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784A -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784A
KR20120064784A KR1020100125974A KR20100125974A KR20120064784A KR 20120064784 A KR20120064784 A KR 20120064784A KR 1020100125974 A KR1020100125974 A KR 1020100125974A KR 20100125974 A KR20100125974 A KR 20100125974A KR 20120064784 A KR20120064784 A KR 20120064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ield emission
gate electrode
emission lamp
cathode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우
송윤호
강준태
김재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5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4784A/ko
Publication of KR2012006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01J1/304Field-emissive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54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up, converted, or stored; Luminescent coatings on vessels
    • H01J1/62Luminescent screens; Selection of materials for luminescent coatings on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4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67Control electrodes for flat display tubes, e.g. of the type covered by group H01J31/12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02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cold cath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charge Lamps And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가 제공된다. 이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는 제 1 기판의 일면 상에 구비되되, 서로 이격된 적어도 3개의 띠 형태의 캐소드 전극들, 캐소드 전극들 상에 각각 구비되되, 복수의 전계 발광 에미터들로 구성되는 전계 발광 에미터 패턴들, 전계 발광 에미터 패턴들을 덮도록 구비되되, 전계 발광 에미터들에 각각 대응되는 게이트 홀들을 갖는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 전계 발광 에미터 패턴들과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되어 캐소드 전극들에 게이트 전극을 접합하되, 게이트 홀들에 각각 대응되는 홀들을 갖는 절연층, 제 2 기판의 일면 상에 구비되되, 제 2 기판의 일면의 가장자리 부근을 둘러싸는 닫힌 도형 형태의 애노드 전극, 애노드 전극의 내측의 제 2 기판의 일면 상에 구비되되, 적어도 3개의 캐소드 전극들에 각각 대응되는 적색 형광막, 녹색 형광막 및 청색 형광막을 포함하는 형광막, 형광막 상에 제공된 반사막, 서로 대향하는 제 1 기판의 일면 및 제 2 기판의 일면 사이에 구비되되,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를 지지하기 위한 외곽 프레임, 및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외곽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되, 외곽 프레임을 매개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를 진공 봉착하기 위한 프릿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 및 그 제조 방법{Color Tunable Field Emission Lamp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의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스페이서가 없는 바-형태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계 방출 램프(field emission lamp)는 일반적으로 평면광으로서,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유리 기판들이 진공 봉착되어 내부에서 전계 방출에 의한 발광이 일어나게 된다. 외부 기판에 대해 진공 봉착된 전계 방출 램프의 파손을 막기 위해 일반적으로 스페이서(spacer)가 두 개의 유리 기판들 사이에 반복적으로 다수로 설치된다. 이러한 스페이서의 존재는 전계 방출 램프의 구조 및 제조 방법의 복잡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전계 방출 램프를 제조하기 위한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
또한, 3극 구조를 갖는 전계 방출 램프의 경우에는 게이트(gate) 전극의 형성 및 구동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절연층을 캐소드(cathode) 전극 상에 형성하여 게이트 홀(hole) 및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거나, 또는 금속 메쉬(mesh)를 스페이서 등으로 캐소드 전극과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이격시켜 접합하는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공정이 복잡해 제조 단가를 높이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스페이서가 없는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스페이서가 없는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를 제공한다. 이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는 제 1 기판의 일면 상에 구비되되, 서로 이격된 적어도 3개의 띠 형태의 캐소드 전극들, 캐소드 전극들 상에 각각 구비되되, 복수의 전계 발광 에미터들로 구성되는 전계 발광 에미터 패턴들, 전계 발광 에미터 패턴들을 덮도록 구비되되, 전계 발광 에미터들에 각각 대응되는 게이트 홀들을 갖는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 전계 발광 에미터 패턴들과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되어 캐소드 전극들에 게이트 전극을 접합하되, 게이트 홀들에 각각 대응되는 홀들을 갖는 절연층, 제 2 기판의 일면 상에 구비되되, 제 2 기판의 일면의 가장자리 부근을 둘러싸는 닫힌 도형 형태의 애노드 전극, 애노드 전극의 내측의 제 2 기판의 일면 상에 구비되되, 적어도 3개의 캐소드 전극들에 각각 대응되는 적색 형광막, 녹색 형광막 및 청색 형광막을 포함하는 형광막, 형광막 상에 제공된 반사막, 서로 대향하는 제 1 기판의 일면 및 제 2 기판의 일면 사이에 구비되되,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를 지지하기 위한 외곽 프레임, 및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외곽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되, 외곽 프레임을 매개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를 진공 봉착하기 위한 프릿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계 방출 에미터는 탄소 나노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절연층은 프릿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막의 적어도 일부는 애노드 전극과 중첩될 수 있다. 반사막은 금속막일 수 있다. 금속막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은 투명 전극일 수 있다. 투명 전극은 인듐 주선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외곽 프레임은 게이트 전극의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들 상에 각각 구비된 전계 발광 에미터 패턴들에는 서로 다른 전계 방출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제 1 기판의 일면 상에 서로 이격된 적어도 3개의 띠 형태의 캐소드 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소드 전극들 상에 각각 복수의 전계 발광 에미터들로 구성되는 전계 발광 에미터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 전계 발광 에미터들에 각각 대응되는 게이트 홀들을 갖는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을 준비하는 단계, 게이트 전극의 일면 상에 게이트 홀들에 각각 대응되는 홀들을 갖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절연층이 형성된 게이트 전극의 일면이 전계 발광 에미터 패턴들을 덮도록 접착하는 단계, 제 2 기판의 일면 상에 제 2 기판의 일면의 가장자리 부근을 둘러싸는 닫힌 도형 형태의 애노드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애노드 전극의 내측의 제 2 기판의 일면 상에 적어도 3개의 캐소드 전극들에 각각 대응되는 적색 형광막, 녹색 형광막 및 청색 형광막을 포함하는 형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형광막 패턴 상에 반사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 1 기판의 일면 및 제 2 기판의 일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프릿층을 이용하여 외곽 프레임에 진공 봉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계 방출 에미터는 탄소 나노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절연층은 프릿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막의 적어도 일부는 애노드 전극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사막은 금속막일 수 있다. 금속막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은 투명 전극일 수 있다. 투명 전극은 인듐 주선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외곽 프레임은 게이트 전극의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는 적어도 3개의 띠 형태의 캐소드 전극들이 구비됨으로써, 각각의 캐소드 전극의 전계 방출 에미터로부터 방출되는 전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의로 색을 변경할 수 있는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는 띠 형태의 캐소드 전극 및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이 구비됨으로써, 스페이서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페이서가 없는 바-형태의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Ⅰ-Ⅰ'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의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을 제 1 기판에 접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순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의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을 제 1 기판에 접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의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더하여, 본 명세서에서, 어떤 막이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막이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기판(10)에 적어도 3개의 띠 형태의 캐소드 전극들(20a, 20b, 20c)을 포함하는 캐소드 전극 패턴(20)이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 패턴(20)의 상부에는 전계 방출을 일으킬 수 있는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 CNT)와 같은 전계 방출 에미터(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캐소드 전극들(20a, 20b, 20c)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전계 방출 에미터(30)는 캐소드 전극들(20a, 20b, 20c) 상에 각각 구비되는 전계 방출 에미터 패턴들(30a, 30b, 30c)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계 방출 에미터 패턴들(30a, 30b, 30c)은 게이트 홀(41)에 1 대 1로 대응되도록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들(20a, 20b, 20c) 및 전계 방출 에미터 패턴들(30a, 30b, 30c)은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홀(41)은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에 전계 방출 에미터 패턴들(30a, 30b, 30c)과 대응되도록 관통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릿(frit)과 같은 절연층(42)이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과 제 1 기판(10) 사이에 형성되어 절연 및 접착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절연층(42)은 상황에 따라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 및 제 1 기판(10) 중에서 어느 한쪽에만 접착되고, 다른 한쪽에는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기판(100)에는 애노드 전극(9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기판(100)의 제 1 기판(10)을 향한 면에 형광막들(81, 82, 83) 및 반사막(70)이 형성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90)은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제 2 기판(100)의 가장자리에만 형성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90)은 일반적으로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반사막(70)과 전기적인 접촉을 이루어 전계 방출 에미터 패턴들(30a, 30b, 30c)에서 방출되는 전자가 빠져나갈 수 있는 전기적인 경로를 이룰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 ITO)과 같은 투명 전극이 애노드 전극(90)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형광막들(81, 82, 83)은 통상적으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3가지 색의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기판(10)에 형성된 전계 방출 에미터 패턴들(30a, 30b, 30c)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서로 분리된 3개의 전계 방출 에미터 패턴들(30a, 30b, 30c)에서 나온 각각의 전자에 의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개의 형광막들(81, 82, 83)의 형광체가 서로 다르게 발광하므로, 임의의 색이 발광되는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가 구성될 수 있다.
준비된 제 1 및 제 2 기판들(10, 100)은 유리인 외곽 프레임(50)과 함께 프릿층(60)을 이용하여 진공 봉착되는데, 일반적으로 전계 방출 램프는 평면 램프이고, 그리고 진공 봉착된 장치이므로, 대기압에 의한 파손을 막기 위해 유리인 기판이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스페이서를 반복적으로 설치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는 그 형태를 좁고 길게 형성하여, 스페이서 없이 제 1 및 제 2 기판(10, 100)과 외곽 프레임(50)만으로도 대기압을 견딜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3은 도 2의 Ⅰ-Ⅰ'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의 폭(W)은 제 1 및 제 2 기판(10, 100)의 유리 두께(tglass)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기판(10, 100)의 유리 두께(tglass)가 두꺼울수록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의 폭(W)은 넓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의 폭(W)은 외곽 프레임(50)의 안쪽 폭을 의미한다. 반면에,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의 길이(L)는 제작 공정상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기판(10, 100)의 유리 두께(tglass)가 1.8mm인 경우,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의 폭(W)은 2 ~ 3cm 로 형성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90)과 게이트 전극(40)에 인가되는 전압은 직류로 일정한 전압으로 인가된 상태에서, 각각의 캐소드 전극들(20a, 20b, 20c)에 흐르는 전계 방출 전류를 전계 방출 제어부(Field Emission Current Controller)에서 제어하여, 적색 형광막(81), 녹색 형광막(82) 및 청색 형광막(83)에 대응되는 전계 방출 에미터 패턴들(30a, 30b, 30c)에서 발광하는 전자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의 색이 임의로 가변할 수 있다.
캐소드 전극들(20a, 20b, 20c)은 각각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전계 방출 에미터 패턴들(30a, 30b, 30c)에서 방출되는 전자들의 양은 각각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빔 충돌에 의해 적색, 녹색 및 청색 형광막들(81, 82, 83)에서 방출되는 빛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의 색 가변이 가능할 수 있다. 각각의 전계 방출 에미터 패턴들(30a, 30b, 30c)에 대응되는 게이트 홀(41)이 형성된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은 프릿 절연층(42)에 의해 제 1 기판(10)과 접착될 수 있다. 이때,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곽 프레임(50)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연장되어 제 2 기판(100)을 향하는 제 1 기판(10)의 일면 상에 비전도성 물질이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제 1 기판(10)의 일면에서 전하가 축적되어 발생하는 아크(arc) 등과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의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을 제 1 기판에 접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순서도이고,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의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을 제 1 기판에 접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먼저 제 1 기판(10)과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을 접착하는데 사용될 프릿 페이스트를 준비하고,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의 하부에 프릿 페이스트(42)를 도포한다. 프릿 페이스트(42)는 프릿 파우더와 유기 바인더의 적절한 혼합물일 수 있다. 프릿 페이스트(42)의 도포는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포되는 프릿 페이스트(42)의 두께는 스크린 프린팅 회수로 제어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린팅 공정 사이에 건조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프린팅할 때,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에 형성된 게이트 홀들(41)로 인해 일반적으로 기판을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진공 척의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이때에는 진공 척에 전자석의 기능을 부가하여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을 고정하거나, 진공 척과 제 1 기판(10) 사이에 고무 자석판과 같은 자성 물질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은 자석에 반응하는 자성체 금속일 수 있다.
프릿(42)이 도포된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은 미리 준비된 제 1 기판(10)의 전계 방출 에미터(30)와 게이트 홀(41)이 일치하도록 정렬한다. 다만 프릿(40)의 용융 온도나 프릿 페이스트에 포함된 유기 바인더의 소성 온도보다 전계 방출 에미터(30)가 열화되는 온도가 낮을 때에는 제 1 기판(10)에 정렬하기 전에 전소성을 실시한다. 이때, 소성은 유기 바인더가 모두 소성되는 온도까지 올려야 한다.
제 1 기판(10)과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이 정렬되면 제 1 기판(10)과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을 고정한다. 고정은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 쪽에 부가적인 유리 기판을 덮고, 가장자리를 집게로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제 1 기판(10) 쪽에서 자석을 사용하여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을 제 1 기판(10)에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자석은 높은 소성 온도에서도 자성을 잃지 않도록 알리코(Alnico) 자석과 같은 특수 영구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기판(10)과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이 고정되면 프릿(42)이 용융되어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과 제 1 기판(10)이 접합되도록 가열을 실시한다. 단, 전계 방출 에미터(30)의 열화 온도가 프릿(40)의 용융 온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진공 분위기에서 가열을 실시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대기 중에서 가열을 실시할 수 있다. 프릿(42)이 용융되어 제 1 기판(10)과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이 접합되면 가열을 멈추고 냉각을 실시한다.
이때, 사용되는 제 1 기판(10)과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은 프릿(42)의 용융 온도 범위 내에서 열팽창 계수가 유사하여야 접합이 잘 이루어진다. 또한, 프릿(42)은 한번 융융 후 가열했을 때 재용융이 가능하여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종류를 사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의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계 방출 램프에서 완벽한 3극 구동이 가능하면서 높은 전계를 인가하는 애노드 전극(도 1의 90 참조)으로부터 전계 방출 에미터(도 1의 30 참조)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의 두께(T)가 게이트 홀(41)의 직경(D)의 1/2배 보다 같거나 클 필요가 있다. 반면에, 프릿인 절연층(42)의 두께(t)는 게이트 전극(40)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캐소드 전극(도 1의 20a, 20b, 20c 참조)과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40) 사이에 절연이 파괴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제 1 기판
20 : 캐소드 전극 패턴
20a, 20b, 20c : 캐소드 전극
30 : 전계 방출 에미터
30a, 30b, 30c : 전계 방출 에미터 패턴
40 : 게이트 전극
41 : 게이트 홀
42 : 절연층
50 : 외곽 프레임
60 : 프릿층
70 : 반사막
81, 82, 83 : 형광막
90 : 애노드 전극
100 : 제 2 기판
D : 게이트 홀의 직경
L : 전계 방출 램프의 길이
t : 절연층의 두께
tglass : 기판의 두께
T : 게이트 전극의 두께
W : 전계 방출 램프의 폭

Claims (1)

  1. 제 1 기판의 일면 상에 구비되되, 서로 이격된 적어도 3개의 띠 형태의 캐소드 전극들;
    상기 캐소드 전극들 상에 각각 구비되되, 복수의 전계 발광 에미터들로 구성되는 전계 발광 에미터 패턴들;
    상기 전계 발광 에미터 패턴들을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전계 발광 에미터들에 각각 대응되는 게이트 홀들을 갖는 메쉬 형태의 게이트 전극;
    상기 전계 발광 에미터 패턴들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캐소드 전극들에 상기 게이트 전극을 접합하되, 상기 게이트 홀들에 각각 대응되는 홀들을 갖는 절연층;
    제 2 기판의 일면 상에 구비되되,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일면의 가장자리 부근을 둘러싸는 닫힌 도형 형태의 애노드 전극;
    상기 애노드 전극의 내측의 상기 제 2 기판의 일면 상에 구비되되, 상기 적어도 3개의 캐소드 전극들에 각각 대응되는 적색 형광막, 녹색 형광막 및 청색 형광막을 포함하는 형광막 패턴;
    상기 형광막 패턴 상에 제공된 반사막;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일면 및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일면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를 지지하기 위한 외곽 프레임; 및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외곽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외곽 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를 진공 봉착하기 위한 프릿층을 포함하는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
KR1020100125974A 2010-12-10 2010-12-10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64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974A KR20120064784A (ko) 2010-12-10 2010-12-10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974A KR20120064784A (ko) 2010-12-10 2010-12-10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784A true KR20120064784A (ko) 2012-06-20

Family

ID=4668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974A KR20120064784A (ko) 2010-12-10 2010-12-10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47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623B1 (ko) 전계 방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34542B1 (ko) 전계방출형 백라이트 유닛 및 그 구동 방법과 하부 패널의제조 방법
JP4137624B2 (ja) 表示装置
KR20120064784A (ko) 색가변 전계 방출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84063A (ko) 스페이서와 유리 기판 사이의 접합 물질
EP2051284B1 (en) Light-emitting apparatus
KR100756805B1 (ko) 화상표시장치
EP143775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70205709A1 (en) Image display device
EP1688984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733315B1 (ko) 전계방출표시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100879472B1 (ko) 전자 방출 소자, 이를 구비한 전자 방출형 백라이트 유닛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31169A (ko) 전자 방출 소자, 이를 구비한 전자 방출형 백라이트 유닛및 그 제조 방법
JP2007080563A (ja) 冷陰極表示装置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0263143B1 (ko) Fed의 진공 패키징용 프릿 유리 소결 방법
JP3658400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0251716A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0903611B1 (ko) 전계 방출 표시장치
KR100524298B1 (ko) 전계방출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9081012A (ja) 電界放出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10397A (ko) 전자방출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010091533A (ko) 고 종횡비 스페이서가 채용된 고전압 전계 방출 표시 장치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3083A (ko) 전계방출표시장치
KR20020040259A (ko) 전계방출 표시장치
KR20060060471A (ko) 화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