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0264A - 장애인용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0264A
KR20080020264A KR1020060083534A KR20060083534A KR20080020264A KR 20080020264 A KR20080020264 A KR 20080020264A KR 1020060083534 A KR1020060083534 A KR 1020060083534A KR 20060083534 A KR20060083534 A KR 20060083534A KR 20080020264 A KR20080020264 A KR 20080020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hangul
keypad
input
comple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현
유정탁
문병현
Original Assignee
문병현
유정탁
박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현, 유정탁, 박세현 filed Critical 문병현
Priority to KR1020060083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0264A/ko
Publication of KR2008002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4Details of particular tactile cells, e.g.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layout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및 활동하기에 제약이 있는 사용자들을 위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을 하면「ㆍ」키를 중심으로, 그 상위에 「_」키를 배치하고, 그 하위에 「 ̄」키를 배치하고, 그 좌측에 「 l」키를 배치하고, 그 우측에 「 l 」키를 배치한 키패드; 및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ㅍ」,「ㅎ」의 한글 자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의 키들을 독립적으로 조합하되 「ㆍ」키 이외의 키로 끝나는 키 배열이 할당되고, 상기 독립적으로 조합된 5개의 키 하부 일측으로 키 배열들의 입력 후 문자완성 확인을 위한 완성키「F」와 모드변환을 위한 변환키「M」이 배치된 두 개의 독립된 키; 상기 키 배열들이 입력되면 인식된 자소들을 조합하여 대응하는 한글 문자코드를 생성하는 문자코드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공개번호 10-2006-0004778, 공개일자 2006년 01월 16일)에서 발생하는 입력자의 의도와 다르게 한글문자가 표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다소 키의 숫자, 키 배열 할당 및 키 스트로크의 수가 증가하는 측면은 있으나, 자소의 필기 모양과 그 획순에 따를 키 배열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한글 자소를 인식할 때 중복되는 키 배열이 발생하더라도 완성키「F」의 키밸열에 의해 한글 자음/모음 자소의 입력된 것에 대한 완료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입력자가 의도한 그대로 한글문자를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정확한 의사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키 배열, 자음, 모음, 장애인, 키보드, 키패드

Description

장애인용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The method and small key-pad device which inputting Hangeul for the disabled people}
도 1은 종래의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의 한글 입력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의 한글 입력 흐름도.
본 발명은 장애인 또는 활동에 제약이 있는 사용자가 자신의 의도를 쉽게 입력할 수 있으면서도, 정확하게 문자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글은 일차원적으로 나열되는 영문과는 달리 초성ㆍ중성ㆍ종성이 이차원적으로 결하하여 하나의 문자를 이루고, 이렇게 이루어진 다수의 문자들이 결합된 단어들이 문장구성에 맞게 배열되어 의미를 전달하는 문장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다른 언어에 비해 다소 복잡하해지게 된다.
이러한 한글을 입력하는 가장 일반적인 입력장치는 키보드로서 이는 3벌식과 2벌식이 구분되며, 통상적으로 2벌식 한글 자판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2벌식 한글 자판에서의 키배열 할당은 한글의 기본 자음 자소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ㅍ, ㅎ」, 기본 모음 자소인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와 복모음 「ㅐ, ㅔ」에 대하여 각각 별개의 키를 할당하고 복자음「ㄲ, ㄸ, ㅃ, ㅆ, ㅉ」은 「쉬프트」키와 해당 자음키의 조합에 의해 입력하고, 종성의 겹자음「ㅂㅅ, ㄹㅁ, ㄴㅎ, ㄴㅈ」, 복모음「ㅘ, ㅝ, ㅙ, ㅞ, ㅒ, ㅖ, ㅚ, ㅟ, ㅢ」그리고 한글 문자 조합은 한글 오토메타라는 소프트웨어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렇게 각각의 자소에 대하여 각각의 키의 할당이 이루어지는 것은 각각의 키의 할당이 이루어질 수 있을 만큼의 공간이 키보드에는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소형 키패드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그 크기를 축소되어야 하며, 활동하기에 제약이 있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장애인도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각 키의 크기가 최대한 커야 하기 때문에 각각의 자소에 대한 키를 할당하기에는 상당한 무리가 있을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키만을 구성하여야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개번호 10-2006-0004778호인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서는 「ㆍ」키를 중심으로, 그 상위에 「_」키를 배치하고, 그 하위에 「 ̄」키를 배치하고, 그 좌측에 「 ㅣ」키를 배치하고, 그 우측에「ㅣ 」 키를 배치한 키패드로서, 한글 자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 키들을 독립적으로 조합하되 「ㆍ」키 이외의 키로 끝나는 키 배열이 할당되고, 한글 모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 키들을 독립적으로 조합한 키 배열이 할당되고, 상기 입력된 자소들을 조합하여 한글 문자 코드를 생성하는 문자 코드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왔다.
하지만, 상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그 장치는 중복되는 키 배열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의도와는 다른 결과의 출력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상기의 장치를 자주 사용할 사람들은 장애인이 거나 또는 활동하기에 상당한 제약이 있는 사람들로서, 간단한 문자를 입력하는데도 다소 시간이 소비됨에도 불구하고 급박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는 결과가 도출되면 상황에 따라서는 생명에 위협을 느낄 수 있을 정도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한번 내지 두 번의 키 스트로크의 횟수는 증가할지라도 중복으로 인한 부정확한 결과의 도출을 완전히 방지하는 키 입력장치 및 그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독립된 5개 키와 상기 독립된 5개 키에 할당된 배열에서 키 배열들이 입력되면 인식된 자소들을 조합하여 대응하는 한글 문자코드를 생성하는 문자코드 생성부와 키 배열들의 입력 후 문자완성 확인을 위한 완성키와 모드변환을 위한 변환키를 구성하여 중복되는 배열을 형성함에도 문자완성을 인식시키는 완성키로 인해 정확한 문자의 전달을 할 수 있는 장애인용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장애인용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는 종래의 공개번호 10-2006-0004778호의 발명인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더욱 개량한 발명으로
5개 키가 구성되면서 형성된 소형 키패드에 있어서 두개의 기능키인 변환키가 추가되어 키패드에 7개 키를 구성한 것으로 그 배열은 「ㆍ」키를 중심으로, 그 상위에 「_」키를 배치하고, 그 하위에 「 ̄」키를 배치하고, 그 좌측에 「 l」키를 배치하고, 그 우측에 「l 」키를 배치한 키패드; 및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ㅍ」,「ㅎ」의 한글 자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의 키들을 독립적으 로 조합하되 「ㆍ」키 이외의 키로 끝나는 키 배열이 할당되고, 상기 키 배열들이 입력되면 인식된 자소들을 조합하여 대응하는 한글 문자코드를 생성하는 문자코드 생성부와; 키 배열들의 입력 후 문자완성 확인을 위한 완성키「F」와 모드변환을 위한 변환키「M」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5개 키의 키「_」 및 「ㆍ」,「 ̄」,「 l」,「l 」에는 숫자 「1」 및 「2」,「3」,「4」,「5」가 순서대로 중복되게 할당되어 있으며, 기능키인 완성키와 변환키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F」와「M」또는「한글/숫자」와「마침」등 어느 것도 필요에 의해 배열 할당 할 수도 있다.
우선, 공개번호 10-2006-0004778호의 발명인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으로 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2에서처럼 키패드에서 5개 키가 배치(S10)되면, 배치된 독립된 5개의 키에는 한글 자음/모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키배열이 할당(S20)되고, 키패드에서 키 스트로크에 따른 키 배열들을 입력받고(S30), 이렇게 입력된 키 배열들을 해석하여 대응하는 한글 자음/모음 자소들을 인식(S40)하고, 인식된 자소들을 조합하여 대응하는 한글 문자 코드를 키패드에서 생성(S50)하여 이를 본체에서 인식하게 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
(표 1)
기본 자음 자소 키 배열 기본 자음 자소 키 배열
1, 5 1, 4, 3, 5
4, 3 4, 5 , 3
1, 4, 3 2, 4 , 5, 3
1, 5, 4, 3 2, 1, 5
4, 1, 5, 3 2, 1, 4, 3 또는 1, 3
4, 5, 1, 3 1, 4, 5, 3 또는 1, 3
1, 4, 5 2, 1 또는 2, 1, 4, 3, 5
(표 2)
기본 모음 자소 키 배열 기본 모음 자소 키 배열
4, 2 2, 2, 3
4, 2, 2 1, 2
2, 5 1, 2, 2
2, 2, 5 3
2, 3 5
각각의 표에 나타난 키 배열의 숫자 「1」, 「2」, 「3」, 「4」, 「5」는 키패드에 구성된 각 키에 표시된 숫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대응하는 키를 의미한다.
표 1, 표 2에 표시된 한글 자음/모음 자소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 키들을 상호 독립적으로 조합한 것으로, 일예로서 「ㄱ」은 첫 번째 획이「ㅡ」가로획이며, 두 번째 획이 「ㅣ」세로획이므로 따라서 키 배열을 순서 또한 「ㆍ」키를 중심으로, 그 상위에 「_」키를 배치하고, 그 하위에 「 ̄」키를 배치하고, 그 좌측에 「 l」키를 배치하고, 그 우측에 「ㅣ」키가 배치된 키패드에서 「_」키를 스트로크 하고 다시 「ㅣ」키를 스트로크 하게 되면 기본 자음 자소「ㄱ」이 형성되게 되며, 이때「_」키에는 숫자「1」키가 「ㅣ」키에는 숫자 5가 중복 표시됨으로 표 1에서와 같이 「1」키와 「5」키를 스트로크 하면 각키에 대한 키배열이 되어 문자 코드 생성부에서 「ㄱ」을 형성되게 되는 것이며, 기본 모음자소, 복모음 및 복자음 등도 그 모양과 획순에 따라서 키 배열을 할당하여 이를 조합함으로 문자 코드 생성부에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문자 코드 생성부는 문자 입력 모드와 더불어 숫자 입력모드를 관리할 수 있으며, 이때는「4」키인「 ㅣ」를 길게 눌러 줌으로 문자 입력 모드와 숫자 입력 모드를 변환시키고, 1, 2, 3, 4, 5의 숫자는 각각의 키에 표시된 「1」키, 「2」키, 「3」키, 「4」키, 「5」키를 눌러서 입력하여 숫자코드를 형성하고, 6, 7, 8, 9 0의 숫자는 각각의 숫자에 대해「1」키를 짧게 두 번 누르며, 「2」키를 짧게 두 번 누르며, 「3」키를 짧게 두 번 누르며, 「4」키를 짧게 두 번 누르며, 「5」키를 짧게 두 번 누러 줌으로 숫자 코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글 쓰기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5개 키로 구성되어 아주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되어 활동에 제약을 받는 사용자나 장애인도 간단히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 또한 중복되는 키 배열 할당으로 인하여 의도하지 않은 문자 코드를 인식하여 이를 문자 코드 생성부에서 생성하고 표시하게 됨으로 정확한 의미의 전달이 빠르게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하, 그 예로 「각나」를 입력하고자 사용자가 의도 할 때 실제적으로 형성되어 표시되는 문자는 「가라」되게 된다.
표 1, 표 2에서 우선「각」자에 대한 문자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기본 자음 자소 초성인「ㄱ」은 차례대로 「1」키와 「5」키를 스트로크 하고 중성인「ㅏ」는 차례대로 「1」키와 「5」키를 스트로크 하고, 종성인 「ㄱ」은 차례대로 「1」키와 「5」키를 스트로크하게 되며, 「나」자에 대한 문자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ㄴ」은 차례대로 「1」키와 「5」키를, 「ㅏ」는 차례대로 「4」키와 「2」키를 스트로크를 하여 키 배열하므로 문자「각나」에 대한 문자 코드가 생성되는 것으로, 전체를 차례대로 입력을 하게 되면 「1」-「5」-「4」-「2」-「1」-「5」-「4」-「3」-「4」-「2」로 구성되게 된다.
하지만 표 1에서와 같이 「1」-「5」-「4」-「3」의 키 배열은 기본 자음 자소인 「ㄹ」로 인식할 수 도 있으며, 아니 당연히 「ㄹ」로 인식하게 되여 최종적으로 「1」-「5」-「4」-「2」-「1」-「5」-「4」-「3」-「4」-「2」로 스트로크되면 이는 차례대로 키배열 하게 되면 의도한 문자 「각나」가 아니라 「가라」에 대한 문자 코드가 생성되어 표현되는 것이다.
또 하나의 예를 들면 문자 「좋네」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ㅈ」에 대하여 「4」키,「5」키,「3」키의 키배열을, 「ㅗ」에 대하여 「2」키,「3」키의 키배열을, 「ㅎ」에 대하여 「2」키,「1」키의 키배열을,「ㄴ」에 대하여 「4」키,「3」키의 키배열을,「ㅔ」에 대하여 「2」키,「5」키,「5」키의 키배열을 하여야 하지만 이때 차례대로 「4」-「5」-「3」-「2」-「3」-「2」-「1」-「4」-「3」-「2」-「5」-「5」의 키 배열을 하게 되면 「조테」에 대한 문자 코드가 생성되어 표현되게 된다. 이는 차례대로 「1」-「4」-「3」-「2」로 스트로크된 키 배열이 「ㅍ」에 대하 키배열이기 때문에 문자 코드부는 「좋네」를 대신하여 「조테」를 형성하게 되어 최대한의 빠른 의미전달이 요구되는 급박한 순간에서의 부정확한 의미의 전달로 큰 문제가 발생할 수 도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번호 10-2006-0004778의 발명을 더욱 발전, 개량시킨 키패드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의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한글 입력방법을 채용함으로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일실시예를 더욱 자세히 설명을 하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의 구성도로서「ㆍ」키를 중심으로, 그 상위에 「_」키를 배치하고, 그 하위에 「 ̄」키를 배치하고, 그 좌측에 「 l 」키를 배치하고, 그 우측에 「 l」키를 배치한 5개의 독립된 키와; 상기 5개의 독립된 키 하부 일측으로 키 배열들의 입력 후 문자완성 확인을 위한 완성키「F」와 모드변환을 위한 변환키「M」이 배치된 두 개의 독립된 키; 및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ㅍ」,「ㅎ」의 한글 자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의 키들을 독립적으로 조합하되 「ㆍ」키 이외의 키로 끝나는 키 배열이 할당되고, 상기 키 배열들이 입력되면 인식된 자소들을 조합하여 대응하는 한글 문자코드를 생성하는 문자코드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에서 키 스트로크에 따른 키 배열들을 입력받고(S60), 다시 완성키 스트로크에 따른 키 배열을 입력받고(S70), 이렇게 입력된 키 배열들을 해석하여 대응하여 한글 자음/모음 자소들을 인식(S80)하고, 한글 자음/모음 자소들의 키배열 입력 완성을 인식하고(S90), 입력된 인식된 자소들을 조합하여 대응하는 한글 문자 코드를 키패드에서 생성하여(S100) 이를 본체에서 인식하게 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완성키 「F」키 스트로크에 의해 키 배열을 입력받아 완성된 한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변환키「M」키 스트로크에 의해 키 배열을 입력받아 한글에서 숫자 모드로, 또는 숫자에서 한글 모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완성키 「F」와 변환키 「M」은 단지 하나의 표시일 뿐이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른 문자 또는 표시로 변경도 가능할 것임을 알수 있을 것이다.
(표 3)
기본 자음 자소 키 배열 기본 자음 자소 키 배열
1, 5, F 1, 4, 3, 5, F
4, 3, F 4, 5 , 3, F
1, 4, 3, F 2, 4 , 5, 3, F
1, 5, 4, 3, F 2, 1, 5, F
4, 1, 5, 3, F 2, 1, 4, 3, F 또는 1, 3, F
4, 5, 1, 3, F 1, 4, 5, 3, F 또는 1, 3, F
1, 4, 5, F 2, 1, F 또는 2, 1, 4, 3, 5, F
(표 4)
기본 모음 자소 키 배열 기본 모음 자소 키 배열
4, 2, F 2, 2, 3, F
4, 2, 2, F 1, 2, F
2, 5, F 1, 2, 2, F
2, 2, 5, F 3, F
2, 3, F 5, F
표 3, 표 4를 통하여 「각나」와「좋네」를 입력하게 되면, 우선「각」자에 대한 문자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기본 자음 자소 초성인「ㄱ」은 차례대로 「1」키와 「5」키를 스트로크 하고, 이때 키배열 입력의 완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완성 키 「F」를 스트로크하고, 중성인「ㅏ」는 차례대로 「1」키와 「5」키를 스트로크 하고, 이때 키배열 입력의 완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완성키 「F」를 스트로크하고, 종성인 「ㄱ」은 차례대로 「1」키와 「5」키를 스트로크하고, 이때 키배열 입력의 완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완성키 「F」를 스트로크하여 한글 자소가 완성됨을 인식시키게 된다.
「나」자에 대한 문자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ㄴ」은 차례대로 「1」키와 「5」키를 스트로크하고, 이때 키배열 입력의 완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완성키 「F」를 스트로크하고, 「ㅏ」는 차례대로 「4」키와 「2」키를 스트로크를 하고 이때도 완성키 「F」를 스트로크하게 되므로 문자「각나」에 대한 문자 코드가 생성되는 것으로, 전체를 차례대로 입력을 하게 되면 「1」-「5」-「F」-「4」-「2」-「F」-「1」-「5」-「F」-「4」-「3」-「F」-「4」-「2」-「F」로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전달한 한글 자음/모음 자소를 정확히 입력할 할 수 있음으로 중복되어 원하지 않는 부정확한 의미의 전달이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스트로크의 횟수가 증가할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지만, 중복되는 한글 자소에 의해 부정확한 의미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발명은 활동에 제약이 있는 사용자와 장애인을 위한 것으로 일반인들 과는 달리 본발명의 사용하는 사람들은 간단한 문자, 숫자의 입력도 쉽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재작성 없이 정확한 문자를 입력하는 동시에 재활치료의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발명은 중복되는 키배열에 의한 부정확한 문자의 입력에 대한 정확한 입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반복 숙달에 의해 재활치료도 가능한 아주 다대한 고안이라 하겠다.

Claims (2)

  1. 「ㆍ」키를 중심으로, 그 상위에 「_」키를 배치하고, 그 하위에 「 ̄」키를 배치하고, 그 좌측에 「 l」키를 배치하고, 그 우측에 「l 」키를 배치한 키패드; 및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ㅍ」,「ㅎ」의 한글 자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의 키들을 독립적으로 조합하되 「ㆍ」키 이외의 키로 끝나는 키 배열이 할당되고, 상기 키 배열들이 입력되면 인식된 자소들을 조합하여 대응하는 한글 문자코드를 생성하는 문자코드 생성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독립되어 조합된 5개의 키 하부 일측으로 키 배열의 입력 후 문자완성 확인을 위한 완성키와 글자와 숫자의 모드변환을 위한 변환키가 별도 배치된 것을 포함하는 장애인용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2. 키패드에서 5개 키가 배치되고, 배치된 독립된 5개의 키에 한글 자음/모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키배열이 할당되고, 키패드에서 키 스트로크에 따른 키 배열들을 입력받고, 이렇게 입력된 키 배열들을 해석하여 대응하는 한글 자음/모음 자소들을 인식하고, 인식된 자소들을 조합하여 대응하는 한글 문자 코드를 키패드의 생성부에서 생성하는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키패드에서 키 스트로크에 따른 키 배열들을 입력하고(S60),
    완성키 스트로크에 따른 키 배열을 입력하고(S70),
    입력된 키 배열들을 해석하여 대응하여 한글 자음/모음 자소들을 인식(S80)하고,
    한글 자음/모음 자소들의 키배열 입력 완성을 인식하고(S90),
    입력된 인식된 자소들을 조합하여 대응하는 한글 문자 코드를 한글 문자 코드 생성부에서 생성(S100)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20060083534A 2006-08-31 2006-08-31 장애인용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방법 KR20080020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534A KR20080020264A (ko) 2006-08-31 2006-08-31 장애인용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534A KR20080020264A (ko) 2006-08-31 2006-08-31 장애인용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264A true KR20080020264A (ko) 2008-03-05

Family

ID=3939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534A KR20080020264A (ko) 2006-08-31 2006-08-31 장애인용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02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352B1 (ko) * 2010-12-15 2013-06-04 조근우 5버튼 키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352B1 (ko) * 2010-12-15 2013-06-04 조근우 5버튼 키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9790B2 (en) Letter input structure using morse code and input method of the same
KR100750653B1 (ko) 한글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30049443A (ko)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80020264A (ko) 장애인용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방법
KR100749137B1 (ko)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20100034065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2332178B1 (ko)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0423637Y1 (ko) 5개의 키를 가진 자판을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
KR100662549B1 (ko) 문자 입력장치
CN100354805C (zh) 手机智能日文输入法
KR10089414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 문자 입력 장치
KR1006972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20110088311A (ko) 전자기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436426B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852020B1 (ko) 문자입력방법
KR20090100509A (ko) 일본어 입력장치 및 방법
KR19980013987A (ko) 텐키를 이용한 한글신호입력방법
KR100616225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57191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426237Y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
KR20010064214A (ko) 휴대폰에서의 문자입력장치
KR100422379B1 (ko)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KR20080035746A (ko) 키패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