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8886A - 오토파지 관련 질환, 혈관신생질환 또는 멜라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토파지 관련 질환, 혈관신생질환 또는 멜라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886A
KR20120058886A KR1020100120398A KR20100120398A KR20120058886A KR 20120058886 A KR20120058886 A KR 20120058886A KR 1020100120398 A KR1020100120398 A KR 1020100120398A KR 20100120398 A KR20100120398 A KR 20100120398A KR 20120058886 A KR20120058886 A KR 20120058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nevus
autophagy
disease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2047B1 (ko
Inventor
권호정
조윤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20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047B1/ko
Priority to US13/990,301 priority patent/US9328059B2/en
Priority to PCT/KR2011/006581 priority patent/WO2012074187A1/ko
Publication of KR20120058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Nitro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33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11/39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211/41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condensed ring systems
    • C07C211/42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condensed ring systems with six-membered aromatic rings being part of the condensed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61K31/015Hydrocarbons carbocyc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인다트랄린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오토파지 관련 질환, 혈관신생질환(angiogenic disease) 또는 멜라닌 과다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의 오토파지(autophagy)를 효과적으로 유도하므로, 오토파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큰 효능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관 형성, 침습 및 이동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혈관신생(angiogenesis)을 억제하고, 더 나아가 멜라닌생성(melanogenesis)을 저해하므로, 혈관신생질환(angiogenic disease) 또는 멜라닌(melanin)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토파지 관련 질환, 혈관신생질환 또는 멜라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utophagy-associated Diseases, Angiogenic Diseases, or Melanin-associated Diseases}
본 발명은 오토파지 관련 질환, 혈관신생질환 또는 멜라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다트랄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오토파지 관련 질환, 혈관신생질환 또는 멜라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토파지란 세포 성분이 분해되어 영양분 및 에너지원으로 재활용되는 세포의 자가-소화 시스템이다. 세포 생존 기간 동안 기능부전기관 및 장기간 지속된 단백질들이 수집되어 오토파지 대상이 된다. 오토파지가 활성화되면 atg12-atg5 복합체 및 LC3 결집에 의해 오토파고좀 막구조가 형성된다. LC3의 사이토졸 형태(LC3-I)는 막 결합 형태(LC3-II)로 갈라지고 그 막은 분해 대상 성분을 둘러싸는 오토파고섬으로 성숙되어진다[1, 2]. 그 다음 오토파고섬은 리소좀과 융합되어 세포내 성분의 리소좀성 분해를 일으킨다. 이러한 시스템은 세포 항상성을 유지하며 또한 세포 생존 또는 세포 사멸을 일으키지만, 언제 세포 생존 또는 사멸을 유도하는지에 관한 특정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오토파지-유도성 세포 사멸은 제II형 세포 사멸로 분류되며 카스파제 의존성 아폽토시스와는 무관하다[3].
오토파지는 신경퇴행성 질환, 암 및 멜라닌생성(melanogenesis)과 같은 다양한 병리학적 과정과 관련이 있다[4, 5, 6]. 파킨슨병 또는 알츠하이머병에서 미소섬유 및 아밀로이드 플라그가 축적되는데, 오토파지의 유도는 이러한 축적 성분 분해를 위한 가능성 있는 해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암에서, 오토파지는 오토파지는 다양한 단계와 연관될 수 있다[7]. 아폽토시스 결함 암 세포에서, 세포 사멸을 촉진하고 세포 증식을 조절하기 위해 오토파지를 유도시킬 수 있다. 자라나는 종양세포에서는 산소 및 영양분이 제한되기 때문에 혈관신생에 의해 필요한 성분이 제공될 때까지 생존을 위해 오토파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오토파지는 종양 세포 생존을 멈추기 위해 억제되어져야 한다. 몇몇 오토파지 유도제는 오토파지 및 아폽토시스를 동시에 촉진하는데 이는 상승 효과적으로 암세포 살해하고 중독성 세포를 사멸시키는 해법일 수 있다. 멜라닌생성(melanogenesis)이란 눈, 피부 및 모발 내에서 발견되는 색소인 멜라닌의 형성을 의미한다. 멜라노제네시스로부터 새로이 생산된 멜라닌은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멜라닌과 비교하여 다른 색상을 보인다. 멜라닌생성 동안, 뚜렷한 리소좀-관련 기관인 멜라노좀은 기능적 적하를 운반한다[8]. 따라서 멜라노좀이 오토파고섬으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보고된다[9]. 또한 색소 질환 환자에서 오토파고섬 증가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아마도 미성숙 멜라노좀의 분해로부터 유래했을 것이다[10]. 보다 최근 연구는 siRNA-기반 기능적 제노믹스를 통한 멜라닌생성의 신규한 조절자로서 오토파지 요소를 동정하였다[11]. 베클린 1 또는 LC3-I의 결여는 색소 축적을 현저하게 약화시켰다. 인 비보 분석에서 베클린 1 이형접합성 결여는 마우스 coat 색소 결함을 야기하였다[12]. 게다가, 멜라닌은 피부 및 눈에서 보호적 역할을 수행하며 멜라닌의 손실은 연령-관련 황반변성(AMD)과 관련이 있다[13, 14]. 뇌 또한 멜라닌에 의해 보호되며, 이의 손실은 또한 파킨슨병을 일으킨다[15]. 또한 멜라닌생성은 외부 요인으로는 UV와 같은 자극에 의해서 활성화된다[25]. 멜라닌생성에 의해 색소질환(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이 생길 수 있으나 멜라닌생성 조절에 이상이 있으면 멜라노마(피부암)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오토파지는 신경퇴행성 질환, 암 및 멜라닌생성과 깊은 관계가 있다. 이는 다양한 질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오토파지 유도제를 잠재적 의약 후보로서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오토파지 관련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신규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개발을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인다트랄린 및 그의 유도체들이 오토파지(autophagy)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뿐만 아니라, 관 형성, 침습 및 이동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혈관신생(angiogenesis)을 억제하고, 더 나아가 멜라닌생성(melanogenesis)을 억제함을 밝혀냄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다트랄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오토파지 관련 질환, 혈관신생질환 또는 멜라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다트랄린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오토파지 관련 질환, 혈관신생질환(angiogenic disease) 또는 멜라닌 과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C1-C6의 알킬, C1-C6의 알케닐, C3-C8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6 알콕시를 나타내고, 상기 R4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C1-C6의 알킬, C1-C6의 알케닐, C3-C8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6 알콕시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오토파지 관련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신규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개발을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다트랄린 유도체가 오토파지(autophagy)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뿐만 아니라, 관 형성, 침습 및 이동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혈관신생(angiogenesis)을 억제하고, 더 나아가 멜라닌생성(melanogenesis)을 억제함을 밝혀냄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은 직쇄 또는 분쇄의 비치환 또는 치환된 포화 탄화수소기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부틸, 펜틸 및 헥실 등을 포함한다. C1-C6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 유니트를 가지는 알킬기를 의미하며, C1-C6 알킬이 치환된 경우 치환체의 탄소수는 포함되지 않은 것이다. 화학식 1에서, R1 , R2 또는 R3 위치의 C1-C6 알킬은 바람직하게는 C1-C3의 알킬이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릭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하며, 이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및 사이클로펜틸을 포함한다. C3-C8의 사이클로알킬은 링 구조를 형성하는 탄소수가 3-8인 사이클로알킬을 의미하며, C3-C8의 사이클로알킬이 치환된 경우 치환체의 탄소수는 포함되지 않은 것이다.
용어 “알케닐”은 지정된 탄소수를 가지는 직쇄 또는 분쇄의 비치환 또는 치환된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예컨대, 에테닐, 비닐, 프로페닐, 알릴, 이소프로페닐, 부테닐, 이소부테닐, t-부테닐, n-펜테닐 및 n-헥세닐을 포함한다. C1-C6 알케닐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케닐 유니트를 가지는 알케닐기를 의미하며, C1-C6의 알케닐이 치환된 경우 치환체의 탄소수는 포함되지 않은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화학식 1의 인다트랄린 유도체를 정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 “할로겐”은 할로겐족 원소를 나타내며, 예컨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인다트랄린 유도체에서 상기 R1 ,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의 알킬을 나타내고, 상기 R4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3의 알킬 또는 할로겐을 나타낸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인다트랄린 유도체는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에서 X1 및 X2는 각각 할로겐을 나타낸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X1 및 X2는 염소원자(Cl)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랄 센터 및/또는 기하 이성질 센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모든 입체이성질체, 즉,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기하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인다트랄린 유사체는 오토파지 관련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매우 유효하다. 오토파지 관련 질환이란 오토파지를 유도함으로써 치료될 수 있는 질병들을 말하며, 구체적으로 오토파지가 세포 성장 및 분화를 억제하거나, 돌연변이 생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반응성 산화물에 의해 손상된 미토콘드리아 등의 세포 소기관을 제거함으로써 치료될 수 있는 모든 질병을 말한다. 오토파지 관련 질환을 예시하면 암,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근위측성측삭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헌팅톤병, 척수소뇌성 운동실조(spinocerebellar ataxia), 안 인후증 이영양증(oculopharyngeal muscular dystrophy), 프라이온병, 치명적 가족성 불면증, 알파-1 안티트립신 결핍증, 담창구 시상하부 위측증(dentatorubral pallidoluysian atrophy), 전측두엽 치매, 전진성 상핵 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척추 인경 근위축증(x-linked spinobulbar muscular atrophy) 및 신경 핵내 유리질 봉입증(neuronal intranuclear hyaline inclusion disease) 등이 있다.
오토파지 관련 질환 중 상기 암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뇌하수체선종, 신경교종, 뇌종양, 상인두암, 후두암, 흉선종, 중피종, 유방암, 폐암, 위암, 식도암, 대장암, 간암, 췌장암, 췌내분비종양, 담낭암, 음경암, 요관암, 신세포암, 전립선암, 방광암, 비호지킨성림프종, 골수이형성증후군, 다발성골수종, 형질세포성종양, 백혈병, 소아암, 피부암, 난소암 또는 자궁경부암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궁경부암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인다트랄린 유사체는 관 형성, 침습 및 이동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혈관신생(angiogenesis)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혈관신생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매우 유효하다. 상기 혈관신생질환이란 혈관의 생성으로 야기되는 질환을 의미하며, 예컨대 암, 당뇨병성 망막증, 미숙아 망막증, 각막 이식 거부, 신생혈관 녹내장, 홍색증, 증식성 망막증, 건선, 혈우병성 관절, 아테롬성 동맥경화 플라크 내에서의 모세혈관 증식, 켈로이드, 상처 과립화, 혈관 접착,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자가면역 질환, 크론씨병, 재발협착증, 아테롬성 동맥경화, 장관 접착, 캣 스크래치 질환, 궤양, 간경병증, 사구체신염, 당뇨병성 신장병증, 악성 신경화증, 혈전성 미소혈관증, 기관 이식 거부, 신사구체병증, 당뇨병, 염증 또는 신경퇴행성 질환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혈관신생질환 중 상기 암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뇌하수체선종, 신경교종, 뇌종양, 상인두암, 후두암, 흉선종, 중피종, 유방암, 폐암, 위암, 식도암, 대장암, 간암, 췌장암, 췌내분비종양, 담낭암, 음경암, 요관암, 신세포암, 전립선암, 방광암, 비호지킨성림프종, 골수이형성증후군, 다발성골수종, 형질세포성종양, 백혈병, 소아암, 피부암, 난소암 또는 자궁경부암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궁경부암이다.
본 발명의 인다트랄린 유도체는 암세포의 오토파지를 유도하거나, 또는 혈관신생을 억제하여 뛰어난 항암효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혈관 형성, 침습 및 이동을 억제하여 암의 전이를 억제하는 효능 또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인다트랄린 유도체는 멜라닌생성(melanogenesis)를 저해하므로, 멜라닌 과다 생성으로 인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보고된 오토파지와 멜라닌생성의 관계는 멜라닌생성이 멜라노좀 형성에 의해 오토파지가 증가하고 또한 melanocyte에서는 세포의 생존을 위해 오토파지가 일어난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인다트랄린 또는 그의 유도체의 경우 오토파지를 유도하는 동시에 멜라닌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므로 오토파지와 멜라닌생성과의 새로운 관계를 제시하고 있다. 즉 멜라닌생성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오토파지가 아닌 인다트랄린 또는 그의 유도체의 약제 효과로 인한 melanocyte에서의 오토파지 유도는 세포 생존이 아닌 세포 성장의 저해를 보여 멜라닌생성 억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오토파지 기작은 인다트랄린 또는 그의 유도체의 활성기전인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 reuptake 저해제로서의 효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다트랄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세로토닌, 에피네프린의 수송체(transporter)를 저해함로써 이들의 세포내 uptake을 억제한다. 신경전달물질 중 에피네프린이 멜라닌생성을 유도하는 사실은 이미 보고된 바 있다(Hu, D-N, et al., Influence of autonomic neurotransmitters on human uveal melanocytes in vitro. Exp . Eye Res ., 71: 217-224(2000)). 에피네프린의 활성으로서 오토파지를 저해하는 활성 또한 이미 보고된 바 있다(Seglen, P. O. et al., Autophagy and other vacuolar protein degradation mechanisms. Experientia, 48:158-172(1992)). 즉, 인다트랄린 또는 그의 유도체 화합물의 오토파지 유도 및 멜라닌생성 억제 효과는 epinephrine의 세포내 투과되는 양을 저해하므로써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다트랄린 또는 그의 유도체 화합물은 이러한 오토파지와 멜라닌생성의 새로운 연관성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다트랄린 또는 그의 유도체 화합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멜라닌 과다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멜라닌 과다성 질환은 예컨대 기미, 주근깨, 검버섯, 잡티, 표피 멜라닌세포성 병변(Epidermal melanocytic lesion), 밀크커피 반점(Cafe's au lait macules), 베커 모반(Becker's Nevus), 반문상 모반(Nevus Spilus), 흑자(Lentigines), 진피 멜라닌세포성 병변(Dermal melanocytic lesions), 몽고반(Mongolian spot), 오타 모반(Nevus of Ota), 후천성 양측성 오타 모반양 반(Acquired bilateral nevus of Ota-like macules), 이토 모반(Nevus of Ito), 청색 모반(Blue nevus), 멜라닌 세포성 모반(Melanocytic nevus), 경계 모반(Junctional nevus), 복합 모반(Compound nevus), 진피내 모반(Intradermal nevus), 운륜모반(Halo nevus), 선천성 멜라닌세포성 모반(Congenital nevocytic nevus), 스피츠 모반(Spitz nevus), 이형성 모반(Dysplastic nevus), 흑색종(Melanoma), 악성 흑자 흑색종(Lentigo maligna melanoma), 표재 확장성 흑색종(Superficial spreading melanoma), 선단 흑자성 흑색종(Acral lentiginous melanoma), 결절성 흑생종(Nodular melanoma), 색소성 기저세포암(pigment basal cell carcinoma), 색소성 피부섬유종(dermatofibromas), 색소성 피부낭종(dermoid cyst), 색소성 켈로이드(keloid) 및 색소성 각질극세포종(keratoacanthomas)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인다트랄린 유도체는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 그 자체뿐만 아니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것의 염의 형태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화합물이 투여되는 유기체에 심각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화합물의 제형을 제형을 의미하며, 예컨대, 암모니움 염,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전이금속염, 4차 아민 염 또는 아미노산 염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오토파지, 혈관신생억제 또는 멜라닌생성을 적절히 유도하여 피부세포 과증식성 질환 치료제의 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데 필요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인다트랄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예컨대 0.001-100 ㎎/㎏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에서 R1 ,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C1-C6의 알킬, C1-C6의 알케닐, C3-C8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6 알콕시를 나타내고, 상기 R4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C1-C6의 알킬, C1-C6의 알케닐, C3-C8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6 알콕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용도에 이용한 것으로서 그 유효성분을 공통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의 관계에서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멜라닌생성(melanogenesis)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피부 미백 효과는 예컨대 기미, 주근깨, 검버섯 및 잡티 등의 예방 또는 개선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뿐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정제수, 일가 알코올류(에탄올 또는 프로필 알코올), 다가 알코올류(글리세롤, 1,3-부티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고급 지방산류(팔미틸산 또는 리놀렌산), 유지류(소맥 배아유, 동백기름, 호호바유, 올리브유, 스쿠알렌, 해바라기유, 마카데미아땅콩유, 아보가드유, 대두 수첨가 레시틴 또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소염제 및 청량제를 첨가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모노라우린산헥사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 환원라놀린, POE, 글리세릴피로글루타민산, 이소스테아린산, 디에스테르, N-아세틸글루타민 및 이소스테아릴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살균제로는 히녹티올, 트리크로산, 크롤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즐렌 (azulene), 살리실산 및 징크피리타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몰식자산, 몰식자산프로필 및 에리소르빈산 중에서 어떠한 것도 사용가능하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디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류, 멜라닌,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시녹사이트, 파라메톡시계피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2-(2-히드록시-5-메틸페닐) 벤조트리아졸, 우로카닌산 및 금속산화물 미립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소염제로는 글리틸리틴산디칼륨 또는 알란토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청량제로는 고추틴크 또는 1-멘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백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품은 예컨대 선스크린(sun screen) 화장품류, 화장수류, 유액류, 에센스류, 크림류, 필링제(박피제)류, 팩류, 백분류, 화운데이션류, 립스틱류, 연지류, 눈화장재료류, 세정 화장품류, 햇빛을 막는 화장품류, 마사지크림류, 바디 화장품류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a) 인다트랄린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오토파지 관련 질환, 혈관신생질환(angiogenic disease) 또는 멜라닌 과다 생성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의 오토파지(autophagy)를 효과적으로 유도하므로, 오토파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큰 효능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관 형성, 침습 및 이동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혈관신생(angiogenesis)을 억제하고, 더 나아가 멜라닌생성(melanogenesis)을 저해하므로, 혈관신생질환(angiogenic disease) 또는 멜라닌(melanin)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A) 인다트랄린-유도성 오토파지는 HCS를 사용하여 라이소트래커 형광으로 정량화하였다. 이미지는 라이소트래커 형광의 pseudo color를 나타낸다(C: 대조군, R: 라파마이신, I: 인다트랄린). 인다트랄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형광을 2.5배로 현저히 증가시켰다. MDC 염색 시험은 인다트랄린 처리 세포에서 양-의존적으로 증가된 형광을 나타내었다. (C) 안정된 EGFP-LC3 세포주 또한 인다트랄린 처리에 따른 세포질 내 EGFP-LC3 포함 액포수의 증가를 확인시켜준다. 눈금 막대는 20 ㎛를 나타낸다.
도 2. (A) HeLa 및 HUVEC 세포에서의 LC3 변환 시험은 5 μM로부터 시작하였다. (B) 오토파지 억제제를 인다트랄린 처리 1시간 전에 선처리하였다. 인다트랄린 5 μM에서는 바필로마이신 A 및 워트마닌이 LC3 변환을 억제하였지만, 10 μM에서는 오직 바필로마이신 A만이 LC3 변환을 억제하였다(C: 대조군, R: 라파마이신, 3: 3-MA, B: 바필로마이신 A, P: PD98059, W: 워트마닌).
도 3. 인다트랄린은 HeLa 및 HUVEC 모두에서 세포 증식을 억제하였다. (A) HeLa 세포에서의 IC50 값은 약 3 μM이고 (B) HUVEC에서는 약 0.5 μM이다.
도 4. (A) VEGF-유도성 관 형성은 1 μM의 인다트랄린에 의해 억제되었다(화살표는 관 형성을 나타낸다). (B) 인다트랄린은 0.5 μM으로부터 시작하여 VEGF-유도성 침습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C) HUVEC의 이동은 인다트랄린 5 μM로부터 억제되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재료 및 방법
1. 세포 배양
HeLa(human epithelial cervix adenocarcinoma)세포와 COS-7(African green monkey kidney cells)세포 (한국세포주은행)를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포함하는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MEM)에서 배양 및 유지시켰다. 제조사(Invitrogen) 프로토콜에 따라 Lipofectamine 2000을 사용하여 COS7 세포를 pEGFP-LC3로 형질전환시켜 EGFP-LC3를 발현하는 안정된 COS7 세포주를 수립하였다. G418 750 ㎍/㎖를 포함하는 완전 배지에서 안정된 클론을 선별하였다. pH 7.4 및 5% CO2를 포함하는 대기 내 37°C 조건에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DMEM 및 FBS는 Gibco Laboratories(Grand Island, NY)로부터 취득하였다. EGFP-LC3를 인코딩하는 플라스미드 및 항-LC3 항체는 타모츄 요시모리(National Institute for Basic Biology, Okazaki, Japan) 박사가 제공해주었다.
2. 라이소트래커, MDC 및 안정된 EGFP-LC3 세포주를 사용한 오토파지 탐지
HeLa 세포를 70%의 컨플루언시까지 배양하였다. 그 다음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인다트랄린(Sigma)을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라이소트래커 및 MDC를 각각 50 nM 및 50 의 농도로 30분간 처리하였다. 각각의 샘플을 PBS로 3회 세척하고 형광 현미경으로 시각화하였다. 안정적으로 EGFP-LC3를 발현하는 COS7 세포에 화합물을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형광 현미경으로 시각화하였다. Hoechst 33258 및 LysoTracker는 Molecular Probes(Eugene, OR)로부터, MDC는 BioChemika(Sigma, Switzerland)로부터 구입하였다.
인다트랄린
Figure pat00004
3. LC3 면역블롯팅
인다트랄린을 처리한 HeLa 세포로부터 SDS 용해 완충액(50 mM 트리스 HCl, pH 6.8, 10% 글리세롤, 2% SDS, 10 mM 디치오쓰레이톨(dithiothreitol) 및 0.005% 브로모페놀 블루 포함)으로 가용성 단백질을 수확하였다. 단백질의 동일 부피를 12.5% SDS-PAGE로 분리하고 PVDF 막(Millipore, Bedford, MA)으로 이전시켰다. 그 다음 블롯을 블록킹하고 항-LC3 항체(MBL, Nagoya, Japan)를 사용하여 4℃에서 밤새 면역표지하였다. 면역표지는 제조사 지시에 따라 증진된 화학발광(ECL) 키트(Amersham Life Science, Inc., Buckinghamshire, UK)를 사용하여 시각화하였다. 로딩 대조군으로는 튜블린을 사용하였고 항-튜블린 항체(Upstate Biotechnology)를 사용하여 탐지하였다.
4. 세포증식 분석
세포증식은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비색정량분석법(colorimetric assay)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Hela 세포 및 HUVEC(Lonza, USA)을 3 × 103 세포/웰의 밀도로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다양한 농도의 인다트랄린으로 처리하였다. 처리 3일 후, 2 ㎎/㎖의 MTT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각의 웰 내 MTT-포마잔을 150 ㎕ DMSO에 용해하고 595 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Bio-Tek Instrument Inc., Winooski, VT)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인다트랄린 처리 웰 및 대조군 웰 사이의 비율을 계산하여 상대적인 세포 성장을 측정하였다.
5. 모세관형성 분석
마트리겔(10 mg/㎖)(BD, USA) 48-웰 플레이트에 코팅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중합시켰다. HUVEC(6 x 104 cells)를 48-웰 플레이트 내 마트리겔 표면에 접종하였다. VEGF(50 ng/㎖) 존재 하 화합물을 37℃에서 4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세포 형태학상 변화 및 형성된 모세관 구조를 현미경(IX71, Olympus)으로 관찰하고 DP70 카메라(Olympus)를 사용하여 100x 배율로 촬영하였다.
6. 화학침습분석(Chemoinvasion assay)
8.0-lm 사이즈 기공 폴리카보네이트 필터 삽입물을 구비한 Transwell 챔버를 사용하여 인 비트로에서 HUVEC의 침습을 시험하였다. 간단히 말해, 필터의 하부면은 젤라틴(1 mg/㎖)으로 코팅하고, 상부면은 마트리겔(3 mg/㎖)으로 코팅하였다. HUVEC(7 x 104 세포)을 필터 상층 부분에 놓고, VEGF(50 ng/㎖) 존재 하 화합물을 하부에 가하였다. 그 다음 챔버를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70% 메탄올로 고정하고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으로 염색하였다. 세포의 침습도는 100x 배율 현미경으로 필터의 하부면을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DP70 카메라로 세포를 촬영하였다.
7. 이동 분석
HUVEC의 이동은 12 웰 플레이트 내 100% 컨플루언시까지 배양하여 측정하였다. 그 다음 200 ㎕ 팁으로 웰을 통과시켜 상처를 내었다. 인다트랄린을 처리하고 세포의 이동을 매 3시간 마다 관찰하였다. 9시간 시점에 상처는 거의 80%까지 회복되었다. DP70 카메라를 사용하여 40x 배율로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실험결과
1. 인다트랄린은 오토파지를 유도한다.
인다트랄린에 의한 오토파지의 유도는 라이소트래커 및 MDC 염색으로 측정하였다. HCS(high contents screening)에 의하여 인다트랄린의 HeLa 세포처리에 따른 오토파지 유도 효능을 라이소트래커 형광 강도로 시험 및 정량화하였다(도 1A). 라이소트래커는 세포내 산성 액포를 염색하는 형광염료이다. 오토파지의 유도는 형광 증가에 의해 명백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HCS는 인다트랄린이 라파마이신과 유사한 정도로, 그리고 1 μM에서 대조군에 비해 2.87배 강하게 오토파지를 유도함을 나타내었다(도 1A). 오토파지 유도는 또한 MDC(Monodansylcadaverine) 염색으로 확인하였다. MDC는 오토파지성 액포를 표지하는 특이적 마커이다[17]. 인다트랄린 처리 후 MDC 염색 또한 1 μM로부터 시작하여 양-의존적으로 증가하는 형광을 나타내었다(도 1B).
2. 안정된 EGFP - LC3 세포주 내 인다트랄린 유도성 오토파지가 관찰된다.
오토파지의 직접적 요소를 측정하기 위해, 안정된 COS-7 EGFP-LC3 세포주 내에서 인다트랄린-유도성 오토파지를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LC3는 오토파지가 유도되는 경우 사이토졸 형태로부터 막 결합 형태로 변환되는 경쇄 3 단백질과 관련된 미세소관이다. Atg5-12 복합체 도입에 의하여 LC3 사이토졸 형태는 막 결합 형태로 갈라지면서 막 입자로 발전하여 오토파고섬을 성숙시킨다. 인다트랄린을 24시간 처리한 후, 소액포를 시험하였다. EGFP-LC3 형광은 세포질 내 양-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도 1C).
3. 인다트랄린 유도성 오토파지는 LC3 면역블롯팅으로 확인한다.
LC3 변환은 최종적으로 면역블롯팅으로 확인하였다. 인다트랄린을 처리한 24시간 후 세포 내 LC3-I로부터 LC3-II로의 변환을 시험하였다(도 2A). 오토파지 유도는 HUVEC 및 HeLa 세포 모두에 대해 5 μM로부터 시작하여 시험하였다. 어떠한 신호 경로에 인다트랄린이 관련되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알려진 오토파지 억제제인 3-MA(10 mM)[18], 바필로마이신 A(100 nM)[19], PD98059(10 μM)[20] 및 워트마닌(100 nM)[21]을 인다트랄린과 함께 처리하였다. 억제제들을 1시간동안 선처리하고, 5 μM 또는 10 μM의 인다트랄린을 처리하였다. 5 μM 처리 시 LC3 변환은 오직 바필로마이신 A 및 워트마닌 처리 샘플 내에서만 억제되었다(도 2B). 그러나, 인다트랄린 10 μM 처리 시에는 바필로마이신 A만을 제외하고는 오토파지 억제제들이 LC3 변환을 막을 수 없었다. 따라서, PI3K 억제제인 워트마닌이 인다트랄린-유도성 오토파지 신호 기전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일 수 있다.
4. 인다트랄린은 세포 증식을 억제한다.
HeLa 세포 내에서 세포 증식 또한 시험하였는데, 3일 후 세포 성장에 있어 현저한 감소를 야기하였다. HeLa 세포 내 인다트랄린의 IC50값은 약 3 μM로 측정되었다(도 3A). 인다트랄린 처리에 의한 세포 증식 억제는 HUVEC에 대해 더욱 민감하였다(도 3B). HUVEC 내 인다트랄린의 IC50값은 0.5 μM이었다. 인다트랄린이 HUVEC 성장을 억제하기 때문에, 인다트랄린의 항-혈관신생 효능을 시험하였다.
5. 혈관신생은 인다트랄린에 의해 억제된다.
오토파지 효능 및 항-혈관신생제로서의 잠재력을 시험하기 위하여 인다트랄린을 가지고 인 비트로 혈관신생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첫째로, 인다트랄린은 내피세포 간 네트워크가 되는 모세관 형성을 약하게 억제하였다(도 4A). VEGF에 의해 관형성이 유도되었는데[22], 인다트랄린 처리는 1 μM에서 성숙한 관 형성을 억제하였다. 혈관신생의 침습적 성질을 시험하기 위하여 화학침습 분석법 또한 수행하였다. 역시 VEGF에 의해 HUVEC 내 침습이 유도되었지만, 0.5 및 1 μM의 인다트랄린을 처리하자 침습 세포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도 4B). 또한 최근에 인다트랄린에 대하여 전이의 징표인 이동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9시간 후, HUVEC의 이동은 거의 100% 컨플루언시를 나타내었다. 이 시점에 인다트랄린 처리는 5 μM로부터 시작하여 HUVEC의 이동을 억제하였다(도 4C). 종합적으로 인다트랄린은 관 형성, 침습 및 이동을 억제하여 혈관신생을 억제한다. 따라서, 인다트랄린은 인 비트로 혈관신생을 억제하여 항혈관신생제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갖는다.
추가논의
인다트랄린은 세포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억제제이다. 본 연구는 인다트랄린이 오토파지를 유도함을 새로이 보고하였다. 신경전달물질 억제제 및 오토파지의 관계는 현재 시험 중에 있으나, 각각의 신경전달물질 억제제의 특이적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인다트랄린 유도성 오토파지는 형광 스크리닝 및 LC3 변환 면역블롯팅에 의해 확인되었다. 인다트랄린은 또한 HeLa 및 HUVEC에서 각각 3 및 0.5 μM의 IC50 값을 나타내면서 세포 증식을 억제하였다. 인다트랄린의 연장된 처리(3 일)는 세포 증식 분석법에서 볼 수 있듯이 세포 생존 비율을 감소시켰으나, 인다트랄린 5 μM을 HeLa 및 HUVEC에 24시간 처리시는 오토파지 스크리닝 동안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오토파지 유도제 및 세포 성장 억제제로서의 인다트랄린에 대해 그 혈관신생억제 효능 또한 시험하였다. 인 비트로 분석에서, 인다트랄린은 혈관신생의 징표인 관 형성, 침습 및 이동을 억제하였다. 인다트랄린은 관 형성 및 이동 분석과 비교하여 HUVEC의 침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몇몇 혈관신생 억제제는 침습 또는 전이를 특이적으로 억제하므로 이는 인다트랄린의 중요한 특성일 수 있다. 종합적으로 오토파지 유도제는 잠재적인 항암제 후보제이며 본 명세서에서 인다트랄린 또한 혈관신생 억제에 잠재력을 보임을 보고한다. 오토파지가 유도가 어떻게 혈관신생 억제로 이어지는지는 아직 명확히 이해되지 않았다. 인다트랄린에 대한 추가 연구로,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억제제, 오토파지 및 혈관신생의 관계가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오토파지의 유도가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신호를 촉발하거나, 또는 신경전달물질의 억제가 오토파지 및 혈관신생 모두의 억제를 동시에 자극할 수도 있다. 오토파지 및 혈관신생의 정확한 기전은 아직 풀리지 않은 채 남아있으며, 상기 기전에 대한 깊은 이해는 오토파지에 기초한 신규한 항-혈관신생제 개발의 초석이 될 것이다.
멜라닌생성에서의 오토파지는 멜라노좀의 형성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유도되는 기작이다. 더불어 멜라노마 (피부암)에서 오토파지는 세포생존을 위해 활발하게 유도된다. 하지만 인다트랄린의 경우 오토파지를 유도하며 동시에 멜라닌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즉 인다트랄린과 같은 오토파지 유도 물질은 자연적으로 생기는 멜라닌생성에서의 오토파지와는 다른 기작으로 오토파지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신경전달물질인 epinephrine은 멜라닌생성을 유도하고 오토파지를 저해하는 활성이 이미 각각 보고되어 있다.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멜라닌생성과 오토파지의 저해 활성을 연결시키면,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저해제인 인다트랄린을 활용하여 멜라닌생성과 오토파지의 관계를 새롭게 밝힐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토대로 멜라닌생성 조절제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M. Tsukada, Y. Ohsumi,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utophagy-defective mutant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FEBS Lett. 333, 169-174 (1993).
[2] Y. Ohsumi, Molecular dissection of autophagy: two ubiquitin-like systems, Nat. Rev. Mol. Cell. Biol. 2, 211-216 (2001).
[3] P.G. Clarke, Developmental cell death: morphological diversity and multiple mechanisms, Anat. Embryol. (Berl.) 181, 195-213 (1990).
[4] Mathew, R., Karantza-Wadsworth, V., and White, E., Role of autophagy in cancer. Nature Rev. Cancer, 7, 961-967 (2007).
[5] Martinez-Vincente, M., Talloczy, Z., Wong, E., Tang, G., Koga, H., Kaushik, S., de Vries, R., Arias, E., Harris, S., Sulzer, D., and Cuervo, A. M., Cargo recognition failure is responsible for inefficient autophagy in Huntington’s disease. Nat. Neurosci., 13, 567-576 (2010).
[6] Matsuda, N., and Tanaka, K., Does impairment of the ubiquitin-proteasome system or the autophagy-lysosome pathway predispose individuals to neurodegenerative disorders such as Parkinson’s Disease? J. Alzheimers Dis., 19, 1-9 (2010).
[7] Kondo, Y., Kanzawa, T., Sawaya, R., and Kondo, S., The role of autophagy in cancer development and response to therapy. Nature Rev. Cancer, 5, 726-734 (2005).
[8] Levine, B. and Kroemer, G., Autophagy in the pathogenesis of disease. Cell, 132, 27-42 (2008).
[9] Basrur, V., Yang, F., Kushimoto, T., Higashimoto, Y., Yasumoto, K., et al. Proteomic analysis of early melanosomes: identification of novel melanosomal proteins. J. Proteome Res. , 2, 69-79 (2003).
[10] Smith, J. W., Koshoffer, A., Morris, R. E., and Biossy, R. E., Membranous complexes characteristic of melanocytes derived from patients with Hermansky-Pudlak syndrome type 1 are macroautophagosomal entities of the lysosomal compartment. Pigment Cell Res., 18, 417-426 (2005).
[11] Ganesan, A. K., Ho, H., Bodemann, B., Petersen, S., Aruri, J., Koshy, S., Richardson, Z., Le, L. Q., Krasieva, T., Roth, M., G., Farmer, P., and White, M. A., Genome-wide siRNA-based functional genomics of pigmentation identifies novel genes and pathways that impact melanogenesis in human cells. PLoS, 4, e1000298 (2008).
[12] Qu, X., Yu, J., Bhagat, G., Furuya, N., Hibshoosh, H., et al, Promotion of tumorigenesis by heterozygous disruption of the beclin 1 autophagy gene. J. Clin. Invest., 112, 1809-1820 (2003).
[13] Costin, G., E., and Hearing, V., J., Human skin pigmentation: melanocytes modulate skin color in response to stress. FASEB J., 21, 976-994 (2007).
[14] Sarangarajan, R., and Apte, S. P., Melanization and phagocytosic implications for 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 Mol. Vis., 11, 482-490 (2005).
[15] Zecca, L, Zucca, F. A., Albertini, A., Rizzio, E., Fariello, R. G., A proposed dual role of neuromelanin in the pathogenesis of Parkinson’s disease. Neurology, 67, 58-71 (2006).
[16] Hyttel, J., and Larson, J. J., Neurochemical profile of LU 19-005, a potent inhibitor of uptake of dopamine, noradrenaline and serotonin. J. Neurochem. 44, 1615-1622, (1985).
[17-9] Biederbick, A., Kern, H. F., Els, H. P., Monodansylcadaverine (MDC) is a specific in vivo marker for autophagic vacuoles. Eur J Cell Biol., 66, 3-14 (1995).
[18] Seglen, P. O., and Gordon, P. B., 3-Methyladenine: specific inhibitor of autophagy/lysosomal protein degradation in isolated rat hepatocytes. Proc. Natl. Acad. Sci. USA, 79, 1889-1892 (1982).
[19] Yoshimori, T., Yamamoto, A., Moriyama, Y., Futai, M. and Tashiro, Y., Bafilomycin A1, a specific inhibitor of vacuolar-type H+ -ATPase, inhibits acidification and protein degradation in lysosomes of cultured cells. J. Biol. Chem., 266, 17707-17712 (1991).
[20] Cerioni, L., Palomba, L., and Cantoni, O., The Raf/MEK inhibitor PD98059 enhances ERK1/2 phosphorylation mediated by peroxynitrite via enforced mitochondrial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FEBS Lett., 547, 92-96 (2003).
[21] Blommaart, E. F. C., Krause, U., Schellens, J. P. M., Vreeling-Sindelarova, H., and Meijer, A. J., Th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inhibitors wortmannin and LY294002 inhibit autophagy in isolated rat hepatocytes. Eur. J. Biochem., 243, 240-246 (1997).
[22] Kiselyov, A., Balakin, K. V., and Tkachenko, S. E., VEGF/VEGFR signalling as a target for inhibiting angiogenesis, Expert Opin. Investig. Drugs, 16, 83-107 (2007).
[23] Hu, D-N., Woodward, D. F., and McCormick, S. A., Influence of autonomic neurotransmitters on human uveal melanocytes in vitro, Exp. Eye Res., 71, 217-224 (2000).
[24] Seglen, P. O. and Bohley, P., Autophagy and other vacuolar protein degradation mechanisms, Experientia, 48, 158-172 (1992).
[25] Agar, N. and Young, A. R., Melanogenesis: a photoprotective response to DNA damage? Mutation Res., 571, 121-132 (2005).

Claims (13)

  1.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오토파지 관련 질환, 혈관신생질환(angiogenic disease) 또는 멜라닌 과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에서 R1 ,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C1-C6의 알킬, C1-C6의 알케닐, C3-C8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6 알콕시를 나타내고, 상기 R4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C1-C6의 알킬, C1-C6의 알케닐, C3-C8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6 알콕시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1 ,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의 알킬을 나타내고, 상기 R4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3의 알킬 또는 할로겐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에서 X1 및 X2는 각각 할로겐을 나타낸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X1 및 X2는 염소원자(C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파지 관련 질환은 암,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근위측성측삭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헌팅톤병, 척수소뇌성 운동실조(spinocerebellar ataxia), 안 인후증 이영양증(oculopharyngeal muscular dystrophy), 프라이온병, 치명적 가족성 불면증, 알파-1 안티트립신 결핍증, 담창구 시상하부 위측증(dentatorubral pallidoluysian atrophy), 전측두엽 치매, 전진성 상핵 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척추 인경 근위축증(x-linked spinobulbar muscular atrophy) 및 신경 핵내 유리질 봉입증(neuronal intranuclear hyaline inclusion diseas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신생질환은 암, 당뇨병성 망막증, 미숙아 망막증, 각막 이식 거부, 신생혈관 녹내장, 홍색증, 증식성 망막증, 건선, 혈우병성 관절, 아테롬성 동맥경화 플라크 내에서의 모세혈관 증식, 켈로이드, 상처 과립화, 혈관 접착,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자가면역 질환, 크론씨병, 재발협착증, 아테롬성 동맥경화, 장관 접착, 캣 스크래치 질환, 궤양, 간경병증, 사구체신염, 당뇨병성 신장병증, 악성 신경화증, 혈전성 미소혈관증, 기관 이식 거부, 신사구체병증, 당뇨병, 염증 및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뇌하수체선종, 신경교종, 뇌종양, 상인두암, 후두암, 흉선종, 중피종, 유방암, 폐암, 위암, 식도암, 대장암, 간암, 췌장암, 췌내분비종양, 담낭암, 음경암, 요관암, 신세포암, 전립선암, 방광암, 비호지킨성림프종, 골수이형성증후군, 다발성골수종, 형질세포성종양, 백혈병, 소아암, 피부암, 난소암 및 자궁경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자궁경부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암의 전이(metastasis)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과다성 질환은 기미, 주근깨, 검버섯, 잡티, 표피 멜라닌세포성 병변(Epidermal melanocytic lesion), 밀크커피 반점(Cafe's au lait macules), 베커 모반(Becker's Nevus), 반문상 모반(Nevus Spilus), 흑자(Lentigines), 진피 멜라닌세포성 병변(Dermal melanocytic lesions), 몽고반(Mongolian spot), 오타 모반(Nevus of Ota), 후천성 양측성 오타 모반양 반(Acquired bilateral nevus of Ota-like macules), 이토 모반(Nevus of Ito), 청색 모반(Blue nevus), 멜라닌 세포성 모반(Melanocytic nevus), 경계 모반(Junctional nevus), 복합 모반(Compound nevus), 진피내 모반(Intradermal nevus), 운륜모반(Halo nevus), 선천성 멜라닌세포성 모반(Congenital nevocytic nevus), 스피츠 모반(Spitz nevus), 이형성 모반(Dysplastic nevus), 흑색종(Melanoma), 악성 흑자 흑색종(Lentigo maligna melanoma), 표재 확장성 흑색종(Superficial spreading melanoma), 선단 흑자성 흑색종(Acral lentiginous melanoma), 결절성 흑생종(Nodular melanoma), 색소성 기저세포암(pigment basal cell carcinoma), 색소성 피부섬유종(dermatofibromas), 색소성 피부낭종(dermoid cyst), 색소성 켈로이드(keloid) 및 색소성 각질극세포종(keratoacanthoma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에서 R1 ,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C1-C6의 알킬, C1-C6의 알케닐, C3-C8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6 알콕시를 나타내고, 상기 R4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C1-C6의 알킬, C1-C6의 알케닐, C3-C8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6 알콕시를 나타낸다.
  12. 제 11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백 기능성 화장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선스크린(sun screen) 화장품류, 화장수류, 유액류, 에센스류, 크림류, 필링제(박피제)류, 팩류, 백분류, 화운데이션류, 립스틱류, 연지류, 눈화장재료류, 세정 화장품류, 마사지크림류 및 바디 화장품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KR1020100120398A 2010-11-30 2010-11-30 오토파지 관련 질환, 혈관신생질환 또는 멜라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92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398A KR101692047B1 (ko) 2010-11-30 2010-11-30 오토파지 관련 질환, 혈관신생질환 또는 멜라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US13/990,301 US9328059B2 (en) 2010-11-30 2011-09-06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utophagy-related diseases, angiogenic diseases or melanin-related diseases
PCT/KR2011/006581 WO2012074187A1 (ko) 2010-11-30 2011-09-06 오토파지 관련 질환, 혈관신생질환 또는 멜라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398A KR101692047B1 (ko) 2010-11-30 2010-11-30 오토파지 관련 질환, 혈관신생질환 또는 멜라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886A true KR20120058886A (ko) 2012-06-08
KR101692047B1 KR101692047B1 (ko) 2017-01-04

Family

ID=4617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398A KR101692047B1 (ko) 2010-11-30 2010-11-30 오토파지 관련 질환, 혈관신생질환 또는 멜라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28059B2 (ko)
KR (1) KR101692047B1 (ko)
WO (1) WO20120741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3568A1 (en) * 2016-07-11 2018-01-18 University Of North Texas Health Science Center At Fort Worth Treatment for glaucoma and other eye diseas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470B1 (ko) * 2015-08-21 2020-04-13 (주)오토파지사이언스 신규한 카테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6689A1 (en) * 1996-08-16 1998-02-19 Allelix Pharm-Eco, L.L.P. Slow-onset, long-lasting dopamine reuptake blockers
WO2009036275A1 (en) * 2007-09-13 2009-03-19 Link Medicine Corporation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using indatraline analog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87000A2 (en) * 2003-11-19 2006-08-09 Glaxo Group Limited Use of cyclooxygenase-2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ve disorders
US8058243B2 (en) 2006-10-13 2011-11-15 Hsc Research And Development Limited Partnership Method for treating a brain cancer with ifenprodi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6689A1 (en) * 1996-08-16 1998-02-19 Allelix Pharm-Eco, L.L.P. Slow-onset, long-lasting dopamine reuptake blockers
WO2009036275A1 (en) * 2007-09-13 2009-03-19 Link Medicine Corporation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using indatraline analo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3568A1 (en) * 2016-07-11 2018-01-18 University Of North Texas Health Science Center At Fort Worth Treatment for glaucoma and other eye dise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047B1 (ko) 2017-01-04
US20130251654A1 (en) 2013-09-26
US9328059B2 (en) 2016-05-03
WO2012074187A1 (ko)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chibana Molecular basis for cancer chemoprevention by green tea polyphenol EGCG
Yu et al. Antroquinonol, a natural ubiquinone derivative, induces a cross talk between apoptosis, autophagy and senescence in human pancreatic carcinoma cells
Cui et al. Neuroprotective effect of sulfated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on 6-OHDA-induced death in SH-SY5Y through inhibition of MAPK and NF-κB and activation of PI3K/Akt signaling pathways
JP2017526679A (ja) 美白ペプチド剤
Lee et al. Modulation of signaling between TM4SF5 and integrins in tumor microenvironment
Zhu et al. The role of autophagy in skin pigmentation
Fei et al. XQ-1H regulates Wnt/GSK3β/β-catenin pathway and ameliorates the integrity of blood brain barrier in mice with acute ischemic stroke
KR101692047B1 (ko) 오토파지 관련 질환, 혈관신생질환 또는 멜라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148703B1 (ko) 전복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Liu et al. Tumor killing by a dietary curcumin mono-carbonyl analog that works as a selective ROS generator via TrxR inhibition
JP2015010071A (ja) 美白剤、メラニン分解促進剤およびメラノソームタンパク質分解促進剤
KR20140097865A (ko)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11723961B2 (en) Maspin, maspin derivatives, and maspin mimetics for reducing ROS, inflammation, and skin aging
US20140336135A1 (en) Novel use of rhododendrin
Kim et al. Melanogenesis‐promoting effect of Cirsium japonicum flower extract in vitro and ex vivo
KR101540319B1 (ko) cyb5R3 유전자 또는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hen et al. Effects of tea polyphenols on UVA-induced melanogenesis via inhibition of α-MSH-MC1R signalling pathway
KR102493627B1 (ko) 호르데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90067310A (ko) 제주조릿대로부터 파라-쿠마린산의 정제 방법과 상기파라-쿠마린산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및 약학적 조성물
Wadhwa et al. Research Article Modulation of Diacylglycerol-Induced Melanogenesis in Human Melanoma and Primary Melanocytes: Role of Stress Chaperone Mortalin
KR101237724B1 (ko) 피부세포 과증식 예방 또는 억제용 조성물
김아주 Effects of 7-methylsulfonylheptyl isothiocyanate on skin whitening and inflammation in cultured mammalian cells
KR101593974B1 (ko)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Choi et al. Primary Cilia, A Novel Bio-target to Regulate Skin Pigmentation
KR101938711B1 (ko) 퀴놀론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