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5526A - 와이어 누름장치를 가지는 윈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와이어 누름장치를 가지는 윈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526A
KR20120065526A KR1020100126703A KR20100126703A KR20120065526A KR 20120065526 A KR20120065526 A KR 20120065526A KR 1020100126703 A KR1020100126703 A KR 1020100126703A KR 20100126703 A KR20100126703 A KR 20100126703A KR 20120065526 A KR20120065526 A KR 20120065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nch
pressing
sp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길호
박승운
안수철
유영상
정우철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Priority to KR1020100126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5526A/ko
Publication of KR2012006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 B66D2700/0191Cable guiding during winding or paying out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누름장치를 가지는 윈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와,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을 조절하는 드럼형상의 윈치와, 와이어를 윈치에 대하여 눌러주는 와이어 누름장치를 포함하고, 와이어 누름장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회동부와, 회동부의 회동중심의 일측에 제공되어 와이어를 윈치에 대하여 눌러주는 누름부와, 회동부의 회동중심의 타측에 제공되는 공압스프링을 포함하는, 와이어 누름장치를 가지는 윈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 누름장치를 가지는 윈치 시스템{WINCH SYSTEM WITH A DEVICE OF PUSHING WIRE}
본 발명은 와이어 누름장치를 가지는 윈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와,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을 조절하는 드럼형상의 윈치와, 와이어를 윈치에 대하여 눌러주는 와이어 누름장치를 포함하고, 와이어 누름장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회동부와, 회동부의 회동중심의 일측에 제공되어 와이어를 윈치에 대하여 눌러주는 누름부와, 회동부의 회동중심의 타측에 제공되는 공압스프링을 포함하는, 와이어 누름장치를 가지는 윈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치는 지하방호창, 셔터문, 고층건물의 창문제거 및 차량사고시 견인에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특히 견인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을 손쉽게 끌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일반적인 차량에 장착되는 윈치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윈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와, 자동풀림과 수동으로 와이어를 풀 수 있도록 조정을 하는 기능을 가진 클러치(2)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드럼에 감기면서 견인을 하는 와이어(3)와, 와이어의 견인력이 대상물에 작용되도록 대상물로 결합하는 후크(4)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견인차량의 윈치에 감겨진 와이어(3)를 풀어서 견일할 차량에 후크(4)를 연결한다. 이후, 윈치의 모터(1)를 구동시켜서 드럼에 와이어(3)를 감으면 와이어가 감겨지면서 발생되는 견인력에 의해 대상차량을 견인차량이 위치한 장소로 견인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드럼에 와이어가 감김 및 풀림을 하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위치가 제멋대로 되어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에서 와이어를 윈치에 대하여 눌러주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윈치에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과정시 와이어를 윈치에 눌러서 와이어와 와이어의 간극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윈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특히, 와이어를 눌러주는 부재를 일반 스프링 방식이 아니라 공압 방식의 에어스프링을 사용하여 와이어와 와이어의 간극을 최소화하도록 유지할 수 있는 공압스프링을 사용한 윈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누름장치를 가지는 윈치 시스템의 실시예로서, 와이어(31)와, 상기 와이어(31)의 감김과 풀림을 조절하는 드럼형상의 윈치(30)와, 상기 와이어(31)를 상기 윈치(30)에 대하여 눌러주는 와이어 누름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누름장치(10)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회동부(16)와, 상기 회동부(16)의 회동중심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와이어(31)를 상기 윈치에 대하여 눌러주는 누름부(13)와, 상기 회동부(16)의 회동중심의 타측에 제공되는 공압스프링(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압스프링(20)과 면접촉하는 힘작용부(17)와, 상기 힘작용부(17)의 힘을 상기 회동부(16)에 전달하는 연결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압스프링(20)은 상기 누름부(13)와 상기 와이어(31) 간의 접촉힘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스프링계수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윈치에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과정시 와이어를 윈치에 눌러서 와이어와 와이어의 간극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와이어를 눌러주는 부재를 일반 스프링 방식이 아니라 공압 방식의 에어스프링을 사용하여 와이어와 와이어의 간극을 최소화하도록 유지할 수 있는 공압스프링을 사용한 윈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윈치 시스템이 장착된 견인차량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윈치 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윈치 시스템의 와이어 누름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윈치 시스템의 와이어 누름 장치의 절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윈치 시스템의 와이어 누름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6은 종래의 일반적인 윈치 시스템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윈치 시스템이 장착된 견인차량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윈치 시스템은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지하방호창, 셔터문, 고층건물의 창문제거 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윈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누름장치를 가지는 윈치 시스템의 실시예로서, 와이어(31)와, 상기 와이어(31)의 감김과 풀림을 조절하는 드럼형상의 윈치(30)와, 상기 와이어(31)를 상기 윈치(30)에 대하여 눌러주는 와이어 누름장치(10)를 포함한다.
윈치(30)는 드럼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와이어(31)가 감겨있는 상태에서 감김과 풀림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윈치(30)는 회전력에 의해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측면에 모터 및 감속기(33)가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와이어 누름장치(10)는 와이어(31)가 향하는 반대측에 제공되어, 와이어(31)를 윈치에 대하여 눌러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와이어 누름장치(10)의 와이어(31)에 대한 접촉힘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공압스프링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공압스프링의 공압을 유지하기 위해서 튜브(21)를 통해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윈치 시스템의 와이어 누름 장치의 사시도이다.
와이어 누름장치(10)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회동부(16)와, 상기 회동부(16)의 회동중심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와이어(31)를 상기 윈치에 대하여 눌러주는 누름부(13)와, 상기 회동부(16)의 회동중심의 타측에 제공되는 공압스프링(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부(11)는 바닥에 고정되어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1)는 회동부재(14)를 통해 회동부(16)가 연결되어 있다. 회동부(16)는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고정되어 부착된 측부(12)를 더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회동중심"이라 함은 회동부재(14)를 의미한다.
누름부(13)는 회동부(16)의 끝단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중간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누름부(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동부(16)에 대하여 원통의 중심축이 회전축이 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만일, 누름부(13)가 회전하지 않는다면, 와이어(31)의 이동시 누름부(13)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와이어 누름장치(10)에 파손이 발생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회동부(16)는 그 구조 및 기능상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공압스프링과 회동부(16)는 면접촉을 통해 힘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 공압스프링(20)을 바닥 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기계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윈치 시스템의 와이어 누름 장치의 절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즉, 공압스프링(20)은 바닥 고정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설치하고, 공압스프링(20)의 상측과 면접촉이 가능하도록 힘작용부(17)를 제공한다. 힘작용부(17)의 일단은 회동부(16)와 용접 등을 통하여 접합되고, 타측은 회동부(16)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연결하여 힘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부(18)를 더 제공한다. 연결부(18)는 힘작용부(17)와 일체로 되어 절곡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윈치 시스템의 와이어 누름 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와이어 누름장치(10)는 와이어(31) 중 윈치(30)에 감겨 있는 부분과 접촉하면서, 와이어를 윈치(30)에 대하여 눌러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공압스프링(20)에 의해 윈치(30)에 감긴 와이어(31)의 두께에 따라 회동하면서 와이어와의 접촉을 유지하게 된다.
만일, 공압스프링이 아니라 탄성계수가 고정된 일반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윈치(30)에 감긴 와이어의 두께에 따라 스프링의 압축력이 변화되어 와이어를 눌러주는 힘이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가 많이 감겨 있는 경우에는 스프링은 압축되어 누름부와 와이어 간의 접촉힘은 증가하게 되고, 와이어가 조금 감겨 있는 경우에는 스프링은 덜 압축되어 누름부와 와이어 간의 접촉힘은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압스프링(20)을 도입하고 있다. 즉, 윈치(30)에 감긴 와이어의 두께에 상관없이 공압스프링(20) 내의 압력(탄성계수)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누름부(13)와 와이어(31) 간의 접촉힘은 윈치에 감긴 와이어 두께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윈치에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과정시 와이어를 윈치에 눌러서 와이어와 와이어의 간극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스프링(20)에는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압축 공기의 이동 튜브(21)가 연결되어 있고, 외부에는 공압스프링(20)의 압력을 측정하여 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압축기 및 제어기(도면 미도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와이어 누름장치(10)에 공압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핵심이고, 압축기 및 제어기에 대해서는 당업자라면 알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가 정해짐을 밝혀둔다.
10 :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11 : 지지부, 12 : 측부, 13 : 누름부, 14 : 회동부재, 15 : 고정부, 16 : 상부, 17 : 힘작용부, 18 : 연결부, 20 : 공압스프링, 30 : 윈치, 31 : 와이어

Claims (3)

  1. 와이어(31)와,
    상기 와이어(31)의 감김과 풀림을 조절하는 드럼형상의 윈치(30)와,
    상기 와이어(31)를 상기 윈치(30)에 대하여 눌러주는 와이어 누름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누름장치(10)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회동부(16)와, 상기 회동부(16)의 회동중심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와이어(31)를 상기 윈치에 대하여 눌러주는 누름부(13)와, 상기 회동부(16)의 회동중심의 타측에 제공되는 공압스프링(20)을 포함하는,
    와이어 누름장치를 가지는 윈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압스프링(20)과 면접촉하는 힘작용부(17)와,
    상기 힘작용부(17)의 힘을 상기 회동부(16)에 전달하는 연결부(18)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누름장치를 가지는 윈치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압스프링(20)은 상기 누름부(13)와 상기 와이어(31) 간의 접촉힘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스프링계수가 조절되는,
    와이어 누름장치를 가지는 윈치 시스템.
KR1020100126703A 2010-12-13 2010-12-13 와이어 누름장치를 가지는 윈치 시스템 KR20120065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703A KR20120065526A (ko) 2010-12-13 2010-12-13 와이어 누름장치를 가지는 윈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703A KR20120065526A (ko) 2010-12-13 2010-12-13 와이어 누름장치를 가지는 윈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526A true KR20120065526A (ko) 2012-06-21

Family

ID=4668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703A KR20120065526A (ko) 2010-12-13 2010-12-13 와이어 누름장치를 가지는 윈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55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7720A (zh) * 2019-11-08 2020-02-21 徐州市康恒机械有限公司 一种多用途牵引绞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7720A (zh) * 2019-11-08 2020-02-21 徐州市康恒机械有限公司 一种多用途牵引绞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87979B (zh) 绞盘以及包含绞盘的自主移动设备
CN102040173B (zh) 钢丝绳预紧装置
KR101376047B1 (ko) 안전블럭의 제동장치
JP2001518357A (ja) 人間昇降用ウィンチ組立体
CN108840208A (zh) 一种曳引主机及升降设备
CN103648960B (zh) 环形缆索绞车
WO2013180665A1 (en) Forestry winch with controlled coiling of a towing cable and preventing the overloading thereof
US20090260797A1 (en) Spooled Device Retaining System
KR20120065526A (ko) 와이어 누름장치를 가지는 윈치 시스템
US8651499B2 (en) Hose or cable release alert system
KR200445840Y1 (ko) 낙하방지 리프트
JP5143168B2 (ja) ケーブル弛み防止装置およびケーブル弛み防止架線工法
CN208964342U (zh) 一种曳引主机及升降设备
JP2010098873A (ja) 吊架螺旋状体ハンガーの延線装置及びその方法
JPS6254756B2 (ko)
CN216038370U (zh) 一种绞车加紧装置及绞车
EP4194328A1 (en) Mooring line tension monitoring system
US6682293B2 (en) Spare tire carrier
KR101121689B1 (ko) 크레인 하중센서
JP5556125B2 (ja) スクリーン装置、及びスクリーンの錘部材の引き上がり防止機構
GB2348272A (en) A telescopic support device for a luminaire
CN209927142U (zh) 一种建筑工程监理用检测装置
CN216523689U (zh) 一种工程监理用裂缝观测仪
KR100913047B1 (ko) 코일 선단부 고정패드 부착장치
JP2019202832A (ja) ウイン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