 후술되는 보강재(200) 하단에 형성되는 보강링(122)을 설치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또한, 도 2b에 의하면 보강재(200)로서, H형, I형 또는 ㄷ형강등을 포함하는 형강보강재(220)가 이용됨을 알 수 있다. 즉, 형강보강재(220)는 상,하부플랜지 및 복부로 구성된 형강제품을 이용하여 예컨대 3개가 서로 연결수단(160) 하면에 배치되도록 이격 배치되어 보강재로써 이용됨을 알 수 있다(SECTION b-b).
이에 상기 형강보강재(220) 상면에는 역시 본 발명의 연결수단(160)인 지압판(162)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형강보강재(220)는 3개의 형강보강재(220)가 서로 조립체 형태로 제작되므로 부식방지나 지지력 확보 등 필요에 따라 보강재(200) 하단에 보강플레이트(250)로써 철제 보강링(122) 또는 몰탈블록(미도시)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도 2c에 의하면 보강재(200)로서, 목재로 제작한 목재보강재(230)가 이용됨을 알 수 있다. 즉, 목재보강재(230)는 예컨대 대나무를 이용하여 예컨대 6개가 서로 연결수단(160) 하면에 배치되도록 이격 배치되어 보강재로써 이용됨을 알 수 있다(SECTION b-b).
이에 상기 목재보강재(230) 상면에는 역시 본 발명의 연결수단(160)인 지압판(162)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목재보강재(230)는 예컨대 6개의 목재보강재(230)가 서로 조립체 형태로 제작되므로 지지력 확보 등 필요에 따라 보강재(200) 하단에 보강플레이트(250)로써 철제 보강링(122) 또는 몰탈블록(미도시)을 설치하게 되며, 상기 대나무의 외주면들을 함께 감싸도록 목재로 된 나선보강재(260)가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즉, 보강재로써 목재를 사용하여 보다 친환경적인 자재를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보강재가 말뚝의 지지력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현장타설파일부의 보강을 위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친환경적인 자재 이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d에 의하면 보강재(200)로서, 철근 또는 FRP바로 제작한 선형보강재(240)가 이용됨을 알 수 있다. 즉, 선형보강재(240)는 예컨대 철근조립체(114)가 대표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철근이 아닌 FRP 봉과 같은 선형형태의 보강재를 이용하면 된다. 역시 이러한 선형보강재는 예컨대 6개가 서로 연결수단(160) 하면에 배치되도록 이격 배치되어 보강재로써 이용됨을 알 수 있다(SECTION b-b).
이에 상기 선형보강재(240) 상면에는 역시 본 발명의 연결수단(160)인 지압판(162)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선형보강재(240)는 예컨대 6개의 선형보강재(240)가 서로 조립체 형태로 제작되므로 부식방지나 지지력확보 등 필요에 따라 보강재(200) 하단에 보강플레이트(250)로써 철제 보강링(122) 또는 몰탈블록(미도시)을 설치하게 되며, 상기 선형보강재(240)의 외주면들을 함께 감싸도록 나선보강재(260)가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상기 도 2a 내지 도 2d에 의한 다양한 보강재(200)는 매입파일부(130)의 하단에 연결수단(160)에 의하여 일체로 먼저 제작되어 지반에 일체로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매입파일부(130)와 일체로 연결된 보강재(200)의 연결예들을 살펴본다.
< 매입파일부(130)와 보강재(200)의 연결방법 >
먼저, 매입파일부(130)로써 중공부가 형성된 기성제품인 PHC 파일이 이용되며, 보강재(200)는 도 1에서 살펴본 철근조립망(114)의 경우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도 3a에 의하면, 매입파일부(130)와 보강재(200)의 연결을 위하여 볼트구멍(310,330)과 볼트(320)를 이용하게 된다.
즉, 보강재(200)를 구성하는 연결수단(160)인 지압판(162)에는 볼트구멍(310)을 형성시키되, 이러한 볼트구멍(310)에 대응하는 매입파일부의 볼트구멍(330)은 하면으로부터 내측으로 PHC파일 내부 강봉을 긴장시키기 위하여 기 형성되어 있으므로 볼트(320)를 구성하는 체결부가 상기 볼트구멍들을 관통하도록 연장시키되 최종 체결되도록 하여 매입파일부(130)와 보강재(200)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3b에 의하면, 매입파일부(130)와 보강재(200)의 연결을 위하여 볼트구멍(330), 고정핀(340) 및 핀구멍(350)을 이용하게 된다.
즉, 보강재(200)를 구성하는 연결수단(160)인 지압판(162)에는 핀구멍(350)을 형성시키되, 이러한 핀구멍(350)에 대응하는 매입파일부(130)의 볼트구멍(330)은 하면으로부터 내측으로 PHC파일 내부 강봉을 긴장시키기 위하여 기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핀(340)을 구성하는 체결부(341)가 상기 볼트구멍(330)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핀(340)을 구성하는 걸림쐐기부(342)가 상기 핀구멍(350)에 삽입되어 걸려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최종 매입파일부(130)와 보강재(200)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3c에 의하면, 매입파일부(130)와 보강재(200)의 연결을 위하여 걸림구멍(135)과 클램프(370)를 이용하게 된다.
즉, 연결수단(160)인 지압판(162)에 형성시킨 회전핀구멍(163)에 하단 고정몸통부(372)가 회전이 가능도록 핀 연결되고, 상기 하단 고정몸통부(372)와 일체로 고리형태의 상단 클램프부(371)가 매입파일부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플레이트(136)의 외측면에 형성시킨 파여진 홈 형태의 걸림구멍(135)에 걸려지도록 하는 클램프연결방식에 의하여 최종 매입파일부(130)와 보강재(200)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3d에 의하면, 매입파일부(130)와 보강재(200)의 연결을 위하여 용접방식을 이용함을 알 수 있다.
즉, 연결수단(160)인 지압판(162)과 매입파일부(130)의 하단에 형성된 보강플레이트(136)를 상하로 서로 용접 연결방식에 의하여 최종 매입파일부(130)와 보강재(200)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3e에 의하면, 매입파일부(130)와 보강재(200)의 연결을 위하여 전단연결재(380)를 이용하게 된다.
즉, 현장타설파일부(110)의 보강재(200)로써 철근망조립체(114)가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철근망조립체(114)는 매입파일부(130)의 중공부까지 상방 연장되도록 하며, 상기 매입파일부(130)의 하부에는 매입파일부(130)의 중공부까지 연장된 횡방향 전단연결재(380)가 상하방향으로 다수 이격 형성되도록 하여, 현장타설콘크리트(116)가 매입파일부(130)의 중공부에 채워져 서로 일체화시키는 방식으로써 이에 최종 매입파일부(130)와 보강재(200)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먼저, 매입파일부(130)로써 (원형)강관파일이 이용되며, 보강재(200)는 도 1에서 살펴본 철근조립망(114)의 경우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도 4a에 의하면 매입파일부(130)로써 원형강관이 이용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원형강관의 하부 내측면에 스터드(137)를 상하로 다수 이격 형성시키고, 현장타설파일부(110)의 연결수단(160)이 원형강관의 하부 내측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며 현장타설파일부(110)의 보강재(200)가 상기 스터드(137) 형성높이까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현장타설콘크리트(116)가 매입파일부(130)의 중공부에 채워져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b에 의하면 현장타설파일부(110)의 연결수단(160)의 상면에는 사다리꼴 형태의 브라켓(138)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브라켓(138)은 매입파일부(130)인 원형강관의 하부의 내측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한 후 현장타설콘크리트(116)가 매입파일부(130)의 중공부에 채워져 서로 일체화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100: 혼합말뚝
110: 현장타설파일부
130: 매입파일부
200: 보강재
210: 유공관
220: 형강보강재
230: 목재보강재
240: 선형보강재
250: 보강플레이트
260: 나선보강재

Claims (5)

  1. 지반을 천공하여 형성된 천공홀에 하부는 높은 지지력 확보가 용이한 현장타설파일부를, 상부측은 PHC말뚝 또는 (원형)강관파일을 포함하는 기성제품인 매입파일부를 설치하여 시공되는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를 결합한 혼합말뚝에서
    상기 현장타설파일부는 현장타설콘크리트에 삽입되는 보강재가 내부에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보강재의 상단에는 지압판을 포함하는 연결수단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수단이 매입파일부의 하단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면에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지압판인 연결수단과 일체로 형성된 유공강관보강재;
    상면에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지압판인 연결수단과 일체로 형성된 H형, I형 또는 ㄷ형강을 포함하는 형강보강재;
    상면에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지압판인 연결수단과 일체로 형성된 목재로 제작한 목재보강재; 또는
    상면에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지압판인 연결수단과 일체로 형성된 철근 또는 FRP바로 제작한 선형보강재;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며,
    상기 보강재 하면에는 보강플레이트 또는 몰탈블록이 일체로 더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과 PHC 파일인 매입파일부의 연결은
    연결수단인 지압판에 형성시킨 볼트구멍에 볼트부가 삽입되어 매입파일부의 하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기 형성된 볼트구멍까지 연장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볼트연결;
    연결수단인 지압판에 형성시킨 핀구멍에 하단걸림쐐기부가 삽입되며 상기 하단걸림쐐기부와 일체로 형성된 상단볼트부가 매입파일부의 하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기 형성된 볼트구멍까지 연장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고정핀연결;
    연결수단인 지압판에 형성시킨 회전핀구멍에 하단고정몸통부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핀 연결되고, 상기 하단고정몸통부와 일체로 고리형태의 상단클램프부가 매입파일부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플레이트의 외측면에 형성시킨 파여진 홈 형태의 걸림구멍에 걸려지도록 하는 고정핀연결;
    연결수단인 지압판과 매입파일부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플레이트를 서로 용접에 의하여 연결시킨 용접연결;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과 PHC 파일인 매입파일부의 연결은
    현장타설파일부의 보강재로써 철근망조립체가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철근망조립체는 매입파일부의 중공부까지 연장되도록 하며, 상기 매입파일부의 하부에는 매입파일부의 중공부까지 연장된 횡방향 전단연결재가 상하방향으로 다수 이격 형성되도록 하여, 현장타설콘크리트가 매입파일부의 중공부에 채워져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과 강관파일인 매입파일부의 연결은
    매입파일부인 원형강관의 하부 내측면에 스터드를 다수 형성시키고, 현장타설파일부의 연결수단이 원형강관의 하면 내측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며 현장타설파일부의 보강재가 상기 스터드 형성높이까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현장타설콘크리트가 매입파일부의 중공부에 채워져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보강재의 연결수단 상면에 다수의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이 매입파일부인 원형강관의 하면 주위의 내측면을 따라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며 현장타설콘크리트가 매입파일부의 중공부에 채워져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
KR1020100129712A 2010-12-17 2010-12-17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 KR101227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712A KR101227680B1 (ko) 2010-12-17 2010-12-17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712A KR101227680B1 (ko) 2010-12-17 2010-12-17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200A true KR20120068200A (ko) 2012-06-27
KR101227680B1 KR101227680B1 (ko) 2013-01-29

Family

ID=46686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712A KR101227680B1 (ko) 2010-12-17 2010-12-17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6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2791A (zh) * 2014-10-11 2015-02-25 成都聚智工业设计有限公司 灌注桩结构
CN105839635A (zh) * 2016-04-08 2016-08-10 陈亮 一种深或超深嵌岩预制桩施工设备及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31438B (zh) * 2015-01-27 2016-08-24 安徽同济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长螺旋钻孔压灌混凝土抗拔桩施工方法
CN104727305B (zh) * 2015-01-27 2016-11-02 安徽同济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钻孔高压注浆抗拔桩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3772B2 (ja) * 1999-02-18 2006-01-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場所打ち鋼管コンクリート杭とsrc柱との接合構造及びその接合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2791A (zh) * 2014-10-11 2015-02-25 成都聚智工业设计有限公司 灌注桩结构
CN105839635A (zh) * 2016-04-08 2016-08-10 陈亮 一种深或超深嵌岩预制桩施工设备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680B1 (ko) 201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3671B2 (ja) 構造物用基礎
KR101039554B1 (ko) 현장타설말뚝과 매입말뚝을 결합한 혼합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101227680B1 (ko) 현장타설파일부와 매입파일부의 연결방법
KR20110022109A (ko) 콘크리트말뚝의 두부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6924683B2 (ja) 杭頭免震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5976373B2 (ja) 杭基礎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JP2007002655A (ja) 杭頭部の接合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3554299B2 (ja) 管路埋設工法における合成セグメント
CN206319334U (zh) 一种预制隐形t型肋板筒形路灯基础
KR101021302B1 (ko) 기초 공사용 파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10368B1 (ko) 커플러와 볼트를 활용하여 가설 흙막이벽과 지하실 외벽을 일체화하는 공법
JP6302288B2 (ja) 型枠設置方法、型枠および水中構造物
JP6757003B2 (ja) 二重管杭の施工方法、及び二重管杭
JP6006004B2 (ja) 杭頭部空間形成補助具、それを備えた中空既製杭、該中空既製杭を用いた杭頭処理方法と杭頭部空間の形成方法
KR102351779B1 (ko)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
KR101803767B1 (ko) 강관 파일의 두부 보강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강관 파일 어셈블리
JP5563512B2 (ja) 柱状構造物および柱状構造物の設置方法
JP4968676B2 (ja) 増杭による杭基礎補強工法
KR20010028793A (ko)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옹벽
KR20090000818U (ko) 다중 중첩 철근망을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JP4749858B2 (ja) 既存建物の上部構造物の増築又は改築における支持力増強方法
JP5267242B2 (ja) 橋脚基礎構造及び橋脚基礎施工方法
KR200194424Y1 (ko)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옹벽
KR102497620B1 (ko) 기둥일체형 cft 파일 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기둥일체형 cft 파일
CN211113608U (zh) 一种建筑用基桩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