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307A - 중간 전압 또는 고 전압 스위치기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캐비넷 - Google Patents

중간 전압 또는 고 전압 스위치기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캐비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307A
KR20120067307A KR1020110135440A KR20110135440A KR20120067307A KR 20120067307 A KR20120067307 A KR 20120067307A KR 1020110135440 A KR1020110135440 A KR 1020110135440A KR 20110135440 A KR20110135440 A KR 20110135440A KR 20120067307 A KR20120067307 A KR 20120067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switch
drive
control
connectio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0048B1 (ko
Inventor
아르벤 사바니
디에고 소로구렌-산체스
마무트 토크마크시
토비아스 엘포드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filed Critical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ublication of KR20120067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2Cable lay-o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 캐비넷 (3a) 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위치 캐비넷은 중간 전압 또는 고 전압 스위치기어 (1a) 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이때 상기 스위치 캐비넷 (3a) 은 스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 (10a, 10b, 10c), 및 상기 스위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움직이기 위한 전동기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 (11a, 11b) 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 (10a, 10b, 10c) 은 제어 캐비넷 (20a) 안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 (11a, 11b) 은 공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로부터 떨어져 배치될 수 있는, 스위치 캐비넷 (3a) 의 드라이브 캐비넷 (21a) 안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 (11a, 11b) 은 스위치 캐비넷 (3a) 의 공간적으로 제한된 연결섹션 (15) 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 (10a, 10b, 10c) 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캐비넷 (20a) 과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 (21a) 을 연결하는 모든 전기적 연결부 (14, 16a, 16b) 들의 적어도 70% 는 상기 스위치 캐비넷 (3a) 의 연결섹션 (15) 안에 합쳐져 있다.

Description

중간 전압 또는 고 전압 스위치기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캐비넷 {SWITCH CABINET FOR OPERATING A MEDIUM-VOLTAGE OR HIGH-VOLTAGE SWITCHGEAR}
본 발명은 중간 전압 또는 고 전압 스위치기어의 적어도 일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캐비넷, 및 이러한 스위치 캐비넷을 가진 스위치기어, 특히 가스 절연 스위치기어 (gas-insulated switchgear) 에 관한 것이다.
많은 스위치기어, 예컨대 가스 절연 스위치기어 (GIS) 가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 절연 스위치기어에 있어서 각각의 스위치보드 (switchboard) 에게는 상기 스위치보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자기 자신의 제어 캐비넷이 할당되어 있다. 상황 및 고객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제어 캐비넷은 스위치보드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으며, 예컨대 스위치기어의 조작자 또는 기술자를 위한 조작 통로와 본래의 스위치보드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또는 스위치보드로부터 공간적으로 떨어져 수용되어 있으며, 예컨대 제어실 (control room) 안에 수용되어 있다.
스위치 캐비넷은 가스 절연 스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 (switching element) 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스위치에게는, 상기 스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기 위한 전동기를 가진 드라이브 유닛 (drive unit) 이 할당되어 있다. “작동시키다”라는 개념은 필요에 따라 또한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위치의 검출, 오류 감시, 보호 조치 등등을 포함한다.
전동기를 가진 드라이브 유닛을 통해 제 1 위치 또는 스위칭 위치 (switching position) 로부터 제 2 위치 또는 스위칭 위치로 움직여질 수 있는 이동식 스위칭 소자들을 가진 많은 전기 스위치가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대표적인 것은 다수의 가스 절연 스위치를 위한 EP1068624B1 또는 EP1569254A1 이다.
이러한 스위치들은 일반적으로 금속성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스위칭 소자를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드라이브 유닛이 고정되어 있다.
이제 예컨대 가스 절연 서브스테이션 (substation) 이 다수의 이러한 스위치들을 갖고 형성되면, 상기 서브스테이션은 즉시 몇 미터의 상당한 치수를 갖게 되고, 이때 상기 스위치들은 상기 서브스테이션 안의 여러 가지 위치에 - 즉, 기하학적 위치들에 - 제공되어 있다. 또한, 요구에 따라 상기 스위치들은 서로 달리 정렬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기어의 제 1 작동 개시 전에, 제어 전류 케이블링 (cabling) 과 감시 케이블링은 제어 전류 캐비넷 안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과 스위치기어의, 예컨대 스위치보드의 대부분 다수의 스위치 사이에 수행되어야 하며, 연결되어야 하고, 그리고 그의 기능 신뢰성과 관련하여 제어되어야 한다. 이 이외에, 일반적으로 몇몇의 추가 장치들, 예컨대 스위치기어의 스위치 캐비넷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기어를 감시, 제어 및 조절하기 위한 센서들은 제어 캐비넷 안의 제어 유닛과 연결되어야 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로 인해, 이러한 스위치기어의 제 1 작동 개시 전에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들을 생성하기 위한 큰 케이블링 비용이 발생한다. 이 비용은 스위치기어의 작동 중, 예컨대 스위치기어 안에 장착되어 있는 장치들 (상기 장치들은 장치들 쪽에 이미 고정형 대량 생산품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고, 그들의 자유 단부는 직접적으로 제어 전류 캐비넷 안의 제어 유닛과 연결되어 있다) 이 교체되거나 또는 정비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더욱 커진다. 정비 작업은 스위치 캐비넷으로부터 장착 장소로 안내하는 케이블 하니스 (cable harness) 들을 빙글빙글 돌려 서로 분리시키는 것을 가끔 요구하며, 상기 케이블 하니스들은 갈래에 따라 가끔 이 케이블 하니스들의 케이블 연결부들을 풀어 교체하기 위한 상당한 비용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의 시설들과 비교하여 상기 언급된 케이블링 비용이 감소될 수 있는, 중간 전압 또는 고 전압 스위치기어의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캐비넷, 및 이러한 스위치 캐비넷을 가진 스위치기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드라이브 유닛 및 청구항 제 10 항에 따른 스위치기어를 통해 달성된다.
상기 드라이브 유닛과 관련하여, 이 목적은, 스위치 캐비넷으로서, 상기 스위치 캐비넷은 중간 전압 또는 고 전압 스위치기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스위치 캐비넷은 스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 (switching element) 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 (control unit), 및 상기 스위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자를 움직이기 위한 전동기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 (drive unit) 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은 제어 캐비넷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은 공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로부터 떨어져 배치될 수 있는 또는 배치된, 스위치 캐비넷의 드라이브 캐비넷 안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은 상기 스위치 캐비넷의 공간적으로 제한된 연결섹션 (connection section) 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과 전기적으로 및/또는 전자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캐비넷의 작동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을 서로 연결하는 모든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들의 적어도 70% 는 상기 연결섹션을 통해 안내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캐비넷에 대한 요구에 따라, 상기 제어 캐비넷과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은 기계적으로 독립적인, 또는 비독립적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만 독립적인 모듈들로서 설계되어 있다. 상기 제어 캐비넷과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이 기계적으로 비독립적인 또는 부분적으로만 독립적인 모듈들로서 설계되어 있으면, 그들은 예컨대 상위 기계적 구조 안에 - 예컨대 하나의 공통의 기계적 프레임 (frame) 안에 고정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서, 상기 제어 유닛들과 상기 드라이브 유닛들이 그들의 목적에 상응하여 각각의 경우에 있어 스위치 캐비넷의 자기 자신의 공간적인 영역 안에 배치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제어 유닛들과 상기 드라이브 유닛들이 공간적으로 여러 가지 구역들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들의 얽힘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하,“스위치기어를 작동시키다”라는 개념은 무엇보다도 제어, 조절, 측정, 감시, 스위치 및/또는 스위치기어로의 동력 공급 등등을 말한다. 이에 상응하여, 이를 위해 필요한 수단들은 예컨대 파워 트랜스포머들 (power transformers), 센서 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한 유닛, 스위치로부터의 마지막 위치 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한 유닛, 스위치 안의 스위칭 소자의 위치 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한 유닛 등등이다.
“공간적으로 제한된”이라는 개념은 스위치기어와 비교하여 적은 공간에의 공간적인 제한을 말한다. 이에 상응하여, 이 공간은 치수와 관련하여 전체 스위치 캐비넷보다 작다. 달리 표현하자면, 상기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들은 상기 연결섹션 안에서 집중적으로 합쳐진다. 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으로부터, 그리고 구현형태에 따라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으로부터 상기 연결섹션 쪽으로 안내된 전기 라인들이 필요시 사전 대량 생산 가능한 케이블 하니스 (cable harness) 들로서 경제적으로 상기 제어 캐비넷의 본래의 설치 장소 (최종 조립 장소) 의 외부에서 경제적으로 사전에 제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연결섹션은 상기 드라이브 유닛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 유닛와는 별도의 물체적인 유닛이다.
“공간적으로 스위치로부터 떨어져 배치된”이라는 개념은, 드라이브 유닛이 공지의 스위치들에서처럼 스위치 위에 또는 스위치 하우징 자체 위에 올려 놓여있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이로부터 몇 미터 떨어져 있는, 스위치기어의 드라이브 캐비넷 안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설계형태에 따라 몇 미터 떨어져 배치된 스위치의 움직여져야 하는 스위칭 소자로의 상기 드라이브 유닛의 모터의 힘전달은 예컨대 유압식 라인 또는 예컨대 플렉시블 샤프트 (flexible shaft) 형태의 기계적 샤프트를 통해 수행된다.
이하,“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들”이라는 개념은 1차 연결부들뿐만 아니라 2차 접촉부들, 제어 전류 접촉부들, 센서 연결부들 등등을 말한다. 가스 절연 스위치기어의 예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기적 연결부들은 예컨대 파워 스위치의 제어 전류 연결부, 접지 스위치의 제어 전류 연결부, 단로기의 제어 전류 연결부 또는 스위치 온 고정형 접지 스위치의 제어 전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캐비넷과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이 서로 다른 물리적 유닛들 안에 수용되어 있으면, 이것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장소들에 세워질 수 있으며, 조립될 수 있고, 그리고 사전 검사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어 캐비넷과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이 독립적인 모듈들이라는 점에서 유리하며, 상기 모듈들은 구성, 및 그들 안에 장착된 장치들과 관련하여 가능한 한 서로 독립적이다. 상기 제어 캐비넷과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이 서로 다른 물리적 유닛들 안에, 즉 독립적인 기계적 모듈들 안에 수용되어 있으면, 예컨대 손상의 경우 상기 제어 캐비넷 또는 그의 제어 유닛들 및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 또는 그의 드라이브 유닛들은 완전히 교체 가능하고, 이때 이를 위해 상응하는 연결 케이블들에 도달하기 위해 스위치 캐비넷의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들의 존재하는 케이블링 (cabling) 을 적어도 대부분 풀 필요가 없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 캐비넷은 스위치보드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스위치기어의 조작자 또는 기술자를 위한 조작 통로와 본래의 스위치보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공간적으로 스위치보드로부터 떨어져 수용되어 있으며, 예컨대 조작 통로의 상기 스위치보드와 마주하고 있는 쪽에 또는 제어실 안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블링 비용이 더욱 감소되어야 하면, 장점들은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스위치 캐비넷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는 중간 전압 또는 고 전압 스위치기어의 장치들 쪽으로 안내될 수 있는 모든 그 밖의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 (23) 들의 적어도 70% 가 마찬가지로 상기 스위치 캐비넷의 상기 연결섹션을 통해 안내하면 또는 안내되어 있으면 생긴다. “장치들”이라는 개념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컨대 감시 장치들, 예컨대 GIS 안의 가스 압력 센서들을 말한다.
쉬운 조작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상기 모든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들의 및/또는 상기 연결섹션 안의 상기 그 밖의 연결부들의 다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와 적어도 하나의 소켓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연결되어 있다. 다수의 제어 유닛들과 드라이브 유닛들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들을 다수의 플러그 및 소켓 연결 (plug-and-socket connection) 로 분할하는 것이 추천된다.
상기 연결섹션의 기본 설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섹션은 기본 바디 (basic body) 를 구비하며, 상기 기본 바디는 제 1 평면을 정의 (define) 한다. 이는 예컨대 양철로 만든 기본 바디에 있어서 흥미로운데, 왜냐하면 평평한 기본 바디는 매우 간단히 그리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기본 바디는 다수의 평면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그는 박판 굽힘 가공을 이용해 제조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 유닛의 일종의 장치들이 유해한 전자기 광선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면, 금속성 연결섹션이 더욱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연결섹션의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기본 바디는 다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는 그에 고정된 다수의 성형부 (molded part) 를 구비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연결섹션은 독립적인 유닛을 형성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어 캐비넷 안에 또는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 안에 통합되어 있을 수 있다. 스위치 캐비넷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연결섹션은 예컨대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의 커버 (cover) 로서 설계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과 단단히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상기 연결섹션은 상기 제어 캐비넷의 또는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의 주변 (peripheral) 섹션 (section) 안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 캐비넷이 바로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에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섹션은 예컨대 바로 상기 제어 캐비넷의 또는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의 바닥 또는 커버 안에 통합되어 있거나 또는 심지어 바닥 또는 커버로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 캐비넷이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에 고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 캐비넷의 내부 공간은 상기 연결섹션을 통해 동시에 공간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스위치 캐비넷의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연결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은, 본질적으로 밀폐적으로 닫혀 있는 스위치 캐비넷의 작동 동안 상기 제어 캐비닛과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의 내부 온도가 하나의 공통의 공기 흐름을 이용해 제어 또는 조절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제어 캐비넷과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을 서로 연결한다. 이러한 유형의 실시형태는 예컨대 이용된 하나의 공통의 히터 요소를 이용해 최소 작동온도에 유지되어야 하면 유리하다.
상기 제어 캐비넷과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 간의 상기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들의 자동적인 전기적 접촉이 실현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섹션은, 예컨대 상기 제어 캐비넷을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에 꽂을 때 상기 연결섹션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이 자동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과 전기적으로 및/또는 전자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전기적 커플링 (coupling) 으로서 설계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들의 자동적인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커플링은 가능한 한 오류를 갖지 않는다. 커플링시키기 위해 및/또는 디커플링 (decoupling) 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이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 캐비넷을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에 고정시키기 위해 예컨대 토글 레버 메커니즘 (toggle lever mechanism) 형태의, 필요한 힘을 가하기 위한 록킹 도움 (locking aid) 이 제공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연결섹션에서의 및/또는 상기 제어 캐비넷에서의 또는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에서의 센터링 핀 형태의 센터링 요소들 (centering elements) 은 상기 제어 캐비넷을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에 정확히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쉽게 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드라이브 유닛이 연결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런웨이 (cable runway) 를 포함하면, 작동 상태에서 스위치 캐비넷의, 다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변형은 가능한 한 이상적인 케이블링 비용과 관련된 상기 스위치 캐비넷에 대한 요구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어 캐비넷이 상기 스위치 캐비넷의 작동 중 공간적으로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을 전기적으로 및/또는 전자적으로 서로 연결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런웨이가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의 벽 섹션 (wall section) 안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심지어 완전히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의 벽 섹션 안에 통합되어 있으면, 예컨대 특히 상기 스위치 캐비넷의 작동 동안의 상기 제어 캐비넷 안의 이상적인 케이블 부설 (cable laying) 은 상기 제어 캐비넷이 공간적으로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면 실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동일한 드라이브 캐비넷이 바로 제어 캐비넷에, 또한 상기 제어 캐비넷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될 수 있어야 하면, 조작하기 쉽게 정렬된 상기 연결섹션은 상기 제어 캐비넷 및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의 설치 유형과 상관없이 기하학적으로 동일한 장소에 놓여 있을 수 있다. 드라이브 캐비넷이 공간적으로 제어 캐비넷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면, 예컨대 조작 통로의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과 마주하고 있는 쪽에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연결섹션으로부터 안내하는 모든 케이블과 라인 - 즉,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들 - 은 상기 언급된 케이블 런웨이(들) 을 통해 안내될 수 있으며, 그곳으로부터 그들은 그들의 지정 장소로, 예컨대 제어 캐비넷으로 또는 스위치보드로 계속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있을 수 있는 케이블 고리들은 숟갈 모양의 커버를 이용해 바람직하지 않은 기계적 영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는 상기 연결섹션을 바깥쪽으로 덮는다.
상기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들의 및/또는 상기 연결섹션 안의 상기 그 밖의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들의 배열 및 구현형태가 제어 캐비넷이 스위치 캐비넷의 작동 중 공간적으로 드라이브 캐비넷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제 1 설치 경우에서뿐만 아니라 제어 캐비넷이 드라이브 캐비넷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설치 경우에도 동일함으로써 그 밖의 장점들이 생긴다. 상기 배열 및 구현형태란 배치 및 레이아웃 (layout) 을 말한다. 표준화된 연결섹션을 이용해 모든 장착 및 설치 변형들이 달성될 수 있으면, 이로부터 그 밖의 경제적인 장점들이 생긴다.
스위치기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스위치 캐비넷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술된 실시형태를 통해 달성된다. 그러므로, 이로부터 생기는 스위치기어를 위한 장점들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스위치 캐비넷의 상기 언급된 장점들을 참조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 캐비넷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즉 실시형태들에서는 가스 절연 스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스위치 캐비넷은 스위치의 스위칭 소자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운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드라이브 유닛은 공간적으로 상기 스위치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공간적으로 스위치로부터 떨어져 배치된”이라는 개념은 드라이브 유닛이 스위치 위에 또는 스위치 하우징 자체 위에 올려 놓여 있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이로부터 몇 미터 떨어져 있는 스위치기어의 스위치 캐비넷 안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말한다.
스위치기어가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들에 따른 드라이브 유닛을 가진 가스 절연 스위치기어로서 설계되어 있으면, 그리고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가 전동기를 통해 발생 가능한 토크를 기계적 샤프트, 특히 플렉시블 샤프트를 통해 스위치에 방출하기 위한 기계적 커플링을 구비하면, 스위치기어 디자인에 있어서의 자유도 (degree of freedom) 와 관련된 그 밖의 장점들이 생긴다.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은 가스 절연 스위치기어 (GIS) 의 예에서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상응하여 Dead Tank Breaker (DTB), Live Tank Breaker (LTB) 및 공기 절연 스위치기어 (AIS) 를 위해서도 이용 가능하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은 스위치, 및 스위치 캐비닛의 제 1 실시형태를 가진 가스 절연 스위치기어의 측면도;
도 2 는 스위치 캐비넷의 제 2 실시형태를 가진 가스 절연 스위치기어의 부분도;
도 3 은 드라이브 캐비넷으로부터 들어 올려진 제어 캐비넷을 가진 스위치 캐비넷의 제 3 실시형태의 분리된 입체적인 도면이다.
도 1 에는 수평 방향 (X) 으로 뻗어 있는 파워 스위치 (2), 및 이에 대해 정면쪽에 배치된 스위치 캐비넷 (3) 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절연 스위치기어 (1) 의 제 1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기어는 쇄선으로 암시되어 있는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스위칭 소자 (switching element, 5) 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가스 절연 스위치 (4) 를 포함한다. 스위칭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식 스위칭 소자 (5) 는 스위치기어 (1) 의 제 1 도체 섹션 (6) 을 제 2 도체 섹션 (7) 과 연결하거나 또는 끊는다. 상기 도체 섹션 (6, 7) 들과 스위치 내부는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4) 는 스위치기어 (1) 의 이 실시형태에서 단로기 (disconnecting switch) 이다.
스위치 캐비넷 (3) 의 왼쪽에는, 조작자 또는 기술자 (9) 를 위한, Y 방향으로 뻗어 있는 조작 통로 (8) 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 통로 (8) 와 스위치기어 (1) 자체는 견고한 토대 (17) 위에 위치해 있다.
상기 스위치 캐비넷 (3) 은 스위치기어 (1) 를 작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어 유닛 (10a, 10b, 10c) 및 다수의 드라이브 유닛 (11a, 11b, 11c, 11d, 11e) 을 포함하며, 이때 마지막에 언급된 3개는 도 3 과 관련하여서만 알아볼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들과 상기 드라이브 유닛들은 도 1 에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드라이브 유닛 (11b) 은 파워 스위치 (3) 의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움직이기 위해 사용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드라이브 유닛 (11b) 은 드라이브 캐비넷 (21) 의 부분적으로 부서진 캐비넷 벽에 의해 더 자세히 보일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 유닛 (11a) 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4) 의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 (5) 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운반하기 위해 사용된다. 드라이브 유닛 (11a) 은 전동기를 가진 스위치 드라이브 (12) 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는 공간적으로 본래의 스위치 (4) 로부터 떨어져 조작 통로 (8) 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 드라이브 (12) 의 전동기는 플렉시블 기계적 샤프트 (13) 를 통해 상기 이동식 스위칭 소자 (5) 에 작용한다.
제어 유닛 (10a, 10b, 10c) 들은 각각의 경우에 있어 제 1 케이블 (14a, 14b, 14c) 을 통해 연결섹션 (connection section, 15) 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케이블”이라는 개념에는 전기적 또는 전자적 연결라인의 단수 개뿐만 아니라 복수 개도 포함된다.
제어 유닛 (10a, 10b, 10c) 들과 연결섹션 (15) 은 제어 캐비넷 (20)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것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기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드라이브 유닛 (11a, 11b, 11c) 들은 제 2 케이블 (16a, 16b) 을 통해 연결섹션 (15) 과 연결되어 있다. 이하, 제 1 케이블 (14a, 14b, 14c) 과 제 2 케이블 (16a, 16b) 전체는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 (27) 들이라고도 불리운다.
제어 캐비넷 (20) 과 드라이브 캐비넷 (21) 은 기계적으로 비독립적인 또는 부분적으로만 독립적인 모듈로서 설계되어 있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스위치 캐비넷 (3) 의 상위 기계적 구조 안에 또는 그의 기계적 프레임 (frame) 안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제어 유닛들과 상기 드라이브 유닛들은 그들의 목적에 상응하여 각각의 경우에 있어 스위치 캐비넷 (3) 의 자기 자신의 공간적인 영역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들의 얽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드라이브 유닛 (11a, 11b, 11c, 11d, 11e) 들은 드라이브 캐비넷 (21)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것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드라이브 캐비넷 (21) 과 제어 캐비넷 (20) 은 둘 다 자기 자신의 기계적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기계적 구조는 상기 둘을 둘러싸는 스위치 캐비넷 (3) 의 기계적 구조 안에 통합되어 있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드라이브 캐비넷 (21) 과 제어 캐비넷 (20) 은 둘 다 자기 자신의 기계적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과 상기 제어 캐비넷은 일체형 스위치 캐비넷 블록이 되도록 결합될 수 있는, 스위치 캐비넷의 실시형태가 가능하다.
연결섹션 (15) 은 스위치보드를 향해 있는 제어 캐비넷 (20) 의 뒷벽 (22) 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센서 라인 (23) (측정 라인 케이블) 형태의 그 밖의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는 스위치 (4) 에 부착된 전자적 신호들을 연결섹션 (15) 으로 전달하기 위해, 그리고 그곳으로부터 평가를 위해 계속 제 1 케이블 (14a) 을 통해, 제어 유닛 (10a) 안의 센서에게 할당된 평가 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로써, 제어 캐비넷 (20) 과 드라이브 캐비넷 (21) 을 연결하는 모든 전기적 연결부 (14a, 14b, 14c, 16a, 16b) 들의, 및 스위치보드로부터 나오는 라인들/케이블들 (23) (상기 라인들/케이블들은 그 밖의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들을 형성한다) 의 다수는 장소와 관련하여 스위치 캐비넷 (3) 의 연결섹션 (15) 안에 합쳐져 있다.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스위치 캐비넷 (3) 의 대안적인 제 2 실시형태는 차이점들을 보다 명확히 보이기 위해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스위치 캐비넷 (3) 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한 스위치 캐비넷 (3) 의 제 2 실시형태의 유사성으로 인해, 하기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된 제 2 실시형태의 차이점들만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므로, 동일한, 또는 동일하게 작용하게 부품들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들로 표시되어 있다.
도 1 과는 달리, 스위치 캐비넷 (3a) 의 제 2 실시형태는 각각 제어 캐비넷 (20a) 과 드라이브 캐비넷 (21a) 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캐비넷과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은 둘 다 자기 자신의 기계적 구조를 구비하고, 그리고 이로 인해 각각의 경우에 있어 기계적으로 독립적인 모듈들이다.
이 실시예에서, 드라이브 캐비넷 (21a) 은 조작 통로 (8) 의 제어 캐비넷 (20a) 과 마주하는 있는 쪽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 통로 (8) 의 아래에서, 토대 (17) 안에는 케이블 트로프 (cable trough, 24) 가 뻗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 트로프 안에는 제 1 케이블 (14) 이 제어 유닛 (10a, 10b, 10c) 들로부터 드라이브 캐비넷 (15) 안의 연결섹션 (15) 으로 안내되어 있다. 조작자 (9) 를 위해 상기 연결섹션의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 (14, 16a, 16b, 23) 들의 이음부들에 대한 쉬운 접근성 (accessibility) 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연결섹션 (15) 은 드라이브 캐비넷 (21a) 의 조작 통로 (8) 를 향해 있는 내벽 (25) 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케이블 (16a, 16b) 은 드라이브 유닛 (11a, 11b) 들을 전기적으로 및/또는 전자적으로 연결섹션 (15) 과 연결한다.
이하, 스위치 캐비넷의 제 3 실시형태는 도 3 을 근거로 설명된다. 이 도면은 설명을 위해 드라이브 캐비넷 (21b) 으로부터 들어 올려진 제어 캐비넷 (20b) 을 보이고 있다. 작동 준비 상태에서, 제어 캐비넷 (20b) 은 고정 수단 (26) 을 통해 단단히 드라이브 캐비넷 (21b) 과 연결되어 있다. 제어 캐비넷 (20b) 을 드라이브 캐비넷 (21b) 위에 조립할 때의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요소 (centering element), 예컨대 센터링 핀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스위치 캐비넷 (3) 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한 스위치 캐비넷 (3b) 의 제 3 실시형태의 유사성으로 인해, 하기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된 제 3 실시형태의 차이점들만 설명된다. 그러므로, 동일한, 또는 동일하게 작용하는 부품들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들로 표시되어 있다.
이하, 스위치 캐비넷 (3b) 의 제 3 실시형태를 근거로, 연결섹션 (15) 의 영역 안의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 (27) 들이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기계적으로, 제어 캐비넷 (20b) 은 양철로 만든 정육면체이며, 상기 정육면체는 X 방향으로 - 즉, 조작 통로의 방향으로 - 도시되어 있지 않은 커버 (cover) 또는 캐비넷 도어 (cabinet door) 로 폐쇄될 수 있다. Z 방향에서, 제어 캐비넷 (20b) 은 지지 구역 (28a, 28b) 들을 제외하고는 드라이브 캐비넷 (21b) 쪽으로 본질적으로 열려 있다. 제어 캐비넷 (20b) 안의 이 개구부 (opening, 29) 를 통해,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어 유닛 (10a, 10b, 10c, 10d, 10e) 들로부터 나오는 제 1 케이블 (14a, 14b, 14c, 14d, 14e) 들이 매달려 있으며, 상기 케이블들은 그들의 자유 단부들에 각각 하나의 플러그 (plug, 30a, 30b, 30c, 30d) 를 구비한다. 이 플러그 (30a, 30b, 30c, 30d) 들은 드라이브 캐비넷 (21b) 의 상응하는 소켓 (socket, 34a, 34b, 34c, 34d) 들에 맞으며 (쇄선으로 표시된 연결부 (27) 들에 의해 암시되어 있다),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은 하기에서 별도로 설명된다.
기계적으로, 드라이브 캐비넷 (21b) 은 마찬가지로 양철로 만든 정육면체이며, 상기 정육면체는 서 있는 쪽에서 Z 방향으로 필요에 따라 열려 있거나 또는 닫혀 있다. 제어 캐비넷 (20b) 의 방향으로, 드라이브 캐비넷 (21b) 은 연결섹션 (15) 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양철로 만든 연결섹션 (15) 은 기본 바디 (basic body, 33) 를 형성하며, 상기 기본 바디는 제 1 평면 (35) 에 있어서 평평하게 뻗어 있고, 그리고 제어 캐비넷 내부 공간 (37) 과 드라이브 캐비넷 내부 공간 (38) 을 부분적으로 분리시킨다. 드라이브 캐비넷 (21b) 안에 배치된 드라이브 유닛 (11a, 11b, 11c, 11d, 11e) 들 각각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그에게 할당된 소켓 (34a, 34b, 34c, 34d) 을 통해 제 2 케이블 (16a, 16b, 16c, 16d) 과 연결되어 있다. 연결섹션 (15) 은 그에 고정되어 있는 소켓 (34a, 34b, 34c, 34d) 들 이외에 리세스 (recess, 36) 들을 구비하며, 상기 리세스들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냉각/가열 유닛을 이용한 캐비넷 내부 공간 (37, 38) 들의 하나의 공통의 온도조절 (temperature control) 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어 캐비넷 내부 공간 (37) 을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 내부 공간 (38) 과 연결한다.
스위치 캐비넷 (3b) 의 이 제 3 실시형태에서, 제어 캐비넷 (20b) 과 드라이브 캐비넷 (21b) 은 기계적으로 독립적인 모듈들로서 설계되어 있다.
드라이브 캐비넷 (21b) 에 제어 캐비넷 (20b) 을 기계적으로 연결한 후, 조작자는 조작 통로로부터 쉽게 플러그 (30a, 30b, 30c, 30d) 들을 상응하는 소켓 (34a, 34b, 34c, 34d) 들과 연결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신속하게 신뢰성 있는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을 이루어낼 수 있다.
스위치 캐비넷 (3b) 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섹션 (15) 을 가진 동일한 드라이브 캐비넷 (21b) 이 도 2 에 따른 설치 배열을 위해서도 이용되어야 한다면, 대안적으로 드라이브 캐비넷 (21b) 의 주변 섹션 안의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제 1 케이블들은, Y 방향으로 볼 때 측면으로 드라이브 캐비넷 (21b) 을 따라 이어진 케이블 런웨이 (cable runway, 39) 를 통해 안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 1 케이블과 드라이브 캐비넷 내부 공간 (38) 안의 제 2 케이블의 얽힘이 쉽게 방지될 수 있다. 드라이브 캐비넷 (21b) 의 벽 섹션 안에 통합된 케이블 런웨이 (39) 에 대해 대안적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벽 섹션 (40) 에 고정된 케이블 덕트가 케이블 런웨이 (39) 의 과제를 떠맡을 수 있다.
1, 1a, 1b : 스위치기어 2 : 파워 스위치
3, 3a, 3b : 스위치 캐비넷 4 : 스위치
5 : 이동식 스위칭 소자 6 : 제 1 도체 섹션
7 : 제 2 도체 섹션 8 : 조작 통로
9 : 조작자/기술자 10a, 10b, 10c, 10d, 10e : 제어 유닛
11a, 11b, 11c, 11d, 11e : 드라이브 유닛 12 : 스위치 드라이브
13 : 플렉시블 샤프트 14a, 14b, 14c, 14d : 제 1 케이블
15 : 연결섹션 16a, 16b, 16c, 16d : 제 2 케이블
17 : 토대 20, 20a, 20b : 제어 캐비넷
21, 21a, 21b : 드라이브 캐비넷 22 : 뒷벽
23 : 센서 라인 24 : 케이블 트로프
25 : 내벽 26 : 고정 수단
27 : 전기적/전자적 연결부 28a, 28b : 지지 구역
29 : 개구부 30a, 30b, 30c, 30d : 플러그
33 : 기본 바디 34a, 34b, 34c, 34d : 소켓
35 : 제 1 평면 36 : 리세스
37 : 제어 캐비넷의 내부 공간 38 : 드라이브 캐비넷의 내부 공간
39 : 케이블 런웨이 40 : 벽 섹션

Claims (10)

  1. 스위치 캐비넷 (3, 3a, 3b) 으로서, 상기 스위치 캐비넷은 중간 전압 또는 고 전압 스위치기어 (1, 1a) 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이때 상기 스위치 캐비넷 (3, 3a, 3b) 은 스위치 (4) 의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 (5) 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 (10a, 10b, 10c, 10d, 10e), 및 상기 스위치 (4) 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 (5) 를 움직이기 위한 전동기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 (11a, 11b, 11c, 11d, 11e) 을 포함하는 스위치 캐비넷 (3, 3a, 3b) 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 (10a, 10b, 10c, 10d, 10e) 은 제어 캐비넷 (20, 20a, 20b)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 (11a, 11b, 11c, 11d, 11e) 은 공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4) 로부터 떨어져 배치될 수 있는, 스위치 캐비넷 (3, 3a, 3b) 의 드라이브 캐비넷 (21, 21a, 21b) 안에 배치되어 있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 (11a, 11b, 11c, 11d, 11e) 은 스위치 캐비넷 (3, 3a, 3b) 의 공간적으로 제한된 연결섹션 (connection section, 15) 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 (10a, 10b, 10c, 10d, 10e) 과 전기적으로 및/또는 전자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때 상기 스위치 캐비넷 (3, 3a, 3b) 의 작동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 (10a, 10b, 10c, 10d, 10e) 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 (11a, 11b, 11c, 11d, 11e) 을 서로 연결하는 모든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 (14a, 14b, 14c, 14d, 16a, 16b, 16c, 16d, 16e) 들의 적어도 70% 는 상기 연결섹션 (15) 을 통해 안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캐비넷 (3, 3a, 3b).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 (10a, 10b, 10c, 10d, 10e) 으로부터 상기 스위치 캐비넷 (3, 3a, 3b) 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는 중간 전압 또는 고 전압 스위치기어 (1, 1a) 의 장치들 쪽으로 안내될 수 있는 모든 그 밖의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 (23) 들의 적어도 70% 는 마찬가지로 상기 스위치 캐비넷 (3, 3a) 의 상기 연결섹션 (15) 을 통해 안내하며 및/또는 상기 모든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 (14a, 14b, 14c, 14d, 16a, 16b, 16c, 16d) 들의 및/또는 상기 연결섹션 (15) 안의 상기 그 밖의 연결부 (23) 들의 다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30a, 30b, 30c, 30d) 와 적어도 하나의 소켓 (34a, 34b, 34c, 34d) 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캐비넷.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섹션 (15) 은 기본 바디 (basic body, 33) 를 구비하며, 상기 기본 바디는 제 1 평면 (35) 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캐비넷.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섹션 (15) 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어 캐비넷 (20) 안에 또는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 (20a, 20b) 안에 통합되어 있으며 및/또는 상기 제어 캐비넷의 또는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의 주변 섹션 안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캐비넷.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캐비넷 (20b) 이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 (21b) 에 고정되어 있으면, 상기 연결섹션 (15) 은 상기 제어 캐비넷의 내부 공간 (37) 을 공간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의 내부 공간 (38) 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캐비넷.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섹션 (15) 은, 상기 제어 캐비넷을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에 꽂을 때 상기 연결섹션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이 자동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과 전기적으로 및/또는 전자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전기적 커플링 (coupling) 으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캐비넷.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유닛 (21a, 21b) 은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 (14a, 14b, 14c) 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런웨이 (39)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어 캐비넷 (20a) 이 상기 스위치 캐비넷 (3a) 의 작동 중 공간적으로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 (21a) 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 (10a, 16b, 10c) 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 (11a, 11b) 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캐비넷.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런웨이 (39) 는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 (21b) 의 벽 섹션 (wall section, 40)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실시형태들에 있어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드라이브 캐비넷 (21b) 의 벽 섹션 (40) 안에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캐비넷.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 (14a, 14b, 14c, 14d;16a, 16b, 16c, 16d) 들의 및/또는 상기 연결섹션 (15) 안의 상기 그 밖의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연결부 (23) 들의 배열 및 구현형태는, 제어 캐비넷 (20a) 이 스위치 캐비넷 (3a) 의 작동 중 공간적으로 드라이브 캐비넷 (21a) 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제 1 설치 경우에서뿐만 아니라 제어 캐비넷 (20b) 이 드라이브 캐비넷 (21b) 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설치 경우에도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캐비넷.
  10. 스위치기어 (1, 1a), 특히 가스 절연 스위치기어로서, 상기 스위치기어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4), 특히 적어도 하나의 가스 절연 고 전압 또는 중간 전압 스위치 (4) 의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 (5) 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스위치 캐비넷 (3, 3a, 3b) 을 구비하며, 이때 드라이브 유닛 (11a, 11b, 11c, 11d, 11e) 은 공간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4) 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스위치기어 (1, 1a).
KR1020110135440A 2010-12-15 2011-12-15 중간 전압 또는 고 전압 스위치기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캐비넷 KR101290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63130.2 2010-12-15
DE102010063130A DE102010063130A1 (de) 2010-12-15 2010-12-15 Schaltschrank zum Betreiben einer Mittel- oder Hochspannungsschalt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307A true KR20120067307A (ko) 2012-06-25
KR101290048B1 KR101290048B1 (ko) 2013-07-30

Family

ID=45093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440A KR101290048B1 (ko) 2010-12-15 2011-12-15 중간 전압 또는 고 전압 스위치기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캐비넷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466706A3 (ko)
KR (1) KR101290048B1 (ko)
CN (1) CN102570337A (ko)
DE (1) DE102010063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7180A (ja) * 2012-11-29 2014-06-09 Hitachi Ltd ガス遮断器
DE102016202327A1 (de) * 2016-02-16 2017-08-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triebsanordnung zur Ausbildung einer Trennstrecke für einen Überspannungsableiter
ES2887257T3 (es) * 2018-12-19 2021-12-22 Abb Schweiz Ag Aparato de conmutación o aparato d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06369C2 (de) * 1976-02-18 1982-09-09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Anordnung zur Steuerung von Schaltgeräten in Hochspannungs-Schaltanlagen
DE4210368A1 (de) * 1992-03-30 1993-10-07 Abb Patent Gmbh Hochspannungsschaltfeld
DE4226472C5 (de) * 1992-08-10 2005-07-21 Alstom Sachsenwerk Gmbh Schaltanlage
DE29620437U1 (de) * 1996-11-13 1997-02-06 Siemens Ag Kapselungsgehäuse für gasisolierte, metallgekapselte Schaltanlagen
DE19850430A1 (de) * 1997-12-18 1999-07-08 Siemens Ag Gasisolierte Hochspannungsschaltanlage mit einer Trennschaltstrecke
DE19809839A1 (de) * 1998-03-02 1999-09-09 Siemens Ag Metallgekapselte, gasisolierte Schaltanlage mit gasgefüllten Behältern
JP3559241B2 (ja) 1998-04-03 2004-08-25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電路に組み込まれた3位置開閉器を備えたガス絶縁開閉装置の密閉容器モジュール
KR100356512B1 (ko) 1999-05-20 2002-10-18 엘지산전 주식회사 가스 절연 배전반
CN2402098Y (zh) * 1999-09-09 2000-10-18 任国海 一种教学用实验台
US6560091B1 (en) * 1999-09-29 2003-05-06 Hitachi, Ltd. Gas insulated switchgear
DE10203035B4 (de) * 2002-01-26 2010-04-15 Abb Ag Gasisolierte Hochspannungsschaltanlage
EP1569254A1 (de) * 2004-02-27 2005-08-31 ABB Technology AG Schaltgerät mit Trenn-und/oder Erdungsfunktion
JP4829021B2 (ja) * 2006-07-12 2011-11-30 株式会社東芝 ガス絶縁開閉装置
DE102006040035A1 (de) * 2006-08-23 2008-02-28 Siemens Ag Anordnung mit einem Zubehörbehälter
JP4876008B2 (ja) * 2007-03-27 2012-02-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DE202008018281U1 (de) * 2007-04-05 2012-09-13 Abb Technology Ag Mittel- oder Hochspannungsschalt- oder -steuereinrichtung, insbesondere eine Schaltanlage
DE102007047200A1 (de) * 2007-05-31 2008-12-04 Abb Technology Ag Hochspannungsschaltanlage
KR100905020B1 (ko) * 2007-08-07 2009-06-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스위치기어의 모선연결장치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6706A2 (de) 2012-06-20
CN102570337A (zh) 2012-07-11
DE102010063130A1 (de) 2012-06-21
KR101290048B1 (ko) 2013-07-30
EP2466706A3 (de)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1463B1 (en) Modular primary distribution contact board
KR101286812B1 (ko) 스위치 기어
US8481881B2 (en) Electric circuit breaker and switchgear panel with circuit breaker
US9576751B1 (en) Motorized vacuum isolation switch
CN102592879B (zh) 开关单元及开关机构
CN106992437B (zh) 配电柜
US20120127636A1 (en) Electrical system,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hutter assembly therefor
CN102420399B (zh) 隔离绝缘罩及隔离开关装置
KR101290048B1 (ko) 중간 전압 또는 고 전압 스위치기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캐비넷
EP2926356B1 (en) Switching device with several regions of connection
KR20140084321A (ko) 스위치 기어
EP2346126B1 (en) Medium voltage air insulated switchgear.
CN101965668B (zh) 可配置断路器
BRPI1005892A2 (pt) disjuntor isolado a vÁcuo
CN110943391B (zh) 高压配电箱
EP3709332B1 (en) Insulated switchgear for electrical power systems
CN102568912B (zh) 用于操作中压或高压开关设备的开关的驱动单元
US6893298B2 (en) Device for connecting low-voltage devices
US9263860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switchgear assembly, and mounting member therefor
ITMI20002874A1 (it) Base di supporto per un interruttore
KR101854149B1 (ko) 일체형 특고압 수전설비
AU2012396428A1 (en) Current transformer and load interrupter having such a current transformer
CN220934669U (zh) 一种用于低压电力分配和控制的固定分隔式配电柜
RU2443045C1 (ru) Конфигурируемый размыкатель цепи
JP6872970B2 (ja) 受配電設備の中継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