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1760A - 밸브 어셈블리 및 공기식 시트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어셈블리 및 공기식 시트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1760A
KR20120061760A KR1020110128399A KR20110128399A KR20120061760A KR 20120061760 A KR20120061760 A KR 20120061760A KR 1020110128399 A KR1020110128399 A KR 1020110128399A KR 20110128399 A KR20110128399 A KR 20110128399A KR 20120061760 A KR20120061760 A KR 20120061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valve
valves
channels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0763B1 (ko
Inventor
베르트홀트 보사니이
에리크 도플러
Original Assignee
엘 앤드 피 스위스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 앤드 피 스위스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엘 앤드 피 스위스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20061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07Manifolds
    • F15B13/081Laminated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5Lumbar supports using inflatable b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4Hydro-pneumatic adjustments of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76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ssag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855Vehicle
    • Y10T137/6881Automo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밸브 어셈블리(10)는 하우징(20, 22, 23) 및 하우징(20, 22, 23) 내에 배치된 복수의 밸브들(50)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제1 층(21) 및 제2 층(22)을 포함하는 층을 이룬 몸체(21, 22)를 구비하고, 이들은 결합되어 유체 공급 채널,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을 정의한다. 복수의 밸브들(50) 중 각각의 밸브는 유체 공급 채널 및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과 유체 소통할 수 있다. 유체 공급 채널은 층을 이룬 몸체를 구획화해서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은 유체 공급 채널에 대해 제1 측면 상에 배열되고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은 유체 공급 채널에 대해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 상에 배열된다.

Description

밸브 어셈블리 및 공기식 시트 조절 장치 {Valve assembly and pneumatic seat adjusting device}
본 발명은 밸브 어셈블리 및 시트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시트 조절 장치의 팽창할 수 있는 챔버에, 특히 가스와 같은, 유체를 공급하도록 작동하는 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허리 지지부들, 측면 지지부들 또는 다른 조절가능한 지지부들뿐만 아니라 마사지 유니트들은 자주 시트 위에 착석될 때 착석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트들 내에 제공된다. 허리 지지 장치들은 적절한 지지 표면을 형성함으로써 시트 상에 앉는 사람의 허리의 척추 또는 척주전만(lordosis) 영역 내 적절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등받이 내에 제공된다. 상기 지지부들은 등받이 위 및/또는 좌석 부분 위에 제공되어 조절가능한 측면 지지를 제공한다. 후자는 변하는 착석자 크기들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원심력에 응답하여 측면 지지를 능동적으로 조절하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마사지 유니트들은 혈액 순환을 자극하고/또는 추가적으로 착석자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트 내로 통합될 수 있다.
시트 조절 장치들의 일부 이행은 하나 또는 복수의 팽창할 수 있는 유체 챔버들을 이용한다. 유체 챔버들은 안에 포함된 유체의 양에 따라 형상 및/또는 크기를 변화시키는 팽창할 수 있는 쿠션들 또는 바람주머니(bladder)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팽창할 수 있는 유체 챔버들을 이용하여 수행된 허리 지지 장치들을 구비하는 시트들에 대한 예들은 예를 들어 EP 1 072 465 A1 또는 DE 100 63 478 A1에 기술되어 있다. 조절가능한 지지부의 조절은 호스들과 같은 연결 부재들과 밸브들을 포함하는 적절히 형성된 공기식 회로 및 압력 소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시트 안으로 많아지는 수의 조절가능한 구성요소들의 통합은 착석 편안함을 향상시킨다. 한편, 시트 내에 필요한 설비 공간은 제한된다. 게다가, 많아지는 수의 액츄에이터들 및 조절가능한 부재에 기계적으로 또는 공기식으로 액츄에이터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관련 부품들의 통합은 조립 시간 및 조립 비용을 증가시키지만, 밸브들과 같은 공기식 요소들은 조절가능한 지지 장치에 의해 제공된 편안함 및/또는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러한 부품들은 설비 공간 및 비용에 추가될 수 있다.
설비 공간, 설비 시간 및 설비 비용과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밸브들이 밸브 배터리를 형성하도록 조립될 수 있고, 이는 시트 내 설비 전에 미리-조립될 수 있다. DE 44 13 657 C1은 모듈 형상을 가지는 밸브 배터리에 대한 예를 기술하고, 일 밸브는 각 모듈 안으로 통합되고 복수의 모듈들은 밸브 배터리를 형성하도록 조합된다.
조립이 필요한 부품들의 수를 더 줄이기 위해, 유체 채널들이 밸브 배터리 하우징의 고체 부재 안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이는 밸브 배터리를 조립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줄이지만, 그러한 설계는 감소된 설계 적응성(flexibility)을 겪을 수 있다. 설비를 위해, 밸브 배터리 하우징의 주어진 설계를 위해, 밸브 배터리 하우징 내에 형성된 채널들의 형상은 변함없이 하우징 내에 설비될 수 있는 밸브들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3/2-밸브들, 3/3-밸브들 또는 2/2-밸브들 또는 그것들의 특정 조합들이 밸브 배터리 하우징 내에 설비되는지에 따라 다른 밸브 배터리 하우징들을 공급하고 생산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이는 다음에 비용을 추가시킨다.
상기 필요성들 중 일부를 해결하는 밸브를 위한 필요성들이 종래에 계속되었다. 특히, 하우징 안으로 통합된 유체 채널들을 가지고, 다른 형태의 밸브들 및/또는 그러한 밸브들의 다른 형태의 조합들이 밸브 어셈블리 안으로 통합되도록 허용하는 밸브 어셈블리에 대한 계속된 필요성이 종래에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필요성은 독립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밸브 어셈블리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실시예들을 정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밸브 어셈블리는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 배치된 복수의 밸브들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층을 이룬 몸체를 포함한다. 층을 이룬 몸체는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한다. 결합된 제1 층 및 제2 층은 유체 공급 채널,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을 정의한다. 복수의 밸브들 중 각각은 유체 공급 채널 및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 각각과 유체 소통한다. 유체 공급 채널은 층을 이룬 몸체를 구획화해서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은 유체 공급 채널에 대체 제1 측면 상에 배열되고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은 유체 공급 채널에 대해 상기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 상에 배열된다.
밸브 어셈블리에서, 다양한 유체 채널들이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되어서, 별개로 설비되어야 하는 유체 연결들의 수를 감소시킨다. 유체 공급 채널에 대해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 배열되는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 및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의 배열은 하우징에 높은 정도의 적응성(flexibility)을 제공하는 통합된 유체 채널들을 제공한다. 다른 형태의 밸브들은, 밸브가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또는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 중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허용함으로써, 또는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중 하나 도는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 중 하나 양자에 밸브가 결합되도록 허용함으로써, 하우징 내로 통합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는 원하는 형태와 수의 밸브들을 하우징과 조립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성에 쉽게 맞춰질 수 있다.
복수의 밸브들은 한 상의 밸브들 및 3/3-방향 밸브(3/3-way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층을 이룬 몸체, 한 쌍의 밸브들 및 3/3-방향 밸브는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로부터 선택된 제1 유체 채널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로부터 선택된 제2 유체 채널이 한 쌍의 밸브들 또는 3/3-방향 밸브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한 쌍의 밸브들은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 또는 하나의 3/2-방향 밸브와 하나의 2/2-방향 밸브의 조합일 수 있다.
한 쌍의 밸브들 및 3/3-방향 밸브를 형성하여 한 쌍의 밸브들 또는 3/3-방향 밸브가 선택적으로 유체 공급 채널에 대해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 배치된 한 쌍의 유체 채널들과 결합시킬 수 있음으로써, 하나의 밸브 어셈블리 내 다른 형태의 밸브들을 조립하는데 높은 적응성이 얻어진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식 시트 조절 장치가 제공된다. 시트 조절 장치는 어떠한 일 실시예의 밸브 어셈블리 및 밸브 어셈블리에 연결된 복수의 팽창할 수 있는 유체 챔버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팽창할 수 있는 유체 챔버들은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또는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 중 각각 하나와 유체 소통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에 의해 제공된 높은 정도의 융통성으로 인해서, 밸브 어셈블리는 다양한 위치들 또는 시트 내에 배치된 팽창할 수 있는 유체 챔버들과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설비를 위해, 허리 지지부의 팽창할 수 있는 유체 챔버들은 밸브 어셈블리의 하나의 3/3-방향 밸브 각각과 유체소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측면 지지부의 팽창할 수 있는 유체 챔버들은 개별적으로 밸브 어셈블리의 하나의 3/3-방향 밸브와 유체소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마사지 유니트를 형성하는 한 쌍의 팽창할 수 있는 유체 챔버들은 밸브 어셈블리의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 또는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과 유체소통할 수 있다. 하우징은 다른 형태의 밸브들이 밸브 어셈블리 내에서 조립될 때 맞춰질 필요가 없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떠한 일 실시예의 공기식 시트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가 제공된다.
다양한 측면들 및 실시예들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는, 특히 차량 착석에서의, 시트의 부품들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설비를 위해, 밸브 어셈블리는 마사지 유니트를 포함하는 시트, 또는 예를 들어 2-방향 허리 지지부 또는 4-방향 허리 지지부와 같은 조절가능한 허리 지지 장치 및 마사지 유니트 양자를 포함하는 시트, 또는 마사지 유니트와 조절가능한 허리 지지 장치 양자 및 조절가능한 측면 지지 장치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트에 적용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는 또한 시트의 다른 부품들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절 장치를 구비한 시트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층을 이룬 몸체의 제1 층이 형성된 도 2의 밸브 어셈블리의 주요 하우징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요 하우징 부분에 의해 정의된 구획을 설명하는 확대 상세도이다.
도 5는 층을 이룬 몸체의 제2 층이 제거된 도 2의 밸브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밸브 어셈블리의 복수의 밸브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선에 따른 도 2의 밸브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유체 공급 채널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한 방향 내의 도 2의 밸브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면 평면은 하나의 3/3-방향 밸브를 통해 지나간다.
도 9는 유체 공급 채널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한 방향 내의 도 2의 밸브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면 평면은 한 쌍의 두 개의 3/2-방향 밸브들을 통해 지나간다.
도 10은 유체 공급 채널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한 방향 내의 도 2의 밸브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면 평면은 한 쌍의 두 개의 2/2-방향 밸브들을 통해 지나간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이, 자동차 차량 착석의 내용과 같은, 적용의 특정 영역의 내용에서 설명될 것이지만, 실시예들은 이러한 적용의 영역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특별히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서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밸브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이는 층을 이룬 몸체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층을 이룬 몸체는 유체 공급 채널,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을 정의하고, 복수의 제1 및 제2 유체 채널들은 유체 공급 채널에 대해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 배열된다. 복수의 밸브들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각각의 밸브는 유체 공급 채널과 유체 소통하는 입구 포트(port) 및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와 유체 소통하는 다른 포트를 구비한다.
복수의 밸브들은 유체 공급 채널과 유체 소통하는 입구 포트,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중 하나의 유체 채널과 유체 소통하는 포트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 중 하나와 유체 소통하는 포트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및 제2 유체 채널들로부터 선택된 두 개의 유체 채널들은 유체 공급 채널에 대해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제2 유체 채널들 중 하나 및 제1 유체 채널들 중 하나 양자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밸브를 이용함으로써, 밸브 형상들은 밸브가 유체 공급 채널을 가로질러 연장하도록 허용되어서 제1 유체 채널들 중 하나 및 제2 유체 채널들 중 하나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중 하나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 중 하나의 양자와 유체 소통하는 포트들을 가지는 밸브는 3/3-방향 밸브일 수 있다. 그러한 밸브는 연장된 기간 동안 시트 윤곽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 팽창할 수 있는 유체 챔버와 결합되어 특히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유체 챔버들의 예들은 허리 지지부의 유체 챔버 또는 측면 지지부의 유체 챔버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중 하나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 중 하나의 양자와 유체 소통하는 포트들을 가지는 밸브는 그것이 축에 대해 180° 회전될 수 있고 그것의 회전된 상태에서 층을 이룬 몸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설비를 위해,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중 하나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 중 하나의 양자와 유체 소통하는 포트들을 가지는 밸브는 본질적으로 대칭축에 대해 역대칭(inversion symmetric)인 외부 쉘(outer shell)을 가질 수 있다. 대칭축은 유체 공급 채널의 길이방향 축에 직교 방향, 및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직교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중 하나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 중 하나의 양자와 유체 소통하는 포트들을 가지는 밸브가 두 개의 다른 방향들 내에서 설비되도록 허용하여서, 밸브 어셈블리의 외부 포트들은 팽창할 수 있는 유체 챔버에 연결되는 작동 포트들 또는 배기 포트들로 선택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복수의 밸브들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한 쌍의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여기서 그 쌍의 제1 밸브 및 제2 밸브로서 언급된다. 제1 밸브 및 제2 밸브는 각각 유체 공급 채널과 유체 소통하는 입력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제1 밸브는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중 하나와 유체 소통하는 유체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제2 밸브는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 중 하나와 유체 소통하는 유체 포트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및 제2 유체 채널들로부터 선택된 두 개의 유체 채널들은 유체 공급 채널에 대해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중 하나에 결합된 제1 밸브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 중 하나에 결합된 제2 밸브를 구비하는 그러한 한 쌍의 밸브들을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밸브 기능들은 밸브 어셈블리 안으로 통합될 수 있다. 제1 밸브의 유체 포트 및 제2 밸브의 유체 포트는 입력 포트에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설명을 위해, 한 쌍의 밸브들 중 제1 및 제2 밸브는 각각 3/2-방향 밸브들 또는 2/2-방향 밸브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3/2-방향 밸브들은 특히 팽창할 수 있는 유체 챔버와 결합되게 사용될 수 있고 팽창할 수 있는 유체 챔버 안에서 연장된 기간 동안 일정하게 그 안으로 도입된 유체의 양을 유지할 필요는 없다. 그러한 유체 챔버들을 위한 예들은 마사지 유니트의 유체 챔버들을 포함한다.
한 쌍의 밸브들이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이라면, 3/2-방향 밸브들은 각각 방출 유체를 위한 배기 포트를 가질 수 있다. 배기 포트들은 하우징 내에 있을 수 있어서, 유체는 첫번째로 팽창할 수 있는 유체 챔버의 수축(deflation) 동안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인 볼륨으로 방출된다. 층을 이룬 몸체는 평평한 소음 감쇠 구획을 정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팽창할 수 있는 유체 챔버의 수축 시 방출된 유체는 밸브 어셈블리의 하우징을 빠져나가기 전에 안내된다. 평평한 소음 감쇠 구획에는 소음 감쇠 발포체 물질 또는 압축된 알갱이 물질과 같은 소음 감쇠 물질들이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밸브들의 제1 및 제2 밸브는 동-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밸브 및 제2 밸브의 입구 포트들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그에 의해, 조밀한 설계가 수행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 또는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과 같은 한 쌍의 밸브들 및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중 하나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 중 하나 양자와 유체 소통하는 포트들을 가진 밸브 양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중 하나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 중 하나 양자와 유체 소통하는 포트들을 가진 밸브는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즉 본질적으로 유사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층을 이룬 몸체는 유체 공급 채널이 밸브 또는 한 쌍의 밸브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통로를 정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층을 이룬 몸체는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중 하나 밖으로 또는 안으로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연관된 제1 통로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 중 하나 밖으로 또는 안으로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연관된 제2 통로를 더 정의할 수 있다. 연관된 제1 통로 및 연관된 제2 통로는 공급 통로에 대해 역대칭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연관된 제1 통로 및 연관된 제2 통로는 또한 유체 공급 채널의 중앙 평면에 대해 거울-대칭(mirror-symmetric)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층을 이룬 몸체 내 통로들의 그러한 대칭 형상에 의해, 층을 이룬 몸체 상의 다른 방향들 내 밸브들의 설비가 용이해진다. 공급 통로, 제1 통로 및 제2 통로는 각각 유체 공급 채널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길이방향 축들을 가질 수 있다.
층을 이룬 몸체는 복수의 상호 유체-기밀 제1 구획들 및 복수의 상호 유체-기밀 제2 구획들을 정의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구획들로부터 선택된 제1 구획 및 복수의 제2 구획들로부터 선택된 제2 구획은 유체 공급 채널을 통해 통과하는 가상 평면에 대해 거울-대칭일 수 있고 가상 평면 상에 위치된 점에 대해 역-대칭일 수 있다. 그에 의해, 다른 방향들 내 밸브들의 설비는 용이해진다.
제1 구획들은 동일한 형태들을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중 하나를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획들은 동일한 형태들을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 중 하나를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구획들을 형성함으로써, 유체 채널들의 반복 패턴이 층을 이룬 몸체 내에서 실현되어서, 다른 형태의 밸브들이 특정 적용을 위해 필요한 바에 따라 조립될 수 있다.
유체 공급 채널은 선형 부분을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의 각각의 유체 채널은 개별적으로 유체 공급 채널의 선형 부분에 가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선형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층을 이룬 몸체는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과 연관된 소음 감쇠기(noise damper)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음 감쇠기들은 층을 이룬 몸체의 제1 층 및 제2 층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소음 감쇠기들을 층을 이룬 몸체 안으로 통합함으로써, 소음 레벨들은 층을 이룬 몸체로부터 분리되게 설치될 소음 감소기들을 필요치 않고서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소음 감쇠기들의 물질 및/또는 치수들은 연관된 유체 챔버의 부품 및/또는 수축을 위해 원하는 일정한 시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하우징은 복수의 제1 커넥터들이 제공된 제1 측벽 및 복수의 제2 커넥터들이 제공된 제2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벽들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커넥터들의 각각의 커넥터는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 중 하나와 개별적으로 유체 소통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커넥터들의 각각의 커넥터는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 중 하나와 개별적으로 유체 소통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다양한 커넥터들을 통한 유체의 통로는 밸브 어셈블리를 거쳐 쉽게 제어될 수 있다.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층을 이룬 몸체의 제1 층 및 제2 층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통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조립되는 부품들의 수는 감소될 수 있다. 층을 이룬 몸체의 샌드위치-구조로 인해, 층을 이룬 몸체의 층들 중 하나를 채우는데 필요한 리세스(recess)들을 가지는 하우징 부분은 예를 들어 다양한 주조(molding) 기술들을 이용하여 쉽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층 및 제2 층은 복수의 용접 라인들을 따라 함께 용접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유체-기밀 채널들은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는 복수의 밸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밸브와 직접 유체 소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관(tubing)의 설비를 필요치 않고서 압력 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허용한다.
밸브 어셈블리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유체 공급 채널과 유체 소통하는 조정된(calibrated)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밸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밸브와 직접 유체 소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비-조정된(non-calibrated)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조정된 압력 센서 및 비-조정된 압력 센서 양자에 결합될 수 있고 조정된 압력 센서로부터 수신된 출력 신호에 기초한 비-조정된 압력 센서의 출력 신호에 대한 조정(calib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몇몇의 비-조정된 압력 센서(들)를 이용함으로써, 밸브 어셈블리의 비용들은 감소될 수 있다.
여기 설명된 일 실시예에서, 유체는 가스일 수 있다. 유체는 특히 공기일 수 있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이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시트(1)의 개략도이다. 조절 장치는 바람주머니(bladder)들로서 형성된 팽창할 수 있는 유체 챔버들을 포함한다. 바람주머니들 중 일부는 그것이 선택적으로 그 안에 도입된 유체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거나 유지하기에 바람직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이는 바람주머니가, 조절가능한 허리 지지부와 같은, 연장된 시간 동안 좌석 윤곽을 조절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구성할 때 바람직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바람주머니들 중 일부는 그 안에 도입된 유체의 양이 작동 동안 증가되거나 감소되지만, 유체의 양이 연장된 기간 동안 주변 압력보다 큰 압력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필요가 없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바람주머니들 내 압력이 연속적으로 조절되는, 예를 들어, 마사지 유니트들을 구성하는 바람주머니들에 바람직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설명을 위해, 시트(1)는 착석자의 넓적다리(thigh)들 내 혈액순환을 자극하기 위한 마사지 유니트들 및 조절가능한 허리 지지부를 포함하도록 도시된다. 허리 지지부는 팽창할 수 있는 유체 챔버들을 포함하고, 이는 팽창할 수 있는 바람주머니들(2, 3, 4)로서 형성된다. 바람주머니들(2, 3, 4)은 개별적인 바람주머니 내 유체 압력이 조절될 대 그것들의 외부 치수들이 변화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주머니들(2, 3, 4)은 차량 시트(1)의 등받이의 하부에 제공되고 등받이의 길이방향 내에서 서로에 대해 떨어져(offset) 있다. 모든 바람주머니들(2, 3, 4)을 팽창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하부 등받이의 굴곡(curvature)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바람주머니들(2, 3, 4) 중 하나를 팽창시키고 다른 것들을 수축시킴으로써, 꼭대기(apex)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그에 의해, 4-방향 허리 지지 장치가 수행될 수 있다. 마사지 유니트들은 시트(1)의 좌석 부분 내에 배열된 한 쌍의 바람주머니들(5, 6)을 각각 포함하도록 도시된다. 바람주머니들(5, 6) 중 하나를 팽창시키고 바람주머니들(5, 6) 중 다른 하나를 수축시킴으로써, 좌석 부분의 상부 표면은 종단(fore-and-aft) 방향 내에서 움직이는 압력점을 제공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넓적다리 영역을 위한 마사지 유니트들 및 허리 지지 장치가 도 1에 도시되지만, 시트(1)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다른 위치들에 배열된 조절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람주머니들(2-6) 중 일부는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허리 지지 장치 대신에 또는 추가로, 바람주머니들이 조정가능한 측면 지지를 수행하는 시트의 측면 받침(bolster) 부분들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인 설명을 위해, 마사지 바람주머니들은 시트의 등받이 부분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조절 장치는 압력 유체 소스(7), 밸브 어셈블리(10), 제어 회로(8) 및 수동 제어 장치(9)를 더 포함한다. 압력 유체 소스(7)는 밸브 어셈블리(10)에 압력 유체, 특히 가스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압력 유체 소스(7)는 밸브 어셈블리(10)에 가스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10)는 압력 유체 소스(7)에 의해 제공된 가스를 수용하고 시트(1) 내에 설치된 바람주머니들로 가스를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압력 유체 소스(7) 및 밸브 어셈블리(10)의 작동은 압력 유체 소스(7) 및 밸브 어셈블리(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회로(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10)는 복수의 밸브들(11-13)을 포함한다. 밸브들은 밸브 어셈블리(10)의 하우징 안에 배열된다. 하우징은 유체 채널들을 정의하는 층을 이룬 몸체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밸브들의 형태들에 하우징이 맞춰질 필요 없이, 다른 형태의 밸브들이 하우징 내에서 조립될 수 있고 하우징에 의해 유체 채널과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밸브 어셈블리(10)는 3/2-방향 밸브들 또는 2/2-방향 밸브들일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밸브들(11, 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행에서,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은 연장된 기간 동안 주변 압력보다 큰 일정한 압력에서 개별적인 바람주머니들 안으로 도입된 유체의 양을 유지할 필요가 없을 때 한 상의 바람주머니들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마사지 유니트의 바람주머니들(5 및 6)은 교차(alternating) 방식으로 팽창되고 수축될 것이다. 밸브(12)는 마사지 유니트의 바람주머니(6)와 유체 소통한다. 유사하게, 밸브(11)는 호스(도 1에 미도시)와 같은 적절한 유체 라인을 거쳐 마사지 유니트의 바람주머니(5)와 유체 소통한다.
밸브 어셈블리(10)는 적어도 하나의 3/3-방향 밸브(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행에서, 3/3-방향 밸브는 연장된 기간 동안 주변 압력보다 큰 압력에서 일정하게 개별적인 바람주머니들 안으로 도입된 유체의 양을 유지할 필요가 일반적으로 있을 때 바람주머니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허리 지지부의 바람주머니들(2, 3, 4) 또는 측면 지지부의 바람주머니들에 대해, 착석자의 필요에 따라 바람주머니 안으로 도입되는 유체의 양을 변경하고, 다음으로 적어도 대략 일정하게 유체의 양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3/3-방향 밸브는 유체 챔버 안으로 도입된 유체의 양이 증가되거나 감소되거나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허용한다. 밸브(13)는 허리 지지부의 바람주머니(2)와 유체 소통한다. 밸브 어셈블리(10)는 일반적으로 허리 지지부의 바람주머니(3 및 4)와 유체 소통하는 추가적인 밸브를 포함할 것이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와 연관된 유체 챔버 안으로 도입되 유체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거나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3/3-방향 밸브(13)는 연관된 유체 챔버들 안으로 도입된 유체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데 개별적으로 사용되는 한 쌍의 밸브들(11, 12) 중 하나에 대응하는 바깥 치수들을 가진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밸브 어셈블리(10)의 하우징의 형상은 연관된 한 쌍의 유체 챔버들 안으로 도입된 유체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 한 쌍의 밸브들(11, 12) 또는 연관된 유체 챔버 안으로 도입된 유체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거나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된 대안적인 밸브(13) 중 하나가 밸브들을 설치하기 위해 제공된 다수의 위치들 중 하나에서 하우징에 의해 정의된 유체 채널들에 결합될 수 있도록 된다.
연관된 유체 챔버 안으로 도입된 유체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거나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 밸브(13) 및 밸브 어셈블리의 하우징은 두 개의 다른 방향 내에서 하우징 내에 밸브(13)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다른 방향들은 3/3-방향 밸브(13)가 밸브(13)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한 축 주위로 18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밸브(13)를 바람주머니(2)에 연결하는 호스가 장착되는 밸브 어셈블리(10)의 측면은 주어진 시트 디자인을 위해 원하는 바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은 관 또는 유사한 것을 위해 필요한 설치 공간을 감소시키는 관점 및/또는 유체 라인들 내 초과 곡률을 감소시키는 관점에서 최적화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밸브 어셈블리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또한 바람주머니와 공통의 유체 공급 채널 사이 유체 소통을 수립하는 밸브들 및 주변 압력으로 유체 공급 채널을 가져오기 위해 유체 공급 채널을 통풍(vent)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들은, 조합하여, 각각의 유체 챔버 안으로 도입된 유체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감소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설명을 위해, 밸브 어셈블리는 하부 시트 부분 내에 설비된 우측 또는 좌측 바람주머니와 개별적으로 연관된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는 등받이 부분 내에 설비된 우측 또는 좌측 바람주머니들과 개별적으로 연관된 다른 쌍의 2/2-방향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는 측면 바람주머니들이 공통의 유체 공급 채널을 거쳐 통풍되도록 허용하기 위한 주변 압력에서의 포트를 구비하는 다른 쌍의 2/2-방향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10)의 형상은 도 2-10을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밸브 어셈블리(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밸브 어셈블리(10)는 주요 하우징 부분(20), 말단 부분(23), 및 닫힘 플레이트(22)를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한다. 밸브 어셈블리(10)는 복수의 밸브들(50)을 포함한다. 밸브 어셈블리(10)는 회로기판(15)을 포함하고, 여기에 밸브(50)가 패스너(fastener; 64)들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15)은 밸브들(50)을 활성화(energizing) 시키고 및/또는 밸브들(50)에 제어 신호들 및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connector; 16)들을 구비한다.
하우징 부분(20)은 하우징의 층을 이룬 몸체의 제1 층(21)으로 기능하는 주요 면(21)을 포함한다. 층을 이룬 몸체의 제1 층(21)은 유체 채널들을 정의하는 복수의 리세스(recess)들을 포함한다. 제1 층(21)은 제1 층(21) 및 닫힘 플레이트(22)를 연결하기 위해 주요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이랑부(ridge)들을 더 포함하고, 이는 층을 이룬 몸체의 제2 층(22)으로 기능한다.
서로 결합될 때, 제1 층(21) 및 제2 층(22)은 샌드위치-구조를 가지는 층을 이룬 몸체를 형성한다. 층을 이룬 몸체는 제1 층(21) 및 제2 층(22)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고 그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유체 채널들을 정의한다. 층을 이룬 몸체는 유체 공급 채널을 정의하고 이를 통해 유체는 밸브 어셈블리의 사용 내에서 밸브(50)로 공급된다. 층을 이룬 몸체 및 그 안에 형성된 유체 채널들의 구조는 도 3-10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복수의 소음 감쇠기(noise damper; 60)들은 제1 층(21) 및 제2 층(22) 사이에 개재된다. 소음 감쇠기들(60)은, 발포체 패드 또는 압축된 알갱이 물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소음 감쇠기들(60)은 제 층(21) 및 제2 층(22)에 의해 정의된 구획들 내에 고정된 소음 감쇠기들(61)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는 밸브 및 연관된 유체 챔버 사이 통로 위로 소음 감쇠기(61)를 통과할 수 있다.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다른 구획들 내에 배열된 소음 감쇠기들(61)은 다른 형상들을 가져서 유체에 대한 다른 유체 저항성들을 제공한다. 그에 의해, 다른 팽창 유체 챔버들을 팽창시키거나 수축시키기 위한 시상수(time constant)들은 다른 소음 감쇠기들을 이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소음 감쇠기들(60)은 또한 제1 층(21) 및 제2 층(22) 사이에 개재될 수 있지만 특정 밸브와 연관되지 않을 수 있는 추가적인 소음 감쇠기들(62, 63)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추가적인 소음 감쇠기들(62, 63)은 평평한 소음 감쇠기 구획 내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밸브들(50) 중 다른 것들에 의해 출력된 가스는 연관된 유체 챔버가 수축할 때 안내된다.
주요 하우징 부분(20)은 측벽들(24 및 25)(도 2에 미도시)을 포함하고, 이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밸브 어셈블리(10) 및 팽창 유체 챔버 사이의 유체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커넥터들(27) 및 측벽들(24, 25)은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측벽들(24, 25) 상에서, 밸브 어셈블리(10) 및 팽창 유체 챔버 사이 유체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커넥터들(27)이 제공된다. 커넥터들은 개별적으로 제1 층(21) 및 제2 층(22) 사이에 정의된 유체 채널과 유체 소통하고 결합된다.
복수의 밸브들(50)은 모두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밸브들(50)은 다른 구조들을 가지는 다른 형태들의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복수의 밸브들(50)은 3/3-방향 밸브(3/3-way valve; 5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밸브들(50)은 추가적으로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55a 및 55b)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결합된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55a 및 55b)은 3/3-방향 밸브와 유사한 외부 치수들을 가진다. 밸브들의 다른 조합 및 다른 형태들의 밸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복수의 밸브들(50)은 적어도 한 상의 몇몇 쌍들의 2/2-방향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들(50)은 회로기판(15)에 부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15)은 복수의 밸브들(50)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전도성 트레이스(conductive trace)들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15)은 밸브 또는 밸브 쌍들이 회로 기판(15)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연결부들의 반복 패턴을 정의할 수 있다.
밸브들(50) 중 적어도 하나는 그것과 연관된 압력 센서(17)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이행에서, 3/3-방향 밸브들의 적어도 일부는 연관된 압력 센서(17)를 가질 수 있다. 밸브 및 연관된 압력 센서(17)는, 유체 연결을 수립하기 위해 밸브 및 압력 센서(17)로부터 분리된 관을 필요치 않고서, 압력 센서(17)가 밸브와 유체 직접 유체 소통하도록 가져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압력 센서(17)는 비-조정 압력 센서(non-calibrated pressure sensor)일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10)는 제1 층(21) 및 제2 층(22) 사이에 정의된 유체 공급 채널과 유체 소통하는 압력 센서(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18)는 커넥터 몸체(19)를 거쳐 유체 공급 채널로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 몸체(19)는, 특히 고무와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몸체(19)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압력 센서(18)는 조정 압력 센서일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가 적어도 하나의 조정 압력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비-조정 압력 센서를 포함할 때, 양 비-조정 압력 센서(17) 및 조정 압력 센서(18)에 결합된 회로기판(8)은 비-조정 압력 센서(17)의 출력 신호와 조합하여 조정 압력 센서(18)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비-조정 압력 센서(17)가 유체 공급 채널과 유체 소통하는 상태에서, 비-조정 압력 센서(17)의 출력 신호를 조정한다.
도 3은 주요 하우징 부분(20)을 더 상세히 도시하고, 도 4는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구획을 설명하는 상세도이다. 주요 하우징 부분(20)은 도 3 및 4 내의 위쪽으로 향하는 층을 이룬 몸체의 제1 층(21)을 형성하는 측면으로 설명되며, 즉 바라보는 방향은 도 2와 비교하여 반대이다.
층을 이룬 몸체의 제1 층(21)으로 기능하는 주요 하우징 부분(20)의 주요 면에는 구조적 표면이 제공된다. 제1 층(21)은 유체 공급 채널(70)을 정의하는 리세스를 구비한다. 연결 이랑(ridge; 38)들은 제2 층(22)을 향해 유체 공급 채널(70)의 측면들 상에서 연장한다. 제1 층(21) 및 제2 층(22)은 유체-기밀 방식으로 연결 이랑들(38)을 따라 결합된다. 제한이 아닌 설명을 위해, 제1 층(21) 및 제2 층(22)은 용접 또는 유사한 것들과 같은 다양한 기술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유체 공급 채널(70)은 주요 하우징 부분(20)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선형 부분을 구비한다. 유체 공급 채널(70)의 선행 부분은 주요 하우징 부분(20)의 중앙 축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유체 공급 채널(70)은 커넥터(71)와 유체 소통한다. 설비될 때, 커넥터(71)는 압력 유체 소스(7)와 유체 소통한다.
유체 공급 채널(70)에는 유체 공급 채널(70)의 선형 부분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챔버를 정의하는 연장부(72)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72)는, 존재할 때, 커넥터(19)를 거쳐 압력 센서(18)와 유체 소통할 수 있다. 하우징 내로 통합되는 챔버를 정의하는 연장부(72)는 압력 센서(18)의 출력 신호가 유체 공급 채널 내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처리될 때 압력 변동들이 감소되도록 한다.
유체 공급 채널(70)은 복수의 밸브들(50)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밸브(50)는 각각 유체 공급 채널(70)과 유체 소통하는 입력 포트를 가지고, 이는 도 8-10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층(21)은 또한 유체 공급 채널(70)에 대한 제1 측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리세스들을 구비한다. 복수의 제1 리세스들은 제1 층(21) 및 제2 층(22)이 서로 결합될 때 복수의 제1 구획들을 정의한다. 연결 이랑들(39)은 제2 층(22)을 향해 제1 구획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제1 층(21) 및 제2 층(22)은 유체-기밀 방식으로 연결 이랑들(39)을 따라 결합된다.
제1 층(21) 내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리세스들, 및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제1 구획들은 유체 공급 채널(70)의 선형 부분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층(21) 내에 형성된 제1 리세스들 및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제1 구획들(31-36)은 동일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밸브들(50) 중 어떠한 특정 밸브가 제1 층(21) 내 유체 통로들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위치들 중 하나에서 설비되도록 허용하고, 이는 도 8-10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구획들(31-36) 중 각각의 하나는 층을 이룬 몸체 내 유체 채널(37)을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구획들(31-36) 내에 배치된 유체 채널들(37)은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을 정의한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채널(37)은 유체 공급 채널(70)의 선형 부분의 길이방향 축에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유체 채널(37)은 측벽(25) 상에 형성된 복수의 유체 포트들(28) 중 하나와 유체 소통한다. 설명을 위해, 구획(31) 내 유체 채널(37)을 형성하는 리세스는 도 3에서 29로 표시된 유체 포트와 유체 소통한다.
제1 층(21)은 또한,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유체 공급 채널(70)에 대해 제2 측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리세스들을 구비한다. 복수의 제2 리세스들은 제1 층(21) 및 제2 층(22)이 서로 결합될 때 복수의 제2 구획들(4-46)을 정의한다. 연결 이랑들은 제2 층(22)을 향해 제2 구획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제1 층(21) 및 제2 층(22)은 유체-기밀 방식으로 연결 이랑들을 따라 결합되어서, 제2 구획들(41-46)은 상호 유체-기밀된다.
제1 층(21) 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리세스들, 및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제2 구획들(41-46)은 유체 공급 채널(70)의 선형 부분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층(21) 내에 형성된 제2 리세스들, 및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제2 구획들(41-46)은 동일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밸브들(50) 중 어떠한 특정 밸브가 제1 층(21) 내 유체 통로들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위치들 중 하나에서 설비되도록 허용하고, 이는 도 8-10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각각의 제2 구획(41-46)은 제1 구획(31-36)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다른 대칭들이 실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획(31) 및 유체 공급 채널(70)에 대해 대향하는 측면 상에 배치된 연관된 제2 구획(41)은 제1 층(21)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직교하도록 유체 공급 채널(70)의 선형 부분의 중앙 평면에 대응하는 가상 거울 평면에 대해 거울-대칭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획 및 연관된 제2 구획은 유체 공급 채널(70)의 선형 부분의 중앙 평면 상에 위치된 역 포인트(inversion point)에 대해 역-대칭(inversion-symmetric)일 수 있다.
제2 구획들 중 각각의 하나는 층을 이룬 모체 내 유체 채널(47)을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2 구획들(41-46) 내에 배치된 유체 채널들(47)은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을 정의한다. 유체 채널(47)은 유체 공급 채널(70)의 선형 부분의 길이방향 축에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유체 채널(47)은 측벽(24) 상에 형성된 복수의 유체 포트들(@6) 중 하나와 유체 소통한다. 설명을 위해, 구획(41) 내 유체 채널(47)을 형성하는 리세스는 도 3에서 27도 표시된 유체 포트와 유체 소통한다.
제1 층(21)은 연장된 부분(74)을 더 구비한다. 부분(74)은 제2 층(72)을 향해 제1 층(21)의 평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이랑들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1 층(21) 및 제2 층(22)은 유체-기밀 방식으로 이랑들을 따라 함께 결합된다. 부분(74) 및 제2 층(22)의 대향하는 부분은 소음 감쇠기 구획을 형성한다. 부분(74)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75)를 포함한다. 밸브 어셈블리의 3/2-방향 밸브에 연결된 팽창 유체 챔버가 수축할 때, 유체는 관통구(75)를 통해 연장된 부분(74)에 의해 경계가 지어진 소음 감쇠기 구획으로 하우징 내로부터 안내될 수 있다. 유체는 이어서 부분(74)을 둘러싸는 이랑들 내에 형성된 절단부(cut-out; 76)들을 통해 밸브 어셈블리의 하우징을 빠져나갈 수 있다. 도 2의 분해도로 도시된 소음 감쇠기 요소들(62 및 63)은 관통구(75)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층(21) 및 제2 층(22)에 의해 형성된 층을 이룬 몸체는 유체 공급 채널(70), 커넥터들(28) 중 각각의 하나와 유체 소통하는 유체 채널(37)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상호 유체-기밀인 제1 구획들(31-36), 및 커넥터들(26) 중 각각의 하나와 유체 소통하는 유체 채널(47)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상호 유체-기밀인 제2 구획들(41-46)을 정의한다.
제1 층(21)은 유체 공급 채널(70)로부터 밸브 어셈블리의 밸브들로 유체가 통과하도록 하는 유체 통로를 정의한다. 제1 층(21)은 또한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 중 각각의 하나와 밸브 사이에서 유체가 통과하도록 하는 유체 통로를 정의한다. 제1 층(21)은 또한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47) 중 각각의 하나와 밸브 사이를 유체가 통과하도록 하는 유체 통로들을 정의한다. 이러한 유체 통로들은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 중 각각의 하나와 밸브 사이를 유체가 통과하도록 하는 유체 통로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47) 중 각각의 하나와 밸브 사이를 유체가 통과하도록 하는 유체 통로의 한 쌍이 유체 공급 채널(70)로부터 밸브로 유체를 통과하도록 하는 유체 통로에 대해 대칭적으로 및/또는 유체 공급 채널의 중앙 평면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5는 제거된 제2 층(22)을 가진 밸브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제1 구획(36)을 위해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구획(36) 내에 배치된 유체 채널(37)과 밸브 사이를 유체가 통과하도록 하는 유체 통로(102)가 제1 층(21) 내 관통구로서 형성된다. 제2 구획(46) 내에 배치된 유체 채널(47) 및 밸브 사이를 유체가 통과하도록 하는 유체 통로(103)는 제1 층(21) 내 관통구로서 형성된다. 유체 공급 채널(70)과 밸브 사이를 유체가 통과하도록 하는 공급 통로(101)가 또한 제1 층(21) 내 관통구로서 형성된다. 유체 통로들(102 및 103)은 공급 통로(101)에 대해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유체 통로들(102 및 103)과 연관된 공급 통로(101)의 배열은, 유체 공급 채널(70)의 선형 부분을 따라 대응하는 오프셋(offset)을 구비하여, 다양한 제1 구획들(31-36) 및 제2 구획들(41-46)에 대해 각각 동일하다.
소음 감쇠기(61)는 제2 구획들(41-46) 및 제1 구획들(31-36) 내 제1 층(21)에 개별적으로 부착된다. 소음 감쇠기(61)는 발포체 물질, 압축된 알갱이 물질, 또는 다른 적절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소음 감쇠기(61)는 주요 하우징 부분(20)의 벽 상에 형성된 커넥터(102)들 및 유체 통로들(101 또는 102) 사이를 통과하는 유체는 소음 감쇠기(61)를 따라 또는 통해서 지나간다. 소음 감쇠기(61)는 내부에 그것이 배치되는 개별적인 구획들(31-36 또는 41-46)에 맞춰진 특성들ㅇ르 가질 수 있어서, 팽창 유체 챔버들의 팽창 및 수축과 연관된 시상수들은 적절한 소음 감쇠기(61)를 선택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소음 감쇠기(61)의 크기, 재료 및 밀도는 원하는 유체 저항성을 얻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팽창 유체 챔버가 팽창될 때, 유체는 밸브 어셈블리 하우징의 층을 이룬 몸체 안으로 통합되는 유체 채널들 중 하나를 통해 밸브로부터 개별적인 유체 챔버로 지나간다. 소비자 요구사항들 및 팽창 유체 챔버에 의해 가해진 억제에 따라, 3/3-방향 밸브, 3/2-방향 밸브 또는 2/2-방향 밸브일 수 있다.
복수의 밸브들(50)이 3/3-방향 밸브를 포함한다면, 3/3-방향 밸브는 층을 이룬 몸체 내에 형성된 유체 통로들과 3/3-방향 밸브와 접속(interfacing)하는 세 개의 유체 포트들을 가질 수 있다. 3/3-방향 밸브는 유체가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 중 하나로 통과하도록 하는 유체 통로들(102)과 접속하는 유체 포트,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47) 중 하나로 유체를 통과하게 하는 유체 통로들(103) 중 하나와 접속하는 유체 포트, 및 공급 통로들(101) 중 하나와 접촉하는 입구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층을 이룬 몸체와 3/3-방향 밸브를 접속시키는 세 개의 유체 포트들은 공급 통로(101) 및 연관된 제1 및 제2 유체 통로들(102 및 103)의 배열에 의해 정의된 측면 오프셋들을 구비한 주어진 기하학적 배열을 가진다.
복수의 밸브들(50)이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을 포함한다면, 조합된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은 또한 층을 이룬 몸체 내에 형성된 유체 통로들을 구비한 한 상의 3/2-방향 밸브들과 접촉하는 세 개의 유체 포트들을 가질 수 있다. 한 상의 3/2-방향 밸브들은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 중 하나를 유체가 통과하도록 하는 유체 통로들(102) 중 하나와 접속하는 유체 포트,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47) 중 하나로 유체를 통과시키도록 하는 유체 통로들(103) 중 하나와 접속하는 유체 포트, 및 공급 통로들(101) 중 하나와 접속하는 입구 포트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은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volume)으로 팽창 유체 챔버들로부터 유체를 방출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유체 포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층을 이룬 몸체와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을 접속시키는 세 개의 유체 포트들은 층을 이룬 몸체와 밸브 어셈블리의 3/3-방향 밸브를 접속시키는 포트들의 기하학적 배열과 동일 할 수 있는 기하학적 배열을 가진다. 층을 이룬 몸체와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을 접속시키는 세 개의 포트들은 공급 통로(101) 및 연관된 제1 및 제2 유체 통로들(102 및 103)의 배열에 의해 정의된 측면 오프셋(offset)들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밸브들(50)이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을 포함한다면, 조합된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은 층을 이룬 몸체 내에 형성된 유체 통로들과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을 접속시키는 세 개의 유체 포트들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은 복수의 제1 유체 챔버들(37) 중 하나로 유체를 통과시키도록 하는 유체 통로들(102) 중 하나와 접속하는 유체 포트, 복수의 제2 유체 챔버들(47) 중 하나로 유체를 통과시키도록 하는 유체 통로들(103) 중 하나와 접속하는 유체 포트, 및 공급 통로들(101) 중 하나와 접속하는 입구 포트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은 하우징에 의해 닫힌 공간으로 팽창 유체 챔버들로부터 유체를 방출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유체 포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층을 이룬 몸체과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을 접속시키는 세 개의 유체 포트들은 층을 이룬 몸체와 밸브 어셈블리의 3/3-방향 밸브를 접속시키는 포트들의 기하학적 배열과 동일할 수 있는 기하학적 배열을 가진다. 층을 이룬 몸체와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을 접속시키는 세 개의 포트들은 공급 통로(101) 및 연관된 제1 및 제2 유체 통로들(102 및 103)의 배열에 의해 정의된 측면 오프셋(offset)들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층을 이룬 몸체와 3/3-방향 밸브 또는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 또는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을 접속시키기 위한 유체 포트들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전기적 커넥터들은 다른 형태들의 밸브들 상에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3/3-방향 밸브는 회로기판에 3/3-방향 밸브를 연결하기 위한 전기적 커넥터들을 구비할 수 있고, 전기적 커넥터들은 미리-정의된 배열을 가진다. 복수의 밸브들(50)이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을 포함한다면, 조합된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은 또한 동일한 미리-정의된 배열 내에 배열된 전기적 커넥터들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밸브들(50)이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을 포함한다면, 조합된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은 또한 동일한 미리-정의된 배열 내에 배열된 전기적 커넥터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형상은 하나 또는 몇몇의 3/3-방향 밸브들, 하나 또는 몇몇 쌍(들)의 3/2-방향 밸브들 및/또는 하나 또는 몇몇 쌍(들)의 2/2-방향 밸브들이 밸브 어셈블리 내에 결합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형상은 다른 형태들의 밸브들이 원하는 바에 따라 각각 위치되도록 허용하여서 선택된 한 쌍의 제1 유체 구획(31-36) 및 대향하는 제2 유체 구획(41-46)과 소통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밸브 어셈블리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복수의 밸브들(50)을 도시한다. 복수의 밸브들(50)은 3/3-방향 밸브(51), 다른 3/3-방향 밸브(52), 다른 3/3-방향 밸브(53),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54a 및 54b), 다른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55a 및 55b), 및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56a 및 56b)을 포함한다. 유체가 공급되는 팽창 유체 챔버들의 수에 따라 및/또는 연장된 시간 동안 일정 압력으로 유지되는 유체 챔버들의 수에 따라, 밸브들의 다른 조합들이 사용될 수 있다.
3/3-방향 밸브는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의 외부 치수들 또는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의 외부 치수들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외부 치수들을 가진다. 외부 치수들 내 변화들은 그것들이 3/3-방향 밸브,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 및/또는 2/2-방향 밸브들 또는 그것들의 조합이 유체 공급 채널(70)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서로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허용하여서 제1 구획들(31-36) 중 하나 및 제2 구획들(41-46) 중 하나와 각각 접속하도록 하는 한 허용할 만하다.
3/3-방향 밸브는 전자기 액츄에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부분들(57, 58)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부분들(57, 58) 내에 포함된 액츄에이터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부분들(57, 58)은 두 개의 부분들( 57, 58) 사이에 배치된 중앙 부분(81)을 거쳐 유체 소통된다. 각각 액츄에이터 및 중앙 부분(81)을 가지는 두 개의 부분들(57, 58)을 포함하는 3/3-방향 밸브는 통합된 유니트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부분(81)은 유체 공급 채널과 3/3-방향 밸브를 접속시키는 3/3-방향 밸브의 입구 포트, 복수의 제1 구획들(31-36) 중 하나 내에 배치된 하나의 유체 채널(37)과 3.3-방향 밸브를 접속시키기 위한 유체 포트, 및 복수의 제2 구획들(41-46) 중 하나 내에 배치된 하나의 유체 채널(47)과 3/3-방향 밸브를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유체 포트를 정의할 수 있다.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은 제1 3/2-방향 밸브(54a), 제 3/2-방향 밸브(54b) 및 중앙 부분(91)을 포함한다. 3/2-방향 밸브들(54a, 54b) 및 중앙 부분(91)은 통합된 유니트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부분(91)은 두 개의 3/2-방향 밸브들(54a, 54b)의 공통의 입구 포트를 정의할 수 있다. 중앙 부분(91)은 복수의 제1 구획들(31-36) 중 하나 내에 배치된 하나의 유체 채널(37)과 유체 소통하는 제1 3/2-방향 밸브(54a)의 포트를 더 정의할 수 있다. 중앙 부분(91)은 또한 복수의 제2 구획들(41-46) 중 하나 내에 배치된 하나의 유체 채널(47)과 유체 소통하는 제2 3/2-방향 밸브(54b)의 포트를 정의할 수 있다. 3/2-방향 밸브들 중 각각은 유체를 방출하는 다른 포트(94)를 구비한다. 유체 포트(94)는 밸브 어셈블리의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서 3/2-방향 밸브들 중 하나를 거쳐 팽창 유체 챔버들 중 하나로부터 방출된 유체는 밸브 어셈블리의 하우징에 의해 닫힌 공간으로 출력된다. 유체는, 소음 레벨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밸브 어셈블리의 외부로 절단부들(76)을 통해 그리고 소음 감쇠기 구획(74)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은 제2 밸브들(56a 및 56b), 및 중앙 부분(91)을 포함할 수 있다. 2/2-방향 밸브들(56a, 56b) 및 중앙 부분(91)은 통합된 유니트로 형성될 수 있다. 2/2-방향 밸브들은 3/2-방향 밸브들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3/2-방향 밸브가 유체 포트(94)를 가지는 위치에서 닫힘 부재(104)를 구비한다.
설치된 상태에서, 밸브는, 제1 또는 제2 유체 채널들 및 연관된 커넥터(26 또는 28)에 부착된 연결 부재 중 하나를 거쳐, 하나의 팽창 유체 챔버로 연결될 수 있다. 밸브(51)와 같은, 3/3-방향 밸브는 복수의 제1 구획들(31-36) 중 하나 내에 배치된 유체 채널과 유체 소통하는 유체 포트 및 복수의 제2 구획들(41-46) 중 하나 내에 배치된 유체 채널과 유체 소통하는 유체 포트를 구비한다. 3/3-방향 밸브는 두 개의 3/2-방향 밸브들, 두 개의 2/2-방향 밸브들 또는 한 쌍의 3/2-방향 밸브 및 2/2-방향 밸브와 동일한 밸브 어셈블리 내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지시된 VII-VII선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10)를 통한 단면도이다. 조합된 제1 층(21) 및 제2 층(22)은 복수의 분리 구획들을 정의하고 이들 내에서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 중 각각이 배열된다. 소음 감쇠기(61)가 구획들 내에 제공되어서 구획을 통해 지나가는 유체는 소음 감쇠기(61)를 따라 또는 통해서 지나간다. 소음 감쇠기(61)의 형상은 연관된 팽창 유체 챔버를 팽창시키거나 수축시키기 위한 원하는 시상수들을 얻도록 선택될 수 있다.
3/3-방향 밸브의 중앙 부분(81)은 유체 공급 채널(70)을 접속시키는 밸브의 유체 입구 포트와 직접 유체 소통하는 채널(82)을 정의한다. 중앙 부분(81)은, 유체 공급 채널(70)로부터 거리를 두고, 유체 공급 채널(70)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채널(83)을 더 정의한다. 채널(83)은, 유체 공급 채널(70)에 대해 대향하면 측면들 상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채널들(47) 중 하나 및 제1 유체 채널들(37) 중 하나 사이를 유체가 지나가도록 한다. 중앙 부분(81)은 도 7에 도시된 절단면에 대해 배치된 통로들을 거쳐 채널(83)과 유체 소통하는 채널(84)을 더 정의한다. 3/3-방향 밸브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유체는 채널(82) 및 채널들(83, 84) 사이로 지나가도록 허용될 수 있다.
중앙 부분(81)은 층을 이룬 몸체와 접속하는 밸브의 포트(85)를 정의한다. 도 7에서, 유체 포트(85)는 유체 공급 채널(70)에 대해 제1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유체 채널(37)을 접속시킨다. 씰링 부재(sealing member; 86)가 유체 포트(85)에 제공된다. 씰링 부재(86)는 3/3-방향 밸브의 중앙 부분(81)과 통합적으로 형성되거나 이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의 중앙 부분(91)은 유체 공급 채널(70)을 접속시키는 유체 입구 포트와 직접 유체 소통하는 채널(92)을 정의한다. 중앙 부분(91)은 층을 이룬 몸체 내에 형성된 유체 채널들(37 또는 47) 중 하나와 직접 유체 소통하는 채널(93)을 더 정의한다. 3/2-방향 밸브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유체는 채널(92) 및 채널(93) 사이로 지나가도록 허용될 수 있다.
중앙 부분(91)은, 3/2-방향 밸브들 중 각각에 대해, 층을 이룬 몸체와 접속하는 포트(97)를 정의한다. 도 7에서, 유체 포트(97)는 유체 공급 채널(70)에 대해 제1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유체 채널(37)을 접속시킨다. 중앙 부분(91)은 유체 공급 채널(70)에 대해 제2 측면 상에 배치된 제2 유체 채널(47)과 한 쌍의 밸브들 중 다른 3/2-방향 밸브를 접속시키는 다른 포트를 정의한다. 씰링 부재(98)가 유체 포트(97)에 제공된다. 씰링 부재(98)는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의 중앙 부분(91)과 통합적으로 형성되거나 이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의 중앙 부분(91)은 설명된 바와 같이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의 중앙 부분(91)에 대해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3/2-방향 밸브 및 2/2-방향 밸브는 또한 그 사이로 연장하는 중앙 부분(91)과 함께 통합된 유니트 내로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밸브 어셈블리(10)를 통한 단면도이다. 도 8의 도면 평면은 유체 공급 채널(70)의 선형 부분의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게 향한다. 도면 평면은 그것이 3/3-방향 밸브의 축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3/3-방향 밸브는 전자기 액츄에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부분들(57, 58)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설명을 위해, 전자기 액츄에이터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는 코일(112), 코일(112)에 대해 이동가능한 밸브 몸체(113)로서 기능하는 전기자(amature), 및 밸브 몸체(113)의 단부가 중앙 부분(81) 상에 인접하는 일반적으로 닫힌 위치 안으로 밸브 몸체(113)를 치우치게 하는 바이어스 부재(bias member; 114)를 포함할 수 있다. 부분(58)의 바이어스 부재(114)는 밸브 몸체(113)를 치우치게 할 수 있어서 부분(57)의 전자기 액츄에이터가 활성화되지 않을 때 채널(82)은 밸브 몸체(113)에 의해 닫힌다. 부분(58)의 바이어스 부재(114)는 밸브 몸체(113)를 치우치게 할 수 있어서 부분(57)의 전자기 액츄에이터가 활성화되지 않을 때 채널(88)은 밸브 몸체(113)에 의해 닫힌다. 설명된 바와 같이, 전자기 액츄에이터는 자기장 강도를 증가시키는 목적을 위해 코일(112)의 축 단부들 사이로 연장하는 C-형상 금속 프레임(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분들(57 및 58)의 축 단부들은 부분들(57 및 58) 각각의 이러한 축 단부들을 통해 유체가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닫힘 부재(87)에 의해 각각 닫힐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의 사용에서, 커넥터(29)는 호스와 같은 유체 라인을 통해 팽창 유체 챔버에 연결된다. 하우징의 대향하는 측벽 상에 배치된, 대향하는 커넥터(27)는 팽창 유체 챔버가 수축될 때 유체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 포트로서 기능한다.
3/3-방향 밸브는 층을 이룬 몸체와 접속하는 세 개의 포트들을 구비한다. 3/3-방향 밸브는 유체 공급 채널(70)과 직접 유체 소통하는 입구 포트(89)를 구비한다. 3/3-방향 밸브는, 제1 구획들(31-36) 중 하나 내에 또는 제2 구획들(41-46) 중 하나 내에 배열된 유체 채널일 수 있는,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하나의 유체 채널과 직접 유체 소통하는 유체 포트(84)를 구비한다. 3/3-방향 밸브는, 제1 구획들(31-36) 중 하나 내에 또는 제2 구획들(41-46) 중 하나 내에 배열된 유체 채널일 수 있는,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하나의 유체 채널과 직접 유체 소통하는 다른 유체 포트(90)를 구비한다. 유체 포트(84)가 제1 구획들(31-36) 중 하나 내에 배치된 유체 채널(37)과 직접 유체 소통한다면, 유체 포트(90)는 제2 구획들(41-46) 중 하나 내에 배치된 유체 채널(47)과 직접 유체 소통하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형상에서, 유체 포트(84)는 제1 구획들(31-36) 중 하나 내에 배열된 유체 채널들(37) 중 하나와 직접 유체 소통하고, 유체 포트(90)는 제2 구획들(41-46) 중 하나 내에 배치된 유체 채널들(47) 중 하나와 직접 유체 소통한다.
층을 이룬 몸체는 유체 공급 채널(70) 내 공급 통로(101), 3/3-방향 밸브 및 제1 유체 채널(37) 사이로 유체를 통과하게 하는 제1 통로(102) 및 3/3-방향 밸브 및 제2 유체 채널(47) 사이로 유체를 통과하도록 하는 제2 통로(103)를 정의한다. 층을 이룬 몸체의 공급 통로(101)는 3/3-방향 밸브의 입구 포트(89)과 함께 정렬된다. 층을 이룬 몸체의 제1 통로(102)는 3/3-방향 밸브의 유체 포트(84)와 함께 정렬된다. 층을 이룬 몸체의 제2 통로(103)는 3/3-방향 밸브의 유체 포트(90)와 정렬된다.
씰링 물질(86)은 공급 통로(101)와 유체 입구 포트(89) 사이, 제1 통로(102)와 유체 포트(84) 사이, 및 제2 통로(103)와 유체 포트(90) 사이에 개재된다. 씰링 물질(86)은 3/3-방향 밸브의 중앙 부분(81)과 함께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씰링 물질(86)은 또한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씰링 물질(86)은 3/3-방향 밸브의 중앙 부분(81)보다 큰 탄력(resiliency)을 가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3/3-방향 밸브의 중앙 부분(81)은 압력 센서(17)와 맞물리는 리세스를 더 정의한다. 리세스는 채널(83)과 유체 소통한다. 압력 센서(17)는, 압력 센서(17) 및 3/3-방향 밸브로부터 분리된 연결 부재들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3/3-방향 밸브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3/3-방향 밸브의 중앙 부분(81)의 채널(84) 및 채널(83)은 3/3-방향 밸브의 액츄에이터가 활성화되지 않을 때에도 유체 소통되게 남아 있다. 그에 의해, 3/3-방향 밸브와 연관된 팽창 유체 챔버 및 채널(83) 사이 유체 소통은 부분(58) 내 솔레노이드가 활성화되지 않을 때에도 유지된다. 중앙 부분(81)의 형상은, 커넥터(29)와 압력 센서(17) 사이로 통과할 때, 유체가 좁은 곳을 통과하지 않도록 될 것이다. 압력 센서(17)는 3/3-방향 밸브와 연관된 유체 챔버 내 압력을 감지한다.
게다가, 부분(58) 내 전자기 액츄에이터가 채널(82)을 거쳐 채널(83)과 유체 공급 채널(70) 사이 유체 소통을 수립하도록 작동될 때, 압력 센서(17)에 의해 제공된 비-조정 출력 신호는 조정된 압력 센서(18)에 의해 제공된 출력 신호와 비교될 수 있다. 압력 센서(17)는 비교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3/3-방향 밸브의 작동은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된 형상에서, 커넥터(29)는 팽창 유체 챔버에 결합되고 커넥터(27)는 배출구로서 기능한다. 작동시, 3/3-방향 밸브의 전자기 액츄에이터들 중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동시에 작동된다.
유체 챔버 내 유체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부분(58) 내 전자기 액츄에이터가 활성화된다. 부분(58) 내 밸브 몸체(113)의 결과적인 움직임은 채널(82, 83) 및 채널(84) 사이 유체 소통을 수립한다. 압력 유체 소스(7)는 유체 공급 채널로 가압된 유체를 제공하도록 제어되어서, 유체 공급 채널(70) 내 압력은 팽창 유체 챔버 내 현재 압력을 초과한다. 유체는 유체 공급 채널(70)로부터 공급 통로(101), 입구 포트(89), 채널들(82 및 84), 유체 포트(85) 및 제1 통로(102)를 통해 유체 채널(37) 안으로 통과하도록 허용된다. 따라서 압력 유체 소스에 의해 공급된 유체는 3/3-방향 밸브로부터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유체 채널을 통해 그리고 커넥터(29)를 통해 팽창 유체 챔버로 지나간다.
유체 챔버 내 유체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부분(57) 또는 부분(58) 내 전자기 액츄에이터 중 하나도 활성화되지 않는다.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유체 채널(37)은 팽창 유체 챔버와 유체 소통되게 남아 있다. 부분(58)의 밸브 몸체(113)는 중앙 부분(81) 상에 접해서 유체가 채널(82) 안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부분(57)의 밸브 몸체(113)는 중앙 부분(81) 상에 접해서 유체가 채널(88) 안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에 의해, 3/3-방향 밸브를 통해 유체가 나가는 것은 방지되고 유체의 양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부분(57 및 58) 내 전자기 액츄에이터들 중 하나도 활성화되지 않는다.
유체 챔버 내 유체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부분(57) 내 전자기 액츄에이터는 활성화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3/3-방향 밸브의 중앙 부분(81) 내에 형성된 채널(83) 및 채널(84)은 서로 직접 유체 소통한다. 유체 공급 채널(70)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채널(83)은,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유체 채널(37)을 거쳐, 팽창된 유체 채널과 유체 소통한다. 부분(57) 내 솔레노이드가 활성화될 대, 부분(57) 내 밸브 몸체(113)의 결과적인 움직임은 채널(83)과 채널(88) 사이 유체 소통을 수립한다. 유체는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유체 채널(37)을 통해 팽창 유체 챔버로부터, 제1 통로(102), 유체 포트(85), 채널(84), 채널(83), 채널(88), 유체 포트(90), 및 제2 통로(103)를 통해 유체 채널(47) 안으로 지나가도록 허용된다. 이어서 유체는 커넥터(27)를 통해 출력된다. 유체 챔버가 수축될 때, 유체는 유체 공급 채널(70)에 대해 제1 측면 상에 배치된 유체 채널(37) 및 유체 공급 채널(70)에 대해 대향하는 제2 측면 상에 배치된 유체 채널(47) 양자를 통해 지나가도록 된다. 유체는 유체 채널들(37 및 47) 중 하나 내 소음 감쇠기(61)를 따라 또는 통해서 지나가서, 소음 레벨을 감소시킨다. 게다가, 수축 비율은 적절한 유체 저항을 설정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유체 포트(85)가 제1 통로(102)를 접속시키고 유체 포트(90)가 제2 통로(103)를 접속시키도록 설치되도록 3/3-방향 밸브가 도시되지만, 3/3-방향 밸브는 그것이 또한 다른 방향 내에서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3/3-방향 밸브는 유체 포트들(85 및 90)이 입구 포트(89)에 대해 대칭되게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3/3-방향 밸브가 도 8에 도시된 형상 내에서뿐만 아니라, 3/3-방향 밸브가 입구 포트(89)이 중앙 축 및/또는 공급 통로(101)의 중앙 축 주위로 180°로 회전되는 형상 내에서도 설치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회전된 형상에서, 팽창 유체 챔버는 커넥터(27)에 연결되고, 대향하는 측벽 상의 커넥터(29)는 방출 개구로서 기능한다. 3/3-방향 밸브의 세 개의 포트들의 대칭적 배열에 의해 제공된 적응성(flexibility)은 커넥터들이 유연하게 할당되도록 허용하여서 그것들은 연관된 팽창 유체 챔버에 연결된 커넥터로서 또는 유체 챔버의 수축 시 유체를 방출하기 위한 배출 포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유체 라인들 내 초과 곡률 및/또는 초과 유체 라인 길이들은 피해질 수 있다.
도 9는 밸브 어셈블리(10)를 통한 단면도이다. 도 9의 도면 평면은 유체 공급 채널(70)의 선형 부분의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게 향한다. 도면 평면은 그것이 3/2-방향 밸브의 축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된 요소들 및 특징들에 대한 기능 및/또는 그것들의 형상에 대해 대응하는 요소들 및 특징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들에 의해 지시된다.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은 제1 3/2-방향 밸브(54a) 및 제2 3/2-방향 밸브(54b)를 포함하고, 각각은 전자기 액츄에이터를 가진다. 제한되지 않은 설명을 위해, 전자기 액츄에이터를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3/2-방향 밸브의 바이어스 부재(114)는 제1 3/2-방향 밸브(54a)의 밸브 몸체(113)를 치우치게 할 수 있어서 제1 3/2-방향 밸브(54a)의 전자기 액츄에이터가 활성화되지 않을 때 채널(92)은 밸브 몸체(113)에 의해 닫힌다. 제2 3/2-방향 밸브(54b)의 바이어스 부재(114)는 제2 3/2-방향 밸브(54b)의 밸브 몸체(113)를 치우치게 할 수 있어서 제2 3/2-방향 밸브(54b)의 전자기 액츄에이터가 활성화되지 않을 때 채널(92)은 밸브 몸체(113)에 의해 닫힌다.
제 3/2-방향 밸브(54a)의 축 단부(94) 및 제2 3/2-방향 밸브(54b)의 축 단부(94)는 개방되고 방출 포트를 정의한다. 3/2-방향 밸브들(54a 및 54b)은 각각, 전자기 액츄에이터가 활성화되지 않을 때, 채널(93)이 개방 축 단부(94)와 유체 소통하고, 전자기 액츄에이터가 활성화될 때, 밸브 몸체(113)는 축 단부(94)와 채널(93) 사이 유체 소통을 변경하고 가로막으면서 채널(93)과 채널(92) 사이 유체 소통을 수립하도록 형성된다.
밸브 어셈블리의 사용에서, 커넥터(29)는 호스와 같은 유체 라인을 통해 팽창 유체 챔버에 연결된다. 대향하는 커넥터(27)는 호스와 같은 유체 라인을 통해 다른 팽창 유체 챔버에 연결되나. 두 개의 유체 챔버들은 각각 마사지 유니트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한 쌍의 3/2-방향 밸브는 층을 이룬 몸체와 접속하는 세 개의 포트들을 구비한다. 한 쌍의 3/2-방향 밸브는 유체 공급 채널(70)과 직접 유체 소통하는 입구 포트(99)를 구비한다. 제1 3/2-방향 밸브(54a)는, 제1 구획들(31-36) 중 하나 내에 또는 제2 구획들(41-46) 중 하나 내에 배열된 유체 채널일 수 있는,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하나의 유체 채널과 직접 유체 소통하는 유체 포트(97)를 구비한다. 제 3/2-방향 밸브(54b)는, 제1 구획들(31-36) 중 하나 내에 또는 제2 구획들(41-46) 중 하나 내에 배열된 유체 채널일 수 있는,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하나의 유체 채널과 직접 유체 소통하는 다른 유체 포트(100)를 구비한다. 유체 포트(97)가 제1 구획들(31-36) 중 하나 내에 배치된 유체 채널(37)과 직접 유체 소통한다면, 그 쌍의 다른 3/2-방향 밸브의 유체 포트(100)는 제2 구획들(41-46) 중 하나 내에 배치된 유체 채널(47)과 직접 유체 소통하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형상에서, 유체 포트(97)는 제1 구획들(31-36) 중 하나 내에 배열된 유체 채널들(37) 중 하나와 직접 유체 소통하고, 유체 포트(100)는 제2 구획들(41-46) 중 하나 내에 배치된 유체 채널들(47) 중 하나와 직접 유체 소통한다.
층을 이룬 몸체의 공급 통로(101)는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의 유체 입구 포트(9)와 정렬된다. 층을 이룬 몸체의 제1 통로(102)는 제1 3/2-방향 밸브의 유체 포트(97)와 정렬된다. 층을 이룬 몸체의 제2 통로(103)는 제2 3/2-방향 밸브의 유체 포트(100)와 정렬된다. 제1 3/2-방향 밸브(54a)의 그리고 제2 3/2-방향 밸브(54b)의 축 단부들(94)은 개별적인 밸브의 유체 포트들을 더 정의한다.
씰링 물질(98)은 공급 통로(101)와 유체 입구 포트(99) 사이, 제1 통로(102)와 제1 3/2-방향 밸브의 유체 포트(97) 사이, 및 제2 통로(103)와 제2 3/2-방향 밸브의 유체 포트(100) 사이에 개재된다. 씰링 물질(98)은 한 쌍의 3/2-방향 밸브의 중앙 부분(91)과 함께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씰링 물질(98)은 또한 중앙 부분(91)으로부터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씰링 물질(98)은 한 쌍의 3/32-방향 밸브들의 중앙 부분(91)보다 큰 탄력(resiliency)을 가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 쌍의 3/2-방향 밸브의 작동은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형상에서, 분리된 팽창 유체 챔버들은 대향하는 커넥터들(29 및 27)에 결합된다. 작동은 제1 3/2-방향 밸브의 그리고 제2 3/2-방향 밸브의 대향하는 전자기 액츄에이터 중 하나만이 동시에 활성화되도록 이행될 수 있다. 두 개의 전자기 액츄에이터들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다음에서, 제1 3/2-방향 밸브(54a)의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제2 3/2-방향 밸브(54b)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제1 3/2-방향 밸브(54a)와 연관된 유체 챔버 내 유체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 3/2-방향 밸브(54a)의 전자기 액츄에이터가 활성화된다. 제1 3/2-방향 밸브(54a)의 밸브 몸체(113)의 결과적인 움직임은 채널(92) 및 채널(93) 사이 유체 소통을 수립한다. 압력 유체 소스(7)는 유체 공급 채널(70)로 가압된 유체를 제공하도록 제어되어서, 유체 공급 채널(70) 내 압력은 팽창 유체 챔버 내 현재 압력을 초과한다. 유체는 유체 공급 채널(70)로부터 공급 통로(101), 입력 포트(99), 채널들(92 및 93), 유체 포트(97) 및 제1 통로(102)를 통해 유체 채널(37) 안으로 통과하도록 허용된다. 따라서 압력 유체 소스(7)에 의해 공급된 유체는 제1 3/2-방향 밸브(54a)로부터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유체 채널(37)을 통해 그리고 커넥터(29)를 통해 팽창 유체 챔버로 지나간다.
유체 챔버 내 유체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1 3/2-방향 밸브(54a) 내 전자기 액츄에이터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이어서 바이어스 부재(114)가 중앙 부분(91)에 대해 밸브 몸체(113)를 치우치게 해서 제1 3/2-방향 밸브(54a)의 채널(92) 및 유체 포트(97) 사이 유체 소통을 가로막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체 포트(97)는 제1 3/2-방향 밸브(54a)의 포트(94)와 유체 소통한다. 이는, 제1 통로(102) 및 유체 포트(97)를 통해, 층을 이룬 몸체 내에 형성된 유체 채널(37) 및 유체 포트(94) 사이로 유체가 지나가도록 허용한다. 팽창 유체 챔버 내 압력이 주변 압력을 초과할 때, 주변 압력이 도달할 때까지 유체는 제1 3/2-방향 밸브(54a)를 거쳐 팽창 유체 챔버로부터 방출된다. 유체는 유체 포트(94)를 통해 제1 3/2-방향 밸브(54a)를 빠져나간다. 유체 포트(94)는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하우징 안으로 포트(94)로부터 방출된 유체는 솔레노이드 상의 냉각 효과를 제공하도록 기능할 수 있어서, 과중한 고온이 일어나는 위험을 감소시킨다.
제1 3/2-방향 밸브(54a)를 빠져나온 유체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층(21) 내에 형성된 관통구(75)를 향해 하우징의 내부 안에서 지나갈 수 있다. 유체는 소음 감쇠기 구획(74)을 통해 지나가고 절단부(76)를 통해 밸브 어셈블리의 하우징을 빠져나간다. 소음 감쇠기 구획(74)은 그 안에 배열된 소음 감쇠기들(62, 63)을 구비하고 유체가 팽창할 수 있는 공간을 정의한다. 그에 의해, 소음 레벨은 감소될 수 있다.
제1 3/2-방향 밸브(54a)와 연관된 팽창 유체 챔버는 선택적으로 팽창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3/2-방향 밸브(54b)와 연관된 다른 유체 챔버가 선택적으로 팽창하거나 수축될 수 있다. 3/2-방향 밸브들의 전자기 액츄에이터들은 반복적인 방식으로, 특히 주기적으로 각각 활성화될 수 있다. 제1 3/2-방향 밸브(54a)의 전자기 액츄에이터 및 제2 3/2-방향 밸브(54b)의 전자기 액츄에이터는 교호(alternating) 방식으로 활성화 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마사지-형태 팽창 및 수축이 연관된 유체 챔버들 내에서 실현될 수 있다.
도 10은 밸브 어셈블리(10)를 통한 단면도이다. 도 10의 도면 평면은 유체 공급 채널(70)의 선형 부분의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게 향한다. 도면 평면은 그것이 한 쌍의 2/2-방향 밸브의 축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은 일반적으로 한 쌍의 3/2-방향 밸브들의 구조와 유사하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요소들 및 특징들에 대한 기능 및/또는 그것들의 형상에 대해 대응하는 요소들 및 특징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들에 의해 지시된다.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은 제1 2/2-방향 밸브(56a) 및 제2 2/2-방향 밸브(56b)를 포함한다. 2/2-방향 밸브들(56a 및 56b)은 각각 그것들이 닫힘 부재(104)에 의해 닫힌 축 단부들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3/2-방향 밸브들(54a 및 54b)과 구별된다. 닫힘 부재(104)는 3/3-방향 밸브의 닫힘 부재(87)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2/2-방향 밸브(56a)의 전자기 액츄에이터가 활성화되지 않을 때, 밸브 몸체(113)는 채널(93)과 채널(92) 사이 유체 소통을 가로막아서, 유체 채널(37) 내 유체는 2/2-방향 밸브(54a)를 빠져나올 수 없다. 이는 유사하게 제2 2/2-방향 밸브(56b)에 적용된다.
제1 2/2-방향 밸브(56a) 및 제2 2/2-방향 밸브(56b)는 다양한 목적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행에서, 팽창 유체 챔버는 대향하는 커넥터들(27 및 29)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다. 커넥터들의 다른 하나는 팽창 유체 챔버가 수축되거나 다른 팽창 유체 챔버에 연결될 때 방출 개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의 작동은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설명을 위해, 제1 2/2-방향 밸브(56a)의 유체 포트(97)와 소통하는 커넥터(29)는 팽창 유체 챔버에 연결된 것으로 가정한다.
제1 2/2-방향 밸브(56a)의 유체 챔버 내 유체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 2/2-방향 밸브(56a)의 전자기 액츄에이터가 활성화된다. 제1 2/2-방향 밸브(56a)의 밸브 몸체(113)의 결과적인 움직임은 채널(92) 및 채널(93) 사이 유체 소통을 수립한다. 압력 유체 소스(7)는 유체 공급 채널(70)로 가압된 유체를 제공하도록 제어되어서, 유체 공급 채널(70) 내 압력은 팽창 유체 챔버 내 현재 압력을 초과한다. 유체는 유체 공급 채널(70)로부터 공급 통로(101), 입력 포트(99), 채널들(92 및 93), 유체 포트(97) 및 제1 통로(102)를 통해 유체 채널(37) 안으로 통과하도록 허용된다. 따라서 압력 유체 소스에 의해 공급된 유체는 2/2-방향 밸브로부터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유체 채널(37)을 통해 그리고 커넥터(29)를 통해 팽창 유체 챔버로 지나간다.
제1 2/2-방향 밸브(56a)와 연관된 유체 챔버 내 유체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1 2/2-방향 밸브(56a)의 전자기 액츄에이터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바이어스 부재(114)는 한 쌍의 2/2-방향 밸브들의 중앙 부분(91)에 대해 밸브 몸체(113)를 치우치게 해서, 유체 포트(97)와 채널(92) 사이 유체 소통은 가로막힌다.
유체 챔버 내 유체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1 2/2-방향 밸브(56a)의 전자기 액츄에이터는 활성화되고 유체 공급 채널(70) 내 압력은 커넥터(29)에 연결된 팽창 유체 챔버 내 압력보다 작은 레벨로 유지된다. 이는 다양한 방법들로 달성될 수 있다. 일 이행에서, 제2 2/2-방향 밸브(56b)와 소통하는 커넥터(27)는 팽창 유체 챔버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지만, 방출 개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2 2/2-방향 밸브(56b)의 전자기 액츄에이터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유체 공급 채널(70)을 주변 압력으로 가져온다. 동시에 제1 2/2-방향 밸브(56a) 및 제2 2/2-방향 밸브(56b)의 전자기 액츄에이터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유체는 팽창 유체 챔버로부터 제1 유체 채널(37), 제1 2/2-방향 밸브(56a), 유체 공급 채널(70), 제2 2/2-방향 밸브(56b) 및 제2 유체 공급 채널(47)을 거쳐 방출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1 2/2-방향 밸브(56a)와 소통하는 유체 챔버가 수축되고 밸브 어셈블리(10)에 결합된 다른 유체 챔버가 팽창될 때, 제1 2/2-방향 밸브(56a) 및 팽창될 다른 유체 챔버와 연관된 밸브 양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제1 2/2-방향 밸브(56a)와 소통하는 유체 챔버로부터의 유체는 이어서 다른 유체 챔버를 팽창시키는데 사용된다.
밸브 어셈블리(10)가 몇 쌍의 2/2-방향 밸브들을 포함할 때, 다른 2/2-방향 밸브들 중 하나만이 방출 포트로서 기능하는 커넥터(27)와 연관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다른 2/2-방향 밸브들과 연관된 팽창 유체 챔버들로부터의 유체는 이어서 유체 공급 채널(70)과 주변 대기 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어가능하게 수립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2/2-방향 밸브를 통해 쉽게 방출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10)는 연관된 팽창 유체 챔버들 안으로 도입된 유체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몇몇 쌍의 2/2-방향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밸브 어셈블리(10)는 한 쌍의 제1 2/2-방향 밸브들, 한 쌍의 제2 2/2-방향 밸브들 및 한 쌍의 제3 2/2-방향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2/2-방향 밸브들의 2/2-방향 밸브들은 하부 시트 부분의 측면 부분들 내에 설치된 우측 및 좌측 유체 챔버들과 유체 소통할 수 있어서, 각각의 2/2-방향 밸브들은 하나의 유체 챔버와만 유체 소통한다. 한 쌍의 제2 2/2-방향 밸브들의 2/2-방향 밸브들은 등받이 부분의 측면 부분들 내에 설치된 유체 챔버들과 유체 소통할 수 있어서, 각각의 2/2-방향 밸브들은 하나의 유체 챔버와만 유체 소통한다. 한 쌍의 제3 2/2-방향 밸브들의 2/2-방향 밸브들, 도는 한 쌍의 제3 2/2-방향 밸브들 중 2/2-방향 밸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방출 유체를 위한 대기압에서의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작동시, 시트 또는 등받이 측면 받침 내에 설치된 유체 챔버들 중 하나를 팽창시키기 위해서, 제1 및/또는 제2 쌍의 2/2-방향 밸브들의 연관된 2/2-방향 밸브가 작동되고 유체 공급 채널(70)에 압력 유체가 공급된다. 제3 쌍의 2/2-방향 밸브들의 2/2-방향 밸브가 작동되지 않아서, 유체 공급 채널(70)은 대기압과 유체 소통하지 않는다. 유체 챔버 내로 도입된 유체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제1 및/또는 제2 쌍의 2/2-방향 밸브들의 연관된 2/2-방향 밸브는 작동되지 않고, 그에 의해 유체 챔버 및 유체 공급 채널(70) 사이의 유체 소통을 가로막는다. 유체 챔버 내로 도입된 유체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1 또는 제2 쌍의 2/2-방향 밸브들의 연관된 2/2-방향 밸브가 작동되고 제3 쌍의 2/2-방향 밸브들의 적어도 하나의 2/2-방향 밸브가 작동되어서, 두 개의 작동된 2/2-방향 밸브들을 거쳐 그리고 유체 공급 채널(70)을 거쳐 유체 챔버 및 대기압 사이의 유체 소통을 수립한다.
밸브 어셈블리가 하나 또는 몇몇 쌍들의 2/2-방향 밸브들을 포함할 때, 체크 밸브(check valve)가 펌프를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체크 밸브는 밸브 어셈블리 내로 통합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체크 밸브는 유체 공급 채널(70) 내로 통합될 수 있다. 또는, 체크 밸브는 또한 펌프 내로 통합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쌍들의 2/2-밸브들은 다른 밸브들 또는 다른 쌍들의 밸브들과 결합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밸브 어셈블리는 세 개의 3/3-방향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은 허리 지지부의 세 개의 팽창할 수 있는 유체 챔버들 중 하나에 각각 연관된다. 밸브 어셈블리는 시트 부분 및 등받이 부분 상에 측면 지지부들을 형성하는 바람주머니들의 쌍들의 작동을 위한 세 쌍의 2/2-방향 밸브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3/3-방향 밸브, 3/2-방향 밸브들의 쌍 및 2/2-방향 밸브들의 쌍은 모두 그것들이 층을 이룬 몸체과 접속하는 유체 포트들의 동일한 배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3/3-방향 밸브들, 3/2-방향 밸브들의 쌍 및 2/2-방향 밸브들의 쌍의 다른 조합들이 일 밸브 어셈블리 내에 결합되도록 허용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가 설명되었다. 다른 형상들은 다른 실시예들 내에서 이행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코일 및 바이어스 스프링을 구비하는 전자기 액츄에이터들이 설명되었지만, 다른 전자기 액츄에이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밸브 어셈블리는 다른 형태들의 밸브들이 유연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모듈 형태를 가진다. 하우징은 다른 형태들의 밸브들이 밸브 어셈블리 내에 조립될 때 맞춰질 필요가 없다. 다른 형태들의 밸브들을 포함하는 밸브 어셈블리가 설명되었지만, 실시예들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는 다른 형태들의 밸브들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서, 층을 이룬 몸체 및 다양한 형태들의 밸브들의 형상은 다른 형태들의 밸브들이 유연한 방식으로 하나의 밸브 어셈블리 안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다른 밸브들이 실제로 밸브 어셈블리 내에 존재할 필요는 없다. 설명을 위해, 소비자들의 필요성에 따라, 밸브 어셈블리는 3/3-방향 밸브들만, 또는 3/2-방향 밸브들만, 또는 2/2-방향 밸브들만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3/2-방향 밸브들이 통합된 유니트를 형성하도록 조합되거나 두 개의 2/2-방향 밸브들이 통합된 유니트를 형성하도록 조합되는 밸브 어셈블리들이 설명되었지만, 다른 밸브들의 조합들을 정의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설명을 위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형상의 3/2-방향 밸브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형상의 2/2-방향 밸브가 통합된 유니트를 형성하기 위해 조합될 수 있다.
소음 감쇠기 요소들이 층을 이룬 몸체 내로 통합된 밸브 어셈블리들이 설명되었지만, 소음 감쇠기 요소들은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커넥터들이 연관된 측벽의 평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 내 측벽들로부터 돌출하는 하우징이 설명되었지만, 커넥터들은 또한 연관된 측벽의 평면에 대해 90°보다 작은 각도로, 즉 연관된 측벽의 평면의 수직한 것에 대해 0°보다 큰 각도로, 배치된 길이방향 축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커넥터들에는 커넥터에 유체 라인을 고정하는 것을 돕는 고정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고정 요소들의 예들은 유체 라인이 개별적인 커넥터에 부착될 때 유체 라인 안으로 물리는 가장자리들을 포함한다. 커넥터들은 그것들이 연관된 측벽의 평면에 대해 작은 각도로 연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행에서, 커넥터들은 연관된 측벽에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다.
통합된 압력 센서들을 가지는 밸브 어셈블리가 설명되었지만, 압력 센서(들)는 또한 밸브 어셈블리로부터 생략될 수 있고 분리되게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이 시트 조절 장치 또는 밸브 어셈블리 안으로 통합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일 실시예의 밸브 어셈블리는 층을 이룬 몸체에 의해 정의된 유체 채널들 중 어떠한 것에도 연결되지 않거나 유체 공급 채널에만 연결된 추가적인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층을 이룬 몸체 내에 형성된 대향하는 제1 및 제2 구획들이 유체 공급 채널의 중앙 평면에 대해 거울-대칭인 층을 이룬 몸체의 제1 층 및 제2 층의 형상이 설명되었지만, 대향하는 제1 및 제2 구획들은 또한 유체 공급 채널의 선형 부분의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도록 향하고 유체 공급 채널을 통해 지나는 축에 대해 역-대칭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차량 시트 내 허리 지지부의 조절, 측면 지지부 및/또는 마사지 유니트들의 내용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는 적용의 이러한 특정 분야에 제한되지 않는다. 설명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또는 몇몇의 마사지 유니트들의 제어 동작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바람직하게 다양한 형태들의 지지부 및 넓은 범위의 시트들 내 마사지 바람주머니들로 유체를 공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10: 밸브 어셈블리
20: 하우징
50: 밸브
70: 유체 공급 채널

Claims (15)

  1. 층을 이룬 몸체(21, 22)를 포함하고, 상기 층을 이룬 몸체(21, 22)는 제1 층(21) 및 제2 층(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21) 및 상기 제2 층(22)은 결합하여 유체 공급 채널(70),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 및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47)을 정의하는, 하우징(20, 22, 23); 및
    상기 하우징(20, 2, 23)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밸브들(50) 중 각각의 밸브는 상기 유체 공급 채널(70) 및 상기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 및 상기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47)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과 유체 소통하는, 복수의 밸브들(50);
    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공급 채널(70), 상기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 및 상기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47)은 상기 제1 층(21) 및 상기 제2 층(22)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유체 공급 채널(70)은 상기 층을 이룬 몸체(21, 22)를 분할하여서 상기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은 상기 유체 공급 채널(70)에 대해 제 1 측면 상에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47)은 상기 유체 공급 채널(70)에 대해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 상에 배열되는, 특히 시트 조절 장치를 위한, 밸브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브들(50)은 3/3-방향 밸브(51-53) 및 한 쌍의 밸브들(54a, 54b, 55a, 55b, 56a, 56b)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밸브들(5a, 54b, 55a, 55b, 56a, 56b)은 3/2-방향 밸브 및 2/2-방향 밸브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한 쌍의 밸브들(54a, 54b, 55a, 55b, 56a, 56b)은 상기 층을 이룬 몸체(21, 22)와 접속하는 세 개의 유체 포트들(97, 99, 100)을 구비하고,
    상기 3/3-방향 밸브(51-53)는 상기 층을 이룬 몸체(21, 22)와 접속하는 세 개의 유체 포트들(85, 89, 90)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밸브들(54a, 54b, 55a, 55b, 56a, 56b)의 상기 유체 포트들(97, 99, 100) 및 상기 3/3-방향 밸브(51-53)의 상기 유체 포트들(85, 89, 90)은 동일한 기하학적 배열들을 가지는, 밸브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3-방향 밸브(51-53) 및 상기 층을 이룬 몸체(21, 22)는 상기 3/3-방향 밸브(51-53)가 상기 3/3-방향 밸브(51-53)의 180° 회전에 의해 구별되는 두 개의 다른 방향들 내에서 하우징(20, 22, 23) 내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밸브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을 이룬 몸체(21, 22)는 상기 복수의 밸브들(50)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들(51-53, 54a, 54b, 55a, 55b, 56a, 56b)로 상기 유체 공급 채널(70)을 각각 소통시키는 복수의 공급 통로들(101)을 정의하고,
    각각의 공급 통로(101)에 대해, 층을 이룬 몸체(21, 22)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로부터 선택된 유체 채널(37)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의 밸브(51-53, 54a, 55a, 56a)를 소통시키는 연관된 제1 통로(102), 및 상기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47)로부터 선택된 유체 채널(47)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의 밸브(51-53, 54b, 55b, 56b)를 소통시키는 연관된 제2 통로(103)를 정의하며, 상기 연관된 제1 통로(102) 및 상기 연관된 제2 통로(103)는 상기 공급 통로(102)에 대해 대칭되게 배열되는, 밸브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통로(101), 상기 연관된 제1 통로(102), 및 상기 연관된 제2 통로(103)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길이방향 축들을 구비하는, 밸브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을 이룬 몸체(21, 22)는 복수의 상호 유체-기밀인 제1 구획들(31-36) 및 복수의 상호 유체-기밀인 제2 구획들(41-46)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획들(31-36)은 동일한 형태들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 중 하나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2 구획들(41-46)은 동일한 형태들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47) 중 하나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구획들(31-36)로부터 선택된 제1 구획 및 상기 복수의 제2 구획들(41-46)로부터 선택된 제2 구획은 상기 유체 공급 채널(70)에 대해 거울-대칭 또는 역 대칭인, 밸브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채널(70)은 선형 부분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의 각각의 유체 채널(37) 및 상기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47)은 각각 상기 유체 공급 채널(70)의 상기 선형 부분에 가로로 연장하는 선형 부분을 구비하는, 밸브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을 이룬 몸체(21, 22)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 및 상기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47)과 연관된 소음 감쇠기들(6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음 감쇠기들(61)은 상기 층을 이룬 몸체(21, 22)의 상기 제1 층(21) 및 상기 제2 층(22) 사이에 개재되는, 밸브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브들(50)은 상기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로부터 선택된 제1 유체 채널과 유체 소통하는 제1 포트(85) 및 상기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47)로부터 선택된 제 유체 채널과 유체 소통하는 제2 포트(90)를 구비하는, 특히 3/3-방향 밸브(51-53)인,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브들(50)은 통합된 유니트를 형성하는 제2 밸브(54b, 55b, 56b) 및 제1 밸브(54a, 55a, 56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54a, 55a, 56a)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과 유체 소통하는 유체 포트(97)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밸브(54b, 55b, 56b)는 상기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47)과 유체 소통하는 유체 포트(1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54a, 55a, 56a) 및 상기 제2 밸브(54b, 55b, 56b)는 상기 유체 공급 채널(70)과 유체 소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포트(99)를 포함하는, 밸브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3/2-방향 밸브(54a, 55a)이고 상기 제2 밸브는 3/2-방향 밸브(54b, 55b)이며,
    상기 제1 밸브(54a, 55a)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 중 하나로부터 상기 하우징(20, 22, 2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안으로 유체를 방출시키는 방출 포트(94)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밸브(54b, 55b)는 상기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47) 중 하나로부터 상기 하우징(20, 22, 2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안으로 유체를 방출시키는 방출 포트(94)를 구비하는, 밸브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 22, 23)은 커넥터들(29)의 제1 복수(28)가 제공된 제1 측벽(25) 및 커넥터들(27)의 제2 복수(26)가 제공된 제2 측벽(2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24, 25)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복수의 커넥터들(28)의 각각의 커넥터(29)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 중 하나와 각각 유체 소통하고,
    상기 제2 복수의 커넥터들(26)의 각각의 커넥터(27)는 상기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47) 중 하나와 각각 유체 소통하며,
    상기 제1 측벽(25) 및 상기 제2 측벽(24)은 상기 층을 이룬 몸체(21, 22)의 제1 층(21) 및 제2 층(22) 중 적어도 하나와 통합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층(21) 및 상기 제2 층(22)은 복수의 연결 라인들(38, 39)을 따라 함께 결합되는, 밸브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채널(70)과 유체 소통하는 제1 압력 센서(18) 및 상기 복수의 밸브들(50)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51-53)와 직접 유체 소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압력 센서(17)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18)는 조정 압력 센서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압력 센서(17)는 비-조정 압력 센서인, 밸브 어셈블리.
  14. 제1항의 밸브 어셈블리(10), 및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에 연결된 복수의 팽창 유체 챔버들(2-6)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 유체 챔버들(2-6) 중 각각의 하나는 상기 복수의 제1 유체 채널들(37)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유체 채널들(47)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유체 채널과 각각 유체 소통하는, 공기식 시트 조절 장치.
  15. 시트 부분;
    등받이 부분; 및
    제14항의 시트 조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체 챔버들(2-6)은 상기 시트 부분 및/또는 상기 등받이 부분 안으로 통합되고 조절가능한 허리 지지부(2-4), 조절가능한 측면 지지부 및/또는 마사지 유니트(5, 6)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시트.
KR1020110128399A 2010-12-03 2011-12-02 밸브 어셈블리 및 공기식 시트 조절 장치 KR101880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015265.1 2010-12-03
EP10015265.1A EP2461046B1 (en) 2010-12-03 2010-12-03 Valve assembly and pneumatic seat adjus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760A true KR20120061760A (ko) 2012-06-13
KR101880763B1 KR101880763B1 (ko) 2018-07-20

Family

ID=4402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399A KR101880763B1 (ko) 2010-12-03 2011-12-02 밸브 어셈블리 및 공기식 시트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80581B2 (ko)
EP (1) EP2461046B1 (ko)
KR (1) KR1018807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0898A1 (de) * 2011-03-28 2012-10-04 Johnson Controls Gmbh Sitzmittel, insbesondere fahrzeugsitz, mit massagefunktionalität
DE102011122392B4 (de) * 2011-12-24 2014-04-17 Faurecia Autositze Gmbh Verfahren zur Füllstandseinstellung bei der Befüllung eines Hohlraumsystems und Kraftfahrzeugsitzsystem
US9086189B2 (en) * 2012-05-16 2015-07-21 Leggett & Platt Canada Co. System and method for a pressure signal linearization transfer function
DE102012211392B4 (de) * 2012-07-02 2022-07-21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Stellelement für einen Fahrzeugsitz,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tellelementes
EP2769878B1 (en) * 2013-02-20 2015-03-25 Schukra Gerätebau GmbH Seat adjust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eat adjustment
EP2770208B1 (en) * 2013-02-20 2018-01-10 Schukra Gerätebau GmbH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component
US9097365B2 (en) * 2013-03-15 2015-08-04 Alps Electric Co., Ltd. Micro-valve assembly
PL3037703T3 (pl) * 2014-12-24 2017-12-29 Faurecia Autositze Gmbh Blok zaworów z opcjonalnym pomiarem ciśnienia i siedzenie pojazdu mechanicznego
DE102015000115B4 (de) * 2015-01-07 2017-10-05 Faurecia Autositze Gmbh Ventilblock mit aneinander gereihten Verbindungsmodulen und Kraftfahrzeugsitz
DE102015100141A1 (de) * 2015-01-08 2016-07-14 Kongsberg Automotive Ab Massage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202015000540U1 (de) * 2015-01-27 2015-04-10 Kendrion Kuhnke Automotive GmbH Pneumatische Steuer- und Messvorrichtung sowie Sitzkomfortsystem
US20180055230A1 (en) * 2015-03-12 2018-03-01 Tangtring Seating Technology Inc. Gradual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of lumbar support of seat
DE102015105371A1 (de) * 2015-04-09 2016-10-13 Kongsberg Automotive Ab Massage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15213922B4 (de) * 2015-07-23 2020-06-18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Steuergerät zur Druckmittelverteilung
DE102015215171A1 (de) 2015-08-07 2017-02-0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fahren zur Ansteuerung von Massageeinheiten in einem Sitz und Sitzanordnung zur Durchführung
DE102015219207B3 (de) * 2015-10-05 2017-02-09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Druckverteiler für ein Kraftfahrzeug
US9949568B2 (en) 2015-12-09 2018-04-24 Lear Corporation Pelvic and sacral bladder assembly
US10085565B2 (en) * 2015-12-09 2018-10-02 Lear Corporation Sacral air bladder assembly
EP3281821B1 (en) * 2016-08-08 2019-04-17 Kongsberg Automotive Sp. z o.o. Sma valve assembly for controlling pressurized air supply to air cells in a vehicle seat
US10363852B2 (en) * 2016-09-15 2019-07-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ustomizing a vehicle seat
US10071664B2 (en) 2016-10-21 2018-09-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e sound dampening in an adjustable vehicle seat
US11504293B2 (en) * 2016-11-08 2022-11-22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massage bladders with reduced pressure sensor count
JP2018119561A (ja) * 2017-01-23 2018-08-0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空気圧制御用電磁弁ユニット
CN106580650A (zh) * 2017-01-23 2017-04-26 惠州金桔家具有限公司 一种膨胀垫按摩装置
US20180326881A1 (en) * 2017-05-11 2018-11-15 Lear Corporation Inflatable support bladder assembly
US11432995B2 (en) 2018-08-29 2022-09-06 Leggett & Platt Canada Co. Pneumatic massage
US11883358B2 (en) 2018-03-05 2024-01-30 Leggett & Platt Canada Co. Pneumatic massage system
US10611279B2 (en) * 2018-06-13 2020-04-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ccupant support system for a passenger vehicle seat
US11039975B2 (en) 2018-08-29 2021-06-22 Leggett & Platt Canada Co. Pneumatic massage
US10899262B2 (en) * 2019-02-01 2021-01-26 Ka Group Ag Bladder support system for a vehicle seat assembly
EP3699466B1 (en) * 2019-02-19 2022-07-13 Schukra Gerätebau GmbH Fluid valve system with module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DE102019216243B4 (de) * 2019-10-22 2022-06-23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Ventilkonfigurationsbausatz und pneumatische Verstellvorrichtung mit einem derartigen Ventilkonfigurationsbausatz
US11067102B1 (en) * 2020-04-13 2021-07-20 Mac Valves, Inc. Digital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ler
US11808374B2 (en) 2020-12-30 2023-11-07 Leggett & Platt Canada Co. Fluid management system
DE102022125925A1 (de) * 2022-10-07 2024-04-18 Faurecia Autositze Gmbh Modulträgeranordnung
DE102022212982A1 (de) 2022-12-01 2024-06-06 Vitesco Technologies GmbH Magnetventileinheit, Reinigungsvorrichtung und Fahrzeug
CN117227605B (zh) * 2023-11-13 2024-01-26 江苏恩迪汽车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用按摩气管伸缩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7594A (en) * 1971-11-19 1973-07-24 Dormeyer A F Mfg Co Portable electric appliance
KR19980034419A (ko) * 1996-11-06 1998-08-05 김영귀 차량 사이드 에어시트
US6098000A (en) * 1994-06-24 2000-08-01 Mccord Winn Textron Inc. Interactive, individually controlled, multiple bladder seating comfort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JP2009097520A (ja) * 2007-10-12 2009-05-07 Smc Corp 流体用積層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04077A1 (fr) * 1977-09-22 1979-04-20 Citroen Sa Module sanitaire
GB2277084A (en) * 1993-04-15 1994-10-19 Emhart Glass Mach Invest Glassware forming machine
DE4413657C1 (de) 1994-04-20 1995-11-02 Festo Kg Ventilanordnung
KR19980034419U (ko) * 1996-12-10 1998-09-15 박병재 자동차 백 밀러의 습기제거구조
DE19934472A1 (de) 1999-07-27 2001-02-08 Daimler Chrysler Ag Konturverstellbarer Sitz, insbesondere Fahrzeugsitz
DE10063478A1 (de) 2000-12-20 2002-07-04 Alfmeier Praez Ag Sitz, insbesondere Fahrzeugsitz
DE10238240A1 (de) * 2002-08-21 2004-03-0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füllung mindestens zweier Rezipienten sowie pneumatische Schal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7727171B2 (en) * 2005-01-19 2010-06-01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s with plurality of pneumatic massaging elem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7594A (en) * 1971-11-19 1973-07-24 Dormeyer A F Mfg Co Portable electric appliance
US6098000A (en) * 1994-06-24 2000-08-01 Mccord Winn Textron Inc. Interactive, individually controlled, multiple bladder seating comfort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KR19980034419A (ko) * 1996-11-06 1998-08-05 김영귀 차량 사이드 에어시트
JP2009097520A (ja) * 2007-10-12 2009-05-07 Smc Corp 流体用積層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43108A1 (en) 2012-06-07
EP2461046B1 (en) 2017-11-01
KR101880763B1 (ko) 2018-07-20
EP2461046A1 (en) 2012-06-06
US9080581B2 (en) 201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1760A (ko) 밸브 어셈블리 및 공기식 시트 조절 장치
KR101609161B1 (ko) 시트 조절 디바이스 및 시트 조절을 제공하는 방법
EP2770208B1 (en)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component
US10744920B2 (en) Method for customizing a vehicle seat
EP1542567B1 (en) Valve for zoned cellular cushion
EP2372157B1 (en) Diaphragm pump for a seat adjusting device and seat adjusting device
EP1133941B1 (en) Valve assembly
US10059239B2 (en) Air bladder with stacked cell system
US4915124A (en) Bladder press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EP1352189B1 (en) Valve for zoned cellular cushion
CN108928282B (zh) 用于调节座椅轮廓的装置和具有这种装置的座椅
US11766961B2 (en) Device for adjusting softness of seat, device for adjusting comfort of seat, and vehicle seat
US6196260B1 (en) Flow control valve
WO2000023735A9 (en) Flow control valve
US10899262B2 (en) Bladder support system for a vehicle seat assembly
EP3597477B1 (en) Vehicle seat massage system
PL169895B1 (pl) Rozdzielaczelektropneumatyczny
JP2019039450A (ja) バルブ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