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5271A - 전력 증폭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증폭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271A
KR20120065271A KR1020117028632A KR20117028632A KR20120065271A KR 20120065271 A KR20120065271 A KR 20120065271A KR 1020117028632 A KR1020117028632 A KR 1020117028632A KR 20117028632 A KR20117028632 A KR 20117028632A KR 20120065271 A KR20120065271 A KR 20120065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hannels
connection
channel
characteristic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에르 펠로소
에릭 파브레
파스칼 파치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20065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1Power control, e.g. to keep the total optical power const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3Signal power control
    • H04B10/2931Signal power control using AG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3Signal power control
    • H04B10/294Signal power control in a multiwavelength system, e.g. gain equalisation
    • H04B10/296Transient power control, e.g. due to channel add/drop or rapid fluctuations in the input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광 증폭기(9)를 포함하는 광 네트워크의 광 링크(7)에서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 링크(7)의 채널들(15) 사이의 전력 분배는: - 링크 물리적 특징들 및 대응하는 접속들의 특징들에 기초한 타겟 전력 레벨들,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9)에서의 총 이용가능한 전력, 및 - 상기 전력 분배를 허용하는 제어 수단의 특징들의 함수로 달성되고, 접속을 따른 신호에 의해 받게되는 저하 또는 손상들에 대해 더 높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vulnerability characterizing parameter)를 갖는 상기 접속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해, 실제 채널 전력 레벨과 상기 타겟 전력 레벨 사이의 허용된 차가 상기 접속을 따른 신호에 의해 받게되는 저하 또는 손상들에 대해 더 낮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갖는 상기 접속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한 것보다 낮은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 증폭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EQUIPMENT FOR ADJUSTING POWER AMPLIFICATION}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광 통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에서, 신호들은 복수의 링크들(7) 및 스위칭 노드들(8)을 통해 인그레스 노드(ingress node; 3)에서 이그레스 노드(egress node; 5)로 주어진 채널에 대한 접속(1)을 따라 송신되고, 각각의 링크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9)를 포함한다. 또한, 링크에서, 복수의 채널들(15)이 함께 송신되어 증폭되고, 각각의 채널(15)은 도 2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파장에 대응한다.
링크들에서의 증폭 전력은 링크에 관련된 접속들에 대해, 목적지에서의 신호 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조정되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상태에서, 링크의 모든 채널들이 동일량의 전력을 수용하도록 상이한 채널들 상에서 등화가 달성된다.
그러나,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알려진 방법은 최적화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기술분야의 상태에 대해 전력 조정을 개선하고 광 링크에서 채널들의 전력 레벨들의 조정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광 증폭기를 포함하는 광 네트워크의 광 링크에서 채널들의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광 링크의 채널들 사이의 전력 분배는:
- 링크 물리적 특징들 및 대응하는 접속들의 특징들에 기초한 타겟 전력 레벨들,
-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에서의 총 이용가능한 전력, 및
- 전력 분배를 허용하는 제어 수단의 특징들의 함수로 달성되고,
접속을 따른 신호에 의해 받게되는 저하 또는 손상들에 대해 더 높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갖는 접속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해, 실제 채널 전력 레벨과 타겟 전력 레벨 사이의 허용된 차가 접속을 따른 신호에 의해 받게되는 저하 또는 손상들에 대해 더 낮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갖는 접속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한 것보다 낮은 채널들의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조정은 광 링크의 채널들 사이의 전력 분배는 실제 채널 전력 레벨과 더 높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갖는 접속들에 대응하는 채널들의 타겟 전력 레벨 사이의 허용된 차를 최소화하도록 진행되는 방식으로 실현된다.
다른 양태에 따라,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는 더 긴 접속들이 더 높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가지도록 대응하는 접속의 길이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부가의 양태에 따라,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는 더 높은 비트레이트들을 갖는 접속들이 더 높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가지도록 대응하는 접속의 비트레이트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라,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는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가 접속의 에러 정정 코드의 포맷의 함수로 가변하도록 대응하는 접속의 에러 정정 코드의 포맷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라,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는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가 접속의 변조 포맷의 함수로 가변하도록 대응하는 접속의 변조 포맷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부가의 양태에 따라, 전력 레벨들의 조정은 상기 채널들의 타겟 전력 레벨들 및 상기 채널들에 대응하는 접속들의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고려한 비용 함수의 최소화를 포함하고, 비용 함수는 총 이용가능한 전력 조건에 따른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최소화하기 위한 상기 비용 함수는
Figure pct00001
인 함수 f(P)에 대응하고,
여기서, i는 채널 인덱스이고, L은 채널들의 수이고, Pi는 채널 i에서의 실제 전력 레벨이고, mi는 채널 i에 대한 타겟 전력 레벨이고,
Figure pct00002
는 채널 i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의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이고, 총 이용가능한 전력 조건
Figure pct00003
에 따르고,
여기서 C는 총 이용가능한 전력이고 a는 상수이다.
다른 양태에 따라, 비용 함수는 또한 상기 채널들의 전력의 조정을 위한 제한된 범위 조건에 따르고:
Figure pct00004
여기서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는 각각 채널 i의 전력 범위의 상위 및 하위 임계값이다.
부가의 양태에 따라, 채널들의 전력 레벨들의 조정은 수렴 반복 방법(converging iterative method)에 의해 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라, 실제 전력 값들은 대응하는 접속들의 다른 링크들의 상태의 함수로 변경된다.
다른 양태에 따라, 실제 전력 값의 수정은 대응하는 접속의 다른 링크들에서 전력의 결여 또는 초과를 보상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광 링크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광 증폭기,
- 채널들에 대응하는 접속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
- 광 링크에서의 채널들의 전력 레벨들을:
- 링크 물리적 특징들 및 대응하는 접속들의 특징들에 기초한 타겟 전력 레벨들;
-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에서의 총 이용가능한 전력,
- 전력 분배를 허용하는 제어 수단의 특징들의 함수로, 및
접속을 따른 신호에 의해 받게되는 저하 또는 손상들에 대해 더 높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갖는 상기 접속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해, 실제 채널 전력 레벨과 상기 타겟 전력 레벨 사이의 허용된 차가 상기 접속을 따른 신호에 의해 받게되는 저하 또는 손상들에 대해 더 낮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갖는 상기 접속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한 것보다 낮다는 사실에 따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수단, 및
- 처리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전력 레벨 값들에 따라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광 링크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 따라, 처리 수단은 타겟 전력 레벨들 및 채널들에 대응하는 접속들의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고려한 비용 함수의 최소화를 포함하는 전력 레벨들의 조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비용 함수는 총 이용가능한 전력 조건에 따른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처리 수단은
Figure pct00007
인 함수 f(P)에 대응하는 비용 함수의 최소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i는 채널 인덱스이고, L은 채널들의 수이고, Pi는 채널 i에서의 실제 전력 레벨이고, mi는 상기 채널 i에 대한 타겟 전력 레벨이고,
Figure pct00008
는 상기 채널 i에 대응하는 접속의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이고, 상기 총 비용 함수는 총 이용가능한 전력 조건
Figure pct00009
에 따르고,
여기서 C는 선형 스케일로 표현된 총 이용가능한 전력이다.
부가의 양태에 따라, 처리 수단은 또한 채널들의 전력 레벨들의 조정을 위한 제한된 범위 조건을 고려하면서 비용 함수 f(p)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되고:
Figure pct00010
여기서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는 각각 채널 i의 전력 범위의 상위 및 하위 임계값이다.
다른 양태에 따라, 처리 수단은 수렴 반복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들의 전력 레벨들의 결정시 조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광 네트워크에서의 접속의 개략도.
도 2는 광 링크의 개략도.
도 3은 입력 전력의 함수에서 링크 출력의 비트 에러 레이트를 표현하는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워터 필링(water filling)" 솔루션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사이펀들(siphons)을 가진 "워터 필링(water filling)" 솔루션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광 링크의 전력 분배 수단의 도면.
본 명세서에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접속의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vulnerability characterizing parameter)"는 접속을 따른 신호에 의해 받게되는 저하 또는 손상들에 관한 접속의 견고성의 결여를 나타낸다. 상이한 파라미터들은:
- 접속의 길이,
- 접속을 따르는 변조 포맷,
- 접속의 비트레이트,
- 접속을 따르는 에러 정정 코드의 포맷, 및
- 예를 들면 광섬유들의 타입과 같은 링크의 물리적 특징들과 같은 상기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개념은 대응하는 접속들(1)의 특징들의 함수에서 링크(7)의 상이한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을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조정은 링크의 각각의 채널에 대해, 관련된 채널들 상의 가장 낮은 신호 저하를 생성하는 전력 레벨에 대응하는 타겟 전력 레벨의 결정에 의해 달성된다.
저하는, 관련된 전력 레벨 조정으로부터 관련된 채널에 대응하는 접속(1)을 따르는 다음 전력 레벨 조정으로의 링크들(7)의 물리적 특징들의 함수로 추정된다.
실제로, 도 3은 광 링크(7)의 채널(15)에 대한 전력 레벨(Pl ,n)의 함수에서의 비트 에러 레이트(BER)의 표현인 곡선을 도시하며, BER 및 전력 레벨 양쪽 모두는 데시벨(dB)들로 표현된다. 이 곡선에서, 우리는 3개의 세그먼트들을 구별할 수 있다.
먼저, 선형 세그먼트 S1이 존재한다. 전력 레벨이 너무 낮을 때, 즉, P1보다 낮으면, 잡음은 손실들을 생성하고, 비트 에러 레이트는 전력 레벨의 감소와 함께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전력 레벨들 P1과 P2 사이의 제 2 세그먼트 S2는 포물선 형태를 가진다. 이 세그먼트 S2는 에러 비트 레이트가 수용가능한 한도들 내에 존재하는 세그먼트이다.
비트 에러 레이트가 타겟 전력 레벨에 대응하는 전력 값 P3에서 최소 값을 가진다는 것을 유념할 수 있다.
전력 레벨 P3으로부터의 제 3 세그먼트 S3은 전력 레벨이 증가할 때 지수적으로 증가한다. 이것은 전력 레벨이 너무 높을 때 광 비-선형 효과들이 신호의 저하와 그에 따른 비트 에러 레이트의 증가를 유발하는 신호 손상들을 생성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선형 S1, 포물선 S2 및 지수형 S3을 가진 곡선의 일반적인 형상은 모든 채널들 및 링크들에 대해 동일하다. 그러나, 비트 에러 레이트의 총 값, 특히 P3에서의 최소 BER 및 세그먼트 S2의 폭은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상기 언급된 파라미터들의 함수로 가변한다.
또한, 예를 들면, 더 넓은 S2 세그먼트를 가진 링크의 채널은 급격하게 규정된 S2 세그먼트를 가진 채널보다 손상들에 의해 덜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것은 제 1 경우에, 제 2 경우보다 손상들을 감행하지 않고 전력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더 많은 폭들(latitudes)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상적인 경우에, 모든 채널들(15)은 목적지에서 최상의 신호 품질을 획득하기 위하여 타겟 전력 레벨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낮은 재생 요구를 가진 광 접속들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광 네트워크의 광 투명도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부가의 제약들은 그러한 조정을 방해할 수 있다. 실제로, 링크에서 이용가능한 총 전력은 제한되고, 링크(7)의 전력 분배 수단도 또한 트레이드-오프가 일반적으로 요구되도록 기술적인 제한들을 가진다.
각각의 채널에 대해 설정된 실제 전력 레벨들은 기술적 제약들에 의존하여 타겟 전력 레벨과 다른 수 있다. 또한, 일부 접속들은 다른 것들보다 전력 레벨의 수정으로부터 더 시달릴 수 있다.
실제로, 낮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가진 접속(1)에 대해, 접속의 링크에서의 전력 레벨의 수정은 더 높은 저하 파라미터를 가진 접속(1)보다 더 낮은 영향을 받을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높은 저하 파라미터를 가진 접속들(1)에 대응하는 채널들(15)에 대해, 전력 레벨의 수용가능한 변동 범위는 낮은 저하 파라미터를 가진 채널들에 대해 감소된다.
예를 들면, 링크(7)의 2개의 채널들(15)에 대해, 하나는 높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가지고, 하나는 낮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가지고, 높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갖는 채널(15)에 대해 1dB만의 조정 범위만이 허용될 것인 반면, 낮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갖는 채널(7)에 대해서는 5dB의 조정 범위가 허용될 것이다.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는 접속(1)의 특징들, 및 접속(1)을 따라 신호의 저하 또는 손상들을 생성하는 접속(1)을 따라 교차된 링크들(7)의 특징들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더 긴 접속(1)은 더 짧은 접속(1)보다 더 많은 저하들을 잠재적으로 경험할 것이다.
접속(1)의 길이는 물리적 길이(예를 들면 km로)를 나타낼 수 있지만, 또한, 링크들(7)의 수 또는 접속(1)을 따르는 스팬들, 또는 링크들(7)의 수 또는 스팬들과 그들 물리적 길이들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변조 포맷, 비트레이트 및 에러 코드의 포맷은 또한 접속(1)을 따라 신호에 수용가능한 저하들의 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따라서,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는 링크의 상이한 채널들의 전력 레벨들의 조정에서 대응하는 접속(1)의 취약성을 고려하고, 더욱 "취약한(vulnerable)" 접속들(1), 즉 목적지에서의 신호가 잠재적으로 더욱 저하되는 접속들에 대응하는 채널들(15)을 유리하게 하도록 허용한다.
링크(7)에서 송신된 상이한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의 조정에서 트레이드-오프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이한 채널들(15)에 대한 상이한 제약들을 고려하여 비용 함수의 최소화를 나타낸다.
비용 함수는 다음의 함수
Figure pct00013
여기서, i는 채널 인덱스이고, L은 채널들의 수이고, Pi는 채널 i에서의 실제 전력 레벨이고, mi는 채널 i에 대한 타겟 전력 레벨이고, 두 전력들은 대수 계산자로 표현되고,
Figure pct00014
는 채널 i에 대응하는 접속의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이다.
상기 비용 함수는 다음의 총 이용가능한 전력 조건에 따르고
Figure pct00015
여기서 C는 선형 스케일로 표현된 링크의 총 이용가능한 전력이고, a는 상수이다.
또한, 비용 함수는 다음의 채널들의 전력의 조정에 대한 제한된 범위 조건에 따른다:
Figure pct00016
여기서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는 각각 채널 i의 전력 범위의 상위 및 하위 임계값이다.
상기 비용 함수의 최소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솔루션은 대응하는 라그랑주의 정류점들의 결정이고:
Figure pct00019
여기서 λ,μ 및 ν는 변수들이다.
라그랑주의 정류점들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pct00020
ν ≥ 0 및
Figure pct00021
문제는 이것이 비선형 수학식들의 세트에 대응한다는 점이다.
모든 접속들이 동일한 경우: mi = m 및 σi = σ
모든 Pi이 그들 경계들(λi = μi = 0) 내부에 있다고 가정하면, 수학식은 모든 Pi에 대해 동일하다:
Figure pct00022
솔루션은 도 4에 도시된 고전적인 "워터-필링" 문제로서 수학에서 알려진 솔루션에 대응하며, 여기서 B+ 및 B-는 상이한 채널들에 대한 전력 레벨의 범위 경계들에 대응한다. (일반적으로 "워터 필링 문제들" 및 그 솔루션에 대해, 프랑스, 낭트, 2007년 10월 22일 GameComm2007 상의 Eitan Altman 등에 의한 논문 "Closed form solutions for water-filling problems in optimization and game frameworks"을 참조할 수 있다.)
도 4에서, 상위 수평 점선은 링크의 전력 결여로 인해 도달할 수 없는 타겟 레벨을 표현하고, 하위 수평 점선은 이용가능한 전력 예산 C를 표현하고, 채널들에 도달 가능한 전력 레벨에 대응한다. 따라서, 전력 레벨들은 이 레벨로 설정된다. 그들 경계들에 도달하는 채널들의 경우에, 문제는 도 5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사이펀들을 가진 워터 필링 문제로서 남아 있다.
타겟 전력 레벨들 및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들이 상이하고, 모든 Pi가 그들 경계들(λi = μi = 0) 내부에 있다고 가정하면, 풀기 위한 비선형 시스템은
Figure pct00023
여기서 k는 채널 인덱스이다.
따라서, ν가 추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
Figure pct00026
고정된 S에 대해, 각각의 Pi(시컨트 방법; secant method)에 대해 풀 수 있으면, S는 업데이트되고 방법은 반복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최적의 솔루션쪽으로 수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채널들의 전력 레벨들의 조정은 수렴 반복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링크에서 접속의 억제 또는 추가와 같이 링크에서 발생하는 임의의 수정을 고려하기 위하여 방법은 동적이다.
그 외에도, 링크(7)에서의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의 조정은 다른 링크들에서의 상기 전력 레벨들의 조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실제로, 접속(1)의 링크(7)에서(도 1), 실제 전력 레벨이 기술적 한도들로 인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접속(1)이 다른 링크들(7)에서 보상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채널(15)의 실제 전력 레벨은 대응하는 접속(1)의 다른 링크(7)에서의 전력의 결여 또는 초과를 보상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실제로, 광 링크(7)는 각각의 개별 채널의 전력 레벨의 설정을 허용하는 제어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광 증폭기(9)를 포함한다. 실제로, 링크(7)는 링크(7)가 여러 광 증폭기들(9)을 포함하도록 광 증폭기(9)의 각각을 포함하는 여러 스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수단은 파장 선택 스위치(WSS) 또는 파장 블로커(WB)와 같은 임의의 개별적인 파장 감쇠 시스템(12)일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12)은 디멀티플렉싱 시스템(11), 상이한 채널들(15)에 대한 개별적인 감쇠들을 설정하도록 허용하는 다양한 광 감쇠기들(13)(예를 들면, 가변 광 감쇠기들(VOA들)의 세트) 및 멀티플렉싱 시스템(17)을 종종 포함한다. 실제로, 상이한 채널들(15)은 링크(7)를 통해 송신되기 전에 멀티플렉싱된다. 따라서, 디멀티플렉서(11)는 상이한 파장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채널들(15)을 분리하는 것을 허용한다. 각각의 채널(15)의 전력 레벨이 그 후에 조정된다. 상이한 채널들(15)은 최종적으로, 다음의 링크(7)를 통해 송신되기 위하여 멀티플렉서(17)에서 다시 멀티플렉싱된다. 실시예에서, 파장 감쇠 시스템(12)은 광 스위칭 노드(8) 내에서 축적된다.
또한, 링크(7)의 상이한 채널들(15)에 대응하는 접속들(1)에 관한 정보는 링크(7)에 송신된다. 따라서, 이 정보에 기초하여, 링크(7)의 처리 수단은 모든 제약들을 고려하도록 허용하는 상이한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의 조정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술된 최적화에 대응하는 계산을 달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처리 수단에 의해 결정된 값은 그 후에 적어도 하나의 광 증폭기(9) 및 제어 수단에 의해 적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링크(7)의 상이한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을 개별적으로 조정하고 상기 조정을 최적화하도록 허용하여, 높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들을 갖는 접속들에 대응하는 채널들(15)의 조정 범위는 낮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들을 갖는 접속들(1)에 대응하는 채널들(15)에 대해 감소된다. 광 네트워크에서의 이러한 조정의 적용은 더 양호한 전력 분배에 기여하고, 따라서 전력의 요구량을 넘는 이그레스 노드(5)에서의 신호 품질의 비의 최적화에 기여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재생 요구들을 낮추고 네트워크의 투명도를 증가시키도록 허용한다.
3: 인그레스 노드 5: 이그레스 노드
8: 광 스위칭 노드 9: 증폭기
12: 파장 감쇠 시스템 13: 광 감쇠기들
15: 채널들 17: 멀티플렉싱 시스템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광 증폭기(9)를 포함하는 광 네트워크의 광 링크(7)에서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 링크(7)의 채널들(15) 사이의 전력 분배는:
    - 링크(7) 물리적 특징들 및 대응하는 접속들(1)의 특징들에 기초한 타겟 전력 레벨들,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9)에서의 총 이용가능한 전력, 및
    - 상기 전력 분배를 허용하는 제어 수단의 특징들의 함수로 달성되고,
    접속을 따른 신호에 의해 받게되는 저하 또는 손상들에 대해 더 높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vulnerability characterizing parameter)를 갖는 상기 접속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해, 실제 채널 전력 레벨과 상기 타겟 전력 레벨 사이의 허용된 차가 상기 접속을 따른 신호에 의해 받게되는 저하 또는 손상들에 대해 더 낮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갖는 상기 접속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한 것보다 낮은,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링크(7)의 채널들 사이의 상기 전력 분배는 실제 채널 전력 레벨과 더 높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갖는 접속들(1)에 대응하는 채널들의 상기 타겟 전력 레벨 사이의 상기 허용된 차를 최소화하도록 진행되는,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는 더 긴 접속들(1)이 더 높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가지도록 상기 대응하는 접속(1)의 길이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는 더 높은 비트레이트들을 갖는 접속들(1)이 더 높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가지도록 상기 대응하는 접속(1)의 비트레이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는 상기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가 상기 접속(1)의 에러 정정 코드의 포맷의 함수로 가변하도록 상기 대응하는 접속의 에러 정정 코드의 포맷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는 상기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가 상기 접속(1)의 변조 포맷의 함수로 가변하도록 상기 대응하는 접속(1)의 변조 포맷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레벨들의 조정은 상기 채널들(15)의 타겟 전력 레벨들 및 상기 채널들(15)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들(1)의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고려한 비용 함수의 최소화를 포함하고, 상기 비용 함수는 총 이용가능한 전력 조건에 따르는,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최소화하기 위한 상기 비용 함수는
    Figure pct00027
    인 함수 f(P)에 대응하고,
    여기서, i는 채널 인덱스이고, L은 채널들의 수이고, Pi는 상기 채널 i에서의 실제 전력 레벨이고, mi는 상기 채널 i에 대한 타겟 전력 레벨이고,
    Figure pct00028
    는 상기 채널 i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의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이고, 상기 총 이용가능한 전력 조건
    Figure pct00029
    에 따르고,
    여기서 C는 상기 총 이용가능한 전력이고 a는 상수인,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함수는 또한 상기 채널들의 전력의 조정을 위한 제한된 범위 조건에 따르고:
    Figure pct00030

    여기서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는 각각 상기 채널 i의 전력 범위의 상위 및 하위 임계값인,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의 조정은 수렴 반복 방법(converging iterative method)에 의해 달성되는,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전력 값들은 상기 대응하는 접속들(1)의 다른 링크들(7)의 상태의 함수로 변경되는,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전력 값의 수정은 상기 대응하는 접속(1)의 다른 링크들(7)에서 전력의 결여 또는 초과를 보상하기 위해 이용되는,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3. 광 링크(7)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광 증폭기(9),
    - 채널들(15)에 대응하는 접속들(1)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
    - 상기 광 링크(7)에서의 채널들(15)의 전력 레벨들을:
    - 상기 링크(7) 물리적 특징들 및 대응하는 접속들(1)의 특징들에 기초한 타겟 전력 레벨들,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9)에서의 총 이용가능한 전력,
    - 전력 분배를 허용하는 제어 수단의 특징들의 함수로, 및
    접속을 따른 신호에 의해 받게되는 저하 또는 손상들에 대해 더 높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갖는 상기 접속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해, 실제 채널 전력 레벨과 상기 타겟 전력 레벨 사이의 허용된 차가 상기 접속을 따른 신호에 의해 받게되는 저하 또는 손상들에 대해 더 낮은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갖는 상기 접속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한 것보다 낮다는 사실에 따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수단, 및
    - 상기 처리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전력 레벨 값들에 따라 상기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광 링크(7).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타겟 전력 레벨들 및 상기 채널들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들의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를 고려한 비용 함수의 최소화를 포함하는 상기 전력 레벨들의 조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비용 함수는 총 이용가능한 전력 조건에 따르는, 광 링크(7).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Figure pct00033
    인 함수 f(P)에 대응하는 비용 함수의 최소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i는 채널 인덱스이고, L은 채널들의 수이고, Pi는 상기 채널 i에서의 실제 전력 레벨이고, mi는 상기 채널 i에 대한 타겟 전력 레벨이고,
    Figure pct00034
    는 상기 채널 i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의 취약성 특성 파라미터이고, 상기 총 비용 함수는 상기 총 이용가능한 전력 조건
    Figure pct00035
    에 따르고,
    여기서 C는 상기 총 이용가능한 전력인, 광 링크(7).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또한 상기 채널들의 전력 레벨들의 조정을 위한 제한된 범위 조건을 고려하면서 상기 비용 함수 f(p)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되고:
    Figure pct00036

    여기서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는 각각 상기 채널 i의 전력 범위의 상위 및 하위 임계값인, 광 링크(7).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수렴 반복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들의 전력 레벨들의 결정시 조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광 링크(7).
KR1020117028632A 2009-06-02 2010-05-06 전력 증폭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652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290409A EP2259455B1 (en) 2009-06-02 2009-06-02 Method and equipment for adjusting power amplification
EP09290409.3 2009-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271A true KR20120065271A (ko) 2012-06-20

Family

ID=4113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632A KR20120065271A (ko) 2009-06-02 2010-05-06 전력 증폭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42725B2 (ko)
EP (1) EP2259455B1 (ko)
JP (1) JP5312689B2 (ko)
KR (1) KR20120065271A (ko)
CN (1) CN102449938B (ko)
AT (1) ATE544252T1 (ko)
WO (1) WO20101395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44545B (zh) * 2011-07-20 2015-04-08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调整方法及装置
JP2013255195A (ja) * 2012-06-08 2013-12-19 Nec Corp 海底伝送光信号波長多重システム、伝送パフォーマンス低下抑制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CN107925482A (zh) * 2015-08-27 2018-04-17 日本电气株式会社 均衡器、中继器和通信系统
CN115882957A (zh) * 2021-08-05 2023-03-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光通道功率调节方法、系统和网络设备
CN117411554B (zh) * 2023-12-15 2024-03-29 深圳市欧深特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光模块内soa的控制方法以及光模块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330A (ko) * 1998-02-06 1999-09-06 윤종용 채널당 출력파워가 일정한 광증폭기 및 이를위한 방법
JP3769172B2 (ja) * 2000-05-22 2006-04-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波長多重伝送システム
US6804464B2 (en) * 2000-11-01 2004-10-12 Dowslake Microsystems Corporation Flexible and low cost wavelength management for optical networking
US7242863B2 (en) * 2001-05-09 2007-07-10 Cien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and utilizing channel power information in an optical communications network
US20030058494A1 (en) * 2001-06-27 2003-03-27 Roberts Kim B. Control of parameters in a global optical controller
US6990624B2 (en) * 2001-10-12 2006-01-24 Agere Systems Inc. High speed syndrome-based FEC encoder and decoder and system using same
ITMI20041493A1 (it) * 2004-07-23 2004-10-23 Marconi Comm Spa "pre-enfasi di canale basata sul ber in sistemi di communicazione wdm"
JP4783648B2 (ja) * 2006-02-28 2011-09-28 富士通株式会社 中継装置及び中継方法
JP5135849B2 (ja) * 2007-03-30 2013-02-06 富士通株式会社 利得制御装置,光伝送装置および光増幅器の利得制御方法
EP2208299A1 (en) * 2007-11-06 2010-07-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llocation of transmission power in a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JP4966278B2 (ja) * 2008-09-19 2012-07-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伝送装置、及び光伝送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5189558B2 (ja) * 2009-05-27 2013-04-24 富士通テレコム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光波長多重化伝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49938A (zh) 2012-05-09
JP5312689B2 (ja) 2013-10-09
CN102449938B (zh) 2014-11-12
EP2259455A1 (en) 2010-12-08
US9042725B2 (en) 2015-05-26
WO2010139523A1 (en) 2010-12-09
JP2012529208A (ja) 2012-11-15
ATE544252T1 (de) 2012-02-15
US20120106959A1 (en) 2012-05-03
EP2259455B1 (en)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2154B1 (en) Forward error correction codes for digital optical network optimization
JP5446944B2 (ja) 光ネットワーク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522846B1 (en) Transmission power optimization apparatus and method
US7369300B2 (en) Optical amplifier pre-emphasis and equalization method and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 incorporating same
EP1364478B1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optical signals
de Moura et al. EDFA adaptive gain control effect analysis over an amplifier cascade in a DWDM optical system
Antona et al. Transmission systems with constant output power amplifiers at low SNR values: A generalized droop model
KR20120065271A (ko) 전력 증폭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70464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pan optical power control
US20050152693A1 (en) Method for per-channnel power control in a DWDM network by means of an algorithm for adjusting the power of a dummy signal and the input power of an optical amplifier via channel-average Q-factor measurement
US9300426B2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verage optical input power
RU2427081C2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оосш в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й линии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амановского усиления
Pastorelli Network optimization strategies and control plane impacts
CA2433486C (en) Using gain tilt for local compensation of unwanted power gradients
CA2521555C (en) Preemphasis of an optical wavelength multiplex signal
US6961524B1 (en) WDM channel equalization in add/drop-capable optical networks
CN104410452A (zh) 一种长距离相干光通信系统传输性能优化方法
US8102595B2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with optical amplifier gain setup based on difference between signal loss and noise light loss
EP2259464B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adjusting power amplification in an optical network
Barboza et al. Multi-objective Optimization of Amplifier Operating Point and Launch Signal Power Pre-emphasis in a Cascade of EDFAs
Barboza et al. Impact of nonlinear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120 Gb/s 64 QAM optical system using adaptive control of cascade of amplifiers
Escobar-Landero et al. S+ C+ L High-Capacity Transmission System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