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027B1 -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027B1
KR102084027B1 KR1020130123779A KR20130123779A KR102084027B1 KR 102084027 B1 KR102084027 B1 KR 102084027B1 KR 1020130123779 A KR1020130123779 A KR 1020130123779A KR 20130123779 A KR20130123779 A KR 20130123779A KR 102084027 B1 KR102084027 B1 KR 102084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
location
geofence
density
po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4572A (ko
Inventor
전슬마로
정은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3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02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4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상기 위치 측정부에서 측정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POI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POI 정보에 포함된 POI들의 우선순위 또는 밀집도를 근거로 위치 제공자를 변경하여 지오펜스를 구축하는 지오펜스 구축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EO-FENCE ESTABLISHMENT}
본 발명은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POI(Point of Interest)들의 우선순위 또는 밀집도를 근거로 위치 제공자를 변경하고, 변경된 위치 제공자를 근거로 지오펜스를 구축하는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오펜스란 POI(Point of Interest)를 기준으로 설정된 반경안에 사용자가 진입하였거나 이탈 시 이를 노티해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클라이언트가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서버로 전달하면, 서버는 전달받은 위치를 기준으로 근접한 POI정보들을 클라이언트로 전달한다. 그러면, 클라이언트는 해당 POI정보들을 기준으로 지오펜스를 구축하고, 현재 설정되어 있는 위치제공자 기준으로 각 지오펜스의 진입 또는 이탈 여부 확인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POI의 밀집도 또는 중요도에 따라 동적으로 위치제공자를 변경해 주지 않으므로, 현재 사용되는 위치제공자가 오차율이 높은 경우 정확도가 보장되지 않게 되어 지오펜스에 진입 혹은 이탈하지 않은 경우에도 해당 상황으로 인식되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명동과 같은 번화한 거리의 경우 사용할 POI의 데이터가 밀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각각의 POI의 거리가 대부분 3~4미터이므로 클라이언트에서 제공되는 위치제공자 중 오차범위가 이보다 큰 Cell이나 WIFI 방식을 통해 측정될 경우 대부분 신뢰할 수 없는 결과가 반영된다.
또한, 전달받은 POI 정보 그룹의 경계로 이동했을 경우 클라이언트는 새로운 POI 정보 그룹을 전달받기 위해 서버에 요청해야 하고, 현재 위치의 정확도가 낮아 중복되거나 실제 위치와 상관없는 지역의 POI 정보 그룹을 전달받아 낮은 효율성과 필요없는 배터리를 소모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높은 정확도의 위치제공자는 신뢰성이 높지만 배터리 소모량도 이에 비례한다. 이에 현재위치 주변의 POI가 적을 경우 타 지오펜스 진입, 이탈 여부의 오차율도 낮아지므로 매우 높은 정확도의 위치제공자가 필요 없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는 이와 같은 동적인 위치제공자 사용이 적용되어 있지 않아 배터리 효율이 적다.
선행기술 1 : 한국등록특허 제10-1302826호(2011.04.27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POI의 밀집도 및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위치 제공자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지오펜스를 구축하는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OI정보가 평균이상의 높은 밀집도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지오펜스 측정 정확도 향상을 위해 높은 신뢰도의 위치제공자를 사용하도록 하고, 밀집도가 낮은 경우 배터리 절약을 위해 중간 신뢰도의 위치제공자를 사용하도록 하며, 높은 우선순위의 POI경우 높은 신뢰성의 위치제공자로 측정하도록 하여 지오펜스 시스템의 신뢰성 및 단말장치의 리소스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상기 위치 측정부에서 측정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POI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POI 정보에 포함된 POI들의 우선순위 또는 밀집도를 근거로 위치 제공자를 변경하여 지오펜스를 구축하는 지오펜스 구축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지오펜스 구축부는 상기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POI들의 반경, 우선순위, 밀집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POI 정보를 수신하는 POI 정보 수신모듈, 상기 POI 정보에 포함된 우선순위 또는 밀집도를 근거로 위치 제공자를 변경하는 위치 제공자 변경모듈, 상기 변경된 위치 제공자를 이용하여 지오펜스를 구축하는 지오펜스 구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오펜스 구축부는 POI들의 밀집도가 높은 경우 GPS를 위치 제공자로 선택, POI들의 밀집도가 낮은 경우 배터리 소모가 가장 적은 위치 제공자를 선택하여 지오펜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오펜스 구축부는 POI들의 밀집도는 낮으나 우선순위가 높은 POI가 기 설정된 일정 개수 존재하는 경우, 현재 설정되어 있는 위치 제공자로 측정을 하되 우선순위가 높은 POI에 진입했을 경우 현재 위치제공자를 체크하여 신뢰도가 낮은 위치제공자일 경우 GPS를 통해 다시 측위하여 실제로 진입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고, 실제로 진입했을 경우 이탈 시까지 GPS를 위치 제공자로 선택하여 지오펜스를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구축된 지오펜스의 진입 또는 이탈 여부를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POI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POI 데이터베이스, 통신망을 통해 단말장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POI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POI들을 추출하는 POI 검색부, 상기 추출된 POI들의 중요도를 확인하여, 중요도가 높은 순으로 POI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우선순위 정의부, 상기 우선순위가 설정된 POI들의 POI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POI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POI 정보는 POI들의 위치, 반경, 밀집도, 중요도,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POI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POI 정보에 포함된 POI들의 우선순위 또는 밀집도를 근거로 위치 제공자를 변경하여 지오펜스를 구축하는 단말장치, 상기 POI 정보 요청 신호 수신에 따라, POI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POI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POI들의 밀집도 또는 중요도를 근거로 POI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한 후, 상기 우선순위가 설정된 POI들의 POI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장치는 POI들의 밀집도가 높은 경우 GPS를 위치 제공자로 선택, POI들의 밀집도가 낮은 경우 배터리 소모가 가장 적은 위치 제공자를 선택, POI들의 밀집도는 낮으나 우선순위가 높은 POI의 경우 현재 설정되어 있는 위치 제공자로 측정을 하되 우선순위가 높은 POI에 진입했을 경우 현재 위치제공자를 체크하여 신뢰도가 낮은 위치제공자일 경우 GPS를 통해 다시 측위하여 실제로 진입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고, 실제로 진입했을 경우 이탈시까지 GPS로 위치제공자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장치가 지오펜스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POI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POI 정보에 포함된 POI들의 우선순위 또는 밀집도를 근거로 위치 제공자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위치 제공자를 근거로 지오펜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오펜스 구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POI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POI 정보에 포함된 POI들의 우선순위 또는 밀집도를 근거로 위치 제공자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위치 제공자를 근거로 지오펜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오펜스 구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장치가 지오펜스 구축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장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POI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POI들의 중요도를 확인하여, 중요도가 높은 순으로 POI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우선순위가 설정된 POI들의 POI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오펜스 구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장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POI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POI들의 중요도를 확인하여, 중요도가 높은 순으로 POI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우선순위가 설정된 POI들의 POI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오펜스 구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OI의 밀집도 및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위치 제공자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지오펜스를 구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뢰도 높은 지오펜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서비스의 신뢰도 향상으로 스팸성 이벤트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와의 통신 최소화를 통해 배터리 효율성 증대와 데이터 사용량의 최소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신뢰도 높은 지오펜스 서비스를 통해 서비스 장치와의 POI데이터 갱신 빈도가 줄어들어 데이터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POI 우선순위 등의 상황별 위치제공자 변경에 따라 단말장치의 배터리에 대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오펜스 구축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스 구축 방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은 단말장치(100), 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한다.
단말장치(100)는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여 POI 정보를 수신하고, POI 정보에 포함된 POI별 우선순위 또는 밀집도를 근거로 위치 제공자를 변경하여 지오펜스를 구축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밀집도가 높은 경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위치 제공자로 선택, 밀집도가 낮은 경우 배터리 소모가 가장 적은 위치 제공자를 선택, 밀집도는 낮으나 우선순위가 높은 POI의 경우 현재 설정되어 있는 위치 제공자로 측정을 하되 우선순위가 높은 POI에 진입했을 경우 현재 위치제공자를 체크하여 신뢰도가 낮은 위치제공자일 경우 GPS를 통해 다시 측위하여 실제로 진입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고, 실제로 진입했을 경우 이탈 시까지 GPS로 위치제공자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제공자는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측위 및 제공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GPS, 기지국, Wi- Fi AP(Access Poi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사용자가 이동하며 휴대할 수 있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이러한 단말 장치(100)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사용자 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장치, 노트북, 이동통신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Tablet PC), 셋탑박스(Set-top box), 스마트 TV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위치측위 시스템(미도시)을 통해서 현재 단말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며, 자체 GPS 모듈을 구비하여 위치측정을 지원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POI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POI를 추출하고, 추출된 POI들을 밀집도 및 중요도를 통해 우선순위를 설정한 후, 우선순위가 설정된 POI 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서비스 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오펜스 구축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위치 측정부(150), 지오펜스 구축부(160), 알림부(17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서비스 장치로 POI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POI 정보를 수신한다.
입력부(12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숫자, 텍스트, 음성, 움직임, 촉각, 시각 등을 입력받는 입력 수단으로 예컨대, 입력 수단은 키보드, 키패드, 터치 스크린, 시각 감지 수단, 촉각 감지 수단, 움직임 감지 수단, 음성 입력 수단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구축된 지오펜스를 표시한다. 출력부(130)는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될 수도 있고, 스피커 등 청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형태일 수도 있으며, 그 밖에 지오펜스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저장부(140)는 단말장치(10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위치 측정부(150)는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한다. 위치 측정부(150)는 위치측위 시스템을 통해서 현재 위치 파악이 가능하며, 자체 GPS 모듈을 구비하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위치 측위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단말장치(100)가 현재 접속중인 기지국이나 그 기지국의 셀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방식, GPS 위성을 통한 위치정보 측정 방법 등 다양할 수 있다.
지오펜스 구축부(160)는 위치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POI 정보가 수신된 경우, POI 정보에 포함된 POI들의 우선순위 또는 밀집도를 근거로 위치 제공자를 변경하여 지오펜스를 구축한다.
즉, 지오펜스 구축부(160)는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근거로 설정된 위치 제공자에 대하여 동적 지오펜스 영역을 정의한다. 동적 지오펜스 영역은 임의의 다각형, 가장 단순하게는 원일 수 있다. 동적 지오펜스 영역은 위치 제공자에 대하여 특정 지리적 경계를 선택하고, 그에 따라 동적 지오펜스 영역을 정의함으로써, 위치 제공자에 대하여 정의된다. 위치 제공자는 동적 지오펜스 영역의 내부, 동적 지오펜스 영역의 경계, 또는 동적 지오펜스 영역의 외부를 포함하는 동적 지오펜스 영역으로부터의 임의의 거리일 수도 있다. 위치 제공자에 대하여 동적 지오펜스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배열들 중 하나는 위치 제공자를 원의 중심에 갖는 것이며, 그 원은 특정된 반경을 갖는 동적 지오펜스 영역을 정의한다.
이러한 지오펜스 구축부(160)에 대해 도 3을 참조하면, 지오펜스 구축부(160)는 POI 정보 수신모듈(162), 위치 제공자 변경모듈(164), 지오펜스 구축모듈(166)을 포함한다.
POI 정보 수신 모듈(162)은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POI들의 반경, 우선순위, 밀집도 등을 포함하는 POI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POI 정보 요청 신호는 현재위치, 단말장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제공자 변경 모듈(164)은 POI 정보 수신모듈(162)에서 수신한 POI 정보에 포함된 우선순위 또는 밀집도를 근거로 위치 제공자를 변경한다. 즉, 위치 제공자 변경모듈(164)은 POI들의 밀집도가 높은 경우 GPS를 위치 제공자로 선택하고, POI들의 밀집도가 낮은 경우 배터리 소모가 가장 적은 위치 제공자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POI들의 밀집도가 높은 경우는 POI들이 기 설정된 기준 밀집도 이상으로 밀집되어 있는 경우를 말하고, POI들의 밀집도가 낮은 경우는 POI들이 기준 밀집도 미만으로 밀집되어 있는 경우를 말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의 배터리 소모는 GPS, WI-FI AP 등의 순으로 배터리 소모가 큰 순으로 위치 제공자가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위치 제공자 변경 모듈(164)는 POI들의 밀집도가 낮은 경우 배터리 소모가 가장 적은 위치 제공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제공자 변경 모듈(164)은 POI들의 밀집도는 낮으나 우선순위가 높은 POI가 기 설정된 일정 개수 존재하는 경우, 현재 설정되어 있는 위치 제공자로 측정을 하되 우선순위가 높은 POI에 진입했을 경우 현재 위치제공자를 체크하여 신뢰도가 낮은 위치제공자일 경우 GPS를 통해 다시 측위하여 실제로 진입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고, 실제로 진입했을 경우 이탈 시까지 GPS를 위치 제공자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제공자 변경 모듈(164)는 위치 제공자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때 신뢰도 값을 함께 제공받으므로, 현재 위치 제공자의 신뢰도를 체크할 수 있고, 신뢰도 값이 기 설정된 기준 신뢰도 값 이하의 위치 제공자일 경우 GPS를 통해 다시 측위하여 실제로 진입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와 같이 위치 제공자 변경모듈(164)은 POI들이 기준 이상의 높은 밀집도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지오펜스 측정 정확도 향상을 위해 높은 신뢰도의 위치제공자를 사용한다. 또한, 위치 제공자 변경모듈(164)은 POI들이 기준 미만의 밀집도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배터리 절약을 위해 중간 신뢰도의 위치제공자를 사용한다. 또한, 위치 제공자 변경모듈(164)은 높은 우선순위의 POI경우 높은 신뢰성의 위치제공자로 측정하도록 하여 지오펜스 시스템의 신뢰성 및 단말장치의 리소스 효율을 증대시킨다.
지오펜스 구축 모듈(166)은 위치 제공자 변경모듈(164)에서 변경된 위치 제공자를 이용하여 지오펜스를 구축한다.
알림부(170)는 지오펜스 구축부(160)에서 구축된 지오펜스의 진입 또는 이탈 여부를 알린다. 이때, 알림부(170)는 경고음, 알림음 등을 이용하여 지오펜스의 진입 또는 이탈여부를 알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200)는 POI 데이터베이스(210), 위치 정보 수신부(220), POI 검색부(230), 우선순위 정의부(240), POI 정보 제공부(250)를 포함한다.
POI 데이터베이스(210)에는 POI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즉, POI 데이터베이스(210)에는 POI들의 위치, 반경, 밀집도, 중요도, 우선순위 등을 포함하는 POI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위치 정보 수신부(220)는 통신망을 통해 단말장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POI 검색부(230)는 POI 데이터베이스(210)를 검색하여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POI들을 추출한다. 즉, POI 검색부(230)는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일정 반경 범위안에 포함되는 POI들을 POI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추출한다. 이때에는 해당 범위 내에 포함된 모든 POI가 검색되어 추출된다.
우선순위 정의부(240)는 POI 검색부(230)에서 추출된 POI들의 밀집도 및 중요도를 통해 POI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즉, 각 POI들의 중요도 및 밀집도는 미리 저장되어 있으므로, 우선순위 정의부(240)는 추출된 POI들의 중요도를 확인하여, 중요도가 높은 순으로 POI들의 우선순위를 정의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POI를 추출한다. 이때에는 서비스 관리자나 단말장치에서 우선순위로 추출할 POI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우선순위 정의부(240)는 기 설정된 개수만큼 우선순위 대로 POI들을 추출하게 된다. 여기서, 중요도는 POI 구축 시 설정된 정보로, 예컨대 의료기관의 중요도를 높게 설정하고, 의류판매점의 중요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중요도는 수치 등을 이용하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POI 정보 제공부(250)는 우선순위 정의부(240)에 우선순위가 설정된 POI 정보를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POI 정보는 POI, 반경, 우선순위, POI 그룹의 밀집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스 구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장치는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S502), 측정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S504).
서비스 장치는 POI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POI들을 추출하고(S506), 추출된 POI들을 밀집도 및 중요도를 근거로 우선순위를 설정한다(S508).
서비스 장치는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기 설정된 개수에 해당하는 POI들의 POI 정보를 단말장치로 전송한다(S510).
단말장치는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POI 정보에 포함된 POI들의 우선순위 또는 밀집도를 근거로 위치 제공자를 변경하고(S512), 변경된 위치 제공자를 이용하여 지오펜스를 구축한다(S514). 단말장치가 POI들의 우선순위 또는 밀집도를 근거로 위치 제공자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단말장치는 구축된 지오펜스를 진입 또는 이탈을 감지하고, 진입 또는 이탈한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POI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POI 정보에 포함된 POI들의 우선순위 또는 밀집도를 근거로 위치 제공자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위치 제공자를 근거로 지오펜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오펜스 구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장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POI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POI들의 중요도를 확인하여, 중요도가 높은 순으로 POI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우선순위가 설정된 POI들의 POI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오펜스 구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지오펜스 구축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지오펜스 구축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POI의 밀집도 및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위치 제공자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지오펜스를 구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뢰도 높은 지오펜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서비스의 신뢰도 향상으로 스팸성 이벤트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와의 통신 최소화를 통해 배터리 효율성 증대와 데이터 사용량의 최소화를 이룰 수 있다.
100 : 단말장치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출력부
140 : 220 저장부 150 : 위치 측정부
160 : 지오펜스 구축부 170 : 알림부
200 : 서비스 장치 210 : POI 데이터베이스
220 : 위치 정보 수신부 230 : POI검색부
240 : 우선순위 정의부 250 : POI 정보 제공부

Claims (13)

  1.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및
    상기 위치 측정부에서 측정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POI(Point of Interest) 정보 요청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POI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POI 정보에 포함된 POI들의 우선순위 또는 밀집도를 근거로 위치 제공자를 변경하여 지오펜스를 구축하는 지오펜스 구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집도가 기준 밀집도 이상일 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상기 위치 제공자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펜스 구축부는 상기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POI들의 반경, 우선순위, 밀집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POI 정보를 수신하는 POI 정보 수신모듈;
    상기 POI 정보에 포함된 우선순위 또는 밀집도를 근거로 위치 제공자를 변경하는 위치 제공자 변경모듈; 및
    상기 변경된 위치 제공자를 이용하여 지오펜스를 구축하는 지오펜스 구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펜스 구축부는 POI들의 밀집도가 상기 기준 밀집도 미만인 경우 배터리 소모가 가장 적은 위치 제공자를 선택하여 지오펜스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삭제
  5. 삭제
  6. POI(Point of Interest)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POI 데이터베이스;
    통신망을 통해 단말장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POI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POI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POI들을 추출하는 POI 검색부;
    상기 추출된 POI들의 중요도를 확인하여, 중요도가 높은 순으로 POI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우선순위 정의부; 및
    상기 우선순위가 설정된 POI들의 POI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POI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POI정보는 상기 우선순위 및 밀집도를 포함하고
    상기 밀집도가 기준 밀집도 이상일 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위치 제공자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123779A 2013-10-17 2013-10-17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102084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779A KR102084027B1 (ko) 2013-10-17 2013-10-17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779A KR102084027B1 (ko) 2013-10-17 2013-10-17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572A KR20150044572A (ko) 2015-04-27
KR102084027B1 true KR102084027B1 (ko) 2020-03-03

Family

ID=5303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779A KR102084027B1 (ko) 2013-10-17 2013-10-17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0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311B1 (ko) * 2015-08-25 2016-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지오펜스 단말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714527B1 (ko) * 2015-12-11 201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녀 안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2586552B1 (ko) * 2016-10-25 202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일 기반 poi 관리 방법 및 장치
CN110232160B (zh) * 2019-06-20 2021-12-07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兴趣点变迁事件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7957A (ja) * 2010-09-06 2012-03-22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6999B2 (en) 2008-07-16 2013-09-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dynamic creation of a GeoFence in a wireless system
KR101643866B1 (ko) * 2010-02-12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81304A (ko) * 2011-01-11 2012-07-19 주식회사 에스원 적응형 복합 측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55736A (ko) * 2011-11-21 2013-05-29 조성진 Lbs 기반의 사용자가 기설정한 경로에 따른 특정지역의 길 안내 서비스 방법
KR101343622B1 (ko) * 2012-03-13 2013-12-19 주식회사 에스원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7957A (ja) * 2010-09-06 2012-03-22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572A (ko) 201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0138B2 (en) Generating geofences
JP6343010B2 (ja) 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のアクセスポイントに関連したエンティティの識別
RU2689332C2 (ru) Адаптивное определение позиции
US9880604B2 (en) Energy efficient location detection
KR101609296B1 (ko) 지오펜스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선택
CN103563406B (zh) 对从地理围栏离开的监视
KR102319418B1 (ko) 실내 위치의 지리적 좌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40324590A1 (en) Location guiding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243288B2 (en) Location error radius determination
WO20151676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isplaying and implementing a geo-fence using location determination of mobile devices within a location-based group
US201100321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Mobile Device
US20170097816A1 (en) Context-based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EP3025527B1 (en) Generating geofences
KR102084027B1 (ko)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Jain et al. A study on Indoor navigation techniques using smartphones
US963569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connection source recommendations using a database of historic data on connectivity
Hu Wi-Fi based indoor positioning system using smartphone
JP2012107977A (ja) 位置推定装置、システム、位置推定方法および位置推定用プログラム
JP6107944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067116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327331B2 (ja) 情報処理装置
KR20160019296A (ko) 휴대폰 분실 방지 시스템
JP6430873B2 (ja) 位置解析装置
KR101573198B1 (ko) 관심 지점 자동 인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US201601567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mall group and outca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