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796A - 건조 및 탄화 장치 - Google Patents

건조 및 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796A
KR20120064796A KR1020100125995A KR20100125995A KR20120064796A KR 20120064796 A KR20120064796 A KR 20120064796A KR 1020100125995 A KR1020100125995 A KR 1020100125995A KR 20100125995 A KR20100125995 A KR 20100125995A KR 20120064796 A KR20120064796 A KR 20120064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drying
unit
discharge pip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숭
고호선
Original Assignee
구자숭
고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숭, 고호선 filed Critical 구자숭
Priority to KR1020100125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4796A/ko
Publication of KR20120064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and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eing in relative motion, e.g. of vibration
    • F26B3/2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and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eing in relative motion, e.g. of vibration the movement being r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2Combustion or py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46Compressors or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4Specific separation steps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C10L2290/547Filtration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6Specific details of the apparatus for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건조물이 공급되는 반응로; 상기 반응로 내부로 과열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부재; 상기 반응로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반응로 외부에 위치되는 감압부; 상기 반응로 내부의 가스를 상기 감압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서 상기 반응로와 상기 감압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반응로에서 상기 감압부로 이동되는 가스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는 반응로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가 냉각부에서 냉각된 후 감압부로 배출되므로, 감압부를 사용하여 반응로 내부를 용이하게 감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조 및 탄화 장치{Apparatus for Drying and Carbonizing}
본 발명은 건조 및 탄화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반응로 내부를 감압시키도록 하여, 반응로 내부의 피건조물을 신속하게 건조 및 탄화 처리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용 및 가정용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소각, 매립, 퇴비화, 해양투기, 보관 등이 있으나, 국내의 경우, 대부분 매립에 의존하고 있다. 매립은 처리비가 저렴하고, 대량처리가 가능하지만, 부지확보의 어려움과, 수질 및 토양오염의 발생,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대한 대체방안으로 소각 및 재활용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각종 폐기물을 활용하여 고형연료를 만들어 연료원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처럼 폐기물을 활용하여 생산되는 고체연료를 RDF(Refuse Derived fuel)라고 한다. 상기 RDF는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 금속류, 유리 등의 불연성 물질들을 건조, 파쇄, 선별 등의 공정을 거쳐 제거하고 가연성 물질만을 가공하여 만든 고체연료의 일종이다. 산업용 및 가정용 폐기물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많은 수분을 함유하기 때문에 이러한 RDF 제조 과정에서도 전처리 공정으로서 피건조물인 폐기물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건조공정을 수행하는 건조장치는 열풍, 과열 증기, 전기 및 전자파 등을 이용하여 피건조물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하여 피건조물에 함유된 수분이나 용제 등을 제거하는 장치로, 간접가열식과 직접가열식으로 구별된다. 간접가열식이란 전도전열이나 복사전열 등을 이용하여 피건조물을 가열함으로써 피건조물과 열매체가 직접 접촉하지 않는 건조방법이며, 직접가열식이란 가열된 공기, 과열 증기 등과 같은 열매체와 피건조물이 직접 접촉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건조방법을 의미한다.
종래 건조장치 중 회전식 건조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원통형의 반응로를 횡으로 설치하여 반응로를 회전시키고 상기 반응로 내부에서 열매체와 피건조물이 직접 접촉하거나, 간접 접촉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반응로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물의 과열 증기압이 낮아져서 건조속도가 빨라지므로, 외부에 진공펌프를 구비하여, 반응로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서 반응로 내부 압력을 감압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공기를 배출시키는데 사용되는 진공펌프는 높은 온도의 과열 증기를 배출할 수 없으므로, 낮은 온도의 과열 증기를 사용해야 하거나, 진공펌프 자체를 사용할 수 없어,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고, 건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함수율을 동반한 유기물을 무산소 또는 저 산소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실시하면, 유기물이 건조가 된 후, 이어서 유기분 중의 탄소가 고정되어 탄화물이 생성된다. 상기 탄화물은 제조공정에서 가해지는 온도 등에 따라, 비료, 흡착재, 고체연료, 시멘트 첨가물 등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탄화기술은 열분해기술의 일종으로, 무산소 또는 저 산소 조건의 반응로에 폐기물을 투입하고, 간접가열 또는 직접가열로 열분해 하여 비 결정 탄소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탄화 기술에서 간접적으로 반응로에 열을 가하는 간접가열의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많이 들어, 과열 증기 등을 폐기물에 직접 가하는 직접가열이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직접 가열에 있어서, 반응로 내부 압력을 감압시키게 되면, 탄화 속도가 빨라지게 되는데, 종래 건조장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공펌프 만으로는 과열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없으므로, 대량의 폐기물 처리에 있어서 탄화 속도가 느리게 되고, 건조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건조물이 공급된 반응로 내부에 과열 증기를 직접 분사하여 많은 양의 피건조물을 신속하게 처리하도록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응로의 공기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공기를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여, 반응로 내부를 감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건조물이 공급되는 반응로; 상기 반응로 내부로 과열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부재; 상기 반응로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반응로 외부에 위치되는 감압부; 상기 반응로 내부의 가스를 상기 감압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서 상기 반응로와 상기 감압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반응로에서 상기 감압부로 이동되는 가스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증기 공급부재는, 상기 반응로 외부에 위치되어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과열 증기 생성부와, 상기 과열 증기 생성부에서 상기 반응로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공급관과, 상기 반응로 내부로 과열 증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공급관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반응로 내부에서 상기 공급관의 하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되, 상기 배출관에서 상기 분사노즐과 대향되는 반대 측에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의 일단부는 상기 반응로 상측에 관통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의 타단부는 상기 감압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에서 상기 반응로와 상기 냉각부 사이에는 상기 반응로에서 상기 냉각부로 이동되는 가스를 필터링 시키는 기체분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반응로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반응로 내부에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반응로 내부에 간접적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상기 반응로 외부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는 반응로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가 냉각부에서 냉각된 후 감압부로 배출되므로, 감압부를 사용하여 반응로 내부를 용이하게 감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는 감압부가 반응로를 지속적으로 감압시킬 수 있게 되어, 많은 양의 피건조물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의 반응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의 반응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는 폐기물 등의 피건조물에 열을 가하여 폐기물을 건조시키거나, 폐기물을 건조시킨 후, 무산소 분위기 하에서 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피건조물이 공급되는 반응로(10), 상기 반응로(10) 내부로 과열 증기를 분사하는 증기 공급부재(20), 반응로(10) 내부를 감압시키는 감압부(50), 반응로(10) 내부의 가스를 감압부(50)로 배출시키는 배출관(30), 감압부(50)로 이동되는 가스를 냉각시키는 냉각부(40) 및 상기 냉각부(40)로 이동되는 가스를 필터링시키는 기체분리부(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반응로(10)는 통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폐기물이 수용되도록 공간이 확보되며, 상단에 개폐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를 통하여 반응로(10) 내부로 폐기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반응로(10)가 후술하는 회전부(12)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반응로(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축 역할을 하는 회전축(7)과, 상기 회전축(7)을 지지하는 지지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응로(10)에는 회전부(12) 및 가열부(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먼저, 회전부(12)는 반응로(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반응로(10)의 외주연 양측에 구비되는 롤러로 구성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반응로(10)를 회전시키기도록 구성된다. 이는 회전부(12)의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 회전부(12)는 반응로(10) 일측의 회전축(7)에 구비되는 모터(미도시)로 구성되어, 반응로(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부(12)에 의하여 건조가 이루어진 폐기물과 수분함량이 높은 폐기물이 서로 교반되어, 건조효율이 증대되도록 구성된다. 가열부(14)는 전기 또는 가스 등을 사용하여 반응로(10) 외부에서 열을 발생시켜서, 반응로(10) 내부에 간접적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반응로(10)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열선 또는, 반응로(10) 외부로 열을 직접 가하는 가열기 등으로 구성된다.
증기 공급부재(20)는 반응로(10) 내부에 직접적으로 열을 공급하는 것으로, 반응로(10) 외부에 위치되어 200℃ 내지 700℃ 정도의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과열 증기 생성부(22)와, 상기 과열 증기 생성부(22)에서 상기 반응로(10)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공급관(24)과, 상기 반응로(10) 내부로 상기 과열 증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공급관(24)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26)을 포함한다. 그리고 과열 증기 생성부(22)에서 생성되는 과열 증기는 공급관(24)을 따라 유동되며, 분사노즐(26)을 통하여 반응로(10) 내부로 분사된다.
감압부(50)는 반응로(10) 내부를 저압으로 감압시키기 위한 것으로, 진공펌프 등으로 구성된다. 배출관(30)은 반응로(10) 내부에서 상기 공급관(24)과 대향되도록 수평으로 나란하게 위치되되, 배출관(30)에서 분사노즐(26)과 대향되는 위치 즉, 배출관(30)의 상측에 배출홀(32)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출홀(32)을 통하여 반응로(10) 내부의 공기가 배출관(30)으로 이동되어, 반응로(10) 내부가 감압 및 가스가 배출된다. 즉, 공급관(24)의 분사노즐(26)에서 분사되는 과열 증기는 폐기물이 위치된 반응로(10)의 하측으로 분사되어, 폐기물을 건조 및 탄화시키고, 폐기물의 건조 및 탄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가스는 배출관(30)에서 반응로(10)의 상측 방향에 구비되는 배출홀(32)을 통하여 배출관(30)으로 배출되므로, 반응로(10) 내부로 분사되는 과열 증기가 폐기물에 닿기도 전에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냉각부(40)는 배출관(30)에서 반응로(10)와 감압부(50) 사이에 위치되며, 배출관(30)을 통하여 반응로(10)에서 감압부(50)로 이동되는 가스를 냉기 등으로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기체분리부(45)는 배출관(30)에서 냉각부(40)로 이동되는 가스의 불순물을 분리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배출관(30)에서 반응로(10)와 냉각부(40) 사이에 위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의 반응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의 반응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의 반응로(10)는 내부에 폐기물이 공급되며, 회전부(12)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반응로(10) 내부의 폐기물이 골고루 교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폐기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 또는 탄화시키기 위하여, 반응로(10) 외측에는 가열부(14)가 구비되고 반응로(10) 내부에는 증기 공급부재(20)가 구비된다. 그리고 폐기물의 건조 또는 탄화가 보다 빨리 진행되도록 감압부(50)를 사용하여 반응로(10) 내부를 감압시킨다.
즉, 가열부(14)에서 반응로(10) 외부를 가열시켜서 폐기물을 간접적으로 가열시키고, 증기 공급부재(20)의 공급관(24)에 형성된 분사노즐(26)을 통하여 과열 증기 생성부(22)에서 생성된 과열 증기가 분사되어, 폐기물을 직접적으로 가열시킨다.
한편, 반응로(10) 내부는 감압부(50)에 의하여 감압된 상태이며, 가열부(14) 및 증기 공급부재(20)에 의하여 반응로(10)에 공급된 폐기물에 간접 및 직접적으로 열이 가해지게 되어 폐기물이 건조 및 탄화가 진행된다. 그리고 폐기물의 건조 및 탄화 등에 의하여 반응로(10) 내부에는 고온의 가스가 생성되는데, 이렇게 생성되는 고온의 가스는 감압부(50)에 의하여 배출관(30)을 타고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반응로(10) 내부의 감압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배출관(30)에는 냉각부(40)가 구비되어, 반응로(1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가 냉각부(40)에 의하여 저온으로 냉각된 후 감압부(50)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감압부(50)에서는 냉각된 가스를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는 먼저, 폐기물이 작은 크기로 파쇄 또는 절단하여 반응로(10)에 공급되며, 이렇게 반응로(10)에 공급된 폐기물은 반응로(10)의 회전에 의하여 골고루 혼합된다. 이어서 가열부(14) 및 증기 공급부재(20)에 의하여 폐기물이 공급된 반응로(10)에 열을 가하게 되는데, 이때, 가열부(14)에서 반응로(10)에 가하는 열의 온도 및 증기 공급부재(20)의 분사노즐(26)에서 반응로(10) 내부로 분사하는 과열 증기의 온도는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또는, 폐기물을 건조만 시킬 것인지, 아니면 건조 후, 탄화까지 시킬 것인지 여부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여기서 반응로(10)에 공급된 폐기물의 건조 및 탄화가 빠르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감압부(50)를 사용하여 반응로(10) 내부는 감압된 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를 위하여 건조 및 탄화 과정에서 반응로(10) 내부에 발생되는 고온의 가스는 감압부(50)에 의하여 배출관(30)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관(30)을 통하여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는 기체분리부(45)를 통하여 가스의 불순물이 필터링되고, 이어서 냉각부(40)에 의하여 냉각된 후 감압부(50)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반응로(1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가 냉각부(40)에서 냉각된 후 감압부(50)로 배출되므로, 감압부(50)를 사용하여 반응로(10) 내부를 용이하게 감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증기 공급부재(20)에서 반응로(10) 내부에 과열 증기를 직접 분사하여 폐기물을 직접가열시킬 때, 감압부(50)가 반응로(10) 내부를 지속적으로 감압시킬 수 있게 되어, 많은 양의 폐기물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회전부(12: 도 1 도시) 대신 교반부(16)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는 반응로(10) 내부 하측에 교반부(16)가 구비되어, 반응로(10) 내부로 공급되는 폐기물이 교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교반부(16)는 반응로(10) 내부 하측에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16a)과, 상기 회전축(16a)에 형성되는 교반블레이드(16b)와, 상기 회전축(16a)을 회전시키도록 반응로(10) 외측에 구비되는 회전모터(16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회전모터(16c)에 의하여 회전축(16a)이 회전되면서 교반블레이드(16b)가 반응로(10) 내부에 위치된 폐기물을 서로 교반시켜서, 건조 및 탄화 효율이 증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는 증기 공급부재(20)의 공급관(24)에서 반응로(10) 내부에 과열 증기를 공급하여 반응로(10) 내부에 공급된 폐기물이 건조 및 탄화된다. 이때, 반응로(10) 내부는 감압부(50)에 의하여 감압된 상태이며, 감압부(50)에 의하여 반응로(1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는 냉각부(40)에서 저온으로 냉각된 후 감압부(50)로 배출되게 되어, 감압부(50)를 사용하여 반응로(10) 내부를 지속적으로 감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는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반응로(10) 내부에서 상호 수평으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공급관(24)과 배출관(30)이 따로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의 공급관(24)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반응로(10) 내부 중앙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배출관(30)의 일단부는 상기 반응로(10) 상측에 관통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30)의 타단부는 상기 감압부(50)에 연결되어, 반응로(10) 내부가 감압 및 가스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탄화 장치는 반응로(10) 내부 하방으로 과열 증기가 분사되어, 반응로(10) 내부 하방에 위치된 폐기물이 건조 및 탄화되고, 교반부(16)에 의하여 반응로(10) 내부의 폐기물이 교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과열 증기에 의하여 폐기물이 건조 및 탄화되면서, 반응로(16) 내부에 고온의 가스가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가스는 반응로(10) 내부 상방으로 이동된 후, 반응로(10) 상측에 연결된 배출관(30)을 타고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관(3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는 냉각부(40)에서 저온으로 냉각된 후 감압부(50)로 배출되게 되어, 감압부(50)를 사용하여 반응로(10) 내부를 지속적으로 감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5: 지지부 7: 회전축
10: 반응로 12: 회전부
14: 가열부 16: 교반부
16a: 회전축 16b: 교반블레이드
16c: 회전모터 20: 증기 공급부재
22: 과열 증기 생성부 24: 공급관
26: 분사노즐 30: 배출관
32: 배출홀 40: 냉각부
45: 기체분리부 50: 감압부

Claims (8)

  1. 피건조물이 공급되는 반응로;
    상기 반응로 내부로 과열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부재;
    상기 반응로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반응로 외부에 위치되는 감압부;
    상기 반응로 내부의 가스를 상기 감압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서 상기 반응로와 상기 감압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반응로에서 상기 감압부로 이동되는 가스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공급부재는, 상기 반응로 외부에 위치되어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과열 증기 생성부와, 상기 과열 증기 생성부에서 상기 반응로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공급관과, 상기 반응로 내부로 과열 증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공급관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반응로 내부에서 상기 공급관의 하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되, 상기 배출관에서 상기 분사노즐과 대향되는 반대 측에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일단부는 상기 반응로 상측에 관통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의 타단부는 상기 감압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에서 상기 반응로와 상기 냉각부 사이에는 상기 반응로에서 상기 냉각부로 이동되는 가스를 필터링 시키는 기체분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로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로 내부에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로 내부에 간접적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상기 반응로 외부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탄화 장치.
KR1020100125995A 2010-12-10 2010-12-10 건조 및 탄화 장치 KR20120064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995A KR20120064796A (ko) 2010-12-10 2010-12-10 건조 및 탄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995A KR20120064796A (ko) 2010-12-10 2010-12-10 건조 및 탄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796A true KR20120064796A (ko) 2012-06-20

Family

ID=46684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995A KR20120064796A (ko) 2010-12-10 2010-12-10 건조 및 탄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47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780A (ko) * 2019-10-31 2021-05-11 (주)정석이엔씨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백탄 제조장치 및 이를 갖는 바이오매스 처리설비
KR102515758B1 (ko) * 2022-12-27 2023-03-29 진균하 과열증기를 이용한 로터리 킬른의 바이오매스 반탄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780A (ko) * 2019-10-31 2021-05-11 (주)정석이엔씨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백탄 제조장치 및 이를 갖는 바이오매스 처리설비
KR102515758B1 (ko) * 2022-12-27 2023-03-29 진균하 과열증기를 이용한 로터리 킬른의 바이오매스 반탄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55519A (zh) 基于水热碳化和微波快速热解的污泥综合处理方法
KR20090117377A (ko) 가연성 폐기물의 열분해시스템 및 열분해방법
EP3012037B1 (en) Production line and method for recycling of charcoal and gas from garbage
KR102131373B1 (ko) 바이오차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903572B1 (ko) 폐열 회수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 및 탄화장치
KR100903571B1 (ko) 유기성 폐기물을 대량 처리하기 위한 탄화용 설비
JP5176016B2 (ja) 過熱水蒸気連続再資源化処理装置
CN102153079A (zh) 氧炭化法工业化煤制活性炭的方法及系统
JP2007260548A (ja) 廃棄物処理方法及び廃棄物処理システム
CN111019711A (zh) 一种生活垃圾热裂解气化工艺
KR20120064796A (ko) 건조 및 탄화 장치
US7147681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recoverable waste products and non-recoverable waste products
JP2004141871A (ja) 有機物質含有フィードの熱分解からの固体残渣のマイクロ波処理を目的とする方法およびプラント
KR20110004601A (ko) 하수 슬러지 건조 및 탄화 장치
JP2009242178A (ja) ナノカーボン・炭化物連続製造装置
KR101454882B1 (ko) 석유계 고분자 폐기물에서 얻어지는 연료와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시스템
JP2023033035A (ja) 再生可能エネルギーを活用した有機物の炭化方法及び再生可能エネルギー活用型有機物炭化システム
KR20070105406A (ko) 연속식 저온열분해 탄화처리기
JP2006224047A (ja) 下水汚泥の炭化処理システム
KR20130029300A (ko) 폐기물 다단 건조 탄화장치
KR100909941B1 (ko)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
KR20130067416A (ko) 유기성 폐기물의 저온 탄화장치
JPH115100A (ja) 下水汚泥処理システム
JPH09309714A (ja) 炭材の活性改質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装置
KR100903573B1 (ko) 저장탱크 내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혼합분쇄장치를 갖는유기성 폐기물 탄화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