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2594A - 인명구조용 트롤리 - Google Patents

인명구조용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2594A
KR20120062594A KR1020110020484A KR20110020484A KR20120062594A KR 20120062594 A KR20120062594 A KR 20120062594A KR 1020110020484 A KR1020110020484 A KR 1020110020484A KR 20110020484 A KR20110020484 A KR 20110020484A KR 20120062594 A KR20120062594 A KR 20120062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andle
housing
trolle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복
Original Assignee
(주)엘더스티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더스티앤엘 filed Critical (주)엘더스티앤엘
Publication of KR20120062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62B5/0447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using elements cooperating with a handle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20/00Adaptations of particular transporting means
    • A61G2220/12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명구조용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전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차륜과 상기 차륜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판 및 상기 전방 또는 후방차륜의 전면에 구비되는 핸들로 구성되어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트롤리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다수개의 결합판이 상기 차륜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의 상부에는 환자수송을 위한 들것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명구조용 트롤리{Trolley for Life Saving}
본 발명은 인명구조용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롤리의 상부에 놓여져 있는 들것과 트롤리의 상판 및 차륜이 용이하게 분해조립되어 보관 및 이송이 간편하여 긴급한 상황에서 환자를 이송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분해하여 따로 보관할 수 있는 인명구조용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인명구조용 트롤리는 열차가 화재나 전복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레일 위를 신속히 이동하면서 환자를 수송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목적의 트롤리는 긴급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동될 수 있어야 하며, 평상시에는 잘 사용하지 않으므로 보관이 용이해야 한다.
지하철역, 기차역, 터널 등에서의 사고 또는 긴급 상황 시 위치의 특정상 쉽게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철도 레일을 이용하여 인명이나 물자를 신속하게 운송하기 위한 인명구조용 트롤리가 비치되어 있다. 공개특허 제10-2008-0104103호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명구조용 트롤리가 게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인명구조용 트롤리는, 기본적으로 철도 레일 상에 안착되어 회동하는 휠과, 휠을 축설한 휠축프레임과 상기 휠축프레임에 지지되어 인명이나 물자가 적재되는 상판과, 상판에 고정되는 핸들로 구성된 기본적인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인명구조용 트롤리는 특정의 보관 장소에 보관되어 있다가 유사 시 역무원 또는 소방관 등이 조립하여 레일 위에 안착시켜서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 이전의 일반적인 인명구조용 트롤리는, 휠축프레임이 일반 철재의 사각파이프로 되어 있어 매우 무겁기 때문에 한 사람의 힘으로 운반할 수 없어서 여러 사람이 있어야 운반이 가능하며, 긴급 상황 발생시 보관된 트롤리를 꺼내어 사고 지점까지 운반할 경우 철도 변에서 좌측 또는 우측 레일에 먼저 한쪽 휠을 걸치고난 다음에 다른 쪽 레일에 휠을 들어 올려 걸치는 방식이고, 매우 무겁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동원되어야 하였으며, 이에 따라 위급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트롤리는 브레이크를 고정하기 위하여 핸들을 돌리거나 기어를 걸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대기시간이 길어져서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핸들을 밀거나 당기면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이완되고, 핸들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자동으로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긴급한 상황에서 인명구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모듈이 서로 분리되어 평상시에는 보관함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인명구조용 트롤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전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차륜과 상기 차륜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판 및 상기 전방 또는 후방차륜의 전면에 구비되는 핸들로 구성되어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트롤리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다수개의 결합판이 상기 차륜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의 상부에는 환자수송을 위한 들것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면구조용 트롤리에 의하며, 상판과 들것 및 차륜이 분리되어 평상시에는 보관함에 수납하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핸들이 중립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제동장치가 작동되고 핸들을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면 제동장치가 자동으로 풀려서 즉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트롤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트롤리의 정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트롤리에 장착되는 브레이크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트롤리의 차륜과 핸들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트롤리가 보관함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트롤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트롤리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륜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트롤리는 전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차륜(100)과 상기 차륜(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판(120) 및 전방 또는 후방차륜(100)의 전면에 구비되는 핸들(200)로 구성되어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트롤리에 있어서, 상기 상판(120)은 다수개의 결합판(121, 122, 123)이 상기 차륜(100)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120)의 상부에는 환자수송을 위한 들것(125)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륜(100)은 철도의 레일 상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바퀴(110)와 제동장치 등이 구비된 구성요소로, 몸체(140)의 양측에 바퀴(110)가 구비되어 있고, 바퀴(110)와 결합되는 몸체(140)의 양단에는 상판(120)을 고정하는 상판고정브래킷(145)이 구비되어 있다. 바퀴(110)는 외측이 좁고 내측에는 확장부가 구비되어, 외측부가 레일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확장부가 레일의 내측면의 일부와 맞닿으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바퀴(110)는 종래의 트롤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바퀴(110)의 구성 및 구동원리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바퀴(110)는 몸체(140)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몸체(140)는 바퀴(110)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판(120)을 지지하는 것으로, 레일의 양측 사이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성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몸체(140)의 양단에 구비된 바퀴(110)의 확장부의 외측 사이의 거리가 레일의 폭의 길이에 대응된다.
몸체(140)는 레일의 폭만큼 연장된 원통 또는 다각형의 기둥형상이며, 몸체(140)의 양측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바퀴(110)가 결합된다. 몸체(140)는 하중을 줄이기 위하여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한 몸체(140)의 외부형상은 원통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후술하여 설명할 상판(120)이 유동되지 않도록 결합 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각기둥의 형상이 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몸체(140)의 형상이 사각기둥형상인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반드시 사각기둥형상의 몸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몸체(140)의 양단으로, 전술하여 설명한 바퀴(110)가 결합되는 부위의 상부에는 상판(120)을 고정하는 상판고정브래킷(140)이 구비되어 있다. 상판고정브래킷(140)은 몸체(140)의 상부로 상판(120)의 두께만큼 연장된 다음 다시 몸체(140)의 중앙부를 향하여 절곡된 ㄱ자 형상의 브래킷이 절곡부의 방향이 몸체(140)의 내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상판고정브래킷(140)의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상판(120)의 측면을 지지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고 상판(120)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라면 공지의 어떠한 고정브래킷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판(120)의 측면 상부에 고리형상의 걸쇠를 구비하고 차륜(100)의 양단에 상기 걸쇠에 걸려서 클램프할 수 있는 클램핑장치를 구비하거나, 조(jaw) 또는 나사를 이용하여 클램핑하는 등 공지의 어떠한 클램핑장치도 사용될 수 있다.
상판(120)은 전방차륜(100)과 후방차륜(100)을 연결하는 판상의 구조로, 상판(120)의 상부에는 인명구조에 사용되는 들것(125)이 놓여진다. 상판(120)은 하중을 줄이기 위하여 내부가 중공인 판상의 구조물 또는 내부가 중공이고 하측면이 개방된 형상의 판상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판(120)은 길이방향의 양측에 차륜(100)의 몸체(140)의 형상에 대응되는 차륜결합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차륜결합홈(126)은 상판(12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판(12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차륜(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차륜결합홈(126)에 차륜(100)의 상부면의 일부가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즉, 차륜(100)의 몸체(140)형상이 사각기둥인 경우에 차륜결합홈(126)은 차륜(100)의 상부폭에 대응되는 넓이로 일정깊이 함몰된 구조가 되어 차륜결합홈(126)에 차륜(100)의 상부가 삽입되게 된다. 차륜결합홈(126)은 상판(120)의 양측에 하나씩 두 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에 구비된 차륜결합홈(126)에는 전방차륜이 결합되고 타측에 구비된 차륜결합홈(126)에는 후방차륜(100)이 결합된다. 한편 상판(120)은 최소한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결합판(121, 122, 123)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판(121, 122, 123)의 폭의 합이 차륜(100)의 몸체(140) 길이에 대응된다. 결합판(121, 122, 123)이 차륜(100)의 몸체(140)에 결합되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차륜(100)의 양측에 각각 하나의 결합판(도면에서 121, 123)이 결합된다. 이때 결합판(121, 123)의 양측에 구비된 차륜결합홈(126)을 차륜(100)의 상부에 끼워 맞춘 다음 일측면이 몸체(140)의 양단에 구비된 상판고정브래킷(145)에 삽입되도록 하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차륜(100)의 상부에 결합된 상판(120)의 상부면에는 환자를 이송하는데 필요한 들것(125)이 안착된다. 들것(125)은 상판(120)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판(120)의 상부에 들것(125)을 안착할 수 있는 지지대(127)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127)의 상부에 들것(125)이 안착되도록 하되, 상기 들것(125)은 상판(120)의 상부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탈부착수단은 공지의 다양한 클램핑방법이 사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트롤리에 장착되는 브레이크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트롤리의 차륜과 핸들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용 브레이크모듈은, 상판(120)과 상기 상판(120)의 전후방에 구비되는 차륜(100) 및 상기 차륜(100)에 구비되는 핸들(200)로 구성되어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트롤리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차륜(100)의 바퀴(110)의 내측면에 대면되도록 수직으로 구비되고, 타단에는 축소부(135)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30);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에 대응되는 형상의 압착부(153)와, 상기 하우징(130)의 축소부(135)에 대응되는 형상의 연장부(155)로 구성되어 상기 압착부(153)가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155)가 상기 하우징(130)의 축소부(135)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동부재(150); 상기 제동부재(150)의 연장부(155)와 상기 하우징(130)의 타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동부재(15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70); 상기 차륜(100)의 전면에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200); 및 상기 핸들(200)과 상기 제동부재(150)의 연장부(155)를 연결하는 와이어(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륜(100)은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바퀴(110)와, 상기 바퀴(110)를 연결하는 축(shaft) 및 상기 축을 보호하는 케이스로 구성된다. 하나의 트롤리에는 전후방향에 하나씩 한 쌍의 차륜(100)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판(120)은 한 쌍의 차륜(100)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판(120)에는 트롤리를 통하여 운반되는 화물 또는 인명구조용 트롤리의 경우에는 환자를 위한 들것(125) 등이 적재되거나 장착된다.
핸들(200)은 트롤리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전술한 차륜(100) 또는 상판(120)에 구비되어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밀거나 당겨서 트롤리를 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핸들(200)은 U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개방부가 차륜(100)의 전방에 구비된 결합판(2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판(210)에 관하여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차륜(100)과 상판(120) 및 핸들(200)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 및 형상이 있으며 세부적인 형상이나 구성은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용 브레이크모듈은 전술한 차륜(100)의 전면에 한 쌍의 결합판(210)이 구비되어 있다. 결합판(210)은 차륜(100)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결합판(210)은 U자형상의 핸들(200)의 양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2개가 차륜(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며, 결합판(210) 사이의 간격은 핸들(200)의 개방부 사이의 간격에 대응된다. 결합판(210)에는 전후방향으로 장공(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장공(213)은 결합판(210)에 결합되는 핸들(200)의 끝단이 운동하는 궤적에 대응되는 호형(arc type)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공(213)의 가운데 부분에는 와이어(180)를 지지 및 안내하는 와이어가이드(21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된 결합판(210)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U자 형상의 개방부가 결합판(210)의 장공(213)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핸들(200)의 양단은 회동부로부터 장공(213)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핸들(200)의 양단이 장공(213)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하우징(130)은 후술하여 설명할 제동부재(150)를 내측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것으로, 차륜(100)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고 상기 차륜(100)의 양단에 구비되어 있는 바퀴(110)의 내측면에 대면되도록 상기 바퀴(110)에 대하여 수직으로 구비된다. 하우징(130)은 차륜(100)의 일측면에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며, 바람직한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100)의 끝단에 측면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고정판(160)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판(210)에 수직방향이 되도록 결합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130)의 측면에 연장편을 구비하여 볼트 너트 등으로 고정하거나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는 등 공지의 다양한 결합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하우징(130)은 내면의 중공부 형상이 원통 또는 다각형의 통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한편, 하우징(130)은 바퀴(110)의 내측면에 대면되는 일단은 중공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완전히 개방되어 있고, 타단에는 중공부 보다 지름이 작게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며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축소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축소부(135)는 필요에 따라 타측방향으로 파이프형상으로 일부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제동부재(150)는 압착부(153)와 연장부(155)로 구성되며, 압착부(153)는 하우징(130)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고, 연장부(155)는 하우징(130)의 타단에 구비된 축소부(135)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전체적으로는 압착부(153)의 지름이 크고 연장부(155)의 지름이 작은 계단형식의 측면구조를 가진다. 제동부재(150)는 하우징(130)의 중공부 및 축소부(135)가 원통형 또는 다각형인 경우에 제동부재(150) 또한 원통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동부재(150)가 상기 하우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가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제동부재(150)는 하우징(130)의 일단을 통하여 중공부 내로 삽입된 다음 연장부(155)가 축소부(135)를 통하여 하우징(13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그리하여 제동부재(150)는 하우징(130)의 중공부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동부재(150)의 연장부(155)의 외측으로 압착부(153)와 하우징(130)의 타단 사이에는 탄성부재(170)가 구비된다. 탄성부재(170)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동부재(150)가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면 바퀴(110)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제동되고, 타측으로 이동하면 바퀴(110)로부터 떨어져서 제동력이 제거된다. 즉, 압착부(153)의 끝단과 바퀴(110)의 내측면이 마찰되면서 제동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압착부(153)의 끝단에는 브레이크라이닝이 더 구비되어 제동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130)의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55)에는 제동부재(150)의 위치를 조절하는 우치조절부재(137)가 더 구비된다. 우치조절부재(137)는 연장부(155) 및 하우징(130)의 축소부(135)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동부재(150)가 하우징(130)의 일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우치조절부재(137)가 축소부(135)에 걸려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제동부재(15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우치조절부재(137)는 다양한 방법으로 연장부(155)의 외측에 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연장부(155)의 외측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너트 형상의 위치조절부재(137)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비된다.
탄성부재(170)는 하우징(130)의 타측 내부에 구비되어 제동부재(15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170)로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제동부재(150)의 연장부(155)가 코일스프링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다음 축소부(135)를 통하여 하우징(130)의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구현된다. 그리하여 탄성부재(170)의 일단은 압착부(153)의 타단에 대면하고, 탄성부재(170)의 타단은 하우징(130)의 타단의 내측에 대면된다.
와이어(180)는 핸들(200)의 끝단과 연장부(155)의 끝단을 연결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일단은 하우징(130)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연장부(155)의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결합판(210)의 장공(213)에 구비된 와이어가이드(215)를 관통한 다음 핸들(200)의 양단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용 브레이크모듈은 핸들(200)이 중립상태에 놓여있는 경우에는 제동부재(150)의 압착부(153)가 바퀴(11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제동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핸들(20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면 핸들(200)의 끝단에 연결된 와이어(180)가 핸들(200)의 끝단을 따라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와이어(180)가 핸들(200)의 끝단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장공(213)의 범위 내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와이어(180)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핸들(20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와이어(180)가 당겨지면 와이어(180)의 일단에 연결된 압착부(153)가 당기어져 제동부재(150)가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동부재(150)가 타측으로 이동하면 압착부(153)가 바퀴(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제동이 해제되면서 트롤리는 핸들(200)에 가해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핸들(200)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여 핸들(200)이 중립상태가 되면 제동부재(150)가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하우징(130)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바퀴(110)의 내측면을 압착함으로써 제동이 걸리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트롤리가 보관함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트롤리는 전방차륜과 후방차륜, 3개의 결합판으로 구성된 상판(120) 및 핸들 들이 모두 분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각 구성을 분리하여 보관함(300)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차륜 110: 바퀴
121, 122, 123: 결합판 120: 상판
125: 들것 126: 차륜결합홈
127: 지지대 130: 하우징
140: 몸체 145: 상판고정브래킷
150: 제동부재 160: 고정판
153: 압착부 155: 연장부
170: 탄성부재 180: 와이어
200: 핸들 210: 결합판
213: 장공 215: 와이어가이드

Claims (4)

  1. 전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차륜과 상기 차륜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판 및 상기 전방 또는 후방차륜의 전면에 구비되는 핸들로 구성되어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트롤리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다수개의 결합판이 상기 차륜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의 상부에는 환자수송을 위한 들것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트롤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은 몸체의 양측에 바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바퀴와 결합되는 상기 몸체의 양단에 상기 상판을 고정하는 상판고정브래킷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은 길이방향의 양측에 상기 차륜의 몸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차륜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차륜결합홈이 상기 차륜의 몸체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트롤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에는 제동장치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동장치는,
    일단이 상기 차륜의 바퀴의 내측면에 대면되도록 수직으로 구비되고, 타단에는 축소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대응되는 형상의 압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축소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연장부로 구성되어 상기 압착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하우징의 축소부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동부재;
    상기 제동부재의 연장부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동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차륜의 전명에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과 상기 제동부재의 연장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트롤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의 전면에는 한 쌍의 결합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판에는 전후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공의 가운데 부분에는 와이어를 지지 및 안내하는 와이어가이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핸들은 U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개방부가 상기 결합판의 장공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핸들의 양단은 회동부에서 상기 장공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가이드를 관통하여 상기 핸들의 양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트롤리.




KR1020110020484A 2010-12-06 2011-03-08 인명구조용 트롤리 KR20120062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764 2010-12-06
KR20100123764 2010-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594A true KR20120062594A (ko) 2012-06-14

Family

ID=4668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484A KR20120062594A (ko) 2010-12-06 2011-03-08 인명구조용 트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259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30606A1 (es) * 2013-05-10 2013-11-21 Pablo GÓMEZ SANZ Camilla de evacuación para vías de ferrocarril
FR3084045A1 (fr) * 2018-07-17 2020-01-24 Societe D'assainissement Rationnel Et De Pompage Bati pour un element chariot
WO2020192421A1 (zh) * 2019-03-22 2020-10-01 灵动科技(北京)有限公司 自动运输装置
KR20200137799A (ko) 2019-05-31 2020-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높이 조절형 트롤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30606A1 (es) * 2013-05-10 2013-11-21 Pablo GÓMEZ SANZ Camilla de evacuación para vías de ferrocarril
WO2014181009A1 (es) * 2013-05-10 2014-11-13 Gómez Sanz Pablo Camilla de evacuación para vías de ferrocarril
FR3084045A1 (fr) * 2018-07-17 2020-01-24 Societe D'assainissement Rationnel Et De Pompage Bati pour un element chariot
WO2020192421A1 (zh) * 2019-03-22 2020-10-01 灵动科技(北京)有限公司 自动运输装置
KR20200137799A (ko) 2019-05-31 2020-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높이 조절형 트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8113B2 (en) Patient winch
DK177585B1 (en) Transport Cart configured to Transport Beds with Wheels
US9504617B2 (en) Mobility securement system
KR20120062594A (ko) 인명구조용 트롤리
KR100621841B1 (ko) 철로 이송용 트로리
JP2010029025A (ja) 宙乗器
US20060181040A1 (en) Baby Carriage Non-Roll Safety Brake
KR20120062592A (ko) 트롤리용 브레이크 모듈
KR101850293B1 (ko) 브레이크부가 구비되는 화물 운반용 대차
JP2008280021A (ja) 電動アシスト式駆動輪と台車の連結構造
JP2007168759A5 (ko)
JP5646260B2 (ja) 運搬台車
JP5877888B2 (ja) 運搬台車
CN211592549U (zh) 装载加固装置和铁路运输系统
KR100831849B1 (ko) 포크수레
JP2016192981A (ja) 可搬型消防ポンプの積み下ろし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消防自動車
JP2014058180A (ja) リヤカー
JP6541700B2 (ja) 運搬台車
KR20150001840U (ko) 자전거 전자석 잠금 장치
JP5643252B2 (ja) 軌道用台車
JP6092988B2 (ja) 運搬台車
JP6027385B2 (ja) 簡易移動装置
KR20060115339A (ko) 소방차용 소방호스 운반차량의 길이가변장치
JPH1061877A (ja) 投光機
JP2022169680A (ja) 運搬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