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1454A - 위치추적 휴대단말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추적 휴대단말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1454A
KR20120061454A KR1020100122776A KR20100122776A KR20120061454A KR 20120061454 A KR20120061454 A KR 20120061454A KR 1020100122776 A KR1020100122776 A KR 1020100122776A KR 20100122776 A KR20100122776 A KR 20100122776A KR 20120061454 A KR20120061454 A KR 20120061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safety path
portable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6168B1 (ko
Inventor
최영준
김도윤
박두현
안현석
엄효은
황성윤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22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1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1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추적 휴대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타 휴대단말의 위치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격자로 분할된 지도데이터에서 외부로부터 선택된 입력을 기준으로 안전경로를 설정하는 경로설정부, 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가 안전경로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위치정보가 안전경로에 포함되지 않으면 타 휴대단말의 안전경로 이탈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부 및 설정된 안전경로를 위도, 경도 값으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추적 휴대단말 및 방법{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Location Tracking}
본 발명은 위치추적 휴대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단말이 격자로 분할된 지도데이터에서 격자를 기준으로 안전경로를 설정하고, 타 휴대단말이 안전경로를 이탈할 경우, 타 휴대단말이 안전경로를 이탈하였음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위치추적 휴대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매년 3~4천명의 미아가 발생할 뿐 아니라, 아이를 상대로 하는 성범죄를 비롯한 범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아이를 둔 부모들은 아이가 외출한 이후에 돌아올 시간 내에 돌아오지 않거나,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아이에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위치추적 장치를 소지하게 하거나,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안전귀가 시스템 등의 위치추적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하여 아이에게 휴대단말을 소지하게 하는 경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GPS의 경우, 전국의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위치 추적이 가능한 매우 강력한 기능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싼 사용료와 적용 방법의 한계로 인해 GPS를 범용적인 미아 방지 시스템에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의 경우, 저렴한 가격으로 손쉽게 아이가 위치한 지역을 찾는 것이 가능하지만, 미아가 발생할 가능성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아이의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에는 여전히 비싼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격자로 분할된 지도데이터에서 격자를 기준으로 안전경로를 설정하여, 타 휴대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안전경로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추적 휴대단말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이 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가 반복해서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정보를 안전경로로 설정하여 타 휴대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으로써, 타 휴대단말의 이동경로를 안전경로로 설정 가능하게 하는 위치추적 휴대단말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휴대단말은 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타 휴대단말의 위치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격자로 분할된 지도데이터에서 외부로부터 선택된 입력을 기준으로 안전경로를 설정하는 경로설정부, 상기 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가 상기 안전경로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안전경로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타 휴대단말의 상기 안전경로 이탈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부 및 상기 설정된 안전경로를 위도, 경도 값으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로설정부는, 상기 타 휴대단말의 고유번호를 추적대상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로설정부는, 복수의 지역명으로 구성된 지역명 목록을 표시한 후, 상기 목록에서 선택된 지역명에 해당하는 지도데이터를 복수의 격자로 분할하고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대응되는 격자들을 포함하도록 안전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로설정부는, 상기 격자들의 위도, 경도 값을 확인하여 상기 안전경로를 상기 위도, 경도 값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안전경로에 포함되지 않고, 상기 위치정보가 임계치만큼 반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위치정보를 안전경로로 설정하도록 상기 경로설정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람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위치정보가 임계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단말은 휴대단말이 격자로 분할된 지도데이터에서 외부로부터 선택된 입력을 기준으로 안전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가 상기 안전경로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안전경로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안전경로 이탈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 휴대단말의 위치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 후 상기 휴대단말이 안전경로 관리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타 휴대단말의 고유번호로 상기 타 휴대단말을 추적대상으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복수의 지역명으로 구성된 지역명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목록에서 선택된 지역명에 해당하는 지도데이터를 복수의 격자로 분할하고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대응되는 격자들을 연결하여 안전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격자에 대한 위도, 경도 값을 확인하여 상기 안전경로를 위도, 경도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안전경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가 안전경로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가 상기 안전경로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위치정보가 수신된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수신된 횟수가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위치정보를 안전경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안전경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가 수신된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수신된 횟수가 임계치 이상이 아니면 상기 타 휴대단말이 안전경로를 이탈하였음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위치정보가 임계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음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를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격자로 분할된 지도데이터에서 격자를 기준으로 안전경로를 설정하여, 타 휴대단말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안전경로 설정이 가능하고, 보다 간편하게 안전경로를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이 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가 반복해서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정보를 안전경로로 설정하여 타 휴대단말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안전경로 설정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단말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단말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시스템(10)은 제1 휴대단말(100), 제2 휴대단말(200), 통신망(300)을 포함한다.
제1 휴대단말(100)은 안전경로를 설정하고, 등록된 제2 휴대단말(200)의 위치를 추적하여 제2 휴대단말(200)이 설정된 안전경로를 이탈할 경우 이를 알리는 알람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1 휴대단말(100)은 RF부(110), 무선통신부(120), 입력부(130), 출력부(140), 저장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RF부(110)는 제1 휴대단말(100)과 이동통신망(미도시)과의 통상적인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RF부(1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음성데이터의 송/수신, 문자메시지의 송/수신, 영상데이터의 송/수신 등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20)는 제1 휴대단말(100)과 제2 휴대단말(200)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무선통신부(120)는 Wi-Fi 등의 무선 인터넷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미도시)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제1 휴대단말(100)에서 안전경로를 설정하고, 제2 휴대단말(2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한다.
입력부(130)는 제1 휴대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제어부(160)로 제공한다. 입력부(130)는 통상적인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제1 휴대단말(100)의 내부 블록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상태와 동작결과 및 다수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출력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 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제2 휴대단말(200)이 안전경로를 이탈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알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출력부(140)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경우 터치스크린은 입력부(130) 및 출력부(14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시청자의 손이나 스타일러스(stylus)에 의해 정보를 입력받는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제1 휴대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및 지도데이터를 저장하고, 안전경로 설정 및 제2 휴대단말(200)의 위치추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50)의 경로DB(151)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설정된 안전경로에 대한 위도, 경도 값을 기반으로 하는 좌표값을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제1 휴대단말(100)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동작에 대한 제어를 담당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60)는 경로설정부(161), 판단부(162), 알람부(163)를 포함한다.
경로설정부(161)는 입력부(130)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입력부(130)로부터 경로설정을 위한 안전경로관리모드로의 진입신호가 수신되면, 안전경로관리모드로 진입한다. 경로설정부(161)는 안전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지역명 목록을 출력부(140)로 출력하여 표시한다. 지역명 목록은 다수의 지역명을 포함하는 목록이고, 행정구역 단위 중 가장 작은 동(서울 기준)으로 표시되거나, 거리 이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경로설정부(161)는 선택된 특정 항목에 해당하는 지도데이터를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한다. 이때, 경로설정부(161)는 선택된 특정 항목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반경 수 킬로미터 이내의 지역에 해당하는 지도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경로설정부(161)는 입력부(130)로부터 지도데이터를 기준으로 안전경로가 입력되면 이를 저장한다. 또한, 경로설정부(161)는 입력부(130)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안전경로 설정과 동시에 안전지대, 비 안전지대를 설정할 수 있고, 지역에 따른 위험도를 설정할 수 있다.
경로설정부(161)는 안전경로를 구성하는 격자를 위도, 경도 값의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좌표값을 경로DB(151)에 저장한다.
한편, 경로설정부(161)는 판단부(162)에서 제2 휴대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제2 휴대단말(200)의 위치정보가 설정된 안전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된 이후, 제2 휴대단말(200)의 위치정보가 임계치 이상 동일하게 수신된 위치정보임이 판단되면, 상기 위치정보를 안전경로로 추가로 설정하여 출력부(140)로 출력한다.
판단부(162)는 제2 휴대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안전경로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안전경로를 이탈한 상태이면 상기 위치정보가 임계치 이상 동일하게 수신된 위치정보인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제2 휴대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가 임계치 이상 동일하게 수신된 위치정보이면 상기 위치정보를 안전경로로 추가 설정하도록 경로설정부(161)로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임계치 이상 동일하게 수신된 위치정보가 아니면 알람을 출력하도록 알람부(163)로 판단결과를 제공한다.
한편, 판단부(162)는 제2 휴대단말(200)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위험도가 높은 지역에 제2 휴대단말(200)이 위치할 경우, 제2 휴대단말(200)로 호 연결을 하도록 자동 다이얼링을 수행하거나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알람부(163)는 판단부(162)에서 제2 휴대단말(200)의 위치정보가 설정된 안전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제2 휴대단말(200)이 안전경로를 이탈했음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도록 출력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알람부(163)는 제2 휴대단말(200)이 기설정된 비 안전지대에 진입한 경우 또는 위험도가 높은 지역에 진입한 경우에 알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제2 휴대단말(200)은 제1 휴대단말(100)로부터 위치추적 요청이 수신되면 이에 대한 수락을 수행하고,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제1 휴대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제2 휴대단말(200)은 GPS, RF(Radio Frequency)통신을 위한 기지국, 무선 인터넷 통신을 위한 중계기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위치를 위도, 경도 값의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제1 휴대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RF통신을 위한 기지국, 무선 인터넷 통신을 위한 중계기를 통해 위치를 확인할 경우에는 제2 휴대단말(200)이 건물 등의 실내에 진입한 경우에도 제2 휴대단말(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제2 휴대단말(200)은 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제1 휴대단말(100)로 전송할 경우, 이전에 전송한 위치부터 현재 전송하고자 하는 위치까지의 이동경로에 대한 좌표값을 모두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제1 휴대단말(100)에서 제2 휴대단말(200)의 이동경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통신망(300)은 제1 휴대단말(100)과 제2 휴대단말(200)이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로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S11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100)은 안전경로관리모드로 진입한다. 이때, 제1 휴대단말(100)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제2 휴대단말(200)의 위치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안전경로관리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2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100)은 위치추적을 수행하고자 하는 제2 휴대단말(200)을 고유번호로 제2 휴대단말(200)을 위치추적 대상으로 등록한다. 이때, 제2 휴대단말(200)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제2 휴대단말(200)에서 위치추적 대상으로의 등록을 승낙한 경우에 제1 휴대단말(100)에 위치추적 대상으로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3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100)에 제2 휴대단말(200)이 위치추적 대상으로 등록 완료됨이 확인되면 제1 휴대단말(100)은 S14단계로 진행하고, 위치추적 대상으로 등록이 완료되지 않으면 S12단계로 회귀하여 제2 휴대단말(200)의 등록을 재수행한다.
이어서, S14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100)은 안전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지역명 목록을 표시한다. 지역명 목록은 다수의 지역명을 포함하는 목록이고, 행정구역 단위 중 가장 작은 동(서울 기준)으로 표시되거나, 거리 이름으로 표시될 수 있다.
S15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100)은 외부로부터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S16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100)은 선택된 특정 항목에 해당하는 지도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제1 휴대단말(100)은 선택된 특정 항목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반경 수 킬로미터 이내의 지역에 해당하는 지도데이터를 출력한다.
이후, S17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100)이 외부로부터 안전경로를 입력받고, S18단계에서 안전경로의 입력이 완료되면 S19단계로 진행하고, 안전경로의 입력이 완료되지 않으면 S17단계로 회귀하여 안전경로를 지속적으로 입력받는다. 이때,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는 안전경로를 설정함과 동시에 안전지대, 비 안전지대를 설정할 수 있고, 지역에 따른 위험도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1 휴대단말(100)의 출력부(140)에 표시된 지도데이터는 S15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항목에 해당하는 지도데이터이다. 이때, 경로설정부(161)는 지도데이터를 특정 크기의 격자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의 도면부호 A는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선택한 안전경로를 의미하고, 도면부호 B는 안전경로를 포함하는 격자들을 나타낸다. 아울러, 도면부호 C와 D는 각각 안전지대와 비 안전지대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E, F는 사용자가 설정한 위험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면부호 F는 도면부호 E보다 위험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이어서, S19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100)은 입력된 안전경로를 구성하는 격자를 위도, 경도 값의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S20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100)은 변환된 좌표값으로 안전경로를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31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100)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S32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100)은 무선통신부(120)를 통해 제2 휴대단말(200)로부터의 위치정보가 임계시간동안 미수신됨이 확인되면 S33단계로 진행하여, 제2 휴대단말(200)로부터의 위치정보 미수신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한다.
반대로, S32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100)은 무선통신부(120)를 통해 제2 휴대단말(200)로부터의 위치정보가 수신됨이 확인되면 S34단계로 진행하여 제2 휴대단말(2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제2 휴대단말(200)의 위치정보는 위도, 경도 값으로 이루어진 좌표값으로 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휴대단말(200)의 위치정보는 GPS를 이용할 수 있고, 제2 휴대단말(200)이 건물 내에 진입할 경우에는 제2 휴대단말(200)과 RF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미도시) 또는 제2 휴대단말(200)과 무선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중계기(미도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정확한 제2 휴대단말(200)의 위치추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S35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100)은 제2 휴대단말(200)의 위치정보로부터 제2 휴대단말(200)이 안전경로를 이탈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34단게로 진행하여 지속적으로 제2 휴대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반대로, S35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100)은 제2 휴대단말(200)의 위치정보로부터 제2 휴대단말(200)이 안전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확인되면 S36단계로 진행하여 제2 휴대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의 수신횟수를 확인한다.
S37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100)은 제2 휴대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의 수신횟수가 임계치 이상이면 S38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위치정보를 안전경로로 설정하고, S39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100)은 설정된 안전경로를 출력한다.
반대로, S37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100)은 제2 휴대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의 수신횟수가 임계치 이상이 아니면 S40단계로 진행하여 제2 휴대단말(200)이 안전경로를 이탈함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고, S41단계로 진행하여 제2 휴대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지도데이터에 출력한다.
이로 인해,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는 안전경로로 직접 설정하지 않아도 제2 휴대단말(200)의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경로를 안전경로로 등록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위치추적 시스템
100: 제1 휴대단말 110: RF부
120: 무선통신부 130: 입력부
140: 출력부 150: 저장부
151: 경로DB 160: 제어부
161: 경로설정부 162: 판단부
163: 알람부 200: 제2 휴대단말
300: 통신망

Claims (11)

  1. 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타 휴대단말의 위치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격자로 분할된 지도데이터에서 외부로부터 선택된 입력을 기준으로 안전경로를 설정하는 경로설정부;
    상기 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가 상기 안전경로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안전경로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타 휴대단말의 상기 안전경로 이탈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부; 및
    상기 설정된 안전경로를 위도, 경도 값으로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휴대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설정부는,
    상기 타 휴대단말의 고유번호를 추적대상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휴대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설정부는,
    복수의 지역명으로 구성된 지역명 목록을 표시한 후, 상기 목록에서 선택된 지역명에 해당하는 지도데이터를 복수의 격자로 분할하고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대응되는 격자들을 포함하도록 안전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휴대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설정부는,
    상기 격자들의 위도, 경도 값을 확인하여 상기 안전경로를 상기 위도, 경도 값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휴대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안전경로에 포함되지 않고, 상기 위치정보가 임계치만큼 반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위치정보를 안전경로로 설정하도록 상기 경로설정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휴대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위치정보가 임계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휴대단말.
  7. 휴대단말이 격자로 분할된 지도데이터에서 외부로부터 선택된 입력을 기준으로 안전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가 상기 안전경로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안전경로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안전경로 이탈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 휴대단말의 위치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 후 상기 휴대단말이 안전경로 관리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타 휴대단말의 고유번호로 상기 타 휴대단말을 추적대상으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복수의 지역명으로 구성된 지역명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목록에서 선택된 지역명에 해당하는 지도데이터를 복수의 격자로 분할하고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대응되는 격자들을 연결하여 안전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격자에 대한 위도, 경도 값을 확인하여 상기 안전경로를 위도, 경도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안전경로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가 안전경로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타 휴대단말의 위치정보가 상기 안전경로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위치정보가 수신된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수신된 횟수가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위치정보를 안전경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안전경로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가 수신된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수신된 횟수가 임계치 이상이 아니면 상기 타 휴대단말이 안전경로를 이탈하였음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위치정보가 임계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음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방법.
KR1020100122776A 2010-12-03 2010-12-03 위치추적 휴대단말 및 방법 KR101166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776A KR101166168B1 (ko) 2010-12-03 2010-12-03 위치추적 휴대단말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776A KR101166168B1 (ko) 2010-12-03 2010-12-03 위치추적 휴대단말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454A true KR20120061454A (ko) 2012-06-13
KR101166168B1 KR101166168B1 (ko) 2012-07-18

Family

ID=4661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776A KR101166168B1 (ko) 2010-12-03 2010-12-03 위치추적 휴대단말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1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6137A (zh) * 2015-09-07 2015-12-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室内导航方法及其装置
KR101708124B1 (ko) * 2015-09-11 2017-02-17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추적한 비콘의 이동경로를 고려한 지오펜싱 방법
KR20190046256A (ko) * 2017-10-25 2019-05-07 하재명 위치기반 서비스 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6137A (zh) * 2015-09-07 2015-12-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室内导航方法及其装置
KR101708124B1 (ko) * 2015-09-11 2017-02-17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추적한 비콘의 이동경로를 고려한 지오펜싱 방법
KR20190046256A (ko) * 2017-10-25 2019-05-07 하재명 위치기반 서비스 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168B1 (ko)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5669B2 (en) Crowd detection and guidance on mobile devices
US20150163626A1 (en) Monitoring system, server, mobile device and method
US110374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ed individual violation instruction
KR100735421B1 (ko)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스케쥴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US200502028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location of a cellular phone in relation to a predefined geographic area with automatic notation of boundary violations
EP3582560B1 (en) Positioning method and communications device
US20120130753A1 (en) GPS Pathfinder Cell Phone and Method
US2016003731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04574801A (zh) 报警方法、报警装置和移动终端
KR101166168B1 (ko) 위치추적 휴대단말 및 방법
Nasution et al. Using google location APIs to find an accurate criminal accident location
JP6379271B1 (ja)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方法、見守り端末、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180048A (ja) 安否確認情報提供装置、携帯端末、安否確認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84027B1 (ko)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8557A (ko)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US20190164401A1 (en) Object tracking system
KR2005004019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장소에 따른 스케줄 알람 방법
JP5961239B2 (ja) 位置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60053466A (ko) 지도 정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101804276B1 (ko)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5215813A (ja) 地図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5834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KR101759821B1 (ko) 비콘을 이용한 도심관광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42656B1 (ko) 사물인터넷(IoT) 환경에서 비콘(Beacon)을 이용한 위치서비스 프레임워크
JP2008203014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