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5264A - 흡입기 장치 - Google Patents

흡입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264A
KR20120065264A KR1020117012865A KR20117012865A KR20120065264A KR 20120065264 A KR20120065264 A KR 20120065264A KR 1020117012865 A KR1020117012865 A KR 1020117012865A KR 20117012865 A KR20117012865 A KR 20117012865A KR 20120065264 A KR20120065264 A KR 20120065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compartment
extraction
cartridge
inha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제쉬 사완트
Original Assignee
메디스프레이 래보러토리즈 피브이티.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스프레이 래보러토리즈 피브이티.엘티디 filed Critical 메디스프레이 래보러토리즈 피브이티.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20065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61M11/003Particle size control by passing the aerosol trough sieves o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A61M15/0036Piercing means hollow 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41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with movabl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61M15/0046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 A61M15/004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the dosages being arranged in a plane, e.g. on disk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61M15/0075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on a dis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을 담는 구획부(42)를 수용하는 수단과, 수용된 구획부(42)에 위치시켜 구획부로부터 약물을 추출시키는 약물 추출 촉진 수단(22);을 구비하는, 투약량의 약물을 공급하는 흡입기 장치(1)로서, 상기 추출 촉진 수단(22)은, i) 추출된 약물을 흡입기의 유출구로 배향시키도록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 1 유체 통로;와 ii) 사용시에 상기 추출 촉진 수단(22)에 의해 천공된 구획부(42)의 밀봉 재료를 지나서 상기 구획부로 유체를 배향시키기 위하여 제 2 유체 통로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투약량의 약물을 공급하는 흡입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입기 장치 {Inhaler device}
본 발명은 약물을 투여하기 위한 흡입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천공 가능하게 밀봉된 약품 구획부(compartment)에 사용되는 흡입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이러한 다수의 구획부를 가지는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흡입기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흡입기로 인하여 소정의 량의 약품(특히 가루약)을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하나 이상의 밀봉된 약품 포장체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다양한 종류의 흡입기가 현재 시장에서 구입 가능하다. 흡입 장치의 사용자가 흡입을 위하여 특수한 구획부가 필요한 경우, 천공 부재가 구획부의 밀봉부를 천공하는데 사용되고 구획부에 담겨진 약품에 인접한 부분으로 상기 밀봉부를 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약품은 상기 천공 부재를 통하여 상기 구획부로 연장되는 유동 경로로 흡입된다.
전술한 타입의 흡입기의 경우 천공 부재의 유동 경로를 통하여 너무 빠르게 공기(및 약품)이 흡입되는 것이 사용자에게 문제가 되는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와 약물이 쉽고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게 하는 흡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일정량의 약물을 공급하는 흡입기를 제공하는데, 상기 흡입기는 약물을 담는 구획부를 수용하는 수단과, 수용된 구획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획부로부터 약물을 추출하는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추출 촉진 수단은 i) 추출된 약물을 흡입기의 유출구로 배향하기 위하여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1 유체 통로와; 상기 추출 촉징 수단에 의해 천공된 구획부의 밀봉 재료를 지나서 상기 구획부 내부로 유체를 배향하는 제 2 유체 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 촉진 수단은 수용된 구획부의 밀봉 재료를 천공하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는 그 내부에 상기 제 1 유체 통로가 제공된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유체 통로를 제공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부분은 사용시에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천공된 밀봉 재료의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부분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부분은 제 1 부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그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부분은 평평한 부재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부분을 통하여 연장되는 통로로서 상기 제 2 유체 통로를 이상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제 2 부분은 사용시에 수용된 구획부에 위치하는 그 반대편 단부에서 이격된 단부에서 유입구를 포함한다.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의 추출 위치에서, 상기 제 2 부분의 유입구는 상기 구획부에 대하여 천공된 밀봉 재료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부분의 반대편 단부는 상기 포장체에서 내부에 천공된 밀봉 재료의 타측면에 배치된다.
이상적으로, 상기 제 2 부분은 그 반대편 단부에서 유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은 구획부의 밀봉 재료를 천공하는 릿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상기 천공 릿지는 상기 제 1 부분에서 제 2 부분으로 연장된다. 상기 천공 릿지는 만나는 2개의 표면에 의해 형성된 최정점이다.
상기 흡입 장치는 일정량의 약물을 다중 공급할 수 있고, 상기 흡입기는 악물을 담고 있는 다수의 구획부를 포함하는 약물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제 1 및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작동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은 수납 위치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작동 수단의 이동에 반응하여 추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의 추출 위치에서 약물은 사용자의 흡입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구획부로부터 추출되고, 추출된 위치에서 약물 카트리지는 전진하게 되며, 상기 약물 카트리지는 작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제 2 방향으로 작동 수단의 이동에 응답하여 약물 추출 촉진 수단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카트리지 구획부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흡입기 장치는 탄성 변위 부재를 포함하는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기 장치는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스프링 바이어스되거나 캠 장치에 의해 작동되게 되며, 피봇 변위된다. 이상적으로, 상기 수단은 약물 카트리지에서 약물을 추출하는 약물 추출 위치로 바이어스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단은 상기 수단이 제조되는 재료의 탄성적 변형성에 의해 스프링 바이어스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은 제 2 방향으로 작동 수단의 이동에 응답하여 추출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은 아세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ABS, 나일론, 폴리카보네이트, HDPE 또는 LDPE 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장치에서 상기 작동 수단의 적절한 이동을 통하여 사용자는 비교적 간단하게 작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흡입 장치내에서 카트리지로부터 약물의 일정량을 흡입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약물이 카트리지 구획부로부터 추출되는 추출 위치로 추출 촉진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 1 방향으로 작동 수단을 움직이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적절한 위치로 그 다음의 일정량의 약물을 전진시키거나 색인하기 위하여 제 2 위치로 작동 수단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위치는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의 천공 단부에 인적한 위치이다. 상기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은 약물 카트리지의 전진을 허용하는 수납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작동 수단은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의 이동 및 카트리지의 전지 모두를 수행하게 한다.
상기 작동 수단이 추출 위치 및 수납 위치들 중 하나로 상기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을 구동시키면, 바이어스 수단은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을 추출 위치 및 수납 위치 중 다른 하나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상기 바이어스 수단은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부재는 외팔보 아암으로서 제공되며, 그 단부는 흡입 장치의 하우징에 고정되며 그 자유단부는 약물 추출 촉진 수단에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작동 수단은 추출 위치 및 수납 위치로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을 구동한다. 바이어스 수단이 추출 위치 및 수납 위치 중 하나를 향하여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을 바이어스 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작동 수단은 캠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을 구동하게 된다. 이상적으로, 캠은 작동 수단에 제공된다. 상기 캠은 램프 표면으로서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작동 부재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램프 표면이 약물 추출 촉진 수단에 접하도록 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을 변위시키도록 된다. 상기 약물 추출 촉진 수단에는 캠과 접하기 이전에 롤러 또는 베어링이 제공된다.
상기 약물 추출 촉진 수단에는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이 추출 위치에 위치될 때 카트리지 구획부에 위치시키는 관형상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관형상 부재의 단면은 원형, 타원,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다. 상기 관형상 부재의 자유 단부에는 천공부가 제공된다. 상기 천공부는 원뿔대 형상으로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천공부는 삼각형 밑면의 피라미드 또는 프리즘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의 배열체는, 상기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이 추출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관형상 부재는 흡입 장치의 마우스피스와 유체 연통하게 된다. 이러한 유체 연통은 작동 수단의 구멍 또는 불연속부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멍 또는 불연속부는 상기 작동 수단이 제 1 방향으로 이동되어 추출 위치로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을 구동할 때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유동 경로와 이상적으로 정렬된다.
상기 마우스피스는 흡입되는 약물/유체 상에 회오리 운동을 전이하는 헬리컬 가이드 베인 및/또는 흡입되는 약물/유체의 분산을 위한 필터가 제공된 개구(이를 통하여 약물이 흡입됨)를 포함한다. 약물/유체에 회오리 운동을 전이하는 다른 수단도 제공된다.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작동 수단이 제 2 방향으로 이동될 때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유동 경로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적으로, 상기 구멍 또는 불연속부는 상기 작동 수단이 제 2 방향으로 이동될 때 마우스피스 유동 경로의 정렬에서 벗어나도록 이동된다. 상기 마우스피스 및 추출 촉진 수단 사이의 유체 연통은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이상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은 벤츄리부(ventury)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작동 수단이 약물 카트리지를 구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래칫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 수단에는 래칫 치형(tooth)이 제공되어, 약물 카트리지는 제 2 방향으로 작동 수단의 이동에 응답하여 이동되지만, 제 1 방향으로 작동 수단의 이동에 응답하여 이동되지는 않는다. 상기 래칫 치형은 약물 카트리지상에 제공된 다수의 각각의 래칫 치형에 번갈아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이상적으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의 반대방향이다.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작동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부분 원형 경로를 따라 작동 수단의 이동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 원형 경로는 약물 카트리지의 약물 구획부의 환형 배열에 대하여 이상적으로 원심 배치된다.
상기 작동 수단의 부재는 상기 흡입 장치의 하우징에서 슬롯을 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슬롯은 슬롯의 반대편 단부들 사이에서 상기 부재의 이동을 가능케하도록 이상적으로 구성되어 제 1 및 제 2 방향으로 상기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게 된다. 리테이너 수단이 상기 작동 수단의 상기 부재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리테이너 수단은 마우스피스의 커버 상에 제공되는데, 가능하다면 마우스피스의 커버의 일부로서 제공된다.
상기 흡입 장치에는 원하는 위치에서 약물 카트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리테이너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리테이너 수단은 롤러, 휠, 베어링 캠을 포함하여 카트리지에 대하여 가압하게 되면서 카트리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리테이너 수단은 스프링 바이어스 되어, 약물 카트리지에 대하여 그리고/또는 카트리지의 치형들 사이에서 가압된다. 상기 리테이너 수단은 아세탈로 형성될 수 있지만, ABS, 나일론, 폴리카보네이트, HDPE 또는 LDPE 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흡입기는 약물 카트리지의 이동에 응답하여 투약량 카운터를 구동하는 수단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수단은 약물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치형 또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수단은 투약량 카운트를 표시하는 수단에 연결되는 기어 휠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와 약물이 쉽고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장치의 외측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입 장치의 외측면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흡입 장치의 외측면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흡입 장치의 외측면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흡입기 내에서의 뾰족한 구획부가 밀봉된 약물 구획부를 천공하는 작도 작동 위치에서 도 1의 흡입 장치의 외측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약물 카트리지 및 흡입장치의 내부 요소들이 베이스에 장착된, 도 1의 흡입 장치의 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흡입 장치의 본체(또는 중간 포장체)의 사시도이며, 여기서, 흡입 장치는 상기 중간 커버에 장착된 흡입 장치의 내부 요소를 구비하는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중간 커버상에 장착된 스파이크 요소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상기 베이스상에 장착된 수정된 흡입 장치의 내부 요소와 약물 카트리지를 구비한 수정된 흡입 장치의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9에 도시된 수정된 가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g는 흡입 장치의 작동 부재 각각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우측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평면도, 저면도이다.
도 11은 스파이크 요소의 제 1 타입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스파이크 요소의 제 2 타입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스파이크 요소의 제 3 타입의 측면도이다.
흡입 장치는 약물을 담는 다수의 포장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다수의 내부 요소 및 외부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다. 그 중에서, 내부 요소는 하우징에 장착된 아암(90), 아암(90)에 장착된 스파이크 요소(22), 투약량 카운터 장치 및 작동 부재(54)이다.
상기 하우징은 베이스(21), 중간 커버(4), 상부 커버(6: 도 1 내지 5)를 포함한다. 4개의 구멍(100)은 중간 커버(4:도 7)의 하부 둘레 에지(106)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4개의 포스트(104)를 수용하기 위하여 베이스(2: 도 6)의 상부 둘레 에지(102)를 따라 제공된다. 상기 구멍(100)은 베이스(2)의 둘레 에지(102)를 따라 대칭적으로 위치되며, 상기 포스트(104)는 중간 커버(4)의 둘레 에지(106)를 따라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되어, 4개의 모든 포스트(104)는 베이스(2) 및 중간 커버(4)가 서로에 대하여 특정의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될 때 상기 구멍(100) 내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베이스(2)와 중간 커버(4)가 정확히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2)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정립된 2개의 추가적인 포스트(11)는 중간 커버(4)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정립된 2개의 원통형 보스(13)로 스냅 체결된다. 상기 베이스(2) 및 중간 커버(4)는 서로에게 고정된다. 상기 상부 커버(6)는 대응하는 구멍에 유지되는 포스트의 배열을 사용하여 중간 커버(4)에 부착된다. 다른 부착 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마우스피스(8) 및 마우스피스 커버(10)이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의 구멍(14)으로 흡입기 하우징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 마우스피스(8)를 통하여 유체가 연통하게 된다. 상기 구멍(14)에는 흡입 전에 약물 입자의 분산을 위하여 메쉬(114)가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사용시에, 상기 흡입 장치(1)의 사용자는 그 입술에 마우스피스를 갖다대고 약물을 추출하여 흡입하기 위하여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흡입하게 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마우스피스(8)는 비강 흡입에 적합한 구조체로 대체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구멍이 하우징의 후방에 제공되고, 상기 구멍은 사용자에 의해 약물의 흡입시에 하우징에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노브(20)가 이동되어 하우징 내에서 약물의 카트리지를 전진시키고 스파이크 요소(22)를 변위시키는 슬롯(18)이 제공된다. 상기 마우스피스커버(10)는 힌지 장치(12)에 의해 노브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커버(10) 및 노브(20)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힌지 장치를 구비한 일체형 단일 요소이거나, 커버(10) 및 노브(20)는 그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분리된 요소들을 허용하는 힌지 장치를 구비한 별도의 요소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힌지 장치는 예를 들어 2개의 대향하는 구멍으로 상기 요소들 중 하나의 2개의 대향하는 보스를 배치하거나 상기 요소의 다른 것에 리쎄스를 배치함으로써 서로 스냅 체결되는 2개의 요소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10) 및 노브(20)의 연결에 의해 그들은 상기 장치의 작동시에 서로 편리하게 이동되게 된다. 특히, 단일 힌지는 마우스피스 커버(10)를 개방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노브(20)를 이동시킴으로써 장치를 작동시킨다.
구멍 또는 창(24)이 상기 중간 커버(4) 및 상부 커버(6)에 제공되어, 사용된 투약량의 수의 표시 및 남은 투약량의 표시는 하우징 내에 위치된 투약량 카운터 휠(26)에 제공되어 보여지게 된다.
상기 카운터 휠(26)은 상기 중간 커버(4)이 내측 표면으로부터 정립된 제 1 보스(28)에 위치되고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카운터 휠(26)을 회전시키는 구동 휠(30)은 상기 중간 커버(4)의 내측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보스(3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 2 보스(원통형 부재로서 제공됨)는 베이스(2)의 내측 표면을부터 정립되며, 조립된 흡입 장치에서, 상기 중간 커버의 내측 표면에 인접한 위치로 연장되며, 제 1 보스(28)에 대하여 위치되어, 구동 휠(30)은 상기 카운터 휠(26)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예를 들어 기어 치형(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마찰에 의존해서만 이루어진다.
구동 기어(33)는 제 2 보스(32)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 2 보스(32)가 정립하는 베이스(2)의 내측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구동 휠(30) 및 구동 기어(33)는 상기 구동 휠(30) 및 기어(33)이 중심에 연결된 축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축은 그 내부에서 제 2 보스(32)를 수용하고 제 2 보스(32)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2-파트로 된 원통형 샤프트로서 제공된다. 상기 축의 제 1 부분은 상기 구동 휠(30)에 연결되고, 상기 축의 제 2 부분(37)은 구동 기어(33)에 연결된다. 두 부분(35, 37)은 구동 휠(30) 및 구동 기어(33)에 각각 이격된 2개의 부분(35, 37)의 단부에 제공된 짝을 이루는 축성부(castellation: 41, 4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2개의 부분(35, 37)을 연결하는 수단이 사용된다.
사용시에, 구동 기어(33)는 약물 카트리지(38)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며, 축의 2 개의 부분상의 축성부(41, 43)의 연결에 기인하여, 상기 구동 기어(33)는 카운터 휠(26)을 번갈아 회전시키는 구동 휠(30)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운터 휠(26)의 상측에 제공된 적절한 표시부는 창(24)을 통하여 보여지게 되어, 사용되는 투약량 또는 남은 투약량에 대한 내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3개의 균등 이격된 지지 부재(40)는 약물 카트리지(38)가 표면에 정확히 위치되어 회전하게 하도록 베이스(2)의 내측 표면상에 제공된다. 상기 지지 부재(40)는 동일한 원의 원주에 위치되고 부분적으로 원형을 이룬다. 약물 카트리지(38)는 카운터 휠(26) 및 구동 휠(30) 아래에 배치되며 구동 기어(33)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된다.
상기 카트리지(38)는 다수의 구획부를 가지는 환상형 링으로서 제공된다. 특히, 카트리지(38)는 60 내지 70개의 구획부를 구비한다. 각각의 구획부는 가루 형태의 약물을 담게 된다. 환상형 링은 방사항 외측 작동 벽 및 방사상 내측 작동 벽인 2개의 작동 벽을 포함한다. 이러한 2개의 벽에는 다수의 치형이 제공된다. 니책 벽은 구동 기어(33)의 둘레에 제공되는 메이저 치형(46)과 맞물리는 다수의 일체형 치형(44)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에서, 마이너 치형(46)은 임의의 시간에 약물 카트리지(38)의 동일한 개수의 치형(44)과 연결된다. 따라서, 카트리지(38)가 회전하면(내측 카트리지 벽은 3개의 지지 부재(40)에 의해 접하고 가이드됨), 상기 구동 기어(33)는 전술한 치형(44, 46) 간의 연결에 의해 보스(32)에서 회전된다.
약물 카트리지(38)의 회전 운동은 그 치형(44)들 사이에서 카트리지(38)의 방사상 내측 벽과 접하도록 가압되기 위하여 스프링 바이어스되는, 탄성 가변 부재(52)에 의해 저지된다. 상기 가변 부재(52)는 상기 치형(44)들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부재는 V 형태를 가진다. 상기 가변 부재(52)는 상기 부재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2)에서 정립되는 2개의 포스트(53) 중 하나에 체결되는 구멍을 각각 가지는 2개의 레그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포스트(53)는 베이스(2)상에 가변 부재(52)를 유지하기 위하여 자유 단부에 제공된 플랜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38)는 상기 가변 부재(52)의 바이어스를 극복하도록 카트리지(38)에 충분한 힘이 가해지고 가변 부재(52)가 치형(44)을 넘어서 슬라이드하는 경우에 회전만 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약물 카트리지(38)의 바람직하지 않은 회전은 방지되고 카트리지 자체는 다수의 소정의 회전 위치 중 하나를 향하여 항상 바이어스된다.
약물 카트리지(38)는 하나의 약물 구획부로부터 그 다음 구획부로 사용시에 작동 부재(54)를 이동시켜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작동 부재(54)의 요소(56)는 상기 슬롯(18)을 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노브(20)에 부착된다. 상기 요소(56)에는 상기 요소(56)를 노브(20)에 부착시키기 위한 클립(120)이 제공된다. 상기 작동 부재(54)는 약물 카트리지(38)의 외측 작동 벽에 제공된 다수의 래칫 치형(60)에 맞물리게 된다. 래칫 치형(58, 60)의 구조와 연결은, 작동 부재(54)가 도 6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시에 작동 부재(54)의 래칫 치형(58)이 카트리지(38)의 인접한 래칫 치형(60)에 대하여 접하고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카트리지(38)을 회전시키도록 된다. 상기 슬롯(18)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작동 부재(54)의 이동 범위는 하나의 구획부(42)에 의해 (즉, 그 다음의 구획부(42)로) 카트리지(38)를 색인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38)의 이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투약량 카운터 휠(26)을 구동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진다.
상기 작동 부재(54)가 화살표 A 에 의해 표시되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때, 래칫 장치의 구조에서 작동 부재(54) 상의 래칫 치형(58)은 가변 부재(52)의 바이어스를 극복하는 충분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카트리지(38)의 래칫 치형(60)에 올라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38)는 화살표 A로 표시된 반대 방향으로 작동 부재(54)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작동 부재(54)는 작동 부재(54)가 화살표 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될 때 마우스피스(8)와 관련된 유동 경로(14)에 정렬되는 밀봉 면 플레이트(66)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 부재(54)에는 작동 부재(54)가 화살표 A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될 때 유동 경로(14)와 정렬되는 구멍(68)이 제공된다.
상기 작동 부재(54)는 스파이크 요소(22)의 단부(72)와 맞물리는 램프 (70) 또는 캠 작동 부재/스트립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단부에는 캠 작동 부재의 캠 작동을 보조하는 롤러가 제공된다. 조립된 흡입기(1)에서, 캠 작동 스프립(70)은 상기 단부(72) 상에 위치되며, 배열체에서 상기 작동 부재(54)가 화살표 A 로 표시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단부(72)가 캠 스트립(70)의 하측면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며 약물의 사전 전진된 구획부(42) 내에서 스파이크 요소를 위치시키도록 캠 작동 스트립(70)에 의해 하향 가압된다. 스파이크 요소(22)를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구획부(42)의 상부를 가로질러 제공된 밀봉부는 상기 스파이크 요소(22)에 의해 천공된다.
상기 스파이크 요소(22)는 그 내부가 구획부 및 구멍(68) 사이(그 곳에 상기 요소(22)가 위치됨)의 유체연통과 유동 경로(14)를 제공하는 천공 요소(80)를 포함한다. 따라서, 화살표 A 가 표시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작동 부재(54)가 이동하면서, 상기 천공 요소(80)는 약물을 담고 있는 구획부에 위치되고, 상기 작동 부재(54)의 구멍(68)은 마우스피스 유동 경로(14)에 정렬된다. 약물은 마우스피스로부터 약물 구획부에서 흡입된다.
상기 작동 부재(54)에는 구멍(68) 아래에 위치된 제 2 캠 작동 스트립(130)이 제공된다. 이러한 제 2 캠(130)은 스파이크 요소(22)의 단부(72)를 상향 가압하여 하우징 내에서 상측 위치로 지지 아암(90)을 복귀시키도록(작동 부재(54)가 화살표 A 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 배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아암(90)은 캠 작동에 의해 저장/수납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작동 부재(54)가 화살표 A 로 표시된 방향으로 다시 이동할 때, 상기 구멍(68)은 마우스피스 유동 경로(14)와의 정렬로부터 벗어나 이동된다. 그 다음, 상기 유동 경로(14)는 작동 부재(54)의 밀봉 플레이트(66)에 의해 커버된다. 또한, 작동 부재(54)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되면, 캠(70)에 의해 가해지는 하향 압력은 해제되어 제 2 캠(130)에 의해 스파이크 요소(22)가 상향 이동되게 된다.
상기 아암(90)은 단부(72)로의 아암(90)의 반대편 단부에서 중간 커버(4)에 고정된다. 상기 아암(90)은 상기 중간 커버(4)에 외팔보로서 피봇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피봇 회전 연결에 의해 아암(90)은 아암(90)의 굽힘 또는 다른 변형 없이도 수납/저장 위치로(또는 수납/저장 위치로부터) 이동되게 된다. 상기 아암(90)은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하게 된다.
상기 아암의 피봇 회전 연결부는 중간 커버(4)의 하측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탄성 클립 요소(132)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클립 요소(132)에는 아암(90)의 구멍(136: 도 7에 부분적으로 보이는 것 중 하나)으로 스냅 체결하기 위한 보스(134: 도 7에 부분적으로 보이는 것 중 하나)가 제공된다. 상기 아암(90)은 보스(134)에 대하여 상하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아암(90)이 흡입 장치(1)의 하우징 내에 최상부에 위치될 때, 상기 아암(90)은 중간 커버(4) 하측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2개의 요소(138)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구멍(136)에서 이격된 아암(90)의 단부는 측면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아암(90)은 특정 위치로 바이어스되지 않지만, 이러한 바이어스는 필요하다면 스프링을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화살표 A 방향으로 작동 부재를 슬라이딩시키면 흡입기(1)는 폐쇄위치로 이동되고, 화살표 A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작동 부재(54)를 슬라이딩 시키면 흡입기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작동 부재(54)는 그루브(98)의 흡입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상기 그루브(98)에 의해 상기 작동 부재(54)는 하우징의 내측을 따라 변위되고(즉 원주방향 운동), 바람직하지 않은 반경방향 운동이 제한되게 된다.
스파이크 요소(22)의 확대도가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다. 스파이크 요소(22)는 그 내부에 유체 경로를 형성하는 원통형 부재(102)를 포함한다. 스파이크 요소(80)는 원통형 부재(102)의 외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다. 스파이크 요소(80)의 제 1 부분(103)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진다. 스파이크 요소(80)의 자유단부에는 사각형의 제 1 부분(103)인 단면의 주 슬라이드부(보조 슬라이드부에 대향)로부터 연장되고 릿지(108)를 형성하는 최정점에서 서로 만나는 2개의 경사 표면(104, 106)이 제공된다. 상기 릿지(108)는 사각형의 제 1 부분(103)의 단면이 주 슬라이드부(보조 슬라이드부에 대향)에 나란하다. 사용시에, 상기 릿지(108)는 약물 구획부의 밀봉부를 천공한다.
스파이크 요소(80)의 제 1 부분(103)에는 그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사각형 단면으로된 유체 통로가 제공된다. 이러한 유체 통로는 그 내부에 구멍(109)을 형성하도록 경사 표면(104, 106)상으로 개방되며, 원통형 부재(102)를 통하여 연장되는 유체 통로와 유체 연통된다. 사용시에, 약물은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에서 구멍(109)를 통하여 흡입 호흡에 의해 천공된 구획부로부터 추출된다.
따라서, 상기 릿지(108) 및 상기 경사 표면(104,106)은 외팔보 형식으로 제 1 부분(103)을 넘어서 연장된다. 연장된 경사 표면(104,106)은 원통형 부재(102)의 외부로부터 릿지(108)아래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벽의 형태로 제 2 부분(11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벽은 사각형 단면의 제 1 부분(103)의 대부분 및 릿지(108)와 나란하게 배향된다. 상기 벽의 두께는 제 1 부분(103)의 폭보다 작다(즉, 사각형 단면인 제 1 부분(103)의 나머지의 길이보다 작음). 그 결과, 연장된 경사 표면(104, 106) 및 원통형 부재(102) 사이에서 제 2 부분(110)의 양측에 공간이 형성된다. 사용시에, 스파이크 요소(80)는 천공된 구획부에 배치될 때, 상기 스파이크 요소(80: 특히 제 1 및 제 2 부분(103, 110))는 사전에 밀봉된 구획부를 가지는 구획부의 재료의 일측면을 밀어주게 된다. 제 2 부분(110)의 공간 양측면에 의해 흡입된 호흡은 천공된 구획부로 (밀봉 재료에 의해 제한되는 것보다는) 쉽게 유동하게 된다. 흡입 호흡의 이러한 유동은 도 11에서 화살표 C 로 표시되며, 스파이크 요소에 대한 구획부의 위치는 파선(113)으로 도시된다. 흡입하는 호흡은 연장된 경사 표면(104, 106)의 에지 위로, 그리고 (경사 표면(104, 106)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구획부의 저부에 위치된) 약물 위로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약물은 공기 흡입 유동으로 포착되고 화살표 B 로 표시된 바와 같이 경사 표면(104, 106)에서 구멍(109)를 통하여 구획부로부터 통과하게 된다. 상기 구획부가 저부로의 상기 경사 표면(104, 106)의 인접부는 구획부로부터의 즉각적인 유출보다는 구획부 내에서 반복적으로 공기가 재순환하게 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사용자는 흡입 장치를 통하여 보다 쉽게 호흡하게 되고 보다 쉽고 빠르게 완전한 투약량의 약물을 받아들이게 된다. 부분적으로 구획부의 형상과 유사한 평면 형상 및 크기를 가진 스파이크 요소(80)의 자유 단부에 의해 이러한 구성이 보조된다.
선택적인 수단이 제공되어 공기는 천공된 구획부로 보다 쉽게 유입되거나 구획부 내에서 유효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재순환 경향성이 감소된다. 예를 들어, 제2 스파이크 요소(22')가 도 12에 도시된다. 제 2 스파이크 요소(22')는 제 1 스파이크 요소(22)와 매우 유사하며, 비슷한 요소는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 제 2 스파이크 요소(22')는 제 2 부분(110)의 벽이 원통형 부재(102)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된 경사 표면(104, 106)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사각형 박스부(112)로 대체된 점에서 제 1 스파이크 요소(22)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사각형 박스부(112)는 스파이크 요소(80)를 통하여 연장되는 (사각형 단면의) 제 2 유체 통로와 상기 연장된 표면에서 유출구 구멍(114)에 의해 연장된 경사 표면(104, 106)으로 개구를 형성한다. 상기 유입구 구멍(116)은 원통형 부재(102)에 인접한 박스부(112)에 제공되어 흡입 호흡은 도 12에 도시된 화살표 D 로 표시된 바와 같인 제 2 유체 통로와 유출구 구멍(114)을 통하여 천공된 구획부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흡입기의 장치에서, 상기 스파이크 요소(80)가 천공된 구획부에 위치될 때, 스파이크 요소(80)의 자유 단부(즉 박스부(114)의 자유 단부)와 유입구 구멍(116) 사이에 천공된 밀봉 재료가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천공된 구획부로의 공기 유동은 유입구 구멍(116)으로 박스부(112)의 통로를 따라 유출구 구멍(114) 외측으로 유동함으로써 천공된 밀봉 재료를 바이패스하게 된다. 상기 밀봉 재료는 구획부로의 공기 유동에 장애물을 부여하지 않게 된다.
원통형 부재(102)는 상기 박스부(112)로 개방되지 않는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상기 박스부(112)는 제 1 부분(103)에 의해서만 원통형 부재(102)의 내측과 유체 연통하게 된다.
원통형 부재(102)에서의 유체 통로는 상기 부재(102)의 제 1 단부(120)로부터 그 제 2 단부(122)로 연장되거나 상기 부재(102)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첫번째 경우, 원통형 부재(102)에서의 유체 통로는 제 1 부분(103)의 유체 통로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벤츄리부(협폭부 다음에 통로의 팽창부가 이어짐)를 포함하며, (화살표 E 방향의) 제 1 단부(120)에서 제 2 부분(122)로 유동하는 흡입 공기의 정압에서의 순차적인 감소는 약물이 제 1 부분(103)의 유체 통로 위로 이동하게 하고 결국 사용자의 폐로 유입되기 전에 벤추리부로 이동하게 된다. 두번째 경우, 원통형 부재(102)의 유체 통로는 제 1 단부(120)에서 폐쇄된다. 각각의 경우, 유체 연통은 제 1 부분(103)의 유체 통로와 제 2 단부(122)의 유출구(124) 사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각각의 스파이스 요소(22, 22')에서, 제 1 및 제 2 부분(103, 110, 112) 및 경사 표면(104, 106)은 하나의 단일 요소이다. 상기 경사 표면들은 경사지지 않은 표면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밀봉 천공 릿지는 더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고 스파이크 요소의 천공 성능은 악영향을 받게 된다.
추가적인 스파이크 요소(22")가 첨부된 도면의 도 13에 도시된다. 이러한 선택적인 스파이크 요소는 도 11 및 도 12의 스파이크 요소(22, 22')에 유사한 원통형 부재(102)를 포함하지만 상기 원통형 부재(102)의 외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정된 스파이크 요소(80")를 포함한다. 상기 스파이크 요소(80")는 제 1 부분(410) 및 제 2 부분(406, 408)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스파이크 요소(80")는 사각형의 단면으로된 (마이너 측면에 대향하는) 주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며 릿지(108")를 형성하는 최정점에서 서로 만나는 2개의 경사 표면(그중 하나(104")는 도 13에 도시됨)이 제공된 자유 단부를 구비한 사각형 단면(스파이크 요소의 제 1 부분(410))을 가진다. 상기 릿지(108")는 상기 스파이크 요소(80")의 주요 측면(마이너 측면(minor sides)에 대향함)에 나란하게 되며, 사용시에 릿지(108")는 약물 구획부의 밀봉부를 천공하게 된다.
(사각형 형상의 제 1 부분의) 주축을 따라 외측으로 상기 스파이크 요소(80")의 자유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스파이크 요소(80")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외팔보 배열체에서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406, 408)에 의해 릿지(108")는 각각의 마이너 측면(minor side: 402, 404)을 넘어 연장된다. 따라서, 돌출부(406, 408)(스파이크 요소의 제 2 부분)은 스파이크 요소(80")의 자유 단부에서 오버행부를 제공하게 된다. 주축을 따라 스파이크 요소(80")의 자유 단부의 치수는 스파이크 요소(80")의 기초부보다 크다.
사각형 단면의 유체 통로는 스파이크 요소(80")를 통하여 연장되며 그 내부에 구멍(109")을 형성하는 경사 표면상으로 개방된다.
수정된 스파이크 요소(80")의 사용시에, 상기 요소(80")의 자유 단부(특히 릿지(108"))는 스파이크 요소(80")가 상기 구획부로 가압되면 약물 구획부의 밀봉부를 천공하게 된다. (돌출부(406, 408)에 의해 제공되는) 스파이크 요소(80")의 마이너 측면(402, 404)을 넘어서 릿지(108")가 연장됨으로써, 오버행 돌출부(406, 408)가 컨테이너 밀봉부를 지나서 이동하여 상기 밀봉부가 스파이크 요소(80")의 기초부(412)에 근접하게 위치되면, 상기 구획부 밀봉부는 마이너 측면(402, 404)으로부터 이격되어 공기는 밀봉부와 스파이크 요소(80") 사이에서 상기 구획부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스파이크 요소(80")의 마이너 측면(402, 404)의 폭(즉, 마이너 방향에서 마이너 측면(402, 44)의 치수)는 오버행 돌출부(406, 408)의 폭보다 크게 되어, 따라서 상기 스파이크 요소(80") 및 밀봉부 사이의 약물 구획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오버행 돌출부(406, 408) 주위로 쉽게 유동하게 된다. 상기 릿지(108")가 약물 구획부의 저부에 접하여 위치되는 경우 조차도 그러하다. 약물 구획부 및 구멍(109")로 유동하는 공기는 도 13에서 화살표 G 로 표시된다. 구획부로 유동하는 공기가 구멍(109")으로 유동되는 방향을 변환하면, 상기 구획부 내부의 약물은 공기 유동에 포획되며 화살표 H 로 표시된 바와 같은 흡입 유출구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오버행 돌출부(406, 408)는 첨부된 도면의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스파이크 요소(22, 22')의 스파이크 요소에 부가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흡입기(1)는 밀봉되어(즉 비개방식으로 되어), 일단 카트리지(38) 내의 약물이 흡입되면, 상기 흡입기(1)는 폐기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흡입기(1)에는 흡입기의 내부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리드가 제공되어, 사용된 카트리지는 새로운 카트리지와 교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기(1)는 교체식 약물 카트리지를 구비하여, 일단 카트리지가 소모되면 약물로 완전히 충전된 약물 카트리지로 교체될 수 있다.
제조물의 재료와 관련하여, 상기 상부 커버(6), 중간 커버(4), 구동 기어(33), 카운터 및 구동 휠(26, 30), 베이스(2)는 전술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및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암(90), 스파이크 요소(22)(그리고 관련 롤러) 및 작동 부재(54)는 아세틸 공중합체로 형성된다. 최종적으로, 마우스피스(8) 및 관련된 커버(10)는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되며, 약물 카트리지(38)는 폴리스티렌(206) 또는 순환 올레핀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인 배열과 적절한 재료가 통상의 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투약량 카운터는 제공되지 않을 수있다. 이러한 흡입기에서, 카운터 휠(26) 및 창(24)은 필요하지 않고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투약량 카운터는 선택적인 특징이다. 상기 스파이크 요소(22)는 아암(90)과 일체로 형성되어, 스파이크 요소(22) 및 아암(90)은 단일 아이템을 형성한다.
추가적인 선택적 실시예에서, 수정된 흡입 장치는 상기 베이스 및 관련된 가변 부재가 수정될 수 있다는 점보다는 도 1의 흡입 장치에 동일하게 제공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도 9 및 도 9a를 참고하면, 수정된 흡입기의 수정된 베이스(2')는 수정된 베이스(2')에 베이스(2')로부터 정립된 2개의 보스(55)가 제공되는 것보다는 도 6에 도시된 베이스(2)와 동일하다. 각각의 보스(55)는 상기 베이스(2')로부터 정립하는 2개의 포스트(53) 중 다른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관련된 포스트(53)에 대한 각 보스(55)의 위치에서, 가별 부재(52')가 포스트(53)에 체결되면, 각각의 레그(57: 도 9a)는 2개의 보스(55)중 다른 하나와 접하게 된다. 상기 보스(55)와 레그(57)의 인접부에서, 상기 베이스(2')의 중심을 향한 가변 부재(52')의 운동은 상기 보스(55)에 의해 저지된다. 필수적으로, 탄성 가변 부재(52')가 스프링 바이어스되어 카트리지(38)와 인접하도록 가압되는 힘은 도 6에 도시된 베이스(2)에서보다는 수정된 베이스(2')에서 더 크다. 상기 약물 카트리지(38)의 베이스(2') 내에서 회전되어 가변 부재(52')의 요소(59: 도 9a)는 베이스(2')의 중심을 향하여 카트리지(38)의 치형(44)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이와 관련하여, 약물 카트리지(38)가 회전되고 치형(44)가 그변 부재(52')와 접하여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가변 부재(52')는 치형(44)의 정점위에 요소(59)가 올라타게 되듯이 내측으로 가압된다. 도 6의 베이스(2)에서, 이러한 내측 운동으로 인하여 2개의 정립하는 포스트(53)에 대하여 레그(57)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수정된 흡입 장치에서, 정립하는 포스트(53)에 대한 레그(57)의 회전은 보스(55)와 레그(57)의 인접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약물 카트리지(38)가 회전될 때 가변 부재(52')가 치형(44)상에 배치되게 하도록 레그(57)의 벤딩부가 남게 되지만, 보스의 결과로서 상기 레그(57)의 운동에서의 제한부는 카트리지(38)가 회전될 때 카트리지(38)에 대하여 요소(59)가 가압되는 바이어스 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게 된다. 그 결과, 일단 가변 부재(52')가 치형(44)의 정점에 놓이게 되면 도 6의 베이스(2)의 배열의 경우보다는 상기 부재(52')는 치형(44) 및 인접한 치형(44) 사이에 강제로 배치되는 경향이 있다. 이웃하는 치형(44) 사이에서 가변 부재(52')의 강제적 배치부는 약물 카트리지(38)가 적절하게 전진하게 되는 것을 사용자가 확인하는 것을 보조하는 클릭 소리 또는 다른 소리를 발생시키게 되는 스냅 작동부를 구비한다.
수정된 가변 부재(52')에 의해 발생된 소리는 수정된 가변 부재(52')에서 도 6의 가변 부재(52)의 경우보다 두꺼운 단면을 가지는 요소(59)를 제공함으로써 증폭된다. 두꺼운 단면은 2개의 단계(61: 도 9a)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단계(61)는 상기 요소(59)가 물론 만곡되어질 필요가 있는 2개의 레그(57) 보다는 더 큰 두께(따라서 더 큰 강성)를 가지게 한다. 상기 요소(59)의 더 큰 강성은 상기 카트리지(38)가 베이스(2') 내에서 회전할 때 가변 부재(52')가 카트리지(38)에 대하여 가압되는 힘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한다. 상기 요소(59)의 더 큰 강성은 2개의 인접한 치형(44) 사이의 위치로 가변 부재(52')가 스냅될 때 더 잘 들리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도 9에 도시된 베이스(2')는 도 9의 베이스(2')에는 베이스(2')의 인접한 상부 둘레 에지(102)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동일한 요소(300)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도 6에 도시된 베이스(2)와 상이하다. 상기 요소(300)는 그를 통하여 제공된 사각형 구멍(302)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 요소(300)는 탄성적 가변성 및 탄성을 구비하여, 상기 중간 커버(4:도 7)의 하부 둘레 에지(106)에 인접한 돌출부(미도시)와 작용하게 된다. 상기 배열체에서, 수정된 흡입 장치가 조립되면, 둘레 표면(102, 106)은 서로 짝을 이루어, 이를 통해 요소(300)는 그들이 상기 중간 커버(4)상의 상기 돌출부 위로 통과하고 상기 돌출부 위에서 스냅 체결되어 각각의 돌출부가 요소(300)의 서로 다른 구멍(302)을 통하여 연장될 때 만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2')는 상기 요소(300) 및 상기 중간 커버(4)에 대한 돌출부에 의해 탄성적으로 클립된다. 각각의 돌출부는 각 구멍(302)과 유사한 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고 만곡되고 라운드된 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2') 및 중간 커버(4)가 서로 접하여 배치될 때 돌출부 위에서 관련 요소(300)를 캠 작동시키게 된다.
수정된 베이스(2')는 전술한 스파이크 요소(22, 22', 22") 중 하나와 사용될 수 있다.
1: 흡입기 장치 2: 베이스
4: 중간 커버 6: 상부 커버
22 : 스파이크 요소 90: 아암
54: 작동 수단

Claims (13)

  1. 약물을 담는 구획부를 수용하는 수단;과
    수용된 구획부에 위치시켜 구획부로부터 약물을 추출시키는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을 구비하는, 투약량의 약물을 공급하는 흡입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출 촉진 수단은,
    i) 추출된 약물을 흡입기의 유출구로 배향시키도록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 1 유체 통로;와
    ii) 사용시에 상기 추출 촉진 수단에 의해 천공된 구획부의 밀봉 재료를 지나서 상기 구획부로 유체를 배향시키기 위하여 제 2 유체 통로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투약량의 약물을 공급하는 흡입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촉진 수단은 수용된 구획부의 밀봉 재료를 천공하는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요소는 그 내부에 상기 제 1 유체 통로가 제공된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유체 통로를 제공하는 제 2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량의 약물을 공급하는 흡입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천공된 밀봉 재료를 사용시에 이격시키는 제 1 부분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량의 약물을 공급하는 흡입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량의 약물을 공급하는 흡입기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평평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량의 약물을 공급하는 흡입기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부분을 통하여 연장되는 통로로서 상기 제 2 유체 통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량의 약물을 공급하는 흡입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사용시에 수용된 구획부에 위치되는 그 반대편 단부에서 이격된 그 일측 단부에 유입구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량의 약물을 공급하는 흡입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추출 촉딘 수단의 추출 위치에서, 상기 제 2 부분의 유입구 구멍은 상기 구획부의 외측에 대하여 천공된 밀봉 재료의 일측면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반대편 단부는 상기 구획부의 내측에 대하여 천공된 밀봉 재료의 타측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량의 약물을 공급하는 흡입기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그 반대편 단부에서 유출구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량의 약물을 공급하는 흡입기 장치.
  10.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에 외팔보로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천공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량의 약물을 공급하는 흡입기 장치.
  11. 제 2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부재는 구획부의 밀봉 재료를 천공하는 릿지를 포함하며, 천공하는 상기 릿지는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량의 약물을 공급하는 흡입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천공하는 상기 릿지는 2개의 표면이 만나서 형성되는 정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량의 약물을 공급하는 흡입기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투약량의 약물을 다중 공급하는 흡입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는
    약물을 담고 있는 다수의 구획부;와
    사용자에 의해 제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작동 수단을 포함하는 약물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은 제 1 방향으로의 작동수단의 이동에 응답하여 수납 위치로부터 추출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약물 추출 촉진 수단의 추출 위치에서 사용자의 흡입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구획부에서 약물이 추출되며, 상기 수납 위치에서 상기 약물 카트리지가 전진하게 되며, 상기 약물 카트리지는 상기 작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작동 수단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약물 추출 촉진 수단에 대한 소정의 위치로 카트리지 구획부를 전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량의 약물을 다중 공급하는 흡입기 장치.
KR1020117012865A 2008-11-06 2009-11-09 흡입기 장치 KR201200652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363MU2008 2008-11-06
PCT/GB2009/002635 WO2010052479A1 (en) 2008-11-06 2009-11-09 Inhale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264A true KR20120065264A (ko) 2012-06-20

Family

ID=4146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865A KR20120065264A (ko) 2008-11-06 2009-11-09 흡입기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10271958A1 (ko)
EP (1) EP2349417B1 (ko)
JP (1) JP5620916B2 (ko)
KR (1) KR20120065264A (ko)
CN (1) CN102271739B (ko)
AU (1) AU2009312611B2 (ko)
BR (1) BRPI0921426A2 (ko)
CA (1) CA2742832A1 (ko)
ES (1) ES2573907T3 (ko)
MX (1) MX2011004814A (ko)
RU (2) RU2523642C2 (ko)
UA (1) UA102123C2 (ko)
WO (1) WO2010052479A1 (ko)
ZA (1) ZA2011041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2008236A2 (pt) * 2009-10-08 2016-03-08 Shl Group Ab inalador de gotículas líquidas medidas
US9345848B2 (en) 2009-10-20 2016-05-24 Sima Patent Ve Lisanslama Hizmetleri Ltd. Sti. Dry powder inhaler
USD641076S1 (en) 2010-03-26 2011-07-05 Oriel Therapeutics, Inc. Dry powder inhaler
USD733287S1 (en) * 2011-04-13 2015-06-30 Mahmut Bilgic Dry powder inhaler
CA2859925C (en) 2011-12-27 2019-02-19 Vectura Gmbh Inhalation device with feedback system
CN105492057B (zh) * 2013-08-30 2019-05-14 安瑞智能(新西兰)有限公司 用于药物吸入器的顺从性监视器
JP5879312B2 (ja) * 2013-09-02 2016-03-08 大和製罐株式会社 吸入器
JP5879311B2 (ja) * 2013-09-02 2016-03-08 大和製罐株式会社 吸入器
EP3042681A4 (en) * 2013-09-02 2017-05-17 Daiwa Can Company Inhaler
JP5842019B2 (ja) * 2014-02-28 2016-01-13 大和製罐株式会社 吸入器
JP5842020B2 (ja) * 2014-02-28 2016-01-13 大和製罐株式会社 吸入器
USD737426S1 (en) * 2013-09-26 2015-08-25 Daiwa Can Company Mouthpiece for inhaler
USD744087S1 (en) 2013-10-01 2015-11-24 Mahmut Bilgic Dry powder inhaler
USD804015S1 (en) * 2013-12-23 2017-11-28 Glenmark Pharmaceuticals Limited Inhaler
USD755950S1 (en) * 2014-05-19 2016-05-10 Vectura Delivery Devices Limited Inhaler
USD868366S1 (en) * 2015-04-22 2019-11-26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vapor device
CA173518S (en) 2016-02-08 2017-09-01 Nicoventures Holdings Ltd Cartridge for an electronic cigarette
GB201605105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apparatus
GB201605102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Mechanical connector for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0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1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EP3487776A1 (en) 2016-07-22 2019-05-29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Case for a vapour provision device
TWD195990S (zh) * 2017-11-28 2019-02-11 大陸商正大天晴藥業集團股&#x4 吸入器
USD850710S1 (en) * 2018-03-19 2019-06-04 Shenzhen Hijocund Technology Co., Ltd Electronic cigarette
USD877410S1 (en) * 2018-03-23 2020-03-03 Ted Strauss Disc-shaped tobacco pipe
USD882864S1 (en) * 2018-07-31 2020-04-28 Qinfeng Wu Vaporizer
US20220023553A1 (en) * 2018-12-04 2022-01-27 Hovione Technology Ltd Large dose disposable inhaler and method of simple filling
USD943144S1 (en) * 2019-02-12 2022-02-08 Aisleymore Corporation N.V. Vaping device
USD1019932S1 (en) * 2020-07-10 2024-03-26 Monash University Inhaler
USD1003426S1 (en) * 2020-07-10 2023-10-31 Monash University Inhaler
CN116782971A (zh) * 2021-01-28 2023-09-19 艾克诺韦公司 干粉吸入器
USD1029357S1 (en) * 2021-11-16 2024-05-28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5049A (en) * 1994-09-21 1998-07-28 Inhale Therapeutic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rsion of dry powder medicaments
GB9325835D0 (en) * 1993-12-18 1994-02-23 Cambridge Consultants Device for administering single doses of a medicament
SE0101825D0 (sv) * 2001-05-22 2001-05-22 Astrazeneca Ab An Inhalation device
GB0312007D0 (en) * 2003-05-24 2003-07-02 Innovata Biomed Ltd Container
GB2407042B (en) * 2003-10-17 2007-10-24 Vectura Ltd Inhaler
FR2881111B1 (fr) * 2005-01-25 2010-07-30 Valois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GB0507711D0 (en) * 2005-04-15 2005-05-25 Vectura Group Plc Improved blister piercing
EP1844809A1 (de) * 2006-04-13 2007-10-17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Medikamentenmagazin für einen Inhalator, sowie Mehrdosispulverinhalator
GB0621957D0 (en) * 2006-11-03 2006-12-13 Vectura Group Plc Inhaler devices and bespok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GB0704928D0 (en) * 2007-03-14 2007-04-25 Cambridge Consultants Dry powder inhalers
WO2008114034A2 (en) * 2007-03-21 2008-09-25 Cipla Limited Multi-dose inhaler device
FR2918352B1 (fr) * 2007-07-03 2009-10-09 Valois Sas Dispositif d'ouverture de reservoir pou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EP2082763A1 (en) * 2008-01-24 2009-07-2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Inha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49417A1 (en) 2011-08-03
AU2009312611B2 (en) 2014-06-19
WO2010052479A8 (en) 2010-07-29
RU2014114802A (ru) 2015-10-20
CN102271739A (zh) 2011-12-07
ZA201104184B (en) 2012-08-29
RU2523642C2 (ru) 2014-07-20
CA2742832A1 (en) 2010-05-14
JP2013509893A (ja) 2013-03-21
CN102271739B (zh) 2014-09-24
WO2010052479A1 (en) 2010-05-14
RU2011122648A (ru) 2012-12-20
ES2573907T3 (es) 2016-06-13
UA102123C2 (uk) 2013-06-10
JP5620916B2 (ja) 2014-11-05
EP2349417B1 (en) 2016-03-30
AU2009312611A1 (en) 2011-06-30
MX2011004814A (es) 2012-09-20
BRPI0921426A2 (pt) 2016-06-07
US20110271958A1 (en)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5264A (ko) 흡입기 장치
AU741132B2 (en) Dry powder inhaler
KR101660345B1 (ko) 흡입기
KR100805992B1 (ko) 건조 분말 흡입기
RU2351369C2 (ru) Ингалятор смесей на одну дозу в капсулах
US7779839B2 (en) Fluid product dispensing device
US8020554B2 (en) Opening device for fluid product dispensing device
US7878196B2 (en) Fluid product dispensing device
US20080142008A1 (en) Fluid Product Dispensing Device
CA2681299C (en) Multi-dose inhaler device
GB2467388A (en) Inhaler having a pivotally linked housing and blister holder
US20080099016A1 (en) Fluid Product Dispensing Device
US20110120467A1 (en) Powder inhalation device
CA3126416A1 (en) Device for inhaling powder-type substances
US20110120466A1 (en) Powder inhalation device
JP6416755B2 (ja) 流動体ディスペン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