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025A - Cook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Cooking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2025A
KR20100122025A KR1020090041002A KR20090041002A KR20100122025A KR 20100122025 A KR20100122025 A KR 20100122025A KR 1020090041002 A KR1020090041002 A KR 1020090041002A KR 20090041002 A KR20090041002 A KR 20090041002A KR 20100122025 A KR20100122025 A KR 20100122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space
heat source
heat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0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양호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1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2025A/en
Priority to US13/263,935 priority patent/US20120037147A1/en
Priority to PCT/KR2009/004955 priority patent/WO2010131801A1/en
Publication of KR20100122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0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24C3/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PURPOSE: A cooking appliance is provided to reduce cooking times by intensively heating food put on the central part of the cavity. CONSTITUTION: A cooking appliance comprises a cavity(210), a first heating source(230), a second heating source, and an exhaust pipe(270). The cavity provides a cooking space for food, wherein the top surface has curvature. The first heating source has the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The second heating source is located on the lower part of the cavity. The first heating source generates heat on the surface which is the neares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The first heating source supplies fuel through a mixed gas guide pipe.

Description

조리기기 {Cooking appliance}Cooking appliance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그릴 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liance capable of grill cooking.

조리기기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사용자가 취식할 수 있도록 익힘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가전기기의 하나이다. A cooking appliance is one of home appliances that cook food by heating food to be cooked and cooked to be eaten by a user.

이러한 조리기기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가열하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기도 하며, 음식물을 가열하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기도 하고,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The cooking apparatus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heat source for heating the food to be cooked,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heat source for heating the food, or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stalled form.

먼저,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가열하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면, 음식물이 수용되는 밀폐된 공간에 고주파를 공급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전자레인지와, 음식물이 수용되는 밀폐된 공간의 공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오븐 등으로 구분된다. First, if the food is to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ype of heat source for heating the food, the microwave to heat the food by supplying a high frequency in the enclosed space to accommodate the food, and the food by heating the air in the enclosed space to accommodate the food It is divided into an oven for cooking.

그리고,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가열하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화염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스조리기기와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히터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전기조리기기로 구분된다. And, an electric cooking device for heating the food by a gas cooking device for heating the food by the flame generated by burning the gas supplied according to the type of heat source for heating the food to be cooked and a heater that generates heat by the electricity supplied. Separated by.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조리기기를 구분하게 되면, 주방 공간에 설치되는 주방 가구의 사이에 인입되어 설치되는 빌트인(Built-in) 형태의 조리기기와, 주방 공간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프리스탠드(Free-stand) 형태의 조리기기 및 주방 공간의 일정 벽면에 설치되는 벽걸이 형태의 조리기기로 구분된다. When the cooking applianc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allation, the built-in cooking apparatus is inse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kitchen furnitures installed in the kitchen space, and the free stand installed at the desired location in the kitchen space. It is divided into a free-stand type cooking device and a wall-mounted cooking device installed on a predetermined wall of a kitchen space.

근래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dLsoIn recent years,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users.

그리고, 근래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며, 대표적으로 열원을 복합적으로 설치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요리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기능 또는 주방 가구에 수납되는 구성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단열 기능, 음식물의 요리 중 발생하는 배기가스의 배기와 제품의 냉각을 위한 유로의 재구성 등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various functions are added to meet various needs of users, and typically, a function of shortening the cooking time for cooking food by installing a heat source in combination or safety of a component housed in kitchen furniture Various functions are being added such as insulation function for improvement, exhaust of exhaust gas generated during cooking of food, and reconstruction of a flow path for cooling the product.

본 발명의 목적은, 집중 가열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intensive heat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리 공간이 넓은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large cooking space.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상면이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도록 상기 캐비티의 상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면서 상부에 위치하는 제1열원;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도록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열원; 및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vity formed to have a curvature at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providing a cooking space for food; A first heat source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with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cavity to heat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A second heat source positioned below the cavity to heat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And an exhaust port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is exhausted into the outer space of the cavit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판;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서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1열원; 및 상기 캐비티의 하측에서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2열원;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리판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캐비티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정단면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다.In another aspect,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vity for providing a cooking space for food; A separation plate dividing an inner space of the cavity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 first heat source configured to heat an inner space of the cavity above the cavity; And a second heat source for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under the cavit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ront end of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of the cavity partitioned by the separator is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상기 캐비티의 중앙부에 놓이는 음식물의 집중 가열이 가능해짐으로써 음식물의 요리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centrate heating of the food placed in the center of the cavity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oking time of the food.

또한, 상기 캐비티의 상면이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캐비티의 내부 공간이 넓어지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이 넓어짐에 따라 대용량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has a shape having a curvature,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is widened, and as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is widened, a large amount of food can be cooked.

부피가 큰 대용량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해짐으로써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By enabling the cooking of bulky large-capacity foods, there is an effect of cooking a variety of foods, and has the effect of meeting the various needs of the user.

그리고,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해짐으로써 조리기기의 사용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cooking of various foods is possibl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cooking appliance is maximized.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해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It can be easily proposed through addition, modification, deletion, etc., but this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 예를 가스 오븐으로 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모든 조리기기의 형태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두기로 한다.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gas ove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cooking appliances.

또한,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 택한 개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claims are concepts selec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refore, in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should be appropriately interpreted as meaning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oking applianc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또한,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캐비티를 나타낸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스오븐레인지로 예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를 살펴보기로 한다. In addition, Figure 3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c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to whi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cooking apparatus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y a gas oven range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그 외형이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며, 가장 상측에는 상부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쿡탑부(10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쿡탑부(100)의 하측에는 내부 공간에 음식물을 수용하고 다수의 열원으로 음식물이 수용된 공간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오븐부(200)가 위치하게 된다.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and a cooktop part 100 for cooking food by heating a container containing food or food placed on an upper side thereof is located at the top, and the cooktop part ( Below the 100, the oven unit 200 for cooking food is placed by receiving food in the interior space and heating the space in which the food is accommodated by a plurality of heat sources.

상기 오븐부(200)의 하측에는 요리된 음식물을 따뜻하게 보관하거나, 저온으로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상대적으로 저온의 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워부(300)가 위치하게 된다. The drawer 300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oven unit 200 to keep the cooked food warm or to heat the food at a low temperature to form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spac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가장 상측에는 상기 쿡탑부(100)가 위치하게 되고, 가장 하측에는 상기 드로워부(300)가 위치하게 되며, 그 사이 공간 즉 중앙부에는 가장 부피가 큰 상기 오븐부(200)가 위치하게 된다. Therefore, in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ktop part 100 is positioned at the uppermost side, and the drawer part 300 is positioned at the lowermost side, and the space, that is, the oven having the largest volume in the center. The unit 200 is located.

상기 쿡탑부(100)는 대략 직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 간을 형성하게 되고, 그 내부 공간에는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다수의 탑버너(110)가 구비된다. The cooktop part 100 forms an internal space of a predetermined degree while forming an outlin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a plurality of top burners 110 are provided in an inner space for heating a container containing food or food placed thereon. do.

상기 쿡탑부(100)의 상면은 탑플레이트(12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탑플레이트(12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버너홀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버너홀을 관통하여 다수의 상기 탑버너(110)가 탑플레이트(12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정도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top 100 is formed by a top plate 120, the top plate 120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plurality of burner holes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s formed. A plurality of the top burners 110 penetrate through the burner holes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a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120 to a certain degree.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3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상면에 놓이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120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130 for supporting a container containing food. The support member 13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degree of strength so as to support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place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쿡탑부(100)의 전단부에는 사용자가 쿡탑부(100)와 상기 오븐부(200) 및 상기 드로워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40)에는 사용자가 쿡탑부(100)와 오븐부(200) 및 드로워부(30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될 때 열원을 직접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50)가 다수의 놉 형태로 구비되며, 사용자가 쿡탑부(100)와 오븐부(200) 및 드로워부(30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 또는 영상, 음성신호 등으로 표현하여 주는 표시부(160)가 구비된다. At the front end of the cooktop 100, a controller 140 for a user to control the cooktop 100, the oven 200, and the drawer 300 is located. When the user cooks food using the cooktop unit 100, the oven unit 200, and the drawer unit 300, the control unit 150 directly manipulates a heat source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knobs. It is provided with, the display unit 160 for expressing in the screen or an image, an audio signal, etc.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oktop 100, the oven 200 and the drawer 300.

상기 조작부(150)는 사용자가 다수의 열원을 직접 조작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놉의 형태가 아닌 다양한 형태 예컨대, 버튼 또는 휠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즉, 사용자가 다수의 열원을 조작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 떠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The manipulation unit 150 is provided for the user to directly manipulate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buttons or wheels, rather than in the form of a knob. In other words, if the user can operate a plurality of heat sources may be configured in any form.

상기 쿡탑부(100)의 하측에는 상기 오븐부(200)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오븐부(200)는 전체적으로 앞면이 개방되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21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캐비티(210)의 외측에는 다수의 열원이 구비된다. The oven 200 is positioned below the cooktop 100. The oven unit 200 is formed in a form having an internal space of a predetermined degree while the front surface is opened as a whole, the cavity 210 for providing a space for cooking food is located in the interior space, the cavity 210 The outside of th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 sources.

이와 같이, 상기 캐비티(210)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열원에 의해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이 가열됨으로써 캐비티(210) 내부 공간의 뜨거운 공기에 의해 캐비티(210)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요리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ood space is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cavity 210 by the hot air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10 by heat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10 by a plurality of heat sources provided outside the cavity 210. It is cooked while it is heated.

상기 캐비티(210)는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앞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일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앞면을 통해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요리된 음식물이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출입하게 되고, 상기 오븐부(200)의 앞면에는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오븐도어(22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cavity 210 has an inner space and the front surface is opened, and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food or cooked food to be cooked through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cavity 210 and the outside In and out of the space, the front of the oven unit 200, the oven door 220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10 is mounted rotatably.

상기 오븐도어(22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오븐도어(220)의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오븐도어(220)를 회동시키지 않고 상기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음식물의 요리 상태 또는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222)이 형성된다. The oven door 2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center portion of the oven door 220 is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10 by the user without rotating the oven door 220. A viewing window 222 is formed to check the cooking state or the operating state of the food.

상기 오븐부(2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캐비티(210)는 상면이 곡률을 가지면서 중앙부가 상방으로 라운드지는 형상을 이루며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게 되고, 이러한 캐비티(210)의 상측에는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 는 다수의 제1열원(230)이 구비된다. The cavity 210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oven unit 200 has a curvature at the top thereof, and the center portion is rounded upward to provide a cooking space for food. The cavity 21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210. A plurality of first heat sources 230 for heat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10 is provided.

상기 오븐도어(220)의 앞면에는 사용자가 오븐도어(220)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함으로써, 오븐도어(220)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도어핸들(224)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핸들(224)은 오븐도어(220)의 앞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The front surface of the oven door 220 is provided with a door handle 224 for facilitating the rotation of the oven door 220 by holding the user when the user wants to rotate the oven door 220. The door handle 224 may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oven door 220, it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to the rear so that the user can grip.

즉, 상기 도어핸들(224)은 사용자가 상기 오븐도어(220)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며, 상기 캐비티(210)는 내부 공간에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That is, the door handle 224 may be provided in any form if the user is easy to grip when the user wants to rotate the oven door 220, the cavity 210 is in the interior space Since the food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a space for cooking, it may be provided in any form as long as it can perform this function.

또한, 상기 드로워부(300)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하측 또는 내부 공간 하면에 드로워부(30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이 구비되며, 이러한 열원은 다수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drawer part 3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an upper surface open, and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part 300 is provided at a lower side or an inner space lower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such heat sources are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it will be possible to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상기 드로워부(300)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킨 후 내부 공간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수용하여 보관하거나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이러한 드로워부(300)의 앞면에는 사용자가 드로워부(300)를 슬라이딩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기 위한 드로워핸들(310)이 구비된다. The drawer unit 300 is mounted to sl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user slides the front forward as needed and accommodates or stores a container containing food or food in the inner space or cooks food. A drawer handle 31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unit 300 for gripping when the user wants to slide the drawer unit 300.

한편, 상기 오븐부(200)는 외벽이 가해지는 열을 축열하는 축열부재(226)로 형성된다. 상기 축열부재(226)는 돌 등의 재료가 사용되며, 상기 캐비티(210)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열을 축열부재(226)의 내부에 일정 정도 축적한 상태에서 서서히 발산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ven unit 200 is formed of a heat storage member 226 for storing heat applied to the outer wall. The heat storage member 226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one, and gradually dissipates in a state in which heat heated by a plurality of heat source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vity 210 is accumulated to a certain degree in the heat storage member 226. Don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오븐부(200)를 더욱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ven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캐비티(210)는 전방에서 볼 때 상면 중앙부가 상방으로 라운드지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방으로 라운드지는 곡률을 가지는 캐비티(210)의 상면에는 캐비티(210)의 상면을 따라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다수개의 제1열원(230)이 구비된다. The cavity 210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that is rounded upwar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a cavity 210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0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0 having a curvature rounded upward. A plurality of first heat sources 230 for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is provided.

상기 제1열원(230)은 표면에서 연소되면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표면연소버너가 사용된다. 이러한 표면연소버너는 세라믹 버너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형태의 열원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나, 제1열원(230)의 설치 위치가 상기 캐비티(210)의 상면에 장착되므로 표면연소버너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The first heat source 230 is a surface combustion burner that generates a flame while burning on the surface is used. Ceramic burners are mainly used for the surface burner, but other types of heat sources may be used. However, sinc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rst heat source 23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0, the surface burner is mounted. It would be preferable.

또한, 상기 제1열원(230)은 상기 캐비티(210)의 곡률을 가지는 상면을 따라 장착됨으로써 제1열원(230)이 캐비티(210)와 접하는 부분은 캐비티(210)의 상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열원(230)의 연소 부분이 캐비티(210)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first heat source 230 is mounted along an upper surface having a curvature of the cavity 210, so that a portion of the first heat source 230 contacting the cavity 210 may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0.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bustion portion of the first heat source 230 is mount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0.

물론, 상기 제1열원(230)의 연소 부분이 일정 정도의 곡률을 가지지 않고, 부가적인 구조 즉, 체결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캐비티(210)의 상면 또는 제1열원(230)에서 연소되는 부분의 테두리 부분에 캐비티(210)의 상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체결부재에 체결되면서 캐비티(210)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Of course, the combustion portion of the first heat source 230 does not have a certain degree of curvature, and has an additional structure, that is,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0 or the portion burned in the first heat source 230. It may also b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0 while being fastened to the fastening member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0 on the edge portion.

이와 같이 상기 제1열원(230)과 상기 캐비티(210)의 상면이 밀착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제1열원(230)에서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열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기 위함이다. As such, the first heat source 2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0 ar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heat of combustion generated when the gas is combusted in the first heat source 230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This is to heat the internal space.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가스공급부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가스공급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gas supply unit of the cooking apparatus to whi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as supply unit of the cooking appliance to whi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상기 제1열원(230)의 후방에는 제1열원(230)으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240)가 구비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가스공급부(240)를 살펴보면, 가스가 인입되면서 외부의 공기를 동시에 인입되어 혼합가스를 생성하는 가스혼합관(241)이 구비된다. A gas supply unit 240 for supplying a mixed gas to the first heat source 23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heat source 230. Looking at the gas supply unit 240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gas mixing tube 241 for generating a mixed gas by simultaneously introducing the outside air while the gas is introduced.

상기 가스혼합관(241)의 전단부는 가스혼합관(24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면서 일정 지름을 가지는 원형 파이프 형태의 메인혼합관(242)과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The front end of the gas mixing pipe 241 is provid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mixing pipe 242 of the circular pip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while being provi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gas mixing pipe 241.

상기 가스혼합관(241)은 상기 제1열원(230)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좁아졌다가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혼합관(242)은 가스혼합관(241)을 통과하면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각각의 상기 제1열원(230)으로 공급 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gas mixing pipe 241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thereof becomes narrower and wider toward the first heat source 230, and the main mixing pipe 242 passes through the gas mixing pipe 241 and passes the gas. It serves to supply the mixed gas mixed with air to each of the first heat source (230).

상기 메인혼합관(242)은 가로 방향으로 긴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 공간에서 상기 가스혼합관(241)에서 일정 부분 혼합된 혼합가스가 유동하게 된다. The main mixing pipe 24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circular pi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the mixed gas mix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in the gas mixing pipe 241 in the inner space flows.

상기 메인혼합관(242)의 앞면에는 상기 제1열원(230)과 메인혼합관(242)을 연통시키는 혼합가스안내관(243)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혼합가스안내관(243)은 한쪽 끝 부분이 메인혼합관(24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다른 쪽 끝 부분이 상기 제1열원(230)과 연통되어 혼합가스를 제1열원(230)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The front of the main mixing pipe 242 is a mixed gas guide tube 243 for communicating the first heat source 230 and the main mixing pipe 242 is located. The mixed gas guide tube 243 is formed so that one end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mixing tube 242, the other end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heat source 230, the mixed gas to the first heat source 230 You will be guided to move.

따라서, 상기 가스혼합관(241)으로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는 가스혼합관(241)을 통과하면서 일정 정도 혼합되어 혼합가스를 형성하게 되고, 가스혼합관(241)을 통과한 혼합가스는 내부 공간이 연통되는 상기 메인혼합관(242)으로 이동하면서 가스와 공기가 더욱 혼합된다. Therefore, the gas and air flowing into the gas mixing tube 241 are mixed to some extent while passing through the gas mixing tube 241 to form a mixed gas, and the mixed gas passing through the gas mixing tube 241 is an internal space. The gas and the air are further mixed while moving to the communicating main mixing pipe 242.

상기 메인혼합관(242)으로 이동한 혼합가스는 상기 혼합가스안내관(243)으로 이동하면서 가스와 공기가 더욱 혼합되면서 혼합가스안내관(243)을 통과하는 혼합가스는 각각의 상기 제1열원(23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면서, 각각의 제1열원(230)이 점화되어 혼합가스가 연소하면서 상기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게 된다. The mixed gas moved to the main mixing pipe 242 moves to the mixed gas guide pipe 243, and the mixed gas passing through the mixed gas guide pipe 243 is further mixed with each other by the first heat source. As it flows into the interior space of 230, each of the first heat sources 230 is ignited to heat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10 while the mixed gas is burned.

이와 같이, 상기 제1열원(230)은 전체적으로 상기 캐비티(210)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장착되어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게 되고, 제1열원(230)은 캐비티(210)의 가장 상단부에 위치하는 상면 중앙부에 하나의 제1열원(230)이 위치하게 되며, 양 측방으로 각각 다른 제1열원(230)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1열원(230)이 양 측방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제1열원(230)보다 캐비티(210)의 저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As such, the first heat source 23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 heat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210, and the first heat source 230 is the most of the cavity 210. One first heat source 23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located at the upper end, and different first heat sources 230 are located at both sides. The first heat source 230 is positioned to be spaced farthes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210 than the first heat source 230 positioned on both sides.

이때, 상기 제1열원(230)은 가스가 점화되면서 연소하는 부분이 상기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을 향하도록 장착되어 제1열원(230)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이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heat source 230 is mounted so that a portion of the gas burning while facing the ignition of the gas is directed toward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210, so that the heat of combustion generated from the first heat source 230 may cause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210 to flow. Heating.

상기 캐비티(210)의 하측에는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으로 열을 가하는 상기 제2열원(250)이 구비되고,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에는 캐비티(210)를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공간적 구획을 하는 분리판(260)이 구비된다. The second heat source 250 for applying heat to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210 is provided below the cavity 210, and the cavity 210 is spaced into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in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210. The partition plate 260 which partitions is provided.

따라서, 상기 분리판(260)에 의해 상기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은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나누어지게 되고, 분리판(26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의 후면에는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에서 음식물이 요리할 때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캐비티(210)의 외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기구(270)가 각각 형성된다. Therefore,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210 is divid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by the separating plate 260, and a cavity 210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partitioned by the separating plate 260. Each exhaust port 270 is provided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xhaust gas generated when the food is cook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 moves to the outer space of the cavity 210.

상기 배기구(270)는 상기 캐비티(210)의 후방에 위치하는 메인배기덕트(28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메인배기덕트(280)는 상기 쿡탑부(100)와, 상기 오븐부(200) 및 상기 드로워부(300)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메인배기덕트(280)와 배기구(270)가 연통됨으로써 메인배기덕트(280)에 의해 안내되어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The exhaust port 270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exhaust duct 280 located at the rear of the cavity 210. The main exhaust duct 280 forms a passage for exhausting the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cooktop unit 100, the oven unit 200, and the drawer unit 300 to an external space. As the duct 280 and the exhaust port 27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duct 280 is guided by the main exhaust duct 280 and exhausted to the outside space.

그리고, 상기 제1열원(230)은 상기 캐비티(210)의 상면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1열원(230) 및 양 측방에 위치하는 제1열원(230) 사이 간격은 동일한 간격을 가지게 되면서, 전방에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The first heat source 230 is spaced between the first heat source 230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0 and the first heat source 230 positioned at both sides, having the same interval, and the front thereof. When viewed from the side will be positioned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한편, 상기 분리판(260)에 의해 상기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이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면,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의 정단면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210 is partitioned into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by the separating plate 260,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is formed in a different shape.

즉, 상기 캐비티(210)의 상면이 곡률을 가지면서 라운드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분리판(260)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공간은 상면이 라운드지는 정단면을 형성하게 되고, 하부 공간은 직사각형의 정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0 is formed to be rounded with curvature, so that the upper space formed by the separating plate 260 forms a front end surface with a rounded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pace is a rectangular front end surface. Will form.

또한, 상기 캐비티(210)의 상면이 곡률을 가지면서 라운드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면을 따라 장착되는 각각의 상기 제1열원(230)의 가열 방향을 가상의 연장선으로 연장하여 보면, 각각의 연장선은 서로 어느 지점에서는 교차되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0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and is rounded, when the heating direction of each of the first heat sources 230 mounted along the upper surface is extended with an imaginary extension line, each of the extension lines may be any other. At the point it has an intersecting form.

상세하게는, 상기 캐비티(210)의 상면 중앙부에 장착되는 상기 제1열원(230)은 캐비티(210) 상면의 곡률과는 무관하게 가열 방향이 직하방을 향하게 되며, 도면에서 볼 때 상면 좌측 부분에 장착되는 제1열원(230)은 가열 방향이 우측 하방으로 향하게 된다. In detail, the first heat source 230 mount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0 has a heating direction directed downward, regardless of the curvatur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0. The first heat source 230 mounted on the heating direction is directed downward downward.

또한, 도면에서 볼 때 상기 캐비티(210)의 상면 우측 부분에 장착되는 제1열원(230)은 가열 방향이 좌측 하방으로 향하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heating direction of the first heat source 230 mounted on the upper right portion of the cavity 210 is directed downward downward.

따라서, 상기 제1열원(230) 각각의 가열 방향을 가상의 연장선을 그어보면, 어느 지점에서는 교차되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Therefore, when an imaginary extension line is drawn in the heating direction of each of the first heat sources 230, the first heat source 230 has a shape where it crosses at some point.

이는 상기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 중앙부에 놓이는 음식물에 집중 가열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집중 가열에 의한 요리시간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This has the effect of allowing concentrated heating to the food plac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210, it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cooking time by the concentrated heating.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to which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사용자가 상기 오븐부(20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하면, 상기 제어부(140)에 구비되는 상기 조작부(150)를 조작하여 상기 캐비티(210)의 상면에 장착되는 상기 제1열원(230)에 가스를 공급한 다음 점화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1열원(230)으로 가스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가스혼합관(241)으로 가스가 유입되고,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는 가스혼합관(241)을 통과하면서 일정 정도 혼합되어 혼합가스를 형성하게 된다. When the user wants to cook food using the oven unit 200, the first heat source 23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0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150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140. Gas is supplied and then ignited. At this time, when the user supplies gas to the first heat source 230, the gas is introduced into the gas mixing tube 241, and the introduced gas and air are mixed to some extent while passing through the gas mixing tube 241 and mixed. Will form a gas.

상기 가스혼합관(241)을 통과하는 혼합가스는 상기 메인혼합관(242)으로 이동하게 되고, 메인혼합관(242)으로 이동하는 혼합가스는 상기 혼합가스안내관(243)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제1열원(230)으로 유입되어 연소하게 된다. The mixed gas passing through the gas mixing tube 241 moves to the main mixing tube 242, and the mixed gas moving to the main mixing tube 242 is guided by the mixed gas guide tube 243. It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heat source 230 to burn.

상기 제1열원(230)에서 연소하는 혼합가스에 의해 제1열원(230)에서는 연소열과 복사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연소열과 복사열에 의해 상기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이 가열되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Combustion heat and radiant heat are generated in the first heat source 230 by the mixed gas combusted by the first heat source 230, and the food is cooked while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210 is heated by the combustion heat and radiant heat. do.

이때, 상기 제1열원(230)는 중앙부가 상방으로 라운드지는 곡률을 가지는 상기 캐비티(210)의 상면을 따라 장착됨으로써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 중앙부로 연 소열 및 복사열이 향하게 됨으로써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 중앙부로 더 많은 열이 전달되어 캐비티(210)의 내부 공간 중앙부에 놓이는 음식물의 요리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heat source 230 is mount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0 having a curvature of which a central portion is rounded upwards such that the combustion heat and the radiant heat are dir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210, thereby allowing the cavity 210 to be oriented. More heat is transferred to the inner sp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vity 210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oking time of the food plac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vity.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캐비티의 중앙부에 놓이는 음식물의 집중 가열이 가능해짐으로써 음식물의 요리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centrate heating of the food placed in the center of the cavity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oking time of the food.

또한, 상면이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이 넓어지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내부 공간이 넓어지는 효과로 인해 대용량의 음식물 요리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curvature has an effect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is widened,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that the large-capacity food cooking is possible due to the effect of expanding the internal space.

이와 같은, 효과로 인해 조리기기를 생산 및 판매하는 생산 산업과 유통 산업에 충분히 이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As such, the effect will be sufficiently available to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dustries for producing and selling cookware.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oking applianc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캐비티를 나타낸 정단면도.Figure 3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c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to whi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캐비티 상측에 구비되는 제1열원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heat source provided on the cavity uppe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o whi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캐비티를 나타낸 정단면도.Figure 5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c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쿡탑부 110. 탑버너100. Cook Top 110. Top Burner

120. 탑플레이트 130. 지지부재120. Top plate 130. Support member

140. 제어부 150. 조작부140. Control unit 150. Control panel

160. 표시부 200. 오븐부160. Display unit 200. Oven unit

210. 캐비틴 220. 오븐도어210. Cavitation 220. Oven Door

222. 투시창 224. 도어핸들222. Viewing window 224. Door handle

226. 축열부재 230. 제1열원226. Heat storage member 230. First heat source

240. 가스공급부 241. 가스혼합관240. Gas supply unit 241. Gas mixing pipe

242. 메인혼합관 243. 혼합가스안내관242. Main Mixture Line 243. Mixed Gas Guide Line

250. 제2열원 260. 분리판250. Second heat source 260. Separator

270. 배기구 280. 메인배기덕트270. Exhaust port 280. Main exhaust duct

300. 드로워부 310. 드로워핸들300. Drawer 310. Drawer handle

Claims (11)

상면이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The cavity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has a curvature, and provides a cooking space of the food;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도록 상기 캐비티의 상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면서 상부에 위치하는 제1열원;A first heat source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with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cavity to heat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도록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열원; 및A second heat source positioned below the cavity to heat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And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리기기.An exhaust port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is exhausted into the outer space of the cavity;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1열원은 상기 캐비티의 상면과 최근 거리 표면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조리기기.The first heat source is a cooking appliance for generating hea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and the surface of the latest distan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열원은 메인혼합관에서 각각 분지되는 혼합가스안내관을 통하여 연료가 공급되는 조리기기.And the first heat source is supplied with fuel through a mixed gas guide tube branched from the main mixing tub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판이 제공되는 조리기기.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cook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separating plate for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기구는 다수 형성되는 조리기기.A plurality of exhaust ports are formed cooking applian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열원은 상기 캐비티의 상면 상단부에 위치하는 조리기기.At least one first heat source is a cooking appliance located in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다수의 상기 제1열원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위치하는 조리기기.The cook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heat sourc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기구는 상기 캐비티의 후측에 위치하는 메인 배기덕트와 연통되는 조리기기.And the exhaust port communicates with a main exhaust duct located at a rear side of the cavity.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A cavity providing a cooking space for food;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판; A separation plate dividing an inner space of the cavity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서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1열원; 및A first heat source configured to heat an inner space of the cavity above the cavity; And 상기 캐비티의 하측에서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2열원;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A second heat source that heats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under the cavit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분리판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캐비티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정단면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조리기기.And a front end surface of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of the cavity partitioned by the separation plat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열원은 상기 캐비티의 상면을 따라 장착되는 조리기기.And the first heat source is mounted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cavity.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각각의 상기 제1열원 가열 방향 가상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되는 조리기기.And each of the first heat source heating direction virtual extension lines cross each other.
KR1020090041002A 2009-05-11 2009-05-11 Cooking appliance KR20100122025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002A KR20100122025A (en) 2009-05-11 2009-05-11 Cooking appliance
US13/263,935 US20120037147A1 (en) 2009-05-11 2009-09-03 Cooking appliance
PCT/KR2009/004955 WO2010131801A1 (en) 2009-05-11 2009-09-03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002A KR20100122025A (en) 2009-05-11 2009-05-11 Cooking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025A true KR20100122025A (en) 2010-11-19

Family

ID=4308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002A KR20100122025A (en) 2009-05-11 2009-05-11 Cooking applian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037147A1 (en)
KR (1) KR20100122025A (en)
WO (1) WO2010131801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253A1 (en) * 2015-07-08 2017-01-12 장길재 Oven cooking apparatus provided with heat transfer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101B1 (en) * 2009-05-11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oker
US9504351B2 (en) 2013-10-11 2016-11-29 Hal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ouble oven appliance
US11421894B2 (en) * 2020-07-13 2022-08-2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pill guard for a gas oven burn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5458A (en) * 1950-06-24 1954-04-13 Harry L Stiles Electric cooking utensil
KR970018858U (en) * 1995-10-31 1997-05-26 Cavity structure of gas oven
US5872351A (en) * 1996-12-20 1999-02-16 Taco Bell Corporation Domed induction oven
JP3883977B2 (en) * 2003-03-17 2007-02-21 三洋電機株式会社 Cooker
JP4294445B2 (en) * 2003-11-07 2009-07-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Infrared bulb, hea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frared bulb
KR100700771B1 (en) * 2005-03-30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Oven range with sliding type backgard
KR20060127690A (en) * 2005-06-08 2006-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ic oven ran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253A1 (en) * 2015-07-08 2017-01-12 장길재 Oven cooking apparatus provided with heat transfe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1801A1 (en) 2010-11-18
US20120037147A1 (en)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9418B2 (en) Cooking appliance
US8978637B2 (en) Top 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EP2232148A2 (en) A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CA2834144C (en) Gas oven range
CA2834138A1 (en) Gas oven range
KR101969497B1 (en) Griddle apparatus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WO2020239070A1 (en) Multi-cavity oven device capable of natural convection and forced convection
KR20100122025A (en) Cooking appliance
EP2312219B1 (en) Oven range
KR101824736B1 (en) A 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KR20180031294A (en) Burner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KR101623600B1 (en) Outdoor cooker
KR20090064001A (en) A 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KR101617886B1 (en) Cooking appliance
KR101751059B1 (en) Built-in type gas oven range
KR101690329B1 (en) Cooking appliance
WO2020244529A1 (en) Oven device combining radiation grilling and convection grilling
KR101864493B1 (en)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2017172941A (en) Stove
KR101073329B1 (en) Burner and cooking appliance
JP2015078801A (en) Composite cooker
KR101313910B1 (en) Oven range
KR101316480B1 (en) A cooker
KR101724701B1 (en) Gas burner
KR101663319B1 (en) Gas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