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288A -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288A
KR20120064288A KR1020100125455A KR20100125455A KR20120064288A KR 20120064288 A KR20120064288 A KR 20120064288A KR 1020100125455 A KR1020100125455 A KR 1020100125455A KR 20100125455 A KR20100125455 A KR 20100125455A KR 20120064288 A KR20120064288 A KR 20120064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wer
carrier
pair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식
마성호
김경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00125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4288A/ko
Publication of KR20120064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18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18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 B61D3/187Details, e.g. bridges for floor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3/00Types of bogies
    • B61F3/16Types of bogies with a separate axle for each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12Rollers or devices for shifting or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을 구동하는 동력대차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동력대차를 이송하며 정비할 수 있는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는 철도차량의 동력대차를 안착시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송하며 정비하는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로서,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도록 한 쌍의 바퀴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바퀴가 설치되는 각 부분에 상기 바퀴가 상부에서 보여지도록 개방된 개방공이 형성되며, 중간 부분에 상기 동력대차의 제동명령스토퍼 취부대가 안착되는 취부대 안착홈이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다른 하나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중간 부분을 서로 연결하며, 동력대차의 센터피봇이 안착되는 피봇 안착홈이 중앙에 형성되는 연결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a carrier moving a power bogie}
본 발명은 철도차량을 구동하는 동력대차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동력대차를 이송하며 정비할 수 있는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복수의 철도차량이 연결된 상태로 레일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이러한 철도차량은 레일을 따라 주행하도록 바퀴가 설치되는 대차와 대차의 상부에 위치되는 차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대차는 상부에 안착되는 차체에 따라 운전실이 안착되는 경우에는 동력 대차, 승객을 수송하는 객차가 안착되는 경우에는 객차 대차, 및 승객을 수송하는 객차가 안착되되 구동하는 모터가 설치된 경우에는 동력객차 대차로 일컬어진다.
한편, 철도차량은 복수의 철도차량이 연결된 형태로 주행하기 때문에 한번 사고가 발생되면 경미한 사고가 아닌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철도차량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철도차량의 운영에 있어서 철도차량은 정비는 없어서는 안 될 요소이다.
철도차량의 정비의 방법으로는 수시로 정비를 수행하는 수시정비와 일정거리(대략 350만km)를 주행 후 정비를 수행하는 분해정비가 있다.
분해정비는 철도차량의 구동부인 대차를 분해하여 수행하는 정비로서, 대차를 분해 시에는 기중기로 대차를 들어올려 각 정비가 수행되는 장소로 대차를 이동시키는 형태로 정비가 수행된다.
하지만, 종래의 분해정비를 수행할 때에는 대차를 기중기로 들어올려 각 부분이 분해될 분해정비의 장소로 대차를 이동시켜 분해정비를 수행하기 때문에 분해정비의 소요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중기에 매달려 이동하는 대차에 작업자가 충돌하거나 이동하는 대차가 낙하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력대차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해 정비의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분해 정비 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는 철도차량의 동력대차를 안착시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송하며 정비하는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로서,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도록 한 쌍의 바퀴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바퀴가 설치되는 각 부분에 상기 바퀴가 상부에서 보여지도록 개방된 개방공이 형성되며, 중간 부분에 상기 동력대차의 제동명령스토퍼 취부대가 안착되는 취부대 안착홈이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다른 하나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중간 부분을 서로 연결하며, 동력대차의 센터피봇이 안착되는 피봇 안착홈이 중앙에 형성되는 연결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에는 탄성매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연결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반사판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퀴가 설치된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에 동력대차를 안착시켜 이동시킴으로써, 분해 정비 시 동력대차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단시간 내에 분해 정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동력대차를 기중기로 들어 옮길 필요가 없고, 반사판이 설치되어 동력대차의 이송 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력대차의 상면에 탄성매트가 설치되어 동력대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에 안착되는 동력대차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에 안착되는 동력대차의 프레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에 안착되는 동력대차의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에 동력대차가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에 동력대차가 상하가 뒤집힌 상태로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동력대차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개략적으로 구성을 설명하며, 본 발명과 관련된 특징된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에 안착되는 동력대차(200)는 철도차량의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부에 철도차량의 차체가 안착되고, 복수 개로 연결된 철도차량 중 전방 및 후방에 위치되는 철도차량의 차체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동력대차(200)는 바퀴(215), 구동부(210) 및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퀴(215)는 철도차량이 레일(300)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동력대차(200)의 좌, 우 양측에 한 쌍의 바퀴(215)가 각각 일렬로 배열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좌,우 양측에 위치되는 바퀴(215)는 하나의 차축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210)는 철도차량이 레일(300)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바퀴(215)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전기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 동력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모터의 동력을 차축으로 전달하는 차축기어감속기, 차축기어감속기에 과도한 토크가 발생될 때 다른 구동기구들을 보호하기 위해 제동배관에 흐르는 공기를 제동배관에서 배출시켜 비상제동을 수행하는 제동명령스토퍼(270) 등 바퀴(215)의 구동 및 제동에 관련된 모든 기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바퀴(215)는 구동부(210)는 일체로 형성되어 구동부(210)에 바퀴(215)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대차(200)의 프레임(220)은 동력대차(200)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의 지지대(230)가 설치되고, 한 쌍의 지지대(230)는 가로대(238)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지지대(230)는 한 쌍의 레일(300)과 각각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각 지지대(230)의 양단은 상향된 절곡부(231)와 절곡부(231)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수평부(23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230)를 구성하는 수평부(232)의 하부에 바퀴(215)가 위치되며, 바퀴(215)와 수평부(232)의 사이에는 댐퍼(damper) 또는 스프링과 같은 완충기(250)가 설치되어 동력대차(200)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230)의 상부 중앙 부분에는 충격흡수장치(260)가 설치되어 프레임(220)의 상부에 안착되는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동력대차(200)는 분해정비 시에 프레임(220)과 구동부(210)가 체결되는 부분의 체결을 해제하고, 기중기로 프레임(220)을 상부로 들어올리면 구동부(210)와 바퀴(215)만 레일(300)에 남고 프레임(220)은 상부로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때, 프레임(220)에 부착된 구동부(210)의 몇몇 부품 예컨대,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제동답면실린더(240) 등은 프레임(220)에 결합된 상태로 분리된다.
여기서, 제동답면실린더(240)는 바퀴(215)를 제동하도록 바퀴(215)와 접촉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는 실린더로서, 유압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를 바퀴에 밀착시켜 제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동답면실린더(240)는 한 쌍의 프레임(220)의 마주보는 내측 면의 부분 중 각 바퀴(215)가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즉, 제동답면실린더(240)는 각 바퀴(215)를 제동하도록 하나의 프레임(220)의 두 개씩 총 네 개가 설치된다.
한편, 제동답면실린더(240)는 프레임(220)을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제동답면실린더(240)의 하부가 프레임(220)의 하단 기준선(x) 더 구체적으로는 지지대(230)의 하단의 하부로 돌출되고, 제동답면실린더(240)의 상부가 프레임(220)의 상단 기준선(z) 더 구체적으로는 지지대(230)의 상단의 상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각 지지대(230)의 중앙 부분에는 충격흡수장치(260) 예컨대, 충격흡수 스프링이 설치되는 돌출부(235)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돌출부(235)는 프레임(220)의 상단 기준선(z)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지지대(230)의 하단 중앙 부분에는 동력대차(200)의 비상제동을 수행하는 제동명령스토퍼(270)가 설치되도록 한 쌍의 제동명령스토퍼 취부대(237)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하부 즉, 하단 기준선(x)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가로대(238)의 중간 부분에는 철도차량의 차체와 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센터피봇(239)이 가로대(238)의 중앙부분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제1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프레임(110)은 한 쌍의 레일(300) 중 어느 하나의 레일(300)을 주행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110)에는 레일(300)을 따라 주행하도록 한 쌍의 바퀴(111)가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110)은 사각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바퀴(111)가 하단으로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110)의 하단에는 바퀴(111)가 하부로 일부 돌출되는 돌출공(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공(112)은 한 쌍의 바퀴(111)가 각각 설치되도록 제1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이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퀴(111)는 제1 프레임(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110)의 바퀴(111)가 설치되는 상면에는 상부에서 내부에 설치된 바퀴(111)가 보이도록 관통되는 개방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개방공(113)에는 동력대차(200)의 프레임(220)이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의 상부에 안착되었을 때, 프레임(220)의 하단 기준선(x)의 하부로 돌출된 제동답면실린더(240)의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110)의 중앙 부분에는 프레임(220)의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의 상부에 안착되었을 때, 프레임(220)의 하단으로 돌출된 제동명령스토퍼 취부대(237)가 안착되는 취부대 안착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취부대 안착홈(115)은 한 쌍의 제동명령스토퍼 취부대(237)가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한 쌍이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1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개방공(113) 및 한 쌍의 취부대 안착홈(115)은 동력대차(200)의 프레임(220)이 전,후가 뒤집힌 상태로도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프레임(110)에는 손잡이(118)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손잡이(118)는 제1 프레임(110)이 이동하는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제1 프레임(1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110)에는 반사판(119)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반사판(119)은 빛을 반사시켜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를 할 수 있다. 즉, 반사판(119)는 빛을 반사시켜 작업자가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주의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경고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제2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 프레임(120)은 한 쌍의 레일(300) 중 제1 프레임(110)이 주행하는 다른 하나의 레일(300)을 주행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120)에는 레일(300)을 따라 주행하도록 한 쌍의 바퀴(121)가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프레임(120)은 제1 프레임(110)과 동일한 구성으로 한 쌍의 레일(300)의 중앙을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120)은 사각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120)의 내부에는 바퀴(121)가 하단으로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레임(120)의 하단에는 바퀴(121)가 일부 돌출되는 돌출공(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공(122)은 한 쌍의 바퀴(121)가 각각 설치되도록 제2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퀴(121)는 제2 프레임(120)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레임(120)의 바퀴(121)가 설치되는 상면에는 상부에서 내부에 설치된 바퀴(121)가 보이도록 관통되는 개방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개방공(123)은 제2 프레임(120)에 바퀴(121)가 설치되는 상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개방공(123)에는 동력대차(200)의 프레임(220)이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의 상부에 안착되었을 때, 프레임(220)의 하단 기준선(x)의 하부로 돌출된 제동답면실린더(240)의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레임(120)의 중앙부분에는 프레임(220)의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의 상부에 안착되었을 때, 프레임(220)의 하단 기준선(x)의 하부로 돌출된 제동명령스토퍼 취부대(237)가 안착되는 취부대 안착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취부대 안착홈(125)는 한 쌍의 제동명령스토퍼 취부대(237)가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한 쌍이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프레임(120)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개방공(123) 및 한 쌍의 취부대 안착홈(125)은 동력대차(200)의 프레임(220)이 전,후가 뒤집힌 상태로도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프레임(120)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프레임(120)에는 손잡이(128)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손잡이(128)는 제2 프레임(110)이 이동하는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제1 프레임(1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레임(110)에는 반사판(129)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반사판(129)은 빛을 반사시켜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를 할 수 있다. 즉, 반사판(129)는 빛을 반사시켜 작업자가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주의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경고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연결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연결대(130)는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의 중앙부분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연결대(1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대(130)의 중앙에는 동력대차(200)의 프레임(220)에 구비되는 센터피봇(239)이 안착되는 피봇 안착공(131)이 연결대(130)의 중앙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대(130)의 전방 및 후방에는 반사판(139)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반사판(139)은 빛을 반사시켜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를 할 수 있다. 즉, 반사판(139)는 빛을 반사시켜 작업자가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주의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경고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탄성매트(117,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탄성매트(117,127)는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의 상면에 구비되어 동력대차 이송용 프레임(220)과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가 접하는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탄성매트(117,127)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프레임(110)의 상면 및 제2 프레임(120)의 상면을 각각 덮도록 구비될 수 있고, 탄성매트(117,127)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각각에 구비된 바퀴(111,121)가 레일(30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 쌍의 레일(300)에 각각 안착된다.
그리고,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의 각각에는 손잡이(118,128)가 구비되고,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은 연결대(130)로 서로 연결되어 제1 프레임(110) 또는 제2 프레임(120)에 구비된 손잡이(118,128)를 잡고 이동시키면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이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프레임(110)의 상면 및 제2 프레임(120)의 상면에는 탄성매트(117,127)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의 각각의 양단에는 상부에서 바퀴(111,121)가 보여지도록 개방된 개방공(113,123)이 형성되고, 각각의 중앙부분에는 취부대 안착홈(115,125)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을 연결하는 연결대(130)의 중앙에는 피봇 안착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동력대차(200)의 분해정비 시 먼저 동력대차(200)의 프레임(220)과 구동부(210)를 분리하고, 동력대차(200)의 프레임(220)을 기중기로 들어올려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에 안착시킨다.
이때, 동력대차(200)의 프레임(220)에 결합된 제동답면실린더(240)의 하부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형성된 개방공(113,123)에 삽입되고, 동력대차(200)의 프레임(220) 하단에 형성된 제동명령스토퍼 취부대(237)는 취부대 안착홈(115,125)에 삽입되도록 안착된다(도 6 참조).
그리고, 프레임(220)의 가로대(238)에 구비된 센터피봇(239)의 하단 부분은 연결대(130)에 형성된 피봇 안착공(131)에 안착된다.
이렇게 동력대차(200)의 프레임(220)이 안착된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사용자가 제1 프레임(110) 또는 제2 프레임(120)에 구비된 손잡이(118,128)를 파지한 상태로 레일(300)을 따라 이동시켜, 동력대차(200) 프레임(220)의 분해 정비를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대차(200)의 프레임(220)이 상하로 뒤집어진 상태로 분해 정비를 수행할 경우에는 기중기로 동력대차(200)의 프레임(220)을 상부로 들어올려 프레임(220)을 상하로 뒤집고, 뒤집어진 상태로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이때, 프레임(220)의 지지대(230)에 형성된 돌출부(235)가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의 상면 더 구체적으로는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의 상면에 지지되며, 프레임(220)에 결합된 제동답면실린더(240)의 상부였던 부분이 개방공(113,123)에 삽입되고, 가로대(238)의 중앙에 위치되는 센터피봇(239)은 연결대(130)의 중앙에 형성된 피봇 안착공(131)에 삽입된 상태로 안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동력대차(2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분해 정비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대차(200)의 분해 정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동력대차(200)를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의 상면에 동력대차(200)의 파손 없이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으며, 동력대차(200)를 기중기나 지게차와 같은 운송수단으로 옮길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분해 정비 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 110: 제1 프레임
111,121: 바퀴 112,122: 돌출공
113,123: 개방공 115,125: 취부대 안착홈
117,127: 탄성매트 119,129,139,: 반사판
120: 제2 프레임 130: 연결대
131: 피봇 안착공
200: 동력대차 210: 구동부
215: 바퀴 220: 프레임
230: 지지대 231: 절곡부
232: 수평부 235: 돌출부
237: 제동명령스토퍼 취부대 238: 가로대
239: 센터피봇 240: 제동답면실린더
250: 완충기 260: 충격흡수장치
270: 제동명령스토퍼 300: 레일

Claims (4)

  1. 철도차량의 동력대차를 안착시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송하며 정비하는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로서,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도록 한 쌍의 바퀴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바퀴가 설치되는 각 부분에 상기 바퀴가 상부에서 보여지도록 개방된 개방공이 형성되며, 중간 부분에 상기 동력대차의 제동명령스토퍼 취부대가 안착되는 취부대 안착홈이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다른 하나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중간 부분을 서로 연결하며, 동력대차의 센터피봇이 안착되는 피봇 안착홈이 중앙에 형성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에는 탄성매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연결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반사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
KR1020100125455A 2010-12-09 2010-12-09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 KR201200642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455A KR20120064288A (ko) 2010-12-09 2010-12-09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455A KR20120064288A (ko) 2010-12-09 2010-12-09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288A true KR20120064288A (ko) 2012-06-19

Family

ID=4668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455A KR20120064288A (ko) 2010-12-09 2010-12-09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428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932A (ko) * 2014-12-17 2017-07-31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철도차량용 대차
CN110816564A (zh) * 2019-11-12 2020-02-21 广州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用于转运转向架构架的工艺转向架
CN111994115A (zh) * 2020-08-14 2020-11-27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转向架
KR102274845B1 (ko) * 2020-09-17 2021-07-12 코벡 주식회사 구조물을 이송하기 위한 저형고 트롤리 및 이를 이용한 트롤리 견인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932A (ko) * 2014-12-17 2017-07-31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철도차량용 대차
KR101867446B1 (ko) * 2014-12-17 2018-07-19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철도차량용 대차
US10035524B2 (en) 2014-12-17 2018-07-31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Bogie for railcar
CN110816564A (zh) * 2019-11-12 2020-02-21 广州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用于转运转向架构架的工艺转向架
CN111994115A (zh) * 2020-08-14 2020-11-27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转向架
KR102274845B1 (ko) * 2020-09-17 2021-07-12 코벡 주식회사 구조물을 이송하기 위한 저형고 트롤리 및 이를 이용한 트롤리 견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978684U (zh) 一种两轴跨座式单轨列车动力转向架
JP5945137B2 (ja) モノレール車両
KR101164932B1 (ko) 3면 구속구조를 갖는 모노레일 구동대차
CN110654409B (zh) 转向架及具有其的有轨电车
KR20120064288A (ko) 동력대차 이송용 캐리어
CN112519827B (zh) 转向架横梁、转向架及轨道车辆
KR101164933B1 (ko) 보조륜이 구비된 모노레일 구동대차
CN202449002U (zh) 铁路货车轴箱悬挂摆动式转向架
CN104527717A (zh) 一种可整体提吊的轨道车辆
WO2014076788A1 (ja) 軌条車両
KR20120064289A (ko) 대차 이송용 캐리어
JP4405904B2 (ja) 車両の衝突転倒防止装置
CN201334026Y (zh) 无枕梁车体与转向架的连接结构
CN209904765U (zh) 电驱动工程检测车转向架构架
KR100914760B1 (ko) 완충수단이 구비된 다용도 견인차
CN110654410A (zh) 转向架及具有其的跨坐式单轨车辆
CN108891438B (zh) 一种构架以及工艺转向架
KR200456181Y1 (ko) 고속철도차량 차축 베어링 고착시 이동용 조립식 보조트럭
JP2012126340A (ja) 車両、及びその走行装置
CN112793615B (zh) 一种短尺寸紧凑型车钩缓冲装置
CN213085348U (zh) 一种新型举升机
CN204279483U (zh) 一种可整体提吊的轨道车辆
CN112572476A (zh) 一种跨座式单轨车辆及换轮系统
CN209904764U (zh) 转向架及地铁用电驱动工程检测车
KR200473235Y1 (ko) 철도차량 살사장치의 서포트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