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518A - Gas oven range - Google Patents

Gas oven ran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518A
KR20120066518A KR1020100127892A KR20100127892A KR20120066518A KR 20120066518 A KR20120066518 A KR 20120066518A KR 1020100127892 A KR1020100127892 A KR 1020100127892A KR 20100127892 A KR20100127892 A KR 20100127892A KR 20120066518 A KR20120066518 A KR 20120066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burner case
air
main body
su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8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51059B1 (en
Inventor
장운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7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059B1/en
Publication of KR20120066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0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0Arrangements for mounting stoves or ranges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24C3/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in baking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PURPOSE: A built-in type gas stove is provided to effectively burn gas with smoothly supplying combustion air as the combustion air is supplied in a multi-direction. CONSTITUTION: A built-in type gas stove comprises an upper oven unit, a lower oven unit, a burner case, and a burner. The lower oven unit is placed inside a body, and comprises a lower cooking chamber where foods are cooked. The burner is installed inside the burner case. The burner supplies heat for cooking the foods placed in an upper cooking chamber. The burner case comprises a first intake port(352) and a second intake port(354) for sucking air on the side of the burner case. The air circulating inside the body is suck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take ports.

Description

가스오븐레인지{Gas oven range}Gas oven rang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방향으로 연소 공기의 공급이 가능한 가스오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s oven range capable of supplying combustion air in multiple directions.

가스오븐레인지는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연소열 및 복사열과 전도열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이러한 가스오븐레인지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개방된 공간에서 음식물이 담긴 음식 용기 또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는 부분과, 밀폐된 공간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음식 용기가 놓이는 공간을 가열하여 요리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The gas oven range is a cooking device that cooks food using combustion heat, radiant heat, and conductive heat generated by burning a supplied gas. The gas oven range is a portion of cooking food to be cooked by heating the food container or food containing food in an open space, and the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containing food or food in a closed space by heating the space for cooking. It will have a configuration to include.

또한, 가스오븐레인지에는 요리된 음식물을 따뜻하게 보관하거나, 데우는 부분이 더 제공되기도 하며, 밀폐된 공간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음식 용기가 놓이는 공간을 가열하여 요리하는 부분이 두 개로 제공되어 활용성을 향상시키도록 제공되기도 한다. In addition, the gas oven range may be provided with a portion to keep the cooked food warm or warm up, and two parts to heat and cook the space where the food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or food is placed in an enclosed space. It is also provided to improve.

상기 가스오븐레인지에는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화염을 발생시키고, 발생되는 화염으로 음식물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버너가 설치된다. 상기 버너는 개방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부분에 제공되는 버너와 밀폐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부분에 제공되는 버너 등 다수의 공간의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어 음식물을 가열하게 된다. The gas oven range is provided with a burner for generating a flame by burning the gas supplied, and a burner for directly or indirectly heating food with the generated flame. The burner is installed in various forms of a plurality of spaces such as a burner provided in a portion for cooking food in an open space and a burner provided in a portion for cooking food in an enclosed space to heat the food.

상기 가스오븐레인지는 상기 버너가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키게 될 때 필요한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며, 이러한 외부 공기가 상기 버너로 적절하게 공급되어야 상기 버너는 공급되는 가스를 효율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게 된다. The gas oven range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ir required to burn the gas supplied by the burner is introduced from the external space, and when the external air is properly supplied to the burner, the burner efficiently burns the supplied gas. You can do it.

또한, 근래에는 가스오븐레인지가 주방 가구와 조화되도록 배치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외부 공간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적 제약이 발생하게되고, 상기 버너로 더 많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gas oven range is increasingly arranged in harmony with the kitchen furniture, which causes a spatial constraint that the air in the outside space flows, and there is a need for more air flow into the burner It is emerging.

그리고, 가스오븐레인지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상하로 조리실을 가지는 더블 가스오븐레인지가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가스오븐레인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오븐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될 때 연소공기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원활한 연소 공기의 공급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gas oven range, a double gas oven having a cooking chamber up and down is being spread, and in the case of such a gas oven range, when cooking food using an oven located on the upper side, Since the supply is not smooth, a smooth supply of combustion air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되는 가스의 효율적 연소를 위한 충분한 연소 공기의 공급이 가능한 가스오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s oven range capable of supplying sufficient combustion air for efficient combustion of the supplied ga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급되는 가스의 효율적 연소를 위한 다방향의 연소 공기 유입이 가능한 유로를 가지는 가스오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s oven range having a flow path capable of introducing multi-directional combustion air for efficient combustion of the supplied gas.

본 발명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고, 음식물이 조리되는 상부조리실; 상기 상부조리실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고, 음식물이 조리되는 하부조리실; 상기 상부조리실의 저면에 고정되는 버너케이스; 및 상기 버너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조리실에서의 음식물 요리를 위한 열을 제공하는 버너; 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케이스는, 적어도 전후면, 양측면 및 저면을 가지고, 상기 버너케이스의 전면 및 양측면에는 상기 버너에서의 가스의 연소를 위한 공기의 흡입을 위한 제1 및 제2흡기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을 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1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버너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본체의 양측면을 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2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버너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된다. Gas oven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forming an appearance; An upper cooking chamber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where food is cooked; A lower cooking chamber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ooking chamber, where food is cooked; A burner case fixed to a bottom of the upper cooking chamber; And a burner installed inside the burner case and providing heat for cooking food in the upper cooking chamber. The burner case includes at least front and rear surfaces, both side surfaces, and a bottom surface, and first and second suction holes for inhaling air for combustion of gas in the burner are formed on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burner case, respectively. The air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is sucked into the burner case through the first inlet, and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is the second air. It is sucked into the burner case through an inlet port.

본 발명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에 따르면, 상부조리실과 하부조리실이 제공되고, 상부조리실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때 사용하는 버너의 가스 연소를 위한 연소공기가 다방향에서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gas oven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cooking chamber and a lower cooking chamber are provided, and the combustion air for gas combustion of the burner used when cooking food using the upper cooking chamber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in multiple directions.

가스 연소를 위한 연소 공기의 다방향 공급이 가능함에 따라 가스의 연소에 필요한 연소공기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급되는 가스의 효율적 연소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s the multi-directional supply of combustion air for gas combustion is possible, the effect of smoothly supplying the combustion air necessary for the combustion of gas can be expected, and thus, the effect of efficient combustion of the supplied gas can be expected.

공급되는 가스의 효율적 연소가 가능함에 따라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가스오븐레인지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As the efficient combustion of the supplied gas can be expected, the efficiency of energy use can be expected to be improved,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user's fuel cos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gas oven range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user's product satisfaction. You can expect the effect to be made.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버너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버너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공기 유동 유로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as oven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gas oven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rner case of the gas oven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rner case of the gas oven ran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flow path of the gas oven ran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gas oven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상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mplementation state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technical spirit It may be easily proposed, but this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claims are concepts selec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should be properly interpreted as meaning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grasping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되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as oven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gas oven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버너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버너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rner case of a gas oven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rner case of a gas oven ran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가스오븐레인지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는 사각 상자 형상의 본체(1)에 의해 외형이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내부의 열기가 외부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gas oven range is formed by a rectangular box-shaped main body 1 having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and the main body 1 protects a plurality of parts installed therein from external shocks. At the same time, the internal heat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external space while performing the function.

상기 본체(1)는 개방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쿡탑부(10)와 밀폐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오븐부(20)와, 상기 쿡탑부(10) 및 상기 오븐부(20)를 비롯한 상기 본체(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The main body 1 includes a cooktop unit 10 for cooking food in an open space, an oven unit 20 for cooking food in an enclosed space, the cooktop unit 10, and the oven unit 20.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1).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1)에는 외부 공간의 공기가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전면흡기구와 측면흡기구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흡기구는 상기 본체(1)의 전방 공기를 흡입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측면흡기구는 상기 본체(1)의 측방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Although not shown, the main body 1 is provided with a front inlet and a side inlet for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n the outer space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 The front intake port serves to provide a passage for sucking air in front of the main body 1, and the side intake port provides a path for sucking air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1.

다만, 상기 전면흡기구는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1)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후면 또는 측면에 형성된다. However, the front intake port is not formed on a front plate (not shown) that substantially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 but is formed on the rear or side surface of the front plate.

이와 같이, 상기 전면흡기구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후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것은 전방에서 보이는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미관을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In this way, the front inlet is formed on the rear or side of the front plate in order to beautifully maintain the aesthetics of the front plate seen from the front.

즉, 상기 전면플레이트에 상기 전면흡기구가 형성되면,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홀을 형성하게 되면 미관을 해치는 영향으로 인해 사용자의 감성 불만이 야기될 수 있으며, 홀의 형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어린 아이들의 호기심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That is, when the front intake vent is formed on the front plate, forming a hol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may cause emotional dissatisfaction of the user due to the effect of harming aesthetics, and carelessness or small children of the user due to the formation of the hole. Because of the curiosity of safety accidents can occur, to prevent this.

물론,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의 부가과 미관적인 아름다움의 유지가 가능하다면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전면에 상기 전면흡기구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Of course, it is most preferable to form the front intake ven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if it is possible to add a configuration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maintain aesthetic beauty.

이처럼,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전면에 상기 전면흡기구가 형성되면, 상기 전면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본체(1)의 외부 공간의 공기는 가장 짧은 유로를 가지면서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As such, when the front suction port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air in the ex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 introduced through the front suction port may flow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 while having the shortest flow path. You will have the advantage.

상기 쿡탑부(10)는 적어도 상면과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쿡탑상판(110)과, 적어도 하면과 양 측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쿡탑케이스(120)의 체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The cooktop unit 10 is formed by fastening the cooktop top plate 110 which forms at least an upper surface and a front appearance, and the cooktop case 120 which forms a part of the exterior and at least a lower surface thereof.

상기 쿡탑상판(1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내열성과 강도가 강한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스테인레스 또는 기타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가능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oktop top plate 110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having high heat resistance and strength.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be made of stainless or other alloys,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made of tempered glass.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의 지지가 가능한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의 가열 후 청소가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Whatever the material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trength capable of supporting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or food placed on the upper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figuration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y to clean after heating the food or food containing the container.

상기 쿡탑케이스(120)는 적어도 상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쿡탑케이스(120)의 상측에 상기 쿡탑상판(110)이 체결되면서 전체적으로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사각 상자 형태의 상기 쿡탑부(10)가 형성된다. The cooktop case 1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hexahedron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t least in an open state. The cooktop top plate 110 is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oktop case 120, and the cooktop portion 10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space as a whole is formed.

또한, 상기 쿡탑부(10)에는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음식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쿡탑버너(130)가 설치된다. 상기 쿡탑버너(130)는 상기 쿡탑케이스(120)의 내부 공간에 지지되면서, 상단부가 상기 쿡탑상판(110)을 관통하여 상기 쿡탑부(10)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cooktop part 10 is provided with a cooktop burner 130 for heating a food container placed on the upper side or a food container. The cooktop burner 130 is suppor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oktop case 120, and is installed such that an upper end portion penetrates the cooktop top plate 110 by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cooktop part 10. .

상기 쿡탑부(10)에는 다수의 상기 쿡탑버너(130)가 설치되며, 다수의 상기 쿡탑버너(130)는 각각 다른 발열량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양 또는 크기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The cooktop part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oktop burners 130, the plurality of cooktop burners 130 are installed so as to have a different calorific valu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mount or size of food to be cooked by the user By using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상기 쿡탑상판(110)의 상측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음식용기를 지지하는 트리비트(140)가 제공된다. 상기 트리비트(140)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음식 용기가 상기 쿡탑버너(130)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The upper side of the cooktop top plate 110 is provided with a tribit 140 for supporting a food container containing food or food to be cooked. The tribit 140 supports food or food containers to be cooked so that the cooktop burner 130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cooktop burner 130.

상기 트리비트(140)에 의해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가 상기 쿡탑버너(130)에서 발생하는 화염을 간섭하지 않도록 위치하게 된다. The food or food container is position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lame generated by the cooktop burner 130 by the tribit 140.

상기 쿡탑부(10)의 전면에는 각각의 상기 쿡탑버너(13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50)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부(150)는 버튼 또는 다이얼 놉 등과 같은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상기 쿡탑버너(130)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쿡탑버너(130)를 동작시켜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를 가열하여 요리하게 된다.An operation unit 150 for operating each cooktop burner 13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oktop unit 10. The operation unit 150 is provided in a form such as a button or dial knob to operate the cooktop burner 130 by operating the cooktop burner 130 to be used by the user to heat food or food containers to cook. do.

상기 조작부(15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쿡탑부(10)의 동작 또는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현하여 주는 쿡탑표시부(152)가 제공된다. 상기 쿡탑표시부(152)에는 현재 사용중인 상기 쿡탑버너(130)와 동작시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operation unit 150 is provided with a cooktop display unit 152 for expressing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operation or operating state of the cooktop unit 10. The cooktop display unit 152 may display the cooktop burner 130 currently being used and an operating time.

상기 쿡탑부(10)의 후단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1)의 동작 상태 또는 동작 상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가 위치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쿡탑부(10)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At the rear end of the cooktop unit 10, a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 or operating state of the main body 1 is located. The control unit 5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a whole and is made in the shape of a long rectangular pl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cooktop portion 10.

상기 제어부(5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1)의 동작 상태 및 요리의 진행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주는 디스플레이부(510)와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상기 본체(1)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컨트롤부(520)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10)에 의해 사용자는 외부 공간에서 상기 본체(1)의 동작 상태와 요리의 진행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On the front of the control unit 50, the display unit 510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main body 1 and the progress state of cooking and the like can be directly controlled by the user to control the main body 1. The control unit 520 is provided to be formed. The display unit 510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check the operating state and the cooking progress state of the main body 1 in the external space.

이와 같이, 상기 쿡탑부(10)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150)는 상기 쿡탑부(10)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컨트롤부(520)가 상기 제어부(50)에 위치하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쿡탑부(10)의 동작 중 상기 오븐부(20) 등의 동작을 진행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As such, the operation unit 150 for operating the cooktop unit 10 is located at the front of the cooktop unit 10, and the control unit 520 is located at the control unit 50. This is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oven unit 20, etc. during the operation of the (10).

이는 상기 쿡탑부(10)의 동작 중 상기 오븐부(20)의 동작이 진행되면 상기 본체(1)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기에 의한 온도가 크게 상승하여 다른 주방가구 등에 영향을 미쳐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operation of the oven unit 20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oktop 10, the temperature due to the heat generated in the main body 1 rises significantly, which may affect other kitchen furniture, etc. This is to prevent accidents.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본체(1)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오븐부(20)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오븐부(30)와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오븐부(40)로 이루어진다. Looking at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1 with reference to Figure 2, the oven portion 20 is composed of an upper oven portion 30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a lower oven portion 40 located on the lower side. .

그리고, 상기 상부오븐부(30)와 상기 하부오븐부(40)의 요리 공간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요리하고자 할 때 상기 오븐부(20)의 활용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크기에 따라 적합한 상기 오븐부(20)를 사용하여 요리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의 소비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cooking space of the upper oven portion 30 and the lower oven portion 40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have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usability and ease of use of the oven unit 20 when the user wants to cook. And, it can be cooked using the oven unit 20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food to be cooked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쿡탑부(10)의 하측에는 상기 상부오븐부(3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상부오븐부(30)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오븐부(40)가 위치하게 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oven portion 30 is positioned below the cooktop portion 10, and the lower oven portion 40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oven portion 30.

상기 상부오븐부(30)와 상기 하부오븐부(40)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상부조리실(310)과 하부조리실(410)이 형성된다. 상기 조리실(310,410)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In the upper oven portion 30 and the lower oven portion 40, an upper cooking chamber 310 and a lower cooking chamber 410, which are spaces where food is cooked, are formed. The cooking chambers 310 and 41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are position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 with the front surface open.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조리실(410)의 내부 공간 부피가 상기 상부조리실(310)의 내부공간 부피보다 더 크게 형성되면서 각각 다른 요리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cooking chamber 41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cooking chamber 310 and is formed to have different cooking spaces.

상기 조리실(310,410)의 개방된 전면에는 상기 조리실(310,410)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오븐도어(320,420)가 설치된다. 상기 오븐도어(320,42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오븐부(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Oven doors 320 and 420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inner spaces of the cooking compartments 310 and 410 are installed on the open front surfaces of the cooking compartments 310 and 410. The oven doors 320 and 42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a whole, and form a front appearance of the oven unit 20.

상기 오븐도어(320,420)는 상기 본체(1)의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리실(310,41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고자 할 때 회동시킴으로써 조리실(310,410)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oven doors 320 and 420 are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1 so that when the user wants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s of the cooking chambers 310 and 410, the oven doors 320 and 420 are selectively rotated. It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상기 오븐도어(320,42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조리실(310,410)을 개폐하고자할 때 파지할 수 있는 도어핸들(330,430)이 제공되고, 상기 오븐도어(320,420)의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조리실(310,410)의 내부 공간에서 진행되는 요리의 진행 상태 등을 상기 오븐도어(320,420)를 회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이 더 제공된다. 상기 투명창은 음식물을 요리할 때 발산되는 뜨거운 열기에 견딜 수 있도록 내열강화유리 또는 표면에 열 반사 필름 등을 코팅한 유리가 사용된다. The front doors of the oven doors 320 and 420 are provided with door handles 330 and 430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when the user wants to open and close the cooking compartments 310 and 410, and the use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oven doors 320 and 420. The transparent window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progress of cooking per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ven can be checked in a state in which the oven doors 320 and 420 are not rotated. The transparent window is a heat-resistant tempered glass or a glass coated with a heat reflective film or the like is used to withstand the hot heat emitted when cooking food.

상기 오븐부(20)에는 상기 조리실(310,410)의 내부 공간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화염을 생성하고, 생성된 화염의 열을 이용하여 상기 조리실(310,410)을 가열하는 오븐버너(340,440)가 제공된다. The oven unit 20 generates a flame by burning the gas supplied to heat food or a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placed in the internal spaces of the cooking chambers 310 and 410, and uses the heat of the flame to generate the cooking chamber ( Oven burners 340 and 440 which heat 310 and 410 are provided.

상기 오븐버너(340,440)는 상기 상부조리실(3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상부오븐버너(340)와 상기 하부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하부오븐버너(4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The oven burners 340 and 440 are upper oven burners 340 for heating food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cooking chamber 310 and lower ovens for heating food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cooking chamber 410. It has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a burner 440.

상기 상부오븐버너(340)는 상기 상부조리실(310)의 내부 공간에 놓이는 음식물을 상측에서 가열하기 위한 상부제1버너(342)와 상기 상부조리실(3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상부제2버너(34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The upper oven burner 340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irst burner 342 and the upper cooking chamber 310 for heating the food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cooking chamber 310 from the upper side to heat the food.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upper second burner 344 for.

상기 하부오븐버너(440)는 상기 하부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에 놓이는 음식물을 상측에서 가열하기 위한 하부제1버너(442)와 상기 하부조리실(4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하부제2버너(44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The lower oven burner 440 is located at a lower side of the lower first burner 442 and the lower cooking chamber 410 for heating the food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cooking chamber 410 to heat the food.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lower second burner 444 for.

상기 조리실(310,410)의 내부 공간에 놓이는 음식물은 상기 오븐버너(340,440)에서 생성되는 화염을 통해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조리실(310,410)의 내부 공간이 가열되면서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환경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된다. The food placed in the interior spaces of the cooking chambers 310 and 410 is heated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flames generated by the oven burners 340 and 440, and the temperature increases as the interior spaces of the cooking chambers 310 and 410 are heated. This is cooked.

상기 오븐버너(340,440)는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면서 생성되는 화염에 의한 연소열과, 상기 조리실(310,410)의 외면을 통해 전달되는 전도열 및 고온으로 가열되는 상기 조리실(310,410)에서 발산되는 복사열 등에 의해 상기 조리실(310,41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리실(310,410)의 내부 공간에 놓이는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요리된다. The oven burners 340 and 440 may be formed by combustion heat caused by a flame generated by burning the supplied gas, conductive heat transferred through the outer surfaces of the cooking chambers 310 and 410, and radiant heat emitted from the cooking chambers 310 and 410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The internal spaces of the cooking chambers 310 and 410 are heated. In this case, the food plac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s 310 and 410 is cooked while being heated.

그리고, 상기 하부조리실(410)의 내측 후면 중앙부에는 상기 하부조리실(410)의 내부 공간 공기를 대류시키면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가열하는 대류가열부(412)가 설치된다. 상기 대류가열부(412)에 의해 상기 하부조리실(410)의 내부 공간 공기를 증류시키면서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a convection heating unit 412 is installed at the inner rear center portion of the lower cooking chamber 410 to heat food to be cooked while convection the internal space air of the lower cooking chamber 410. The convection heating unit 412 has the advantage of uniformly heating food while distilling the internal space air of the lower cooking chamber 410.

상기 대류가열부(412)가 상기 상부조리실(310)의 내측 후면에 설치되는 경우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하부조리실(410)의 내측 후면에 상기 대류가열부(412)가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The convection heating unit 412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upper cooking chamber 31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ction heating unit 412 is installed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lower cooking chamber 410. Let's take a look at an example.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조리실(310)을 기준으로 살펴보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의 상기 하부조리실(410)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the upper cooking chamber 310, the description of the lower cooking chamber 410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상부조리실(310)의 내부 공간에 놓이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상기 상부오븐버너(340)을 기준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3, the upper oven burner 340 for heating food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cooking chamber 310 will be described.

상기 상부조리실(310)의 저면에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버너케이스, 상세하게는 내부 공간에 상기 상부제2버너(344)가 지지되면서 설치되는 상부버너케이스(350)가 고정된다. A burner case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is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oking chamber 310, in detail, an upper burner case 350 installed while the upper second burner 344 is supported in the inner space.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상세하게는, 적어도 전후면, 양 측면 및 저면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단부 테두리 부분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조리실(31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면을 제공하게 된다. The upper burner case 350 has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exahedron in detail is formed in the form of a hexahedron having at least the front and rear, both sides and the bottom, while the upper edge portion is bent outwardly A fastening surface for fastening with the cooking chamber 310 is provided.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전면에는 상기 상부오븐버너(340),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제2버너(344)에서의 가스 연소를 위한 공기의 흡입 통로를 제공하는 제1흡기구(352)가 형성된다. On the front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a first intake 352 is provided on the upper oven burner 340,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n intake passage for air for gas combustion in the upper second burner 344. do.

상기 제1흡기구(352)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본체(1)의 외부 공기가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The first intake port 352 is formed in a hol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so that the outside air of the main body 1 introduced through the front intake port is suck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To provide a passageway.

물론, 상기 제1흡기구(352)는 상기 상부제2버너(344)의 가스 연소를 위한 공기의 흡입 통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Of course, as long as the first intake 352 may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an intake passage of air for gas combustion of the upper second burner 344, it may be made in any form.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양 측면에는 상기 상부제2버너(344)에서의 가스 연소를 위한 공기의 흡입 통로를 제공하는 제2흡기구(354)가 형성된다. 상기 제2흡기구(354)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본체(1)의 외부 공기가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Second side inlets 354 are provid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to provide an intake passage for air for gas combustion at the upper second burner 344. The second intake port 354 is formed in a hol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so that the outside air of the main body 1 introduced through the side intake port is suck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To provide a passageway.

물론, 상기 제2흡기구(354)는 상기 상부제2버너(344)의 가스 연소를 위한 공기의 흡입 통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Of course, the second intake port 354 may be formed in any form as long as it can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an intake passage of air for gas combustion of the upper second burner 344.

상기 제1흡기구(352)와 상기 제2흡기구(354)에 의해 상기 상부제2버너(344)로 공급되는 가스의 연소를 위한 공기가 2방향 이상의 다방향에서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The air for the combustion of the gas supplied to the upper second burner 344 by the first intake 352 and the second intake 354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uck in two or more directions do.

다시 말해, 상기 상부제2버너(344)를 중심으로 전방과 좌 측방 및 우 측방, 3방향에서 가스의 연소를 위한 공기가 흡입됨으로써 연소를 위한 공기가 다방향에서 흡입되도록 구성된다. In other words, the air for the combustion of the gas is sucked in three directions in the front, left and right, and three directions around the upper second burner 344.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에 형성되는 상기 제1,2흡기구(352,354)에 의해 상기 상부제2버너(344)에서 가스의 연소를 위한 공기가 충분히 흡입되는 장점을 가지며, 이로 인해, 특정 조건에서의 점화 지연 및 폭발점화가 방지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The first and second intake holes 352 and 354 formed in the upper burner case 350 have an advantage of sufficiently inhaling air for combustion of gas in the upper second burner 344, and thus, in certain conditions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ignition delay and explosion ignition.

상세하게는 가스의 압력이 178mmH2O보다 낮은 조건 또는 상기 상부조리실(310)과 상기 하부조리실(410)을 동시에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건에서 상기 상부제2버너(344)의 점화지연 또는 폭발점화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Specifically, the ignition delay or explosion of the upper second burner 344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gas pressure is lower than 178 mmH 2 O or the food is cooked using the upper cooking chamber 310 and the lower cooking chamber 410 simultaneously. It has the advantage that no ignition occurs.

따라서, 상기 제1,2흡기구(352,354)에 의해 상기 상부제2버너(344)에서 가스의 연소에 필요한 연소 공기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air inlets 352 and 354 may sufficiently supply combustion air for combustion of the gas in the upper second burner 344.

상기 제1흡기구(352)는 상기 본체(1)에 형성되는 상기 전면흡기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흡기구(354)는 상기 본체(1)에 형성되는 상기 측면흡기구와 상하 방향으로 일정 정도의 간격을 가지면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The first intake port 352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ront intake port formed in the main body 1, and the second intake port 354 has a predetermined degre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the side intake port formed in the main body 1. It is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전면과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후면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일정 정도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공간을 통해 상기 전면흡기구 및 측면흡기구를 통해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상기 본체(1)의 외부 공간 공기가 유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흡기구(352)를 통해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Then, the front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and the rear of the front plate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through the front inlet and the side inlet through the main body (1) As the outer space air of the main body 1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low flows to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through the first intake 352.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제1흡기구(352)에는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제1흡기구(352)로 안내하는 안내부(356)가 더 제공되는 구성도 가능하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intake port 352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part 356 for guiding air flowing in front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to the first intake port 352.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상기 안내부(356)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면적이 상기 제1흡기구(352)의 면적보다 적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안내부(356)의 가로 방향 길이가 상기 제1흡기구(352)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흡기구(352)의 전방에서 상기 제1흡기구(352)를 통해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The guide part 356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to have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intake port 352. In the drawing, the lateral length of the guide part 356 is formed to have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intake port 352, and thus, through the first intake port 352 in front of the first intake port 352. It is formed so as not to disturb the flow of air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상기 안내부(356)는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전면에서 상기 제1흡기구(352)를 형성할 때, 대략 "⊃" 형태로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전면을 절제한 다음, 절제되지 않는 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전방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안내부(356)는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전방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When the guide part 356 forms the first intake port 352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is cut off in a substantially “⊃” shape and then cut off. Whe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with the portion not rotated, the guide part 356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ront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이때, 상기 안내부(356)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단하여 가공함으로써 상기 안내부(356)의 좌우 길이가 상기 제1흡기구(352)의 좌우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guide part 356 are short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first inlet 352 by cutting and process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art 356.

이와 같이, 상기 안내부(356)의 좌우 길이가 상기 제1흡기구(352)의 좌우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흡기구(352)의 전방에서 상기 제1흡기구(35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guide part 356 are short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first intake port 352, so that the flow path of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intake port 352 in front of the first intake port 352. Can be secured.

또한, 상기 안내부(356)에 의해 상기 제1흡기구(352)의 양 측방에서 상기 제1흡기구(352)의 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원활하게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air flowing in front of the first inlet 352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inlet 352 by the guide unit 356 may smoothly flow into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It becomes possible.

즉,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전면을 가상의 연장선으로 연장하고, 양 측면을 가상의 연장선으로 연장하면,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전면 연장선과 양 측면 연장선 사이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1흡기구(352) 방향으로 유동하게 될 때 원활하게 상기 제1흡기구(352)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is extended by a virtual extension line and both sides are extended by a virtual extension line, air flowing between the front extension line and both side extension lines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is formed. When flow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inlet 352, the first inlet 352 can smoothly flow to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그리고, 상기 안내부(356)는 상기 제2흡기구(354)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방으로 향하는 상기 본체(1)의 외부 공간 공기가 상기 제2흡기구(354)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전면과 양 측면에 체결하는 구성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guide part 356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inlet 354 to perform a function of guiding the external space air of the main body 1 directed upward to flow to the second inlet 354.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using a separate member can be configured to fasten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의 유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의 공기 유동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Hereinafter, the flow of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flow in the gas oven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본체(1)의 전면흡기구와 측면흡기구를 통해 상기 본체(1)의 외부 공간 공기가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external space air of the main body 1 is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 through the front inlet and side inlet of the main body 1.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에는 적어도 제1유로(60)와 제2유로(70)를 포함하는 유로 구성을 가진다. An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 has a flow path configuration including at least a first flow path 60 and a second flow path 70.

상기 제1유로(60)는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본체(1) 외부 공간의 공기는 상기 제1흡기구(352)를 통해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유로이다. The first flow path 60 is suck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through the first inlet 352 through the air in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1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 It is a flow path.

이러한 제1유로(60)는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흡기구(352)의 전방에서 유동하여 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가지는 유로라 할 수 있다. The first channel 60 may be a channel having a flow of air flowing from the front of the first intake 352 to the rear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상기 제2유로(70)는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본체(1) 외부 공간의 공기가 상기 제2흡기구(354)를 통해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유로이다. The second flow path 70 sucks air from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1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 into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through the second intake 354. It is a flow path.

이러한 제2유로(70)는 상기 상부버너케이스(350)의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흡기구(354)의 측방에서 유동하여 반대쪽 측면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가지는 유로라 할 수 있다. The second flow path 70 may be referred to as a flow path having air flows from the side of the second intake 354 relative to the side of the upper burner case 350 and flows to the opposite side.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본체(1) 외부 공간의 공기는 상기 제1흡기구(352)와 상기 제2흡기구(354)를 통과하면서 다방향에서 상기 상부제2버너(344)로 공급되고 이로 인해 상기 상부제2버너(344)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충분하고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Air in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1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 passes through the first intake 352 and the second intake 354 and the upper second burner 344 in multiple directions. And the air necessary for the combustion of the upper second burner 344 is sufficiently and smoothly supplied.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에 의하면, 버너의 연소를 위한 공기의 공급이 원활한 효과를 가지면서, 점화지연 및 폭발점화가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According to the gas oven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supply of air for combustion of the burner has a smooth effect, the ignition delay and explosion ignition is prevented.

이처럼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오븐레인지는 가스오븐레인지를 생산 및 판매하는 생산 산업과 유통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The gas oven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various effects as described above will have a great use in the production industry and the distribution industry for producing and selling the gas oven range.

1. 본체 10. 쿡탑부
20. 오븐부 30. 상부오븐부
310. 상부조리실 320. 오븐도어
330. 도어핸들 340. 상부오븐버너
350. 상부버너케이스 352. 제1흡기구
354. 제2흡기구 356. 안내부
40. 하부오븐부 410. 하부조리실
420. 오븐도어 430. 도어핸들
440. 하부오븐버너 50. 제어부
60. 제1유로 70. 제2유로
1. Main Unit 10. Cooktop
20. Oven section 30. Upper oven section
310. Upper cooking compartment 320. Oven door
330. Door handle 340. Upper oven burner
350. Upper burner case 352. First intake vent
354. Second intake vent 356. Guidance section
40. Lower oven 410. Lower cooking room
420. Oven Doors 430. Door Handles
440. Lower oven burner 50. Control unit
60. Euro 1 70. Euro 2

Claims (7)

외형을 이루는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이 요리되는 상부조리실을 형성하는 상부오븐부;
상기 상부조리실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음식물이 요리되는 하부조리실을 형성하는 하부오븐부;
상기 상부조리실의 하면에 고정되는 버너케이스;
상기 버너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조리실에 위치하는 음식물의 요리를 위한 열을 제공하는 버너;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너케이스는 전면과 측면에 가스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흡입을 위한 제1흡기구와 제2흡기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1흡기구와 상기 제2흡기구로 각각 흡입되는 가스오븐레인지.
An upper oven part formed in an inner space of a main body forming an outer shape to form an upper cooking chamber where food is cooked;
A lower oven part disposed in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ooking chamber to form a lower cooking chamber in which food is cooked;
A burner case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oking chamber;
A burner installed inside the burner case and providing heat for cooking of food positioned in the upper cooking chamb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burner case is provided with a first inlet and a second inlet for inhaling air required for combustion of gas, respectively, on the front and side surfaces, and air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is transferred to the first and second intakes. Gas oven range which is sucked in ea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케이스에는 연소 가스가 상기 버너케이스의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가스오븐레인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burner case is a gas oven range is provided with an exhaust port for providing a passage for the combustion gas flows to the outer space of the burner ca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전면플레이트가 제공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후면과 상기 버너케이스의 전면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간을 가지는 가스오븐레인지.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front plate forming a front appearance, a gas oven range having a space for the flow of air between the rear of the front plate and the front of the burner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기구에는 외부 공간의 공기가 상기 버너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가 더 제공되는 가스오븐레인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gas inlet of the first inlet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for guiding the air in the outer space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urner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방 및 측방, 후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버너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되고, 일부는 상방 및 측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2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버너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되는 가스오븐레인지.
The method of claim 1,
A part of the air flowing into the main body flows upwards, sidewards, and rearwards and is sucked into the burner case through the first inlet, and part of the air flows upwardly and laterally, and the burner passes through the second inlet. Gas oven rang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제1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버너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제1유로; 및
상기 본체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제2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버너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제2유로;
상기 버너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버너케이스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3유로;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방 및 측방, 전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버너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고,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방 및 측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2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버너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되는 가스오븐레인지.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and sucked into the burner case through the first intake port flows; And
A second flow passage through which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and sucked into the burner case through the second intake port flows;
A third flow passage through which air sucked into the burner case is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burner cas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channel flows upward, side, and forward to be suck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urner case through the first intake, and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channel flows upward and side to the first A gas oven range is sucked into the burner case through the inle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는 상기 버너케이스의 측면에 의하여 서로 구획되는 가스오븐레인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first flow passage and the second flow passage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by side surfaces of the burner case.
KR1020100127892A 2010-12-14 2010-12-14 Built-in type gas oven range KR1017510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892A KR101751059B1 (en) 2010-12-14 2010-12-14 Built-in type gas oven r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892A KR101751059B1 (en) 2010-12-14 2010-12-14 Built-in type gas oven ran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518A true KR20120066518A (en) 2012-06-22
KR101751059B1 KR101751059B1 (en) 2017-06-26

Family

ID=4668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892A KR101751059B1 (en) 2010-12-14 2010-12-14 Built-in type gas oven ran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05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2219A (en) * 2017-01-13 2017-05-10 刘国瑞 Disc type stove with oven hea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4557A (en) 2000-04-20 2001-10-31 Paloma Ind Ltd Gas ov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2219A (en) * 2017-01-13 2017-05-10 刘国瑞 Disc type stove with oven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059B1 (en) 201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9418B2 (en) Cooking appliance
KR102064800B1 (en) Double burner type gas burner
KR20140003094U (en) Oven roaster of drawer type
US8820311B2 (en) Oven range
JP6694583B2 (en) Toaster oven
KR20120066518A (en) Gas oven range
KR20100122025A (en) Cooking appliance
US20110186036A1 (en) Cooking Appliance
KR101742824B1 (en) Gas oven range
JP5882284B2 (en) Combined cooker
US20110186032A1 (en) Oven Range
KR20060075154A (en) A structure of control part for electric oven
JP2012125542A (en) Cooking utensil for direct heating
KR102118564B1 (en) Portable small fire pot
KR20060013768A (en) Electric oven range with stacking-type warm drawer
KR200371476Y1 (en) A ventilation apparatus of electric oven range
WO2020244529A1 (en) Oven device combining radiation grilling and convection grilling
KR101040427B1 (en) Reflector and gas oven range comprising the same
KR100716253B1 (en) Oven range and door for the same
KR101690329B1 (en) Cooking appliance
KR100688664B1 (en) A mounting structure of back-guard part for electric-oven range
KR101121917B1 (en) Top burner part for Electric oven
KR200365632Y1 (en) A structure of oven section for electric oven range
KR200365635Y1 (en) A structure of oven section for electric oven range
KR200365633Y1 (en) A structure of oven section for electric oven r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