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846A - 유동 음식물의 밀봉 패키지를 생산하기 위한 시트 패키징 재료 - Google Patents

유동 음식물의 밀봉 패키지를 생산하기 위한 시트 패키징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846A
KR20120060846A KR1020127006875A KR20127006875A KR20120060846A KR 20120060846 A KR20120060846 A KR 20120060846A KR 1020127006875 A KR1020127006875 A KR 1020127006875A KR 20127006875 A KR20127006875 A KR 20127006875A KR 20120060846 A KR20120060846 A KR 20120060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ot
packaging material
package
removable portion
re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1459B1 (ko
Inventor
가보 벤코
안젤로 소르바라
크리스티아노 캐슬레
마르코 마르체티
세바스티안 헤이노넨
도메니코 디돈나
티지아나 캐베치아
클라우디오 카사리니
Original Assignee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6083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6084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20060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4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outwardly or adhered to the side or the top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1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inwardly beneath the closure flaps
    • B65D5/062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inwardly beneath the closure flaps with supplemental means facilitating the opening, e.g. tear lines, tear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7Dispensing openings provided in the upper end-walls of tubular containers, the openings being closed by means of separate stopper or other clos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65D5/746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 B65D5/747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with means for piercing or cutting the container wall or a membrane connected to said wall
    • B65D5/748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with means for piercing or cutting the container wall or a membrane connected to said wall a major part of the container wall or membran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8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for mil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5Sheet, web, or layer weakened to permit separation through 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 Wrapper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부을 수 있는 음식물용 밀봉 패키지(1)를 생산하기 위한 시트 패키징 재료(M)가 기술되는 바; 패키징 재료(M)는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층(11)과, 베이스층(11)의 양측을 커버하는 다수의 적층층(12)들과, 사용시에 적어도 하나의 아크-형 절단선(20, 20''''')을 따라 패키징 재료(M)의 잔여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고 또한 패키지(1)로부터 음식을 부을 수 있게 하는 토출구(9)를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절단선(20, 20''''')의 끝쪽들 간에 연장하는 접철영역(21, 81)에서 접철되는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들을 포함하고;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는 전체 패키징 재료로 만들고 또한 사용시 소정의 경우에, 접철영역(21, 81)에 의해 규정되는 영구 브리지(26)를 통해 패키징 재료(M)의 잔여부에 부착된 채로 남아 있는 중앙 영역(25)과, 그리고 중앙 영역(25)의 부분 둘레로 연장하고, 절단선(20, 20''''')을 수용하고 그리고 베이스층(1)에 적어도 제공되고 또한 적층층(12)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커버되는 관통 슬롯(31, 31', 31'', 31''', 31a'''', 31b'''', 31c'''', 31''''')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적층된 개구(30, 30', 30'', 30''', 30a'''', 30b'''', 30c'''', 30''''')을 포함하는, 절단 상호작용요 주변 영역(27, 27' ,27'', 27''', 27'''', 2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동 음식물의 밀봉 패키지를 생산하기 위한 시트 패키징 재료{SHEET PACKAGING MATERIAL FOR PRODUCING SEALED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본 발명은 유동성 식품의 밀봉 패키지를 생산하기 위한 시트 패키징 재료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과일 주스, UHT(ultra-high-temperature treated:초고온 처리) 유우, 와인, 토마토 주스 등과 같은 많은 유용성 음식은 살균처리된 패키징 재료로 만든 패키지로 판매된다.
전형적인 예는, Tetra Brik Aseptic(등록상표)로 알려진 액상 또는 유동성 음식용 평행 6면체 형상의 패키지이고, 이는 적층된 스트립 패키징 재료를 접고 밀봉함으로써 만든다. 패키징 재료는, 예컨대 종이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양측이 예컨대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밀봉(heat-seal) 플라스틱의 층들로 커버되는 베이스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진다. UHT 우유와 같은 장기 저장 식품용 무균성 패키지의 경우에, 패키징 재료는, 열-밀봉 플라스픽 재료의 층 위에 겹쳐놓고 또한 궁극적으로 식품과 접촉하는 패키지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열-밀봉 플라스틱의 다른 층으로 커버되는,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산소-차단 재료의 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패키지들은 일반적으로 완전히 자동화된 패키징 기계들에서 생산되는데, 여기에서, 연속적인 튜브가 웹-페드(web-fed) 패키징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용액과 같은 화학적 살균제를 도포함으로써 패킹 재료의 웹이 패키징 기계에서 살균되고, 살균이 완료되면 상기 과산화수소 용액은 열처리에 의한 증발에 의해 패킹 재료의 표면들로부터 제거되고; 이렇게 살균된 웹이 밀폐된, 살균 환경 내에서 유지되고, 그리고 웹이 세로방향으로 접혀지고 또한 밀봉되어, 수직으로 공급되는 튜브를 형성하게 된다.
성형 작업을 완료하기 위하여, 튜브는 살균된 또는 살균-공정된 음식으로 채워지고, 밀봉되고, 계속하여 등간격으로 이격된 단면들을 따라 절단되고; 작은 포장용기들이 이렇게 얻어지고, 그런 다음 이 작은 포장용기들은 기계적으로 접혀져 최종 패키지를 형성하게 된다.
다르게는, 패키징 재료는, 성형 스핀들(forming spindles)에서 패키지로 형성되게 되는 블랭크(blanks)들로 절단될 수 있고, 그런 다음 패키지들은 음식물로 채워져 밀봉된다. 이러한 유형의 패키지의 한 예는 상표명 Tetra Rex(등록상표)로 알려진 소위 "게이블-톱(gable-top)" 패키지이다.
상기 패키지를 개방하기 위하여, 이들 패키지들에는 통상적으로 제거가능부(removable portion)가 제공되는데, 이는 개방장치를 통해 패키징 재료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토출구(pour opening)를 자유롭게 하고, 이 토출구를 통해 음식물을 쏟아붓게 된다.
상기 제거가능부는 패키징 재료를 접고 밀봉하여 최종 패키지를 형성하기에 앞서 패키징 재료에 형성된다.
상기 제거가능부는 통상적으로 소위 "선적층(prelaminated)" 구멍을 포함하는데, 즉 패키징 재료 중에서 베이스층만을 통해서 형성되고 또한 재료가 적층되면 열-밀봉 플라스틱 재료의 층들과 차단재료(barrier material)로 커버되는 원형의 구멍을 포함하고, 플라스틱 재료의 층들과 차단재료는 구멍에서 서로 접착된다.
지난 수년간에 걸쳐, 음식물의 부드러운 토출을 손상시키는 헤어진 부분(fraying)이 없는, 토출구의 가장자리에 대한 깨끗한 절단을 이루기 위한 방식으로 선적층 구멍들을 개방하기 위한 효율적인고, 일관된 방법을 고안하기 위한 상당한 연구가 산업계에서 수행되어 왔다.
연구는 주로, 패키지를 개봉할 때 선적층된 구멍을 가능한 효율적으로 절단하도록 디자인된 개방장치들의 다양한 움직임을 고안하는 것에 집중되었고, 또한 특히 한 동작으로 패키지들을 개방할 수 있는, 즉 사용자의 한 동작으로 선적층된 구멍을 절단하고 최종 구멍을 노출시킬 수 있는 개방장치에 집중되었다.
예컨대, 제안된 첫 번째 해결안이, 인터내션날 페이퍼 컴퍼니(INERNATIONAL PAPER Company)가 출원한 국제특허출원 WO95/05996에 기술되어 있는데, 여기서 개방장치는 대체로, 주둥이를 규정하고 또한 패키지의 제거가능부 둘레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주둥이를 밀폐하기 위해 프레임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는 제거가능한 캡과, 그리고 프레임 내측에 나사 결합되고 또한 상기 제거가능부와 협동하여 관력벽(relative wall)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즉 작은 각도의 플랩(flap)을 제외하고 분리되는 사실상 관형의 원통형 커터(cutter)를 포함한다.
상기 커터는 프레임으로부터 캡을 제거할 때 활성화되는, 일방 래칫형 전송수단(one-way ratchet-type transmission means)을 통해 캡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국제특허출원에서 기술된 특정 경우에서, 커터는 제거가능부에 평행하고 또한 모두 삼각형이고 또한 동일한 높이인 다수의 이빨을 가지는 단부 가장자리(end edge)를 통해 제거가능부에 작용한다.
실제 사용에서, 커터는 프레임에 관해, 단부 이빨이 제거가능부에 면하는, 융기된 정지위치(raised rest position)에서, 단부 이빨이 동시에 제거가능부와 교차하게 되는, 연속적인 하강 절단위치(successive lowered cutting position)으로 나선형으로 이동한다.
한 동작으로 패키지를 개방하는 것이 성공적이라 하더라도, 상기 유형의 개방장치들은, 이빨이 제거가능부 재료를 "씹는(chew)" 경향이 있어서, 뾰족하고, 너덜너덜한 절단 가장자리를 형성하여, 때때로 음식물을 토출할 때 음식물의 흐름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게다가, 제거가능부의 절단부분이 패키지 내측에 걸려있는 상태로 있게 되고, 또한 사용시에 주둥이의 흐름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는 경향이 있어서, 음식물의 토출을 심각하게 간섭하게 ehlserk.
패키징 재료의 나머지로부터 제거가능부의 분리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른 해결안들이 제안되었는데,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에스아이지 테크놀로지 엘티디.(SIG Technology Ltd.)가 출원한 특허 EP-B1513722호와, EP-B-1509456호에 기술된 것들에서 나타난다.
특히, 상기 해결안들 중 첫 번째에서, 커터가 패키지의 벽을 관통할 때, 커터의 이동이 순수한 수직 전환부(vertical translation portion)과 순수한 수평 회전부를 포함하도록 커터가 안내된다.
두 번째 해결안에서, 패키지를 개봉할 때 커터의 이동은 제1상승부(a first spiraling portion)과, 순수한 제2수평 회전부를 포함한다.
제거가능부의 절단 품질을 개선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해결안들은, 음식물의 토출을 간섭하는 헤어진 부분이 없는 깨끗한 절단 가장자리를 달성함에 있어서 여전히 불만족스럽다.
마지막으로, 패키지의 제거가능부를 특별히 강한 재료로 만들 때, 예컨대 유기금속(organometal) 또는 메탈로세(metallocene)으로 촉진된 중합체(polymer)로 커버된 차단재료(barrier material)로 만들 때, 상기 제한들은 특히 현저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 경우, 커터의 작동 하에서 제거가능부는 째지기보다는 "늘어지는(stretch)" 경향이 있어, 보다 뾰족한 절단 가장자리를 형성하게 된다.
출원인은, 제거가능부의 효율적이고, 깨끗한 절단은 사용한 개방장치의 유형과 움직임뿐만 아니라, 패키징 재료의 베이스층을 통과해 형성되는 구멍의 적층 품질에 의존한다는 것을 관측하였다.
특히, 출원인은, 적층되는 베이스층의 구멍의 면적이 크면 클수록, 전체 면적에 대해 일정한 적층 압력을 달성하기가 한층 더 어렵게 되어, 최종적으로 적층된 중합체의 불균일한 두께가 이루어지게 된다는 것을 관측하였다.
따라서, 많은 상이한 유형의, 현재 존재하는 개방장치들을 사용하여 제거가증부의 깨끗하고, 일관된 절단을 이루는 것을 어렵게 한다.
게다가, 베이스층의 구멍의 적층을 높게 하고 또한 높은 속도는 이 동작의 품질을 매우 위태롭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속도로 생산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개선된 적층 품질을 가지고 또한 말끔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절단할 수 있는 제거가능부가 제공되는, 부을 수 있는 음식물의 밀봉 패키지를 위한, 시트 패키징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1항에 청구된 것과 같이, 부을 수 있음 음식물의 밀봉 패키지를 생산하기 위한 시트 패키징 재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한 동작으로 깨끗한 절단 가장자리를 가지는 토출개구(pour opening)를 일관되게 생성하도록 서로 상호작용하는 제거가능부와 재밀폐가능(reclosable) 개방장치를 가지는, 부을 수 있는 음식물용의 밀봉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26에 청구된 것과 같은, 부을 수 있는 음식물용 밀봉 패키지가 제공된다.
공지된 패키지들과 패키징 재료들과 관련한 다른 문제점은, 패키징 재료의 잔여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가 되면, 음식물의 통과를 위한 토출구(pouring hole)를규정하는 제거가능부의 면적의 제한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제거가능부는 패키지의 상부 벽에 배열되는 원형의 선적층된 구멍에 의해 통상적으로 규정되고; 상기 벽은 일반적으로 선적층된 구멍을 제공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구멍의 양을 제한하는 하나 이상의 밀봉 밴드(sealing band)를 가진다.
특히, 패키징 재료로 된 튜브로 형성되는 패키지들의 경우에, 상부 벽은 중심선을 따라, 상부 벽 상에 아래로 접혀지고 또한 상부 벽과 동일 평면상에 있는 평평한 가로 밀봉 밴드와, 그리고 가로 밀봉 밴드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평평한 세로 밀봉 밴드의 단부 부분과 교차한다. 특히, 세로 밀봉 밴드는 패키지의 상부 벽의 일부를 따라 연장하고, 또한 패키지의 측벽과 바닥멱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한다.
마찬가지로, 스핀들-성형된(spindle-formed) 패키지는 또한 중심을 따라, 상부 벽 위 아래로 접혀지고 또한 동일 평면상인 평평한 가로 밀봉 밴드와 교차하는 상부 벽을 포함한다.
어느 경우에서도 선적층된 구멍이 패키지의 밀봉 밴드 상에 형성될 수 없는데, 이는 밀봉의 완전성과 음식물의 토출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불균일한 표면 위에 상대 개구장치를 밀봉함에 있어서 문제점들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선적층된 구멍은 밀봉 밴드들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야만 하고; 실제로 밀봉 밴드에 너무 가까운 선적층된 구멍은 이 영역에서 적용되는 열과 압력으로 인해 구멍의 형성 동안에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선적층된 구멍은 패키지의 상부 벽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밀봉 밴드들에 인접한 제한된 평평한 부분들에서만 형성될 수 있고, 이는 패키지의 첫 번째 개방 이후에 최종 토출구의 최대 크기를 명백히 한정한다.
토출구가 크면 클수록 토출 특성이 좋아진다. 그러므로, 종이형 패키징 재료로 만든 패키지로 판매되는 물리적으로 상이한 제품들의 수가 증가하고, 이들 중 몇몇은 특히 반-액상 제품 또는 섬유 또는 입자들을 포함하는 제품이라는 관점에 비추어 보면, 큰 토출구의 필요성이 있고 또한 보다 나은 토출을 제공하는 개방장치들은 음식물이 부드럽게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보다 큰 구멍들을 필요로 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공지 패키지들이 가지는 다른 문제점은 커터와, 캡과 그리고 프레임에서부터 캡을 제일 먼저 나사결합 해제하는 동안에 커터의 이동을 생성하기 위한 전송수단들의 디자인의 복잡도이고; 이 복잡도의 상당 부분은, 패키지의 첫 번째 개방 동안에 제거가능부가 완벽하게 절단되지 못해, 패키지 내용물에 떨어질 수 있다는 소정의 문제점을 피하도록 해줄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을 수 있는 음식물의 밀봉 패키지를 위해, 공지 해결안보다 크고 또한 패키지의 첫 번째 개방 동안에 제거가능부가 완벽하게 절단된다는 소정의 위험을 피하기에 적합한 제거가능부를 가지는 시트 패키징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28항에 청구된 것과 같은, 부을 수 있는 음식물의 밀봉 패키지를 생산하기 위한 시트 패키징 재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공지된 해결안보다 크고 또한 첫 번째 개방 동안에 제거가능부가 완벽히 절단되는 소정의 위험성을 피하기에 적합한 제거가능부를 가지는 밀봉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35에 청구된 것과 같은, 부을 수 있는 음식물용 밀봉 패키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개방 동안에 제거가능부가 완벽히 절단되는 소정의 위험성을 피하기에 적합한 제거가능부를 가지는 밀봉 패키지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침에 따른, 부을 수 있는 음식물용 밀봉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형의 패키지를 생산kf 수 있는, 패키징 재료의 기초유닛의 상면도.
도 3은 도 2의 패키징 재료 중 제거가능부의 확대 상면도.
도 4는 도 3의 선 Ⅳ-Ⅳ 따른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패키지를 개방시키는, 재밀폐 가능한 개방장치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6은 첫 번째 개방 후 도 1의 패키지의 부분적 단면부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2의 패키징 재료의 제거가능부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 상면도.
도 8은 도 7의 선 Ⅷ-Ⅷ을 따른 확대 단면도.
도 9, 10, 11 및 12는 도 2의 패키징 재료의 제거가능부의 다른 실시예들의 확대 상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지침에 따른 제거가능부의 또 다른 실시예가 제공되는 도 1의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유형의 패키지를 생산하는 패키징 재료의 기초유닛의 상면도.
도 15는 도 14의 선 ⅩⅤ-ⅩⅤ를 따른 확대 단면도.
도 16은 도 13의 패키지 내측과 첫 번째 개방 후를 보여주는 확대도.
본 발명의 몇몇 바람직하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기술하게 된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부을 수 있는 음식물용 밀봉 패키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고, 패키지는 다층 시트 패키징 재료(2)(도 2 및 4)로 만들고 또한 정상부(3)에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드는 재밀폐 가능한 개방장치(reclosable opening device)(4)가 끼워지도록 설계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에서, 개방장치(4)는 EP-A2055640호에 기술된 것과 매우 유사한 유형이고 또한 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EP-A-1088764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다른 개방장치들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개방장치(4)는 접착제와 같은 통상적인 고정시스템, 또는 마이크로-화염(micro-flame), 전기-전류-유도(electric-current-induction), 초음파, 레이저, 또는 다른 열-밀봉 기술로 패키지(1)에 적용된다.
도 1에 도시된 패키지(1)는 유럽특허출원 제EP-A-1338521호에 기술된 유형이다. 본 발명은 평행육면체 또는 프리즘-형 패키지들, "게이블-탑(gable-top)" 패키지 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밀봉 패키지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패키지(1)는 4변형(도시된 예예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정상벽(top wall)(5)과, 4변형(이 경우에,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바닥벽(6)과, 정상벽(5)과 바닥벽(6) 사이를 연장하는 네 개의 측벽(7)들과, 네 개의 모서리벽(8)들을 포함하고, 모서리벽들 각각은 각 쌍의 인접하는 측벽(7)들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정상벽(5)과 바닥벽(6) 사이를 연장한다.
측벽(7)들 각각은 직사각형의 중간부분(7a)과, 대향하는 각각의 정상 및 바닥의, 등변-사다리형(isosceles-trapezium-shaped) 단부부분(7b, 7c)를 포함하고, 단부부분의 작은 밑면(minor base)들은 동일하고 또한 중간부분(7a)의 대향하는 수평 측면에 의해 규정되고 그리고 큰 밑면(major base)들은 정상벽(5)과 바닥벽(6)의 대응하는 측면과 일치한다.
모서리벽(8) 각각은 직사각형의 중간부분(8a)과, 그리고 대향하는, 각각의 정상 및 바닥의, 삼각형 단부부분(8b, 8c)을 포함하고, 단부부분의 밑면들은 동일하고 또한 중간부분(8a)의 대향하는 수평 측면들에 의해 규정되고 그리고, 단부부분의 정점(apexes)들은 정상벽(5)과 바닥벽(6) 각각의 모서리와 일치한다. 즉 달리 말하면, 도 1의 구성에서, 정상 단부부분(8b)는 상방으로-향하는 정점들을 가지고, 그리고 바닥 단부부분(8b)들은 하방으로-향하는 정점들을 가진다.
패키지(1)의 내측에 면하는 측면 상에서, 각 단부부분(7b, 7c, 8b, 8c)들은 인접하는 정상벽(5) 또는 바닥벽(6)과 90°를 초과하지만 180°미만인 각도를 형성한다.
이후에 보다 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정상에서 패키지(1)는 사용시에 토출구(9)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 개방장치(4)에 의해 패키징 재료(2)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제거가능부(10)를 가지고(도 6참조), 토출구를 통해 패키지(1)로부터 음식물을 부을 수 있다.
패키지(1)를 제작하는데 사용하는 패키징 재료(2)는 강성(딱딱함)(stiffness)을 위한, 예컨대 종이재질의 베이스층(11)과, 베이스층(11)의 양측 위를 커버하는 다수의 적층층(lamination layer)(12)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진다(도 4).
도시한 예에서, 적층층(12)은 예컨대 알루미늄 박(aluminum foil)과 같은 산소-차단재료로 된 층(12a)과, 베이스층(11)과 층(12a) 둘 다의 양 측면을 커버하는 열밀봉(heat-seal) 플라스틱재료로 된 다수의 층(12b)을 포함한다. 즉 달리 말하면, 도 4의 해결안은 궁극적으로 패키지(1)의 내측을 형성하는 측면에서부터 연속하여, 열밀봉 플라스틱 재료의 층(12b)과, 차단재료의 층(12a)과, 다른 열밀봉 플라스픽 재료의 층(12b)과, 베이스층(11)과 또 다른 열밀봉 플라스픽 재료의 층(12b)을 포함한다.
사용시에 음식물과 접촉하는 열밀봉 플라스픽 재료의 내측 층(12b)은, 예컨대 강한, 특히 높은-신축성의, 메탈로센-촉진된(metallocene-catalyzed), 선형 저밀도(low-linear-density:LLD) 폴리에틸렌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밀봉 플라스픽 재료의 층(12b)은 용융상태로 베이스층(11) 위에 적층되어, 연속적으로 냉각된다.
가능한 대안으로서, 적어도 플라스틱 재료의 내측층들은, 베이스층(11) 위에 적층되는 선제작된(prefabricated) 필림으로서 제공될 수 있고; 이 기술은 밀봉된 패키지(1)를 위한 성형 공정 동안에 제거가능부(10)에서 또는 주위에서 구멍 또는 균열이 형성되는 소정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도 2에서 문자 M은, 패키징 재료(2)의 기초유닛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통해 패키지(1)를 생산하고, 또한 유닛(M)들의 연속을 포함하는 패키징 재료의 웹(web)의 일부 또는 선절단 블랭크(precut blank)일 수 있다.
첫 번째 경우에서, 기초유닛(M)은 공지된 접철 스핀들(미도시) 상에서 접혀지고, 음식물로 채워지고, 그리고 정상에서 밀봉되어 최종 패키지를 형성한다. 두 번째 경우에서, 기초유닛(M)의 연속을 포함하는 패키징 재료(2)의 웹이:
- 원통형으로 접혀지고 그리고 세로로 밀봉되어 수직 튜브를 형성하고;
- 음식물로 연속적으로 채워지고; 그리고
- 가로로 밀봉되고 또한 절단되어, 추후 각 패키지(1)를 형성하도록 접철되는 기초유닛(M)이 된다.
이들 공정들의 완료 후에, 패키지(1)는 중심선을 따라 정상벽(5)을 가로지르를 정상 가로 밀봉밴드(13)와, 바닥벽(6)을 가로지는 바닥 가로 밀봉밴드(미도시)와 그리고 정상과 바닥벽(5, 6)의 각 부분들과 측벽(7)들 중 하나를 따라 정상 가로 밀봉밴드(13)와 바닥 가로 밀봉밴드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세로 밀봉밴드(14)를 가진다.
상세하게는, 패키지(1)가 완전히 밀봉되어 성형된 후에, 정상벽(5)은 정상 가로 밀봉밴드(13)와 그리고 정상 가로 밀봉밴드(13)에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세로 밀봉밴드(14)의 단부부분(14a)과 교차하고; 보다 상세하게는, 정상 가로 밀봉밴드913)는 정상벽(5)을 두 영역(5a, 5b)으로 분할하고 또한 세로 밀봉밴드(14)의 단부부분(14a)은 정상 가로 밀봉밴드(13)의 중간부분에서부터 상기 영역(5a, 5b)들 하나(5b) 위로 연장한다.
패키지(1)를 만들기 위한 성형 공정 동안에, 정상 가로 밀봉밴드(13)는 영역(5b)과 세로 밀봉밴드(14)의 단부부분(14a) 위로 접철되고; 이러한 방식에서, 영역(5a)은 영역(5b)보다 큰 영역을 가져,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거가능부(10)와 개방장치(4)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특별히 도 2를 참조하면, 기초유닛(M)은 주름패턴(crease pattern)(15)을 가진다. 즉, 접철선 각각을 규정하는 다수의 주름선을 가지고, 이들 주름선을 따라 패키징 재료(2)가 접철되어 최종 패키지(1)를 형성한다.
도시된 예에서, 주름패턴(15)은 도 1의 패키지(1)의 구성에서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1접철선(16)들과, 도 1의 패키지(1) 구성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2접철선(17)들과, 그리고 접철선(16 및 17)들에 관해 경사지는 제3접철선(18)들을 포함한다. 접철선(16, 17, 18)들은 공지된 방식으로, 패키지(1)의 다양한 벽(5, 6, 7, 8)들과, 벽(7 및 8)들의 다양한 부분(7a, 7b, 7c, 8a, 8b, 8c)들을 규정한다.
패키징 재료를 접철하고 또한 밀봉하기 전에 제거가능부(10)를 패키징 재료(2) 상에 형성하여 패키지(1)를 형성하고, 또한 사용시에는 도 1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장치(4)로 커버된다.
앞서 나타내었듯이, 개방장치(4)의 작동 하에서, 제거가능부(10)는 한 아크형 절단선(20)을 따라 패키징 재료(2)의 잔여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고 또한 절단선(20)의 대향하는 단부들 간에 연장하는 접철영역(21)에서 접철된다.
사용시에, 패키지(1)의 두 개의 인접한 벽들 간의 가장자리를 규정하는 접철선(16)들 중 하나와 교차하도록 기초유닛(M) 상에 위치하는 것이 유익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거가능부(10)는 사용시에 정상벽(5)과 측벽(7)들 중 하나의 정상 단부부분(7b) 간의 가장자리(24)를 규정하는 접철선(16)과 교차한다.
도 3과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거가능부(10)는, 사용시 소정의 경우에, 접철영역(21)에 의해 규정되는 영구 브리지(permanet bridge)(26)를 통해 기초유닛(M)의 패키징 재료의 잔연부에 부착되어 남아있는 전체 패키징 재료의 중앙 영역(25)과, 중앙 영역(25)의 부분 둘레로 연장하고 또한 절단선(20)을 포함하는 절단 상호작용(cutting interaction)을 위한 주변 영역(27)(즉, 패키지(1)의 첫 번째 개방 동안에 이를 따라 개방장치(4)가 작동하도록 설계된다)을 포함한다.
사용시에, 제거가능부(10)가 절단선(20)을 따라 관련 패키지(1)의 패키징 재료의 잔여부로부터 분리되어 접철되면(접혀지면), 영구 브리지(26)는 힌지로서 작용하여, 패키지(1) 내측으로 분리된 재료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26)는 적층방향(L)을 횡단하는 방향, 즉 공지된 롤러 적층유닛(미도시)을 통해 패키징 재료(2)가 공급되는 방향을 따라 중앙 영역(25)에서 패키징 재료(2)의 잔여부로 연장한다.
주변 영역(27)은 중앙 영역(25)에 면하는 단일의 오목면을 가지는 개방, 곡선 스트립(open, curvilinear strip)에 의해 규정된다. 실제로, 주변 영역(27)은 C-형상이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주변 영역(27)은, 베이스층(11)에 제공되는 관통 슬롯(through slot)(31)으로 형성되고 또한 다른 적층층(12a, 12b)들로 커버되는, 하나의 선적층된 스트립-형 개구(opening)(30)에 의해 완전히 규정된다.
이 경우에서, 절단선(20)은 선적층된 개구(30) 내에 완전히 수용된다. 이는, 사용시에 패키지(1)의 첫 번째 개방 동안에, (추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개방장치(4)에 의해 수행되는 절단동작만이 선적층된 개구(30)를 따라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에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베이스층(11)의 대양하는 면들을 따라 연장하는 적층층(12b)들이 적층 동안에 슬롯(31)을 통해 함께 밀봉된다. 이 방식에서, 절단선(20)을 따라 제거가능부(10)의 절단 이후에, 토출구(9)의 가장자리는 적층층(12)의 잔여부에 의해 외부적으로 커버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가장자리 침습(edge soaking)"의 현상을 피할 수 있게 한다. 즉, 첫 번째 개방 이후에 수평 위치에서 패키지(1)의 저장물로 인한 종이 가장자리의 흡수를 피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도 3과 4를 참조하면, 패키징 재료(2)의 유닛(M) 내 슬롯(31)은, 중앙 영역(25)에 인접한 제1가장자리(332)와, 그리고 가장자리(32)에 대향하고 또한 면하는 제2가장자리(33)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고; 가장자리(32, 33)들은 슬롯(31)의 각 대향 단부(36, 37)들에서 함께 결합된다.
대향 가장자리(32 및 33)들 간의 간격에 대응하는, 슬롯(31)의 폭(W)은 1mm 와 6mm 사이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2mm와 5mm 사이로 구성된다.
출원인은, 1mm 의 폭(W)은 관통 슬롯(31)를 밀봉과 함께 층(12)들의 적절한 적층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값이고, 또한 폭(W)이 6mm를 초과하면, 선적층된 개구(30)의 면적이 적층 결함을 생성시킬 확률과 함께 극적으로 증가하여; 실제로 적층된 개구(30)의 면적이 커지면, 제거가능부(10)에서 용융된 플라스틱 중합체의 이동이 많아져, 베이스층(11)에서 생성되는 슬롯(31)의 영역에서 적층층(12)의 불균일한 두께를 이루게 된다는 것을 관측하였다.
절단선(20)의 곡률 중심(G)에 관해 슬롯(31)의 대향 단부(36, 37)들 간의 각거리(angular distance)는, 중심(G)로부터의 결정되는 상기 언급한 단부(36, 38)들에 대한 탄젠트들 사이에 포함되는 각도(α)(도 3)로 측정될 수 있다.
출원인은, 각도(α)가 10°내지 160°사이의 범위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30°내지 90°사이의 범위일 때, 높은 품질의 적층과 그리고 제거가능부(10)의 주변 영역(27)의 깨끗하고 또한 손쉬운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관측하였다.
선적층된 개구(30)의 다른 중요 변수는, 슬롯(31)을 생성하기 위해 패키징 재료(2)를 장치(미도시)로 공급하는 방향과 그리고 각도(α)의 이등분선(Z)로 표시할 수 있는, 선적층된 개구(30)의 방위를 보여주는 방향 간의 각도(β)이다.
슬롯(31)을 생성하기 위해 장치로 패키징 재료(2)를 공급하는 방향은 적층 방향(L)과 일치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높은 품질의 적층과 그리고 제거가능부(10)의 주변 영역(27)의 깨끗하고, 손쉬운 절단을 이루기 위하여, 출원인은, 각도(β)는 45°내지 135°사이의 범위에 있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60°내지 120°사이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관측하였다.
중심(G)은 선적층된 개구(30)에 의해 그 범위가 정해지는 영역의 중심을 식별하기 위한 일종의 기준점인데, 완전하게 원일 필요는 없다. 이 기준점은, 성형 공정 동안에 선적층된 개구(30)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데 유익하고 또한 높은 정확도로 그 위에 개방장치(4)의 맞춤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공정들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하여, 예컨대 십자형과 같은 기준 마크(35)가 중심(G)에서 제거가능부(10)의 중앙 영역(25) 내에 인쇄되거나 또는 주름자국으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기준 마크(35)는 주름 공정(creasing operation) 동안에, 즉 주름패턴(15)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 동안에, 또는 슬롯(31)을 형성하는 절단 공정 동안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 5 및 6을 참조하면, 개방장치(4)는, 제거가능부(10)에 대해, 패키지(1)에 끼워지고, 그리고 음식물이 흘러나오는, 축(A)의 원형 주둥이(41)를 가지는 프레임(40)과, 상기 주둥이(41)에 동축으로 끼워져 주둥이를 밀폐하는 제거가능한 스크류 캡(42)과, 그리고 축(A)의 관형 커터(43)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커터는 사용시에 축방향으로 또한 경사지게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주둥이(41)와 결합하고 또한 제거가능부(10)의 주변 영역(27)과 상호작용하여 절단선(20)을 따라 제거가능부(10)를 패키징 재료의 잔여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하여 패키지(1)를 개방한다.
개방장치(4)는 또한, 캡(42)을 커터(43)에 연결시키고 또한 사용시에 캡(42)을 프레임(40)으로부터 돌려 따면 커터(43)에 회전 추력(rotational thrust)를 인가하는 제1연결수단(44)과, 그리고 프레임(40)을 커터(43)에 연결시키고 또한 사용시에 캡(42)의 돌려 땀에 응해 제거가능부(10)의 주변 영역(27)을 통해 나선의 침투 경로(helical penetration path)를 따라 커터(43)를 공급하는 제2연결수단(45)을 포함한다.
개방장치(4)는, 주둥이(41), 캡(42) 및 커터(43)의 축(A)이 제거가능부(10)의 기준 마크(35) 상에 중심을 가져, 설계된 절단선(20)의 중심(G)에 오는 방식으로 패키지(1)에 끼워진다.
제거가능부(10)와 같이, 프레임(40)은 패키지(1)의 정상벽(5)과 측벽(7)들 중 하나의 정상 단부부분(7b) 사이의 가장자리(24)와 교차하는 것이 유익하고 또한 벽(5 및 7)들 사이에서와 같이 서로에 대해 동일한 각도인 제1 및 제2부분(46, 47)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프레임(40)은 프레임을 각 벽(5, 7)들에 고정하는 부분(46 및 47)들을 규정하는, 환형의 베이스 플랜지(48)와, 그리고 벽(5, 7)에 고정된 측에 반대쪽에서, 플랜지(48)의 방사상 내측 가장자리에서부터 돌출하고, 주둥이(41)를 규정하고, 그리고 캡(42)을 수용하도록 설계되는 축(A)의 관형의, 실린더 칼라(collar)(49)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49)는, 사용시에 캡(42)의 대응하는 나사산(52)과 결합하는 제1나사산(51)을 가지는 외측 원통형 표면과, 그리고 주둥이(41)를 규정하고 또한 사용시에 커터(43)의 대응하는 나사산(55)과 결합하는 나사산(54)을 가지는 대향하는 내측 원통형 표면을 포함한다.
프레임(40)의 칼라(49)의 나사산(54)과, 커터(43)의 나사산(55)은 함께 연결수단(45)을 규정한다.
캡(42)은 프레임(40)의 주둥이(41)를 밀폐하기 위한 원형의 단부벽(58)과, 그리고 단부벽(58)의 주변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동축으로 돌출하고 또한 그 내측 표면은 프레임(40)의 칼라(49)의 외측 나사산(51)과 결합하는 나사산(52)을 지지하는 원통형 측벽(59)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42)이 프레임(40)에 끼워지면, 측벽(59)은 칼라(49)의 외측을 커버한다.
커터(43)는 초기에 프레임(40)의 칼라(49) 내측에 완벽하게 끼워지고, 그리고 패키지(1)가 개봉된 후, 패키징 재료의 잔여부로부터 제거가능부(10)를 부분적으로 분리한 후 패키지 내측에 부분적으로 위치한다.
한 축단부에서, 커터(43)(도 5)는 패키지(1)의 제거가능부(10)의 주변 영역(27)과 상호작용하여 인접한 패키징 재료로부터 제거가능부(10)를 부분적으로 분리하는 절단 가장자리(60)를 가진다.
절단 가장자리(60)는 규정된 호(arc)를 따라 연장하는 다수의 삼각형 이빨(60a)과 그리고 이빨(60a)에 관해 축방향으로 철수하고 또한 절단기능을 가지지 않는, 주어진 각 치수(given angular dimension)의 영역(60b)를 포함한다.
연결수단(44)은 캡(42)의 단부벽(58) 상에 위치하고 또한 축(A)에 대해 각지게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도시된 예에서 네 개의 작동부재(actuating member)(61)와, 그리고 커터(43)의 내측 측표면 상에 위치하고 또한 캡(42)을 프레임(40)으로부터 먼저 돌려 따면 작동부재(61)들 각각에 의해 밀쳐지게 되는 다수의 대응하는 피구동 부재(62)를 포함한다.
즉 환언하면, 작동부재(61)들과 대응하는 피구동 부재(62)들은 함께, 따는 방향(unscrewing direction)(도면들에서 반시계방향)에서 커터(43)에 캡(42)을 회전적으로 연결시키지만, 반대방향으로는 분리시키는 일방 작동장치(one-way actuating device)를 규정한다.
작동부재(61)와 피구동 부재(62)들은, 사용시에 주둥이(41)에 면하는 캡(42)의 단부벽(58)의 표면에서부터 또한 커터(43)의 내측 측표면에서부터 각각 돌출하는 컨투어된 돌출부(contoured projections)들에 의해 규정된다.
실제 사용에서, 패키지(1)는, 캡이 프레임(40)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분리되도록 캡(42)을 개방방향(도 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리고 동시에 피구동 부재(62)와 결합하는 작동부재(61)들로 커터(43)를 작동시킴으로써 개방된다.
즉, 나사산(51 및 52)들은, 캡(42)이 프레임(40)에 관해, 축(A)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이동하고 또한 플랜지(48)로부터 떨어지게, 프레임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출수하도록 상호작용한다. 동시에, 캡(42)의 작동부재(61)는 커터(43)의 피구동 부재(62)에 작용하여 커터를 축(A)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나사산(54 및 55)의 상호작용은 캡(42)에 의한 커터(43)의 회전을, 먼저 제거가능부(10)을 향하고 그런 다음에 제거가능부를 통과하는 커터(43)의 나선 이동으로 변환시킨다.
커터가 이동하면, 절단 가장자리(60)는 제거가능부(10)의 주변 영역(27)의 선적층된 개구(30)와 상호작용하여 절단선(20)을 생성한다. 상세하게는, 절단 가장자리(60)는 먼저, 단부부분에서 슬롯(31)을 커버하는 적층층(12a, 12b)을 뚫고, 여기에서부터 이를 따라 전진하고, 그리고 커터(43)의 이동방향(도 1과 5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선적층된 개구(30) 전체를 절단한다.
이 지점에서, 절단 가장자리(60)가 선적층된 개구(30) 내로 완전히 침투하여, 절단선(20)을 따라 제거가능부(10)의 완전히 분리한 후, 커터(43)의 추가적인 회전은, 온전히 남아 있고 또한 힌지로서 작용하는 브리지(26)를 따라 접철(접기)작용을 생성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거가능부(10)는 커터(43)의 외측으로 접철되고(접혀지고) 그리고 이 위치에서 커터에 의해 유지되어 음식물의 토출을 위한 통로를 깨끗하게 한다.
따라서, 전체 절단각도는 완전한 회전(full turn) 미만이고 또한 사실상 200° 내지 350°사이에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270°내지 330°사이에 포함되어, 패키징재료의 인접부분들에서부터 제거가능부(10)의 전체적인 분리를 방지한다.
캡(42)을 더 따게 되면, 작동부재(61)들은 피구동 부재(62)로부터 축방향으로 철수하여, 낮추어진 개방위치에서 커터(43)를 저지하고, 여기서 커터는 프레임(40)에서부터 패키지(1)의 내측으로 축방향으로 돌출하지만, 나사산(55)과 결합하는 나사산(54)에 의해 칼라(49)에 여전히 연결되어 있다.
그런 다음, 캡(42)을 완전히 따 패키지(1)를 개방하고, 패키지는 칼라(49) 상에 캡(42)을 단순히 나사 결합함으로써 재밀폐될 수 있다.
패키지(1)가 개방되면, 작동부재(61)가 커터(43)의 피구동 부재(62)와 결합하는 축방향 위치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커터(43)는 낮추어진 개방위치에서부터 더 이상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낮추어진 개방위치에서, 커터(43)는 제거가능부(10)의 절단부분(cut-off part)을 다시 지지하여, 제거가능부가 음식물을 붓을 수 있게 하는 주둥이(41)를 밀폐하는 것을 방지한다(도 6).
도 7 내지 11에서 참조번호(10', 10''. 10''' 및 10'''')들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징 재료(2)의 제거가능부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제거가능부(10', 10''. 10''' 및 10'''')는 서로 유사하고,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이들 간의 차이점에 한정되고 또한 가능하다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도 7과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거가능부(10')는, 절단선(20)과 동일한 곡률 중심(G)을 가지는 단일의 호(아크)-형의 선적층된 개구(30')에 의해 완전히 규정되는 주변 영역(27')을 가진다. 실제로, 선적층된 개구(30')는 실질적으로 반원 스트림형상을 가지고 또한 패키징 재료(2)의 베이스층(11)에 생성되고 또한 적층층(12)에 의해 커버되는 등간격으로 이격된 관통 슬롯(31')에 의해 형성된다.
슬롯(31')의 폭(W)은 일정하고 또한 절단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즉 개방장치(4)의 커터(43)의 이빨(60a)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최소값으로 유지된다. 환언하면, 슬롯(31')의 폭(W)은, 커터(43)의 이빨(60a)의 폭과 거의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0.5mm 내지 0.9mm 간의 범위에 있다.
이 해결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가능부(10')에서, 패키징 재료(2)의 적층층(12)은 관통 슬롯(31')과 함께 밀봉될 수 없는데, 이는 슬롯이 너무 협소한 폭(W)을 가지기 때문이다.
슬롯(31')은 레이저 절단장치(미도시)를 사용하여 패키징 재료(2)의 베이스층(11)에 생성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제거가능부(10')의 주변 영역(27'')은 제거가능부(10')의 주변 영역(27')과 동일한 하크 형상을 가지고 그리고 중앙 영역(25)에 연결되는, 전체 패키징 재료의 각 브리지(70)를 통해 교대로 배치되는 일련의 선적층된 개구(30'')들로 구성하는 것이 주변 영역(27')과 다르다.
실제로 이 경우에, 주변 영역(27'')은 적층층(12)으로 외부적으로 커버되는, 패키징 재료(2)의 베이스층(11)에 일련의 이격된 천공 또는 관통 슬롯(31'')을 생성함으로써 얻는다.
베이스층(11)을 천공하는 공정은 레이저 절단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선(20)은 브리지(70)를 가로지르고; 이는, 패키지(1)의 첫 번째 개방 동안에, 브리지(70)들은 커터(43)에 의해 완전하게 절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거가능부(10''')는, 서로 면하고 또한 중앙 영역(25)에 연결되는, 전체 패키징 재료의 영구 브리지(permanent)(26)와 다른 브리지(71)에 의해 분리되는 두 개의 선적층된 개구(30''')들을 포함하는 주변 영역(27''')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절단선(20)는 브리지(71)를 가로지르고; 이는, 패키지(1)의 첫 번째 개방 동안에, 브리지(71)가 커터(43)에 의해 완전히 절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에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선적층된 개구(30''')들은 브리지(26 및 71)를 연결하고, 절단선(20)의 중심(G)을 따라 통과하고 그리고 개구장치(4)의 주둥이(41), 캡(42) 및 커터(43)의 축(A)에 직교하여 연장하는 축(B)에 관해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브리지(26 및 71)들은 연결하는 축(B)은 패키징 재료(2)의 적층 방향(L)에 평행한 것이 유익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 경우에서, 적층 방향(L)은 브리지(26)에서부터, 브리지(26)보다 짧은 브리지(71)까지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적층된 개구(30''')들 각각은 콩-형상으로 대략적으로 신장되고 또한 패키징 재료(2)의 베이스층(11)에 생성되는 등간격의 관통 슬롯(31''')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적층층(12)에 의해 커버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제거가능부(10)의 선적층된 개구(30)와 유사하게, 적층층(12)들은 각 슬롯(31''')과 함께 밀봉된다.
또한 이 경우에서, 성형 공정 동안에 비-원형인 선적층된 개구(30''')의 정확한 위치를 쉽게 결정하고 또한 높은 정밀도로 개구장치(4)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예컨대 십자-형상의 기준마크(35)가 중심(G)에서 제거가능부(10''')의 중앙 영역(25) 내에 프린트되거나 주름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주름패턴(15)을 성형하기 위한 주름 공정 동안에, 또는 슬롯(31''')을 성형하는 절단 공정 동안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거가능부(10'''')는, 제거가능부(10''')의 주변 영역(27''')과 비교하면, 선적층된 개구(30''')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제1의 선적층된 개구(30a'''')와, 함께 다른 선적층된 개구(30''')를 대체하는 제2 및 제의 선적층된 개구(30b'''', 30c'''')를 가진다.
선적층된 개구(30a'''')는 전체 패지징 재료 중에서 영구 브리지(26)와 또한 제거가능부(10''')의 주변 영역(27''')의 브리지(71)에 대응하는, 완전히 절단할 수 있는 브리지(72)들에 의해 선적층된 개구(30b'''' 및 30c'''')들로부터 분리되고; 선적층된 개구(30b'''' 및 30c'''')들은 전체 패키징 재료 중에서 완전히 절단할 수 있는 또 다른 브리지(73)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모든 브리지(26, 72 및 73)들은 제거가능부(10'''')의 중앙 영역(25)에 결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측정된 개구(30a'''', 30b'''' 및 30c'''')들은 대략적으로 신장된 콩-형상이고 또한 상이한 길이를 가지며; 특히, 선적층된 개구(30a'''')는 주변 영역(27'''')의 첫 번째 반을 따라 대략적으로 연장하는 한편, 선적층된 개구(30b'''' 및 30c'''')들은 주변 영역(27'''')의 다른 반을 따라 대략적으로 연장하여, 따라서 선적층된 개구(30a'''')에 면한다.
실제로, 선적층된 개구(30a'''')는, 비슷한 길이들인, 선적층된 개구(30b'''' 및 30c'''')들의 전체 길이와 대략적으로 같거나 또는 약간 긴 길이로, 주변 영역(27'''')을 따라 연장한다.
또한 이 경우에서, 선적층된 개구(30a'''', 30b'''' 및 30c'''')들은 패키징 재료(2)의 베이스층(11)에 생성되는 대응하는 관통 슬롯(31a'''', 31'''' 및 31c'''')들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적층층(12)에 의해 커버된다.
제거가능부(10, 10''')의 선적층된 개구(30, 30''')와 유사하게, 적층층(12)들은 각 슬롯(31a'''', 31b'''' 및 31c'''')과 함께 밀봉된다.
사용시에 제거가능부(10'''')를 패키징 재료(2)의 잔여부에 영구히 연결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브리지(26)는 브리지(72, 73)보다 길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26 및 72)들은, 이 경우에 긴 브리지(26)에서 브리지(72)까지 인 패키징 재료(2)의 적층 방향(L)에 평행한 축(B)을 따라 서로 대향하게 위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다른 한편으로, 브리지(73)는 축(B)의 일측에 위치하고 또한 선적층된 개구(30a'''')에 면한다.
또한, 선적층된 개구(30b'''' 및 30c'''')들은 선적층된 개구(30a'''')에 대해 축(B)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또한 사용시에 패키지(1)의 가장자리(24)를 규정하는 접철선(16)은 선적층된 두 개구(30a'''' 및 30b'''')를 가로지른다.
성형 공정 동안에 비-원형의 선적층된 개구(30a'''', 30b'''' 및 30c'''')들의 정확한 위치의 결정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높은 정밀도로 개구장치(4)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이 경우에서는 예컨대 십자-형상과 같은 기준마크(35)를 중심(G)에서 제거가능부(10'''')의 중앙 영역(25) 내에 프린트하거나 또는 주름형상으로 만드는 것이 유리하고; 특히, 주름패턴(15)을 형성하기 위한 주름 공정 동안에, 또한 슬롯(31a'''', 31b'''' 및 31c'''')을 형성하는 절단 공정 동안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거가능부(10''''')는 제거가능부(10''')의 주변 영역(17''')과 매우 유사하고 또한 기본적으로, 선적층된 개구(30'''')들 각각 내에 완전히 수용되는 두 개의 아크-형 절단선(20''''')들을 따라 절단작용이 수행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 주변 영역(27''''')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선(20''''')들 각각은 선적층된 각 개구(30''''')의 한 단부에서 끝쪽으로 향한다.
이 경우에서, 선적층된 개구(30''''')들은 영구 브리지(26)와 그리고 브리지(71)에 대응하지만 영구형(permanent-type)인, 즉 패키지(1)의 첫 번째 개방 동안에 커터(43)에 의해 절단되지 않는 다른 브리지(74)에 의해 분리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패키지(1)의 개방을 위해, 제거가능부(10''''')는, 브리지(26 및 74)들 사이를 연장하고 또한 추가적인 접철선(82)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전체 패키징 재료 중의 스트립(81)에 결합되는 두 개의 플랩(80)을 형성하기 위해 두 개의 아크-형 절단선(20''''')을 따라 패키징 재료(2)의 잔여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된다.
실제로, 패키지(1)의 개방은 스트립(81)의 각 측면 상에서 두 개의 플랩(80)들을 접음으로써 수행된다.
가능한 대안으로서, 절단 행위는 선적층된 각 개부(30''''')의 중앙에부터 수행될 수 있고 또한 양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3 내지 16에서 참조번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제거가능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제거가능부(100)는 앞서 기술한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들에 관해 유사점과 차이점을 강조하고 또한 이미 기술하였거나 또는 동등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가능하다면 동일 참조부호를 설명하여 기술하게 된다.
도 13과 14에서 제거가능부(100)는 패키지(1)와 패키지(1)를 만드는 패키징 재료(2)의 기초유닛(M)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제거가능부(100)는 평행육면체- 또는 프리즘-형 패키지들, "게이블-탑" 패키지와 같은 상이한 유형의 밀봉 패키지들 위에, 또는 패키지의 가변하는 주 부분의 단면을 가지는 패키지들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와 완전히 동일한 방식으로, 이 경우에서, 제거가능부(100)는 사용시에 패키지(1)의 두 개의 인접한 벽들 간의 가장자리를 규정하는 접철선(16)들 중 하나와 교차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거가능부(100)는, 사용시에 정상벽(5)과 패키지(1)의 전면 패널을 통상적으로 bwjd하는 측벽(7)들 중 하나의 정상 단부부분(7b) 사이의 가장자리(24)를 규정하는 접철선(16)과 교차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거가능부(100)는 정상벽(5)의 영역(5a)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하고 또한 영역(5b)에 관해 정상 가로 밀봉밴드(13)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인접한 측벽(7)의 정상 단부부분(7b)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특히, 제거가능부(100)를 가로지르는 접철선(16)은 제거가능부를, 사용시에 패키지(1)의 상기-지시한 별개의 벽(5, 7)들 위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영역(100a, 100b)으로 분할한다.
개방장치(4)의 작동 하에서, 제거가능부(100)는 영역(100a)에 수용되는 하나의 아크-형 절단선(101)을 따라 패키징 재료(2)의 잔여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고 또한 절단선(101)의 끝쪽들 간을 연장하고 또한 영역(100b)에 의해 규정되는 접절영역(도 13, 14 및 16)에서 접철되고; 실제로 이 경우에, 영역(100b)은 사용시에 힌지로서 역할하여, 토출구(9)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 패키지(1)를 향해 또한 이러한 영역이 위치하는(도 16) 측벽(7)을 향해 분리된 재료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정상벽(5)뿐만 아니라 정상벽(5)에 관해 각지게 형성되는 인접한 측벽(7)에 위치시킴으로써, 제거가능부(10)는 완성된 패키지(1) 상에 곡선을 가지게 되고; 이 방식에서, 패키지(1)의 첫 번째 개방 동안에 제거가능부(100)를 완전히 절단할 위험성이 최소화되는데, 매우 단순하게 설계된 경우에서라도, 예컨대 (EP-A-2055640호에서와 같이)축방향 하향 침투 이동(axial downward penetration movement)가 이루어지고 또한 공통면 상에 놓여지는 이빨이 제공되는 경우라도, 개방장치의 커터가 제거가능부(100) 전체와 동시에 접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13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가능부(100)는, 적어도 베이스층(11)에 형성되고, 커버재료(103)로 커버되고 또한 전체 제거가능부(100)를 따라 연장하는 하나의 개구(102)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와 상이하다.
특히 이 경우에, 개구(102)와 제거가능부(100) 둘 다는 중심(G)를 가지는 둥근 또는 원 프로파일을 가지고; 제거가능부(100)를 가로지르는 접철선(16)은 이의 현(chord)을 규정한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거가능부(100)를 가로지르는 접철선(16)은 개구(102)의 중심에서부터 개구(102)의 반경의 약 70%의 최소 간격(D)에 위치한다. 또한, 개구(102)의 반경의 약 50 내지 85%의 범위 내에, 또는 개구(102)의 반경의 약 60 내지 80%의 범위 내에 있는 개구(102)의 중심(G)으로부터의 최소 간격(D)에 접철선(16)을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 내지 16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커버재료(103)는 적층층(12)들 모두에 의해 규정되고; 도시하지 않은 대안으로서, 커버재료(103)는 적층층(12)들 중 단지 하나 또는 일부에 의해서 규정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은 다른 가능한 대안에 따라, 개구(102)는 전체 패키징 재료(2)을 통과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이 경우에 커버재료(103)는 개구(102)를 밀봉하기 위해 패키징 재료(2)에 부가되고 또한 예컨대 알루미늄 박과 같은 산소-차단재료의 층들과 열밀봉 플라스틱 재료로 된 하나 이상의 층들을 포함하는 패치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1)와 패키징 재료(2)의 장점들은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된다.
특히, 기술한 바와 같이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 100)를 위치시킴으로써, 서로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패키지(1) 쫙 벌어진 두 개의 벽(5, 7)들은 토출구99)의 직경을 크게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패키지(1)로부터 음식물의 개선된 유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토출구(9)의 직경의 증가는, 주름패턴(15)의 복잡도를 증가시키는 일이 없이 얻을 수 있다.
게다가, 패키지 재료(2)의 잔여부로부터 분히 후에 패키지(1)의 내측으로 접혀지는(접철되는) 넓은 제거가능부(100)를 가지는 것은, 음식물의 흐름을 덜 간섭하도록 하여 분리된 부분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3 내지 16에 도시된 해결안에서, 패키지(1)의 인접한 각진 측벽(7) 상의 연장부로부터 파생되는, 제거가능부(100)의 곡률은, 매우 단순한 디자인의 개방장치로도, 패키지(1)의 첫 번째 개방 동안에 제거가능부가 완전히 절단될 수 있는 위험성을 최소화한다. 도 13과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상 패널(5)은 바닥 패널(6)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또한 전면 패널(7)의 정상부분(7b)은 전면 패널의 주부분에 관해 기울어지게 된다. 이는, 정상 패널(5)과 90도보다 큰 전면 패널의 정상 부분(7b) 간의 각이 되고,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약 106도가 된다. 제거가능부(100)가 위치하는 패널들 간의 각도를 90보다 크게 함으로써 제거가능부(100)의 접철을 줄이고, 따라서 제거가능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줄인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패키지로 접철되면, 95도 내지 115도의 범위 내에 있거나, 또는 100과 100도의 범위 내에 있는, 정상 패널(5)과 측벽(7)의 정상 부분(7b) 간의 각도를 가지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정상 패널(5)과 측 패널(7)의 각도가 90도보다 크도록, (패키징이 직립하면)바닥 패널(6)에 관해, 경사진 정상 패널(5)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측 패널(7)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패키지의 한 예가 테트라 브릭 에지(Tetra Brik Edge) 명칭으로 출원인에 의해 판매되고 잇다.
이외에도, 제거가능부(100)의 접철영역이 영역(100b)에 의해 규정된다는 사실은 이러한 영역이 위치하는 패키지(1)의 측벽(7) 위에 분리된 재료가 매우 훌륭한 방식으로 중첩되도록 하고; 이 방식에서, 줄어든 복잡도의 개방장치 디자인으로도 패키지(1)의 완전한 비움을 보장할 수 있다.
주어진 크기의 토출구(9)에 대한, 도 1 내지 12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의 구성은, 전체 토출구 영역을 커버하는 선적층된 구멍과 비교하면 더 나은 적층 품질을 제공한다.
이는 적층 동안에,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에서 중합체의 이동의 극단적인 감소로, 전체 토출구 영역을 규정하는 통상적인 선적층된 구멍의 것보다 각 슬롯(31, 31', 31'', 31''', 31a'''', 31b'''', 31c'''', 31''''')에서 훨씬 더 균일한 두께의 적층층(12)을 이루게 된다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지된 선적층된 구멍들과 비교하면 넓은 공정 윈도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빠른 적층 속도와, 베이스층(11)의 커버재료의 비용에서 상당한 감소를 가질 수 있다.
실제로, 적층 동안에 중합체의 이동을 줄인다는 것은, 적층 롤러들을 통해 재료를 더 빨리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한편, 재료비용의 절감은, 감소된 기본 중량을 가지는 재료들을 적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설명하고 기술한 해결안들로부터 나온다.
절단 상호작용을 위한 영역(주변 영역 27, 27', 27'', 27''', 27'''', 27''''')의 적층 품질을 개선하는 것은, 고-연신(high-stretch) 열밀봉 플라스틱 재료의 내측층을 사용하더라도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의 일관된, 말끔한 절단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외에도, 패키지(1) 상의 소정의 편리한 위치에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를 쉽게 위치시키도록 해주는데, 예컨대 패키징 재료(2)의 접철선(16)을 특히 가로질러, 패키지(1)의 가장자리(24)를 가로지르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도 1 내지 4의 특정 해결안에서, 단일의 선적층된 개구(30)의 폭(W)과 각도(α 및 β)들은 적층 동안에 제거가능부(10)에서 융용된 플라스틱 중합체의 이동과 또한 적층 결합을 발생시키는 확률을 극소화시키는 것으로 간주되는 중요한 변수들이다.
도 10, 11 및 12의 경우에서, 적층 동안에, 제거가능부(10''', 10'''', 10''''')에서 중합체의 이동의 감소는, 패키징 재료의 적층 방향(L)에 평행한 축(B)을 따라 정렬된 전체 패키징 재료의 브리지(26 및 71, 74)들을 위치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실제로, 본 출원인은, 중합체의 이동은 적층 롤러들을 통한 제거가능부의 선부부분들과 연속되는 부분들을 규정하는 영역에서 한층 더 흔적을 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관측하였다. 따라서, 이들 영역에서 전체 패키징 재료의 브리지(26; 71, 74)들을 제공함으로써, 적층 동안에 중합체의 이동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전체 토출구 영역을 규정하는 통상적인 선적층된 구멍들의 두께보다 훨씬 더 균일한 두께의 적층층(12)들을 슬롯(21''', 31a'''', 31b'''', 31c'''', 31'''')에서 형성하게 된다.
게다가, 도 11의 경우에서, 브리지(26 및 27)들을 결합하는 축(B)의 축면에 추가 브리지(73)를 위치시키는 것은, 브리지(72)를 절단 가장자리(60)로 절단할 때 제거가능부(10'''')의 원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즉, 절단 가장자리(60)가 브리지(72)를 통해 전진하면, 슬롯(31a'''')을 향해 제거가능부(10'''')를 밀치는 추력이 브리지(73)의 반작용에 의해 상쇄되어, 제거가능부(10'''')의 소정의 측 이동을 방지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개방장치(4)의 절단 가장자리(60)는, 패키지(1)의 첫 번째 개방 동안에 브리지(72)에 먼저 작용하고, 그런 다음에 브리지(73)에 작용하게 디자인되어야 하는 것이 명확하다. 예컨대, 이는 주어진 각치수(angular dimension)의 영역으로 분리되고, 이빨(60a)에 관해 축방향으로 철수하고 또한 절단 기능을 가지지 않는 두 그룹의 이빨(60a)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두 그룹은, 하나가 브리지(73)를 절단하는 것을 시작하기 전에 다른 하나가 브리지(72)를 절단하도록 제거가능부(10'''')와 커터(43)의 나선형 결로에 관해 위치되어야만 한다.
제거가능부(10, 10' 및 10''''')의 중요한 장점은 다음과 같다: 절단 행위가 적층층(12)을 통해사면 수행되고 또한 종이재료의 베이스층(11)을 통해 이루어지지 않고; 이 방식에서, 절단 행위 동안에 종이 섬유들이 분리되어 패키지(1) 내로 떨어질 수 있는 위험성이 없다.
이외에도, 처음에 패키지(1)를 개방하기 위해 필요한 힘은 진짜로 작다.
마지막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패키지 재료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개방장치(4)의 높은 정도의 통합성을 제공한다:
- 패키징 재료(2)의 제조공정은 개방장치(4)에 의해 쉽게 절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선적층된 구멍들을 포함하는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 100)을 생성하도록 디자인되고;
- 패키지(1)는 사용자 측에서 매우 적은 노력으로, 한 동작으로 개봉될 수 있고;
- 패키지가 개봉되면, 패키징 재료의 잔여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된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 100)가 프레임(40)과 커터(430 사이에서 유지되어, 소정의 분리 위험성을 제거한다.
첨부 청구항들에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일이 없이, 여기에서 설명한 기술한 것과 같은 패키징 재료(2)와 패키지(1)에 많은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38)

  1. 부을 수 있는 음식물의 밀봉된 패키지(1)를 생산하기 위한 시트 패키지 재료(M)로서, 상기 패키징 재료(M)는:
    -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층(11)과;
    - 상기 베이스층(11)에 부가되어 베이스층을 커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층층(12)과;
    - 사용시에 적어도 하나의 아크-형 절단선(20, 20''''')을 따라 상기 패키징 재료(M)의 잔여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패키지(1)로부터 음식물을 부을 수 있도록 해주는 토출구(9)를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절단선(20, 20''''')의 끝쪽들 사이를 연장하는 접절영역(21, 81)에서 접철되는(접혀지는)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를 포함하는, 시트 패키징 재료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는:
    - 전체 패키징 재료로 만들어지고 또한 사용시 소정의 경우에, 상기 접철영역(21, 81)에 의해 규정되는 영구 브리지(26)를 통해 패키징 재료(M)의 잔여부에 부착된 채로 남아있는 중앙 영역(25)과;
    - 상기 중앙 영역(25)의 부분 둘레로 연장하고, 상기 절단선(20, 20''''')을 수용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층(1)에 적어도 제공되는 관통 슬롯(31, 31', 31'', 31''', 31a'''', 31b'''', 31c'''', 31''''')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적층층(12)에 의해 커버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적층된 개구(30, 30', 30'', 30''', 30a'''', 30b'''', 30c'''', 30''''')를 포함하는, 절단 상호작용을 위한 주변 영역(27, 27', 27'', 27''', 27'''', 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패키징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브리지(26)는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의 접철 동안에 힌지로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상호작용을 위한 주변 영역(27, 27', 27'', 27''', 27'''', 27''''')은, 상기 중앙 영역(25)에 면하는 단일의 오목면을 가지는 개방, 곡선 스트립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상호작용을 위한 상기 주변 영역(27, 27')은 상기 선-적층된 개구(30, 30')에 의해 완전히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5.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31, 31')은 상기 중앙 영역(25)에 인접한 제1가장자리(32)와 상기 제1가장자리(32)에 대향하고 면하는 제2가장자리(33)를 가지고, 상기 슬롯(31, 31')의 폭(W)은, 상기 제1가장자리(32)와 상기 제2가장자리(33) 사이에서 측정하였을 때 0.5mm 내지 6mm 사이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선(20)의 곡률 중심(G)에 지배되는 상기 슬롯(31, 31')의 제1 및 제2단부(36, 37)에 대한 탄젠트들은 그들 사이에 10°와 60°사이의 범위에 있는 제1각도(α)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α)와 그리고 상기 슬롯(31, 31')을 제공하기 위해 장치로 상기 패키징 재료(M)가 공급되는 방향(L)의 이등분선(Z)은 그들 사이에 45° 와 135° 사이의 범위인 제2각도(β)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8.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적층된 개구(30')와 상기 슬롯(31')은 아크-형이고 또한 상기 절단선(20)과 동일한 곡율 중심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폭(W)은 1mm 내지 6mm 사이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10.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키징 재료는 상기 베이스층(11)의 양측에 적용되어 커버하는 두 개의 적층층(12)을 포함하고, 상기 적층층(12)은 적층 동안에 상기 슬롯(31)을 통해 함께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11.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31')의 폭(W)은 절단 상호작용을 허용하기 위한 최소값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패키징 재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31')의 폭(W)은 0.5mm 와 0.9mm 사이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상호작용을 위한 상기 주변 영역(27'')은, 상기 중앙 영역(25)에 결합되고 또한 사용시에 완전히 절단가능한 전체 패키징 재료의 추가 각 브리지(70)들로 교대로 배치되는 일련의 상기 선적층된 개구(3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패키징 재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브리지(70)들은 상기 절단선(20)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15.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브리지(26)는 상기 패키징 재료(M)의 적층 방향(L)을 횡단하는 방향을 따라 패키징 재료(M)의 상기 중앙 영역(25)에서 잔여부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상호작용을 위한 상기 주변 영역(27, 27', 27'', 27''', 27'''', 27''''')은 상기 영구 브리지(26)에 의해 또한 상기 중앙 영역(25)에 결합되는 전체 패키징 재료의 다른 브리지(71, 72, 74)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두 개의 상기 선-적층된 개구(30'''; 30a'''', 30b'''', 30c'''', 3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브리지(71, 72)는 상기 절단선(20)에 의해 완전 교차되는 뚫기 가능한 브리지인 것을 특징으로 패키징 재료.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브리지(74)는 영구 브리지이고 또한 선적층된 개구(30''''')들 각각 내에 완전히 수용되는 상기 두 개의 아크-형 절단선(20''''')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브리지(26)와 상기 다른 브리지(71, 72, 74)들은 상기 패키징 재료(M)의 적층 방향(L)에 수형한 축(B)을 따라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브리지(26)는 상기 주변 영역(27''', 27'''')을 따라 상기 다른 브리지(71, 72)보다 큰 길이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적층 방향(L)은 상기 영구 브리지(26)에서 상기 다른 브리지(71, 72)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21. 제16항에 있어서, 절단 상호작용을 위한 상기 주변 영역(27'''')은 상기 베이스층(11)에 적어도 제공되고 또한 적층층(12)으로 외부적으로 커버되는 관통 슬롯(31b'''', 31c'''')에 의해 형성되는 제3의 선적층된 개구(30b'''', 30c'''')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선적층된 개구(30b'''', 30c'''')와 상기 제3의 선적층된 개구(30c'''', 30b'''') 사이에 위치하는, 전체 패키징 재료의 완전 절단가능한 제3브리지(73)가 상기 중앙 영역(25)에 결합되고, 또한 상기 선적층된 개구(30a'''')에 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영구 브리지(26)와 상기 다른 브리지(27)를 연결하는 축(B)의 일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선(20)은 상기 다른 선적층된 개구(30b'''')과 상기 제3의 선적층된 개구(30c'''')를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23.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키징 재료는 상기 절단선(20)의 곡률 중심(G)에서 상기 제거가능부(10, 10''', 10'''', 10''''')의 상기 중앙 영역(25) 내에 프린트되거나 또는 주름형성되는 기준 마크(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2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재료(M)를 접철시켜 상기 패키지(1)를 형성하는 다수의 접철선(16, 17, 18)을 포함하고, 상기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는 상기 접철선(16, 17, 18)들 중 하나와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를 교차하는(가로지르는) 상기 접철선(16)은, 서로에 대해 교차형식(십자형식)으로, 상기 패키지(1)의 벽(5, 7)들을 균일하게 규정하는 상기 패키징 재료(M)의 두 부분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2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층(12)들은 열밀봉 플라스픽 재료(12b)와 산보-차단 재료(12a)로 된 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27.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패키징 재료(M)를 접철하고 또한 밀봉하여 형성되고, 또한 축(A)을 가지는 재밀폐가능한 개방장치(4)를 포함하는, 부을 수 있는 음식물용 밀봉 패키지에 있어서:
    - 상기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에 대해 끼워지고 또한 토출 주둥이(41)를 규정하는 프레임(40)과;
    - 상기 프레임(40) 위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토출 주둥이(41)를 밀폐하는 제거가능한 나사산 캡(42)과;
    - 상기 토출 주둥이(41)와 결합하고 또한 한 축방향 단부에서, 상기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의 상기 주변 영역(27, 27', 27'', 27''', 27'''')와 협동하여 상기 패키지(1)를 개방하고 또한 상기 토출구(9)를 규정하는 관형 커터(43)와;
    - 상기 캡(42)을 상기 커터(43)에 연결되고, 또한 사용시에, 캡(42)을 프레임(40)으로부터 개방할 때, 상기 커터(43) 위에 회전 추력을 부여하는 제1연결수단(44)과;
    - 상기 프레임(40)을 상기 커터(43)에 연결시키고, 또한 사용시에, 상기 캡(42)의 개방에 응해 상기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의 상기 주변 영역(27, 27', 27'', 27''', 27'''')을 통해 선규정된 절단경로를 따라 커터(43)를 공급하는 제2연결수단(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패키지.
  28. 다수의 접철선(16, 17, 18)을 가지고, 이 접철선을 따라 접철되어(접혀져) 부을 수 있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밀봉 패키지(1)를 형성하는 시트 패키징 재료(M)로서, 상기 패키징 재료(M)는:
    -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층(11)과;
    - 상기 베이스층(11)에 적용되어 커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층층(12)과;
    - 사용시에, 상기 패키징 재료(M)의 잔여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패키지(1)로부터 음식물을 부을 수 있도록 해주는 토출구(9)를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접철영역에서 접철될 수 있는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 100)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 100)는 상기 베이스층(11)에 적어도 형성되고 또한 커버재료(12, 103)에 의해 커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31, 31', 31'', 31''', 31a'''', 31b'''', 31c'''', 31''''', 102)를 포함하는, 시트 패키징 재료(M)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 100)는 사용시에 상기 패키지(1)의 두 벽(5, 7)들 사이의 가장자리(24)를 규정하는 상기 접철선(16, 17, 18)들 중 하나(16)와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부(10, 10', 10'', 10''', 10'''', 10'''', 100)와 교차하는 상기 접철선(16, 17, 18)들 중 상기 하나(16)는 상기 패키지(1)의, 각이 진 벽(5, 7)들을 규정하는 상기 패키징 재료(M)의 두 부분들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30. 제29항에 있어서, 패키지(1)로 접철될 때, 접철선(16, 17, 18)들은 제거가능부(100)의 영역에서 상기 각이 진 벽(5, 7)들 간에 100도와 110도 간의 각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부(100)는 상기 접철선(16, 17, 18)들 중 상기 하나(16)에 의해, 사용시 상기 패키지(1)의 상기 벽(5, 7)들 상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영역(100a, 100b)들로 분할되고; 상기 제2영역(100b)은 상기 제1영역(100a)보다 작고, 상기 접철영역을 규정하고 또한 사용시에 토출구(9)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 제거가능부(100)의 접철 동안에 힌지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32.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02)는 전체 제거가능부(100)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02)와 상기 제거가능부(100)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또한 상기 접철선(16, 17, 18)들 중 상기 하나(16)는 상기 제거가능부(100)의 현(chord)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현에 대해 수직으로 측정하였을 때, 상기 제거가능부(100)의 상기 현의 중심(G)에서부터의 간격은, 상기 중심(G)에서부터 현에 대해 또한 접철선(16)의 반대쪽에 대해 수직으로 측정하였을 때, 상기 중심(G)과 상기 제거가능부(100)의 가장자리로부터 간격의 약 50 내지 85퍼센트인 것ㅇ르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35. 제28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재료(130)는 상기 베이스층(11)에 형성되는 개구(102)를 커버하는 상기 적층층(12)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36. 제28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재료(103)는 상기 개구(102)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패키징 재료(2)에 인가되는 패치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재료.
  37. 제28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패키징 재료(M)를 접철하고 또한 밀봉함으로써 형성되는, 부을 수 있는 음식물용 밀봉 패키지(1)에 있어서, 상기 벽들은 상기 패키지(1)의 정상벽(5)과 측면 또는 전면 벽(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부(100)의 상기 제1영역(100a)은 상기 정상벽(5) 위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2영역(100b)은 상기 측면 또는 전면 벽(7)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KR1020127006875A 2009-08-17 2010-06-18 유동 음식물의 밀봉 패키지를 생산하기 위한 시트 패키징 재료 KR101811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68013.2 2009-08-17
EP09168013A EP2287082B1 (en) 2009-08-17 2009-08-17 Multilayer sheet packaging material for producing sealed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PCT/EP2010/058604 WO2011020634A1 (en) 2009-08-17 2010-06-18 Sheet packaging material for producing sealed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092A Division KR101907819B1 (ko) 2009-08-17 2010-06-18 유동 음식물의 밀봉 패키지를 생산하기 위한 시트 패키징 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846A true KR20120060846A (ko) 2012-06-12
KR101811459B1 KR101811459B1 (ko) 2018-01-25

Family

ID=416083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092A KR101907819B1 (ko) 2009-08-17 2010-06-18 유동 음식물의 밀봉 패키지를 생산하기 위한 시트 패키징 재료
KR1020127006875A KR101811459B1 (ko) 2009-08-17 2010-06-18 유동 음식물의 밀봉 패키지를 생산하기 위한 시트 패키징 재료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092A KR101907819B1 (ko) 2009-08-17 2010-06-18 유동 음식물의 밀봉 패키지를 생산하기 위한 시트 패키징 재료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3) US9487324B2 (ko)
EP (3) EP2287082B1 (ko)
JP (3) JP6006115B2 (ko)
KR (2) KR101907819B1 (ko)
CN (1) CN102481998B (ko)
AR (1) AR077932A1 (ko)
AT (1) ATE554018T1 (ko)
AU (2) AU2010285194C1 (ko)
BR (2) BR122019020855B1 (ko)
ES (3) ES2385859T3 (ko)
MX (2) MX357971B (ko)
PL (1) PL2287082T3 (ko)
PT (1) PT2287082E (ko)
RU (2) RU2544130C2 (ko)
SA (1) SA110310654B1 (ko)
UA (2) UA108080C2 (ko)
WO (1) WO2011020634A1 (ko)
ZA (1) ZA2012011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54018T1 (de) 2009-08-17 2012-05-1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MEHRSCHICHTFOLIEN-VERPACKUNGSMATERIAL ZUR HERSTELLUNG VERSIEGELTER VERPACKUNGEN FÜR GIEßBARE LEBENSMITTELPRODUKTE
DE102011017793A1 (de) * 2011-04-29 2012-10-31 Robert Bosch Gmbh Schneidzahn einer rotierbaren Schneidvorrichtung
DE102011080209A1 (de) * 2011-08-01 2013-02-07 Robert Bosch Gmbh Schneidvorrichtung für Behälterhüllen
GB201205243D0 (en) 2012-03-26 2012-05-09 Kraft Foods R & D Inc Packaging and method of opening
DE102012012937B3 (de) * 2012-06-29 2013-03-21 Sig Technology Ag Verbundpackung mit einem Ausgießelement und Zuschnitt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Packung
JP5992229B2 (ja) * 2012-06-29 2016-09-14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ワーク押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ワーク供給装置
GB2511560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GB2511559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ITBO20130441A1 (it) * 2013-08-05 2015-02-06 Gd Spa Contenitore rigido.
US10609939B2 (en) * 2013-12-16 2020-04-07 Monarch Media, Llc Coconut water removal device and method therefor
DK2944458T3 (da) * 2014-05-16 2020-07-20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Ark af emballage til at fremstille en beholder samt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beholdere
US11317647B2 (en) * 2014-12-02 2022-05-03 Monarch Media, Llc Coconut water removal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20160345619A1 (en) * 2014-12-02 2016-12-01 Monarch Media Llc. Coconut removal device and method therefor
WO2016102150A1 (en) * 2014-12-22 2016-06-30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ackage material and package container formed with said material
JP2017013861A (ja) * 2015-07-01 2017-01-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ブランク板および容器
JP6607438B2 (ja) * 2015-07-01 2019-11-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ブランク板および容器
US10179677B2 (en) * 2015-09-03 2019-01-15 Fres-Co System Usa, Inc. Aseptic package flui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s of dispensing liquids from flexible packages
US10287081B2 (en) 2015-09-03 2019-05-14 Fres-Co System Usa, Inc. Aseptic package fluid dispensing apparatus
EP3228552B1 (de) 2016-04-04 2019-03-27 SIG Technology AG Verbundpackung, packungslaminat und packungsmantelrohling für eine verbundpackung
CN105966722A (zh) * 2016-05-06 2016-09-28 乔燕春 一次性无菌冻干膜盘及其制造、使用方法
TR201905160T4 (tr) 2016-06-23 2019-05-2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Dökülebilir gıda ürünlerinin mühürlü ambalajlarının üretilmesine yönelik ambalaj materyali tabakası.
CN106827598A (zh) * 2016-12-16 2017-06-13 东莞市巨泓彩色印刷有限公司 一种环保型apet塑胶制品的印刷及成型工艺
DE102017215078A1 (de) * 2017-08-29 2019-02-28 Sig Technology Ag Flächenförmiger Verbund, insbesondere zum Herstellen formstabiler Nahrungsmittelbehälter, mit einer durch eine Vielzahl von teilweise konvex gebogenen Rilllinien gebildeten Dachfläche
US10676261B2 (en) 2017-09-07 2020-06-09 Silgan White Cap LLC Closure assembly
JP2018030651A (ja) * 2017-11-29 2018-03-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注出口付飲料用紙容器
WO2019115075A1 (en) * 2017-12-15 2019-06-20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Liquid food packaging material,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n opening to the packaging material
USD902709S1 (en) * 2018-04-20 2020-11-2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ackage for foodstuff
US20210147110A1 (en) * 2018-04-27 2021-05-20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Paper container with stopper
JP7152894B2 (ja) * 2018-07-23 2022-10-13 日本製紙株式会社 紙容器
ES2967986T3 (es) * 2018-07-23 2024-05-06 Sig Services Ag Envase de material compuesto que comprende un orificio elíptico revestido
USD926570S1 (en) * 2018-09-10 2021-08-0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ackage
BR112022005550A2 (pt) * 2019-09-25 2022-06-21 Easy Plast S R L Dispositivo de abertura/fechamento para um recipiente para produtos derramáveis e método de fechamento/abertura de um recipiente para produtos derramáveis
WO2021094250A1 (en) 2019-11-12 2021-05-20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method for triggering an a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sound produced by a food package and an apparatus thereof
US20230115201A1 (en) * 2020-04-09 2023-04-1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container having a lid assembly and method of coupling a lid assembly to a spout
EP4091954A1 (en) * 2021-05-18 2022-11-2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Spout assembly, composite packaging material sheet, method for forming a composite packaging material sheet, composite package and method for forming a composite package
CN117302710A (zh) * 2022-08-30 2023-12-29 康美包(苏州)有限公司 片状复合层和包装用片材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8914A (en) * 1939-06-09 1942-07-07 American Paper Bottle Co Container
US2601399A (en) * 1945-05-21 1952-06-24 Dairy Specialties Inc Dispensing milk container
US2731188A (en) * 1953-06-16 1956-01-17 Ex Cell O Corp Dispensing container and blank with improved pouring mechanism
US2750096A (en) 1954-05-20 1956-06-12 Ethel A Misch Paper containers
SE422672B (sv) 1976-07-08 1982-03-22 Ziristor Ab Med oppningsanordning forsedd forpackningsbehallare
CH627700A5 (de) * 1978-04-17 1982-01-29 Tetra Pak Dev Wiederverschliessbare oeffnungsvorrichtung in einer wand eines verpackungsbehaelters,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IL71516A0 (en) * 1983-05-04 1984-07-31 Int Paper Co Carton with hinged opening and perforated hinged opening
JPH0547061Y2 (ko) 1987-09-24 1993-12-10
JP2551982B2 (ja) 1987-10-16 1996-11-06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エステルとその製造法
DE3808303A1 (de) * 1988-03-12 1989-09-21 Pkl Verpackungssysteme Gmbh Quaderfoermige flachgiebelpack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S2082284T3 (es) 1992-07-06 1996-03-16 Procter & Gamble Recipiente aseptico para envase de liquidos con miembro de apertura de cierre repetible.
JPH09501890A (ja) 1993-08-26 1997-02-25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ペイパー カンパニー 無菌箱形パッケージ
US5960992A (en) * 1995-10-03 1999-10-05 International Paper Company Aseptic brick package spout
WO1997034809A1 (en) 1996-03-21 1997-09-2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ackaging container and a blank for producing the same
IT1290079B1 (it) * 1997-03-14 1998-10-19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Dispositivo di apertura richiudibile per confezioni per prodotti alimentari versabili
ATE272004T1 (de) 1999-10-01 2004-08-1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Verschliessbare öffnungsvorrichtung für packungen für fliessfähige nahrungsmittel
EP1088765A1 (en) 1999-10-01 2001-04-0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Resealable opening device for sealed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JP2002012229A (ja) 2000-07-03 2002-01-15 Nihon Tetra Pak Kk 包装容器の蓋体
JP2002080039A (ja) 2000-09-12 2002-03-19 Nihon Tetra Pak Kk 注出口部が補強された紙容器。
SE521912C2 (sv) 2000-11-28 2003-12-1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Förfarande för att anordna öppningsanordningar direkt på en förpackningsmaterialbana för hällbara produkter och en förpackning erhållen därigenom.
US6561413B2 (en) 2001-02-27 2003-05-13 Fuji Hunt Photographic Chemicals, Inc. Corrugated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ES2274030T3 (es) 2001-06-27 2007-05-16 Bericap Holding Gmbh Dispositivo de cierre con un perforador.
US6571994B1 (en) * 2001-12-12 2003-06-03 Portola Packaging, Inc. Closure having rotatable spout and axially movable stem
DE50304066D1 (de) 2002-05-31 2006-08-10 Sig Technology Ltd Selbstöffner-verschluss für verbundpackungen oder für mit folienmaterial verschlossene behälterstutzen
DE50302529D1 (de) 2002-06-20 2006-04-27 Sig Technology Ltd Selbstöffner-verschluss für verbundpackungen oder für mit folienmaterial zu verschliessende behälter- oder flaschenstutzen
ATE319622T1 (de) * 2002-09-09 2006-03-1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Verschliessbare öffnungsvorrichtung für packungen für fliessfähige nahrungsmittel
US7427005B1 (en) * 2002-11-27 2008-09-23 Owens-Illinois Closure Inc. Dispensing closure, package and method of assembly with film seal piercing
JP4257835B2 (ja) * 2003-05-09 2009-04-22 日本紙パック株式会社 注出口栓付液体紙容器
GB0414029D0 (en) 2004-06-23 2004-07-28 Elopak Systems Sheet material and method
ES2335000T5 (es) * 2004-08-20 2017-07-2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Dispositivo de apertura para un envase sellado que contiene un producto alimenticio vertible
PT2055640E (pt) 2007-11-05 2011-04-08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Dispositivo de abertura que se pode fechar de novo para embalagens de produtos alimentares que se podem vazar
ATE554018T1 (de) 2009-08-17 2012-05-1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MEHRSCHICHTFOLIEN-VERPACKUNGSMATERIAL ZUR HERSTELLUNG VERSIEGELTER VERPACKUNGEN FÜR GIEßBARE LEBENSMITTELPRODUK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287082T3 (pl) 2012-09-28
US9487324B2 (en) 2016-11-08
KR20170141822A (ko) 2017-12-26
AU2010285194B2 (en) 2014-06-05
ES2836825T3 (es) 2021-06-28
JP2013502349A (ja) 2013-01-24
MX2012001448A (es) 2012-03-26
EP2287082A1 (en) 2011-02-23
JP6429423B2 (ja) 2018-11-28
BR112012003466A2 (pt) 2016-03-01
UA112101C2 (uk) 2016-07-25
BR122019020855B1 (pt) 2022-06-07
EP2623430A1 (en) 2013-08-07
EP2287082A8 (en) 2011-04-20
ES2432993T3 (es) 2013-12-05
JP2018087047A (ja) 2018-06-07
US20170021959A1 (en) 2017-01-26
AU2014203492A1 (en) 2014-07-17
US20180265244A1 (en) 2018-09-20
KR101907819B1 (ko) 2018-10-12
PT2287082E (pt) 2012-06-18
KR101811459B1 (ko) 2018-01-25
RU2544130C2 (ru) 2015-03-10
EP2287082B1 (en) 2012-04-18
CN102481998A (zh) 2012-05-30
AU2014203492B2 (en) 2016-04-14
SA110310654B1 (ar) 2014-08-25
EP2623430B1 (en) 2020-11-04
ATE554018T1 (de) 2012-05-15
AU2010285194C1 (en) 2014-09-18
EP2467302A1 (en) 2012-06-27
JP2015171917A (ja) 2015-10-01
JP6006115B2 (ja) 2016-10-12
WO2011020634A1 (en) 2011-02-24
UA108080C2 (uk) 2015-03-25
ZA201201142B (en) 2013-05-29
RU2014151786A3 (ko) 2018-07-05
US20120138634A1 (en) 2012-06-07
AR077932A1 (es) 2011-10-05
EP2467302B1 (en) 2013-08-28
ES2385859T3 (es) 2012-08-01
AU2010285194A1 (en) 2012-03-08
RU2014151786A (ru) 2016-07-10
RU2012110225A (ru) 2013-09-27
JP6367765B2 (ja) 2018-08-01
MX357971B (es) 2018-08-01
CN102481998B (zh) 2014-06-04
US10384825B2 (en) 2019-08-20
RU2674506C2 (ru)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4825B2 (en) Sheet packaging material for producing sealed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EP2055640B1 (en) Reclosable opening device for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EP1396435A1 (en) Closable opening device for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EP3260386B1 (en) Sheet packaging material for producing sealed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CN115066372B (zh) 用于密封包装的开启设备和设置有开启设备的密封包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