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201A - 음향 크기 조절 기능을 가지는 타악기와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음향 크기 조절 기능을 가지는 타악기와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201A
KR20120063201A KR1020100124278A KR20100124278A KR20120063201A KR 20120063201 A KR20120063201 A KR 20120063201A KR 1020100124278 A KR1020100124278 A KR 1020100124278A KR 20100124278 A KR20100124278 A KR 20100124278A KR 20120063201 A KR20120063201 A KR 20120063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ound
percussion instrument
damping layer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철
김선일
박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케이클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케이클래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케이클래식
Priority to KR1020100124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3201A/ko
Publication of KR20120063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2Drums; Tambourines with drumhea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1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14Mutes or damp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1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16Tuning devices; Hoops; Lu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체로 이루어진 감쇠층을 드럼 패드와 접촉시켜 드럼의 음향을 조절하는 기능을 드럼 안에 내재시킴으로써 기존 약음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우선 높이 조절 레버(13)를 회전시키면 이는 나사의 이동원리에 따라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고, 이는 높이 조절 구조 지지대(8)의 한 쪽 팔을 드럼 내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힌지(7)에 의해 구조 지지대(8)는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이 회전운동은 감쇠층 지지대(11)를 드럼 패드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런 기계적 원리로 결국 레버의 회전 운동은 감쇠층을 드럼 패드와 접촉시키게 되고, 이 상태에서 드럼 스틱의 진동에 의해 진동된 패드는 감쇠층과 연결되어 바로 진동이 감쇠되어 드럼의 음향을 줄이게 된다.

Description

음향 크기 조절 기능을 가지는 타악기와 그 제조 방법 {A percussion instrument with function to control the volume level of soun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타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향 크기 조절 기능이 내재된 타악기, 타악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드럼은 타악기의 전형적인 예이다. 드럼은 모두 드럼 연주자에 의해 두들겨지는 각각의 드럼 헤드를 갖지만, 비트는 연주자를 통해 상이하게 생성된다. 드럼 헤드는 드럼에서 타악 패드로서 작용하며, 용어 '드럼 패드' 및 '스킨'은 드럼 헤드와 동의어이다. 드럼 음향은 드럼 헤드의 진동을 통해 생성된다. 드럼 헤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 수지의 시트로 만들어지데, 이 시트가 중공 공간 상에서 인장되어 진동하면서 드럼의 음향을 크게 한다.
실제로, 어쿠스틱 드럼 음향은 대부분의 젊은이 들이 연습 장소를 고민할 정도로 매우 크다. 그러한 이유 때문에, 이웃들은 큰 드럼 음향에 대해 불만을 갖게 된다. 이에 소리를 조절할 수 있는 약음기가 어쿠스틱 드럼에 요구된다.
현재, 약음 커버(mute cover)는 어쿠스틱 드럼의 약음기의 통상적인 예이다. 약음 커버는 드럼 헤드 상에 적층되며, 연습자들은 스틱으로 약음 커버를 두드린다. 약음 커버는 비트의 충격을 흡수하고, 드럼 헤드가 진동하는 것을 막는다. 이러한 이유로, 연습자들은 큰 소리를 줄인 상태에서 스틱 작업을 연습할 수 있다. 하지만, 약음 커버는 충분한 약음 특성을 보이지 못하며, 드럼 음향 크기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또 다른 방법은 감쇠층이나 메쉬(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 공개번호 10-2004-0069938)가 붙착된 드럼헤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는 약음 커버와 다르게 드럼의 헤드 안에 드럼과 연결되어 있어 약음 기능을 사용할 때와 사용하지 않을 때에 따라 조립과 분해를 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타악기의 음향을 조절할 수 있는 약음 기능을 드럼 안에 내재시키고 이를 간단한 조작만으로 약음 기능의 사용여부와 음향 크기를 결정할 수 있는 드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타악기 패드의 진동을 조절하는 감쇠층, 이를 드럼 내부에 장착하는 지지 구조물, 그리고 감쇠층을 드럼 외부에서 위 또는 아래로 움직이게 하는 조절 장치의 결합을 통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타악기의 음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악기는 방음시설이 미흡한 주거지와 같은 공간에서 타악기의 음향을 조절할 수 있어 연주자 이외의 사람들에게 타악기 연주에 따른 소음 불편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약음기는 충분한 약음 기능이 안되거나 약음 기능의 사용 여부에 따라 분해와 조립이 요구되었으나 본 발명의 타악기는 약음 기능의 사용 여부와 음향 크기 조절을 드럼의 외부에 장착된 회전 레버로 간단히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약음기를 작동시킨 단면도
도3은 공간이 없는 감쇠층과 지지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4는 공간이 있는 감쇠층과 지지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5는 감쇠층 두께에서 경사 구배가 없는 감쇠층의 단면도
도6은 감쇠층 두께에서 경사 구배가 있는 감쇠층의 단면도
본 발명은 탄성체로 이루어진 감쇠층을 드럼 패드와 접촉시켜 드럼의 음향을 조절하는 기능을 드럼 안에 내재시킴으로써 기존 약음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드럼 내부에 도면 1과 같은 높이 조절 구조물을 장착시킨다. 여기서 감쇠층(11)과 감쇠층 지지대(12)의 형태는 도면 3과 같이 내부에 공간이 있는 형태이며, 이를 조절하는 레버(13)는 4곳에서 위치하여 회전운동으로 높이를 조절한다.
제 1 실시예 ( 약음기 작동)
드럼 내부에 있는 약음기의 작동 원리는 도면 2와 같다. 우선 높이 조절 레버(13)를 회전시키면 이는 나사의 이동원리에 따라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고, 이는 높이 조절 구조 지지대(8)의 한 쪽 팔을 드럼 내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힌지(7)에 의해 구조 지지대(8)는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이 회전운동은 감쇠층 지지대(11)를 드럼 패드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구조 지지대(8)의 회전운동에 의해 힌지(9)의 위치는 드럼 외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보정해 주기 위해 이송 지지대(10)가 사용되었다.
이런 기계적 원리로 결국 레버의 회전 운동은 감쇠층을 드럼 패드와 접촉시키게 되고, 이 상태에서 드럼 스틱의 진동에 의해 진동된 패드는 감쇠층과 연결되어 바로 진동이 감쇠되어 드럼의 음향을 줄이게 된다.
또한, 이 구조의 장점은 나사의 원리로 감쇠를 조절하기 때문에 정교한 접촉 조절이 가능하여 감쇠의 정도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다. 결국 이를 통해 드럼의 음향을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 약음기 해제)
드럼 내부에서 작동 중인 약음기의 기능을 해제하는 방법은 작동 방법과 같다. 높이 조절 레버(13)를 약음기 작동 때와 반대로 회전시키면 감쇠층 지지대(11)와 감쇠층(12)의 자중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여 드럼 패드와 분리된다.
본 발명은 약음기가 드럼 내부에 장착되어 있어 기존 약음기의 사용에 따른 조립과 분해에 따른 수고와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이동과 보관에 있어서도 큰 장점을 가진다.
1: 패드를 고정하는 금속 링(테두리)
2: 금속 링의 고정과 드럼 패드의 긴장상태를 조절하는 볼트(장력 조절기)
3: 드럼 본체와 장력 조절기(2)를 연결하는 러그
4: 드럼 패드
5: 드럼 본체(셸)
6: 높이 조절 구조 지지대(8)의 고정대
7: 높이 조절 구조 지지대(8)과 고정대(6)를 연결하는 힌지
8: 높이 조절 구조 지지대
9: 높이 조절 구조 지지대(8)와 감쇠층의 지지대(11)를 연결하는 이송 지지대(10)를 연결하는 힌지
10: 감쇠층의 지지대(11)와 연결되어 있는 이송 지지대
11: 감쇠층을 받치고 있는 지지대
12: 탄성체로 만들어진 감쇠층
13: 나사로 된 높이 조절용 회전 레버

Claims (5)

  1. 드럼 패드와 탄성체의 접촉으로 하는 약음기가 드럼 내부에 있고, 이 약음기가 드럼 외부의 회전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타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약음기의 작동이 회전 레버에 의해 조작되는 타악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레버의 회전으로 약음기의 강약이 조절되는 타악기
  4. 드럼 패드와 접촉하는 감쇠층과 이를 받치는 지지대의 형상에서 공간을 가지는 형태(도 4)의 감쇠층과 지지대를 가지는 타악기
  5. 드럼 패드와 접촉하는 감쇠층에 대해 두께 방향 경사 구배가 있는 감쇠층(도 6)를 가지는 타악기
KR1020100124278A 2010-12-07 2010-12-07 음향 크기 조절 기능을 가지는 타악기와 그 제조 방법 KR20120063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278A KR20120063201A (ko) 2010-12-07 2010-12-07 음향 크기 조절 기능을 가지는 타악기와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278A KR20120063201A (ko) 2010-12-07 2010-12-07 음향 크기 조절 기능을 가지는 타악기와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201A true KR20120063201A (ko) 2012-06-15

Family

ID=46683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278A KR20120063201A (ko) 2010-12-07 2010-12-07 음향 크기 조절 기능을 가지는 타악기와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32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0807A1 (ja) * 2018-03-20 2019-09-26 ヤマハ株式会社 弱音装置、弱音方法および振動検出装置
CN111210795A (zh) * 2020-01-10 2020-05-29 佳木斯大学 一种具有音长与音强调节功能的鼓
KR20220001803U (ko) * 2021-01-14 2022-07-21 이수진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0807A1 (ja) * 2018-03-20 2019-09-26 ヤマハ株式会社 弱音装置、弱音方法および振動検出装置
JPWO2019180807A1 (ja) * 2018-03-20 2020-10-22 ヤマハ株式会社 弱音装置、弱音方法および振動検出装置
CN111868819A (zh) * 2018-03-20 2020-10-30 雅马哈株式会社 弱音装置、弱音方法以及振动检测装置
US11244661B2 (en) * 2018-03-20 2022-02-08 Yamaha Corporation Sound damping device and vibration detection device
CN111868819B (zh) * 2018-03-20 2024-01-30 雅马哈株式会社 弱音装置、弱音方法以及振动检测装置
CN111210795A (zh) * 2020-01-10 2020-05-29 佳木斯大学 一种具有音长与音强调节功能的鼓
KR20220001803U (ko) * 2021-01-14 2022-07-21 이수진 드럼형 타악기의 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5970B2 (ja) 反発が向上されたドラムヘッドアセンブリ
US7960634B2 (en) Support system for percussion instruments
CN103210664A (zh) 使用多麦克风的非接触式铙钹拾音器
US10235978B2 (en) Dual volume percussion instrument system
JP2003295864A (ja) 電子打楽器
US9858905B2 (en) Mounting device for cymbal type percussion instrument
JP2015222413A (ja) ドラム用減衰調整装置
CN104517590A (zh) 鼓用消音器
JP2018523856A (ja) 弦楽器のためのパーカッション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20120063201A (ko) 음향 크기 조절 기능을 가지는 타악기와 그 제조 방법
US11810542B2 (en) Acoustic cymbal shield for musical performance
JP2019113787A (ja) シンバル用減音具
US11367423B2 (en) Snare muffler
US10217447B2 (en) Hand drum and methods of use
US8415548B2 (en) Device for damping vibrations in percussion sets
GB2528280A (en) Percussion instrument
JP2021503622A (ja) ギター
CN207818170U (zh) 多功能鼓
AU2004200436A1 (en) Damping element
JP2008186036A (ja) 打面装置
JP2005274727A (ja) 打楽器用パッド
CN107909987A (zh) 多功能鼓
JP4844903B2 (ja) ハイハットシンバル用クラッチ
US5944296A (en) Supporting foot for electroacoustic apparatus
JP3245785U (ja) シンバル音質改善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