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2831A - 저마찰 스커트를 가진 일체주조의 피스톤 - Google Patents

저마찰 스커트를 가진 일체주조의 피스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2831A
KR20120062831A KR1020127007662A KR20127007662A KR20120062831A KR 20120062831 A KR20120062831 A KR 20120062831A KR 1020127007662 A KR1020127007662 A KR 1020127007662A KR 20127007662 A KR20127007662 A KR 20127007662A KR 20120062831 A KR20120062831 A KR 20120062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in
skirt
recess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버트 쉔나이더
Original Assignee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20120062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02F3/0015Multi-part pistons
    • F02F3/003Multi-part pistons the parts being connected by casting, brazing, welding or cl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02F3/02Pistons  having means for accommodating or controlling heat expansion
    • F02F3/027Pistons  having means for accommodating or controlling heat expansion the skirt wall having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02F3/16Pistons  having cooling means
    • F02F3/20Pistons  having cooling means the means being a fluid flowing through or along piston
    • F02F3/22Pistons  having cooling means the means being a fluid flowing through or along piston the fluid be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005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obtained by assembling several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Abstract

내연기관용 피스톤은 현수된 한쌍의 핀 보스를 가진 상부 크라운 부분을 가지고 있고, 여기에서 피스톤는 중앙 핀 보어 축선을 따라 축선방향으로 정렬된 핀 보어를 가지고 있다. 한쌍의 측면으로 이격된 스커트 부분은 핀 보스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그리고 최하부 자유단에 현수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커트 부분은 핀 보어의 중앙 축선을 넘어 최하부 자유단으로부터 상향으로 뻗어 있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저마찰 스커트를 가진 일체주조의 피스톤{MONOBLOC PISTON WITH A LOW FRICTION SKIR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히는 일체주조(monobloc)의 피스톤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 그리고 특히 디젤기관이 피스톤과 단품으로서 형성된 고정 스커트를 가진 일체주조의 피스톤을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스커트는 전형적으로 실제로 직선의 바닥 에지로 아래쪽으로 대향한 핀 보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뻗어 있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스커트가 전체적으로 실린더 보어 내에서 피스톤을 유효하게 안내하지만, 이들은 고유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재료가 연속 사각형 벽으로서 구성되므로, 스커트는 피스톤의 전체적인 무게를 증가시킨다. 증가된 무게는 증가된 관성력을 부여하므로서 관련 부품의 유효 수명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한편, 엔진의 연료 경제를 감소시킨다. 더욱이, 스커트의 증가된 면적은 실린더 라이너에 대한 마찰을 야기하고 그러므로 더욱 유효 수명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엔진의 연료 경제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단점에 더해서, 연속적인 사각형 스커트를 가짐으로써 핀 보스의 유연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핀 보스가 피스톤의 행정 동안에 리스트 핀(wrist pin)과 함께 신축될 수 없기 때문에, 리스트 핀 조인트와 핀 보어에서 마찰이 증가한다. 더욱이, 스커트의 제작은 이들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공정이 풀 스커트 영역에서 벽 형상 및 두께의 정밀한 형성을 제공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하부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핀 보어 축선으로 뻗어 있는 오목부를 가진 스커트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커트 면적 및 무게를 줄이려는 시도가 있어왔지만, 이들 노력은 스커트 면적 및 무게에서 최대로 줄이는데 실패했고 그리고 상기한 마찰 문제는 여전히 스커트 벽과 실린더 보어 사이에서 그리고 또한 리스트 핀 조인트와 핀 보어 영역에서 상당히 남아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일체주조의 피스톤은 상기한 적어도 이들 문제로부터 야기된 단점을 극복 또는 크게 최소화하고 그러므로 엔진이 증가된 성능 레벨로 작동되게 하는 한편, 그들의 유효 수명을 증가시키는 외에, 그 연료 소비, 오일 소비 및 배기가스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한 면에 따라서 구성된 내연기관용 피스톤은 현수된 한쌍의 핀 보스를 가진 상부 크라운 부분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중앙 핀 보어 축선을 따라 축선방향으로 정렬된 핀 보어를 가지고 있다. 한쌍의 측면으로 이격된 스커트 부분은 핀 보스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고 그리고 최하부 자유단에 현가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커트 부분은 핀 보어의 중앙 축선을 넘어 최하부 자유단으로부터 상향으로 뻗은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서, 오목부는 핀 보어의 최상부 부분과 실질적으로 접하는 최하부 자유단으로부터 상향으로 뻗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서, 오목부는 전체적으로 U자형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서, 피스톤의 쓰러스트 사이드에서 스커트 부분은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피스톤의 안티-쓰러스트 사이드에서 스커트 부분은 오목부를 가지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서, 스커트 부분 양자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작된 피스톤은 피스톤의 완전한 사이클 상에서 개선된 오일 흐름을 나타내고, 피스톤의 사이클 상에서 동적 점성 마찰을 줄이고, 그 완전한 사이클을 통해서 피스톤의 안내를 개선하고, 실린더 라이너 캐비테이션을 감소시키고, 피스톤 점성 마찰 손실을 감소시키고, 그루브 내의 피스톤 링에서 그리고 피스톤의 링 그루브에서 카본 빌드-업을 감소시키고, 피스톤 보스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리스트 핀 조인트와 핀 보어에서 마찰을 감소시키고, 피스톤 링의 운동을 개선하고, 오일 소비 및 탑 랜드에 부착 형성된 카본을 줄여서, 카본 빌드-업에 의해서 전형적으로 야기된 보어 폴리싱을 감소시키고, 배기 가스를 감소시키고, 그리고 엔진의 수명 및 구동 성능을 전반적으로 개선한다. 이들 작용 효과의 합은 엔진 연료 소비를 감소시키고 그리고 단위 연료당 주행거리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면, 특징 그리고 장점은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 최상의 모드, 첨부된 청구범위 그리고 첨부된 도면의 상세한 아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라면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구성된 피스톤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선 2-2를 따라 전체적으로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 3-3을 따라 전체적으로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피스톤의 저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피스톤의 도 4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면을 더 상세히 참조하면, 도 1 내지 4는 예를 들면, 대형 디젤 엔진과 같은 내연기관의 실린더 보어(도시생략)에서 왕복 운동을 위해서 본 발명의 하나의 현존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구성된 피스톤(10)을 예시하고 있다. 피스톤(10)은 피스톤(10)이 실린더 보어에서 왕복운동하는 중앙 길이방향 축선(14)을 따라서 뻗어 있는, 주조 또는 단조, 또는 임의의 다른 제조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몸체(12)를 가지고 있다. 몸체(12)는 예시를 통해서 하부 크라운(18)에 결합된 상부 크라운(16)을 가진 것으로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크라운(18)은 한쌍의 핀 보스(20)를 가지고 있는데, 이에 따라 중앙 길이방향 축선(14)에 가로질러 뻗어 있는 핀 보어 축선(24)을 따라 정렬된 측면으로 이격된 핀 보어(22)를 제공한다. 핀 보스(20)는 스트러트 부분(28)을 통해서 측면으로 이격된 스커트 부분(26)에 결합된다. 스커트 부분(26)은 핀 보어 축선(24)을 가로질러 직경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그리고 실린더 보어를 통해서 왕복운동하면서 원하는 방향성으로 피스톤(10)을 유지하도록 실린더 보어와 협력하여 구성되는 볼록 외부 표면(30)을 가지고 있다. 왕복운동 동안에, 유체역학적인 오일 필름이 전개되고 그리고 스커트 부분(26)의 볼록 외부 표면(30)과 실린더 보어의 벽 사이에서 유지되어 그들 사이의 동력학적 마찰을 최소화한다. 엔진의 유효 수명을 최대로 하고 그 성능을 강화하기 위해서, 도 5에서 단지 하나의 스커트 부분(26)만이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스커트 부분, 그리고 양 스커트 부분(26)으로서, 한정적이지 않는 예시를 통해 도 1 내지 4에 도시된, 그리고 피스톤(10)의 쓰러스트 사이드에서 바람직하게 적어도 스커트 부분은 전체적으로 U자형으로 나타나고 그리고 스커트 부분(26)의 최하부 에지(34)로부터 위쪽으로 뻗어 있고 그리고 볼록 외부 표면(30)에 중앙에 형성된 오목부(32)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32)는 피스톤(10)의 전체적인 무게를 줄이고, 실린더 벽에 대해서 발생된 잠재적인 마찰을 줄이며, 사용중에 발생한 관성력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피스톤(10)의 제작 능력을 개선한다.
피스톤(10)의 상부 크라운(16)은 오목한 연소 보울(bowl)(38)을 가진 상부 표면(36)을 가진 것으로 나타내어서 실린더 보어와 원하는 가스 흐름을 제공한다. 외벽 또는 링 벨트(40)는 상부 표면(36)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데, 적어도 하나의 환형 링 그루브(42)가 피스톤 링(도시생략)의 느슨한 수용을 위해 링 벨트(40)에 형성되어 있다.
하부 크라운(18)은 단조 공정에서와 같이, 상부 크라운(16)으로부터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내었고 그리고 결합되는데, 상부 및 하부 크라운(16,18)은 예를 들면, 용접 조인트(44)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피스톤(10)은 예를 들면, 주조와 같이 달리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크라운 부분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이들은 용접 조인트와 다른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 및 마찰 감소를 최대화 하기 위해서, 오목부(32)는 제한적이지 않는 예시를 통해서 중앙 핀 보어 핀 보어 축선(24)을 넘어서 최하부 에지(34)로부터 위쪽으로 뻗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오목부(32)는 핀 보어(22)의 최상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접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아치형 상부 표면(46)에 위쪽으로 뻗어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32)의 높이는 핀 보어 축선(24)에 의해 전체적으로 이등분되고, 절두원추형 부분(48)은 핀 보어 축선(24) 아래에 있고 그리고 전체적으로 U자형 부분(50)은 핀 보어 축선(24) 위에 있다. 따라서, 오목부(32)의 가장 넓은 부분은 최하부 에지(34)에 인접하고 그리고 오목부(32)의 가장 좁은 부분은 아치형 상부 표면(46)에 인접한다. 오목부(32)는 예를 들면, 오목부(32)의 사이드가 아치형 상부 표면(46)에 라디우스(radius) 또는 필렛(filet)에 의해 혼합되고 그리고 전체적으로 서로 평행한 것과 같이, 도시된 것과 달리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오목부(32)의 높이는 의도된 적용에 따라 조정될 수 있고 그리고 핀 보어 축선(24) 위로 또는 아래로 뻗어 있을 수 있다.
오목부(32)가 최하부 에지(34)에 개방되어 스커트 부분(26)의 제작은 둘레방향으로 감싸여진 슬릿을 가진 스커트 상에서 상당히 간단하게 될 수 있다. 오목부(32)가 개방되어, 예를 들면, 드릴 및/또는 밀링과 같은 2차적인 작업이 필요치않고 그리고 이차적인 작업은 감소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더욱이, 오목부(32)가 스커트 부분(26)의 중앙 부분을 차지하므로, 단조와 같은 공정에서 필요한 재료의 양은 상당히 줄어든다. 더욱이, 오목부(32)가 제공되는 스커트 부분(26)은 오목부(32)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보다 핀 보스(20)와 함께 자유롭게 신축된다는 점에서, 확대된 오목부(32)는 핀 보스(20)에 더욱 향상된 신축성을 제공한다. 이것은 핀 보어(22)와 커넥팅 로드(도시생략)의 작은 끝 사이에서 리스트 핀 조인트가 피스톤(10)의 풀 스트로크 상에서 필요한 만큼 유연하게 하여 리스트 핀 조인트에서 마찰을 최소로 하고 그리고 리스트 핀과 핀 보스(20)사이에서 스커핑(scuffing)의 위험성을 최소로 한다. 더욱이, 오목부(32)는 실린더 보어 표면에 대해서 볼록 외부 표면(30)의 접촉면적을 최소로 해서 스커트 부분(26)과 실린더 보어 표면 사이에서 발생한 마찰의 양을 줄인다.
명백하게, 본 발명의 많은 수정 및 변경은 상기 교시에 비추어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것과 달리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Claims (6)

  1. 일체주조의 피스톤에 있어서,
    상부 크라운을 가진 피스톤 몸체;
    상기 상부 크라운으로부터 현수하고 그리고 핀 보어 축선을 따라 서로 정렬되는 핀 보어를 가진 한쌍의 핀 보스; 그리고
    상기 핀 보스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측면으로 이격된 한쌍의 스커트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커트 부분은 상기 상부 크라운으로부터 최하부 자유단까지 현수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커트 부분은 상기 핀 보어 축선을 넘어 상기 최하부 자유단으로부터 상향으로 뻗어 있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주조의 피스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핀 보어의 최상부의 부분과 실질적으로 접선관계로 최하부 자유단으로부터 상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주조의 피스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부분 양자는 상기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주조의 피스톤.
  4. 제 2 항에 있어서, 오목부는 전체적으로 U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주조의 피스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몸체는 단지 하나의 상기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주조의 피스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몸체는 쓰러스트 사이드 및 안티-쓰러스트 사이드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상기 쓰러스트 사이드에서 상기 스커트 부분은 상기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상기 안티-쓰러스트 사이드에서 상기 스커트 부분은 상기 오목부를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주조의 피스톤.
KR1020127007662A 2009-08-27 2010-08-27 저마찰 스커트를 가진 일체주조의 피스톤 KR201200628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747209P 2009-08-27 2009-08-27
US61/237,472 2009-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831A true KR20120062831A (ko) 2012-06-14

Family

ID=43622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662A KR20120062831A (ko) 2009-08-27 2010-08-27 저마찰 스커트를 가진 일체주조의 피스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09526B2 (ko)
EP (1) EP2470812A4 (ko)
JP (1) JP2013503300A (ko)
KR (1) KR20120062831A (ko)
CN (1) CN102575766B (ko)
BR (1) BR112012004120A8 (ko)
WO (1) WO20110315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13143A1 (de) * 2011-03-04 2012-09-06 Mahle International Gmbh Kolbe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11115639A1 (de) * 2011-09-28 2013-03-28 Mahle International Gmbh Kolbe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51239A (en) * 1918-05-23 1920-08-31 Ottmar G Stark Piston
US1408066A (en) * 1921-06-16 1922-02-28 Berry William Guy Internal-combustion-engine piston
US4158328A (en) * 1977-09-23 1979-06-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Piston with variable side clearance
DE3039382A1 (de) 1980-10-18 1982-04-22 Mahle Gmbh, 7000 Stuttgart Leichter tachkolben fuer verbrennungsmotoren
DE3273182D1 (en) * 1981-07-31 1986-10-16 Ae Plc Pist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E3338474A1 (de) * 1983-10-22 1985-05-09 Mahle Gmbh, 7000 Stuttgart Tauchkolben fuer verbrennungsmotoren
GB8432015D0 (en) * 1984-12-19 1985-01-30 Ae Plc Pistons
JPH067353B2 (ja) 1985-01-11 1994-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音声認識装置
JPS6367647U (ko) * 1986-10-22 1988-05-07
GB8724026D0 (en) * 1987-10-13 1987-11-18 T & N Technology Ltd Pistons
JPH03110159U (ko) * 1990-02-27 1991-11-12
GB9014046D0 (en) * 1990-06-23 1990-08-15 T & N Technology Ltd Pistons for engines or motors
JPH0476257A (ja) * 1990-07-17 1992-03-11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ピストン
JP2669122B2 (ja) 1990-07-31 1997-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トランスファプレスの異形素材2個取り整列搬送装置
JPH04244671A (ja) 1991-01-29 1992-09-01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ピストン
JPH0653743U (ja) * 1992-12-28 1994-07-22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内燃機関のピストン
JP2885133B2 (ja) * 1995-06-12 1999-04-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ピストン
DE19547157A1 (de) * 1995-12-16 1997-06-19 Mahle Gmbh Kolben-Zylinder-Baueinheit
JP3191677B2 (ja) * 1996-05-23 2001-07-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用ピストン
JP3696700B2 (ja) * 1996-09-03 2005-09-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ピストン
US5934174A (en) * 1998-10-02 1999-08-10 Cummins Engine Company, Inc. Lightweight articulated piston head and method of making the piston head
US6155157A (en) * 1998-10-06 2000-12-05 Caterpilla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two piece unitary piston
JP2000282951A (ja) * 1999-01-29 2000-10-10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用ピストン
JP2001082246A (ja) * 1999-09-16 2001-03-27 Unisia Jecs Corp 内燃機関用ピストン
US6609490B2 (en) * 2001-11-15 2003-08-26 John Flinchbaugh Piston head for a spark ignition engine
FR2848129B1 (fr) * 2002-12-05 2006-01-27 Ascometal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 piston pour moteur a explosion, et piston ainsi obtenu
US6923153B2 (en) * 2003-06-26 2005-08-02 Mahle Technology, Inc. Piston and connecting rod assembly having phosphatized bushingless connecting rod and profiled piston pin
US20050039708A1 (en) * 2003-08-08 2005-02-24 Green William Delaplaine Piston exhaust system
US8042453B2 (en) * 2007-08-13 2011-10-25 Federal-Mogul Corporation Piston with a skirt having oil flow slots
JP2009264145A (ja) * 2008-04-22 2009-11-1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ピストン
JP4861394B2 (ja) * 2008-12-05 2012-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ピスト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03300A (ja) 2013-01-31
US20110048365A1 (en) 2011-03-03
WO2011031535A3 (en) 2011-06-23
WO2011031535A2 (en) 2011-03-17
BR112012004120A8 (pt) 2018-06-19
CN102575766B (zh) 2015-11-25
EP2470812A2 (en) 2012-07-04
US9909526B2 (en) 2018-03-06
EP2470812A4 (en) 2015-04-08
CN102575766A (zh) 2012-07-11
BR112012004120A2 (pt) 201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8377B2 (ja) 低いコンプレッションハイトを有する、頑丈かつ軽量のピストンおよびその構成方法
US10968862B2 (en) Monolithic, galleryless pist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EP1348859B1 (en) Piston
US20110107997A1 (en) Steel piston with cooling gallery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2010209862A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
US10738731B2 (en) Monolithic, galleryless pist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101450369B1 (ko) 오일 유동 구멍들을 가진 스커트를 구비한 피스톤
US20120304956A1 (en) Piston with weld hardened ring groo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20120062831A (ko) 저마찰 스커트를 가진 일체주조의 피스톤
JP2020533517A (ja) 対向ピストンエンジンのための対向する噴射領域を備えるピストンアセンブリ
CN107636276B (zh) 四冲程内燃发动机以及用于该发动机的活塞
JP2018534469A (ja) ピストン、それらのためのオイルコントロールリングおよびそれらの構築方法
JP2021032171A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及び内燃機関
JP5307209B2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
CN209976654U (zh) 轻量化发动机t型活塞
EP3400381B1 (en) Monolithic, galleryless pist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H03111654A (ja) ピスト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24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321

Effective date: 2019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