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941B1 -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941B1
KR100909941B1 KR1020080101484A KR20080101484A KR100909941B1 KR 100909941 B1 KR100909941 B1 KR 100909941B1 KR 1020080101484 A KR1020080101484 A KR 1020080101484A KR 20080101484 A KR20080101484 A KR 20080101484A KR 100909941 B1 KR100909941 B1 KR 100909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arbonization
chamber
heating chamb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재
Priority to KR1020080101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23G5/0273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using indirect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업소 자체에서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탄화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투입된 음식물을 탄화실 내에서 순환시키는 교반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탄화실은 하측의 가열실로부터 고온의 열기를 전달받아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건조 및 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음식물 쓰레기의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건류가스를 회수하여 그에 따른 연소 폐열이 탄화실의 가열원으로 작용되게 함으로써, 적어도 30∼40Kg의 음식물 쓰레기를 일시에 투입시켜 이를 탄화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장치의 24시간 풀가동이 가능하여 일반적인 대중 음식점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모두 처리할 수 있을 것이며, 소비 연료비가 매우 저렴하여 매우 경제적인 것이며, 가열실 내부의 고열에 의해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가스 등을 분해 제거하여 배출하므로 매우 환경 친화적이고, 종래의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과정에서 요구되는 과도한 비용과 환경 오염에 대한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가열, 건조, 탄화, 수증기, 건류가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 {Food waste carbonizationer}
본 발명은 대중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업소 자체에서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탄화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탄화실 내부로 투입되어진 음식물 쓰레기를 간접 가열시켜 열분해시키고,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건류가스를 회수하여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이 상기 탄화실을 가열토록 구성함으로써, 대중 음식점 등에서 발생하는 많은 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탄화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탄화처리에 소용되는 연료와 전기 에너지를 크게 절감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비용 절감은 물론 그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개선하고자 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일반 가정이나 대중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외식 산업과 서비스 산업이 발달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 및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는 정해진 시스템과 관계법령에 따라 일정한 경로를 통해 수거되어 안전하게 처리되고 있는 것인데, 상기의 음식물 쓰레기는 대부분 매립되거나 소각되는 것이 보편적인 처리 방법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양한 처리 과 정을 거쳐 사료나 퇴비 등으로 재가공되기도 한다.
그러나, 매립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방법은 넓은 매립지를 요구하는 것이며, 위생적인 면과 환경적인 측면에서 모두 불합리한 결과를 낳게 되므로 지자체와 주민들의 반대에 봉착하게 된다.
즉, 기존에 승인된 매립지의 경우 이미 포화 수용상태에 이르러 새로운 매립지의 지정이 불가피한 것인데, 해당 지역의 주민은 물론 지자체의 반대가 극심하여 새로운 지정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며,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매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침출수에 의한 토양 오염은 물론 유해가스로 인한 심각한 대기오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바람직한 처리방법으로는 적합하지 못한 것이다.
특히, 관계법령에 따라 2005년 1월 1일부터는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직,매립을 금지하고 있어 매립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방법은 폐기장의 포화 상태에 이르러서는 더 이상의 실효성을 상실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효과적인 처리방법으로 소각 및 탄화방법이 대두되고 있는 것으로, 일정 수준의 설비를 갖춘 상태에서 상기의 음식물 쓰레기를 고온에서 소각시켜 이를 처리하거나, 건조와 탄화과정을 거쳐 함수율이 극히 낮은 상태의 탄화물로 배출되게 하여 상기의 탄화물을 퇴비나 메움토의 용도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의 소각 및 탄화방법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방법은 많은 량의 유해가스나 침출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매립 이외의 가장 효과 적인 처리 방법이므로 과도한 운영비나 시설비의 부담을 안고도 불가피하게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와 같은 소각 및 탄화방법은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시킨 상태에서 이를 건조시킨 후 소각 또는 탄화시키게 되는데, 건조과정과 소각 또는 탄화과정에서 많은 량의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방법은, 음식물 쓰레기의 저장단계와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단계, 탈수단계, 건조단계 및 탄화단계에서 다량의 침출수 및 폐수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침출수와 폐수는 2차 처리장치를 거쳐 정화시켜야 하므로 2중의 처리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의 소각 처리과정은 대형 저장탱크 내에 수거된 쓰레기를 파쇄기를 이용하여 잘게 부순 후 이에 대한 함수율을 낮추기 위해 탈수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는 함수율을 더욱 낮추기 위한 건조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며, 건조된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는 소각 또는 탄화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처리과정에서는 폐수와 유해가스 및 분진과 탄화물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것인데, 상기의 폐수는 저장고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침출수와 파쇄 및 탈수,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모두 모아 별도의 정화조로 수거되게 하는 것이며, 정화조 내의 폐수는 화학처리를 거쳐 해양 투기하는 방법으로 처리하게 되는 것인데, 런던협약에 따르면 2012년부터는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침출수나 폐수에 대한 정화수의 해양투기가 전면적으로 금지되므로 폐수처리시설에 대한 확충이나 폐수처리에 대한 소요 비용이 크게 증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에는 다량의 분진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므로, 일차적으로 고온에서 유해가스에 대한 연소가 이루어진 후, 연소가스 및 분진은 습식 분진제거장치를 최종적으로 거쳐 대기로 배출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소각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이옥신과 같은 다량의 유해가스는 공해와 환경오염을 심각하게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습식 분진제거장치에서 사용되는 처리용수에는 많은 량의 분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처리용수 역시 침출수 및 폐수의 처리과정과 동일한 경로를 거쳐 정화된 후 해양 투기되므로 결국 해양 투기에 따른 환경과 비용적인 측면에서의 개선사항을 가중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소각 및 탄화과정과 연소과정에서 소모되는 연료는 거의 석유에너지나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대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연속하여 처리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에너지가 소요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소비 에너지의 사용량은 음식물 쓰레기의 매립 방법에 비하여 과도한 처리비용이 발생하므로 장기적인 측면에서 과도한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경쟁력 약화는 물론 에너지 사용을 위한 에너지 생산 흐름과도 직결되어 있어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발생하는 재원의 확보와 환경 오염까지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대중음식점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업소 자체에서 직접 탄화처리 할 수 있도록 하되, 장치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을 탄화실 내에서 순환시키는 교반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탄화실은 하측의 가열실로부터 고온의 열기를 전달받아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건조 및 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음식물 쓰레기의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건류가스를 회수하여 그에 따른 연소 폐열이 탄화실의 가열원으로 작용되게 함으로써,
최소의 소비 연료만으로도 비교적 많은 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탄화시킬 수 있어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수거 비용 및 처리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친화적이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이 갖는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에는 가열실을 형성하고, 가열실의 내부에는 격리된 탄화실을 형성하며, 상기의 가열실와 탄화실은 이송관에 의해 내부가 서로 연통되게 하고, 상기 가열실의 내부에는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배기관을 형성하되,
상기의 탄화실에는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투입구와 본체의 외측 하부로 연장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의 탄화실 내부에는 교반날개를 갖는 회전축을 형성하여 상기의 회전축이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하며, 상기의 가열실 내부를 향하는 이송관에는 버너를 장착하여,
버너의 점화에 의한 가열실의 열기로부터 탄화실의 내부가 가열되면, 탄화실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와 탄화가 이루어지고,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악취는 가열실 내부의 화염 및 열기에 의해 소멸되어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고, 탄화과정을 거친 츰식물 쓰레기의 탄화물은 배출구를 통해 수거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30∼40Kg의 음식물 쓰레기를 일시에 투입시켜 이를 탄화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장치의 24시간 풀가동이 가능하여 일반적인 대중 음식점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모두 처리할 수 있을 것이며, 간접열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건류가스를 회수하고 회수된 건류가스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열로 작용되게 하여 소비연료비가 매우 저렴하여 매우 경제적인 것이며, 가열실 내부의 고열에 의해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가스 등을 분해 제거하여 매우 환경 친화적이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과정에서 요구되는 과도한 비용과 환경 오염에 대한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의 측면 전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의 평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는 함체 형태로 된 본체(10)의 내부에 공간 상의 가열실(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가열실(20) 내부에는 가열실(20)로부터 격리된 상태의 탄화실(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가열실(20) 내면에는 다양한 단열재로 된 단열층(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단열층(21) 내면에는 내화벽돌 등으로 된 내화층(2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내화층(22)에 의해 가열실(20)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소실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상기의 단열층(21)은 가열실(20) 내부의 열기가 전도되어 본체(1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탄화실(30)에는 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한 투입구(31)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10)의 하측으로는 탄화실(30)로부터 하향 경사상으로 위치하고 있는 배출구(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탄화실(30)의 내부에는 교반날개(33)를 갖는 회전축(34)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의 회전축(34)은 본체(10)의 외측에 위치한 구동모터 (35)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의 구동모터(35)가 작동함에 따라 구동모터(35)의 동력은 회전축(34)에 전달되므로 결국 상기의 교반날개(33)는 탄화실(30)의 내부에서 연속적인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열실(20)과 탄화실(30)은 별도의 이송관(40)에 의해 각각의 내부가 연통된 상태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의 가열실(2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별도의 배기관(50)은 본체(10)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향 수직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탄화실(30)에 형성된 투입구(31)에는 탄화실(30) 내부를 밀폐할 수 있는 개폐도어(60)가 힌지 결합되어 있고, 탄화실(30)에 형성된 배출구(32)의 내부에는 상기의 배출구(32) 내부에 삽입되어 배출구(32)를 개폐시킬 수 있는 개폐블럭(70)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블럭(70)의 하측으로 결합된 나사축(71)에는 배출모터(74)로부터 웜(73)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웜휠(72)이 나사 체결되어 있어, 상기의 배출모터(74)에 전원이 인가되어 웜(73)과 웜휠(72)이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의 웜휠(72)에 나사 결합된 상태의 나사축(71)은 개폐블럭(70)과 함께 배출구(32)를 따라 하향 이동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개폐블럭(70)이 하향 이동됨에 따라 개폐블럭(70)에 의해 밀폐된 상태의 탄화실(30) 하부 일측이 개방될 것이며, 상기의 배출구(32) 하단에는 하향의 배출관(3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개폐블럭(70)이 배출관(36)의 하측까지 이동되면 상기의 배출구(32)는 외부로부터 개방된 배출관(36)에 의해 탄화실(30) 내부의 탄화물이 배출구(32)를 따라배출관(36)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 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6의 도시와 같이 탄화실(30)의 투입구(31)에 힌지 결합된 개폐도어(6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개방된 투입구(31)를 통해 탄화실(30)의 내부에 30∼40Kg의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개폐도어(60)를 투입구(31) 상부면에 밀착 체결하여 상기의 탄화실(30)이 밀폐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의 이송관(40)에 장착되어 있는 버너(41)를 가동시키면 상기의 버너(41)의 점화에 따른 화염에 의해 가열실(20) 내부가 고온으로 가열되는 것이고, 가열실(2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이와 같은 열기는 탄화실(30)로 열전도되므로 상기의 탄화실(30) 내부 역시 가열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탄화실(3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점진적으로 건조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가열에 의한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악취 등은 탄화실(30)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키게 되므로 상기의 수증기와 악취는 이송관(40)을 통해 가열실(20) 내부로 순환 유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탄화실(30) 내부의 교반날개(33)는 구동모터(35)의 작동을 통해 탄화실(3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지속적으로 교반 및 혼합시키면서도 뒤섞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의 음식물 쓰레기가 보다 단축된 시간 내에 건조 및 열분해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건조과정에 의해 가열실(20) 내부로 유입되는 수증기와 악취는 버너(41)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열기와 접촉하면서 수증기의 증발과 악취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인데, 상기의 가열실(20) 내부 열기는 일반적인 악취의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온도인 600∼650℃의 범위 내에서 조절되므로 상기와 같은 고온에 의해 수증기의 증발과 고열에 의한 악취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가열실(20)을 향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탄화실(30) 내의 수증기와 악취는 가열실(20) 내부에서 소멸되면서 압력을 상승시키므로 상기와 같이 열처리된 수증기와 악취는 고열의 열기와 화염에 의해 소멸된 상태로 배기관(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버너(41)의 연속적인 점화에 의해 상기의 탄화실(30)이 지속적으로 가열됨에 따라 탄화실(3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는 완전히 건조된 상태가 되는 것이고, 건조가 종료된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는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열기에 의해 열분해 과정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열분해 과정에서는 수증기와 악취는 발생하지 않는 반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건류가스가 배출되는 것인데, 상기의 건류가스 역시 이송관(40)을 따라 가열실(20)의 내부로 회수되므로 이와 같은 건류 가스가 버너(41)의 화염에 의해 점화되면서 열기의 증대를 통한 가열실(20) 내부 온도를 더욱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므로, 더욱 향상된 열기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열분해 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건조과정과 열분해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의 버너(41)는 소화시킨 후, 상기 탄화실(30) 내부의 탄화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수거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의 탄화물은 음식물 쓰레기의 열분해 과정에서 고 온으로 가열된 상태일 것이므로 충분한 냉각시간을 두고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이상적이다.
즉, 상기의 탄화실(30) 내부온도가 100℃ 부근까지 하강될때까지 냉각시간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의 냉각온도에 이르러서 상기 배출모터(74)를 작동시켜 도 7의 도시와 같이 나사축(71)과 개폐블럭(70)의 하향 이동을 통해 탄화실(30) 내부의 탄화물이 상기의 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구동모터(35)에 전원을 인가시켜 교반날개(33)가 탄화실(30) 내부에서 저속 회전되게 함에 따라 상기의 교반날개(33)가 회전되면서 탄화물이 상기의 배출구(32)를 따라 하향 배출되게 하는 것이며, 배출구(32)를 따라 이동하는 탄화물은 배출구(32) 하단의 배출관(3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별도의 용기를 이용하여 상기의 탄화물을 간편하게 수거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거된 탄화물은 퇴비나 인공토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 오염물질이나 폐기물을 전혀 배출하지 않고도 많은 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에 적용된 투입구(31)에 힌지 결합된 개폐도어(60)의 체결수단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의 개폐도어(60)에는 일측으로 원호 상의 체결홈(61)을 갖는 잠금레버(62)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고, 상기의 투입구(31)의 외면에는 상기의 체결홈(61)과 대응되는 잠금핀(63)을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의 잠금레버(62)를 회전시켜 잠금핀(63)으로부터 체결홈(61)이 결합되면 개폐도어(60)에 의한 투입구(31)의 밀폐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의 체결홈(61)이 잠금핀(63)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잠금레버(62)를 회전시키면 상기의 개폐도어(60)를 상향 회전시켜 투입구(31)의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에 적용된 이송관(40)에 별도의 송풍팬(42)을 장착한 것으로서, 상기의 송풍팬(42)이 가동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과정 또는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악취 및 건류가스 등을 탄화실(30)로부터 가열실(20)로 더욱 용이하게 공급 및 운반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용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에 적용된 배기관(50)에 별도의 필터박스(51)를 장착한 것으로서, 상기의 배기관(50)을 따라 외기로 배출되는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 등이 상기의 필터박스(51)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되므로 필터박스(51)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유해가스는 물론 분진 및 악취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의 전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의 측면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의 평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의 작동도로서,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의 작동도로서, 탄화물의 배출과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의 투입구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의 이송관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의 배출관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20 : 가열실 21 : 단열층
22 : 내화층
30 : 탄화실 31 : 투입구
32 : 배출구 33 : 교반날개
34 : 회전축 35 : 구동모터
36 : 배출관
40 : 이송관 41 : 버너
42 : 송풍팬
50 : 배기관 51 : 필터박스
60 : 개폐도어 61 : 체결홈
62 : 잠금레버 63 : 잠금핀
70 : 개폐블럭 71 : 나사축
72 : 웜휠 73 : 웜
74 : 배출모터

Claims (6)

  1. 본체(10)의 내부에는 가열실(20)을 형성하고, 가열실(20)의 내부에는 격리된 투입구(31)와 배출구(32)를 갖는 탄화실(30)을 형성하며, 상기의 가열실(20)과 탄화실(30)은 이송관(40)에 의해 내부가 서로 연통되게 하고, 상기 가열실(20)의 내부에는 본체(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배기관(50)을 형성하여, 탄화실(30)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이송관(40)에 장착된 버너(41)에 의해 건조 및 탄화가 이루어져 상기 배출구(32)를 통해 수거되게 한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에 있어서,
    하향 경사관으로 된 배출구(32)의 내부에는 개폐블럭(70)을 갖는 나사축(71)을 삽입 형성하고, 상기의 나사축(71)에는 웜휠(72)을 나사 결합하며, 상기의 웜휠(72)은 배출모터(74)와 연결된 웜(73)과 치합되게 하여, 상기의 배출모터(74)의 구동을 통해 웜휠(72)이 회전하면 상기의 나사축(71)과 개폐블럭(70)이 하강하며 배출구(32)의 하단에 위치한 배출관(36)을 통해 탄화물이 배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101484A 2008-10-16 2008-10-16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 KR100909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484A KR100909941B1 (ko) 2008-10-16 2008-10-16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484A KR100909941B1 (ko) 2008-10-16 2008-10-16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941B1 true KR100909941B1 (ko) 2009-07-29

Family

ID=41338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484A KR100909941B1 (ko) 2008-10-16 2008-10-16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9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765B1 (ko) * 2010-06-24 2011-01-04 현일수 폐기물 탄화 처리장치
WO2014027752A1 (ko) * 2012-08-16 2014-02-20 Lee Younghee 저연비 열분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053A (ja) * 1993-05-24 1994-11-29 Toshiba Eng & Constr Co Ltd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の熱分解回収方法
KR100232033B1 (ko) * 1997-12-11 1999-12-01 김평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40111211A (ko) * 2004-08-20 2004-12-31 김영호 스크루 타입 열순환 및 인너파이프 타입 폐열회수 구조를갖는 열분해 장치
KR100685278B1 (ko) 2006-02-03 2007-02-22 타케시 후꾸무라 의료폐기물 및 쓰레기 탄화처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이 구비된 탄화처리차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053A (ja) * 1993-05-24 1994-11-29 Toshiba Eng & Constr Co Ltd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の熱分解回収方法
KR100232033B1 (ko) * 1997-12-11 1999-12-01 김평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40111211A (ko) * 2004-08-20 2004-12-31 김영호 스크루 타입 열순환 및 인너파이프 타입 폐열회수 구조를갖는 열분해 장치
KR100685278B1 (ko) 2006-02-03 2007-02-22 타케시 후꾸무라 의료폐기물 및 쓰레기 탄화처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이 구비된 탄화처리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765B1 (ko) * 2010-06-24 2011-01-04 현일수 폐기물 탄화 처리장치
WO2014027752A1 (ko) * 2012-08-16 2014-02-20 Lee Younghee 저연비 열분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571B1 (ko) 유기성 폐기물을 대량 처리하기 위한 탄화용 설비
JP4599127B2 (ja) ごみの再資源化のための処理方法とその装置
GB245607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waste treatment
KR100903572B1 (ko) 폐열 회수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 및 탄화장치
KR101516789B1 (ko)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환원 유전가열장치
KR100812121B1 (ko) 폐기물의 소각열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시스템
CN105157032A (zh) 磁化裂解装置
CN106433799A (zh) 处理生活垃圾的系统和方法
KR101945401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JP2016010744A (ja) 生ごみ等有機廃棄物低温触媒分解処理方法及び装置
TWI648318B (zh) 遠紅外線輻射熱碳化設備
KR20140016451A (ko) 열분해장치
KR200420688Y1 (ko) 유기성 건조폐기물의 재활용 시스템
KR100909941B1 (ko)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
KR20120084221A (ko) 건슬러지 탄화처리장치
KR20060064141A (ko) 열분해법에 의한 하수슬러지의 처리 장치 및 처리방법
US7147681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recoverable waste products and non-recoverable waste products
KR100856677B1 (ko)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장치
JP2007216204A (ja) 廃棄物熱分解処理装置
KR101293272B1 (ko) 연속식 열분해 유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890898B1 (ko) 음식물 쓰레기용 탄화 처리기
KR20070105406A (ko) 연속식 저온열분해 탄화처리기
KR101337493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열분해장치
KR101427337B1 (ko) 음이온 산소를 이용한 용융로
CN210921409U (zh) 生活垃圾低温热解隔氧碳化和二次燃烧一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