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622B1 -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622B1
KR101343622B1 KR1020120025760A KR20120025760A KR101343622B1 KR 101343622 B1 KR101343622 B1 KR 101343622B1 KR 1020120025760 A KR1020120025760 A KR 1020120025760A KR 20120025760 A KR20120025760 A KR 20120025760A KR 101343622 B1 KR101343622 B1 KR 101343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mobile terminal
positioning
pat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348A (ko
Inventor
조현준
서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20025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622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 그리고 서버를 포함하며, 이동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상기 목적지의 정보, 상기 영역의 정보 및 초기 설정된 측위 주기의 정보를 다운받은 후 초기 설정된 측위 주기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고, 이동 단말기가 목적지를 포함하는 영역에 진입한 경우, 단말기의 실제 이동 경로와 목적지까지의 예상 경로를 생성한 후, 실제 이동 경로와 예상 경로의 차이로부터 목적지 진입 유무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목적지 진입 유무에 따라서 측위 주기를 변경한다.

Description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STINATION ARRIVAL ALARM}
본 발명은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린이 보호를 위한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범죄 사건 예방과 대응을 위해 어린이가 다니는 학교 및 학원 등의 영역을 사전 설정하고 설정된 영역에 어린이가 도착하면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도착 알림 서비스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어린이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가 주변의 기지국 예를 들면, 무선랜 AP(Access Point)를 스캔하여 획득한 무선랜 AP의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한 후 단말기의 위치가 사전 설정 영역으로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한다. 특히 사전 설정 영역은 일반적으로 최소 직경이 500m 정도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도착 알림 서비스 시스템은 측위 오차로 인한 부정확성 및 사전 설정 영역의 광범위성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확한 도착 알림 및 경로 추적이 가능한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서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목적지 도착 알림 방법은 초기 설정된 측위 주기에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목적지를 포함하는 영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측정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실제 이동 경로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실제 이동 경로를 통해서 목적지까지의 예상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예상 경로의 차이로부터 목적지 진입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목적지 진입 유무에 따라서 상기 측위 주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지 도착 알림 방법은 상기 실제 이동 경로를 계산하기 전에, 상기 측위 주기를 짧게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 진입 유무를 판단한 결과, 상기 목적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측위 주기를 짧게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보호 대상자가 소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적지 도착 알림 방법은 상기 목적지 진입 유무를 보호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목적지 도착 알림 방법은 상기 측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목적지의 정보, 상기 영역의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서버로부터 다운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초기 설정된 측위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예상 경로의 차이가 제1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예상 경로의 차이가 제2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목적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임계 값은 상기 제2 임계 값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예상 경로의 차이가 상기 제2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목적지를 배회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기지국 정보로 상기 목적지의 정보가 설정된 경우, 기지국 스캔을 통해서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기지국 정보의 획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기지국 정보의 획득 여부 및 상기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예상 경로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진입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설정된 측위 방식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 진입 유무에 따라서 상기 측위 방식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은 측위부, 예상 경로 연산부, 비교 연산부, 그리고 파라미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측위부는 초기 설정된 측위 주기 및 측위 방식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한다. 상기 예상 경로 연산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목적지를 포함하는 영역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진입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목적지까지의 예상 경로를 생성한다. 상기 비교 연산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실제 이동 경로와 예상 경로의 차이로부터 상기 목적지의 진입 유무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파라미터 제어부는 상기 비교 연산부의 상기 목적지의 진입 유무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측위 주기 및 측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한다.
상기 파라미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목적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측위 주기를 짧게 변경하고 상기 측위 방식을 적어도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측위 방식으로 변경하며, 상기 영역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진입하면 상기 측위 주기를 짧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비교 연산부는 상기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예상 경로의 차이가 제1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예상 경로의 차이가 제2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목적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예상 경로의 차이가 상기 제2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목적지를 배회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임계 값은 상기 제2 임계 값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영역 진입이나 목적지 이탈과 같은 특수한 상황의 경우 파라미터 제어를 통해서 보호 대상자의 정확한 위치 측정 및 경로 추적이 가능하므로,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보호 대상자가 소지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측정 및 목적지 도착 여부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서버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측정 및 목적지 도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비해 측위 지역 및 측위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측위 오차를 줄일 수 있고 목적지 도착 및 이탈 시에 즉시 통보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에서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이동 단말기의 실제 이동 경로와 목적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0), 기지국(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보호하고자 하는 보호 대상자가 소지하며, 기지국(200)과 무선 링크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사전 설정된 영역(Zone) 및 영역 내의 목적지의 도착 유무를 판단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목적지에 도착하면 보호자의 단말기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여, 해당 대상자가 사전 설정된 영역에 진입하였음을 보호자에게 알린다.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방법과 통신망의 기지국(200)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실제 이동 경로를 계산하고, 실제 이동 경로를 통해 사전 설정된 영역 내의 목적지까지의 예상 경로를 생성한 후 예상 경로와 실제 이동 경로의 차이를 토대로 목적지에 도착했는지 아니면 사전 설정된 영역을 이탈했는지를 판단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예상 경로와 실제 이동 경로의 차이가 설정된 제1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에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예상 경로와 실제 이동 경로의 차이가 설정된 제2 임계 값보다 큰 경우에 사전 설정된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예상 경로와 실제 이동 경로의 차이가 설정된 제2 임계 값 이하인 경우에 목적지 주변을 배회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임계 값은 제2 임계 값보다 작게 설정되며, 목적지의 도착, 배회 및 이탈 등을 판단하기 위해 2 이상의 임계 값이 설정될 수도 있다.
기지국(200)은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링크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측위를 위해 기지국(200)은 무선랜 AP(Access Point)나 펨토셀 기지국일 수 있다. 무선랜 AP 및 펨토셀 기지국은 설치의 제약이 없어서 품질 좋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사용자가 건물 내부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GPS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실내 지역 또는 건물 밀집 지역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측정이 가능하다.
서버(300)는 보호자로부터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지를 입력 받고, 목적지를 토대로 영역을 설정한다. 서버(300)는 보호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 받으면 목적지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정보로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으며, 영역의 정보 또한 기지국의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설정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설정 정보는 목적지 정보, 제1 및 제2 임계 값, 영역 정보 및 측위 주기 정보, 측위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 시작(ON) 시에 서버(300)로 설정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300)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측정 및 목적지 도착 유무 판단 등을 모두 이동 단말기(100)에서 직접 수행하므로, 종래와 같이 서버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하고 목적지 도착 유무를 판단하여 보호자에게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비해 측위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 서버는 위치 측위 값을 이용하여 단순히 특정 영역을 진입했는지 이탈했는지를 판단하므로, 목적지 도착 유무 판단에 있어서 다량의 오보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목적지 도착 유무를 서버에서 판단하게 되면 이동 단말기에서 서버로 무선망을 통해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많아지게 되고, 서버에서의 프로세싱이 많아지게 되어 과도한 통신 요금 및 고사양의 서버가 필요하게 되는 반면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하고 목적지 도착 유무를 판단하면 서버의 부하 및 무선망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목적지에 도착한 이후에도 학교나 학원 등에서 층별로 기지국이 구축되어 있는 경우, 보호 대상자의 동선 관리 및 층별 인식까지 가능하므로, 보호 대상자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에서 목적지 도착 아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측위부(120), 영역 진입 판단부(130), 예상 경로 연산부(140), 비교 연산부(150), 파라미터 제어부(160), 출력부(170)를 포함한다.
도 3을 보면, 제어부(110)는 측위부(120), 영역 진입 판단부(130), 예상 경로 연산부(140), 비교 연산부(150), 파라미터 제어부(160) 및 출력부(17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이동 단말기(100)가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를 시작하면(S302), 서버(300)로부터 설정 정보를 다운로드한다(S304).
측위부(120)는 측위 주기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한다(S306). 측위부(120)는 GPS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으며, 통신망의 기지국(200)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측위부(120)는 파라미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서 측위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영역 진입 판단부(130)는 측위부(120)에 의해서 측정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또는 통신망의 기지국(200)의 스캔을 통해 획득한 기지국(200)의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영역의 진입 유무를 판단한다(S308). 예를 들어, 목적지 정보가 기지국의 정보로 설정된 경우, 해당 기지국의 신호 도달 범위로 영역이 설정될 수 있고, 영역 진입 판단부(130)는 통신망의 기지국을 스캔하여 해당 기지국의 정보가 획득되면 설정된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파라미터 제어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영역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측위 주기를 변경한다(S310). 파라미터 제어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영역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측위 주기를 짧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파라미터 제어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영역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측위 방식을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파라미터 제어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영역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측위 주기 및/또는 측위 방식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S312).
이동 단말기(100)가 설정된 영역 내로 진입한 경우, 측위부(120)는 변경된 측위 주기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하며(S314), 예상 경로 연산부(140)는 측위부(120)에 의해서 측정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실제 이동 경로를 계산하고(S316), 실제 이동 경로로부터 사전 설정된 영역 내의 목적지까지의 예상 경로를 생성한다(S318).
비교 연산부(150)는 영역의 진입 유무와 예상 경로와 실제 이동 경로의 차이(ΔR)를 토대로 목적지 진입 유무를 판단하고(S320), 판단 결과를 출력부(170)로 전달한다.
도 4는 이동 단말기의 실제 이동 경로와 목적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설정된 영역 내로 진입한 경우, 측위 주기는 짧아지고 측위 주기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한다. 측위 주기에 따른 측위 시간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및 예상 경로 연산부(140)에서 생성한 목적지까지의 예상 경로가 도 4와 같은 경우, 비교 연산부(150)는 표 1과 같이 목적지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표 1에서, ΔR은 예상 경로와 실제 이동 경로의 차이를 나타내며, C1 및 C2는 제2 임계 값을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2020382990-pat00001
표 1을 보면, 비교 연산부(150)는 이동 단말기(100)가 영역 내부에 있고 ΔR이 임계 값(C1)보다 작은 경우 목적지 도착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가 영역 내부에 있고 ΔR이 임계 값(C2) 이하인 경우 목적지 배회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비교 연산부(150)는 이동 단말기(100)가 영역 외부에 있고 ΔR이 임계 값(C2)보다 큰 경우 목적지 이탈로 판단할 수 있다. ΔR은 예상 경로로부터 얻어지는 값이므로, 목적지 도착 및 이탈 여부를 보다 빨리 판단할 수 있다.
파라미터 제어부(160)는 비교 연산부(150)의 목적지 진입 유무 결과에 따라서 측위 주기 및 측위 방식 등의 파라미터 정보를 변경한다(S322). 측위 방식에는 무선랜 AP를 이용하는 방식, GPS를 이용하는 방식 및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파라미터 제어부(160)는 ΔR이 임계 값(C2)보다 큰 경우 목적지 이탈로 판단하고, 영역에 진입한 이후에 목적지 이탈로 판단되는 특수 상황의 경우 측위 주기 등의 파라미터 정보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제어부(160)는 ΔR이 임계 값(C2)보다 큰 경우 측위 주기를 짧게 변경한다. 이렇게 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동 경로 추적도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파라미터 제어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영역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측위 방식을 기지국을 이용한 방법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보호 대상자가 어린이인 경우, 목적지는 학교나 학원이며, 학교나 학원과 같은 실내 건물에서 GPS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에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파라미터 제어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영역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측위 방법을 기지국을 이용한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영역에 진입한 이후에 목적지 이탈로 판단되는 특수 상황의 경우 파라미터 제어부(160)는 정밀한 측위를 위해 측위 방식을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가지의 측위 방식을 이용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출력부(170)는 비교 연산부(150)의 판단 결과를 출력한다. 출력부(170)는 비교 연산부(140)의 판단 결과를 보호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170)는 비교 연산부(140)의 판단 결과를 보호자의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통해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5에서는 통신망의 기지국의 정보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을 도시하였다.
도 5를 참고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를 시작하면(S502), 서버(300)로부터 설정 정보를 다운로드한다(S504).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설정 정보는 목적지 정보, 영역 정보, 측위 주기 정보, 측위 방식, 제1 및 제2 임계 값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목적지 정보는 해당 목적지에 있는 기지국의 정보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설정된 측위 주기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한다(S506).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이용하여 영역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한다(S508).
이동 단말기(100)가 영역에 진입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측위 주기를 짧게 설정한다(S510).
한편, 이동 단말기(100)가 영역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측위 주기를 현재 값으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S512). 또한 이동 단말기(100)가 영역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측위 방식을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영역에 진입했다가 이탈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측위 방식으로 무선랜 AP를 이용하는 방식, GPS를 이용하는 방식 및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방식을 모두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위 주기를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변경된 측위 주기 및 측위 방식에 따라서 주변 기지국을 스캔하여, 주변 기지국의 정보를 획득한다(S514).
이동 단말기(100)는 획득한 주변 기지국의 정보와 목적지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정보의 비교하여 목적지의 기지국의 정보의 획득 여부를 판단한다(S516).
이동 단말기(100)는 획득한 주변 기지국의 정보 중에서 목적지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정보와 일치하는 기지국의 정보가 존재하면 목적지의 기지국의 정보를 획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상에서 설명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은 보호 대상자를 위한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를 일 예로 설명하였지만 이동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의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에도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목적지 정보를 서버로부터 다운 받으면,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목적지에 도착했는지 목적지를 배회하는지 아니면 목적지를 이탈했는지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목적지를 지나치지 않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이동 단말기에서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초기 설정된 측위 주기에 따라서 설정된 측위 방식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목적지를 포함하는 영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측정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실제 이동 경로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실제 이동 경로를 통해서 목적지까지의 예상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예상 경로의 차이로부터 목적지 진입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목적지 진입 유무에 따라서 상기 측위 주기 및 상기 측위 방식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목적지 도착 알림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실제 이동 경로를 계산하기 전에, 상기 측위 주기를 짧게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목적지 도착 알림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 진입 유무를 판단한 결과, 상기 목적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측위 주기를 짧게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적지 도착 알림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보호 대상자가 소지하며,
    상기 목적지 진입 유무를 보호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목적지 도착 알림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목적지의 정보, 상기 영역의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서버로부터 다운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초기 설정된 측위 주기를 포함하는 목적지 도착 알림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예상 경로의 차이가 제1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예상 경로의 차이가 제2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목적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임계 값은 상기 제2 임계 값보다 작게 설정되는 목적지 도착 알림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예상 경로의 차이가 상기 제2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목적지를 배회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목적지 도착 알림 방법.
  8. 제5항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기지국 정보로 상기 목적지의 정보가 설정된 경우, 기지국 스캔을 통해서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기지국 정보의 획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기지국 정보의 획득 여부 및 상기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예상 경로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진입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적지 도착 알림 방법.
  9. 삭제
  10. 제1항에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 진입 유무를 판단한 결과, 상기 목적지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측위 방식을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측위 방식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적지 도착 알림 방법.
  11.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초기 설정된 측위 주기 및 측위 방식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측위부,
    상기 이동 단말기가 목적지를 포함하는 영역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진입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목적지까지의 예상 경로를 생성하는 예상 경로 연산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실제 이동 경로와 예상 경로의 차이로부터 상기 목적지의 진입 유무를 판단하는 비교 연산부, 그리고
    상기 비교 연산부의 상기 목적지의 진입 유무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측위 주기 및 측위 방식을 변경하는 파라미터 제어부
    를 포함하는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12. 제11항에서,
    상기 파라미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목적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측위 주기를 짧게 변경하고 상기 측위 방식을 적어도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측위 방식으로 변경하고,
    상기 영역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진입하면 상기 측위 주기를 짧게 변경하는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13. 제11항에서,
    상기 목적지의 정보, 상기 영역의 정보 및 상기 초기 설정된 측위 주기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다운받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14. 제13항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측위부, 상기 예상 경로 연산부, 상기 비교 연산부, 상기 파라미터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15. 제11항에서,
    상기 비교 연산부는,
    상기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예상 경로의 차이가 제1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예상 경로의 차이가 제2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목적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실제 이동 경로와 상기 예상 경로의 차이가 상기 제2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목적지를 배회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임계 값은 상기 제2 임계 값보다 작게 설정되는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16. 제11항에서,
    상기 목적지는 기지국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 연산부는 기지국 스캔을 통해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기지국 정보의 획득 유무 및 실제 이동 경로와 예상 경로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의 진입 유무를 판단하는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KR1020120025760A 2012-03-13 2012-03-13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343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760A KR101343622B1 (ko) 2012-03-13 2012-03-13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760A KR101343622B1 (ko) 2012-03-13 2012-03-13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348A KR20130104348A (ko) 2013-09-25
KR101343622B1 true KR101343622B1 (ko) 2013-12-19

Family

ID=4945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760A KR101343622B1 (ko) 2012-03-13 2012-03-13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6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027B1 (ko) * 2013-10-17 2020-03-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101686215B1 (ko) * 2014-09-29 2016-12-13 장광영 웹링크 기반의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CN115690163B (zh) * 2023-01-04 2023-05-09 中译文娱科技(青岛)有限公司 基于影像内容的目标跟踪方法、系统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443B1 (ko) * 2004-05-17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특정 지역을 기준으로 이동단말기의 위치 유형 정보를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443B1 (ko) * 2004-05-17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특정 지역을 기준으로 이동단말기의 위치 유형 정보를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348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6802C (en) Location storage device, wireless terminal, location storage system,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location update method and program
EP3266231B1 (en) Selectively using beacon radio node location to determine user equipment location based on sensed movement of the beacon radio node
KR101398047B1 (ko) 일 영역으로의 액세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대해 실현 가능한지 또는 실현 불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KR101599178B1 (ko) 네트워크 내의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검출
US20180091939A1 (en) Geofenced access point measurement data collection
KR102604366B1 (ko) 측위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2741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positioning based on wireless landmarks
US9439168B2 (en) Use of RF signatures to detect moved wireless transmitters
ES2895201T3 (es) Un método de determinación de cobertura usando trayectorias predefinidas
CN106796110B (zh) 网络元件和用户设备在室内环境中的位置确定
KR101770510B1 (ko) 관심영역 이탈 및 진입 자동감지 시스템 및 방법
EP3213032A2 (en) Position estimation for updating a database of positioning data
KR20110115521A (ko) 고정 무선 노드들에 관한 데이터를 갱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서버 시스템
JP2009055138A (ja) トレーニングデータの収集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移動体通信端末の位置検出方法
KR20150131115A (ko) 서버-기반 모바일 디바이스 영역 후보 위치 결정 모드 선택
WO2018090696A1 (zh) 一种室内定位方法及装置、服务器、用户设备
KR101343622B1 (ko)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JP7288589B2 (ja) 協調測位
KR20150132254A (ko) 외부에서 생성된 영역 후보 위치 결정 모드 선택에 응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포지셔닝
KR101878295B1 (ko) 실내외 통합 측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5257B1 (ko) 무선신호 정규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정규화 시스템을 이용한 단말기 위치측정시스템 및 그 방법
JP6773581B2 (ja) 測位端末並びに当該測位端末を用いた測位システム及び測位方法
JP2006325218A (ja) 無線ブロードバンド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端末位置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これを含んだ中継器
KR101699982B1 (ko) 다양한 위치 식별 이동단말 및 그 동작 방법, 이동단말의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기지국 및 그 동작 방법
JP6169830B2 (ja) 通信装置の通信処理の制限方法、通信装置及び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