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263A - 5버튼 키보드 - Google Patents
5버튼 키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67263A KR20120067263A KR1020110010973A KR20110010973A KR20120067263A KR 20120067263 A KR20120067263 A KR 20120067263A KR 1020110010973 A KR1020110010973 A KR 1020110010973A KR 20110010973 A KR20110010973 A KR 20110010973A KR 20120067263 A KR20120067263 A KR 201200672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
- stroke
- input
- keys
- vow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의 입력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모바일기기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용 입력장치는 소형화되어야 하는 이유로 키판이 작기 때문에 입력을 하려면 키판을 주시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손가락 수에 맞는 작은 수의 키보드로 직관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영문의 경우에는 알파벳의 대문자의 자획에 대하여 특정 규칙을 찾아서 분해한 뒤 다시 조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한글 키보드의 경우에는 자음은 알파벳과 마찬가지로 규칙을 찾아 분해된 자획을 조합하여 구성되며 모음은 중복구성이 되지 않는 “ㅏ,ㅓ”계열, “ㅗ,ㅜ”계열, “ㅡ,ㅣ”계열의 세가지를 각각 하나의 키에 배정한 후 조합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단말기에 시선을 빼앗기지 않고도 정확한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며 키의 숫자가 적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의 아무런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고 나아가 자동차 핸들이나 장갑에 부착된 입력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모바일용 입력장치는 소형화되어야 하는 이유로 키판이 작기 때문에 입력을 하려면 키판을 주시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손가락 수에 맞는 작은 수의 키보드로 직관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영문의 경우에는 알파벳의 대문자의 자획에 대하여 특정 규칙을 찾아서 분해한 뒤 다시 조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한글 키보드의 경우에는 자음은 알파벳과 마찬가지로 규칙을 찾아 분해된 자획을 조합하여 구성되며 모음은 중복구성이 되지 않는 “ㅏ,ㅓ”계열, “ㅗ,ㅜ”계열, “ㅡ,ㅣ”계열의 세가지를 각각 하나의 키에 배정한 후 조합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단말기에 시선을 빼앗기지 않고도 정확한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며 키의 숫자가 적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의 아무런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고 나아가 자동차 핸들이나 장갑에 부착된 입력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모바일 기타 전자기기의 입력단말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키보드는 쿼티(QWERTY) 자판 혹은 2벌식 한글자판이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모바일 기기에서는 숫자 키를 이용한 자판 혹은 소형화된 쿼티자판 혹은 한글 2벌식 자판이 표준자판으로 사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에서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여러 종류의 자판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나 휴대를 중시하는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키 버튼이 작기 때문에 한 손가락에 의한 입력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한 손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자판은 몇 회사가 개발하여 유통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키의 개수를 획기적으로 줄인 키보드로서 citta.com에서 kee4 라는 상품으로 출시된 4키 자판이 있다.
한글자판의 경우에는 한글의 음절구조가 초성 중성 종성으로 분리되고 특히 중성으로는 모음이 쓰인다는 점에서 한 음절의 초성과 중성의 경계를 모음에 기준하면 되지만 연속되는 두 음절의 경우 앞 음절의 종성과 뒤 음절의 초성이 모두 자음이므로 연속된 자음을 구분해 주어야 한다.
모음의 경우에는 소위 ‘천지인자판’이나 ‘나랏글’이 적은 수의 키로 입력하는 방법으로 개발되어 있는데, 천지인자판에서는 점획(‘ㆍ’)은 모음의 가로 세로를 모두 포섭하는 단획(短劃)을 의미하고 그 외에 세로획과 가로획을 조합하여 자소를 완성시키고 있으며, 나랏글에서는 단모음을 몇 개의 키에 배치한 후 획 추가 기능키와 연속입력을 통하여 복모음이나 중모음을 완성시키고 있다.
근래에는 모바일 기기에서 터치입력을 통하여 여러 가지 기능이 제공되고 있고 필기인식까지 구현하고 있는 현실이지만 어떤 경우이든 키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입력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고, 한 손 키보드로 출시되거나 고안된 제품은 키의 숫자를 줄였지만 여전히 모바일용으로 쓰기에는 부담스런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전술한 kee4 라는 4키 키보드는 키의 숫자는 확실히 줄였지만 키의 조합이 직관적이지 못하여 키 값을 따로 암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여 5개의 키보드를 통하여 키와 손가락을 매칭시키면서도 직관적인 키 값의 구성으로 누구나 쉽게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5개의 키(한영, 대문자소문자와 같은 추가변환 키 별도)만 가지고 다섯 손가락을 이용하여 한글은 물론 영어 알파벳과 특수부호를 포함한 여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데 한글입력자판의 경우, 자음은 수평획(-), 수직획(|), 사람인획(ㅅ)과 원획(ㅇ)를, 중복구성이 되지 않는 “ㅏ,ㅓ”계열, “ㅗ,ㅜ”계열, “ㅡ,ㅣ”계열의 세가지를 각각 하나의 키에 배정한 후 조합하여 구성한다.
영문자판의 경우에는 가로획{-}, 세로획{|}, 반원획{(}, v획{v}을 조합하여 각 알파벳을 완성하되 반원획과 v획은 자유롭게 회전하여 조합된다는 사상을 바탕으로 조합되며 알파벳을 구분해주는 기능키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현한다.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면서 터치스크린에 문자키보드를 위한 공간을 따로 배정하거나 일정한 공간에 물리적 자판을 설치하지 않고도 모바일의 후면부 혹은 측면부에 부착된 자판으로도 입력할 수 있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지 않고도 입력할 수 있는 바 맹인용 자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입는 컴퓨터의 키보드 장갑에 장착하여 입력도구로도 쓰일 수 있음은 물론 운전대에 부착되어 운전 중에도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주머니에 넣고 다니면서도 입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어폰 등의 외부장치에 부착시킨 입력도구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1 : 5키 한글 키보드의 자판배열도
도2 : 5키 영문 키보드의 자판배열도
도3 : 영문 알파벳의 분해 및 조합도
도4: 한글자음 조합도
도2 : 5키 영문 키보드의 자판배열도
도3 : 영문 알파벳의 분해 및 조합도
도4: 한글자음 조합도
한글키보드를 위한 도1을 통한 실시예의 설명이다.
기능키 + 4개의 키를 가진 간단한 구조의 키보드로서 제0키(101)는 기능키, 제1키(102)에는 가로획(‘ㅡ’), 제2키(103)는 세로획(‘ㅣ’), 제3키(104)에는 원 획(‘ㅇ’), 제4키(105)에는 사람인 획(ㅅ)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획의 위치는 편리한 위치로 배열될 수 있어서, 가로획과 세로획의 위치를 바꾸어 구성될 수 있으나 키 값(ㅡ,ㅣ,ㅇ,ㅅ)은 고정되어 있으며 각 획이 갖는 값은 자음에서는 모습 그대로 배열하면 되지만 연속된 음절에서 종성과 초성이 연달아 나오는 경우 기능키(101))를 입력하여 자소 구분을 행하며, 모음은 ‘ㅅ’키를 누른 상태에서 입력하는데, 제1키(ㅏㅓ)는 ‘ㅏ,ㅑ,ㅓ,ㅕ,’를 제2키는 ‘ㅗ,ㅛ,ㅜ,ㅠ’를 제3키는 ‘ㅡ,ㅣ,ㅢ’를 누른 횟수만큼을 카운트하여 선택되는데 복모음의 경우에는 상기의 3개키를 조합하여 완성시킨다.
기능키는 스페이스키 겸 기능키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스페이스키를 한번 누르면 자소 분리, 두 번 누르면 스페이스 한 칸 입력 세 번을 연속해서 누른 경우에 스페이스 두 칸을 입력한 것으로 인식시키거나 제어입력 대기상태로 할 수 있다.
자음 | 조합 | 설명 |
ㄱ | ㅡ + ㅣ | 조합 입력 후 모음 또는 기능키 |
ㄴ | ㅣ + ㅡ | 상동 |
ㄷ | ㅡ + ㅣ + ㅡ | 상동 |
ㄹ | ㅡ + ㅣ + ㅡ + ㅣ + ㅡ | 상동 |
ㅁ | ㅣ + ㅡ + ㅣ + ㅡ | 상동 |
ㅂ | ㅣ + ㅣ + ㅡ + ㅡ | 상동 |
ㅅ | ㅅ | 상동 |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
ㅇ ㅡ + ㅅ ㅡ + ㅡ + ㅅ ㅡ + ㅣ + ㅡ ㅡ + ㅡ + ㅣ + ㅡ ㅡ + ㅣ + ㅣ + ㅡ ㅡ + ㅡ + ㅇ ㅡ+ㅣ ㄷ + 기능 ㅂ + 기능 ㅅ + 기능 ㅈ + 기능 |
‘ㅇ’+ 모음 또는 기능키 조합입력 후 모음 또는 기능키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마지막 키를 누른 상태에서 기능키 태핑 후 뗌 상동 상동 상동 상동 |
모음 | 조합 | 설명 |
모음에서는 ㅡ : (ㅏ), ㅣ : (ㅗ), ㅇ : (ㅡ)로 정의 하고 모든 모음은 (ㅅ)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입력된 것으로 가정하고 x3이라고 쓴 것은 3회 연속 누름을 뜻한다. | ||
ㅏ | (ㅏ) x 1 | |
ㅑ | (ㅏ) x 2 | |
ㅓ | (ㅏ) x 3 | |
ㅕ | (ㅏ) x 4 | |
ㅗ | (ㅗ) x 1 | |
ㅛ | (ㅗ) x 2 | |
ㅜ | (ㅗ) x 3 | |
ㅠ | (ㅗ) x 4 | |
ㅡ | (ㅡ) x 1 | |
ㅣ | (ㅡ) x 2 | |
ㅢ | (ㅡ) x 3 | |
ㅐ | (ㅏ) x 1 + (ㅡ) x 2 | 복모음의 경우 기능키(105)를 떼지 않고 계속 누름 |
ㅔ | (ㅏ) x 3 + (ㅡ) x 2 | |
ㅒ | (ㅏ) x 2 + (ㅡ) x 2 | |
ㅖ | (ㅏ) x 4 +(ㅡ) x 2 | |
ㅟ | (ㅗ) x (ㅡ) x 2 | |
ㅚ | (ㅗ) x 1 +(ㅡ) x 2 | |
ㅝ | (ㅗ) x 3 +(ㅏ) x 2 | |
ㅘ | (ㅗ) x 1 +(ㅏ) x 1 |
모음의 경우에는 [도1]키에서 “ㅅ”을 누른 상태에서 “ㅡ”을 한번 태핑하면 “ㅏ” 두 번 태핑하면 “ㅑ”, 세 번 태핑하면 “ㅓ”, 네 번 태핑하면 “ㅕ”로 출력하고 “ㅅ”을 누른 상태에서 “ㅣ”키를 한번 태핑하면 “ㅗ”, 두번 태핑하면 “ㅛ”, 세번 태핑하면 “ㅜ”, 네번 태핑하면 “ㅠ”를 출력하고 “ㅅ”을 누른 상태에서 “ㅇ”을 한번 태핑하면 “ㅡ” 두 번 태핑하면 “ㅣ”, 세 번 태핑하면 “ㅢ”를 출력한다.
복모음의 경우에는 상기의 키 조합을 합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서 “ㅙ”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ㅣ”키를 한번 + “ㅡ”키를 한번 + “ㅇ”키를 두번 태핑하여 조합할 수 있다.
모음의 경우에는 ‘ㅅ’자판을 누른 상태에서 기존 개발기술인 천지인자판의 조합으로 입력할 수도 있는데 이 때에는 천지인 자판에서 자음과는 별도의 키보드를 할당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모음 기능키로 ‘ㅅ’을 배정한 후 기능키가 눌려진 상태에서 눌러진 획들을 조합하여 모음 값으로 할당하므로 모음과 자음이 동일한 자판으로 구현한다.
한글의 구조를 보면 초성 중성 종성이 있는데 중성은 모음이며,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ㅅ’자판이 눌린 상태에서 일정한 키 값이 입력된 상황을 포착하면 모음입력이 확인된다.
자음의 경우에는 종성이 입력되고 이후 초성이 연달아 입력되면 어떤 자음인지 확인하기가 난해하기 때문에 획순에 의하여 입력하는 경우 어느 획까지가 종성이고 또한 초성인지 순차적인 나열만으로는 구분되지 않으므로 연달아 입력되는 자음을 구분하기 위하여 구분자(확인키)의 입력이 필요한데, 이 확인키로서 기능키(스페이스 겸용)로 구분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자음입력이 완료되었다는 것은 후속하여 입력되는 값이 모음인 경우에는 초성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되며, 종성의 자음과 초성자음이 이어지는 경우에 기능키로 그 자음을 구분시키는데 복자음인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기능키 등으로 구분된 자음 세 개가 연속 입력된 경우에는 앞의 두 자음을 종성의 복자음으로, 후속 자음을 뒷 음절의 초성으로 인식된다.
쌍자음의 경우에는 연속하여 눌러진 값은 마지막 키를 누른 상태에서 기능키를 눌렀다가 뗀 후 마지막 키를 떼는 것으로 구분하거나 마지막키를 누른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지연이 있는 경우 쌍자음으로 인식시킨다.
키 이벤트가 확정되는 시점은 키를 눌렀다가 놓았을 때 비로소 키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되도록 하기 때문에,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 ‘ㅅ’키를 누르고 있는 동안 입력된 모든 키의 입력배열은 ‘ㅅ’키가 오프되는 순간에 하나의 모음으로 완성되고, 쌍 자음의 경우에는 입력자의 마지막 키가 눌려진 상태에서는 키 입력이 종료되지 않았으며 기능키가 동시 입력되었다가 뗀 후에 마지막 키가 오프된 때에 비로소 쌍 자음이 입력되거나 일정시간이 지난 후 쌍 자음이 입력된다.
이 발명에 의한 자판에서는 엔터키, 숫자, 방향키와 알파벳은 물론 특수문자에 이르기 까지 기능키를 이용하여 문자입력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글모드에서나 영문모드에서나 특수문자와 숫자 및 기능키의 키값은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입력되는데 모드선택스위치는 별도로 구성하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영문입력을 위한 5키 자판에 대한 실시예는 도2를 통하여 볼 수 있다.
스페이스 및 기능키는(201)는 ‘a’로, 가로획 키(202)는 ‘b’로 세로획 키(203)은‘c’로, 반원획 키(204)는‘d’로 v획키(205)는‘e’로 키 값을 배정하여 각 알파벳을 위한 조합의 구성은 도3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것으로서 아래의 표2와 같다.
|
combination | Key Array | |||
1 | 2 | 3 | 4 | ||
A | v획 + 가로획 | e | b | ||
B | 가로획 + 반원획 | c | d | d | |
C | 반원획 | d | |||
D | 세로획 + 반원획 | c | d | ||
E | 가로획 + 세로획 + 가로획 x 2 | b | c | b | b |
F | 가로획 + 세로획 + 가로획 | b | c | b | |
G | 반원획 + 가로획 + 세로획 | d | b | c | |
H | 세로획 + 가로획 + 세로획 | c | b | c | |
I | 세로획 | b | |||
J | 세로획 + 반원획 | b | d | ||
K | 세로획 + 세로획 + v획 | c | c | e | |
L | 세로획 + 가로획 | c | b | ||
M | 세로획 + v획 + 세로획 | c | e | c | |
N | 세로획 + v획 | c | e | ||
O | 반원획 + 반원획 + 반원획 | d | d | d | |
P | 세로획 + 세로획 + 반원획 | c | c | d | |
Q | 반원획 + 반원획 + 점획(가로획) | d | d | b | |
R | 세로획 + 세로획 + 반원획 + 세로획 | c | c | d | c |
S | 반원획 + 반원획 | d | d | ||
T | 가로획 + 세로획 | b | c | ||
U | 세로획 + 반원획 + 세로획 | c | d | c | |
V | v획 | e | |||
W | v획 + v획 | e | e | ||
X | v획 + v획 + v획 | e | e | e | |
Y | v획 + 세로획 | e | c | ||
Z | 가로획 + v획 | b | e | ||
주) - K와 P는 세로획이 두 개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함(K,P). 또는 첫 세로획의 중간에 획이 붙는 경우는 세로획을 두 번 입력함. (B,E,F,H,K.P,R,) - O, X처럼 방사대칭 문자는 타 알파벳과 구분을 위해 동일 획을 하나 더 추가함. - Q의 꼬리는 가로획 또는 세로획으로, R의 꼬리도 세로획 또는 가로획으로 함. |
상기의 조합은 영문 알파벳의 대문자를 분해하여 만든 것으로서 별다른 암기과정 없이 획의 형상과 획순을 바탕으로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수문자의 입력도 기능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데 이는 기능키를 누른 상태에서 일정한 키 값을 눌러서 표현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특수문자 | 키 조합 | 설명 |
1 | b+a | 가로획 1번 + 기능키 |
2 | b+b+a | 가로획 2번 + 기능키 |
3 | b+b+b+a | 가로획 3번 + 기능키 |
4 | b+b+b+b+a | 가로획 4번 + 기능키 |
5 | b+b+b+b+a | 가로획 5번 + 기능키 |
6 | b+b+b+b+b+a | 가로획 6번 + 기능키 |
7 | b+b+b+b+b+b+a | 가로획 7번 + 기능키 |
8 | b+b+b+b+b+b+b+a | 가로획 8번 + 기능키 |
9 | b+b+b+b+b+b+b+b+a | 가로획 9번 + 기능키 |
0 | a+b | a와 b를 모두 눌렀다가 a 먼저 뗌 |
00 | a+b+a | a와 b를 동시 누름 후 a를 한번 태핑한 후 먼저 뗌 |
000 | a+b+a+a | a와 b를 동시 누름 후 a를 두번 태핑한 후 먼저 뗌 |
0000 | a+b+a+a+a | a와 b를 동시 누름 후 a를 세번 태핑한 후 먼저 뗌 |
-(대쉬) | a+b+a | a를 누른 상태에서 b 1번 누름 |
_(언더바) | a+b+b+a | a를 누른 상태에서 b 2번 누름 |
~ | a+b+b+b+a | a를 누른 상태에서 b 3번 누름 |
= | a+b+b+b+b+a | a를 누른 상태에서 b 4번 누름 |
\ | a+b+b+b+b+b+a | a를 누른 상태에서 b 5번 누름 |
; | a+c+a | a를 누른 상태에서 c 1번 누름 |
: | a+c+c+a | a를 누른 상태에서 c 2번 누름 |
| | a+c+c+c+a | a를 누른 상태에서 c 3번 누름 |
! | a+c+c+c+c+a | a를 누른 상태에서 c 4번 누름 |
/ | a+c+c+c+c+c+a | a를 누른 상태에서 c 5번 누름 |
@ | a+d+a | a를 누른 상태에서 d 1번 누름 |
( | a+d+d+a | a를 누른 상태에서 d 2번 누름 |
) | a+d+d+d+a | a를 누른 상태에서 d 3번 누름 |
$ | a+d+d+d+d+a | a를 누른 상태에서 d 4번 누름 |
& | a+d+d+d+d+d+a | a를 누른 상태에서 d 5번 누름 |
,(쉼표) | a+e+a | a를 누른 상태에서 e 1번 누름 |
.(마침표) | a+e+e+a | a를 누른 상태에서 e 2번 누름 |
‘(따옴표) | a+e+e+e+a | a를 누른 상태에서 e 3번 누름 |
“(쌍따옴) | a+e+e+e+e+a | a를 누른 상태에서 e 4번 누름 |
< | a+e+e+e+e+e+a | a를 누른 상태에서 e 5번 누름 |
> | a+e+e+e+e+e+e+a | a를 누른 상태에서 e 6번 누름 |
+ | a+b+c+a | 가로+세로 |
* | a+c+c+b+a | 세로+세로+가로 |
\ | a+e+e+b+a | 꺽+꺽+가로 |
# | a+b+b+c+c+a | 가로+가로+세로+세로 |
Enter | 모든키 | 모든키를 눌렀다가 기능키를 마지막으로 뗌 |
좌향 | 4개키 + b | 기능키외 모두 눌른상태에서 b를 태핑한 횟수만큼 이동 |
우향 | 4개키 + e | 기능키외 모두 눌른상태에서 e를 태핑한 횟수만큼 이동 |
상향 | 4개키 + c | 기능키외 모두 눌른상태에서 c를 태핑한 횟수만큼 이동 |
하향 | 4개키 + d | 기능키외 모두 눌른상태에서 d를 태핑한 횟수만큼 이동 |
DEL | 모든키+b | 모든키 누른상태에서 b를 태핑한 수만큼 지움 |
BS | 모든키+e | 모든키 누른상태에서 e를 태핑한 수만큼 지움 |
Space | 기능키 연속 | 기능키를 연속하여 태핑하면 스페이스 |
상기의 특수부호는 가로형상의 문자는 가로획키에, 세로형상의 문자획키는 세로획키에, 곡선형상의 문자는 반원획키에, 꺽인 형상의 키는 v획키에 배정하여 직관성을 높인 것이고 기능키로서 Enter, Del, Backspace, Arrow키는 모든 키를 누르는 조합을 가지고 생성시킨다.
101 (기능키) : 자소 구분 및 특수문자키, 기능키의 입력시에 이용된다.
102 (제1키): 가로획으로서 자음의 자음자의 구성요소 중 가로획을 그을 때 입력하는 키이고, 모음자의 가로방향의 장획에 대응하는 키이다.
또한, 제2 기능키(F)인 제4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한차례 입력되면 모음의 가로 장획으로 인식되어 다른 획과 조합되어 자음자 조합요소가 된다.
103 (제2키): 독립하여 입력된 경우에는 자음자의 세로획 요소로 인식되어 조합되지만 기능키(F)가 눌러진 상태에서 입력된 경우 모음의 세로 장획으로 인식되어 모음자 조합의 요소로 이용된다.
104 (제3키): 자음의 ‘ㅇ’키로 인식되지만 기능키(F)가 눌려진 상태에서는 모음의 세로 또는 가로 단획(ㆍ) 으로 인식된다.
105 (제4키): 단순 태핑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자음의 ‘ㅅ’으로 인식되지만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 기능키(F)로 작용된다.
201 <a>: 기능키 겸 스페이스 키로서 알파벳 분리, 스페이스입력 및 기타 제어키 입력에 사용된다.
202 <b>: 가로획 키로서, A,E,F,G,H,L,T,Z의 가로획 및 Q의 꼬리획으로 사용된다.
203 <c>: 세로획 키로서, B,D,E,F,G,H,I,J,K,L,M,N,P,R,T,U,Y에 널리 사용되며, K,P,R과 같이 K 이후의 알파벳에서 세로획의 중간에 타 선분과 교차하는 경우에는 세로획을 두 번 입력하여 하나의 세로획을 구성한다.
204 <d>: 반원획 키로서 B,C,D,G,J,O,P,Q,R,S,U에서 라운드가 있는 곳은 모두 이 키를 입력하는데 반원의 개구부의 위치를 불문하되 완전한 원은 반원이 두 개를 겹친 것 보지만 ‘O’, ‘S’의 구분을 위하여 ‘O’는 더욱 완전한 원이라는 기분으로 한번 더 입력하여 구분시킨다.
205 <d>: v획 키로서 개구 방향 또는 대칭여부를 불문하며, A,K,M,N,V,W,X,Y,Z에 사용되는데, 사선이 시작되는 부분부터 이 획으로 보기 때문에 M,N,Z의 경우에 세로획 또는 가로획을 입력한 후에나 v획이 입력되는 것이다.
102 (제1키): 가로획으로서 자음의 자음자의 구성요소 중 가로획을 그을 때 입력하는 키이고, 모음자의 가로방향의 장획에 대응하는 키이다.
또한, 제2 기능키(F)인 제4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한차례 입력되면 모음의 가로 장획으로 인식되어 다른 획과 조합되어 자음자 조합요소가 된다.
103 (제2키): 독립하여 입력된 경우에는 자음자의 세로획 요소로 인식되어 조합되지만 기능키(F)가 눌러진 상태에서 입력된 경우 모음의 세로 장획으로 인식되어 모음자 조합의 요소로 이용된다.
104 (제3키): 자음의 ‘ㅇ’키로 인식되지만 기능키(F)가 눌려진 상태에서는 모음의 세로 또는 가로 단획(ㆍ) 으로 인식된다.
105 (제4키): 단순 태핑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자음의 ‘ㅅ’으로 인식되지만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 기능키(F)로 작용된다.
201 <a>: 기능키 겸 스페이스 키로서 알파벳 분리, 스페이스입력 및 기타 제어키 입력에 사용된다.
202 <b>: 가로획 키로서, A,E,F,G,H,L,T,Z의 가로획 및 Q의 꼬리획으로 사용된다.
203 <c>: 세로획 키로서, B,D,E,F,G,H,I,J,K,L,M,N,P,R,T,U,Y에 널리 사용되며, K,P,R과 같이 K 이후의 알파벳에서 세로획의 중간에 타 선분과 교차하는 경우에는 세로획을 두 번 입력하여 하나의 세로획을 구성한다.
204 <d>: 반원획 키로서 B,C,D,G,J,O,P,Q,R,S,U에서 라운드가 있는 곳은 모두 이 키를 입력하는데 반원의 개구부의 위치를 불문하되 완전한 원은 반원이 두 개를 겹친 것 보지만 ‘O’, ‘S’의 구분을 위하여 ‘O’는 더욱 완전한 원이라는 기분으로 한번 더 입력하여 구분시킨다.
205 <d>: v획 키로서 개구 방향 또는 대칭여부를 불문하며, A,K,M,N,V,W,X,Y,Z에 사용되는데, 사선이 시작되는 부분부터 이 획으로 보기 때문에 M,N,Z의 경우에 세로획 또는 가로획을 입력한 후에나 v획이 입력되는 것이다.
Claims (5)
- 컴퓨터, 모바일, 기타 전자기기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획(102), 세로획(103), 원획(104), ㅅ획(105)을 배정받는 4개의 키를 조합하여 각 키가 배정한 형상을 문자 필기획순에 따라 입력된 배열로 조합하여 자음을 구성하고, 3개의 키와 모음입력기능키(ㅅ획키)를 조합하여 모음을 구성한 후, 자음키조합과 모음키조합 및 기능키(101)의 세가지 요소를 조합하여 음절을 생성시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모음의 입력방법은 모음입력기능키인 “ㅅ획키(105)”를 누른 상태에서 나머지 3개의 자획키를 조합하는 방법으로서,
하나의 키에 “ㅏ,ㅑ,ㅓ,ㅕ”키를 다른 하나의 키에는 “ㅗ,ㅛ,ㅜ,ㅠ”키를 나머지 하나의 키에는 “ㅡ,ㅣ,ㅢ”키를 배정한 후 각 키를 태핑하는 횟수에 따라서 하나의 모음을 할당하고 각 모음의 조합으로 복모음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 컴퓨터, 모바일, 기타 전자기기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획(202), 수직획(203), 반원획(204), v획(205)을 배정받는 4개의 키와 기능키(201)를 조합하여 각 키가 배정한 형상을 영어 알파벳 대문자의 필기획순에 맞추어 형상대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알파벳 키 값을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생성하는 음소(자음, 모음, 알파벳) 와 더불어서 4개의 자획키와 기능키(101 및 201)의 순차입력, 동시입력 또는 동시순차입력의 방법을 통해서 아라비아숫자, 특수문자, 제어키(Enter, Space, Del키 등)를 추가로 배정하여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8087 | 2010-12-15 | ||
KR20100128087 | 2010-12-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7263A true KR20120067263A (ko) | 2012-06-25 |
KR101271352B1 KR101271352B1 (ko) | 2013-06-04 |
Family
ID=4668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0973A KR101271352B1 (ko) | 2010-12-15 | 2011-02-08 | 5버튼 키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135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41987A1 (ko) * | 2014-03-17 | 2015-09-24 | 이선규 | 알파벳 입력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20264A (ko) * | 2006-08-31 | 2008-03-05 | 문병현 | 장애인용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방법 |
KR20100115038A (ko) * | 2009-04-17 | 2010-10-27 | 손동원 | 한글입력방법 |
-
2011
- 2011-02-08 KR KR1020110010973A patent/KR10127135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41987A1 (ko) * | 2014-03-17 | 2015-09-24 | 이선규 | 알파벳 입력 시스템 |
GB2538193A (en) * | 2014-03-17 | 2016-11-09 | Lee Sun-Gyu | Alphabet input system |
US9933860B2 (en) | 2014-03-17 | 2018-04-03 | Sun-Gyu LEE | Alphabet input system |
GB2538193B (en) * | 2014-03-17 | 2020-09-23 | Sun Gyu Lee | Alphabet input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71352B1 (ko) | 2013-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99909B2 (ja) | 日本語入力システム | |
KR20050048758A (ko) |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 |
KR101126734B1 (ko) |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 |
JP3738066B2 (ja) |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 | |
KR101271352B1 (ko) | 5버튼 키보드 | |
KR101637163B1 (ko) | 문자입력장치 | |
KR100432267B1 (ko) | 간편한 한글자판 | |
KR100918082B1 (ko) | 사전식 순서 및 사용 빈도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 |
KR100893152B1 (ko) | 2차원 좌표 대응방식을 이용한 문자입력 시스템 | |
KR101737462B1 (ko) |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 |
KR100852020B1 (ko) | 문자입력방법 | |
KR102119482B1 (ko) | 스마트폰 한손 자판 화면 배치 방법 및 문자 입력 방법 | |
KR20020012823A (ko) |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
JP4922990B2 (ja) | キー入力装置 | |
KR101850674B1 (ko) |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영어입력 자판 및 입력방법 | |
KR100577675B1 (ko) | 한글 키패드 | |
TW413779B (en) | Touch screen type keyboard input device | |
WO2009072852A2 (en) | Keypad assembly | |
KR100875334B1 (ko) | 영문 입력을 위한 키패드 | |
JP6605288B2 (ja) | データ入力装置 | |
JP4348590B2 (ja) | 電子機器の文字入力装置 | |
KR101231610B1 (ko) | 두글방식과 쿼티방식의 키판을 혼합 배치하여 문자를 생성하는 문자입력장치 | |
KR20140083206A (ko) | 한글 문자 입력 자판 배열 | |
KR101263273B1 (ko) | 간편조합형 키보드 | |
KR20060100655A (ko) | 스피드 한글 입력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